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834A -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 Google Patents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834A
KR20200006834A KR1020180080689A KR20180080689A KR20200006834A KR 20200006834 A KR20200006834 A KR 20200006834A KR 1020180080689 A KR1020180080689 A KR 1020180080689A KR 20180080689 A KR20180080689 A KR 20180080689A KR 20200006834 A KR20200006834 A KR 20200006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region
solar cell
area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9558B1 (en
Inventor
김동제
강동우
노성호
석상일
Original Assignee
(주)프런티어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런티어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프런티어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8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558B1/en
Publication of KR2020000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8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5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01L31/046PV modul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film solar cells deposited on the sam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with improved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has a plurality of connected solar cells. Each solar cell is formed on a substrate and includes: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n intermediate layer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includes a light absorption layer containing at least a perovskite-based material. A plurality of the first electrodes are formed to form gap regions therebetween.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connection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in one region. A plurality of the second electrodes are formed to form separation regions therebetween. The connection region is connected to the gap regions or the separation regions at least in one region based o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Description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Perovskite solar cell modul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기술의 발전 및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태양 전지에 대한 연구 및 적용을 위한 시도가 활발해지고 있다.As the interest and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creases, attempt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 of solar cells have been active.

태양 전지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p-n 접합 다이오드의 구조에 빛이 입사되면 전자가 생성되는 광기전력 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이용할 수 있다.The solar cell may have various forms, and basically, a process of converting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a photovoltaic effect in which electrons are generated when light is incident on a structure of a p-n junction diode is used.

태양 전지는 작은 단위의 셀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수 볼트(V)이상 또는 수백 볼트(V) 이상의 전압을 얻도록 패널 형태로 제작한 모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lar cell may include a small unit of cells, and may include a module structu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anel to electrically connect such cells to obtain a voltage of several volts (V) or more and several hundred volts (V) or more.

한편, 최근의 기술 발달 속도와 사용자들의 생활 수준의 급격한 향상에 따라 태양 전지 모듈을 이용하고자 하는 분야는 더 늘어나고 있고, 태양 전지 모듈의 사용 조건도 더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cent speed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rapid improvement of the living standard of users, the field to use the solar cell module is increasing more, and the use condition of the solar cell module is also required more variously.

또한, 이러한 태양 전지 모듈 제조 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가 연구되고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이용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In addition, solar cells including perovskite materials have been researched in manufacturing such solar cell modules. Perovskite materials can be used to easily produc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s at relatively low cost.

다만,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한 셀 하나가 얻을 수 있는 전압과 전류 값은 한계가 있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의 전기적 특성과 효율의 향상에 한계가 있다.However,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s obtained by one cell using perovskite are limited, and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of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are limited.

본 발명은 전기적 특성 및 효율이 향상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with improved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이 연결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 태양 전지 셀은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페로브스카이트 계열 물질을 함유하는 광흡수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제1 전극 사이에는 이격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일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제2 전극의 사이에는 분리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의 배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 영역은 적어도 일 영역에서 이격 영역 또는 분리 영역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을 개시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solar cells are connected, wherein each solar cell is formed on a substrate, and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And an intermediate layer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electrode and a light absorption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containing at least a perovskite-based material, wherein the first electrode is formed in plurality. Spaced apart region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s,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connection region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in one region, and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in plural to form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n isolation region is formed therebetween, and the connection region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region or the separation region in at least one region based o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A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is disclos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과 상기 이격 영역은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연결 영역과 상기 이격 영역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region and the separation region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rray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and the connection region and the separation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entire region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Can be form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과 상기 분리 영역은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연결 영역과 상기 분리 영역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region and the isolation region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rray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and the connection region and the isolation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entire region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Can be form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광흡수층과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광흡수층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하 전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intermediat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charge transfer layer disposed between the light absorption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or the light absorption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하 전달층은 정공 전달층 또는 전자 전달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harge transport layer may include a hole transport layer o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태양 전지 셀은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및 그 사이의 중간층이 중첩된 활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each solar cell may include an active reg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an intermediate layer therebetween overlap.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은 전기적 특성 및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Perovskit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electrical properties and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K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투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이격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연결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3의 분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K of FIG. 1.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top view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FIG. 5 illustrates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FIG. 3.
6 illustrates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of FIG. 3.
FIG. 7 illustrates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of FIG. 3.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separation area of FIG. 3.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connection area of FIG. 3.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FIG. 9.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9.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9.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n isolation region of FIG. 3.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FIG. 13.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13.
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13.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13.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a restrictive meaning.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terms including or having have meant that there is a feature or compon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may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 same. For example, the x, y, and z axes may be orthogonal to one an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Where certain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particular process order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order.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K의 확대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K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100)은 하나 이상의 태양 전지 셀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태양 전지 셀(C1, C2, C3, …, Cn)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one or more solar cells, for example, a plurality of solar cells C1, C2, C3,. Cn).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100)은 복수의 태양 전지 셀(C1, C2, C3,…,Cn)의 적어도 일 측에 또는 복수의 태양 전지 셀(C1, C2, C3,…,Cn)의 둘레에 태양 전지 셀이 형성되지 않는 비형성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C1, C2, C3, ..., Cn or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C1, C2, It may also include an unformed region in which no solar cell is formed around C3, ..., Cn).

복수의 태양 전지 셀(C1, C2, C3,…,Cn)들은 적어도 일 영역이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인접한 셀들간에 분리 영역(CS)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예로서 제2 태양 전지 셀(C2)과 제3 태양 전지 셀(C3)의 사이에 분리 영역(CS)이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olar cells C1, C2, C3,..., Cn may be formed so that at least one region is separated, for example, a separation region CS may be formed between adjacent cells. As a specific example, an isolation region CS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the third solar cell C3.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투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plan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100)의 일 태양 전지 셀(C2)은 기판(101), 제1 전극(110), 제2 전극(140) 및 중간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one solar cell C2 of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ubstrate 101, a first electrode 110, a second electrode 140, and an intermediate layer 130. It may include.

기판(101)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기판(101)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ubstrate 101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the substrate 101 may have a plate shape.

기판(101)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기판(101)은 필요에 따라 리지드하거나 플렉서블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substrate 10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 example, may contain a glass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The substrate 101 may be formed to be rigid or flexible as necessary.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101)은 알루미나와 같은 세라믹 기판,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substrate 101 may include a ceramic substrate such as alumina,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flexible polymer.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기판(10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 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이미드(Poly- Imide: PI) 또는 트리 아세틸 셀룰로오스(Tri Acetyl Cellulose: TAC)를 함유할 수 있다.As a specific embodiment, the substrate 101 may be mad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carbonate (PC), polypropylene (PP). It may contain polyimide (PI) or tri acetyl cellulose (TAC).

제1 전극(110)은 다양한 도전체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투과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10 may be formed using various conductors,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light transmittance as an optional embodiment.

예를들면 제1 전극(110)은 인듐 틴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플루오르 틴 산화물(Fluorine Tin Oxide: FTO), 안티몬 틴 산화물(Antimony Tin Oxide: ATO), 징크 산화물(Zinc Oxide) 또는 틴 산화물(Tin Oxide), ZnOGa2O3, ZnO-Al2O3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10 may be formed of indium tin oxide (ITO), fluorine tin oxide (FTO), antimony tin oxide (ATO), zinc oxide or zinc oxide. Tin oxide, ZnOGa 2 O 3, ZnO—Al 2 O 3, and the like.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110)은 단일층 또는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적층체의 각각의 층은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electrode 110 may comprise a single layer or a stack, and each layer of the stack may comprise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예를들면 상기 언급한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1 전극(110)의 단일층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전극(110)을 적층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재료들 중 일 재료를 포함하는 일 층 및 이와 다른 일 재료를 포함하는 일 층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 single layer of the first electrode 110 may be formed by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and when the first electrode 110 is formed of a laminate, one of the materials may be included. It may include one layer comprising one layer and another material.

중간층(130)은 제1 전극(110)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광흡수층(1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layer 130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include at least a light absorption layer 132.

광흡수층(132)은 적어도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구조를 가진 광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absorption layer 132 may include a light absorption material having at least a perovskite structure.

예를들면 광흡수층(132)은 ABX3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light absorption layer 132 may have an ABX3 structure.

이때, A는 CnH2n+1의 알킬기, 및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조형성이 가능한 Cs, Ru 등의 무기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 may include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an alkyl group of CnH2n + 1, and inorganic materials such as Cs and Ru capable of forming perovskite solar cells.

B는 Pb, Sn, Ti, Nb, Zr, 및 C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B may comprise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b, Sn, Ti, Nb, Zr, and Ce.

X는 할로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X may comprise a halogen material.

구체적인 예로서 광흡수층(132)은 CH3NH3PbI3, CH3NH3PbIxCl3-x, MAPbI3, CH3NH3PbIxBr3-x, CH3NH3PbClxBr3-x, HC(NH2)2PbI3, HC(NH2)2PbIxCl3-x, HC(NH2)2PbIxBr3-x, HC(NH2)2PbClxBr3-x, (CH3NH3)(HC(NH2)2)1-yPbI3, (CH3NH3)(HC(NH2)2)1-yPbIxCl3-x, (CH3NH3)(HC(NH2)2)1-yPbIxBr3-x, 또는 (CH3NH3)(HC(NH2)2)1-yPbClxBr3-x (0≤x, y≤1)를 포함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light absorption layer 132 may include CH 3 NH 3 PbI 3 , CH 3 NH 3 PbI x Cl 3-x , MAPbI 3, CH 3 NH 3 PbI x Br 3-x , CH 3 NH 3 PbClxBr 3-x , HC (NH 2 ) 2 PbI 3 , HC (NH 2 ) 2 PbI x Cl 3-x , HC (NH 2 ) 2 PbI x Br 3-x , HC (NH 2 ) 2 PbCl x Br 3-x , (CH 3 NH 3 ) (HC (NH 2 ) 2 ) 1-y PbI 3 , (CH 3 NH 3 ) (HC (NH 2 ) 2 ) 1-y PbI x Cl 3-x , (CH 3 NH 3 ) (HC (NH 2 ) 2 ) 1-y PbI x Br 3-x , or (CH 3 NH 3 ) (HC (NH 2 ) 2 ) 1-y PbCl x Br 3-x (0≤x, y≤1) It may includ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흡수층(132)은 상기 ABX3의 A에 Cs가 일부 도핑된 화합물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light absorption layer 132 may also include a compound in which Cs is partially doped in A of the ABX3.

제2 전극(140)은 중간층(130)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제1 전극(110) 및 중간층(130)과 중첩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40 may be formed on the intermediate layer 130 and overlap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intermediate layer 130 in at least one region.

제2 전극(140)은 다양한 도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40 may be formed using various conductive materials.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전극(140)은 몰리브덴(Mo), 금(Au), 은(Ag), 알루미늄(Al), 크롬(Cr), 텅스텐(W), 구리(Cu), 백금(Pt), 루테늄(Ru), 팔라듐(Pd), 이리듐(Ir), 로듐(Rh), 오스뮴(Os), 탄소(C), 인듐(In), WO3, TiO2 및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electrode 140 may include molybdenum (Mo), gold (Au), silver (Ag), aluminum (Al), chromium (Cr), tungsten (W), copper (Cu), and platinum (Pt).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uthenium (Ru), palladium (Pd), iridium (Ir), rhodium (Rh), osmium (Os), carbon (C), indium (In), WO3, TiO2 and conductive polymers It can be formed using.

광흡수층(132)에 흡수된 광을 통하여 광흡수층(132) 내의 전자를 여기(excitation)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한 전자 및 정공은 각각 제1 전극(110) 또는 제2 전극(140)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electrons in the light absorption layer 132 are excited by the light absorbed by the light absorption layer 132, and the generated electrons and holes may move to the first electrode 110 or the second electrode 140, respectively. .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전자 및 정공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전하 전달층(131, 133)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an optional embodiment, one or more charge transfer layers 131 and 133 may be included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electrons and holes.

예를들면 전하 전달층(131, 133)은 제1 전하 전달층(131) 또는 제2 전하 전달층(133)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ge transfer layers 131 and 133 may include the first charge transfer layer 131 or the second charge transfer layer 133.

전하 전달층(131, 133)은 전자 전달층 또는 정공 전달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e transport layers 131 and 133 may include an electron transport layer or a hole transport layer.

제1 전하 전달층(131)은 제1 전극(110)과 광흡수층(1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harge transfer layer 13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light absorption layer 132.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하 전달층(131)은 전자 전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전하 전달층(131)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하 전달층(131)은 평평한 금속산화물층, 표면 요철을 갖는 금속산화물층, 박막 형상의 금속산화물 나노 구조체가 형성된 층을 포함할 수 있고, 다공성 금속산화물층 또는 치밀성 금속산화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charge transport layer 131 may include an electron transport layer. For example, the first charge transfer layer 131 may include an inorganic material and may include a metal oxide.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charge transfer layer 131 may include a flat metal oxide layer, a metal oxide layer having surface irregularities, and a layer in which a thin metal oxide nanostructure is formed, and may be a porous metal oxide layer or a dense metal oxide. It may comprise a layer.

구체적 예로서 제1 전하 전달층(131)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Ti산화물, Zn산화물, In산화물, Sn산화물, W산화물, Nb산화물, Mo산화물, Mg산화물, Zr산화물, Sr산화물, Yr산화물, La산화물, V산화물, Al산화물, Y산화물, Sc산화물, Sm산화물, Ga산화물, In산화물, 및 SrTi산화물 및 이들의 복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전하 전달층(131)은 Ti산화물(예, TiO2)를 포함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charge transfer layer 131 may include, for example, Ti oxide, Zn oxide, In oxide, Sn oxide, W oxide, Nb oxide, Mo oxide, Mg oxide, Zr oxide, Sr oxide, Yr oxide, It may include any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La oxide, V oxide, Al oxide, Y oxide, Sc oxide, Sm oxide, Ga oxide, In oxide, and SrTi oxide and composites thereof. As an example, the first charge transfer layer 131 may include a Ti oxide (eg, TiO 2).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전하 전달층(133)은 제2 전극(140)과 광흡수층(1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charge transfer layer 13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40 and the light absorption layer 132.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전하 전달층(133)은 정공 전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하 전달층(133)은 정공 전달층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정공 전달 물질을 포함하는데, 예를들면 티오펜계, 파라페닐렌비닐렌계, 카바졸계 및 트리페닐아민계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charge transport layer 133 may include a hole transport layer. The second charge transfer layer 133 includes a hole transfer layer and specifically includes a hole transfer material, for example, one or two or more of thiophene, paraphenylenevinylene, carbazole and triphenylamine. It may include the selected material.

구체적 예로서 제2 전하 전달층(133)은 정공 전달층을 포함할 경우, P3HT(poly[3-hexylthiophene]), MDMO-PPV(poly[2-methoxy-5-(3',7'-dimethyloctyloxyl)]-1,4-phenylene vinylene), MEH-PPV(poly[2-methoxy -5-(2''-ethylhexyloxy)-p-phenylenevinylene]), P3OT(poly(3-octyl thiophene)), POT( poly(octyl thiophene)), P3DT(poly(3-decyl thiophene)), P3DDT(poly(3-dodecyl thiophene), PPV(poly(p-phenylene vinylene)), TFB(poly(9,9'-dioctylfluorene-co-N-(4-butylphenyl)diphenyl amine), Polyaniline, Spiro-MeOTAD ([2,2,2′,7,7,7′-tetrkis (N,N-di-pmethoxyphenylamine)-9,9,9′-spirobi fluorine]), CuSCN, CuI, PCPDTBT(Poly[2,1,3-benzothiadiazole- 4,7-diyl[4,4-bis(2-ethylhexyl-4H- cyclopenta [2,1-b:3,4-b']dithiophene-2,6-diyl]], Si-PCPDTBT(poly[(4,4′-bis(2-ethylhexyl)dithieno[3,2-b:2′,3′-d]silole)-2,6-diyl-alt-(2,1,3-benzothiadiazole)-4,7-diyl]), PBDTTPD(poly((4,8-diethylhexyloxyl) benzo([1,2-b:4,5-b']dithiophene)-2,6-diyl)-alt-((5-octylthieno[3,4-c]pyrrole-4,6-dione)-1,3-diyl)), PFDTBT(poly[2,7-(9-(2-ethylhexyl)-9-hexyl-fluorene)-alt-5,5-(4', 7, -di-2-thienyl-2',1', 3'-benzothiadiazole)]), PFO-DBT(poly[2,7-.9,9-(dioctyl-fluorene)-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second charge transfer layer 133 includes a hole transfer layer, P3HT (poly [3-hexylthiophene]), MDMO-PPV (poly [2-methoxy-5- (3 ', 7'-dimethyloctyloxyl) )]-1,4-phenylene vinylene), MEH-PPV (poly [2-methoxy-5 (2 ''-ethylhexyloxy) -p-phenylenevinylene]), P3OT (poly (3-octyl thiophene)), POT ( poly (octyl thiophene)), P3DT (poly (3-decyl thiophene)), P3DDT (poly (3-dodecyl thiophene), PPV (poly (p-phenylene vinylene)), TFB (poly (9,9'-dioctylfluorene- co-N- (4-butylphenyl) diphenyl amine), Polyaniline, Spiro-MeOTAD ([2,2,2 ′, 7,7,7′-tetrkis (N, N-di-pmethoxyphenylamine) -9,9,9 ′ -Spirobi fluorine]), CuSCN, CuI, PCPDTBT (Poly [2,1,3-benzothiadiazole-4,7-diyl [4,4-bis (2-ethylhexyl-4H-cyclopenta [2,1-b: 3 , 4-b '] dithiophene-2,6-diyl]], Si-PCPDTBT (poly [(4,4′-bis (2-ethylhexyl) dithieno [3,2-b: 2 ′, 3′-d] silole) -2,6-diyl-alt- (2,1,3-benzothiadiazole) -4,7-diyl]), PBDTTPD (poly ((4,8-diethylhexyloxyl) benzo ([1,2-b: 4 , 5-b '] dithiophene) -2,6-diyl) -alt-((5-octylthieno [3,4-c] pyrrole-4,6-dione) -1,3-diyl)), PFDTB T (poly [2,7- (9- (2-ethylhexyl) -9-hexyl-fluorene) -alt-5,5- (4 ', 7, -di-2-thienyl-2', 1 ', 3 '-benzothiadiazole)]), PFO-DBT (poly [2,7-.9,9- (dioctyl-fluorene)-

alt-5,5-(4',7'-di-2-.thienyl-2', 1', 3'-benzothiadiazole)]), PSiFDTBT(poly[(2,7-dioctylsilafluorene)-2,7-diyl-alt-(4,7-bis(2-thienyl)-2,1,3-benzothiadiazole)-5,5′-diyl]), PSBTBT(poly[(4,4′-bis(2-alt-5,5- (4 ', 7'-di-2-.thienyl-2', 1 ', 3'-benzothiadiazole)]), PSiFDTBT (poly [(2,7-dioctylsilafluorene) -2,7- diyl-alt- (4,7-bis (2-thienyl) -2,1,3-benzothiadiazole) -5,5′-diyl]), PSBTBT (poly [(4,4′-bis (2-

ethylhexyl)dithieno[3,2-b:2′,3′-d]silole)-2,6-diyl-alt-(2,1,3-benzothiadiazole)-4,7-diyl]),ethylhexyl) dithieno [3,2-b: 2 ', 3'-d] silole) -2,6-diyl-alt- (2,1,3-benzothiadiazole) -4,7-diyl]),

PCDTBT(Poly [[9-(1-octylnonyl)-9H-carbazole-2,7-diyl] -2,5-thiophenediyl -2,1,3-benzothiadiazole-4,7-diyl-2,5-thiophenediyl]), PFB(poly(9,9′-dioctylfluorene-co-bis(N,N′-(4,butylphenyl))bis(N,N′-phenyl-1,4-phenylene)diamine), F8BT(poly(9,9′-dioctylfluorene-co-benzothiadiazole), PEDOT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PS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sulfonate), PTAA(poly(triarylamine)), Poly(4-butylphenyl-diphenyl-amine) 및 이들의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PCDTBT (Poly [[9- (1-octylnonyl) -9H-carbazole-2,7-diyl] -2,5-thiophenediyl -2,1,3-benzothiadiazole-4,7-diyl-2,5-thiophenediyl] ), PFB (poly (9,9′-dioctylfluorene-co-bis (N, N ′-(4, butylphenyl)) bis (N, N′-phenyl-1,4-phenylene) diamine), F8BT (poly ( 9,9′-dioctylfluorene-co-benzothiadiazole), PEDOT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PSS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 PTAA (poly (triarylamine)), Poly ( 4-butylphenyl-diphenyl-amine) and copolymers thereof, or any one or two or more thereof.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100)은 이격 영역(BS), 연결 영역(CA) 및 분리 영역(CS)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paration area BS, a connection area CA, and a separation area CS.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100)에 포함된 복수의 태양 전지 셀(C2, C3), 즉 제2 태양 전지 셀(C2) 및 제3 태양 전지 셀(C3)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선택한 셀들이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solar cells C2 and C3, that is, a second solar cell C2 and a third solar cell C3 included in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100 are illustrated. Doing. These cells are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각 태양 전지 셀들은 적어도 제1 전극(110), 중간층(130) 및 제2 전극(140)이 중첩되는 활성 영역(AA)을 포함할 수 있다.Each solar cell may include an active region AA in which at least the first electrode 110, the intermediate layer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overlap each other.

이격 영역(BS), 연결 영역(CA) 및 분리 영역(CS)은 각각 폭을 갖고, 예를들면 제2 태양 전지 셀(C2)로부터 제3 태양 전지 셀(C3)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폭을 가지고 있다.The separation area BS, the connection area CA, and the separation area CS each have a width,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BS, the connection area CA, and the separation area CS, for example, from the second solar cell C2 toward the third solar cell C3. Have

연결 영역(CA)은 이격 영역(B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과 이격 영역(BS)은 전체의 길이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area BS in at least one area. 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on area CA and the separation area B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본 실시예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을 포함할 수 있고, 연결 영역(CA)이 이격 영역(BS)과 일 영역에서 연결 또는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각 셀의 활성 영역(AA)을 효과적으로 증대하여 태양 전지 셀들의 전기적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lar cells, and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entirely connected in the connection or length direction in one area with the separation area BS, thereby through each By increasing the active area AA of the cell effectively, the electrical efficiency of the solar cells may be improved.

도 5는 도 3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과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FIG. 5 illustrates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FIG. 3.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e points different from FIG. 3 will be described.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영역(CA)의 폭은 분리 영역(CS)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연결 영역(CA)의 폭은 이격 영역(BS)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40)간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CS.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BS. Through this, stabili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may be improved.

또한 복수의 제2 전극의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전극 사이의 분리 영역(CS)의 폭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직접 연결되는 연결 영역(CA)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어, 각각의 제2 전극을 효과적으로 이격시키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연결되는 면적을 증가하여 제1 전극과 제2 전극간 접촉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eparation region CS between two adjacent second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region CA to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directly connected. While effectively separating the second electrodes, the area connec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increased to improve contact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도 6은 도 3의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과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6 illustrates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of FIG. 3.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e points different from FIG. 3 will be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연결 영역(CA)은 분리 영역(C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과 분리 영역(CS)은 전체의 길이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area CS in at least one area. 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on area CA and the separation area C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본 실시예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을 포함할 수 있고, 연결 영역(CA)이 분리 영역(CS)과 일 영역에서 연결 또는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각 셀의 활성 영역(AA)을 효과적으로 증대하여 태양 전지 셀들의 전기적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영역에서의 중간층에 대한 광흡수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지할 수 있다.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lar cells, and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entirely connected in the connection or length direction in one area with the separation area CS, thereby allowing each By increasing the active area AA of the cell effectively, the electrical efficiency of the solar cells may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detect the formation of the light absorption region for the intermediate layer in the unnecessary region.

도 7은 도 3의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과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FIG. 7 illustrates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of FIG. 3.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e points different from FIG. 3 will be described.

도 7을 참조하면 연결 영역(CA)은 분리 영역(C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과 분리 영역(CS)은 전체의 길이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area CS in at least one area. 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on area CA and the separation area C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연결 영역(CA)은 이격 영역(B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과 이격 영역(BS)은 전체의 길이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area BS in at least one area. 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on area CA and the separation area B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본 실시예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을 포함할 수 있고, 연결 영역(CA)이 이격 영역(BS)과 일 영역에서 연결 또는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각 셀의 활성 영역(AA)을 효과적으로 증대하여 태양 전지 셀들의 전기적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lar cells, and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entirely connected in the connection or length direction in one area with the separation area BS, thereby through each By increasing the active area AA of the cell effectively, the electrical efficiency of the solar cells may be improved.

또한, 연결 영역(CA)이 분리 영역(CS)과 일 영역에서 연결 또는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각 셀의 활성 영역(AA)을 효과적으로 증대하여 태양 전지 셀들의 전기적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영역에서의 중간층에 대한 광흡수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connected to the isolation area CS as a whole in the connection or length direction in one area, thereby effectively increasing the active area AA of each cell to improve electrical efficiency of the solar cells. Can b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or detect the formation of the light absorption region for the intermediate layer in the unnecessary region.

도 8은 도 3의 이격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separation area of FIG. 3.

이격 영역(BS)은 기판(101)상에 형성된 제1 전극(110)에 형성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100)은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제1 전극(11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인접한 제1 전극(110)의 사이에 이격 영역(BS)이 형성될 수 다.The spaced area BS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10 formed on the substrate 101. Specifically,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100 may include at least two first electrodes 110 adjacent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separation area BS may be formed between the adjacent first electrodes 110.

도 3을 참조하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100)에 포함된 복수의 태양 전지 셀(C2, C3), 즉 제2 태양 전지 셀(C2) 및 제3 태양 전지 셀(C3)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선택한 셀들이다.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solar cells C2 and C3, that is, a second solar cell C2 and a third solar cell C3 included in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100 are illustrated. have. These cells are selec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나의 제1 전극(110)은 제2 태양 전지 셀(C2) 및 제3 태양 전지 셀(C3)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ne first electrode 110 may be formed over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the third solar cell C3.

그리고 이격 영역(BS)은 제2 태양 전지 셀(C2) 및 제3 태양 전지 셀(C3)의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area BS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the third solar cell C3.

이격 영역(BS)은 제2 태양 전지 셀(C2) 및 제3 태양 전지 셀(C3)의 배열 방향을 기준으로 폭을 가질 수 있고,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ion area BS may have a width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the third solar cell C3, and may be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the third solar cell C3.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이격 영역(BS)은 기판(101)상에 형성된 제1 전극(11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이격 영역(BS)의 폭은 제1 전극(110)와 이와 인접한 제1 전극(110)간의 이격된 거리일 수 있다.8,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separation area BS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110 formed on the substrate 101 is removed, and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BS may be substantially zero. It may be a spac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first electrode 110 adjacent thereto.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격 영역(BS)에는 중간층(130)이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전하 전달층(13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간층(1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이격 영역(BS)의 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termediate layer 130 may be formed in the separation region BS. For example, the first charge transfer layer 131 may be disposed. In addition, at least one reg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130 may fill the space of the separation region BS.

또한 이러한 도 8과 관련된 설명은 전술한 도 5 내지 도 7의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8 may also be applied to the structures of FIGS. 5 to 7 described above.

도 9는 도 3의 연결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connection area of FIG. 3.

도 10은 도 9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FIG. 9,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cation of FIG. 9, and FIG. 12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FIG. 9.

연결 영역(CA)은 제2 전극(140)의 영역 중 제1 전극(110)과 연결된 영역일 수 있다.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an area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10 among the areas of the second electrode 140.

제2 전극(140)은 제1 전극(110)과 일 영역에서 이격된 채, 그 사이에 중간층(13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도 3의 활성 영역(AA)에 대응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40 may include an intermediate layer 13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110 in one region, and may correspond to the active region AA of FIG. 3.

이러한 활성 영역(AA)은 실질적으로 광흡수 및 정공과 전자의 흐름이 효율적으로 발생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active area AA may include a region in which light absorption and hole and electron flow are generated efficiently.

연결 영역(CA)은 활성 영역(AA)의 외곽에 배치되고 예를들면 기판(101)의 두께 방향으로 제1 전극(110)과 직접 연결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area CA may include an area disposed outside the active area AA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1, for example.

연결 영역(CA)은 제2 태양 전지 셀(C2) 및 제3 태양 전지 셀(C3)의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the third solar cell C3.

예를들면 제2 전극(140)은 일 영역에서 하나의 태양 전지 셀의 활성 영역의 제1 전극과 중첩되고, 다른 일 영역에서는 연결 영역(CA)을 통하여 이와 인접한 다른 태양 전지 셀의 제1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140 overlaps with the first electrode of the active region of one solar cell in one region, and the first electrode of another solar cell adjacent thereto through the connection region CA in another region.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구체적인 예로서, 하나의 제2 전극(140)의 일 영역은 제2 태양 전지 셀(C2)의 활성 영역(AA)에 대응되어 제1 전극(110)과 이격된 채 중첩되고, 상기 하나의 제2 전극(140)의 다른 일 영역은 제3 태양 전지 셀(C3)의 활성 영역(AA)에 대응되는 제1 전극(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3 태양 전지 셀(C3)의 활성 영역(AA)에 대응되는 제1 전극(110)의 길게 연장된 부분과 연결, 구체적으로 연결 영역(CA)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one region of one second electrode 140 overlaps the first electrode 110 to correspond to the active region AA of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110. Another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1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10 corresponding to the active region AA of the third solar cell C3, so that the third solar cell C3 is active. The first electrode 110 corresponding to the region AA may be connected to the elong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0, specifically, through the connection region CA.

연결 영역(CA)은 제2 태양 전지 셀(C2) 및 제3 태양 전지 셀(C3)의 배열 방향을 기준으로 폭을 가질 수 있고,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area CA may have a width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the third solar cell C3, and may be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the third solar cell C3.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의 폭은 적어도 이격 영역(BS)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formed to be at leas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BS.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은 중간층(130)에 형성된 콘택홀(130C)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영역(CA)의 폭은 중간층(130)에 형성된 콘택홀(130C)의 폭에 대응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ontact hole 130C formed in the intermediate layer 130.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contact hole 130C formed in the intermediate layer 130.

또한, 연결 영역(CA)은 이격 영역(BS)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연결 영역(CA)의 일 측면의 경계선이 이격 영역(BS)의 경계선과 만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의 일 측면의 경계선의 연장선이 이격 영역(BS)의 경계선과 중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area BS in at least one area. For example, a boundary line of one side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meet the boundary line of the separation area BS. In some embodiments, an extension line of the boundary line of one side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overlap the boundary line of the separation area BS.

또한 이러한 도 9와 관련된 설명은 적어도 전술한 도 5 및 도 7의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9 may also be applied to the structures of FIGS. 5 and 7 described above.

도 10은 도 9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 영역(CA)의 일 영역의 경계선 및 이격 영역(BS)의 경계선은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 영역(CA)의 일 영역의 경계선 및 이격 영역(BS)의 경계선은 곡선을 포함할 수 잇다.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9, and referring to FIG. 10, boundary lines of one region of the connection area CA and boundary lines of the separation area BS may include irregularities. As another example, the boundary line of one region of the connection region CA and the boundary line of the separation region BS may include a curve.

도 11은 도 9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9, and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9.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 영역(CA)의 폭은 영역 별로 상이하고, 구체적으로 연결 영역(CA)의 영역 중 기판(101)을 향하는 영역의 폭보다 기판(101)으로부터 멀리떨어진 영역의 폭이 더 클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영역(CA)의 측면의 경계선은 경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전극(140)은 중간층(130)의 콘택홀(130C)내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is different for each area, and more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area farther from the substrate 101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area toward the substrate 101 among the areas of the connection area CA. Can be large. For example, the boundary line of the side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include a slope. Through this, the second electrode 140 may be easily disposed in the contact hole 130C of the intermediate layer 130.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연결 영역(CA)의 폭은 영역 별로 상이하고, 구체적으로 연결 영역(CA)의 영역 중 기판(101)을 향하는 영역의 폭이 기판(101)으로부터 멀리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들면 연결 영역(CA)의 측면의 경계선은 경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전극(140)과 제1 전극(110)이 접하는 면적을 증가하여 전기적 접촉 특성 및 연결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2,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is different for each area, and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area of the connection area CA toward the substrate 101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area away from the substrate 101. Can be larger. For example, the boundary line of the side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include a slope. As a result, an area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140 and the first electrode 110 may be increased to improve electrical contact characteristics and connection characteristics.

도 13은 도 6 또는 도 7의 분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n isolation region of FIG. 6 or 7.

도 14는 도 13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3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FIG. 13,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cation of FIG. 13, and FIG. 16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FIG. 13.

분리 영역(CS)은 서로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제2 전극(14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isolation region CS may be formed between at least two second electrodes 140 adjacent to each other.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나의 제2 전극(140)은 제2 태양 전지 셀(C2)에 대응되고, 이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2 전극(140)은 제3 태양 전지 셀(C3)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ne second electrode 140 corresponds to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the other second electrode 140 adjacent to the second solar cell C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solar cell C3. Can be.

그리고, 분리 영역(CS)은 제2 태양 전지 셀(C2)과 제3 태양 전지 셀(C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solation region CS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the third solar cell C3.

분리 영역(CS)은 제2 태양 전지 셀(C2) 및 제3 태양 전지 셀(C3)의 배열 방향을 기준으로 폭을 가질 수 있고,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isolation region CS may have a width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the third solar cell C3, and may be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the third solar cell C3.

이러한 분리 영역(CS)의 폭은 제2 전극(140)과 이와 인접한 제2 전극(140)간의 이격된 거리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2 태양 전지 셀(C2)의 제2 전극(140)과 제3 태양 전지 셀(C3)의 제2 전극(140)간의 거리일 수 있다.The width of the isolation region CS may be a spaced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4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adjacent thereto. As a specific example, it may be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40 of the second solar cell C2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of the third solar cell C3.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3을 참조하면 분리 영역(CS)은 기판(101)상에 형성된 제2 전극(14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리 영역(CS)에 대응되도록 중간층(130)에 비아홀(130H)이 형성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3, the isolation region CS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some regions of the second electrode 140 formed on the substrate 101 are removed. In addition, the via hole 130H may be formed in the intermediate layer 130 to correspond to the isolation region CS.

선택적 실시예로서 분리 영역(CS)의 폭은 적어도 연결 영역(CA)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width of the isolation region CS may be at least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region CA.

또한 분리 영역(CS)은 연결 영역(CA)과 적어도 일 영역에서 연결될 수 있고, 예를들면 분리 영역(CS)의 일 측면과 연결 영역(CA)의 일 측면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분리 영역(CS)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연결 영역(CA)의 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region CS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egion CA in at least one region. For example, one side of the separation region CS and one side of the connection region CA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ome embodiments, the side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connected to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separation area CS.

도 14는 도 13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를 참조하면 분리 영역(CS)의 일 영역의 경계선 또는 폭 방향으로의 양 측면의 경계선은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분리 영역(CS)의 일 영역의 경계선은 곡선을 포함할 수 잇다.14 is a view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FIG. 13, and referring to FIG. 14, a boundary line of one region of the separation region CS or a boundary line of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may include irregularities. As another example, the boundary line of one region of the separation region CS may include a curve.

도 15는 도 13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13, and 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13.

도 15를 참조하면 분리 영역(CS)의 폭은 영역 별로 상이하고, 구체적으로 분리 영역(CS)의 영역 중 기판(101)을 향하는 영역의 폭보다 기판(101)으로부터 멀리떨어진 영역의 폭이 더 클 수 있다. 예를들면 분리 영역(CS)의 측면의 경계선은 경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전극(110)과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 분리 영역(CS)을 통한 제2 전극(14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width of the isolation region CS is different for each region, and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region farther from the substrate 101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region facing the substrate 101 among the regions of the isolation region CS. Can be large. For example, the boundary line of the side of the separation region CS may include a slope. As a result, separation of the second electrode 140 through the separation region CS may be facilitated in a region far from the first electrode 110.

도 16을 참조하면 분리 영역(CS)의 폭은 영역 별로 상이하고, 구체적으로 분리 영역(CS)의 영역 중 기판(101)을 향하는 영역의 폭이 기판(101)으로부터 멀리떨어진 영역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들면 분리 영역(CS)의 측면의 경계선은 경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전극(110)과 인접한 영역에서 분리 영역(CS)을 통한 제2 전극(14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width of the isolation region CS is different for each region, and 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region of the isolation region CS toward the substrate 101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region far from the substrate 101. Can be large. For example, the boundary line of the side of the separation region CS may include a slope. As a result, separation of the second electrode 140 through the separation region CS may be facilitat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110.

도 17은 도 1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13.

도 17을 참조하면 연결 영역(CA)이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도록 중간층(130)은 비아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a connection region CA is formed, and the intermediate layer 130 may not include a via hole so as to correspond thereto.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은 기판(101)의 평면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 영역(BS)과 분리 영역(CS)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paration area BS and the separation area CS based o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1.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분리 영역(CS)과 연결 영역(CA)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들면 기판(101)의 평면 방향 또는 제2 태양 전지 셀(C2)로부터 제3 태양 전지 셀(C3)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분리 영역(CS)과 연결 영역(CA)의 사이에는 제2 간격(L2)이 있을 수 있다.3, the isolation region CS and the connection region C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based o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1 or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solar cell C2 toward the third solar cell C3, the separation region CS and the connection region CA may be formed. There may be two intervals L2.

또한, 이를 통하여 연결 영역(CA)에 대응하는 제2 전극(140)의 영역은 분리 영역(CS)과 제2 간격(L2)을 갖고 이격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간격(L2)에 대응되는 영역에 중간층(1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14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region C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solation region CS at a second interval L2,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cond interval L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ion region CS. At least one reg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130 may be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layer 130.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의 폭은 제2 간격(L2)의 폭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have a larger value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gap L2.

또한 구체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의 폭은 제2 간격(L2)의 폭의 1.1 배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의 폭은 제2 간격(L2)의 폭의 1.1 배 내지 3.0 배의 값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s a specific embodiment,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have a value of 1.1 times or more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gap L2. In some embodiment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have a value of 1.1 times to 3.0 times the width of the second gap L2.

이를 통하여 연결 영역(CA)의 폭을 용이하게 확보하여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40)간의 전기적 특성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easily secured to improve stability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격 영역(BS) 및 분리 영역(CS)의 폭은 각각 제2 간격(L2)의 폭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BS and the separation area CS may have a valu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gap L2.

또한, 전술한 도 6을 참조하면 이격 영역(BS)과 연결 영역(CA)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들면 기판(101)의 평면 방향 또는 제2 태양 전지 셀(C2)로부터 제3 태양 전지 셀(C3)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 영역(BS)과 연결 영역(CA)의 사이에는 제1 간격(L1)이 있을 수 있다.6, the separation area BS and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based o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1 or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solar cell C2 toward the third solar cell C3, the gap between the separation area BS and the connection area CA is defined. There may be one interval L1.

또한, 이를 통하여 연결 영역(CA)에 대응하는 제2 전극(140)의 영역은 이격 영역(BS)과 제1 간격(L1)을 갖고 이격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간격(L1)에 대응되는 영역에 중간층(130)의 적어도 일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14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paration area BS with the first interval L1.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nterval L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least one reg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130 may be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layer 130.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의 폭은 제1 간격(L1)의 폭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have a larger value than the width of the first gap L1.

또한 구체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의 폭은 제1 간격(L1)의 폭의 1.1 배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의 폭은 제1 간격(L1)의 폭의 1.1 배 내지 3.0 배의 값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s a specific embodiment,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have a value of 1.1 times or more than the width of the first gap L1. In some embodiment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have a value of 1.1 times to 3.0 times the width of the first gap L1.

이를 통하여 연결 영역(CA)의 폭을 용이하게 확보하여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40)간의 전기적 특성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easily secured to improve stability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격 영역(BS) 및 분리 영역(CS)의 폭은 각각 제1 간격(L1)의 폭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BS and the separation area CS may have a valu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gap L1.

도 18은 도 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3.

도 18을 참조하면 각 태양 전지 셀의 활성 영역(AA)이 도시되어 있고, 이와 인접하도록 이격 영역(BS), 연결 영역(CA) 및 분리 영역(CS)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8, an active region AA of each solar cell is illustrated, and the separation region BS, the connection region CA, and the isolation region CS are form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이격 영역(BS)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 영역에서 연결 영역(CA)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paration area BS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rea CA in one area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즉, 하나의 태양 전지 셀로부터 다른 태양 전지 셀을 향하는 방향을 폭이라고 하고, 상기 폭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폭과 직교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할 때,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 영역에서 이격 영역(BS)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 영역에서 연결 영역(CA)과 연결될 수 있다.That is, when a direction from one solar cell to another solar cell is referred to as a width, and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of the width or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idth is called a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one region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paration area BS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rea CA in one area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격 영역(BS)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영역에서 연결 영역(CA)과 연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eparation area BS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rea CA in the entire area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분리 영역(CS)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 영역에서 연결 영역(CA)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paration region CS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egion CA in one region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즉, 하나의 태양 전지 셀로부터 다른 태양 전지 셀을 향하는 방향을 폭이라고 하고, 상기 폭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폭과 직교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할 때,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 영역에서 분리 영역(CS)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 영역에서 연결 영역(CA)과 연결될 수 있다.That is, when a direction from one solar cell to another solar cell is referred to as a width, and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of the width or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idth is called a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one region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paration region CS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egion CA in one region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분리 영역(CS)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영역에서 연결 영역(CA)과 연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solation region CS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egion CA in the entire region based on the length direction.

또한 이 때 연결 영역(CA)의 폭은 분리 영역(CS)의 폭보다 클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의 폭은 분리 영역(CS)의 폭의 1.1배 내지 3배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연결 영역(CA)의 폭을 분리 영역(CS)보다 크게 하여 연결 영역(CA)을 통한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40)의 연결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연결 영역(CA)의 폭이 분리 영역(CS)의 폭의 3배를 초과할 경우 활성 영역(AA)의 확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3배 이하가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CS, and in some embodiment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1.1 to 3 times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CS. Can have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separation area CS to improve the conn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through the connection area CA. Whe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exceeds three times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C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affect the securing of the active area AA and may be three times or less.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연결 영역(CA)의 폭 및 분리 영역(CS)의 폭의 상호 관계는 전술한 도 3, 도 5, 도 6 및 도 7에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and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CS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FIGS. 3, 5, 6, and 7.

또한 연결 영역(CA)의 폭은 이격 영역(BS)의 폭보다 클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영역(CA)의 폭은 이격 영역(BS)의 폭의 1.1배 내지 3배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연결 영역(CA)의 폭을 이격 영역(BS)보다 크게 하여 연결 영역(CA)을 통한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40)의 연결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연결 영역(CA)의 폭이 이격 영역(BS)의 폭의 3배를 초과할 경우 활성 영역(AA)의 확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3배 이하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BS, and in some embodiment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1.1 to 3 times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BS. Can be.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separation area BS to improve the conn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through the connection area CA. Whe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exceeds three times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BS, the connection area CA may affect the securing of the active area AA, and thus may be three times or less.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연결 영역(CA)의 폭 및 이격 영역(CS)의 폭의 상호 관계는 전술한 도 3, 도 5, 도 6 및 도 7에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 and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CS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FIGS. 3, 5, 6, and 7.

본 실시예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은 각 셀의 활성 영역과 인접한 이격 영역, 연결 영역 및 분리 영역에 대한 구성을 통하여 활성 영역에 대한 효과적인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활성 영역의 확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의 성능과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active region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ion region, the connection region and the isolation region adjacent to the active region of each cell. This can facilitate the expansion of the active area and increase the performance and capacity of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복수의 제1 전극의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전극 사이의 이격 영역의 폭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직접 연결되는 연결 영역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 영역의 폭을 이격 영역의 폭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각의 제1 전극을 효과적으로 이격시키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연결되는 면적을 증가하여 제1 전극과 제2 전극간 접촉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between two adjacent first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directly connected. That i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region can be mad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paration region. As a result, the contact area and the electrical property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area connec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hile effectively separating the first electrodes.

또한 복수의 제2 전극의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전극 사이의 분리 영역의 폭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직접 연결되는 연결 영역의 폭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 영역의 폭을 분리 영역의 폭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각각의 제2 전극을 효과적으로 이격시키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연결되는 면적을 증가하여 제1 전극과 제2 전극간 접촉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eparation region between two adjacent second electrodes of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region to whic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directly connected. That is,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can be mad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As a result, the contact area and the electrical property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area connec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hile effectively separating the second electrodes.

또한 연결 영역의 폭을 이격 영역 및 분리 영역의 폭보다 크도록 하여 활성 영역의 폭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간의 연결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area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and the separation area to improv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ithout affecting the width of the active area.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n any way. In addition, unless specifically mentioned, such as "essential", "importan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embodiments (particularly in the claims), the use of the term " above " and similar indicating terms can be used in the singular and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an embodiment, the invention includes the invention to which the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range are applied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e description is the same as describing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 Finally, if there is no explicit order or contradiction with respect to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 suitable order. 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description of the above steps.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embodiments is mere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s limited by the abov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defined by the claims. It is not. Als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ppreciates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accordance with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100: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
C1, C2, C3, …, Cn: 태양 전지 셀
101: 기판
110: 제1 전극
130: 중간층
140: 제2 전극
100: perovskite solar module
C1, C2, C3,... , Cn: solar cell
101: substrate
110: first electrode
130: middle layer
140: second electrode

Claims (6)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이 연결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각 태양 전지 셀은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페로브스카이트 계열 물질을 함유하는 광흡수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제1 전극 사이에는 이격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일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제2 전극의 사이에는 분리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의 배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 영역은 적어도 일 영역에서 이격 영역 또는 분리 영역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solar cells are connected.
Each solar cell is formed on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formed on the substrate;
A second electrod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n intermedia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intermediate layer including a light absorption layer containing at least a perovskite-based material;
The first electrode is formed in plural and a spaced area is formed between each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s a connection area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in one area, and the second electrode is provided in plurality. Formed to form a separation region between each second electrode,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wherein the connection region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paration region or the separation region in at least one region based o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과 상기 이격 영역은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연결 영역과 상기 이격 영역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region and the separation region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rray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region and the separation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entire region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과 상기 분리 영역은 상기 복수의 태양 전지 셀의 배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상기 연결 영역과 상기 분리 영역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region and the separation region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rray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is 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region and the separation reg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entire region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광흡수층과 상기 제1 전극 또는 상기 광흡수층과 상기 제2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하 전달층을 더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mediate layer,
The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further comprises a charge transfer layer disposed between the light absorption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or the light absorption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전달층은 정공 전달층 또는 전자 전달층을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harge transport layer is a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a hole transport layer o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태양 전지 셀은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및 그 사이의 중간층이 중첩된 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모듈.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solar cell includes an active region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an intermediate layer therebetween overlap.
KR1020180080689A 2018-07-11 2018-07-11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KR1020895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689A KR102089558B1 (en) 2018-07-11 2018-07-11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689A KR102089558B1 (en) 2018-07-11 2018-07-11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834A true KR20200006834A (en) 2020-01-21
KR102089558B1 KR102089558B1 (en) 2020-03-16

Family

ID=69369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689A KR102089558B1 (en) 2018-07-11 2018-07-11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5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882A (en) * 2020-12-08 2022-06-1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Transducer for energy harvesting RF signal and light energy and IoT device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9574A (en) * 2012-05-21 2013-11-29 주성엔지니어링(주) A solar cel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38549B1 (en) * 2011-11-29 2013-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14503127A (en) * 2011-01-24 2014-02-06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OLARCELLANDMANUFACTURERINGMETHODFOFTHESAME}
KR20160135408A (en) * 2015-05-18 2016-11-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erovskite photovoltaic cell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3127A (en) * 2011-01-24 2014-02-06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OLARCELLANDMANUFACTURERINGMETHODFOFTHESAME}
KR101338549B1 (en) * 2011-11-29 2013-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olar cel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30129574A (en) * 2012-05-21 2013-11-29 주성엔지니어링(주) A solar cel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135408A (en) * 2015-05-18 2016-11-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erovskite photovoltaic cell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882A (en) * 2020-12-08 2022-06-1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Transducer for energy harvesting RF signal and light energy and IoT devic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558B1 (en)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4144B1 (en) Tandem photovoltaic cells
US20070193621A1 (en) Photovoltaic cells
US20170125171A1 (en)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
US20070272296A1 (en) Tandem Solar Cell with a Shared Organic Electrode
CN103000810B (en) photodiode
US20070181179A1 (en) Tandem photovoltaic cells
KR101012203B1 (en) Tandem parallel organic solar cell
US20110297216A1 (en) Organic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00018581A1 (en) Large area solar cell
US10199590B2 (en) Photovoltaic cell module
US20140026948A1 (en) Organic solar cell
US20160005795A1 (en) Organic tandem photovoltaic device and methods
US20140137919A1 (en)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TWI696305B (en) Organic photovoltaic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130333739A1 (en) Photovoltaic modules
US8324012B2 (en) Tandem solar cel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2089558B1 (en)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KR102130778B1 (en)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KR20160082422A (en) Encapsulated organic photovoltaics modul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364461B1 (en) Organic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182618B1 (en)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erovskite solar cell module
KR20080104181A (en) Photovoltaic cells
KR20240076743A (en) Light transmissive electrode, solar cell module hav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US11101081B2 (en) Composite photovoltaic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10576025U (en) Composite photovoltaic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