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189A -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189A
KR20190135189A KR1020180060323A KR20180060323A KR20190135189A KR 20190135189 A KR20190135189 A KR 20190135189A KR 1020180060323 A KR1020180060323 A KR 1020180060323A KR 20180060323 A KR20180060323 A KR 20180060323A KR 20190135189 A KR20190135189 A KR 20190135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actile
computing device
web page
interfa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451B1 (ko
Inventor
조진수
정정일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피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피씨티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0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451B1/ko
Priority to US16/363,697 priority patent/US10845882B2/en
Publication of KR20190135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62Bookmar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6/986Document structures and storage, e.g. HTML exten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06F40/143Markup, e.g.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or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97Version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5Details of specially-adapted software to access information, e.g. to browse through hyperlinked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의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 혹은 스마트 점자기기 사용의 효율성 증대 및 정보화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다중배열 촉각셀 기반의 스마트 점자기기에 해당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직관적으로 사용, 상호작용 및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직관적으로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Internet Browsing Service by Tactile Interface Device}
본 발명은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의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 혹은 스마트 점자기기 사용의 효율성 증대 및 정보화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다중배열 촉각셀 기반의 스마트 점자기기에 해당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직관적으로 사용, 상호작용 및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직관적으로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습득 및 활용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추세는 일반인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시각장애인의 정보화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들도 정상인과 유사한 수준으로 정보를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하는데, 이는 시각장애인의 일상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하고 스스로 정보를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시각장애인에게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진출 및 참여의 기회를 확대시킴으로써 그들의 복지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일반적 방식은 주로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시각적 정보를 눈으로 인지하고 이에 대하여 키보드, 마우스, 혹은 터치패드 등의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시각을 쓸 수 없는 시각장애인이 일반인과 동일한 수준으로 컴퓨터의 출력정보를 인지하고 이에 대한 즉각적인 정보입력과 같은 상호작용을 하는 데에는 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시각적 장애는 컴퓨터 사용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현저히 저하시켜 컴퓨터를 통한 정보습득 및 활용의 기회를 크게 빼앗게 된다.
이러한 시각장애인의 컴퓨터 사용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청각, 촉각 등을 사용해 시각적 정보를 인지하고 이를 통해 컴퓨터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 대표적인 기술로서, 청각을 통해 시각장애인의 컴퓨터 사용을 보조하는 스크린 리더가 있다. 이는 컴퓨터 화면에 출력되는 내용과 자신이 입력한 키보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 혹은 소프트웨어이다.
하지만 스크린 리더는 출력화면에 대한 2차원의 공간적 위치정보 없이 한 줄로 이어진 선형화된 정보만으로 출력화면의 Graphic User Interface (GUI) 요소들을 탐색하므로 화면 출력정보 인지에 어려움이 따르며, 특히 출력화면에 포함된 정보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 어려움은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문자나 GUI 요소들 이외에 그림, 도표 등과 같은 다양한 그래픽 정보들에 대해서는 스크린 리더가 텍스트 기반의 간단한 묘사적 설명만을 음성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그래픽 정보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상호작용을 하는 데에 큰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또 다른 관련 기술로는 점자셀을 통하여 문자정보를 촉각으로 전달해주는 점자정보단말기가 있다. 이는 시각장애인에게 유용한 컴퓨터의 몇몇 기능들을 제공하여 독립적인 장치로 사용되는 방식과 스크린 리더가 분석하는 컴퓨터 화면의 텍스트 정보를 점자로 출력해주는 화면출력 보조장치로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두 가지 방식 모두 컴퓨터와의 효율적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 보다는, 컴퓨터 대용으로 컴퓨터의 몇 몇 제한된 기능들만을 수행하는 대체 기기의 역할을 하거나 혹은 문자정보를 점자로 출력해주는 출력보조 장치의 역할 만을 하게 된다. 특히, 점자 출력에 특화된 점자정보단말기는 스크린 리더와 마찬가지로 그래픽 정보를 표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번호 10-2012-0063982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의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 혹은 스마트 점자기기 사용의 효율성 증대 및 정보화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다중배열 촉각셀 기반의 스마트 점자기기에 해당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직관적으로 사용, 상호작용 및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직관적으로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컴퓨팅장치에 접속되어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팅장치는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브라우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은, 시각적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촉각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TUI모듈;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이 실행될 때, 기설정된 브라우저메인화면을 표시하는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 및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웹페이지변환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에 의하여 제공되는 브라우저메인화면을 출력하는 메인화면표시단계;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TUI단계;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웹페이지변환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에 의해 변환된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웹페이지변환단계; 및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TUI단계; 를 포함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웹페이지변환단계는,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를 불러오는 웹페이지로드단계; 상기 웹페이지를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HTML분석단계; 상기 HTML분석단계에서 구분 된 영역의 평가점수를 도출하는 구분영역별점수측정단계; 및 구분 된 상기 영역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출력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HTML분석단계는,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문서를 분석하여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을 도출하는 HTML표준판별단계; 및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이 HTML5인 경우, 상기 웹페이지를 HTML5 표준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HTML5분석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HTML5분석단계는, 상기 웹페이지 내 Header 태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Header 태그 존재 시 상기 Header 태그에 대해 영역을 설정하는 Header태그영역구분단계; 상기 웹페이지 내 Nav 태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Nav 태그 존재 시 상기 Nav 태그에 대해 영역을 설정하는 Nav태그영역구분단계; 상기 웹페이지 내 Aside 태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Aside 태그 존재 시 상기 Aside 태그에 대해 영역을 설정하는 Aside태그영역구분단계; 상기 웹페이지 내 Article 태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Article 태그 존재 시 상기 Article 태그에 대해 영역을 설정하는 Article태그영역구분단계; 상기 웹페이지 내 Section 태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Section 태그 존재 시 상기 Section 태그에 대해 영역을 설정하는 Section태그영역구분단계; 및 상기 웹페이지 내 Div 태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Div 태그가 1 이상 존재 시 상기 Div 태그 각각에 대해 영역을 설정하는 Div태그영역구분단계; 중 1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HTML분석단계는,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이 HTML4인 경우, 상기 웹페이지를 HTML4 표준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HTML4분석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텐츠출력단계는, 구분 된 상기 영역을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정렬하는 점수순구분영역정렬단계; 구분 된 상기 영역 중 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는 관심영역결정단계; 및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관심영역컨텐츠출력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웹페이지변환단계는, 구분 된 상기 영역 내 존재하는 링크를 추출하여 링크리스트를 생성하는 구분영역별링크리스트생성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출력단계는 상기 링크리스트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즐겨찾기관리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작성된 인터넷 상의 1 이상의 특정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즐겨찾기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즐겨찾기리스트표시단계; 및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3TUI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웹페이지변환단계에 의해 출력된 웹페이지의 정보를 상기 즐겨찾기리스트에 추가하는 즐겨찾기추가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즐겨찾기리스트표시단계에 의해 출력 된 즐겨찾기리스트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의 정보를 삭제하는 즐겨찾기삭제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검색엔진관리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저장된 검색엔진리스트가 포함된 정보를 출력하는 검색엔진선택단계; 및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4TUI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검색엔진리스트에 검색엔진의 정보를 추가하거나, 혹은 상기 검색엔진리스트에서 검색엔진의 정보를 삭제하는 검색엔진관리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검색엔진리스트는, 기설정된 1 이상의 검색엔진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검색엔진리스트; 및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검색엔진의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검색엔진리스트; 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엔진관리단계는, 상기 검색엔진리스트 중 상기 추가검색엔진리스트에 검색엔진을 추가하거나 혹은 상기 추가검색엔진리스트에서 검색엔진을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검색엔진선택단계에서 선택된 검색엔진에서 검색 할 검색어를 입력 받는 검색어입력단계; 및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5TUI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어입력단계는, 사용자가 직접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혹은 1 이상의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어리스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검색어리스트에 검색어를 추가하거나, 혹은 상기 검색어리스트로부터 검색어를 삭제하는 검색어관리단계; 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컴퓨팅장치에 접속되어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컴퓨팅장치는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브라우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은, 시각적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촉각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TUI모듈;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이 실행될 때, 기설정된 브라우저메인화면을 표시하는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 및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웹페이지변환모듈; 을 포함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은,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를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영역구별부; 구분 된 상기 영역의 평가점수를 도출하는 점수측정부; 구분 된 상기 영역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출력부; 및 구분 된 상기 영역 내 존재하는 링크를 추출하여 링크리스트를 생성하는 링크리스트생성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에 의하여 제공되는 브라우저메인화면을 출력하는 메인화면표시단계; 상기 메인화면표시단계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컴퓨팅장치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TUI단계;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컴퓨팅장치에 의해 변환된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웹페이지변환단계; 및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컴퓨팅장치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TUI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웹페이지변환단계는, 상기 웹페이지를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HTML분석단계; 상기 HTML분석단계에서 구분 된 영역의 평가점수를 도출하는 구분영역별점수측정단계; 및 구분 된 상기 영역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출력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이 점자기기 혹은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이용하여 교육, 문화 및 여가 등의 일상생활에서 일반인과 유사한 수준으로 다양한 콘텐츠들(도서, 교육, 멀티미디어, 인터넷, 게임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중배열 촉각셀 기반의 스마트 점자기기를 위한 Tactile User Interface 및 어플리케이션 연동/제어/활용을 위한 Android 등의 메인운영체제 기반 점자기기 혹은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운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장애인들에게 스마트 기기에서 제공하는 시각정보(시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촉각정보(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여 다중배열 점자셀 기반의 촉각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정보를 관리하며, 스마트 기기에서 동작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점자기기 운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배열 촉각셀 기반의 스마트 점자기기의 입력부(점자 키보드/방향키/기능키 등)를 통해 스마트 점자기기의 운영체제(Android OS) 및 Application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일반적인 스마트 기기에서 화면으로 출력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시각장애인용 TUI(Tactile User Interface) 데이터로 변환하여 촉각 및 점자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인들이 일반인과 유사한 수준으로 일반적인 스마트 기기 혹은 스마트 점자기기를 보다 쉽게 제어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배열 촉각셀 기반의 스마트 점자기기 및 시각장애인용 TUI를 기반하여 시각장애인이 인터넷을 이용함에 있어서 즐겨찾기 및 검색엔진을 통해 용이하게 원하는 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장애인이 인지에 어려움이 있는 메뉴와 본문, 링크, 그림 등이 섞여 있는 일반적인 웹페이지를 웹페이지의 영역을 분리하고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시각장애인이 웹페이지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웹페이지를 이용함에 있어서 웹페이지의 HTML을 분석하여 영역을 구별하고 각 영역의 점수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컨텐츠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을 우선적으로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웹페이지의 내용을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역 내 존재하는 링크를 추출하여 리스트화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링크를 선택하여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웹 페이지의 HTML 표준을 판별하여 HTML 버전에 따른 웹페이지 구조를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영역을 구별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 인터페이스장치와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OS부의 동작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OS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UI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 디스플레이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단계의 세부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에서의 표시화면과 이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디스플레이의 영역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입출력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신호생성단계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서영역출력신호생성단계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서영역 표기의 형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서영역 표기의 몇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출력신호생성단계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TS단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단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브라우저모듈과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의 TUI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변환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즐겨찾기관리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엔진관리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변환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5분석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출력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즐겨찾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브라우저메인화면을 도시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즐겨찾기관리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엔진관리모듈 및 즐겨찾기관리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39는 웹페이지변환모듈을 통하지 않고 웹페이지의 텍스트 컨텐츠가 브라우저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변환모듈을 통해 웹페이지의 텍스트 컨텐츠가 브라우저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변환모듈을 통해 웹페이지의 텍스트 컨텐츠가 브라우저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변환모듈을 통해 웹페이지의 링크리스트가 브라우저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 촉각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는 가상운영체제로서의 점자OS모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와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는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서술하는 본 발명의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A)에 연결된 촉각 인터페이스장치(1000)는 촉각 그래픽을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인터페이스장치,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 인터페이스장치, 및 촉각 그래픽을 출력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A)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와 연결되어 있고, 이와 같은 연결은 유선적 연결 혹은 무선적 연결을 모두 포함하는 연결이다.
상기 컴퓨팅 장치(A)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이하 'PC'라 칭하기로 한다)와,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A)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어 있거나 자체적인 디스플레이모듈이 구비될 수도 있다.
혹은, 상기 컴퓨팅 장치(A)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와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와 이를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A)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형태의 장치의 경우 상기 컴퓨팅 장치(A)와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공유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는 상기 컴퓨팅장치(A) 등과 유선적 혹은 무선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장치접속부(1100); 복수의 핀으로 사용자에게 촉각정보를 제공하는 촉각디스플레이부(1200); 입력좌표 혹은 세부적으로 포커싱되는 사항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방향키부(1300); 사용자로부터 키입력 형태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보드부(1400); 및 상기 외부장치접속부(1100), 상기 촉각디스플레이부(1200), 상기 방향키부(1300), 및 상기 키보드부(1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장치접속부(1100)는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부 및 유선적으로 상기 외부장치와 접속할 수 있는 유선연결부 중 1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모듈부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 오디오 통신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및 WiFi 통신 모듈, IrDA 기반의 적외선 통신 모듈, 무선 랜(WLAN), 와이브로(WiBro) 모듈, 무선 USB(Wireless USB)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유선연결부(112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유선연결모듈이 이에 해당한다.
상기 촉각디스플레이부(1200)는 1 이상의 차원의 촉각픽셀로 촉각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촉각픽셀은 압전세라믹 및 탄성체를 포함하는 트랜스듀서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하로 이동하는 복수의 핀에 의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촉각픽셀은 2차원으로 촉각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촉각디스플레이부(1200)는, 외부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에 기초하거나 혹은 촉각 인터페이스장치 내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표시데이터수신부; 상기 데이터를 촉각디스플레이데이터로 변환하는 촉각데이터변환부; 및 상기 촉각디스플레이데이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복수의 핀구동모듈; 및 촉각디스플레이부(1200)를 구동하는 전원을 공급받는 구동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입력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촉각정보 혹은 촉각 그래픽을 제공한다.
상기 촉각디스플레이부(1200)는 1 이상의 차원의 촉각픽셀을 표시 혹은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상기 촉각픽셀은 압전세라믹 및 탄성체를 포함하는 트랜스듀서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하로 이동하는 복수의 핀에 의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촉각픽셀은 복수의 핀구동모듈 그룹에 의하여 표시되고, 각각의 상기 핀구동모듈 그룹은 복수의 핀구동모듈로 이루어진다. 혹은 전체의 핀구동모듈이 하나의 핀구동모듈 그룹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향키부(1300)는 입력좌표 혹은 세부적으로 포커싱되는 사항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상기 키보드부(1400)은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 시각장애인이 입력할 수 있는 키형태이고, 상기 키보드부(1400)는 복수의 키들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키들의 입력은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명령으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방향키부(1300), 및 상기 키보드부(1400)를 통하여 촉각 인터페이스장치에 입력을 수행하고,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는 이와 같이 입력된 명령 혹은 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A)로 전송한다.
한편 키보드부(1400)는, 바람직하게는 현재 시각장애인들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점자를 일반문자로 변환하여 컴퓨터에 문자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점자키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보드부(1400)는 점자를 입력 받아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 혹은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 연결된 컴퓨팅장치(A)에 전달한다. 상기 키보드부(1400)는 점자키, 단축기, 및 실행 혹은 스페이스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점자는 여러 개의 점이 모여 하나의 글자를 구성하기 때문에 점자키가 동시에 경우 눌린 경우 최종적인 점자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점자정보는 촉각 인터페이스장치(1000) 내부의 소프트웨어 혹은 컴퓨팅장치의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일반문자(general character)로 점역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출력 기능을 위하여, 촉각디스플레이부(1100)는 일반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방향키부(1300) 및 키보드부(1400)는 일반 컴퓨터의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를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 버스(프로세서, 메모리,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 사이의 양방향 화살표에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점자OS부실행코드(3400), 일반OS부실행코드(3500), 응용프로그램부실행코드 (3600), 및 입출력제어루틴(37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점자OS부(2000); 일반OS부(3100); 및 응용프로그램부(3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OS부(3100)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메인운영체제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GOOGLE의 ANDROID OS, MICROSOFT의 WINDOWS OS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를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A)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에는 점자OS부실행코드(3400), 일반OS부실행코드(3500), 응용프로그램부실행코드 (3600), 및 입출력제어루틴(3700)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0)를 통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는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0)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를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A)를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0)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를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0)를 통하여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가 촉각 인터페이스장치에 무선적 혹은 유선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팅 장치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0)에 의해, 그리고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점자OS부(2000); 일반OS부(3100); 및 응용프로그램부(3200)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점자OS부(2000)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프로세서는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따라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가 더 포함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OS부의 동작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OS부(3100)는 컴퓨팅장치(A)의 메인운영체제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모듈에 해당하고, 상기 일반OS부(3100)의 제어하에서, 점자OS부(2000) 및 응용프로그램부(3200)가 구동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컴퓨팅장치(A)의 메인운영체제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위한 가상적인 서브운영체제에 해당하는 점자 OS부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자OS부(2000)는 상기 촉각 인터페이스장치(1000)의 구동 및 입출력과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을 제어하면서, 동시에 상기 일반OS부(3100)의 제어하에서 동작하는 상기 응용프로그램부(3200)와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 사이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점자OS부(2000)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1000) 환경을 제어하는 응용프로그램 및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입출력이 가능한 내장기본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점자OS부(2000)의 환경에서는, 개발자들은 실제 컴퓨팅장치의 디스플레이 예를들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소프트웨어 혹은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와 같은 응용프로그램의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로의 입출력은 상기 점자OS부(20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점자OS부(2000)는 일반 개발자가 일반적인 GUI를 갖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이와 같이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상기 점자OS부(2000)를 통하여 시각장애인이 입출력을 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구현될 수 있어, 일반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시각장애인에게 보다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OS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자OS부(2000)는, 트리거모듈(2100), 메인화면모듈(2200), 환경설정모듈(2300), TUI(Tactile User Interface)모듈(2400), 내장어플리케이션모듈(2500), TTS(Text To Speech)모듈(2600), 및 이멘트모듈(2700)을 포함한다.
상기 트리거모듈(2100)은 상기 컴퓨팅장치(A)와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장치(A)와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가 상호접속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을 실행하는 단계의 실행을 호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점자OS부(2000)는 기본적으로 시각적 디스플레이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컴퓨팅장치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컴퓨팅장치에서 점자OS부의 각각의 모듈을 실행시켜 촉각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점자OS부가 실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스마트폰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GUI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등을 확인하고 터치입력을 수행함에 의하여 실행이 되지만, 시각장애인의 경우 이와 같은 동작이 어려울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점자OS부의 실행은 일반적인 컴퓨팅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과 달리, 시각적으로 인지가 어려운 시각장애인에 의하여 실행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트리거모듈(2100)은 상기 메인운영체제의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다가, 시각장애인이 촉각인터페이스장치와 상기 컴퓨팅장치(A)의 연결을 하는 경우에(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연결은 시각장애인이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 있는 물리적인 버튼을 입력함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상기 트리거모듈(2100)은 1차적으로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의 실행을 호출한다.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은 예를들어 도 9와 같은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시작하였을 때, 윈도우 바탕화면과 같이 점자OS부의 메인화면을 표시하고, 이와 같은 메인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모듈 혹은 기능을 선택하도록 수행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은 도 9의 (A)와 같이, 단순히 컴퓨팅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메인화면모듈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도 9의 (A)와 같은 GUI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동시에, 상기 GUI인터페이스의 출력신호는 상기 TUI모듈(2400)에 의하여 촉각인터페이스의 출력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로 전달되어, 시각장애인은 상기 메인화면을 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점자OS부에 내장된 응용프로그램 혹은 점자OS부의 제어하에서 동작할 수 있는 외부 응용프로그램 모두 이와 같은 GUI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메인화면모듈(2200)은 상기 점자OS부(2000)에 의하여 제공된다. 즉, 점자OS부(2000)를 실행시키면, 1차적으로는 상기 점자OS부, 즉 메인운영체제의 제어 하에서 실행되는 서브운영체제에 의하여 제공되는 메인화면모듈이 실행된다. 혹은 상기 트리거모듈에 의하여 상기 메인화면모듈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환경설정모듈(2300)은 상기 점자OS부(2000)의 환경 및/또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환경설정모듈(2300)이 실행되면 상기 컴퓨팅장치(A)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환경설정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동시에 상기 TUI모듈(2400)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입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
상기 TUI모듈(2400)은 상기 메인화면모듈 혹은 다른 응용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TUI모듈(2400)은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 상기 점자OS부(2000)에 의하여 제공되고 내장어플리케이션, 혹은 메인운영체제의 제어 하에서 동작하는 외부 응용어플리케이션의 GUI를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TUI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일반 개발자는 컴퓨팅장치(A)에서 동작하는 일반적인 소프트웨어만 개발을 한다면, 해당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가 상기 TUI모듈(2400)에 의하여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되고, 결과적으로, 시각장애인이 해당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점자OS부(2000)에서는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호출되는 어플리케이션모듈 실행단계; 및 상기 서브운영체제에 의하여 제공되는 TUI모듈을 실행하는 제2 TUI단계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2 TUI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모듈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내장어플리케이션모듈(2500)은 알람, 시계, 기본 문서작성기, 기본 문서뷰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내장어플리케이션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GUI기반으로 제작이 되지만, 상기 TUI모듈(2400)에 의하여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시각장애인도 이용을 할 수 있다.
상기 TTS모듈(2600)은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 환경설정모듈(2300), 혹은 기타 어플리케이션모듈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혹은 촉각디스플레이되는 요소에 대해 TTS기능을 자체적으로 수행하거나 혹은 메인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TTS기능을 하는 모듈에 대해 TTS 대상이 되는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면서 TTS 수행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벤트모듈(2700)은 사용자단말기와 촉각인터페이스장치와의 접속상태에 기초하여, 촉각인터페이스장치로의 이벤트 알림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각장애인은 자신이 인터페이싱하고 있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가 상기 컴퓨팅장치와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를 쉽게 인지하지 못하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점자OS부는 이벤트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접속장애에 대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촉각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UI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TUI모듈은,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 혹은 기타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출력신호생성부(2410);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키입력 등의 입력을 상기 컴퓨팅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메인화면모듈 혹은 기타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생성부(2420); 상기 출력신호생성부의 동작에 있어서 접속된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디스플레이부의 화소에 적합한 스케일링 정보를 로드하는 스케일링정보로드부(2430); 및 상기 출력신호 및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이전의 촉각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버퍼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퍼출력신호생성부(24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신호 및 상기 버퍼출력신호는 2차원 촉각셀 어레이에 대한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 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모듈은 상기 TUI모듈(2400)을 통하여 촉각인터페이스장치로 입출력신호가 변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케일링정보로드부(2430)는 접속된 촉각인터페이스장치로부터 자동적으로 해당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디스플레이 픽셀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촉각디스플레이 픽셀정보를 로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이와 같은 촉각디스플레이 픽셀정보는 상기 컴퓨팅 장치(A)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 디스플레이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TUI모듈(2400)은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출력신호생성부(241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출력신호는 2차원 촉각셀 어레이에 대한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신호에 의하여 구현되는 촉각디스플레이장치의 촉각화면은,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 중 컨텐츠부분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컨텐츠영역(L1); 상기 현재 사용자의 커서의 위치 및 형태를 구현하는 커서영역(L2); 및 상기 메인화면모듈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의 페이지정보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페이지영역(L3)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촉각디스플레이장치에는 다양한 물리적키가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물리적키는 보다 직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물리적키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TUI모듈(2400)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TUI모듈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명령이 생성되고, 해당 명령이 상기 컴퓨팅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 S10에서는 시각장애인 사용자가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ON 혹은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상기 컴퓨팅장치로의 연결에 대한 키입력을 함으로써, 메인화면모듈을 실행을 호출하는 트리거단계가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자OS부(2000)의 상기 트리거모듈(2100)부는 컴퓨팅장치의 메인운영체제의 제어 하에서 백그라운드로 동작하게되고, 상기와 같은 조건이 충족하게 되면, 우선적으로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의 실행을 호출한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처음 시작하는 페이지가 일정한 것이 보다 유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리거단계(S10)는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의 실행을 호출한다.
단계 S20에서는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의 실행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메인화면모듈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A)에 연결된 GUI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의 화면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이 기본적으로는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개발자들은 점자, 혹은 시각장애인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 혹은 다른 응용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에 있어서 문제가 있는 경우 일반인이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일반 인터페이스 요소(예를들어 터치디스플레이)를 조작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옆에서 해결해줄 수도 있다.
단계 S30에서는,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메인화면에 대해 상기 TUI모듈(2400)이 실행되어,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의 출력요소를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디스플레이부(1200)의 구동신호로 변환시키거나, 혹은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의 입력을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로 입력될 수 있는 형태의 명령으로 변환한다. 이를 편의상 제1 TUI단계(S30)라고 칭한다.
단계 S40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상기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점자OS(2000)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혹은 상기 점자OS부(2000)와 별도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계 S50에서는, 상기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해 상기 TUI모듈(2400)이 실행되어, 상기 화면의 출력요소를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디스플레이부(1200)의 구동신호로 변환시키거나, 혹은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입력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입력될 수 있는 형태의 명령으로 변환한다. 이를 편의상 제2 TUI단계(S50)라고 칭한다. 여기서, 상기 제2 TUI단계도 상기 점자OS부(2000)에 의하여 제공되는 상기 TUI모듈(24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60에서는, 사용자의 촉각디스플레이장치의 조작에 따라 특정 영역에 대한 TTS기능 실행이 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자OS부(2000)는 TTS 대상이 되는 부분을 결정하여, 메인운영체제에 의하여 동작하는 TTS어플리케이션에 TTS 기능을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
단계 S70에서는, 컴퓨팅장치와 촉각인터페이스장치와의 접속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 알림을 수행하는 이벤트모듈이 실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단계의 세부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트리거단계는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을 실행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일반사용자가 컴퓨팅장치에서 상기 점자OS부(2000)를 실행시켜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이 호출되는 것이 아니라, 시각장애인 사용자가 상기 촉각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키거나(이 경우 자동적으로 할당된 컴퓨팅장치에 접속됨) 혹은 ON 되어 있는 촉각 디스플레이장치를 조작하여 컴퓨팅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단계는, 상기 컴퓨팅장치(A)와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접속을 확인하는 단계(S11); 및 상기 컴퓨팅장치(A)와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가 상호접속 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을 실행하는 단계의 실행을 호출하는 단계(S12)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에서의 표시화면과 이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디스플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의 (A)는 컴퓨팅장치가 스마트폰인 경우 메인화면모듈이 실행되었을 때의 컴퓨팅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하고, 도 9의 (B)는 상기 도 9의 (A)가 디스플레이되는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서의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은 각각의 메뉴(컨텐츠)를 1차원적으로 나열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대한 커서를 상기 각각의 메뉴 옆에 위치하도록 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즉, 메인화면모듈은 컨텐츠를 복수의 단위로 구분하고, 복수의 단위로 구분된 형태로 컴퓨팅장치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TUI모듈은(2400)은 복수의 단위로 구분된 컨텐츠를 복수의 서브컨텐츠영역으로 구분한다.
한편,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도 마찬가지로 각각의 메뉴(컨텐츠)를 1차원적으로 나열하는 형태로 표시하고, 이에 대한 커서를 상기 각각의 메뉴 옆에 위치하도록 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디스플레이의 영역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TUI모듈(2400)에 의하여 생성되는 출력신호에 의하여 구현되는 촉각디스플레이장치의 촉각화면은,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 중 컨텐츠부분(도 9에서는 메뉴)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컨텐츠영역(L1); 현재 사용자의 커서의 위치 및 형태를 구현하는 커서영역(L2); 및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의 페이지정보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페이지영역(L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영역은 복수의 서브컨텐츠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커서영역은 복수의 서브커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커서영역에서 구현되는 커서의 위치는 포커싱된 상기 서브컨텐츠영역의 위치에 대응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촉각디스플레이 형태는 시각장애인에게 가장 효율적으로 정보를 확인하고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한다.
상기 서브컨텐츠영역은 복수의 점자셀 그룹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점자셀 그룹은 복수개의 점자셀, 예를들어 6개의 점자셀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점자셀은 하나의 점자 구멍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상기 서브커서영역 역시 1 이상의 점자셀, 바람직하게는 커서의 위치 및 형태 정보를 알릴 수 있는 형태의 복수의 점자셀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10의 “포커스된 L2영역” 및 “포커스된 L1영역”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커서영역과 상기 서브커서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서브컨텐츠영역은 1축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시각장애인은 자신의 커서가 포커스하고 있는 부분이 어디인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 형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시각장애인을 상대로한 다양한 실험 등을 통하여 도출된 형태에 해당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입출력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계 S110, S120, 및 S130은 상기 TUI모듈(2400)에 의하여 수행된다. 한편, 단계 S140에서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명령이 입력되고, 이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혹은 화면 출력이 변화되게 된다.
단계 S150, S160, 및 S170은 상기 TUI모듈(2400)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와 같은 단계들의 수행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혹은 화면 출력의 변화가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로 전달이 되고, 사용자는 이와 같은 변화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신호생성단계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출력신호생성단계는, 상기 컨텐츠영역에 대한 상기 2차원 촉각셀 어레이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영역출력신호생성단계(S310); 상기 커서영역에 대한 상기 2차원 촉각셀 어레이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커서영역출력신호생성단계(S320);및 상기 페이지영역에 대한 상기 2차원 촉각셀 어레이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페이지영역출력신호생성단계(S330);를 포함한다.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컨텐츠영역은 복수의 서브컨텐츠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커서영역은 복수의 서브커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컨텐츠영역출력신호생성단계(S310)는 상기 메인화면모듈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 중 컨텐츠부분의 데이터를 구분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컨텐츠영역을 구현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커서영역출력신호생성단계(S320)는 상기 복수의 서브컨텐츠영역 중 사용자의 커서가 위치하는 서브컨텐츠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커서영역의 일부 위치에서의 촉각셀 어레이를 제어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서영역출력신호생성단계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커서영역출력신호생성단계(S320)는, 사용자의 커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321); 및 사용자의 커서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S322 및 S323)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커서는 상기 세부컨텐츠영역의 일부를 포커싱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인 커서의 경우 위치 정보만을 표시하면 되지만, 촉각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점자픽셀이 일반 디스플레이 픽셀보다 낮은 화소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세부컨텐츠영역에 있는 정보를 한번에 디스플레이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커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커서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S322 및 S323)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시각장애인이 직관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커서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S322 및 S323)는 커서가 위치하는, 혹은 커서가 지칭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원문과 커서가 위치하는, 혹은 커서가 지칭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출력신호 혹은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디스플레이 정보를 로드하는 단계(S322) 및 상기 원문과 상기 출력신호 혹은 상기 촉각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커서형태를 결정하여 커서레이어출력신호생성단계(S3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커서영역출력신호생성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커서가 위치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디스플레이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커서가 위치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상기 메인화면모듈의 원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커서의 형태를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커서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S322 및 S323)는, 상기 사용자의 커서가 위치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디스플레이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커서가 위치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상기 메인화면모듈의 원문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1 커서형태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커서가 위치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디스플레이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커서가 위치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상기 메인화면모듈의 원문 정보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2 커서형태로 결정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의 커서가 위치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의 원문 정보가 제1 원문정보, 상기 제1 원문정보 다음으로 이어지는 제2 원문정보, 상기 제2 원문정보 다음으로 이어지는 제3 원문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커서형태는, 상기 사용자의 커서가 위치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디스플레이 정보가 상기 제1 원문정보에 대응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1커서형태; 상기 사용자의 커서가 위치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디스플레이 정보가 상기 제2 원문정보의 일부에 대응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2커서형태; 및 상기 사용자의 커서가 위치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디스플레이 정보가 상기 제3 원문정보에 대응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2커서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영역에서의 정보는 복수의 컨텐츠서브영역으로 구분되어, 촉각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된다.
예를들어, 컨텐츠영역에서의 정보가 하기와 같다고 가정한다.
“The base of a refreshable braille display often integrates a pure braille keyboard. There, the input is performed by two sets of four keys on each side, while output is via a refreshable braille display consisting of a row of electro-mechanical character cells, each of which can raise or lower a combination of eight round-tipped pins. Other variants exist that use a conventional QWERTY keyboard for input and braille pins for output, as well as input-only and output-only devices.
On some models the position of the cursor is represented by vibrating the dots, and some models have a switch associated with each cell to move the cursor to that cell directly.
The mechanism which raises the dots uses the piezo effect of some crystals, whereby they expan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m. Such a crystal is connected to a lever, which in turn raises the dot. There has to be a crystal for each dot of the display, i.e. eight per character.”
이 경우, 상기 TUI모듈은 “The base of a refreshable braille display often integrates a pure braille keyboard. There, the input is performed by two sets of four keys on each side, while output is via a refreshable braille display consisting of a row of electro-mechanical character cells, each of which can raise or lower a combination of eight round-tipped pins. Other variants exist that use a conventional QWERTY keyboard for input and braille pins for output, as well as input-only and output-only devices.”를 제1 서브컨텐츠영역으로 할당하여, 이에 대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On some models the position of the cursor is represented by vibrating the dots, and some models have a switch associated with each cell to move the cursor to that cell directly.”를 제2 서브컨텐츠영역으로 할당하여, 이에 대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The mechanism which raises the dots uses the piezo effect of some crystals, whereby they expan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m. Such a crystal is connected to a lever, which in turn raises the dot. There has to be a crystal for each dot of the display, i.e. eight per character.”를 제3 서브컨텐츠영역으로 할당하여, 이에 대한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서브컨텐츠영역은 30개의 CHARACTER를 표시할 수 있다고 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서브컨텐츠영역의 원문은 하기와 같이 구분될 수 있다.
“On some models the position of” (제1 원문정보)
“the cursor is represented by v” (제2 원문정보의 제1 부분)
“ibrating the dots, and some mo” (제2 원문정보의 제2 부분)
“dels have a switch associated “ (제2 원문정보의 제3 부분)
“with each cell to move the cur” (제2 원문정보의 제4 부분)
“sor to that cell directly.” (제3 원문정보)
여기서, 하나의 서브컨텐츠영역은 상기 제1 원문정보 내지 제3 원문정보 중 어느 하나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시각장애인은 상기 서브컨텐츠영역(제2 서브컨텐츠영역)에 대응되는 서브커서영역에 표시되는 커서의 점자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촉각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정보가 전체 정보 중 어디에 위치하는 지 알 수 있다. 이후, 시각장애인은 촉각디스플레이장치의 방향키를 조작함으로써, 제1원문정보 내지 제3원문정보 사이에서 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촉각디스플레이 장치의 촉각픽셀의 한계점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시키면서, 시각장애인이 보다 직관적으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서영역 표기의 형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에서는 총 4가지의 커서영역,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브커서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커서형태의 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커서형태를 파악하고, 방향키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서브컨텐츠레이어의 표시사항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서형태, 상기 제2-1커서형태, 상기 제2-2커서형태, 및 상기 제2-3커서형태는 각각 도 14에서의 1번째 커서형태, 2번째 커서형태, 3번째 커서형태, 4번째 커서형태에 해당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서영역 표기의 몇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컨텐츠는 컨텐츠 1 ~ 6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서브컨텐츠영역에 도시되고, 사용자가 첫번째 서브컨텐츠영역에 포커싱을 하는 경우에, 상기 첫번째 서브컨텐츠영역에 나란하게 혹은 정렬되어 위치하는 서브커서영역에 커서에 대한 촉각그래픽이 표현된다.
여기서, 컨텐츠 1이 하나의 서브컨텐츠영역에 모두 표시가 되지 못하는 경우, 가상적으로 컨텐츠 1 이 “컨텐츠 1A 컨텐츠 1B 컨텐츠 1C”로 구분하고, 초기에는 도 15의 (B)에서와 같이 컨텐츠 1A를 촉각그래픽으로 표시하고, 좌측의 커서에 대한 촉각그래픽은 상기 도 14의 두번째 커서형태를 갖는다.
이후 사용자가 우측 방향키를 누르는 경우에, 도 15의 (C)에서와 같이 컨텐츠 1B를 촉각그래픽으로 표시하고, 좌측의 커서에 대한 촉각그래픽은 상기 도 14의 세번째 커서형태를 갖는다.
이후 사용자가 우측 방향키를 누르는 경우에, 도 15의 (D)에서와 같이 컨텐츠 1C를 촉각그래픽으로 표시하고, 좌측의 커서에 대한 촉각그래픽은 상기 도 14의 네번째 커서형태를 갖는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퍼출력신호생성단계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인화면모듈의 변환을 대상으로 버퍼출력신호생성단계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상기 버퍼출력신호생성단계는 상기 메인화면모듈의 변환뿐만 아니라,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화면의 변환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TUI단계(S30)는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 혹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출력신호생성단계(S150); 및 상기 출력신호 및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이전의 촉각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버퍼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퍼출력신호생성단계(S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신호 및 상기 버퍼출력신호는 2차원 촉각셀 어레이에 대한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TUI단계(S30)는, 상기 메인화면모듈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이 변경할 때마다 수행이 되고, 상기 버퍼출력신호생성단계는, 바로 이전의 상기 출력신호와 현재의 변경된 출력신호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버퍼출력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퍼출력신호생성단계(S160)는, 이전, 즉 현재 사용자의 입력으로 화면이 바뀌기 전에 상기 출력신호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이전 출력신호를 로드하는 단계(S410);
현재 사용자의 입력으로 화면이 바뀐 후에 상기 출력신호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현재 출력신호와 상기 이전 출력신호와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S420);
상기 현재 출력신호와 상기 이전 출력신호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버퍼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4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버퍼출력신호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 어레이 중 현재 바뀐 부분에 대한 제어신호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촉각인터페이스장치가 보다 물리적으로 부드럽게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TS단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TTS명령을 수행하는, TTS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TTS단계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 혹은 명령에 기초하여 TTS를 수행하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510); 현재 설정된 TTS모드에 대한 정보를 로드하는 단계(S520); 현재 사용자의 커서의 위치를 로드하는 커서위치로드단계(S530); 및 상기 TTS모드 및 상기 사용자의 커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TTS대상이 되는 원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S540); 및 상기 S540단계에서 결정된 원문정보를 TTS수행모듈에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S55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TTS단계는 서브컨텐츠영역 별로 수행될 수 있다. 즉, 현재 커서가 위치하는 서브컨텐츠영역의 원문이 상기 TTS단계에 의하여 음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TTS모드는 상기 포커싱된 서브컨텐츠영역에 대해 TTS를 수행하는 모드; 및 상기 포커싱된 서브컨텐츠영역 및 상기 포커싱된 서브컨텐츠영역에 이어지는 서브컨텐트영역을 포함하여 TTS를 수행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On some models the position of the cursor is represented by vibrating the dots, and some models have a switch associated with each cell to move the cursor to that cell directly.”가 제1 서브컨텐츠영역에 해당하고, “The mechanism which raises the dots uses the piezo effect of some crystals, whereby they expan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m. Such a crystal is connected to a lever, which in turn raises the dot. There has to be a crystal for each dot of the display, i.e. eight per character.”가 제2 서브컨텐츠영역에 해당하고, 커서가 포커싱된 영역이 제1 서브컨텐츠영역인 경우에, TTS모드는 제1 서브컨텐츠영역만 처리하는 제1 모드 및 제1 서브컨텐츠영역 및 제2 서브컨텐츠영역을 처리하되, 사용자의 OFF와 관련된 명령이 입력되면, 중지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단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단계는, 사용자단말기와 촉각인터페이스장치와의 접속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610); 및 상기 접속상태가 기설정된 기준에 해당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로 출력할 이벤트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6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이벤트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시각장애인은 촉각디스플레이장치와 컴퓨팅장치의 접속에 장애가 생기는 경우에, 직관적으로 장애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어떤 프로그램이라도 보다 시각장애인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프로그램과 인터페이스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프로그램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점자 등을 모르고, 이에 대한 별도의 입출력 API를 개발하지 않더라도, 일반적인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통하여 시각장애인용 소프트웨어를 공급할 수 있다.
2.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브라우저모듈과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된 컴퓨팅장치(A)의 구성은 전술한 도 2, 3을 참조한 설명에 따른다. 한편, 도 22의 점자OS부(2000)의 구성은 도 4 내지 18을 참조한 설명에 따른다.
한편, 도 22의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은 도 3의 응용프로그램부(3200)의 한 형태에 해당할 수 있고, 혹은 도 4의 내장어플리케이션모듈(2500)에 해당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컴퓨팅장치(A)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일반인이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점자OS부(2000)에 내장되는 공통 TUI모듈 혹은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에 내장되는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만을 위한 특수한 TUI모듈에 의하여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시각장애인이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형태로 입출력신호가 변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점자OS부(2000)는 공통된 TUI모듈(2400)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에는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시각장애인이 인터페이스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별도의 TUI모듈(5100)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의 실행은 상기 점자OS부(2000)의 제어를 받게 되고,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이 제어되는 동안에 상기 TTS모듈(2600), 상기 이벤트모듈(2700) 등이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장치(A)로 구현되고, 상기 컴퓨팅장치(A)에 접속되어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은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의 내부 기능 모듈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하거나 혹은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TUI모듈(5100)(여기서 TUI모듈은 도 4의 점자OS부(2000)의 TUI모듈(2400)과 별도로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에 포함된 모듈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이 실행될 때, 기설정된 브라우저메인화면을 표시하는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웹페이지변환모듈(5300);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작성된 인터넷 상의 1 이상의 특정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즐겨찾기리스트를 관리하는 즐겨찾기관리모듈(5400); 인터넷 검색을 위한 1 이상의 검색엔진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엔진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검색엔진리스트를 관리하는 검색엔진관리모듈(5500); 및 시각적 디스플레이 혹은 촉각디스플레이되는 요소에 대해 TTS기능을 자체적으로 수행하거나 혹은 메인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TTS기능을 하는 모듈에 대해 TTS 대상이 되는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면서 TTS 수행을 요청하는 TTS모듈(5600)을 포함한다.
상기 TUI모듈(5100)은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 웹페이지변환모듈(5300), 즐겨찾기관리모듈(5400), 검색엔진관리모듈(5500)에서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정보를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촉각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우선,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이 구동되면 우선적으로는 상기 컴퓨팅장치(A) 내에서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이 실행된다. 이와 같은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은 인터넷 브라우저의 메인화면을 표시하고, 이와 같은 메인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모듈 혹은 기능을 선택하도록 수행하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은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이 실행되면 상기 컴퓨팅장치(A)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브라우저메인화면을 출력하는 메인화면표시단계(S1000)가 수행된다. 즉,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은 도 3의 응용프로그램부(3200) 혹은 도 4의 내장애플리케이션모듈(2500)과 유사하게 일반인도 이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고 기본적인 출력화면은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GUI기반의 시각적 출력에 해당한다.
이후,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의 실행에 따라 상기 컴퓨팅장치(A) 내에서 상기 TUI모듈(5100)이 실행되어,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 TUI단계(S1100)가 수행된다. 상기 TUI모듈(5100)은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 웹페이지변환모듈(5300), 즐겨찾기관리모듈(5400) 및 검색엔진관리모듈(5500)의 입출력신호를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입출력되는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편의상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의 입출력신호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제1 TUI단계(S1100)로 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은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 즐겨찾기관리모듈(5400) 및 검색엔진관리모듈(5500)이 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메뉴인터페이스는 상기 TUI모듈(5100)을 통하여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구현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메뉴에 대한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이 상기 컴퓨팅장치 내(A)에서 실행되면, 상기 컴퓨팅장치(A)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에 의해 변환된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웹페이지변환단계(S1200)가 수행되고, 이후 상기 컴퓨팅장치 내(A)에서 상기 TUI모듈(5100)이 실행되어,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 TUI단계(S1300)가 실행된다.
한편,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은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 즐겨찾기관리모듈(5400) 및 검색엔진관리모듈(5500)이 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메뉴인터페이스는 상기 TUI모듈(5100)을 통하여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구현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메뉴에 대한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400)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400)이 상기 컴퓨팅장치 내(A)에서 실행되면, 상기 컴퓨팅장치(A)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저장된 즐겨찾기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즐겨찾기리스트표시단계(S1400)가 수행되고, 이후 상기 컴퓨팅장치 내(A)에서 상기 TUI모듈(5100)이 실행되어,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30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300)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3 TUI단계(S1500)가 실행된다.
한편,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은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 즐겨찾기관리모듈(5400) 및 검색엔진관리모듈(5500)이 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메뉴인터페이스는 상기 TUI모듈(5100)을 통하여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구현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메뉴에 대한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5500)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5500)이 상기 컴퓨팅장치 내(A)에서 실행되면, 상기 컴퓨팅장치(A)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저장된 검색엔진리스트가 포함된 정보를 출력하는 검색엔진선택단계(S1600)가 수행되고, 이후 상기 컴퓨팅장치 내(A)에서 상기 TUI모듈(5100)이 실행되어,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540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5300)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4 TUI단계(S1700)가 실행된다. 이 후, 상기 검색엔진선택단계(S1600)에서 선택된 검색엔진에서 검색 할 검색어를 입력 받는 검색어입력단계(2000)가 수행되고 상기 컴퓨팅장치(A) 내에서 상기 TUI모듈(5100)이 실행되어,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540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5300)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5 TUI단계(S2100)가 실행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의 TUI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TUI모듈(5100)의 출력신호생성부(5110), 입력신호생성부(5120), 스케일링정보로드부(5130), 상기 버퍼출력신호생성부(5140)는 상기 도 5, 6, 10, 12, 13, 14, 15,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된 내용의 일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의 TUI모듈(5100)은,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 혹은 기타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출력신호생성부(5110);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의 키입력 등의 입력을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실행되고 있는 메인화면모듈 혹은 기타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생성부(5120); 상기 출력신호생성부(5110)의 동작에 있어서 접속된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디스플레이부의 화소에 적합한 스케일링 정보를 로드하는 스케일링정보로드부(5130); 및 상기 출력신호 및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이전의 촉각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버퍼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퍼출력신호생성부(5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신호 및 상기 버퍼출력신호는 2차원 촉각셀 어레이에 대한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스케일링정보로드부(5130)는 접속된 촉각인터페이스장치로부터 자동적으로 해당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디스플레이 픽셀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촉각디스플레이 픽셀정보를 로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이와 같은 촉각디스플레이 픽셀정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출력신호생성부(5110)는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신호는 2차원 촉각셀 어레이에 대한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신호에 의하여 구현되는 촉각디스플레이장치의 촉각화면은, 상기 점자OS부(2000)에 내장된 TUI모듈(2400)에서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 중 컨텐츠부분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컨텐츠영역(L1); 상기 현재 사용자의 커서의 위치 및 형태를 구현하는 커서영역(L2); 및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의 페이지정보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페이지영역(L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촉각디스플레이장치에는 다양한 물리적키가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물리적키는 보다 직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물리적키의 입력에 의하여 상기 TUI모듈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명령이 생성되고, 해당 명령이 상기 컴퓨팅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의 상기 TUI모듈(5000)에 의하여 생성되는 출력신호에 의하여 구현되는 촉각디스플레이장치의 촉각화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400) 및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5500)에 의해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화면 중 컨텐츠부분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컨텐츠영역(L1); 상기 현재 사용자의 커서의 위치 및 형태를 구현하는 커서영역(L2); 및 상기 메인화면모듈(2200)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화면의 페이지정보에 기초하여 구현되는 페이지영역(L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영역은 복수의 서브컨텐츠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커서영역은 복수의 서브커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커서영역에서 구현되는 커서의 위치는 포커싱 된 상기 서브컨텐츠영역의 위치에 대응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촉각디스플레이 형태는 시각장애인에게 가장 효율적으로 정보를 확인하고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에 해당하고, 이는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서 시각장애인에게 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의 TUI모듈(5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그래픽도 도 10의 “포커스된 L2영역” 및 “포커스된 L1영역”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커서영역과 상기 서브커서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서브컨텐츠영역은 1축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시각장애인은 자신의 커서가 포커스하고 있는 부분이 어디인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 형태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시각장애인을 상대로한 다양한 실험 등을 통하여 도출된 형태에 해당한다.
한편, 상기 버퍼출력신호생성부(5140)는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 웹페이지변환모듈(5300), 즐겨찾기관리모듈(5400) 및 검색엔진관리모듈(5500)에서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출력신호생성부(5110)의 출력신호로부터 버퍼출력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예를들어 상기 제1 TUI단계(S1100), 제2 TUI단계(S1300), 제3 TUI단계(S1500), 제4 TUI단계(S1700), 제5 TUI단계(S2100)는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 웹페이지변환모듈(5300), 즐겨찾기관리모듈(5400) 혹은 검색엔진관리모듈(5500)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출력신호생성단계; 및 상기 출력신호 및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이전의 촉각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버퍼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버퍼출력신호생성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신호 및 상기 버퍼출력신호는 2차원 촉각셀 어레이에 대한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TUI단계(S1100), 제2 TUI단계(S1300), 제3 TUI단계(S1500), 제4 TUI단계(S1700), 혹은 제5 TUI단계(S2100)는,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 웹페이지변환모듈(5300), 즐겨찾기관리모듈(5400) 혹은 검색엔진관리모듈(5500)에 의하여 상기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화면이 변경할 때마다 수행이 되고, 상기 버퍼출력신호생성단계는, 바로 이전의 상기 출력신호와 현재의 변경된 출력신호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버퍼출력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퍼출력신호생성단계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즉 현재 사용자의 입력으로 화면이 바뀌기 전에 상기 출력신호생성부(5110)에 의하여 생성된 이전 출력신호를 로드하는 단계(S410); 현재 사용자의 입력으로 화면이 바뀐 후에 상기 출력신호생성부(5110)에 의하여 생성된 현재 출력신호와 상기 이전 출력신호와의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S420); 상기 현재 출력신호와 상기 이전 출력신호와의 차이에 기초하여 버퍼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4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버퍼출력신호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의 촉각 어레이 중 현재 바뀐 부분에 대한 제어신호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촉각인터페이스장치가 보다 물리적으로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변환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을 통해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를 방문하는 경우,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컴퓨팅장치(A)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일반적인 웹페이지의 경우 메뉴, 본문, 링크 그림 등이 섞여 있어, 이를 직접 점자로 번역하는 경우 시각장애인이 이를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은 상기 웹페이지를 영역별로 구분하고, 상기 영역별로 컨텐츠를 표시하여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은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를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영역구별부(5310), 구분 된 상기 영역의 평가점수를 도출하는 점수측정부(5320), 구분 된 상기 영역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출력부(5330) 및 구분 된 상기 영역 내 존재하는 링크를 추출하여 링크리스트를 생성하는 링크리스트생성부(5340)를 포함한다.
상기 영역구별부(5310)는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를 불러와 상기 웨페이지를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역구별부(5310)는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문서를 분석하여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을 도출하는 HTML표준판별부(5311);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이 HTML5인 경우, 상기 웹페이지를 HTML5 표준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HTML5분석부(5312); 및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이 HTML4인 경우, 상기 웹페이지를 HTML4 표준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HTML4분석부(5313);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수측정부(5320)는 상기 영역구별부(5310)에서 구분 된 영역의 평가점수를 도출한다. 상기 평가점수는 구분된 상기 영역 중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역을 추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평가점수에 의해 영역의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가점수는 각 영역의 텍스트의 숫자 및 이미지 태그의 숫자를 전체 문서의 텍스트의 숫자 및 이미지 태그의 숫자에 대한 백분율로 변환하여 점수화 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출력부(5330)는 상기 영역구별부(5310)에서 구분 된 영역 중 상기 점수측정부(5320)에서 도출 된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출력한다.
상기 컨텐츠출력부(5330)는 상기 웹페이지 내의 모든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영역구별부(5310)에서 구분된 영역 중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의 컨텐츠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뉴, 본문, 링크, 그림 등이 섞여 있는 웹페이지의 내용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크리스트생성부(5340) 상기 영역구별부(5310)에서 구분된 영역을 분석하여 링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링크리스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웹페이지 내에서 분포되어 있는 링크정보를 하나의 리스트로 생성함으로써, 도 9에서와 같이 링크 정보를 1차원적으로 나열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도 각각의 링크정보를 1차원 리스트 형태로 나열하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즐겨찾기관리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400)은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에 의해 출력된 웹페이지의 정보를 즐겨찾기리스트에 추가하는 즐겨찾기등록부(5410), 상기 즐겨찾기리스트가 저장되는 즐겨찾기리스트저장부(5420) 및 상기 즐겨찾기리스트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의 정보를 삭제하는 즐겨찾기삭제부(5430)를 포함한다.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400)은 사용자에게 상기 즐겨찾기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자주 방문하는 웹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즐겨찾기등록부(5410)은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방문하여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이 웹페이지를 출력했을 때,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웹페이지의 정보를 상기 즐겨찾기리스트에 추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페이지의 정보는 상기 웹페이지의 주소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즐겨찾기삭제부는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400)에 의해 상기 즐겨찾기리스트가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 및 촉각디스플레이장치(1000)에 출력되어 있을 때,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의 정보를 삭제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엔진관리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5500)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인터넷 검색을 위한 1 이상의 검색엔진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엔진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검색엔진리스트에 검색엔진의 정보를 추가하거나, 혹은 상기 검색엔진리스트로부터 검색엔진의 정보를 삭제하는 검색엔진리스트관리부(5510);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검색어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검색어리스트에 검색어를 추가하거나, 혹은 상기 검색어리스트로부터 검색어를 삭제하는 검색어리스트관리부(5520), 상기 검색엔진리스트가 저장되는 검색엔진리스트저장부(5530) 및 상기 검색어리스트가 저장되는 검색어리스트저장부(5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엔진리스트관리부(5510)는 검색엔진리스트를 관리한다. 상기 검색엔진리스트관리부(5510)는 사용자에게 상기 검색엔진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을 통해 검색엔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검색엔진리스트로부터 검색엔진을 선택함으로써 검색엔진의 주소를 입력하거나 검색엔진의 정보를 입력 할 필요 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검색엔진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검색엔진리스트관리부(5500)는 상기 검색엔진리스트에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검색엔진을 추가하거나, 혹은 상기 검색엔진리스트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검색엔진을 삭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추가 및 삭제를 통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검색엔진의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엔진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검색어리스트관리부(5520)는 검색어리스트를 관리한다. 상기 검색어리스트관리부(5520)는 사용자에게 상기 검색어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을 통해 용이하게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검색엔진리스트관리부(5510)를 통해 검색엔진에 접근한 후, 상기 검색엔진에 검색어를 입력할 때, 직접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혹은 상기 검색어리스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검색어리스트관리부(5520)는 상기 검색어리스트에 검색어를 추가하거나, 혹은 상기 검색어리스트로부터 검색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어의 추가 혹은 삭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혹은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검색어의 추가 혹은 삭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검색어리스트관리부(5620)는 추가 혹은 삭제 될 검색어를 직접 입력 받을 수도 있고, 혹은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추가 혹은 삭제 될 검색어를 도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색어리스트관리부(5620)는 검색엔진으로부터 검색엔진의 인기 검색어 목록을 입력 받아 상기 검색어리스트에 추가할 수도 있고, 혹은 인터넷 상의 소셜미디어, 뉴스기사 등으로부터 사용자가 관심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키워드를 도출하여 상기 키워드를 상기 검색어리스트에 추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추가 혹은 삭제 될 검색어를 도출하는 경우, 인공신경망 등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통해 검색어를 도출할 수도 있다.
상기 검색엔진리스트저장부(5530)은 기본검색엔진저장부(5531) 및 추가검색엔진저장부(55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검색엔진저장부(5531)에는 기설정된 1 이상의 검색엔진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검색엔진리스트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추가검색엔진저장부(5532)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검색엔진의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검색엔진리스트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본검색엔진리스트에는 기본검색엔진으로 Google, Naver, Yahoo 등이 저장되고, 상기 추가검색엔진리스트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Daum, Bing 등이 저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기본검색엔진리스트 및 추가검색엔진리스트를 포함하는 검색엔진리스트에서 사용을 원하는 검색엔진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검색엔진리스트 및 추가검색엔진리스트를 나누어 관리하는 경우, 상기 검색엔진리스트관리부(5500)는 상기 검색엔진리스트 중 상기 추가검색엔진리스트에 검색엔진을 추가하거나 혹은 상기 추가검색엔진리스트에서 검색엔진을 삭제하여, 상기 기본검색엔진리스트가 변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검색엔진리스트에 대한 보호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모든 검색엔진 정보를 삭제하여 인터넷 브라우징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검색어리스트저장부(5440)는 상기 검색어리스트가 저장된다. 상기 검색어리스트관리부(5520)는 상기 검색어리스트저장부(5440)에 저장된 상기 검색어리스트를 불러와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검색어리스트에 검색어를 추가하거나, 혹은 상기 검색어리스트에서 검색어를 삭제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컴퓨팅장치에 접속되어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해당하고, 전술한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의 내부 컴포넌트의 유기적인 동작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방법이 구현되는 상기 컴퓨팅장치는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 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은, 시각적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촉각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TUI모듈(5100);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이 실행될 때, 기설정된 브라우저메인화면을 표시하는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 및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웹페이지변환모듈(5300); 을 포함한다.
단계 S1000에서는,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에 의하여 제공되는 브라우저메인화면을 출력하는 메인화면표시단계; 가 수행된다.
단계 S1100에서는,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5100)이 실행되어,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TUI단계; 가 수행된다.
단계 S1200에서는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에 의해 변환된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웹페이지변환단계; 가 수행된다.
단계 S1400에서는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5100)이 실행되어,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TUI단계; 가 수행된다.
상기 제1TUI단계(S1100), 제2TUI단계(S1200)는 어느 모듈에 대한 TUI단계인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임의로 부여한 명칭에 해당할 뿐, 이와 같은 단계들은 상기 TUI모듈(5100)의 동작이라는 점에서 모두 동일하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변환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페이지변환단계(S1200)는,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를 불러오는 웹페이지로드단계(S1210); 상기 웹페이지를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HTML분석단계(S1220); 상기 HTML분석단계(S1220)에서 구분 된 영역의 평가점수를 도출하는 구분영역별점수측정단계(S1250); 구분 된 상기 영역 내 존재하는 링크를 추출하여 링크리스트를 생성하는 구분영역별 링크리스트생성단계(S1260); 및 구분 된 상기 영역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출력단계(S127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HTML분석단계(S1220)는,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문서를 분석하여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을 도출하는 HTML표준판별단계(S1221);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이 HTML5인 경우, 상기 웹페이지를 HTML5 표준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HTML5분석단계(S1222); 및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이 HTML4인 경우, 상기 웹페이지를 HTML4 표준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HTML4분석단계(S1223);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TML분석단계(S1220)는 웹페이지의 HTML 문서를 분석하여 HTML 버전을 도출하고, 도출된 HTML 버전에 상응하는 분석단계를 거침으로써 웹페이지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HTML표준판별단계(S1221)에서는 웹페이지의 HTML 문서에서 특정 태그의 존재 유무를 검색함으로써 HTML의 버전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HTML표준판별단계(S1221)에서는 문서 내부의 Body 태그의 하위 태그로 HTML5 표준에서 사용되는 Header 태그의 존재 유무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문서가 HTML5 표준을 준수하는 문서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HTML표준판별단계(S1221)는 상기와 같이 Header 태그뿐만 아니라, HTML5 표준에서 사용되는 Article 태그, Section 태그 등의 존재유무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문서의 HTML 버전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HTML분석단계(S12250)분석단계는 상기 HTML표준판별단계(S1221)에서 도출된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이 HTML5인 경우, HTML5분석단계(S1222)를 통해 HTML5 표준 문서의 분석을 수행하고, 도출된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이 HTML4인 경우, HTML4분석단계(S1223)를 통해 HTML4 표준 문서의 분석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HTML4분석단계(S1223)는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이 HTML4인 경우뿐만 아니라, HTML4 이하인 경우에도 웹페이지를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분영역별점수측정단계(S1250)는 상기 HTML분석단계(S1220)에서 구분 된 영역의 평가점수를 도출한다. 상기 평가점수는 구분된 상기 영역 중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역을 추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평가점수에 의해 영역의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평가점수는 각 영역의 텍스트의 숫자 및 이미지 태그의 숫자를 전체 문서의 텍스트의 숫자 및 이미지 태그의 숫자에 대한 백분율로 변환하여 점수화 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상기 구분영역별링크리스트생성단계(S1260)는 상기 HTML분석단계(S1220)에서 구분된 영역을 분석하여 링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링크리스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웹페이지 내에서 분포되어 있는 링크정보를 하나의 리스트로 생성함으로써, 도 9에서와 같이 링크 정보를 1차원적으로 나열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서도 각각의 링크정보를 1차원 리스트 형태로 나열하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출력단계(S1270)는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관심영역에 상기 구분영역별링크리스트생성단계(S1260)에서 생성된 링크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링크리스트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컨텐츠출력단계(S1270)에서는 웹페이지 내의 모든 컨텐츠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HTML분석단계(S1220)에서 구분된 영역 중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의 컨텐츠만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메뉴, 본문, 링크, 그림 등이 섞여 있는 웹페이지의 내용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TML5분석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HTML5분석단계(S1222)는, 상기 웹페이지 내 Header 태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Header 태그 존재 시 상기 Header 태그에 대해 영역을 설정하는 Header태그영역구분단계(S1231); 상기 웹페이지 내 Nav 태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Nav 태그 존재 시 상기 Nav 태그에 대해 영역을 설정하는 Nav태그영역구분단계(S1232); 상기 웹페이지 내 Aside 태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Aside 태그 존재 시 상기 Aside 태그에 대해 영역을 설정하는 Aside태그영역구분단계(S1233); 상기 웹페이지 내 Article 태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Article 태그 존재 시 상기 Article 태그에 대해 영역을 설정하는 Article태그영역구분단계(S1234); 상기 웹페이지 내 Section 태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Section 태그 존재 시 상기 Section 태그에 대해 영역을 설정하는 Section태그영역구분단계(S1235); 및 상기 웹페이지 내 Div 태그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고, Div 태그가 1 이상 존재 시 상기 Div 태그 각각에 대해 영역을 설정하는 Div태그영역구분단계(S1236); 중 1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eader 태그는 HTML문서에서 소개나 네비게이션 영역을 나타내고, 상기 Nav 태그는 네비게이션을 위한 섹션을 의미하고, 상기 Aside 태그는 본문페이지와 연관이 작은 추가적인 콘텐츠를 의미하고, 상기 Article 태그는 블로그 글이나 신문 기사와 같이 독립적인 문서를 의미하고, 상기 Section 태그는 문서의 섹션을 의미하고, 상기 Div 태그는 문서의 섹션을 만들거나 영역을 나눈다. 이와 같은 태그들은 HTML5 표준 문서의 구조를 정의하는 태그로서, 상기 태그들을 이용하여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영역의 구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출력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출력단계(S1270)는, 구분 된 상기 영역을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정렬하는 점수순구분영역정렬단계(S1271); 구분 된 상기 영역 중 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는 관심영역결정단계(S1272); 및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관심영역컨텐츠출력단계(S1273);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수순구분영역정렬단계(S1271)는 상기 구분영역별점수측정단계(S1250)에서 도출된 각 영역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을 정렬한다. 상기 평가점수는 상기 영역 중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역을 추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평가점수가 높은 영역의 경우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를 포함 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수순구분영역정렬단계(S1271)는 상기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사용자가 상기 영역을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심영역결정단계(S1272)는 정렬 된 상기 영역 중 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한다. 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영역은 사용자의 관심 컨텐츠가 포함될 확률이 가장 높으므로 우선적으로 관심영역으로 설정된다. 상기 관심영역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점수순구분영역정렬단계(S1271)에서 정렬된 영역의 순서대로 관심영역을 이동해 가며 웹페이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관심영역컨텐츠출력단계(S1273)는 상기 관심영역결정단계(S1272)에서 결정 된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관심 컨텐츠가 포함될 확률이 높은 관심영역의 컨텐츠만을 출력함으로써 출력된 상기 컨텐츠가 촉각디스플레이장치(1000)의 촉각화면으로 변환되는 경우에도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컨텐츠를 인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관심영역컨텐츠출력단계(S1273)에서는 상기 관심영역에 상기 구분영역별링크리스트생성단계(S1260)에서 생성된 링크리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링크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링크리스트에서 링크를 선택하여 링크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즐겨찾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즐겨찾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도 2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게 컴퓨팅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컴퓨팅장치에 접속되어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해당하고, 전술한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의 내부 컴포넌트의 유기적인 동작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방법이 구현되는 상기 컴퓨팅장치는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 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은, 시각적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촉각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TUI모듈(5100);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이 실행될 때, 기설정된 브라우저메인화면을 표시하는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 및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웹페이지변환모듈(5300); 을 포함한다.
메인화면표시단계(S1000) 및 제1 TUI단계(S1100)는 도 28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400에서는 단계S11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즐겨찾기관리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저장된 즐겨찾기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즐겨찾기리스트표시단계; 가 수행된다. 상기 즐겨찾기리스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작성된 인터넷 상의 1 이상의 특정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S1500에서는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3TUI단계; 가 수행된다.
상기 S1500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즐겨찾기리스트 중 하나의 웹페이지가 선택되어 상기 웹페이지를 불러오는 경우 도 28과 동일하게 웹페이지변환단계(S1200) 및 제2TUI단계(S1300)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사용자는 브라우저메인화면에서 즐겨찾기리스트를 불러오고, 상기 즐겨찾기리스트 중 하나의 웹페이지를 선택하여 이동함으로써 자주 이용하는 웹페이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에 의해 웹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이용하다가 이용중인 웹페이지를 상기 즐겨찾기리스트에 추가하고 싶은 경우, 상기 웹페이지변환단계(S1200)에 의해 출력된 웹페이지를 상기 즐겨찾기리스트에 추가하는 즐겨찾기추가단계(S1800)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 TUI단계(S1300)에서 즐겨찾기리스트에 추가하는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이용중인 상기 웹페이지의 정보를 상기 즐겨찾기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웹페이지의 정보는 상기 웹페이지의 주소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즐겨찾기리스트에서 사용하지 않는 웹페이지를 삭제하고 싶은 경우, 상기 즐겨찾기리스트표시단계(S1400)에 의해 출력 된 즐겨찾기리스트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즐겨찾기를 삭제하는 즐겨찾기삭제단계(S1850)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3 TUI단계(S1500)에서 출력 된 상기 즐겨찾기리스트 중 삭제를 원하는 웹페이지를 선택하고, 즐겨찾기리스트에서 삭제하는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즐겨찾기리스트에서 웹페이지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도 2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게 컴퓨팅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컴퓨팅장치에 접속되어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해당하고, 전술한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의 내부 컴포넌트의 유기적인 동작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방법이 구현되는 상기 컴퓨팅장치는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 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은, 시각적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촉각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TUI모듈(5100);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이 실행될 때, 기설정된 브라우저메인화면을 표시하는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 및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웹페이지변환모듈(5300); 을 포함한다.
메인화면표시단계(S1000) 및 제1 TUI단계(S1100)는 도 28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1600에서는 단계S11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검색엔진관리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저장된 검색엔진리스트가 포함된 정보를 출력하는 검색엔진선택단계; 가 수행된다.
단계 S1700에서는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4TUI단계; 가 수행된다.
단계 S2000에서는 상기 검색엔진선택단계(S1600)에서 선택된 검색엔진에서 검색 할 검색어를 입력 받는 검색어입력단계; 가 수행된다. 이 때, 상기 검색어입력단계(S2000)는 사용자가 직접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혹은 기저장된 검색어리스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2100에서는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5TUI단계; 가 수행된다.
상기 S2100단계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검색엔진에서 상기 검색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불러오는 경우 도 28과 동일하게 웹페이지변환단계(S1200) 및 제2TUI단계(S1300)가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침으로써 사용자는 브라우저메인화면의 검색엔진리스트로부터 검색엔진을 선택하고, 선택된 검색엔진에 검색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검색어의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웹페이지에 접근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4에서는 도 33과 동일하게 메인화면표시단계(S1000), 제1 TUI단계(S1100), 검색엔진선택단계(S1600), 제4 TUI단계(S1700), 검색어입력단계(S2000), 제5 TUI단계(S2100), 웹페이지변환단계(S1200) 및 제2 TUI단계(S1300)를 거침으로써 사용자는 브라우저메인화면의 검색엔진리스트로부터 검색엔진을 선택하고, 선택된 검색엔진에 검색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검색어의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웹페이지에 접근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검색엔진리스트를 사용자의 성향에 맞추어 편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검색엔진리스트에 검색엔진을 추가하거나, 혹은 상기 검색엔진리스트에서 검색엔진을 삭제하는 검색엔진관리단계(S1900)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가 및 삭제를 통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검색엔진의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엔진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검색엔진관리단계(S1900)는 상기 메인화면표시단계(S1000)에서 브라우저메인화면이 출력되고, 상기 제1 TUI단계(S1100)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검색엔진의 추가 혹은 삭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에 표시된 검색엔진을 선택하여 삭제하거나, 혹은 검색엔진 추가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검색엔진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검색엔진관리단계(S1900)에 의해 검색엔진리스트가 갱신된 후에는 다시 제1 TUI단계(S1100)를 거쳐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에 표시되는 검색엔진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색엔진리스트는 기설정된 1 이상의 검색엔진의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검색엔진리스트; 및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검색엔진의 정보를 포함하는 추가검색엔진리스트; 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엔진관리단계(S1900)는, 상기 검색엔진리스트 중 상기 추가검색엔진리스트에 검색엔진을 추가하거나 혹은 상기 추가검색엔진리스트에서 검색엔진을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검색엔진리스트 및 추가검색엔진리스트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기본검색엔진리스트에 대한 보호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모든 검색엔진 정보를 삭제하여 인터넷 브라우징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어리스트를 편집하기 위하여 상기 검색어리스트에 검색어를 추가하거나, 혹은 상기 검색어리스트로부터 검색어를 삭제하는 검색어관리단계(S1950)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어의 추가 혹은 삭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혹은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검색어의 추가 혹은 삭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검색어관리단계(S1950)에서는 추가 혹은 삭제 될 검색어를 직접 입력 받을 수도 있고, 혹은 외부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추가 혹은 삭제 될 검색어를 도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색어리스트관리부(5620)는 검색엔진으로부터 검색엔진의 인기 검색어 목록을 입력 받아 상기 검색어리스트에 추가할 수도 있고, 혹은 인터넷 상의 소셜미디어, 뉴스기사 등으로부터 사용자가 관심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키워드를 도출하여 상기 키워드를 상기 검색어리스트에 추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추가 혹은 삭제 될 검색어를 도출하는 경우, 인공신경망 등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통해 검색어를 도출할 수도 있다.
상기 검색어관리단계(S1950)는 상기 검색엔진선택단계(S1600)에서 검색엔진이 선택되고, 상기 제4 TUI단계(S1700)에서의 사용자 입력 등에 의해 검색어의 추가 혹은 삭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브라우저메인화면을 도시한다.
도 35의 (A)에서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메인화면모듈실행단계(S20)에서의 컴퓨팅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하고, 도 35의 (B)에서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상기 메인화면표시단계(S1000)에서의 컴퓨팅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도 35의 (A)와 같은 메인화면에서 ①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을 호출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은 도 35의 (B)와 같이,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35의 (B)와 같은 GUI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 동시에, 상기 GUI인터페이스의 출력신호는 상기 TUI모듈(5100)에 의하여 촉각인터페이스의 출력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1000)로 전달되어, 시각장애인은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을 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처음 시작하는 페이지가 일정한 것이 보다 유리하기 때문에,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이 실행될 때, 도 35의 (B)와 같은 기설정된 브라우저메인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에는 ②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 표시된 브라우저메인화면의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고, ③과 같이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500) 및 검색엔진관리모듈(5600)을 호출하여 실행시키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5200)이 기본적으로는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개발자들은 점자, 혹은 시각장애인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을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이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을 이용함에 있어서 문제가 있는 경우 일반인이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일반 인터페이스 요소(예를들어 터치디스플레이)를 조작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옆에서 해결해줄 수도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즐겨찾기관리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36의 (A)에서는 상기 메인화면표시단계(S1000)에서의 컴퓨팅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하고, 도 36의 (B)에서는 상기 즐겨찾기리스트표시단계(S1400)에서의 컴퓨팅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하고, 도 36의 (C)에서는 상기 즐겨찾기삭제단계(S1850)에서의 컴퓨팅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도 36의 (A)와 같은 브라우저메인화면에서 메뉴 ①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400)을 호출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400)은 도 36의 (B)와 같이, 컴퓨팅장치(A)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4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는 ②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작성된 인터넷 상의 1 이상의 특정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즐겨찾기리스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즐겨찾기리스트에서 웹페이지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웹페이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도 36의 (B)와 같은 즐겨찾기리스트에서 특정 웹페이지를 선택한 경우, 도 36의 (C)에 도시된 ③과 같이 선택된 상기 웹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메뉴 및 ④와 같이 선택된 상기 웹페이지의 정보를 상기 즐겨찾기리스트에서 삭제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메뉴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상기 웹페이지로 이동하거나, 혹은 즐겨찾기리스트에서 선택된 상기 웹페이지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37의 (A)에서는 상기 메인화면표시단계(S1000)에서의 컴퓨팅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하고, 도 37의 (B)에서는 상기 검색어입력단계(S2000)에서의 컴퓨팅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도 36의 (A)와 같은 브라우저메인화면에서 ①과 같이 나열된 검색엔진리스트 중 하나의 검색엔진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5500)을 호출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400)은 도 36의 (A)와 같이,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에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는 검색엔진리스트를 제공한다.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5400)에 의해 제공되는 검색엔진리스트에서 검색엔진을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검색엔진을 통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검색엔진을 선택하면 도 37의 (B)에 도시된 ②와 같이 검색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메뉴 및 ③과 같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검색어리스트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메뉴를 통해 사용자는 직접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을 수행하거나, 혹은 상기 검색어리스트에서 선택된 검색어를 상기 검색엔진에서 검색할 수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엔진관리모듈 및 즐겨찾기관리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38의 (A)에서는 상기 검색어입력단계(S2000)를 통해 검색을 수행한 결과가 출력 된 컴퓨팅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하고, 도 37의 (B)에서는 상기 검색을 수행한 결과 중 뉴스 카테고리에 접속했을 때의 컴퓨팅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다.
일부 검색엔진의 경우 검색 결과를 카테고리화 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도 38에는 상기 포털서비스의 일 예로 네이버를 통해 '시각장애인'이라는 검색어를 검색했을 때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네이버를 통해 검색을 수행한 경우, 도 38의 (A)에 도시된 ①과 같이 현재 출력되고 있는 페이지를 즐겨찾기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는 메뉴 및 ②와 같이 카테고리 분류 된 검색 결과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38의 (A)에는 검색 결과가 뉴스, 지식iN, 및 웹문서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표시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①의 메뉴를 선택하여 즐겨찾기추가단계(S1800)을 통해 카테고리 분류 된 검색결과 페이지를 즐겨찾기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고, 혹은 ②의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 된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8의 (B)에는 ②의 리스트 중 뉴스 카테고리를 선택했을 때의 출력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카테고리 분류 된 검색 결과에서 뉴스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되면 도 38의 (B)에 도시된 ③과 같이 현재 출력되고 있는 페이지를 즐겨찾기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는 메뉴 및 ④와 같이 뉴스 카테고리에서의 검색 결과 리스트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③의 메뉴를 선택하여 즐겨찾기추가단계(S1800)을 통해 뉴스 카테고리 내 검색결과 페이지를 즐겨찾기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고, 혹은 ④의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검색결과 도출된 웹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9는 웹페이지변환모듈을 통하지 않고 웹페이지의 텍스트 컨텐츠가 브라우저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39의 (A)에서는 일반적인 웹페이지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39의 (B)에서는 상기 웹페이지의 텍스트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의 콘텐츠로 출력한 모습을 도시한다.
일반적인 웹페이지의 경우 도 39의 (A)와 같이 메뉴, 본문, 링크 그림 등이 섞여 있어 상기 웹페이지의 텍스트를 추출하여 시각장애인이 인지할 수 있도록 점자로 점역하는 경우 시각장애인이 내용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브라우저모듈(5000)에서 도 39의 (A)에 도시된 웹페이지에서 콘텐츠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경우 도 3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용을 알기 힘든 텍스트의 나열이 된다. 따라서 웹페이지 내에서 주요 내용이 포함된 부분을 분리하여 추출할 필요가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변환모듈을 통해 웹페이지의 텍스트 컨텐츠가 브라우저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40의 (A)에서는 일반적인 웹페이지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40의 (B)에서는 상기 웹페이지의 텍스트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의 콘텐츠로 출력한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은 웹페이지를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한다. 도 40의 (A)에서는 웹페이지 중 상단의 타이틀 및 메뉴등을 제외한 본문 컨텐츠가 포함된 영역이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의 영역구별부(5310)에 의해 구분된 모습(붉은 박스)이 도시된다.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은 상기 붉은 박스로 표시된 영역 외에도 상단의 타이틀, 메뉴 등 여러 영역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은 점수측정부(5320) 및 컨텐츠출력부(5330)에 의해 상기 구분된 영역의 점수를 측정하여 관심 컨텐츠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은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도 40의 (B)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만한 주요 내용, 즉 관심 컨텐츠가 포함된 영역을 구분하여 출력함으로써 복잡한 웹페이지 내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하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변환모듈을 통해 웹페이지의 텍스트 컨텐츠가 브라우저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41의 (A)에서는 일반적인 웹페이지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41의 (B)에서는 상기 웹페이지의 텍스트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의 컨텐츠로 출력한 모습을 도시한다.
상기 도 40에서와 같이 관심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출력하였지만, 상기 관심영역 외에 다른 영역의 컨텐츠를 확인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상기 관심영역을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다른 영역의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1의 (A)에는 상기 도 40의 (A)에 도시된 웹페이지의 하단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40의 (A)에서의 관심영역은 도 41의 (A)에는 점선으로 된 붉은 박스로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방향키 등의 입력을 통해 상기 관심영역을 하단의 붉은 박스로 표시된 영역으로 변경하여, 새로 설정된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도 41의 (B)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변환모듈을 통해 웹페이지의 링크리스트가 브라우저에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42의 (A)에서는 일반적인 웹페이지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42의 (B)에서는 상기 웹페이지의 텍스트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의 컨텐츠로 출력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1에서와 같이 하단의 영역으로 관심영역을 변경한 경우, 새로 설정된 관심영역에는 도 4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링크정보(붉은 박스)가 포함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5300)의 링크리스트생성부(5340)는 상기 영역 내 존재하는 링크를 추출하여 링크리스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링크리스트는 도 41의 (B)와 같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41의 (B)와 같이 표시된 링크리스트 중 하나의 링크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관심영역 내의 링크를 이용하여 링크된 웹페이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사용자단말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A)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43의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43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43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8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컴퓨팅장치에 접속되어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팅장치는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브라우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은,
    시각적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촉각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TUI모듈;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이 실행될 때, 기설정된 브라우저메인화면을 표시하는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 및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웹페이지변환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에 의하여 제공되는 브라우저메인화면을 출력하는 메인화면표시단계;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TUI단계;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웹페이지변환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에 의해 변환된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웹페이지변환단계; 및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TUI단계; 를 포함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변환단계는,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를 불러오는 웹페이지로드단계;
    상기 웹페이지를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HTML분석단계;
    상기 HTML분석단계에서 구분 된 영역의 평가점수를 도출하는 구분영역별점수측정단계; 및
    구분 된 상기 영역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HTML분석단계는,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문서를 분석하여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을 도출하는 HTML표준판별단계; 및
    상기 웹페이지의 HTML 버전이 HTML5인 경우, 상기 웹페이지를 HTML5 표준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HTML5분석단계; 를 포함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출력단계는,
    구분 된 상기 영역을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정렬하는 점수순구분영역정렬단계;
    구분 된 상기 영역 중 평가점수가 가장 높은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설정하는 관심영역결정단계; 및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관심영역컨텐츠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즐겨찾기관리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작성된 인터넷 상의 1 이상의 특정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즐겨찾기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즐겨찾기리스트표시단계; 및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즐겨찾기관리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3TUI단계; 를 더 포함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웹페이지변환단계에 의해 출력된 웹페이지의 정보를 상기 즐겨찾기리스트에 추가하는 즐겨찾기추가단계; 를 더 포함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검색엔진관리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저장된 검색엔진리스트가 포함된 정보를 출력하는 검색엔진선택단계; 및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4TUI단계; 를 더 포함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검색엔진선택단계에서 선택된 검색엔진에서 검색 할 검색어를 입력 받는 검색어입력단계; 및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검색엔진관리모듈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5TUI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어입력단계는,
    사용자가 직접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혹은 1 이상의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어리스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컴퓨팅장치에 접속되어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컴퓨팅장치는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브라우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은,
    시각적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촉각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TUI모듈;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이 실행될 때, 기설정된 브라우저메인화면을 표시하는 브라우저메인화면모듈; 및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웹페이지변환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변환모듈은,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를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영역구별부;
    구분 된 상기 영역의 평가점수를 도출하는 점수측정부;
    구분 된 상기 영역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출력부; 및
    구분 된 상기 영역 내 존재하는 링크를 추출하여 링크리스트를 생성하는 링크리스트생성부; 를 포함하는,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0.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인터넷브라우저모듈에 의하여 제공되는 브라우저메인화면을 출력하는 메인화면표시단계;
    상기 메인화면표시단계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컴퓨팅장치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1TUI단계;
    상기 컴퓨팅장치에 연결된 시각적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컴퓨팅장치에 의해 변환된 웹페이지에 포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웹페이지변환단계; 및
    상기 컴퓨팅장치 내에서 TUI모듈이 실행되어, 상기 컴퓨팅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상응하는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의 촉각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촉각인터페이스장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상기 컴퓨팅장치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2TUI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변환단계는,
    상기 웹페이지를 분석하고 영역을 설정하여 구분하는 HTML분석단계;
    상기 HTML분석단계에서 구분 된 영역의 평가점수를 도출하는 구분영역별점수측정단계; 및
    구분 된 상기 영역의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관심영역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컨텐츠출력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180060323A 2018-05-28 2018-05-28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120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23A KR102120451B1 (ko) 2018-05-28 2018-05-28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16/363,697 US10845882B2 (en) 2018-05-28 2019-03-25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internet browsing service through tactile interfac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23A KR102120451B1 (ko) 2018-05-28 2018-05-28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189A true KR20190135189A (ko) 2019-12-06
KR102120451B1 KR102120451B1 (ko) 2020-06-08

Family

ID=68615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323A KR102120451B1 (ko) 2018-05-28 2018-05-28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45882B2 (ko)
KR (1) KR102120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451B1 (ko) * 2018-05-28 2020-06-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A3120784A1 (en) * 2018-11-20 2020-05-28 Tactile Engineering, Llc Electro magnetic refreshable braille reader
US11373547B2 (en) * 2019-03-25 2022-06-28 Power Contents Technology Co., Ltd. Tactile display tablet
US11640769B2 (en) * 2020-05-29 2023-05-02 Abenezer Ayana Modular refreshable braille display system
CN112256175B (zh) * 2020-10-23 2023-08-08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文字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2954A (ja) * 2006-11-15 2008-05-29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視覚障害者用の読取り支援装置、データ出力装置、プログラム製品
KR20110104201A (ko) * 2010-03-16 2011-09-22 한국과학기술원 시각 장애인용 인터넷 정보 출력장치
KR20120063982A (ko) 2010-12-08 2012-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각장애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20136642A (ko) * 2011-06-09 2012-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10756A (ko) * 2012-07-17 2014-01-27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9164A1 (en) * 2001-03-05 2002-09-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dvanced path checker
IES20070382A2 (en) * 2007-05-28 2008-10-29 Chad Gilm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on-line directory service
CA2803804A1 (en) * 2010-06-29 2012-01-05 Rakuten, In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s recorded
US20150161277A1 (en) * 2011-03-14 2015-06-11 Browsiu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one browser version to use a rendering engine of another browser vers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20130029297A1 (en) * 2011-07-25 2013-01-31 Yu Jie Tsai Haptic graphic computer for blind people
US8650198B2 (en) * 2011-08-15 2014-02-1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gathering of open source intelligence
US20130268832A1 (en) * 2012-04-10 2013-10-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digital bookmarks
CN102982173B (zh) * 2012-12-17 2016-10-12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网页搜索方法以及装置
US9417697B2 (en) * 2013-03-08 2016-08-16 Qualcomm Incorporated 3D translator device
US10490102B2 (en) * 2015-02-10 2019-11-2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braille assistance
KR102120451B1 (ko) * 2018-05-28 2020-06-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2954A (ja) * 2006-11-15 2008-05-29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視覚障害者用の読取り支援装置、データ出力装置、プログラム製品
KR20110104201A (ko) * 2010-03-16 2011-09-22 한국과학기술원 시각 장애인용 인터넷 정보 출력장치
KR20120063982A (ko) 2010-12-08 2012-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각장애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20136642A (ko) * 2011-06-09 2012-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010756A (ko) * 2012-07-17 2014-01-27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문자/이미지/동영상 구현 기능을 구비한 시각장애인용 모바일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451B1 (ko) 2020-06-08
US10845882B2 (en) 2020-11-24
US20190361528A1 (en)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451B1 (ko)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인터넷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11829720B2 (en) Analysis and validation of language models
CN107491181B (zh) 语言输入的动态短语扩展
WO2021232930A1 (zh) 应用分屏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190370323A1 (en) Text correction
US10845880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tactile interface device interacting with user
DE102016125760A1 (de) Vorhersagen von Suchanfragen durch eine Tastatur
JP2012174265A (ja) 仮想磁石を用いた表示テキスト文書からのクエリ生成
Liao et al. Pen-top feedback for paper-based interfaces
KR101864584B1 (ko)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N105849758B (zh) 多模式内容消费模型
US10891875B2 (en) Method,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tactile interface device
US10866643B2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chat device through tactile interface device
WO2017139178A1 (en) Effecting multi-step operations in an application in response to direct manipulation of a selected object
Elguera Paez et al. Elderly users and their main challenges usability with mobile applications: a systematic review
KR101893014B1 (ko) 컴퓨팅장치에서 동작하는 별도의 가상적인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10614595B2 (en) Assigning textures to graphical keyboards based on thematic textures of applications
KR20210096945A (ko) 시각장애인 인지보조 시스템 및 방법
KR102430285B1 (ko) 시각장애인용 키오스크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US20160103679A1 (en) Software code annotation
KR102066123B1 (ko)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도서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US20230351091A1 (en) Presenting Intelligently Suggested Content Enhancements
US20180253153A1 (en) Data input system/example generator
KR102108998B1 (ko)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워드프로세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08844B1 (ko)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계산기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