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543A - Greenhouse control system including dual fancoil part and dual sterilization part - Google Patents

Greenhouse control system including dual fancoil part and dual sterilization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543A
KR20200002543A KR1020180076159A KR20180076159A KR20200002543A KR 20200002543 A KR20200002543 A KR 20200002543A KR 1020180076159 A KR1020180076159 A KR 1020180076159A KR 20180076159 A KR20180076159 A KR 20180076159A KR 20200002543 A KR20200002543 A KR 20200002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house
air
temperature
pipe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엠
Priority to KR102018007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543A/en
Publication of KR20200002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5Conduits for heating by means of liquids, e.g. used as frame members or for soil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i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eenhouse control system comprises: a pipe installed under the ground at a fixed depth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ir ports; a first greenhouse controll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pe and providing air, of which the temperature is regulated and which is sterilized and disinfected, through the pipe; a second greenhouse controll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ipe and providing air, of which the temperature is regulated and which is sterilized and disinfected, through the pipe; and a greenhouse receiving the air, of which the temperature is regulated and which is sterilized and disinfe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ports, and discharging the supplied air to the atmosphere through air spurting ports.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comprise,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fan coil units for temperature regulation; and first and second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units for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oreover,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can control to operate the second fan coil unit or the second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unit when the first fan coil unit or the first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unit is in a malfunction state. Therefore,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can increase a heating effect in a greenhouse, can evenly regulat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can reduce heating and cooling costs, and can suppress bacteria, viruses, etc.

Description

이중 팬코일부 및 살균소독부를 포함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GREENHOUSE CONTROL SYSTEM INCLUDING DUAL FANCOIL PART AND DUAL STERILIZATION PART}Greenhouse Control System with Double Fan Coil and Sterilization {GREENHOUSE CONTROL SYSTEM INCLUDING DUAL FANCOIL PART AND DUAL STERILIZATION PART}

본 발명은 온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온실 제어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eenhouse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ergy saving eco-friendly greenhouse controller and a greenhous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온실(greenhouse)은 비닐이나 유리 등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온실에서는 농작물의 적정 재배 온도를 맞추기 위해, 겨울에는 난방 장치를 가동하고 여름에는 냉방 장치를 가동한다. 난방 장치는 대류 작용에 의해 실내 온도를 높인다. 즉, 난방 장치에서 가열된 에어(air)는 지붕으로 상승하고 어느 온도로 냉각되면 하강한다. 이러한 대류 작용은 에어가 상승하고 하강하는 곳이 있어 난방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Greenhouses can be made from vinyl or glass. In greenhouses, heating is operated in winter and air conditioning is operated in summer in order to achieve the proper temperature for growing crops. The heating device raises the room temperature by the convection action. That is, the air heated in the heating device rises to the roof and descends when cooled to a certain temperature. This convection action is where the air rises and falls, so that the heating effect can be halved.

또한, 온실 내부의 지면 근처로는 열기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대형 온실의 경우에는, 난방 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온도 차가 커서 농작물의 적정 재배 온도를 전체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 여름에는 농작물의 적정 온도를 위해 냉방 장치(예를 들면, 에어컨 등)를 가동해야 하는 데, 연료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온실의 경우에, 밀폐된 공간에서 난방 또는 냉방 장치가 계속해서 가동되기 때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취약할 수 있다.In addition, heat may not be supplied near the ground inside the greenhous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large greenhouses,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large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heating device is installed,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maintain the proper cultivation temperature as a whole. In summer, a cooling device (for example, an air conditioner, etc.) needs to be operated for proper temperature of crop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fuel costs are high.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greenhouse, since the heating or cooling device is continuously operated in a closed space, it may be vulnerable to bacteria or viruses.

본 발명은 상술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온실의 난방 효과를 높이고 온실 내부 곳곳에 고르게 온도 조절할 수 있고, 냉난방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억제할 수 있는 온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heating effect of the greenhouse and evenly regulate the temperature throughout the greenhouse, reduce the cost of heating and cooling, can suppress bacteria and viruses, etc. To provide a greenhouse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은, 지면 아래 소정의 깊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에어 포트와 연결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되고, 온도 조절되고 살균 소독된 에어를 상기 파이프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 1 온실 제어기; 상기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되고, 온도 조절되고 살균 소독된 에어를 상기 파이프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 2 온실 제어기; 및 상기 복수의 에어 포트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에서 제공된 온도 조절되고 살균소독된 에어를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에어는 에어 분출구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는 온실을 포함한다.Greenhous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epth below the ground an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ir ports; A first greenhouse controll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pe, for providing temperature controlled and sterile sterilized air through the pipe; A second greenhouse controll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ipe, for providing temperature controlled and sterilized air through the pipe; And a greenhouse that is supplied with temperature-controlled and sterilized air provided by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ports, and the supplied air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an air outlet.

상기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 각각은 온도 조절을 위한 제 1 및 제 2 팬코일부와 살균 소독을 위한 제 1 및 제 2 살균소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팬코일부 또는 상기 제 1 살균소독부가 오동작 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팬코일부 또는 상기 제 2 살균소독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includes first and second fan coil parts for temperature control and first and second sterilizers for sterilization, and the first fan coil part or the first sterilizer is malfunctioning. In this case, the second fan coil unit or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실시 예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 각각은 대기 에어의 오염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항균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팬코일부는 상기 항균필터부를 통해 입력된 에어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살균소독부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팬코일부의 온도 조절된 에어를 살균소독하고, 상기 살균소독된 에어를 상기 파이프로 제공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may further include an antibacterial filter unit for filtering contaminants of atmospheric air, and the first or second fan coil units may preset air input through the antibacterial filter unit. The temperature may be controlled, and the first or second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may be sterilized and the temperature controlled air of the first or second fan coil unit may be provided to the pipe.

실시 예로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팬코일부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 상기 온도 조절된 물을 순환하기 위한 순환 파이프; 상기 순환 파이프를 통해 상기 온도 조절된 물을 공급받고, 열이나 냉기를 발생하는 라디에이터; 및 상기 온도 조절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라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또는 제 2 팬코일부는, 상기 순환 파이프의 물을 강제로 순환하기 위한 순환 펌프; 상기 순환 파이프 내의 물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수 공급기; 및 상기 라디에이터로 바람을 제공함으로 열이나 냉기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or second fan coil unit may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water; A circulation pipe for circulating the temperature-controlled water; A radiator receiving the temperature-controlled water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and generating heat or cold air; And a controll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adiator. The first or second fan coil portion, the circulation pump for forcibly circulating the water of the circulation pipe; A replenishment water supply for replenishing water in the circulation pipe; And by providing a wind to the radiator may further include a blowing fan for exporting heat or cold air to the outside.

실시 예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살균소독부는 차아염소산을 살균소독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살균소독부는 상기 온도 조절된 에어와 결합되어 분무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상기 차아염소산을 분사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sterilization units may use hypochlorous acid as a disinfectant. The first and second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may inject the hypochlorous acid throug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to be combined with the temperature controlled air to make a spray form.

실시 예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는 상기 제 1 팬코일부의 오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오작동 감지부; 및 상기 제 1 살균소독부의 오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오작동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에어 포트는 에어 뚜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에어 뚜껑은 상기 온실로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온실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온실의 지붕에 설치된 에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may include a first malfunc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malfunction of the first fan coil unit; And a second malfunc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malfunction of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The plurality of air ports may have an air lid. The air lid may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greenhouse. The air supplied to the greenhouse may be discharged through an air outlet installed in the roof of the greenhous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은 온실 내부에 별도의 냉난방 장치(예를 들면, 에어콘이나 히터)를 설치하지 않고도, 온실 내부의 온도를 고르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실 제어 시스템은 이중 팬코일부 및 이중 살균소독부를 사용함으로, 시스템의 오동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시스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Greenhous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venly adjust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ir conditioning unit (for example, air conditioning or heater) in the greenhouse. In addition,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double fan coil unit and a double sterilization uni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the malfunction of the system and to extend the life of th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실의 지면 아래와 천장 부분의 A-A'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이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이프의 단면이 지면 아래 설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팬코일부와 이중 살균소독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 1 팬코일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 1 살균소독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reenhous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the bottom and ceiling of the greenhouse of FIG. 1.
FIG. 3 exemplarily shows the pipe shown in FIG. 2, and FIG. 4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pipe shown in FIG. 3 installed below the ground.
FIG. 5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double fan coil unit and a double sterilization unit shown in FIG. 1.
6 and 7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first fan coil unit illustrated in FIG. 5.
FIG. 8 is a view showing a first sterilization unit shown in FIG. 5 by way of example.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learly an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제 1 온실 제어기(1100), 제 2 온실 제어기(1200), 그리고 온실(1300)을 포함한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reenhous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1000 includes a first greenhouse controller 1100, a second greenhouse controller 1200, and a greenhouse 1300.

도 1의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온실(1300)의 좌우에 있는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를 통해 대기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이 보다 적거나 더 많은 온실 제어기를 통해 대기 에어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가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의 활용 방법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1000 of FIG. 1 may receive atmospheric ai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1100 and 120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reenhouse 1300. However,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lied with atmospheric air through fewer or more greenhouse controllers. 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1100 and 1200 are shown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in FIG. 1, depending on the method of utilizing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have a different configuration.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는 각각 항균필터부(1110, 1210), 이중 팬코일부(1120, 1220), 그리고 이중 살균소독부(1130, 123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는 온실(1300)의 지면 아래에 설치된 파이프(1310)로 살균/소독된 난방 또는 냉방 에어를 제공할 수 있다. 온실(1300)의 파이프(1310)에는 복수의 에어 포트(1311)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를 통해 들어온 난방 또는 냉방 에어는 에어 포트(1311)를 통해 온실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온실 내부로 들어온 에어는 온실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온실 지붕의 에어 배출부(도 2 참조, 1320)를 통해 외부로 나갈 수 있다.1,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1100 and 1200 respectively include the antibacterial filter units 1110 and 1210, the double fan coil units 1120 and 1220, and the double sterilization unit 1130 and 1230, respectively. It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1100 and 1200 may provide sterilized / disinfected heating or cooling air to a pipe 1310 installed below the ground of the greenhouse 1300. A plurality of air ports 1311 may be installed in the pipe 1310 of the greenhouse 1300. Heating or cooling air enter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1100 and 1200 may enter the greenhouse through the air port 1311. The air introduced into the greenhouse may control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greenhouse, and may go out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see FIG. 2, 1320) of the greenhouse roof.

도 1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는 동일한 내부 구성 및 동작 원리를 갖는 바, 이하에서는 제 1 온실 제어기(1100)의 구성 및 동작이 주로 설명될 것이다. 제 1 온실 제어기(1100)는 대기 에어를 불어넣은 에어 공조실(도시되지 않음)의 에어 공조 포트를 통해 대기 에어를 공급 받을 수 있다. Since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1100 and 1200 shown in FIG. 1 have the same interna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rst greenhouse controller 1100 will be mainly described below. The first greenhouse controller 1100 may receive atmospheric air through an air conditioning port of an air conditioning room (not shown) in which atmospheric air is blown.

항균필터부(1110)는 에어 공조실에서 들어온 대기 에어의 오염 물질이나 먼지 등을 1차적으로 걸러낼 수 있다. 항균필터부(1110)는 대기 에어를 항균 처리를 함으로 곰팡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항균필터부(1110)는 탈부착 가능한 항균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항균필터는 사용법에 따라 일정 주기마다 교체될 수 있다. 항균필터부(1110)를 통과한 대기 에어는 파이프를 통해 이중 팬코일부(1120)로 유입될 수 있다.The antibacterial filter 1110 may primarily filter contaminants, dust, and the like of atmospheric air from the air conditioning chamber. The antibacterial filter 1110 may remove mold or bacteria by performing antibacterial treatment on atmospheric air. The antibacterial filter 1110 may include a removable antibacterial filter. The antimicrobial filter can be replaced at regular intervals depending on usage. Atmospheric air passing through the antimicrobial filter unit 11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double fan coil unit 1120 through a pipe.

이중 팬코일부(1120)는 대기 에어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이중 팬코일부(1120)에는 적어도 두 개의 팬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팬코일부(1120)는 오동작 감지 수단을 이용하여, 하나의 팬코일부에서 오동작이 감지되면 다른 팬코일부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dual fan coil unit 112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temperature of atmospheric air. The dual fan coil part 1120 may include at least two fan coil parts. The dual fan coil unit 1120 may control the other fan coil unit to automatically operate when a malfunction is detected in one fan coil unit by using a malfunction detecting means.

이중 팬코일부(1120)는 물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발열 장치와 낮추기 위한 냉각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발열 장치와 냉각 장치 중 어느 하나만 가질 수도 있다. 이중 팬코일부(1120)는 발열 장치 또는 냉각 장치를 통해 물의 온도를 올리거나 낮추고, 순환 펌프를 통해 배관에 흐르는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이중 팬코일부(1120)는 라디에이터를 이용하여 유입된 대기 에어의 온도를 올리거나 낮출 수 있다. 이중 팬코일부(1120)는 송풍팬을 이용하여 대기 에어를 이중 살균소독부(1130)로 불어넣을 수 있다.The dual fan coil unit 1120 may include a heating device f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and a cooling device for de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nly one of the heating device and the cooling device may be provided. The dual fan coil unit 1120 may raise or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hrough the heating device or the cooling device, and circulate the water flowing in the pipe through the circulation pump. The dual fan coil unit 1120 may raise or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introduced atmospheric air by using a radiator. The double fan coil unit 1120 may blow the atmospheric air into the double sterilization unit 1130 using a blowing fan.

이중 살균소독부(1130)는 이중 팬코일부(1120)에서 유입된 대기 에어를 최종적으로 살균 처리하거나 소독할 수 있다. 이중 살균소독부(1130)에는 적어도 두 개의 살균소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살균소독부(1130)는 오동작 감지 수단을 이용하여, 하나의 살균소독부에서 오동작이 감지되면 다른 살균소독부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ouble sterilization unit 1130 may finally sterilize or disinfect the atmospheric air introduced from the double fan coil unit 1120. The double sterilization unit 1130 may include at least two sterilization units. The double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1130 may control the other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to automatically operate when a malfunction is detected in one sterilization unit using a malfunction detection means.

이중 살균소독부(1130)는 친환경 살균제 또는 친환경 소독제를 이용하여 대기 에어를 살균/소독 처리할 수 있다. 이중 살균소독부(1130)는 살균제나 소독제를 차갑게(cold) 해서 대기 에어에 분사 또는 분무할 수 있다. 이중 살균소독부(1130)는 살균 또는 소독된 대기 에어를 온실(1300)의 지면 아래 설치된 파이프(1310)로 제공할 수 있다.The double sterilization disinfection unit 1130 may sterilize / sterilize atmospheric air by using an environmental sterilizer or an environmental sterilizer. The double sterilization unit 1130 may be sprayed or sprayed into atmospheric air by coldly disinfecting the disinfectant or the disinfectant. The double sterilization unit 1130 may provide the sterilized or sterilized atmospheric air to the pipe 1310 installed under the ground of the greenhouse 1300.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는 살균소독 처리되고 온실(1300)의 실내 온도에 맞게 조절된 대기 에어를 온실(1300)의 파이프(1310)로 제공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로부터 유입된 대기 에어는 파이프(1310)에 일정 간격으로 또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에어 포트(1311)를 통해 온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1100 and 1200 may provide sterilized and sterilized atmospheric air to the pipe 1310 of the greenhouse 1300. have. Atmospheric air introduced from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1100 and 12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greenhouse through an air port 1311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ipe 1310.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살균 소독 처리된 친환경 대기 에어를 온실(1300)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냉난방 장치를 온실 내부에 설치하지 않고도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온실(1300)의 실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provide sterilized and sterilized eco-friendly atmospheric air to the greenhouse 1300, but also very inexpensiv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ir-conditioning device inside the greenhous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oom temperature of the greenhouse 1300 at a co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이중 팬코일부(1120) 및 이중 살균소독부(1130)를 포함하고, 오동작 감지 수단을 이용하여, 하나의 팬코일부나 살균소독부에서 오동작이 감지되면 다른 팬코일부나 살균소독부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온실 제어기의 오동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시스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uble fan coil unit 1120 and a double sterilization unit 1130, by using a malfunction detection means, in one fan coil unit or sterilization unit If a malfunction is detected, another fan coil or sterilization un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automatically. Through this,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duce the damage caused by the malfunction of the greenhouse controller and extend the life of the system.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실의 지면 아래와 천장 부분의 A-A'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실(1300)은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1100, 1200)로부터 살균 소독 처리되고 온도 조절된 에어를 공급받는다. 대기 에어는 온실(1300)의 지면 아래 매설된 파이프(1310)를 통해 흐를 수 있다. 파이프(131)는 지면 아래 일정 깊이(예를 들면, 5m)에 설치될 수 있다. 파이프(1310)를 통해 흐르는 에어는 파이프(1310)에 연결된 에어 포트(1311)를 통해 온실(1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bottom and ceiling of the greenhouse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2, the greenhouse 1300 is supplied with sterilized and temperature controlled air from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1100 and 1200. Atmospheric air may flow through a pipe 1310 buried beneath the ground of the greenhouse 1300. Pipe 131 may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epth (for example, 5m) below the ground. Air flowing through the pipe 13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greenhouse 1300 through an air port 1311 connected to the pipe 1310.

에어 포트(1311)는 파이프(1310)와 일체로 제조되거나, 분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에어 포트(1311)가 파이프(1310)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볼트 나사 결합 방식 등을 통해 파이프(1310)와 체결될 수 있다. 에어 포트(1311)는 파이프(1310)를 통해 흐르는 에어가 실내 내부에 고르게 퍼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에어 포트(1311)는 파이프(13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거나 사용 목적에 맞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The air port 1311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pipe 1310 or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When the air port 1311 is separated from the pipe 1310, the air port 1311 may be fastened to the pipe 1310 through a bolt screw coupling method. The air port 1311 may be installed so that air flowing through the pipe 1310 is evenly spread inside the room. The air port 1311 may be installed in the pipe 131 at regular intervals o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실내 내부에 유입된 에어는 지붕에 설치된 에어 배출구(1320)를 통해 외부로 나갈 수 있다. 에어 배출구(1320)는 내부 에어가 밖으로 배출되기만 하고, 외부 에어가 안으로 들어올 수 없다. 이를 위해 에어 배출구(1320)는 외부 에어의 유입을 막기 위한 체크 밸브(check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may go out through the air outlet 1320 installed in the roof. The air outlet 1320 only exhausts the internal air, and the external air cannot enter therein. To this end, the air outlet 1320 may include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external air.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파이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이프의 단면이 지면 아래 설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온실(1300) 내부의 지면 아래 매설된 파이프(1310)는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310)는 S자형 또는 U자형이거나, ㄷ자형이거나 동심원 모양일 수도 있다. FIG. 3 exemplarily shows the pipe shown in FIG. 2, and FIG. 4 shows a cross section of the pipe shown in FIG. 3 installed below the ground. Referring to FIG. 3, the pipe 1310 buried beneath the ground inside the greenhouse 1300 may have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 3, the pipe 1310 may be S-shaped or U-shaped, U-shaped, or concentric.

파이프(1310)는 하나의 배관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배관이 볼트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배관이 체결되는 부분에서는 에어가 새지 못하도록 밀봉될 수 있다. 파이프(1310) 단면의 지름은 사용 용도에 맞게 일정 길이(예를 들면, 80-100mm)를 가질 수 있다. 파이프(1310)에는 복수의 에어 포트(1311)가 설치될 수 있다. The pipe 1310 may be formed of one pipe or a plurality of pipes may be fastened by bolt screw coupling. The portion to which the plurality of pipes are fastened may be sealed to prevent air leakage. The diame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pipe 1310 may have a certain length (eg, 80-100 mm) to suit the intended use. The pipe 13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ports 1311.

에어 포트(1311)는 에어가 온실(1300) 내부에 고르게 나가도록 일정 간격으로 또는 사용 목적에 맞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이프(1310)의 내부에 있는 살균 소독 처리된 에어는 에어 포트(1311)를 통해 온실(13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에어 포트(1311)는 필요할 때만 사용하도록 에어 뚜껑(1312)을 가질 수 있다. 에어 뚜껑(1312)은 온실(1300)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에어 뚜껑(1312)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The air port 1311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r at a position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so that the air evenly exits the inside of the greenhouse 1300. Referring to FIG. 4, the sterilized and sterilized air in the pipe 13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greenhouse 1300 through the air port 1311. Air port 1311 may have air lid 1312 for use only when needed. The air cap 1312 may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by the pressure of air introduced into the greenhouse 1300. In addition, the air lid 1312 may be opened and closed manually by a user.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팬코일부와 이중 살균소독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의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이중 팬코일부(1120) 및 이중 살균소독부(1130)를 포함한다.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하나의 팬코일부나 살균소독부에서 오동작이 감지되면 다른 팬코일부나 살균소독부가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FIG. 5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double fan coil unit and a double sterilization unit shown in FIG. 1.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1000 of FIG. 1 includes a double fan coil unit 1120 and a double sterilization unit 1130.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1000 may automatically operate the other fan coil unit or the sterilization unit when malfunction is detected in one fan coil unit or the sterilization unit.

도 5를 참조하면, 이중 팬코일부(1120)는 제 1 오작동 감지부(120), 제 1 팬코일부(121), 그리고 제 2 팬코일부(122)를 포함한다. 이중 팬코일부(1120)는 정상 동작 시에는 제 1 팬코일부(121)를 통해 에어를 공급받고, 에어를 온도 조절한 다음에, 온도 조절된 에어를 이중 살균소독부(1130)로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dual fan coil unit 1120 includes a first malfunction detection unit 120, a first fan coil unit 121, and a second fan coil unit 122. The dual fan coil unit 1120 receives air through the first fan coil unit 121 in a normal operation,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air, and then provides the temperature-controlled air to the double sterilization unit 1130.

이중 팬코일부(1120)는 제 1 팬코일부(121)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 2 팬코일부(122)를 통해 에어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에어를 온도 조절한 다음에, 온도 조절된 에어를 이중 살균소독부(11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 1 오작동 감지부(120)는 제 1 팬코일부(121)의 오작동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향균필터부(도 1 참조, 1110)를 통과한 에어를 제 1 팬코일부(121) 또는 제 2 팬코일부(122)로 제공할 수 있다. The dual fan coil unit 1120 receives air through the second fan coil unit 122 when the first fan coil unit 121 operates abnormally,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and then adjusts the temperature of the air. To provide a double sterilization unit 1130. The first malfunction detection unit 120 detects a malfunction of the first fan coil unit 121 and passe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ntibacterial filter unit (see FIG. 1, 111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fan coil unit 121 or the first fan coil unit 121. 2 may be provided to the fan coil portion 122.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이중 살균소독부(1130)는 제 2 오작동 감지부(130), 제 1 살균소독부(131), 그리고 제 2 살균소독부(132)를 포함한다. 이중 살균소독부(1130)는 정상 동작 시에는 제 1 살균소독부(131)를 통해 온도 조절된 에어를 공급받고, 에어를 살균 소독한 다음에, 온도 조절되고 살균 소독된 에어를 온실(1300)로 제공한다. 5, the double sterilization unit 1130 includes a second malfunction detection unit 130, a first sterilization unit 131, and a second sterilization unit 132. The double sterilization unit 1130 is supplied with temperature controlled air through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31 in the normal operation, sterilizes the air, and then controls the temperature-controlled and sterilized air in the greenhouse 1300. To provide.

이중 살균소독부(1130)는 제 1 살균소독부(131)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 2 살균소독부(132)를 통해 온도 조절된 에어를 공급받고, 온도 조절된 에어를 살균 소독할 수 있다. 제 2 오작동 감지부(130)는 제 1 살균소독부(131)의 작동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온도 조절된 에어를 제 1 살균소독부(131) 또는 제 2 살균소독부(132)로 제공할 수 있다.The double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1130 is supplied with temperature controlled air through the second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132 when the first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131 operates abnormally, and sterilizes the temperature controlled air. Can be. The second malfunction detection unit 130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131 and transfers the temperature controlled air to the first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131 or the second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132. Can provide.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 1 팬코일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팬코일부(121)는 온도 조절 장치(1121), 라디에이터(1122), 순환펌프(1123), 보충수 공급기(1124), 송풍팬(1125), 그리고 컨트롤러(1126)를 포함한다. 6 and 7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first fan coil unit illustrated in FIG. 5.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fan coil portion 121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ler 1121, a radiator 1122, a circulation pump 1123, a supplemental water supply 1124, a blower fan 1125, and a controller 1126. It includes.

제 1 팬코일부(121)는 온실(1300)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온도 정보를 입력받고, 실내 온도가 미리 설정해 놓은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팬코일부(121)는 실내 온도를 15도로 유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에서 입력받은 온도가 15도보다 낮으면, 좀 더 높은 온도의 공기를 내보내 실내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반대로 15보다 높으면, 발열 동작을 줄여서 실내 온도를 낮출 수 있다.The first fan coil unit 121 may receive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installed in the greenhouse 1300, and allow the indoor temperature to be maintained at a preset temperature. For example, the first fan coil unit 121 may maintain a room temperature of 15 degrees. If the temperatur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15 degrees, the room temperature can be increased by sending higher temperature air. On the contrary, if it is higher than 15, the room temperature can be lowered by reducing the heating operation.

한편, 제 1 팬코일부(121)는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정보를 입력받고, 농작물에 따라 시간대 별로 온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15도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제 1 팬코일부(121)는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 사이에서는 농작물 생육에 적합한 15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오후 5시부터 12시 사이에서는 온도가 12도에서 15도 사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12시부터 오전 4시까지는 10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오전 4시부터 8시 사이에서는 9도에서 10도 사이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fan coil unit 121 may receive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a temperature sensor and set a different temperature for each time zone according to the crop. For example, suppose the temperature is set to 15 degrees. The first fan coil part 121 may maintain 15 degrees suitable for growing crops between 8 am and 5 pm. You can keep the temperature between 12 and 15 degrees between 5 pm and 12 pm. You can keep it at 10 degrees between 12 and 4 am, and between 9 and 10 degrees between 4 and 8 am.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팬코일부(121)는 순환 파이프(1101)에 연결되는 온도 조절 장치(1121), 라디에이터(1122), 순환 펌프(1130), 보충수 공급기(1124), 송풍팬(1125), 그리고 컨트롤러(112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fan coil part 121 may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 unit 1121, a radiator 1122, a circulation pump 1130, a supplemental water supply 1124, and a blowing fan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1101. 1125, and controller 1126.

온도 조절 장치(1121)은 컨트롤러(1126)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발열 장치 또는 냉각 장치이다. 온도 조절 장치(1121)는 발생된 열이나 냉기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기 위해 외벽에 단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1121)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을 유입하기 위한 물 유입구와, 내부로부터 외부로 물을 방출하기 위한 물 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1121)는 물 유입구로 유입된 물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추고, 온도 조절된 물을 물 유출구로 방출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1121)는 내열성 및 저팽창 특성을 갖는 소재, 예를 들어 석영관, 세라믹관으로 제조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121 is a heating device or a cooling device that receives electricity from the controller 1126 to increase or de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121 may include a heat insulation part on the outer wall to block the external leakage of generated heat or cold air.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121 may include a water inlet for introducing wate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a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121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inlet and discharge the temperature-controlled water into the water outlet. The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112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and low expansion characteristics, for example, a quartz tube or a ceramic tube.

라디에이터(1122)는 온도 조절된 물을 순환 파이프(1101)를 통해 입력받고, 순환 파이프(1101)의 열이나 냉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순환 파이프(1101)는 녹슬지 않고 내구성이 좋으며 가볍고 열전도도가 좋은 재료(예를 들면, 알루미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라디에이터(1122) 내에 있는 내부 순환 파이프(1101)는 특별히 특수한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내부 순환 파이프(1101)에 코팅된 특수 물질로 인해, 온수가 내부에 흐를 때 원적외선이 발생할 수 있다.The radiator 1122 may receive temperature-controlled water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1101, and radiate heat or cold air from the circulation pipe 1101 to the outside. The circulation pipe 1101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rust-proof, durable, light and thermally conductive (eg, aluminum). The internal circulation pipe 1101 in the radiator 1122 may be coated with a special material. Due to the special material coated on the inner circulation pipe 1101, far infrared rays may occur when hot water flows inside.

라디에이터(1122) 내에서 순환 파이프(1101)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도 방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라디에이터(1122)로 유입되는 물은 A에서 B방향으로 지나고, 다시 B에서 A방향으로 지나간다. 내부 순환 파이프(1101)를 지나는 물이 방향을 바꾸는 A 또는 B부분은, 도 7에서는 직각으로 되어 있으나, 물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반원 모양으로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내부 순환 파이프(1101)에 물이 부족한 경우에, 외부에서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물 주입구를 가질 수 있다. 물 주입구는 내부 순환 파이프(1101)에 직접 물이 주입되거나 수도꼭지 등에 연결되어 주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the radiator 1122, the circulation pipe 1101 may b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to increase the temperature emission efficiency as shown in FIG. 7. Water flowing into the radiator 1122 passes from A to B direction, and then again from B to A direction. A or B portion in which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internal circulation pipe 1101 changes direction is a right angle in FIG. 7, but may be rounded in a semicircular shape to facilitate the flow of water. When the water is insufficient in the internal circulation pipe 1101, it may have a water inlet for injecting water from the outside. The water inlet may be installed to directly inject water into the internal circulation pipe 1101 or connected to the faucet.

순환 펌프(1130)는 순환 파이프(1101) 내의 물이 강제적으로 순환하도록 하는 펌프 장치이다. 순환 펌프(1130)는 라디에이터(1122)를 지나온 물을 강제적으로 순환하기 위해, 라디에이터(1122)와 온도 조절 장치(1121)의 물 유입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순환 펌프(1130)는 온도 조절 장치(1121)에서 나온 물을 강제적으로 순환하기 위해, 온도 조절 장치(1121)의 물 유출구와 라디에이터(1122)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circulation pump 1130 is a pump device for forcibly circulating water in the circulation pipe 1101. The circulation pump 113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adiator 1122 and the water inlet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121 to forcibly circulate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radiator 1122. However, the circulation pump 113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water outlet of the thermostat 1121 and the radiator 1122 to forcibly circulate the water from the thermostat 1121.

보충수 공급기(1124)는 순환 파이프(1101) 내에 있는 물의 양을 감지하고, 물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 부족한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보충수 공급기(1124)는 라디에이터(1122)의 안쪽과 바깥쪽에 있는 순환 파이프(1101)에 연결될 수 있다. 보충수 공급기(1124)는 평상 시에 일정량의 물을 보관하고 있고, 물 부족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자동으로 순환 파이프(1101)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replenishment water supply 1124 may detect an amount of water in the circulation pipe 1101, and replenish insufficient water when the amount of water is insufficient. The make-up water supply 1124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1101 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radiator 1122. The supplemental water supplier 1124 store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 normal times, and may automatically supply water to the circulation pipe 1101 when a water shortage situation occurs.

송풍팬(1125)은 라디에이터(1122)에 에어를 불어넣을 수 있다. 송풍팬(1125)은 항균필터부(1110)를 지나온 에어를 흡입하고, 흡입된 에어를 라디에이터(1122)에 불어넣음으로, 라디에이터(1122) 주위의 온도 조절된 에어가 이중 살균소독부(1130)로 송풍될 수 있도록 한다. 송풍팬(1125)은 프로펠러(Propeller)형 팬으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 시로코(Sirocco)형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로서, 송풍팬(1125)은 온도 조절 장치(1110)의 물 유입구 쪽에 설치되어 있으나 물 유출구 쪽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blowing fan 1125 may blow air into the radiator 1122. The blowing fan 1125 sucks air passing through the antimicrobial filter unit 1110 and blows the sucked air into the radiator 1122 so that the temperature-controlled air around the radiator 1122 is double sterilization unit 1130. Allow air to blow into Blowing fan 1125 is composed of a propeller (Propeller) fan, it may be composed of a Sirocco (Sirocco) fan in some cases. In an embodiment, the blower fan 1125 is installed at the water inlet si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110 but may be installed at the water outlet side.

컨트롤러(1126)는 온도 조절 장치(1121)의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1126)는 외부 전원을 입력받고, 온도 조절 장치(1121)의 전극으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126)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집적된 복수의 칩들,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유무선 장치, 외부에 동작 상황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회로, 그리고 버튼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26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1121. The controller 1126 may receive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provide power to an electrode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1121. The controller 1126 may include a plurality of chips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 wired / wireless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display circuit for providing an operating situation to the outside, and a user interface such as a button. .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 1 살균소독부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살균소독부(131)는 파이프에 복수의 분사홀(1131)을 구비하고 있고, 분사홀(1131)을 통해 살균제 또는 소독제(1132)가 분사될 수 있다. 도 8에서 분사홀(1131)은 살균제 또는 소독제(1132)를 분무할 수 있도록 적정 크기의 지름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분사홀(1131)은 사용 방법에 따라 다각형 또는 다른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분사홀(1131)을 통해 분무되는 살균제 또는 소독제(1132)는 친환경 천연 살균소독제(예를 들면, 차아염소산, HOCL)일 수 있다. FIG. 8 is a view showing a first sterilization unit shown in FIG. 5 by way of example.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sterilization disinfecting unit 1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131 in the pipe, and the sterilizer or disinfectant 1132 may be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s 1131. In FIG. 8, the injection hole 1131 may have a diameter radius of an appropriate size to spray the sterilizer or the disinfectant 1132. The injection hole 1131 may be made into a polygon or other shape according to the use method. The disinfectant or disinfectant 1132 spray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1131 may b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natural disinfectant (eg, hypochlorous acid, HOCL).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 HOCL)은 인체에 상처나 부상이 있을 때 외부에서 침입한 유해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대항, 파괴, 살균하기 위해 백혈구에서 생성되는 산화물질이다. 차아염소산은 인체의 백혈구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독성과 내성이 없는 친환경 천연 살균소독제이다. 천연 살균소독제(1132)는 차가운 온도(3-4도)로 콜드 분사될 수 있다. 살균소독제(1132)가 분사되면, 에어는 살균소독제(1132)와 결합되어 분무 형태로 된다. 온실(1300)의 파이프(1310)로 유입된 에어는 에어 포트(1311)를 통해 온실(1300)의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Hypochlorous acid (HOCL) is an oxide produced by white blood cells to fight, destroy, and sterilize harmful bacteria and viruses from outside when a human body is injured or injured. Hypochlorite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natural disinfectant that is made from white blood cells of the human body and is therefore nontoxic and resistant. Natural disinfectant 1132 may be cold sprayed at cold temperatures (3-4 degrees). When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1132 is injected, the air is combined with the disinfectant disinfectant 1132 to form a spra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ipe 1310 of the greenhouse 1300 may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greenhouse 1300 through the air port 131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온실(1300)의 지면 아래 파이프(1310)를 설치하고, 살균 또는 소독 처리되고 온도 조절된 에어를 파이프(1310)로 공급할 수 있다. 파이프(1310)로 공급된 에어는 에어 포트(1311)를 통해 온실(13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온실(1300)로 유입된 에어는 에어 배출구(1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stall a pipe 1310 under the ground of the greenhouse 1300, and supply sterilized or disinfected treatment and temperature-controlled air to the pipe 1310. The air supplied to the pipe 13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greenhouse 1300 through the air port 1311. The air introduced into the greenhouse 130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13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온실(1300) 내부에 별도의 냉난방 장치(예를 들면, 에어콘이나 히터)를 설치하지 않고도, 온실(13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실 제어 시스템(1000)은 친환경 천연 살균소독제를 파이프를 통해 공급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 농작물을 저렴한 비용으로 재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팬코일부나 살균소독부에서 오동작이 감지되면 다른 팬코일부나 살균소독부가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온실 제어기의 오동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시스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just the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1300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air conditioning unit (for example, an air conditioner or a heater) inside the greenhouse 1300. In addition, since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an environmentally friendly natural disinfectant through a pipe, it is possible to cultivate environmentally friendly crops at low cos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operate the other fan coil unit or sterilization unit when malfunction is detected in one fan coil unit or sterilization unit.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damage caused by the malfunction of the greenhouse controller, and can extend the life of the system.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is specific embodiments for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lude not on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so embodiments that can be simply changed in design or easily chang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include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and practiced using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1000: 온실 제어 시스템
1100, 1200: 온실 제어기
1110, 1210: 항균필터부
1120, 1220: 이중 팬코일부
1130, 1230: 이중 살균소독부
1300: 온실
1310: 파이프
1311: 에어 포트
1312: 에어 뚜껑
1320: 에어 배출구
1000: greenhouse control system
1100, 1200: greenhouse controller
1110, 1210: antibacterial filter
1120, 1220: Dual fan coil part
1130, 1230: double sterilization unit
1300: greenhouse
1310: pipe
1311: air port
1312: air lid
1320: air outlet

Claims (10)

지면 아래 소정의 깊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에어 포트와 연결되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되고, 온도 조절되고 살균 소독된 에어를 상기 파이프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 1 온실 제어기;
상기 파이프의 타단에 연결되고, 온도 조절되고 살균 소독된 에어를 상기 파이프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제 2 온실 제어기; 및
상기 복수의 에어 포트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에서 제공된 온도 조절되고 살균소독된 에어를 공급받고, 상기 공급된 에어는 에어 분출구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는 온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 각각은 온도 조절을 위한 제 1 및 제 2 팬코일부와 살균 소독을 위한 제 1 및 제 2 살균소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팬코일부 또는 상기 제 1 살균소독부가 오동작 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팬코일부 또는 상기 제 2 살균소독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A pip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epth below the ground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ir ports;
A first greenhouse controll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pe, for providing temperature controlled and sterile sterilized air through the pipe;
A second greenhouse controll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ipe, for providing temperature controlled and sterilized air through the pipe; And
Wherein the temperature controlled and sterilized air supplied from the first and the second greenhouse controller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ports, the supplied air includes a greenhouse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an air outle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includes first and second fan coil parts for temperature control and first and second sterilization parts for sterilization, and the first fan coil part or the first sterilization part is malfunctioning. When the second fan coil unit or the second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to control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온실 제어기 각각은 대기 에어의 오염 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항균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팬코일부는 상기 항균필터부를 통해 입력된 에어를 미리 설정된 온도로 조절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살균소독부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팬코일부의 온도 조절된 에어를 살균소독하고, 상기 살균소독된 에어를 상기 파이프로 제공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reenhouse controllers further includes an antibacterial filter unit for filtering contaminants of atmospheric air,
The first or second fan coil unit adjusts the air input through the antibacterial filter unit to a preset temperature,
The first or second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sterilizes the temperature-controlled air of the first or second fan coil portion,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for providing the sterilized air to the pip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팬코일부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
상기 온도 조절된 물을 순환하기 위한 순환 파이프;
상기 순환 파이프를 통해 상기 온도 조절된 물을 공급받고, 열이나 냉기를 발생하는 라디에이터; 및
상기 온도 조절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라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or second fan coil portion,
A thermostat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A circulation pipe for circulating the temperature-controlled water;
A radiator receiving the temperature-controlled water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and generating heat or cold air; And
A controll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thermostat 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adiat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팬코일부는,
상기 순환 파이프의 물을 강제로 순환하기 위한 순환 펌프;
상기 순환 파이프 내의 물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수 공급기; 및
상기 라디에이터로 바람을 제공함으로 열이나 냉기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or second fan coil portion,
A circulation pump for forcibly circulating water in the circulation pipe;
A replenishment water supply for replenishing water in the circulation pipe; And
Greenhouse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es a blowing fan for exporting heat or cold air to the outside by providing wind to the radi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살균소독부는 차아염소산을 살균소독제로 사용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using hypochlorous acid as a disinfectant disinfecta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살균소독부는 상기 온도 조절된 에어와 결합되어 분무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상기 차아염소산을 분사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and second sterilization sterilization unit is combined with the temperature controlled air to control the greenhouse control system to spray the hypochlorous acid throug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to make a spray 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팬코일부의 오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오작동 감지부; 및
상기 제 1 살균소독부의 오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오작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온실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malfunc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malfunction of the first fan coil unit; And
Greenhouse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es a second malfunc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malfunction of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어 포트는 에어 뚜껑을 갖는 온실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Said plurality of air ports having an air li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뚜껑은 상기 온실로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온실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air lid is a greenhouse control system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greenhou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실로 공급된 에어는 상기 온실의 지붕에 설치된 에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온실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Greenhouse control system for the air supplied to the greenhouse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installed in the roof of the greenhouse.
KR1020180076159A 2018-06-30 2018-06-30 Greenhouse control system including dual fancoil part and dual sterilization part KR202000025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159A KR20200002543A (en) 2018-06-30 2018-06-30 Greenhouse control system including dual fancoil part and dual sterilization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159A KR20200002543A (en) 2018-06-30 2018-06-30 Greenhouse control system including dual fancoil part and dual sterilization p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43A true KR20200002543A (en) 2020-01-08

Family

ID=69154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159A KR20200002543A (en) 2018-06-30 2018-06-30 Greenhouse control system including dual fancoil part and dual sterilization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54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0567A (en) * 2020-11-20 2021-02-26 德清新田农业科技有限公司 Greenhouse temperature and humidity adjusting device for melon, fruit and vegetable plan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00567A (en) * 2020-11-20 2021-02-26 德清新田农业科技有限公司 Greenhouse temperature and humidity adjusting device for melon, fruit and vegetable plan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343B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and sprout
JP2022143985A (en) Constant temperature storage and initialization method of clothing with heat insulating material
KR101554178B1 (en) Air supply apparatus having combined functions fo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nd heating of air
KR101707045B1 (en) Glasshouse heating and cooling systems
KR100696599B1 (en) Cold and warmth water spray apparatus of the catt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67156A (en) Hybrid heat transfer system with heat pump for green house
KR101693378B1 (en) Fan coil unit with structure of sopt blowing
KR20060114183A (en) Cold and warmth water spray apparatus of the cattle
KR20200002543A (en) Greenhouse control system including dual fancoil part and dual sterilization part
KR102122301B1 (en) Greenhouse control system controlling temperature of greenhouse using dual pipe
KR102122307B1 (en) Greenhouse control system including graphene barrier
CN209450980U (en) Disinfection cabinet with heat dissipation and drying structure
KR200390063Y1 (en) Cold and warmth water spray apparatus of the cattle
KR20200027208A (en)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KR100939591B1 (en) Heat recovery type ventilating device for agricultural facilities for both heating and cooling
KR101885905B1 (en) Controller for greenhouse and greenhouse control system thereof
IL259945B2 (en) Technique for denaturing of small organic items in premises
KR100824348B1 (en) Incubator for gnotobiotic mini pigs
CN219531115U (en) Air sterilizer
KR20200002544A (en) Greenhouse control system including check valve on greenhouse
KR20150137567A (en) Cold air disinfection regenerative heat exchanger
KR100822402B1 (en) Calorification ventilator for house
KR20170069393A (en) An Air-curtain equipment with ceramic honeycomb heater
KR20200132223A (e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al
CN214172467U (en) Novel air treatment unit for edible mushroom pla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