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80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804A
KR20200019804A KR1020180095072A KR20180095072A KR20200019804A KR 20200019804 A KR20200019804 A KR 20200019804A KR 1020180095072 A KR1020180095072 A KR 1020180095072A KR 20180095072 A KR20180095072 A KR 20180095072A KR 20200019804 A KR20200019804 A KR 20200019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ump
pressure concentration
pressure sensor
conduct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6021B1 (ko
Inventor
박성국
박소희
서문희
유봉현
이태희
홍원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021B1/ko
Priority to US16/294,762 priority patent/US11163374B2/en
Priority to EP19181709.7A priority patent/EP3611602A1/en
Priority to CN201910692816.8A priority patent/CN110825256B/zh
Publication of KR2020001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의 아래에 상기 도전 시트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에지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1 에지를 따라 배치된 제1압력집중범프 및 제2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에지를 따라 연장된 제1 압력 센서;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제1감지영역 및 상기 제1감지영역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감지영역보다 면적이 넓은 제2감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감지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2감지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도전 시트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내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중심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센서가 표시 장치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방식의 편리함으로 기존의 물리적인 입력 장치인 키패드 등을 대체하는 추세이다.
터치 센서에서 더 나아가 압력 센서를 표시 장치에 장착하여 기존의 물리적인 버튼 대용으로 활용하려는 연구가 있지만, 그 활용이 아직 충분하지 못한 편이고, 표시 장치 내부의 다른 부품과 간섭 이슈도 해결되어야 할 과제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력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의 아래에 상기 도전 시트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에지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1 에지를 따라 배치된 제1압력집중범프 및 제2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에지를 따라 연장된 제1 압력 센서;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제1감지영역 및 상기 제1감지영역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감지영역보다 면적이 넓은 제2감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감지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2감지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도전 시트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에지 측에 위치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시트는 상기 평탄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부착된 차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 시트,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차광층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차광층과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단이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도전 시트와 연결된 제1브리지 패턴; 및 일단이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도전 시트와 연결된 제2브리지 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브리지 패턴과 상기 제2브리지 패턴은 상기 제1에지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브리지 패턴, 상기 제2브리지 패턴,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브리지 패턴의 두께 및 상기 제2브리지 패턴의 두께는, 각각 상기 도전 시트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브리지 패턴의 두께는,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 시트,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와 연결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평면 상에서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를 둘러쌀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도전 시트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결합층을 매개로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에 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분리된 제2전극과,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압력 민감 물질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감지영역 및 상기 제2감지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감지영역 및 상기 제2감지영역마다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감지영역에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제2감지영역에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감지영역은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제2감지영역은 상기 제1감지영역보다 상기 타단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는 각각의 상기 제1감지영역과 중첩하도록 복수개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의 길이는,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에지를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2감지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전극은 제1 줄기 전극 및 상기 제1 줄기 전극으로부터 분지된 복수의 제1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제2 줄기 전극 및 상기 제2 줄기 전극으로부터 분지된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각 제1 가지 전극과 상기 각 제2 가지 전극은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전극은 구동 전극이고, 상기 제2전극은 센싱 전극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감지영역 및 상기 제2감지영역마다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아래에 상기 도전 시트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에지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2 에지를 따라 배치된 제3압력집중범프 및 제4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3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4압력집중범프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에지를 따라 연장된 제2압력센서;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압력센서는,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3감지영역과 상기 제3감지영역보다 상기 타단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3감지영역보다 면적이 넓은 제4 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3감지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4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4감지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3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4압력집중범프는,
상기 도전 시트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에지 측에 위치하는 제1 곡면부, 및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2 에지 측에 위치하는 제2 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압력 센서,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 곡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 상기 제3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4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2 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를 수납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각각 방수 테이프를 통해 상기 브라켓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도전 시트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에지에 인접 배치된 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도전 시트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에지를 따라 연장되고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도전 시트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 시트 및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상기 도전 시트의 일면 중 상기 압력집중범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영역은 상기 제1에지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제1에지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에지 측에 위치하는 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전 시트는 상기 평탄부 및 상기 곡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에지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도전 시트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제1압력집중범프;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에지를 따라 연장되며, 내측 장변에 오목부가 마련된 제1 압력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오목부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감지 영역 및 상기 오목부를 기준으로 타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감지 영역보다 면적이 넓은 제2 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 감지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제1에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도전 시트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제2압력집중범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2 감지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를 수납하며 커넥터가 통과하는 커넥트 홀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오목부는 상기 커넥트 홀을 외측으로 우회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에지에 인접 배치된 제2 압력 센서;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압력 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제3압력집중범프 및 제4압력집중범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3 감지 영역 및 상기 제3 감지 영역보다 상기 타단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감지 영역보다 면적이 넓은 제4 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3 감지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4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4 감지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3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4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부품 간섭에 의한 압력 센서의 오동작이 방지되고 입력 방식이 간편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압력 인식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X1-X1'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압력 센서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압력 센서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X3-X3'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압력 감지층의 압력에 대한 전기 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와 제2 압력 센서의 배치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도 8에 도시된 제1 압력 센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제1 압력 센서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1 압력 센서의 배치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X5-X5'를 따라 절단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X7-X7'를 따라 절단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도 24 및 도 25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X9-X9'를 따라 절단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X11-X11'를 따라 절단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0, 도 31,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및 도 36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도 42, 도 43 및 도 44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 도 46 및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압력 신호를 인가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들이다.
도 4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1-X1'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0은 도 49의 X13-X13'를 따라 절단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이다.
도 5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2, 도 53, 도 54, 도 55, 도 56 및 도 57은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1-X1'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0은 도 59의 X15-X15'를 따라 절단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이다.
도 61은 도 59의 X17-X17'를 따라 절단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이다.
도 62는 도 60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3은 도 61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4는 도 62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5는 도 63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7, 도 68, 도 69, 도 70, 도 71 및 도 72는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X1-X1'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30) 및 표시 패널(30)의 에지 부근에 배치된 압력 센서(100, 20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30)의 상부에 배치된 윈도우(10), 표시 패널(30) 하부에 배치된 차광층(40), 차광층(40)의 하부에 배치된 도전 시트(51)와 범프부(53, 55), 및 도전 시트(50)의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90)(또는 미들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두께 방향에서의 "상부", "상면"은 표시 패널(30)을 기준으로 표시면 측, 예컨대 제3방향(d3)의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 "하면"은 표시 패널(30)을 기준으로 표시면의 반대측, 예컨대 제3방향(d3)의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평면 방향에서의 "상(위)", "하(아래)", "좌", "우"는 표시면을 정위치에 두고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실질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모서리가 수직인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된 양 장변(LS1, LS2) 및 제1방향(d1)과 교차하는 제2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양 단변(SS1,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표시 장치(1) 또는 그에 포함되는 표시 패널(30) 등의 부재에서, 평면상 우측에 위치하는 장변을 제1 장변(LS1), 좌측에 위치하는 장변을 제2 장변(LS2), 위쪽에 위치하는 단변을 제1 단변(SS1), 아래쪽에 위치하는 단변을 제2 단변(SS2)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1)의 장변(LS1, LS2)의 길이는 단변(SS1, SS2)의 길이의 1.5배 내지 2.5배의 범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1)는 서로 다른 평면에 놓인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DR1)은 제1 평면에 놓인다.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과 연결되되, 그로부터 꺾이거나 휘어져 있다. 제2 영역(DR2)은 제1 평면과 소정의 교차각을 갖는 제2 평면에 놓이거나 곡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의 주변에 배치된다. 표시 장치(1)의 제1 영역(DR1)은 주된 표시면으로 사용된다. 제1 영역(DR1) 뿐만 아니라 제2 영역(DR2)도 표시 장치(1)의 표시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1)의 제1 영역(DR1)이 평탄부이고, 제2 영역(DR2)이 곡면부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곡면부인 제2 영역(DR2)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거나, 곡률이 변화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영역(DR2)은 표시 장치(1)의 에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영역(DR2)은 표시 장치(1)의 서로 대향하는 양 장변(LS1, LS2) 에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영역(DR2) 표시 장치(1)의 일변 에지에 배치되거나, 양 단변(SS1, SS2)에 배치되거나, 3개의 변 에지에 배치되거나, 모든 변 에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30)은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30)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기타 무기 발광 표시 패널 등 다른 종류의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30)에는 디스플레이 연성회로기판(31)이 결합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은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유리, 석영 등으로 이루어진 리지드 기판일 수도 있고, 폴리이미드나 기타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으로 폴리이미드 기판을 적용하는 경우, 표시 패널(30)은 휘거나 꺾이거나 접히거나 말릴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2 단변(SS2) 측으로 표시 패널(30)이 벤딩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연성회로기판(31)은 표시 패널(30)의 벤딩 영역(BA)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의 상부에는 윈도우(10)가 배치된다. 윈도우(10)는 표시 패널(3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30)을 보호하는 한편, 표시 패널(30)에서 출사되는 빛을 투과시킨다. 윈도우(10)는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10)는 표시 패널(30)에 중첩하고, 표시 패널(30) 전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10)는 표시 패널(30)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의 양 단변(SS1, SS2)에서 윈도우(10)는 표시 패널(30)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양 장변(LS1, LS2)에서도 윈도우(10)가 표시 패널(30)로부터 돌출될 수 있지만, 돌출 거리는 양 단변(SS1, SS2)의 경우가 더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30)과 윈도우(10) 사이에 배치된 터치 부재(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부재(20)는 리지드 패널 타입 또는 플렉시블 패널 타입이거나 필름 타입일 수 있다. 터치 부재(20)는 표시 패널(3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중첩 배치되고, 벤딩된 표시 패널(30)의 일 단변(SS2)을 제외한 나머지 변에서의 측면이 터치 부재(20)의 측면과 정렬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30)과 터치 부재(20), 터치 부재(20)와 윈도우(10)는 각각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수지(OCR) 등과 같은 투명 결합층(61, 62)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터치 부재(20)에는 터치 연성회로기판(21)이 결합될 수 있다.
터치 부재(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30)과 윈도우(10)가 광학 투명 접착제(OCA)나 광학 투명 수지(OCR)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30)은 그 내부에 터치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 전극부는 표시 패널(30) 바로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 패널(30)이 유기 발광 소자를 커버하는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layer)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 전극부는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예시적으로 표시 패널(30)이 리지드한 봉지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터치 전극부는 상기 봉지기판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30)의 하부에는 차광층(40), 도전 시트(51), 범프부(53, 55) 및 압력 센서(100, 200)(또는 포스 센서)가 배치된다.
차광층(40)은 표시 패널(30)의 하부에 배치되어 광의 투과를 저지하며, 차광층(40)의 하부에 배치된 구성들이 상측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층(40)은 표시 패널(30)의 하면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40)은 후술할 도전 시트(51), 제1범프부(53) 및 제2범프부(55)와 중첩하며 제1범프부(53) 및 제2범프부(55)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차광층(40)은 후술할 제1 압력 센서(100) 및 제2 압력 센서(200)와 중첩하며 제1 압력 센서(100) 및 제2 압력 센서(200)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압력 센서(100), 제2 압력 센서(200), 제1범프부(53) 및 제2범프부(55)는 각각 차광층(40)과 완전히 중첩할 수 있다. 차광층(40)이 표시 패널(30)의 하부에 배치됨에 따라 외부에서 제1 압력 센서(100), 제2 압력 센서(200), 제1범프부(53), 제2범프부(55) 및 도전 시트(51)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층(40)은 블랙 안료나 염료 등과 같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층(40)은 기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흡수 물질은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거나 인쇄될 수 있다.
차광층(40)은 감압 점착층이나 접착층 등의 결합층(71)을 통해 표시 패널(3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전 시트(51)는 차광층(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 시트(51)는 표시 패널(30)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며 표시 패널(30) 중 제1 영역(DR1) 내에 위치하는 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전 시트(51)는 표시 패널(30) 중 평탄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전 시트(51)는 방열 기능, 전자파 차폐기능, 패턴 시인 방지 기능, 접지 기능, 완충 기능, 강도 보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 시트(51)는 구리 시트일 수 있다.
도전 시트(51)는 감압 점착층이나 접착층 등의 결합층(81)을 통해 차광층(4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범프부(53, 55)는 차광층(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범프부(53, 55)는 표시 패널(30)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며, 표시 패널(30) 중 제2 영역(DR2) 내에 위치하는 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범프부(53, 55)는 표시 패널(30) 중 곡면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도리 수 있다.
범프부(53, 55)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부(53, 55)는 표시 패널(30)의 제1 장변(LS1) 에지에 중첩 배치된 제1범프부(53) 및 표시 패널(30)의 제2 장변(LS2) 에지에 중첩 배치된 제2범프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범프부(53) 및 제2범프부(55)는 각각 복수의 압력집중범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1 압력 센서(100) 및 제2 압력 센서(200)와 중첩할 수 있다.
범프부(53, 55)는 감압 점착층이나 접착층 등의 결합층(83, 85)을 통해 차광층(4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범프부(53, 55)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압력 센서(100, 200)는 표시 패널(30)의 적어도 일측 에지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100, 20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압력 센서(100, 200)는 표시 패널(30)의 제1 장변(LS1) 에지에 중첩 배치된 제1 압력 센서(100) 및 제2 장변(LS2) 에지에 중첩 배치된 제2 압력 센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100, 200)는 곡면부를 이루는 표시 장치(1)의 제2 영역(DR2)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압력 센서(100)는 제1범프부(53)에 부착되고 제2 압력 센서(200)는 제2범프부(55)에 부착될 수 있다. 압력 센서(100, 200)는 표시 장치(1)의 제2 영역(DR2) 내에 배치되고, 제1 영역(DR1)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압력 센서(100, 200)가 제2 영역(DR2) 내에 배치되고 폭 방향으로 확장되어 제1 영역(DR1)의 일부에까지 배치될 수도 있다.
압력 센서(100, 200)는 표시 패널(30)과 중첩하지만, 일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00, 200)가 중첩하는 표시 패널(30)의 영역은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표시 패널(30)의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는 최외곽 블랙 매트릭스가 배치될 수 있다. 또, 압력 센서(100, 200)와 터치 부재(20)는 중첩하지만 압력 센서(100, 200)가 중첩하는 터치 부재(20)의 영역은 터치 전극이 배치되지 않은 주변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00, 200)가 중첩하는 표시 패널(30)의 영역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일 수도 있다. 또한, 압력 센서(100, 200)가 중첩하는 터치 부재(20)의 영역에도 터치 전극이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두께 방향을 따라 제1 압력 센서(100)는 상술한 제1범프부(53)와 중첩하고, 제2 압력 센서(200)는 제2범프부(55)와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압력 센서(100)는 감압 점착층이나 접착층 등의 결합층(87)을 통해 제1범프부(53)에 부착되고, 제1 압력 센서(200)는 결합층(89)을 통해 제2범프부(55)에 부착될 수 있다.
압력 센서(100, 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압력 센서(100, 200)와 도전 시트(51)의 하부에는 브라켓(90)이 배치된다. 브라켓(90)은 다른 부품들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 또는 보호 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90)은 윈도우(10), 터치 부재(20), 표시 패널(30), 압력 센서(100, 200), 도전 시트(51) 및 범프부(53, 55)를 수납할 수 있다.
브라켓(90)은 바닥부(91)와 바닥부(91)의 변에서 절곡된 측벽(9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90)의 바닥부(91)는 압력 센서(100, 200) 및 도전 시트(51)와 대향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00, 200)는 각각 감압 점착층이나 접착층 등의 결합층(WT1, WT2)을 통해 브라켓(90)의 바닥부(91)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00, 200)를 부착하는 결합층(WT1, WT2)은 방수 테이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00, 200)가 방수 테이프 등과 같은 결합층(WT1, WT2)을 매개로 브라켓(90)에 부착되는 경우, 상술한 결합층(87, 89)은 생략될 수도 있다.
브라켓(90)의 측벽(92)은 터치 부재(20), 표시 패널(30), 압력 센서(100, 200), 및 범프부(53, 55)의 측면에 대향한다. 브라켓(90)의 측벽(92)의 상단은 윈도우(10)에 대향한다. 브라켓(90)의 외측면과 윈도우(10)의 외측면은 정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윈도우(10)는 결합층(WT1, WT2)을 통해 브라켓(90)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윈도우(10)는 별도의 방수 테이프(미도시)를 통해 브라켓(9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브라켓(90)은 제1 장변(LS1)의 에지 부근에 디스플레이 커넥터(도 4의 35)가 통과하는 커넥트 홀(9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트 홀(93)은 브라켓(90)의 바닥부(9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로서,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90)의 커넥트 홀(93) 부근에서 제1 압력 센서(100)는 노치(notch) 형상의 오목부(NTH)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4 및 도 5가 참조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브라켓(90)을 제외한 표시 장치의 저면 형상을 도시한다. 도 4에서는 표시 장치가 뒤집혀 도시됨에 따라 좌우가 바뀌어 제1 장변(LS1)과 제2 장변(LS2)의 위치도 반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90)과 압력 센서(100, 200)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연성회로기판(31)은 디스플레이 커넥터(35)와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연성회로기판(31)은 브라켓(90)의 내부에 수납되지만, 디스플레이 커넥터(35)는 외부 단자와 연결되기 위해 커넥트 홀(93)을 통해 브라켓(90)의 외부로 빠져나간다. 디스플레이 커넥터(35)가 빠져나가는 공간에 제1 압력 센서(100)가 중첩되거나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제1 압력 센서(100)가 오동작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해당하는 위치에서 제1 압력 센서(100)는 오목부(NTH)를 마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커넥터(35)에 대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오목부(NTH)에 의해 제1 압력 센서(100)가 외측으로 후퇴함에 따라 제1 압력 센서(100)는 커넥트 홀(93)을 통과하는 디스플레이 커넥터(35)와 중첩하거나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브라켓(90)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100)의 오목부(NTH)는 커넥트 홀(93)을 외측으로 우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넥터(35)는 연성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 연성회로기판(31)과 디스플레이 커넥터(35)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호 연결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디스플레이 연성회로기판(31) 자체가 커넥트 홀(93)을 통과할 수도 있다.
제1 압력 센서(100)와는 달리, 제2 압력 센서(200)는 노치 형상의 오목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100)는 제1범프부(53)와 중첩하고 제2 압력 센서(200)는 제2범프부(55)와 중첩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압력 센서(100, 2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의 분해 사시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압력 센서와 제1범프부 간의 관계를 함께 도시한 제1 압력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압력 센서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X3-X3'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압력 감지층의 압력에 대한 전기 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와 제2 압력 센서의 배치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에서는 제1 압력 센서(100)를 예로 하여 압력 센서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지만, 제2 압력 센서(200)도 오목부(NTH)를 제외하면 제1 압력 센서(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10의 좌측에는 제1 압력 센서(100)의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의 배치도가 도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제2 압력 센서(200)의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20)의 배치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압력 센서(100)는 평면상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제1 압력 센서(100)는 연장 방향의 길이가 폭보다 훨씬 크다. 제1 압력 센서(100)의 폭은 2mm 내지 6mm일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100)의 길이는 대체로 표시 장치(1)의 장변(LS1, LS2) 길이와 유사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100)의 길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표시 장치(1)의 장변(LS1, LS2) 길이의 80% 내지 98%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압력 센서(100)의 길이는 50mm 내지 300mm 또는 100mm 내지 150mm일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100)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0)은 제1 기재(111)와 전극층(112)을 포함한다. 제2 기판(120)은 제2 기재(121)와 압력 감지층(122)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은 결합층(130)에 의해 결합한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은 각각 필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재(111)와 제2 기재(121)는 각각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폴리이미드(poly 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폴리에스테르(poly ester)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재(111)와 제2 기재(121)는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기재(111)의 일면에는 전극층(112)이 배치된다. 여기서, 제1 기재(111)의 일면은 제2 기재(121)에 대향하는 면이다. 전극층(112)의 두께는 2㎛ 내지 8㎛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층(112)의 두께는 약 4㎛일 수 있다. 전극층(112)은 제1 전극(112TX) 및 제2 전극(112RX)을 포함한다. 제1 전극(112TX)은 구동 전극이고 제2 전극(112RX)은 센싱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112TX)과 제2 전극(112RX)은 인접 배치될 수 있지만 단락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호 이격된다.
제1 전극(112TX)과 제2 전극(112RX)은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112TX)과 제2 전극(112RX)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112TX)과 제2 전극(112RX)은 은(Ag), 구리(Cu)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12TX)과 제2 전극(112RX)은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재(121)의 일면에는 압력 감지층(122)이 배치된다. 여기서, 제2 기재(121)의 일면은 제1 기재(111)에 대향하는 면이다. 압력 감지층(122)은 압력 민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민감 물질은 니켈, 알루미늄, 주석, 구리 등의 금속 나노파티클이나 카본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민감 물질은 입자 형태로서 폴리머 수지 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압력 감지층(12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이 커질수록 전기저항이 낮아지는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압력이 인가되었는지 여부와 압력의 크기를 센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압력 감지층(122)의 표면은 제1 전극(112TX) 및 제2 전극(112RX)의 표면에 맞닿거나 적어도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제1 압력 센서(100)에 압력이 가해지면 해당 부위에서 압력 감지층(122)의 표면은 제1 전극(112TX) 및 제2 전극(112RX)의 표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제1 전극(112TX)과 제2 전극(112RX)은 압력 감지층(122)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112TX)과 제2 전극(112RX) 사이에 놓인 압력 감지층(122)은 전기적인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압력 감지층(122)에 가해지는 압력이 없거나 작을 경우 압력 감지층(122)은 높은 저항을 갖는다. 이 경우 제1 전극(112TX)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제2 전극(112RX) 측으로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반면, 압력 감지층(122)에 가해지는 압력이 크면 압력 감지층(122)의 저항이 낮아져 제1 전극(112TX)과 제2 전극(112RX) 간 전류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제1 전극(112TX)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제2 전극(112RX)에서 전류량 또는 전압을 센싱하면 압력 감지층(122)에 어느 정도의 압력이 가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압력 감지층(122)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극층(112)보다 두꺼울 수 있다. 압력 감지층(122)의 두께는 4㎛ 내지 1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감지층(122)의 두께는 약 8㎛일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100)는 제1 기재(111)와 제2 기재(121)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층(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층(130)은 제1 기재(111)와 제2 기재(121)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층(130)은 제1 기재(111)와 제2 기재(121)의 주변부를 완전히 둘러싸 제1 압력 센서(100)의 내부를 밀봉할 수 있다. 즉, 결합층(130)은 개스킷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층(130)은 제1 기재(111)와 제2 기재(121)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더 할 수 있다. 결합층(130)은 전극층(112) 및 압력 감지층(122)과 비중첩할 수 있다.
결합층(130)의 두께는 5㎛ 내지 50㎛이거나 12㎛ 내지 30㎛일 수 있다.
결합층(130)은 감압 점착층이나 접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층(130)은 제1 기재(111)의 일면 또는 제2 기재(121)의 일면에 먼저 부착된 후 제1 기재(111)와 제2 기재(121)의 어셈블리 과정에서 다른 기재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기재(111)의 일면과 제2 기재(121)의 일면에 각각 결합층이 마련되고, 제1 기재(111)와 제2 기재(121)의 어셈블리 과정에서 제1 기재(111)의 결합층과 제2 기재(121)의 결합층이 상호 부착될 수도 있다.
제1 압력 센서(100)가 표시 장치(1) 내에 배치될 때에는 전극층(112)이 형성된 제1 기재(111)가 표시 패널(3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기재(111)의 타면(외측면)이 표시 패널(30)의 하면에 부착되고, 제2 기재(121)의 타면(외측면)이 브라켓(9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장치(1) 내에서 제1 기재(111)와 제2 기재(121)의 배치 방향이 상기 언급한 것과 반대로 적용될 수도 있다.
제1 압력 센서(100)와 제2 압력 센서(200)는 각각 복수의 감지 영역(SR1, SR2)을 포함한다. 감지 영역(SR1, SR2)은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 각 감지 영역(SR1, SR2)은 서로 독립적으로 해당 위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각 감지 영역(SR1, SR2)은 제1 압력 센서(100)와 제2 압력 센서(2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감지 영역(SR1, SR2)은 1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이웃하는 감지 영역(SR1, SR2)은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서로 이격될 수도 있다. 즉, 감지 영역(SR1, SR2) 사이에 비감지 영역(NSR)이 배치될 수 있다.
각 감지 영역(SR1, SR2)마다 제1 전극(112TX, 212TX), 제2 전극(112RX, 212RX) 및 압력 감지층(122, 222)이 배치된다. 센싱 전극인 제2 전극(112RX, 212X)은 감지 영역(SR1, SR2)마다 서로 분리된 셀 전극이지만, 구동 전극인 제1 전극(112TX, 212TX)은 감지 영역(SR1, SR2)과 무관하게 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통 전극일 수 있다. 압력 감지층(122)의 경우에도 각 감지 영역(SR1, SR2)마다 패턴화되어 분리될 수 있다.
감지 영역(SR1, SR2)은 이용하는 용도에 따라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버튼 대용으로 사용되는 제1 감지 영역(SR1)(프레싱 감지 영역)보다 스퀴징 압력을 감지하는 제2 감지 영역(SR2)(스퀴징 감지 영역)의 면적이 더 넓을 수 있다. 제2 감지 영역(SR2)은 제1 감지 영역(SR1)과 동일한 폭을 갖지만, 길이(압력 센서의 연장 방향의 폭)가 더 길 수 있다. 제2 감지 영역(SR2)의 길이는 제1 감지 영역(SR1)의 길이보다 3배 내지 15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영역(SR1)의 길이는 약 4mm 내지 5mm이고, 제2 감지 영역(SR2)의 길이는 약 30mm 내지 60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압력 센서(100)와 제2 압력 센서(2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측으로 복수개의 제1 감지 영역(SR1)이 배열되고, 하단 부근에 하나의 제2 감지 영역(SR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100)에서 복수개의 제1 감지 영역(SR1)과 제2 감지 영역(SR2)의 위치를 구분하는 기준은 오목부(NTH)가 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감지 영역(SR1)은 오목부(NTH)보다 위쪽에 배열되고, 제2 감지 영역(SR2)은 오목부(NTH)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오목부(NTH) 위쪽에 배치되는 제1 감지 영역(SR1)의 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2개 내지 20개, 또는 5개 내지 15개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200)의 경우 오목부(NTH)가 존재하지 않지만, 제1 압력 센서(100)의 제1 감지 영역(SR1)들과 제2 감지 영역(SR2)에 상응하는 위치에 제1 감지 영역(SR1)들과 제2 감지 영역(SR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100)의 감지 영역(SR1, SR2)과 제2 압력 센서(200)의 감지 영역(SR1, SR2)은 숫자, 면적, 간격, 위치 등에 있어서 상호 실질적으로 동일한 대칭 배열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압력 센서(100)의 오목부(NTH)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력 센서(100)의 길이 방향으로 중간 또는 그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상 제1 압력 센서(100)의 하단으로부터 오목부(NTH)까지의 거리는 제1 압력 센서(100) 전체 길이의 30% 내지 5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압력 센서(100)의 하단으로부터 오목부(NTH)까지의 거리는 50mm 내지 60mm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압력 센서(100)가 표시 장치(1)에 배치될 때, 표시 장치(1)의 외측에 위치하는 장변을 외측변, 내측에 위치하는 장변을 내측변이라고 하면, 오목부(NTH)는 제1 압력 센서(100)의 내측변에 형성된다. 제1 압력 센서(100)의 내측변으로부터 안쪽으로 후퇴한 오목부(NTH)의 폭은 1mm 내지 4mm이거나, 약 2mm일 수 있다. 오목부(NTH)의 길이는 오목부(NTH)의 폭과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오목부(NTH)의 길이는 커넥트 홀(93)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100)가 표시 장치(1)에 배치될 때, 오목부(NTH)의 함몰된 영역은 커넥트 홀(93)과 중첩할 수 있다. 오목부(NTH)의 함몰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오목한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압력 센서(100, 200)의 제1 전극(112TX, 212TX)과 제2 전극(112RX, 212RX)은 각각 콤 형상 전극(comb shaped electrode)일 수 있다. 제1 전극(112TX, 212TX)과 제2 전극(112RX, 212RX)은 상기 콤 형상이 맞물려 끼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전극(112TX, 212TX)과 제2 전극(112RX, 212RX)은 각각 줄기 전극(또는 연결 전극)과 가지 전극(또는 핑거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12TX, 212TX)과 제2 전극(112RX, 212RX)은 가지 전극들이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제1 전극(112TX, 212TX)과 제2 전극(112RX, 212RX)이 서로 대향하는 면적이 넓어져 효과적인 압력 센싱을 할 수 있다.
제1 전극(112TX, 212TX)과 제2 전극(112RX, 212RX)의 구조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및 제2 압력 센서(100, 200)의 제1 전극(112TX, 212TX)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줄기 전극(112TX_ST, 212TX_ST)과 제1 줄기 전극(112TX_ST, 212TX_ST)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분지된 복수의 제1 가지 전극(112TX_BR, 212TX_BR)을 포함한다.
제1 줄기 전극(112TX_ST, 212TX_ST)은 복수의 감지 영역(SR1, SR2)에 걸쳐 배치되어 복수의 감지 영역(SR1, SR2)에 전압(구동 전압)을 제공한다. 제1 줄기 전극(112TX_ST, 212TX_ST)은 이웃하는 감지 영역(SR1, SR2)들 사이의 비감지 영역(NSR)에까지 배치되어 이웃하는 감지 영역(SR1, SR2)에 놓인 제1 줄기 전극(112TX_ST, 212TX_ST)의 부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압력 센서(100)의 제1 줄기 전극(112TX_ST)은 오목부(NTH)가 형성된 내측변의 반대측 변인 제1 압력 센서(100)의 외측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압력 센서(100)의 제1 줄기 전극(112TX_ST)은 오목부(NTH)가 형성된 제1 압력 센서(100)의 내측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압력 센서(100)의 제1 줄기 전극(112TX_ST)은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압력 센서(100)의 오목부(NTH) 형상을 따라 복수회 절곡하여 우회한 후 하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200)의 제1 줄기 전극(212TX_ST)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압력 센서(200)의 외측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지만, 반대로 제2 압력 센서(200)의 내측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압력 센서(200)의 경우 오목부(NTH)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 변에 인접 배치되더라도 절곡하여 우회할 필요없이 직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가지 전극(112TX_BR, 212TX_BR)들은 제1 줄기 전극(112TX_ST, 212TX_ST)으로부터 분지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가지 전극(112TX_BR, 212TX_BR)들은 감지 영역(SR1, SR2) 내에 배치되고, 비감지 영역(NSR)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100)에서 오목부(NTH)가 형성된 영역이 비감지 영역(NSR)인 경우, 해당 영역에서는 제1 가지 전극(112TX_BR)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대칭 구조를 갖는 제2 압력 센서(200)에서도 마찬가지로 오목부(NTH)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가지 전극(212TX_BR)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감지 영역(SR1, SR2) 내에서 이웃하는 제1 가지 전극(112TX_BR, 212TX_BR)들이 소정 간격 이격되고, 해당 이격 공간 내에 제2 전극(112RX, 212RX)의 제2 가지 전극(112RX_BR, 212RX_BR)이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감지 영역(SR1, SR2)에 배치되는 제1 가지 전극(112TX_BR, 212TX_BR)의 수는 감지 영역(SR1, SR2)의 면적에 따라 다르지만 제1 감지 영역(SR1)을 기준으로 2개 이상 20개 이하일 수 있다. 제2 감지 영역(SR2)에 배치되는 제1 가지 전극(112TX_BR, 212TX_BR)도 제1 감지 영역(SR1)에 배치되는 제1 가지 전극(112TX_BR, 212TX_BR)과 동일한 폭 및 간격을 갖되, 그 수는 해당 면적에 비례하여 더 많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압력 센서(100, 200)의 제2 전극(112RX, 212RX)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 줄기 전극(112RX_ST, 212RX_ST)과 각 제2 줄기 전극(112RX_ST, 212RX_ST)으로부터 분지된 복수의 제2 가지 전극(112RX_BR, 212RX_BR)을 포함한다.
제2 줄기 전극(112RX_ST, 212RX_ST)은 제1 줄기 전극(112TX_ST, 212TX_ST)에 대향한다. 제1 줄기 전극(112TX_ST, 212TX_ST)이 압력 센서(100, 200)의 내측변에 인접 배치된 경우, 제2 줄기 전극(112RX_ST, 212RX_ST)은 압력 센서(100, 200)의 외측변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2 줄기 전극(112RX_ST, 212RX_ST)은 제1 줄기 전극(112TX_ST, 212TX_ST)과는 달리 하나의 감지 영역(SR1, SR2)을 커버한다. 각 감지 영역(SR1, SR2)마다 별도의 제2 줄기 전극(112RX_ST, 212RX_ST)이 배치되고, 서로 다른 감지 영역(SR1, SR2)에 배치된 제2 줄기 전극(112RX_ST, 212RX_ST)들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각 제2 줄기 전극(212RX_ST)들은 각각 독립적인 센싱 배선(112RX_WR, 212RX_WR)과 연결된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각 센싱 배선(112RX_WR, 212RX_WR)은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어부(미도시)에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센싱 배선(112RX_WR, 212RX_WR)은 해당 제2 전극(112RX, 212RX)에 인가된 전압이나 전류량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가지 전극(112RX_BR, 212RX_BR)은 제2 줄기 전극(112RX_ST, 212RX_ST)으로부터 분지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가지 전극(112RX_BR, 212RX_BR)의 연장 방향과 제1 가지 전극(112TX_BR, 212TX_BR)의 연장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복수의 제2 가지 전극(112RX_BR, 212RX_BR)은 복수의 제1 가지 전극(112TX_BR, 212TX_BR)들 사이에 배치된다. 하나의 감지 영역(SR1, SR2) 내에서 제1 가지 전극(112TX_BR, 212TX_BR)의 수와 제2 가지 전극(112RX_BR, 212RX_BR)의 수는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감지 영역(SR1, SR2) 내에서 제1 가지 전극(112TX_BR, 212TX_BR)과 제2 가지 전극(112RX_BR, 212RX_BR)은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하나의 감지 영역(SR1, SR2) 내에서의 이웃하는 제1 및 제2 가지 전극(112TX_BR, 112RX_BR; 212TX_BR, 212RX_BR)의 간격은 균일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감지 영역(NSR)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다른 감지 영역(SR1, SR2)의 상호 가장 가까운 가지 전극들(112TX_BR, 112RX_BR; 212TX_BR, 212RX_BR)간 이격 거리는 하나의 감지 영역(SR1, SR2) 내의 가지 전극(112TX_BR, 112RX_BR; 212TX_BR, 212RX_BR)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제2 전극(112RX, 212RX)은 제1 압력 센서(100)의 오목부(NTH)와 제2 압력 센서(200)에서 그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제2 전극(112RX, 212RX)의 센싱 배선(112RX_WR, 212RX_WR)은 해당 영역을 지날 수 있다.
압력 감지층(122, 222)은 감지 영역(SR1, SR2)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력 감지층(122, 222)은 대응하는 감지 영역(SR1, SR2)을 커버한다. 감지 영역(SR1, SR2) 내의 복수의 제1 가지 전극(112TX_BR, 212TX_BR)과 복수의 제2 가지 전극(112RX_BR, 212RX_BR)은 압력 감지층(122, 222)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압력 센서(100, 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표시 장치(1)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압력 센서(100, 200)는 물리적인 입력 버튼을 대체하거나 물리적인 입력 버튼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범프부(53)는 제1 압력 센서(100)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범프부(53)는 제1압력집중범프(531) 및 제2압력집중범프(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범프부(55)는 제2 압력 센서(200)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범프부(55)는 제3압력집중범프(5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압력집중범프(531)는 제1 압력 센서(100)의 제1 감지 영역(SR1)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압력 센서(100)의 제1 감지 영역(SR1)이 제1방향(d1)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 경우, 제1압력집중범프(531)도 제1방향(d1)을 따라 복수개 배열되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1압력집중범프(531)는 각각의 제1 감지 영역(SR1)과 중첩할 수 있다.
제1압력집중범프(531)가 제1 압력 센서(100)의 제1 감지 영역(SR1)과 중첩하는 바, 제1 압력 센서(100)의 제1 감지 영역(SR1)에서 압력 감지층(122), 제1 전극(112TX), 제2 전극(112RX), 및 제1압력집중범프(531)는 상호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면적은 제1 압력 센서(100)의 제1 감지 영역(SR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면적은 25㎟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압력집중범프(551)는 제1압력 센서(100)의 제1 감지 영역(SR1)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외 제3압력집중범프(551)에 대한 설명은 제1압력집중범프(5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제2압력집중범프(533)는 제1 압력 센서(100)의 제2 감지 영역(SR2)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압력집중범프(533)는 제1방향(d1)을 따라 복수개 배열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2압력집중범프(533)는 제1 압력 센서(100)의 제2 감지 영역(SR2)과 중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제2 감지 영역(SR2)과 중첩하는 제2압력집중범프(533)는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압력집중범프(533)의 면적은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압력집중범프(533)가 제1 압력 센서(100)의 제2 감지 영역(SR2)과 중첩하는 바, 제1 압력 센서(100)의 제2 감지 영역(SR2)에서 압력 감지층(122), 제1 전극(112TX), 제2 전극(112RX) 및 제2압력집중범프(533)는 상호 중첩할 수 있다.
제4압력집중범프(553)는 제2압력 센서(200)의 제2 감지 영역(SR2)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외 제4압력집중범프(553)에 대한 설명은 제2압력집중범프(53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압력 센서(100)의 복수개의 제1 감지 영역(SR1)은 오목부(NTH)보다 위쪽에 배열되고, 제1 압력 센서(100)의 제2 감지 영역(SR2)은 오목부(NTH)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압력집중범프(531)도 오목부(NTH)를 기준으로 위쪽에 배열될 수 있으며, 제2압력집중범프(533)는 오목부(NTH)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압력집중범프(531)는 제2압력집중범프(533)와 이격될 수 있다.
제1압력집중범프(531) 및 제2압력집중범프(533)는 제1 압력 센서(100)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갖고, 제3압력집중범프(5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는 제2 압력 센서(200)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구형,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력 센서(100, 200)에 두께 방향의 압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압력집중범프(531) 및 제3압력집중범프(551)는 가해진 압압력을 분산시키기 않고 압력 센서(100, 200)의 제1 감지 영역(SR1) 내에 위치하는 압력 감지층(122)에 압압력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제2압력집중범프(533)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는 압력 센서(100, 200)의 제2 감지 영역(SR2) 내에 위치하는 압력 감지층(122)에 압압력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출되는 저항값 변화가 커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압력 센서(100, 200)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도 8에 도시된 제1 압력 센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100a)는 제1 기재(111)의 일면 상에 압력 감지층(122)이 위치하고, 압력 감지층(122) 상에 제1 전극(112TX) 및 제2 전극(112RX)이 위치하는 점에서 도 8 및 도 10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100b)는 제1 기재(111)의 일면 상에 압력 감지층(122)이 위치하되, 압력 감지층(122)이 제1 전극(112TX) 및 제2 전극(112RX)을 커버하는 점에서 도 8 및 도 10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제1 압력 센서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제1 압력 센서의 배치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100c)는 제1 전극(113)과 제2 전극(123)의 형상 및 배치가 도 8 및 도 10의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기판(110c)은 제1 기재(111) 및 제1 기재(111) 상에 배치된 제1 전극(113)을 포함한다. 제2 기판(120c)은 제2 기재(121), 제2 기재(121) 상에 배치된 제2 전극(123) 및 제2 전극(123) 상에 배치된 압력 감지층(122)을 포함한다. 제1 전극(113)은 압력 감지층(122)과 대향하고 서로 접하거나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전극(113)과 제2 전극(123)이 압력 감지층(122)을 사이에 두고 두께 방향으로 대향한다. 압력이 인가되면, 압력 감지층(122)의 저항이 달라지면서 제1 전극(113)과 제2 전극(123)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이 달라져 압력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제1 전극(113)이 감지 영역마다 분리되어 배치된 센싱 전극이고, 제2 전극(123)이 전체가 하나로 연결된 통판 전극으로서 구동 전극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반대로 제1 전극(113)이 통판 전극이고 제2 전극(123)이 센싱 전극일 수도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 센서, 도전 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표시 장치의 저면을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X5-X5'를 따라 절단한 도전 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X7-X7'를 따라 절단한 도전 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1범프부(53)의 제1압력집중범프(531) 및 제2압력집중범프(533)는 도전 시트(51)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2범프부(55)의 제3압력집중범프(5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도 도전 시트(51)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개 마련된 제1압력집중범프(531)는 제1방향(d1)을 따라 간격(DS1)을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1압력집중범프(531)는 제1 압력 센서(100)의 각 제1 감지 영역(SR1)과 중첩한다.
제3압력집중범프(551)도 복수개 마련될 수 있으며, 제3압력집중범프(551)는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제2압력 센서(200)의 각 제1 감지 영역(SR2)과 중첩한다.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3압력집중범프(551) 간의 간격은 제1압력집중범프(531)간의 이격 간격(DS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복수개 마련된 제2압력집중범프(533)는 제1방향(d1)을 따라 간격(DS2)을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2압력집중범프(533)는 제1 압력 센서(100)의 제2 감지 영역(SR2)과 중첩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압력집중범프(533)간의 이격 간격(DS2)은 제1압력집중범프(531)간의 이격 간격(DS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4압력집중범프(553)도 복수개 마련될 수 있으며, 제4압력집중범프(553)는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각각의 제4압력집중범프(553)는 제2 압력 센서(200)의 제2 감지 영역(SR2)과 중첩한다. 제4압력집중범프(553) 간의 간격은 제2압력집중범프(533)간의 이격 간격(DS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면적과 하나의 제2압력집중범프(533)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제3압력집중범프(551)의 면적과 하나의 제4압력집중범프(553)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두께(W31), 제2압력집중범프(533)의 두께(W33), 제3압력집중범프(551)의 두께(W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의 두께(W53)는 도전 시트(51)의 두께(W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는 압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는 도전 시트(5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전 시트(51)가 구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도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제4압력집중범프(553) 및 도전 시트(51)는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 예컨대 하나의 구리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도전 시트(51)와 함께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바,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다른 예시들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이미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지칭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범프부(53_1) 및 제2범프부(55_1)의 구성이 도 15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범프부(53_1)의 제2압력집중범프(533)간 이격 간격(DS2)은, 제1압력집중범프(531)간의 이격 간격(DS1)보다 더 길 수 있으며, 제2범프부(55_1) 또한 제3압력집중범프(551)간의 이격 간격보다 제4압력집중범프(553) 간의 이격 간격이 더 길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감지 영역(SR2)과 중첩하는 제2압력집중범프(533)의 개수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의 개수가 도 15의 실시예보다 적다. 이에 따라 제2 감지 영역(SR2)에서의 압력감지 민감도를 도 15의 실시예 대비 상대적으로 둔감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2 감지 영역(SR2)의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표시 장치(1)를 쥐는 경우 손바닥과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표시 장치(1)를 쥐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제2 감지 영역(SR2)에서 압력을 감지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압력집중범프(533)간의 이격 간격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간의 이격 간격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제2 감지 영역(SR2)의 감도를 상대적으로 둔감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감지 영역(SR2)에서 의도하지 않은 동작이 입력으로 감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범프부(53_2) 및 제2범프부(55_2)의 구성이 도 15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범프부(53_2)의 제2압력집중범프(5333)의 면적은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제2압력집중범프(5333) 간의 이격 간격(DS2)은, 제1압력집중범프(531)간의 이격 간격(DS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범프부(55_1) 또한 제4압력집중범프(553)의 면적은 제3압력집중범프(551)의 면적보다 작고, 제4압력집중범프(553)간의 이격 간격은 제3압력집중범프(551) 간의 이격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감지 영역(SR2)과 중첩하는 제2압력집중범프(533)의 면적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의 면적이 도 15의 실시예보다 적다. 이에 따라 제2 감지 영역(SR2)에서의 압력감지 민감도를 도 15의 실시예 대비 상대적으로 둔감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감지 영역(SR2)에서 의도하지 않은 입력이 감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범프부(53_3) 및 제2범프부(55_3)의 구성이 도 19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범프부(53_3)의 제2압력집중범프(5333) 간의 이격 간격(DS2)은, 제1압력집중범프(531)간의 이격 간격(DS1)보다 길 수 있다. 제2범프부(55_1) 또한 제4압력집중범프(553)간의 이격 간격은 제3압력집중범프(551) 간의 이격 간격보다 길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감지 영역(SR2)과 중첩하는 제2압력집중범프(533)의 개수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의 개수가 도 19의 실시예보다 적다. 이에 따라 제2 감지 영역(SR2)에서의 압력감지 민감도를 도 19의 실시예 대비 상대적으로 둔감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감지 영역(SR2)에서 의도하지 않은 입력이 감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범프부(53_4) 및 제2범프부(55_4)의 구성이 도 15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범프부(53_4)의 제2압력집중범프(5335)의 면적은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압력집중범프(5335)는 제1방향(d1)을 따라 연장된 바 형태로 이루어져 제2 감지 영역(SR2)과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압력집중범프(533)의 길이(압력 센서의 연장 방향의 폭)는 하나의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2범프부(55_4)의 제4압력집중범프(5535)의 면적도 제3압력집중범프(551)의 면적보다 클 수 있으며, 제4압력집중범프(5535)의 길이는 제3압력집중범프(551)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압력 센서(100_1) 및 제2 압력 센서(200_1)가 도 15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압력 센서(100_1) 및 제2 압력 센서(200_1)는 제1 감지 영역(SR1)의 주변에 제1 감지 영역(SR1)보다 면적이 넓은 감지 영역(SR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의 감지 영역(SR1a)과 중첩하는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개수 및 제3압력집중범프(551)의 개수는, 하나의 제1 감지 영역(SR1)과 중첩하는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개수 및 제3압력집중범프(551)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도 23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범프부(53_5) 및 제2범프부(55_5)가 도 22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범프부(53_5)는 제1압력집중범프(531) 및 제2압력집중범프(533)를 포함하고 감지 영역(SR1a)과 중첩하는 제1서브압력집중범프(531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범프부(55_5)는 제3압력집중범프(5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를 포함하고, 감지 영역(SR1a)과 중첩하는 제2서브압력집중범프(55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서브압력집중범프(5311의 면적은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으며, 제1서브압력집중범프(5311) 간의 이격 간격(DS11)은, 제1압력집중범프(531)간의 이격 간격(DS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범프부(55_1) 또한 제2서브압력집중범프(5511)의 면적은 제3압력집중범프(551)의 면적보다 작고, 제2서브압력집중범프(5511)간의 이격 간격은 제3압력집중범프(551) 간의 이격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범프부(53_6) 및 제2범프부(55_6)가 도 22의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범프부(53_6)의 제1서브압력집중범프(5311) 간의 이격 간격(DS11)은, 제1압력집중범프(531)간의 이격 간격(DS1)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제2범프부(55_1)의 제2서브압력집중범프(5511) 간의 이격 간격은 제3압력집중범프(551) 간의 이격 간격보다 길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도 25의 X9-X9'를 따라 절단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 도 27은 도 25의 X11-X11'를 따라 절단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 도 28은 도 26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9는 도 27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브리지 패턴(B1, B3, B5, B7) 이 차광층(40)의 하부에 더 배치되는 점에서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브리지 패턴(B1, B2, B3, B4)는 제1 브리지 패턴(B1), 제2 브리지 패턴(B3), 제3 브리지 패턴(B5) 및 제4 브리지 패턴(B7)을 포함한다.
제1 브리지 패턴(B1), 제2 브리지 패턴(B3), 제3 브리지 패턴(B5) 및 제4 브리지 패턴(B7)은 각각 제2방향(d2)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브리지 패턴(B1)은 제1범프부(53)의 제1압력집중범프(531)와 도전 시트(51)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브리지 패턴(B3)은 제1범프부(53)의 제2압력집중범프(533)와 도전 시트(51)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제3 브리지 패턴(B5)은 제2범프부(55)의 제3압력집중범프(551)와 도전 시트(51) 사이에 위치하고 제4 브리지 패턴(B7)은 제2범프부(55)의 제4압력집중범프(553)와 도전 시트(51)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브리지 패턴(B1)의 일단은 제1압력집중범프(531)와 연결되고 제2 브리지 패턴(B3)의 일단은 제2압력집중범프(533)와 연결된다. 제3 브리지 패턴(B5)의 일단은 제3압력집중범프(551)와 연결되고 제4 브리지 패턴(B7)의 일단은 제4압력집중범프(553)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브리지 패턴(B1)의 타단, 제2 브리지 패턴(B3)의 타단, 제3 브리지 패턴(B5)의 타단 및 제4 브리지 패턴(B7)의 타단은 각각 도전 시트(51)에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브리지 패턴(B1), 제2 브리지 패턴(B3), 제3 브리지 패턴(B5) 및 제4 브리지 패턴(B7)은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브리지 패턴(B1)의 두께(WB)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시트(51)의 두께(W1) 및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두께(W31)보다 얇을 수 있다. 또한 제2 브리지 패턴(B3)의 두께, 제3 브리지 패턴(B5)의 두께 및 제4 브리지 패턴(B7)의 두께는 제1 브리지 패턴(B1)의 두께(WB)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리지 패턴(B3)의 두께, 제3 브리지 패턴(B5)의 두께 및 제4 브리지 패턴(B7)의 두께는 도전 시트(51)의 두께(W1) 및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두께(W31)보다 얇을 수 있다. 브리지 패턴(B1, B3, B5, B7)의 두께를 도전 시트(51)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함에 따라 브리지 패턴(B1, B3, B5, B7)이 표시 장치(1)의 제2 영역(DR2)의 형상(또는 곡면부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더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브리지 패턴(B1)의 두께(WB)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시트(51)의 두께(W1) 및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두께(W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브리지 패턴(B3)의 두께, 제3 브리지 패턴(B5)의 두께 및 제4 브리지 패턴(B7)의 두께는 제1 브리지 패턴(B1)의 두께(WB)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리지 패턴(B3)의 두께, 제3 브리지 패턴(B5)의 두께 및 제4 브리지 패턴(B7)의 두께는 도전 시트(51)의 두께(W1) 및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두께(W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브리지 패턴(B1, B2, B3, B4)의 두께를 도전 시트(51)의 두께 및 압력집중범프(531, 533, 551, 553)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하는 경우, 부분적으로 두께를 감소시키는 공정이 필요 없어 지는 바,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브리지 패턴(B1), 제2 브리지 패턴(B3), 제3 브리지 패턴(B5) 및 제4 브리지 패턴(B7)은 도전 시트(5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전 시트(51)의 제조 과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브리지 패턴(B1, B3, B5, B7))이 더 구비됨에 따라, 차광층(40)의 하부에 제1범프부(53), 제2범프부(55) 및 도전 시트(51)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1범프부(53)와 제2범프부(55)의 이동을 방지하고 의도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이점, 이에 따라 제1범프부(53)와 제1 압력 센서(100)간의 오정렬 및 제2범프부(55)와 제2 압력 센서(200)간의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30, 도 31,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및 도 36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도 30, 도 31,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및 도 36의 실시예의 경우 각각 차광층(40)의 하부에 브리지 패턴(B1, B3, B5, B7)이 더 배치되는 점에서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및 도 24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외 브리지 패턴(B1, B3, B5, B7) 에 대한 설명은 도 25 내지 도 29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브리지 패턴(B1, B3, B5, B7) 뿐만 아니라 범프 연결패턴(BV1, BV2)이 차광층(40)의 하부에 더 배치되는 점에서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범프 연결패턴(BV1, BV2)은 제1범프 연결패턴(BV1) 및 제2범프 연결패턴(BV2)을 포함한다.
제1범프 연결패턴(BV1)은 제1방향(d1)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1압력집중범프(531) 사이에 위치하고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1압력집중범프(531)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범프 연결패턴(BV1)은,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2압력집중패턴(533) 사이에 더 위치하여 서로 이웃하는 제2압력집중패턴(533)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범프 연결패턴(BV1)은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1압력집중패턴(531)과 제2압력집중패턴(533) 사이에 더 위치하여 서로 이웃하는 제1압력집중패턴(531) 및 제2압력집중패턴(533)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범프 연결패턴(BV2)은 제1범프 연결패턴(BV1)과 마찬가지로 제1방향(d1)따라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3압력집중범프(551) 사이에 위치하고 서로 이웃하는 제3압력집중범프(551)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범프 연결패턴(BV2)은,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4압력집중패턴(553) 사이에 더 위치하여 서로 이웃하는 제2압력집중패턴(553)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범프 연결패턴(BV2)은 제1방향(d1)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3압력집중패턴(551)과 제4압력집중패턴(553) 사이에 더 위치하여 서로 이웃하는 제3압력집중패턴(551) 및 제4압력집중패턴(553)과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범프 연결패턴(BV1) 및 제2범프 연결패턴(BV2)은 도전 시트(5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전 시트(51)의 제조 과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범프 연결패턴(BV1)의 두께 및 제2범프 연결패턴(BV2)의 두께는 제1 브리지 패턴(B1)의 두께(WB)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브리지 패턴(B1)의 두께(WB)가 도전 시트(W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경우, 제1범프 연결패턴(BV1)의 두께 및 제2범프 연결패턴(BV2)의 두께도 도전 시트(W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브리지 패턴(B1)의 두께(WB)가 도전 시트(W1)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 제1범프 연결패턴(BV1)의 두께 및 제2범프 연결패턴(BV2)의 두께도 도전 시트(W1)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범프 연결패턴(BV1, BV2)이 더 구비됨에 따라, 차광층(40)의 하부에 범프부(53, 55) 및 도전 시트(51)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범프부(53, 55)를 의도한 위치에 보다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는 이점, 이에 따라 범프부(53, 55)와 압력 센서(100, 200) 간의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도 42, 도 43 및 도 44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도 38, 도 39, 도 40, 도 41, 도 42, 도 43 및 도 44의 실시예의 경우 각각 차광층(40)의 하부에 범프 연결패턴(BV1, BV2)이 더 배치되는 점에서 도 30, 도 31, 도 32, 도 33, 도 34, 도 35 및 도 36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외 범프 연결패턴(BV1, BV2)에 대한 설명은 도 37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도 45, 도 46 및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압력 신호를 인가하는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들이다.
도 45, 도 46 및 도 47은 스마트폰으로 적용된 표시 장치(1)를 예시한다. 도 45, 도 $6 및 도 $7의 표시 장치(1)에서 장변 측에 물리적인 입력 버튼은 생략되어 있고, 대신 그 위치에 압력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에는 물리적인 입력 버튼이 모두 생략되고, 대신 압력 센서가 물리적인 입력 버튼을 모두 대체할 수 있다.
도 45 및 도 46에서는 제1 감지 영역(SR1)이 프레싱 동작 인식 영역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즉, 도 45 및 도 46은 표시 장치(1)를 손가락으로 그립한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으로 특정 위치를 프레싱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상기 특정 위치에는 압력 센서(100, 200)의 제1 감지 영역(SR1)이 배치되어 있다. 제1 감지 영역(SR1)이 압력을 받으면 압력 감지층(122, 222)의 저항이 변화하고, 이를 제2 전극(112RX, 212RX)을 통해 감지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압력 인가 여부와 압력의 크기를 판별할 수 있다. 특정 위치에 인가되는 압력 및/또는 크기에 따라 사전 프로그래밍된 표시 장치(1)의 동작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화면 조정, 화면 잠금, 화면 변환, 어플리케이션 호출, 어플리케이션 실행, 사진 촬영, 전화 수신 등의 사전 프로그래밍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제1 감지 영역(SR1)마다 서로 다른 동작이 사전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감지 영역(SR1)의 수가 많을수록 간편하게 더 다양한 표시 장치(1)의 출력을 만들어낼 수 있다.
손가락으로 표시 장치(1)의 특정 위치를 프레싱하는 경우, 손가락과 표시 장치(1)의 접촉 면적이 제1 감지 영역(SR1)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즉, 바꾸어 말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감지 영역(SR1)의 면적이 손가락과 표시 장치(1) 간의 접촉 면적보다 좁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손가락으로 표시 장치(1)의 특정 위치를 프레싱하는 경우, 둘 이상의 제1 감지 영역(SR1)에서 압력을 인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1 감지 영역(SR1)이 하나의 감지 영역 그룹(SRG)을 이루고, 표시 장치(1)는 각 감지 영역 그룹(SRG)에 발생한 입력에 응답하여 각 서로 다른 동작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도 있다. 도 45에는 서로 이웃하는 두개의 제1 감지 영역(SR1)이 하나의 감지 영역 그룹(SRG)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각 감지 영역 그룹(SRG)이 포함하는 제1 감지 영역(SR1)의 개수는 세개 이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는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지 영역(SR1)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하는 경우 손가락으로 표시 장치(1)의 특정 위치를 프레싱 하더라도, 하나의 제1 감지 영역(SR1)에서 압력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감지 영역(SR1)의 면적은, 프레싱이 발생한 경우 손가락과 표시 장치(1)간의 접촉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더 넓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로 이웃하는 제1 감지 영역(SR1)이 감지 영역 그룹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표시 장치(1)는 각 제1 감지 영역(SR1)에 발생한 입력에 응답하여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이웃하지 않는 제1 감지 영역(SR1), 예컨대 표시 장치(1)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감지 영역(SR1)과 표시 장치(1)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1 감지 영역(SR1)이 서로 동일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감지 영역(SR1)의 주변에는 제1 감지 영역(SR1)보다 면적이 넓은 감지 영역이 더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지 영역(SR1) 보다 상대적으로 표시 장치(1)의 상단에 인접한 부분에는 제1 감지 영역(SR1)보다 면적이 넓은 감지 영역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7에서는 제2 감지 영역(SR2)이 스퀴징 동작 인식 영역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즉, 도 47은 표시 장치(1)를 손가락으로 그립한 상태에서 손바닥과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스퀴징하는 형상을 도시한다. 스퀴징이 이루어지는 영역에는 제2 감지 영역(SR2)이 배치되어 스퀴징에 의한 압력 인가 여부와 압력의 크기를 판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전 프로그래밍된 표시 장치(1)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스퀴징은 표시 장치(1)를 그립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손 전체에 힘을 가하는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스퀴징 동작은 표시 장치(1)를 그립한 상태에서 정교한 손의 움직임 없이도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한 입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2 감지 영역(SR2)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나 스냅 촬영, 긴급구조요청 등과 같이 신속성이 요구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감지 영역(SR1)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표시 장치(1)는 제1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감지 영역(SR2)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표시 장치(1)는 상기 제1동작과 다른 제2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감지 영역(SR1)에 대응하여 사전 프로그래밍된 표시 장치(1)의 동작과 제1 감지 영역(SR1)에 대응하여 사전 프로그래밍된 표시 장치(1)의 동작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에는 물리적인 입력 버튼이 모두 생략될 수 있으며, 대신 압력 센서가 물리적인 입력 버튼을 모두 대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 등이 표시 장치(1)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는 바, 디자인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키고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100) 및 제2 압력 센서(200)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1)를 쥐는 경우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위치하는 표시 장치(1)의 양 장변(LS1, LS2)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표시 장치(1) 조작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1-X1'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4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50은 도 49의 X13-X13'를 따라 절단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이다.
도 4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는 차광층(40)의 하부에 연결부(57, 59)를 더 포함하는 점, 결합층(81)이 제2 영역(DR2)과 중첩하도록 더 연장되고 연결부(57, 59), 제1범프부(53) 및 제2범프부(55)가 결합층(81)을 매개로 차광층(4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1)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도 49 및 도 50을 더 참고하여 연결부(57, 59)에 대해 설명한다.
연결부(57, 59)는 제1연결부(57) 및 제2연결부(59)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57)는 도전 시트(51) 및 제1압력집중범프(531)와 연결되며, 또한 제1연결부(57)는 도전 시트(51) 및 제2압력집중범프(533)와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57)는 평면 상에서 제1압력집중범프(531) 및 제2압력집중범프(533)를 둘러쌀 수 있다.
제2연결부(59)는 도전 시트(51) 및 제3압력집중범프(551)와 연결되며, 또한 제2연결부(59)는 도전 시트(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와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연결부(59)는 평면 상에서 제3압력집중범프(5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를 둘러쌀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57)의 두께(WP)는 제2연결부(59)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57)의 두께(WP)는 도전 시트(51)의 두께(W1)보다 얇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두께(W31)와 제3압력집중범프(551)의 두께(W51)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도전 시트(51)의 두께(W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더 두꺼울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부(57)의 두께(WP)는 제1압력집중범프(531)의 두께(W31)와 제3압력집중범프(551)의 두께(W51)보다 얇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제4압력집중범프(553), 제1연결부(57) 및 제2연결부(59)는 도전 시트(51)와 동일한 물질, 예컨대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제4압력집중범프(553), 제1연결부(57) 및 제2연결부(59) 및 도전 시트(51)는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 예컨대 하나의 구리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해 구리 플레이트 중 제1연결부(57) 및 제2연결부(59)와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제4압력집중범프(553), 제1연결부(57) 및 제2연결부(59) 및 도전 시트(51)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동일 공정을 통해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제4압력집중범프(553), 제1연결부(57) 및 제2연결부(59) 및 도전 시트(51)를 제조할 수 있는 바,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제1연결부(57) 및 제2연결부(59)가 있음에 따라,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범프부(53, 55)의 이동을 방지하고 의도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이점, 이에 따라 압력 센서(100, 200)와 범프부(53, 55)간의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제1연결부(57) 및 제2연결부(59)가 도전 시트(51)와 연결되어 있는 바, 방열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존재하며, 제1연결부(57) 및 제2연결부(59)를 도전 시트(51) 대비 얇게 형성함에 따라 열방출 면적을 넓힐 수 있는 이점, 이에 따라 방열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이외 제1연결부(57) 및 제2연결부(59)를 도전 시트(51) 대비 얇게 형성함에 따라 표시 장치(2)의 제2 영역(DR2)과 대응하도록 제1연결부(57) 및 제2연결부(59)가 더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이점도 존재한다.
도 5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2, 도 53, 도 54, 도 55, 도 56 및 도 57은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1 내지 도 57을 참조하면, 도 51, 도 52, 도 53, 도 54, 도 55, 도 56 및 도 57의 실시예의 경우 각각 제1연결부(57) 및 제2연결부(59)가 차광층(40)의 하부에 더 배치되는 점, 결합층(도 38의 81)이 제2 영역(DR2)까지 연장되고 제1연결부(57), 제2연결부(59)가 결합층(도 38의 81)을 매개로 차광층(40)에 결합되는 점에서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및 도 24의 실시예와 가장 큰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외 제1연결부(57) 및 제2연결부(59)에 대한 설명은 도 48 내지 도 50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도 5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 2의 X1-X1'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60은 도 59의 X15-X15'를 따라 절단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 도 61은 도 59의 X17-X17'를 따라 절단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의 단면도이다.
도 5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는 도전 시트(52)가 차광층(40)의 하부에 배치되되, 표시 장치(3)의 제2 영역(DR2) 내에 더 연장되어 위치하는 점, 결합층(81)이 제2 영역(DR2)과 중첩하도록 더 연장되고 도전 시트(52)가 제2 영역(DR2)에서 결합층(81)을 매개로 차광층(4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점, 제1범프부(53) 및 제2범프부(55)가 도전 시트(52) 상에 위치하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1)와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 도 59 내지 도 61을 더 참고하여 차이점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전 시트(52)는 표시 장치(3)의 제1 영역(DR1) 뿐만 아니라 제2 영역(DR2)에도 더 위치한다. 즉, 도전 시트(52)는 표시 패널(30)의 평탄부와 중첩하며 표시 패널(30)의 곡면부와 더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 시트(52)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전 시트(52) 중 제2 영역(DR2) 내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는 도전 시트(52) 중 제1 영역(DR1) 내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W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범프부(53) 및 제2범프부(55)는 각각 제2 영역(DR2)에서 도전 시트(52) 상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범프부(53)의 제1압력집중범프(531) 및 제2압력집중범프(533)는 제1에지(LS1)에 인접한 제2 영역(DR2)에서 도전 시트(52) 상에 위치하며, 제1 압력 센서(100)를 향하는 도전 시트(52)의 일면에서 제1 압력 센서(100)를 향해 돌출된다.
또한, 제2범프부(55)의 제3압력집중범프(5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는 제2에지(LS2)에 인접한 제2 영역(DR2)에서 도전 시트(52) 상에 위치하며, 제2 압력 센서(200)를 향하는 도전 시트(52)의 일면에서 제2 압력 센서(200)를 향해 돌출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 시트(52),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제4압력집중범프(553) 및 도전 시트(52)는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 예컨대 하나의 구리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에칭 가공 또는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해 구리 플레이트 중 제1범프부(53) 및 제2범프부(55)와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제4압력집중범프(553) 및 도전 시트(52)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제1압력집중범프(531), 제2압력집중범프(533), 제3압력집중범프(551), 제4압력집중범프(553) 및 도전 시트(52)의 구조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 과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62는 도 60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3은 도 61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2 및 도 63을 참조하면,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1압력집중범프(531a), 제2압력집중범프(533a), 제3압력집중범프(551a), 제4압력집중범프(553a) 및 도전 시트(52a)는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 예컨대 구리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 패널(30)을 향하는 도전 시트(52a)의 일면 중 제1압력집중범프(531a), 제2압력집중범프(533a), 제3압력집중범프(551a), 제4압력집중범프(553a)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전 시트(52a)의 하부 방향으로 만입된 오목부(CV)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압력집중범프(531a), 제2압력집중범프(533a), 제3압력집중범프(551a), 제4압력집중범프(553a)는 각각 오목부(CV)와 대응하는 볼록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4는 도 62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5는 도 63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4 및 도 65를 참고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오목부(CV) 내에는 지지부재(ORP)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재(ORP)는 입력으로서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볼록부 형태로 이루어진 제1압력집중범프(531a), 제2압력집중범프(533a), 제3압력집중범프(551a) 및 제4압력집중범프(553a)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부재(ORP)는 아크릴 레진, 에폭시 레진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목부(CV) 내에 상기 유기물을 충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7, 도 68, 도 69, 도 70, 도 71 및 도 72는 각각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압력 센서, 제2 압력센서, 도전시트 제1범프부 및 제2범프부 간의 배치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6 내지 도 72를 참조하면, 도 66, 도 67, 도 68, 도 69, 도 70, 도 71 및 도 72의 실시예의 경우 각각 도전 시트(52)가 차광층(40)의 하부에 배치되되, 표시 장치(3)의 제2 영역(DR2) 내에 더 연장되어 위치하는 점, 결합층(81)이 제2 영역(DR2)과 중첩하도록 더 연장되고 도전 시트(52)가 제2 영역(DR2)에서 결합층(81)을 매개로 차광층(4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점, 제1범프부(53) 및 제2범프부(55)가 도전 시트(52) 상에 위치하는 점에서 각각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및 도 24의 실시예와 가장 큰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외 도전 시트(52), 범프부(53, 55)에 대한 설명은 도 58 내지 도 6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2)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의 아래에 상기 도전 시트와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에지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1 에지를 따라 배치된 제1압력집중범프 및 제2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에지를 따라 연장된 제1 압력 센서;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제1감지영역 및 상기 제1감지영역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감지영역보다 면적이 넓은 제2감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감지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2감지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도전 시트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에지 측에 위치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시트는 상기 평탄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곡면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도전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부착된 차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전 시트,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차광층의 하면에 부착된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차광층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도전 시트와 연결된 제1브리지 패턴; 및
    일단이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도전 시트와 연결된 제2브리지 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브리지 패턴과 상기 제2브리지 패턴은 상기 제1에지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리지 패턴, 상기 제2브리지 패턴,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리지 패턴의 두께 및 상기 제2브리지 패턴의 두께는, 각각 상기 도전 시트의 두께보다 얇은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리지 패턴의 두께는,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의 두께보다 얇은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시트,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와 연결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평면 상에서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를 둘러싸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도전 시트의 두께보다 얇은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결합층을 매개로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에 부착된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분리된 제2전극과, 압력에 따라 저항이 변화하는 압력 민감 물질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감지영역 및 상기 제2감지영역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감지영역 및 상기 제2감지영역마다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감지영역에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중첩하고,
    상기 제2감지영역에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영역은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제2감지영역은 상기 제1감지영역보다 상기 타단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는 각각의 상기 제1감지영역과 중첩하도록 복수개 배열된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의 길이는,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의 길이보다 긴 표시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에지를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2감지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제1 줄기 전극 및 상기 제1 줄기 전극으로부터 분지된 복수의 제1 가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은 제2 줄기 전극 및 상기 제2 줄기 전극으로부터 분지된 복수의 제2 가지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각 제1 가지 전극과 상기 각 제2 가지 전극은 상호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구동 전극이고, 상기 제2전극은 센싱 전극인 표시 장치.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층은 상기 제1감지영역 및 상기 제2감지영역마다 분리되어 있는 표시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아래에 상기 도전 시트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에지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제2 에지를 따라 배치된 제3압력집중범프 및 제4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3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4압력집중범프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에지를 따라 연장된 제2압력센서;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압력센서는,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3감지영역과 상기 제3감지영역보다 상기 타단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3감지영역보다 면적이 넓은 제4 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3감지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4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4감지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4압력집중범프는,
    상기 도전 시트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에지 측에 위치하는 제1 곡면부, 및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2 에지 측에 위치하는 제2 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압력 센서,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 곡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 상기 제3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4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2 곡면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를 수납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각각 방수 테이프를 통해 상기 브라켓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
  24.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도전 시트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에지에 인접 배치된 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도전 시트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에지를 따라 연장되고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압력 센서; 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도전 시트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시트 및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일체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26.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을 향하는 상기 도전 시트의 일면 중 상기 압력집중범프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오목부가 형성된 표시 장치.
  27.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영역은 상기 제1에지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감지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제1에지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 표시 장치.
  28.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상기 제1 에지 측에 위치하는 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전 시트는 상기 평탄부 및 상기 곡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집중범프는 상기 곡면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29.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아래에 위치하는 도전 시트;
    상기 표시 패널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에지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도전 시트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제1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에지를 따라 연장되며, 내측 장변에 오목부가 마련된 제1 압력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오목부를 기준으로 일측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감지 영역 및 상기 오목부를 기준으로 타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감지 영역보다 면적이 넓은 제2 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 감지 영역과 중첩하도록 상기 제1에지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된 표시 장치.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도전 시트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제2압력집중범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2 감지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31.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압력 센서를 수납하며 커넥터가 통과하는 커넥트 홀을 포함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오목부는 상기 커넥트 홀을 외측으로 우회하는 표시 장치.
  32.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에지에 대향하는 제2 에지에 인접 배치된 제2 압력 센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제2 압력 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제3압력집중범프 및 제4압력집중범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3 감지 영역 및 상기 제3 감지 영역보다 상기 타단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3 감지 영역보다 면적이 넓은 제4 감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3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3 감지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4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4 감지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3압력집중범프 및 상기 제4압력집중범프는 상기 제1압력집중범프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KR1020180095072A 2018-08-14 2018-08-14 표시 장치 KR102626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072A KR102626021B1 (ko) 2018-08-14 2018-08-14 표시 장치
US16/294,762 US11163374B2 (en) 2018-08-14 2019-03-06 Display device
EP19181709.7A EP3611602A1 (en) 2018-08-14 2019-06-21 Display device
CN201910692816.8A CN110825256B (zh) 2018-08-14 2019-07-30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072A KR102626021B1 (ko) 2018-08-14 2018-08-14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804A true KR20200019804A (ko) 2020-02-25
KR102626021B1 KR102626021B1 (ko) 2024-01-17

Family

ID=6700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072A KR102626021B1 (ko) 2018-08-14 2018-08-1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63374B2 (ko)
EP (1) EP3611602A1 (ko)
KR (1) KR102626021B1 (ko)
CN (1) CN11082525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64A1 (ko) * 2020-07-31 2022-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아웃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2008201B2 (en) 2020-08-28 2024-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0845A1 (ja) * 2017-03-29 2018-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KR102582316B1 (ko) * 2018-08-20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137334A1 (ko) * 2020-01-02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30084389A (ko) * 2021-12-03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3645A1 (en) * 2008-12-25 2011-06-15 Nissha Printing Co., Ltd. Touch panel having pressing force detecting function and pressure sensitive sensor for touch panel
US20140253305A1 (en) * 2013-03-11 2014-09-11 Amazon Technologies, Inc. Force sensing input device
KR20150136934A (ko) * 2014-05-28 2015-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60015924A (ko) * 2014-08-01 2016-02-15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8760B2 (en) 2006-03-30 2009-05-26 Apple Inc. Force imaging input device and system
US20090096630A1 (en) * 2007-10-13 2009-04-16 David Belanger Laser lighted guidance exit indicator
JP2009134473A (ja) 2007-11-29 2009-06-18 Sony Corp 押圧検知センサ、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US8686952B2 (en) 2008-12-23 2014-04-01 Apple Inc. Multi touch with multi haptics
EP2416231A4 (en) 2009-03-31 2013-09-04 Nissha Printing INPUT INFORMATION DEVICE AND PRESSURE DETECTION UNIT USED FOR THE INFORMATION INPUT DEVICE
US9430078B2 (en) 2009-08-12 2016-08-3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rinted force sensor within a touch screen
US8654524B2 (en) 2009-08-17 2014-02-18 Apple Inc. Housing as an I/O device
TWI408449B (zh) 2009-11-03 2013-09-11 Wintek Corp 液晶顯示面板
US8633916B2 (en) 2009-12-10 2014-01-21 Apple, Inc. Touch pad with force sensors and actuator feedback
US8787006B2 (en) 2011-01-31 2014-07-22 Apple Inc.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9886116B2 (en) 2012-07-26 2018-02-06 Apple Inc. Gesture and touch input detection through force sensing
US20140085213A1 (en) 2012-09-21 2014-03-27 Apple Inc. Force Sensing Using Bottom-Side Force Map
US9178509B2 (en) 2012-09-28 2015-11-03 Apple Inc. Ultra low travel keyboard
US10168814B2 (en) 2012-12-14 2019-01-01 Apple Inc. Force sensing based on capacitance changes
US9513663B2 (en) 2013-04-02 2016-12-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ensitive display
KR20160149982A (ko) 2015-06-18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US10754066B2 (en) * 2015-08-24 2020-08-2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low reflectance and color matched display border
CN105867699B (zh) * 2016-06-20 2019-02-1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触控压力检测方法
KR102614333B1 (ko) * 2016-09-08 202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841583B1 (ko) 2016-12-05 201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모듈 배치 구조
KR20180087527A (ko) 2017-01-24 2018-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57420B1 (ko) 2017-07-06 2022-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3645A1 (en) * 2008-12-25 2011-06-15 Nissha Printing Co., Ltd. Touch panel having pressing force detecting function and pressure sensitive sensor for touch panel
US20140253305A1 (en) * 2013-03-11 2014-09-11 Amazon Technologies, Inc. Force sensing input device
KR20150136934A (ko) * 2014-05-28 2015-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60015924A (ko) * 2014-08-01 2016-02-15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64A1 (ko) * 2020-07-31 2022-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아웃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2008201B2 (en) 2020-08-28 2024-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63374B2 (en) 2021-11-02
EP3611602A1 (en) 2020-02-19
KR102626021B1 (ko) 2024-01-17
CN110825256B (zh) 2024-03-22
CN110825256A (zh) 2020-02-21
US20200057507A1 (en)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1974B1 (ko)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45479B1 (ko) 표시 장치
KR102626021B1 (ko) 표시 장치
KR102550324B1 (ko) 표시 장치
EP3579089B1 (en) Force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76319B1 (ko) 표시 장치 및 압력 센서 구조물
KR102555824B1 (ko) 표시 장치
KR102520722B1 (ko) 압력 센서
CN112513791B (zh) 包括压力传感器的显示装置
WO2019140896A1 (zh) 触控传感器及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