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717A -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 Google Patents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717A
KR20200007717A KR1020190084056A KR20190084056A KR20200007717A KR 20200007717 A KR20200007717 A KR 20200007717A KR 1020190084056 A KR1020190084056 A KR 1020190084056A KR 20190084056 A KR20190084056 A KR 20190084056A KR 20200007717 A KR20200007717 A KR 20200007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harging terminal
light
scalp
fla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199B1 (ko
Inventor
김병현
김선익
전현수
김건희
Original Assignee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9368271&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00771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0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연성 재료의 평면형 몸체부; 및 상기 평면형 몸체부 상에 배치되어 동시에 동일한 색온도의 광을 발광하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형 몸체부는 모자 내부에서 상기 평면형 몸체부의 탄력으로 지지된다.

Description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CAP ATTACHMENT TYPE SCALP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환경적 요인과 스트레스(stress) 등으로 인하여 탈모 증상과 두피 문제로 고통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탈모 증상을 치료하거나 두피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탈모 방지를 위한 관리에 대한 관심이 계속 증대되어 탈모 관련 시장은 남성 화장품 시장 규모보다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탈모 샴푸의 경우에는 성능 및 효과가 부족하고, 화학 약제에 대해서는 부작용의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으며, 손실된 모발을 대신하여 모발을 이식하는 수술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 또한 비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모발 손실, 두피 질환 등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광(Light)을 이용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광(Light)을 이용한 방법은 특정 파장의 광을 소정 시간 특정 부위에 조사하여 세포 능력을 자극하여 모발, 두피의 치료 및 관리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Light)을 이용한 두피 관리 기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기기를 들고 원하는 부위에 광을 조사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안정적으로 광을 조사하기 어렵고, 기기의 이용 중에는 다른 일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광을 이용한 두피 관리기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helmet)형 또는 특정 장소에 고정되는 고가의 대형 두피 관리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탈모 및 두피 관리기는 상대적으로 고가이며, 휴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이므로 타인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휴대성과 사용상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LED등이 부착된 가요성 기판으로 구성된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통해, 두피에 LED 빛을 노출시켜 미토콘드라라는 세포가 생체에너지를 만들게 하여 세포의 노화를 완화시키며, 손상된 세포와 조직을 회복시키는 효과로 인해 두피보호와 탈모방지를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가의 탈모 및 두피 관리기가 아닌, 합리적인 가격으로서, 휴대가 간편하고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 가능하며, 기존의 일반적인 모자에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두피 관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탈모환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탈모 증상인 'M'자형 탈모와 원형 탈모에 맞추어 이마 윗부분 및 정수리 부분을 집중 관리하는 최적화된 탈모 관리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성 재료의 평면형 몸체부에 형성되는 충전 단자의 주변에 절단 홈부를 형성하고 충전 단자 고정부재를 이용한 보강을 통해 충전 단자가 평면형 몸체부로부터 분리되어 파손되거나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추가적으로 보호 패드부가 상기 충전 단자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사용 편의성을 함께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는 APT(생체에너지)를 통해 두피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고, 손상된 세포와 조직을 회복시켜, 표피 재생, 발모, 염증 억제, 피지 분비 억제, 살균 등의 효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성을 가지는 평면형 몸체부(110);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 배치되어, 설정된 색온도의 광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소자(120); 상기 발광소자(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50);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부(150)에 인가되는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부(160); 상기 충전단자부(160)의 외부 및 접속 회로부의 영역을 보호하는 보호모듈부(M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LED등이 부착된 가요성 기판으로 구성된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통해, 두피에 LED 빛을 노출시켜 미토콘드라라는 세포가 생체에너지를 만들게 하여 세포의 노화를 완화시키며, 손상된 세포와 조직을 회복시키는 효과로 인해 두피보호와 탈모방지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가의 탈모 및 두피 관리기가 아닌, 합리적인 가격으로서, 휴대가 간편하고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 가능하며, 기존의 일반적인 모자에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두피 관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탈모환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탈모 증상인 'M'자형 탈모와 원형 탈모에 맞추어 이마 윗부분 및 정수리 부분을 집중 관리하는 최적화된 탈모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성 재료의 평면형 몸체부에 형성되는 충전 단자의 주변에 절단 홈부를 형성하고 충전 단자 고정부재를 이용한 보강을 통해 충전 단자가 평면형 몸체부로부터 분리되어 파손되거나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보호 패드부가 상기 충전 단자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사용 편의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사용하면 APT(생체에너지)를 통해 두피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고, 손상된 세포와 조직을 회복시켜, 표피 재생, 발모, 염증 억제, 피지 분비 억제, 살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판형 몸체부 구성을 연성을 가지는 구조로 구현하여 모자와의 접촉실장성능을 강화하는 한편, 사용자가 착용시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편안한 착용감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배터리부 역시 플렉서블한 연성을 가지도록 하며, 모자 제품의 특수성상, 의자에 드러 눕거나 의자에 기대거나, 누워서 잠을 잘때 등, 사용자가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임이 발생하고 마찰등에 의해 충전 단자 부분에 접촉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크게 사용자가 배터리부를 충전하는 충전단자부의 보호모듈부를 다양한 실시예로 확보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의 구조물을 세로방향으로 머리의 가마쪽에 배치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어, 착용감에 저해가 없고, 정수리 가마와 사이에 어느 정도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며, 디자인적인 측면에 저해도 최소화할 수 있음. 나아가 플렉서블한 세로 구조의 배치로 착용감이나 접촉불량의 개선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의 A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색광을 조사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색광을 조사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을 조사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색광과 적외선을 조사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모자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모듈부가 결합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의 보호모듈부의 사시도이다.
도 1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모듈부가 결합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의 보호모듈부의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의 보호모듈부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의 A 방향에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의 배면도이다.
이후부터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100)는 모자(C)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두피 관리기로서, 일반적인 모자(200)에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휴대가 간편하고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100)는 연성을 가지는 평면형 몸체부(110)와,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 배치되어, 설정된 색온도의 광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소자(120), 상기 발광소자(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50),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부(150)에 인가되는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부(160), 상기 충전단자부(160)의 외부 및 접속 회로부의 영역을 보호하는 보호모듈부(M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는 모자(C)의 내부의 접촉면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연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는 상기 모자(C)의 내부에 용이하게 부착되기 위하여, 제1 영역(111)과 제2 영역(115)으로 구분되는 'T'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영역(115)은 상기 제1 영역(111)보다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5)의 연결부에는 요입부(119)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111)과 상기 제2 영역(115)의 연결부위가 보다 용이하게 변형 또는 휘어지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는 모자 내부에서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의 자체 탄력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에는 복수개의 통기성 홀 패턴(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성 홀 패턴(130)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다수의 발광 소자(120)를 상호간에 연결하는 회로 패턴들의 사이 공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발광 소자(120)는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 일정 간격으로 고르게 배치되거나,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두피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120)는 사용자의 두피에 골고루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M'자형 탈모 또는 원형 탈모에 적합하도록,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서 사용자의 이마 윗부분 또는 정수리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발광 소자(120)는 두피 관리기의 소형화를 위하여 마이크로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복수개의 발광 소자(120)들은 여러 색온도의 광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동시에 동일한 색온도의 광을 발광할 수 있으며, 이때 여러 색온도의 광 중에서 선택되는 광을 순차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발광 소자(120)는 청색광, 적색광, 적외선의 순서로 순환하며 발광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120)는 파장이 405 nm 내지 415 nm인 청색광, 파장이 650 nm 내지 660 nm인 적색광 또는 파장이 840 nm 내지 850 nm인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여러 종류의 광을 순차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청색, 적색 또는 적외선의 광을 조사하는 각각의 발광 소자(12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상기 각 발광 소자(120)가 특정 색들의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120)들 중에서 필요한 부분의 발광 소자(120)만이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두피 영역에 맞춘 두피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두피 관리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그에 상응한 두피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발광 소자(120)가 사전에 설정된 파장의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피 재생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청색 광의 발광 소자(1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발모 효과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적색 광의 발광 소자(1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피부 탄력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적외선 광의 발광 소자(1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색들의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100)는 발광 소자(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140), 발광 소자(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50) 및 상기 배터리부(150)에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 단자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단자부(160)의 외부 및 접속 회로부의 영역을 보호하는 보호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모듈부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보호모듈부는 충전단자 자체와 충전단자와 연결되는 회로 접촉부 등의 단락의 문제를 일소할 수 있는 장점이 구현한다. 이는, 본 발명에서의 충전단자부는 전류가 흐르는 접촉부분에 대한 접촉불량이 제품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에 대한 보호를 수행하여 안정적인 제품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간단한 구성이나 매우 중요한 구성에 해당한다. 특히, 본 제품의 특성 상, 의자에 드러 눕거나 의자에 기대거나, 누워서 잠을 잘때 등, 사용자가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임이 발생하고 마찰등에 의해 충전단자 부분에 접촉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크게 되며, 이러한 보호모듈부의 구성은 이러한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자 내부의 부착성을 강화하기 위한 "T" 자 형상의 몸체부의 구조의 말단에 형성되는 충전단자의 배치 구조에서는, 충전단자가 가마 부분에 들어가게 되어 접촉이나 마찰이 발생할 여지가 더욱 빈번하게 되는바, 이러한 보호모듈부의 구성은 더욱 중요하게 된다.
이러한 보호모듈부의 일 실시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보호모듈부는,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 형성되는 절단 홈부(117), 상기 절단 홈부(117)에 의해 구분되는 충전단자 패드부(110a) 상에 실장되는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단자부를 둘러싸는 구조로 배치되는 충전 단자 고정부재(165)를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충전 단자 고정부재(165)는, 상기 충전단자부(160)의 상부 및 측면부와 상기 충전단자부(160)의 충전단자가 배치되는 상기 충전단자 패드부(110a)를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절단홈부(117)가 형성된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상기 충전 단자 고정부재(165)의 하부면에 밀착하는 보호 패드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충전 단자(160)는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부(150)에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 단자(160)는 상기 제2 영역(115)의 길이 방향 상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영역(111)이 형성되는 일단에 대한 타단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에는 충전 단자(160)의 주변에 절단 홈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절단 홈부(117)는 상기 충전 단자(160)의 단자 결합 방향의 좌우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충전 단자(160)는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서 상기 절단 홈부(117)에 의해 구분되어 형성되는 충전 단자 패드부(110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형태의 충전 단자 고정부재(165)가 상기 충전 단자(160)와 상기 충전 단자 패드부(110a)를 둘러싸 고정할 수 있으며, 실리콘 재료의 보호 패드부(170)가 충전 단자 패드부(110a)의 충전 단자(160)가 실장되는 면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절단 홈부(117)와 상기 충전 단자 고정부재(165)의 표면을 덮도록 부착되어, 상기 충전 단자(160)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절단 홈부(117)와 충전 단자 고정부재(165)를 통해 충전 단자(160)가 평면형 몸체부(110)로부터 분리되어 파손되거나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보호 패드부(170)가 상기 충전 단자(16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사용 편의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100)는 상기 배터리부(150)가 구부러지기 용이한 플렉시블(flexible)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의 탄성과 상기 플렉시블 배터리의 자체 탄성에 의해 모자 내부에서 지지되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부(150)는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의 제2 영역(115)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모자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구성되는 배터리부(150)를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 단자(1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부(150)는 구부러지기 용이한 플렉시블(flexible) 배터리로 구성되어, 평면형 몸체부(11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100)의 착용시의 편의성과 착용감을 위하여, 상기 배터리부(150)는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의 제2 영역(115)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만일, 이마쪽에 배터리 구조물을 가로방향으로 배치하는 구조는 착용감을 떨어뜨리고, 이마에 밀착되어 불편함을 가져올 수 있으며, 앞부분이 둔탁해져 모자로서의 착용 편의성을 떨어뜨려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플렉시블(flexible)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 영역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모자 내부에 지지되도록 구현하는 경우, 배터리의 구조물이 세로방향으로 머리의 가마쪽에 배치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어, 착용감에 저해가 없고, 정수리 가마와 사이에 어느 정도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며, 디자인적인 측면에 저해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플렉서블한 세로 구조의 배치로 착용감이나 접촉불량의 개선도 가능하게 되어, 제품의 성능 및 착용감 향상에 매우 중요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에는 복수개의 통기성 홀 패턴(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성 홀 패턴(130)은 복수개의 발광 소자(120)를 상호간에 연결하는 회로 패턴(121)의 사이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통기성을 확보하고, 발광 소자(120)로부터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함과 동시에, 평면형 몸체부(110)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의 실물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청색광을 조사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색광을 조사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을 조사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색광과 적외선을 조사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100)는 수납 커버부(19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수납 커버부(190)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100)를 수납하여 평면형 몸체부(110), 발광 소자(120), 제어부(140) 및 배터리부(150) 등의 구성 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호함과 동시에 미관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납 커버부(190)에는 발광 소자(1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되는 투과 패턴(19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과 패턴(191)은 복수개의 발광 소자(120)에 대응되는 부위에 각 발광 소자(120)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조상의 편의와 광의 투과 효율성을 위하여 복수개의 발광 소자(120)의 단위 별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과 패턴(191)은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120)의 그룹에 대응되는 영역 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투과 패턴(191)을 통해 다수의 발광 소자(1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과 패턴(191)이 수납 커버부(190)의 표면을 압축하여 생성한 압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축 패턴형 투과 패턴은 간단한 공정을 통해 형성하여 발광 소자(120)로부터의 광의 투과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과 패턴(191)은 투명 패턴으로 형성되어 발광 소자(120)로부터의 광의 투과율을 최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가 청색광, 적색광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거나, 적색광과 적외선을 함께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 소자의 동작 시에는 청색광, 적색광, 적외선, 적색광과 적외선이 필요에 따라 각각의 광을 조사하거나, 순차적으로 각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색광과 적외선을 동시에 조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모자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커버부(190) 내에 수납된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100)는 모자(200) 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 커버부(190)와 상기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100)는 모두 유연한 연성 재료로 구성되어 모자(200) 내측의 면을 따라 매우 용이하게 밀착이 가능하여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장소에 제한 없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는 파장이 405 nm 내지 415 nm인 청색광(301)을 조사하거나, 파장이 650 nm 내지 660 nm인 적생광(302)을 조사할 수 있으며, 또한 파장이 840 nm 내지 850 nm인 적외선(303)을 조사할 수 있다.
인간의 세포 내에는 미토콘드리아라고 하는 세포발전소가 있으며, 이 미토콘드리아에는 광흡수체라는 물질이 있으므로, 이와 같은 광(301, 302, 303)을 받으면 미토콘드리아가 활성화되어 더욱 많은 APT(생체에너지)를 만들어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를 사용하면 APT(생체에너지)를 통해 두피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고, 손상된 세포와 조직을 회복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색광(301)은 피부의 상피 조직에 흡수되어 포피린을 자극하여 박테리아를 괴멸시키는 기능을 제공하여, 여드름균 살균, 염증억제 작용, 피지선 수축작용으로 인한 피지 분비 억제, 표피 재생 작용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적색광(302)은 피부의 진피 조직까지 침투하여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증가시켜, FGF(섬유모세포성장인자로 창상치유, 세포증식을 촉진하는 단백질의 한 무리), Leptin(대사효율, 활동량, 말초조직 면역기능 등에 관여하는 호르몬), VFGFR(세포분열, 대식세포 활성화, 혈관신생에 관여하는 수용체) 등의 성장 인자를 증대시키고, 신진대사 정상화, 염증억제, 두피 콜라겐 생산능력 강화, 모발의 손실, 얇아짐, 투피트러블 방지, 혈류증가, 세포증식 촉진을 통해 발모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303)은 피부의 가장 깊은 피하지방까지 침투하여 피부재생 촉진하여, 통증완화, 피부탄력, 피부가 늘어져 생긴 모공, 법령선의 개선, 피부의 대사, 발모촉진, 표피 재생 작용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모듈부가 결합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의 보호모듈부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보호모듈부는, 상기 충전단자부(160) 및 상기 충전단자부(160)에 인접하는 회로영역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재(180)는, 상기 충전단자부(160)를 포함하는 돌출되는 패턴형에 대응되는 요입패턴을 구비하는 절연성부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서, 상기 커버부재(180)는 실리콘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와 상기 충전 단자부 상부 전체를 덮는 구조로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180)는 실리콘 재료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부(110)를 보호하며,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부재(180)는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120)를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140)와 상기 충전 단자부(16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보호부재(180)의 상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4는 상기 보호부(180)의 배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부재(180)는 몸체(181), 충전 단자(160)를 보호하는 단자 보호부(182), 발광 제어부(140)의 소자를 보호하는 소자 보호부(18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호부(180)를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 상에 고정하기 위한 결착부(18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점착성 시트부재가 결합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의 시트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100)는 보호모듈부는, 점착성을 가지는 시트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평판형 몸체부 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140) 또는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의 전면에 부착되어 평판형 몸체부(11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보다 원활한 부착을 위하여 점착형의 시트부재(195)에는 충전 단자(160)와 소자가 삽입되는 관통홀(196, 19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평판형 몸체부(110)의 보다 넓은 면적의 보호와 보다 견고한 부착을 위하여, 점착형의 시트부재(195)에는 다수의 날개부(19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모듈부의 구성을 예로든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모듈부는, 상기 충전단자부(160)를 내측에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와 결착하는 케이싱모듈(200)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싱모듈(200)은, 상기 충전단자부(160)의 상부에서 커버하는 제1케이싱부(210)와 상기 평?형 몸체부(110)의 하부에서 상기 제1케이싱부(210)와 결합하는 제2케이싱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호모듈부 자체를 시트형이나 전체 커버형 케이싱 구조가 아닌, USB 단자 구조의 충전단자를 집중적으로 보호하는 구조물로서, 평판형 몸체부에 관통홀(p1, p2)을 형성하고, 제1케이싱부(210)와 결합하는 제2케이싱부(220)를 상하에서 결합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케이싱부(210)와 결합하는 제2케이싱부(220)는 내부에 충전단자부(160)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P1, P2)을 통해 나사나 고정부재를 통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케이싱부(210)와 결합하는 제2케이싱부(220)의 결합구조는 별개의 고정부재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관통홀을 매개로 결합돌기의 암수구조를 통해 양자를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 표면에는 단자고정홀(g1, g2)을 통해 충전단자(160)을 고정요소(나사 등)를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제1케이싱부(210)와 결합하는 제2케이싱부(220)의 경우, 별개의 나사 등의 고정부재가 아닌, 결합홈(X1)과 결합돌기(X2) 구조로 결합하는 방식을 예시한 것이며, 충전단자의 단자 삽입 입구 부분도 결합홈(F1)과 결합돌기(F2)와 같이 형성하여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구현할 수 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110: 평면형 몸체부
110a: 충전 단자 패드부
111: 제1 영역
115: 제2 영역
117: 절단 홈부
119: 요입부
120: 발광 소자
130: 통기성 홀 패턴
140: 발광 제어부
150: 배터리
160: 충전 단자
165: 충전 단자 고정부재
170: 보호 패드부
190: 수납 커버부
200: 케이싱모듈

Claims (20)

  1. 모자내측에 장착되는 모자 부착형 두피관리기에 있어서,
    연성을 가지는 평면형 몸체부(110);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 배치되어, 설정된 색온도의 광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소자(120);
    상기 발광소자(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50);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부(150)에 인가되는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부(160);
    상기 충전단자부(160)의 외부 및 접속 회로부의 영역을 보호하는 보호모듈부(MD);를 포함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관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모듈부(MD)는,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 상에 형성되는 절단 홈부(117);
    상기 절단 홈부(117)에 의해 구분되는 충전단자 패드부(110a) 상에 실장되는 충전단자와, 상기 충전단자부를 둘러싸는 구조로 배치되는,
    충전 단자 고정부재(165);
    를 포함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 단자 고정부재(165)는, 상기 충전단자부(160)의 상부 및 측면부와 상기 충전단자부(160)의 충전단자가 배치되는 상기 충전단자 패드부(110a)를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단홈부(117)가 형성된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의 하부면과, 상기 충전 단자 고정부재(165)의 하부면에 밀착하는 보호 패드부(170)를 더 포함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모듈부(MD)는,
    상기 충전단자부(160) 및 상기 충전단자부(160)에 인접하는 회로영역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180);를 포함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80)는,
    상기 충전단자부(160)를 포함하는 돌출되는 패턴형에 대응되는 요입패턴을 구비하는 절연성부재로 구현되는,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호모듈부(MD)는,
    실리콘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와 상기 충전 단자부 상부 전체를 덮는 구조로 보호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호모듈부(MD)는,
    접착성을 가지는 시트부재로 구현되며,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 상에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 또는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의 전면에 부착되는 구조인,
    모자 부착형 두피관리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모듈부(MD)는,
    상기 충전단자부(160)를 내측에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와 결착하는 케이싱모듈(200)을 포함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관리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모듈(200)은,
    상기 충전단자부(160)의 상부에서 커버하는 제1케이싱부(210);와
    상기 평?형 몸체부(110)의 하부에서 상기 제1케이싱부(210)와 결합하는 제2케이싱부(220);를 포함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는,
    제1 영역(111)과 상기 제1 영역보다 좁은 폭의 제2 영역(115)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단자부(160)는, 상기 제2 영역의 길이 방향 상에서, 상기 제1 영역(111)이 형성되는 일단에 대한 타단에 배치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요입부(119);를
    포함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150)는,
    플렉시블(flexible)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2 영역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모자 내부에 지지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상호간에 연결하는 회로 패턴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통기성 홀 패턴(130);
    을 더 포함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의 외표면 전체를 감싸는 수납커버부재(1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 커버부재(190)는,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이 투과되는 투과 패턴(191)이 형성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투과 패턴은,
    상기 수납 커버부의 표면을 압축하여 생성한 압축 패턴으로 형성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120)는,
    상기 평판형 몸체부(110) 상에 배치되어 개별 발광 소자별 색온도가 설정되어 발광하거나, 동시에 동일한 색온도의 광을 발광하거나, 여러 색온도의 광 중에서 선택되는 광을 순차적으로 발광하거나, 또는 영역별로 서로 상이한 색온도의 광을 발광하도록 제어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는,
    파장이 405 nm 내지 415 nm인 광, 파장이 650 nm 내지 660 nm인 광 또는 파장이 840 nm 내지 850 nm인 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범위의 색온도의 광을 발광하고,
    동시에 동일한 색온도의 광을 발광하거나, 여러 색온도의 광 중에서 선택되는 광을 순차적으로 발광하거나, 영역별로 서로 상이한 색온도의 광을 발광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몸체부(110)는,
    모자 내부에서 상기 평면형 몸체부의 탄력으로 지지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부(150)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모자 부착형 두피 및 두발 관리기.
KR1020190084056A 2018-07-12 2019-07-11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KR102305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81235 2018-07-12
KR1020180081235 2018-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717A true KR20200007717A (ko) 2020-01-22
KR102305199B1 KR102305199B1 (ko) 2021-09-28

Family

ID=69368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056A KR102305199B1 (ko) 2018-07-12 2019-07-11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1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955A (ko) * 2020-05-26 2021-12-03 (주)시지바이오 탈모 치료용 led 캡
KR20220057346A (ko)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시리즈제로 두피 관리용 장치
KR102402666B1 (ko) * 2021-02-03 2022-05-26 (주)링크옵틱스 여성 와이존 케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1425B2 (ja) * 2001-06-06 2006-03-2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KR20090090739A (ko) * 2008-02-22 2009-08-26 김영렬 모자와 결합되는 탈모관리기
KR101466447B1 (ko) * 2012-11-26 2014-12-01 메디럭스(주) 광역학 다중파장 피부염 치료 장치
US20150297914A1 (en) * 2009-11-25 2015-10-22 Tamim Hamid Laser phototherapy device
KR20160000788U (ko) * 2014-08-29 2016-03-09 최동환 접이식의 가변형 탈모방지 복합 기능 물리 치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1425B2 (ja) * 2001-06-06 2006-03-2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KR20090090739A (ko) * 2008-02-22 2009-08-26 김영렬 모자와 결합되는 탈모관리기
US20150297914A1 (en) * 2009-11-25 2015-10-22 Tamim Hamid Laser phototherapy device
KR101466447B1 (ko) * 2012-11-26 2014-12-01 메디럭스(주) 광역학 다중파장 피부염 치료 장치
KR20160000788U (ko) * 2014-08-29 2016-03-09 최동환 접이식의 가변형 탈모방지 복합 기능 물리 치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955A (ko) * 2020-05-26 2021-12-03 (주)시지바이오 탈모 치료용 led 캡
KR20220057346A (ko)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시리즈제로 두피 관리용 장치
KR102402666B1 (ko) * 2021-02-03 2022-05-26 (주)링크옵틱스 여성 와이존 케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199B1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08395A1 (en) Phototherap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Phototherapy to a Body Surface
KR102013247B1 (ko) 얼굴 및 눈 노화방지를 위한 전기자극장치
KR102305199B1 (ko)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US11123572B2 (en) Eyewear phototherapy device for eye cosmetology
KR20170008842A (ko) 피부 치료를 위한 광치료 장치
KR20110100122A (ko) 피부관리용 가면
CA3128737C (en) An adjustable therapeutic face mask
KR20150135618A (ko) 치료 또는 미용용 발광모듈
US11642546B2 (en) LED facial mask
KR102055790B1 (ko) 스탠드형 광 조사장치
KR102108634B1 (ko) 광치료장치
KR102490509B1 (ko) 개인용 조합자극 led 마스크
CN217661132U (zh) 一种柔性光疗面罩
KR102375681B1 (ko) 피부관리용 마스크
CN110636882B (zh) 帽子粘附型头皮及头发管理器
KR20190119858A (ko) 모자 부착형 두피 관리기
CN220632300U (zh) 便携式头部护理罩
KR20210077315A (ko) 적외선을 방출하는 led 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미용기기
KR102574702B1 (ko) 두피 관리용 장치
KR20200017833A (ko) 활동성이 보장된 피부용 광선 요법 장치
KR102157630B1 (ko) 안경형 광미용 기기
KR200490086Y1 (ko) 경추 치료용 건강베개
KR20240079691A (ko) 스마트 넥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163756B1 (ko) 탈모 치료기
KR20240068335A (ko) 헬멧형 두피 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Free format text: CASE NUMBER: 2022106000045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36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823

Effective date: 20230522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