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960A -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960A
KR20200014960A KR1020180090103A KR20180090103A KR20200014960A KR 20200014960 A KR20200014960 A KR 20200014960A KR 1020180090103 A KR1020180090103 A KR 1020180090103A KR 20180090103 A KR20180090103 A KR 20180090103A KR 20200014960 A KR20200014960 A KR 20200014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main body
slugs
support fram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만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성암인섹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성암인섹트(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성암인섹트(주)
Priority to KR1020180090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4960A/ko
Publication of KR2020001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별장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면에 형성된 선별 플레이트 및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선별 플레이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프레임과 본체를 연결하는 완충스프링, 상기 본체의 하면과 연결된 진동전달부, 및 상기 진동전달부의 타측면에 배치된 2개의 진동모터를 포함함으로써, 대량의 굼벵이를 한꺼번에 크기 선별이 가능하며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선별장치{SORTING DEVICE}
본 발명은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굼벵이의 크기에 대한 선별 작업이 편리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할 수 있는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식품이나 약용 또는 사료용과 관련하여 곤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곤충에서 딱정벌레목의 애벌레인 굼벵이는 단백질, 지방 및 무기물질 등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혈과 어혈을 풀어주고 제거하는 혈액순화 활성화 기능이 있어 최근 국내에서 본격적인 상업화를 목적으로 굼벵이를 대량 사육하는 농가가 생겨나고 있다.
굼벵이를 대량 사육하는 농가에서는 굼벵이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출하해야 하는데, 별도의 자동 선별장치가 없어 수작업에 의존하여 작업능률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또한, 수작업으로 선별작업 시, 발생되는 먼지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에 작업자가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별장치가 있다 하더라도, 이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높으며 운용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미세한 털 및 돌기를 갖는 굼벵이의 특성상 컨베이어 벨트 등의 표면에 붙어 떨어지지 않아 크기에 따른 선별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굼벵이의 크기에 대한 선별 작업이 편리하고, 운용이 어렵지 않으며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할 수 있는 선별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7349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4375호
굼벵이 선별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함으로써 작업능률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작업 시 발생되는 먼지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에 작업자가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여러 목적 중 하나는 진동에 의해 선별하는 선별장치로 굼벵이를 선별함으로써, 상처 없이 굼벵이의 직진 이동이 가능하면서 굼벵이의 크기에 대한 선별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자동 작업을 통하여 톱밥과 섞여있는 대량의 굼벵이를 한꺼번에 선별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높아지는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제안하는 여러 해결 수단 중 하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면에 형성된 선별 플레이트 및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선별 플레이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프레임과 본체를 연결하는 완충스프링, 상기 본체의 하면과 연결된 진동전달부, 및 상기 진동전달부의 타측면에 배치된 2개의 진동모터를 포함함으로써, 대량의 굼벵이를 한꺼번에 크기 선별이 가능하며 작업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는 굼벵이의 직진 이동이 가능하면서 굼벵이의 크기에 대한 선별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자동 작업을 통하여 톱밥과 섞여있는 대량의 굼벵이를 한꺼번에 선별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이 간편하여 편리함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는 선별과정에서 굼벵이에 상처가 없도록 하여 손실최소화 및 이에 따른 품질 향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의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의 정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B-B' 방향의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의 선별 플레이트에서 굼벵이가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에 컨베이어가 추가 설치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굼벵이를 선별하는 공정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요소 등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따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따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A' 방향의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의 정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B-B' 방향의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의 선별 플레이트에서 굼벵이가 이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선별장치(100)는 지지프레임(110), 상기 지지프레임(110) 상에 배치되며 상면에 형성된 선별 플레이트(121) 및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선별 플레이트(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배출구(122)를 포함하는 본체(120),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본체(120)를 연결하는 완충스프링(130), 상기 본체(120)의 하면과 연결된 진동전달부(140), 및 상기 진동전달부(140)의 타측면에 배치된 2개의 진동모터(15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상기 본체(120)를 지지하는 역할과 동시에 진동모터(150)의 진동을 버틸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횡방향 지지대가 상기 본체(120)의 일측면 방향으로 2개 및 상기 타측면 방향으로 2개 배치될 수 있으며, 인접한 횡방향 지지대를 연결하도록 일면에 2개의 종방향 지지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횡방향 지지대는 상부에 보았을 경우 상기 본체(12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연결하는 양 단면의 가장자리보다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완충스프링(13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횡방향 지지대는 선별장치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에 높이조절부(미도시)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종방향 지지대는 상기 본체(120)의 양 단면의 가장자리보다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본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미세한 진동에 의한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일측면은 굼벵이가 직진 이동하는 방향의 측면으로, 타측면은 상기 일측면의 반대 방향의 측면으로 기술하였다.
상기 본체(120)는 상기 지지프레임(110) 상에 배치되며, 상면에 형성된 선별 플레이트(121) 및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선별 플레이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배출구(122)를 포함한다.
상기 선별 플레이트(121)는 상부가 돌출된 각 막대기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121-1) 및 인접한 상기 돌출부(121-1) 사이에 형성된 관통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별 시 큰 굼벵이는 돌출부(121-1)의 표면을 타고 앞으로 이동하여 제1 배출구(122)를 통해 선별되며, 상대적으로 작은 굼벵이는 관통부(121-2)를 통하여 빠지게 될 수 있다. 굼벵이가 이동하는 공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큰 굼벵이는 사용자가 만족하는 규격 이상의 굼벵이, 즉 상품성이 있는 굼벵이를 칭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작은 굼벵이는 규격 미달의 굼벵이를 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1-1)는 그 단면이 역 V형, 즉 경사진 벽이 맞물린 형태일 수 있어, 굼벵이가 원활하게 앞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1-1)는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굼벵이들이 빠져나가거나 또는 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21-2)는 돌출부(121-1)와 동일한 길이로 관통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굼벵이가 빠지거나 통과할 수도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120)는 내부에 상기 선별 플레이트(121) 하부에 배치된 거름망(123) 및 상기 거름망의 하부에 배치된 받침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123)은 메쉬(mesh)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125)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거름망(123)은 상기 관통부(121-2)를 통하여 빠져나간 상기 작은 굼벵이 및 톱밥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톱밥이 빠지도록 하여 상기 작은 굼벵이만 선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25)는 상기 선별 플레이트(121) 및 거름망(123)을 통과한 톱밥을 모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0)의 하면에는 진동전달부(140)가 배치되며, 상기 진동전달부의 타측면에는 2개의 진동모터(150)가 배치된다.
상기 진동전달부(140)는 상기 진동모터(150)를 고정할 수 있는 지지대이면서, 상기 진동모터(15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상기 본체(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진동전달부(140)는 상기 본체의 하면과 연결되며, 아래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전달부(140)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의해 돌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일측면이 상기 타측면보다 길이가 긴 형태일 수 있다.
종래의 경우, 굼벵이를 대량 사육하는 농가에서는 굼벵이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출하해야 하는데, 별도의 자동 선별장치가 없어 수작업에 의존하여 작업능률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또한, 수작업으로 선별작업 시, 발생되는 먼지를 비롯한 각종 이물질에 작업자가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별장치가 있다 하더라도, 이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높으며 운용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미세한 털 및 돌기를 갖는 굼벵이의 특성상 컨베이어 벨트 등의 표면에 붙어 떨어지지 않아 크기에 따른 선별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별장치(100)는 2개의 진동모터(150)를 포함함으로써, 굼벵이의 직진 이동이 가능하면서 굼벵이의 크기에 대한 선별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자동 작업을 통하여 톱밥과 섞여있는 대량의 굼벵이를 한꺼번에 선별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이 간편하여 편리함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의 선별 플레이트의 돌출부(121-1)에 의해 선별과정에서 굼벵이에 상처가 없도록 하여 손실최소화 및 이에 따른 품질 향상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150)는 상기 진동전달부(140)의 타측면에 2개가 배치되며, 상기 진동전달부의 타측면의 기울기만큼 기울여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가 1개일 경우 상기 본체에서 굼벵이가 진동을 할 뿐 직진 이동을 하지 않으나, 상기 진동모터가 2개 배치될 경우 상기 본체에서 굼벵이가 진동하면 직진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동모터(150)는 상기 본체(120)에 상하좌우 진동력을 부여해주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150)는 원심력을 진동력으로 바꾸기 위하여 전동기 로터축에 편심시켜서 부착한 추인 언바란스웨이트(unbalance weight)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진동모터의 언바란스웨이트가 겹쳐있어, 각도를 변경하는 것으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굼벵이는 표면에 미세한 돌기 및 털이 촘촘히 있어 어떠한 표면이라도 부착되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외부충격 시 굼벵이는 자기보호 작용에 의해 몸을 동글게 마는 특성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2개의 진동모터(150)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기 선별 플레이트(121) 상에 굼벵이(200)는 인접한 상기 돌출부(121-1)의 벽을 교대로 부딪히며 직진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굼벵이가 외부충격 시 몸을 동글게 마는 굼벵이의 자기보호 작용을 이용함과 동시에 진동모터의 언바란스웨이트에 의해 발생되는 가진력에 의해 강제 진동되어 직진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진동모터에 의해 부착성을 갖는 굼벵이일지라도, 강제 운반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완충스프링(130)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본체를 연결한다.
상기 완충스프링(13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본체(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모터(150)에 의한 진동이 상기 지지프레임(110)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진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선별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스프링(130)은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상기 본체에 일정하고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완충스프링(130)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횡방향 지지대 4개와 상기 본체에서 상기 횡방향 지지대와 대응한 위치에 설치된 연결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완충스프링(130)은 상기 본체(120)의 타측면과 연결된 횡방향 지지대와 각각 2개씩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20)의 일측면과 연결된 횡방향 지지대와 각 1개씩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120)의 타측면과 연결된 횡방향 지지대의 경우, 상기 진동모터(150)가 배치된 부분과 인접하여 진동의 영향을 더 받을 수 있어, 상기 완충스프링과 2개씩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완충스프링(130)은 고무스프링(oscillating mount) 일 수 있다.
상기 고무 스프링은 고무 고유의 탄성을 이용한 스프링으로, 기존의 에어튜브 스프링이나 진동 스프링의 대체품으로 적용되고 있다.
상기 고무 스프링은 불필요한 좌우측 흔들림이 현저하게 적으며 설계자, 제작자 및 소비자의 의도된 방향으로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진동 소모를 없애 생산량 증대와 전기적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소음 감소로 인한 민원 발생의 억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완충스프링(130)은 방음 및 방진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0)는 일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선별 플레이트(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배출구(122),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선별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거름망(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배출구(1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배출구(122)는 상기 선별 플레이트(121)를 통하여 이동한 큰 굼벵이를 배출하도록 하며, 상기 제2 배출구(124)는 상기 거름망(123)을 통하여 이동한 작은 굼벵이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구(122)는 배출 방향이 상기 본체(120)에서 일직선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배출구(124)는 상기 제1 배출구(122)와 배출되는 방향을 다르게 하기 위하여 배출 방향이 상기 본체(120)에서 직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배출구(122, 124) 하부에는 상기 제1 배출구와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굼벵이를 담는 제1 및 제2 수집상자(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수집상자는 각각 제1 및 제2 배출구에서 배출된 굼벵이를 수용하는 용기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에 컨베이어가 추가 설치된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별장치(100)는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이격되되, 상기 제2 배출구(124) 하부에서 상기 제1 배출구(122)의 상부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컨베이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130)는 상기 받침대(125)에서 배출되는 톱밥을 이동시켜 상기 톱밥이 제3 수집상자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130)는 구동 모터(미도시), 지지대(131) 및 상기 지지대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배출구(124) 하부에서 제1 배출구(122) 상부의 동일선상에 이르도록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컨베이어 본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본체(13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출구 하부에 위치한 일면이 막힌 형태이며, 상기 제1 배출구 상부의 동일선상에 이르는 타면이 뚫린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톱밥은 상기 받침대(125)에서 상기 컨베이어 본체(132)로 이동되어 상기 뚫린 타면을 통하여 상기 제3 수집상자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본체(132)는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된 작동부(133, 134), 상기 작동부를 연결하도록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135) 및 상기 컨베이어 밸트와 연결된 걸림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33, 134)는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컨베이어 본체(132) 공간의 양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135)는 상기 컨베이어 본체 양단부에 배치된 2개의 작동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작동부(133, 134)의 양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36)는 상기 작동부의 양 끝단에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135)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톱밥을 밀어 올리기 위하여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별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굼벵이를 선별하는 공정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선별장치로 선별작업을 할 경우, 종래의 장치보다 선별이 향상되어 80% 이상의 선별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 또한 종래 대비 5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2개의 진동 모터(150)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진동전달부(140)를 따라 본체(120)에 전달되었을 때, 용기(10) 내의 굼벵이와 톱밥이 혼합된 혼합물(15)을 상기 본체의 선별 플레이트(121) 상에 쏟아 붓게 되면, 작은 굼벵이(203)와 톱밥(205)이 상기 선별 플레이트(121)의 관통부를 통과하고 큰 굼벵이(201)가 상기 선별 플레이트(121)의 돌출부를 따라 직진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작은 굼벵이(203)와 톱밥(205)은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거름망(123)으로 낙하하게 되며, 상기 톱밥(205)은 상기 거름망의 메쉬를 통과하여 받침대(125)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큰 굼벵이(201)는 상기 선별 플레이트(121)에서 직진 이동을 하고 제1 배출구(122)로 배출되어 제1 수집상자(126)에 수용되며, 상기 작은 굼벵이(203)는 상기 거름망(123)에서 직진 이동을 하고 제2 배출구(124)로 배출되어 제2 수집상자(127)에 수용된다. 상기 톱밥(205)의 경우 상기 받침대(125)에서 직진 이동을 하고 컨베이어(130)로 배출되며, 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해 제3 수집상자(128)으로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는 2개의 진동 모터 및 선별 플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굼벵이 및 톱밥의 직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굼벵이의 크기에 대한 선별을 원활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자동 작업을 통하여 톱밥과 섞여있는 대량의 굼벵이를 한꺼번에 선별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이 간편하여 편리함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며,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100: 선별장치 110: 지지프레임
120: 본체 130: 완충스프링
140: 진동전달부 150: 진동모터
121: 선별 플레이트 122: 제1 배출구
123: 거름망 124: 제2 배출구
125: 받침대 130: 컨베이어
126, 127, 128: 제1 내지 제3 수집상자

Claims (5)

  1.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면에 형성된 선별 플레이트 및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선별 플레이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프레임과 본체를 연결하는 완충스프링;
    상기 본체의 하면과 연결된 진동전달부; 및
    상기 진동전달부의 타측면에 배치된 2개의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플레이트는 상부가 돌출된 각 막대기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 및 인접한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관통부를 포함하는 선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스프링은 고무스프링인 선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상기 선별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된 거름망 및 상기 거름망의 하부에 배치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선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거름망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이격되되, 상기 제2 배출구 하부에서 상기 제1 배출구의 상부와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선별장치.
KR1020180090103A 2018-08-01 2018-08-01 선별장치 KR20200014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103A KR20200014960A (ko) 2018-08-01 2018-08-01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103A KR20200014960A (ko) 2018-08-01 2018-08-01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960A true KR20200014960A (ko) 2020-02-12

Family

ID=6956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103A KR20200014960A (ko) 2018-08-01 2018-08-01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49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4293B (zh) * 2020-09-29 2021-12-07 浙江正鑫齿轮有限公司 一种用于化妆品加工的过筛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4375A (ko) 2016-03-07 2017-09-15 정성희 유충 선별기
KR101873496B1 (ko) 2017-04-20 2018-07-02 홍순옥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4375A (ko) 2016-03-07 2017-09-15 정성희 유충 선별기
KR101873496B1 (ko) 2017-04-20 2018-07-02 홍순옥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4293B (zh) * 2020-09-29 2021-12-07 浙江正鑫齿轮有限公司 一种用于化妆品加工的过筛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4566C2 (ru) Способ и конструкция привода устройств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убранной массы
KR101232595B1 (ko) 패류 선별기의 구동장치
CN108576914B (zh) 基于晃动筛分的烟草加工用烟梗与梗头二级筛分装置
RU21623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сеивания зер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0652225B1 (ko) 선별기
KR20200014960A (ko) 선별장치
KR200443334Y1 (ko) 세립 임산물 선별기
JP3891477B2 (ja) 振動篩装置
JP2004105965A (ja) 粗粒と微粒とを分離する装置
KR100265247B1 (ko) 목분입자 선별기
CN102823390A (zh) 纵轴流联合收割机的一种脱粒清选装置
CN202713980U (zh) 纵轴流联合收割机的一种脱粒清选装置
JP6076966B2 (ja) ばら荷を分別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9231428A1 (ru) Способ сепарации зерн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EP1415717A1 (en) Vibration separator
JP4667325B2 (ja) 生葉の篩分装置
KR200225986Y1 (ko) 선별기
JP3128933U (ja) 選別装置
KR101613181B1 (ko) 이물 제거기
KR20160068711A (ko) 막힘 현상을 해소시킨 pc 선별판을 포함하는 선별기
IE20150194A1 (en) Screen assembly
JPH0557249A (ja) 振動ふるい装置
CN219648094U (zh) 一种筛分机构及多规格茯苓丁筛分机
SU1472151A1 (ru) Виброфрикционный сепаратор сем н
CN218108361U (zh) 用于湿性物料脱泥的五质体振动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