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175A - Intraoral Sen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ntraoral Sen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175A
KR20200030175A KR1020180108652A KR20180108652A KR20200030175A KR 20200030175 A KR20200030175 A KR 20200030175A KR 1020180108652 A KR1020180108652 A KR 1020180108652A KR 20180108652 A KR20180108652 A KR 20180108652A KR 20200030175 A KR20200030175 A KR 20200030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housing
sensing device
cable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6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기욱
Original Assignee
오스템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8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0175A/en
Publication of KR2020003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1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A61B6/14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raoral sensing apparatus comprises: a detection sensor located in the oral cavity to detect X-ray when X-ray imaging in the oral cavity; and a cable which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detection sensor and an external device. The intraoral sensing apparatus may further comprise: a housing; a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The housing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sensor.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to have a detachable pin-type male terminal structure of one end of the cable connected to the detection sensor side.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to have a female terminal structure of a groove typ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to be connected to the sensor through the housing.

Description

구강 센싱 장치{Intraoral Sensing Apparatus}Oral Sensing Apparatus {Intraoral S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강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에 X-선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구강 센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sensing devic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oral sensing device provided to enable X-ray imaging in the oral cavity.

일반적으로 치과 진료에서는 구강 센싱 장치를 사용하여 구강 내를 촬영하여 치열이나 치아의 상태, 잇몸 또는 치주 질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구강 센싱 장치를 사용하는 구강 촬영은 피검자의 구강 외부에서 조사하는 X-선을 피검자의 구강 내에 위치시키는 감지 센서를 사용하여 감지하고, 이를 전기 신호의 형태로 처리하여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In general, in dental practice, an oral sensing device may be used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to check the dentition or the condition of teeth, gums or periodontal disease. Oral imaging using an oral sensing device can be achieved by sensing an X-ray irradiated from outside the subject's mouth using a detection sensor positioned within the subject's mouth, and processing it in the form of an electrical signal to obtain an image. .

감지 센서는 주로 하우징에 수용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케이블을 통하여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외부 기기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케이블은 주로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The sensing sensor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mainly accommodated in a housing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acquiring an image through a cable. The cable can be mainly connected along the length of the housing.

이에, 구강 내 촬영을 위하여 하우징을 길이 방향이 아닌 폭 방향으로 구강 내에 위치시킬 경우 케이블이 꺾어져서 손상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고, 그리고 케이블이 꺾어진 상태로 구강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피검자에게 불쾌한 이물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우징과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이 볼록한 구조를 갖고, 이 부분을 의료진이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구강 내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피검자에는 매우 불쾌한 이물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if the housing is placed in the oral cavity in the width direction rather th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intraoral imaging, a cable may be broken and damaged, and the cable may be placed in the oral cavity in an unfolded state, causing unpleasant foreign body feeling to the subject. Will give. In addition, since the portion where the housing and the cable are connected has a convex structure, and the medical staff adheres to the oral cavity using a finger or the like, the subject may be very unpleasant.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케이블이 꺾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하우징과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를 충분하게 낮출 수 있는 구강 센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sensing device capable of sufficiently preventing the cable from being bent and lowering the height of a portion where the housing and the cable are connected.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센싱 장치는 구강 내 X-선 촬영시 상기 구강 내에 위치하여 상기 X-선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와 외부 기기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포함함과 더불어 하우징, 제1 연결 단자,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감지 센서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감지 센서 쪽과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는 탈부착 가능한 핀 타입의 수단자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하우징을 통하여 상기 감지 센서와 연결되게 상기 제1 연결 단자가 삽입되는 요홈 타입의 암단자 구조를 갖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for achieving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oral cavity during X-ray imaging in the oral cavity,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X-ray, and the detection sensor and an external device In addition to including a cable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hous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The housing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sensor.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to have a detachable pin-type means structure of one end of the cable connected to the detection sensor.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so as to have a groove-type female terminal structure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nsor through the housing.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평평한(flat)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cable may be formed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flat structur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연결 단자로부터 외부 기기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공간 변환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provided to have a spatial conversion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narrows toward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at least two second connection terminals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in different directions.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각각에 적어도 한 개씩 형성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s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은 수직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may be vertical.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단자 중에 상기 제1 연결 단자가 삽입되지 않는 나머지 제2 연결 단자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example embodiments,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ortion capable of covering the remaining second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not insert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는 탈부착 가능한 핀 타입의 수단자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는 제1 연결 단자를 요홈 타입의 암단자 구조를 갖는 제2 연결 단자에 삽입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과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를 충분하게 낮출 수 있을 것이고, 이에 하우징과 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높이로 인하여 피검자에게 가해지는 이물감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Since the or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to have a detachable pin-type means structure is inserted into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having a groove-type female terminal structure. It will be able to sufficiently lower the height of the portion where the and cable are connected, and thereby reduce the foreign body sensation applied to the subject due to the height at the portion where the housing and the cable are connected.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는 하우징에 제2 연결 단자를 다수개가 구비되도록 하여 케이블을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거나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을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으로 구강 내에 위치시켜도 케이블이 꺾이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고, 이에 케이블이 손상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로 인한 불쾌한 이물감을 충분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or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in the housing to connect the cab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or selectively connect the hous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so Even if placed in the oral cavity in the width direc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the cable from being bent, thereby minimiz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 cable is damaged, as well as sufficiently reducing the unpleasant foreign feeling caused by the cable.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는 구강 내 X-선 촬영에 따른 피검자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고, 케이블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 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or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minimize the subject's feeling of rejection due to X-ray imaging in the oral cavity, and may minimize the damage to the cable, thereby securing economical efficiency.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tend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에 구비되는 제1 연결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에서 제1 연결 단자와 제2 연결 단자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or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3 and 4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re coupled in the or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ver portion provided in the or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text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r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하우징(11), 케이블(13), 제1 연결 단자(15), 제2 연결 단자(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may include a housing 11, a cable 13, a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and the like. have.

하우징(11)은 감지 센서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은 감지 센서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피검자의 침 등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감지 센서 외부를 감싸는 모듈 구조로 이루어지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하우징(11)은 감지 센서 외부를 감싸면서 구강 내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충격 흡수, 방수 기능 등을 가지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갖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The housing 11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sensor. That is, the housing 11 may be provided with a module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detection sensor to protect the detection sensor from external shocks an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saliva of a subject from penetrating. In particular, since the housing 11 has a structure that wraps around the outside of the senso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ral cavity,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ilicone, rubber, etc., which has a shock absorbing and waterproof function and has a harmless component to the human body.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감지 센서는 X-선 제너레이터로부터 조사되는 X-선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써,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화소 각각에 X-선을 감지함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광전변환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감지 센서는 CMOS 기판이나 TFT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not shown, the sensing sensor is capable of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by sensing X-rays emitted from the X-ray generator, and generates photoelectric signals by sensing X-rays in each pixel arranged in a matrix form. It can be made of a conversion element. Accordingly, the sensor may be a CMOS substrate or a TFT substrate.

즉,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피검자의 치열이나 치아의 상태, 잇몸 또는 치주 질환 등을 확인하기 위한 X-선 촬영시 구강 내에 위치시켜 X-선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감지 센서를 수용하는 하우징(11)이 모듈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s a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X-rays by placing them in the oral cavity when X-rays are taken to check the subject's dentition or teeth condition, gums or periodontal disease, etc. , And the housing 11 accommodating the sensing sensor may have a module structure.

케이블(13)은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X-선 감지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케이블(13)은 감지 센서에서 감지하는 X-선 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전기 신호를 영상처리용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케이블(13)은 하우징(11)에 수용되는 감지 센서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The cable 13 may be provided to transmit the X-ray detection signal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to an external device. That is, the cable 13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an X-ray signal sensed by the detection sensor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omputer for image processing. Accordingly, the cable 13 may be provided to have a structure for connecting a sensing senso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 and an external device.

제1 연결 단자(15)는 감지 센서 쪽과 연결되는 케이블(13)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ble 13 connected to the detection sensor side.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에 구비되는 제1 연결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or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에서의 제1 연결 단자(15)는 탈부착이 가능한 핀(15a) 타입의 수단자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 단자(15)는 라이트 앵글 커넥터, D-sub 등과 같은 탈부착이 가능한 핀(15a) 타입의 수단자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n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be provided to have a detachable pin 15a type means structure.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may be provided to have a means of structure of a removable pin 15a type, such as a right angle connector, D-sub, and the like.

여기서, 제1 연결 단자(15)와 제2 연결 단자(17)의 연결시 전기 신호가 전송될 수 있을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핀(15a) 타입이 아닌 점접촉 구조라도 상관이 없을 것이다.Here, when the electrical signal can be transmitted wh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are connected, it may not matter even a point contact structure other than the pin 15a type as shown in FIG. 2.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언급한 바와 같이 케이블(13)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 연결 단자(15)가 감지 센서 쪽에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1 연결 단자(15)와 연결되는 제2 연결 단자(17)는 하우징(11) 쪽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즉, 제2 연결 단자(17)는 하우징(11)을 통하여 감지 센서와 연결되도록 하우징(11) 쪽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 again, as mentione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ble 13 must be connected to the sensing sensor side,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17) should be provided on the housing (11) side.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may be provided on the housing 11 side to be connected to the sensing sensor through the housing 11.

특히, 제1 연결 단자(15)가 탈부착이 가능한 핀 타입의 수단자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 연결 단자(15)와 연결되는 제2 연결 단자(17)는 제1 연결 단자(15)의 삽입이 가능한 요홈 타입의 암단자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s made of a detachable pin-type means structure,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possible groove-type female terminal structure.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하우징(11)에 구비되는 요홈 타입의 암단자 구조를 갖는 제2 연결 단자(17)에 케이블(13)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핀 타입의 수단자 구조를 갖는 제1 연결 단자(15)를 삽입시킴에 의해 케이블(13)을 통하여 감지 센서와 외부 기기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Thus,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s a pin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ble 13 i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having a groove type female terminal structure provided in the housing 11 By insert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having a type of means structure, an electric signal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sensing sensor and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able 13.

그리고 제2 연결 단자(17)에 제1 연결 단자(15)의 삽입시 제1 연결 단자(15)가 하우징(1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요홈 타입의 암단자 구조에 핀 타입의 수단자 구조가 충분하게 삽입되도록 제1 연결 단자(15)와 제2 연결 단자(17)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the number of pin types in the female terminal structure of the groove type is prevented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does not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housing 11.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erminal structure is sufficiently inserted.

이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제2 연결 단자(17)에 제1 연결 단자(15)의 삽입시 제1 연결 단자(15)가 하우징(1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1)과 케이블(13)이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높이를 충분하게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피검자에게 가해지는 이물감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s inserted from the surface of the housing 11 wh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By not protruding, the height at the portion where the housing 11 and the cable 13 are connected can be sufficiently lowered, thereby reducing the feeling of foreign body applied to the subject.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제1 연결 단자(15)와 연결되는 케이블(13)을 평평한(flat)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be formed to have a flat structure of the cable 13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언급한 평평한 구조를 갖는 케이블(13)은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1 연결 단자(15)가 핀 타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제1 연결 단자(15)의 핀들 각각과 연결되다가 외부 기기 쪽으로는 라인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제1 연결 단자(15)로부터 외부 기기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공간 변환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able 13 having the aforementioned flat structure may be made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s made of a pin type,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an be provided to have a line structure toward an external device after being connected to each of the pins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That is,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provided to have a spatial conversion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narrows toward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이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제2 연결 단자(17)에 제1 연결 단자(15)의 삽입시 제1 연결 단자(15)가 하우징(1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케이블(13) 또한 평평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하우징(11)과 케이블(13)이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를 충분하게 낮춤으로써 하우징(11)과 케이블(13)이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높이로 인하여 피검자에게 가해지는 이물감을 충분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s inserted from the surface of the housing 11 wh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In addition to not protruding, the cable 13 is also formed to have a flat structure, thereby sufficiently lowering the height of the portion where the housing 11 and the cable 13 are connected, so that the portion between the housing 11 and the cable 13 is connected. Due to the height of Esau, the foreign body sensation applied to the subject may be sufficiently reduced.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제1 연결 단자(15)를 제2 연결 단자(17)에 꽉 끼여지게 삽입시키도록 구비함과 아울러 삽입시 발생하는 틈새 부분이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구비함으로써 X-선 촬영시 피검자의 침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2 연결 단자(17)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제1 연결 단자(15)와 제2 연결 단자(17)를 방수 처리함에 의해서도 X-선 촬영시 피검자의 침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2 연결 단자(17)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s tight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and the gap generated during insertion is waterproof. By providing so as to be made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the needle of the subject when penetrating X-rays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In addition, by waterproof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foreign substances such as needles of a subject during X-ray imaging may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제2 연결 단자(17)를 적어도 두 개를 구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는 제2 연결 단자(17)는 하우징(11)에 서로 다른 방향을 갖도록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는 제2 연결 단자(17)는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각각에 적어도 한 개씩 형성할 수 있다. 언급한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은 서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may be formed to include at least two second connection terminals 17.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provided with at least two may be provided to have different directions in the housing 11. At least on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provided with at least two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1.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s of the aforementioned housing 11 may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아울러, 제2 연결 단자(17)는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이외에도 하우징(11)의 측면 쪽에도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may be provided to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1 in addi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1.

이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제2 연결 단자(17)를 적어도 두 군데에 배치되도록 구비함으로써 제2 연결 단자(17)를 선택하여 제1 연결 단자(15)를 연결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s provided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is disposed in at least two places to select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to selec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Can be connected.

도 3 및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에서 제1 연결 단자와 제2 연결 단자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3 and 4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are coupled in the or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X-선 촬영시 하우징(11)을 길이 방향, 즉 치아가 배치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구강 내에 위치시킬 경우 하우징(11)의 폭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연결 단자(17)에 제1 연결 단자(15)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케이블(13)은 하우징(11)과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일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13)이 꺾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3,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housing (if the housing 11 is placed in the oral cavity in a lengthwise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eeth are disposed, when X-ray imaging is performe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11). Accordingly, the cable 13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aintain a straight shape, thereby preventing the cable 13 from being bent.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X-선 촬영시 하우징(11)을 폭 방향, 즉 치아가 배치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강 내에 위치시킬 경우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연결 단자(17)에 제1 연결 단자(15)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케이블(13)은 하우징(11)과 폭 방향으로 연결되어 일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13)이 꺾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4,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housing when the housing 11 is placed in the oral cavity in a width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eeth are disposed during X-ray imag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1). Accordingly, since the cable 13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1 in the width direction to maintain a straight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ble 13 from being bent.

즉,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X-선 촬영시 제2 연결 단자(17)를 선택하여 제1 연결 단자(15)를 연결함으로써 구강 내에 위치시키는 하우징(11)의 방향에 관계없이 케이블(13)이 일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13)이 꺾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housing 11 is placed in the oral cavity by selecting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and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when X-ray imaging Since the cable 13 can maintain a straight shap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ble 13 from being bent.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케이블(13)이 손상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13)로 인하여 피검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불쾌한 이물감을 충분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can not only minimize the situation in which the cable 13 is damaged, but also sufficiently reduce the unpleasant foreign body sensation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subject due to the cable 13. There will b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 연결 단자(17)를 선택하여 제1 연결 단자(15)를 연결시킬 때 제1 연결 단자(15)가 삽입되지 않는 제2 연결 단자(17)는 그대로 노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그대로 노출되는 제2 연결 단자(17)에 피검자의 침 등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여 감지 센서가 손상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when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by selecting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s not inserted is exposed as it is. Things can happen. 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such as needles of the subject may penetrate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exposed as it is, and the detection sensor may be damaged.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제1 연결 단자(15)를 연결시킬 때 제1 연결 단자(15)가 삽입되지 않는 제2 연결 단자(17)에 피검자의 침 등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Therefore, when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connect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s not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such as the needle of the subject. It is necessary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에 구비되는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ver portion provided in the or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도 5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커버부(19)를 구비하여 제2 연결 단자(17) 중에 제1 연결 단자(15)가 삽입되지 않는 나머지 제2 연결 단자(17)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X-선 촬영시 제1 연결 단자(15)가 삽입되지 않는 제2 연결 단자(17)에 커버부(19)를 삽입시킴으로써 피검자의 침 등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cover portion 19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s not inserted i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and the remaining second The connection terminal 17 may be covered. Thus, by inserting the cover portion 19 in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wher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is not inserted during X-ray imag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needles from the subject from penetrating.

커버부(19)의 경우에도 제2 연결 단자(17)의 삽입시 하우징(1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하고, 제2 연결 단자(17)에 꽉 끼여지게 삽입시키도록 구비함과 아울러 삽입시 발생하는 틈새 부분이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구비하거나 또는 커버부(19) 자체를 방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ver portion 19, when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is inserted, it is provid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housing 11, and is provided to be inserted tightly in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and inserted. The gap portion generated at the time may be provided to be waterproof, or the cover portion 19 itself may be provided to be waterproof.

이에, 커버부(19)로 인하여 피검자에게 가해지는 이물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고, X-선 촬영시 피검자의 침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2 연결 단자(17)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oreign object feeling applied to the subject due to the cover part 19 in advance, and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the needle of the subject from penetrating in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during X-ray imaging. will be.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100)는 하우징(11)과 케이블(13)이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를 충분하게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피검자에게 가해지는 이물감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고, X-선 촬영시 제2 연결 단자(17)를 선택하여 제1 연결 단자(15)를 연결함으로써 구강 내에 위치시키는 하우징(11)의 방향에 관계없이 케이블(13)이 일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13)이 꺾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어 케이블(13)이 손상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13)로 인한 불쾌한 이물감을 충분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Since the oral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can sufficiently lower the height of the portion where the housing 11 and the cable 13 are connected, it may reduce foreign body sensation applied to the subject, X- By taking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17 and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15 when taking a line, the cable 13 can maintain the straight shap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11 placed in the oral cavity. 13)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cable is bent, so that the situation in which the cable 13 is damaged can be minimized, and the unpleasant foreign feeling caused by the cable 13 may be sufficiently reduced.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센싱 장치는 치열이나 치아의 상태, 잇몸 또는 치주 질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써, 치과 진료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oral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a dental treatment site by confirming a dentition or a tooth, a gum or periodontal diseas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1 : 하우징 13 : 케이블
15 : 제1 연결 단자 17 : 제2 연결 단자
19 : 커버부 100 : 구강 센싱 장치
11: Housing 13: Cable
15: first connection terminal 17: second connection terminal
19: cover 100: oral sensing device

Claims (7)

구강 내 X-선 촬영시 상기 구강 내에 위치하여 상기 X-선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와 외부 기기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구강 센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감지 센서 쪽과 연결되는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는 탈부착 가능한 핀 타입의 수단자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는 제1 연결 단자; 및
상기 하우징을 통하여 상기 감지 센서와 연결되게 상기 제1 연결 단자가 삽입되는 요홈 타입의 암단자 구조를 갖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센싱 장치.
In the oral cavity X-ray imaging in the oral cavity sensing device including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X-ray located in the oral cavity, and a cable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sensor and the external device,
A housing accommodating the detection sensor;
A first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one end of the cable connected to the detection sensor to have a detachable pin-type means structure; And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housing so as to have a female terminal structure of a groove typ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insert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nsor through the hou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평평한(flat) 구조를 갖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센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able is an oral s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flat (flat) structur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 연결 단자로부터 외부 기기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공간 변환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센싱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an oral s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pace conversion structure that narrows the width toward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센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the oral s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in different direction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및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 각각에 적어도 한 개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센싱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the oral s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least one in eac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폭 방향은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센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Oral s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is vertic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단자 중에 상기 제1 연결 단자가 삽입되지 않는 나머지 제2 연결 단자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센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al sens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cover portion that can cover the remaining second connection terminal is not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KR1020180108652A 2018-09-12 2018-09-12 Intraoral Sensing Apparatus KR202000301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52A KR20200030175A (en) 2018-09-12 2018-09-12 Intraoral Sen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52A KR20200030175A (en) 2018-09-12 2018-09-12 Intraoral Sens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175A true KR20200030175A (en) 2020-03-20

Family

ID=6995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652A KR20200030175A (en) 2018-09-12 2018-09-12 Intraoral Sen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01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146B1 (en) Intra-oral sensor, cradle, and intra-oral sensing system
CN105592773B (en) Photographing module and endoscope apparatus
US6652141B1 (en) Intraoral sensor
JPH10277028A (en) Dental x-ray image detector and adapter therefor
JP5606534B2 (en) Auxiliary parts for medical devices with additional functions
EP3050491B1 (en) Endoscope device
US9357972B2 (en) Intraoral radiographic sensors with cables having increased user comfort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617285B2 (en) Imaging module with multi-layer substrate and endoscope apparatus
FI20000521A0 (en) Digital camera,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digital imaging
KR101695404B1 (en) Intraoral detector with liquid proof
EP3231351A1 (en) Imaging unit, endoscope, and method for producing imaging unit
CN106999002B (en) Endoscope
KR20200030175A (en) Intraoral Sensing Apparatus
SE9501332L (en) Device at CCD cell
KR102157251B1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90032855A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02286848A (en) Radiographic image pickup device
KR20150110881A (en) Intra-Oral X-ray Sensor Device
JP2007301368A (en) Catheter input device
JP2016131709A (en) Electronic endoscope apparatus
KR20200026477A (en) Intraoral Sensing Apparatus
WO2016200217A1 (en) Oral x-ray sensor having waterproof functionality
KR200396824Y1 (en) Readout box of x-ray photographing device having connector cover
KR102194030B1 (en) Intraoral sensor and X-ray ima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TW200908925A (en) Endoscop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