KR20200049082A -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082A
KR20200049082A KR1020180131929A KR20180131929A KR20200049082A KR 20200049082 A KR20200049082 A KR 20200049082A KR 1020180131929 A KR1020180131929 A KR 1020180131929A KR 20180131929 A KR20180131929 A KR 20180131929A KR 20200049082 A KR20200049082 A KR 20200049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liding
opening
van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80131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9082A/ko
Publication of KR20200049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베인에 의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통해 덕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단면에 대한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는 덕트(10)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베인(20), 상기 복수의 수평베인(20) 중에서 상기 덕트(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베인(22), 상기 슬라이딩베인(22)과 연결되고 상기 덕트(1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랙바아(42), 및 상기 랙바아(42)의 전후방향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덕트(10)의 내부 유동단면을 개폐하는 개폐 조절부(40)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베인(22)은 상기 덕트(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랙바아(42)와 연동하는 지지구조물(43)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ir vent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베인에 의한 전후방향 이동 조작을 매개로 덕트의 내부 유동단면에 대한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조장치는 차실내로 냉풍이나 온풍을 제공하여 실내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차량 내부의 대쉬보드와 센터콘솔 등에는 송풍된 공기의 토출을 위해 에어벤트가 구비된다.
종래, 에어벤트는 토출되는 풍향의 조절을 위해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는 루버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베인을 구비하는 데, 베인은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수평베인과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는 수직베인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베인과 수직베인에 대한 각도 조절은 노브에 의한 조작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데, 종래 조작노브와 수평베인 및 수직베인 사이의 연동 구조는 공개특허 제10-2018-0072186호에 기재된 여러 종류의 기어류가 치합되어 연동되는 구조, 또는 공개특허 제10-2018-0070200호에 기재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링크 구조물의 설치를 통해 구현된다.
또한, 종래 에어벤트에는 차실내를 향한 공기의 토출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댐퍼 구조물도 함께 구비되는 데, 이러한 댐퍼 구조물에 대한 조작은 공개특허 제10-2015-0070561호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회전식 노브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에어벤트에서는 조작노브와 수평베인 및 수직베인 사이의 연동 구조가 복잡함과 더불어, 댐퍼 구조물의 개폐를 위한 별도의 회전식 노브를 설치해야 하므로,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공개특허 제10-2018-0072186호 공개특허 제10-2018-007020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평베인에 의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 조작을 통해 덕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단면에 대한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덕트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베인, 상기 복수의 수평베인 중에서 상기 덕트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베인, 상기 슬라이딩베인과 연결되고 상기 덕트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랙바아, 및 상기 랙바아의 전후방향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덕트의 내부 유동단면을 개폐하는 개폐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베인은 상기 덕트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랙바아와 연동하는 지지구조물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덕트의 측벽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지지구조물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슬라이딩베인의 힌지축과 결합되는 관통구멍, 및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덕트는 상기 슬라이딩베인에 대한 전후방향 이동 및 상하방향 선회각도의 제한을 위한 돌출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베인은 상기 돌출부와 접촉 가능한 머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개폐 조절부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랙바아의 치형부와 치결합되는 섹터기어, 및 상기 힌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덕트의 내부 유동단면에 대한 개폐를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덕트는 내주면에 상기 댐퍼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슬라이딩베인에는 조작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슬라이딩베인과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부베인과 하부베인은 상기 덕트의 측벽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베인과 함께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연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는 차실내에 배치되는 덕트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송풍공기의 토출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베인, 복수의 수평베인 중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베인, 및 수평베인의 전후방향 이동과 연동하여 덕트의 내부 유동단면을 개폐하는 개폐 조절부를 갖추고서, 덕트의 유동단면에 대한 안정적인 개폐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에어벤트의 개폐 구조와 비교할 때 구성 부품의 종류와 수량을 축소할 수 있으므로, 조립 생산성의 향상과 함께 제조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과 B-B선 단면 사이를 연결하여, 덕트의 측벽부에 대해 슬라이딩베인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와 함께, 랙바아와 개폐 조절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C-C선 단면으로, 슬라이딩베인에 대한 이동 스트로크의 제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D-D선 단면으로, 덕트의 측벽부에 대해 슬라이딩베인이 지지구조물을 매개로 전후방향의 이동과 상하방향의 회전이 각각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와 도 4에 각각 도시된 지지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베인의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랙바아의 이동과, 개폐 조절부에 의한 유동단면의 폐쇄상태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량용 에어벤트는 차실내를 향해 개구되도록 설치되는 덕트(10), 상기 덕트(10)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수평베인(20), 상기 복수의 수평베인(20) 중에서 상기 덕트(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베인(22), 상기 슬라이딩베인(22)에 설치되어 토출공기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조작노브(30), 및 상기 슬라이딩베인(22)의 전후방향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덕트(10)의 내부 유동단면에 대한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 조절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 조절부(40)는 상기 슬라이딩베인(22)과 연결되고 상기 덕트(10)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랙바아(42)를 구비한다. 즉, 상기 개폐 조절부(40)는 상기 슬라이딩베인(22)의 전후방향 이동과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랙바아(42)의 전후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덕트(10)의 내부 유동단면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덕트(10)는 차량의 공조설비를 통해 제공되는 공기를 차실내로 토출하는 것으로, 대쉬보드와 센터콘솔 등을 비롯한 각종 내장설비에서 차실내를 향해 연통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덕트(10)는 내부에 토출공기의 유동을 위해 적정의 유동단면적을 확보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덕트(10)는 차실내를 향한 토출구의 입구부(12)에 송풍공기의 토출각도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각각 조절하기 위한 베인을 구비하는 데, 상기 수평베인(20)은 상기 덕트(10)의 토출구 입구부(12)에서 상하방향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루버(louver)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수평베인(20)은 상기 덕트(10)의 토출구의 입구부(12)에 대해 별도의 링크 구조물(미도시)을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설치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데, 특히 상기 복수의 수평베인(2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베인(22)은 상기 덕트(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은 물론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덕트(10)의 입구부(12)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베인(22)은 복수의 수평베인(2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량으로 구비되어 상기 개폐 조절부(40)에 대한 개폐 작동을 연동방식의 구조로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10)는 송풍공기의 토출각도를 좌우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직베인도 함께 구비하는 데, 수직베인의 경우에는 상기 수평베인(20)의 후방에 위치하는 구조이므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2와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복수의 수평베인(20) 중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베인(22)은 상기 덕트(10)의 측벽부(14)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덕트(10)의 측벽부(14)에는 상기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베인(22)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해 전후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형태의 가이드홈(14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4a)에는 별도의 지지구조물(43)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베인(22)은 상기 지지구조물(43)의 관통구멍(43a)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축(22a)을 구비한다.
즉, 상기 가이드홈(14a)은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10)의 측벽부(14)에 대해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22a)은 상기 슬라이딩베인(22)의 양측부에서 상기 지지구조물(43)의 관통구멍(43a)을 향해 외부로 길게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홈(14a)과 상기 힌지축(22a)은 각각 상기 덕트(10)의 양쪽 측벽부(14)와 상기 슬라이딩베인(22)의 양쪽 측부에서 각각 대응하는 위치로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구조물(43)은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랙바아(42)의 일단부에 대해 상호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구조물(4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4a)과의 결합을 위해 가이드홈(14a)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끼움홈(43b)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끼움홈(43b)은 상기 지지구조물(4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측벽부(14)의 가이드홈(14a)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베인(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외부를 향해 단면적을 크게 확장시킨 구조의 머리부(2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머리부(24)는 상기 덕트(10)의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베인(22)의 전후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역할과, 상기 슬라이딩베인(22)의 전후방향 이동 시 작동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덕트(10)는 내부에 상기 머리부(24)와 접촉하여 상기 슬라이딩베인(22)의 전후방향 이동거리, 및 전후방향 이동 시 작동각도를 각각 제한할 수 있는 돌출부(16)를 구비한다. 즉, 상기 돌출부(16)는 상기 머리부(24)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베인(22)에 대한 전후방향 이동거리는 물론, 전후방향 이동 시 작동각도를 각각 제한하기 위해 상기 덕트(10)의 내부에서 중심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상기 돌출부(16)는 상기 덕트(10)의 상/하측 내주면에서 중심방향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머리부(24)와 맞닿아 접촉하고, 특히 상기 슬라이딩베인(22)의 전후방향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머리부(24)와의 접촉을 통해, 전후방향으로의 이동 스트로크와 전후방향으로의 이동 시 작동각도를 각각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정의 곡률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베인(22)은 도 3의 우측에 위치한 최초 진입전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덕트(10)의 입구부(12)에 대한 상하방향으로의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도 3에서 좌측을 향해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16)에 대한 상기 머리부(24)의 접촉으로 인해 상하방향 회전각도에 제한을 받게 되며, 더욱 전진하여 도 3의 좌측으로 완전하게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16) 내에 상기 머리부(24)가 끼임으로 인해 상하방향 회전각도의 조절이 불가할 뿐만 아니라, 더 이상의 전진이동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수평베인(20) 중에서 상기 슬라이딩베인(22)과 상방향으로 인접한 상부베인(26)과 하방향으로 인접한 하부베인(28)이 각각 상기 슬라이딩베인(22)과 함께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베인(26)과 상기 하부베인(28)은 좌우 양쪽부위에 상기 측벽부(14)의 삽입홈(14b)에 조립되는 힌지축을 갖추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조작노브(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수평베인(20) 중에서 상기 슬라이딩베인(22)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슬라이딩베인(22)에 대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은 베인에 대한 직접적인 조작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조작노브(30)를 통한 간접적인 조작을 통해서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와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개폐 조절부(40)는 상기 슬라이딩베인(22) 또는 상기 조작노브(30)의 전후방향 이동과 연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덕트(10)의 내부 유동단면에 대한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 조절부(40)는 상기 슬라이딩베인(22)과 결합되는 상기 지지구조물(43)과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랙바아(42), 상기 랙바아(42)의 치형부(42a)와 치결합되는 섹터기어(44), 상기 섹터기어(44)를 상기 덕트(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힌지부(46), 및 상기 힌지부(46)에 구비되고 상기 덕트(10)의 내부 유동단면에 대한 개폐를 조절하는 댐퍼(48)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 조절부(40)가 상기 랙바아(42)를 중심으로 상하부위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랙바아(42)를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단일의 개소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랙바아(42)는 상기 슬라이딩베인(22)과의 연동 구조를 위해 일단부에 상기 지지구조물(43)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구조물(43)은 상기 슬라이딩베인(22)의 힌지축(22a)과의 결합을 위해 관통구멍(43a)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지구조물(43)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측벽부(14)의 가이드홈(14a)과의 결합을 위한 끼움홈(43b)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랙바아(42)는 상기 덕트(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구조물(5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을 안내받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덕트(10)는 내주면에 상기 댐퍼(48)에 대한 회전각도를 유동단면이 폐쇄되는 지점에서 제한하기 위해 걸림턱(10a)을 형성한다. 즉, 상기 댐퍼(48)는 상기 덕트(10)의 걸림턱(10a)에 자유단부가 맞닿아 회전이 구속될 때 상기 덕트(10)의 내부 유동단면을 완전하게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섹터기어(44)는 상기 힌지부(46)를 중심으로 동일한 곡면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랙바아(42)의 치형부(42a)와 치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섹터기어(44)는 상기 랙바아(42)의 직선방향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상기 힌지부(46)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힌지부(46)는 상기 덕트(10)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는 부위로서 상기 덕트(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축부재(미도시)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섹터기어(44)의 회전을 허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댐퍼(48)는 상기 힌지부(46)를 중심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덕트(10)의 내부 유동단면에 대해 개폐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조작노브(30)에 대한 상하방향 조작을 통해 상기 수평베인(20)의 상하방향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덕트(10)의 토출구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베인(22)의 전후방향 조작을 통해 상기 지지구조물(43)을 매개로 하는 상기 랙바아(42)의 전후방향 연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랙바아(42)의 전후방향 연동에 따라 상기 치형부(42a)와 치결합된 상기 섹터기어(44)의 회전이 종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섹터기어(44)의 회전에 의한 상기 댐퍼(48)의 회전을 통해 상기 덕트(10)의 내부 유동단면에 대한 개폐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조작노브(30)가 상기 슬라이딩베인(22)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조작노브(30)에 대한 전후방향 조작으로도 상기 개폐 조절부(40)에 대한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덕트 10a-걸림턱
12-입구부 14-측벽부
14a-가이드홈 14b-삽입홈
16-돌출부
20-수평베인 22-슬라이딩베인
22a-힌지축 24-머리부
26-상부베인 28-하부베인
30-조작노브
40-개폐 조절부 42-랙바아
42a-치형부 43-지지구조물
43a-관통구멍 43b-끼움홈
44-섹터기어 46-힌지부
48-댐퍼 50-가이드 구조물

Claims (9)

  1. 덕트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베인;
    상기 복수의 수평베인 중에서 상기 덕트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베인;
    상기 슬라이딩베인과 연결되고 상기 덕트의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랙바아; 및
    상기 랙바아의 전후방향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덕트의 내부 유동단면을 개폐하는 개폐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베인은 상기 덕트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랙바아와 연동하는 지지구조물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덕트의 측벽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지지구조물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슬라이딩베인의 힌지축과 결합되는 관통구멍; 및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끼움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지지구조물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슬라이딩베인에 대한 전후방향 이동 및 상하방향 선회각도의 제한을 위한 돌출부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베인은 상기 돌출부와 접촉 가능한 머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절부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랙바아의 치형부와 치결합되는 섹터기어; 및
    상기 힌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덕트의 내부 유동단면에 대한 개폐를 조절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내주면에 상기 댐퍼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베인에는 조작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베인과 상하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부베인과 하부베인은 상기 덕트의 측벽부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베인과 함께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연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KR1020180131929A 2018-10-31 2018-10-31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KR20200049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929A KR20200049082A (ko) 2018-10-31 2018-10-31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929A KR20200049082A (ko) 2018-10-31 2018-10-31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082A true KR20200049082A (ko) 2020-05-08

Family

ID=7067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929A KR20200049082A (ko) 2018-10-31 2018-10-31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90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1894A1 (de) * 2019-11-26 2021-05-27 Audi Ag Bedienanordnung für einen Luftausström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200A (ko)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KR20180072186A (ko) 2016-12-21 2018-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200A (ko) 2016-12-16 2018-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KR20180072186A (ko) 2016-12-21 2018-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1894A1 (de) * 2019-11-26 2021-05-27 Audi Ag Bedienanordnung für einen Luftausströmer
DE102019131894B4 (de) 2019-11-26 2021-10-28 Audi Ag Bedienanordnung für einen Luftausström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43664A (ja) 空気吹出ノズル
CN109425024B (zh) 空调柜机
US1161315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14221631A (ja) レジスタ
KR20200049082A (ko) 차량용 에어벤트의 슬라이딩형 개폐장치
US20200231022A1 (en) Air ventilator for automobile
CN115195412B (zh) 一种隐藏式空调出风口的吹风方法
CN112440678B (zh) 叶片装置、车辆空调的出风结构、车辆空调***和车辆
KR20110037755A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20100058374A (ko) 에어벤트
RU225149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и подачи воздуха в салон автомобиля
KR10262601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237201B2 (ja) 空気吹出口装置
KR102432863B1 (ko)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KR102028605B1 (ko) 전환도어를 구비한 인테이크 덕트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KR1024223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007066B2 (ja) ベントグリル構造
CN114194000B (zh) 一种空调
JP2013241026A (ja) 風向調整装置
KR102498410B1 (ko) 에어벤트 조립체의 통풍 출구 제어장치
JPH0880731A (ja) 自動車用レジスタ
US20220161634A1 (en) Ventilation system
KR101325163B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20240092373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KR10238604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