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026A - 카르보닐구조를 갖는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르보닐구조를 갖는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026A
KR20190135026A KR1020197031759A KR20197031759A KR20190135026A KR 20190135026 A KR20190135026 A KR 20190135026A KR 1020197031759 A KR1020197031759 A KR 1020197031759A KR 20197031759 A KR20197031759 A KR 20197031759A KR 20190135026 A KR20190135026 A KR 20190135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nderlayer film
formula
resist underlayer
res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7038B1 (ko
Inventor
와타루 시바야마
사토시 타케다
마코토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75Silicon-containing compounds
    • G03F7/0757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i-O, Si-C or Si-N bo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01L21/0276Photolithographic processes using an anti-reflective co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cover layers or intermediate layers, e.g. subb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1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in which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8Preparation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G03F1/20 - G03F1/50
    • G03F1/80Et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2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inorganic or organometallic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organic resists
    • G03F7/0043Chalcogenides; Silicon, germanium, arsenic or derivatives thereof; Metals, oxides or alloy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75Silicon-containing compounds
    • G03F7/0752Silicon-containing compounds in non photosensitive layers or as additives, e.g. for dry lithograph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03F7/2014Contact or film exposure of light sensitive plates such as lithographic plates or circuit boards, e.g. in a vacuum frame
    • G03F7/2016Contact mask being integral part of the photosensitive element and subject to destructive removal during post-exposure proces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8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80Siloxanes having aromatic substituents, e.g. phenyl side grou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Toxicology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리소그래피 후의 마스크잔사를 에칭없이 약액만으로 제거가 가능한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이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은, 리소그래피 프로세스에서 패턴을 하층에 전사한 후에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약액으로 마스크층의 제거를 행하는 공정에 있어서, 이 마스크층으로서 사용되는 막이고, 상기 조성물은, 카르보닐기함유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카르보닐기함유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위구조가, 환상산무수물기, 환상디에스테르기, 또는 디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단위구조인 상기의 기재의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폴리실록산이, 추가로 아미드기함유 유기기를 포함하는 단위구조를 포함한다. 아미드기가, 설폰아미드기, 또는 디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기이다.

Description

카르보닐구조를 갖는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판과 레지스트(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 전자선레지스트) 사이에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장치 제조의 리소그래피공정에 있어서 포토레지스트의 하층에 사용되는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해당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이용한 레지스트패턴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반도체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리소그래피에 의한 미세가공이 행해지고 있다. 상기 미세가공은 실리콘웨이퍼 등의 반도체기판 상에 포토레지스트의 박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반도체 디바이스의 패턴이 그려진 마스크패턴을 통해 자외선 등의 활성광선을 조사하고, 현상하고, 얻어진 포토레지스트패턴을 보호막으로 하여 기판을 에칭처리함으로써, 기판 표면에, 상기 패턴에 대응하는 미세요철을 형성하는 가공법이다. 그런데, 최근, 반도체 디바이스의 고집적도화가 진행되어, 사용되는 활성광선도 KrF엑시머레이저(248nm)에서 ArF엑시머레이저(193nm)로 단파장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수반하여 활성광선의 반도체기판으로부터의 반사의 영향이 큰 문제가 되었다.
또한, 반도체기판과 포토레지스트 사이의 하층막으로서, 실리콘이나 티탄 등의 금속원소를 포함하는 하드마스크로서 알려진 막을 사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 레지스트와 하드마스크에서는, 그 구성성분에 큰 차이가 있으므로, 이들의 드라이에칭에 의해 제거되는 속도는, 드라이에칭에 사용되는 가스종에 크게 의존한다. 그리고, 가스종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포토레지스트의 막두께의 큰 감소를 수반하는 일 없이, 하드마스크를 드라이에칭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최근의 반도체장치의 제조에 있어서는, 반사방지효과를 비롯해, 여러가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반도체기판과 포토레지스트 사이에 레지스트 하층막이 배치되게 되었다. 그리고, 지금까지 레지스트 하층막용의 조성물의 검토가 행해지고 있는데, 그 요구되는 특성의 다양성 등으로부터, 레지스트 하층막용의 새로운 재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에스테르결합을 갖는 실란을 이용한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레지스트 하층막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을 참조).
일본특허공개 2007-22617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4-310019호 공보 국제공개팜플렛 WO2006/057782
반도체 최첨단 디바이스의 임플란트레이어의 미세화에 따라, 다층프로세스가 다용되고 있다. 통상은 다층프로세스에서는 하층으로의 전사가 드라이에칭에 의해 행해지고, 최종적으로 기판의 가공도 드라이에칭으로 행해지고 있다. 또한, 기판의 가공 후의 마스크의 잔사, 예를 들어, 레지스트나 레지스트 하층막을 포함하는 유기 하층막의 제거도 드라이에칭이나 회화처리로 행해지는 경우가 있는데, 기판에 대한 데미지가 있어 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체장치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는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세하게는, 하드마스크로서 사용할 수 있는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반사방지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레지스트와의 인터믹싱을 일으키지 않고, 레지스트에 비교하여 큰 드라이에칭속도를 갖는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 및 이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관점으로서,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이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은, 리소그래피 프로세스에서 패턴을 하층에 전사한 후에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약액으로 마스크층의 제거를 행하는 공정에 있어서 이 마스크층으로서 사용되는 막이고, 상기 조성물은, 카르보닐기함유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제2 관점으로서, 카르보닐기함유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위구조가, 환상산무수물기, 환상디에스테르기, 또는 디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단위구조인 제1 관점에 기재된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제3 관점으로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실란을 포함하는 가수분해성 실란의 가수분해축합물인 제1 관점에 기재된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식(1):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1) 중 R1은 식(1-1), 식(1-2), 식(1-3), 식(1-4), 식(1-5), 또는 식(1-6):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T1, T4는 알킬렌기 또는 환상알킬렌기, T2는 알킬기, T3은 각각 환상알킬렌기를 나타낸다. n은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T11, T15, 및 T18은 알킬렌기, 환상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아릴렌기, 황원자, 산소원자, 옥시카르보닐기, 아미드기, 2급아미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고, T12, T13, T14, T16, T17, T19 및 T20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T21은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는 직접 또는 연결기를 통한 실리콘원자와의 결합부위이다.)을 포함하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식(1) 중 R2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겐화알킬기, 할로겐화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에폭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메르캅토기, 아미노기, 혹은 시아노기를 갖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식(1) 중 R3은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 a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b는 0 또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a+b는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제4 관점으로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추가로 아미드기함유 유기기를 포함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기재된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제5 관점으로서, 아미드기가, 설폰아미드기, 또는 디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기인 제4 관점에 기재된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제6 관점으로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실란 및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실란을 포함하는 가수분해성 실란의 공가수분해축합물인 제1 관점에 기재된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식(2):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2) 중 R4는 식(2-1), 또는 식(2-2):
[화학식 4]
Figure pct00004
를 포함하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식(2) 중 R5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겐화알킬기, 할로겐화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에폭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메르캅토기, 아미노기, 혹은 시아노기를 갖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식(2) 중 R6은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 a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b는 0 또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a+b는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는 직접 또는 연결기를 통한 실리콘원자와의 결합부위이다.],
제7 관점으로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실란과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실란과 그 밖의 실란을 포함하는 가수분해성 실란의 공가수분해축합물이고, 그 밖의 실란이 식(3)으로 표시되는 실란 및 식(4)로 표시되는 실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실란인 제1 관점에 기재된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3) 중 R7은 알킬기, 아릴기, 할로겐화알킬기, 할로겐화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에폭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메르캅토기, 혹은 시아노기를 갖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며, R8은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a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4) 중 R9는 알킬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며, R10은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기를 나타내고, Y는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b는 0 또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c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
제8 관점으로서, 추가로 광산발생제를 포함하는 제1 관점 내지 제7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제9 관점으로서, 추가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제1 관점 내지 제8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제10 관점으로서, 상기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약액이, 암모니아와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 염산과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 황산과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 또는 불산과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인 제1 관점 내지 제9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제11 관점으로서, 제1 관점 내지 제10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반도체기판 상에 도포하고 소성함으로써 얻어지는 레지스트 하층막의 제조방법,
제12 관점으로서, 제1 관점 내지 제10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반도체기판 상에 도포하고, 소성하여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하층막 상에 레지스트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레지스트막을 노광하는 공정, 노광 후에 레지스트를 현상하여 레지스트패턴을 얻는 공정, 레지스트패턴에 의해 레지스트 하층막을 에칭하는 공정, 및 패턴화된 레지스트와 레지스트 하층막에 의해 반도체기판을 가공하는 공정, 마스크층을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약액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제13 관점으로서, 반도체기판 상에 유기 하층막을 형성하는 공정, 그 위에 제1 관점 내지 제10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소성하여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레지스트 하층막 상에 레지스트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레지스트막을 노광하는 공정, 노광 후에 레지스트를 현상하여 레지스트패턴을 얻는 공정, 레지스트패턴에 의해 레지스트 하층막을 에칭하는 공정, 패턴화된 레지스트 하층막에 의해 유기 하층막을 에칭하는 공정, 및 패턴화된 유기 하층막에 의해 반도체기판을 가공하는 공정, 마스크층을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약액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제14 관점으로서, 상기 기판의 가공이, 에칭, 또는 이온주입인 제12 관점 또는 제13 관점에 기재된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및
제15 관점으로서, 마스크층이, 레지스트 또는 레지스트 하층막을 포함하는 유기 하층막인 제12 관점 내지 제13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이다.
본원은 기판의 가공 후의 마스크의 잔사, 예를 들어, 레지스트나 레지스트 하층막을 포함하는 유기 하층막의 제거를 약액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등의 실리콘계의 마스크잔사여도 약액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가능해지는 레지스트 하층막에 의해, 기판 데미지가 적은 반도체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약액은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약액이며, 암모니아와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SC-1약액), 염산과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SC-2약액), 황산과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SPM약액), 또는 불산과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FPM약액)이고, 이들 약액의 제거성이 우수한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은 반도체기판을 에칭, 또는 이온주입에 의해 가공하는 공정의 후에, 마스크층으로서 레지스트 또는 레지스트 하층막을 포함하는 유기 하층막을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약액으로 제거하는 공정에 유효하다.
본 발명은 리소그래피 프로세스에서 패턴을 하층에 전사한 후에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약액으로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을 포함하는 마스크층의 제거를 행하는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이 조성물은 카르보닐기함유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은, 식(1)의 가수분해성 실란의 가수분해축합물(폴리머)과, 용제를 포함한다. 또한, 가수분해성 실란은 식(1)의 가수분해성 실란과 식(2)의 가수분해성 실란과의 조합, 또한 식(1)의 가수분해성 실란과 식(2)의 가수분해성 실란, 및 식(3)의 가수분해성 실란의 조합, 또한 식(1)의 가수분해성 실란과 식(3)의 가수분해성 실란과의 조합, 또한 식(1)의 가수분해성 실란, 식(2)의 가수분해성 실란, 식(3)의 가수분해성 실란, 식(4)의 가수분해성 실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가수분해성 실란의 가수분해축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임의성분으로서 산, 물, 알코올, 경화촉매, 산발생제, 다른 유기폴리머, 흡광성 화합물, 및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고형분은, 예를 들어 0.1질량% 내지 50질량%, 또는 0.1질량% 내지 30질량%, 0.1질량% 내지 25질량%이다. 여기서 고형분이란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의 전체성분으로부터 용제성분을 제거한 것이다.
고형분 중에 차지하는 가수분해성 실란, 그의 가수분해물, 및 그의 가수분해축합물의 비율은, 20질량% 이상이고, 예를 들어 50질량% 내지 100질량%, 60질량% 내지 100질량%, 70질량% 내지 100질량%이다.
가수분해축합물을 얻을 때에 가수분해가 완전히 완료되지 않은 부분가수분해물이나 실란 화합물이 가수분해축합물에 혼합되어, 그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축합물은 폴리실록산구조를 갖는 폴리머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가수분해성 실란은 상기 식(1)의 실란을 포함할 수 있다.
식 중 R1은 상기 식(1-1), 식(1-2), 식(1-3), 식(1-4), 식(1-5), 또는 식(1-6)을 포함하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식(1-1), 식(1-2), 및 식(1-3) 중에서 T1, T4는 알킬렌기 또는 환상알킬렌기, T2는 알킬기, T3은 각각 환상알킬렌기를 나타낸다. n은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식(1-4), 식(1-5), 식(1-6) 중에서, T11, T15, 및 T18은 알킬렌기, 환상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아릴렌기, 황원자, 산소원자, 옥시카르보닐기, 아미드기, 2급아미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T12, T13, T14, T16, T17, T19 및 T20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이고, T21은 알킬렌기이다.
R2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겐화알킬기, 할로겐화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에폭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메르캅토기, 아미노기, 혹은 시아노기를 갖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R3은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기를 나타낸다. a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b는 0 또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a+b는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는 직접 또는 연결기를 통한 실리콘원자와의 결합부위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가수분해성 실란은 식(1)의 실란과 식(2)의 실란을 포함하는 가수분해성 실란으로 할 수 있다.
식 중 R4는 상기 식(2-1), 또는 식(2-2)를 포함하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R5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겐화알킬기, 할로겐화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에폭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메르캅토기, 아미노기, 혹은 시아노기를 갖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R6은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기를 나타낸다. a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b는 0 또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a+b는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는 직접 또는 연결기를 통한 실리콘원자와의 결합부위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가수분해성 실란은, 식(1)의 실란과 식(2)의 실란과 그 밖의 실란을 포함하는 가수분해성 실란이고, 그 밖의 실란이 식(3)과 식(4)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실란으로 할 수 있다.
식(3)의 실란에서, 식 중 R7은 알킬기, 아릴기, 할로겐화알킬기, 할로겐화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에폭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메르캅토기, 혹은 시아노기를 갖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며, R8은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a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4)의 실란에서, 식 중 R9는 알킬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며, R10은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기를 나타내고, Y는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b는 0 또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c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
상기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를 갖는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알킬기이고,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1-메틸-n-부틸기, 2-메틸-n-부틸기, 3-메틸-n-부틸기, 1,1-디메틸-n-프로필기, 1,2-디메틸-n-프로필기, 2,2-디메틸-n-프로필기, 1-에틸-n-프로필기, n-헥실, 1-메틸-n-펜틸기, 2-메틸-n-펜틸기, 3-메틸-n-펜틸기, 4-메틸-n-펜틸기, 1,1-디메틸-n-부틸기, 1,2-디메틸-n-부틸기, 1,3-디메틸-n-부틸기, 2,2-디메틸-n-부틸기, 2,3-디메틸-n-부틸기, 3,3-디메틸-n-부틸기, 1-에틸-n-부틸기, 2-에틸-n-부틸기, 1,1,2-트리메틸-n-프로필기, 1,2,2-트리메틸-n-프로필기, 1-에틸-1-메틸-n-프로필기 및 1-에틸-2-메틸-n-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환상알킬기를 이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탄소원자수 1 내지 10의 환상알킬기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1-메틸-시클로프로필기, 2-메틸-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펜틸기, 1-메틸-시클로부틸기, 2-메틸-시클로부틸기, 3-메틸-시클로부틸기, 1,2-디메틸-시클로프로필기, 2,3-디메틸-시클로프로필기, 1-에틸-시클로프로필기, 2-에틸-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헥실기, 1-메틸-시클로펜틸기, 2-메틸-시클로펜틸기, 3-메틸-시클로펜틸기, 1-에틸-시클로부틸기, 2-에틸-시클로부틸기, 3-에틸-시클로부틸기, 1,2-디메틸-시클로부틸기, 1,3-디메틸-시클로부틸기, 2,2-디메틸-시클로부틸기, 2,3-디메틸-시클로부틸기, 2,4-디메틸-시클로부틸기, 3,3-디메틸-시클로부틸기, 1-n-프로필-시클로프로필기, 2-n-프로필-시클로프로필기, 1-i-프로필-시클로프로필기, 2-i-프로필-시클로프로필기, 1,2,2-트리메틸-시클로프로필기, 1,2,3-트리메틸-시클로프로필기, 2,2,3-트리메틸-시클로프로필기, 1-에틸-2-메틸-시클로프로필기, 2-에틸-1-메틸-시클로프로필기, 2-에틸-2-메틸-시클로프로필기 및 2-에틸-3-메틸-시클로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렌기는 상기 알킬기에서 유래하는 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틸기이면 메틸렌기, 에틸기이면 에틸렌기, 프로필기이면 프로필렌기를 들 수 있다.
알케닐기로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이고, 에테닐기, 1-프로페닐기, 2-프로페닐기, 1-메틸-1-에테닐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3-부테닐기, 2-메틸-1-프로페닐기, 2-메틸-2-프로페닐기, 1-에틸에테닐기, 1-메틸-1-프로페닐기, 1-메틸-2-프로페닐기, 1-펜테닐기, 2-펜테닐기, 3-펜테닐기, 4-펜테닐기, 1-n-프로필에테닐기, 1-메틸-1-부테닐기, 1-메틸-2-부테닐기, 1-메틸-3-부테닐기, 2-에틸-2-프로페닐기, 2-메틸-1-부테닐기, 2-메틸-2-부테닐기, 2-메틸-3-부테닐기, 3-메틸-1-부테닐기, 3-메틸-2-부테닐기, 3-메틸-3-부테닐기, 1,1-디메틸-2-프로페닐기, 1-i-프로필에테닐기, 1,2-디메틸-1-프로페닐기, 1,2-디메틸-2-프로페닐기, 1-시클로펜테닐기, 2-시클로펜테닐기, 3-시클로펜테닐기, 1-헥세닐기, 2-헥세닐기, 3-헥세닐기, 4-헥세닐기, 5-헥세닐기, 1-메틸-1-펜테닐기, 1-메틸-2-펜테닐기, 1-메틸-3-펜테닐기, 1-메틸-4-펜테닐기, 1-n-부틸에테닐기, 2-메틸-1-펜테닐기, 2-메틸-2-펜테닐기, 2-메틸-3-펜테닐기, 2-메틸-4-펜테닐기, 2-n-프로필-2-프로페닐기, 3-메틸-1-펜테닐기, 3-메틸-2-펜테닐기, 3-메틸-3-펜테닐기, 3-메틸-4-펜테닐기, 3-에틸-3-부테닐기, 4-메틸-1-펜테닐기, 4-메틸-2-펜테닐기, 4-메틸-3-펜테닐기, 4-메틸-4-펜테닐기, 1,1-디메틸-2-부테닐기, 1,1-디메틸-3-부테닐기, 1,2-디메틸-1-부테닐기, 1,2-디메틸-2-부테닐기, 1,2-디메틸-3-부테닐기, 1-메틸-2-에틸-2-프로페닐기, 1-s-부틸에테닐기, 1,3-디메틸-1-부테닐기, 1,3-디메틸-2-부테닐기, 1,3-디메틸-3-부테닐기, 1-i-부틸에테닐기, 2,2-디메틸-3-부테닐기, 2,3-디메틸-1-부테닐기, 2,3-디메틸-2-부테닐기, 2,3-디메틸-3-부테닐기, 2-i-프로필-2-프로페닐기, 3,3-디메틸-1-부테닐기, 1-에틸-1-부테닐기, 1-에틸-2-부테닐기, 1-에틸-3-부테닐기, 1-n-프로필-1-프로페닐기, 1-n-프로필-2-프로페닐기, 2-에틸-1-부테닐기, 2-에틸-2-부테닐기, 2-에틸-3-부테닐기, 1,1,2-트리메틸-2-프로페닐기, 1-t-부틸에테닐기, 1-메틸-1-에틸-2-프로페닐기, 1-에틸-2-메틸-1-프로페닐기, 1-에틸-2-메틸-2-프로페닐기, 1-i-프로필-1-프로페닐기, 1-i-프로필-2-프로페닐기, 1-메틸-2-시클로펜테닐기, 1-메틸-3-시클로펜테닐기, 2-메틸-1-시클로펜테닐기, 2-메틸-2-시클로펜테닐기, 2-메틸-3-시클로펜테닐기, 2-메틸-4-시클로펜테닐기, 2-메틸-5-시클로펜테닐기, 2-메틸렌-시클로펜틸기, 3-메틸-1-시클로펜테닐기, 3-메틸-2-시클로펜테닐기, 3-메틸-3-시클로펜테닐기, 3-메틸-4-시클로펜테닐기, 3-메틸-5-시클로펜테닐기, 3-메틸렌-시클로펜틸기, 1-시클로헥세닐기, 2-시클로헥세닐기 및 3-시클로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렌기로는 상기 알케닐기에서 유래하는 알케닐렌기를 들 수 있다.
아릴기로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를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페닐기, o-메틸페닐기, m-메틸페닐기, p-메틸페닐기, o-클로르페닐기, m-클로르페닐기, p-클로르페닐기, o-플루오로페닐기, p-메르캅토페닐기, o-메톡시페닐기, p-메톡시페닐기, p-아미노페닐기, p-시아노페닐기, α-나프틸기, β-나프틸기, o-비페닐릴기, m-비페닐릴기, p-비페닐릴기, 1-안트릴기, 2-안트릴기, 9-안트릴기, 1-페난트릴기, 2-페난트릴기, 3-페난트릴기, 4-페난트릴기 및 9-페난트릴기를 들 수 있다.
아릴렌기로는 상기 아릴기에서 유래하는 아릴렌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등의 할로겐원자가 치환된 유기기를 들 수 있다.
황원자를 이용함으로써 설파이드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산소원자를 이용함으로써 에테르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옥시카르보닐기를 이용함으로써 에스테르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아미드기를 이용함으로써 아미드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2급아미노기를 이용함으로써 아미노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관능기는 상기 예시와 조합함으로써 각각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유기기로는, 글리시독시메틸, 글리시독시에틸, 글리시독시프로필, 글리시독시부틸, 에폭시시클로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유기기로는, 아크릴로일메틸, 아크릴로일에틸, 아크릴로일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메타크릴로일기를 갖는 유기기로는, 메타크릴로일메틸, 메타크릴로일에틸, 메타크릴로일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메르캅토기를 갖는 유기기로는, 에틸메르캅토, 부틸메르캅토, 헥실메르캅토, 옥틸메르캅토 등을 들 수 있다.
시아노기를 갖는 유기기로는, 시아노에틸, 시아노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로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 분지, 환상의 알킬부분을 갖는 알콕시기를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i-부톡시기, s-부톡시기, t-부톡시기, n-펜틸옥시기, 1-메틸-n-부톡시기, 2-메틸-n-부톡시기, 3-메틸-n-부톡시기, 1,1-디메틸-n-프로폭시기, 1,2-디메틸-n-프로폭시기, 2,2-디메틸-n-프로폭시기, 1-에틸-n-프로폭시기, n-헥실옥시기, 1-메틸-n-펜틸옥시기, 2-메틸-n-펜틸옥시기, 3-메틸-n-펜틸옥시기, 4-메틸-n-펜틸옥시기, 1,1-디메틸-n-부톡시기, 1,2-디메틸-n-부톡시기, 1,3-디메틸-n-부톡시기, 2,2-디메틸-n-부톡시기, 2,3-디메틸-n-부톡시기, 3,3-디메틸-n-부톡시기, 1-에틸-n-부톡시기, 2-에틸-n-부톡시기, 1,1,2-트리메틸-n-프로폭시기, 1,2,2-트리메틸-n-프로폭시기, 1-에틸-1-메틸-n-프로폭시기 및 1-에틸-2-메틸-n-프로폭시기 등을, 또한 환상의 알콕시기로는 시클로프로폭시기, 시클로부톡시기, 1-메틸-시클로프로폭시기, 2-메틸-시클로프로폭시기, 시클로펜틸옥시기, 1-메틸-시클로부톡시기, 2-메틸-시클로부톡시기, 3-메틸-시클로부톡시기, 1,2-디메틸-시클로프로폭시기, 2,3-디메틸-시클로프로폭시기, 1-에틸-시클로프로폭시기, 2-에틸-시클로프로폭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1-메틸-시클로펜틸옥시기, 2-메틸-시클로펜틸옥시기, 3-메틸-시클로펜틸옥시기, 1-에틸-시클로부톡시기, 2-에틸-시클로부톡시기, 3-에틸-시클로부톡시기, 1,2-디메틸-시클로부톡시기, 1,3-디메틸-시클로부톡시기, 2,2-디메틸-시클로부톡시기, 2,3-디메틸-시클로부톡시기, 2,4-디메틸-시클로부톡시기, 3,3-디메틸-시클로부톡시기, 1-n-프로필-시클로프로폭시기, 2-n-프로필-시클로프로폭시기, 1-i-프로필-시클로프로폭시기, 2-i-프로필-시클로프로폭시기, 1,2,2-트리메틸-시클로프로폭시기, 1,2,3-트리메틸-시클로프로폭시기, 2,2,3-트리메틸-시클로프로폭시기, 1-에틸-2-메틸-시클로프로폭시기, 2-에틸-1-메틸-시클로프로폭시기, 2-에틸-2-메틸-시클로프로폭시기 및 2-에틸-3-메틸-시클로프로폭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20의 아실옥시기는, 예를 들어 메틸카르보닐옥시기, 에틸카르보닐옥시기, n-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i-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n-부틸카르보닐옥시기, i-부틸카르보닐옥시기, s-부틸카르보닐옥시기, t-부틸카르보닐옥시기, n-펜틸카르보닐옥시기, 1-메틸-n-부틸카르보닐옥시기, 2-메틸-n-부틸카르보닐옥시기, 3-메틸-n-부틸카르보닐옥시기, 1,1-디메틸-n-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1,2-디메틸-n-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2,2-디메틸-n-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1-에틸-n-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n-헥실카르보닐옥시기, 1-메틸-n-펜틸카르보닐옥시기, 2-메틸-n-펜틸카르보닐옥시기, 3-메틸-n-펜틸카르보닐옥시기, 4-메틸-n-펜틸카르보닐옥시기, 1,1-디메틸-n-부틸카르보닐옥시기, 1,2-디메틸-n-부틸카르보닐옥시기, 1,3-디메틸-n-부틸카르보닐옥시기, 2,2-디메틸-n-부틸카르보닐옥시기, 2,3-디메틸-n-부틸카르보닐옥시기, 3,3-디메틸-n-부틸카르보닐옥시기, 1-에틸-n-부틸카르보닐옥시기, 2-에틸-n-부틸카르보닐옥시기, 1,1,2-트리메틸-n-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1,2,2-트리메틸-n-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1-에틸-1-메틸-n-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1-에틸-2-메틸-n-프로필카르보닐옥시기, 페닐카르보닐옥시기, 및 토실카르보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할로겐원자로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을 들 수 있다.
식(1)의 가수분해성 실란은 이하에 예시할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화학식 8]
Figure pct00008
[화학식 9]
Figure pct00009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또한, 식(2)의 가수분해성 실란은 이하에 예시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 있어서 T는 알킬기이고, 상기 서술한 알킬기의 예시를 들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가 바람직하다.
식(3)으로 표시되는 규소함유 화합물은 예를 들어,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클로르실란, 테트라아세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n-프로폭시실란, 테트라이소프로폭시실란, 테트라n-부톡시실란, 테트라아세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메틸트리아세톡시실란, 메틸트리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아세틱시실란, 메틸트리부톡시실란, 메틸트리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아밀옥시실란, 메틸트리페녹시실란, 메틸트리벤질옥시실란, 메틸트리페네틸옥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프로폭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부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페녹시실란, α-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δ-글리시독시부틸트리메톡시실란, δ-글리시독시부틸트리에톡시실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트리메톡시실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트리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프로폭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부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페녹시실란, γ-(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δ-(3,4-에폭시시클로헥실)부틸트리메톡시실란, δ-(3,4-에폭시시클로헥실)부틸트리에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메틸디메톡시실란, 글리시독시메틸메틸디에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에틸에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α-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β-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프로폭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부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페녹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에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비닐디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비닐디에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메톡시페닐트리메톡시실란, 메톡시페닐트리에톡시실란, 메톡시페닐트리아세톡시실란, 메톡시페닐트리클로로실란, 메톡시벤질트리메톡시실란, 메톡시벤질트리에톡시실란, 메톡시벤질트리아세톡시실란, 메톡시벤질트리클로로실란, 메톡시페네틸트리메톡시실란, 메톡시페네틸트리에톡시실란, 메톡시페네틸트리아세톡시실란, 메톡시페네틸트리클로로실란, 에톡시페닐트리메톡시실란, 에톡시페닐트리에톡시실란, 에톡시페닐트리아세톡시실란, 에톡시페닐트리클로로실란, 에톡시벤질트리메톡시실란, 에톡시벤질트리에톡시실란, 에톡시벤질트리아세톡시실란, 에톡시벤질트리클로로실란, 이소프로폭시페닐트리메톡시실란, 이소프로폭시페닐트리에톡시실란, 이소프로폭시페닐트리아세톡시실란, 이소프로폭시페닐트리클로로실란, 이소프로폭시벤질트리메톡시실란, 이소프로폭시벤질트리에톡시실란, 이소프로폭시벤질트리아세톡시실란, 이소프로폭시벤질트리클로로실란, t-부톡시페닐트리메톡시실란, t-부톡시페닐트리에톡시실란, t-부톡시페닐트리아세톡시실란, t-부톡시페닐트리클로로실란, t-부톡시벤질트리메톡시실란, t-부톡시벤질트리에톡시실란, t-부톡시벤질트리아세톡시실란, t-부톡시시벤질트리클로로실란, 메톡시나프틸트리메톡시실란, 메톡시나프틸트리에톡시실란, 메톡시나프틸트리아세톡시실란, 메톡시나프틸트리클로로실란, 에톡시나프틸트리메톡시실란, 에톡시나프틸트리에톡시실란, 에톡시나프틸트리아세톡시실란, 에톡시나프틸트리클로로실란, γ-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트리아세톡시실란, 3,3,3-트리플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β-시아노에틸트리에톡시실란, 클로로메틸트리메톡시실란, 클로로메틸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페닐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페닐메틸디에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디메틸디아세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메틸디에톡시실란, 메틸비닐디메톡시실란, 메틸비닐디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식(3)의 R7의 아릴기는 치환아릴기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치환페닐기를 들 수 있고, 이들은 알콕시페닐기 또는 아실옥시페닐기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유기기로서 예시되는 실란은 이하에 들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식(4)로 표시되는 규소함유 화합물은 예를 들어, 메틸렌비스트리메톡시실란, 메틸렌비스트리클로로실란, 메틸렌비스트리아세톡시실란, 에틸렌비스트리에톡시실란, 에틸렌비스트리클로로실란, 에틸렌비스트리아세톡시실란, 프로필렌비스트리에톡시실란, 부틸렌비스트리메톡시실란, 페닐렌비스트리메톡시실란, 페닐렌비스트리에톡시실란, 페닐렌비스메틸디에톡시실란, 페닐렌비스메틸디메톡시실란, 나프틸렌비스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메톡시디실란, 비스트리에톡시디실란, 비스에틸디에톡시디실란, 비스메틸디메톡시디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가수분해축합물의 구체예로는 이하에 예시된다.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상기의 가수분해성 실란의 가수분해축합물(폴리오가노실록산)은, 중량평균분자량 1000 내지 1000000, 또는 1000 내지 100000의 축합물을 얻을 수 있다. 이들의 분자량은 GPC분석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얻어지는 분자량이다.
GPC의 측정조건은, 예를 들어 GPC장치(상품명 HLC-8220GPC, 토소주식회사제), GPC컬럼(상품명 ShodexKF803L, KF802, KF801, 쇼와덴코제), 컬럼온도는 40℃, 용리액(용출용매)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량(유속)은 1.0ml/min, 표준시료는 폴리스티렌(쇼와덴코주식회사제)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 아실옥시실릴기, 또는 할로겐화실릴기의 가수분해에는, 가수분해성기의 1몰당, 0.5몰 내지 100몰, 바람직하게는 1몰 내지 10몰의 물을 이용한다.
또한, 가수분해성기의 1몰당 0.001몰 내지 10몰, 바람직하게는 0.001몰 내지 1몰의 가수분해촉매를 이용할 수 있다.
가수분해와 축합을 행할 때의 반응온도는, 통상 20℃ 내지 80℃이다.
가수분해는 완전히 가수분해를 행해도 되고, 부분가수분해를 행해도 된다. 즉, 가수분해축합물 중에 가수분해물이나 모노머가 잔존해 있어도 된다.
가수분해하고 축합시킬 때에 촉매를 이용할 수 있다.
가수분해촉매로는, 금속킬레이트 화합물, 유기산, 무기산, 유기염기, 무기염기를 들 수 있다.
가수분해촉매로서의 금속킬레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어 트리에톡시·모노(아세틸아세토네이트)티탄 등의 티탄킬레이트 화합물, 트리에톡시·모노(아세틸아세토네이트)지르코늄 등의 지르코늄킬레이트 화합물, 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킬레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가수분해촉매로서의 유기산은,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탄산, 펜탄산, 헥산산, 헵탄산, 옥탄산, 노난산, 데칸산, 옥살산, 말레산, 메틸말론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몰식자산, 부티르산, 멜리트산, 아라키돈산, 2-에틸헥산산, 올레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살리실산, 안식향산, p-아미노안식향산, p-톨루엔설폰산, 벤젠설폰산, 모노클로로아세트산, 디클로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포름산, 말론산, 설폰산, 프탈산, 푸마르산, 구연산, 주석산 등을 들 수 있다.
가수분해촉매로서의 무기산은, 예를 들어 염산, 질산, 황산, 불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가수분해촉매로서의 유기염기는, 예를 들어 피리딘, 피롤, 피페라진, 피롤리딘, 피페리딘, 피콜린,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메틸모노에탄올아민, 모노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아자비시클로옥탄, 디아자비시클로노난, 디아자비시클로운데센,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기로는, 예를 들어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바륨, 수산화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촉매 중, 금속킬레이트 화합물, 유기산, 무기산이 바람직하고, 이들은 1종 혹은 2종 이상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가수분해에 이용되는 유기용매로는, 예를 들어 n-펜탄, i-펜탄, n-헥산, i-헥산, n-헵탄, i-헵탄, 2,2,4-트리메틸펜탄, n-옥탄, i-옥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트리메틸벤젠, 메틸에틸벤젠, n-프로필벤센, i-프로필벤센, 디에틸벤젠, i-부틸벤젠, 트리에틸벤젠, 디-i-프로필벤센, n-아밀나프탈렌, 트리메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프로판올, n-부탄올, i-부탄올, sec-부탄올, t-부탄올, n-펜탄올, i-펜탄올, 2-메틸부탄올, sec-펜탄올, t-펜탄올, 3-메톡시부탄올, n-헥사놀, 2-메틸펜탄올, sec-헥사놀, 2-에틸부탄올, sec-헵탄올, 헵탄올-3, n-옥탄올, 2-에틸헥사놀, sec-옥탄올, n-노닐알코올, 2,6-디메틸헵탄올-4, n-데칸올, sec-운데실알코올, 트리메틸노닐알코올, sec-테트라데실알코올, sec-헵타데실알코올, 페놀, 시클로헥사놀, 메틸시클로헥사놀, 3,3,5-트리메틸시클로헥사놀, 벤질알코올, 페닐메틸카르비놀, 디아세톤알코올, 크레졸 등의 모노알코올계 용매;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펜탄디올-2,4,2-메틸펜탄디올-2,4, 헥산디올-2,5, 헵탄디올-2,4,2-에틸헥산디올-1,3,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n-프로필케톤, 메틸-n-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메틸-i-부틸케톤, 메틸-n-펜틸케톤, 에틸-n-부틸케톤, 메틸-n-헥실케톤, 디-i-부틸케톤, 트리메틸노난온, 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헥사논, 2,4-펜탄디온, 아세토닐아세톤, 디아세톤알코올, 아세토페논, 펜촌 등의 케톤계 용매; 에틸에테르, i-프로필에테르, n-부틸에테르, n-헥실에테르, 2-에틸헥실에테르, 에틸렌옥사이드, 1,2-프로필렌옥사이드, 디옥솔란, 4-메틸디옥솔란, 디옥산, 디메틸디옥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n-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n-헥실에테르, 에톡시트리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디에틸카보네이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아세트산n-프로필, 아세트산i-프로필,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i-부틸, 아세트산sec-부틸, 아세트산n-펜틸, 아세트산sec-펜틸, 아세트산3-메톡시부틸, 아세트산메틸펜틸, 아세트산2-에틸부틸, 아세트산2-에틸헥실, 아세트산벤질, 아세트산시클로헥실, 아세트산메틸시클로헥실, 아세트산n-노닐, 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아세트산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트산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아세트산디에틸렌글리콜모노-n-부틸에테르, 아세트산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트산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아세트산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아세트산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아세트산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아세트산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아세트산글리콜, 아세트산메톡시트리글리콜, 프로피온산에틸, 프로피온산n-부틸, 프로피온산i-아밀, 옥살산디에틸, 옥살산디-n-부틸, 유산메틸, 유산에틸, 유산n-부틸, 유산n-아밀, 말론산디에틸, 프탈산디메틸, 프탈산디에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N-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에틸포름아미드, 아세트아미드, N-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프로피온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의 함질소계 용매; 황화디메틸, 황화디에틸, 티오펜,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 디메틸설폭사이드, 설포란, 1,3-프로판설톤 등의 함황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n-프로필케톤, 메틸-n-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메틸-i-부틸케톤, 메틸-n-펜틸케톤, 에틸-n-부틸케톤, 메틸-n-헥실케톤, 디-i-부틸케톤, 트리메틸노난온, 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헥사논, 2,4-펜탄디온, 아세토닐아세톤, 디아세톤알코올, 아세토페논, 펜촌 등의 케톤계 용매가 용액의 보존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첨가제로서 비스페놀S, 또는 비스페놀S유도체를 첨가할 수 있다. 비스페놀S, 또는 비스페놀S유도체는 폴리오가노실록산 100질량부에 대해, 0.01질량부 내지 20질량부, 또는 0.01질량부 내지 10질량부, 또는 0.01질량부 내지 5질량부이다.
바람직한 비스페놀S, 또는 비스페놀S유도체는 이하에 예시된다.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은 경화촉매를 함유할 수 있다. 경화촉매는, 가수분해축합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오가노실록산을 함유하는 도포막을 가열하여 경화시킬 때에 경화촉매의 작용을 한다.
경화촉매로는, 암모늄염, 포스핀류, 포스포늄염, 설포늄염을 이용할 수 있다.
암모늄염으로는, 식(D-1):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단, m은 2 내지 11, nd는 2 내지 3의 정수를, R21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Yd -은 음이온을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제4급암모늄염, 식(D-2):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단, R22, R23, R24 및 R25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N은 질소원자를, Yd -은 음이온을 나타내고, 또한 R22, R23, R24, 및 R25는 각각 C-N결합에 의해 질소원자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제4급암모늄염,
식(D-3):
[화학식 19]
Figure pct00019
(단, R26 및 R27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Yd -은 음이온을 나타낸다)의 구조를 갖는 제4급암모늄염,
식(D-4):
[화학식 20]
Figure pct00020
(단, R28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Yd -은 음이온을 나타낸다)의 구조를 갖는 제4급암모늄염,
식(D-5):
[화학식 21]
Figure pct00021
(단, R29 및 R30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Yd -은 음이온을 나타낸다)의 구조를 갖는 제4급암모늄염,
식(D-6):
[화학식 22]
Figure pct00022
(단, m은 2 내지 11, n은 2 내지 3의 정수를, H는 수소원자를, Yd -은 음이온을 나타낸다)의 구조를 갖는 제3급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또한, 포스포늄염으로는, 식(D-7):
[화학식 23]
Figure pct00023
(단, R31, R32, R33, 및 R34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P는 인원자를, Yd -은 음이온을 나타내고, 또한 R31, R32, R33, 및 R34는 각각 C-P결합에 의해 인원자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로 표시되는 제4급포스포늄염을 들 수 있다.
또한, 설포늄염으로는, 식(D-8):
[화학식 24]
Figure pct00024
(단, R15, R16, 및 R17은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S는 황원자를, Yd -은 음이온을 나타내고, 또한 R15, R16, 및 R17은 각각 C-S결합에 의해 황원자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로 표시되는 제3급설포늄염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식(D-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제4급암모늄염이고, m은 2 내지 11, nd는 2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 제4급암모늄염의 R21은 탄소원자수 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등의 직쇄알킬기나, 벤질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헥실메틸기, 디시클로펜타디에닐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음이온(Yd -)은, 염화물이온(Cl-), 브롬화물이온(Br-), 요오드화물이온(I-) 등의 할로겐화물이온이나, 카르복실레이트(-COO-), 설포나토(スルホナ卜)(-SO3 -), 알코올레이트(-O-) 등의 산기를 들 수 있다.
상기의 식(D-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22R23R24R25N+Yd -으로 표시되는 제4급암모늄염이다. 이 제4급암모늄염의 R22, R23, R24 및 R25는 탄소원자수 1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 또는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실란 화합물이다. 음이온(Yd -)은, 염화물이온(Cl-), 브롬화물이온(Br-), 요오드화물이온(I-) 등의 할로겐화물이온이나, 카르복실레이트(-COO-), 설포나토(-SO3 -), 알코올레이트(-O-) 등의 산기를 들 수 있다. 이 제4급암모늄염은, 시판품으로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암모늄아세테이트,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염화트리에틸벤질암모늄, 브롬화트리에틸벤질암모늄, 염화트리옥틸메틸암모늄, 염화트리부틸벤질암모늄, 염화트리메틸벤질암모늄 등이 예시된다.
상기의 식(D-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1-치환이미다졸로부터 유도되는 제4급암모늄염이고, R26 및 R27은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R26 및 R27의 탄소수의 총합이 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R26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페닐기, 벤질기를, R27은 벤질기, 옥틸기, 옥타데실기를 예시할 수 있다. 음이온(Yd -)은, 염화물이온(Cl-), 브롬화물이온(Br-), 요오드화물이온(I-) 등의 할로겐화물이온이나, 카르복실레이트(-COO-), 설포나토(-SO3 -), 알코올레이트(-O-) 등의 산기를 들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시판품으로 입수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1-메틸이미다졸, 1-벤질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계 화합물과, 브롬화벤질, 브롬화메틸 등의 할로겐화알킬이나 할로겐화아릴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식(D-4)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피리딘으로부터 유도되는 제4급암모늄염이고, R28은 탄소원자수 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탄소원자수 4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예를 들어 부틸기, 옥틸기, 벤질기, 라우릴기를 예시할 수 있다. 음이온(Yd -)은, 염화물이온(Cl-), 브롬화물이온(Br-), 요오드화물이온(I-) 등의 할로겐화물이온이나, 카르복실레이트(-COO-), 설포나토(-SO3 -), 알코올레이트(-O-) 등의 산기를 들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피리딘과, 염화라우릴, 염화벤질, 브롬화벤질, 브롬화메틸, 브롬화옥틸 등의 할로겐화알킬, 또는 할로겐화아릴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예를 들어, 염화N-라우릴피리디늄, 브롬화N-벤질피리디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의 식(D-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피콜린 등으로 대표되는 치환피리딘으로부터 유도되는 제4급암모늄염이고, R29는 탄소원자수 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예를 들어 메틸기, 옥틸기, 라우릴기, 벤질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R30은 탄소원자수 1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예를 들어 피콜린으로부터 유도되는 제4급암모늄인 경우는 R30은 메틸기이다. 음이온(Yd -)은, 염화물이온(Cl-), 브롬화물이온(Br-), 요오드화물이온(I-) 등의 할로겐화물이온이나, 카르복실레이트(-COO-), 설포나토(-SO3 -), 알코올레이트(-O-) 등의 산기를 들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피콜린 등의 치환피리딘과, 브롬화메틸, 브롬화옥틸, 염화라우릴, 염화벤질, 브롬화벤질 등의 할로겐화알킬, 또는 할로겐화아릴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예를 들어, N-벤질피콜리늄클로라이드, N-벤질피콜리늄브로마이드, N-라우릴피콜리늄클로라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의 식(D-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제3급암모늄염이고, m은 2 내지 11, nd는 2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음이온(Yd -)은, 염화물이온(Cl-), 브롬화물이온(Br-), 요오드화물이온(I-) 등의 할로겐화물이온이나, 카르복실레이트(-COO-), 설포나토(-SO3 -), 알코올레이트(-O-) 등의 산기를 들 수 있다. 아민과 카르본산이나 페놀 등의 약산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카르본산으로는 포름산이나 아세트산을 들 수 있고, 포름산을 사용한 경우는, 음이온(Yd -)은 (HCOO-)이고, 아세트산을 사용한 경우는, 음이온(Yd -)은 (CH3COO-)이다. 또한 페놀을 사용한 경우는, 음이온(Yd -)은 (C6H5O-)이다.
상기의 식(D-7)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31R32R33R34P+Yd -의 구조를 갖는 제4급포스포늄염이다. R31, R32, R33, 및 R34는 탄소원자수 1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 또는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실란 화합물인데, 바람직하게는 R31 내지 R34의 4개의 치환기 중에서 3개가 페닐기 또는 치환된 페닐기이고, 예를 들어 페닐기나 톨릴기를 예시할 수 있고, 또한 나머지 1개는 탄소원자수 1 내지 18의 알킬기, 아릴기, 또는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실란 화합물이다. 또한 음이온(Yd -)은, 염화물이온(Cl-), 브롬화물이온(Br-), 요오드화물이온(I-) 등의 할로겐화물이온이나, 카르복실레이트(-COO-), 설포나토(-SO3 -), 알코올레이트(-O-) 등의 산기를 들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시판품으로서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할로겐화테트라n-부틸포스포늄, 할로겐화테트라n-프로필포스포늄 등의 할로겐화테트라알킬포스포늄, 할로겐화트리에틸벤질포스포늄 등의 할로겐화트리알킬벤질포스포늄, 할로겐화트리페닐메틸포스포늄, 할로겐화트리페닐에틸포스포늄 등의 할로겐화트리페닐모노알킬포스포늄, 할로겐화트리페닐벤질포스포늄, 할로겐화테트라페닐포스포늄, 할로겐화트리톨릴모노아릴포스포늄, 혹은 할로겐화트리톨릴모노알킬포스포늄(할로겐원자는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을 들 수 있다. 특히, 할로겐화트리페닐메틸포스포늄, 할로겐화트리페닐에틸포스포늄 등의 할로겐화트리페닐모노알킬포스포늄, 할로겐화트리페닐벤질포스포늄 등의 할로겐화트리페닐모노아릴포스포늄, 할로겐화트리톨릴모노페닐포스포늄 등의 할로겐화트리톨릴모노아릴포스포늄이나, 할로겐화트리톨릴모노메틸포스포늄 등의 할로겐화트리톨릴모노알킬포스포늄(할로겐원자는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스핀류로는, 메틸포스핀, 에틸포스핀, 프로필포스핀, 이소프로필포스핀, 이소부틸포스핀, 페닐포스핀 등의 제일포스핀, 디메틸포스핀, 디에틸포스핀, 디이소프로필포스핀, 디이소아밀포스핀, 디페닐포스핀 등의 제이포스핀, 트리메틸포스핀, 트리에틸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 메틸디페닐포스핀, 디메틸페닐포스핀 등의 제삼포스핀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식(D-8)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R15R16R17S+Yd -의 구조를 갖는 제3급설포늄염이다. R15, R16, 및 R17은 탄소원자수 1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 또는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실란 화합물인데, 바람직하게는 R15 내지 R17의 4개의 치환기 중에서 3개가 페닐기 또는 치환된 페닐기이고, 예를 들어 페닐기나 톨릴기를 예시할 수 있고, 또한 나머지 1개는 탄소원자수 1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다. 또한 음이온(Yd -)은, 염화물이온(Cl-), 브롬화물이온(Br-), 요오드화물이온(I-) 등의 할로겐이온이나, 카르복실레이트(-COO-), 설포나토(-SO3 -), 알코올레이트(-O-) 등의 산기를 들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시판품으로서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할로겐화트리n-부틸설포늄, 할로겐화트리n-프로필설포늄 등의 할로겐화테트라알킬설포늄, 할로겐화디에틸벤질설포늄 등의 할로겐화트리알킬벤질설포늄, 할로겐화디페닐메틸설포늄, 할로겐화디페닐에틸설포늄 등의 할로겐화디페닐모노알킬설포늄, 할로겐화트리페닐설포늄, (할로겐원자는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 트리n-부틸설포늄카르복실레이트, 트리n-프로필설포늄카르복실레이트 등의 테트라알킬포스포늄카르복실레이트, 디에틸벤질설포늄카르복실레이트 등의 트리알킬벤질설포늄카르복실레이트, 디페닐메틸설포늄카르복실레이트, 디페닐에틸설포늄카르복실레이트 등의 디페닐모노알킬설포늄카르복실레이트, 트리페닐설포늄카르복실레이트를 들 수 있다. 특히, 할로겐화트리페닐설포늄, 트리페닐설포늄카르복실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경화촉매는 폴리오가노실록산 100질량부에 대해, 0.01질량부 내지 10질량부, 또는 0.01질량부 내지 5질량부, 또는 0.01질량부 내지 3질량부이다.
가수분해성 실란을 용제 중에서 촉매를 이용하여 가수분해하고 축합하여, 얻어진 가수분해축합물(폴리머)은 감압증류 등에 의해 부생성물인 알코올이나 이용한 가수분해촉매나 물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가수분해에 이용한 산이나 염기촉매를 중화나 이온교환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에서는, 그의 가수분해축합물을 포함하는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은 안정화를 위해 유기산,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으로는, 예를 들어 옥살산, 말론산, 메틸말론산, 석신산, 말레산, 사과산, 주석산, 프탈산, 구연산, 글루타르산, 구연산, 유산, 살리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옥살산, 말레산 등이 바람직하다. 첨가하는 유기산은 축합물(폴리오가노실록산) 100질량부에 대해 0.1질량부 내지 5.0질량부이다. 또한 첨가하는 물은 순수, 초순수, 이온교환수 등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첨가량은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해 1질량부 내지 20질량부로 할 수 있다.
또한 첨가하는 알코올로는 도포 후의 가열에 의해 비산하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첨가하는 알코올은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해 1질량부 내지 20질량부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 조성물은, 상기의 성분 이외에, 필요에 따라 유기폴리머 화합물, 광산발생제 및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폴리머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리소그래피용 하층막 형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레지스트 하층막의 드라이에칭속도(단위시간당 막두께의 감소량), 감쇠계수 및 굴절률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유기폴리머 화합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여러가지 유기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축중합폴리머 및 부가중합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아크릴폴리머, 메타크릴폴리머, 폴리비닐에테르, 페놀노볼락, 나프톨노볼락,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부가중합폴리머 및 축중합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흡광부위로서 기능하는 벤젠환, 나프탈렌환, 안트라센환, 트리아진환, 퀴놀린환, 및 퀴녹살린환 등의 방향환구조를 갖는 유기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유기폴리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벤질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페닐아크릴레이트, 나프틸아크릴레이트, 안트릴메타크릴레이트, 안트릴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하이드록시스티렌, 벤질비닐에테르 및 N-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부가중합성 모노머를 그 구조단위로서 포함하는 부가중합폴리머나, 페놀노볼락 및 나프톨노볼락 등의 축중합폴리머를 들 수 있다.
유기폴리머 화합물로서 부가중합폴리머가 사용되는 경우, 그 폴리머 화합물은 단독중합체여도 되고 공중합체여도 된다. 부가중합폴리머의 제조에는 부가중합성 모노머가 사용된다. 이러한 부가중합성 모노머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메타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아크릴아미드 화합물, 메타크릴아미드 화합물, 비닐 화합물, 스티렌 화합물, 말레이미드 화합물, 말레산무수물,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머로서 축중합폴리머가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글리콜 화합물과 디카르본산 화합물과의 축중합폴리머를 들 수 있다. 글리콜 화합물로는 디에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디카르본산 화합물로는, 석신산, 아디프산, 테레프탈산, 무수말레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폴리피로멜리트이미드,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를 들 수 있다.
유기폴리머 화합물에 하이드록실기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는, 이 하이드록실기는 폴리오가노실록산과 가교반응을 형성할 수 있다.
유기폴리머 화합물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예를 들어 1000 내지 1000000이고, 또는 3000 내지 300000이고, 또는 5000 내지 200000이고, 또는 10000 내지 100000인 폴리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폴리머 화합물은 1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폴리머 화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그 비율로는, 축합물(폴리오가노실록산) 100질량부에 대해, 1 내지 200질량부, 또는 5 내지 100질량부, 또는 10 내지 50질량부, 또는 20 내지 30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에서는 산발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산발생제로는, 열산발생제나 광산발생제를 들 수 있다.
광산발생제는, 레지스트의 노광시에 산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하층막의 산성도의 조정이 가능하다. 이는, 하층막의 산성도를 상층의 레지스트와의 산성도에 맞추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또한, 하층막의 산성도의 조정에 의해, 상층에 형성되는 레지스트의 패턴형상의 조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광산발생제로는, 오늄염 화합물, 설폰이미드 화합물, 및 디설포닐디아조메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오늄염 화합물로는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디페닐요오드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노나플루오로노말부탄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퍼플루오로노말옥탄설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캠퍼설포네이트, 비스(4-tert-부틸페닐)요오드늄캠퍼설포네이트 및 비스(4-tert-부틸페닐)요오드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등의 요오드늄염 화합물, 및 트리페닐설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노나플루오로노말부탄설포네이트, 트리페닐설포늄캠퍼설포네이트 및 트리페닐설포늄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등의 설포늄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설폰이미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N-(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석신이미드, N-(노나플루오로노말부탄설포닐옥시)석신이미드, N-(캠퍼설포닐옥시)석신이미드 및 N-(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옥시)나프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디설포닐디아조메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시클로헥실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페닐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p-톨루엔설포닐)디아조메탄, 비스(2,4-디메틸벤젠설포닐)디아조메탄, 및 메틸설포닐-p-톨루엔설포닐디아조메탄 등을 들 수 있다.
광산발생제는 1종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산발생제가 사용되는 경우, 그 비율로는, 축합물(폴리오가노실록산) 100질량부에 대해, 0.01질량부 내지 5질량부, 또는 0.1질량부 내지 3질량부, 또는 0.5질량부 내지 1질량부이다.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기판에 도포했을 때에, 핀홀 및 스트리에이션 등의 발생을 억제하는데 유효하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놀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놀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코폴리머류, 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모노올리에이트(ソルビタンモノオレエ-卜), 솔비탄트리올리에이트, 솔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의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리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상품명 에프톱 EF301, EF303, EF352((주)토켐프로덕츠제), 상품명 메가팍 F171, F173, R-08, R-30(다이닛폰잉키화학공업(주)제), 플루오라드 FC430, FC431(스미토모쓰리엠(주)제), 상품명 아사히가드 AG710, 사프론 S-382, SC101, SC102, SC103, SC104, SC105, SC106(아사히글라스(주)제) 등의 불소계 계면활성제, 및 오가노실록산폴리머-KP341(신에쓰화학공업(주)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는 경우, 그 비율로는, 축합물(폴리오가노실록산) 100질량부에 대해 0.0001 내지 5질량부, 또는 0.001 내지 1질량부, 또는 0.01 내지 0.5질량부이다.
또한,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에는, 레올로지조정제 및 접착보조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레올로지조정제는, 하층막 형성 조성물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데 유효하다. 접착보조제는, 반도체기판 또는 레지스트와 하층막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데 유효하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제로는, 상기의 고형분을 용해할 수 있는 용제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제로는, 예를 들어,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메틸이소부틸카르비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탄온, 시클로헥사논, 2-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에틸,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에톡시아세트산에틸, 하이드록시아세트산에틸, 2-하이드록시-3-메틸부탄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피루브산메틸, 피루브산에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유산에틸, 유산프로필, 유산이소프로필, 유산부틸, 유산이소부틸, 포름산메틸, 포름산에틸, 포름산프로필, 포름산이소프로필, 포름산부틸, 포름산이소부틸, 포름산아밀, 포름산이소아밀,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아밀, 아세트산이소아밀, 아세트산헥실, 프로피온산메틸, 프로피온산에틸, 프로피온산프로필, 프로피온산이소프로필, 프로피온산부틸, 프로피온산이소부틸, 부티르산메틸, 부티르산에틸, 부티르산프로필, 부티르산이소프로필, 부티르산부틸, 부티르산이소부틸, 하이드록시아세트산에틸,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메틸, 2-하이드록시-3-메틸부티르산메틸, 메톡시아세트산에틸, 에톡시아세트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프로피오네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부티레이트, 아세토아세트산메틸,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메틸부틸케톤, 2-헵탄온, 3-헵탄온, 4-헵탄온, 시클로헥사논,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4-메틸-2-펜탄올, 및 γ-부티로락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도체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판(예를 들어, 실리콘웨이퍼기판, 실리콘/이산화실리콘피복기판, 실리콘나이트라이드기판, 유리기판, ITO기판, 폴리이미드기판, 및 저유전율재료(low-k재료)피복기판 등)의 위에, 스피너, 코터 등의 적당한 도포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이 도포되고, 그 후, 소성함으로써 레지스트 하층막이 형성된다. 소성하는 조건으로는, 소성온도 80℃ 내지 250℃, 소성시간 0.3분간 내지 60분간 중에서 적당히,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성온도 150℃ 내지 250℃, 소성시간 0.5분간 내지 2분간이다. 여기서, 형성되는 하층막의 막두께로는, 예를 들어, 10nm 내지 1000nm이고, 또는 20nm 내지 500nm이고, 또는 50nm 내지 300nm이고, 또는 100nm 내지 200nm이다.
이어서 그 레지스트 하층막 상에, 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의 층이 형성된다. 포토레지스트의 층의 형성은, 주지의 방법, 즉,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용액의 하층막 상에의 도포 및 소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의 막두께로는 예를 들어 50nm 내지 10000nm이고, 또는 100nm 내지 2000nm이고, 또는 200nm 내지 1000nm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 상에 유기 하층막을 성막한 후, 이 위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레지스트 하층막을 성막하고, 다시 그 위에 포토레지스트를 피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포토레지스트의 패턴폭이 좁아지고, 패턴무너짐을 방지하기 위해 포토레지스트를 얇게 피복한 경우여도, 적절한 에칭가스를 선택함으로써 기판의 가공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에 대해 충분히 빠른 에칭속도가 되는 불소계 가스를 에칭가스로 하여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으로 가공이 가능하고, 또한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에 대해 충분히 빠른 에칭속도가 되는 산소계 가스를 에칭가스로 하여 유기 하층막의 가공이 가능하며, 나아가 유기 하층막에 대해 충분히 빠른 에칭속도가 되는 불소계 가스를 에칭가스로 하여 기판의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상에 형성되는 포토레지스트로는 노광에 사용되는 광에 감광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및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노볼락 수지와 1,2-나프토퀴논디아지드설폰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산에 의해 분해되어 알칼리용해속도를 상승시키는 기를 갖는 바인더와 광산발생제로 이루어지는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산에 의해 분해되어 포토레지스트의 알칼리용해속도를 상승시키는 저분자 화합물과 알칼리가용성 바인더와 광산발생제로 이루어지는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및 산에 의해 분해되어 알칼리용해속도를 상승시키는 기를 갖는 바인더와 산에 의해 분해되어 포토레지스트의 알칼리용해속도를 상승시키는 저분자 화합물과 광산발생제로 이루어지는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쉬플리사제 상품명 APEX-E, 스미토모화학공업(주)제 상품명 PAR710, 및 신에쓰화학공업(주)제 상품명 SEPR43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Proc.SPIE, Vol.3999, 330-334(2000), Proc.SPIE, Vol.3999, 357-364(2000)나 Proc.SPIE, Vol.3999, 365-374(2000)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함불소원자폴리머계 포토레지스트를 들 수 있다.
다음에, 소정의 마스크를 통해 노광이 행해진다. 노광에는, KrF엑시머레이저(파장 248nm), ArF엑시머레이저(파장 193nm) 및 F2엑시머레이저(파장 157n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노광 후, 필요에 따라 노광 후 가열(post exposure bake)을 행할 수도 있다. 노광 후 가열은, 가열온도 70℃ 내지 150℃, 가열시간 0.3분간 내지 10분간에서 적당히, 선택된 조건으로 행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지스트로서 포토레지스트를 대신하여 전자선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또는 EUV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전자선레지스트로는 네가티브형, 포지티브형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산발생제와 산에 의해 분해되어 알칼리용해속도를 변화시키는 기를 갖는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화학증폭형 레지스트, 알칼리가용성 바인더와 산발생제와 산에 의해 분해되어 레지스트의 알칼리용해속도를 변화시키는 저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화학증폭형 레지스트, 산발생제와 산에 의해 분해되어 알칼리용해속도를 변화시키는 기를 갖는 바인더와 산에 의해 분해되어 레지스트의 알칼리용해속도를 변화시키는 저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화학증폭형 레지스트, 전자선에 의해 분해되어 알칼리용해속도를 변화시키는 기를 갖는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비화학증폭형 레지스트, 전자선에 의해 절단되어 알칼리용해속도를 변화시키는 부위를 갖는 바인더로 이루어지는 비화학증폭형 레지스트 등이 있다. 이들 전자선레지스트를 이용한 경우도 조사원을 전자선으로 하여 포토레지스트를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EUV레지스트로는 메타크릴레이트 수지계 레지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현상액(예를 들어 알칼리현상액)에 의해 현상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가 사용된 경우는, 노광된 부분의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어, 포토레지스트의 패턴이 형성된다.
현상액으로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수산화물의 수용액,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 수산화테트라에틸암모늄, 콜린 등의 수산화사급암모늄의 수용액, 에탄올아민, 프로필아민, 에틸렌디아민 등의 아민수용액 등의 알칼리성 수용액을 예로서 들 수 있다. 나아가, 이들 현상액에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현상의 조건으로는, 온도 5℃ 내지 50℃, 시간 10초 내지 600초로부터 적당히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현상액으로서 유기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노광 후에 현상액(용제)에 의해 현상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가 사용된 경우는, 노광되지 않는 부분의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되어, 포토레지스트의 패턴이 형성된다.
현상액으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아밀, 아세트산이소아밀, 메톡시아세트산에틸, 에톡시아세트산에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2-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4-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에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2-에톡시부틸아세테이트, 4-에톡시부틸아세테이트, 4-프로폭시부틸아세테이트, 2-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3-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4-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2-메틸-3-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3-메틸-4-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4-메틸-4-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포름산메틸, 포름산에틸, 포름산부틸, 포름산프로필, 유산에틸, 유산부틸, 유산프로필, 탄산에틸, 탄산프로필, 탄산부틸, 피루브산메틸, 피루브산에틸, 피루브산프로필, 피루브산부틸, 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프로피온산메틸, 프로피온산에틸, 프로피온산프로필, 프로피온산이소프로필, 2-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메틸, 2-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에틸, 메틸-3-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 에틸-3-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 에틸-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3-메톡시프로피오네이트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나아가, 이들 현상액에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현상의 조건으로는, 온도 5℃ 내지 50℃, 시간 10초 내지 600초로부터 적당히 선택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형성된 포토레지스트(상층)의 패턴을 보호막으로 하여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중간층)의 제거가 행해지고, 이어서 패턴화된 포토레지스트 및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중간층)으로 이루어지는 막을 보호막으로 하여, 유기 하층막(하층)의 제거가 행해진다. 최후에, 패턴화된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중간층) 및 유기 하층막(하층)을 보호막으로 하여, 반도체기판의 가공이 행해진다.
우선,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부분의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중간층)을 드라이에칭에 의해 제거하고,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킨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의 드라이에칭에는 테트라플루오로메탄(CF4), 퍼플루오로시클로부탄(C4F8), 퍼플루오로프로판(C3F8), 트리플루오로메탄, 일산화탄소, 아르곤, 산소, 질소, 육불화황, 디플루오로메탄, 삼불화질소 및 삼불화염소, 염소, 트리클로로보란 및 디클로로보란 등의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레지스트 하층막의 드라이에칭에는 할로겐계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로겐계 가스에 의한 드라이에칭에서는, 기본적으로 유기물질로 이루어지는 포토레지스트는 제거되기 어렵다. 이에 반해, 실리콘원자를 많이 포함하는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은 할로겐계 가스에 의해 재빨리 제거된다. 이에 따라, 레지스트 하층막의 드라이에칭에 수반하는 포토레지스트의 막두께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 포토레지스트를 박막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레지스트 하층막의 드라이에칭은 불소계 가스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고, 불소계 가스로는, 예를 들어, 테트라플루오로메탄(CF4), 퍼플루오로시클로부탄(C4F8), 퍼플루오로프로판(C3F8), 트리플루오로메탄, 및 디플루오로메탄(CH2F2) 등을 들 수 있다.
그 후, 패턴화된 포토레지스트 및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으로 이루어지는 막을 보호막으로 하여 유기 하층막의 제거가 행해진다. 유기 하층막(하층)은 산소계 가스에 의한 드라이에칭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원자를 많이 포함하는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은, 산소계 가스에 의한 드라이에칭으로는 제거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최후에, 반도체기판의 가공이 행해진다. 반도체기판의 가공은 불소계 가스에 의한 드라이에칭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계 가스로는, 예를 들어, 테트라플루오로메탄(CF4), 퍼플루오로시클로부탄(C4F8), 퍼플루오로프로판(C3F8), 트리플루오로메탄, 및 디플루오로메탄(CH2F2)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판의 가공으로서 이온주입을 행할 수 있다.
기판의 가공 후에 마스크층이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약액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 반도체장치가 제조된다. 마스크층은 레지스트 또는 레지스트 하층막을 포함하는 유기 하층막이다.
또한,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의 상층에는, 포토레지스트의 형성 전에 유기계의 반사방지막을 형성할 수 있다. 거기서 사용되는 반사방지막 조성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지금까지 리소그래피 프로세스에 있어서 관용되고 있는 것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관용되고 있는 방법, 예를 들어, 스피너, 코터에 의한 도포 및 소성에 의해 반사방지막의 형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이 도포되는 기판은, 그 표면에 CVD법 등으로 형성된 유기계 또는 무기계의 반사방지막을 갖는 것일 수도 있고, 그 위에 본 발명의 하층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레지스트 하층막은, 또한, 리소그래피 프로세스에 있어서 사용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서는, 그 광에 대한 흡수를 갖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는, 기판으로부터의 반사광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 반사방지막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하층막은, 기판과 포토레지스트와의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층, 포토레지스트에 이용되는 재료 또는 포토레지스트에의 노광시에 생성되는 물질의 기판에의 악작용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층, 가열소성시에 기판으로부터 생성되는 물질의 상층 포토레지스트에의 확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층, 및 반도체기판 유전체층에 의한 포토레지스트층의 포이즈닝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리어층 등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레지스트 하층막은, 듀얼다마신 프로세스에서 이용되는 비아홀이 형성된 기판에 적용되며, 홀을 틈새없이 충전할 수 있는 매립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요철이 있는 반도체기판의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평탄화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EUV레지스트의 하층막으로는 하드마스크로서의 기능 이외에 이하의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EUV레지스트와 인터믹싱하는 일 없이, EUV노광(파장 13.5nm)시에 바람직하지 않은 노광광,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UV나 DUV(ArF광, KrF광)의 기판 또는 계면으로부터의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EUV레지스트의 하층 반사방지막으로서, 상기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EUV레지스트의 하층에서 효율적으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EUV레지스트 하층막으로서 이용한 경우는, 프로세스는 포토레지스트용 하층막과 동일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합성예 1>
테트라에톡시실란 20.0g, 페닐트리메톡시실란 1.5g, 5-(트리에톡시실릴)헥사하이드로-4,7-메타노이소벤조푸란-1,3-디온 14.6g, 아세톤 54.2g을 3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혼합용액을 마그네틱스터러로 교반하면서 0.01M염산수용액 9.7g을 혼합용액에 적하하였다. 첨가 후, 85℃로 조정된 오일배스에 플라스크를 옮기고, 240분간, 환류시켰다. 그 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2g을 첨가하고,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물을 감압유거하고, 농축하여 가수분해축합물(폴리머)수용액을 얻었다. 다시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를 첨가하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80%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0%의 용매비율로 하여 140℃에 있어서의 고형잔물 환산으로 13질량퍼센트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식(3-1)에 상당하며, GPC에 의한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Mw1500이었다.
<합성예 2>
테트라에톡시실란 20.0g, 페닐트리메톡시실란 1.5g, 5-(트리에톡시실릴)헥사하이드로-4,7-메타노이소벤조푸란-1,3-디온 14.6g, 아세톤 54.2g을 3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혼합용액을 마그네틱스터러로 교반하면서 0.01M염산수용액 9.7g을 혼합용액에 적하하였다. 첨가 후, 85℃로 조정된 오일배스에 플라스크를 옮기고, 240분간, 환류시켰다. 그 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2g을 첨가하고,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물을 감압유거하고, 농축하여 가수분해축합물(폴리머)수용액을 얻었다. 다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첨가하고, 140℃에 있어서의 고형잔물 환산으로 13질량퍼센트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식(3-1)에 상당하며, GPC에 의한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Mw1500이었다.
<합성예 3>
테트라에톡시실란 19.3g, 페닐트리메톡시실란 1.4g, 2,2,5-트리메틸-5-(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1,3-디옥산-4,6-디온 15.5g, 아세톤 54.4g을 3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혼합용액을 마그네틱스터러로 교반하면서 0.01M염산수용액 9.4g을 혼합용액에 적하하였다. 첨가 후, 85℃로 조정된 오일배스에 플라스크를 옮기고, 240분간, 환류시켰다. 그 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2g을 첨가하고,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물을 감압유거하고, 농축하여 가수분해축합물(폴리머)수용액을 얻었다. 다시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80%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0%의 용매비율로 하여 140℃에 있어서의 고형잔물 환산으로 13질량퍼센트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식(3-2)에 상당하며, GPC에 의한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Mw1500이었다.
<합성예 4>
테트라에톡시실란 18.2g, 페닐트리메톡시실란 1.3g, 디터셜부틸2-(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말로네이트(ジタ-シャルブチル2-(3-(卜リエ卜キシシリル)プ口ピル)マ口ネ-卜) 16.9g, 아세톤 54.4g을 3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혼합용액을 마그네틱스터러로 교반하면서 0.01M염산수용액 8.8g을 혼합용액에 적하하였다. 첨가 후, 85℃로 조정된 오일배스에 플라스크를 옮기고, 240분간, 환류시켰다. 그 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2g을 첨가하고,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물을 감압유거하고, 농축하여 가수분해축합물(폴리머)수용액을 얻었다. 다시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를 첨가하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80%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0%의 용매비율로 하여 140℃에 있어서의 고형잔물 환산으로 13질량퍼센트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식(3-3)에 상당하며, GPC에 의한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Mw1500이었다.
<합성예 5>
테트라에톡시실란 20.6g, 페닐트리메톡시실란 1.5g, 3-(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디하이드로푸란-2,5-디온 13.9g, 아세톤 54.0g을 3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혼합용액을 마그네틱스터러로 교반하면서 0.01M염산수용액 10.0g을 혼합용액에 적하하였다. 첨가 후, 85℃로 조정된 오일배스에 플라스크를 옮기고, 240분간, 환류시켰다. 그 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2g을 첨가하고,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물을 감압유거하고, 농축하여 가수분해축합물(폴리머)수용액을 얻었다. 다시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를 첨가하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80%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20%의 용매비율로 하여 140℃에 있어서의 고형잔물 환산으로 13질량퍼센트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식(3-4)에 상당하며, GPC에 의한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Mw1500이었다.
<합성예 6>
테트라에톡시실란 24.1g, 페닐트리메톡시실란 1.6g, 트리에톡시메틸실란 4.42g, 5-(트리에톡시실릴)헥사하이드로-4,7-메타노이소벤조푸란-1,3-디온 5.4g, 아세톤 53.4g을 3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혼합용액을 마그네틱스터러로 교반하면서 0.01M염산수용액 11.0g을 혼합용액에 적하하였다. 첨가 후, 85℃로 조정된 오일배스에 플라스크를 옮기고, 240분간, 환류시켰다. 그 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72g을 첨가하고,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물을 감압유거하고, 농축하여 가수분해축합물(폴리머)수용액을 얻었다. 다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첨가하고, 140℃에 있어서의 고형잔물 환산으로 13질량퍼센트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식(3-5)에 상당하며, GPC에 의한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Mw1500이었다.
<합성예 7>
테트라에톡시실란 12.1g, 페닐트리메톡시실란 1.3g, 2,2,5-트리메틸-5-(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1,3-디옥산-4,6-디온 23.4g, 아세톤 55.2g을 3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혼합용액을 마그네틱스터러로 교반하면서 0.01M염산수용액 8.0g을 혼합용액에 적하하였다. 첨가 후, 85℃로 조정된 오일배스에 플라스크를 옮기고, 240분간, 환류시켰다. 그 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74g을 첨가하고,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물을 감압유거하고, 농축하여 가수분해축합물(폴리머)수용액을 얻었다. 다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첨가하고, 140℃에 있어서의 고형잔물 환산으로 13질량퍼센트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식(3-2)에 상당하며, GPC에 의한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Mw1500이었다.
<합성예 8>
테트라에톡시실란 19.5g, 5-(트리에톡시실릴)헥사하이드로-4,7-메타노이소벤조푸란-1,3-디온 14.2g, 페닐설포닐아미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6g, 아세톤 54.3g을 3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혼합용액을 마그네틱스터러로 교반하면서 0.01M염산수용액 9.5g을 혼합용액에 적하하였다. 첨가 후, 85℃로 조정된 오일배스에 플라스크를 옮기고, 240분간, 환류시켰다. 그 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72g을 첨가하고,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물을 감압유거하고, 농축하여 가수분해축합물(폴리머)수용액을 얻었다. 다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첨가하고, 140℃에 있어서의 고형잔물 환산으로 13질량퍼센트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식(3-6)에 상당하며, GPC에 의한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Mw1500이었다.
<합성예 9>
테트라에톡시실란 17.2g, 5-(트리에톡시실릴)헥사하이드로-4,7-메타노이소벤조푸란-1,3-디온 13.6g, 디알릴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5.7g, 아세톤 54.7g을 3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혼합용액을 마그네틱스터러로 교반하면서 0.01M염산수용액 8.9g을 혼합용액에 적하하였다. 첨가 후, 85℃로 조정된 오일배스에 플라스크를 옮기고, 240분간, 환류시켰다. 그 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72g을 첨가하고,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물을 감압유거하고, 농축하여 가수분해축합물(폴리머)수용액을 얻었다. 다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첨가하고, 140℃에 있어서의 고형잔물 환산으로 13질량퍼센트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식(3-7)에 상당하며, GPC에 의한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Mw1500이었다.
<비교합성예 1>
테트라에톡시실란 24.1g, 페닐트리메톡시실란 1.8g, 트리에톡시메틸실란 9.5g, 아세톤 53.0g을 3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혼합용액을 마그네틱스터러로 교반하면서 0.01M염산수용액 11.7g을 혼합용액에 적하하였다. 첨가 후, 85℃로 조정된 오일배스에 플라스크를 옮기고, 240분간, 환류시켰다. 그 후,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70g을 첨가하고,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물을 감압유거하고, 농축하여 가수분해축합물(폴리머)수용액을 얻었다. 다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첨가하고, 140℃에 있어서의 고형잔물 환산으로 13질량퍼센트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얻어진 폴리머는 식(4-1)에 상당하며, GPC에 의한 중량평균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Mw1400이었다.
[화학식 25]
Figure pct00025
<Si함유 레지스트 하층막의 조정>
상기 합성예 1 내지 합성예 9, 비교합성예 1에서 얻어진 규소함유 폴리머, 산, 용매를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혼합하고, 0.1μm의 불소 수지제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폴리머함유 도포액을 각각 조제하였다. 표 1 중의 폴리머의 첨가비율은 폴리머용액의 첨가량이 아닌, 폴리머 자체의 첨가량을 나타내었다.
표 1 중에서 MA는 말레산, TPSNO3은 트리페닐설포늄질산염, TPSTFA는 트리페닐설포늄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TPSML은 트리페닐설포늄말레산염, BPS는 비스페놀설폰, PGEE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및 PGMEA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나타내고 있다. 각 첨가량은 질량부로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26
<유기 하층막A의 조정>
질소하, 100mL 4구 플라스크에 카바졸(6.69g, 0.040mol, 동경화성공업(주)제), 9-플루오레논(7.28g, 0.040mol, 동경화성공업(주)제), 파라톨루엔설폰산일수화물(0.76g, 0.0040mol, 동경화성공업(주)제)을 첨가하고, 1,4-디옥산(6.69g, 관동화학(주)제)을 투입하여 교반하고, 100℃까지 승온하여 용해시키고 중합을 개시하였다. 24시간 후 60℃까지 방랭 후, 클로로포름(34g, 관동화학(주)제)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메탄올(168g, 관동화학(주)제)에 재침전시켰다.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고, 감압건조기에서 80℃, 24시간 건조하여, 목적으로 하는 폴리머(식(5-1), 이하 PCzFL이라 한다) 9.37g을 얻었다.
[화학식 26]
Figure pct00027
PCzFL의 1H-NMR의 측정결과는 이하와 같았다.
1H-NMR(400MHz, DMSO-d6): δ7.03-7.55(br,12H), δ7.61-8.10(br,4H), δ11.18(br,1H)
PCzFL의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측정되는 중량평균분자량Mw는 2800, 다분산도Mw/Mn은 1.77이었다.
얻어진 수지 20g에, 가교제로서 테트라메톡시메틸글리콜우릴(미쯔이사이텍 (주)제, 상품명 파우다링크1174) 3.0g, 촉매로서 피리디늄파라톨루엔설포네이트 0.30g, 계면활성제로서 메가팍 R-30(다이닛폰잉키화학(주)제, 상품명) 0.06g을 혼합하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88g에 용해시켜 용액으로 하였다. 그 후, 구멍직경 0.10μm의 폴리에틸렌제 마이크로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다시, 구멍직경 0.05μm의 폴리에틸렌제 마이크로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다층막에 의한 리소그래피 프로세스에 이용하는 유기 하층막(A층) 형성 조성물의 용액을 조제하였다.
〔ArF노광에 의한 레지스트패턴 평가: PTD〕
<레지스트패터닝 평가: 알칼리현상을 행하는 PTD공정을 경유한 평가>
상기 식에서 얻어진 유기 하층막(A층) 형성 조성물을 실리콘웨이퍼 상에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상에서 240℃, 60초간 베이크하여, 막두께 200nm의 유기 하층막(A층)을 얻었다. 그 위에,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6 내지 실시예 10, 비교예 1에서 얻어진 Si함유 레지스트 하층막(B층) 형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상에서 180℃, 60초간 베이크하여, Si함유 레지스트 하층막(B층)을 얻었다. Si함유 레지스트 하층막(B층)의 막두께는 40nm였다.
B층의 위에 시판의 ArF용 레지스트용액(JSR(주)제, 상품명: AR2772JN)을 스피너에 의해 각각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상에서 110℃에서 1분간 가열하여, 막두께 120nm의 포토레지스트막(C층)을 형성하였다.
(주)니콘제 NSR-S307E스캐너(파장 193nm, NA, σ: 0.85, 0.93/0.85)를 이용하고, 현상 후에 포토레지스트의 라인폭 및 그 라인간의 폭이 0.062μm, 즉 0.062μm인 라인앤스페이스(L/S)=1/1의 덴스라인이 형성되도록 설정된 마스크에 각각을 통하게 하여 노광을 행하였다. 그 후, 핫플레이트 상 100℃에서 60초간 베이크하고, 냉각 후, 2.38%알칼리수용액을 이용하여 60초 현상하여, 레지스트 하층막(B층) 상에 포지티브형의 패턴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포토레지스트패턴에 대하여, 큰 패턴벗겨짐이나 언더컷, 라인바닥부의 비대함(푸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양호로서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28
〔ArF노광에 의한 레지스트패턴 평가: NTD〕
<레지스트패터닝 평가: 용제현상을 행하는 NTD공정을 경유한 평가>
상기 식에서 얻어진 유기 하층막(A층) 형성 조성물을 실리콘웨이퍼 상에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상에서 240℃에서 60초간 베이크하여, 막두께 200nm의 유기 하층막(A층)을 얻었다. 그 위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비교예 1에서 얻어진 Si함유 레지스트 하층막(B층) 형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상에서 180℃에서 60초간 베이크하여, Si함유 레지스트 하층막(B층)을 얻었다. Si함유 레지스트 하층막(B층)의 막두께는 40nm였다.
B층의 위에 시판의 포토레지스트용액(후지필름(주)제, 상품명 FAiRS-9521NT05)을 스피너에 의해 각각 도포하고, 핫플레이트 상에서 100℃에서 1분간 가열하여, 막두께 85nm의 포토레지스트막(C층)을 형성하였다.
(주)니콘제 NSR-S307E스캐너(파장 193nm, NA, σ: 0.85, 0.93/0.85)를 이용하고, 현상 후에 포토레지스트의 라인폭 및 그 라인간의 폭이 0.062μm, 즉 0.062μm인 라인앤스페이스(L/S)=1/1의 덴스라인이 형성되도록 설정된 마스크에 각각을 통하게 하여 노광을 행하였다. 그 후, 핫플레이트 상 100℃에서 60초간 베이크하고, 냉각 후, 2.38%알칼리수용액을 이용하여 60초 현상해, 레지스트 하층막(B층) 상에 포지티브형의 패턴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포토레지스트패턴에 대하여, 큰 패턴벗겨짐이나 언더컷, 라인바닥부의 비대함(푸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양호로서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29
〔SC-1약액(암모니아와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의한 제거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비교예 1에서 조제한 Si함유 도포액을 스피너를 이용하여, 실리콘웨이퍼 상에 도포하였다. 핫플레이트 상에서 180℃ 1분간 가열하여, Si함유 레지스트 하층막을 각각 형성하였다. 그 후, 60℃로 조정한 SC-1약액(28%암모니아수/33%과산화수소수/물=1/1/40)을 Si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상에 3분간 도포, 1분간 물린스, 다시 30초 스핀건조하고, 용제도포 전후에서의 막두께의 변화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막두께 변화가 90% 이상인 것을 「양호」, 막두께 변화가 90% 이하인 것을 「용해되지 않음」으로 하였다.
Figure pct00030
〔O2에칭 후 SC-1약액에 의한 제거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 비교예 1에서 조제한 Si함유 도포액을 스피너를 이용하여, 실리콘웨이퍼 상에 도포하였다. 핫플레이트 상에서 180℃ 1분간 가열하여, Si함유 레지스트 하층막을 각각 형성하였다. 그 후, 삼코제 드라이에처(RIE-10NR)를 이용하여, 산소에칭을 5초 행하였다. 그 후, 60℃로 조정한 SC-1약액(28%암모니아수/33%과산화수소수/물=1/1/40)을 Si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상에 3분간 도포, 1분간 물린스, 다시 30초 스핀건조하고, 용제도포 전후에서의 막두께의 변화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막두께 변화가 90% 이상인 것을 「양호」, 막두께 변화가 90% 이하인 것을 「용해되지 않음」으로 하였다.
Figure pct00031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ArF, KrF, EUV의 레지스트 하층막으로서 양호한 패턴을 형성하는데 유용하며, 리소그래피 후의 마스크잔사를 에칭없이 약액만으로 제거가 가능하여, 기판에 대한 데미지가 적다. 리소그래피공정에서 하층에 패턴을 전사하기 위해 마스크를 통해 에칭을 행하는데, 에칭된 후의 마스크여도 잔사마스크를 제거할 때에 약액으로 제거가 가능하다.

Claims (15)

  1.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이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은, 리소그래피 프로세스에서 패턴을 하층에 전사한 후에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약액으로 마스크층의 제거를 행하는 공정에 있어서 이 마스크층으로서 사용되는 막이고, 상기 조성물은, 카르보닐기함유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카르보닐기함유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위구조가, 환상산무수물기, 환상디에스테르기, 또는 디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단위구조인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실란을 포함하는 가수분해성 실란의 가수분해축합물인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식(1):
    [화학식 1]
    Figure pct00032

    [식(1) 중 R1은 식(1-1), 식(1-2), 식(1-3), 식(1-4), 식(1-5), 또는 식(1-6):
    [화학식 2]
    Figure pct00033

    (식 중, T1, T4는 알킬렌기 또는 환상알킬렌기, T2는 알킬기, T3은 각각 환상알킬렌기를 나타낸다. n은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T11, T15, 및 T18은 알킬렌기, 환상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아릴렌기, 황원자, 산소원자, 옥시카르보닐기, 아미드기, 2급아미노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고, T12, T13, T14, T16, T17, T19 및 T20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T21은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는 직접 또는 연결기를 통한 실리콘원자와의 결합부위이다.)를 포함하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식(1) 중 R2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겐화알킬기, 할로겐화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에폭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메르캅토기, 아미노기, 혹은 시아노기를 갖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식(1) 중 R3은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 a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b는 0 또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a+b는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추가로 아미드기함유 유기기를 포함하는 단위구조를 포함하는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아미드가, 설폰아미드기, 또는 디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기인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실란 및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실란을 포함하는 가수분해성 실란의 공가수분해축합물인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식(2):
    [화학식 3]
    Figure pct00034

    [식(2) 중 R4는 식(2-1), 또는 식(2-2):
    [화학식 4]
    Figure pct00035

    를 포함하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식(2) 중 R5는 알킬기, 아릴기, 할로겐화알킬기, 할로겐화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에폭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메르캅토기, 아미노기, 혹은 시아노기를 갖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다.
    식(2) 중 R6은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 a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b는 0 또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a+b는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는 직접 또는 연결기를 통한 실리콘원자와의 결합부위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이,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실란과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실란과 그 밖의 실란을 포함하는 가수분해성 실란의 공가수분해축합물이고, 그 밖의 실란이 식(3)으로 표시되는 실란 및 식(4)로 표시되는 실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실란인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화학식 5]
    Figure pct00036

    (식(3) 중 R7은 알킬기, 아릴기, 할로겐화알킬기, 할로겐화아릴기, 알케닐기, 또는 에폭시기,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메르캅토기, 혹은 시아노기를 갖는 유기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며, R8은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a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6]
    Figure pct00037

    (식(4) 중 R9는 알킬기이고 또한 Si-C결합에 의해 규소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이며, R10은 알콕시기, 아실옥시기, 또는 할로겐기를 나타내고, Y는 알킬렌기 또는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b는 0 또는 1의 정수를 나타내고, c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광산발생제를 포함하는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약액이, 암모니아와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 염산과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 황산과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 또는 불산과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수용액인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반도체기판 상에 도포하고 소성함으로써 얻어지는 레지스트 하층막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반도체기판 상에 도포하고, 소성하여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하층막 상에 레지스트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레지스트막을 노광하는 공정, 노광 후에 레지스트를 현상하여 레지스트패턴을 얻는 공정, 레지스트패턴에 의해 레지스트 하층막을 에칭하는 공정, 및 패턴화된 레지스트와 레지스트 하층막에 의해 반도체기판을 가공하는 공정, 마스크층을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약액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13. 반도체기판 상에 유기 하층막을 형성하는 공정, 그 위에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소성하여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레지스트 하층막 상에 레지스트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레지스트막을 노광하는 공정, 노광 후에 레지스트를 현상하여 레지스트패턴을 얻는 공정, 레지스트패턴에 의해 레지스트 하층막을 에칭하는 공정, 패턴화된 레지스트 하층막에 의해 유기 하층막을 에칭하는 공정, 및 패턴화된 유기 하층막에 의해 반도체기판을 가공하는 공정, 마스크층을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약액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가공이, 에칭, 또는 이온주입인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마스크층이, 레지스트 또는 레지스트 하층막을 포함하는 유기 하층막인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97031759A 2017-03-31 2018-03-30 카르보닐구조를 갖는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KR102577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72076 2017-03-31
JPJP-P-2017-072076 2017-03-31
PCT/JP2018/013879 WO2018181989A1 (ja) 2017-03-31 2018-03-30 カルボニル構造を有するシリコン含有レジスト下層膜形成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026A true KR20190135026A (ko) 2019-12-05
KR102577038B1 KR102577038B1 (ko) 2023-09-12

Family

ID=6367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759A KR102577038B1 (ko) 2017-03-31 2018-03-30 카르보닐구조를 갖는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041906A1 (ko)
JP (1) JP7208590B2 (ko)
KR (1) KR102577038B1 (ko)
CN (1) CN110494807A (ko)
WO (1) WO2018181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2667B2 (ja) * 2019-01-22 2023-05-2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ケイ素含有レジスト下層膜形成用組成物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7307004B2 (ja) * 2019-04-26 2023-07-1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ケイ素含有レジスト下層膜形成用組成物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CN115485624A (zh) 2020-04-30 2022-12-16 日产化学株式会社 抗蚀剂下层膜形成用组合物
WO2022114132A1 (ja) 2020-11-27 2022-06-02 日産化学株式会社 シリコン含有レジスト下層膜形成用組成物
TW202248296A (zh) * 2021-03-31 2022-12-16 日商日產化學股份有限公司 含矽之光阻下層膜形成用組成物
US20230012705A1 (en) * 2021-07-16 2023-01-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Humidity control or aqueous treatment for euv metallic resist
TW202336532A (zh) * 2021-10-28 2023-09-16 日商日產化學股份有限公司 含添加劑之含矽之光阻下層膜形成組成物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0019A (ja) 2003-03-24 2004-11-04 Shin Etsu Chem Co Ltd 反射防止膜材料、反射防止膜を有する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WO2006057782A1 (en) 2004-11-03 2006-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icon containing tarc/barrier layer
JP2007226170A (ja) 2006-01-27 2007-09-06 Shin Etsu Chem Co Ltd 反射防止膜材料、反射防止膜を有する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WO2014069329A1 (ja) * 2012-10-31 2014-05-08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ステル基を有するシリコン含有レジスト下層膜形成組成物
WO2016009965A1 (ja) * 2014-07-15 2016-01-21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脂肪族多環構造含有有機基を有するシリコン含有レジスト下層膜形成組成物
WO2016009939A1 (ja) * 2014-07-15 2016-01-21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ハロゲン化スルホニルアルキル基を有するシリコン含有レジスト下層膜形成組成物
JP2016074772A (ja) * 2014-10-03 2016-05-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塗布型ケイ素含有膜形成用組成物、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17020000A (ja) * 2015-06-15 2017-01-26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エレクトロニック マテリアルズ エルエルシー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湿式剥離性シリコン含有反射防止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51309C (zh) * 2003-07-30 2007-11-28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含有具有被保护的羧基的化合物的形成光刻用下层膜的组合物
KR101579266B1 (ko) * 2008-01-11 2016-01-04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우레아기를 가지는 실리콘 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CN102498440B (zh) * 2009-09-16 2016-11-16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含有具有磺酰胺基的硅的形成抗蚀剂下层膜的组合物
US9290623B2 (en) * 2012-12-19 2016-03-22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Composition for forming silicon-containing resist underlayer film having cyclic diester group
US8759220B1 (en) * 2013-02-28 2014-06-24 Shin-Etsu Chemical Co., Ltd. Patterning process
US11815815B2 (en) * 2014-11-19 2023-11-14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Composition for forming silicon-containing resist underlayer film removable by wet process
US10372040B2 (en) * 2014-12-08 2019-08-06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Resist underlayer film forming composition for lithography containing hydrolyzable silane having halogen-containing carboxylic acid amide group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0019A (ja) 2003-03-24 2004-11-04 Shin Etsu Chem Co Ltd 反射防止膜材料、反射防止膜を有する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WO2006057782A1 (en) 2004-11-03 2006-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licon containing tarc/barrier layer
JP2007226170A (ja) 2006-01-27 2007-09-06 Shin Etsu Chem Co Ltd 反射防止膜材料、反射防止膜を有する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WO2014069329A1 (ja) * 2012-10-31 2014-05-08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ステル基を有するシリコン含有レジスト下層膜形成組成物
WO2016009965A1 (ja) * 2014-07-15 2016-01-21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脂肪族多環構造含有有機基を有するシリコン含有レジスト下層膜形成組成物
WO2016009939A1 (ja) * 2014-07-15 2016-01-21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ハロゲン化スルホニルアルキル基を有するシリコン含有レジスト下層膜形成組成物
JP2016074772A (ja) * 2014-10-03 2016-05-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塗布型ケイ素含有膜形成用組成物、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17020000A (ja) * 2015-06-15 2017-01-26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エレクトロニック マテリアルズ エルエルシー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湿式剥離性シリコン含有反射防止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08590B2 (ja) 2023-01-19
US20200041906A1 (en) 2020-02-06
WO2018181989A1 (ja) 2018-10-04
JPWO2018181989A1 (ja) 2020-02-06
TW201900735A (zh) 2019-01-01
CN110494807A (zh) 2019-11-22
KR102577038B1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3279B2 (en) Thin film forming composition for lithography containing titanium and silicon
KR102439087B1 (ko) 습식제거가 가능한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KR102382708B1 (ko) 지방족 다환구조 함유 유기기를 갖는 실리콘 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JP6436301B2 (ja) エステル基を有するシリコン含有レジスト下層膜形成組成物
KR102182360B1 (ko) 환상 디에스테르기를 갖는 실리콘 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WO2016080226A1 (ja) 架橋反応性シリコン含有膜形成組成物
KR102577038B1 (ko) 카르보닐구조를 갖는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KR102417843B1 (ko) 할로겐화설포닐알킬기를 가지는 실리콘 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KR102462194B1 (ko) 할로겐함유 카르본산아미드기를 가지는 가수분해성 실란을 포함하는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US11175583B2 (en) Silicon-containing resist underlayer film-forming composition having phenyl group-containing chromophore
KR102426422B1 (ko) 카보네이트 골격을 가지는 가수분해성 실란을 포함하는 리소그래피용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KR20130009774A (ko) 아믹산을 포함하는 실리콘 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KR20200026872A (ko) 알칼리성 현상액 가용성 실리콘함유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