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995A - Content production system - Google Patents

Content produ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995A
KR20200022995A KR1020180099311A KR20180099311A KR20200022995A KR 20200022995 A KR20200022995 A KR 20200022995A KR 1020180099311 A KR1020180099311 A KR 1020180099311A KR 20180099311 A KR20180099311 A KR 20180099311A KR 20200022995 A KR20200022995 A KR 20200022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ffect
unit
icons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3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일영
임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달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달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달소프트
Priority to KR102018009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995A/en
Publication of KR20200022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99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creation system which allows a content creator and an ordinary user to easily create content. The content creation system includes a content creation server to apply effects to source conten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objects to generate synthesis content. The content creation server includes a direction forming unit, a custom generation unit, and a direction editing unit. The direction forming unit provides a content creator with unit effect icons corresponding to unit effects applicable to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source content and synthesis effect direction icons corresponding to synthesis effects generated by the custom generation unit with the unit effect icons. The custom generation unit generates synthesis effects synthesizing unit effects corresponding to two or more unit effect icons selected by the content creator among the unit effect icons and synthesis effect direction icons corresponding to the synthesis effects. The direction editing unit provides the content creator with a plurality of icons including the unit effect icons and the synthesis effect direction icons, sequentially arranges one or more icons selected by the content creator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and sequentially applies unit effects or synthesis effects corresponding to the sequentially arranged icons to objects selected by the content creator in accordance with an icon arrangement order to generate the synthesis content.

Description

콘텐츠 제작 시스템{CONTENT PRODUCTION SYSTEM}Content Production System {CONTENT 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상에서 콘텐츠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재생 및 유포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du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easily producing, reproducing and distributing content on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본 발명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2017년도 지역특화(주력)산업육성 기술개발사업 3차"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a study performed as a part of the "Third 2017 Regional Specialized Technology Development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with the support of the Korea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Institute.

[과제관리번호:P0000133, 과제명:인터렉티브 코믹스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Task Management Number: P0000133, Assignment Name: Interactive Comic Cloud Service Development].

최근 전자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최근에는 소설, 전문서적은 물론 코믹스까지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서 감상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특히, 코믹스의 표현매체가 웹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웹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종 스크롤 방식으로 코믹스를 볼 수 있게 되어 독자들의 호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Recent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novels, professional books, and even comics have been provided in a form that can be view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or portable terminals. In particular, as the expression medium of comics changes to the web environment, the comics can be viewed in the vertical scrolling manner provided by the web browser, and readers' response is increasing.

그러나, 현재의 코믹스 재생 매체는 동적인 다양한 연출과 독자와 콘텐츠 안에서 상호 작용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인 방법이 존재함에도, 기존의 출판 코믹스 형식의 이미지를 웹 환경으로 옮기고, 웹 브라우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종 스크롤 연출을 추가했을 뿐, 콘텐츠의 형식상의 변화는 없었다. 이는, 코믹스에 소정의 효과 예컨대, 애니메이션 효과를 추가할 때의 발생하는 높은 제작 비용과 더불어서 복합적 콘텐츠 표현을 위한 개발기술 습득 또한 어려워 제작 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However, even though the current comic playback media has a technical way to provide a variety of dynamic presentations and interactions with readers and contents, it is possible to transfer images of the published comic format into a web environment and to basically We just added the bell scrolling provided, and there was no change in the format of the content. This is because, in addition to the high production cost incurred when adding a predetermined effect, such as an animation effect, to the comic, it is also difficult to acquire a development technique for expressing a complex content, which leads to a long production period.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미 존재하는 애니메이션 도구인 플래시나 그 외의 도구를 이용하는데,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한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선 작가가 모든 연출을 여러 단계에 걸친 프로그래밍 작업을 통해 제작해야만 한다. In general, to apply animation effects, existing animation tools such as Flash or other tools are used. In order to produce an animated content, the artist has to produce all the stages through several stages of programming.

그리고, 웹툰과 같은 콘텐츠는 웹 브라우저의 환경에서 재생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문적인 기술 없이 고정된 원화 소스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여기에 부가적으로 특정 작가나 제작사로부터 제공받는 간단한 음악 클립을 적용하여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웹툰에서 독자의 상호 작용이 책장 넘김 또는 종 스크롤로 제한될 수 밖에 없다.And, since content such as webtoon is played in the environment of web browser, it provides only fixed original source without any technical skills. In addition, web page form is applied by applying simple music clip provided from a specific artist or production company. Is being provided. Therefore, the reader's interaction in the webtoon is limited to bookshelf flipping or bell scrolling.

이러한 상호 작용의 확장 및 독자의 이벤트 처리와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코믹스 콘텐츠의 구성을 위해서는 작가가 직접 웹 페이지의 구성을 프로그래밍 하거나, 그에 상응하는 복잡한 제작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작가의 입장에서 또 다른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To extend these interactions and to construct comic content with event processing and animation effects applied by the author, the artist must program the composition of the web page or use a corresponding complicated production tool. This acts as another barrier to entry for the artist.

따라서, 콘텐츠 제작자 뿐만 아니라 일반 이용자가 애니메이션 효과가 적용된 웹툰을 손쉽게 제작하여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이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ontent production system that is configured to allow not only content producers but also general users to easily create and share animated webtoon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콘텐츠 제작자 및 일반 이용자도 콘텐츠 제작이 용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production system is configured so that content producers and general users can easily produce conten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복수의 오브젝트들로 구성되는 소스 콘텐츠에 효과를 적용하여 합성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제작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 서버는 연출 구성부, 커스텀 생성부 및 연출 편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출 구성부는 상기 소스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들에 적용될 수 있는 단위 효과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 아이콘 및 상기 커스텀 생성부에서 생성된 합성 효과에 대응하는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상기 단위 효과 아이콘과 함께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커스텀 생성부는 상기 단위 효과 아이콘 중 상기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된 둘 이상의 단위 효과 아이콘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를 합성한 합성 효과와 상기 합성 효과에 대응하는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생성하며, 상기 연출 편집부는 상기 단위 효과 아이콘과 상기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며, 순차적으로 배열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 또는 합성 효과를 상기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에 아이콘 배열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합성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production server for generating a composite content by applying an effect to a source conten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objects,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is directed configuration A unit effect icon corresponding to a unit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source content, and a composition effect generated by the custom generator. And a unit effect icon to the content creator along with the unit effect icon, wherein the custom generator unit synthesizes a unit effect corresponding to two or more unit effect icons selected by the content producer among the unit effect icons, and the unit effect icon. Synthesis effect corresponding to the synthesis effect Generating an icon, wherein the production editing unit provides the content creator with a plurality of icons including the unit effect icon and the composite effect production icon, and sequentially selects one or more icons selected by the content producer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The synthesized content may be generated by sequentially applying a unit effect or a compound effect corresponding to each icon arranged in a sequential order to an object selected by the content creator according to an icon arrangement order.

상기 연출 편집부는, 각각의 오브젝트에 적용될 효과를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배열되는 스토리 보드를 상기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스토리 보드에 배열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 또는 합성 효과를 상기 스토리 보드에서의 아이콘 배열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합성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커스텀 생성부는, 상기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배열된 스토리 보드를 선택받고, 선택된 스토리 보드에 대응하는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선택된 스토리 보드에 배열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효과를 상기 스토리 보드에서의 아이콘 배열 순서에 따라 구현하도록 합성하여 새로운 합성 효과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합성 효과에 대응하는 새로운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The production editing unit is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 effect to be applied to each object, and provides the content producer with a storyboard in which one or more icons selected by the content creator are arranged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and the storyboard The synthesized content may be generated by sequentially applying a unit effect or a compound effect corresponding to each icon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icon arrangement order in the storyboard. The custom generator may select a storyboard in which one or more icons of the plurality of icons are arranged from the content producer, and receive a request for generating a composite effect directing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toryboard, and then select each storyboard arranged in the selected storyboard. A new compounding effect may be generated by synthesizing the effect corresponding to the icon according to the order of icon arrangement in the storyboard, and a new compounding effect presentation icon corresponding to the new synthesizing effect may be generated.

상기 콘텐츠 제작 서버는, 상기 연출 편집부에서 생성된 각각의 합성 콘텐츠를 하나 이상 결합하여 하나의 장면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을 포함하는 콘텐츠 패키지를 구성하는 레이어 병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layer merging unit for generating a scene by combining one or more pieces of the synthesized content generated by the production editing unit and configuring a content package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scenes.

상기 콘텐츠 제작 서버에서 제작된 합성 콘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합성 콘텐츠를 독자측 이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단위 효과가 적용된 오브젝트에 대한 재생을 수행하는 콘텐츠 뷰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content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content viewer program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synthesized content produced by the content producing server, providing the stored synthesized content to a user terminal of the reader, and reproducing the object to which the unit effect is applied. It may include.

상기 연출 구성부는, 소스 콘텐츠의 장면(SCENE)을 구성하는 컷(CUT)의 편집을 위한 컷 그리기, 컷 분할, 컷 복제, 컷 크기조정 및 컷 삭제 기능 각각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아이콘을 제공하는 컷 편집툴; 소스 콘텐츠의 바탕이 되는 원화에 대한 복제, 크기조정 및 삭제 기능 각각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아이콘을 제공하는 원화배치툴; 및 상기 컷과 컷 내의 대상물에 대한 동작 연출 기능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아이콘을 제공하는 연출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출툴은, 상기 컷 내의 편집 대상물의 이동이나 줌인, 줌아웃 및 포커싱 연출을 수행하는 카메라 연출부; 및 특정 컷에 대한 편집 기능으로 슬라이드, 팝업, 디졸브, 페이드, 내레이션, 쉐이크, 펌프, 오버레이 및 트랜스폼 기능을 편집하는 편집 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연출부는, 특정 컷 및 오브젝트의 이동을 연출하는 슬라이드 연출 아이콘; 특정 컷 및 오브젝트의 팝업효과를 구현하는 팝업 연출 아이콘; 특정 컷 및 오브젝트가 다른 컷 및 오브젝트로 흐릿하게 교체되는 효과를 구현하는 디졸브 연출 아이콘; 특정 컷 및 오브젝트가 서서히 등장하거나 사라지는 효과를 구현하는 페이드 연출 아이콘; 컨텐츠 내 글이나 대사가 차츰 나타나는 내레이션 연출 아이콘; 특정 컷 및 오브젝트를 흔드는 쉐이크 연출 아이콘; 특정 컷 및 오브젝트의 크기를 순간적으로 변하게 하는 펌프 연출 아이콘; 오브젝트나 특정 컷의 사이즈와 배치, 특정 컷 및 오브젝트 위로 특정 오브젝트를 흐릿하게 겹치게 하는 오버레이 연출 아이콘; 및 특정 컷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연출을 구현하는 트랜스폼 연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ndering unit may provide a plurality of icons provided to correspond to a cut drawing, cut division, cut duplication, cut size adjustment, and cut deletion functions for editing a cut forming a scene of a source content. Cut editing tools; An original arrangement tool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icons provided to correspond to respective duplication, resizing, and deletion functions of the original original content of the source content; And a rendering tool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icons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cut and the motion rendering functions for the object in the cut. The rendering tool may include a camera rendering unit which performs zooming out and focusing of a moving object or zooming in of an editing object in the cut; And an editing director for editing slide, popup, dissolve, fade, narration, shake, pump, overlay, and transform functions as an editing function for a specific cut. The editing directing unit may include: a slide directing icon for directing movement of a specific cut and an object; A pop-up display icon for implementing a pop-up effect of a specific cut and an object; A dissolve direction icon for implementing an effect in which a specific cut and an object are replaced by other cuts and objects in a blur; A fade-directed icon that implements an effect in which specific cuts and objects slowly appear or disappear; A narration presentation icon in which a text or dialogue in a content appears gradually; Shake directing icons for shaking certain cuts and objects; A pump rendering icon that instantly changes the size of a particular cut and object; An overlay rendering icon that blurs and overlaps a specific object over the specific cut and the object, the size and placement of the object or specific cut; And a transform directing icon for implementing the directing to deform the shape of the specific cut.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Other details of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은 콘텐츠 제작자가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제작 서버를 이용하여 새로운 콘텐츠 패키지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제작자가 별도의 제작 도구 등의 필요 없이 손쉽게 온라인 상에서 자신만의 콘텐츠를 제작하고, 배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a content producer to produce a new content package using a content production server provided on a cloud basis.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tent creator can easily create and distribute their own contents online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production too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에 따르면, 콘텐츠 제작자가 콘텐츠 제작 서버의 커스텀 생성부를 통해 원하는 효과를 조합하여 새로운 합성 효과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제작자가 보다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producer may create a new composite effect by combining desired effects through a custom generation unit of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and the created composite effect directing icon with other users. Can shar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tent creator can work more easil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이 적용된 콘텐츠 제작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스텀 생성부를 통해 새로운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스텀 생성부를 통해 새로운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출 편집부를 통해 합성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 및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production screen to which a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generating a new composition effect presentation icon through a custom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generating a new composition effect presentation icon through a custom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generating a composite content through the production edi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duction and use process using the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for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portion thereof that is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an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the steps, and each step is clearly contextual. Unless stated otherwise, they may occur out of the order not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re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이 적용된 콘텐츠 제작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ontent production screen to which the conten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콘텐츠 제작 시스템(10)은 복수의 오브젝트들로 구성되는 소스 콘텐츠에 소정의 효과를 적용하여 합성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제작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ntent produc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for generating a composite content by applying a predetermined effect to a source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objects. can do.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작 시스템(10)은 데이터 통신망(210, 도 6 참조)을 통해 콘텐츠 제작자 단말(C)로 콘텐츠 제작 서버(100)를 플래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콘텐츠 제작자 단말(C)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제작 정보를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nt produc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provide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in the form of a flash to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C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210 (see FIG. 6). In addition, the content produc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C) may be configured to store as an image, video, and the like.

콘텐츠 제작자 단말(C)은 데이터 통신망(210, 도 6 참조)을 통해 콘텐츠 제작 시스템(10)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제작 서버(100)에 연동되어 일련의 콘텐츠 제작 처리를 수행함과 더불어 제작된 새로운 콘텐츠를 콘텐츠 제작 시스템(10)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C is linked to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provided by the content production system 10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210 (refer to FIG. 6) to perform a series of content production processes and to generate new content. And provide it to the content creation system 10.

본 실시예에서 소스 콘텐츠라 함은, 콘텐츠와 콘텐츠 이용자 간 상호 작용이 가능한 인터렉티브 콘텐츠를 지칭할 수 있다. 소스 콘텐츠는 복수의 오브젝트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오브젝트들은 계층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스 콘텐츠는 기존의 이미지 형식의 데이터를 벗어나 콘텐츠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들로 분할하여 계층적 구조를 갖는 복수의 오브젝트들로 표현하고, 소스 콘텐츠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들에 대해 다양한 효과와 콘텐츠 제작자와 콘텐츠 이용자 간 상호 작용을 위한 이벤트를 포함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기본 구성요소를 이미지, 애니메이션, 동영상, BGM, 내레이션 등 멀티미디어 요소를 포함시켜 계층적 복합 오브젝트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컨대, 코믹스 콘텐츠는 장면(SCENE)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면은 컷(CUT)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컷을 구성하는 개체들은 여러 원화, 멀티미디어 클립, 연출 그리고 이용자의 이벤트 종류들로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urce content may refer to interactive content that enables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and the content user. The source conten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objects, and the plurality of objects may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Specifically, the source content is divided into basic elements constituting the content beyond the data of the existing image format and represented as a plurality of objects having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various effects and effects on the basic elements constituting the source content are provided. It may have a form including an event for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creator and the content user. In addition, the basic components can be represented in a hierarchical compound object format by including multimedia elements such as image, animation, video, BGM, and narration. For example, the comic content may be composed of a set of scenes, and the scene may be composed of a set of cuts. The objects that make up a cut can be composed of several originals, multimedia clips, presentations, and types of user events.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스 콘텐츠가 코믹스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소스 콘텐츠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소스 콘텐츠는 웹툰, 리치 미디어, 게임, 광고 또는 이러닝(electronic learning)일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ource content is a comic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source cont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ource content may be webtoons, rich media, games, advertisements or electronic learning.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작 서버(100)는 콘텐츠 제작자가 소스 콘텐츠에 소정의 효과를 적용하여 합성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웹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작 서버(100)는 콘텐츠 제작자가 드래그 & 드롭(Drag &Drop) 방식으로 소스 콘텐츠에 소정의 효과를 적용하여 새로운 합성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콘텐츠 제작자 단말에 웹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is a content producer that can produce a synthetic content by applying a predetermined effect to the source content, it may be provided on a web-based. That is,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may produce a new synthetic content by applying a predetermined effect to the source content in a drag & drop method by the content producer and may be provided on the web to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콘텐츠 제작 서버(100)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자는 코믹스 등을 편집하여 자신만의 고유한 새로운 콘텐츠 패키지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소스 콘텐츠와 다른 콘텐츠 제작자 만의 고유한 스마트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콘텐츠 패키지는 콘텐츠 제작자나 다른 콘텐츠 이용자들이 각각의 단말기에서 웹 기반으로 실행되는 콘텐츠 제작 서버(100)를 통해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Using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a content producer can create a unique new content package by editing a comic or the lik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reate unique smart content only for the content creator different from the source content. Such a new content package can be produced by content creators or other content users performing work through a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that is executed on a web-based basis in each terminal.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작 서버(100)는 연출 구성부(110), 커스텀 생성부(120) 및 연출 편집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may include a rendering configuration unit 110, a custom generation unit 120, and a rendering editor 130.

연출 구성부(110)는 코믹스 콘텐츠에 포함되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에 적용될 수 있는 단위 효과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 아이콘을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연굴 구성부(110)에서 단위 효과는 사전에 스크립트 언어로 프로그래밍되어 콘텐츠 제작자에게 해당 단위 효과를 지칭하는 심볼 즉, 단위 효과 아이콘으로 제공되는 바, 콘텐츠 제작자에게는 단위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래밍이 능력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여기서, 후술하겠지만, 단위 효과란 크기조정, 동작 연출, 줌인, 줌 아웃 등을 의미할 수 있다. The production arrangement unit 110 may serve to provide a content creator with a unit effect icon corresponding to a unit effect that may be applied to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comic content. The unit effect is pre-programmed in a scripting language in the lotus construction unit 110 and provided to the content creator as a symbol indicating the unit effect, that is, a unit effect icon, and the content producer has a separate programming for implementing the unit effect. Does not require ability Her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nit effect may mean resizing, directing motion, zooming in, zooming out,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연출 구성부(110)는 새로운 합성 효과가 생성되면 생성된 합성 효과에 대응하는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단위 효과 아이콘과 함께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즉, 연출 구성부(110)는 각각의 효과와 각 효과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서로 연관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데, 그 효과에는 단위 효과와 합성 효과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new composition effect is generated, the presentation configuration unit 110 may also provide a content effector with a unit effect icon, which provides a composition effect presentation ic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composition effect. That is, the rendering unit 110 stores and manages each effect and icons corresponding to each effect, and the effects may include both unit effects and composite effects.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제작 서버(100)를 이용한 콘텐츠 패키지의 제작 과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믹스 콘텐츠 제작에 주로 사용되는 컷 편집과, 다른 전문 원화 제작도구를 이용해 제작된 원화 소스의 배치 및 애니메이션 연출의 적용에만 초첨을 맞춘 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 설명된 연출은 콘텐츠 제작자와 이용자 간 상호 작용을 필요에 따라 적용 또는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호 작용의 적용을 배제한 채 연출의 구현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content package using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 editing convenience, cut editing main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comic content, and arrangement of the original source produced using other specialized original production tools and An embodiment focusing only on the application of the animation directio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since the description described below may apply or chang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tent creator and the user as necessary, only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oduction without the application of the interac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연출 구성부(110)는 컷 편집툴, 원화배치툴, 및 연출툴을 포함할 수 있다. 컷 편집툴, 원화배치툴, 및 연출툴은 각각 복수 개의 단위 효과 아이콘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ndering configuration unit 110 may include a cut editing tool, an original arrangement tool, and a rendering tool. The cut editing tool, the original arrangement tool, and the rendering tool each provide a plurality of unit effect icons.

컷 편집툴은 소스 콘텐츠의 장면(SCENE)을 구성하는 컷(CUT)의 편집을 위한 컷 그리기, 컷 분할, 컷 복제, 컷 크기조정, 컷 삭제 기능이 각각 포함된 복수 개의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원화배치툴은 소스 콘텐츠의 바탕이 되는 원화에 대한 복제, 크기조정, 삭제 기능이 각각 포함된 복수 개의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 연출툴은 컷과 컷 내의 대상물에 대한 동작 연출 기능이 포함된 복수 개의 아이콘을 제공할 수 있다.The cut editing tool may provide a plurality of icons including cut drawing, cut division, cut duplication, cut resizing, and cut deletion for editing a cut forming a scene of a source content. . The original arrangement tool may provide a plurality of icons each of which duplicates, resizes, or deletes the originals on which the source content is based. The rendering tool may provide a plurality of icons including a function of rendering a motion of the cut and the object within the cut.

본 실시예에서, 연출툴은 컷 내의 편집 대상물의 이동이나 줌인, 줌아웃, 포커싱의 연출을 수행하는 카메라 연출부와, 특정 컷에 대한 편집 기능으로 슬라이드 기능, 팝업, 디졸브, 페이드와 내레이션, 쉐이크, 펌프, 오버레이, 트랜스폼의 기능을 편집하는 편집 연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ndering tool is a camera director which performs the movement, zoom-in, zoom-out, and focusing of the editing object in the cut, and the slide function, pop-up, dissolve, fade and narration, shake, and pump with editing functions for a specific cut. It can consist of an editing director for editing the functions of overlays and transforms.

본 실시예에서, 편집 연출부는 슬라이드 연출 아이콘, 팝업 연출 아이콘, 디졸브 연출 아이콘, 페이드 연출 아니콘, 내레이션 연출 아이콘, 쉐이크 연출 아이콘, 펌프 연출 아이콘, 오버레이 연출 아이콘, 및 트랜스폼 연출 아이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dit direct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lide directing icon, a pop directing icon, a dissolve directing icon, a fade directing icon, a narration directing icon, a shake directing icon, a pump directing icon, an overlay directing icon, and a transform directing ic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슬라이드 연출 아이콘은, 특정 컷 및 오브젝트의 이동을 연출할 수 있다. 팝업 연출 아이콘은, 특정 컷 및 오브젝트의 팝업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디졸브 연출 아이콘은, 특정 컷 및 오브젝트가 다른 컷 및 오브젝트로 흐릿하게 교체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페이드 연출 아이콘은, 특정 컷 및 오브젝트가 서서히 등장하거나 사라지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내레이션 연출 아이콘은, 컨텐츠 내 글이나 대사가 차츰 나타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쉐이크 연출 아이콘은, 특정 컷 및 오브젝트를 흔드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펌프 연출 아이콘은, 특정 컷 및 오브젝트의 크기를 순간적으로 변하게 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오버레이 연출 아이콘은, 오브젝트나 특정 컷의 사이즈와 배치, 특정 컷 및 오브젝트 위로 특정 오브젝트를 흐릿하게 겹치게 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트랜스폼 연출 아이콘은, 특정 컷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연출을 구현할 수 있다.The slide directing icon can direct the movement of a specific cut and an object. The pop-up rendering icon may implement a pop-up effect of specific cuts and objects. The dissolve rendering icon may implement an effect in which one cut and an object are dimly replaced with another cut and an object. The fade presentation icon may implement an effect in which specific cuts and objects gradually appear or disappear. The narration direction icon may implement an effect in which a text or a dialogue in a content gradually appears. The shake directing icon may implement an effect of shaking a specific cut and an object. The pump directing icon may implement an effect of changing the size of a specific cut and an object instantaneously. The overlay presentation icon can implement the effect of blurring the overlapping of a specific object over the specific cut and the size and arrangement of the object or the specific cut. The transform presentation icon may implement a rendering that deforms the shape of a specific cut.

한편, 커스텀 생성부(120)는 단위 효과 아이콘, 즉, 연출툴에서 제공되는 아이콘 중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된 둘 이상의 단위 효과 아이콘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를 합성한 합성 효과와, 합성 효과에 대응하는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커스텀 생성부(120)는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배열된 스토리 보드를 선택받고, 선택된 스토리 보드에 대응하는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선택된 스토리 보드에 배열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효과를 스토리 보드에서의 아이콘 배열 순서에 따라 합성하여 새로운 합성 효과를 생성하고, 새로운 합성 효과에 대응하는 새로운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custom generator 120 synthesizes a unit effect icon, that is, a unit effect corresponding to two or more unit effect icons selected by the content creator among icons provided in the rendering tool, and a synthesis corresponding to the synthesis effect. You can create an effect creation icon. That is, the custom generator 120 selects a storyboard in which one or more icons of the plurality of icons are arranged from the content creator, and receives a request for generating a composite effect directing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toryboard, and arranged in the selected storyboard. Effects corresponding to each icon may be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order of icon arrangement in the storyboard to generate a new composite effect, and a new composite effect display icon corresponding to the new composite effect may be generated.

예를 들어, 콘텐츠 제작자가 연출툴의 페이드 연출 효과, 슬라이드 연출 효과, 펌프 연출 효과, 쉐이크 연출 효과를 합성하기 위해 각 해당하는 아이콘을 드래그 하여 커스텀 생성부(120)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에 순차적으로 배열시키면, 선택한 아이콘의 배열 순서대로 각각의 효과가 순차적으로 발현되도록 합성 효과가 새로 정의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order for a content creator to synthesize fade, slide, pump, and shake effects of a production tool, a user interface (UI) provided by the custom generator 120 by dragging corresponding icons. When arranged sequentially in, the synthetic effect may be newly defined such that each effect is sequentially expressed in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selected icon.

한편, 연출 편집부(130)는 단위 효과 아이콘과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연출 편집부(130)는 복수의 아이콘 중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순차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연출 편집부(130)는 순차적으로 배열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 또는 합성 효과를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에 아이콘 배열 순서에 따라 적용하여 합성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duction editing unit 130 may provide a content creator with a plurality of icons including a unit effect icon and a composite effect production icon. The production editor 130 may sequentially arrange one or more icons selected by the content creator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In addition, the production editing unit 130 may configure the synthesized content by applying the unit effect or the compounding effect corresponding to each icon arranged in sequence to the object selected by the content creator in the order of the icon arrangement.

본 실시예에서, 연출 편집부(130)는 각각의 오브젝트에 적용될 효과를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각각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스토리 보드를 생성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토리 보드에 복수의 아이콘 중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순차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자의 연출 의도에 따라 스토리 보드에 배열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 또는 합성 효과를 스토리 보드에서의 아이콘 배열 순서에 따라 적용 및 구현하여 합성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ndering editor 130 is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 effect to be applied to each object, and generates a storyboard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and creates a content creator among a plurality of icons on the selected storyboard. One or more icons selected by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content producer, the synthesized content may be configured by applying and implementing a unit effect or a compounding effect corresponding to each icon arranged on the storyboard in the order of the icon arrangement in the storyboard.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연출 편집부(130)는 타임라인 설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연출 편집부(130)는 타임라인에 맞춰서 합성 콘텐츠에 효과를 적용시킬 수 있고, 각 효과가 적용될 구체적인 시간은 타임라인에 아이콘이 배열된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줌 인 효과 후 3초 뒤 샤우팅 등, 전체 스토리 보드를 3초짜리 타임라인으로 보면 왼쪽에서 1/3 지점에서 나타나고 아이콘을 놓으면 1초뒤에 사라질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ndering editor 130 may include a timeline setting function. That is, the production editing unit 130 may apply effects to the synthesized content according to the timeline, and the specific time to which each effect is applied may be determined by the relative position where the icons are arranged in the timeline. For example, if you look at the entire storyboard as a three-second timeline, such as 3 seconds after the zoom-in effect, you can set it so that it appears at 1/3 of the left and disappears after 1 second.

한편,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작 서버(100)에는 레이어 병합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레이어 병합부는 연출 편집부(130)에 의해 생성되는 각각의 합성 콘텐츠(컷(CUT))를 하나 이상 결합하여 하나의 장면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을 포함하는 콘텐츠 패키지를 구성할 수 있다. 레이어 병합부는 연출 구성부(110), 커스텀 생성부(120) 및 연출 편집부(130)를 통해 완성된 각각의 합성 콘텐츠를 병합시켜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변환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may include a layer merger (not shown). The layer merging unit may combine one or more pieces of each composite content (CUT) generated by the production editing unit 130 to generate one scene and configure a content package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scenes. The layer merging unit merges each of the synthesized contents completed through the rendering unit 110, the custom generator 120, and the rendering editor 130 into one multimedia content.

한편, 콘텐츠 제작자 단말(C)은 콘텐츠 제작 서버(100)를 따라 콘텐츠 제작을 위한 각종 화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작 서버(100)에 따라 콘텐츠 제작자 단말(C)을 통해 도 2와 같은 콘텐츠 제작 화면(140)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C may provide various screen information for content production along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That is, the content production screen 140 as shown in FIG. 2 may be provided through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C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작 화면(140)은 콘텐츠 레이아웃 영역(150)과, 연출 구성부(110)에서 제공되는 컷 편집툴, 원화배치툴, 및 연출툴이 배치되는 연출 구성 영역(160), 커스텀 생성부(120)가 배치되는 커스텀 생성 영역(170), 연출 편집부(130)가 배치되는 연출 편집 영역(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레이아웃 영역(150)은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오브젝트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출 구성부(110), 커스텀 생성부(120), 및 연출 편집부(130)의 단위 효과 및 합성 효과들 각각은 개별적인 아이콘으로 콘텐츠 제작 화면(140)에 표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content creation screen 140 includes a content layout area 150 and a production configuration area in which a cut editing tool, an original arrangement tool, and a production tool provided by the production configuration unit 110 are disposed ( 160, a custom generation region 170 in which the custom generator 120 is disposed, and a production editing region 180 in which the production editing unit 130 is disposed. The content layout area 150 is a portion in which each object selected by the content creator is disposed.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each of the unit effects and the compounding effects of the director configuration unit 110, the custom generator 120, and the director edit unit 130 may be displayed on the content creation screen 140 as a separate icon.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스텀 생성부(120)를 통해 새로운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process for generating a new composition effect directing icon through the custom generato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커스텀 생성부(120)는 단위 효과 아이콘 중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된 둘 이상의 단위 효과 아이콘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를 합성한다(S100). 단위 효과의 합성은 앞서 설명한 연출 편집부(130)에서 합성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first, the custom generator 120 synthesizes unit effects corresponding to two or more unit effect icons selected by the content creator among the unit effect icons (S100). Synthesis of the unit effect may use the same method as the generation of the synthesis content in the production editing unit 130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커스텀 생성부(120)는 생성된 합성 효과에 대응하는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생성한다(S110). 커스텀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은 연출 구성부(110)에 등록되고, 연출 구성부(110)에 등록된 다른 단위 효과들과 마찬가지로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Next, the custom generator 120 generates a synthetic effect directing ic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synthetic effect (S110). The composite effect presentation icon generated by the custom generator 120 may be registered in the production configuration unit 110 and may be provided to the content creator like other unit effects registered in the production configuration unit 110.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스텀 생성부를 통해 새로운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Subsequently, a process for generating a new composition effect presentation icon through the custom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커스텀 생성부(120)는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배열된 스토리 보드를 선택받는다(S200). 이때, 아이콘은 커스텀 생성부(120)통해 생성된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이거나, 단위 효과 아이콘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4, first, the custom generator 120 receives a storyboard in which one or more icons are arranged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from the content producer (S200). In this case, the icon may be a composite effect directing icon generated by the custom generator 120 or a unit effect icon.

다음으로, 콘텐츠 제작자가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 생성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작 서버(100)의 커스텀 생성부(120)로 보내면, 커스텀 생성부(120)는 선택된 스토리 보드에 대응하는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 생성 요청을 수신하게 되고, 선택된 스토리 보드에 배열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효과를 스토리 보드에서의 아이콘 배열 순서에 따라 합성하여 새로운 합성 효과를 생성한다(S220).Next, when the content producer sends a signal for generating a composite effect production icon to the custom generator 120 of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the custom generator 120 may generate a request for generating a composite effect production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toryboard. In operation S220, a new synthesis effect is generated by synthesizing an effect corresponding to each icon arranged in the selected storyboard according to the icon arrangement order in the storyboard.

다음으로, 커스텀 생성부(120)는 새로운 합성 효과에 대응하는 새로운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생성한다(S230). 커스텀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은 연출 구성부(110)에 등록되고, 연출 구성부(110)에 등록된 다른 단위 효과들과 마찬가지로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Next, the custom generator 120 generates a new composition effect presentation icon corresponding to the new composition effect (S230). The composite effect presentation icon generated by the custom generator 120 may be registered in the production configuration unit 110 and may be provided to the content creator like other unit effects registered in the production configuration unit 110.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출 편집부를 통해 합성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process for generating the synthetic content through the production editing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출 편집부(130)는 각각의 오브젝트에 적용될 단위 효과 아이콘과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 중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배열되는 스토리 보드를 콘텐츠 제작자에게 생성하여 제공한다(S300).As illustrated in FIG. 5, the production editing unit 130 creates and provides a storyboard to a content creator, in which at least one icon selected by a content producer among unit effect icons and a composite effect production icon to be applied to each object is arranged. (S300).

다음으로, 연출 편집부(130)는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고(S310), 스토리 보드에 배열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 또는 합성 효과를 스토리 보드에서의 아이콘 배열 순서에 따라 오브젝트에 적용하여 합성 콘텐츠를 구성한다(S320).Next, the production editing unit 130 sequentially arranges one or more icons selected by the content creator (S310), and arranges unit effects or composite effects corresponding to each icon arranged in the storyboard in the storyboard. In step S320, the synthesized content is configured by applying the same to the object.

상술한 과정을 통해 구성된 복수의 합성 콘텐츠들은 레이어 병합부에서 결합되어 하나의 장면을 생성하고, 복수의 장면을 포함하는 콘텐츠 패키지를 구성하게 된다(S330).The plurality of composite contents configured through the above process are combined in the layer merging unit to generate one scene, and constitute a content package including the plurality of scenes (S33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작 시스템(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왑(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통신망(210)과, 콘텐츠 뷰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콘텐츠 제작 서버(100)를 통해 제작된 새로운 스토리를 가지는 코믹스 콘텐츠(즉, 콘텐츠 패키지)를 수집하고 수집된 코믹스 콘텐츠를 독자측 이용자가 독자측 이용자 단말(U)의 콘텐츠 뷰어(300)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아볼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ent production system 10 includes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210 includ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6, and a content viewer program. To the user, and collect the comic content (that is, the content package) having the new story produced through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and the collected comic content is read by the reader on the content viewer 300 of the reader user's terminal (U). It may include a content management server 200 to be able to download using).

콘텐츠 관리 서버(200)는 콘텐츠 제작 서버(100)를 통해 제작된 새로운 코믹스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코믹스 콘텐츠 DB(210)와, 독자측 이용자가 코믹스 콘텐츠를 다운로드 할 경우 책정되는 결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결제정보 DB(220)와, 독자측 이용자가 독자측 이용자 단말(U)에 탑재된 콘텐츠 뷰어를 이용하여 코믹스 콘텐츠 DB(210)에 등록된 코믹스 콘텐츠를 검색하고, 원하는 코믹스 콘텐츠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서비스 모듈(230)과, 독자측 이용자가 콘텐츠 서비스 모듈(230)을 통해 코믹스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경우 코믹스 콘텐츠에 책정된 요금을 통신 요금에 포함시켜 결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결제관리모듈(240)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200 stores the comic content DB 210 that stores new comic content produced through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and billing information that is set when the reader user downloads the comic content. The payment information DB 220 and the reader of the reader can search for the comic content registered in the comic content DB 210 using the content viewer mounted on the reader user terminal U, and download the desired comic content. The content management module 230 and the payment management module 240 for allowing the reader to download the comic content through the content service module 230 to include the fee set in the comic content in the communication fee to be settled. It can be configured as.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10)의 운영방법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An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production system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콘텐츠 관리 서버(200)와 연결되는 콘텐츠 제작 서버(100)는 콘텐츠 제작자 단말(C)을 통해 온라인 접속을 이룬 콘텐츠 제작자에게 콘텐츠 제작 인터페이스를 제공(S400)하여 웹 상에서 작업하여 새로운 콘텐츠 패키지, 예를 들어 코믹스 콘텐츠를 제작(S410)하고 제작된 코믹스 콘텐츠를 코믹스 콘텐츠 DB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7, first,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connected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200 provides a content production interface to a content producer who has made an online connection through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C (S400). By working on the web, a new content package, for example, comic content is produced (S410), and the produced comic content can be uploaded to the comic content DB.

이때, 콘텐츠 제작자는 콘텐츠 제작자의 개인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소스 콘텐츠를 콘텐츠 제작 서버(100)를 통해 불러오기를 하여 웹 상에서 작업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ent producer may work on the web by importing the source content through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from the personal database of the content producer.

개인 데이터 베이스에는 콘텐츠 제작자가 기존에 제공되는 소스/템플릿에서 선택한 데이터와 콘텐츠 제작자가 작성한 데이터, 두 가지가 있는데, 콘텐츠 제작자는 이 중 무엇이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것이라면 자유롭게 콘텐츠 제작 서버(100)에 삽입 가능하다.There are two types of personal databases: content creators select from existing sources / templates and data authors create. If any of these are stored in the database, they can be freely inserted into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100. It is possible.

한편, 온라인 접속을 이룬 독자측 이용자가 코믹스 콘텐츠 검색 요청 신호를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콘텐츠 서비스 모듈(230)로 보내면, 콘텐츠 서비스 모듈(230)은 검색 요청 신호를 수신(S420)하여 코믹스 콘텐츠 DB(210)에 등록된 코믹스 콘텐츠(DB)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지를 판단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ader-side user who has made an online connection sends the comic content search request signal to the content service module 230 of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200, the content service module 230 receives the search request signal (S420) and the comic content content. The comic content DB registered in the DB 210 is searched to determine whether to download.

그리고 독자측 이용자가 코믹스 콘텐츠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콘텐츠 서비스 모듈(230)로 보내면, 서비스 모듈(230)은 다운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판단 결과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경우 독자측 이용자가 선택한 코믹스 콘텐츠가 다운로드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S430).When the reader user sends the comic content download request signal to the content service module 230 of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200, the service module 230 receives the download request signal and selects the reader when the reader user wants to download the result. The comic content can be downloaded (S430).

한편, 콘텐츠 관리 서버(200)의 결제 관리모듈(240)는 독자측 이용자가 콘텐츠 서비스 모듈(230)을 통해 소정 코믹스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은 경우 그에 해당되는 서비스 요금을 체크하고, 서비스 요금을 독자측 이용자의 단말(U)의 통신 요금에 누적시켜 청구되도록 한다. 이때, 결제 관리모듈(240)은 코믹스 콘텐츠의 서비스 요금을 결제정보 DB(220)에 독자측 이용자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yment management module 240 of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200 checks the corresponding service fee when the reader user downloads the predetermined comic content through the content service module 230, and checks the service fee of the reader user. Accumulated and charged to the communication charge of the terminal (U). In this case, the payment management module 240 may store and manage the service fee of the comic content by matching the payment information DB 220 with the reader side user information.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t is mere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콘텐츠 제작 서버 110: 연출 구성부
120: 커스텀 생성부 130: 연출 편집부
200: 콘텐츠 관리 서버 201: 데이터 통신망
210: 코믹스 콘텐츠 DB 220: 결제정보 DB
230: 콘텐츠 서비스 모듈 240: 결제 관리 모듈
100: content production server 110: the production unit
120: custom generator 130: direction editing unit
200: content management server 201: data communication network
210: Comic content DB 220: Billing information DB
230: content service module 240: payment management module

Claims (8)

복수의 오브젝트들로 구성되는 소스 콘텐츠에 효과를 적용하여 합성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제작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 서버는 연출 구성부, 커스텀 생성부 및 연출 편집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출 구성부는 상기 소스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들에 적용될 수 있는 단위 효과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 아이콘 및 상기 커스텀 생성부에서 생성된 합성 효과에 대응하는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상기 단위 효과 아이콘과 함께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커스텀 생성부는 상기 단위 효과 아이콘 중 상기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된 둘 이상의 단위 효과 아이콘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를 합성한 합성 효과와 상기 합성 효과에 대응하는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생성하며,
상기 연출 편집부는 상기 단위 효과 아이콘과 상기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을 상기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순차적으로 배열하며, 순차적으로 배열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 또는 합성 효과를 상기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에 아이콘 배열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합성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
It includes a content production server for generating a composite content by applying an effect to the source conten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objects,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includes a rendering configuration unit, a custom generator and a production editing unit,
The rendering unit includes a unit effect icon corresponding to a unit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source content, and a composition effect directing icon corresponding to a synthesis effect generated by the custom generator together with the unit effect icon. To the content creator,
The custom generator generates a composite effect combining a unit effect corresponding to two or more unit effect icons selected by the content creator among the unit effect icons, and a synthesis effect presentation icon corresponding to the synthesis effect,
The production editing unit provides the content creator with a plurality of icons including the unit effect icon and the composite effect production icon, sequentially arranges one or more icons selected by the content producer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and sequentially Generating the composite content by sequentially applying a unit effect or a composite effec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rranged icons in the order of icon arrangement to an object selected by the content producer;
Content cre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 편집부는,
각각의 오브젝트에 적용될 효과를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상기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배열되는 스토리 보드를 상기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스토리 보드에 배열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단위 효과 또는 합성 효과를 상기 스토리 보드에서의 아이콘 배열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합성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duction editing unit,
A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n effect to be applied to each object, comprising: providing the content producer with a storyboard in which one or more icons selected by the content creator are arranged among the plurality of icons, And generating a composite content by sequentially applying a unit effect or a composite effect corresponding to an icon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icons in the storybo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텀 생성부는,
상기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의 아이콘이 배열된 스토리 보드를 선택받고, 선택된 스토리 보드에 대응하는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 선택된 스토리 보드에 배열된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효과를 상기 스토리 보드에서의 아이콘 배열 순서에 따라 구현하도록 합성하여 새로운 합성 효과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합성 효과에 대응하는 새로운 합성 효과 연출 아이콘을 생성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ustom generation unit,
An effect corresponding to each icon arranged on the selected storyboard when the storyboard in which one or more icons of the plurality of icons are arranged is selected from the content producer, and a request for generating a composition effect directing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toryboard is received; Synthesizing to implement according to the order of icon arrangement in the storyboard, and creating a new composite effect, and creating a new composite effect presentation icon corresponding to the new composite eff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작 서버는,
상기 연출 편집부에서 생성된 각각의 합성 콘텐츠를 하나 이상 결합하여 하나의 장면을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면을 포함하는 콘텐츠 패키지를 구성하는 레이어 병합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ent production server,
And a layer merging unit for generating a scene by combining one or more pieces of each of the composite contents generated by the production editing unit, and configuring a content package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sce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작 서버에서 제작된 합성 콘텐츠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합성 콘텐츠를 독자측 이용자 단말에 제공하며, 상기 단위 효과가 적용된 오브젝트에 대한 재생을 수행하는 콘텐츠 뷰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content management server including a content viewer program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synthesized content produced by the content producing server, providing the stored synthesized content to a user terminal of the reader, and reproducing the object to which the unit effect is applied. Including content cre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 구성부는,
소스 콘텐츠의 장면(SCENE)을 구성하는 컷(CUT)의 편집을 위한 컷 그리기, 컷 분할, 컷 복제, 컷 크기조정 및 컷 삭제 기능 각각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아이콘을 제공하는 컷 편집툴;
소스 콘텐츠의 바탕이 되는 원화에 대한 복제, 크기조정 및 삭제 기능 각각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아이콘을 제공하는 원화배치툴; 및
상기 컷과 컷 내의 대상물에 대한 동작 연출 기능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아이콘을 제공하는 연출툴
을 포함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duction component,
A cut editing tool providing a plurality of icons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f a cut drawing, cut division, cut duplication, cut size adjustment, and cut deletion functions for editing a cut forming a scene of a source content;
An original arrangement tool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icons provided to correspond to respective duplication, resizing, and deletion functions of the original original content of the source content; And
Directing tool that provides a plurality of icons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cut and the motion directing functions for the object in the cut
Content creation system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툴은,
상기 컷 내의 편집 대상물의 이동이나 줌인, 줌아웃 및 포커싱 연출을 수행하는 카메라 연출부; 및
특정 컷에 대한 편집 기능으로 슬라이드, 팝업, 디졸브, 페이드, 내레이션, 쉐이크, 펌프, 오버레이 및 트랜스폼 기능을 편집하는 편집 연출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rendering tool,
A camera director which performs movement or zoom-in, zoom-out, and focusing of the editing object in the cut; And
Editing director for editing slides, popups, dissolves, fades, narrations, shakes, pumps, overlays, and transforms with editing capabilities for specific cuts
Content creation system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연출부는,
특정 컷 및 오브젝트의 이동을 연출하는 슬라이드 연출 아이콘;
특정 컷 및 오브젝트의 팝업효과를 구현하는 팝업 연출 아이콘;
특정 컷 및 오브젝트가 다른 컷 및 오브젝트로 흐릿하게 교체되는 효과를 구현하는 디졸브 연출 아이콘;
특정 컷 및 오브젝트가 서서히 등장하거나 사라지는 효과를 구현하는 페이드 연출 아이콘;
컨텐츠 내 글이나 대사가 차츰 나타나는 내레이션 연출 아이콘;
특정 컷 및 오브젝트를 흔드는 쉐이크 연출 아이콘;
특정 컷 및 오브젝트의 크기를 순간적으로 변하게 하는 펌프 연출 아이콘;
오브젝트나 특정 컷의 사이즈와 배치, 특정 컷 및 오브젝트 위로 특정 오브젝트를 흐릿하게 겹치게 하는 오버레이 연출 아이콘; 및
특정 컷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연출을 구현하는 트랜스폼 연출 아이콘
을 포함하는 콘텐츠 제작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diting director unit,
A slide rendering icon for rendering a specific cut and movement of an object;
A pop-up display icon for implementing a pop-up effect of a specific cut and an object;
A dissolve direction icon for implementing an effect in which a specific cut and an object are replaced by other cuts and objects in a blur;
A fade-directed icon that implements an effect in which specific cuts and objects slowly appear or disappear;
A narration presentation icon in which a text or dialogue in a content appears gradually;
Shake directing icons for shaking certain cuts and objects;
A pump rendering icon that instantly changes the size of a particular cut and object;
An overlay rendering icon that blurs and overlaps a specific object over the specific cut and the object, the size and placement of the object or specific cut; And
Transform directing icon embodying the look of a particular cut
Content creation system comprising a.
KR1020180099311A 2018-08-24 2018-08-24 Content production system KR202000229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311A KR20200022995A (en) 2018-08-24 2018-08-24 Content produ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311A KR20200022995A (en) 2018-08-24 2018-08-24 Content produc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995A true KR20200022995A (en) 2020-03-04

Family

ID=69783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311A KR20200022995A (en) 2018-08-24 2018-08-24 Content produc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99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744B1 (en) * 2021-10-21 2022-09-02 구재호 Apparatus for producing movingtoon through scene based timelin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744B1 (en) * 2021-10-21 2022-09-02 구재호 Apparatus for producing movingtoon through scene based timelin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21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blishing and/or sharing media presentations over a network
US11354022B2 (en) Multi-directional and variable speed navigation of collage multi-media
US8161452B2 (en) Software cinema
KR100996682B1 (en) Rich Content Cre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Media That Can Record Computer Program for Method Thereof
US9092437B2 (en) Experience streams for rich interactive narratives
US9043726B2 (en) Position editing tool of collage multi-media
US20070162857A1 (en) Automated multimedia authoring
US9843823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creation of information modules, including server, media searching, user interface and/or other features
US20080010585A1 (en) Binding interactive multichannel digital document system and authoring tool
US10296158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features of creation/viewing/utilization of information modules such as mixed-media modules
US11373028B2 (en) Position editing tool of collage multi-media
US20110113316A1 (en) Authoring tools for rich interactive narratives
US11099714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creation/display/utilization of information modules, such as mixed-media and multimedia modules
US10504555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features of creation/viewing/utilization of information modules such as mixed-media modules
KR20180046419A (en) System of making interactive smart contents based on cloud service
KR20200022995A (en) Content production system
Shim et al. CAMEO-camera, audio and motion with emotion orchestration for immersive cinematography
Christodoulou et al. Digital art 2.0: art meets web 2.0 trend
EP2795444A1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features of creation/viewing/utilization of information modules
Zhu et al. A 360-Degree Video Shooting Technique that Can Avoid Capturing the Camera Operator in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