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686A -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686A
KR20200027686A KR1020180105795A KR20180105795A KR20200027686A KR 20200027686 A KR20200027686 A KR 20200027686A KR 1020180105795 A KR1020180105795 A KR 1020180105795A KR 20180105795 A KR20180105795 A KR 20180105795A KR 20200027686 A KR20200027686 A KR 20200027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facility
index
r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589B1 (ko
Inventor
손재익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58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통신망, 복수 개의 센서, 시설물 제어 장치, 원격 모니터링 장치,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 및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복수 개의 시설물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통합 관리한다.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는 시설물 관리에 따른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 각각을 선택하여 관리 항목들 각각에 대해 일정 기간 단위로 관리 항목별 이벤트가 발생된 횟수에 이벤트별 대처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관리 항목에 따른 건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설물 관리 운영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합리적인 시설 관리 체계의 수립과 표준화된 업무 운영을 통하여 건물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시설 관리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시설 자산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INTEGRAT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CT}
본 발명은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건물 등의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웹 브로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시설물 관리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따른 관리 항목들에 대해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관리하도록 하고, 전년 대비 관리 지수의 변동률을 파악하여 시설물에 적용하거나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며, 통신 가능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시설물에서의 이벤트 발생 시,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물 예컨대, 건물들은 공조 시스템, 전력 공급 시스템, 화재 방재 시스템, 엘리베이터, 조명 시스템, 냉난방 시스템, 출입문 시스템, 가스 누출 감지 시스템, 정화조 시스템, 물 공급 및 배수 시스템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시설물 설비 및 장비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여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건물 관리에 관한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고 건물을 체계적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건물들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각각의 건물에 구비된 설비 및 장비들을 실시간으로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예를 들어,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건물 정보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공사 관리, 업체 관리 뿐만 아니라, 시설물의 관리를 위해 시행하는 시설 관리, 설비 관리, 청소 관리, 용역 관리 등을 수행하고, 각 관리 정보를 기록한다.
이에 따라,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자나 현장 담당자가 혼자서 건물과 모든 기계 장치들을 관리하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또한, 건물이 점차 고층화, 대형화되고 있어, 각종 기계 장치들의 체계적인 관리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으며, 건물의 관리를 위한 근로자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관리자는 건물 관리를 위해 배치되어 건물의 관리를 계획하고 전체적인 관리 및 조율을 하는 반면, 관리자가 혼자 건물의 모든 부분을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업무 분야마다 근로자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행정, 회계, 시설, 보안, 미화 등의 업무 분야가 있고, 각 업무 분야마다 근로자가 배치되어 각자 맡은 일을 처리함으로써, 체계적인 건물 관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건물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는 그 건물, 대지 및 건축 설비를 건축법의 규정에 적합하도록 유지 관리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 유지 관리 업무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지 관리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계획에는 일상적인 점검과 수선에 관한 사항이 있다.
또한, 이러한 집합 건물을 유지 관리할 때, 안전상의 위해 요소나, 급격한 기능 저하를 가져올 우려가 있는 변형, 균열, 누수 등 결함을 조기에 파악하여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건물의 유지 관리는 정량적으로 기준화된 것이 아니므로, 경험적 판단을 요하는 경우가 많으나 적절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점검 기준 및 평가, 판정 기준을 마련하여 각 기준에 따라 유지 관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건축물의 유지 보수 단계에서 중요한 요소는 유지 보수의 주기 및 수선 비용을 예측하는 것이다. 현재 유지 보수의 주기 및 수선 비용 예측은 관리자의 판단과 건물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장기 수선 계획에 의존하여 결정되고 있다. 즉, 건물의 건축 연차에 따라 일괄적으로 건물 내 시설들 모두를 관리하기 때문에, 보수나 관리가 필요치 않은 시설들에 대해서도 인력 및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7979호(공개일 2011년 02월 23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91814호(공고일 2013년 09월 05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1467063호(공고일 2014년 12월 03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0990981호(공고일 2010년 10월 29일)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시설물들을 정보 통신 기술(ICT) 기반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시설물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여 시설물 및 시설물 장비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로 이벤트 발생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없이 웹 브로우저 기반으로 관리자 단말기가 시설물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설물의 관리 항목들을 이벤트 발생 횟수에 따라 관리 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관리 항목들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도록 하는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출된 관리 지수의 변동률을 파악하여 물가 상승률과 대비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원인을 파악하여 시설물에 적용하거나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여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는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웹 브로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시설물 관리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따른 관리 항목들에 대해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관리하도록 적용하고, 전년 대비 관리 지수의 변동률을 파악하여 시설물에 적용하거나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시설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작업 현황을 파악하는데 용이하고, 시설물 관리 운영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합리적인 시설 관리 체계의 수립과 표준화된 업무 운영을 통하여 건물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시설 관리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시설 자산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은,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가 복수 개의 시설물들 각각에 대한 정보와, 각각의 시설물에 구비되는 시설물 제어 장치로부터 시설물에 설치된 복수 개의 시설물 장비들에 대한 정보 및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여 상기 시설물 및 상기 시설물 장비들의 상태에 따른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관리 정보들을 생성, 가공 및 관리하여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는 단계;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에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 접속되면,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가 상기 관리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시설물의 환경 상태 및 상기 시설물 장비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들 각각이 상기 시설물 및 상기 시설물 장비들 환경 상태 또는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가 감지 정보를 통해 상기 시설물 또는 어느 하나의 상기 시설물 장비에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이 판별되면,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알람 정보가 수신되면, 알람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시설물 또는 상기 시설물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관리자가 현장을 방문하도록 하거나, 상기 시설물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시설물 장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시설물 및 상기 시설물 장비들에 대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적어도 상기 시설물들 각각에 대한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에 따른 관리 정보를 등록, 추가, 수정, 삭제 및 검색 처리하고, 시설물 관리에 따른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 각각을 선택하여 관리 항목들 각각에 대해 일정 기간 단위로 관리 항목별 이벤트가 발생된 횟수에 이벤트별 대처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관리 항목에 따른 건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도록 처리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지수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에서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이루어지되;
Figure pat00001
(수학식 1), 여기서 S는 각 관리 항목에 대한 관리 지수이고, Ek는 전체 관리 시설물 장비에 대한 이전 1 년 단위에서 발생되는 관리 항목별 이벤트 발생 횟수를 나타내고, Ea는 이전 일정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관리 항목별 이벤트 발생 횟수의 평균값을 나타내며, 그리고 W는 이벤트 처리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산출된 상기 관리 지수들 각각에 대해 전년과 대비해서 관리 지수 변동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을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건물의 연한 경과에 따라 상기 관리 지수의 증감 여부를 평가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은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에서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산출하고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평가하며;
Figure pat00002
(수학식 2), 여기서 Sk+1은 각 관리 항목에 대한 올해 관리 지수를 나타내고, Sk는 이전 년도의 관리 지수를 나타내며, I는 올해의 물가 상승률을 나타내며,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은 올해를 기준 시점으로 하고, 작년을 비교 시점으로 하여, 각 관리 지수의 전년 대비 증가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율을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가하는 것은;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고 올해의 관리 지수가 작년의 관리 지수보다 작으면, 현재 관리 지수와 우선 순위를 다른 시설물에 적용하도록 하고,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고 올해의 관리 지수가 작년의 관리 지수보다 크면, 관리자가 해당 관리 지수에 대한 이벤트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여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정보 통신 기술(ICT) 기반으로 복수 개의 시설물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시설물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작업 현황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웹 브로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시설물 관리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시설물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따른 관리 항목들에 대해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관리하도록 적용하고, 전년 대비 관리 지수의 변동률을 파악하여 시설물에 적용하거나 대책을 마련하도록 함으로써, 시설물 관리 운영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합리적인 시설 관리 체계의 수립과 표준화된 업무 운영을 통하여 건물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시설 관리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시설 자산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하나의 시설물에 구비되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에 설치된 다양한 기능의 시설물 장비들의 동작 상태나 시설물의 환경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벤트 발생 시, 관리자 또는 담당자에게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비상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의 작업 지시와 공지사항을 등록하면 현장 담당자가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으로 요청된 작업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속하게 조치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웹 브로우저 기반으로 시설물 관리를 통합 처리함으로써, 누구나 교육을 받지 않아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시설물 유지 관리 정보화를 통하여 입주자에게 쾌적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 근무자에게는 편리한 운영 방안을 제공하며, 리노베이션을 통한 건물 경영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은 관리 지수를 이용하여 시스템 관리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어떤 분야에서 작업이 많이 발생되는지, 어떤 관리 파트에서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지, 또 에너지는 전년 대비 얼마나 사용을 했는지 등의 기초 자료가 되며 신규 인원 충원 시에도 어떤 분야의 사람을 충원해야 하는지 활용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정보 통신 기술(ICT) 기반으로 복수 개의 시설물(10a ~ 10n)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통합 관리하고, 하나의 시설물에 구비되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10a ~ 10n)에 설치된 다양한 기능의 시설물 장비(230)들의 동작 상태나 시설물(10a ~ 10n)의 환경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시설물(10a ~ 10n) 및 어느 하나의 시설물 장비(230)에서 이벤트 발생 시, 관리자(또는 담당자)에게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시설물은 예를 들어, 건물 등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해 시설물(10a ~ 10n)에 대한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등을 통합 처리한다.
또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시설물 관리에 따른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관리 항목에 따른 시설물(10a ~ 10n)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도록 처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통신망(4), 복수 개의 센서(220), 복수 개의 시설물 장비(230), 시설물 제어 장치(210),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 및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시설물 즉, 건물(10a, 10n)들 각각에는 다양한 기능의 시설물 장비(230)가 설치되거나 구비된다. 건물(10a, 10n)들은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하고,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건물(10a, 10n)을 관리하거나, 복수 개의 건물(10a, 10n)들이 지역 등에 따라 그룹 단위로 관리될 수 있다.
통신망(4)은 예컨대, 유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통신망(4)은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 및 관리자 단말기(300)들 각각이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와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가 상호 연결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망(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와 관리자 단말기(300)가 상호 연결된다.
시설물 장비(230)는 건물(10a ~ 10n)들 각각에 구비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시설물 장비(230)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에 의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필요한 장비나 설비들 예를 들어, 냉난방 공조기, 화재 방재 장치, 출입문 보안 장치, 발전기, 엘리베이터, 물탱크, 환풍기, 전력 공급 설비, 조명 장치, 가스 공급 장치, 정화조, 배수 펌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시설물 장비(230)들은 시설물 제어 장치(210)에 의해 제어되고, 각각의 센서(220)들에 의해 동작 상태가 감지된다.
센서(22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건물(10a ~ 10n)의 내외부 환경 및 건물(10a ~ 10n)에 설치되는 다양한 시설물 장비(230)들의 동작 상태들을 감지한다. 즉, 센서(220)는 시설물 제어 장치(210)의 제어를 받아서 예를 들어, 건물 내의 화재, 침수, 온도, 습도, 가스 농도, 대기 성분 등을 감지하거나, 시설물 장비(23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한다. 센서(220)는 예를 들어, 화재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누수 센서, 수위 센서, 정전 센서, 가스 누출 센서 등을 포함한다. 센서(220)는 건물(10a ~ 10n)과 시설물 장비(230)들 각각으로부터 실시간으로 감지된 감지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와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 제공한다.
시설물 제어 장치(210)는 예컨대, PLC(Programable Logic Controller), DDC(Direct Digital Controller) 등으로 구비되어, 입력되거나 설정된 정보 또는 원격 제어에 따라 시설물 장비(230)들을 제어하고, 센서(220)로부터 감지 정보를 받아서 실시간으로 시설물 장비(230)들 각각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시설물 제어 장치(210)는 통신망(4)을 통해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로 시설물 장비(23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또 시설물 제어 장치(210)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서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시설물 장비(230)들을 제어한다.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센서(220)로부터 감지 정보를 받아서 관리자 단말기(300)로 제공하여 건물(10a ~ 10n)의 내외부 환경을 원격 모니터링하도록 하고, 시설물 장비(230)들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센서(220)로부터 감지 정보를 받아서 어느 하나의 시설물 장비(230)에 장애가 발생되거나, 건물(10a ~ 10n) 내외부에서 급격한 환경 변화가 발생되면,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300)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준다.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웹 브로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복수 개의 건물(10a ~ 10n)들 각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관리한다. 이러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은 현장 업무를 간소화와 고객 지원 업무를 표준화하고 고객 지원의 신속성, 투명성 및 다각성을 강화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모바일 기반의 표준화된 메뉴를 지원하며,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와 연동하여 통합 관리가 가능하다.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예를 들어,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 등을 처리하여 통신망(4)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300)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건물 관리는 해당 건물에 대한 건물명, 건물 주소지, 건물 면적, 층수, 건물 구조, 주차장 규격 등을 포함하는 건물 정보와, 건물의 각층에 구비되는 설비와 장비의 종류, 각 층의 용도 등을 포함하는 층별 정보 및, 건물의 전체 도면, 전기실, 동력실 등의 내부 설계 도면 등에 대한 도면 이름, 도면 번호 등을 포함하는 도면 정보 등을 등록, 수정, 추가, 삭제 및 검색 관리한다. 임대 관리는 해당 건물에 대한 임대 계약, 임대 이력, 임대료 현황 및 공실 현황 등을 등록, 수정, 추가, 삭제 관리한다. 시설 관리는 설비명, 설비 규격, 설치 일자, 설치 층수, 설치 구역, 관리 파트, 제작 회사, 용도 등을 포함하는 시설 현황과, 수시 점검과 예방 점검 등의 업무 구분, 접수 내용, 관리 파트, 처리 상태, 처리 내용, 작업자, 관리 파트 등을 포함하는 시설 이력 정보 및, 점검 일자, 요청 사항, 접수 내용, 관리 파트 처리 상태 및 처리 내용, 작업자 및 관리 파트, 시설물 파트별 통계 등을 포함하는 시설별 집계 정보 등을 등록, 수정, 추가 및 삭제 관리한다. 장비 관리는 장비명, 장비 규격, 적정 재고량, 제조사, 사용 기간, 구입 일자, 소유자 등을 포함하는 장비 현황 정보와, 업무 구눕, 접수 내용, 관리 파트, 처리 상태, 처리 내용, 작업자 등을 포함하는 장비 이역 정보 및, 장비별 집계 등을 등록, 수정, 추가 및 삭제 관리한다. 작업 관리는 작업 접수 현황, 작업 요청, 작업 처리 결과, 수시 작업, 순찰 점검, 시설 점검 및 업무 일지 등을 등록, 수정, 추가, 삭제 및 검색하도록 한다. 자재 관리는 자재 입고, 출고 및 재고 현황 등을 등록, 수정, 추가 및 삭제관리한다. 에너지 관리는 검침 사용량 등록, 검침 정보 현황 및 에너지 사용 분석 등을 관리한다. 공사 관리는 공사 내역, 부서별 공사 실적 등을 등록, 관리한다. 그리고 관리자 관리는 파트별, 설비별, 장비별 및 부서별 관리자 등록, 협력업체 등록, 월/년별 작업 계획 등록, 순찰 코스 등록, 일별 및 월별 근태 현황 등을 관리한다.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 등에 따른 시설물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관리 파트에는 예를 들어, 건축, 관리, 기계, 통신, 방재, 미화, 상황실, 주차, 안내 등이 포함되고, 관리 항목에는 각 관리 대상에 대한 수시 점검, 법정 점검, 예방 점검, C/S(Customer Service) 점검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관리 지수는 일정 기간 동안 예를 들어, 1 년 단위로 관리 항목별 이벤트가 발생된 횟수에 이벤트별 대처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다.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산출된 관리 지수를 이용하여 관리 항목에 따른 시설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관리 파트별로 관리 인력을 배치하거나, 관리 파트별로 관리 비용을 산출하여 예산에 적용하거나, 또는 시설물 관리 용역업체의 입찰 시에 참고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관리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매년 단위로 관리 지수의 변동율을 산출하여 이벤트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변동률이 긍정적인 경우이면, 관리 지수와 우선 순위 등의 다른 시설물에 적용하게 하고, 부정적인 경우이면, 이벤트 발생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여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자동화 기술에 적용하도록 한다.
또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각 건물들의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부터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관리자(또는 담당자)나 건물주가 실시간으로 해당 건물(10a ~ 10n)과 시설물 장비(230)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또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모니터링 중 건물(10a ~ 10n)에서의 화재, 누수 등과 시설물 장비(230)에서의 장애 등 이벤트가 발생되면, 통신망(4)을 통하여 콜센터(미도시됨)와 관리자 단말기(300)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건물을 임대한 고객의 고객 단말기(미도시됨)로부터 C/S 요청이 접수되면, 관리자 또는 담당자의 관리자 단말기(300)로 C/S 요청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처리되도록 알려준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비된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관리자, 담당자, 건물주 등이 구비한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접속하여 시설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연결되어 건물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작업 관리, 시설 점검, 설비 점검, 순찰 관리, 근태 관리, 업무 일지, 비상 연락 등의 기능을 처리한다. 여기서 작업 관리는 관리자에게 접수된 작업 요청의 처리 여부를 등록, 관리한다. 작업 관리는 예정된 작업이나 고객 요청이 발생된 작업의 경우, 관리자가 작업한 내역 예를 들어, 접수 일자, 작업 파트, 요청 사항, 처리 여부, 작업자, 완료 일자 및 시간, 처리 내역, 처리 전후에 대한 사진 등을 기입 및 등록한다. 시설 점검은 각 시설별 예정된 점검 리스트를 작성하여 일일 단위로 시설 점검 내역 예를 들어, 점검 파트 선택, 점검 상태, 점검 사항, 시설 상태의 사진, 점검 일자 등을 등록한다. 설비 점검은 설비에 대한 상세 내역 및 작업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설비 점검은 관리자가 부여한 설비 코드를 입력 및 검색하여 해당 설비에 대한 이력을 확인한다. 설비 점검은 현장 담당자가 많은 설비를 관리할 경우, 설비에 대한 상세 정보 및 정비 이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순찰 관리는 관리자가 지정한 순찰 코스 내역이 표시되고, 순찰자는 순찰 코스에 부착된 QR 코드 인식 및 워터마크 기술을 적용하여 기록한다. 순찰 관리는 순찰이 완료되면, 관리자가 순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보고서를 제공한다. 근태 관리는 QR 코드 인식 및 워터마크 기술을 적용하여 출퇴근 내역을 기록 및 확인한다. 근태 관리는 출퇴근 정보가 등록되면, 출근 시간 및 사용자의 이름이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워터마크를 생성하여 기록된다. 업무 일지는 시설 담당자들의 작업 일치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업무 일지는 관리자가 전체 내용 예를 들어, 작성 일자, 작성자, 처리 파트, 금일 작업, 금일 처리, 예정 작업, 지시 사항 및 특이 사항 등을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비상 연락은 시설에 대한 장애 발생 시, 담당자 및 유지보수 업체 등의 장애 복구에 필요한 연락처를 등록하여 신속하게 연락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웹 브로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300)로 시설물 관리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시설물(10a ~ 10n)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따른 관리 항목들에 대해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관리하도록 적용하고, 전년 대비 관리 지수의 변동률을 파악하여 시설물에 적용하거나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며, 통신 가능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를 이용하여 시설물(10a ~ 10n)에서의 이벤트 발생 시,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알려준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Remote mornitoring System)(200)는 건물(10a ~ 10n)의 긴급 상황 발생 시에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설물 제어 장치(210)와 센서(220)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건물 내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른 이벤트(예를 들어, 화재, 누전, 누수, 온도 및 습도 변화 등)가 발생되거나, 각각의 시설물 장비(230)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장애 발생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되면, 통신망(4)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300)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정보를 전송한다. 또 본 발명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시설물 장비(23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이를 위해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04), 인터페이스부(206), 전원부(208) 및 제어부(202)를 포함한다.
전원부(208)는 교류 전원(AC IN)을 공급받아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의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08)는 약 3.3 V 또는 약 5 V의 직류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하여 무선 통신부(204), 인터페이스부(206) 및 제어부(202)로 공급한다.
무선 통신부(204)는 통신망(4)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고,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관리자 단말기(300)와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인터페이스부(206)는 복수 개의 입출력 포트(port)들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06)는 입력 포트를 통해 복수 개의 센서(220)들과 연결되고, 출력 포트를 통해 시설물 제어 장치(210)와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부(206)는 입력 포트를 통해 센서(220)로부터 감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다. 인터페이스부(206)는 무선 통신부(204)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 포트를 통해 원격 제어 신호를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202)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02)는 구동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208)를 제어한다. 제어부(202)는 무선 통신부(204)가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와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기(300)들과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02)는 인터페이스부(206)로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건물(10a ~ 10n) 내외부의 환경 및 시설물 장비(230)들 중 어느 하나에서 이벤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별하고, 이벤트가 발생되었으면 무선 통신부(204)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300)로 이벤트 발생을 알려주는 알람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알람 정보는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SNS 메신저 등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 제어부(202)는 무선 통신부(204)로 원격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인터페이스부(206)를 통해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 원격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시설물 관리에 필요한 사물 인터넷(IOT) 시스템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300)와 연결되고, 복수 개의 센서(220)와 시설물 제어 장치(210)에 연결되어 건물(10a ~ 10n) 내외부의 환경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시설물 장비(230)의 고장 시, 관리자 단말기(300)로 알람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해당 건물의 이벤트 발생 위치와, 시설물 장비(230)의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고, 관리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해당 시설물 장비(230)의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등 원격 제어하게 함으로써, 비상 상황에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최소 관리 인력으로도 최적화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가능하며, 특히 야간에 최소 인원만 남고 퇴근을 하므로, 출입문 개폐 상태와 시설물 장비 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어서 비상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건물의 화재 연기 감지 및 시설 장비 장애 시, 스마트 폰 문자 알람을 통해 모든 관리자가 긴급 상황에 빨리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백화점, 대형 쇼핑몰 등 많은 사람들이 붐비는 곳에서는 화재가 나도 즉시 알 수 없어 대피 시간을 놓치거나 연기로 인해 많은 피해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 방재실에 상시 근무자가 있어도 다른 층에서 문제가 생기면, 즉시 알 수 없으며, 특히 야간에는 최소 인원만 당직 근무하며, 설비 전문가가 아닌 신입 직원이나 경비원들은 건물의 설비가 정상인지 아닌지 장애 상황을 확인하기 어렵다.
만약, 설비 전문가가 외근/퇴근이나 휴가 중인 경우라도 설비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장애 문자 알람을 동시에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현장 근무자에게 전화로 대응 지시를 할 수 있다. 또 보안 경비 분야에서도 관리 건물의 출입문 침입에 대한 상황을 지역별, 건물별, 층별로 문자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구형/신형 시설물에 상관없이 센서 입력 접점에 연결하면, 관리자의 퍼스널 컴퓨터와 스마트 폰 등으로 알람 문자를 동시에 받을 수 있어 건물 관리 및 시설물 관리에 최적의 시스템이 구현 가능하다. 또한 전국에 분산된 관리 건물의 위치, 건물명, 건물 층수, 장비명 등으로 문자 알람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건물 관리, 시설물 관리, 출입 관리, 순찰 관리, 냉동 창고 관리, 병원 주사액 냉장고 관리, 정화조 수위 관리, 물탱크 수위 관리 등에서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시설물 관리 처리부(130), 모니터링 처리부(140), 관리 지수 산출부(150), 우선 순위 결정부(160), 변동률 평가부(170) 및 데이터베이스(18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통신망(4)에 연결되어 복수 개의 시설물 제어 장치(210)와 복수 개의 관리자 단말기(300)들과의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통신부(110)는 예를 들어, 유무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라우터, 스위칭 허브 및 중계기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20)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20)는 통신부(110), 시설물 관리 처리부(130), 모니터링 처리부(140), 관리 지수 산출부(150), 우선 순위 결정부(160), 변동률 평가부(170) 및 데이터베이스(180)를 제어하여 복수 개의 시설물 예컨대, 건물(10a ~ 10n)들과 건물들 각각에 구비되는 시설물 장비(230)들을 통합 관리한다.
시설물 관리 처리부(130)는 복수 개의 건물(10a ~ 10n)들 각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관리한다. 시설물 관리 처리부(130)는 예를 들어,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 등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관리 항목 및 관리 파트별로 생성, 등록하여 통신망(4)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모니터링 처리부(140)는 각 건물(10a ~ 10n)들의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부터 시설물 장비(230)들의 동작 상태에 따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관리자 또는 담당자가 실시간으로 해당 건물(10a ~ 10n)과 시설물 장비(230)를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 관리한다. 모니터링 처리부(140)는 모니터링 중 건물(10a ~ 10n) 내외부의 환경 또는 시설물 장비(230)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통신망(4)을 통하여 콜센터(미도시됨)와 관리자 단말기(300)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람 정보를 전송한다. 모니터링 처리부(140)는 고객 단말기(미도시됨)로부터 시설물 점검, 유지 보수 등의 고객 지원(C/S) 서비스가 요청되면, 관리자 단말기(300)로 C/S 요청 사항을 전달하여 해당 담당자에게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
관리 지수 산출부(150)는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다양한 관리 항목들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예컨대, 1 년 단위)의 관리 지수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관리 지수 산출부(150)는 예를 들어, 건물에 대한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 등에 따른 시설물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 각각을 선택하여 관리 지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관리 파트에는 예를 들어, 건축, 관리, 기계, 통신, 방재, 미화, 상황실, 주차, 안내 등이 포함되고, 관리 항목에는 각 관리 대상에 대한 수시 점검, 법정 점검, 예방 점검, C/S(Customer Service) 점검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관리 지수는 일정 기간 즉, 1 년 단위로 관리 항목별 이벤트가 발생된 횟수에 이벤트별 대처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다. 이러한 관리 지수는 건물(10a ~ 10n)의 관리 항목들 중 건물(10a ~ 10n)의 연한에 따라 이벤트 발생 가능성이 높은 항목에 더 비중을 두어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실시예에서 관리 지수 산출부(150)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관리 지수를 산출된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S는 각 관리 항목에 대한 관리 지수이고, Ek는 전체 관리 시설물 장비에 대한 과거의 일정 기간 즉, 이전 1 년 단위에서 발생되는 관리 항목별 이벤트 발생 횟수를 나타내고, Ea는 이전 일정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관리 항목별 이벤트 발생 횟수의 평균값을 나타내며, 그리고 W는 이벤트 처리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나타낸다. 이 때, 가중치는 건물의 연한에 따른 감가 상각, 유지 보수 비용 등에 따라 1 내지 5 사이의 소수점 한자리의 유리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가중치의 중앙값은 2.5이고, 가중치가 1인 경우는 이벤트 처리 비용이 상대적으로 최소인 경우이고, 가중치가 5인 경우는 이벤트 처리 비용이 상대적으로 최대인 경우이다.
우선 순위 결정부(160)는 산출된 관리 지수들을 이용하여 관리 항목들에 따른 건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우선 순위 결정부(160)는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이벤트 발생에 대비하여 관리자나 현장 담당자 등의 인력을 배치하도록 제공된다. 즉, 우선 순위는 관리 파트별로 관리 인력을 배치하거나, 관리 파트별로 관리 비용을 산출하여 예산에 적용하거나, 또는 시설물 관리 용역업체의 입찰 시에 참고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변동률 평가부(170)는 산출된 관리 지수들 각각에 대해 전년과 대비해서 관리 지수 변동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관리 지수 변동률을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건물의 연한 경과에 따라 관리 지수의 증감 여부를 평가한다.
이 실시예에서 변동률 평가부(170)는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각 관리 지수 변동률을 산출하고, 이를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평가한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Sk+1은 각 관리 항목에 대한 올해 관리 지수를 나타내고, Sk는 이전 년도의 관리 지수를 나타내며, I(Inflation)는 올해의 물가 상승률을 나타낸다. 또 관리 지수 변동률은 올해를 기준 시점으로 하고, 작년을 비교 시점으로 하여, 각 관리 지수의 전년 대비 증가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변동률 평가부(170)는 관리 지수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고 긍정적으로 평가되면 즉,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크고 올해의 관리 지수가 작년의 관리 지수보다 작으면, 현재 관리 지수와 우선 순위를 다른 시설물에 적용하도록 하고, 관리 지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고 부정적으로 평가되면 즉,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크고 올해의 관리 지수가 작년의 관리 지수보다 크면, 관리자가 해당 관리 지수에 대한 이벤트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여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도록 하여 시스템 자동화를 구현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관리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매년 단위로 관리 지수의 변동율을 산출하여 이벤트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변동률이 긍정적인 경우이면, 관리 지수와 우선 순위 등의 다른 시설물에 적용하게 하고, 부정적인 경우이면, 이벤트 발생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여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자동화 기술에 적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80)는 제어부(120)의 제어를 받아서 시설물 관리 처리부(130), 모니터링 처리부(140), 관리 지수 산출부(150), 우선 순위 결정부(160) 및 변동률 평가부(170)의 처리 과정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들을 읽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180)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의 외부에 구비되어 있으나,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180)는 적어도 건물 정보(181), 시설물 장비 정보(182), 관리자 정보(183), 관리 정보(184), 관리 지수 정보(185), 우선 순위 정보(186) 및 변동률 정보(187)를 저장한다.
건물 정보(181)에는 예를 들어, 건물명, 건물 코드, 건물 주소, 소유주, 건물 면적, 대지 면적, 지상 및 지하 연면적, 건물 층수, 건물 구조, 주차장 규모, 건물 높이, 조경 면적, 행정 구역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시설물 장비 정보(182)에는 예를 들어, 설비명, 설비 규격, 장비명, 장비 규격, 설치 구역, 관리 파트, 제작 회사, 용도, 시설 이력 정보, 장비 이력 정보, 담당자, 작업 요청 현황, 업무 구분, 작업 접수 내용, 작업 접수 일자 및 시간, 작업 처리 결과, 순찰 점검 내용, 시설 점검 내용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관리자 정보(183)에는 예를 들어, 관리 파트, 부서명, 관리자명, 연락처, 관리 설비명, 관리 장비명, 작업 계획, 순찰 점검 코스, 근태 현황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관리 정보(184)에는 예를 들어,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 등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다. 관리 지수 정보(185)에는 관리 지수 산출부(150)에 의해 각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포함한다. 우선 순위 정보(186)에는 우선 순위 결정부(160)에 의해 결정된 관리 항목들에 따른 건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변동률 정보(187)에는 변동률 평가부(170)에 의해 산출된 관리 지수 변동률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시설물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시설물 관리 운영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합리적인 시설 관리 체계의 수립과 표준화된 업무 운영을 통하여 건물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시설 관리의 효과를 증대시키며, 시설 자산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시설물 유지 관리 정보화를 통하여 입주자에게 쾌적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 근무자에게는 편리한 운영 방안을 제공하며, 리노베이션을 통한 건물 경영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단계 S400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가 시설물 즉, 건물(10a ~ 10n)들 각각에 대한 정보와, 각각의 건물(10a ~ 10n)에 구비되는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부터 해당 건물에 설치된 다양한 시설물 장비(230)들에 대한 정보 및 관리자에 대한 정보 등을 등록하여 시설물 통합 관리를 처리한다. 이 때,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각각의 건물(10a ~ 10n)에 구비된 복수 개의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부터 해당 건물의 시설물 장비(230)들의 동작 상태에 따른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다양한 정보들을 생성, 가공 및 관리한다.
단계 S402에서 관리자 단말기(300)가 통신망(4)을 통해 웹 브라우저 기반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접속하면, 단계 S404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시설물 관리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관리자 단말기(300)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설치없이 웹 브라우저 기반의 시설물 관리 솔루션을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에 접속하고,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걸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의 시설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관리자 단말기(300)는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선택하거나 검색하여 확인한다.
단계 S408에서 센서(220)들 각각이 시설물 장비(230)들 각각의 동작 상태나, 건물(10a ~ 10n)의 내외부 환경 상태 등을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 제공한다. 단계 S410에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감지 정보를 통해 어느 하나의 시설물 장비(230)나 건물(10a ~ 10n)에서 장애, 화재 등의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이 판별되면, 단계 S412에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300)로 알람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414에서 관리자 단말기(300)는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부터 알람 정보가 수신되면, 알람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내용을 확인하여 시설물 장비(230) 또는 건물(10a ~ 10n)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관리자가 현장을 방문하도록 하거나, 시설물 장비(23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로 전송한다.
단계 S416에서 원격 모니터링 장치(200)는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단계 S418에서 시설물 제어 장치(210)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시설물 제어 장치(210)는 원격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시설물 장비(230)를 제어한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수순은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가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비되고, 이 프로그램은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의 저장 장치(미도시됨)에 저장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2)은 단계 S500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가 시설물 관리를 위한 복수 개의 관리 항목들을 선택하여 단계 S502에서 각각의 관리 항목들에 대한 관리 지수를 산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관리 지수 산출부(150)를 이용하여 시설물 통합 관리를 위한 다양한 관리 항목들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예컨대, 1 년 단위)의 관리 지수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관리 지수 산출부(150)는 예를 들어, 건물에 대한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 등에 따른 시설물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 각각을 선택하여 관리 지수를 산출한다. 여기서 관리 파트에는 예를 들어, 건축, 관리, 기계, 통신, 방재, 미화, 상황실, 주차, 안내 등이 포함되고, 관리 항목에는 각 관리 대상에 대한 수시 점검, 법정 점검, 예방 점검, C/S 점검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관리 지수는 상술한 수학식 1에 의해 일정 기간 즉, 1 년 단위로 관리 항목별 이벤트가 발생된 횟수에 이벤트별 대처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다.
단계 S504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산출된 관리 지수들을 이용하여 관리 항목들에 따른 건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우선 순위 결정부(160)를 이용하여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이벤트 발생에 대비하여 관리자나 현장 담당자 등의 인력을 배치하도록 제공된다.
단계 S506에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100)는 변동률 평가부(170)를 이용하여 산출된 관리 지수들 각각에 대해 전년과 대비해서 관리 지수 변동률을 산출한다. 단계 S508에서 변동률 평가부(170)는 산출된 변동률을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건물의 연한 경과에 따라 관리 지수의 증감 여부를 평가한다.
평가 결과, 변동률 평가부(170)가 관리 지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고 긍정적으로 평가되면 즉,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크고 올해의 관리 지수가 작년의 관리 지수보다 작으면, 이 수순은 단계 S510으로 진행하여, 현재 관리 지수와 우선 순위를 다른 시설물에 적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변동률 평가부(170)가 관리 지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고 부정적으로 평가되면 즉,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보다 크고 올해의 관리 지수가 작년의 관리 지수보다 크면, 이 수순은 단계 S512로 진행하여, 관리자가 해당 관리 지수에 대한 이벤트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고, 단계 S514에서 이를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도록 하여 시스템 자동화를 구현한다.
물론 평가 결과, 변동률 평가부(170)가 관리 지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 이하이면, 관리 지수 변동률에 따른 관리 비용이 물가 상승률 보다 작기 때문에 관리 지수의 변동률을 평가할 의미가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2 :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4 : 통신망
100 :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
200 : 원격 모니터링 장치
210 : 시설물 제어 장치
220 : 센서
230 : 시설물 장비
30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5)

  1.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가 복수 개의 시설물들 각각에 대한 정보와, 각각의 시설물에 구비되는 시설물 제어 장치로부터 시설물에 설치된 복수 개의 시설물 장비들에 대한 정보 및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여 상기 시설물 및 상기 시설물 장비들의 상태에 따른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관리 정보들을 생성, 가공 및 관리하여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는 단계;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에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웹 브라우저 기반으로 접속되면,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가 상기 관리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시설물의 환경 상태 및 상기 시설물 장비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센서들 각각이 상기 시설물 및 상기 시설물 장비들 환경 상태 또는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가 감지 정보를 통해 상기 시설물 또는 어느 하나의 상기 시설물 장비에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이 판별되면,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알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알람 정보가 수신되면, 알람 정보에 포함된 이벤트 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시설물 또는 상기 시설물 장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관리자가 현장을 방문하도록 하거나, 상기 시설물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신호를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원격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로 원격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시설물 장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시설물 및 상기 시설물 장비들에 대한 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적어도 상기 시설물들 각각에 대한 건물 관리, 임대 관리, 시설 관리, 장비 관리, 작업 관리, 자재 관리, 에너지 관리, 공사 관리 및 관리자 관리에 따른 관리 정보를 등록, 추가, 수정, 삭제 및 검색 처리하고, 시설물 관리에 따른 관리 파트들을 관리 항목별로 분류하고, 관리 항목들 각각을 선택하여 관리 항목들 각각에 대해 일정 기간 단위로 관리 항목별 이벤트가 발생된 횟수에 이벤트별 대처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관리 지수를 산출하여, 관리 항목에 따른 건물의 관리 대상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 지수를 산출하는 것은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에서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이루어지되;
    Figure pat00005
    (수학식 1),
    여기서 S는 각 관리 항목에 대한 관리 지수이고, Ek는 전체 관리 시설물 장비에 대한 이전 1 년 단위에서 발생되는 관리 항목별 이벤트 발생 횟수를 나타내고, Ea는 이전 일정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관리 항목별 이벤트 발생 횟수의 평균값을 나타내며, 그리고 W는 이벤트 처리 비용의 과소에 따른 가중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는 단계는,
    산출된 상기 관리 지수들 각각에 대해 전년과 대비해서 관리 지수 변동률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을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건물의 연한 경과에 따라 상기 관리 지수의 증감 여부를 평가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은 상기 시설물 통합 관제 서버에서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산출하고 전년 대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평가하며;
    Figure pat00006
    (수학식 2),
    여기서 Sk+1은 각 관리 항목에 대한 올해 관리 지수를 나타내고, Sk는 이전 년도의 관리 지수를 나타내며, I는 올해의 물가 상승률을 나타내며,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은 올해를 기준 시점으로 하고, 작년을 비교 시점으로 하여, 각 관리 지수의 전년 대비 증가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율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평가하는 것은;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고 올해의 관리 지수가 작년의 관리 지수보다 작으면, 현재 관리 지수와 우선 순위를 다른 시설물에 적용하도록 하고,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을 물가 상승률과 비교하여 상기 관리 지수 변동률이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고 올해의 관리 지수가 작년의 관리 지수보다 크면, 관리자가 해당 관리 지수에 대한 이벤트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대책을 마련하여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20180105795A 2018-09-05 2018-09-05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2122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795A KR102122589B1 (ko) 2018-09-05 2018-09-05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795A KR102122589B1 (ko) 2018-09-05 2018-09-05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686A true KR20200027686A (ko) 2020-03-13
KR102122589B1 KR102122589B1 (ko) 2020-06-12

Family

ID=6993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795A KR102122589B1 (ko) 2018-09-05 2018-09-05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5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519B1 (ko) * 2020-05-19 2020-10-21 주식회사 브라이튼 다원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관제시스템
KR102563605B1 (ko) * 2022-10-24 2023-08-04 주식회사 이엘 내외부망 연계를 이용한 관리시설 상태 점검시스템
WO2023234613A1 (ko) * 2022-05-31 2023-12-07 (주)디더블유아이 시설 관리 방법 및 시설 관리 시스템
WO2024101564A1 (ko) * 2022-11-11 2024-05-16 주식회사 에니트 도커 컨테이너 기반의 설비 운영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791A (ko) * 2005-01-18 2006-07-21 정영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0990981B1 (ko) 2008-06-12 2010-10-29 박장호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17979A (ko) 2009-08-17 2011-02-2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문자메세지를 이용한 빌딩통합관리시스템
KR101233689B1 (ko) * 2012-07-17 2013-02-15 (주)델타온 웹 기반 통합건물관리 시스템
KR101291814B1 (ko) 2013-02-22 2013-09-05 주식회사 미션소프트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1467063B1 (ko) 2012-12-14 2014-12-0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빌딩 통합 운영 관리 서버 및 그 관리 방법
KR20150105500A (ko) * 2014-03-06 2015-09-17 (주)리눅스아이티 시설물 원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791A (ko) * 2005-01-18 2006-07-21 정영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0990981B1 (ko) 2008-06-12 2010-10-29 박장호 네트워크 기반의 시설물 통합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17979A (ko) 2009-08-17 2011-02-2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에스엠에스 문자메세지를 이용한 빌딩통합관리시스템
KR101233689B1 (ko) * 2012-07-17 2013-02-15 (주)델타온 웹 기반 통합건물관리 시스템
KR101467063B1 (ko) 2012-12-14 2014-12-0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빌딩 통합 운영 관리 서버 및 그 관리 방법
KR101291814B1 (ko) 2013-02-22 2013-09-05 주식회사 미션소프트 실시간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150105500A (ko) * 2014-03-06 2015-09-17 (주)리눅스아이티 시설물 원격 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519B1 (ko) * 2020-05-19 2020-10-21 주식회사 브라이튼 다원화 네트워크 기반의 통합관제시스템
WO2023234613A1 (ko) * 2022-05-31 2023-12-07 (주)디더블유아이 시설 관리 방법 및 시설 관리 시스템
KR102563605B1 (ko) * 2022-10-24 2023-08-04 주식회사 이엘 내외부망 연계를 이용한 관리시설 상태 점검시스템
WO2024101564A1 (ko) * 2022-11-11 2024-05-16 주식회사 에니트 도커 컨테이너 기반의 설비 운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589B1 (ko)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588B1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122589B1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US11461850B1 (en) Determining insurance policy modifications using informatic sensor data
KR102122590B1 (ko)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 및 그 방법
US11721199B2 (en) Alarm probability
US9818158B1 (en) Utilizing credit and informatic data for insurance underwriting purposes
US10713726B1 (en) Determining insurance policy modifications using informatic sensor data
WO2018204020A1 (en) Building security system with false alarm reduction
US12008483B2 (en) System to monitor and process water-related data
KR101044264B1 (ko)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400324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roperty
US200201138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maintenance management of vertical transportation equipment
KR101869697B1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
US11436682B2 (en) Property damage risk evaluation
US20240032150A1 (en) System to monitor and process risk relationship sensor data
WO2024040738A1 (zh) 智慧园区管理方法及管理平台
JP2019109655A (ja) 建物利用状態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614525B1 (en) Utilizing credit and informatic data for insurance underwriting purposes
KR101378781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점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356635B1 (ko)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KR20130117626A (ko) 실시간통합위성관리시스템
KR102652161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안전관리 시스템
US8207842B2 (en) Assignment of alarms
KR20240000166A (ko) 상주, 비상주, 또는 리테일 서비스의 연결 제공 및 선택적 이용이 가능한 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