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410A -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패킷 드랍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패킷 드랍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410A
KR20200032410A KR1020180111402A KR20180111402A KR20200032410A KR 20200032410 A KR20200032410 A KR 20200032410A KR 1020180111402 A KR1020180111402 A KR 1020180111402A KR 20180111402 A KR20180111402 A KR 20180111402A KR 20200032410 A KR20200032410 A KR 20200032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or
electronic device
data network
sess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이경훈
이수민
김혜정
이상호
김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1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2410A/ko
Priority to US16/565,578 priority patent/US11147086B2/en
Priority to PCT/KR2019/012040 priority patent/WO2020060176A1/en
Priority to EP19863041.0A priority patent/EP3827641A4/en
Publication of KR2020003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2Release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local area data network; LADN)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 원인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을 이탈이라고 판단 되면, 상기 세션이 해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패킷 드랍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PACKET DROP FOR UP-LINK}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패킷 드랍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사용자에게 지역 단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local area data network; LADN)와 관련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는 특정 지역(예: 학교, 회사)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네트워크로서, 특정 지역 내에 있는 단말(user equipment; UE)은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를 5세대(generation) NR(new radio) specification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는 특정 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단말이 특정 지역을 이탈하면 단말은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과 통신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이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를 이탈하면,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는 LADN 세션을 해지(release)하거나 LADN 세션을 비활성화(deactivate)할 수 있다.
LADN 세션을 해지(release)하는 경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 단말은 LADN 세션과 연관된 IP 주소, QoS(quality of service) 등과 같은 정보들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는 무선 자원을 해지하고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터널링도 모두 해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특정 지역으로 재 진입 시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는 LADN 세션을 처음부터 다시 생성해야 할 수 있다. 단말이 특정 지역을 이탈한 후 재 진입할 경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는 LADN 세션을 다시 생성해야 하므로 LADN 세션을 해지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대신,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특정 지역을 이탈한 경우 LADN 세션이 해지되기 때문에 근거리 네트워크와 통신이 불가능함을 인지할 수 있다.
LADN 세션을 비활성화(deactivate)하는 경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는 무선 자원을 해지하고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터널링만 해지하고 LADN 세션과 연관된 IP 주소, QoS(quality of service) 등과 같은 정보들은 제거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특정 지역으로 재 진입 시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 단말은 LADN 세션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되는 경우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근거리 네트워크와의 통신 가능성을 알 수 없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향링크 트래픽을 지속적으로 생성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패킷 드랍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술한 문제 및 본 문서에서 제기되는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local area data network; LADN)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 원인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을 이탈이라고 판단 되면, 상기 세션이 해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local area data network; LADN)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를 이탈하면,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 전송하지 않고 버퍼링(buffering)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local area data network; LADN)와 무선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을 이탈하면,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패킷 드랍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 및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 및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 및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 및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 및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local area data network; LADN)의 서비스 영역(10)(service area) 내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통해 지역 단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영역(10)이 A 대학교이고 전자 장치(100)가 A 대학교 내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통해 A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전자 장치(100)는 단말(user equipment; UE)로 참조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른 따르면, 전자 장치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할 경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는 LADN 세션을 비활성화(deactivate)할 수 있다.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되면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는 무선 자원을 해지하고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터널링만 해지하므로, 전자 장치가 서비스 영역(10) 내로 재 진입 시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는 LADN 세션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할 경우,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고, 불필요한 패킷 드랍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하더라도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가 LADN 세션을 비활성화하더라도 LADN 세션이 해지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고 불필요한 패킷 드랍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100) 및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는 LADN 서버(210)(LADN server), CN(220)(core network), 및 AN(230)(access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LADN 서버(210)는 CN(220) 및 AN(230)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게 데이터(또는 데이터 패킷)를 송수신 함으로써 지역 단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N(220)(core network)은 전자 장치(100)의 가입자 정보, 전자 장치(100)의 이동성(mobility), 전자 장치(100)의 접속 권한(access authorization), 데이터 패킷의 트래픽(traffic), 또는 과금 정책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할 수 있다. CN(220)은 UPF(user plane function) 노드, AMF(access &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노드,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노드, UDM(unified data management) 노드, 또는 PCF(policy control function) 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N(230)(access network)은 전자 장치(1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채널(channel)을 제공할 수 있다. AN(230)은 RAN(230)(radio access network), 기지국(base station),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G node),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5GNB(5th generation NodeB)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프로세서(110) 및 제2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프로세서(110)는 전자 장치(100)와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 간의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상기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1 프로세서(110)는 CP(communication processor)로 참조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120)는 제1 프로세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120)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제2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2 프로세서(120)는 AP(application processor)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제1 세션(241)은 LADN 세션이 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낸다. LADN 세션이 활성화된 상태일 경우 CN(220)이 AN(230)에 무선 자원 할당을 요청할 수 있고, AN(230) 사이의 터널링도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AN(230)에서 제공한 채널을 통해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2 세션(242)은 LADN 세션이 해지(release)된 상태를 나타낸다. LADN 세션이 해지되면 CN(220)은 AN(230)에 할당된 무선 자원 해지를 요청하고, AN(230) 사이의 터널링은 해지될 수 있다. 또한, LADN 세션과 연관된 IP 주소, QoS(quality of service) 등과 같은 정보들은 모두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 전자 장치(100)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LADN 세션을 처음부터 생성되어야 하므로, 전자 장치(10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제3 세션(243)은 LADN 세션이 비활성화(deactivate)된 상태를 나타낸다.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되면, CN(220)이 AN(230)에 할당된 무선 자원 해지를 요청하고, AN(230) 사이의 터널링이 해지될 수 있다. 그러나, LADN 세션과 연관된 IP 주소, QoS(quality of service) 등과 같은 정보들은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 내에 진입할 경우 무선 자원 할당을 통해 제3 세션(243)은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 내에 진입하면 무선 자원 할당을 통해 제3 세션(243)은 제1 세션(241)처럼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의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할 경우 CN(220)은 전자 장치(100)가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의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의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할 경우 CN(220)은 LADN 세션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부터 LADN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LADN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1 프로세서(110)는 LADN 세션이 해지 되었음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프로세서(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120)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고 LADN 세션이 해지 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LADN 세션이 해지되었다고 인식한 제2 프로세서(12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할 경우 제1 프로세서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부터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되었을 경우 제1 프로세서는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되었음을 제2 프로세서에 알릴 수 없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는 LADN 세션이 활성화 상태임을 전제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고 불필요한 패킷 드랍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가 LADN 세션을 비활성화하더라도 LADN 세션이 해지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12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고 불필요한 패킷 드랍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및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구성들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동작 311에서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하면 제1 프로세서(11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메시지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은 LADN 세션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동작 312에서 제1 프로세서(110)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프로세서(1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메시지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해지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프로세서(11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해지되었다고 제2 프로세서(120)에 알릴 수 있다.
동작 313에서 제2 프로세서(12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할 경우 제1 프로세서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부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되었을 경우 제1 프로세서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제2 프로세서에 알릴 수 없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는 LADN 세션이 활성화 상태임을 전제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고 불필요한 패킷 드랍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프로세서(12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되더라도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해지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12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고 불필요한 패킷 드랍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 및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 전자 장치(100)의 동작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는 AN(230)(access network), AMF(access &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노드(250) 및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노드(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프로세서(110) 및 제2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111) 및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1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프로세서(120)는 커널(kernel)(121), 릴(radio interface layer; RIL)(122), 및 앱(APP)(123)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21에서 AMF 노드(250)는 전자 장치(100)가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의 서비스 영역(10)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AMF 노드(250)는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하면 SMF 노드(260)에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동작 322에서 SMF 노드(260)는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하면 LADN 세션을 비활성화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SMF 노드(260)는 UPF(user plane function) 노드와 AN(230) 사이의 터널링을 해지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323에서 SMF 노드(260)는 AN(230)에게 LADN 세션에 할당된 무선 자원을 해지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SMF 노드(260)는 UPF 노드로 UPF 노드와 AN(230) 사이의 터널링을 해지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324에서 AN(230)은 SMF 노드(260)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기초하여 LADN 세션에 할당된 무선 자원을 해지할 수 있다. AN(230)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LADN 세션에 할당된 무선 자원이 해지되었음을 전자 장치(100)에 알릴 수 있다. 본 문서에서 RRC 메시지는 제1 메시지로 참조될 수 있다.
동작 325에서 프로토콜 스택(111)은 AN(230)으로부터 수신한 RRC 메시지에 기초하여 LADN 세션에 할당된 무선 자원이 해지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LADN 세션에 할당된 무선 자원이 해지되었을 경우 프로토콜 스택(111)은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토콜 스택(111)은 서비스 영역(10)과 전자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된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110)에서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 내에 있을 경우 제2 프로세서(12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패킷은 제2 프로세서(120)에서 유지 중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프로세서(110)로 전달되고 제1 프로세서(110)는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되었음을 인지하고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을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요청이 전송되면 LADN 세션은 다시 활성화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프로세서(110)에서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판단한 결과,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 밖에 위치할 경우 동작 326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326에서 프로토콜 스택(111)은 LADN 세션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LADN 세션과 관련된 정보는 LADN 세션 생성 시 제1 프로세서(110)에서 할당한 전자 장치(100)의 IP 주소, DNS(domain name sever) 주소,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27에서 프로토콜 스택(111)은 LADN 세션이 해지(제거)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릴(122)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28에서 릴(122)은 프로토콜 스택(111)으로부터 수신한 제2 메시지에 기초하여 LADN 인터페이스를 제거할 수 있다.
동작 329에서 제2 프로세서(12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이 불가능함을 인지할 수 있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할 경우 제1 프로세서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부터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되었을 경우 제1 프로세서는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되었음을 제2 프로세서에 알릴 수 없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는 LADN 세션이 활성화 상태임을 전제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가 LADN 세션을 비활성화하더라도 LADN 세션이 해지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12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고 불필요한 패킷 드랍을 방지할 수 있다.
동작 330에서 프로토콜 스택(111)은 AN(230)에서 송신한 메시지(예: TAC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 내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 내로 진입하면 동작 331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331에서 프로토콜 스택(111)은 LADN 세션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릴(12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토콜 스택(111)은 LADN 세션이 생성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와 함께 동작 326에서 저장한 정보를 릴(122)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32에서 릴(122)은 프로토콜 스택(111)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및 정보에 기초하여 LADN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333에서 제2 프로세서(12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함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로세서(12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패킷은 동작 332에서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프로세서(1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 서비스 요청을 전송하고, LADN이 활성화 되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a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동작 411에서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을 벗어나면 제1 프로세서(11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메시지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은 LADN 세션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동작 412에서 제1 프로세서(110)는 제3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프로세서(1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3 메시지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제2 프로세서(120)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도록 하는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동작 413에서 제2 프로세서(12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할 경우 제1 프로세서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부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제2 프로세서에 알릴(122) 수 없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는 LADN 세션이 활성화 상태임을 전제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110)가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제2 프로세서(120)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패킷 드랍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 및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 전자 장치(100)의 동작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동작 321 내지 동작 325에는 도 3b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동작 421에서 프로토콜 스택(111)은 LADN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릴(122)에 알릴 수 있다.
동작 422에서 릴(122)은 LADN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APP(123)에 알릴 수 있고, 동작 423에서 제2 프로세서(12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이 불가능함을 인지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하더라도 제1 프로세서는 LADN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제2 프로세서에 알릴(122) 수 없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는 LADN 세션이 활성화 상태임을 전제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110)는 LADN 세션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제2 프로세서(120)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도록 하는 제3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프로세서(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로세서(12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고, 불필요한 패킷 드랍을 방지할 수 있다.
동작 424에서 프로토콜 스택(111)은 AN(230)에서 송신한 메시지(예: TAC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 내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 내로 진입하면 동작 425가 수행될 수 있다.
동작 425에서 프로토콜 스택(111)은 LADN 세션이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릴(122)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26에서 릴(122)은 LADN 세션이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앱(123)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27에서 제2 프로세서(12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함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로세서(12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고,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a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동작 511에서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을 벗어나면 제1 프로세서(11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메시지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은 LADN 세션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동작 512에서 제1 프로세서(11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 전송하지 않고 버퍼링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을 벗어나면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2 프로세서(120)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패킷은 제2 프로세서(120)에서 유지 중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프로세서(1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전달된 데이터 패킷을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 전송하지 않고 버퍼링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할 경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이 제1 프로세서 단에서 드랍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부터의 응답이 없어 무선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인지할 수 있을 뿐,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110)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드랍하지 않고 버퍼링하므로, 불필요한 패킷 드랍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 및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5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 전자 장치(100)의 동작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된 동작 321 내지 동작 325에는 도 3b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동작 521에서 프로토콜 스택(111)은 제1 프로세서(110)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의 버퍼링을 종료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지정된 시간 내에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 내로 진입하지 않거나, 전자 장치(100)가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부터 지정된 거리 밖에 위치하거나,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의 양이 지정된 값을 초과하면 제1 프로세서(110)는 버퍼링을 종료할 수 있다.
동작 522에서 제1 프로세서(110)는 제2 프로세서(120)에서 생성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하면 제2 프로세서(120)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110)는 상기 데이터 패킷을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 전송하지 않고 버퍼링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서비스 영역(10)을 이탈할 경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이 제1 프로세서 단에서 드랍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부터의 응답이 없어 무선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인지할 수 있을 뿐,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프로세서(110)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드랍하지 않고 버퍼링하므로, 불필요한 패킷 드랍을 방지할 수 있다.
동작 523a에서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 내로 진입하면 프로토콜 스택(111)은 AN(230)에서 송신한 메시지(예: TAC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 내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 내로 진입하면 동작 524a가 수행될 수 있다.
동작 524a에서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동작 523b에서 버퍼링을 종료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가 지정된 시간 내에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 내로 진입하지 않거나, 전자 장치(100)가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200)로부터 지정된 거리 밖에 위치하거나,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의 양이 지정된 값을 초과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가 서비스 영역(10) 내로 진입하더라도 동작 524b가 수행될 수 있다.
동작 524b에서 제1 프로세서(110)는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을 모두 드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local area data network; LADN)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 원인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을 이탈이라고 판단 되면, 상기 세션이 해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세션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도록 하는 제3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세션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자원이 해지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및 프로토콜 타입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세션이 해지되면,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자원,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및 프로토콜 타입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DNS(domain name sever) 주소 및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에 진입하면 상기 세션이 설정(establishment)되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3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TAC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메시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에 해당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세션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의 해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세션의 비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세션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local area data network; LADN)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를 이탈하면,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 전송하지 않고 버퍼링(buffering)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버퍼링을 종료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을 드랍(drop)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조건이 만족하지 않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하면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버퍼링을 종료하기 위한 조건은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 내로 진입하지 않는 제1 조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지정된 거리 밖에 위치하는 제2 조건, 및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의 양이 지정된 값을 초과하는 제3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local area data network; LADN)와 무선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을 이탈하면,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프로세서 및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면,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세션이 해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프로세서는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에 해당하고, 제2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을 이탈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DNS(domain name sever) 주소 및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600)에서 전자 장치(601)는 제 1 네트워크(6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6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6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604) 또는 서버(6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1)는 서버(608)를 통하여 전자 장치(6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1)는 프로세서(620), 메모리(630), 입력 장치(650), 음향 출력 장치(655), 표시 장치(660), 오디오 모듈(670), 센서 모듈(676), 인터페이스(677), 햅틱 모듈(679), 카메라 모듈(680), 전력 관리 모듈(688), 배터리(689), 통신 모듈(690), 가입자 식별 모듈(696), 또는 안테나 모듈(6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6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660) 또는 카메라 모듈(6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6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6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6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620)에 연결된 전자 장치(6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6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676) 또는 통신 모듈(6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6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6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6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메인 프로세서(6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6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623)은 메인 프로세서(6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623)는 메인 프로세서(6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6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6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6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6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621)와 함께, 전자 장치(6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660), 센서 모듈(676), 또는 통신 모듈(6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6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680) 또는 통신 모듈(6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630)는, 전자 장치(6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620) 또는 센서모듈(6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6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휘발성 메모리(6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6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640)은 메모리(6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642), 미들 웨어(644) 또는 어플리케이션(6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650)는, 전자 장치(6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6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6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6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6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6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6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660)는 전자 장치(6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6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6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6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670)은, 입력 장치(6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655), 또는 전자 장치(6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6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676)은 전자 장치(6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6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677)는 전자 장치(6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6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6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6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6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6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6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6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6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6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688)은 전자 장치(6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689)는 전자 장치(6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6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690)은 전자 장치(6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602), 전자 장치(604), 또는 서버(6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690)은 프로세서(6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690)은 무선 통신 모듈(6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6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6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6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692)은 가입자 식별 모듈(6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698) 또는 제 2 네트워크(6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6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6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6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698) 또는 제 2 네트워크(6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6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6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699)에 연결된 서버(608)를 통해서 전자 장치(601)와 외부의 전자 장치(6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602, 604) 각각은 전자 장치(6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602, 604, or 6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6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6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6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6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6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636) 또는 외장 메모리(6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6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6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local area data network; LADN)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 원인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을 이탈이라고 판단 되면, 상기 세션이 해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세션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도록 하는 제3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션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자원이 해지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및 프로토콜 타입은 유지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션이 해지되면,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자원,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및 프로토콜 타입은 제거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DNS(domain name sever) 주소 및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에 진입하면 상기 세션이 설정(establishment)되었음을 나타내는 제3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3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TAC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에 해당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세션에 대응하는 무선 자원의 해제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세션의 비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세션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거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local area data network; LADN)와 무선 통신하는 제1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를 이탈하면,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 전송하지 않고 버퍼링(buffering)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버퍼링을 종료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을 드랍(drop)하는, 전자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조건이 만족하지 않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서비스 영역 내로 진입하면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을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을 종료하기 위한 조건은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 내로 진입하지 않는 제1 조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지정된 거리 밖에 위치하는 제2 조건, 및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패킷의 양이 지정된 값을 초과하는 제3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local area data network; LADN)와 무선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실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을 이탈하면,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도록 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프로세서 및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을 이탈하면,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세션이 비활성화 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세션이 해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제2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지 않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서는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에 해당하고, 제2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근거리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을 이탈하면, 상기 전자 장치의 주소, DNS(domain name sever) 주소 및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111402A 2018-09-18 2018-09-18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패킷 드랍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00032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402A KR20200032410A (ko) 2018-09-18 2018-09-18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패킷 드랍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6/565,578 US11147086B2 (en) 2018-09-18 2019-09-10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packet drop for uplink transmission
PCT/KR2019/012040 WO2020060176A1 (en) 2018-09-18 2019-09-18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packet drop for uplink transmission
EP19863041.0A EP3827641A4 (en) 2018-09-18 2019-09-18 ELECTRONIC DEVICE SERVING TO PREVENT AN ABANDONMENT OF A TRANSMISSION PACKET IN Upl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402A KR20200032410A (ko) 2018-09-18 2018-09-18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패킷 드랍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410A true KR20200032410A (ko) 2020-03-26

Family

ID=6977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402A KR20200032410A (ko) 2018-09-18 2018-09-18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패킷 드랍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47086B2 (ko)
EP (1) EP3827641A4 (ko)
KR (1) KR20200032410A (ko)
WO (1) WO20200601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3262B1 (en) * 1997-08-29 2003-1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sharing of connection resources
KR101819236B1 (ko) 2011-06-30 2018-0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역기반 응용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EP3364688B1 (en) * 2011-07-01 2023-07-1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ocal ip access, lipa, mobility
GB2513311B (en) 2013-04-22 2020-05-27 Sony Corp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US10149343B2 (en) * 2015-05-11 2018-12-04 Apple Inc. Use of baseband triggers to coalesce application data activity
KR102244049B1 (ko) 2016-08-22 2021-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지역별 데이터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602472B2 (en) * 2016-08-22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gional data network configu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9216683A1 (ko) 2018-05-11 2019-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adn 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X2019005455A (es) 2018-05-11 2020-02-07 Lg Electronics Inc Metodo y aparato para utilizar ladn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0176A1 (en) 2020-03-26
EP3827641A4 (en) 2021-09-08
US11147086B2 (en) 2021-10-12
US20200092896A1 (en) 2020-03-19
EP3827641A1 (en)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98668B (zh) 无线通信链路建立方法及支持该方法的电子装置
KR102480875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재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32299B1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502786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transmitting data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KR20200099735A (ko)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EP3609287B1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data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for
US11191116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response message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for the same
US11903062B2 (en) Method for operating application requiring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632536B1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00062793A (ko) 베어러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810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01760B1 (ko)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56913B1 (ko)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EP3876610B1 (en)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network on basis of wi-fi direct protocol, and method related thereto
KR20220102492A (ko)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51749A (ko) 긴급 호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00106317A (ko)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57007B1 (ko) 리치 통신 스위트 서비스를 통한 비디오 공유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00032410A (ko)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패킷 드랍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00033404A (ko)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00106744A (ko) 블루투스 네트워크에서 채널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664874B1 (ko) 수신 경로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210041927A (ko) 블루투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20043681A (ko) 링크를 운용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35623A (ko) 외부 전자 장치의 ip 주소를 할당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