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518A - 전기 로스터 - Google Patents

전기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518A
KR20200008518A KR1020190085118A KR20190085118A KR20200008518A KR 20200008518 A KR20200008518 A KR 20200008518A KR 1020190085118 A KR1020190085118 A KR 1020190085118A KR 20190085118 A KR20190085118 A KR 20190085118A KR 20200008518 A KR20200008518 A KR 20200008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electric
electric fan
fan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호
Original Assignee
강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호 filed Critical 강현호
Publication of KR2020000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47J37/070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하고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전동팬 수용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조리 공간에 위치되는 조리판, 상기 조리판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전동팬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전동팬, 상기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동팬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기 로스터이다.

Description

전기 로스터 {ELECTRIC ROASTER}
본 발명은 전기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로스터는 본체에 히터와 조리판을 구비하여, 전원을 인가해서 히터를 가열함으로써 조리판에서 육류, 어패류, 야채류 등의 식재료를 조리하기 위한 기기이다.
종래의 전기 로스터는 예시적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10-2018-0013754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전기 로스터는 전술한 특허공개공보에 개시되는 것과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전원공급부는 본체의 일측벽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리판은 본체의 측벽들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인 조리 공간 내에 설치되고, 측벽들은 조리판 상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음식이 조리되는 공간의 최대화를 위해 조리판은 프레임 측벽들에 밀착할 정도로 최대한 크게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조의 전기 로스터는 측벽의 중앙에 전원공급부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부를 포함한 전체 길이를 고려했을 때 조리판의 크기에 제한이 따른다. 조리판을 더 길게 하려면 전기 로스터의 전체 길이를 그만큼 길게 만들어야 하며, 이는 제품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사용 및 보관에 불편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의 위치와 본체 측벽 및 조리판의 구조로 인해 조리판의 손잡이는 없거나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조리판의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있다. 손잡이 설치를 위해 조리판 테두리는 그만큼의 크기를 더 필요로 하며, 이는 조리되는 공간의 확보에 또 하나의 제약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는 본체 측벽들로 둘러싸이는 조리공간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리 시의 열에 의해 가열되기 쉽고 음식물이 묻는 경우가 많으며, 그로 인해 조리 도중에 조리판을 몸체로부터 들어 올리기 불편한 문제도 있다.
또한, 종래의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경우, 전원공급부와 전동팬(공기순환부) 사이의 이격된 거리로 인해 전원공급부와 전동팬(공기순환부)이 직접 전기적으로 접점되지 못하여 별도의 전기 연결 수단(결합판 및 연결핀과 그 설치구조 등)을 필요로 한다. 이는 부품 수를 증가시켜 제품 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며 조립/분해가 번거로운 단점이 된다.
그리고, 전원공급부에 있어서 전동팬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부는 전동팬 측의 대응 단자인 연결핀에 대해 대향한 상태로 접근되면서 접점되는 방식으로서 그 접점을 위한 구조(연결핀 및 결합판 등)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전동팬의 전원연결단자는 상방으로 돌출된 핀의 형태로서 결합판의 하방으로 오픈된 소켓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전동팬 장착 시에 소켓과 단자 핀이 서로 삽입 결합되도록 정렬시켜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전동팬을 분리할 때 핀의 반대측을 먼저 들어올리면서 지렛대 작용으로 인해 핀 또는 연결 수단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전기 로스터가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전원공급부와 전동팬을 직접 연결하여 부품 수를 줄이고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제한된 전체 길이 내에서 조리판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전기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조리판에 형성된 손잡이를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시켜 손잡이가 뜨거워지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전기 로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하고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전동팬 수용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조리 공간에 위치되는 조리판; 상기 조리판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전동팬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전동팬; 상기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동팬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전기 로스터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팬 수용부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팬은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결합된 팬, 및 상기 팬의 반대 측에서 상기 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연결단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적어도 상기 전원연결단자를 제외하고 상기 전동팬 위를 덮는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원공급부가 결합되는 위치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전원공급부 수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한하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팬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적어도 하나의 밑면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단자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되어 밀어 넣어짐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자면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은 그 단부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원연결단자의 끝단이 상기 밑면의 단부 측에서부터 상기 단자면까지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상기 단자면에 접촉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은 외측으로부터 상기 단자면으로 이어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은 홈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면은 상기 홈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의 끝단은 상기 홈 내로 삽입되어 상기 단자면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팬은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결합된 팬, 및 상기 팬의 반대 측에서 상기 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연결단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설정 높이만큼 위로 돌출되되, 상기 모터의 상단부보다는 낮게 돌출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심축선과 평행한 한 쌍의 제1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과 수직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잘린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모서리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리판은,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2 측벽보다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전동팬은 상기 제1 측벽과 평행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로스터의 제한된 전체 길이 내에서 조리판의 길이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로스터의 조리판에 형성된 손잡이를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시켜 손잡이가 뜨거워지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전원공급부와 전동팬을 직접 연결하여 부품 수를 줄이고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위쪽 대각선 방향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조리판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에서 전동팬 수용부에 전동팬이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로서 전동팬 수용부의 덮개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전원공급부가 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전원공급부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전동팬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전원공급부가 히터 및 전동팬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전동팬 전원연결단자와 전동팬 전원공급단자의 연결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의 위쪽 대각선 방향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로스터는 프레임, 전원공급부(250), 조리판(320), 히터(420), 공기순환판(430), 기름받이(510) 및 전동팬(5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 프레임(210)으로 구성된다.
상부 프레임(100)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장측벽(110) 및 제2 장측벽(120)과 이들 장측벽보다 짧게 형성된 제1 단측벽(130) 및 제2 단측벽(14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100)은 세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고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제1 장측벽(110) 및 제2 장측벽(120)과 제1 단측벽(130) 및 제2 단측벽(140)으로 둘러싸인 조리 공간을 제공한다. 상부 프레임(100)은 라운드 처리되지 않은 하나의 모서리 부분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전원공급부 수용부(150)를 포함한다.
제1 장측벽(110)과 제2 장측벽(120)에는 공기순환판(430)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안착되는 단턱부(190)가 형성되고, 제1 단측벽(130)과 제2 단측벽(140)에는 조리판(320)의 양단에 형성된 손잡이(370)가 위치되는 손잡이홈(200)이 형성된다.
하부 프레임(210)은 바닥면(230)과 바닥면(23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제1 장측벽(110), 제2 장측벽(120), 제1 단측벽(130), 및 제2 단측벽(140)의 하부와 결합하는 4개의 측벽(220)을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210)에는, 도 4 및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동팬(520)이 설치되는 전동팬 수용부(240)가 형성된다.
전동팬 수용부(240)는 제2 장측벽(120)보다 제1 장측벽(110)에 더 가까이 위치되어 형성되며, 하부 프레임(210) 측벽(22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제1 수직벽(241)과 제2 수직벽(242)를 포함한다.
제1 수직벽(241)과 제2 수직벽(242)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그 사이에 전동팬(520)이 수용되는 공간(243)을 형성한다. 그리고 그 상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전동팬(520)을 위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수직벽(241)은 그 상부에 전동팬 수용공간(243)과 그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해 전동팬(520)의 팬 길이정도로 길게 형성된 관통홈을 포함한다. 그 관통홈을 통해 전동팬(52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공기순환판 하부의 공간으로 토출된다.
제2 수직벽(242)의 상부에도 마찬가지로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어, 전동팬(520)의 작동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팬으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1 수직벽(241) 상부에는 전동팬 수용부(240)의 개구를 덮기 위한 덮개(245)가 힌지(246)로 연결된다.
덮개(245)는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 그 상부 공간과 전동팬 수용공간(243) 사이를 연통시키기 제1 수직벽(241)의 관통홈과 대략 비슷한 길이 정도로 형성된 관통홈을 포함한다.
전동팬(520)의 작동에 의해 공기순환판(430)의 제2 측면판(450)에 형성된 통기공(470)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덮개(245)의 관통홈을 통해 전동팬(520)의 팬으로 유입될 수 있다.
덮개(245)는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힌지(246) 반대측이 원호를 그리며 회전되어 열리고 닫히는 구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힌지 연결 없이 완전히 덮개(245)가 분리되어 열리는 구조일 수도 있다.
전동팬(520)이 전동팬 수용부(2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동팬(520)의 후술하는 한 쌍의 패킹은 하부 프레임(210) 바닥, 제1 수직벽(241), 제2 수직벽(242), 덮개(245) 등의 내면들에 맞닿는다. 이를 통해 전동팬(520)의 팬 양단이 밀폐되고 덮개(245) 및 제2 수직벽(242)과 제1 수직벽(241)의 관통홈들을 통해서만 공기가 흡입되고 토출되게 된다.
한편, 전동팬(520)이 전동팬 수용부(2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동팬(520)의 후술하는 전원연결부(1350)는 전동팬(520) 수용공간(243) 밖으로 노출된다. 특히,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전원공급부의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와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전원공급부 수용부(150)는 제1 장측벽(110)과 제1 단측벽(130)이 만나는 곳에서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프레임(100)의 제1 장측벽(110) 및 제1 단측벽(13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된다. 여기서 연속적으로 일체 형성되었다 함은 예시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하나의 피스로 일체 형성됨을 의미한다.
전원공급부 수용부(150)는 상부 프레임(100)에만 형성되어 하부 프레임(210)에서 상부 프레임(100)을 분리할 때 전원공급부(250)를 프레임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이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원공급부 수용부(150)는 조리 공간과 수용 공간을 구분하는 격벽(160)을 포함하고, 격벽(160)에는 전원공급부(250)와 히터(420)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홀(170)과 전원공급부(250)와 전동팬(520)의 연결을 위한 제2 연결홀(180)을 포함한다. 격벽(160)은 제1장측벽의 단부 및 제1단측벽의 단부를 연결하며 일체로 형성된다.
전원공급부(250)는 전원공급부 수용부(150)에 결합되며,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히터 전원공급단자(270)를 가지는 히터 전원공급부(260)와 전동팬(520)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를 가지는 전동팬 전원공급부(28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250)에는 전동팬(520)으로의 전류 공급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전동팬 스위치(252)와 설정 온도에서 히터(420)로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히터(4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핀(253)이 포함된다. 온도감지핀(253)은 과열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역할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전원공급단자(270)는 도 6의 A 방향으로 삽입되어 히터(420)의 히터 전원연결단자(4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히터 전원공급단자(270)는 소켓 형태이며 히터 전원연결단자(421)는 핀의 형태로서 히터 전원연결단자(421)가 히터 전원공급단자(270)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는 전동팬(520)의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와 각각의 하면과 상면이 서로 슬라이딩되며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공급부(250)의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는 전동팬 전원공급부(280)의 밑면 측에 아래를 향하는 단자면(1500, 1501)을 포함한다.
전동팬 전원공급부(280)의 밑면은 홈(1230, 1231)을 포함하고 단자면(1500, 1501)은 홈(1230, 1231) 안으로 설정 깊이만큼 들어가 위치하며,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의 끝단은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하여 적어도 일부의 압축 상태가 풀리면서 홈(1230, 1231) 내로 삽입되며 단자면(300)과 접촉하게 된다. 접촉 시에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의 끝단이 단자면(1500, 1501)에 부딪힐 수 있으며, 이때, '찰칵'하는 소리가 발생하거나 또는 미미한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졌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전원공급부(250)는 전원의 온/오프 또는 강약을 조절하는 조절노브(254)를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노브부(251)를 포함하는데, 전동팬 전원공급부(280)는 노브부(251)로부터 조리 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전원공급부(250)는 전원공급부 수용부(150)에 위치되어 밀어 넣거나 빼냄으로써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250)의 히터 전원공급부(260)는 격벽(160)의 제1 연결홀(170)을 관통하여 후술하는 방열판(390) 체결부의 체결홈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히터 전원공급부(260)의 외면과 체결홈의 내벽면은 서로 마찰 결합되며 전원공급부(250)은 체결부와의 그 결합을 통해 방열판(390)에 의해 지지된다.
조리판(320)은 조리 공간에 위치하며, 제1 장측벽(1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되 일측에서 전원공급부(25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형상을 갖는 회피부(340)를 포함한다. 회피부(340)는 공기순환판(430)의 밑판(460)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회피부(340)는 조리판(320)의 해당 모서리를 대각으로 절단하여 모따기 한 것과 같은 형태이다.
조리판(320)은 장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장측모서리(350)와 단측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단측모서리(360)를 포함하고, 한 쌍의 단측모서리(360) 각각에는 일체로 상방으로 연장되되 조리판(320) 바깥 방향으로 절곡되어 더욱 연장 형성된 손잡이(370)를 포함한다.
조리판(320)에는 중심부에 기름배출구멍(3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조리판(320)의 조리면은 가장자리부터 중심부의 기름 배출구멍까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조리 시에 발생하는 기름이 조리면을 따라 기름배출구멍(330)으로 흐르기 쉽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기름배출구멍(330)은 중앙에 한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기름배출구멍(330)의 개수 및 형상은 특정 개수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기름배출구멍(330)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리판(320)의 하면에는 히터(420)가 장착되는 히터 장착부(380)가 형성되고 히터(420)의 열이 히터(420)의 상부에 형성된 조리판(320)에 전달되고 하부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히터(420)의 하부를 덮으면서 설치되는 방열판(390)이 포함될 수 있다.
방열판(390)에 있어서 전원공급부(250)에 대응되는 모서리부에는 전원공급부(250)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체결홈을 가지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히터 전원연결단자(421)는 체결홈 내에 배치된다.
방열판(390)에는 기름배출구멍(330)과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410)이 형성된다.
히터(420)는 조리판(320)의 하부에 설치되고 히터 전원공급단자(27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조리판(320)을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기순환판(430)는 제1 측면판(440), 제2 측면판(450) 및 밑판(4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밑판(460)은 하부를 형성하며, 양측에 제1 측면판(440) 및 제2 측면판(450)이 형성된다.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 측면판(440) 및 제2 측면판(450)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통기공(470)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측면판(440) 및 제2 측면판(450)은 공기순환판(430)의 밑판(460)과 탈부착 되도록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밑판(46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측면판(440) 및 제2 측면판(450)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480)가 형성되어, 플랜지부(480)가 상부 프레임(110)의 단턱부(190)에 안착될 수 있다.
밑판(460)에는 배출공(490) 및 안착홀(5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밑판(460)은 가장자리부터 중심부에 형성된 배출공(490)까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490)은 공기순환판(430)의 밑판(46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조리판(320)의 기름배출공(330)으로 배출된 기름이 배출공(49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배출공(490)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원형 또는 사각형이나 그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배출공(490)은 공기순환판(430)의 밑판(460)의 중심부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배출공(490)의 위치는 아래에 위치한 기름받이(510)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안착홀(500)은 밑판(460)의 가장자리에 복수개 위치되며, 조리판(320)의 하측에 위치된 방열판(390)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돌출부(400)가 안착 또는 삽입된다. 복수의 고정돌출부(400)가 안착홀들(500)에 안착 또는 삽입되며 조리판(320)과 히터(420) 및 방열판(390) 조립체의 위치가 결정되며, 그와 같이 결정된 위치에서 전원공급부(250)과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일부의 고정돌출부(400)가 안착홀(500)에 안착 또는 삽입되지 못하면 방열판(390)의 체결부 위치가 전원공급부(250)의 히터 전원공급부(260)의 위치와 어긋나게 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복수의 고정돌출부(400)와 안착홀들(500)은 그러한 측면에서 안전 장치 역할을 하게 된다. 고정돌출부(400)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내열성이 우수한 고무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방열판(390)에 안착홀(500)이 형성되고 밑판(460)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돌출부(4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기름받이(510)는 하부 프레임(210) 바닥면(230)의 상면에 설치되어 조리판(320)로부터 배출된 기름이 수납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름받이(510)는 쟁반 모양이며 바닥면(230)의 상면에 탈부착 되어 폐유의 수거 및 세척 시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름받이(510)는 하부프레임에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전동팬(520)은 전동팬 수용부(240)에 설치되고 팬(1330), 모터(1340), 위치유지부(1360, 1370, 1440), 및 전원연결부(1350)를 포함한다.
팬(1330)은 설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임펠러 측판(1331)과 임펠러 측판(1331)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블레이드(1332)가 형성된 구조이다. 임펠러 측판(1331)에는 중심부에 모터(1340)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팬축(미도시)이 형성된다.
모터(1340)는 팬(1330)과 결합되어 팬(1330)으로 회전 토크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팬 축과 모터(1340)의 회전축이 일체가 되도록 팬(1330)의 일측에 설치된다.
위치유지부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패킹 프레임 및 패킹을 포함하고, 팬(1330) 또는 모터(1340)를 둘러싸며 전동팬 수용부(240) 내벽에 대하여 결정된 팬(1330) 및 모터(1340)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패킹 프레임은 팬(1330)을 지지하도록 팬(1330)의 양단에 설치된다. 패킹 프레임은 제1 패킹프레임(1360)과 제2 패킹프레임(1370)을 포함하며, 모터(1340)는 제1 패킹프레임(1360) 측에 설치된다. 제1 패킹프레임(1360)에는 팬(1330)의 축방향으로 돌출된 전원연결부 고정부재(1380)가 형성된다.
전원연결부 고정부재(1380)는 지지부 프레임(1390)의 고정부(1400)에 결합된다.
지지부 프레임(1390)은 고정부(1400)와 고정부(1400)로부터 팬(1330)의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단자 지지부(1450)가 설치되는 지지부 설치판(1410)을 포함한다.
제1 패킹프레임(1360)과 제2 패킹프레임(1370) 사이에는 팬(1330)을 사방으로 둘러싸되 패킹프레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하우징(1420)이 위치되며 하우징(1420)의 외벽에는 복수의 공기유입홀(14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패킹프레임(1360)과 제2 패킹프레임(1370) 및 하우징(1420)은 하나의 피스로 일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패킹프레임(1360)과 제2 패킹프레임(1370) 각각에는 그 외주를 둘러싸며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킹(1440)을 포함한다.
전원연결부는 모터(1340)에 대하여 팬(1330) 반대측에 위치하며 모터(1340) 측에서 팬(1330)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단자 지지부(1450)를 포함한다.
연결단자 지지부(1450)는 모터(1340)로부터 설정 길이 이격된 위치에서 전동팬 전원공급단자 측(310, 3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동팬 전원공급단자 측(310, 311)은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 자체이지만, 별도의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연결 수단에 마련된 전기 단자일 수 있다.
연결단자 지지부(1450)는 지지부 설치판(1410)에 설치되고, 연결단자 지지부(1450)가 설치된 지지부 프레임(1390)의 고정부(1400)가 전원연결부 고정부재(1380)에 설치된다. 지지부 프레임(1390)과 전원연결부 고정부재(1380)의 결합방식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였을 때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단자 지지부(1450)는 모터(1340)의 회전축(미도시)에 대해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는 연결단자 지지부(1450)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모터의 회전축이 있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연결단자 지지부(1450)는 일측면으로부터 회전축이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된 연결단자 수용부(1470)를 포함한다.
연결단자 지지부(1450)는 모터(1340)의 단자(1491)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모터단자 수용부(1480)와, 연결단자 수용부(1470)의 수용홈과 모터단자 수용부(1480)의 수용홈 사이를 연통시키며 연결하며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의 연장부(1460)를 수용하는 연결부(1490)를 포함한다.
전원연결부는 팬(1330) 및 모터(1340)의 배열 방향으로 바라볼 때 그 단면의 외곽 형상이 팬(1330), 모터(1340), 또는 위치유지부의 대응하는 단면의 외곽 내에 위치한다. 즉, 전원연결부의 폭은 전동팬(520)의 다른 부분, 특히 위치유지부의 폭보다 작으며 그 단면 외곽을 벗어나지 않고 그 안쪽에 위치된다.
제1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의 제1 연결접촉면(1510)은 제1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의 제1 공급접촉면(1500)과 직접 접촉하고, 제2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50)의 제2 연결접촉면(1511)은 제2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1)의 제2 공급접촉면(1501)과 직접 접촉한다.
연결접촉면(1510, 1511)이 놓이는 제1 평면(1520)은 공급접촉면(1500, 1501)이 놓이는 제2 평면(1530)과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전동팬(520)과 연결되는 전원공급부(250)도 조리기기에 대해 별도 피스의 고정수단에 의하지 않고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착탈식 구조이며, 전원공급부(250) 또는 전동팬(520) 장착 시에, 연결접촉면(1510, 1511)은 공급접촉면(1500, 1501)에 대해 평행 이동하다가 접촉된다.
연결접촉면(1510, 1511)이 공급접촉면(1500, 1501)과 접촉된 상태에서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는 탄성적으로 압축된 상태이다.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는 일부가 연결단자 수용부(1470)의 수용홈 밖으로 돌출되어 나오도록 수용홈에 수용되고 일단이 모터(1340)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모터(1340)의 단자(14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장부(1460)를 포함한다.
전동팬 전원공급부(280)의 밑면에 있어 측면과 연결되는 끝단부는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라운딩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부(250)를 수평으로 밀어 넣어 장착시킬 때 연결단자 수용부(1470)의 수용홈 밖으로 돌출되어 압축 전에는 전동팬 전원공급부(280)의 밑면보다 더 높게 돌출되게 되는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에 걸리지 않고 그 라운딩 부분에 의해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가 압축되면서 전동팬 전원공급부(280)의 밑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는 일단은 코일 연결단자 수용부(1470)의 수용홈 밖으로 돌출되어 나와 있고 타단은 연장부(1460)가 형성된 코일 스프링 형태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가 제2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50)보다 모터(1340)측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더욱 이격되어 있는데 이는 전원공급부(250) 가 전원공급부 수용부(240)에 삽입될 때 대각선 방향으로 삽입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는 일단이 모터(1340)의 단자(14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모터(1340) 반대 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전원공급부(250)의 공급접촉면(1500, 1501)과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형성된 판 스프링 구조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모터(1340)의 단자(1491)와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곡선적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벤딩부와 벤딩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벤딩부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공급접촉면(1500, 1501)과 접촉되는 타단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연결접촉면(1510, 1511)이 놓이는 제1 평면(1520)과 제2 평면(1530)에는 각각 연결접촉면(1510, 1511)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부(910, 920)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910, 920)는,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서 공급접촉면(1500, 1501)까지 이어지는 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동팬 장착 시에 연결접촉면(1510, 1511)이 가이드부(910, 920)를 따라 매끄럽게 공급접촉면(1500, 1501)까지 미끄러지도록 함으로써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 1550)에의 물리적인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접촉면(1510, 1511)은 스프링의 끝단으로 되어 있으나, 전기적인 접촉을 더 확고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의 끝단에 금속판 또는 금속 구슬 등의 전기전도성 전극 부재(미 도시)를 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50)는 전기 로스터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동팬(520) 측으로 치우쳐져 장착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150)를 전동팬(520)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또는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제1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40)의 제1 연결접촉면(1510)과 제1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의 제1 공급접촉면(1500)이 직접 접촉하고, 제2 전동팬 전원연결단자(1550)의 제2 연결접촉면(1511)이 제2 전동팬 전원공급단자(310, 311)의 제2 공급접촉면(1501)과 직접 접촉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히터 전원공급단자(160)는 소켓 형태로 전원공급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로스터의 구조는 히터와 전원공급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는 전기 부위가 완전 분리되므로 히터부와 몸체부 등의 비 전기 부위를 전부 세척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전동팬을 구비한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조는 전동팬이 없는 일반적인 전기 로스터 또는 전기 조리기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상부 프레임 110: 제1 장측벽
120: 제2 장측벽 130: 제1 단측벽
140: 제2 단측벽 150: 전원공급부 수용부
210: 하부 프레임 220: 측벽
240: 전동팬 수용부 250: 전원공급부
253: 온도감지핀 260: 히터 전원공급부
270: 히터 전원공급단자 280: 전동팬 전원공급부
310, 311: 전동팬 전원공급단자 320: 조리판
340: 회피부 420: 히터
421: 히터 전원연결단자 430: 공기순환판
440: 제1 측면판 450: 제2 측면판
460: 밑판 470: 통기공
480: 플랜지부 490: 배출공
500: 안착홀 510: 기름받이
520: 전동팬

Claims (11)

  1. 조리 공간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하고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전동팬 수용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조리 공간에 위치되는 조리판;
    상기 조리판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전동팬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전동팬;
    상기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동팬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전기 로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팬 수용부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전기 로스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팬은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결합된 팬, 및 상기 팬의 반대 측에서 상기 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연결단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적어도 상기 전원연결단자를 제외하고 상기 전동팬 위를 덮는,
    전기 로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전원공급부가 결합되는 위치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전원공급부 수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한,
    전기 로스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팬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적어도 하나의 밑면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단자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되어 밀어 넣어짐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단자면과 통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전기 로스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은 그 단부 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원연결단자의 끝단이 상기 밑면의 단부 측에서부터 상기 단자면까지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상기 단자면에 접촉하는,
    전기 로스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은 외측으로부터 상기 단자면으로 이어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전기 로스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밑면은 홈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면은 상기 홈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의 끝단은 상기 홈 내로 삽입되어 상기 단자면과 접촉하는,
    전기 로스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팬은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결합된 팬, 및 상기 팬의 반대 측에서 상기 모터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연결단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단자는 설정 높이만큼 위로 돌출되되, 상기 모터의 상단부보다는 낮게 돌출된,
    전기 로스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중심축선과 평행한 한 쌍의 제1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과 수직을 이루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중심축선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심축선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잘린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모서리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리판은, 상기 한 쌍의 제1 측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에서 상기 전원공급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부를 구비하는,
    전기 로스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제2 측벽보다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전동팬은 상기 제1 측벽과 평행하게 장착되는,
    전기 로스터.
KR1020190085118A 2018-07-16 2019-07-15 전기 로스터 KR202000085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383 2018-07-16
KR20180082383 2018-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518A true KR20200008518A (ko) 2020-01-28

Family

ID=6571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118A KR20200008518A (ko) 2018-07-16 2019-07-15 전기 로스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80633B1 (ko)
KR (1) KR202000085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18274A1 (it) 2020-07-28 2022-01-28 Ali Group S R L Apparecchiatura fry-top con dispositivo per ridurre la temperatura in corrispondenza di una porzione del piano lavoro
KR102626447B1 (ko) * 2023-07-19 2024-01-17 유영길 팬 분리가 용이한 전기그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4701B2 (ja) * 1997-05-22 2003-02-10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加熱調理盤
JP3671885B2 (ja) * 2001-09-04 2005-07-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調理器
WO2015141597A1 (ja) * 2014-03-17 2015-09-24 株式会社リコー コネクタおよび該コネクタを備える電子機器
KR101852542B1 (ko) * 2016-07-28 2018-04-27 강현호 공기 순환식 전기 로스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18274A1 (it) 2020-07-28 2022-01-28 Ali Group S R L Apparecchiatura fry-top con dispositivo per ridurre la temperatura in corrispondenza di una porzione del piano lavoro
KR102626447B1 (ko) * 2023-07-19 2024-01-17 유영길 팬 분리가 용이한 전기그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11024A (ja) 2020-01-23
JP6480633B1 (ja)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7482B1 (ko) 조리기기
KR20200008518A (ko) 전기 로스터
EP3282817B1 (en) Structure for covering connection lin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cap of electric cooking appliance
KR102319351B1 (ko) 전기 로스터
CN217937965U (zh) 烹饪器具
CN109152500B (zh) 具有玻璃烹饪碗的烹饪装置和其手柄结构
CN214906080U (zh) 烹饪器具
CN113907619A (zh) 底座组件及烹饪装置
CN211155324U (zh) 烹饪器具
KR20090121787A (ko) 전기호브
GB1564972A (en) Portable electric hot plate
CN111329333A (zh) 便携式加热容器
KR20200008353A (ko) 전동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
KR20200008350A (ko) 전동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순환식 전기 로스터
CN216602442U (zh) 一种烹饪器具
CN219895343U (zh) 煲体和烹饪器具
CN214510735U (zh) 烹饪机
CN216754244U (zh) 加热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2650725U (zh) 烹饪器具
CN114246451B (zh) 烹饪器具
CN216364780U (zh) 底座组件及烹饪装置
US20230320526A1 (en) Cooking apparatus with grill and heated air flow functions
CN211781270U (zh) 一种电磁炉
CN218044825U (zh) 一种烹饪器具
CN214964428U (zh) 一种用于烹饪器具的底座和烹饪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