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951A -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951A
KR20200017951A KR1020180093533A KR20180093533A KR20200017951A KR 20200017951 A KR20200017951 A KR 20200017951A KR 1020180093533 A KR1020180093533 A KR 1020180093533A KR 20180093533 A KR20180093533 A KR 20180093533A KR 20200017951 A KR20200017951 A KR 20200017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ver glass
adsorption
main body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400B1 (ko
Inventor
방민영
Original Assignee
(주)아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스토 filed Critical (주)아스토
Priority to KR102018009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4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01N1/31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가 개시되며, 상기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는,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유닛; 상기 이동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본체 유닛; 커버 글라스가 흡착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로부터 상기 본체 유닛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가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한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와 상기 본체 유닛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 유닛,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기 본체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흡착 헤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가 그리는 이동 경로 중 적어도 일부이다.

Description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BONDING APPARATUS OF COVER GLASS}
본원은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슬라이드 글라스에 시약(본딩액)을 분주하여 슬라이드 글라스에 커버 슬라이드를 본딩하였다. 그런데 이에 따르면, 본딩 과정에서 세포가 장시간 노출될 수 있어 세포가 변형될 수 있었고, 수작업으로 본딩이 이루어지므로, 정밀치 못한 외력 작용으로 세포가 변형되거나 세포의 눌림, 글라스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었고, 작업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현미경 관찰을 위한 세포가 도말된 글라스 슬라이드 상에 커버 슬라이드를 본딩하는 자동 부착 장치가 고안되었다. 이러한 자동 부착 장치에 의하면, 글라스 슬라이드 상에 커버 슬라이드가 기계적으로 본딩될 수 있으므로, 수작업으로 커버 슬라이드를 글라스 슬라이드 상에 본딩하는 것 대비 세포의 변형 세포의 오염이 최소화되며 세포의 보관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자동 부착 장치에 의하면 기계적으로 글라스 슬라이드 상에 커버 슬라이드가 본딩될 수 있으므로, 정밀 위치 제어를 바탕으로 다양한 조건에 따라 동일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기술이 구현될 수 있어, 관찰자의 정확한 판단이 용이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부착 장치 중 롤 테이프(Roll Tape)로 글라스 슬라이드를 덮는 장치의 경우에는 커버 글라스가 아닌 롤 테이프로 글라스 슬라이드를 덮는바, 기포가 발생하여 현미경 관찰에 어려움이 있었고, 롤 테이프의 변형으로 표면이 깨끗하지 못했다.
또한, 종래의 자동 부착 장치 중 본딩 헤드의 캠(cam) 구동으로 커버 글라스로 글라스 슬라이드를 덮는 장치가 고안된 바 있는데, 이러한 장치는 캠 구동으로 인해 동력축이 필요하고, 캠 구동으로 인한 잦은 글라스 파손이 발생되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 2008-010287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캠 구동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커버 글라스를 글라스 슬라이드에 자동 부착함으로써, 글라스의 파손을 줄이며, 커버 글라스를 글라스 슬라이드에 자동 부착할 수 있는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미경 관찰을 위한 시약이 도말된 글라스 슬라이드 위에 커버 슬라이드를 본딩하는 시스템으로 세포의 변형, 오염, 보관등에 용이하며, 본딩 헤드의 캠(cam) 구동과 같은 별도의 구성 없이도 정밀 위치 제어를 바탕으로 다양한 조건에 따라 동일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도록 정밀하게 커버 글라스를 본딩할 수 있는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는,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유닛; 상기 이동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본체 유닛; 커버 글라스가 흡착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로부터 상기 본체 유닛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가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한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와 상기 본체 유닛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 유닛,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기 본체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흡착 헤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가 그리는 이동 경로 중 적어도 일부 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가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상기 제1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커버 글라스의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 글라스에 접촉된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본체 유닛이 상기 이동 유닛의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며 일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흡착부의 타단부가 상기 제1 방향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흡착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본체 유닛이 상기 이동 유닛의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며 일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흡착부가 흡착된 커버 글라스의 타단부에 대한 흡착 및 흡착된 커버 글라스의 일단부에 대한 흡착을 순차적으로 해제하면, 상기 커버 글라스와 상기 슬라이드 글라스의 접촉 면적이 일측으로 확대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 유닛의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기 장공을 통과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부의 폭 방향이 수평 상태가 될 때,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의 위치를 가고정하는 마그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마그넷은,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흡착부의 폭 방향이 수평 상태가 될 때, 상기 마그넷의 자력과 반응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의 폭 방향이 수평 상태가 될 때 상기 마그넷과 상기 영역의 인력에 의해 상기 가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가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구조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해제 구조체는 상기 인력보다 더 큰 외력을 상기 연결부에 작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흡착부는, 커버 글라스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을 흡착하는 일측 흡착패드 유닛 및 타측 흡착 패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 유닛은 수직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캠 구동에 의해 커버 글라스가 슬라이드 글라스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 유닛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 및 그의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과 흡착 헤드 유닛의 자중에 의한 곡률 움직임(구름 움직임)으로 커버 글라스를 슬라이드 글라스에 본딩하는 방식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캠 구동 및 캠 구동을 위한 구동력(회전 구동력)이 불필요하하고, 이에 따라, 커버 글라스 및 슬라이드 글라스에 가하는 힘이 종래 대비 줄어들 수 있어 세포의 상태가 종래 대비 더 좋게 유지될 수 있고 커버 글라스 및 슬라이드 글라스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별도의 구동축(캠 구동을 위한 구동축)이 불필요하여 세팅 및 가격 경쟁력이 보다 더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의 본체 유닛 및 흡착 헤드 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의 본체 유닛 및 흡착 헤드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커버 글라스를 부착하기 위해, 대기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의 본체 유닛 및 흡착 헤드 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커버 글라스를 부착하기 위해, 흡착부의 중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최하측에 위치하는 상태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의 본체 유닛 및 흡착 헤드 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은 커버 글라스를 부착한 이후에, 흡착부의 중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최하측에 위치하는 상태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의 본체 유닛 및 흡착 헤드 유닛이 슬라이드 글라스에 본딩된 커버 글라스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일측, 타측, 일단부, 타단부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일측,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타측,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일단부,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타단부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슬라이드 글라스(slide glass) 상에 커버 글라스(cover glass)를 배치하기 위한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이하 '본 부착 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부착 장치는 레일부(1)를 포함한다. 레일부(1)는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부착 장치는 이동 유닛(2)을 포함한다. 이동 유닛(2)은 그의 길이 방향이 수직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유닛(2)이 그의 길이 방향이 수직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된다는 것은 수직 방향으로부터 45도의 각도를 가지는 범위 내에서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유닛(2)은 레일부(1)와 크로스(cross)되도록 레일부(1)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유닛(2)은 레일부를 따라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부착 장치는 본체 유닛(3)을 포함한다. 본체 유닛(3)은 이동 유닛(2)에 구비되어 이동 유닛(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유닛(2)이 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본체 유닛(3)은 이동 유닛(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이동 유닛(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레일부(21)가 레일부(1)에 구비될 수 있고, 이동 유닛(2)이 길이 방향 레일부(21)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이동 유닛(2) 및 이동 유닛(2)의 길이 방향 레일부(21)가 레일부(1)를 따라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이동 유닛(2)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유닛(3)이 이동 유닛(2)을 따라 이동 유닛(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본체 유닛(3)은 이동 유닛(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부착 장치는 흡착 헤드 유닛(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흡착 헤드 유닛(4)은 커버 글라스(92)가 흡착되는 흡착부(41)를 포함한다. 또한, 흡착 헤드 유닛(4)은 흡착부(41)로부터 본체 유닛(3)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4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흡착 헤드 유닛(4), 특히, 흡착부(41)는 이동 유닛(2)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 및 본체 유닛(3)이 이동 유닛(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과 연동되어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동 유닛(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흡착부(41)는 커버 글라스(92)의 일단부를 흡착하는 일측 흡착 패드 유닛(412) 및 커버 글라스(92)의 타단부를 흡착하는 타측 흡착 패드 유닛(4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 흡착 패드 유닛(412) 및 타측 흡착 패드 유닛(413) 각각은 진공이 형성되거나 진공 형성이 해제되는 진공관, 진공관의 끝단에 구비되어 커버 글라스(92)가 접촉되는 패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관에 진공이 형성되면 커버 글라스(92)가 패드부에 흡착될 수 있다. 또한, 진공관 내에서의 진공 형성이 해제되면 커버 글라스(92)는 패드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측 및 타측 흡착 패드 유닛(412, 413) 내에 진공이 형성됨으로써, 커버 글라스(92)는 일측 및 타측 흡착 패드 유닛(412, 413)에 흡착되며 파지될 수 있다. 또한, 커버 글라스(92)에 대한 파지 해제 시에는 일측 및 타측 흡착 패드 유닛(412, 413)을 통한 진공 형성이 해제됨으로써, 커버 글라스(92)가 흡착부(4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일측 및 타측 흡착 패드 유닛(412, 413)의 진공 형성 및 진공 해제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측 흡착 패드 유닛(412) 및 타측 흡착 패드 유닛(413)이 커버 글라스(92)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타측 흡착 패드 유닛(413)의 파지 및 일측 흡착 패드 유닛(412)의 파지는 순차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흡착 헤드 유닛(4)은 연결부(42)의 타단부(422)가 본체 유닛(3)에 대한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부(42)의 일단부(421)와 본체 유닛(3)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 유닛(43) 및 연결부(42)의 타단부(422)와 본체 유닛(3)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44)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연결부(42)의 일단부(421)는 힌지 유닛(43)을 중심으로 본체 유닛(3)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이에 따라, 연결부(42)의 타단부는 연결부(42)의 일단부(421)(또는 힌지 유닛(43))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적어도 일부를 그리며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방향은 연결부(42)의 일단부(421)를 중심으로 하는 연결부(42)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42)의 타단부(422)가 그리는 이동 경로 중 적어도 일부(상기 원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연결부(42)의 일단부(421)가 본체 유닛(3)에 대해 회전될 수 있으므로, 흡착부(41)의 일단부는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고, 연결부(42)의 일단부(421)가 회전됨에 따라 연결부(42)의 타단부(422)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흡착부(41)의 타단부는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부(41)의 타단부는 연결부(42)의 일단부(421)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적어도 일부를 그리며 이동 가능하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 유닛(3)과 연결부(42)의 일단부(421) 및 타단부(422)는 겹쳐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부(42)의 일단부(421) 및 타단부(422) 가 본체 유닛(3)의 하측 부분에 일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유닛(44)은 본체 유닛(3)과 연결부(42)의 타단부(422)의 겹친 부분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유닛(44)은 연결부(42)의 타단부(422)와 본체 유닛(3)을 연결한다. 또한, 본체 유닛(3)의 연결 유닛(44)이 관통하여 이동되는 부분은 장공(31)일 수 있다. 즉, 본체 유닛(3)의 연결부(42)의 타단부(422)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제1 방향으로 장공(31)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 유닛(44)은 연결부(42)의 타단부(422)와 장공(31)을 통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장공(31)은 연결 유닛(44)이 상술한 원의 적어도 일부를 그리며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원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다시 말해, 상기 원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부(41)의 타단부(연결부(42)의 타단부(422))는 연결 유닛(44)이 장공(31) 내에서 이동되는 범위 내에서 본체 유닛(3)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술한 원의 일부를 그리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 및 도 5를 비교하여 보면, 연결부(42)의 타단부(422)가 본체 유닛(3)에 대해 제1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어(연결 유닛(44)이 장공(31)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흡착부(41)에 흡착된 커버 글라스(92)의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드 글라스(91)에 접촉된 대기 상태(도 4 참조)에서, 본체 유닛(3)이 이동 유닛(2)의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며 일측으로 이동되면, 흡착부(41)가 흡착부(41)의 흡착면을 따라 구름 운동을 하며 흡착부(41)의 타단부 및 연결부(42)의 타단부(422)가 제1 방향 상측으로 이동되고(연결 유닛(44)이 장공(31) 내에서 제1방향의 상측으로 이동되며) 흡착부(41)는 연결부(42)의 일단부(42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상기 대기 상태에서, 본체 유닛(3)이 이동 유닛(2)의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며 일측으로 이동되고 흡착부(41)가 흡착된 커버 글라스(92)의 타단부에 대한 흡착 및 흡착된 커버 글라스(92)의 일단부에 대한 흡착을 순차적으로 해제하면, 커버 글라스(92)와 슬라이드 글라스(91)의 접촉 면적이 일측으로 확대될 수 있다.
정리하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착부(41)가 커버 글라스(92)를 파지(일측 흡착 패드 유닛(412)이 커버 글라스(92)의 일단부를 파지하고 타측 흡착 패드 유닛(413)이 커버 글라스(93)의 타단부를 파지한 상태)하여 연결부(42)의 타단부가 본체 유닛(3)에 대해 제1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어(연결 유닛(44)이 장공(31)의 최하측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 흡착부(41)에 흡착된 커버 글라스(92)의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드 글라스(91)에 접촉된 대기 상태(이때, 연결 유닛(44)은 장공(31) 내에서 하측 범위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에서 이동 유닛(2)이 레일부(1)를 따라 일측으로 이동되며 길이 방향 레일부(21)를 따라 이동 유닛(2)의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면, 흡착부(41)가 슬라이드 글라스(91) 상에서 흡착부(41)의 면을 따라 구름 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흡착부(41)의 일단부는 하측으로 이동되고 흡착부(41)의 타단부가 제1 방향 상측으로 이동되며 흡착부(41)는 힌지 유닛(4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부(41)의 다른 부분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착부(41)의 타단부(도 4 참조)에서 흡착부(41)의 중간부분(도 5 참조)으로 점차 바뀔 수 있다. 이렇게 흡착부(41)의 최하 위치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착부(41)의 타단부로부터 흡착부(41)의 중간부분으로 이동해 과정에서 타측 흡착 패드 유닛(413)부터 커버 글라스(92)의 타단부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면 커버 글라스(92)의 타단부는 슬라이드 글라스(91)를 덮을 수 있고, 흡착부(41)의 최하 위치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착부(41)의 중간부분(도 5 참조)으로 점차 변하는 과정에서 커버 글라스(92)의 슬라이드 글라스(91)를 덮는 영역이 점차 일측으로 확대될 수 있으며, 흡착부(41)의 최하 위치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착부(41)의 중간 부분(도 5 참조)이기 직전이거나, 흡착부(41)의 최하 위치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착부(41)의 중간부분(도 5 참조)일 때, 일측 흡착 패드 유닛(412)이 커버 글라스(92)의 일단부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면 커버 글라스(92)의 일단부는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글라스(91)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커버 글라스(92)는 흡착부(41)로부터 분리되며 슬라이드 글라스(91) 및 슬라이드 글라스(91) 상의 본딩액(99)을 덮으며 슬라이드 글라스(9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부착 구조체는, 커버 글라스(92)가 흡착부(41)로부터 모두 이탈되어 슬라이드 글라스(91)에 도포된 후에는 흡착부(41)의 중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최하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마그넷(5)의 자력으로 유지하며 흡착부(41)가 커버 글라스(92)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새 커버 글라스(92)를 파지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부착 장치에 있어서, 흡착부(41)의 중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최하측에 위치할 때, 흡착부(41)의 폭 방향(a)은 수평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부착 장치는 흡착부(41)의 폭 방향(a)이 수평 상태가 될 때, 연결부(42)의 타단부(422)의 위치를 본체부(3)에 대하여 가고정하는 마그넷(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마그넷(5)은 연결부(42)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42)는 흡착부(41)의 폭 방향(a)이 수평 상태가 될 때, 마그넷(5)의 자력과 반응하는 영역(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부(41)의 폭 방향(a)이 수평 상태가 될 때 마그넷(5)과 영역(33)의 인력에 의해 가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마그넷(5)은 폭 방향(a)이 수평 상태인 흡착부(41) 및 연결부(42)의 하중을 지지하는 인력을 작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력과 반응하는 영역(33)은 자력과 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력과 반응하는 영역(33)은 연결부(42)의 자력과 반응하는 영역(33)이 형성될 부분이 자력과 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자력과 반응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유닛이 연결부(42)에 구비되어 자력과 반응하는 영역(33)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넷(5)은 그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그넷(5)은 본체 유닛(3)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나사 결합으로 삽입 구비될 수 있고,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삽입량이 설정되는 형태로 그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자력에 의해 마그넷(5)에 붙는 연결부(42)의 타단부(422)는 마그넷(5)의 위치에 따라, 가고정될 때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필요에 따라 본 부착 장치가 부착해야하는 커버 글라스(91) 및 슬라이드 글라스(92) 중 하나 이상의 규격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때, 연결부(42)의 타단부(422)의 가고정되어야 하는 위치는 커버 글라스(91)(또는 슬라이드 글라스(92))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부착 장치에 의하면, 마그넷(5)의 하단의 위치(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커버 글라스(91)(또는 슬라이드 글라스(92))의 규격에 따라 결정되는 연결부(42)의 타단부(422)가 가고정되어야 할 높이에 따라 마그넷(5)의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연결부(42)의 타단부(422)가 결정되는 높이에 맞추어 가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마그넷(5)의 하단의 위치(높이)에 따라 흡착 헤드 유닛(4)이 대기 상태일 때 연결부(422)의 타단부(422)가 자중에 의하여 틸딩되는 정도(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422)의 타단부(422)가 자중에 의하여 틸딩되는 정도는 본 부착 장치가 부착해야하는 커버 글라스(91) 및 슬라이드 글라스(92) 중 하나 이상의 규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글라스(91)의 면적이 커질수록, 대기 상태일 때 연결부(422)의 타단부(422)가 자중에 의하여 틸딩되는 정도(각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하여 마그넷(5)의 하단의 위치(높이)가 상태적으로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마그넷(5)의 위치 조절(예를 들어, 상술한 마그넷(5)의 삽입량 조절)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장치의 각 구성 및 각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흡착부(41)의 중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최하측에 위치하거나, 흡착부(41)의 중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최하측에 위치하는 시점 이후에, 커버 글라스(92)는 흡착부(41)로부터 분리되어 슬라이드 글라스(91)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흡착부(41)의 중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최하측에 위치할 때, 연결부(42)의 타단부(422)는 마그넷(5)과 영역(33) 사이의 자력에 의해 위치가 가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을 참조하면, 흡착 헤드 유닛(4)은 흡착부(41)로부터 커버 글라스(92)가 분리된 이후 흡착부(41)의 중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최하측에 위치하는 상태, 다시 말해, 흡착부(41)의 폭 방향(a)이 수평인 상태를 가고정이 해제되기 전까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부착 구조체는 가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구조체(6)를 포함할 수 있다. 해제 구조체(6)는, 마그넷(5)과 영역(33) 사이의 인력보다 더 큰 외력을 연결부(42)에 작용할 수 있다. 해제 구조체(6)는 마그넷(5)과 연결부(42)의 타단부(422)가 자력에 의해 연결된 상태일 때, 연결부(42)의 타단부(422)가 제1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타단부(422)에 인력보다 더 큰 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42)의 타단부(422)는 상기 외력에 의해 마그넷(5)의 자력이 약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후, 흡착 헤드 유닛(4)의 자중에 의해 제1 방향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연결부(42)의 타단부(422)가 제1 방향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연결부(42) 및 흡착부(41)는 연결부(42)의 일단부(42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본체 유닛(3)과 흡착 헤드 유닛(4)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참고로, 해제 구조체(6)는 핀을 돌출시켜 핀으로 연결부(42)에 외력을 작용하는 핀 실린더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타단부(422)는 해제 구조체(6)의 핀이 접촉되는 부분이 확보되도록, 해제 구조체(6)의 핀이 돌출되는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부착 구조체에 있어서, 흡착부(41)는 새 커버 글라스(92)를 흡착(파지)할 때 흡착부(41)의 타단부가 제1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도 2에 도시된 흡착 헤드 유닛(4) 참조).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부착 구조체는, 커버 글라스(92)흡착부(41)로부터 커버 글라스(92)가 분리된 이후 흡착부(41)의 중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최하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마그넷(5)의 자력으로 유지하며 슬라이드 글라스(91)에 본딩된 커버 글라스(92)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새 커버 글라스(92)를 파지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이하와 같이 새 커버 글라스(92)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흡착부(41)의 중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최하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마그넷(5)의 자력에 의해 유지되는 상황에서, 흡착부(41)가 새 커버 글라스(92)를 파지해야할 경우, 해제 구조체(6)는 연결부(42)에 외력을 작용하여 연결부(42)의 타단부(422)를 마그넷(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부(42)는 흡착 헤드 유닛(4)의 자중에 의해 틸트되어 연결부(42)의 일단부(421)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착부(41)의 타단부가 제1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부(41)는 그의 타단부(422)가 제1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되면, 그 상태로 커버 글라스(92)를 진공 흡착 파지할 수 있고, 이 상태로 슬라이드 글라스(91) 상으로 이동되어 그가 파지한 커버 글라스(92)의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드 글라스(91)에 접촉되도록 이동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흡착 헤드 유닛(4)의 일측 및 하측 방향 이동), 커버 글라스(92)를 슬라이드 글라스(91)에 부착시키고 흡착부(41)의 중간 부분이 흡착부(41)의 다른 부분보다 최하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장공(31)의 형성 범위는 흡착부(41)의 폭 방향(a)이 수평할 때 연결 유닛(44)이 위치해야하는 높이(지점)을 포함하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부(41)는 그의 폭 방향(a)이 수평한 상태(그의 중간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 및 그의 타단부가 다른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의 범위 내에서 제1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체 유닛(3)은 수직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글라스(92)가 슬라이드 글라스(91)에 부착되는 과정에서 흡착 헤드(4)에 하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야 하는데, 흡착부(41)가 자중에 의해 제1방향 하측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본체 유닛(3)이 기울어진 방향 대로 하측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러한 경우, 흡착부(41)가 자중에 의해 제1방향 하측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본체 유닛(3)이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수직 방향 하측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보다 커버 글라스(92)와 슬라이드 글라스(91)의 부착시, 커버 글라스(92)와 슬라이드 글라스(91) 사이의 본딩액(99)의 기포 발생, 슬라이드 글라스(91)의 밀림, 이탈의 발생이 낮아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부착 장치에 의하면, 캠 구동에 의해 커버 글라스(92)가 슬라이드 글라스(91)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흡착 헤드 유닛(4)의 자중에 의한 틸팅상태에서 이동 유닛(2)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 및 그의 길이 방향으로의(비스듬한 방향) 이동과 흡착 헤드 유닛(4)의 자중에 의한 곡률 움직임(구름 움직임)으로 커버 글라스(92)를 슬라이드 글라스(91)에 본딩하는 방식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캠 구동 및 캠 구동을 위한 구동력(회전 구동력)이 불필요하다. 또한, 자중에 의한 곡률 움직임에 의해 본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딩시 커버 글라스(92) 및 슬라이드 글라스(91)에 가하는 힘이 종래 대비 줄어들 수 있어 세포의 상태가 종래 대비 더 좋게 유지될 수 있고 커버 글라스(92) 및 슬라이드 글라스(91)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별도의 구동축(캠 구동을 위한 구동축)이 불필요하여 세팅 및 가격 경쟁력을 보다 더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부착 장치는 다축의 로복 조합으로 coverslipper의 풀 자동화를 가능케할 수 있고, 정밀 위치 세팅으로 고품질의 동일한 결과물을 종래 대비 빠르게 획득할 수 있으며, 자중에 의한 본딩 모듈로 부품의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레일부
2: 이동 유닛
21: 길이 방향 레일부
3: 본체 유닛
33: 영역
4: 흡착 헤드 유닛
41: 흡착부
412: 일측 흡착 패드 유닛
413: 타측 흡착 패드 유닛
42: 연결부
421: 연결부의 일단부
422: 연결부의 타단부
43: 힌지 유닛
44: 연결 유닛
5: 마그넷
6: 해제 구조체
91: 슬라이드 글라스
92: 커버 글라스
99: 본딩액(시약)

Claims (9)

  1. 슬라이드 글라스(slide glass) 상에 커버 글라스(cover glass)를 배치하기 위한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에 있어서,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유닛;
    상기 이동 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본체 유닛;
    커버 글라스가 흡착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로부터 상기 본체 유닛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가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한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와 상기 본체 유닛을 힌지 연결하는 힌지 유닛,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기 본체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흡착 헤드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가 그리는 이동 경로 중 적어도 일부인 것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가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해 상기 제1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흡착부에 흡착된 커버 글라스의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 글라스에 접촉된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본체 유닛이 상기 이동 유닛의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며 일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흡착부의 타단부가 상기 제1 방향 상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흡착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상태에서 상기 본체 유닛이 상기 이동 유닛의 길이 방향 하측으로 이동되며 일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흡착부가 흡착된 커버 글라스의 타단부에 대한 흡착 및 흡착된 커버 글라스의 일단부에 대한 흡착을 순차적으로 해제하면, 상기 커버 글라스와 상기 슬라이드 글라스의 접촉 면적이 일측으로 확대되는 것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의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와 상기 장공을 통과 배치되는 것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폭 방향이 수평 상태가 될 때,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의 위치를 가고정하는 마그넷을 더 포함하는,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구비되고,상기 연결부는, 상기 흡착부의 폭 방향이 수평 상태가 될 때, 상기 마그넷의 자력과 반응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의 폭 방향이 수평 상태가 될 때 상기 마그넷과 상기 영역의 인력에 의해 상기 가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구조체,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해제 구조체는 상기 인력보다 더 큰 외력을 상기 연결부에 작용하는 것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커버 글라스의 일단부 및 타단부 각각을 흡착하는 일측 흡착패드 유닛 및 타측 흡착 패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은 수직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구비되는 것인,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KR1020180093533A 2018-08-10 2018-08-10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KR102153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533A KR102153400B1 (ko) 2018-08-10 2018-08-10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533A KR102153400B1 (ko) 2018-08-10 2018-08-10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951A true KR20200017951A (ko) 2020-02-19
KR102153400B1 KR102153400B1 (ko) 2020-09-08

Family

ID=6966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533A KR102153400B1 (ko) 2018-08-10 2018-08-10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4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2916A1 (en) * 2020-06-12 2021-12-16 Agilen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verslipping slides
CN115824722A (zh) * 2023-02-15 2023-03-21 深圳骏信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水质水体环境与杂质含量检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7279A (ja) * 2000-05-29 2001-12-07 Aloka Co Ltd サンプル処理装置及びカバーガラス搬送装置
JP2005127848A (ja) * 2003-10-23 2005-05-19 Meisei Electric Co Ltd 標本封入機のカバーグラス移載装置
JP3990451B2 (ja) * 1995-06-15 2007-10-10 ヴィジョン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リミテッド カバーグラスのピックアップおよびレイダウン装置
JP4091599B2 (ja) * 2002-04-26 2008-05-28 ヴェンタナ メディカル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固定スライドプラットホームを有する自動化された分子病理学装置
KR20160036147A (ko) * 2014-09-24 2016-04-04 주식회사 웰텍 우편물 라벨 자동 부착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0451B2 (ja) * 1995-06-15 2007-10-10 ヴィジョン インストゥルメンツ リミテッド カバーグラスのピックアップおよびレイダウン装置
JP2001337279A (ja) * 2000-05-29 2001-12-07 Aloka Co Ltd サンプル処理装置及びカバーガラス搬送装置
JP4091599B2 (ja) * 2002-04-26 2008-05-28 ヴェンタナ メディカル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固定スライドプラットホームを有する自動化された分子病理学装置
JP2005127848A (ja) * 2003-10-23 2005-05-19 Meisei Electric Co Ltd 標本封入機のカバーグラス移載装置
KR20160036147A (ko) * 2014-09-24 2016-04-04 주식회사 웰텍 우편물 라벨 자동 부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2916A1 (en) * 2020-06-12 2021-12-16 Agilent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verslipping slides
CN115824722A (zh) * 2023-02-15 2023-03-21 深圳骏信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水质水体环境与杂质含量检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400B1 (ko)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84724B (zh) 平板产品检测装置
KR20200017951A (ko) 커버 글라스 부착 장치
CN107031901B (zh) 薄膜附着装置以及方法
US20210163153A1 (en) Aircraft structure manufacturing device
KR20110095220A (ko) 홀더 유닛, 스크라이브 헤드 및 스크라이브 장치
WO2012081700A1 (ja) 構造物製造方法及び構造物製造装置
CN110126429A (zh) 用于液晶屏的自动化贴合设备
US9364953B2 (en) Kinematic holding system for a placement head of a placement apparatus
KR101164457B1 (ko) 팁 홀더
CN211507602U (zh) 晶圆支撑装置
CN110126428A (zh) 一种用于液晶屏与触摸屏的贴合结构
US20180297107A1 (en) Machining system for aircraft structural components
US20200377833A1 (en) Cell picking device
CN102380872A (zh) 工业用机器人
KR101634599B1 (ko) 렌즈모듈 본딩장치
KR20200038694A (ko) Fpcb 밴딩 부착 장치
US20120265339A1 (en) Device for manipulating at least one specimen slide
KR100661759B1 (ko) 2개의 다관절 로봇을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검사장치
CN210413645U (zh) 工件定位装置及加工机
TWI615515B (zh) 直立式晶棒貼合系統及其貼合方法
US7282930B2 (en) Device for testing thin elements
KR101428563B1 (ko) 셀 자투리 제거장치
WO2018107647A1 (zh) 一种显示面板的传送装置和制造***
US11331897B2 (en) Full la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screen
TWI821277B (zh) 劃線裝置、及具備於劃線裝置中之工具變換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