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347A -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 Google Patents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347A
KR20200001347A KR1020180074190A KR20180074190A KR20200001347A KR 20200001347 A KR20200001347 A KR 20200001347A KR 1020180074190 A KR1020180074190 A KR 1020180074190A KR 20180074190 A KR20180074190 A KR 20180074190A KR 20200001347 A KR20200001347 A KR 20200001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er
vacuum
spac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솔
남현식
정원영
윤덕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347A/ko
Priority to PCT/KR2019/007764 priority patent/WO2020004956A1/en
Priority to US17/043,333 priority patent/US11959693B2/en
Priority to EP19827125.6A priority patent/EP3814667B1/en
Publication of KR2020000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47A/ko
Priority to US18/591,898 priority patent/US2024020085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5Break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4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sub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creating a vacuum in a stor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체에는, 진공공간부를 유지하는 서포팅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서포팅유닛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하나를 지지하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다른 하나를 지지하고,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다수의 개소에서 접하는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접하는 곳에서,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서로 체결하여,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일체화시키는 체결기구; 및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접하는 곳에서,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서로 일체화하지 않고,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의 간격을 유지하는 안착기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본 발명은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진공단열체는 몸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열전달을 억제하는 물품이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대류 및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온장장치 및 냉장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 냉장고에 적용되는 단열방식은 냉장과 냉동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대략 30센티미터가 넘는 두께의 발포 폴리우레탄 단열벽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로써 냉장고의 내부 용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냉장고의 내부 용적을 늘리기 위하여 상기 냉장고에 진공단열체를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먼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10-0343719(인용문헌 1)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따르면 진공단열패널(Vacuum adiabatic panel)을 제작하고, 상기 진공단열패널을 냉장고의 벽에 내장하고, 상기 진공단열패널의 외부를 스티로폼인 별도 성형물로 마감하는 방식이다. 상기 방식에 따르면 발포가 필요 없고,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방식은 비용이 상승하고 제작방식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다른 예로서 공개특허 10-2015-0012712(인용문헌 2)에는 진공단열재로 벽을 제공하고 그에 더하여 발포 충전재로 단열벽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기술에 제시되어 있다. 이 방식도 비용이 증가하고 제작방식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냉장고의 벽을 전체로 단일물품인 진공단열체로 제작하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40226956A1(인용문헌 3)에는 진공상태로 냉장고의 단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냉장고의 벽을 충분한 진공상태로 제공하여 실용적인 수준의 단열효과를 얻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온도가 서로 다른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와의 접촉부분의 열전달 현상을 막기가 어렵고, 안정된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진공상태의 음압에 따른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들 문제점으로 인하여 인용문헌 3의 기술도 극저온의 냉장장치에 국한하고, 일반 가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기술은 제공하지 못한다.
상기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10-2015-0109727호(인용문헌 4)를 출원한 바가 있다. 상기 인용문헌 4에는 진공단열체에 이루어지는 냉장고를 제안하고, 특히, 진공단열체의 서포팅 유닛을 이루는 재질로서 적합한 수지의 재질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인용문헌 4를 재질로 하는 서포팅 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을 출원번호 10-2017-0103444(인용문헌 5)에서 제안한 바가 있다.
상기 인용문헌 5에서 제시하는 서포팅유닛은 다양한 크기의 냉장고에 대응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마주보는 한 쌍의 서포터 플레이트의 체결이 완벽하지 않아서 빠지는 경우도 발생하고 진공단열체의 안으로 삽입될 때 끼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진공배기과정에서 추가로 한 쌍의 서포터 플레이트가 체결되면서 바가 부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진공배기과정에서 서포팅유닛에서 파손이 발생하면 해당하는 진공단열체는 폐기할 수 밖에 없으므로 큰 문제가 된다. 또한, 한 쌍의 서포터 플레이트를 체결할 때 체결하여야 하는 위치를 정확히 알기가 어려워 작업자가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0343719 공개특허 10-2015-0012712의 도 7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40226956A1 출원특허 10-2015-0109727 출원번호 10-2017-0103444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안되는 것으로서, 체결되는 한 쌍의 서포터 플레이트의 체결위치를 알아보기 쉽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서포터 플레이트의 체결이 더 정확하게 이루어져서, 미체결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파손을 막고, 진공단열체의 내부에 삽입될 때 방해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공배기공정에서 서포팅유닛의 예기치 못하는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체에는, 진공공간부를 유지하는 서포팅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서포팅유닛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하나를 지지하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다른 하나를 지지하고,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다수의 개소에서 접하는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접하는 곳에서,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서로 체결하여,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일체화시키는 체결기구; 및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접하는 곳에서,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서로 일체화하지 않고,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의 간격을 유지하는 안착기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이 편리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상하로 체결되는 서포터 플레이트의 체결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해 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하로 체결되는 서포터 플레이트의 체결이 필요로 하는 곳과 체결이 필요하지 않는 곳이 구분되고, 체결이 필요한 곳에 대해서는 선별적으로 완벽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미체결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체결된 서포팅유닛이 진공단열체의 내부에 삽입될 때 걸리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진공배기공정 중에서 바가 억지끼움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이 방지되어, 제품의 장기간 신뢰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냉장고의 본체 및 도어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진공공간부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각 수지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설명하는 도표.
도 5는 수지의 진공유지능력을 실험한 결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PPS와 low outgassing PC에서 방출되는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그래프.
도 7은 고온 배기시에 대기압에 의해서 파손되는 최대변형온도를 측정한 그래프.
도 8은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유닛의 단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
도 11은 체결부재가 적용되어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가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서포팅유닛의 단면도.
도 12는 체결보스의 내부가 채워진 상태의 도면.
도 13은 체결보스의 내부가 비워진 상태의 도면.
도 14는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서로 겹쳐지는 것을 보이는 도면.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유닛을 보이는 도면.
도 16은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진공압에 따른 단열성능의 변화와 가스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7은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
도 18은 진공압과 가스전도도를 비교하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안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 제시되는 도면은 실제 물품과는 다르거나 과장되거나 간단하거나 세밀한 부품은 삭제하여 표시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 기술사상 이해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제시되는 크기와 구조와 형상과 수로로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진공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그 어떤 압력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A가 B보다 진공도가 높다는 표현은 A의 진공압이 B의 진공압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1)에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캐비티(9)가 제공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3)는 회동할 수 있게 배치되거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캐비티(9)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캐티비(9)는 냉장실 및 냉동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부품이 마련된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6)와,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열을 빼앗는 증발기(7)가 포함된다. 전형적인 구조로서, 상기 증발기(7)가 인접하는 위치에 팬을 설치하고, 팬으로부터 송풍된 유체가 상기 증발기(7)를 통과한 다음에 캐비티(9)로 송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팬에 의한 송풍량 및 송풍방향을 조정하거나 순환 냉매의 양을 조절하거나 압축기의 압축률을 조정함으로써 냉동부하를 조절하여, 냉장공간 또는 냉동공간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다른 부품으로는 열전모듈을 포함하는 부재를 적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냉장고의 본체 및 도어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체 측 진공단열체는 상면과 측면의 벽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고, 도어 측 진공단열체는 전면의 벽 일부가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또한, 전도저항쉬트(60)(63)가 제공되는 부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어 이해가 편리하도록 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진공단열체에는, 저온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고온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의 사이 간격부로 정의되는 진공공간부(5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전도를 막는 전도저항쉬트(60)(63)가 포함된다. 상기 진공공간부(50)를 밀폐상태로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를 밀봉하는 밀봉부(61)가 제공된다.
냉장고 또는 온장고에 상기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고 내 공간의 벽을 제공하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이너케이스라고 할 수 있고, 고 외 공간에 접하는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아웃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하측 후방에는 냉동사이클을 제공하는 부품이 수납되는 기계실(8)이 놓이고, 상기 진공단열체의 어느 일측에는 진공공간부(50)의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상태를 조성하기 위한 배기포트(40)가 제공된다. 또한, 제상수 및 전기선로의 설치를 위하여 진공공간부(50)를 관통하는 관로(6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측에 제공되는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측에 제공되는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공간은 온도가 서로 다른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공간의 위한 벽은, 공간에 직접 접하는 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공간에 접하지 않는 벽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공간에 접하는 별도의 벽을 더 가지는 물품의 경우에도 실시예의 진공단열체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공단열체가 단열효과의 손실을 일으키는 요인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도와,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복사, 및 진공공간부(50)의 가스전도(gas conduction)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열전달의 요인과 관련하여 단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제공되는 열저항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의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는 진공단열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또 다른 단열수단을 더 가지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쪽 일면에 발포 등을 이용하는 단열수단을 더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열저항유닛에는 상기 제 3 공간의 벽을 따라 흐르는 열전도에 저항할 수 있는 전도저항쉬트가 포함되고, 상기 전도저항쉬트와 체결되는 사이드 프레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명확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저항유닛에는 상기 제 3 공간 내부에 판상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사저항쉬트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 3 공간 내부에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간의 복사열전달에 저항하는 다공성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와 상기 다공성물질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도 3은 진공공간부의 내부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는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과는 다른 압력, 바람직하게는 진공 상태의 제 3 공간으로 제공되어 단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 및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에 해당하는 온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공간은 진공 상태의 공간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각 공간의 압력차만큼의 힘에 의해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수축하는 힘을 받기 때문에 상기 진공공간부(50)는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진공공간부의 수축에 따른 복사전달량의 증가,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의 접촉에 따른 전도전달량의 증가에 따른 단열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변형을 줄이기 위하여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에는 바(31)가 포함된다. 상기 바(31)는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사이 간격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31)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지지 플레이트(35)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바(31)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격자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와 접하는 면적이 작아져서 열전달이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3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고정되어,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사이에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는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31)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지지플레이트(35)의 총단면적은 상기 바(31)의 총단면적보다 크게 제공하여, 상기 바(31)를 통하여 전달되는 열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35)를 통하여 확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의 재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진공압에 견디기 위하여 압축강도가 높아야 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아웃게싱(outgassing) 및 물흡수율이 작아야 하고,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도를 줄이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작아야 하고, 고온 배기공정에 견딜 수 있도록 고온에서 압축강도가 확보되어야 하고, 성형을 할 수 있도록 가공성이 좋아야 하고, 비용이 저렴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배기공정의 수행시간은 수 일(several days) 정도에 이르기 때문에 그 시간을 줄이는 것은 제조비용 및 생산성에 큰 장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고온에서 압축강도가 확보되어야 하는 것은 배기공정의 수행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배기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상기되는 조건 하에서 발명자는 다양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먼저, 세라믹 및 유리재질은 아웃게싱율(outgassing rate)과 물흡수율이 작지만 가공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수지를 재질로 검토할 수 있다.
도 4는 각 수지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설명하는 도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자는 다양한 수지재료를 검토한 바가 있으나, 대부분의 수지가 아웃게싱율 및 물흡수율이 현저히 높아서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대략적으로 아웃게싱율과 물흡수율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PE재질은 아웃게싱율이 높고 압축강도가 낮아서 사용하기가 부적절하고, PCTFE재질은 가격이 현저하게 높아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고, PEEK재질은 아웃게싱율이 높아서 사용하기가 부적절하였다. 이에, 상기 서포팅유닛은 PC(polycarbonate), glass fiber PC, low outgassing PC, PPS(poly phenylene sulfide), 및 LCP(liquid-crystal polymer) 중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그 재질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PC의 경우에도 아웃게싱율은 0.19로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열을 가하면서 배기하는 베이킹 시간을 일정수준 길게 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지의 재질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여 최적의 재질을 알아내었다. 이하에서는 수행된 각 연구활동의 결과물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수지의 진공유지능력을 실험한 결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서포팅유닛을 각각의 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한 다음에 진공을 유지할 수 있는 성능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먼저, 선택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된 서포팅유닛을 에탄올로 세척하고, 저압에서 48시간을 방치하고, 2.5시간 동안 외기에 노출한 다음에 진공단열체에 넣고 90도씨에서 대략 50시간 동안 배기과정을 진행한 다음에 진공유지성능을 측정하였다.
상기 LCP의 경우에는 초기 배기성능은 가장 좋지만 진공유지성능이 나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온도에 민감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프의 특성을 보건데 5×10-3torr를 최종허용압력이라고 할 때 0.5년 정도의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서포팅유닛의 재질로는 다른 재질에 비하여 불리하다.
상기 glass fiber PC(G/F PC)는 배기속도가 빠르지만 진공유지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첨가물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그래프의 특성을 보건데 동일조건에서 8.2년 정도의 시간동안 진공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서포팅유닛의 재질로는 다른 재질에 비하여 불리하다.
상기 low outgassing PC(O/G PC)는 상기 두 재질에 비해서는 진공유지성능이 뛰어나고, 동일조건에서 34년 정도의 시간동안 진공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초기 배기성능이 떨어져서 제작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볼 수 있다.
상기 PPS의 경우에는 진공유지성능이 월등히 뛰어나고 배기성능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진공유지성능을 기준으로 할 때에는 PPS의 재질을 서포팅유닛의 재질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게 고려된다.
도 6은 PPS와 low outgassing PC에서 방출되는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로서, 수평축은 가스의 분자량이고, 수직축은 농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low outgassing PC의 방출가스를 분석한 것으로서, H2계열(Ⅰ), H2O계열(Ⅱ), N2/CO/CO2/O2계열(Ⅲ), 및 탄화수소계열(Ⅳ)이 골고루 방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b는 PPS의 방출가스를 분석한 것으로서, H2계열(Ⅰ), H2O계열(Ⅱ), 및 N2/CO/CO2/O2계열(Ⅲ)이 약한 정도로 방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c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방출가스를 분석한 것으로서, PPS와 유사한 가스가 방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PPS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비슷한 가스의 방출량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분석결과, PPS가 상기 서포팅유닛의 재질로서 우수한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고온 배기시에 대기압에 의해서 파손되는 최대변형온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때 상기 바(31)는 2㎜직경으로 30㎜간격으로 제공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PE의 경우에는 60도씨에서 파단이 발생하고 low outgassing PC의 경우에는 90도씨에서 파단이 발생하고 PPS의 경우에는 125도씨에서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되는 각 분석의 결과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사용되는 수지의 재질로는 PPS가 가장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제조비용의 면에 있어서는 low outgassing PC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진공공간부(50)를 통한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 간의 열복사를 줄이는 복사저항쉬트(3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는 부식방지와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 재질은 방사율이 0.16으로서 비교적 높기 때문에 많은 복사열 전달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수지를 재질로 하는 상기 서포팅유닛의 방사율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비하여 낮고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전체적으로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복사열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복사열 전달의 저감에 중점적으로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면적의 대부분을 가로질러서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재질로는, 방사율(emissivity)이 낮은 물품이 바람직하고, 실시예에서는 방사율 0.02의 알루미늄 박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로는 충분한 복사열 차단작용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적어도 두 장의 복사저항쉬트(3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어느 한 장의 복사저항쉬트는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3b를 참조하면, 서포팅유닛(30)에 의해서 플레이트 부재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33)을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33)은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의 재질인 스테인레스보다는 방사율이 높을 수 있지만, 진공공간부를 충전하고 있으므로 복사열전달의 저항효율이 높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복사저항쉬트(32)가 없이도 진공단열체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진공공간부(50)를 유지하는 서포팅유닛(30)이 제공되지 않는다. 이를 대신하여 다공성물질(33)이 필름(34)에 싸인 상태로 제공되었다. 이때 다공성물질(33)은 진공공간부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압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름(34)은 예시적으로 PE재질로서 구멍이 뚫려있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서포팅유닛(30)이 없이 진공단열체를 제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다공성물질(33)은 상기 복사저항쉬트(32)의 기능과 상기 서포팅유닛(3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전도저항쉬트 및 그 주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에는 각 전도저항쉬트가 구조가 간단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도면을 통하여 더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8a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20)와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밀봉되어야 한다. 이때 두 플레이트 부재는 각각이 온도가 서로 다르므로 양자 간에 열전달이 발생할 수 있다. 종류가 다른 두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도저항쉬트(60)가 마련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고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양단이 밀봉되는 밀봉부(61)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상기 제 3 공간의 벽을 따라서 흐르는 열전도량을 줄이기 위하여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얇은 박판으로 제공된다. 상기 밀봉부(610)는 용접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가 서로 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서로 간의 융착 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와 플레이트 부재(10)(20)는 서로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스테인레스를 그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610)는 용접부로 제한되지 않고 코킹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곡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열전도의 거리는 각 플레이트 부재의 직선거리보다 길게 제공되어, 열전도량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온도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그 외부와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어 단열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냉장고의 경우에 제 2 플레이트 부재(20)는 고온이고 제 1 플레이트 부재(10)는 저온이다. 그리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고온에서 저온으로 열전도가 일어나고 열흐름을 따라서 쉬트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한다. 그러므로,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는 경우에는 개방된 곳을 통한 열전달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는 차폐부(62)가 제공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저온공간 또는 고온공간의 어느 쪽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노출되는 양만큼 전도저항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상기 차폐부(62)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면에 접하는 다공성물질로 제공될 수도 있고,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외부에 놓이는 별도의 가스켓으로 예시가능한 단열구조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본체 측 진공단열체가 도어 측 진공단열체에 대하여 닫힐 때 대응하는 전도저항쉬트(60)와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되는 진공단열체의 일 부분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도 열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차폐부(62)는 다공성물질 또는 별도의 단열구조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8b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도어 측 진공단열체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고, 도 8a에 대하여 달라지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바깥쪽으로는 사이드 프레임(70)이 더 제공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은 도어와 본체와의 실링을 위한 부품과 배기공정에 필요한 배기포트와 진공유지를 위한 게터포트 등이 놓일 수 있다. 이는 본체 측 진공단열체의 경우에는 부품의 장착이 편리할 수 있지만, 도어측은 위치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도어 측 진공단열체의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진공공간부의 선단부, 즉 모서리 측면부에 놓이기 어렵다. 이는 도어(3)의 모서리 에지부는 본체와 달리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더 상세하게 상기 전도저항쉬트(60)가 진공공간부의 선단부에 놓이면, 상기 도어(3)의 모서리 에지부는 외부로 드러나기 때문에, 상기 전도저항쉬트(60)의 단열을 위하여 별도의 단열부를 구성해야 하는 불리함이 있기 때문이다.
도 8c에 제시되는 전도저항쉬트는 진공공간부를 관통하는 관로에 바람직하게 설치될 수 있고, 도 8a 및 도 8b에 대하여 달라지는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설명이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관로(64)가 제공되는 주변부에는 도 8a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주름형 전도저항쉬트(63)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열전달경로를 길게 할 수 있고, 압력차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도저항쉬트의 단열을 위한 별도의 차폐부도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8a를 참조하여 제 1 플레이트 부재(10)와 제 2 플레이트 부재(20) 간의 열전달경로를 설명한다. 진공단열체를 통과하는 열에는, 상기 진공단열체의 표면, 더 상세하게 상기 전도저항쉬트(60)를 따라서 전달되는 표면전도열(①)과, 상기 진공단열체의 내부에 제공되는 서포팅유닛(30)을 따라서 전도되는 서포터전도열(②)과, 진공공간부의 내부 가스를 통한 가스전도열(③)과, 진공공간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복사전달열(④)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전달열은 다양한 설계 수치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2 플레이트 부재(10)(20)가 변형되지 않고 진공압에 견딜 수 있도록 서포팅유닛을 변경할 수도 있고, 진공압을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의 간격길이를 달리할 수 있고, 전도저항유닛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플레이트 부재가 제공하는 각 공간(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의 온도차를 어느 정도를 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에는 총열전달량이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제공되는 단열구조물에 비하여 열전달량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구성을 알아내었다. 여기서, 종래 폴리우레탄을 발포하는 냉장고에서의 실질열전달계수는 19.6mW/mK으로 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실시예의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을 상대적으로 분석하면, 가스전도열(③)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작아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열전달의 4%이하로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도열(①) 및 상기 서포터전도열(②)의 합으로 정의되는 고체전도열에 의한 열전달이 가장 많다. 예를 들어 75%에 달할 수 있다.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상기 고체전도열에 비해서는 작지만 가스전도열에 의한 열전달보다는 크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사전달열(③)은 전체 열전달량의 대략 20%를 차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분포에 따르면, 실질열전달계수(eK: effective K)(W/mK)는 상기 전달열(①②③④)을 비교할 때 수학식 1의 순서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대상 물품의 형상과 온도차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값으로서, 전체 열전달량과 열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여 얻어낼 수 있는 값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 내에 정량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가열원을 두고서 발열량을 알고(W), 냉장고의 도어 본체와 도어의 테두리를 통하여 각각 전달되는 열을 도어의 온도분포를 측정하고(K), 열이 전달되는 경로를 환산값으로 확인함으로써(m), 실질열전달계수를 구할 수 있는 것이다.
전체 진공단열체의 상기 실질열전달계수(eK)는 k=QL/A△T로 주어지는 값으로서, Q는 열전달량(W)으로서 히터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고, A는 진공단열체의 단면적(m2)이고, L은 진공단열체의 두께(m)이고, △T는 온도차로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도열은, 전도저항쉬트(60)(63)의 입출구의 온도차(△T), 전도저항쉬트의 단면적(A), 전도저항쉬트의 길이(L), 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k)(전도저항쉬트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를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서포터전도열은, 서포팅유닛(30)의 입출구의 온도차(△T), 서포팅유닛의 단면적(A), 서포팅유닛의 길이(L),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k)을 통하여 전도열량을 알아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포팅유닛의 열전도율은 재질의 물성치로서 미리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전도열(③)과 상기 복사전달열(④)의 합은 상기 전체 진공단열체의 열전달량에서 상기 표면전도열과 상기 서포터전도열을 빼는 것에 의해서 알아낼 수 있다. 상기 가스 전도열과 상기 복사전달열의 비율은 진공공간부의 진공도를 현저히 낮추어 가스 전도열이 없도록 하였을 때의 복사전달열을 구하는 것으로서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 다공성물질전도열은 상기 서포터전도열(②)과 복사열(④)을 합한 양으로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물질전도열은 다공성물질의 종류와 양 등의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인접하는 바(31)가 이루는 기하학적 중심과 바가 위치하는 곳과의 온도차(△T1)는 0.5도씨 미만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하는 바가 이루는 기하학적 중심과 진공단열체의 에지부와의 온도차(△T2)는 5도씨 미만으로 제공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도저항쉬트(60)(63)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지점에서,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평균온도와의 온도차이가 가장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뜨거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저가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공간이 상기 제 1 공간에 비하여 차가운 영역인 경우에는, 상기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열전달 경로가 제 2 플레이트 부재와 만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의 지점에서 온도가 최고가 된다.
이는 전도저항쉬트를 통과하는 표면전도열을 제외하는 다른 곳을 통한 열전달량은 충분히 제어되어야 하고, 표면전도열이 가장 큰 열전달량을 차지하는 경우에 비로소 전체적으로 진공단열체가 만족하는 전체 열전달량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저항쉬트의 온도변화량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온도변화량보다 크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진공단열체를 제공하는 각 부품의 물리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진공단열체는 진공압에 의한 힘이 모든 부품에 가하여진다. 따라서, 일정한 수준이 강도(strength)(N/m2)를 가지는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10)(20)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70)은 진공압에도 불구하고 파손되지 않는 충분한 강도(strength)가 있는 재질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서포터전도열을 제한하기 위하여 바(31)의 개수를 작게 하는 경우에는 진공압에 의한 플레이트 부재의 변형이 발생하여 외관이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는 방사율이 낮으면서 용이하게 박막가공이 가능한 물품이 바람직하고, 외부충격에 변형되지 않은 정도의 강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진공압에 의한 힘을 지지하고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로 제공되고 가공성이 있어야 한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는 얇은 판상이면서도 진공압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사이드 프레임, 및 전도저항쉬트는 동일한 강도인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스테인레스보다는 약한 강도인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은 알루미늄보다 약한 강도인 수지를 그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되는 바와 같은 재질의 측면에서 바라본 강도와 달리, 강성 측면에서의 분석이 요청된다. 상기 강성(stiffness)(N/m)은 쉽게 변형되지 않는 성질로서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그 형상에 따라서 강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전도저항쉬트(60)(63)는 강도가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열저항을 높이고 진공압이 가하여질 때 거친면이 없이 고르게 펼쳐져 방사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강성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저항쉬트(32)는 변형으로 다른 부품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수준의 강성이 요청된다. 특히, 상기 복사저항쉬트의 테두리 부분은 자중에 따른 처짐이 발생하여 전도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일정 수준의 강성이 요청된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은 플레이트 부재로부터의 압축응력 및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이 요청된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 및 사이드 프레임은 진공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가장 강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팅유닛, 특히 바는 두번째로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사저항쉬트는 서포팅유닛보다는 약하지만 전도저항쉬트보다는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도저항쉬트는 진공압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여 가장 강성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공간부(50) 내부를 다공성물질(33)로 채우는 경우에도 전도저항쉬트가 가장 강성이 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플레이트 부재 및 사이드 프레임이 가장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공간부는, 서포팅유닛(30)에 의해서만 열전달에 저항할 수도 있고, 진공공간부(50)의 내부에 서포팅유닛과 함께 다공성물질(33)이 충전되어 열전달에 저항할 수도 있고, 서포팅유닛은 적용하지 않고 다공성물질로 열전달에 저항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서포팅유닛에 적합한 재질로는 PPS의 수지를 제시한 바가 있다. 상기 바(31)는 지지 플레이트(35) 상에서 2~3센티미터 간격으로 촘촘히 마련되고, 그 높이는 1~2센티미터로 제공된다. 이 수지는 성형 시에 수지의 유동성이 좋지 못하여, 성형된 물품이 설계된 값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액상의 수지 주입구에 멀리 떨어진 부분에는 수지의 불균일 주입으로 인하여, 바의 길이가 짧아지는 등의 성형품의 형상이 제대로 제공되지 못하는 일이 잦다.
이는 추후에 서포팅유닛의 파손이나, 진공단열체의 불량의 원인이 된다.
한편, 상기 성형 중에 상기 바(31)가 예상된 수치로 제작되지 않고, 체결과정에서 미체결 등의 불완전 상태를 파악하지 못하고, 진공단열체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진공배기가 이루어지면, 상기 바(31)가 부서지는 일이 발생한다. 상기 바(31)가 부서지더라도, 파손 사실을 파악하는 것은 어렵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의 불량은 초기 사용단계에서는 미관을 제외하고는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파손된 부분에는 집중응력이 계속해서 가하여지고, 추후에 진공단열체의 단열효율감소 또는 진공파괴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서포팅유닛을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유닛(30)은, 한 쌍의 플레이트 부재(10)(20) 중의 어느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의 내면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0)와, 다른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의 내면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00)에는, 플레이트 부재에 접하여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335)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335)에서 플레이트 부재의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바(331)가 제공된다.
상기 바(331)에는 적어도 두 종류의 바가 포함되어, 어느 한 종류의 바는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0)에 체결되고, 다른 한 종류의 바는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0)에 체결되지 않고 놓여서 안착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어느 한 종류의 바는 억지끼움 등의 방법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0)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00)가 다른 부재의 도움이 없이도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다른 한 종류의 바는 억지끼움 등의 물리기구의 작용이 없이 서포터 플레이트(200)(300) 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더이상 움직이지 않는 스토퍼기구로서만 작용한다.
상기 일측 서포퍼 플레이트(300)에는 상기 바(331)와 대응하도록 제공되는 적어도 두 종류의 받침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받침기구 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0)의 지지 플레이트(235)에서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00) 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220)이다. 상기 받침기구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0)의 지지 플레이트(235)에서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00) 측으로 돌출되는 안착돌기(210)이다.
상기 체결돌기(220)에는 리세스가 제공되고, 상기 리세스에는 상기 바(331)가 억지끼움 등의 방식으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210)는 테이퍼부(211)가 제공되고 테이핑된 내부에 바(331)의 단부가 놓일 수 있다. 상기 테이퍼(211)는 안쪽으로 경사지게 제공되어, 상기 바(3331)가 용이하게 설치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220)는 억지끼움 등의 방식으로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체결부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상기 안착돌기(210)는 체결과는 무관하게 서포터 플레이트의 접근을 막도록 상기 바(331)가 거치되는 역할만을 수행하므로, 안착부라고 이름할 수도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바(331)는, 양자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추가 부재의 도움이 없이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0)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0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와 상기 바(331)가 서로 억지끼움 등의 방식으로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을 체결기구라고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안착부에 대응되어 설치되는 바(331)는, 양자 간의 체결작용은 없이 서포터 플레이트(200)(300) 간의 간격을 유지하여, 진공단열체 내부에 진공압이 가하여지더라도 두 서포터 플레이트(200)(300) 간의 간격이 좁아지지 않도록 할 수 이다. 상기 안착부 및 상기 바(331)가 서로 좁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안차기구라고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체결돌기(220)는 제한된 수만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체결돌기(220)에 끼워지는 바(331) 만이 올바르게 끼워져 있는지를 주의하여 작업을 수행하면 되므로, 작업자의 수고가 줄어드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체결돌기(220)와 안착돌기(210)의 형상을 관찰하여 체결되어야 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작업이 더 편리해 지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돌기(220)와 상기 바(331)의 체결에 대하여만 주의를 기울여서 체결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추후에 파손 등의 우려가 작아지고, 진공배기작업 시에 파손이 일어나는 일이 없어질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팅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와 많은 부분에 있어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은 도 9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특징적으로 차이나는 부분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0)에는 안착 리세스(230)가 제공된다. 상기 안착 리세스(23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35)에서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00) 측으로 연장되는 형태가 아니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235)의 내부 공간으로 파고 들어가도록 테이퍼(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안착 리세스(230)와 대응되도록 상기 바(331)는 길어질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안착 리세스(230)는, 상기 안착돌기(210)보다 상기 체결돌기(220)와 비교하여 그 형상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상기 안착돌기(210)보다 작업자가 더 쉽게 구분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 안착돌기(210)가 상기 안착리세스(230)로 바뀌는 것을 제시하고 있지만, 상기 체결돌기(220)가 체결리세스로 바뀔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체결리세스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35)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는 테이퍼(211)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은 동일할 수 있다.
상술되는 서포팅유닛의 실시예는, 한 쌍의 서포터 플레이트의 체결을 위하여 별도의 부재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를 보인다. 이 구성 외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적용하여 상기 한 쌍의 서포터 플레이트를 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1은 체결부재가 적용되어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가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서포팅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안착돌기(210)는 이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공되어 안착부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안착리세스(230)가 상기 안착돌기(210)를 대신하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00)의 지지 플레이트(335)에는 테이퍼 지는 홀의 형상으로 가공되는 압착부(35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351)에는 체결부재(4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00)는 볼트가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00)에는 머리부(401)와 몸통부(402)가 포함되고, 상기 머리부(401)는 상기 압착부(351)을 압착하는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351)는 적어도 어느 일부는 테이퍼 지게 제공되어, 상기 머리부(401)가 상기 압착부(351)에 면접하여 체결부재(400)의 삽입깊이가 작업자가 편리하게 체결의 완결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통부(402)가 끼워져서 양자가 체결되는 체결보스(340)가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402)와 상기 체결보스(340)는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양자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나사산 만이 아니라, 끼움방식, 턱구조 등의 다른 체결방식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나사산을 제공할 때에는 상기 서포팅유닛의 재질이 되는 수지재는 열처리된 후에 취성이 커지게 되므로, 열처리 전에 상기 나사산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400)는 열전도도 및 아웃게싱이 적은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단열코팅된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00)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머리부(401)의 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335)의 상단보다 하측에 놓인다. 따라서, 상기 머리부(401)의 상단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335)의 상단과의 사이 간격(H1)은 반드시 양의 수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는 같은 금속을 재질로 하는 플레이트 부재(10)(20)와 체결부재(400)의 직접 접촉에 의한 열전도를 막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상기 체결보스와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압착부에 의해서,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및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는 양자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보스와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압착부를 함께 지칭하여 체결기구라고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바(331)와 상기 체결돌기(220)를 함께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안착기구는 이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340)는 체결보스의 내부가 비어 있을 수도 있고, 채워질 수도 있다. 이 경우를 도면을 달리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상기 체결보스의 내부가 채워진 상태이고, 도 13은 상기 체결보스의 내부가 비워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보스(340)의 내부가 채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체결보스(34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기 때문에, 열처리 후에 취성이 강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400)가 체결되더라도 상기 체결보스(340)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보스(340)의 내부가 공간부(341)로 비어 있는 것을 알 수 잇다. 이 경우에는 상기 체결보스(340)의 강도보강에 대한 작용은 줄어들 수 있지만, 체결보스(340)를 제공하기 위한 수지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아웃게싱의 발생량을 더욱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체결기구와 상기 안착기구의 비율 및 갯수는 서포터 플레이트의 크기, 바의 갯수, 및 바의 크기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체결기구의 배치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의 체결관계에 의해서 정의되므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4는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서로 겹쳐지는 것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하측에 있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0)는 네 개가 서로 수평으로 정렬되어 제공되고 도면번호 201~204의 네 개의 부분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도면에서 상측에 있는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300)는 한 개가 제공되어 도면번호 301의 한 개를 가진다. 상기 부분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1~204)의 상호 간의 체결은 인용문헌 5의 기술이 그대로 적용될 수도 있지만, 그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기구는 먼저 제 1 체결포지션(600)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기구는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기구가 적용되어,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일체화되도록 하는 기구를 지칭한다.
상기 제 1 체결포지션(600)은,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서 각 부분 서포터 플레이트(일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부분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이냐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부분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이냐를 묻지 않는다)의 각 꼭지점의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원으로 표시하였다. 이와 같이 체결기구의 설정위치가 미리 정하여 지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노고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서포팅유닛(30)의 제작시에, 서포팅유닛의 크기가 지나치게 크거나, 개별 서포터 플레이트의 크기가 작은 등의 이유로 더 큰 체결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추가로 체결기구가 설치되는 위치를 늘릴 수 있다.
늘어나는 상기 체결기구는 제 2 체결포지션(602)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포지션은,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부분 서포터 플레이트가 상하로 중첩되어 만들어지는 모든 개별중첩영역의 모든 꼭지점의 위치 중에서, 상기 제 1 체결포지션을 제외하는 곳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면에서 x로 표시한 영역이 해당될 수 있다.
도면에서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체결포지션을 제외하고, 상기 바(31)가 제공되는 다른 모든 곳은 상기 안착기구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체결기구가 상기 안착기구에 비하여 적게 제공되어 작업자의 수고를 덜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0)가 다수 개 제공될 때, 인용문헌 5에 제시되는 방식으로 수평으로 서로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체결기구에 의해서 수평으로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체결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1)와 제 2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202)가 마련되고, 상기 두 부분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는 접촉하지면 접촉면이 서로 체결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에 상기 두 부분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체결시키는 기구로서, 상기 체결기구를 적어도 두 개 가지고, 상기 체결기구가 일체화되는 구성을 가지는 체결 플레이트(5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체결기구로는 이미 설명한 바가 있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진공단열체가 가지는 바람직한 진공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진공압에 따른 단열성능의 변화와 가스전도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진공압이 낮아질수록 즉, 진공도가 높아질수록 본체만의 경우(그래프 1) 또는 본체와 도어를 합한 경우(그래프 2)의 열부하는, 종래의 폴리우레탄을 발포한 물품과 비교하여 열부하(heat load)가 줄어들어서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단열성능이 향상되는 정도는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진공압이 낮아질수록 가스전도도(그래프 3)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진공압이 낮아지더라도 단열성능 및 가스전도도가 개선되는 비율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급적 진공압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과도한 진공압을 얻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들고, 과도한 게터(getter)사용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점에서 최적의 진공압을 제안한다.
도 17은 서포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에 진공단열체의 내부를 배기하는 공정을 시간과 압력으로 관찰하는 그래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를 진공상태로 조성하기 위하여, 가열하면서(baking) 진공공간부의 부품에 남아있는 잠재적인 기체를 기화시키면서 진공펌프로 진공공간부의 기체를 배기한다. 그러나, 일정 수준 이상의 진공압에 이르면 더 이상 진공압의 수준이 높아지지 않는 지점에 이르게 된다(△t1). 이후에는 진공펌프의 진공공간부의 연결을 끊고 열을 가하여 게터를 활성화시킨다(△t2). 게터가 활성화되면 일정 시간 동안은 진공공간부의 압력이 떨어지지만 정상화되어 일정 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한다. 게터 활성화 이후에 일정수준의 진공압을 유지할 때의 진공압은 대략 1.8×10-6Torr이다.
실시예에서는 진공펌프를 동작시켜 기체를 배기하더라도 더이상 실질적으로 진공압이 낮아지지 않는 지점을 상기 진공단열체에서 사용하는 진공압의 하한으로 설정하여 진공공간부의 최저 내부 압력을 1.8×10-6Torr로 설정한다.
도 18은 진공압과 가스전도도(gas conductivity)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공간부(50) 내부의 사이 갭의 크기에 따라서 진공압에 따른 가스전도열(gas conductivity)을 실질열전달계수(eK)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2.76mm, 6.5mm, 및 12.5mm의 세 가지 경우로 측정하였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상기 복사저항쉬트(32)가 있는 경우는 상기 복사저항쉬트와 인접한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이고, 상기 진공공간부의 내부에 복사저항쉬트가 없는 경우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거리이다.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단열재를 제공하는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과 대응되는 지점은 갭의 크기가 작아서 2.76mm인 경우에도 2.65×10-1Torr인 것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진공압이 낮아지더라도 가스전도열에 의한 단열효과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은 대략 4.5×10-3Torr인 지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4.5×10-3Torr의 압력은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실질열전달계수가 0.1 W/mk일때에는 1.2×10-2Torr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이 제공되지 않고 상기 다공성물질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갭의 크기가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이다. 이 경우에는, 다공성물질로 인하여 비교적 진공압이 높은 경우에도, 즉 진공도가 낮은 경우에도 복사열전달은 작다. 따라서 그 진공압에 맞는 적절한 진공펌프를 사용한다. 해당하는 진공펌프에 적정한 진공압은 대략 2.0×10-4Torr이다. 또한, 가스 전도열의 저감효과가 포화되는 지점의 진공압은 대략 4.7×10-2Torr이다. 또한, 가스전도열의 저감효과가 종래의 실질열전달계수 0.0196 W/mk에 이르는 압력은 730Torr이다.
상기 진공공간부에 상기 서포팅유닛과 상기 다공성물질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팅유닛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상기 다공성물질만을 사용하는 경우의 중간 정도의 진공압을 조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진공단열체의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품은, 다른 실시예에 적절한 형상의 변경이나 차원의 변경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더 나은 또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도어 측에 적합한 진공단열체의 경우라고 하더라도 형상 및 구성의 적절한 변형을 가함으로써, 본체 측에 적용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제시되는 진공단열체는 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진공단열체의 적용은 냉장고로 제한되지 아니하고, 초저온냉장장치, 온장장치, 및 송풍장치와 같은 다양한 개소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단열체의 내부에서 진공압에 따른 영향을 줄이면서 작업자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진공단열체가 적용되는 냉장고의 보급이 수행되는 경우에 산업상의 적용이 적극적으로 기대된다.
200: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300: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
331: 바
400: 체결부재

Claims (10)

  1. 제 1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과 온도가 다른 제 2 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 1 공간의 온도와 상기 제 2 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제 3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제 3 공간을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는 열저항유닛; 및
    상기 제 3 공간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서포팅유닛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하나를 지지하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다른 하나를 지지하고,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다수의 개소에서 접하는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접하는 곳에서,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서로 체결하여,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일체화시키는 체결기구; 및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가 접하는 곳에서,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서로 일체화하지 않고,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의 간격을 유지하는 안착기구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기구에 비하여 상기 안착기구의 갯수가 많은 진공단열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기구에는,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바; 및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체결부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기구에는,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바; 및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에 제공되고, 테이퍼를 가지는 안착돌기 또는 테이퍼를 가지는 안착리세스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기구에는,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압착부;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에 제공되는 체결보스; 및
    상기 압착부에 압착되고, 상기 체결보스에 체결되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는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의 바깥단면의 안쪽에 놓이는 진공단열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및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가가 수평으로 정렬되는 다수개의 부분 서포터 플레이트를 포함할 때,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부분 서포터 플레이트의 각 꼭지점에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부분 서포터 플레이트가 적어도 하나라도 다르게 상하로 중첩되어 만들어지는 모든 개별중첩영역의 모든 꼭지점의 위치에 제공되는 진공단열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및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 중의 적어도 하나가가 수평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두 개의 부분 서포터 플레이트를 포함할 때,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체결기구를 일체화하여, 적어도 두 개의 부분 서포터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체결 플레이트가 포함되는 진공단열체.
  10.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제공되는 본체; 및
    외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도어가 포함되고,
    상기 캐비티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 및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열을 빼앗는 증발기가 포함되고,
    상기 도어 상기 본체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진공단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단열체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1 플레이트 부재;
    상기 외부공간을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정의하는 제 2 플레이트 부재;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와 상기 외부공간의 온도의 사이 온도이며 진공 상태의 공간인 진공공간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를 밀봉하는 밀봉부;
    상기 진공공간부를 유지하는 서포팅유닛;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간의 열전달량을 감소시키는 열저항유닛;및
    상기 진공공간부의 기체를 배출하는 배기포트가 포함되고,
    상기 서포팅유닛에는,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하나를 지지하는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부재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부재 중의 다른 하나를 지지하는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일체화시키는 체결기구; 및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를 서로 일체화하지 않고, 상기 일측 서포터 플레이트와 상기 타측 서포터 플레이트의 간격만을 유지하는 안착기구가 포함되고,
    상기 안착기구의 갯수에 비하여 상기 체결기구의 갯수가 적은 냉장고.
KR1020180074190A 2018-06-27 2018-06-27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200001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190A KR20200001347A (ko) 2018-06-27 2018-06-27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PCT/KR2019/007764 WO2020004956A1 (en) 2018-06-27 2019-06-26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US17/043,333 US11959693B2 (en) 2018-06-27 2019-06-26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EP19827125.6A EP3814667B1 (en) 2018-06-27 2019-06-26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US18/591,898 US20240200859A1 (en) 2018-06-27 2024-02-29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190A KR20200001347A (ko) 2018-06-27 2018-06-27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47A true KR20200001347A (ko) 2020-01-06

Family

ID=6898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190A KR20200001347A (ko) 2018-06-27 2018-06-27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959693B2 (ko)
EP (1) EP3814667B1 (ko)
KR (1) KR20200001347A (ko)
WO (1) WO20200049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965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7657A (zh) * 2020-05-21 2020-07-28 杭州富士达特种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绝热保温冰箱门体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1265A (en) * 1959-01-27 1964-12-15 Union Carbide Corp Vacuum panel insulation
US3338451A (en) * 1964-02-20 1967-08-29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4496072A (en) * 1982-09-29 1985-01-29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ed cabinet collar corner element
US5157893A (en) * 1988-04-15 1992-10-27 Midwest Research Institute Compact vacuum insulation
US5168674A (en) * 1990-11-29 1992-12-08 Molthen Robert M Vacuum constructed panels
DE19745825A1 (de) * 1997-10-16 1999-04-22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ung
KR100343719B1 (ko) 2000-01-14 2002-07-20 엘지전자주식회사 진공 단열재 패널을 구비한 냉장고 도어
US20040226956A1 (en) 2003-05-14 2004-11-18 Jeff Brooks Cryogenic freezer
NL1024810C2 (nl) * 2003-11-19 2005-05-23 Level Holding Bv Verbeterd vacuümisolatiepaneel.
EP1861561A2 (en) 2005-03-17 2007-12-05 Industrial Origami, LLC Precision-folded, high strength, fatigue-resistant structures and sheet therefor
US7954301B2 (en) * 2007-03-16 2011-06-07 Ball Aerospace & Technologies Corp. Integrated multilayer insulation
KR101544453B1 (ko) * 2009-08-07 2015-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단열재의 코어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KR101131142B1 (ko) 2009-11-25 2012-04-03 주식회사 유엔에스 초저온 저장탱크
US9528749B2 (en) * 2011-11-02 2016-12-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861830B1 (ko) * 2011-11-02 2018-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공간부를 구비하는 냉장고
US9157230B2 (en) * 2012-02-16 2015-10-13 Alan Feinerman Vacuum insulated panels of arbitrary siz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anels
CA2887004A1 (en) * 2012-10-25 2014-05-01 Robert S. Jones Vacuum system comprising vacuum insulated glass units
JP6012490B2 (ja) 2013-01-25 2016-10-25 Kyb株式会社 キャリパブレーキ装置
KR101456376B1 (ko) * 2013-04-24 2014-10-31 한국과학기술원 조립식 왕복 지지체를 가지는 진공 단열체의 구조
KR102163292B1 (ko) 2013-07-26 2020-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419991B1 (ko) 2015-07-06 202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 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5550B1 (ko) 2015-08-03 2023-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CN111412715B (zh) 2015-08-03 2022-11-11 Lg电子株式会社 真空绝热体及冰箱
KR20170016188A (ko)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02160B1 (ko) 2015-08-03 2023-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59786B1 (ko) 2017-08-16 2022-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608948B1 (ko) * 2018-06-27 2023-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965A1 (en) * 2020-11-02 2022-05-05 Lg Electronics Inc. Vacuum adiabatic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200859A1 (en) 2024-06-20
EP3814667A1 (en) 2021-05-05
EP3814667A4 (en) 2022-03-23
US11959693B2 (en) 2024-04-16
WO2020004956A1 (en) 2020-01-02
US20210025645A1 (en) 2021-01-28
EP3814667B1 (en) 202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834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653489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02160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220145305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EP3940325A1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102459786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26037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653488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US20240200859A1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102609013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US11859896B2 (en) Vacuum adiabatic body and refrigerator
KR20200001363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200001384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437452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550615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102617725B1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230169050A (ko)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