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202A - 유체 도포 용기 - Google Patents

유체 도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202A
KR20200010202A KR1020197031109A KR20197031109A KR20200010202A KR 20200010202 A KR20200010202 A KR 20200010202A KR 1020197031109 A KR1020197031109 A KR 1020197031109A KR 20197031109 A KR20197031109 A KR 20197031109A KR 20200010202 A KR20200010202 A KR 20200010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applicator
discharge
container
applica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아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200010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의 형태의 유체 도포 용기는,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후단부가 그 용기 본체와 연결되어 내부에 그 탱크로부터 유체가 유입함으로써, 그 유체를 선단부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유체 토출체와, 그 유체 토출체보다 경도가 낮은 도포체로서, 그 유체 토출체를 피복하는 도포체와, 조작체를 가짐과 더불어 그 조작체의 조작에 따라 그 탱크내의 유체를 그 유체 토출체로 밀어내는 플런저를 갖추되, 그 도포체는, 그 유체 토출체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흡수하고, 피도포면에 접촉함으로써 흡수한 유체를 도포한다.

Description

유체 도포 용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피도포면에 대해 유체를 도포하는 유체 도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통 모양의 본체부와, 그 본체부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편평한 모양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연장설치부와, 그 본체부의 후단으로부터 그 연장설치부에 걸쳐 관통하고, 도포액이 유통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그 연장설치부에, 그 전단으로부터 그 관통구멍으로 향하여 잘라낸 노치 오목모양부가 형성되어, 그 관통구멍의 전단 개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노치 오목모양부를 사이에 둔 좌우 양측의 위치에 선단편이 형성되고, 그 노치 오목모양부가 아래쪽 가장자리의 후단부가 위쪽 가장자리의 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스패출러(spatula)를 갖춘 도포액 용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도포액 용기에 의하면, 스패출러의 관통구멍의 전단 개구로부터 토출된 도포액을, 스패출러의 연장설치부에서의 2개의 선단편의 사이에 보호 유지할 수가 있고, 이 선단편을 피도포면, 예를 들어 눈시울(눈구석) 부근의 위 눈꺼풀 안으로 들여보내 스패출러를 눈초리로 향하여 위 눈꺼풀을 따라 이동시킬 때, 선단편이 위 눈꺼풀의 쌍거풀에 간극(틈)을 형성하면서, 선단편의 사이에 보호 유지하는 도포액을 위 눈꺼풀의 쌍거풀에 도포할 수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15-229094호 공보(예를 들어, 단락[0008],[0015]등 참조)
종래의 유체 도포 용기에 의하면, 토출한 유체를 피부의 표면 등의 피도포면 상에 스패출러 등의 도포체로 압압해서 도포함으로써, 그 유체를 그 피도포면 상에 잡아늘여 도포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도포체보다 기분 좋은 감촉의 도포체에 의해, 유체를 도포할 수가 있는 유체 도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의 도포체보다 기분 좋은 감촉의 도포체에 의해, 유체를 도포할 수가 있는 유체 도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태양의 유체 도포 용기는,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후단부가 그 용기 본체와 연결되어 내부에 그 탱크로부터 유체가 유입함으로써, 그 유체를 선단부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유체 토출체와, 그 유체 토출체보다 경도가 낮은 도포체로서, 그 유체 토출체를 피복하는 도포체와, 조작체를 가짐과 더불어 그 조작체의 조작에 따라 그 탱크 내의 유체를 그 유체 토출체로 밀어내는 플런저(plunger)를 갖추되, 그 도포체는, 그 유체 토출체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흡수하고, 피도포면에 접촉함으로써 흡수한 유체를 도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에 의하면, 종래의 도포체보다 기분 좋은 감촉의 도포체에 의해, 유체를 도포할 수가 있는 유체 도포 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를, 그 축선을 포함한 절단면에서 절단해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가 갖추는 유체 토출체를, 그 토출구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의 유체 토출체를 도 2의 A-A선으로 절단하여 A-A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의 유체 토출체를, 그 선단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가 갖추는 어플리케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의 어플리케이터를 도 5의 B-B선으로 절단하여 B-B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가 갖추는 선구를, 그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그 선구를 도 7의 C-C선으로 절단하여 C-C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그 선구를, 그 선단부에 형성된 개구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를, 그 축선을 포함한 절단면에서 절단해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가 갖추는 유체 토출체를, 그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의 유체 토출체를 도 11의 D-D선으로 절단하여 D-D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의 유체 토출체를, 그 선단부에 형성된 토출구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제1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장료(化粧料, 여성의 용돈)인 유체의 컨실러(concealer)를 피도포면으로서의 피부에 도포하는 유체 도포 용기(1)를 설명한다. 덧붙여, 유체 도포 용기(1)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선을 간단히 「축선」이라고 하는 것으로 하고, 그 축선의 연재 방향을 「축선 방향」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1)는, 거의 원주모양으로 형성되어 화장료인 유체(F)가 수용된 탱크(T)를 가지는 용기 본체(10)와, 유체(F)를 토출하는 유체 토출체의 스패출러(24) 및 이것을 덮는 도포체인 어플리케이터(26)의 조립체(20)와, 용기 본체(10)의 선단부(도 1의 하부)에 장착된 선구(30)와, 선구(30)에 착탈 자재로 장착된 캡(40)과, 용기 본체(10)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조작체인 꼬리관(51)의 회전에 따라 탱크(T) 내의 유체(F)를 유체 토출체로 밀어내는 플런저(50)를 갖춘다. 이후, 유체 도포 용기(1)에서의 캡(40)측, 즉 도 1의 하방 측을 축선 방향에서의 전방, 꼬리관(51) 측, 즉 도 1의 상방 측을 후방으로 해, 각 전방 측 끝부분을 선단부, 각 후방 측 끝부분을 후단부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도 1에 있어서는, 설명상 피스톤 로드(53)만 단면으로 나타내어져 있지 않고, 그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용기 본체(10))
용기 본체(10)는, 축선 방향으로 연재하는 거의 속이 빈 원통모양의 장척(長尺) 부재로서,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유체(F)를 수용하는 탱크(T)의 전방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0)의 선단부는 내경 및 외경 모두 용기 본체(10)의 다른 부분보다 소경으로 형성된다. 용기 본체(10)의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유체 토출체가 감합함과 더불어, 용기 본체(10)의 선단부의 외주면에는 선구(30)가 감합한다. 용기 본체(10)의 후단부에는, 플런저(50)의 꼬리관(51)이 용기 본체(1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감합한다.
(유체 토출체)
본 실시 형태의 유체 토출체는, 용기 본체(10)에 감합하는 그 뒷부분의 홀더(22)와, 홀더(22)의 선단부와 접속하는 그 앞부분의 스패출러(24)를 가진다.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속이 빈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홀더(22)는, 그 외주벽(221)이 용기 본체(10)의 선단부의 내주벽에 감합한 때에, 홀더(22)의 속이 빈 부분인 뒤부분 유로(222)가 탱크(T)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홀더(22)의 축선 방향의 거의 중앙의 위치의 외주면 상에는, 지름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여 선구(30)의 내주면에 당접하는 2개의 환상 돌기(223, 224)가 축선 방향에 있어서 소정 거리만큼 이간해서 형성된다. 환상 돌기(224)보다 전방의 홀더(22)의 외주면상에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어플리케이터(26)(도 1 참조)를 압압해서 계지하기 위해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된 환상 돌기(225)가 지름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환상 돌기(225)의 전방에는, 홀더(22)의 뒤부분과 비교해서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스패출러(24)에 접속되는 접속부(226)가 형성된다. 접속부(226)의 전단의 가장자리부에는, 스패출러(24)의 전방으로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한 환상(環狀)의 반환부(227)가 형성된다.
스패출러(24)의 뒤부분(242)의 외주면은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외경이 완만하게 감소하는 거의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내주홈이 형성된다. 스패출러(24)의 뒤부분(242)의 내주홈은 홀더(22)의 반환부(227)와 접속되어 스패출러(24)의 탈락을 방지한다. 스패출러(24)의 내부에는, 홀더(24)의 뒤부분 유로(222)로부터 유체(F)가 유입하는 앞부분 유로(241)가 형성된다. 스패출러(24)의 앞부분(243)은,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그 두께(X)(도 3 참조)가 잠시 감소하도록 2개의 곡면(244a, 244b)을 가지는 끝으로 갈수록 가는 판 모양으로 형성된다. 곡면(244a, 244b)은, 후방, 즉 뒤부분(242) 근방에서는 두께(X)의 감소가 비교적으로 급격하게 되도록 형성되고, 전방에서는 두께(X)의 감소가 비교적으로 완만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곡면(244a)의 전방 측에는, 앞부분 유로(241)와 연통하는 토출구(245)가 형성된다. 뒤부분(242) 및 앞부분(243)의 형상에 따라 앞부분 유로(241)도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 유로가 가늘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스패출러(24)는 플런저(50)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나온 유체(F)를, 유로(222, 241)를 매개로 해서 토출구(245)로부터 토출한다. 이와 같이 한쪽의 면에만 토출구(245)를 형성함으로써,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피도포면에 대해 유체(F)를 도포하는 하나의 도포면에 다른 도포면보다 많이 유체(F)를 토출하여, 하나의 도포면의 유체(F)의 흡수량을 다른 도포면보다 많은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비교적으로 유체(F)의 흡수량이 적은 다른 도포면(곡면(244b)) 측에서 피도포면 상에 도포된 유체(F)를 펼쳐 흡수시키는 등과 같이 해서 그 도포량을 조정할 수가 있다.
스패출러(24)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재로 구성되고, 그 탄성재의 경도는 홀더(22)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체(F)를 도포할 때에, 홀더(22)에 지지된 스패출러(24)가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더 경도가 낮은 어플리케이터(26)를 지지하면서 휘도록 구성할 수가 있어 기분 좋은 감촉 및 사용감을 유저에게 줄 수가 있다. 스패출러(24)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홀더(22)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패출러(24)의 경도, 예를 들어 ISO18517, 타입 A에 의한 듀로미터 경도는, 10∼1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5∼8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15∼50의 범위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도 및 재질이 서로 다른 홀더(22) 및 스패출러(24)가 복합 성형(2색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홀더(22) 및 스패출러(24)를 효율 좋게, 강고하게 결합할 수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덧붙여,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스패출러(24)는, 홀더(22)의 결합부(226)에 감합해 장착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어플리케이터(26))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도포체로서의 어플리케이터(26)는, 평면 형상이 거의 반타원의 2매의 판재를 결합한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스패출러(24)가 삽입 가능한 내부 공간(262)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어플리케이터(26)는, 2매의 판재의 주변 테두리를 용착함으로써 결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결합하는 판재는 2매에 한정되는 일 없이,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임의의 복수 매의 판재를 결합하여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된 어플리케이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주머니 모양의 어플리케이터(26) 내에서 스패출러(24)가 자재로 탄성변형할 수가 있도록 구성하면, 스패출러(24) 또는 어플리케이터(26) 단체로 유체(F)를 도포하는 경우의 촉감보다 뛰어난 촉감을 유저에게 줄 수가 있다. 어플리케이터(26)는, 유체(F)가 함침 가능한 다공질재로 형성되고,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그 경도는 스패출러(24)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로서 구성된다. 어플리케이터(26)를 구성하는 다공질재로서는, 예를 들어 스펀지를 이용할 수가 있고, 특히, 유저에게 기분 좋은 감촉 및 사용감을 줄 수가 있음과 더불어 내구성이 높은, 우레탄 스펀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된 비교적 경도가 낮은 어플리케이터(26)를, 끝으로 갈수록 가는 판 모양으로 형성된 비교적 경도가 높은 스패출러(24)로 지지해서 유체(F)를 도포할 수가 있도록 구성하면, 유체(F)를 사람의 손가락으로 피도포면에 도포하는 것과 같은 기분 좋은 촉감을 유저에게 줄 수가 있다. 또, 스패출러(24)의 토출구(245)를 덮는 어플리케이터(26)의 하나의 판재는 다른 판재와는 식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판재의 색을 다른 판재의 색과는 다른 색으로 해서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저는 주머니 모양의 어플리케이터(26) 내의 스패출러(24)의 토출구(245)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선구(30))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구(30)는 거의 속이 빈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은 캡(40)의 감합이 양호하게 행하여지도록 선단 측으로 향함에 따라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형성된다. 선구(30)의 뒤부분의 외주면상에는, 캡(4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 돌기와 감합하기 위해 지름 안쪽 방향으로 움푹 패인 환상홈(301)이 형성된다. 선구(30)의 뒤부분의 내주면 상에는, 용기 본체(10)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홈에 감합하도록, 지름 안쪽 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환상 돌기(302, 303)가 형성된다. 선구(30)의 환상 돌기(303)의 전방의 내주면 상에는, 홀더(22)의 2개의 환상 돌기(223, 224)가 각각 개별로 감합하는 환상홈(304, 305)이 형성된다.
선구(30)는, 유체 토출체가 용기 본체(10)에 끼워넣어진 상태(도 1 참조)에 있어서, 선구(30)의 선단 개구(306)로부터 어플리케이터(26)에 덮인 스패출러(24)가 전방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유체 토출체의 홀더(22)를 고정한다. 이 때, 선구(30)의 선단부(307)의 내주면(308)은 어플리케이터(26)의 뒤부분을 홀더(22)의 환상 돌기(225)와의 사이에서 지름 방향으로 끼워 눌러 계지한다. 이 때문에, 어플리케이터(26)의 스패출러(24)로부터의 전방으로의 탈락을 방지할 수가 있다.
(캡(40))
캡(40)은, 그 선단에 덮개판을 가지는 거의 원통모양(도 1 참조)으로 형성되고, 선구(30)에 감합한 때에 어플리케이터(26)를 그 내부에 수용해서 보호할 수가 있도록 구성된다. 캡(40)의 뒤부분의 내주면 상에는 지름 안쪽 방향으로 돌출하는 환상 돌기(402)가 형성되고, 환상 돌기(402)가 선구(30)의 환상홈(301)에 감합해서 캡(40)을 선구(30)에 대해 착탈 자재로 장착한다.
(플런저(50))
플런저(plunger; 50)는, 용기 본체(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계지된 꼬리관(51)과, 탱크(T) 내를 접동해서 전진 가능한 피스톤(52)과, 그 외주면에 수나사(532)가 형성되고, 피스톤(52)을 전방으로 압압하는 피스톤 로드(53)와, 피스톤 로드(53)의 수나사(532)에 나합(螺合,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를 그 내주면에 가짐과 더불어, 그 외주면이 용기 본체(10)의 내주면에 감합한 회전 멈춤부(54)와, 꼬리관(51)의 후단 개구에 감합된 덮개인 미전(꼬리 마개; 55)을 가진다.
회전 멈춤부(54)는 그 선단부 외주면이 후단부 외주면보다 근소하게 소경(小徑)인 거의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당해 선단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542)가 형성된다. 피스톤 로드(53)의 수나사(532)를 둘레방향으로 2개로 나누도록, 피스톤 로드(53)의 외주면상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재하는 한 쌍의 평면인 당접면(맞닿은 면; 534)이 둘레방향으로 180도 이간해서 형성된다. 꼬리관(51)은, 그 뒷부분보다 앞부분의 외경이 작은 거의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앞부분은 회전 멈춤부(54)의 후단부 내 및 용기 본체(10)의 후단부 내에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박아 넣어진다. 꼬리관(51)의 앞부분의 내주면에는 피스톤 로드(53)의 당접면(534)에 대향하여 접동 가능하게 당접하는 당접면(512)이 형성되고, 피스톤 로드(53)가 꼬리관(51)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접동 가능함과 더불어, 둘레방향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도록 계합한다. 꼬리관(51)의 앞부분 후단부의 외주면 상에는, 용기 본체(10)의 후단부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환상홈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감합하는 환상 돌기(514)가 형성되고, 꼬리관(51)을 용기 본체(10)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이동 불능 또한 둘레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계합한다.
(조립)
유체 도포 용기(1)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피스톤(52)에 피스톤 로드(53) 선단부를 압입하고, 회전 멈춤부(54)를 피스톤 로드(53)에 나합해서, 회전 멈춤부(54)의 선단이 피스톤(52)의 후단에 당접하도록 조립한다. 다음에, 피스톤 로드(53)가 나합한 회전 멈춤부(54)를 용기 본체(10) 내에 후방으로부터 압입해서, 회전 멈춤부(54)를 용기 본체(10)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조립한다. 다음에, 미전(55)을 그 후단에 끼워넣은 꼬리관(51)을 용기 본체(10) 내에 후방으로부터 끼워넣어, 꼬리관(51)의 환상 돌기(514)를 용기 본체(10)의 환상 홈 내에 감합시킨다. 꼬리관(51)의 당접면(512)과 피스톤 로드(53)의 당접면(534)이 계합되면, 용기 본체(10)에 플런저(50)가 조립된다.
다음에, 전방으로부터 용기 본체(10)의 탱크(T) 내에 유체(F)를 주입하고, 유체 토출체(홀더(22) 및 스패출러(24))를 용기 본체(10)의 전단 개구 내에 압입한다. 다음에, 유체 토출체(홀더(22) 및 스패출러(24))의 앞부분을 어플리케이터(26)로 덮고, 선구(30)를 전방으로부터 용기 본체(10)의 선단부 외주에 끼워넣어, 어플리케이터(26)를 용기 본체(10)에 조립한다. 마지막으로, 선구(30)에 캡(40)을 전방으로부터 박아 넣으면, 유체 도포 용기(1)가 조립된다.
덧붙여, 위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설비(장치) 구조는,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낸 돌기와 홈과의 감합이나 압입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나착(螺着, 나사 장착) 등의 임의의 설비 구조로 해도 좋다.
(사용 방법)
유체 도포 용기(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용기 본체(10)에 대해 꼬리관(51)을 회전시키면, 꼬리관(51)과 피스톤 로드(53)가 일체로 되어 용기 본체(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피스톤 로드(53)가 용기 본체(10)에 감합한 회전 멈춤부(54)에 대해 회전해서 피스톤(52)과 함께 전진하여, 유체(F)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밀어내어진 유체(F)는, 홀더(22)의 뒤부분 유로(222) 및 스패출러(24)의 앞부분 유로(241)를 매개로 해서 토출구(245)로부터 토출되어 2매의 판재를 결합한 주머니 모양의 어플리케이터(26)의 하나의 판재에 흡수된다.
꼬리관(51)의 회전 조작을 적당히 반복하고, 어플리케이터(26)에 적당량의 유체(F)를 흡수시킨 후, 유저는 피도포면에 대해 어플리케이터(26)를 접촉시켜 스쳐 지나감으로써 유체(F)를 피도포면에 도포할 수가 있다. 필요하면, 2매의 판재를 결합한 주머니 모양의 어플리케이터(26) 중, 유체(F)의 흡수량이 비교적 적은 다른 판재로 피도포면을 더 스쳐 지나가고, 도포된 유체(F)를 더 넓은 도포 범위로 넓게 바르거나, 혹은 과잉으로 도포된 유체(F)를 다른 판재에 흡수시켜 그 도포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가장 경도가 낮은 연질재로 형성된 어플리케이터(26)로 덮인 스패출러(24)가, 홀더(22)의 경도보다 낮은 연질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터(26)로 덮인 스패출러(24)가 적당히 휘어, 기분 좋은 감촉을 유저에게 줄 수가 있다. 홀더(22), 스패출러(24) 및 어플리케이터(26) 중에서 가장 경도가 높은 홀더(22)는, 지름 방향에 있어서, 선구(30)와의 사이에 어플리케이터(26)를 끼워서 계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어플리케이터(26)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제2의 실시 형태>
제1의 실시 형태에서는, 유체 도포 용기(1)의 유체 토출체는 선단이 거의 평판 모양의 스패출러(24)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 형태의 유체 도포 용기는, 원통모양이나 삼각뿔, 각주 등의 임의의 형상의 유체 토출체를 갖출 수가 있다. 또, 유체 토출체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유체 토출체를 덮는 어플리케이터의 형상도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제1의 실시 형태에서는 플런저(50)가 꼬리관(51)의 회전에 의해 조작되어 유체(F)를 밀어내는 것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플런저(50)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체로서 꼬리관에 노크체를 가지고 노크체의 압하에 따라 유체를 토출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하의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원통모양의 유체 토출체와 노크체를 가지는 플런저를 갖춘 유체 도포 용기를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1')는, 어플리케이터(26') 및 유체 토출체의 조립체(20')와, 플런저(60)를 갖춘다.
(유체 토출체)
본 실시 형태의 유체 토출체는, 용기 본체(10)의 선단 개구 내에 감합하는 홀더(22')와, 홀더(22')의 선단에 결합된 토출 파이프(28)를 가진다. 어플리케이터(26')는 홀더(22')의 선단부 및 토출 파이프(28)를 덮는다.
도 11∼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22')가 제1의 실시 형태의 홀더(22)의 환상 돌기(223)을 가지는 일이 없고, 한편으로, 홀더(22')의 외주벽(221)이 용기 본체(10)의 선단부의 내주벽과 감합하는 외벽과 뒤부분 유로(222)를 형성하는 내벽을 각각 가지는 점에서 제1의 실시 형태와 다르다. 이와 같이, 홀더(22')의 구성은, 제1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과는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홀더(22')의 구성은, 이들 차이점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의 홀더(22)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토출 파이프(28)는, 전단판을 가지는 거의 속이 빈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홀더(22')의 뒤부분 유로(222)와 연통하는 앞부분 유로(282)가 형성된다. 토출 파이프(28)의 뒤부분의 내주면 상에는, 홀더(22')의 앞부분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반환부(227)에 결합하는 내주홈이 형성된다. 토출 파이프(28)의 선단에는, 그 축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하는 오목면(凹面; 284)이 형성되고, 오목면(284)에는 앞부분 유로(282)와 연통해서 유체(F)를 토출하는 토출구(286)인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 파이프(28)는, 제1의 실시 형태의 스패출러(24)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가지는 탄성재로 형성되고, 그 탄성재의 경도는 홀더(22')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체(F)를 도포할 때에, 홀더(22')에 지지된 토출 파이프(28)가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더 경도가 낮은 어플리케이터(26')를 지지하면서 휘도록 구성할 수가 있어, 기분 좋은 감촉 및 사용감을 유저에게 줄 수가 있다. 이러한 토출 파이프(28)는 스패출러(24)와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도도 전술한 스패출러(24)와 동등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더욱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 파이프(28)는 홀더(22')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일체로 구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어플리케이터(26'))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도포체로서의 어플리케이터(26')는, 그 도포면인 어플리케이터(26')의 외주면이 거의 구(球, 공)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토출 파이프(28)가 삽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어플리케이터(26')는 주머니 모양으로 일체 성형된 기재(基材)에 플로키(flocky) 가공이 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2매 이상의 복수의 판 모양의 기재를 결합해서 주머니 모양의 기재를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어플리케이터(26')의 기재는, 유체(F)가 함침 가능한 다공질재로 구성되고, 소정의 탄성을 가지며, 토출 파이프(28)를 구성하는 재료보다 경도가 낮은 재료로 형성된다. 어플리케이터(26')의 기재를 구성하는 다공질재로서는, 예를 들어 스펀지를 이용할 수가 있고, 특히 유저에게 기분 좋은 감촉 및 사용감을 줄 수가 있음과 더불어 내구성이 높은, 우레탄 스펀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어플리케이터(26')의 기재의 표면에는 더 그 기재를 피복하는 플로키 가공(264)이 되어 어플리케이터(26')의 표면의 경도를 그 기재의 경도보다 더 낮은 경도로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어플리케이터의 경도를 유체 토출체의 경도보다 낮은 경도로 하는 것이 더 용이해짐과 더불어, 유저에게 기분 좋은 감촉 및 사용감을 줄 수가 있다.
(플런저(60))
플런저(6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크체(61)와, 탱크(T) 내를 접동해서 전진 가능한 피스톤(62)과, 그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피스톤 로드(63)와, 피스톤 로드(63)의 수나사에 나합하는 암나사가 그 내주면에 형성되고 피스톤 로드(63)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나합하는 회전 캠(64)과, 회전 캠(64)을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해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된 요동 캠(65)과, 용기 본체(10)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플런저(60)을 지지하는 꼬리관(66)과, 노크체(61)를 후방으로 향해 부세하는 리턴 스프링(67)과, 노크체(61)와 연결되어 요동 캠(65)에 조립된 슬라이드 캠(68)을 갖춘다.
플런저(60)의 위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그 조립과 더불어 더 설명한다. 회전 캠(64)은, 그 전면에는 전방으로 향해 돌출하는 래칫 이빨을 가지며, 그 후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캠 산이 형성된다. 요동 캠(65)은, 그 전면에 전방으로 향해 돌출하는 래칫 이빨을 가지며, 회전 캠(64)의 후면과 요동 캠(65)의 래칫 이빨이 계합해서 회전 캠(64)을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만 구동하도록, 요동 캠(65)이 회전 캠(64)에 조립된다. 회전 캠(64)에 조립된 요동 캠(65)에는, 리턴 스프링(67)과, 리턴 스프링(67)에 의해 요동 캠(65)에 대해 후방으로 향해 부세된 노크체(61) 및 슬라이드 캠(68)의 조립체가 더 조립된다. 요동 캠(65)과 슬라이드 캠(68)이란, 슬라이드 캠(68)의 축선 방향의 왕복 이동이 요동 캠(65)의 둘레방향의 왕복 회전이동에 연동하도록, 상호 캠 계합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노크체(61), 회전 캠(64), 요동 캠(65), 리턴 스프링(67) 및 슬라이드 캠(68)이 조립된 조립체인 노크 세트가 구성된다.
다음에, 꼬리관(66)의 후단 개구의 후방으로부터 노크 세트를 끼워넣어, 꼬리관(66)에 노크 세트를 조립한다. 꼬리관(66)의 앞부분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캠 산이 형성되고, 회전 캠(64)의 래칫 이빨과 계합해서 회전 캠(64)의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는 한편으로 다른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한다. 피스톤 로드(63)의 선단부에는 피스톤(62)이 감합된다. 피스톤 로드(63)의 수나사를 둘레방향으로 2개로 나누도록, 피스톤 로드(63)의 외주면상에는, 축선 방향으로 연재하는 한 쌍의 평면인 당접면이 둘레방향으로 180도 이간해서 형성된다. 꼬리관(66)의 선단 개구의 내주면에는 피스톤 로드(63)의 당접면과 대향하여 당접하는 당접면이 형성된다. 꼬리관(66)의 당접면이 피스톤 로드(63)의 당접면에 당접함으로써, 피스톤 로드(63)는 꼬리관(66)에 대해 상대 회전 불능 또한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스톤 로드(63)의 수나사는 회전 캠(64)의 암나사에 나합된다. 이와 같이, 플런저(60)가 조립된다.
유체 도포 용기(1')의 조립에 대해 더 설명한다. 용기 본체(10) 내에 후방으로부터 플런저(60)를 압입해서 조립하고, 용기 본체(10)의 전방으로부터 탱크(T) 내로 유체(F)를 주입하며, 유체 토출체(홀더(22') 및 토출 파이프(28))를 용기 본체(10) 내에 전방으로부터 밀어넣는다. 다음에, 유체 토출체(홀더(22') 및 토출 파이프(28))의 앞부분을 어플리케이터(26')로 덮고, 선구(30)를 전방으로부터 용기 본체(10)의 선단부의 외주면에 끼워넣음으로써, 유체 토출체(홀더(22') 및 토출 파이프(28)) 및 어플리케이터(26')를 용기 본체(10)에 조립한다. 마지막으로, 선구(30)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캡(40)을 박아넣음으로써, 유체 도포 용기(1')가 조립된다.
덧붙여, 위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설비 구조는,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낸 돌기와 홈과의 감합이나 압입에 한정되지 않고, 더욱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나착 등의 임의의 설비 구조로 해도 좋다.
(사용 방법)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도포 용기(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유저가 캡(40)을 선구(30)로부터 떼어내고, 노크체(61)를 리턴 스프링(67)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압하하면, 노크체(61)에 연결하는 슬라이드 캠(68)이 요동 캠(65)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 캠(68)에 캠 계합된 요동 캠(65)이 둘레방향으로 회전해서, 회전 캠(64)을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회전 캠(64)이 회전하면, 회전 캠(64)에 나합한 피스톤 로드(63)가 전진하고, 피스톤(62) 및 유체(F)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밀어내어진 유체(F)는, 홀더(22')의 뒤부분 유로(222) 및 토출 파이프(28)의 앞부분 유로(282)를 매개로 해서 토출구(286)로부터 토출되어 어플리케이터(26')에 흡수된다.
노크체(61)의 압하 조작을 적당히 반복하고, 어플리케이터(26')에 적당량의 유체(F)를 흡수시킨 후, 유저는 피도포면에 대해 어플리케이터(26')를 접촉시킴으로써 유체(F)를 도포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가장 경도가 낮은 연질재로 형성된 어플리케이터(26')로 덮인 토출 파이프(28)가, 홀더(22')의 경도보다 낮은 연질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터(26')로 덮인 토출 파이프(28)가 적당히 휘어, 기분 좋은 감촉을 유저에게 줄 수가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26')에 플로키 가공(264)을 실시함으로써, 한층 더 기분 좋은 감촉을 유저에게 줄 수가 있다.
덧붙여, 이상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탱크(T) 내에 화장료인 유체(F)를 수용한다고 설명했지만, 더욱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탱크(T) 내에 문구용 등의 임의의 유체를 수용하고, 이것을 토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피도포면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매우 적합하게 임의의 유체를 피도포면에 도포할 수가 있다. 유체는 임의의 액체, 겔 등으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그 요지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는, 아무런 구속도 받지 않는다. 더욱이,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형, 여러 가지 개량, 대체 및 개질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 1' 유체 도포 용기
10 용기 본체
20, 20' 유체 토출체 및 도포체의 조립체
22, 22' 홀더(유체 토출체)
24 스패출러(유체 토출체)
245 토출구
26, 26' 어플리케이터(도포체)
28 토출 파이프(유체 토출체)
286 토출구
30 선구
50, 60 플런저
51 꼬리관
61 노크체
T 탱크
F 유체

Claims (6)

  1. 유체를 수용하는 탱크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후단부가 상기 용기 본체와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탱크로부터 유체가 유입함으로써, 그 유체를 선단부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유체 토출체와,
    상기 유체 토출체보다 경도가 낮은 도포체로서, 그 유체 토출체를 피복하는 도포체와,
    조작체를 가짐과 더불어 그 조작체의 조작에 따라 상기 탱크 내의 유체를 상기 유체 토출체로 밀어내는 플런저를 갖추되,
    상기 도포체는, 상기 유체 토출체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흡수하고, 피도포면에 접촉함으로써 흡수한 유체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토출체의 선단부의 경도가 그 유체 토출체의 후단부의 경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토출체의 선단부와 후단부는, 복합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용기.
  4. 청구항 1∼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토출체의 선단부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의 한쪽의 면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용기.
  5. 청구항 1∼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체는 복수의 판재를 결합한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 토출체의 토출구를 덮는 하나의 판재는 다른 판재와 식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용기.
  6. 청구항 1∼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체의 도포면은 거의 구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도포면이 플로키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용기.
KR1020197031109A 2017-05-25 2017-05-25 유체 도포 용기 KR202000102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9587 WO2018216174A1 (ja) 2017-05-25 2017-05-25 流体塗布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202A true KR20200010202A (ko) 2020-01-30

Family

ID=6439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109A KR20200010202A (ko) 2017-05-25 2017-05-25 유체 도포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21059A1 (ko)
EP (1) EP3632260A1 (ko)
JP (1) JPWO2018216174A1 (ko)
KR (1) KR20200010202A (ko)
CN (1) CN110650649A (ko)
WO (1) WO2018216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4657A (zh) * 2019-04-03 2019-06-25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自带按摩功能的化妆笔笔头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9094A (ja) 2014-06-09 2015-12-21 株式会社 マリーヌ 液体塗布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1223Y2 (ko) * 1985-11-19 1991-07-02
US4902155A (en) * 1988-07-21 1990-02-20 Buschemeyer Sallie Q Liquid dispenser
JPH10192045A (ja) * 1996-12-27 1998-07-28 Kao Corp ペン型唇用化粧料塗布容器及びリップペン
BRPI0917467A2 (pt) * 2008-08-12 2015-12-01 Anisa International Inc pincel cosmético de lado duplo
JP5301358B2 (ja) * 2009-05-29 2013-09-25 株式会社壽 液体繰出し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9094A (ja) 2014-06-09 2015-12-21 株式会社 マリーヌ 液体塗布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50649A (zh) 2020-01-03
EP3632260A1 (en) 2020-04-08
JPWO2018216174A1 (ja) 2020-03-26
US20200121059A1 (en) 2020-04-23
WO2018216174A1 (ja)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99506B2 (en) Shaving apparatus
EP2718023B1 (fr) Distributeur de produit liquide
EP2319358B1 (en) Liquid applying tool
CN102293506B (zh) 填充物推出容器
KR20140031235A (ko) 화장품 디스펜서
WO2006051646A1 (ja) 塗布用充填物押出容器
US6102602A (en) Liquid container cap
WO2008000480A2 (en) Applicator unit
KR20200010202A (ko) 유체 도포 용기
EP1656261B1 (en) Multiple width marking instrument
CA3012753C (en) Device for applying adhesive and/or sealant
US9603436B2 (en) Applicator
JP5748199B2 (ja) 液体塗布具
US11166534B2 (en) Shaving aid application apparatus
CN113911542A (zh) 收容替换型泵容器的化妆品容器
JP3234021U (ja) 流体塗布容器
JP3789945B2 (ja) 流動体の塗布部材
JP3769585B1 (ja) 塗布用充填物押出容器
JP2012012056A (ja) 塗布容器
KR101749085B1 (ko) 푸시형 화장용 펜슬
JP2017113163A (ja) 塗布具
CN105310251A (zh) 液体涂敷工具
JP2002355601A (ja) 塗布具
JPH0542047Y2 (ko)
JP4420683B2 (ja) 筆記軸体及び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