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323A - 감광성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감광성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323A
KR20190131323A KR1020180056048A KR20180056048A KR20190131323A KR 20190131323 A KR20190131323 A KR 20190131323A KR 1020180056048 A KR1020180056048 A KR 1020180056048A KR 20180056048 A KR20180056048 A KR 20180056048A KR 20190131323 A KR20190131323 A KR 20190131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um dot
ligand
quantum dots
cadmium
photosen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580B1 (ko
Inventor
이광섭
박승규
등학성
정주형
프라브하카란 프렘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58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C09K11/025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non-luminescent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2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gallium, indium or thall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8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elenium, tellurium or unspecified chalcogen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성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양쪽 말단에 디티올란 및 비닐기를 기능기로 갖는 리간드로 표면이 개질된 감광성 비카드뮴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광성 양자점은 패턴화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감광성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Photosensitive quantum do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감광성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자점 (quantum dots, QDs)은 반도체 나노입자로, 양자점이 갖는 독특한 광물리학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태양전지, 바이오센서, 조명,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광 검출기 등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초기에 Ⅱ-Ⅳ족 원소를 포함하는 카드뮴 기반 양자점은 높은 발광 효율로 인해 선호되었지만 카드뮴이 가지는 독성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안으로 Ⅲ-Ⅴ족 양자점을 대표하는 InP와 그 외 Pb을 중심 금속으로 사용하는 비카드뮴계 양자점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삼성전자에서 출시하는 TV에는 바카드뮴계 양자점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InP는 색재현성에서 카드뮴계의 약 90% 수준으로 표현이 가능하지만 전계 발광 분야에서는 아직 그 효과가 미미한 수준으로, Ⅲ-Ⅴ족 양자점은 양자 효율 및 재현성이 낮으며 대량 합성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양자점은 코어(core)/쉘(shell)/리간드(lignad) 구조로 이루어지며, 코어는 실질적으로 발광이 일어나는 부분으로 코어의 크기가 발광 파장을 결정하고, 쉘은 코어보다 밴드갭이 큰 물질을 이용하여 발광 효율을 높이고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최외각에 위치한 리간드는 양자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며, 리간드로 양자점을 기능화하여 양자점의 전기적, 광학적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양자점의 표면을 광중합성 리간드로 기능화하면 양자점의 용해성 및 가공성을 높여 응용 분야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광반응성 리간드로 기능화 된 양자점은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이 용이하여 이를 필름에 적용시 고밀도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고밀도화는 필름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켜 광 발광을 증가시킴에 따라 전기발광소자에 적용을 용이하게 하고, 포토 레지스트 내에 양자점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에 착안하여 광패턴화가 가능한 비카드뮴 양자점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쪽 말단에 디티올란기와 비닐기를 작용기로 갖는 리간드로 개질시킨 광패턴화가 가능한 감광성 비카드뮴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카드뮴 양자점; 및 상기 양자점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리간드;를 포함하고, 상기 리간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양자점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비카드뮴 양자점은 코어-쉘 구조이고, 그 위에 상기 리간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카드뮴 양자점의 코어는 CuInS2, CuInSe2, CuInGaS2, CuInGaSe2, CuGaSe2, CuInSeS, CuInGaSeS, CuGaSeS, AgInS2, AgInSe2, AgInGaS2, InZnP, InGaP, InGaN, 및 InA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비카드뮴 양자점의 쉘은 ZnS, ZnSe, ZnTe, ZnO, InP, InS, GaP, GaN, GaO, InZnP, InGaP, InGaN, InZnSCdSe, PbS, TiO, SrSe, HgSe, 및 Hg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리간드를 제조하는 단계; (b) 미리스트산이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비카드뮴 양자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리간드와 비카드뮴 양자점을 혼합한 뒤 초음파 처리하여 양자점 표면에 결합된 미리스트산을 상기 리간드로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광성 양자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2
상기 (c) 단계에서 리간드와 비카드뮴 양자점을 10:1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a) 단계는 α-lipoic acid와 pentafluorophenyl trifluoroacetate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allyamine을 반응시키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비카드뮴 양자점은 독성이 없어 친환경적이며,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성이 우수하여 포토 레지스트 내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으며, 이를 광패턴화하여 다양한 3차원 형상의 패터닝에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양자점 표면을 화학식 2로 개질하는 과정이다.
도 2 (a), (b)는 각각 스케일 바 20 ㎚, 10 ㎚인 In(Zn)P/ZnS 양자점의 TEM 이미지이며, (c)는 양자점의 EDS 스펙트럼이다.
도 3은 (a) myristic acid, (b) LN, (c) QD-LN에 대한 FT-IR 스펙트럼이다.
도 4는 QD-MA 및 QD-LN에 대한 흡수 및 방출 스펙트럼이다.
도 5는 QD-MA 및 QD-LN에 UV 조사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양자점은 비카드뮴 양자점; 및 상기 양자점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리간드;를 포함하고, 상기 리간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pat00004
상기 비카드뮴 양자점은 코어-쉘 구조이고, 그 위에 상기 리간드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간드는 말단에 디티올란기와 비닐기를 작용기로 가져 감광성 물질 내에서 분산성이 우수하여 양자점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며, 감광성 물질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광학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카드뮴 양자점의 코어는 CuInS2, CuInSe2, CuInGaS2, CuInGaSe2, CuGaSe2, CuInSeS, CuInGaSeS, CuGaSeS, AgInS2, AgInSe2, AgInGaS2, InZnP, InGaP, InGaN, 및 InA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비카드뮴 양자점의 쉘은 ZnS, ZnSe, ZnTe, ZnO, InP, InS, GaP, GaN, GaO, InZnP, InGaP, InGaN, InZnSCdSe, PbS, TiO, SrSe, HgSe, 및 Hg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광성 양자점 제조방법은 (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리간드를 제조하는 단계; (b) 미리스트산이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비카드뮴 양자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리간드와 비카드뮴 양자점을 혼합한 뒤 초음파 처리하여 양자점 표면에 결합된 미리스트산을 상기 리간드로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05
상기 (c) 단계에서 리간드와 비카드뮴 양자점을 10:1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a) 단계는 α-lipoic acid와 pentafluorophenyl trifluoroacetate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allyamine을 반응시키 단계;를 포함한다.
Figure pat00006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리간드 합성
1) 화학식 2-1 합성예시
Figure pat00007
α-lipoic acid (0.27 g, 1.31 mmol), pentafluorophenyl trifluoroacetate (0.43 ㎖, 2.50 mmol), triethylamine (0.36 ㎖, 2.53 mmol), methylene chloride (MC)를 혼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MC에 붓고 얼음물에서 분리시켰다. 상기 유기 혼합물을 anhydrous sodium carbonate로 건조시킨 후 MC:ethyl acetate (EA) 혼합물을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학식 2-1 (370 ㎎, 0.98 mmol, 수득률: 75%)을 얻었다.
2) 화학식 2 합성예시
Figure pat00008
화학식 2-1 (990 ㎎, 2.65 mmol), allylamine (0.4 ㎖, 5.30 mmol), triethylamine (0.75 ㎖, 5.30 mmol), MC 용매를 혼합하여 실온, 질소 분위기 하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anhydrous sodium carbonate로 건조시켰다. 이후 MC:EA 혼합물을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갈색을 띤 흰색 화합물인 화학식 2 (520 ㎎, 수득률: 80%)를 얻었다.
합성예 2. 화학식 2로 표면개질된 양자점 ( QD - LN ) 합성
"Luminescence properties of In(Zn)P alloy core/ZnS shell quantum dots" Appl. Phys. Lett. 97(19), 193104 (2010)에 기재된 합성방법을 이용하여 myristic acid로 기능화 된 적색을 띠는 합금 양자점 In(Zn)P/ZnS (QD-MA)를 합성하였다. 양자점의 표면에 개질된 myristic acid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리간드로 교환하기 위해 화학식 2 (320 ㎎)와 양자점 (32 ㎎) 비율을 10:1(w/w)로 하여 chloroform에서 1시간 동안 주위 온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초음파 처리하였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리간드로 교환된 양자점을 원심분리 튜브 내의 과량의 methanol에 적가하여 침전시키고 원심분리한 후 상청액을 버리고 원심분리물을 chloroform에 재용해시켰다. 그 다음 메탄올에 다시 침전시킨 후 침전-원심분리-분산의 전체 사이클을 5회 반복하였다. 상기 과정에 대한 과정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NMR 분석
NMR 분석 전, 합성된 화학식 2-1 및 화학식 2를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HPLC; Futecs NS-4000)로 정제하였다. 1H-NMR은 Varian 300 (300 MHz, Agilent Technology, USA)을 사용하였으며, 19F-NMR은 JNM-AL400 (400 MHz, JEOL Ltd., Japan)을 사용하였다.
1) 화학식 2-1 구조 분석
합성된 화학식 2-1을 1H-NMR (300 MHz, CDCl3, δ) 및 19F NMR (400 MHz, CDCl3, δ)로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합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1H-NMR: 3.60 (m, 1H), 3.15 (m, 2H), 2.65 (t, 2H), 2.45 (m, 1H), 1.90 (m, 1H), 1.80 (m, 2H), 1.70 (m, 2H), 1.55 (q, 2H). 19F-NMR: -165.2 (dd), -161.2 (t), -155.4 (d).
2) 화학식 2 구조 분석
합성된 화학식 2의 구조를 1H-NMR (600 MHz, CDCl3, δ)로 분석하였으며, 합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5.82 (m,1H), 5.55 (s, 1H), 5.15 (m, 2H), 3.85 (s, 2H), 3.55 (m, 1H), 3.20 (m, 2H), 2.45 (m, 1H), 2.15 (m, 2H), 1.90 (m, 1H), 1.75 (m, 5H), 1.45 (m, 3H).
실시예 2. TEM 분석
합성된 In(Zn)P/ZnS 양자점을 투과전자현미경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TEM)으로 분석하였으며, JEM 3010 (JEOL Ltd., Japan)을 사용하였다.
도 2 (a), (b)에서 볼 수 있듯이, In(Zn)P/ZnS 양자점의 크기는 7-10 ㎚이며, (c)에 나타낸 전자 분산 분광법 (electron dispersive spectroscopy; EDS)으로 양자점에 P, S, Zn, In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FT-IR 분석
리간드 교환에 따른 비교 분석을 위해 FT-IR (IRaffinity-1S, Shimadzu, Japan)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비교물질인 myristic acid 데이터는 NIST chemistry web book에서 얻은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 화학식 2 (LN) 및 화학식 2로 표면이 개질된 양자점 (QD-LN) 모두 아마이드 결합의 -NH stretch 피크가 3290 cm-1에서 나타났으며, 아마이드의 CO 이중결합 stetch 피크는 1640 cm-1에서, -NH bending vibration 피크는 1541 cm-1에서 확인하였다. 한편, LN에서는 비닐기의 -CH stretch 피크가 3080 cm-1에서, 비닐기의 bending vibration 피크가 990 cm-1 및 916 cm-1에서 나타났으나 QD-LN에서는 -CH stretch 피크가 분명하게 확인되지 않았으며, 990 cm-1에서 날카로운 피크가 관찰되지만 bending 피크는 명확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QD-LN의 피크가 다소 약하게 나타나고, 전체적으로 피크가 낮은 에너지로 shift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피크의 세기 감소는 LN과 비교했을 때 QD-LN에서 양자점 표면의 리간드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며, 피크의 shift는 양자점 표면의 리간드 간 국부적 상호작용 또는 리간드과 양자점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4. UV- vis PL 분석
UV-vis 분광기 (UV-3600, Shimadzu, Japan) 및 PL 분광기 (F-7000 fluorescence spectrophotometer, Hitachi, Japan)로 QD-MA와 QD-LN의 흡수 및 방출 스펙트럼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또한, QD-MA와 QD-LN을 chloroform에 분산시켜 UV 조사한 사진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QD-MA 및 QD-LN의 흡수 및 방출 피크는 일정하며, 이를 통해 리간드 교환 후에도 흡수 및 방출 피크에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QD-MA 및 QD-LN의 최대 방출 피크는 596 ㎚로, QD-LN의 PL 세기는 QD-MA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두 개의 황 (S) 원자를 포함하는 LN이 양자점 표면에 강한 친화성을 가져 리간드와 양자점의 표면 결합이 증가함에 따른 것으로, 방출 피크의 감소는 리간드와 양자점 표면의 결합 증가 지표로 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비카드뮴 양자점; 및 상기 양자점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리간드;를 포함하고, 상기 리간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양자점
    Figure pat00009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카드뮴 양자점은 코어-쉘 구조이고, 그 위에 상기 리간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양자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카드뮴 양자점의 코어는 CuInS2, CuInSe2, CuInGaS2, CuInGaSe2, CuGaSe2, CuInSeS, CuInGaSeS, CuGaSeS, AgInS2, AgInSe2, AgInGaS2, InZnP, InGaP, InGaN, 및 InA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양자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카드뮴 양자점의 쉘은 ZnS, ZnSe, ZnTe, ZnO, InP, InS, GaP, GaN, GaO, InZnP, InGaP, InGaN, InZnSCdSe, PbS, TiO, SrSe, HgSe, 및 Hg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양자점
  5. (a)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리간드를 제조하는 단계; (b) 미리스트산이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비카드뮴 양자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리간드와 비카드뮴 양자점을 혼합한 뒤 초음파 처리하여 양자점 표면에 결합된 미리스트산을 상기 리간드로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광성 양자점 제조방법
    Figure pat00010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리간드와 비카드뮴 양자점을 10:1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양자점 제조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α-lipoic acid와 pentafluorophenyl trifluoroacetate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allyamine을 반응시키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양자점 제조방법
    Figure pat00011
KR1020180056048A 2018-05-16 2018-05-16 감광성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3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048A KR102073580B1 (ko) 2018-05-16 2018-05-16 감광성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048A KR102073580B1 (ko) 2018-05-16 2018-05-16 감광성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323A true KR20190131323A (ko) 2019-11-26
KR102073580B1 KR102073580B1 (ko) 2020-02-05

Family

ID=6873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048A KR102073580B1 (ko) 2018-05-16 2018-05-16 감광성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4691A (zh) * 2020-04-03 2020-06-05 朱生寿 一种耐候性佳的抗菌防霉涂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280A (ko) * 2008-08-07 2011-04-28 나노코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표면 기능화된 나노입자
US20130299745A1 (en) * 2012-05-09 2013-11-14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Photo-induced phase transfer of luminescent quantum do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280A (ko) * 2008-08-07 2011-04-28 나노코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표면 기능화된 나노입자
US20130299745A1 (en) * 2012-05-09 2013-11-14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Photo-induced phase transfer of luminescent quantum do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4691A (zh) * 2020-04-03 2020-06-05 朱生寿 一种耐候性佳的抗菌防霉涂料
CN111234691B (zh) * 2020-04-03 2021-10-26 广东云易涂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候性佳的抗菌防霉涂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580B1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689B1 (ko) 반도체 나노 결정의 제조 방법
Ananthakumar et al. Cesium lead halide (CsPbX 3, X= Cl, Br, I) perovskite quantum dots-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a review of their present status
US8633040B2 (en) Method for synthesising semiconductor quantum dots
Altintas et al. CdSe/ZnS quantum dot films for high performance flexible lighting and display applications
CN107384386B (zh) 一种钙钛矿CsPbX3量子线的合成方法
KR20190091338A (ko) 반도체성 발광 나노입자
KR20090038022A (ko) 나노결정 도핑된 매트릭스
KR20150036127A (ko) 복합 물질
US20220380664A1 (en) Semiconducting light emitting material
Shen et al. Blue-emitting InP/GaP/ZnS quantum dots with enhanced stability by siloxane capping: Implication for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102073580B1 (ko) 감광성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Trapani et al. Color Conversion Light-Emitting Diodes Based on Carbon Dots: A Review
US7964279B2 (en) Nanocrystal-polydimethylsiloxane composi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3694952B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nanoparticle
Park et al. Photopatternable cadmium-free quantum dots with ene-functionalization
Cho et al. Air-stabl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full color-emitting ZnSeTe/ZnSe/ZnS quantum dots for display applications
KR20200062664A (ko) 잉크젯 패터닝이 가능한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나노복합체 잉크
KR20190055393A (ko) 복수의 색상 화소 패턴을 갖는 납 할로겐화물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46831B1 (ko) 감광성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감광성 3차원 구조체 제조방법
KR101492015B1 (ko) 디스플레이 형광체용 나노하이브리드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127229B (zh) 半导体纳米粒子复合体、半导体纳米粒子复合体分散液、半导体纳米粒子复合体组合物和半导体纳米粒子复合体固化膜
WO2018178137A1 (en) Semiconducting light emitting nanoparticle
KR101723850B1 (ko) 인을 포함하는 양자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양자점
WO2018197532A1 (en) A semiconducting light emitting nanoparticle
WO2022024804A1 (ja) 発光性の半導体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