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2448A - Touch Screen Panel - Google Patents

Touch Screen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2448A
KR20200042448A KR1020200044129A KR20200044129A KR20200042448A KR 20200042448 A KR20200042448 A KR 20200042448A KR 1020200044129 A KR1020200044129 A KR 1020200044129A KR 20200044129 A KR20200044129 A KR 20200044129A KR 20200042448 A KR20200042448 A KR 20200042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electrodes
patterns
touch screen
screen panel
connection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2036B1 (en
Inventor
김창범
김형철
박정목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4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036B1/en
Publication of KR2020004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4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0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panel for preventing driving failure due to static electricity. The touch screen panel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formed on a substrate; second sensing electrodes formed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on the substrat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row;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 first insula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and protruding patterns protruding toward adjacent second sensing electrodes from each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wherein one end of each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protruding pattern, and the protrusion patterns extend in a direction not parallel to a column direction and a row direction.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기에 의한 구동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screen panel that prevents driving failure due to static electricity.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The touch screen panel is an input device that allows a user's command to be input by selecting an instruction displayed on a screen such as a video display device with a human hand or an object.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To this end, the touch screen panel is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to convert a contact position directly contacting a human hand or object into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ly, the instruction content selected at the contact position is accepted as an input signal.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Since such a touch screen panel can replace a separate input device operated by being connected to a video display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the range of its use is gradually expanding.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As a method of implementing a touch screen panel, a resistive film method, a photo sensing method, and a capacitive method are known.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전극이 주변의 다른 감지전극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Among them, a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converts a contact posi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that a conductive sensing electrode forms with other sensing electrodes or ground electrodes in the vicinity when a human hand or an object is in contact. do.

여기서, 접촉면에서의 접촉위치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 감지전극들은 제1 연결패턴들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감지전극들과, 제2 연결패턴들에 의해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감지전극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Here, in order to clearly determine the contact position on the contact surface, the sensing electrodes are form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by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formed to be connected along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It comprises a second sensing electrode formed to be connected.

일반적으로, 제1 연결패턴들 및 제2 연결패턴들은 절연막을 사이에 개재하고 서로 절연되면서 교차하게 되는데, 이들은 감지전극들 자체의 패턴에 비해 폭이 좁아 상대적으로 저항이 크다. 따라서, 제1 연결패턴과 제2 연결패턴의 교차부는 정전기에 의해 손상되기 쉽다. In general,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intersect with each other with an insulating film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y are relatively large in resistance since they are narrow compared to the patterns of the sensing electrodes themselves. Therefore,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is likely to be damaged by static electricity.

이와 같이 제1 연결패턴과 제2 연결패턴의 교차부에서 정전기에 의해 절연파괴나 단선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불량이 야기된다.In this way, when damage such as insulation breakage or disconnection occurs due to static electricity a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driving failure of the touch screen panel is cau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기에 의한 구동불량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creen panel that can be prevented from driving failure due to static electric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감지전극들;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감지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제2 감지전극들; 동일한 행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감지전극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패턴들; 동일한 열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패턴들; 상기 제1 연결패턴들 및 상기 제2 연결패턴들 사이에 형성된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감지전극들 각각으로부터 인접한 제2 감지전극들을 향해 돌출된 돌출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패턴들 각각의 일단은 대응하는 돌출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돌출패턴들은 열 방향 및 행 방향과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연장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formed on a substrate; Second sensing electrodes formed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on the substrat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row;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 first insula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And protruding patterns protruding from each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toward adjacent second sensing electrodes, one end of each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protruding pattern, and the protruding patterns in a column direction. And a direction not parallel to the row direction.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패턴들의 길이 방향은 상기 열 방향 및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may not be parallel to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row direction.

일부 실시예에서, 동일한 열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부 제2 감지 전극 및 하부 제2 감지 전극 중에서, 상기 상부 제2 감지 전극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제2 감지 전극들로부터 각각 돌출된 2개의 돌출패턴들과, 2개의 연결패턴들을 통해 상기 하부 제2 감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mong the upper second sensing electrode and the lower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ame column direction, the upper second sensing electrode may include two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econd sensing electrodes, respectively. The lower second sensing electrod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truding patterns and the two connecting patterns.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부에 전면적으로 형성된 제2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ouch screen pane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sulating layer formed entirely on the top of the touch screen panel.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패턴들 및 상기 돌출패턴들은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on patterns and the protrusion patterns may have a bent shap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1 연결패턴들은 투명전극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패턴들은 불투명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and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may include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may include an opaque metal material.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을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하는 외곽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패턴들은 상기 외곽 배선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ouch screen panel further includes outer wirings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to an external driving circui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wirings. You can.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패턴들은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may have a shape inclined in a diagonal direction.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패턴들의 단부들은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패턴들은 상기 제1 절연막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인접한 제2 감지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are position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djacent second sensing electrodes through a contact hole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layer.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전극들로부터 절연인 더미패턴들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더미패턴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패턴이 배부에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전극들의 인접한 변에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ouch screen panel further includes dummy patterns formed in an island shape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but insul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and at least one.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ummy pattern may not be parallel to adjacent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in which the at least one dummy pattern is formed on the back.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더미패턴들은 상기 제1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의 교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ummy patterns may be disposed adjacent to intersections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더미패턴들은 상기 더미패턴들이 형성된 감지전극들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ummy patterns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dges of the sensing electrodes on which the dummy patterns are formed.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더미패턴들은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며, 상기 더미패턴들은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ummy patterns are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and the dummy patterns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정전기 유도패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전기 유도패턴들은 이웃한 제1 또는 제2 감지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연결패턴들 각각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감지전극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ouch screen panel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and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detect adjacent first or second sensing Each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may exten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electrode, and partially overlap the first or second sensing electrode.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정전기 유도패턴들은 상기 제2 연결패턴들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연결패턴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are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and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감지전극들;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감지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제2 감지전극들; 동일한 행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감지전극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패턴들; 동일한 열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패턴들; 상기 제1 연결패턴들 및 상기 제2 연결패턴들 사이에 형성된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감지전극들 각각으로부터 인접한 제2 감지전극들을 향해 돌출된 돌출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패턴들 각각의 일단은 대응하는 돌출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패턴의 길이 방향은 열 방향 및 행 방향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formed on a substrate; Second sensing electrodes formed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on the substrat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row;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 first insula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And protruding patterns protruding from each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toward the adjacent second sensing electrodes, one end of each of the second connecting patterns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protruding pattern, and of the second connecting patter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not be parallel to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row direc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전극들의 일부 영역에 더미패턴들을 형성하거나 감지전극들로부터 돌출되어 연결패턴에 연결되는 돌출패턴들을 형성함으로써, 감지전극들의 전기적 이동 경로의 폭을 좁히면서 경로를 우회시켜 감지전극들의 교차부인 고저항 영역으로의 급격한 정전기 유입을 완충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정전기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불량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dummy patterns in some regions of the sensing electrodes or by forming protruding patterns protruding from the sensing electrodes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tterns, the paths of the sensing electrodes are bypassed while narrowing the width of the electrical movement path. It can serve to buffer the rapid inflow of static electricity into the high resistance region, which is the intersection of the sensing electrod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lem of driving failure of the touch screen panel due to static electricity.

여기서, 상기 더미패턴들은 감지전극들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시인성 확보에 유리한 측면이 있고, 더미패턴들의 크기를 증가시켜 정전기 방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Here, by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sensing electrodes, the dummy patterns have an advantageous aspect to secure visibility, and increase the size of the dummy patterns to improve the antistatic function.

또한, 감지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웃한 감지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부 영역이 이웃한 감지전극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정전기 유도패턴들을 함께 형성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by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sensing electrodes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neighboring sensing electrodes to form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formed such that some areas overlap with the neighboring sensing electrodes, driving failure of the touch screen panel due to static electricity is prevented. The effect can be increased.

도 1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I-I' 선 및 Ⅱ-Ⅱ' 선 방향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요부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touch screen panel.
2 is a plan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sectional views of main parts of a touch screen panel taken along line II 'and II-II' of FIG. 2.
4 and 5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touch screen panel illustrated in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touch screen panel.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기판(10)과, 상기 기판(10) 상의 터치활성영역에 형성된 감지전극들(11)과, 상기 터치활성영역 외곽의 터치비활성영역에 형성되어 감지전극들(11)을 패드부(20)를 통해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하는 외곽 배선들(21)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touch screen panel includes a substrate 10, sensing electrodes 11 formed in a touch active area on the substrate 10, and sensing electrodes formed in a touch inactive area outside the touch active area. It includes outer wirings (21) connecting the (11) to the external driving circuit through the pad portion (20).

상기 터치활성영역은 터치 스크린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의 영상 표시영역과 중첩되어 외부에서 시인되며, 상기 터치비활성영역은 비표시영역와 중첩되고 상기 비표시영역을 커버하는 프레임 또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층에 의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는다. The touch active area overlaps an image display area of a display panel (not shown) disposed under the touch screen panel and is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and the touch inactive area overlaps the non-display area and covers the non-display area or I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by the light blocking layer blocking the light.

기판(10)은 플렉서블한 재질의 투명기판일 수 있다.The substrate 10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감지전극들(11)은 기판(10) 상의 터치활성영역에 분산되어 배치되며 제1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전극들(11a)과, 상기 제1 감지전극들(11a)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감지전극들(11a)의 사이에 분산되어 배치되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2 감지전극들(11b)을 포함한다. The sensing electrodes 11 are dispersedly disposed in a touch active area on the substrate 10 and ar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nd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so as not to overlap with a plurality of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long a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즉, 제1 감지전극들(11a)과 제2 감지전극들(11b)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 예컨대, 제1 감지전극들(11a)은 행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행 라인 단위로 각각의 외곽 배선(21)과 연결되고, 제2 감지전극들(11b)은 열 방향(수직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열 라인 단위로 각각의 외곽 배선(21)과 연결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are alternately arrang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re formed to be connected along the row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each outer wire 21 in units of row lines,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are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 It is formed to be connect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connected to each outer wiring 21 in units of column lines.

이러한 제1 감지전극들(11a) 및 제2 감지전극들(11b)은,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패널(미도시)로부터의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IT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된다.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ar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so that light from a display panel (not shown) disposed underneath is transmitted.

한편, 도 1에는 부호의 표기 없이 단순한 라인으로만 도시되었으나, 기판(10) 상의 터치활성영역에는, 제1 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되어 제1 감지전극들(11a)을 제1 방향(예컨대, 행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패턴들과, 제2 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되어 제2 감지전극들(11b)을 제2 방향(예컨대, 열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패턴들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패턴들의 실시예 및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Meanwhile, although only a simple line is shown in FIG. 1 without a sign,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re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a row) in a touch active area on the substrate 10 along a first directio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tterns that are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to connect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in the second direction (eg, column direction). An embodiment of these connection patterns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외곽 배선들(21)은 제1 감지전극들(11a) 및 제2 감지전극들(11b)을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른 라인 단위로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각각 행 라인 단위 및 열 라인 단위의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2a, 12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패드부(20)를 통해 위치검출회로와 같은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한다. The outer wirings 21 are for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with an external driving circuit in units of lines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respectively.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2a and 12b in a row line unit and a column line unit,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ing circuit (not shown) such as a position detection circuit through the pad unit 20. do.

이러한 외곽 배선들(21)은 영상이 표시되는 터치활성영역을 피해 터치 스크린 패널 외곽의 터치비활성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재료 선택의 폭이 넓어 감지전극들(11)의 형성에 이용되는 투명전극물질 외에도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wirings 21 are disposed in a touch inactive region outside the touch screen panel, avoiding a touch active region where an image is displayed, and a wide selection of materials makes the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used to form the sensing electrodes 11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of a low-resistance metal material such as molybdenum (Mo), silver (Ag), titanium (Ti), copper (Cu), aluminum (Al), molybdenum / aluminum / molybdenum (Mo / Al / Mo).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로, 사람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접촉물체가 접촉되면, 감지전극들(11)로부터 외곽 배선들(21) 및 패드부(20)를 경유하여 구동회로(미도시) 측으로 접촉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러면, X 및 Y 입력처리회로(미도시) 등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의해 접촉위치가 파악된다.The touch screen panel as described above is a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When a contact object such as a human hand or a stylus pen is in contact, the outer wirings 21 and the pad portion 20 are sensed from the sensing electrodes 11. The change in capacitance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circuit (not shown) via. Then, the contact position is grasped by the change of the electrostatic capacity 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X and Y input processing circuit (not show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I-I' 선 및 Ⅱ-Ⅱ' 선 방향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요부 단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a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and 3B are views of a touch screen panel along line II 'and line II-II' of FIG. 2 It is a main section.

편의상, 도 2에서는 인접한 두 개의 제1 감지전극들(11a) 및 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패턴(12a)과, 인접한 두 개의 제2 감지셀들(11b) 및 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패턴(12b)만을 도시하기로 한다. 하지만, 실제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도 2에 도시된 구조가 터치활성영역 내에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연결패턴(12a) 및 제2 연결패턴(12b) 모두에 대해서 복수의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in FIG. 2, two adjacent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nd a first connection pattern 12a connecting them, and two adjacent second sensing cells 11b and a second connection pattern 12b connecting them ). However, the actual touch screen panel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is repeatedly arranged in the touch active area. Therefore, hereinafter, both the first connection pattern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12b will be described in a plurality of forms.

도 2의 A영역 및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기판(10)과, 상기 기판(10) 상의 터치활성영역에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감지전극들(11a) 및 제2 감지전극들(11b)과, 제1 감지전극들(11a)을 제1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제1 연결패턴들(12a) 및 제2 감지전극들(11b)을 제2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제2 연결패턴들(12b)과, 제1 연결패턴들(12a)과 제2 연결패턴들(12b)의 사이에 개재되어 절연성을 확보하는 제1 절연막(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area A of FIG. 2 and FIG. 3A, the touch screen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ubstrate 10 and a touch active area on the substrate 10 along first and second directions,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and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12a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and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that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insulating film 30 is interposed to ensure insulation.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절연막(30)은 절연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제1 연결패턴들(12a)과 제2 연결패턴들(12b)의 사이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전극들(11)이 형성된 터치활성영역에 전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nsulating film 30 may be parti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which are to be secured with insulation, and in other embodiments, the The sensing electrodes 11 may be formed entirely on the touch active area.

또한, 설계구조에 따라서는 기판(10) 상에 형성된 패턴들을 보호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부에 전면적으로 제2 절연막(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insulating film 4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entire top of the touch screen panel to protect the patterns formed on the substrate 10 according to the design structure.

여기서, 터치활성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 측으로부터의 영상이 가시화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현되므로,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은 IT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고, 제1 및/또는 제2 연결패턴들(12a, 12b)은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과 같은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불투명한 저저항 금속물질로 형성되되 가시화가 방지될 수 있도록 그 폭이나 두께, 길이 등이 조절될 수 있다. Here, since the touch active region is implemented transparently so that the image from the display panel side is visible,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and 11b ar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and the first and / or Alternatively,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a and 12b are formed of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s such as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and 11b or formed of an opaque low-resistance metal material to prevent visualization. Its width, thickness, and length can be adjusted.

예컨대, 제1 연결패턴들(12a)은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과 더불어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고, 제2 연결패턴들(12b)은 저저항의 불투명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2a ar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and 11b,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are formed of a low-resistance opaque metal material. Can be.

이 경우, 제2 감지전극들(11b)은 제1 감지전극들(11a)의 사이에 각각이 분리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되 제2 연결패턴들(12b)에 의해 제2 방향을 따른 라인 단위로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are formed to have a separate pattern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but in line units along the second direction by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Can be connected.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감지전극들(11a)은 제2 감지전극들(11b)의 사이에 각각이 분리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되 제1 연결패턴들(12a)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른 라인 단위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선택적인 사항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감지전극들(11b)이 분리된 패턴을 갖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re formed to have a separate pattern betwee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but the line along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by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2a. It may be connected in units, which is optional, and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an example having a separated pattern.

제1 절연막(30)은 제1 연결패턴들(12a) 및 제2 연결패턴들(12b)의 교차부 등 절연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영역에 국부적으로 형성하되, 제2 감지전극들(11b)과 제2 연결패턴들(12b)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감지전극들(11b)과 제2 연결패턴들(12b)의 접촉면적의 크기에 따라 컨택저항이 결정될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30 is formed locally in an area in which insulation is to be secured, such as an inters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s 30 are formed with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2 The connection patterns 12b may be connected through direct contact. In this case, the contact resistanc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연결패턴들(12b)은 자신이 연결하는 제2 감지전극들(11b)의 상부 또는 하부 레이어에 분리되어 패터닝되되, 양측 단부가 제1 절연막(30)에 형성된 컨택홀(미도시)을 통해 인접한 제2 감지전극들(11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are separated and patterned on the upper or lower layers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to which they are connected, and contact h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30 are formed. 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djacent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through (not shown).

이러한 컨택홀은 하나의 제2 감지전극(11b)과 하나의 제2 연결패턴(12b)을 연결함에 있어 하나 이상 형성되되 두 개 이상으로 복수 개씩 형성되어 컨택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컨택홀의 수는 컨택저항과 시인성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When connecting one second sensing electrode 11b and one second connection pattern 12b, one or more contact holes may be formed, but a plurality of contact holes may be formed to reduce contact resistance, and the number of contact holes may be reduced.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contact resistance and visibility.

한편, 제1 연결패턴들(12a)이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투명전극물질의 패터닝 단계에서부터 제1 감지전극들(11a) 및 제1 연결패턴들(12a)을 제1 방향을 따른 라인 단위로 일체로 패터닝함에 의해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2a are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nd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2a are lined along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patterning step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by integrally patterning the furnace.

그리고, 제2 연결패턴들(12b)이 저저항의 불투명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터치비활성영역에 배치되는 외곽 배선들(21)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제2 연결패턴들(12b) 및 외곽 배선들(21)을 동시에 형성함에 의해 공정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즉, 제2 연결패턴들(12b)은 외곽 배선들(21)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다. Then, when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are formed of a low-resistance opaque metal material, in the step of forming the outer wirings 21 disposed in the touch inactive region,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and the outer The process can be further simplified by forming the wirings 21 simultaneously.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wirings 21.

단, 저저항의 불투명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제2 연결패턴들(12b)의 경우에는 가시화가 방지될 수 있도록 그 폭이 한정되며, 따라서 제2 연결패턴들(12b)의 폭은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되는 제1 연결패턴들(12a)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연결패턴들(12b)은 가시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사선 방향으로 기울여져 설계될 수도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formed of a low-resistance opaque metal material, the width is limited so that visualization is prevented, so the width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is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It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2a to be formed.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may be designed to be inclined in a diagonal direction so that visualization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연결패턴들(12b)은 영상 표시면과 중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활성영역에 위치하므로, 시인성 측면을 고려하여 좁게 설계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12a, 12b)의 교차부에 집중되는 정전기에 의해 제2 연결패턴들(12b)에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overlap the image display surface and are located in the touch-active area exposed to the outside,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should be designed narrowly in consideration of visibility,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Due to static electricity concentrated on the intersections of the fields 12a and 12b, defects are likely to occur in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which may cause malfunction of the touch screen panel.

예컨대, 저저항 영역인 제2 감지전극들(11b)로부터 고저항 영역인 제2 연결패턴들(12b)로 정전기가 급격히 유입될 경우, 절연파괴가 발생하여 제2 연결패턴들(12b)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static electricity rapidly flows from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in the low resistance region to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in the high resistance region, insulation breakdown occurs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are cut off. Losing problems can occur.

이에 본 발명은 정전기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불량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 영역에 섬 형상으로 형성되되 자신이 속하는 감지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의 교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더미패턴들(13, 14)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to improve the problem of driving failure of the touch screen panel due to static electricity. Referring to FIG. 2, an island shap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and 11b. It is formed, but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the sensing electrode to which it belongs, and forms dummy patterns 13 and 14 disposed adjacent to inters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and 11b. .

즉, 더미패턴들(13, 14)은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의 전기적 이동 경로 상에 차단 영역(절연 영역)을 형성하여 전기적 이동 경로의 폭을 줄이고 경로의 길이는 증가시킴으로써, 이동 경로의 전기적 저항을 증가시켜 감지전극들의 교차부인 고저항 영역으로의 급격한 정전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dummy patterns 13 and 14 form a blocking region (isolated region) on the electric movement path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and 11b to reduce the width of the electric movement path and reduce the length of the path. By increas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moving path, it is possible to prevent a rapid inflow of static electricity into the high resistance region, which is the intersection of the sensing electrodes.

일부 실시예에서, 더미패턴들(13, 14)은 자신이 속하는 감지전극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제1 더미패턴들(13), 및 자신이 속하는 감지전극의 가장자리에 접하는 제2 더미패턴들(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자리는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의 경계선으로 정의된다. In some embodiments, the dummy patterns 13 and 14 are first dummy patterns 13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sensing electrode to which they belong, and second dummy patterns 14 contacting the edge of the sensing electrode to which they belong. ). Here, the edge is defined as a boundary li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and 11b.

상기 제1 더미패턴들(13)은 양전하의 정전기가 유입되면, 제1 더미패턴들(13) 표면에 음전하가 충전이 되면서 정전기의 양전하를 잡아 끌게 되어 제2 연결패턴들(12b)로 유입되는 정전기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When the static electricity of the positive charge flows into the first dummy patterns 13, the negative charge is charg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dummy patterns 13 and attracts the positive charge of the static electricity to flow into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It plays a role in alleviating the impact caused by static electricity.

상기 제2 더미패턴들(14)은 유입된 정전기가 감지전극들의 교차부에 급격히 유입되지 않도록 전기적 이동 경로를 연장시키고 우회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dummy patterns 14 extend and bypass the electrical movement path so that the introduced static electricity does not rapidly flow into the intersection of the sensing electrodes.

예를 들면, 제1 감지전극들(11a)의 일부 영역에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제1 더미패턴들(13a)과 가장자리에 접하는 제2 더미패턴들(14a)이 형성되고, 제2 감지전극들(11b)의 일부 영역에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제1 더미패턴들(13b)과 가장자리에 접하는 제2 더미패턴들(14b)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some regions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first dummy patterns 13a spaced apart from the edge and second dummy patterns 14a contacting the edge are formed,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 First dummy patterns 13b spaced apart from the edge and second dummy patterns 14b contacting the edge may be formed in some regions of 11b).

상기 더미패턴들(13, 14)은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며, 이들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더미패턴들(13, 14)은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과 같은 투명전극물질로 함께 패터닝될 수 있다. The dummy patterns 13 and 14 are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and 11b, and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the dummy patterns 13 and 14 may be patterned together with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s such as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and 11b.

또한, 더미패턴들(13, 14)과 자신이 속하는 감지전극들(11) 사이에는 제1 절연막(30)이 개재하여 절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nsulating property may be secured by interposing a first insulating film 30 between the dummy patterns 13 and 14 and the sensing electrodes 11 to which they belong.

일부 실시예에서, 더미패턴들(13, 14)은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의 교차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영역에 동일한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감지전극들(11a)의 제1 및 제2 더미패턴들(13a, 14a)은 제1 연결패턴들(12a)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영역에 동일한 크기로 배치되고, 제2 감지전극들(11b)의 제1 및 제2 더미패턴들(13b, 14b)은 제2 연결패턴들(12b)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영역에 동일한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dummy patterns 13 and 14 may be arranged in the same size in reg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around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and 11b.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dummy patterns 13a and 14a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re arranged in the same size in reg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around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2a. The first and second dummy patterns 13b and 14b of the 2 sensing electrodes 11b may be disposed in the same size in reg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arou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또한, 더미패턴들(13, 14)은 감지전극들(11) 내에서 전기적 이동경로를 형성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감지전극들(11b)은 양 사이드의 가장자리에 제2 더미패턴들(14b)이 위치하고, 제2 더미패턴들(14b)의 사이에 L형상으로 절곡된 제1 더미패턴들(13b)이 위치할 수 있다.Further, the dummy patterns 13 and 14 may have a shape bent to form an electrical movement path within the sensing electrodes 11. For example, the second dummy patterns 11b have second dummy patterns 14b at the edges of both sides, and the first dummy patterns bent in an L shape between the second dummy patterns 14b. (13b) may be located.

전술한 더미패턴들(13, 14)의 형상 및 위치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된 것은 아니다. The shapes and positions of the dummy patterns 13 and 14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제2 감지전극들(11b)은 이웃한 제1 감지전극(11a)을 향하여 돌출되고 제2 연결패턴들(12b)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돌출패턴들(12c)을 가질 수 있다. 돌출패턴들(12c)은 상대적으로 그 폭이 매우 좁은 제2 연결패턴들(12b)로의 급격한 정전기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더미패턴들(13, 14)과 함께 감지전극들(11)의 전기적 이동 경로를 변형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may have protruding patterns 12c protruding toward the adjacent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nd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atterns 12b connected. The protruding patterns 12c prevent rapid inflow of static electricity into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and electrically move the sensing electrodes 11 together with the dummy patterns 13 and 14 You can transform the path.

일부 실시예에서, 돌출패턴들(12c)은 하나의 감지전극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패턴들(12c)은 이웃한 제2 감지전극들(11b) 사이에서 각각 자신이 연결된 감지전극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a plurality of protruding patterns 12c may be provided on one sensing electrode, and the protruding patterns 12c are each sensing electrodes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neighboring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Can extend in opposite directions from each other.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패턴들(12c)이 서로 분리된 제2 감지전극들(11b)로부터 돌출되어 제2 연결패턴들(12b)에 연결되는 바를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제1 감지전극들(11a)이 분리된 패턴을 가진 경우, 제1 감지전극들(11a)로부터 돌출되어 제1 연결패턴들(12a)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protruding patterns 12c are protruded from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b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llustrat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atterns 12b,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Of course, when (11a) has a separate pattern, it may be protruded from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a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12a.

상기 더미패턴들(13, 14) 및 돌출패턴들(12c)과 함께, 본 발명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다수의 정전기 유도패턴들(15)을 더 포함하여 정전기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Together with the dummy patterns 13 and 14 and the protruding patterns 12c, the touch screen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15 to prevent driving failure of the touch screen panel due to static electricity. The effect can be increased.

도 2의 B영역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정전기 유도패턴들(15)은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 자신이 연결된 감지전극과 이웃한 감지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부 영역이 이웃한 감지전극과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Referring to region B of FIG. 2 and FIG. 3B, the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1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and 11b, and each of the sensing electrodes and its neighbo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extends in the direction toward one sensing electrode and is formed so that some regions overlap with the adjacent sensing electrode.

여기서, 정전기 유도패턴들(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중첩되는 감지전극 사이에는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1 절연막(30)이 개재된다. Here, the first insulating film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15 and the sensing electrodes that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and overlap.

상기 정전기 유도패턴들(15)은 공정 단순화를 위하여 제2 연결패턴들(12b)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기 유도패턴들(15)도 제2 연결패턴들(12b) 및 외곽 배선들(21)과 같이 저저항의 불투명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15 may be formed on the same layer with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for simplifying the process. In addition, the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15 may also be formed of a low-resistance opaque metal material, such as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b and the outer wirings 21.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정전기 유도패턴들(15)의 일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감지전극들(11) 중 어느 하나는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전기 유도패턴들(15)의 일단부와 감지전극들(11)의 접촉면적의 크기에 따라 컨택저항이 결정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any one of the sensing electrodes 11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15 may be connected through direct contact. In this case, contact resistanc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ct area of one end of the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15 and the sensing electrodes 11.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정전기 유도패턴들(15)은 자신이 연결하는 감지전극들(11)의 상부 또는 하부 레이어에 분리되어 패터닝되되, 일 단부가 제1 절연막(30)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15 are separated and patterned on the upper or lower layers of the sensing electrodes 11 to which they are connected, but one end is through a contact hole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film 30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이와 같이 정전기 유도패턴들(15) 측으로 정전기가 유도되면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12a, 12b)에 대해서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정전기 유도패턴들(15)에 단선 등의 손상이 가해지더라도 이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Thus, when static electricity is induced toward the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15, stability may be secur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a and 12b, and damage such as disconnection may be applied to the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15. However, this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pane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전극들(11)의 일부 영역에 더미패턴들(13, 14)을 형성하거나 감지전극들(11)로부터 돌출되어 연결패턴들(12)에 연결되는 돌출패턴들(12c)을 형성함으로써, 감지전극들(11)의 교차부에 있어서 전기적 이동 경로의 폭을 좁히면서 경로를 우회시켜 감지전극들(11)의 교차부인 고저항 영역으로의 급격한 정전기 유입을 완충시켜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정전기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불량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mmy patterns 13 and 14 are formed in some regions of the sensing electrodes 11 or the protruding patterns protruding from the sensing electrodes 11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tterns 12 By forming the fields 12c, by narrowing the width of the electrical movement path at the intersection of the sensing electrodes 11, the path is bypassed to buffer the rapid inflow of static electricity into the high resistance region, which is the intersection of the sensing electrodes 11 It can play a rol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lem of driving failure of the touch screen panel due to static electricity.

여기서, 상기 더미패턴들(13, 14)은 감지전극들(11)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시인성 확보에 유리한 측면이 있고, 더미패턴들(13, 14)의 크기를 증가시켜 정전기 방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dummy patterns 13 and 14 use the same material as the sensing electrodes 11, and thus have an advantageous side for securing visibility, and increase the size of the dummy patterns 13 and 14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Can be improved.

또한, 감지전극들(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웃한 감지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부 영역이 이웃한 감지전극과 중첩되도록 형성된 정전기 유도패턴들(15)을 함께 형성함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Further,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15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electrodes 11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neighboring sensing electrodes so that some regions overlap with the neighboring sensing electrodes are formed together, thereby touching by static electricity.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riving failure of the screen panel may be increased.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전술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모순되지 않는 한 전술한 개시 사항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4 and 5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touch screen panel illustrated in FIG. 2. For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bers as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above-mentioned disclosure unless contradictory, and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패턴들 중 제2 더미패턴들(14)과 정전기 유도패턴들(15) 없이 제1 더미패턴들(113)과 돌출패턴들(112c)만으로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touch screen panel of this embodiment protrudes from the first dummy patterns 113 without the second dummy patterns 14 and the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15 among the pattern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t shows that it consists of only the patterns 112c.

제1 감지전극들(111a)은 다수개의 제1 더미패턴들(113a)을 포함하고, 제2 감지전극들(111b)은 다수개의 제1 더미패턴들(113b) 및 돌출패턴들(112c)을 포함한다.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111a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dummy patterns 113a,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1b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dummy patterns 113b and protruding patterns 112c. Includes.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더미패턴들(113b) 및 돌출패턴들(112c)은 'L'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dummy patterns 113b and the protruding patterns 112c may have a shape bent in an 'L' shape.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더미패턴들(113b) 및 돌출패턴들(112c)은 직선 형상 또는 곡선형으로 구부러진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형상들이 하나 이상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dummy patterns 113b and the protruding patterns 112c may have a straight shape or a round shape curved in a curved shape, or may have a shape in which one or more of these shapes are combined.

상기 돌출패턴들(112c)은 제2 감지전극들(111b) 사이의 전기적 이동 경로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protruding patterns 112c may increase the length of the electrical movement path between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111b.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패턴들 중 돌출 패턴(12c)과 정전기 유도패턴들(15) 없이 제1 더미패턴들(213)과 제2 더미패턴들(214)만으로 구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touch screen panel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first dummy patterns 213 and second dummy patterns without protruding patterns 12c and static induction patterns 15 among the patterns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It shows that it consists of only the fields 214.

제1 감지전극들(211a)은 다수개의 제1 더미패턴들(213a)을 포함하고, 제2 감지전극들(211b)은 돌출 패턴(12c) 없이 단일한 제2 연결패턴들(212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더미패턴들(213a)과 제2 더미패턴들(214)을 각 하나씩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연결패턴들(212a)과 제2 연결패턴들(212b)은 사선 방향으로 기울여져 설계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electrodes 211a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dummy patterns 213a,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211b are formed by a single second connection pattern 212b without a protruding pattern 12c.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includes first dummy patterns 213a and second dummy patterns 214, respectively. Here,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212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212b may be designed to be inclined in a diagonal direc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전기 유입을 완충시켜 주는 더미패턴들, 돌출패턴들 및 정전기 유도패턴들의 개수, 형상 및 위치는 다양하게 조합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shape, and position of the dummy patterns, protrusion patterns, and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that buffer static electricity inflow can be variously combined and variously modified as necessary.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더미패턴들 없이 정전기 유도패턴들과 돌출패턴들만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panel may be configured only with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and protrusion patterns without dummy patterns.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과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12a, 12b)과 같은 터치감지패턴을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직접 형성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체화하는 구조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forms touch sensing patterns such as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and 11b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a and 12b on the display panel. It can be usefully applied to a structure in which a panel and a display panel are integrated.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판(10)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기판으로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기판 일면에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과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12a, 12b) 등의 터치감지패턴을 형성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12a, 12b) 사이의 제1 절연막(30)의 두께가 한정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bstrate 10 of the touch screen panel is set as the upper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11b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s are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A touch screen panel integrated display panel having touch sensing patterns such as patterns 12a and 12b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first insulating layer 3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a and 12b may be provided. The thickness of the may be limited.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이 프릿에 의해 상, 하부 기판이 밀봉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 등으로 설정되는 경우, 제1 절연막(30)을 두꺼운 유기 절연막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고온의 프릿 소성 온도에 의하여 유기 절연막이 깨질 우려가 있어, 이를 무기 절연막으로 대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panel is set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or the lik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are sealed by a frit, when the first insulating film 30 is formed as a thick organic insulating film, the organic insulating film is subjected to high temperature frit firing temperature. There is a possibility of breakage, and it can be replaced with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즉,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재가 되는 기판(10)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기판으로 설정되어 터치 스크린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체화되어 구현되는 경우, 제1 절연막(30)은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11a, 11b)과 제1 및 제2 연결패턴들(12a, 12b)이 형성된 터치활성영역에 전면적으로 형성되는 무기 절연막으로 설계될 수 있는데 무기 절연막의 경우에는 막 스트레스로 인하여 유기 절연막에 비해 두께가 한정된다. That is, when the substrate 10 serving as the base of the touch screen panel is set as the upper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touch screen panel and the display panel are integrated and implemented, the first insulating film 30 includes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11a, 11b)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tterns (12a, 12b) may be designed as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that is formed entirely on the formed touch active region. In the case of the inorganic insulating film,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insulating film is reduced due to film stress. Is limited.

따라서, 무기 절연막으로 구현된 제1 절연막(30)은 두께가 한정됨으로 인해 정전기에 취약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돌출 패턴(12c), 더미패턴들(13, 14) 및 정전기 유도패턴들(15)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를 조합하여 형성하게 되면 이러한 정전기 취약성이 개선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일체화된 구조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insulating film 30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may be vulnerable to static electricity due to its limited thickness, bu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pattern 12c, dummy patterns 13, 14 and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When at least one of (15) or a combination thereof is formed, the static electricity vulnerability is improved, and the touch scree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applied to a structure integrated with a display panel.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the above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not for the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기판 11, 11a, 11b: 감지전극들
12, 12a, 12b: 연결패턴들 12c: 돌출패턴들
13, 13a, 13b: 제1 더미패턴들 14, 14a, 14b: 제2 더미패턴들
15: 정전기 유도패턴들
30, 40: 절연막
10: substrate 11, 11a, 11b: sensing electrodes
12, 12a, 12b: connecting patterns 12c: protruding patterns
13, 13a, 13b: first dummy patterns 14, 14a, 14b: second dummy patterns
15: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30, 40: insulating film

Claims (16)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감지전극들;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감지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제2 감지전극들;
동일한 행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감지전극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패턴들;
동일한 열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패턴들;
상기 제1 연결패턴들 및 상기 제2 연결패턴들 사이에 형성된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감지전극들 각각으로부터 인접한 제2 감지전극들을 향해 돌출된 돌출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패턴들 각각의 일단은 대응하는 돌출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돌출패턴들은 열 방향 및 행 방향과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formed on the substrate;
Second sensing electrodes formed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on the substrat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row;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 first insula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And
Protruding patterns protruding from each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to the adjacent second sensing electrodes,
One end of each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protruding pattern,
The protruding patterns extend in a direction not parallel to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row direction, the touch screen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패턴들의 길이 방향은 상기 열 방향 및 상기 행 방향과 평행하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The touch screen panel of claim 1, wherein a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is not parallel to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row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열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 상부 제2 감지 전극 및 하부 제2 감지 전극 중에서, 상기 상부 제2 감지 전극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제2 감지 전극들로부터 각각 돌출된 2개의 돌출패턴들과, 2개의 연결패턴들을 통해 상기 하부 제2 감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According to claim 1, Among the upper second sensing electrode and the lower second sensing electrod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ame column direction, the upper second sensing electrode is, respectively,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econd sensing electrodes 2 A touch screen pane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second sensing electrode through two protruding patterns and two connection patter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부에 전면적으로 형성된 제2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According to claim 1,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insulating film formed on the entire top of the touch screen panel, a touch screen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패턴들 및 상기 돌출패턴들은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패널.The touch screen panel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patterns and the protruding patterns have a bent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1 연결패턴들은 투명전극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패턴들은 불투명 금속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he touch screen panel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and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include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include an opaque metal materi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을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하는 외곽 배선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패턴들은 상기 외곽 배선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outer wiring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to an external driving circuit,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outer wiring lines, the touch screen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패턴들은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패널.The touch screen panel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have a shape inclined in a diago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패턴들의 단부들은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패턴들은 상기 제1 절연막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인접한 제2 감지 전극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are located on the first insulating film,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djacent second sensing electrodes through a contact hole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전극들로부터 절연인 더미패턴들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더미패턴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패턴이 배부에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감지 전극들의 인접한 변에 평행하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
According to claim 1,
Is formed in an island shape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further comprising dummy patterns insul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t least one dummy pattern is not parallel to adjacent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in which the at least one dummy pattern is formed on the back.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턴들은 상기 제1 감지전극들 및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의 교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The touch screen panel of claim 10, wherein the dummy patterns are disposed adjacent to intersections of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nd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턴들은 상기 더미패턴들이 형성된 감지전극들의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The touch screen panel of claim 10, wherein the dummy patterns are spaced apart from edges of sensing electrodes on which the dummy patterns are form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패턴들은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며, 상기 더미패턴들은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he touch screen panel of claim 10, wherein the dummy patterns are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and the dummy patterns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전극들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정전기 유도패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전기 유도패턴들은 이웃한 제1 또는 제2 감지전극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연결패턴들 각각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감지전극과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tic electricity induction patter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electrodes,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extend to each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in a direction toward a neighboring first or second sensing electrode, and partially overlap the first or second sensing electrode, the touch screen pane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유도패턴들은 상기 제2 연결패턴들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연결패턴들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he touch screen panel of claim 14, wherein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atterns are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and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감지전극들;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제1 감지전극들 사이에 형성된 제2 감지전극들;
동일한 행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감지전극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패턴들;
동일한 열에 배치되는 상기 제2 감지전극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패턴들;
상기 제1 연결패턴들 및 상기 제2 연결패턴들 사이에 형성된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감지전극들 각각으로부터 인접한 제2 감지전극들을 향해 돌출된 돌출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패턴들 각각의 일단은 대응하는 돌출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패턴의 길이 방향은 열 방향 및 행 방향과 평행하지 않는, 터치 스크린 패널.
A plurality of first sensing electrodes formed on the substrate;
Second sensing electrodes formed between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on the substrat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first sens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row;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tterns connecting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 first insulating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tterns and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And
Protruding patterns protruding from each of the second sensing electrodes to the adjacent second sensing electrodes,
One end of each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protruding patter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ttern is not parallel to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row direction, the touch screen panel.
KR1020200044129A 2020-04-10 2020-04-10 Touch Screen Panel KR1022420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129A KR102242036B1 (en) 2020-04-10 2020-04-10 Touch Scree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129A KR102242036B1 (en) 2020-04-10 2020-04-10 Touch Screen Pane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882A Division KR102101887B1 (en) 2012-10-05 2012-10-05 Touch Screen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448A true KR20200042448A (en) 2020-04-23
KR102242036B1 KR102242036B1 (en) 2021-04-21

Family

ID=7047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129A KR102242036B1 (en) 2020-04-10 2020-04-10 Touch Screen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03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046A (en) * 2010-08-19 2012-02-2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046A (en) * 2010-08-19 2012-02-2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Touch screen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036B1 (en)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887B1 (en) Touch Screen Panel
KR101976089B1 (en) Touch Screen Panel
KR101339669B1 (en) Touch Screen Panel
KR101650074B1 (en) Touch Screen Panel
KR101040881B1 (en) Touch screen panel
KR101073285B1 (en) Touch Screen Panel
KR102094937B1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40846B1 (en)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022087B1 (en) Touch Screen Panel
KR101022185B1 (en) Touch Screen Panel
US20150085205A1 (en) Touch panel
KR101941255B1 (en) touch screen panel
KR101048930B1 (en) Touch screen panel
US9582129B2 (en) Touch screen panel
US8749514B2 (en) Touch screen panel
US8830186B2 (en) Touch screen panel
KR20120008800A (en) Touch Screen Panel
KR101040851B1 (en) Touch screen panel
KR102242036B1 (en) Touch Screen Panel
KR101073161B1 (en) Touch screen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