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348A - IoT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우편함 장치 및 스마트 우편함용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IoT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우편함 장치 및 스마트 우편함용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348A
KR20200003348A KR1020180104153A KR20180104153A KR20200003348A KR 20200003348 A KR20200003348 A KR 20200003348A KR 1020180104153 A KR1020180104153 A KR 1020180104153A KR 20180104153 A KR20180104153 A KR 20180104153A KR 20200003348 A KR20200003348 A KR 20200003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box
user
opening
deliveryma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 영 정
Original Assignee
석 영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 영 정 filed Critical 석 영 정
Publication of KR20200003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06Q50/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세대 우편함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개별 우편함별로 보안을 기하면서도 집배원이 우편물을 수납할 때 극히 간편한 절차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기술이다.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는 IoT 기술과 데이터 상호검증 기능을 이용하는 블록체인 기술로서 집배원과 관리자의 업무에 특화한 간편하고 쉬운 이용절차의 우편함을 개시하되, 특히 집배원 업무편의 및 사용자 보안성강화 중심의 우편함 제어기술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자동 출입개폐수단을 구비한 우편함; 우편함에 장착된 단말통신부; 단말통신부와 통신이 개설되고 우편함과 연계 작동되는 집배원단말부; 단말통신부와 통신이 개설되고 우편함과 연계 작동되는 사용자단말부; 집배원ID 및 사용자ID를 복수개로 저장하고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해 상기 집배원단말부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부로 이용권한을 부여하되, 자격검증을 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포함한 우편함제어부; 상기 우편함제어부의 출입개폐수단 제어에 의하여 집배원 및 사용자에게 우편함 이용권한을 부여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출입개폐수단을 구비한 우편함; 우편함과 연계 작동되는 정보입력부; 집배원ID와 사용자ID 정보를 상호 연동하여 신뢰성을 검증하는 구성으로서, 집배원에 대하여 출입개폐수단의 이용권한을 제어하는 블록체인기술이 포함된 우편함제어부; 상기 우편함제어부의 출입개폐수단 제어에 의하여 집배원 및 사용자에게 우편함 이용권한을 부여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을 개시한다.
각 구성요소로서 카메라, 적외선센서, 키패드, 바코드리더를 포함하며 보안 강화로서 이벤트영상처리 기술을 제공하며, 기능으로서 집배원단말부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부를 미소지한 상태에서도 수동 기능으로 작동될 수 있고, 집배원의 원근 접근에 따라 출입개폐수단이 자동으로 개폐 제어되는 등의 다양한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우편물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집배원의 업무에 최적화함과 아울러 공동택배함 등을 다수 세대가 동시에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배달 사고를 예방 내지 추적할 수 있는 등의 현저한 다수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IoT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우편함 장치 및 스마트 우편함용 잠금 장치{Smart mailboxs system with IoT and block-chain technique, and locking device for smart mailbox}
본 발명은 다세대 우편함에 관한 장치 기술로서, 특히 개별 우편함별로 보안을 기하면서도 집배원이 우편물을 수납할 때 극히 간편한 절차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장치 기술이다.
전자우편이 발달된 현대에도 여전히 종이로 된 우편물은 긴요한 정보전달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나아가 인터넷으로 물건을 구입하거나 택배서비스가 활성화 된 때부터는 간단한 서류로부터 대형의 물건까지 우편물(택배 등 배송물건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이하 같다.)이 다양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서류나 택배는 수령하는 자가 직접 받아야 제대로 된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상호간 약속된 시간에 만나서 전달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는 아파트 경비실 등을 활용해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이용해 왔다. 보다 발전된 단계로서 요즈음은 각 세대용을 통합 수용한 우편함시스템이 고려되고 있으며, 이 분야 선행기술로도 네트워크 서버로 연동되는 다양한 공지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이는 사람이 직접 만나서 물건을 배달하던 것과 달리 무인 우편함에 위험한 물건이 배달되거나 도난 등 배달사고도 일어날 수 있음에 비추어보면 해결해야 할 중요사항이다. 안전을 강화하거나 우편함시스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도 다음과 같은 점은 기술적으로 보강 해결할 필요가 있다.
1) 집배원은 모든 세대원의 우편물, 즉 다량의 우편물을 동시에 배달해야 하므로 이에 대한 수납 작업을 간편화 할 필요가 있다. 각 세대의 우편함마다 각각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물건을 수납하도록 하는 것으로는 다수 세대의 우편물을 수납할 때 일일이 잠금 장치를 풀고 거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따른 전력소모도 크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일부 선행기술에서 보듯이 모든 우편함의 제어장치를 전자석으로 제어하여 동시에 무조건 모두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것은, 개방 또는 폐쇄 중 어느 한 동작에 지속적으로 전원이 투입되어야 하는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 볼 때 과도한 전력낭비를 수반하므로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2) 우편물이 배달된 사실을 알릴 때 우편물의 수량을 포함한 외형적 형상을 알게 하면 안전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바코드를 통해 우편물 관리기관과 동기를 이룬다면 발송자와 등기우편 여부까지 알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더욱 강화된다.
3) 개별 우편함이나 공동택배함에서 우편물이 도난당했을 때 도난당한 사실을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4) 우편물 수납을 위한 출입구 사이즈를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하면 아주 얇은 전단지로부터 여러 권의 책 묶음까지 용도에 따라 그리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활용하면서도 보안을 기할 수 있게 된다.
5)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네트워크의 속도나 종류에 무관하게 즉시 동작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아파트의 경우 비용면에서 각 단지별로 독립된 서버망을 구축코자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도 고려해야 한다.
6) 무시하여 방치한 우편함 내의 전단지 등에서 기인하는 오작동 발생소지를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개시하는 발명으로서 진보된 출입개폐수단과 이를 응용하는 시스템 기술에 의하여 편리한 이용성, 네트워크 융통성, 우편물에 대한 안전성 및 보안성 강화, 그리고 우편물의 감지와 감시에 신뢰를 구축하는 기술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37363호(2017.03.24.)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037364호(2017.03.24.)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96886호(2016.07.29.)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6-0135851(2016.10.19.)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6-0135896(2016.10.19.)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176528(2017.12.20.) 일본 특허공보 제5463395호(2014.04.0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6090호(2010.01.1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0556호(2015.12.1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63486호(2000.11.0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63486호(2000.11.06.)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센서를 이용하는 IoT 기술과 데이터 상호검증 기능을 이용하는 블록체인 기술로 구성된 우편함 장치 기술을 개시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집배원과 관리자의 업무에 특화한 간편하고 쉬운 이용절차의 우편함을 개시하고자 함에 있으며, 특히 집배원 중심의 우편함 제어기술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보안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불의의 보안사고 발생 시 영상정보로 추적 수습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향후 전국의 모든 공동주택에 우편함이 도입될 때도 네트워크의 재구성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존 구축된 시스템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개시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에 제5목적은 향후 관리기관의 정보와 각 세대 우편물 정보를 상호 크로스체크 할 수 있는 기술적 여건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6목적은 집배원과 사용자의 편의성 및 보안성을 충족하는 다기능 우편함 출입개폐수단, 즉 잠금 장치를 개시하고자 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과제 해결수단으로 개시한다. 그 제1실시일례로서 본 발명은,
우편물 일시 수납을 위해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며 이용권한을 부여받은 집배원 또는 사용자의 용도에 최적화 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출입개폐수단을 구비한 우편함;
상기 우편함에 장착되고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이동단말과 통신을 연계하는 단말통신부;
상기 우편함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상기 단말통신부와 통신이 개설되고 그로 인해 단말을 소지한 집배원이 이용권한을 부여받음으로써 당해 집배원이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우편함과 연계 작동되는 집배원단말부;
상기 우편함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 상기 단말통신부와 통신이 개설되고 그로 인해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이용권한을 부여받음으로써 당해 사용자가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우편함과 연계 작동되는 사용자단말부;
집배원ID 및 사용자ID를 복수개로 저장하고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해 상기 집배원단말부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부로 이용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이용권한을 부여하기 전에 상기 저장된 집배원ID와 사용자ID 정보를 상호 연동하여 신뢰성을 검증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이용권한을 요청한 집배원ID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ID 중 누구라도 권한불허로 사전 등록한 경우 당해 집배원에 대하여 상기 출입개폐수단의 이용권한이 제한되고 상기 권한불허의 요청이 없는 경우 당해 집배원에게는 모든 사용자ID의 우편함에 대한 출입개폐수단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이용권한이 부여되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은 자신의 사용자ID에 해당하는 우편함을 사용하고자 할 때 이용권한이 부여되어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잠금 해제로 제어하는 한편,
상기 집배원단말부와 상기 사용자단말부가 상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통신이 해제될 때 상기 출입개폐수단이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작동 제어하는 우편함제어부;
상기 우편함제어부의 출입개폐수단 제어에 의하여 집배원 및 사용자에게 우편함 이용권한과 아울러 특화된 조작기능을 부여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를 개시한다.
그 제2실시일례로서 본 발명은,
우편물 일시 수납을 위해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며 이용권한을 부여받은 집배원 또는 사용자의 용도에 최적화 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출입개폐수단을 구비한 우편함;
상기 우편함에서 이용권한을 부여받음으로써 집배원 및 사용자가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우편함과 연계 작동되는 정보입력부;
집배원ID 및 사용자ID를 복수개로 저장하고 상기 정보입력부로 입력된 자에게 이용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이용권한을 부여하기 전에 상기 저장된 집배원ID와 사용자ID 정보를 상호 연동하여 신뢰성을 검증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이용권한을 요청한 집배원ID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ID 중 누구라도 권한불허로 사전 등록한 경우 당해 집배원에 대하여 상기 출입개폐수단의 이용권한이 제한되고 상기 권한불허의 요청이 없는 경우 당해 집배원에게는 모든 사용자ID의 우편함에 대한 출입개폐수단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이용권한이 부여되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은 자신의 사용자ID에 해당하는 우편함을 사용하고자 할 때 이용권한이 부여되어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잠금 해제로 제어하는 한편,
상기 집배원 또는 상기 사용자가 출입개폐수단을 조작한 때로부터 설정기간을 초과한 때에 상기 출입개폐수단이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작동 제어하는 우편함제어부;
상기 우편함제어부의 출입개폐수단 제어에 의하여 집배원 및 사용자에게 우편함 이용권한과 아울러 특화된 조작기능을 부여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각 실시일례에서,
상기 출입개폐수단의 잠금 해제 및 잠금 상태는 전원에 의해 자동 작동되거나 이용권한을 받은 개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제1솔레노이드 후크를 트리거 제어하는 전자적 제어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개폐수단의 잠금 해제 및 잠금 상태는 평상시에 소형물건 투입이 가능한 제1단계로 개방되는 제1출입구개방수단, 이용권한을 받지 않은 자가 조작하되 힘을 가하면 제1단계보다 큰 제2단계로 출입구가 열리는 제2출입구개방수단, 그리고 이용권한을 받은 자가 조작하면 제2단계보다 더 큰 제3단계로 출입구를 열 수 있는 제3출입구개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출입구개방수단, 제2출입구개방수단 또는 제3출입구개방수단은 제2솔레노이드 후크를 다단으로 작동시키거나 모터로 도어를 슬라이딩으로 다단계 개방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입력부는 카메라, 적외선센서, 키패드, 바코드리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부여받거나 집배원,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보드(키패드)를 통해 입력되거나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인식 등을 통해 입력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일례에서 우편함은 개별 세대 우편함의 크기를 초과하는 물건용 공동택배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배원 등이 지정한 사용자ID에 대하여는 우편함제어부가 공동택배함의 이용권한을 부여하여 이용권한을 부여받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당해 공동택배함 출입개폐수단을 잠금 해제 또는 잠금 상태로 제어하도록 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개폐수단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개별 우편함을 동시에 개방하는 연동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집배원의 배달에 편의성을 제공토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말통신부는 일정거리 이내의 범위를 신호 통달거리로 하는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신호통달 범위 내에서 이 비콘 신호를 수신한 단말이 자신의 ID로 응답 등록하여 권한 여부를 확인받는 절차로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통신부와의 연동에는 일정지역을 관장하는 지역관리자를 할당한 후에 집배원의 역할을 보조하거나 집배원의 권한을 위임받아 상기 우편함의 관리를 할 수 있는 관리자단말부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단말부는 이동 상태에서 우편물 도착 내지 발송정보를 문자 또는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상태에서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우편함제어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우편물데이터, 업데이트데이터, 모니터링데이터 또는 관제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연동하는 네트워크통신프로세스를 포함하며, 단말통신부를 작동하기 위한 무선통신용 단말통신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작동 및 센서로부터의 우편물 배달 및 발송 정보를 감지하는 IoT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자체 저장된 복수의 ID데이터 간을 상호 연동하여 권한불허 여부를 검증하는 로컬베이스 블록체인프로세스를 포함하고, 바코드리더와 키보드와 카메라및영상DB를 연동하여 문자, 기호, 영상 정보를 처리, 저장 및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컴퓨터베이스 플랫폼으로 결집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용권한 여부는 자체 저장 보관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증한다. 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ID 등 정보는 우편함에서 직접 등록하거나 단지서버 혹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단지서버나 클라우드서버와 더불어 관제시스템이 연동되어 원격으로 총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우편함제어부에는 상기 우편함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 내지 각 ID를 등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부가 포함되며, 외부 서버와 연동 및 원격으로 업데이트, 등록,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관제시스템 연동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외부 서버와 연동되어 원격으로 우편물 발송을 요청할 수 있는 발송요청부 연동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편함제어부에는 사용자단말부와 연동되어 우편물 배달 결과를 알리는 배달알림부 연동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개별 우편함 내부에 설치되어 우편물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연동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상기 우편함으로부터 우편물이 수거될 때를 감지하여 기초 드레시홀드를 재설정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우편함제어부에는 카메라및영상DB로서 센서 감지와 영상 정보를 연동하여 이벤트 시점에서 일정기간 영상을 소급 저장하는 이벤트영상정보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일례의 기능에 관하여,
상기 우편함제어부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ID를 입력하고 개폐버튼을 조작하면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고, 잠금으로 조작 또는 상기 출입구를 개방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때 자동으로 출입구가 폐쇄로 복귀됨으로써 상기 집배원단말부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부를 미소지한 상태에서도 집배원 또는 사용자가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 기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집배원단말부를 소지한 자가 근접하면 적어도 둘 이상의 출입구가 동시에 잠금 해제되고 집배원이 멀어지면 자동 폐쇄되는 한편, 사용자단말부를 소지한 자가 근접하면 당해 사용자ID로 지정된 우편함이 잠금 해제 되고 멀어지면 자동으로 폐쇄되는 완전자동 기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집배원이 개폐버튼, 바코드리더 조작 또는 카메라가 집배원 외형으로 인식하면 적어도 둘 이상의 출입구가 동시에 잠금 해제되고 집배원이 멀어지면 자동 폐쇄되는 한편, 사용자단말부를 소지한 자가 근접한 후 개폐버튼을 조작하면 당해 사용자ID로 지정된 우편함이 잠금 해제되고 멀어지면 자동으로 폐쇄되는 반자동 기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근접된 집배원의 집배원ID에 대하여 어떤 사용자ID도 권한제한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자동으로 모든 우편함을 개방 제어하는 제1이용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집배원ID에 대하여 일부가 이용권한을 허용한 경우 허용한 일부 우편함만 부분적으로 개방 제어하는 제2이용권한이 부여되며, 상기 집배원ID에 대하여 다수가 이용권한을 허용한 경우 허용한 사용자ID에는 동시 개방 제어할 수 있음과 아울러 권한을 허용하지 않은 이용자에게는 동시 개방 시 잠금 심화로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제3이용권한이 부여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이용권한, 제2이용권한 및 제3이용권한은 상기 제1이용권한 시 개폐로 작동하는 레버를 중심으로 개별 우편함의 제2솔레노이드 후크가 두 개 이상의 방향으로 작동되거나 개별 독립적으로 장착되는 잠금장치로 구성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하여 후크수단이라는 용어를 달리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사용자를 수용하는 공동주택 우편함의 개별 세대 우편함에 대한 동시 출입개폐수단에 있어서, 다세대 공통으로 동시에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한 공통 레버를 중심으로, 상기 공통 레버가 평상시의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개별 세대의 우편함이 평상시 잠금 상태로 되는 제1단계후크수단, 상기 공통 레버가 평상시의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통 레버로부터 이탈하여 개별 세대 우편함이 잠금해제 상태로 되는 제2단계후크수단, 상기 공통 레버가 모든 세대 동시 해제로 움직일 때 개별 세대의 잠금을 유지하기 위해 잠금심화 상태로 되는 제3단계후크수단을 포함하도록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용 잠금 장치.”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 후크를 제어하는 전자적 제어수단은, 영구자석이 부설된 가동편과 상기 가동편의 이동에 따른 물리적 상태를 달리하는 후크부; 상기 가동편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로 자력이 가해지도록 연결 부착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극성에 따른 인력 또는 척력으로 상기 가동편이 이동되며 이동된 후에는 전자석의 전원을 끊더라도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이 상기 하우징에 작용하여 상기 이동 상태가 유지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구체적 구성으로서, 상기 후크부 구성은
하우징에 고정된 중봉을 관통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이 형성된 몸체에 연장 형성된 후크(빗장)와 상기 몸체의 일부에 영구자석이 부설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영구자석에 가해지는 자력에 따라 상기 중봉을 중심으로 상기 중공을 포함하는 몸체가 이동함으로써 후크를 잠금 혹은 해제로 제어하는 가동편;
상기 가동편을 수용하되 상기 가동편의 일측에 부설된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개 또는 폐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안정되도록 자력에 반응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부설되는 전자석이되 온 또는 오프 제어에 따라 전극의 극성이 다르게 가해지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자력이 상기 가동편에 인력 또는 척력으로 작용하여 전기적으로 일단 제어된 후에는 하우징과 가동편의 자화 작용으로 개 또는 폐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전자석의 전기적 제어를 트리거 방식의 토글스위치로 제어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1) 다수의 우편물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집배원 및 관리자의 이용절차가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2) 서버와의 연동을 최소화하는 독립적인 운영이 가능하고 모든 프로세스를 독립제어 방식의 내부 테이블 간 연동으로 처리하므로 공동주택별로 네트워크 구성이 자유롭고 및 네트워크 변경에 대한 융통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3) 우편함 내의 우편물 감지 센서가 출입개폐 조작에 연동되어 자동 리세트 되므로 사용자가 예기치 않은 우편물 감지 오작동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4) 우편물의 수량 인식이 가능하고 우편물의 외형 형상 또는 바코드 등을 통해 내용물의 유추가 가능하므로 특히 생물의 우편함 보관 중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5) 내용물의 분실 내지 잘못 수령해 갔을 경우에도 영상으로 추적이 가능하며, 특히 하나의 카메라로 다수 세대의 보안용으로 구성하면서도 영상정보의 처리 및 저장을 극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6) 세대별 우편함에 구성되는 출입개폐수단은 여타 우편함에도 자동제어 개폐수단으로 확장 적용될 수 있는 독립적 효과가 있다. 특히 전자석의 전기적 제어를 트리거 방식의 토글스위치로 제어하는 구성은, 단일 우편함 개방 또는 폐쇄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전력의 소모가 증가하지 않으므로 특히 우편함을 동시에 개방하는 구조에서 탁월한 전력절감 내지 전원부 용량 간소화의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시스템 측면의 효과 외에도 각 구성요소별로 나타나는 효과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하는 상세한 설명의 해당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개시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동주택의 우편함 외형을 예시한 정면도.
도 2a는 도 1의 배면도.
도 2b는 집배원이 모든 세대의 우편함을 동시에 일괄 개방할 때 출입개폐수단이 작동하는 원리를 도 2a에 대비하여 기구적 차이로 도시한 배면도.
도 2c는 집배원 또는 사용자가 개별 세대의 우편함을 단독으로 개방할 때 출입개폐수단이 작동하는 원리를 도 2a에 대비하여 기구적 차이로 도시한 배면도.
도 2d는 집배원이 모든 세대의 우편함을 동시에 일괄 개방하더라도 사용자가 당해 집배원의 개방 권한을 불허한 때에 개방을 제한하는 출입개폐수단의 원리를 구조적으로 도 2a에 대비하여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 스마트 우편함 장치의 총괄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3에서 단말통신 및 IoT 프로세스를 시계열적 맵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서 블록체인 및 IoT 프로세스를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서 카메라를 작동시켜 도난보안 등의 영상정보를 얻을 때 이벤트영상으로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집배원 및 관리자가 조작할 때 외부 네트워크 연동을 최소화하고 내부 테이블로 블록체인 프로세스를 작동시키는 개념을 나타낸 흐름도.
도 8a는 전자석을 트리거 방식으로 제어하는 구조적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 8b는 도 8b를 도어에 결합했을 때 작동하는 상호 연동 원리를 도시한 구조도.
도 8c는 도 8b에 대한 전자석 제어의 원리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본 발명은 이하 설명하는 예시 외에도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한 실시일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이하 개시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나, 예를 들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 이 구성요소들을 제1, 제2 등으로 용어를 붙여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마찬가지의 원리로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칙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동주택의 우편함 외형을 예시한 정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배면도, 특히 도 2b는 집배원이 모든 세대의 우편함을 동시에 일괄 개방할 때 출입개폐수단이 단 하나의 연동으로 모두 열리는 원리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2c는 집배원 또는 사용자가 개별 세대의 우편함을 단독으로 각각 개방할 때의 출입개폐수단 작동 모습이고, 도 2d는 집배원이 모든 세대의 우편함을 동시에 일괄 개방하더라도 사용자가 당해 집배원의 개방 권한을 불허한 때에 개방을 제한하는 출입개폐수단의 원리를 도 2a에 대비하여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스마트 우편함 장치의 총괄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이에 따라 묘사하면,
본 발명 제1실시일례는,
우편물 일시 수납을 위해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며 이용권한을 부여받은 집배원 또는 사용자의 용도에 최적화 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출입개폐수단(1101-b1~1410-b1 및 21,22,23,31,32,34)을 구비한 우편함(100);
상기 우편함(100)에 장착되고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이동단말과 통신을 연계하는 단말통신부(200);
상기 우편함(100)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상기 단말통신부(200)와 통신이 개설되고 그로 인해 소지한 집배원이 이용권한을 부여받음으로써 당해 집배원이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우편함과 연계 작동되는 집배원단말부(300a);
상기 우편함(100)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 상기 단말통신부(200)와 통신이 개설되고 그로 인해 소지한 사용자가 이용권한을 부여받음으로써 당해 사용자가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조작 사용할 수 있도록 우편함과 연계 작동되는 사용자단말부(400);
집배원ID(501a) 및 사용자ID(501c)를 복수개로 저장하고 상기 단말통신부(200)를 통해 상기 집배원단말부(300a)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부(400)로 이용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이용권한을 부여하기 전에 상기 저장된 집배원ID(501a)와 사용자ID(501c)를 상호 연동하여 신뢰성을 검증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이용권한을 요청한 집배원ID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ID(501c) 중 누구라도 권한불허로 사전 등록한 경우 당해 집배원에 대하여 상기 출입개폐수단의 이용권한이 제한되고 상기 권한불허의 요청이 없는 경우 당해 집배원에게는 모든 사용자ID의 우편함에 대한 출입개폐수단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이용권한이 부여되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은 자신의 사용자ID에 해당하는 우편함을 사용하고자 할 때 이용권한이 부여되어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잠금 해제로 제어하는 한편,
상기 집배원단말부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부에서 사용종료를 입력하거나 상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상기 단말통신부와 통신이 해제될 때 상기 출입개폐수단이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작동 제어하는 우편함제어부(500);
상기 우편함제어부의 출입개폐수단(1101-b1~1410-b1 및 21,22,23,31,32,34) 제어에 의하여 집배원 및 사용자에게 우편함 이용권한과 아울러 특화된 조작기능을 부여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개폐 제어 우편함 장치를 개시한 것이다.
또한 제2실시일례로서,
우편물 일시 수납을 위해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며 이용권한을 부여받은 집배원 또는 사용자의 용도에 최적화 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출입개폐수단(1101-b1~1410-b1 및 21,22,23,31,32,34)을 구비한 우편함(100);
상기 우편함에서 이용권한을 부여받음으로써 집배원 및 사용자가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우편함과 연계 작동되는 정보입력부(505, 1100-3));
집배원ID(501a) 및 사용자ID(501c)를 복수개로 저장하고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집배원 또는 상기 사용자로 이용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이용권한을 부여하기 전에 상기 저장된 집배원ID(501a)와 사용자ID(501c)를 상호 연동하여 신뢰성을 검증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이용권한을 요청한 집배원ID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ID 중 누구라도 권한불허로 사전 등록한 경우 당해 집배원에 대하여 상기 출입개폐수단의 이용권한이 제한되고 상기 권한불허의 요청이 없는 경우 당해 집배원에게는 모든 사용자ID의 우편함에 대한 출입개폐수단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이용권한이 부여되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은 자신의 사용자ID에 해당하는 우편함을 사용하고자 할 때 이용권한이 부여되어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잠금 해제로 제어하는 한편,
상기 집배원 또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종료를 입력하거나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조작한 때로부터 설정시간을 초과한 때에 상기 출입개폐수단이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작동 제어하는 우편함제어부(500);
상기 우편함제어부의 출입개폐수단 제어에 의하여 집배원 및 사용자에게 우편함 이용권한과 아울러 특화된 조작기능을 부여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개폐 제어 우편함 장치를 개시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 집배원은 권한불허로 요청된 결격사유가 없는 한 원칙적으로 모든 우편함을 동시에 조작하여 출입개폐수단을 잠금 해제로 이용할 권한이 주어지므로, 가장 바람직한 사용으로 집배원이 우편함 가까이 등장하면 우편함이 자동으로 잠금을 해제하고 우편함과 멀어지면 자동으로 잠금이 복귀되는 집배원 업무편의 중심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다만 이러한 경우 집배원에 대한 신뢰도가 있어야 하는 것이므로, 집배원에 대한 인증을 우정본부 등 관리기관으로부터 받되 복수의 사용자 전체로부터도 신뢰성을 검증하여 어느 하나의 사용자라도 권한불허로 등록하여 거부의사를 제시한 사용자에 대하여는 별도의 보안절차를 지키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우편함제어시스템의 개념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상호검증용 블록체인을 적용하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네트워크중심이 아니라 배치타입(주기적으로 미리 다운로드) 로컬중심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특징이 있다. 이것은 단일 우편함 내에서 신뢰성 검증이 필요한 사항이 발생되었을 때만 자체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내부 검증 프로세스를 가동하여 즉각적으로 결과를 얻는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블록체인 기술과는 달리 네트워크의 신설, 변경, 장애에 영향을 받지 않는 특징이 있고 특히 단일 우편함의 범위를 초과하는 다른 이용자의 데이터를 검증하기 위하여 24시간 365일 계속적으로 작동을 시키지 않아도 되는 현저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이하 각 구성요소별 설명으로 자연히 알게 될 것이다.
도 1은 공동주택의 일정한 장소에 고정 설치되는 본 발명 우편함(100)의 전면부를 묘사한 것으로 101부터 410까지는 하나의 공동 우편함에 40개의 세대가 통합 수용된 개념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101 내지 410은 각 세대 우편함의 번호라고 이해하면 된다. 1100-3은 후술하는 505의 역할과 동일한 조작 패널의 디스플레이와 키패드(키보드)이다. 1100-1-a 및 1100-2-a는 일정한 허락 하에 각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큰 규모의 물건 보관함이다.
100-1은 카메라이다. 1101-a로 확대한 도면은 각 세대(예를 들어 101우편함 세대)의 우편함 전면부에는 서류봉투 등 작은 우편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제1출입구개방수단(11), 책 등 서류봉투보다는 부피가 큰 우편물(물건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을 투입할 수 있는 제2출입구개방수단(12) 및 책보다 더 큰 물건을 투입하거나 배달된 우편물을 수거할 수 있는 제3출입구개방수단(13)이 구성되는 원리를 형상적으로 나타낸다. 즉 출입개폐수단은 평상시에 제1출입구개방수단(11)으로 열려 있고, 이용권한을 받지 않은 자가 수동으로 입구에 힘을 가하는 조작을 하면 조금 더 열리는 제2출입구개방수단(12), 그리고 이용권한을 받은 자가 문을 밀거나 당기거나 들거나 내리는 등의 개방조작을 하면 완전히 출입구가 개방되는 제3출입구개방수단(13)을 포함하는 구성을 말한다. 여기서 제3출입구개방수단은 실질적으로 출입개폐수단에서 잠금 해제와 같은 개념으로서 집배원이 우편물을 투입하는 것 및 배달된 우편물의 수취가 가능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제3출입구개방수단을 출입개폐수단에 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특히 상기 출입개폐수단의 기술적 원리를 개념 수준으로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2a는 배면도이므로 도 1의 각 세대 번호는 도 2a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a는 모든 세대가 잠금 상태임을 나타내는데 각 세대는 후크를 걸어 둘 베이스로 되는 공통 레버(31-1, 31-2,.. 31-4)에 각 세대의 후크(1101-b1, 1102-b1,... 1401-b1....)가 걸려 있어서 이 후크로 인하여 각 세대는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후크는 세대별 우편함 몸체로부터 돌출된, 도시생략된, 입체적으로 ㄷ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고 공통 레버는 그 ㄷ자 공간 내에 끼워져 맞물리는 형상적 원리를 의미한다.
도 2b는 상기 후크에서 상기 레버가 오른쪽으로 이탈되어 모든 세대의 우편함에서 후크와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잠금 해제로 일괄 전환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는 집배원이 복수의 세대 우편함에 동시에 우편물을 투입하는 작업을 할 때 가장 큰 크기인 상기 제3출입구개방수단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하드웨어 구조이다.
도 2c는 집배원 또는 세대원 사용자가 자신의 해당 우편함만 잠금 해제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기술 원리이다. 1101-b0 및 1202-b0로 보듯이 잠금 해제된 두 개 우편함의 후크는 다른 우편함과는 후크의 위치가 다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d는 상기 후크에서 상기 공통 레버가 오른쪽으로 이탈되어 모든 세대의 우편함에서 후크와의 맞물림을 해제하였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당해 집배원에게 권한불허를 요청한 세대의 우편함은 잠금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를 묘사한 것이며, 이때는 집배원이 모든 세대원의 우편함을 열려고 해도 이를 허용하지 않은 세대 우편함의 후크(1103-b2, 1403-b2)는 공통 레버의 위치 이동과 같은 방향으로 후크가 함께 이동하여 잠금 상태 그대로를 유지한다. 즉 후크의 깊이가 더 깊게 이동함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공통 레버가 복귀된 상태(즉 잠금 상태)에서도 우편함을 열 수 있도록 후크의 깊이가 얕게 이동하는 것을 잠금 해제라 하고, 그와 반대로서 레버가 열림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후크의 깊이가 더 깊게 이동하여 당해 우편함만 열리지 않도록 한 후크 상태를 잠금 심화라 칭하기로 한다. 다만 잠금 심화는 이처럼 하나의 후크가 깊이 이동하는 개념뿐만 아니라 별도의 ㄷ자 깊이가 다른 추가적인 후크를 하나 더 부가하는 기술적 수단도 가능하며, 더 나아가 도시생략하였지만 상기 후크로 정의한 구성은 그 외에도 피스톤 형태의 핀이나 슬리브로도 가능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일례로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원리로서, 상기 작동을 위한 출입개폐수단의 잠금 해제는 전원공급을 통해 제1솔레노이드(21)의 실린더(22, 23)가 공통 레버(31-1, 31-2, 31-4)를 후크(1101-b1, 1102-b1,...1110-b1)가 걸리지 않을 위치로 이동(도 2b)하여 모든 개별 우편함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달성된다.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실린더(22, 23)가 복귀되어 상기 후크가 공통 레버에 걸림으로써 모든 개별 우편함은 잠금 상태(도 2a)로 되는 것이며, 이때 제1솔레노이드는 실린더가 전원에 따라 작동되는 피스톤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솔레노이드 제어를 전자식 래치(LATCH) 회로로 구성하면 단발성 전원 공급(즉 트리거)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어 모든 세대를 각각 여는 것보다 전력을 대폭 줄이고 고장의 가능성을 대폭 줄이는 현저한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 후크들은 도시 생략된 제2솔레노이드의 실린더를 작동 또는 도시생략된 스테핑모터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솔레노이드에 연동 작동되는 후크는 옷장 내지 개별주택에서 모터를 이용하는 도어락의 작동과 유사한 개념이다. 이러한 제2솔레노이드 또는 모터는 1101-b0과 1103-b2의 두 개의 잠금 해제 및 잠금 심화 기능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시에 잠금 해제를 한다는 것은 상기 제2솔레노이드를 한꺼번에 제어함으로써 모든 우편함에 설치된 복수의 후크(1101-b1)를 제어하도록 하거나 상기 설명한 단 하나의 제1솔레노이드에 단 한 번의 전원을 가하여 공통 레버(31-1)를 이동함으로써 적어도 둘 이상의 우편함에 대한 출입개폐를 동시에 제어하는 것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공통 레버를 단일 동작으로 묶으면 오직 단 한 번의 제1솔레노이드 작동으로 모든 출입구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으므로, 집배원이 일일이 손으로 밀고 열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직 한 번의 전력 소모로 모든 출입문을 동시에 열고 닫는 전력절감이 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집배원이 가까이 오면 모든 출입구가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멀어지면 자동으로 닫히는 완전 자동화가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자동으로 개방된 후에는 키패드 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잠그는 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공통 레버는 수직으로 연동된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수평으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원리로 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기술적 원리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출입개폐수단은 집배원은 물론이고, 개별 사용자가 상기 개별 후크별로 잠금 해제 또는 잠금 심화 조작을 하면 후크 위치가 1101-b0, 1101-b2로 이동하는 원리로서 개별 작동을 하게 된다.
집배원과 사용자는 단말을 소지하고 근접하는 것만으로 무조건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고 키패드 등에서 별도의 본인 확인절차를 거쳐서 사용을 할 수도 있는 것인데, 키패드 등의 사용은 단말을 소지하지 않을 때 이용권한을 수동으로 받는 사용법이다.
단말통신부(200)는 상기 우편함(100)에 장착되고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이동단말과 통신을 연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일실시례로서 일정거리, 예컨대 1~5m 이내의 범위를 신호 통달거리로 하는 비콘(beacon) 신호를 전송하면 단말이 이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의 거리에 들었을 때 단말은 신호를 인지하고 자신의 ID로 응답을 하면 이를 수신한 우편함제어부(500)가 적격자 여부를 확인하고 이용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비콘은 상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전력절감을 위해서는 적외선센서(508) 혹은 카메라(100-1)로 사람을 인식했을 때만 신호를 전송토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적외선센서는 초음파센서의 원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집배원, 관리자, 사용자는 집배원단말부(300a), 관리자단말부(300b) 및 사용자단말부(400)을 소지하고 상기 우편함(100)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우편함으로부터 설정된 거리(예를 들면 1m) 이내에서 자동으로 통신이 개설되고 그로 인해 소지자가 이용권한을 부여받아 이를 소지한 집배원, 관리자, 사용자는 각각 자신의 용도로 우편함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집배원은 모든 우편함을 동시에 잠금 해제 상태로 자동 또는 수동 조작할 수 있음을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사용자는 당연히 자신의 우편함에 대한 잠금 해제 권한을 가지게 되며 다만 권한에 따른 실행 작동은 자동 혹은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는 집배원의 역할을 보조하거나 집배원의 권한을 위임받아 상기 우편함의 관리를 맡을 수 있는 역할을 하되, 큰 범위의 행정구역을 담당하는 집배원과 달리 일정한 공동주택단지 범위 등의 지역단위 우편물을 관할하는 역할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집배원의 일부 권한(예를 들면 아파트 단지별 범위의 우편함 관리 권한 등)을 위임받은 자라고 이해하면 된다.
상기 집배원단말부에는 전용의 우편함 제어 및 감시용 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단말부와 사용자단말부에는 우편함으로부터 인식된 정보를 통해 이동 상태에서 문자, 기호, 영상으로 우편물 발송 내지 도착 정보를 알 수 있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단말부는 단말을 비소지한 타인에게 우편물 수취 등을 의뢰하기 위해 타지에 존재한 상태에서도 이용권한을 받아 출입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앱은 상용 이동통신망 등 광역통신망 기능의 모바일 통신망을 이용하는 개념이다.
단말을 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우편함에서 직접 이용권한을 부여받는 바, 그 하나의 실시일례가 키패드 등 정보입력부(505)를 통한 사용자 정보 입력이다. 다른 방식으로는 카메라(100-1) 또는 기타 보조센서(507)를 이용한 얼굴인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정보입력부는 집배원(300a), 관리자(300b) 또는 사용자(400)가 소지한 단말기를 통해 부여 받도록 응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집배원 내지 관리자가 근접했다는 것만으로 계속 자동으로 출입개폐수단이 작동을 하게 되면 이들이 우편물 수납작업을 위해 근처를 배회할 때마다 작동과 정지를 반복할 수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100-1)의 연동에는 일정한 범위 내에 위치한 사람이 출입개폐의사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 앞에 잠시 의도적으로 머무르는 동태를 카메라가 감지하여 사람의 형상과 머무른 시간으로 이용 의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이 이용 의도는 적외선센서(508) 내지 바코드리더(506)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바코드리더로 읽힌 데이터는 우정사업본부와 연계되어 우편물 수량 및 주소를 알 수 있게 되는 정보이기도 하므로, 집배원이 바코드리더로 확인하면 해당 세대 우편함에 잠금 해제 및 (우편함에 부착된) 인식램프가 점등하여 집배원이 수납할 우편함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바코드 입력으로부터 얻어진 발송지 주소와 우편물 수량과 종류(등기 여부) 등의 부가정보가 즉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바코드는 우정본부의 서버와 연동하여 우편물 배달 확인증을 송부할 수도 있게 되는 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는 우편함제어부(500)와 연동되는 모니터 및 정보 입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부(505)를 포함하며 이를 포괄하여 정보입력부라 한다.
상기 제1실시일례에서는 집배원단말부(300a)와 상기 사용자단말부(400)가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단말통신부(200)와 통신이 해제될 때 상기 출입구 개폐수단(1101-b1~1410-b1 또는 21,22,23,31,32,34)을 자동으로 잠그도록 상기 출입개폐수단이 제어된다. 이로써 집배원단말부(300a)를 소지한 집배원 및 사용자단말부(4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우편함 가까이 오면 출입구가 자동으로 잠금 해제되고 멀어지면 잠금 상태로 복귀되는 완전 자동화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집배원단말부 또는 사용자단말부는 전용의 스마트폰 앱은 물론이고, 브루투스 등으로 단순히근접 유무를 확인하는 정도로도 소지자를 확인하여 이용권한을 부여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것은 후술하는 바의 본 발명 블록체인 기술 및 이벤트영상감시로서 보안성을 강화하였기에 가능하다.
앞에서 부여되었던 이용권한은 단말에서 사용종료를 입력하였거나 단말이 일정거리를 초과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회수하게 된다. 다만 택배 등 규모가 큰 우편물을 여러 번 하차하는 작업 시에는 이용권한이 수시로 부여, 회수를 반복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시간 유지 타이머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편함에는 개별 세대 우편함의 크기를 초과하는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용도의 공동택배함(1100-1-a, 1100-2-a)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배원이 지정한 사용자ID(501c)에 대하여는 우편함제어부(500)가 공동택배함의 이용권한을 부여하여 이용권한을 부여받은 관리자(300b) 또는 사용자(400)가 당해 공동택배함 출입개폐수단을 잠금 해제 또는 잠금 상태로 제어하도록 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세대 우편함 외에 공동우편함을 더 사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하는데, 다만 이 경우 공동우편함은 도난이나 배달사고에 유념해야 하므로 본 발명에는 집배원이 우편함에 대하여 블록체인의 개념으로 이용권한 부여 대상을 지정 및 사용시 검증을 거쳐 권한을 부여함과 동시에 공동택배함 이용 시에는 자동적으로 후술하는 이벤트영상으로 보안장치가 가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벤트영상 처리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우편함제어부(500)는 I/O 포트를 통해 외부 서버(601, 602, 603, 604)로부터 우편물데이터, 업데이트데이터, 모니터링데이터 또는 관제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연동하는 네트워크통신프로세스(504)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실시간 연동은 물론 비실시간 연동을 포함하는 바, 상기 서버들은 집배원,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당시에 반드시 연동되어서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하는 개념으로 작동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은 네트워크 중심이 아닌 로컬 베이스 중심의 데이터베이스 및 단일 장치 내에서의 블록체인 개념으로 검증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우편함제어부(500)는 단말통신부(200)를 작동하기 위한 무선통신용 단말통신프로세스(502)를 포함한다. 이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콘 신호와 이에 응답하는 링크 프로세스로서 당시에 사용을 요청한 자의 ID데이터를 취득한다. 여기서 비콘 신호라 함은 “신호통달범위 내의 단말은 이용권한을 응답신호로 요청하라”라는, 전파를 이용하는 명령신호 개념이다. 응답할 상대방을 불특정이거나 ID범위로 한정할 수 있되, 응답 신호에서 통신상대방으로 지정되지 않은 사용자ID 또는 집배원ID에게는 우편함제어부(500)에서 그 응답신호를 무시하여 폐기하거나 거부하여 재차 응답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우편함제어부(500)은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작동하는 IoT프로세스(503)를 포함한다. 이 구성 및 기능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솔레노이드 후크를 트리거하여 액티브 록킹(잠금) 또는 언록킹(잠금 해제)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세대별 우편함 내부에 장착된 센서(100-2-1~100-2-n)로부터의 우편물 배달 및 발송 정보를 감지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배달은 집배원이 수납한 우편물이고 발송은 집배원이 수거해서 우송처리 해야 할 우편물을 말한다.
상기 우편함제어부(500)는 로컬중심의 블록체인프로세스(501)를 포함한다. 집배원은 자신이 가까이 다가가면 모든 세대별 우편함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 편리하지만, 어떤 세대는 신뢰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항상 자신의 우편함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은 사람도 있다. 특히 우체국 바코드가 아닌 일반 택배원에게는 무조건 개방을 원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 이 경우 블록체인 기능으로 차단하면 원하지 않는 자, 즉 권한불허 집배원으로부터 보안성이 강화된다.
이 구성 및 기능은 외부 통신망의 연결이 단절된 상태에서도 내부 테이블에 저장된 집배원ID(501a), 관리자ID(501b), 사용자ID(501c) 관련 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호 신뢰성을 검증하여 이용권한을 부여하는 프로세스로서, 집배원에 대하여 우정본부 등 관리기관에서 자격을 취득한 적격자인지,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세대에서 권한불허 등 거부감을 나타낸 사실이 없는지, 또는 특정한 세대에서 특정한 집배원을 요구하는지 등을 중점적으로 검증한다. 이러한 내부 테이블간의 블록체인 검증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가 단절된 경우라도 집배원 자격변동이 없는 기간 내에는 완전한 상호 신뢰성 검증이 가능하고 특히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는 만큼 고속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본 발명에서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독립 저장된 복수의 ID데이터(501a, 501b, 501c) 간을 상호 연동하여 권한불허 여부를 검증하는 로컬베이스 블록체인프로세스(501)라 한다. 권한불허 여부 검증 프로세스로서 특히 집배원은 근처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모든 우편함을 별도의 비밀번호 조작 또는 수동식으로 각각 여는 불편 없이 자동으로 작동시켜서 우편함을 열 수 있으며, 또한 일정거리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솔레노이드 후크를 폐쇄로 작동시켜 보안이 이루어지므로, 집배원 업무 중심의 조작 편리성과 사용자 중심의 보안성 강화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요컨대, 상기 이용권한 여부는 자체 저장 보관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베이스(501a, 501b, 501c)로부터 검증한다. 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ID 등 정보는 우편함(100)의 정보입력부(505)를 통해 직접 등록하거나 기관서버(601), 단지서버(603) 혹은 클라우드서버(602)로부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600)에는 관제시스템이 연동되어 원격으로 총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관서버(601)는 예를 들어 우정사업본부의 서버를 말하며, 바코드리더를 이용시 등기번호별 주소 등 데이터의 일치성을 검증받고 집배원의 자격유무를 미리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상기 우편함제어부(500)에는 외부 서버(601, 602, 603)와 연동되며, 특히 원격으로 업데이트, 등록,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관제시스템(604) 연동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각 각 세대별 공동우편함, 각 단지별 공동우편함 및 각 지역/도시별 공동우편함을 그룹별로 매핑하여 우편물 수납 상태와 도난 상태를 종합적이고도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이 구축되는 것으로서, 각 ID를 등록하거나 우정본부, 클라우드 내지 단지서버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나아가 이와 연계되는 관제서버를 라우팅으로 연동하여 감시 및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로컬베이스 블록체인은 이와 같은 다계층 네트워크 그룹을 추가적으로 구축하더라도 자체적인 하나의 장치 내에서 상호 검증이 이루어지고 이에 연동되는 네트워크는 단지 휴지기간에 미리 자료를 업데이트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개념이므로 어느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서 장애가 발생되더라도 블록체인 기본 기능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상기 우편함제어부(500)에는 바코드리더(506)와 키보드(505)와 카메라및영상DB(100-1, 100-2)를 연동하여 문자, 기호, 영상 정보를 처리, 저장 및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우편함제어부(500)는 컴퓨터베이스 플랫폼 구성을 포함한다. 이 플랫폼은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등과 같은 임베디드 컴퓨터로서 복수의 ID데이터그룹(501a, 501b, 501c) 중 적어도 두 개의 그룹 이상을 하나의 플랫폼에 수용하고 블록체인으로 검증할 수 있는 메모리 용량 및 테이블 데이터 간을 연동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플랫폼은 다수 세대가 수용된 우편함마다 단일화 된 플랫폼으로 구성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상기 우편함제어부(500)에는 외부 서버와 연동되어 원격으로 우편물 발송을 요청할 수 있는, 도시생략된 반송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송요청부는 하드웨어적으로 우편함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버튼스위치이거나 키패드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공동으로 장착된 구성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반송우편물이 있음을 우정본부로 알릴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 원리로서 이 구성 및 기능은 우편물 발송을 요청하는 때도 발송요청부로 확장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우편함제어부(500)에는 사용자단말부와 연동되어 우편물 배달 결과를 알리는 배달알림부 연동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배달알림부는 센서(100-2-1,.... 100-2-n)의 감지에 의하여 등록된 사용자ID로 자동 전송하거나 당해 우편함의 사용자단말장치(400)로 도시생략된 앱 내지 버튼스위치에 의하여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코드리더를 사용하고 세대 우편함에 수납한 경우는 우편물이 있다 없다라는 정보뿐만 아니라 등기 여부와 우편물 수량까지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바코드가 없거나 구체적인 우편물 정보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는 센서의 무게 변동 등을 감지하여 변동이 있는 우편함에 대하여 당해 사용자ID로 자동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즉, 각 개별 우편함 내에는 우편함제어부(500)와 연동되는 센서가 설치되는데, 이 센서에 의하여 개별 우편함 내부에 우편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우편함제어부(500)가 분석하여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리게 되는 것이다.
센서의 개념 및 이와 관련된 우편함제어부의 작동은 크게 다음 세 가지 연산방식으로 개시된다.
1) 우편물의 배달상태 알림; 이 기능은 집배원이 우편함을 잠금 해제한 시점이거나 카메라가 사람을 인지한 시점 이후에 센서에 물리량이 증가한 상태를 검출하였을 때 우편물 배달 알림으로 실행된다. 공동택배함에 우편물을 배달하였을 때는 이를 수령해야할 사용자ID로 지정해서 알릴 수 있다.
상기 센서(100-2)는 자력이나 정전용량 등으로 무게, 접근거리 등을 판단하는 근접센서 내지 빛의 명암을 감지하는 조도센서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센서의 드레시홀드 재설정; 이 기능은 사용자가 우편함을 잠금 해제 후 잠금으로 전환한 시점에서 센서의 감지 기준을 재설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 후 다시 잠금으로 설정했다는 것은 그 우편함 내부의 우편물은 수취 완료했음을 의미한다. 이때 의미 없는 전단지 등은 수거 시 무관심하게 우편함 내부에 방치될 수 있는데, 이것 때문에 센서는 계속 내부에 우편물이 있다고 알림신호를 보내는 오작동이 일어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잠금을 복귀한 상태에서 그 시점의 우편물은 없는 것이라고 인지하게끔 센서의 드레시홀드값을 재설정하도록 작동하는 것이다. 즉 비록 약간의 물건이 있더라도 이를 감지값에서 무시하도록 기능적으로 리세트시키는 작업을 우편함제어부에서 자동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구성의 연산은 사용자가 잠금으로 복귀한 시점에서 이전의 우편물보다 이후의 우편물이 줄어든 물리량으로 검출되었을 때 그 잠금 시점에서 센서의 계측값을 드레시홀드로 재설정하는 조정 작업이 실행된다. 물론 완전히 수거하지 않고 일부를 고의로 잔류시킨 정도로 무게 등 물리량이 잔존할 때는 주기적으로 추가 알림을 보낼 수 있다.
3) 우편물의 보안상태 알림;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하지도 않았고 집배원이 잠금을 해제하지도 않았는데 우편물을 감지하는 센서의 물리량 값이 변동, 특히 물리량 값이 줄어들었다면 이는 단순히 알람(경보)으로 처리할 문제가 아니라 보안상 추적을 해야 할 대상이기도 하다. 특히 공동택배함에 배달한 경우는 다수의 사용자가 이를 수거할 수 있기 때문에 배달된 우편물의 물리량이 감소하는 때 수거할 당사자 모두가 그 상태를 아는 것은 보안상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이벤트영상처리 프로세스를 구비하고 있다.
즉, 사용자ID와 관련되지 않고 당해 우편함의 센서(100-2)가 감지한 물리량이 적어진 경우 또는 집배원의 출입구 개폐 후 센서(100-2)가 감지한 물리량이 가감된 경우는 모두 사용자에게 경보를 보내거나 우편물도착 알림 정보를 제공할 사안인데, 이때 이벤트영상정보처리가 작동하면 도난을 방지하거나 바코드리더 없어도 우편물의 수량 및 형상적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우편함제어부(500)는 이와 같은 제반 복합적 구성을 포함한다.
우편함제어부(500)에서 이벤트영상처리부는 카메라및영상DB(100-1, 100-2)가 담당하고 센서(100-2)와 연동되어 평상시의 영상정보를 이벤트 시점에서 일정기간 소급 저장하는 기능으로 달성한다. 이벤트영상처리에 대하여는 좀 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실시일례 및 제2실시일례의 기능에 관하여,
상기 우편함제어부(500)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ID를 입력하고 개폐버튼을 조작하면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고, 잠금으로 조작 또는 상기 출입구를 개방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때 자동으로 출입구가 폐쇄로 복귀됨으로써 상기 집배원단말부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부를 미소지한 상태에서도 집배원 또는 사용자가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 기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우편함제어부(500)는 집배원단말부를 소지한 자가 근접하면 적어도 둘 이상의 출입구가 동시에 잠금 해제되고 집배원이 멀어지면 자동 폐쇄되는 한편, 사용자단말부를 소지한 자가 근접하면 당해 사용자ID로 지정된 우편함이 잠금 해제 되고 멀어지면 자동으로 폐쇄되는 완전자동 기능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우편함제어부(500)는 집배원이 개폐버튼, 바코드리더 조작 또는 카메라가 집배원 형상을 외형으로 인식하면 적어도 둘 이상의 출입구가 동시에 잠금 해제되고 집배원이 멀어지면 자동 폐쇄되는 한편, 사용자단말부를 소지한 자가 근접한 후 개폐버튼을 조작하면 당해 사용자ID로 지정된 우편함이 잠금 해제되고 멀어지면 자동으로 폐쇄되는 반자동 기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제부터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우편함제어부(500) 관련 연산 개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단말통신프로세스 및 IoT프로세스를 나타낸 시계열적 매핑도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단말통신부는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741, 742-1, 742-2, 742-n). 이 신호를 받은 단말은 자신이 어떤 우편함에 가까이 있는지를 알게 된다. 하지만 단말이 위치정보를 이용할 때는 단말이 주도권을 가지므로 이 비콘 신호를 생략할 수 있다. 이 비콘 신호는 카메라로 사람의 형상이 감지된 때에 빠른 주기로 송출하고 아닌 때는 느린 주기로 송출하여 전력낭비를 최소화 하는 시간간격 제어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은 근접한 때(743-1)에 수신된 비콘의 ID를 목적지로 하고 자신의 ID를 발신지로 하여 패킷헤더를 생성함과 아울러 이용권한 요청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블록과 함께 패킷프레임을 만들어 단말통신부로 송출한다. 즉 권한부여 요청을 겸해서 응답을 하는 것이다(743, 747). 이때 단말통신부는 이를 수신(745)하여 타당한 적격자인지 여부를 먼저 확인한 후에 후술하는 바의 블록체인을 통해 적격자인지 여부를 검증(746, 746-1)하고 그에 상당한 이용권한을 부여함과 동시에 이용권한의 내용적인 실행으로서 2개 이상의 우편함을 동시 개방하거나 해당 우편함만 개방토록 하는 등의 출입개폐수단을 작동하게 된다(748).
이어서 우편함 내부의 센서 감지를 통해 우편함 배달상태(749)를 단말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일괄전송(750-1) 하는 방법으로 알림을 전달하게 된다(750).
이 알림에 의해 또는 자발적으로 사용자가 우편물을 수취하고 출입개폐수단을 폐문으로 조작(751) 했을 때 우편함제어부(500)는 센서의 감지기준인 드레시홀드를 재설정하며(752), 이어서 앱 또는 기타 버튼으로 종료를 알렸거나 단말이 거리를 벗어났거나 일정시간 조작 없이 경과되었을 때 출입개폐수단을 잠금 상태로 복귀(754)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도 5는 블록체인 및 IoT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집배원이 근접하여 단말을 인증하면 권한불허 여부를 검증한다(702, 705). 여기서 집배원이 근접한지 여부는 단말이 아니라 본 발명 제2실시일례에서 설명하였듯이 키패드 입력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703). 이어서 집배원은 취사선택적으로 실행버튼(708)을 조작할 수도 있지만 이 실행버튼 조작 단계는 편의를 중시할 때 생략될 수도 있다(앞에서의 설명 참조).
이어서 우편함제어부(500)는 개폐 대상을 인식한다(707). 이 개폐 대상은 집배원이 고신뢰성 집배원인 경우 모든 세대에 대한 잠금 해제(706)를 줄 수 있음을 앞에서 설명한 바 있다. (집배원에 대한 잠금 해제 권한은 이하 도 7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보충하기로 한다.) 사용자인 경우 개폐 대상은 자신의 개별 우편함을 기본으로 권한이 부여된다(709). 또한 사용자에게는 당해 사용자의 우편물을 공동택배함(1100-1b)에 수납하고 집배원이 해당 사용자ID로 연계되도록 하였을 때 개폐 대상 권한은 해당사용자에게 자동으로 확장 부여된다. 물론 각 사용자는 집배원의 연계 조작이 없더라도 별도의 확인절차를 거쳐서 공동택배함을 개폐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권한이 허락되는 한 집배원은 자신이 다가가는 것만으로도 각 세대 우편함의 출입개폐수단이 자동으로 모두 열리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열려진 기능을 통해 집배원은 여러 세대의 우편함에 우편물을 배달 수납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근접하여 단말을 인증(710)하면 해당 세대의 우편함을 개폐할 수 있는 권한이 바로 부여되고 이어서 잠금 해제(712)까지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근접한지 여부는 단말이 아니라 본 발명 제2실시일례에서 설명하였듯이 키패드 입력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711). 이어서 사용자는 취사선택적으로 실행버튼(713)을 조작할 수도 있지만 이 실행버튼 조작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고 앞에서 설명한 바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조작권한은 부여되고 사용자는 우편함 내의 내용물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집배원이 잠금을 해제한 경우 우편함제어부(500)는 집배원의 배달을 통해 센서값의 물리량이 변동하였는지를 검사하고(714, 715), 이때 물리적인 량이 증가한 것을 검출(715-1)하여 당해 사용자에게 우편물 배달을 알리게 된다(716). 알리는 시점은 그때그때보다도 오작동 소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출입개폐수단이 잠김으로 복귀된 때가 바람직하다. 만약 바코드리더를 통해 정보를 입력한 경우는 알림 정보에 우편물 수량과 발송처 그리고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상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바코드리더를 적용한 경우는 우정본부 등 우편물관리기관 서버와 연동되어 실시간 혹은 배치(batch)로서 확인된 우편물인지 확인되지 않은 위험요소를 지닌 우편물인지도 알 수 있게 되는 보안성 강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한 경우 우편함제어부(500)는 사용자의 수취를 통해 센서값의 물리량 변동을 검사하고(717, 718), 물리량 감소를 감지한 때 또는 변동사항 없는 때라도 이를 리세트 시점으로 판단하여 센서의 감지 기준점 드레시홀드(문턱값)을 재설정하여 0로 세팅한다(719). 마찬가지로 이때 재설정 시점은 사용자가 출입개폐수단을 잠금으로 복귀 했을 때가 바람직하다.
이후 우편함제어부(500)은 당해 집배원이나 사용자가 먼거리로 통신권역을 이탈했는지를 감지한다(720). 먼거리로 이동하였거나 또는 사용종료라는 정보를 입력했을 때 당해 이용권한을 회수하고 당해 출입개폐수단을 원위치 잠금 상태로 복귀한다(721, 722). 만약 단말을 소지하지 않은 채 키패드(703, 711)로서 이용권한을 받은 경우 사용종료 또는 설정된 타이머 기간(723), 예를 들면 우편물을 회수한 것을 감지하였거나 문이 닫힘을 감지한 후 1분이 경과하면 당해 이용권한을 회수하고 당해 출입개폐수단을 원위치로 복귀한다(724, 725).
도 6은 이벤트영상처리 프로세스이다.
우편함제어부(500)는 우편함에 장착된 카메라(100-1)를 통해 상시 영상을 촬영하되 주어진 시간단위 예를 들면 3분 단위로 일시 저장하였다가 이를 영구저장하여야 할 이벤트 감지가 없으면 3분 경과 시 삭제하고 다시금 동일한 작동을 반복하여 영상을 일시저장 한다. 이때 각 일시저장은 공백을 없게 하기 위해 시간별로 시작시간을 달리하는 다중(멀티테스킹) 일시저장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시저장의 경우에도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무한정 일시저장을 하면 전력소모나 장치수명저하 등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므로 사람의 형상이나 적외선 센싱 등으로 사람이 근접된 상태를 센싱하였을 때 한하여 작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772-1).
우편함제어부(500)는 이벤트를 감지하였을 때 일시저장된 파일을 그대로 영상파일로 저장한다(773, 774). 이때 멀티테스킹으로 시점이 다른 여러 일시저장 파일이 존재할 때는 가장 긴 시간, 그리고 사람의 동작이 가장 많이 포함된 파일을 우선으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벤트란 ID 인증을 받지 못한 사람이 출입개폐수단을 개폐하였거나 특별한 외력 없이 센서값이 변동되었을 때, 혹은 자신의 우편물이 투입된 상태인 때의 공동택배함을 누군가 개폐 조작하였을 때, 또는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다른 우편함을 개폐하였을 때, 집배원이 우편함을 개폐하였을 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이벤트영상이란 이벤트 시점에서 이미 저장되었던 일시저장 파일을 영상파일로 저장한 것을 말한다(774-1).
우편함제어부(500)는 이와 같이 저장된 영상파일을 우편물 센서와 연동함으로써 당해 개별 우편함 혹은 사용 인가된 공동택배함 사용자ID를 찾아내고(776), 이 사용자ID로 이벤트영상파일을 전송하는 작동을 하게 된다(777).
이와 같은 동작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우편물에 대한 보안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만약 도난이나 오배달 사고가 났을 때 당시의 상황을 영상으로 정확히 추적하여 원인 당사자 및 어느 우편함으로 잘못배달 된 것인지의 히스토리 추적이 가능하게 된다.
바코드리더 등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외형적으로 관찰하여 우편물의 종류와 수량을 파악 가능하게 되며, 이를 통해 기간이나 기온에 따라 손상될 수 있는 생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벤트영상처리는 단 하나의 카메라로 모든 세대 우편함을 감시하되 필요한 이벤트별로 단편적으로 저장된 영상파일을 당해 우편함 세대에 한하여 전달함으로써 저장공간의 축소, 케마라 수량의 축소 및 영상파일 관찰에 대한 인력소모를 극소화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7은 집배원 또는 관리자 조작 시 적격자 여부를 검증하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이다.
종래 사용자와 집배원이 대면하거나 중개인이 개입하여 우편물을 배달하는 것과 달리 무인 우편함이나 무인 택배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유해성 물품을 고의적으로 배달할 우려도 있는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적극적인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택배원에게는 우편함의 개방을 꺼리거나 지정된 집배원(택배기사)로부터 물건을 전달받고자하는 요구도 있다.
이를 위해 우편함제어부(500)에서는 집배원 등의 배달 허용 및 제한 사항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지정은 기관서버, 관제서버 또는 우편함제어부를 통해 등록된 집배원/관리자 등록(785)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집배원리스트테이블(785-1)로서 선택 지정하고 이에 따라 권한허용 또는 권한불허를 요청하는 각각의 사용자 테이블이 만들 수 있다(785-2).
집배원/관리자 데이터는 기관서버나 관제서버에서 신규 생성되거나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782, 783, 784).
이러한 권한 허용/불허를 기초로 집배원이 근접하면(787) 당해 집배원에 모든 사용자 테이블을 검색하여 권한불허가 있는지를 검사하고 권한불허가 없을 때 모든 출입개폐수단을 잠금 해제로까지 조작할 수 있는 최대의 이용권한인 제1이용권한을 부여한다(788, 789).
만약 모든 사용자 중에서 일부만 권한을 허용한 집배원이라면 허용한 테이블(785-3(도시생략))을 기초로 당해 사용자의 우편함만 개방할 수 있는 제2이용권한을 부여한다(790, 791). 즉 집배원은 모든 우편함을 동시에 개폐할 수 없게 된다(즉 도 2b는 사용할 수 없고 도 2c만 사용 가능).
만약 대다수 사용자가 권한허용을 한 집배원이라면 권한불허를 요청한 테이블(785-2) 이외의 사용자는 동시에 개폐할 수 있되, 이때 권한불허(785-2)를 요청한 사용자의 우편함은 후크가 레버와 연동되어서 잠금 심화로 상태로 되는 도 2d의 작동을 수행한다. 즉 제3이용권한(도 2b 참조)이 주어진다.
이로써 우편함제어부(500)는 사용자 각각의 요청을 블록체인으로 검증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보안성과 개별적 프라이버시를 충족하고 집배원에게는 업무상 편의성을 제공하는 두 개의 상반된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 특별한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출입개폐수단은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하드웨어적 구조이므로 이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언으로 재정리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를 수용하는 공동주택 우편함의 개별 세대 우편함에 대한 동시 출입개폐수단에 있어서,
다세대 공통으로 동시에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한 공통 레버를 중심으로,
상기 공통 레버가 평상시의 잠금 위치에 있을 때 개별 세대의 우편함이 평상시 잠금 상태로 되는 제1단계후크수단 ,
상기 공통 레버가 평상시의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통 레버로부터 이탈하여 개별 세대 우편함이 잠금해제 상태로 되는 제2단계후크수단,
상기 공통 레버가 모든 세대 동시 해제로 움직일 때 개별 세대의 잠금을 유지하기 위해 잠금심화 상태로 되는 제3단계후크수단을 포함하도록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용 잠금 장치.”
이 구성에서 상기 제1이용권한, 제2이용권한 및 제3이용권한은 상기 제1이용권한 시 개폐로 작동하는 공통 레버(31-1, 31-2,.. 31-4)를 중심으로 개별 우편함의 제2솔레노이드 후크(예; 1101-b1)가 예를 들면 정상위치(1101-b1)로부터 후진(1101-bo) 또는 전진(1103-b2)으로 양방향 작동되도록 슬라이딩 트립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의 개념은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모터로서 달성할 수 있음을 앞에서 설명한 바 있어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각 후크는 별도의 개별 구조로 형상을 달리 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도시한 후크는 도시생략된 핀 또는 슬리브로 잠금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대체 실시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a는 전자석을 트리거 방식으로 제어하는 구조적 원리를 도시한 것이며, 도 8b는 이를 도어에 결합했을 때 작동하는 상호 연동 원리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8c는 이에 대한 전자석 제어의 원리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영구자석(41a, 41b)이 부설된 가동편(22a-1)의 왕복에 따라 상기 가동편(22a-1)에 연동되는 후크(23a), 즉 홀(22a)을 관통하여 가로지르는 빗장(23a)이 도어를 잠그는 문빗장 역할을 수행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하되, 전자석(42a)의 극성(N, S)에 따른 인력 또는 척력으로 상기 가동편(22a-1)의 영구자석(41a, 41b)이 개방 방향(x2에서 x1 방향) 또는 폐쇄 방향(x1에서 x2 방향)으로 일단 이동을 하면, 그 다음부터는 전자석(42a)의 전원을 끊어도 개 또는 폐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원리를 개시한 것이다.
도 8b에서 상기 빗장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중봉(24a)을 관통하는 중공(22a)과 상기 중공(22a)이 형성된 몸체(22a-1)에 연장 형성된 후크(빗장; 23a)와 상기 몸체(22a-1)의 일부에 영구자석(41a, 41b)이 일체화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영구자석에 가해지는 자력에 의해 상기 중봉(24a)을 관통하는 상기 중공(22a)의 움직임 경로상에서 상기 중공과 일체인 몸체(22a-1)가 이동함으로써 후크를 잠금 혹은 해제하도록 작동한다.
중봉(24a)은 하우징(42b)과 결합되어 고정된 틀을 형성하는 이동편의 작동중심을 유지하는 기구이다.
하우징(42b)은 상기 가동편을 수용하되 상기 가동편의 일측에 부설된 영구자석(41a, 41b)의 자력에 의해 개 또는 폐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안정되도록 자력에 반응하는 부재이다. 하우징 전체를 자성체로 구성할 수 있고, 절연 부재에 부분적으로 자성체를 삽입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석(42a)은 상기 하우징(42b)의 일측에 부설되되 온 또는 오프 제어에 따라 전극의 극성이 다르게 가해지고 그에 따라 자성체의 자극이 반전되는 부재이다.
상기 전자석과 상기 가동편은 서로 인력 또는 척력으로 작용하되, 전기적으로 일단 제어된 후에는 하우징(42b)과 가동편(22a-1) 간 자력으로 개 또는 폐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스마트 우편함 장치의 도어를 상기 전자석과 영구자석의 반응에 의한 트리거 제어 토글스위치로 개폐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b의 (a)에서 1200은 도어가 닫힌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여기서 1200a는 빗장(23a)이 삽입될 홀(hole)이다. 도 8b의 (b)는 상기 홀에 빗장이 끼워져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b의 (c)는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로서 점선은 도어가 들려져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실선은 도어가 내려져 닫힌 후 빗장(23a)이 홀(1200a)를 관통하여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b의 (a)와 (b)로서 핵심적인 가동편의 작용을 도면으로 다시 정리하면,
도 8b의 (a)에서의 가동편은 전자석의 극성에 따라 인력이 작용함으로써 가동편은 전자석과 밀접한 상태로 접착된다. 이때 가동편에 부설된 영구자석은 금속 등으로 구성된 하우징에 가동편의 N극이 접착되므로 전원이 없더라도 접착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전자석에 공급되는 전압의 극성이 반대로 되면 전자석의 N극이 가동편의 영구자석 N극과 대향되어 척력으로 작동한다. 이에 따라 가동편은 도 8b의 (b)처럼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일단 이동이 된 후에는 금속으로 된 하우징과 가동편의 S극이 접착되므로 그 다음부터는 전원을 끊더라도 하우징과 접착된 영구자석의 접착력에 의하여 그 이동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런 과정으로 (a)는 개방, (b)는 폐쇄로 작동하여 도어의 개폐가 제어된다.
하우징(42b)에는 가동편이 중심을 잡아 예를 들면 수평면의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는 중심축으로서 중봉(24a)이 설치되고, 상기 가동편 몸체(22a-1)는 상기 중봉을 관통하는 중공(22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가 예를 들면 수평면으로만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22a-1)로부터 연장된 연동 기구물로서 후크(빗장; 23a)가 형성되고 이 후크가 도어를 개 또는 폐 상태로 작용시키는 빗장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가동편(22a-1)의 주요 역할은 정해진 경로상에서 위치를 이동하는 전자석 자물쇠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42b)은 상기 가동편(22a-1)을 수용하는 하우징으로서 양 측단 측벽이 금속 등 자력에 반응하는 부재로 구성된다. 즉 가동편에 부설된 영구자석이 왼쪽으로 치우치면 하우징의 왼쪽 측벽과 영구자석 간에 인력(引力)이 작용하여 서로 접착된 상태로 유지되고(도 1a의 (a) 참조), 가동편에 부설된 영구자석이 오른쪽으로 치우치면 하우징의 오른쪽 측벽과 영구자석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서로는 접착된 상태로 유지된다(도 1a의 (b) 참조). 이때의 접촉 유지는 자력을 통한 자연력에 의존하므로 외부전원이 불필요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하우징은 ㄷ자 형태의 단일 몸체를 도시한 것이지만 좌우측의 경계면에 자력의 절연이 가능한 부재를 삽입하면 더 좋다.
하우징은 영구자석과 가까운 측벽에서 접착력이 강해지므로 일단 하우징과 영구자석이 인력으로 접착되면 거리가 먼 반대 측벽에 비하여 강력한 자력으로 그 상태의 접착성이 유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석은 필요에 따라 이를 해제하는 척력(斥力)을 발생하거나 다시금 끌어당기는 인력(引力)으로 상태를 전환시키는 것이므로, 인력으로 유지되는 작용은 영구자석에 의해, 그리고 척력 또는 인력으로 변동을 일으키는 작용은 전자석에 의한 트리거 타입의 전자적 제어로서 달성되는 특이한 작동을 하게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8c는 상기 전자석(42a)이 트리거(Trigger; 방아쇠처럼 단발성 충격전압)로 극성이 반전되는 신호에 의해 on-off 제어되는 원리를 예를 들어 설명하는 전자회로이다.
즉, on 신호(51a)가 공급되는 펄스(51) 때는 Q1과 Q4가 작동하므로 전자석의 (42a-1)단자에는 (+)전압이 가해지고 (42a-2)단자에는 (-)전압이 가해진다. off 신호(52a)가 공급되는 펄스(52) 때는 Q2와 Q3이 작동하므로 전자석의 (42a-2)단자에는 (+)전압이 가해지고 (42a-1)단자에는 (-)전압이 가해진다. 즉 서로 반대의 전압 극성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전자석의 자극인 N극과 S극은 서로 반대의 극성으로 바뀌게 되므로 앞에서 설명한 인력(引力) 및 척력(斥力) 작용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종래의 전자석 제어에서는 on 또는 off 전류가 지속적으로 흘러야만 개 또는 폐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단발성 펄스 전류(51a, 52a)로 개 또는 폐로 상태가 바뀌는 것이므로 여러 우편함 도어를 동시에 개방하더라도 일정한 펄스 시간 간격으로 시간차를 주어서 순서적으로 개방할 경우 단 하나를 제어하는 전원 용량으로도 모든 우편함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되는 현저한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미 설명부호 1200-1은 힌지이다.
도 8c는 NPN 트랜지스터(Q1 내지 Q4)를 조합하고 베이스에 공급되는 트리거펄스를 on 및 off용으로 별도 입력단을 구성한 경우의 전자회로이지만, 이를 PNP 트랜지스터와 조합하면 단일 입력단으로 정역 극성의 펄스를 가하여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나아가 플립플롭을 이용하는 클록펄스 타입의 on-off 신호를 공급하는 것으로도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하우징(42B)은 단일 부재로 일체화 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제로는 좌측과 우측을 자성체 측면에서 절연 상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절연에 의하면 전자석의 자력이 우측 벽면에까지 미치는 영향은 줄이면서 영구자석에 영향을 주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역구자석과 하우징이 닿는 부분에는 도시생략된 충격완화용 쿠션을 보조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8c는 단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일 뿐 이 외에도 도시생략된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특히 도 8a, b, c의 핵심은 전자식 펄스회로로 가동편의 상태를 전환하여 우편함의 문을 개 또는 폐 상태로 조작하되, 무(無)전력 솔레노이드 제어 및 기계식 래치(Latch)가 조합된 토글스위치 기능이 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출입문개폐 구조는 힌지 형태의 상하좌우의 회전문이거나 전후 슬라이딩 서랍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이벤트 영상에서의 영상파일은 집배원이 수납하는 때는 저속으로, 집배원 아닌 자에 의한 이벤트 발생 시에는 고속으로 촬영하는 가변적 구성을 통해 영상파일 용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벤트 여부를 감지할 때의 접근 거리는 1~10m가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우편물이 내장되어 있고 없고를 외부에 별도의 램프 또는 단일 램프에서 색깔로 구분해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리더는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는 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 명세서는 공지의 기술들을 포함하거나 이용하는 위에서 안출된 것이므로, 공지기술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추가적인 이해가 필요할 때는 공지기술에서 참조하여야 한다.
같은 맥락으로, 본 발명의 우편함 구성은 상기 일실시예로 설명한 것 외에도 동일한 컨셉 하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지만 그 하나하나의 실시예별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생략된 설명에 대하여는 이를 배제한다는 의미가 아닌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를 이해함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일례로 제시한 것뿐만 아니라 청구범위가 개시하는 문언적 의미 및 군등론적 범위의 대체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설명으로부터 유추되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수단을 당연히 포함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출입개폐수단(1101-b1~1410-b1 및 21,22,23,31,32,34)
우편함(100);
단말통신부(200);
집배원단말부(300a);
사용자단말부(400);
집배원ID(501a)
관리자ID(501b)
사용자ID(501c)
우편함제어부(500);
40개의 세대가 통합 수용된 우편함 모습(101~410)
조작 패널의 디스플레이와 키패드(키보드), 정보입력부(1100-3, 505)
공통택배함(1100-1-a, 1100-2-a)
카메라(100-1)
101우편함의 전면부를 확대한 모습(1101-a)
제1출입구개방수단(11)
제2출입구개방수단(12)
제3출입구개방수단(13)
세대별 후크를 걸어 둘 베이스로 되는 공통 레버(31-1, 31-2,.. 31-4)
잡김 상태인 각 세대의 후크(1101-b1, 1102-b1,... 1401-b1....)
개별적으로 잠금 해제된 두 개 우편함의 후크 모습(1101-b0 및 1202-b0)
잠금이 심화된 두 개 우편함의 모습(1103-b2 및 1403-b2)
제1솔레노이드(21)
실린더(22, 23)
전외선센서(508)
키패드부, 정보입력부(505)
보조센서(507)
바코드리더(506)
외부 서버(601, 602, 603, 604)
네트워크통신프로세스(504)
무선통신용 단말통신프로세스(502)
IoT프로세스(503)
블록체인프로세스(501)
기관서버(601)
단지서버(603)
클라우드서버(602)
네트워크(600)
관제시스템(604)
카메라및영상DB(100-1, 100-2)
센서(100-2, 100-2-1,.... 100-2-n)
단말통신프로세스 및 IoT프로세스(741 ~ 754)
블록체인 및 IoT 프로세스(702 ~ 725)
이벤트영상처리 프로세스(772 ~ 777)
블록체인 프로세스(782 ~ 791)
영구자석(41a, 41b)
가동편 몸체(22a-1)
후크, 빗장(23a)
홀(22a)
전자석(42a)
하우징(42b)
중봉(24a)
중공(22a)
도어(1200)
빗장이 삽입되는 홀(1200a)

Claims (34)

  1. 우편물 일시 수납을 위해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며 이용권한을 부여받은 집배원 또는 사용자가 개폐할 수 있도록 출입개폐수단을 구비한 우편함;
    상기 우편함에 장착되고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이동단말과 통신을 연계하는 단말통신부;
    상기 우편함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상기 단말통신부와 통신이 개설되고 그로 인해 단말을 소지한 집배원이 이용권한을 부여받음으로써 당해 집배원이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우편함과 연계 작동되는 집배원단말부;
    상기 우편함으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 상기 단말통신부와 통신이 개설되고 그로 인해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이용권한을 부여받음으로써 당해 사용자가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우편함과 연계 작동되는 사용자단말부;
    집배원ID 및 사용자ID를 복수개로 저장하고 상기 단말통신부를 통해 상기 집배원단말부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부로 이용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이용권한을 부여하기 전에 상기 저장된 집배원ID와 사용자ID 정보를 상호 연동하여 신뢰성을 검증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이용권한을 요청한 집배원ID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ID 중 누구라도 권한불허로 사전 등록한 경우 당해 집배원에 대하여 상기 출입개폐수단의 이용권한이 제한되고 상기 권한불허의 요청이 없는 경우 당해 집배원에게는 모든 사용자ID의 우편함에 대한 출입개폐수단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이용권한이 부여되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은 자신의 사용자ID에 해당하는 우편함을 사용하고자 할 때 이용권한이 부여되어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잠금 해제로 제어하는 한편,
    상기 집배원단말부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부에서 사용종료를 입력하거나 상기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여 상기 단말통신부와 통신이 해제될 때 상기 출입개폐수단이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작동 제어하는 우편함제어부;
    상기 우편함제어부의 출입개폐수단 제어에 의하여 집배원 및 사용자에게 우편함 이용권한을 부여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2. 우편물 일시 수납을 위해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며 이용권한을 부여받은 집배원 또는 사용자가 개폐할 수 있도록 출입개폐수단을 구비한 우편함;
    상기 우편함에서 이용권한을 부여받음으로써 집배원 및 사용자가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우편함과 연계 작동되는 정보입력부;
    집배원ID 및 사용자ID를 복수개로 저장하고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집배원 또는 상기 사용자로 이용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이용권한을 부여하기 전에 상기 저장된 집배원ID와 사용자ID 정보를 상호 연동하여 신뢰성을 검증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이용권한을 요청한 집배원ID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ID 중 누구라도 권한불허로 사전 등록한 경우 당해 집배원에 대하여 상기 출입개폐수단의 이용권한이 제한되고 상기 권한불허의 요청이 없는 경우 당해 집배원에게는 모든 사용자ID의 우편함에 대한 출입개폐수단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이용권한이 부여되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은 자신의 사용자ID에 해당하는 우편함을 사용하고자 할 때 이용권한이 부여되어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잠금 해제로 제어하는 한편,
    상기 집배원 또는 상기 사용자가 사용종료를 입력하거나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조작한 때로부터 설정기간을 초과한 때에 상기 출입개폐수단이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작동 제어하는 우편함제어부;
    상기 우편함제어부의 출입개폐수단 제어에 의하여 집배원 및 사용자에게 우편함 이용권한을 부여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개폐수단의 잠금 해제 및 잠금 상태는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 후크를 제어하는 전자적 제어수단으로 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개폐수단의 잠금 해제 및 잠금 상태는 이용권한을 받은 개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개폐수단의 잠금 해제 및 잠금 상태는 평상시에 소형물건 투입이 가능한 제1단계로 개방되는 제1출입구개방수단, 이용권한을 받지 않은 자가 조작하면 제1단계보다 큰 제2단계로 출입구를 개방하는 제2출입구개방수단, 이용권한을 받은 자가 조작하면 제2단계보다 더 큰 제3단계로 출입구를 개방하는 제3출입구개방수단으로 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부는 카메라, 적외선센서, 키패드, 바코드리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부여받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부는 집배원,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부는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인식, 눈동자인식 또는 지문인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입구개방수단, 제2출입구개방수단 또는 제3출입구개방수단은 솔레노이드 후크를 다단으로 작동시키거나 스테핑 모터로서 도어를 슬라이딩으로 다단계 개방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개별 세대 우편함의 크기를 초과하는 물건용 공동택배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배원이 지정한 사용자ID에 대하여는 우편함제어부가 공동택배함의 이용권한을 부여하여 이용권한을 부여받은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당해 공동택배함 출입개폐수단을 잠금 해제 또는 잠금 상태로 제어하도록 된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개폐수단은 적어도 두 개 이상 동시에 개방하는 연동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집배원에게 동시 개폐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통신부는 일정거리 이내의 범위를 신호 통달거리로 하는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신호통달(RSSI 등) 범위 내에서 이 비콘 신호를 수신한 단말이 자신의 ID로 응답 등록하여 권한 여부를 확인받는 절차로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집배원단말부는 일정지역을 관장하는 지역관리자를 할당한 후에 집배원의 역할을 보조하거나 집배원의 권한을 위임받아 상기 우편함의 관리를 할 수 있는 관리자단말부로 된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부는 이동상태에서 우편물 도착 내지 발송정보를 문자 또는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말부는 이동 상태에서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는 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우편함제어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우편물데이터, 업데이트데이터, 모니터링데이터 또는 관제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연동하는 네트워크통신프로세스를 포함하며, 단말통신부를 작동하기 위한 무선통신용 단말통신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구 개폐수단을 작동 및 센서로부터의 우편물 배달 및 발송 정보를 감지하는 IoT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자체 저장된 복수의 ID데이터 간을 상호 연동하여 권한불허 여부를 검증하는 로컬베이스 블록체인프로세스를 포함하고, 키패드와 카메라및영상DB를 연동하여 문자, 기호, 영상 정보를 처리, 저장 및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컴퓨터베이스 플랫폼으로 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17.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권한 여부는 자체 저장 보관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ID 등 정보는 우편함에서 직접 등록하거나 단지서버 혹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단지서버나 클라우드서버에는 관제시스템이 연동되어 원격으로 총괄 관리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함제어부에는 상기 우편함제어부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 내지 각 ID를 등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19.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함제어부에는 외부 서버와 연동되어 원격으로 업데이트, 등록,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관제시스템 연동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20.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함제어부에는 외부 서버와 연동되어 원격으로 우편물 발송을 요청할 수 있는 반송요청부 연동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21.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함제어부에는 사용자단말부와 연동되어 우편물 배달 결과를 알리는 배달알림부 연동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22.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함제어부에는 개별 우편함 내부에 설치되어 우편물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연동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우편함으로부터 우편물이 수거될 때를 감지하여 기초 드레시홀드를 재설정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2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사용자ID에 의하지 않고 센서의 상태가 가벼워진 경우 또는 집배원의 출입구 개폐로 센서의 상태가 무거워진 경우는 모두 사용자에게 경보를 보내거나 우편물도착 알림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우편함제어부는 카메라 및 영상DB를 연동하여 센서 감지와 영상 정보를 이벤트 시점에서 일정기간 소급저장 하는 이벤트영상정보 처리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함제어부는 키패드를 이용하여 ID를 입력하고 개폐버튼을 조작하면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버튼 조작시점 또는 상기 개폐버튼 조작 후 출입구 개 또는 폐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출입구가 폐쇄로 복귀됨으로써 상기 집배원단말부 또는 상기 사용자단말부를 미소지한 상태에서도 집배원 또는 사용자가 상기 출입개폐수단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집배원단말부를 소지한 자가 근접하면 적어도 둘 이상의 출입구가 동시에 잠금 해제되고 집배원이 멀어지면 자동 폐쇄되며, 사용자단말부를 소지한 자가 근접하면 당해 사용자ID로 지정된 우편함이 잠금해제 되고 멀어지면 자동으로 잠금 상태가 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집배원단말부를 소지한 자가 근접한 후, 개폐버튼 또는 바코드리더를 조작하면 적어도 둘 이상의 출입구가 동시에 잠금 해제되고 집배원이 멀어지면 자동 폐쇄되며, 사용자단말부를 소지한 자가 근접한 후 개폐버튼을 조작하면 당해 사용자ID로 지정된 우편함이 잠금해제 되고 멀어지면 자동으로 잠금 상태가 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29. 제1항에 있어서,
    집배원이 근접한 상태를 집배원단말부를 통해 인지함과 아울러 사람의 근접유무를 카메라가 추가적으로 확인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출입구가 동시에 잠금 해제되고 집배원이 멀어지면 자동 폐쇄되며, 사용자가 근접한 상태를 사용자단말부를 통해 인지함과 아울러 사람의 근접유무를 카메라가 추가적으로 확인하여 당해 사용자ID로 지정된 우편함을 자동 해제하고 멀어지면 자동 잠금 상태가 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30.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집배원ID에 대하여 어떤 사용자ID에서도 권한제한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자동으로 모든 우편함을 개방 제어하는 제1이용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집배원ID에 대하여 일부가 이용권한을 허용한 경우 허용한 일부 우편함만 부분적으로 개방 제어하는 제2이용권한이 부여되며, 상기 집배원ID에 대하여 다수가 이용권한을 허용한 경우 허용한 사용자ID에는 동시 개방 제어할 수 있음과 아울러 권한제한안 이용자에게는 동시 개방 시 잠금 심화 상태를 유지하는 제3이용권한이 부여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3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용권한, 제2이용권한 및 제3이용권한은 상기 제1이용권한 시 개폐로 작동하는 레버를 중심으로 개별 우편함의 솔레노이드 후크가 두 개 이상의 상태를 갖도록 작동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32. 복수의 사용자를 수용하는 공동주택 우편함의 개별 세대 우편함에 대한 출입개폐수단에 있어서,
    다세대 공통으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한 공통 레버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가 평상시 상태에서 개별 세대의 평상시 잠금 상태로 되는 제1단계후크수단 ,
    상기 레버로부터 이탈하여 개별 세대 우편함이 잠금해제 상태로 되는 제2단계후크수단,
    상기 레버가 움직일 때도 개별 세대의 잠금을 유지하는 잠금심화 상태로 되는 제3단계후크수단을 포함하도록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용 잠금 장치.
  33. 제3항에 있어서,
    영구자석이 부설된 가동편과 상기 가동편의 이동에 따른 물리적 상태를 달리하는 후크부;
    상기 가동편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로 자력이 가해지도록 연결 부착되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극성에 따른 인력 또는 척력으로 상기 가동편이 이동되며 이동된 후에는 전자석의 전원을 끊더라도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이 상기 하우징에 작용하여 상기 이동 상태가 유지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자석은,
    하우징에 고정된 중심축인 중봉을 관통하는 중공과 상기 중공이 형성된 몸체에 연장 형성된 후크(빗장)와 상기 몸체의 일부에 영구자석이 부설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영구자석에 가해지는 자력에 따라 상기 중봉을 중심으로 상기 중공을 포함하는 몸체가 이동함으로써 후크를 잠금 혹은 해제로 제어하는 가동편;
    상기 가동편을 수용하되 상기 가동편의 일측에 부설된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개 또는 폐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안정되도록 자력에 반응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부설되는 전자석이되 온 또는 오프 제어에 따라 전극의 극성이 다르게 가해지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의 자력이 상기 가동편에 인력 또는 척력으로 작용하여 전기적으로 일단 제어된 후에는 하우징과 가동편의 자화 작용으로 개 또는 폐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전자석의 전기적 제어를 트리거 방식의 토글스위치로 제어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편함 장치.

KR1020180104153A 2018-06-18 2018-09-01 IoT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우편함 장치 및 스마트 우편함용 잠금 장치 KR20200003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873 2018-06-18
KR20180069873 2018-06-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348A true KR20200003348A (ko) 2020-01-09

Family

ID=6915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153A KR20200003348A (ko) 2018-06-18 2018-09-01 IoT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우편함 장치 및 스마트 우편함용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33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285B1 (ko) 2021-01-31 2021-07-21 (주)엔지엠컴퍼니 층간소음 방지재
CN113903115A (zh) * 2021-10-04 2022-01-07 哈尔滨徙木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安防***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285B1 (ko) 2021-01-31 2021-07-21 (주)엔지엠컴퍼니 층간소음 방지재
KR102283621B1 (ko) 2021-01-31 2021-07-29 (주)엔지엠컴퍼니 층간소음 방지재
CN113903115A (zh) * 2021-10-04 2022-01-07 哈尔滨徙木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安防***
CN113903115B (zh) * 2021-10-04 2024-05-03 深圳盛达德安全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智慧城市安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14797B (zh) 具有基于定位的意图检测的物理访问控制***
US116256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storage room
US10643415B2 (en) Package management system with accelerated delivery
US20170228953A1 (en) Proximity access control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06204948A (zh) 储物柜管理方法及储物柜管理装置
JP2011505644A (ja) ビデオインターフォンおよびリモートの仮想ドアマンを介して、宅配用のロッカーに接続して操作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11862435B (zh) 一种多门互锁的配置方法、开门方法及门禁***
CN108946348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电梯控制方法
CN110349300A (zh) 具有面向内部的显示屏的智能锁***
KR20200003348A (ko) IoT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우편함 장치 및 스마트 우편함용 잠금 장치
JP2011118611A (ja) 荷物預入れシステム
CN108921985A (zh) 一种酒店旅客管理方法及客房门锁***
CN111192388A (zh) 一种智能门铃
CN105913529B (zh) 一种联网门禁的开锁控制方法及***
JP2024050659A (ja) ロッカーシステム及びロッカー管理方法
US20200169981A1 (e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CN207489127U (zh) 一种小区门禁管理***
US20200286036A1 (en) Automated storage area
JP7089360B2 (ja) 設備機器作動システム
KR101707781B1 (ko)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시스템
KR101707782B1 (ko) IoT 기반의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제어방법
CN110473329B (zh) 门禁卡信息管理方法、管理***及智能终端
CN109219682A (zh) 电子锁***和电子锁装置
KR101707999B1 (ko)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관리 시스템
KR101874239B1 (ko) 공공 우편함이 구비된 폐쇄형 스마트 우편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