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967A -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967A
KR20200029967A KR1020190002335A KR20190002335A KR20200029967A KR 20200029967 A KR20200029967 A KR 20200029967A KR 1020190002335 A KR1020190002335 A KR 1020190002335A KR 20190002335 A KR20190002335 A KR 20190002335A KR 20200029967 A KR20200029967 A KR 20200029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extract
control group
rpm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상
백현숙
이주환
Original Assignee
(주)주환바이오.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환바이오.셀 filed Critical (주)주환바이오.셀
Priority to KR1020190002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9967A/ko
Publication of KR20200029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포도추출물, 녹차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도라지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아질 재광화 및 상아세관 폐쇄 효과가 뛰어나며, 입에 투입 후 녹으면서 거품을 발생하여 잇솔질이 따로 필요하지 않고, 세정효과가 우수하며, 항염, 항균, 충치예방, 구취제거, 스켈링 효과가 있는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Foaming solid formulation for mouthwash and pre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포도추출물, 녹차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도라지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에 관한 것이다.
치약은 세치제 (dentifrice)라고도 하며 칫솔질 시 구강 내 치아표면을 세정하기 위해 칫솔과 병용하여 사용하는 세제로, 의약외품에 해당한다. 치약 사용의 기본 목적은 치아표면에 부착된 세균성 치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며, 더불어 치아우식, 치주질환 예방, 미백효과, 지각과민증 둔화, 구취억제 등 추가적인 목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치약의 주요성분으로는 마모제, 물, 습제, 세제, 결합제, 향미제, 감미제, 예방적 치료제, 색소 및 보존제가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 예방적 치료제로 살균성, 항균성, 중화성, 항효소성의 약리효과에 의해 치아우식 발생 억제 및 치주질환 예방 기능을 갖는 약물 또는 화학물질 등의 유효성분을 선택적으로 첨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치약은 페이스트, 분말, 젤, 점액 및 액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중 페이스트상은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으나 연마제 성분에 의해 치아 에나멜층의 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사용시 짜내기 불편하며 폐기되는 용기에 잔량의 치약이 남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분말상은 사용중 입자가 분사되거나 비산되어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며, 젤상은 높은 점성에 의해 퍼짐성이 낮고 구강내에서 쉽게 분산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액상은 낮은 점도로 인해 쉽게 흘러내리며 세정성분의 부족으로 충분한 세정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이에 따라 최근 특정 용도 및 대상자별 적합한 처방을 위해 다양한 제형의 세치제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또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여러 성분을 재배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 10-2012-0079537호에는 시트형 치약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10-2015-0051296호에는 구슬형태의 발포형 치약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10-2004-0008953호에는 알약형태의 치약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개발된 치약들은 일반적인 세치제의 제형을 벗어나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는 있으나, 종래 치약에서 단순히 제형만 변형되거나 세정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여전히 잇솔질을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이 편리하며 효능이 향상된 세치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한 천연 추출물로 알려져있는 레스베라트롤 (resvertrol)은 땅콩, 포도추출물의 식물 등에 함유된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식물이 자외선 및 병원균 등 외부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때 자기방어를 위해 발산하는 피토알렉신 (phytoalexin) 화합물 (생체방어물질) 중 하나이다. 또한 녹차추출물로 알려진 카테킨 (catechin)은 플라보노이드 그룹의 flavan-3-ols에 속하며 폴리페놀의 일종이다. 이는 발암억제, 동맥경화, 항바이러스, 항비만, 항당뇨, 항균, 해독 및 소염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치아우식 예방과 구취예방 효과를 지니고 있다. 바이칼린 (baicalin)은 꿀풀과 뿌리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의 하나로서 항염증 및 항산화 등의 효능을 가져 다양한 형태로 생체에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해한 합성화학물질을 배제하고 천연물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를 개발하였다.
KR 10-1448283 B1 KR 10-2005-0086796 A KR 10-1056573 B1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포도추출물, 녹차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도라지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잇솔질이 필요 없으며, 구취제거, 치은염 및 치면세균막 예방 효능을 갖는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에 있어서, 포도추출물, 녹차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도라지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를 제공한다.
상기 포도추출물은 레스베라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녹차추출물은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황금추출물은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도라지추출물은 길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는 발포제로서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하며,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제제화제, 연마제, 붕해제, 활택제, 감미제 및 향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도추출물, 상기 녹차추출물, 상기 황금추출물 및 상기 도라지추출물은 중량 대비 1:7:2:4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포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제화제가 결정셀룰로오스, 상기 연마제가 탄산칼슘, 상기 붕해제가 유당 및 전분, 상기 활택제가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포함하며, 상기 pH 조절제는 DL-사과산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L-Lysin 및 올리브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는 구강 투입 후 30초 이내에 발포되며, 상아질 재광화 및 상아세관 폐쇄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포도추출물, 녹차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도라지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제제화제, 연마제, 붕해제, 활택제, 감미제 및 향료를 온도 22℃ 이하, 습도 40% 이하의 조건에서 30 rpm 이하의 속도로 15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온도 25℃ 이하, 습도 60% 이하의 조건에서 밀봉상태로 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온도 20℃ 이하, 습도 40% 이하의 조건에서 압력 2,000 ㎏/㎠, 속도 30 rpm으로 타정하는 단계; 상기 타정된 혼합물을 온도 25℃ 이하, 습도 60% 이하의 조건에서 밀봉상태로 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열교환기 압력 0.2 Mpsi, 에어 콤프레서 압력 4 내지 6 bar, Gun 분사 압력 5 bar의 조건에서 1.5 rpm으로 90분, 2.5 rpm으로 60분간 1차 코팅한 후 3.5 rpm으로 60분, 4.5 rpm으로 30분간 2차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혼합물을 온도 25℃ 이하, 습도 60% 이하의 조건에서 밀봉상태로 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는 신규한 고형제 타입으로, 휴대가 편리하고, 가정에서는 물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외출시 물이나 칫솔 없이도 간편하고 손쉽게 구강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풍부한 거품이 빠르게 침투하여 구석구석 세정이 가능하고, 치아보호 및 세정효과가 종래 기술보다 빠르며, 사이즈별 연마제로 인해 잇몸을 보호해 치아가 손상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이가 시리고 치아나 잇몸이 약한 사람들에게 효과적이며, 양치 후 잔여물이 남지 않아 개운하다. 또한 상아질 재광화 및 상아세관 폐쇄 효과가 우수하고, 구강내 항염, 항균작용 기능이 있으며, 충치예방, 구취제거, 스켈링 효과가 있다.
도 1은 유두변연부착치은염지수 변화 그래프이다.
도 2는 Talbott's 치은염지수 변화 그래프이다.
도 3은 치면세균막관리능력지수 변화 그래프이다.
도 4는 치면세균막 평점기준 변화 그래프이다.
도 5는 구취측정기로 측정한 구취 변화 그래프이다.
도 6은 관능평가 변화 그래프이다.
도 7은 상아질 인공우식병소의 재광화를 시험한 SEM 이미지이다.
도 8은 인공 상아세관 폐쇄효과를 시험한 SEM 이미지이다.
도 9는 황화수소 농도에 따른 구취제거효과를 시험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메틸머캅탄 농도에 따른 구취제거효과를 시험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는 포도추출물, 녹차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도라지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포도추출물은 레스베라트롤을, 상기 녹차추출물은 카테킨을, 상기 황금추출물은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도라지추출물은 길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스베라트롤 (resveratrol)은 땅콩, 포도, 소나무, 적포도주 등 70여 종이 넘는 식물에서 발견되는 폴리페놀계 물질로서, 하기에 나타낸 구조와 같이 시스-레스베라트롤과 트랜스-레스베라트롤의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레스베라트롤은 1970년대에 식물체에서 식물이 박테리아나 곰팡이에 감염됐을 때 이들을 퇴치하기 위해 만들어내는 항생물질인 파이토알렉신 (phytoalexin)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1997년 라스베라트롤의 항암효과가 보고되었고, 2003년에는 효모에서 장수유전자 SIRT1을 활성화시킨다는 사실이 발표되었다. 또한, 영국 런던 임피어 리얼 대학의 루이스 도엘리 박사에 의해 레스베라트롤이 폭넓은 염증 억제 효능이 있어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관절염치료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며, 미국 미주리 대학의 발표에 따르면, 레스베라트롤은 비타민이나 미네랄보다 수십, 수백 배의 뛰어난 항산화 작용을 하고, 더불어 캐나다 퀘발시라발 대학의 파티아찬다드 박사팀에 의해 잇몸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발표되었다. 상기와 같이 레스베라트롤은 항염, 항산화, 잇몸질환예방 등의 생리활성 효능이 보고됨에 따라 구강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카테킨 (catechin)은 녹차에 들어있는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주요 카테킨으로는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 EGC (epigallocatechin), ECG (epicatechin gallate), EC (epicatechin) 등이 있으며, 특히 녹차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의 40%를 차지하는 EGCG는 생리활성이 가장 강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카테킨은 구강세균에 대한 살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 40, No. 4, 2004:364-366), 차에서 추출한 카테킨의 항산화효과 및 항균활성효과가 발표되었다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 10, 2007:114-114). 또한, 치석 생성 원인물질의 활성을 억제하고, 항산화효과를 통해 치조골 소실 예방 및 손상된 잇몸 치유에 기여하며, 더불어 항암, 구취제거, 치아변색방지 등 다양한 생리활성 및 약리학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기에 카테킨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바이칼린 (baicalin)은 꿀풀과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의 한 종류로서, 보고된 주요 생리활성은 항균 및 항염활성이며, 이외에도 항바이러스, 항산화, 항암작용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 예로, 황금추출물이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항균활성 및 부착억제 효과가 있음이 발표되었으며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ol. 8, No. 4, 2008:367-373), 이에 따라 바이칼린의 생리활성효능을 치주질환 예방 및 구강케어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길경 (Platycodonis Radix)은 도라지의 뿌리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으로, 풍부한 섬유질과 철분, 칼슘을 비롯하여 단백질, 당질, 지질, 무기질, 비타민과 사포닌 등의 다양한 유효성분이 있는 우수한 알칼리성 식품이다. 길경은 triterpenoid saponin과 phytosterol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triterpenoid saponin은 항염효과가 있다. 한방에서는 폐에 작용하여 해수와 가래가 많고 호흡이 불편한 증상을 치료하며, 인후통, 감기로 인한 기침, 가래, 코막힘, 천식, 기관지염증, 흉막염, 두통, 오한, 편도선염 등에 사용한다. 또한 약리작용으로 거담작용, 혈당강하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개선균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상기 포도추출물, 상기 녹차추출물, 상기 황금추출물 및 상기 도라지추출물은 중량 대비 1:7:2: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는 거품 발생을 위해 발포제로서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발포제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부드러운 연마력을 지니며, 구강내 세균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수하고, 플라크에 의해 생성되는 유기산을 중화시킴으로써 충치예방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형제는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제제화제, 연마제, 붕해제, 활택제, 감미제 및 향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L-Lysin 및 올리브오일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pH 조절제는 DL-사과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제화제는 발포제, 연마제 등을 결합시키는 역할 및 고형으로의 제조를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결정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마제는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크 및 음식물 제거 등 세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치아의 법랑질을 손상하지 않아야 하며,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상기 붕해제는 유당 및 전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택제는 타정 과정에서 타정기의 펀치에 이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미제는 고형제가 갖는 기본적인 맛을 극복하기 위해 첨가되며, L-멘톨, D-소르비톨, 자일리톨 또는 효소처리스테비아일 수 있다.
상기 향료는 향을 보강, 변형 또는 억제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다.
상기 고형제는 구강 투입 후 30초 이내에 발포되며, 상아질 재광화 및 상아세관 폐쇄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포도추출물, 녹차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도라지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제제화제, 연마제, 붕해제, 활택제, 감미제 및 향료를 온도 22℃ 이하, 습도 40% 이하의 조건에서 30 rpm 이하의 속도로 15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온도 25℃ 이하, 습도 60% 이하의 조건에서 밀봉상태로 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온도 20℃ 이하, 습도 40% 이하의 조건에서 압력 2,000 ㎏/㎠, 속도 30 rpm으로 타정하는 단계; 상기 타정된 혼합물을 온도 25℃ 이하, 습도 60% 이하의 조건에서 밀봉상태로 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열교환기 압력 0.2 Mpsi, 에어 콤프레서 압력 4 내지 6 bar, Gun 분사 압력 5 bar의 조건에서 1.5 rpm으로 90분, 2.5 rpm으로 60분간 1차 코팅한 후 3.5 rpm으로 60분, 4.5 rpm으로 30분간 2차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혼합물을 온도 25℃ 이하, 습도 60% 이하의 조건에서 밀봉상태로 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따른 성분을 리본믹서 (Ribbon mixer, V-Mixer)를 이용하여 온도 22℃ 이하, 습도 40% 이하의 조건에서 30 rpm 이하의 속도로 15분 동안 혼합한 후 온도 25℃ 이하, 습도 60% 이하의 조건에서 밀봉상태로 8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상기 숙성된 원료를 온도 20℃ 이하, 습도 40% 이하의 조건에서 타정기를 이용하여 압력 2,000 ㎏/㎠, 속도 30 rpm으로 타정한 후 온도 25℃ 이하, 습도 60% 이하의 조건에서 밀봉상태로 8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그 후 상기 숙성된 원료를 코팅기를 이용하여 열교환기 압력 0.2 Mpsi, 메인 에어콤프레서 압력 4 내지 6 bar, Gun 분사 압력 5 bar의 조건으로 1차 코팅하였으며, 이때 배기온도는 35~38℃이고, 1.5 rpm으로 90분, 2.5 rpm으로 60분 동안 수행하였다. 그 후 1차 코팅과 동일한 조건으로 2차 코팅하였으며, 이때 배기온도는 45~48℃이고, 3.5 rpm으로 60분, 4.5 rpm으로 30분 동안 수행하였다. 이후 온도 25℃ 이하, 습도 60% 이하의 조건에서 밀봉상태로 8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성분명 (주요 성분명) 중량부 무게 (㎎)
주요 성분 녹차추출물 (카테킨) 0.35 2.8
포도추출물 (레스베라트롤) 0.05 0.4
황금추출물 (바이칼린) 0.1 0.8
도라지추출물 (길경) 0.2 1.6
감미제 자일리톨 27.48 219.84
L-멘톨 0.8 6.4
D-소르비톨 14.1 112.8
효소처리스테비아 1.44 11.52
계면활성제 올리브오일 3.3 26.4
L-Lysin 1.92 15.36
pH 조절제 DL-사과산 13.1 104.8
제형용 첨가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48 3.84
탄산칼슘 0.08 0.64
탄산수소나트륨 20 160
결정셀룰로오스 4.8 38.4
유당 6 48
전분 5 40
향료 민트향분말 0.8 6.4
비교예 1 (비교세치제)
상기 실시예에서 주요 성분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표준세치제)
Dental type silica를 주성분으로 하여 통상적인 세치제의 성분만으로 구성된 비교예 2 (표준세치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대조세치제)
습윤제, 기포제 및 향 등의 기본적인 성분만 첨가하여 표준양치용액인 비교예 3 (대조세치제)을 제조하였다.
시험대상자 선정 및 시험방법
경-중등도의 치은염 증상을 가진 만 20세 이상, 50세 이하의 성인 남녀 120명을 시험대상자로 선정하고, 상기 시험대상자는 1주간의 시험전단계 (run-in period) 후, 각각 30명씩 시험군, 비교군,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의 4개 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1주, 2주, 4주 간격으로 시험예 1 내지 4 검사를 실시하였다.
동일한 치약으로 구강환경을 조성하도록 하기 위해 4군 모두 매일 아침식사 후와 저녁식사 후 3분 동안 비교예 2를 사용하여 회전법을 이용한 칫솔질을 시행하도록 하였다. 시험군은 점심식사 후에 실시예를, 비교군은 점심식사 후에 비교예 1을, 양성대조군은 점심식사 후에 비교예 3을 이용하여 세정하도록 하였으며, 음성대조군은 아침식사 후 및 저녁식사 후 외에는 추가적인 세정이 없도록 하였다.
이때, 실시예 및 비교예 1은 정제 1정을 입안에 넣고 저작하여 분쇄한 것을 혀와 입술을 이용하여 잇몸, 치아, 혀를 마찰세정 및 가글하여 뱉어내도록 하였으며, 이외에 별도의 칫솔질을 하지 않도록 하였다. 비교예 3은 점심식사 후 적량 (10 cc)을 1분 정도 입안에 머금고, 뱉어내는 방법으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하기 표 2에 전체 시험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분포를 나타내었다.
총 연령층 20대 30대 40대
총 성별 120 71 29 20
남성 33 14 14 5
여성 87 57 15 15
시험예 1. 치은염지수 평가
1) 유두변연부착치은염지수 (Papillary Marginal Attached Gingival index, PMA index)
상하악전치부치은을 대상으로 유두변연부착치은염지수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시험전인 0주차 PMA지수는 시험군 11.27, 비교군 11.30, 음성대조군 11.33, 양성대조군 11.30으로 4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0.05), 1주 후 PMA지수는 시험군 11.03, 비교군 11.07, 음성대조군 11.67, 양성대조군 11.10으로 조사되었고, 2주 후 PMA지수는 시험군 10.93, 비교군 10.80, 음성대조군 11.63, 양성대조군 10.80으로 조사되어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반면, 4주 후 PMA지수는 시험군 10.20, 비교군 11.07, 음성대조군 11.90, 양성대조군 10.20으로 조사되어 시험군과 양성대조군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PMA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p<0.05), 시험군과 양성대조군의 PMA지수는 시험전에 비해 4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p<0.05).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통상적인 구강양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슷한 정도의 치은염완화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0주차 1주차 2주차 4주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시험군 11.27 2.95 11.03 2.89 10.93 2.42 10.20 2.30
비교군 11.30 2.59 11.07 2.86 10.80 2.01 11.07 2.21
음성대조군 11.33 2.88 11.67 2.95 11.63 2.39 11.90 2.26
양성대조군 11.30 2.63 11.10 2.81 10.80 1.95 10.20 2.27
p-value 1.000 0.805 0.401 0.011
2) Talbott, Mandel and Chilton의 치은염지수 (Gingival Index, GI)
치은염지수는 Talbott, Mandel and Chilton이 변형한 L
Figure pat00004
e의 치은염 평점 기준에 따라서,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협설측 치은염을 각각 근심, 원심, 중앙 치은염으로 구분하여 6개 부위를 측정하고, 6개 부위의 측정값을 산술평균으로 구하였다. 개인의 치은염지수는 각 부위별 측정치의 합계를 검사대상치아수로 나누어 구하였으며, 이때 검사대상치아는 총 6개인 #16, #11, #26, #46, #31, #36번 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L
Figure pat00005
e의 부위별 치은염 평점 기준은 하기와 같으며, 결과값을 하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L
Figure pat00006
e의 부위별 치은염 평점 기준]
0: 염증 없음
1: 경미 치은염 (색조에 약한 변화 및 약한 부종)-치주낭심측정시 출혈 없음
2: 중등 치은염 (발적, 부종)-치주낭심측정시 출혈
3: 고도 치은염 (궤양)- 저절로 출혈되는 경향
시험전의 Talbott's 치은염지수는 시험군 1.33, 비교군 1.33, 음성대조군 1.36, 양성대조군 1.35로 4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1주 후 측정치는 시험군 1.31, 비교군 1.35, 음성대조군 1.37, 양성대조군 1.31로 조사되어 4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주 후 측정치는 시험군 1.24, 비교군 1.33, 음성대조군 1.41, 양성대조군 1.22로 조사되었고, 4주후 측정치는 시험군 1.19, 비교군 1.26, 음성대조군 1.44, 양성대조군 1.12로 조사되어, 2주 후와 4주 후에 시험군과 양성대조군의 치은염지수가 시험전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p<0.05). 또한 음성대조군은 4주 후 시험 전에 비하여 유의한 수준으로 치은염지수가 높아졌다 (p<0.05). 기간별 군 간의 차이는 시험전과 1주 후에는 4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0.05), 2주 후 시험군과 양성대조군이 비교군과 음성대조군에 비해 치은염지수가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p<0.05), 비교군도 음성대조군보다 치은염지수가 유의하게 낮아졌다 (p<0.05). 한편, 4주 후에는 양성대조군의 치은염지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험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아니었고, 비교군과 음성대조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0주차 1주차 2주차 4주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시험군 1.33 0.19 1.31 0.16 1.24 0.13 1.19 0.13
비교균 1.33 0.17 1.35 0.15 1.33 0.11 1.26 0.12
음성대조군 1.36 0.15 1.37 0.10 1.41 0.09 1.44 0.10
양성대조군 1.35 0.16 1.31 0.16 1.22 0.13 1.12 0.11
p-value 0.814 0.334 0.000 0.000
시험예 2. 치면세균막 평가
1) 치면세균막관리능력지수 (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PHP index)
치면세균막 부착정도를 치면세균막관리능력지수로 평가하였으며, 검사대상치아는 #16, #11, #26, #46, #31, #36번 치아이다.
하기 표 5 및 도 3과 같이, 시험전의 PHP지수는 시험군 2.23, 비교군 2.16, 음성대조군 2.16, 양성대조군 2.21이었으며, 1주 후 PHP지수는 시험군 2.18, 비교군 2.07, 음성대조군 2.21, 양성대조군 2.06, 2주 후 PHP지수는 시험군 2.07, 비교군 2.15, 음성대조군 2.21, 양성대조군 2.09, 4주 후 PHP지수는 시험군 2.04, 비교군 2.09, 음성대조군 2.35, 양성대조군 2.08로 조사되었다. 시험전, 1주 후, 2주 후 모두 4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p>0.05), 4주 후 시험군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PHP지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강세정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치면세균막 형성 억제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0주차 1주차 2주차 4주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시험군 2.23 0.39 2.18 0.36 2.07 0.32 2.04 0.37
비교군 2.16 0.49 2.07 0.45 2.15 0.35 2.09 0.43
음성대조군 2.16 0.37 2.21 0.30 2.21 0.36 2.35 0.35
양성대조군 2.21 0.41 2.06 0.44 2.09 0.34 2.08 0.41
p-value 0.833 0.376 0.424 0.011
2) 치면세균막 평점기준 (Plaque index)
Turesky가 변형한 Quigley와 Hein의 치면세균막 평점기준을 이용하여 치면세균막 부착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검사대상치아는 #15, #13, #26, #44, #32, #36번 치아이다.
하기 표 6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Turesky의 치면세균막지수는 시험전 시험군 2.58, 비교군 2.60, 음성대조군 2.55, 양성대조군 2.58, 1주 후 시험군 2.53, 비교군 2.53, 음성대조군 2.56, 양성대조군 2.51, 2주 후 시험군 2.55, 비교군 2.47, 음성대조군 2.57, 양성대조군 2.49, 4주 후 시험군 2.44, 비교군 2.47, 음성대조군 2.67, 양성대조군 2.45로 조사되었다. 시험 전, 1주 후, 2 주후 모두 4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p>0.05), 4주 후에는 시험군과 양성대조군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치면세균막지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0주차 1주차 2주차 4주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시험군 2.58 0.38 2.53 0.32 2.55 0.31 2.44 0.27
비교군 2.60 0.36 2.53 0.29 2.47 0.29 2.47 0.30
음성대조군 2.55 0.35 2.56 0.28 2.57 0.22 2.67 0.26
양성대조군 2.58 0.38 2.51 0.29 2.49 0.30 2.45 0.30
p-value 0.959 0.911 0.503 0.004
시험예 3. 구취 평가
1) 구취측정기
구취측정기 BB Checker (Plustech,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구취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측정값을 하기 표 7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시험전 시험군 81.4, 비교군 82.3, 음성대조군 82.3, 양성대조군 81.3, 1주 후 시험군 78.7, 비교군 81.5, 음성대조군 83.8, 양성대조군 77.4, 2주 후 시험군 77.2, 비교군 82.2, 음성대조군 84.3, 양성대조군 76.7이었으며, 4주 후 시험군 73.6, 비교군 78.5, 음성대조군 87.3, 양성대조군 72.8로 조사되었다. 시험전, 1주 후, 2주 후 모두 4군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p>0.05), 4주 후에는 시험군과 양성대조군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구취 정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시간에 따른 차이에서도 시험군과 양성대조군의 구취 정도가 시험전에 비해 4주 후 유의하게 낮은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p<0.05).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통상적인 구강양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슷한 정도의 구취감소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0주차 1주차 2주차 4주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실시예 81.4 11.7 78.7 16.3 77.2 14.9 73.6 14.1
비교예 1 82.3 12.9 81.5 12.7 82.2 10.8 78.5 13.0
비교예 2 82.3 14.1 83.8 14.9 84.3 9.3 87.3 14.3
비교예 3 81.3 12.4 77.4 12.4 76.7 11.5 72.8 13.3
p-value 0.984 0.309 0.034 0.000
2) Visual analogue scale 검사
Visual analogue scale을 이용하여 관능검사를 통한 구취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8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시험군의 구취 정도가 시험전 4.63에서 4주 후 4.27로 낮았으며, 비교군에 비해 낮은 값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0주차 1주차 2주차 4주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시험군 4.63 0.67 4.47 0.78 4.53 0.73 4.27 0.83
비교군 4.67 0.66 4.57 0.57 4.50 0.68 4.30 0.79
음성대조군 4.60 0.67 4.50 0.63 4.73 0.78 4.60 0.56
양성대조군 4.53 0.68 4.60 0.50 4.37 0.67 4.37 0.76
p-value 0.885 0.838 0.266 0.305
시험예 4. 안정성 평가
안정성 평가를 위해 해당 세치제 사용 이후 발생한 이상반응을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2주 및 4주 후에 시험자의 이상반응 유무를 확인하도록 하였으며, 발견된 모든 이상반응에 대한 추적 관찰은 해당 이상반응이 사라지거나, 안정화되거나 혹은 그 상황이 설명 가능한 시점이 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시험자에 의하여 인체적용시험용 제품과 이상반응의 관련성이 ‘관련 있을 가능성 있음 (Possibly related)’, ‘관련 있다고 생각됨 (Probably related)’, ‘명확히 관련 있음 (Definitely related)’, ‘불명 (Unknown)’으로 판단된 이상반응에 대해서는 인체적용시험용 제품과 관련성이 있는 이상반응으로 평가하여 상세한 정보를 별도로 제시하였다. 평가 결과, 전 시험기간 중 시험자에게서 이상반응은 발견되지 않았다.
시험예 5. 상아질 인공우식병소 재광화 평가
상아질은 법랑질 밑의 층을 의미하며, 무기질 70%, 유기질 20%, 수분 10%로 이루어져 있다. 상아질이 노출되면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해 치아의 민감성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의 모든 자극을 그대로 치수내 신경으로 전달하여 똑같은 자극에 대해서도 더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이는 통증을 유발하거나 지각과민증과 같이 이가 시리고 시큰거리는 증상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탈회된 상아질의 재광화는 치근 우식 예방과 과민치아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치아 병소에 실시예를 테스트한 후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통해 상아질 인공우식병소의 표면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관찰 결과, 도 7(a)에 나타낸 대조군에서는 상아질 표면 형태가 불규칙하며 외형이 붕괴되어 있는 탈회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가 처리된 인공우식병소의 상아질 표면인 도 7(b)는 상아질의 우식병소가 사라지고 재광화로 인해 손실된 치아 표면이 다시 석회화되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상아질 미세경도 측정 결과, 상아질 표면 미세경도가 140.26 HV(㎏/㎜2)로 증가하여 상아질 보호를 위한 단단한 외형을 갖는 석회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아질의 탈회된 공극으로 침투하여 재광화에 우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인공 상아세관 폐쇄효과 및 미백효과 평가
상아세관은 치아우식이 있거나 노출된 경우 세균의 침투 경로가 될 수 있으며, 상아세관이 노출된 상태에서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열자극 등이 가해지면 상아세관 내에 있는 액체가 매우 빠른 속도로 안팎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아세액이 이동하면서 생기는 압력이 치수 내에 있는 세포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로 인해 세포가 늘어나거나 압축되면서 세포에 접촉하고 있는 신경이 이 변화를 감지하여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에 따라 노출된 상아세관을 폐쇄하여 잇몸질환 및 충치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고 근면우식 및 지각과민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아세관 폐쇄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인공 상아세관에 실시예를 테스트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표면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대조군인 도 8(a)는 상아세관이 노출되어 있는 반면, 실시예가 처리된 인공 상아세관은 상아세관 안쪽까지 침착이 발생하여 상아세관의 직경이 작게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71.6%의 폐쇄율을 보여 상아세관의 폐쇄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를 처리한 후 색 측정시 측정값이 30.73 증가하여 미백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7. 구취제거효과 평가
구취의 원인은 주로 휘발성 황 화합물이며, 주요 성분은 황화수소 (hydrogen sulfide, H2S)와 메틸머캅탄 (methyl mercaptan, CH3SH)이다. 이에 따라 구강내 황화수소 및 메틸머캅탄의 농도를 측정하여 구취제거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취는 기상 후, 세정 직후, 세정 30분 후, 세정 1시간 후로 총 4번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상기 비교예 1을 사용하였고, 비교예로는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가그린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황화수소의 농도 측정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입 안을 세정하였을 때 황화수소의 농도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비교예 사용 직후 농도는 393 ppb인 반면, 실시예 사용 직후 농도는 279 ppb로 나타나 실시예를 사용하였을 때 구취제거율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1시간 경과 후에도 비교예는 346 ppb인 것에 비해 실시예는 174 ppb의 수치가 나타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취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틸머캅탄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할 시 월등히 낮아진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실시예 사용 직후 메틸머캅탄의 농도는 112 ppb인 반면 비교예 사용 직후는 169 ppb로 나타나 실시예 사용시 구취제거율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낮은 농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통해 구취제거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포도추출물, 녹차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도라지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제제화제, 연마제, 붕해제, 활택제, 감미제 및 향료를 온도 22℃ 이하, 습도 40% 이하의 조건에서 30 rpm 이하의 속도로 15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온도 25℃ 이하, 습도 60% 이하의 조건에서 밀봉상태로 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온도 20℃ 이하, 습도 40% 이하의 조건에서 압력 2,000 ㎏/㎠, 속도 30 rpm으로 타정하는 단계;
    상기 타정된 혼합물을 온도 25℃ 이하, 습도 60% 이하의 조건에서 밀봉상태로 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열교환기 압력 0.2 Mpsi, 에어 콤프레서 압력 4 내지 6 bar, Gun 분사 압력 5 bar의 조건에서 1.5 rpm으로 90분, 2.5 rpm으로 60분간 1차 코팅한 후 3.5 rpm으로 60분, 4.5 rpm으로 30분간 2차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혼합물을 온도 25℃ 이하, 습도 60% 이하의 조건에서 밀봉상태로 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의 제조방법
KR1020190002335A 2019-01-08 2019-01-08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29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35A KR20200029967A (ko) 2019-01-08 2019-01-08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335A KR20200029967A (ko) 2019-01-08 2019-01-08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147A Division KR101985771B1 (ko) 2018-09-11 2018-09-11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967A true KR20200029967A (ko) 2020-03-19

Family

ID=6995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335A KR20200029967A (ko) 2019-01-08 2019-01-08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996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796A (ko) 2002-11-26 2005-08-30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씹을 수 있는 고형 단위 투여 형태 및 치아의 교합 표면내로의 활성제의 전달 방법
KR101056573B1 (ko) 2003-12-24 2011-08-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비수 발포성 치약 조성물
KR101448283B1 (ko) 2012-03-22 2014-10-13 (주)한일제약 거품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796A (ko) 2002-11-26 2005-08-30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씹을 수 있는 고형 단위 투여 형태 및 치아의 교합 표면내로의 활성제의 전달 방법
KR101056573B1 (ko) 2003-12-24 2011-08-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비수 발포성 치약 조성물
KR101448283B1 (ko) 2012-03-22 2014-10-13 (주)한일제약 거품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46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23588B1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812316B (zh) 一种含有多种中药组合物的牙膏和制备方法及其应用
MX2007002561A (es) Composicion que comprende aceites esenciales para el cuidado bucal.
TW201141502A (en)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s of zingiber officinale and related methods
KR101481371B1 (ko)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55561A (ko) 잇몸질환 예방 및 개선용 치약 조성물
WO2020054996A1 (ko)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924106A (zh) 一种用于抑制牙菌斑和减轻牙龈炎症的牙膏
CN107811890A (zh) 一种口腔养护牙膏组合物
CN104288466B (zh) 一种医用生物氟防龋敷料及其制备方法
KR101251161B1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시린이 예방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4044996A1 (en) Oral care composition
KR20110067358A (ko)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RU2312657C2 (ru) Ополаскиватель для полости рта
RU2306922C2 (ru) Применение отваров трав в качестве водной среды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ой пасты и композиция зубной пасты
KR20200029967A (ko) 구강세정용 발포성 고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137928A (zh) 一种多重功效牙膏及其制备方法
KR20040054317A (ko) 식물성 연마제를 함유하는 구강위생 조성물
KR20170142740A (ko)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726402B (zh) 龙须藤提取物在制备口腔护理品中的应用
CN108354872A (zh) 一种中药牙膏及其制备方法
KR102622954B1 (ko)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