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645A - Music output apparatus using sensor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usic output apparatus using sensor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645A
KR20200022645A KR1020180098496A KR20180098496A KR20200022645A KR 20200022645 A KR20200022645 A KR 20200022645A KR 1020180098496 A KR1020180098496 A KR 1020180098496A KR 20180098496 A KR20180098496 A KR 20180098496A KR 20200022645 A KR20200022645 A KR 20200022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sensor
output
gesture
p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데키 이소다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645A/en
Priority to PCT/KR2019/009672 priority patent/WO2020040447A1/en
Publication of KR2020002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6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0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ovement interpretation, i.e. capturing and recognizing a gesture or a specific kind of movement, e.g. to control a musical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91Angle sensing for musical purposes, using data from a gyroscope, gyrometer or other angular velocity or angular movement sensing dev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95Acceleration sensing or accelerometer use, e.g. 3D movement computation by integration of accelerometer data, angle sensing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i.e. gravity sens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05Beam sensing or control, i.e. input interfaces involving substantially immaterial beams, radiation, or fields of any nature, used, e.g. as a switch as in a light barrier, or as a control device, e.g. using the theremin electric field sensing principle
    • G10H2220/411Light beams
    • G10H2220/421Laser be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561Piezoresistive transducers, i.e. exhibiting vibration, pressure, force or movement -dependent resistance, e.g. strain gauges, carbon-doped elastomers or polymers for piezoresistive drumpads, carbon microphon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outputting music using a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comprises: a sensor unit including any one of a pressure sensor,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 gestur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gesture of a user using sensed data; a control unit for changing a pre-stored music or generating a new music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gesture;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changed music or the generated music. Accordingly,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music treatment even without construction of expensive equipment, and is easy to produce and edit music to induce interest of infants. In addition, people majoring in music can conveniently have practice related to absolute pitch or can perform impromptu performance while carrying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센서를 이용한 음악 출력 장치 및 그 방법{MUSIC OUTPUT APPARATUS USING SENSOR AND METHOD THEREOF}Music output device using sensor and its method {MUSIC OUTPUT APPARATUS USING SENS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한 음악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스처를 이용하여 음악의 변경 및 새로운 음악의 제작을 하는 센서를 이용한 음악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 output device using a sensor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sic output device using a sensor to change the music and to produce a new music using a gesture and a method thereof.

사람이 음악을 작곡하거나 편곡을 하기 위해서는 다년간 음악에 대해 배워야 하고, 음악의 악보는 사람들이 해석하고 읽는데 어려움이 있다.In order to compose or arrange music, people have to learn music for many years, and music scores are difficult for people to interpret and read.

이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음악을 창조하거나 즐기지 못하고 음악을 배우는 것을 기피하게 되며, 일부의 사람들은 음악을 배우기 전에 겁을 먹으며, 심리치료 방법인 뮤직 테라피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장비를 코치를 하는 사용자가 모든 것을 알고 코치를 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This is why most people avoid learning music without creating or enjoying music, and some people are scared before learning music, and some people who coach a lot of equipment to apply music therapy, psychotherapy, There was a downside to knowing everything and coaching.

또한, 음악 신동의 절대음감을 체크하거나 각 악기들의 음을 맞추기 위해서는 각 악기에 맞는 전문적인 장비를 이용해야 하며 절대음감을 체크하기 위해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사람이 확인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음악 공연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악기와 음향시설을 갖추어 공연을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o check the absolute pitch of music prodigy or to match the notes of each instrument, it is necessary to use specialized equipment for each instrument,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professionally trained person must check to check the absolute pitch. In order to perform a performance with a variety of musical instruments and sound facilities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costs are generated.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장비를 구비해야 하고, 각각의 장비의 사용법을 익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use these functions, it is necessary to have equipment having respective functions, and there is a problem of learning how to use each equipmen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음악을 좀더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해 각각의 기능을 하나의 장비로 통합하는 것이 대두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make music more familiar, the integration of each function into one device is emerging.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국내 등록특허 10-0312750(2001.08.16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0312750 (2001.08.16 publish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스처를 이용하여 음악의 변경 및 새로운 음악의 제작을 하는 센서를 이용한 음악 출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music output device and a method using a sensor for changing music and producing new music using gestures.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를 이용한 음악 출력 장치에 있어서, 압력센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부, 센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제스처 인식부, 상기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음악을 변경시키거나 새로운 음악을 생성시키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변경된 음악 또는 생성된 음악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music output device using a sensor, a sensor unit including any one of a pressure sensor,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the user's gesture using the sensed data And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a gesture, a controller for changing previously stored music or generating new music in response to the recognized gesture,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changed or generated music.

현재 출력되는 음악의 음정 또는 악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색상을 변경시키는 LED부,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레이저를 발사시키는 레이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itch or score of the currently output music, an LED unit for changing a color according to the user's gesture, and a laser unit for firing a laser according to the user's gesture.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출력되는 음악의 이퀄라이저, 볼륨의 증감, 음악의 제목, 진행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t least one of an equalizer, a volume increase, a music title, and a running time of the currently output music.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센싱되는 압력 값이 높아지면 출력되는 음악의 볼륨을 증가시키고,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음악의 속도, 음정, 일시 정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며,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전곡 또는 다음곡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increase the volume of music output when the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is increased, and change at least one of the speed, pitch, and pause of the output music in response to the data sensed by the gyro sensor. And, it can be changed to the previous song or the next song in response to the data sens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를 통해 획득한 전면의 사물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음악의 음정, 속도, 볼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pitch, speed, and volume of the music in response to the distance to the object on the front surface obtained through the laser.

음악 출력 장치를 이용한 음악 출력 방법에 있어서, 압력센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 센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음악을 변경시키거나 새로운 음악을 생성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변경된 음악 또는 생성된 음악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usic output method using a music output device, comprising: sensing data from one of a pressure sensor,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recognizing a user's gesture using the sensed data, and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gesture Changing previously stored music or generating new music, and outputting the changed or generated music.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음악 출력 장치를 이용하면, 고가의 장비를 구축하지 않아도 음악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음악의 제작 및 음악의 편곡이 쉽기 때문에 영, 유아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music output device using th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can be used for music therapy without constructing expensive equipment, and it is easy to produce music and arrange music, so it is interesting to young and toddlers. May cause

또한, 음악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음악 출력 장치를 휴대하면서 편리하게 절대 음감과 관련한 연습을 수행하거나, 즉흥 공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people majoring in music may carry out exercises related to absolute pitch or perform improvisation while conveniently carrying a music output device using a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출력 장치를 나타낸 실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sic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realistic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sic out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sic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출력 장치(100)는 센서부(110), 제스처 인식부(120), 제어부(130), 출력부(140)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150), LED부(160) 및 레이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music out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10, a gesture recognition unit 120, a controller 130, and an output unit 140. 150, the LED unit 160 and the laser unit 170 may be further included.

먼저, 센서부(110)는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압력센서(111), 자이로 센서(112) 및 가속도 센서(113)를 포함한다. First, as shown in FIG. 2, the sensor unit 110 includes a pressure sensor 111, a gyro sensor 112, and an acceleration sensor 113.

압력센서(111)는 두 물체 간의 상호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물리적 양을 측정하는 디바이스로서 힘의 전달 크기, 힘의 방향 등을 측정하는 데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센서이다.The pressure sensor 111 is a device for measuring a physical quantity representing the magnitude of the force interacting between two objects, and is a sensor widely used to measure the magnitude of the force transmission and the direction of the force.

또한, 압력센서(111)는 힘의 변화에 따른 재료의 변위, 변형, 진동수 변화 및 열전도율 변화 등을 통해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음악 출력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볼륨을 증감시킨다. 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111 measures the pressure through the displacement, deformation, frequency change, and thermal conductivity change of the material according to the force change, and the volume of music output from the music output device 100 using the measured value. Increase or decrease.

다음으로, 자이로 센서(112)는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기준점을 기준으로 X, Y, Z축의 좌표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음악 출력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음정, 속도를 조절하고 음악의 실행 및 정지를 실행한다.Next, the gyro sensor 112 measures the coordinates of the X, Y, and Z axes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as shown in FIG. 3, and measures the pitch and speed of the music output from the music output device 100 using the measured values. Adjust and play and stop music.

그리고, 가속도 센서(113)는 단위시간당 변화율을 측정하는 센서로, 측정된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재생 중인 음악을 다음곡 또는 이전곡으로 변경시킨다. In addition, the acceleration sensor 113 is a sensor that measures the rate of change per unit time, and changes the music being played back to the next or previous song by using the measured acceleration value.

다음으로, 제스처 인식부(120)는 센서부(110)에서 측정되는 각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한다. Next, the gestur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a gesture by using each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이때, 제스처 인식부(120)는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기능을 이용하여 센서부(110)로부터 측정된 각각의 데이터를 제스처로 인식한다.At this time, the gestur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each data measured from the sensor unit 110 as a gesture using a 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function.

여기서,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는 음악 악기들을 디지털로 접속하여 악기와 악기, 악기와 컴퓨터 등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음악 기구의 입출력 호환성을 제공하는 표준이다.Here, 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is a standard that provides input / output compatibility of musical instruments that digitally connect musical instruments and process them with digital signals such as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and computers.

즉, MIDI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음악적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In other words, using MIDI, the user can automatically convert the measured data into a musical signal using various sensor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출력 장치를 나타낸 실사도이다.4 is a photo-realistic diagram illustrating a music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음악 출력 장치(100)의 일부 구성 요소에 대해서만 표시하였다.In FIG. 4, only some components of the music output apparatus 100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제스처 인식부(120)는 사용자가 음악 출력 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을 이동하거나 회전을 하면 각각의 압력센서(111), 자이로 센서(112) 및 가속도 센서(113)가 측정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다.As shown in FIG. 4, the gesture recognition unit 120 may move each hand or rotate the hand while holding the music output device 100. Each of the pressure sensor 111, the gyro sensor 112, and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used. The user's gesture is recognized using the data measured by 113.

제어부(130)는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음악의 볼륨, 속도, 음정, 곡 변경, 정지 및 실행 또는 새로운 음악을 생성한다.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volume, a speed, a pitch, a song change, stop and play, or a new music of previously stored music in response to the recognized gesture.

즉, 제어부(130)는 압력 센서(111)에 의해 센싱되는 압력 값이 높아지면 출력되는 음악의 볼륨을 증가시킨다.That is, the controller 130 increases the volume of music output when the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111 increases.

또한, 제어부(130)는 자이로 센서(112)로부터 센싱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음악의 속도, 음정, 일시 정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며, 가속도 센서(1130)로부터 센싱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전곡 또는 다음곡으로 변경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changes at least one of the speed, pitch, and pause of the output music in response to the data sensed by the gyro sensor 112, and transfers the data in response to the data sens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130. Change to the next song or song.

다음으로, 출력부(140)는 제어부(130)를 통해 변경된 음악이나 생성된 음악을 출력한다.Next, the output unit 140 outputs the changed music or the generated music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마찬가지로, 출력부(140)는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음악을 출력하거나 실시간으로 생성되고 있는 음악을 출력한다.Similarly, the output unit 140 outputs music which is changed in real time or outputs music which is generated in real time.

디스플레이부(150)는 출력되는 음악의 이퀄라이저, 볼륨의 증감, 음악의 제목, 진행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서 배경색을 변경시킨다.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at least one of an output music equalizer, a volume increase or decrease, a music title, and a running time, and changes a background color according to a user's gesture.

다음으로, LED부(160)는 사용자의 변경되는 제스처에 따라서 LED의 색 및 투명도를 변경한다.Next, the LED unit 160 changes the color and the transparency of the LED according to the user's changed gesture.

다음으로, 레이저부(170)는 인식된 제스처에 따라 레이저를 발사한다.Next, the laser unit 170 emits a laser according to the recognized gesture.

또한, 제어부(130)는 레이저부(170)에서 발사된 레이저를 이용하여 전면의 사물과의 거리를 획득하고, 사물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음악의 음정, 속도, 볼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obtains the distance to the front object by using the laser emitted from the laser unit 170, and changes at least one of the pitch, speed, and volume of the music in correspondence to the distance to the object.

즉, 제어부(130)는 전면의 사물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음악의 음정, 속도, 볼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고, 전면의 사물과의 거리가 멀어지면 음악의 음정, 속도, 볼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킨다.That is, the controller 130 increases at least one of the pitch, speed, and volume of the music when the distance to the front of the object is closer, and at least one of the pitch, speed, and volume of the music when the distance from the front of the object is farther away. Decrease.

이하에서는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출력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usic out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usic out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악 출력 장치(100)는 압력센서(111), 자이로 센서(112) 및 가속도 센서(113)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다(S510).First, the music outpu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sensing data using the pressure sensor 111, the gyro sensor 112,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13 (S510).

여기서, 압력센서(111)는 사용자가 음악 출력 장치(100)를 누르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자이로 센서(112)는 사용자가 음악 출력 장치(100)를 좌우, 상하 및 앞뒤로 이동하는 데이터를 측정하고, 가속도 센서(113)는 사용자가 음악 출력 장치(100)가 이동하는 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Here, the pressure sensor 111 obtains the data that the user presses the music output device 100, the gyro sensor 112 measures the data that the user moves the left and right,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the music output device 100, The acceleration sensor 113 obtains data about the speed at which the user moves the music output device 100.

이때, 획득되는 각각의 센싱 데이터는 각각의 센서별로 다양한 형태의 값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음악 출력 장치(100)는 측정된 각 센서의 값을 0과 1 사이의 값으로 정규화하여 변경한다.In this case, each of the acquired sensing data may be measured with various values for each sensor, and the music output apparatus 100 normalizes and changes the measured value of each sensor to a value between 0 and 1.

그러면, 제스처 인식부(120)는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다(S520).Then, the gesture recognition unit 120 recognizes the user's gesture using the obtained sensing data (S520).

즉, 제스처 인식부(120)는 S510단계에서 측정한 각각의 압력센서(111), 자이로 센서(112) 및 가속도 센서(113)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전, 좌우, 상하 및 앞뒤로 이동하는 제스처를 획득한다That is, the gesture recognition unit 120 rotates, moves left, right, up and down and back and forth using the sensing data of each of the pressure sensor 111, the gyro sensor 112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13 measured in step S510. Obtain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제스처 인식부(120)가 인식한 제스처에 대응하여 음악을 변경시키거나 새로운 음악을 생성한다(S530).Next, the controller 130 changes the music or generates new music in response to the gesture recognized by the gesture recognition unit 120 (S530).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압력센서(111)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 값이 설정된 값보다 크면 음악 출력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볼륨을 증가시키고, 이와 반대로 설정된 값보다 작은 값이 측정되면 음악 출력 장치의 볼륨을 감소시킨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increases the volume output from the music output apparatus 100 when the data value measured from the pressure sensor 111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and conversely, when the value smaller than the set value is measured, the music output is performed. Decrease the volume of the device.

또한, 제어부(130)는 압력센서(111)의 데이터 값이 측정되지 않으면 재생되고 있는 볼륨을 유지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intains the volume being reproduced if the data value of the pressure sensor 111 is not measured.

예를 들어, 설정된 기준 값이 10이라고 가정하면, 압력센서(111)에 측정되는 값이 15일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음악의 볼륨을 증가시키고, 압력센서(111)에 측정되는 값이 8인 경우에는 음악의 볼륨을 감소시킨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et reference value is 10, when the valu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111 is 15, the controller 130 increases the volume of music, and the valu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111 is 8 If the volume of the music is reduced.

또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압력센서(111)에서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값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음악의 볼륨을 계속해서 증가시키고, 압력센서(111)에서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값이 계속해서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음악의 볼륨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킨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value continuously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111 continues to increase, the controller continuously increases the volume of the music and the value continuously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111 continues. If it is judged to decrease, the volume of the music is continuously reduced.

또한, 제어부(130)는 일정 시간동안 압력센서(111)에서 측정하는 값이 측정되지 않으면 마지막으로 변경된 볼륨을 유지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intains the last changed volume when the valu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111 is not meas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여기서, 일정 시간은 기존의 음악 출력 장치(100)에 설정된 시간을 의미하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Here, the predetermined time means a time set in the existing music output apparatus 100 and may be changed by the use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3에서 나타낸 각 X, Y, Z축의 기준 점을 0으로 설정하고, 기준 점으로부터 우측, 상측, 전면 방향을 양의 값으로 설정하며, 좌측, 하측, 후면 방향을 음의 값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ence points of the X, Y, and Z axes shown in FIG. 3 are set to 0, right, top, and front directions are set to positive values from the reference points, and left, bottom, and back directions are negative. Set to a value and explain.

먼저, 자이로 센서(112)가 기준점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감지하면 제어부(130)는 출력되는 음악의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하고, 자이로 센서(112)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감지하면 출력되는 음악의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한다. First, when the gyro sensor 112 detects the movement to the right side from the reference point,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speed of the output music to increase, and when the gyro sensor 112 detects the movement to the left side of the output music. Control to slow down.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112)에서 측정된 X축의 값이 +13으로 측정되면, 제어부(130)는 자이로 센서(112)가 이동하는 방향이 X축으로부터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음악의 속도를 증가시킨다.For example, when the value of the X-axis measured by the gyro sensor 112 is measured as +13,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gyro sensor 112 moves is moved from the X-axis in the positive direction to the music. To increase the speed.

이와 반대로 측정된 X축의 값이 -10으로 측정되면, 제어부(130)는 자이로 센서(112)가 이동하는 방향이 X축으로부터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음악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On the contrary, if the measured value of the X-axis is measured as -1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gyro sensor 112 moves is moved in the negative direction from the X-axis to reduce the speed of the music.

또한, 자이로 센서(112)에서 측정한 값이 점차 증가하거나 점차 감소하게 되면 제어부(130)는 음악의 속도를 측정한 값에 맞추어 점점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value measured by the gyro sensor 112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the controller 130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the speed of the music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value.

다음으로, 자이로 센서(112)가 기준으로부터 앞쪽으로 이동하면 음악을 실행하고, 진행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음악을 일시 정지시킨다. Next, when the gyro sensor 112 moves forward from the reference, the music is executed, and when the gyro sensor 112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moving direction, the music is paused.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112)에서 측정된 Y축의 값이 +10으로 측정되면, 제어부(130)는 자이로 센서(112)가 이동하는 방향이 Y축으로부터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음악을 실행한다.For example, when the value of the Y-axis measured by the gyro sensor 112 is measured as +1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gyro sensor 112 moves is moved from the Y-axis in the positive direction, and music Run

이와 반대로, 자이로 센서(112)에서 측정된 Y축의 값이 -10으로 측정되면, 제어부(130)는 자이로 센서(112)가 이동하는 방향이 Y축으로부터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실행중인 음악을 일시 정지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value of the Y axis measured by the gyro sensor 112 is measured as -1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gyro sensor 112 moves is moved from the Y axis to the negative direction and is being executed. Pause the music.

다음으로, 자이로 센서(112)가 Z축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30)는 음악의 음정을 높이고, 진행방향의 반대로 이동하면 음악의 음정을 낮춘다. Next, when the gyro sensor 112 moves to the Z-axis, the controller 130 increases the pitch of the music, and if the gyro sensor 112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pitch of the music is lowered.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112)에서 측정된 Z축의 값이 +10으로 측정되면, 제어부(130)는 자이로 센서(112)가 이동하는 방향이 Z축으로부터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음악의 음정을 높인다.For example, when the value of the Z axis measured by the gyro sensor 112 is measured as +1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gyro sensor 112 moves is moved in the positive direction from the Z axis, and music To increase the pitch.

또 이와 반대로, 자이로 센서(112)에서 측정된 Z축의 값이 -10으로 측정되면, 제어부(130)는 자이로 센서(112)가 이동하는 방향이 Z축으로부터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음악의 음정을 낮춘다.On the contrary, when the value of the Z axis measured by the gyro sensor 112 is measured as -1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gyro sensor 112 moves is moved from the Z axis to the negative direction and then music. Lowers the pitch

또한, 자이로 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Z축의 값이 점차 증가하거나 점차 감소하게 되면, 제어부(130)는 음악의 음정을 측정한 값에 맞추어 점점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value of the Z axis measured by the gyro sensor 112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the controller 130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the pitch of the music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value.

또한, 제어부(130)는 앞서 설명한 자이로 센서(112)의 X, Y, Z축의 값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음악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새로운 음악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change the music by using the values of the X, Y, and Z axes of the gyro sensor 112 described above, and generate new music.

즉, 자이로 센서(112)에서 측정된 값이 X, Y, Z축에서 모두 변경되면, 제어부(130)는 음악의 음정, 속도 기능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새로운 음악을 생성 또는 음악을 변경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values measured by the gyro sensor 112 are changed in all of the X, Y, and Z axes, the controller 130 may create new music or change music by using a combination of the pitch and speed functions of the music. .

또한, 제어부(130)는 가속도 센서(113)에서 측정되는 값을 이용하여 음악의 이전곡 또는 다음곡으로 변경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changes to the previous song or the next song by using the value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13.

다음으로, 출력부(140)는 제어부(130)를 통해 변경된 음악 또는 생성된 음악을 출력한다(S540).Next, the output unit 140 outputs the changed music or the generated music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S540).

출력부(140)는 실시간으로 제어부(130)에 의해 변경되는 음악을 출력시키거나, 이전에 제어부(130)에 의해 변경된 음악을 재생한다.The output unit 140 outputs the music changed by the controller 130 in real time or reproduces the music previously changed by the controller 130.

또한, 출력부(140)는 실시간으로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되는 음악을 출력시킨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140 outputs the music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30 in real time.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150)는 출력부(140)에 의해 출력된 음악에 대한 음정 또는 악보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S550).Next,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pitch or score for the music output by the output unit 140 on the screen (S550).

즉, 디스플레이부(150)는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중인 음악의 이퀄라이저, 볼륨의 증감, 음악의 제목, 진행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밝기를 변경시킨다.That is,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at least one of an equalizer, a volume increase, a music title, and a duration of the music being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40, and changes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according to a user's gesture. Let's do it.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정이 점점 높아지도록 하는 제스춰를 취할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는 화면의 밝기를 점점 밝게 하고, 음정이 점점 낮아질 경우 화면의 밝기를 점점 어둡게 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akes a gesture that the pitch is gradually increased, the display unit 150 brightens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gradually, and if the pitch gradually decreases,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gradually darkened.

또한, 음악 출력 장치(100)의 음악의 볼륨이 증가하면 LED부(160)는 LED가 점멸하는 속도를 증가시키고, 음악 출력 장치(100)의 음악의 볼륨이 감소하면 LED부(160)는 LED가 점멸하는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olume of music of the music output device 100 increases, the LED unit 160 increases the speed at which the LED blinks, and when the volume of music of the music output device 100 decreases, the LED unit 160 LEDs. Can reduce the speed at which

이때, LED부(160)를 통해 발산되는 색상은 기본적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조절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lor emitted through the LED unit 160 may be basically set or may be adjusted to various colors by the user.

다음으로, 레이저부(170)는 발사되어 되돌아온 레이저를 이용하여 전면의 사물과의 거리 값을 측정한다.Next, the laser unit 170 measures the distance value with the object on the front surface by using the laser beamed back.

그러면, 제어부(130)는 레이저부(170)로부터 측정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음악의 음정, 속도, 볼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증가시키고, 레이저부(170)로부터 측정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멀어지면 음악의 음정, 속도, 볼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감소시킨다.Then, when the distance measured from the laser unit 170 is closer than the preset distance, the controller 130 increases at least one of the pitch, speed, and volume of the music, and the distance measured from the laser unit 170 is the preset distance. As you move farther away, you reduce the pitch, speed, and volume of the music.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음악 출력 장치를 이용하면, 고가의 장비를 구축하지 않아도 음악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음악의 제작 및 음악의 편곡이 쉽기 때문에 영, 유아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music output device using th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can be used for music therapy without constructing expensive equipment, and it is easy to produce music and arrange music, so it is interesting to young and toddlers. May cause

또한, 음악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음악 출력 장치를 휴대하면서 편리하게 절대 음감과 관련한 연습을 수행하거나, 즉흥 공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people majoring in music may carry out exercises related to absolute pitch or perform improvisation while conveniently carrying a music output device using a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음악 출력 장치, 110: 센서부,
111: 압력센서, 112: 자이로 센서,
113: 가속도 센서, 120: 제스처 인식부,
130: 제어부, 140: 출력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LED부,
170: 레이저부
100: music output device, 110: sensor unit,
111: pressure sensor, 112: gyro sensor,
113: acceleration sensor, 120: gesture recognition unit,
130: control unit, 140: output unit,
150: display unit, 160: LED unit,
170: laser unit

Claims (10)

센서를 이용한 음악 출력 장치에 있어서,
압력센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부,
센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제스처 인식부,
상기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음악을 변경시키거나 새로운 음악을 생성시키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변경된 음악 또는 생성된 음악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음악 출력 장치.
In the music output device using a sensor,
Sensor unit including any one of a pressure sensor,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 gestur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 user's gesture using the sensed data,
A controller for changing previously stored music or generating new music in response to the recognized gesture; and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changed music or the generated music.
제1항에 있어서,
현재 출력되는 음악의 음정 또는 악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색상을 변경시키는 LED부,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레이저를 발사시키는 레이저부를 더 포함하는 음악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itch or score of the currently output music,
LED unit for changing the color according to the user's gesture,
And a laser unit configured to fire a laser according to the gesture of the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출력되는 음악의 이퀄라이저, 볼륨의 증감, 음악의 제목, 진행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음악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lay unit,
A music output device that displays at least one of an equalizer, a volume increase or decrease, a music title, and a duration of currently output music.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센싱되는 압력 값이 높아지면 출력되는 음악의 볼륨을 증가시키고,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음악의 속도, 음정, 일시 정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며,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전곡 또는 다음곡으로 변경시키는 음악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When the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increases, the volume of music output is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data sensed by the gyro sensor, at least one of the speed, pitch, pause of the output music is changed,
The music output device for changing to the previous song or the next song in response to the data sens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를 통해 획득한 전면의 사물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음악의 음정, 속도, 볼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는 음악 출력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And at least one of a pitch, a speed, and a volume of music in response to a distance from an object in front of the object obtained by the laser.
음악 출력 장치를 이용한 음악 출력 방법에 있어서,
압력센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
센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제스처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음악을 변경시키거나 새로운 음악을 생성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변경된 음악 또는 생성된 음악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 출력 방법.
In the music output method using a music output device,
Sensing data from any one of a pressure sensor,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Recognizing a user's gesture by using the sensed data;
Changing previously stored music or creating new music in response to the recognized gesture; and
Outputting the changed music or the generated music.
제6항에 있어서,
현재 출력되는 음악의 음정 또는 악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LED의 색상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악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nd displaying the pitch or score of the currently output music on the display and changing the color of the LED according to the user's ges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출력되는 음악의 음정 또는 악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현재 출력되는 음악의 이퀄라이저, 볼륨의 증감, 음악의 제목, 진행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음악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Displaying the pitch or score of the currently output music,
A music output method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an equalizer, a volume increase, a music title, and a duration of the currently output music.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을 변경시키거나 새로운 음악을 생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압력 센서에 센싱되는 압력 값이 높아지면 출력되는 음악의 볼륨을 증가시키고,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음악의 속도, 음정, 일시 정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며,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전곡 또는 다음곡으로 변경시키는 음악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Changing the music or creating a new music,
When the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increases, the volume of music output is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data sensed by the gyro sensor, at least one of the speed, pitch, pause of the output music is changed,
The music output method for changing to the previous song or the next song in response to the data sens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을 변경시키거나 새로운 음악을 생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레이저가 발사되면, 레이저를 통해 획득한 전면의 사물과의 거리에 대응하여 음악의 음정, 속도, 볼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는 음악 출력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Changing the music or creating a new music,
When the laser is fired according to the gesture of the user, the music output method for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pitch, speed, volume of the music in response to the distance to the front object obtained by the laser.
KR1020180098496A 2018-08-23 2018-08-23 Music output apparatus using sensor and method thereof KR20200022645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496A KR20200022645A (en) 2018-08-23 2018-08-23 Music output apparatus using sensor and method thereof
PCT/KR2019/009672 WO2020040447A1 (en) 2018-08-23 2019-08-02 Music output apparatus using senso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496A KR20200022645A (en) 2018-08-23 2018-08-23 Music output apparatus using sensor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45A true KR20200022645A (en) 2020-03-04

Family

ID=69593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496A KR20200022645A (en) 2018-08-23 2018-08-23 Music output apparatus using sensor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22645A (en)
WO (1) WO202004044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3264A1 (en) 2022-03-04 2023-09-08 Aurore SAINTIGNY SOUND PROCESSING AND BROADCAS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AUDIO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0808A (en) * 2005-06-08 2006-12-20 박종섭 Movement detecting apparatus and system for music play using it
JP2007226935A (en) * 2006-01-24 2007-09-06 Sony Corp Audio reproducing device, audio reproducing method, and audio reproducing program
KR20120005643A (en) * 2010-07-09 2012-01-17 주식회사 휘트닷라이프 Music device and method of playing music therein
JP6111526B2 (en) * 2012-03-19 2017-04-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Music generator
KR102260721B1 (en) * 2014-05-16 2021-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 musical performance in the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0447A1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9175B2 (en) Smart detecting and feedback system for smart piano
US10376785B2 (en) Audio, video, simulation, and user interface paradigms
JP2023100878A (en) Control of computer via distortion of facial geometry
US8339374B2 (en) Multi-touch interfaces for user authentication, partitioning, and external device control
CN105741639B (en) A kind of micro- sense palm musical instrument for simulating bowstring kind musical instrument
JPH09305304A (en) Continuous variation controller for on-screen character animation
JP71259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130101395A (en)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angible interaction
US835226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characters aloud
KR20200022645A (en) Music output apparatus using sensor and method thereof
Bruegge et al. Pinocchio: conducting a virtual symphony orchestra
US20140310640A1 (en) Interactive digital art apparatus
Mittal et al. MuTable (Music Table): Turn any surface into musical instrument
TWI416295B (en) Machine action edi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230143099A1 (en) Breathing rhythm restoration systems, apparatuses, and interfac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ITMI20130186U1 (en) INTERACTION SYSTEM AND EQUIPMENT BETWEEN A COMPUTER PROCESSOR AND A DISABLED USER.
CN214504972U (en) Intelligent musical instrument
KR102665099B1 (en) A speaker system equipped with a stretchable display and a driving method
US20230305633A1 (en) Gesture and voice controlled interface device
TWM378953U (en) Interactive stage effect system
JP2003275259A (en)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Hudák et al. Walking Pad and Gyroscope-Based Object Manipulation for Virtual Reality CAVE
Forson Gesture Based Interaction: Leap Motion
KR101581138B1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Rhythm game
Ahmaniemi Dynamic tactile feedback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