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667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667A
KR20190129667A KR1020180115353A KR20180115353A KR20190129667A KR 20190129667 A KR20190129667 A KR 20190129667A KR 1020180115353 A KR1020180115353 A KR 1020180115353A KR 20180115353 A KR20180115353 A KR 20180115353A KR 20190129667 A KR20190129667 A KR 20190129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rminal
data rate
transmiss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88983B1 (ko
Inventor
여정호
박성진
방종현
오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9800817.9A priority Critical patent/EP3793248A4/en
Priority to CN201980031640.XA priority patent/CN112154690B/zh
Priority to PCT/KR2019/005702 priority patent/WO2019216725A1/ko
Priority to JP2020563643A priority patent/JP7337097B2/ja
Publication of KR20190129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8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8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이 지원가능한 최대 데이터율을 결정하고, 스케줄링 정보로부터 결정된 실제 데이터율과 최대 데이터율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양 또는 데이터율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과 무선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들을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단말이 실제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율과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데이터율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신호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은, 단말이 지원가능한 최대 데이터율을 결정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로부터 결정된 실제 데이터율과 최대 데이터율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NR 시스템에서 단말이 지원하는 데이터율과 스케줄링 가능한 전송 블록의 크기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단말이 지원하는 데이터율보다 큰 값에 해당하는 크기의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 받았을 때의 단말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NR 시스템의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에서 상기 데이터 또는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무선자원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5G 또는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서비스인 eMBB, URLLC, mMTC용 데이터들이 주파수-시간자원에서 할당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나뉘고 CRC가 추가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아우터코드가 사용되어 전송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아우터코드가 사용된 통신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트랜스포트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여러 개의 코드 블록에 제2 채널코드 또는 아우터 코드를 적용하여 하나 이상의 패리티 코드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PDSCH 디코딩 및 PUSCH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단말에게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캐리어에서 특정 시점에서의 실제 평균 데이터 전송률을 계산하기 위해, 특정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을 결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3GPP에서 정한 5G 통신 시스템은 New Radio (NR) 시스템이라고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었고, NR 시스템에 적용되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5G 통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새로운 5G 통신인 NR (New Radio access technology)에서는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서 다양한 서비스들이 자유롭게 다중화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자인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waveform/numerology 등과 기준 신호 등이 해당 서비스의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또는 자유롭게 할당될 수 있다. 무선 통신에서 단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채널의 질과 간섭량의 측정을 통한 최적화 된 데이터 송신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정확한 채널 상태 측정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주파수 자원에 따라 채널 및 간섭 특성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4G 통신과는 달리 5G 채널의 경우 서비스에 따라 채널 및 간섭 특성이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를 나누어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FRG(Frequency Resource Group) 차원의 subset의 지원이 필요하다. 한편, NR 시스템에서는 지원되는 서비스의 종류를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MTC), URLLC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등의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다. eMBB는 고용량데이터의 고속 전송, mMTC는 단말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 URLLC는 고신뢰도와 저지연을 목표로 하는 서비스라고 볼 수 있다. 단말에게 적용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요구사항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최근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단말과의 통신을 스케줄링하는 여러 가지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차세대 통신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스케줄링 및 데이터 송수신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복수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특징에 맞게 각 서비스를 동일한 시구간 내에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 (LTE-A),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5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5G 또는 NR (new radio)의 통신표준이 만들어지고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NR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ownlink; DL) 및 상향링크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향링크에서는 CP-OFDM (cyclic-prefix OFDM) 방식이 채용되었고, 상향링크에서는 CP-OFDM과 더불어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ing OFDM) 방식 두 가지가 채용되었다. 상향링크는 단말(UE(User Equipment) 또는 MS(Mobile Station))가 기지국(gNode B, 또는 base station(BS))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이러한 다중 접속 방식은, 통상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 (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NR 시스템은 초기 전송에서 복호 실패가 발생된 경우, 물리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HARQ 방식은 수신기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화(디코딩)하지 못한 경우, 수신기가 송신기에게 디코딩 실패를 알리는 정보(NACK; Negative Acknowledgement)를 전송하여 송신기가 물리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게 한다. 수신기는 송신기가 재전송한 데이터를 이전에 디코딩 실패한 데이터와 결합하여 데이터 수신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신기가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한 경우 송신기에게 디코딩 성공을 알리는 정보(ACK; Acknowledgement)를 전송하여 송신기가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NR 시스템의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에서 상기 데이터 또는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무선자원영역인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가로축은 시간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영역을 나타낸다. 시간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OFDM 심벌로서, Nsymb 개의 OFDM 심벌(1-02)이 모여 하나의 슬롯(1-06)을 구성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0ms으로 정의되고, 라디오 프레임(1-14)은 10 ms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서브캐리어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Transmission bandwidth)의 대역폭은 총
Figure pat00001
또는
Figure pat00002
개의 서브캐리어(1-04)로 구성될 수 있다.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1-12, Resource Element; RE)로서 OFDM 심벌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리소스 블록(1-08, Resource Block; RB 또는 Physical Resource Block; PRB)은 시간영역에서 Nsymb개의 연속된 OFDM 심벌(1-02)과 주파수 영역에서 NRB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1-10)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RB(1-08)는 Nsymb x NRB 개의 RE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최소 전송단위는 RB 단위이다. NR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Nsymb = 14, NRB=12 이고,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및 NRB는 시스템 전송 대역의 대역폭에 비례한다. 또한, 단말에게 스케줄링 되는 RB 개수에 비례하여 데이터 레이트가 증가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를 주파수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FDD 시스템의 경우,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과 상향링크 전송 대역폭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채널 대역폭은 시스템 전송 대역폭에 대응되는 RF 대역폭을 나타낸다. 표 1은 NR 시스템 이전에 4세대 무선 통신인 LTE 시스템에 정의된 시스템 전송 대역폭과 채널 대역폭 (Channel bandwidth)의 대응관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0MHz 채널 대역폭을 갖는 LTE 시스템은 전송 대역폭이 50개의 RB로 구성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5
NR 시스템은 [표 1]에서 제시된 LTE의 채널 대역폭보다 더 넓은 채널 대역폭에서 동작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DCI는 여러 가지 포맷에 따라 정의되며, 각 포맷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UL grant) 인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DL grant) 인지 여부, 제어정보의 크기가 작은 컴팩트 DCI인지 여부, 다중안테나를 사용한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을 적용하는지 여부, 전력제어 용 DCI인지 여부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정보(DL grant)인 DCI format 1-1 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제어정보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캐리어 지시자: 어떠한 주파수 캐리어에서 전송되는지를 지시한다.
- DCI 포맷 지시자: 해당 DCI가 하향링크용인지 상향링크용인지 구분하는 지시자이다.
- 밴드위스 파트 (bandwidth part; BWP) 지시자: 어떠한 BWP에서 전송되는지를 지시한다.
- 주파수영역 자원 할당: 데이터 전송에 할당된 주파수영역의 RB를 지시한다. 시스템 대역폭 및 리소스 할당 방식에 따라 표현하는 리소스가 결정된다.
- 시간영역 자원 할당: 어느 슬롯의 어느 OFDM 심볼에서 데이터 관련 채널이 전송될지를 지시한다.
- VRB-to-PRB 매핑: 가상RB(virtual RB: VRB) 인덱스와 물리RB(physical RB: PRB) 인덱스를 어떤 방식으로 매핑할 것인지를 지시한다.
-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변조방식과 코딩 레이트를 지시한다. 즉, QPSK인지, 16QAM인지, 64QAM인지, 256QAM인지에 대한 정보와 함께 TBS 및 채널코딩 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코딩 레이트 값을 지시할 수 있다.
- CBG 전송 정보 (Codeblock group transmission information): CBG재전송이 설정되었을 때, 어느 CBG가 전송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지시한다.
- HARQ 프로세스 번호(HARQ process number): HARQ 의 프로세스 번호를 지시한다.
-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HARQ 초기전송인지 재전송인지를 지시한다.
-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HARQ 의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을 지시한다.
- PUCCH를 위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Transmit Power Control(TPC) command) for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PUCCH 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지시한다.
PUSCH 전송의 경우 시간영역 자원 할당(Time domain resource assignment)은 PUSCH가 전송되는 슬롯에 관한 정보 및, 해당 슬롯에서의 시작 심볼 위치 S와 PUSCH가 매핑되는 심볼 개수 L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여기에서, S는 슬롯의 시작으로부터의 상대적인 위치일 수 있고, L은 연속된 심볼 개수일 수 있으며, S와 L은 아래와 같이 정의되는 시작 및 길이 지시자 값 (start and length indicator value: SLIV)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if
Figure pat00006
then
Figure pat00007
else
Figure pat00008
where
Figure pat00009
NR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RRC 설정을 통해서, 하나의 행에 SLIV 값과 PUSCH 매핑 타입 및 PUSCH가 전송되는 슬롯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표를 설정 받을 수 있다. 이후 DCI의 시간영역 자원 할당에서는 설정된 표에서의 index 값을 지시함으로써 기지국이 단말에게 SLIV 값, PUSCH 매핑 타입, PUSCH가 전송되는 슬롯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PUSCH 매핑 타입은 타입A (type A)와 타입 B (type B)가 정의될 수 있다. PUSCH 매핑 타입A는 슬롯에서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OFDM 심볼에 DMRS 심볼 중 첫 번째 심볼이 위치할 수 있다. PUSCH 매핑 타입B는 PUSCH 전송으로 할당 받은 시간영역 자원에서의 첫 번째 OFDM 심볼에 DMRS 심볼 중 첫 번째 심볼이 위치할 수 있다.
DCI는 채널코딩 및 변조과정을 거쳐 하향링크 물리제어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또는, 제어 정보, 이하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DCI는 각 단말에 대해 독립적으로 특정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또는, 단말 식별자)로 스크램블 되어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추가되고, 채널 코딩된 후, 각각 독립적인 PDCCH로 구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PDCCH는 단말에게 설정된 제어자원집합(control resource set: CORESET)에서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용 물리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PDSCH는 제어채널 전송구간 이후부터 전송될 수 있으며, 주파수 영역에서의 구체적인 매핑 위치, 변조 방식 등의 스케줄링 정보는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DCI를 구성하는 제어정보 중 MCS를 통해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PDSCH에 적용된 변조방식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transport block size; TBS)를 통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MCS 는 5비트 또는 그보다 더 많거나 적은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TBS 는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transport block, TB)에 오류정정을 위한 채널코딩이 적용되기 이전의 크기에 해당한다.
본 개시에서 트랜스포트블록(transport block; TB)라 함은, MAC (Medium Access Control) 헤더, MAC 제어요소(control element; CE), 1개 이상의 MAC SDU (Service Data Unit), 패딩(padding)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TB는 MAC 계층에서 물리계층(physical layer)으로 내려주는 데이터의 단위 또는 MAC PDU (Protocol Data Unit)를 가리킬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변조방식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및 256QAM으로서, 각각의 변조오더(Modulation order)(Qm)는 2, 4, 6, 8에 해당한다. 즉, QPSK 변조의 경우 심벌 당 2 비트, 16QAM 변조의 경우 심볼 당 4 비트, 64QAM 변조의 경우 심벌당 6 비트를 전송할 수 있으며, 256QAM 변조의 경우 심벌당 8비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5G 또는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서비스인 eMBB, URLLC, mMTC용 데이터들이 주파수-시간자원에서 할당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를 통해 각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을 위해 주파수 및 시간 자원이 할당된 방식이 확인될 수 있다.
우선, 도 2는 전체 시스템 주파수 대역(2-00)에서 eMBB, URLLC, mMTC용 데이터가 할당된 모습을 나타낸다. eMBB 데이터(2-01)와 mMTC 데이터(2-09)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되어 전송되는 도중에 URLLC 데이터(2-03, 2-05, 2-07)가 발생하여, URLLC 데이터(2-03, 2-05, 2-07)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 또는 단말은 eMBB 데이터(2-01) 및 mMTC 데이터(2-09)가 이미 할당된 부분을 비우거나, 전송을 하지 않고 URLLC 데이터(2-03, 2-05, 2-07)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서비스들 중에서 URLLC는 지연시간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eMBB 데이터(2-01)가 할당된 자원의 일부분에 URLLC 데이터(2-03, 2-05, 2-07)가 할당되어 전송될 수 있다. 물론 eMBB 데이터(2-01)가 할당된 자원에서 URLLC 데이터(2-03, 2-05, 2-07)가 추가로 할당되어 전송되는 경우, 중복되는 주파수-시간 자원에서는 eMBB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eMBB 데이터의 전송 성능이 낮아질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 URLLC 데이터의 할당으로 인한 eMBB 데이터 전송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전체 시스템 주파수 대역(3-00)을 나누어 각 서브밴드(3-02, 3-04, 3-06)에서 서비스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서브밴드 설정과 관련된 정보는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서브 밴드와 관련된 정보는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 노드가 임의로 나누어 단말에게 별도의 서브밴드 설정 정보의 전송 없이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서브밴드 3-02는 eMBB 데이터(3-08) 전송, 서브밴드 3-04는 URLLC 데이터(3-10, 3-12, 3-14) 전송, 서브밴드 3-06는 mMTC 데이터(3-16) 전송에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실시 예 전반에서 URLLC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시간구간(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의 길이는 eMBB 데이터 또는 mMTC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TTI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URLLC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응답은 eMBB 데이터 또는 mMTC 데이터 보다 빨리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낮은 지연으로 정보가 송수신 될 수 있다. 전술한 3가지의 서비스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각 타입별로 사용하는 물리계층 채널의 구조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시간구간(TTI)의 길이, 주파수 자원의 할당 단위, 제어채널의 구조 및 데이터의 매핑 방법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3가지의 서비스와 3가지의 데이터를 가정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더 많은 종류의 서비스와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 개시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NR 시스템에서의 물리채널 (physical channel)과 신호(signal)라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내용은 NR 시스템 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여러 개의 코드 블록으로 나뉘고 CRC가 추가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하나의 트랜스포트블록(4-01, transport block; TB)은 마지막 또는 맨 앞부분에 CRC(4-03)가 추가될 수 있다. CRC(4-03)는 16비트 또는 24비트 또는 미리 고정된 비트수를 가지거나 채널 상황 등에 따라 가변적인 비트수를 가질 수 있으며, 채널코딩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사용될 수 있다. TB(4-01)와 CRC(4-03)가 추가된 블록은 여러 개의 코드블록(codeblock; CB)들(4-07, 4-09, 4-11, 4-13)로 나뉠 수 있다(4-05). 여기에서, 코드블록은 최대 크기가 미리 정해져서 나뉠 수 있으며, 이 경우 마지막 코드블록(4-13)은 다른 코드블록들(4-07, 4-09, 4-11)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 다른 예에 따라, 0, 랜덤 값 또는 1이 마지막 코드블록(4-13)에 삽입됨으로써 마지막 코드블록(4-13)과 다른 코드블록들(4-07, 4-09, 4-11)의 길이가 동일하게 맞춰질 수 있다. 코드블록들(4-07, 4-09, 4-11, 4-13)에 각각 CRC들(4-17, 4-19, 4-21, 4-23)이 추가될 수 있다(4-15). CRC는 16비트 또는 24비트 또는 미리 고정된 비트수를 가질 수 있으며, 채널코딩의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사용될 수 있다.
CRC(4-03)를 생성하기 위해 TB(4-01)와 순환 생성 다항식(cyclic generator polynomial)이 사용될 수 있으며, cyclic generator polynomial은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4비트 CRC를 위한 cyclic generator polynomial gCRC24A(D) = D24 + D23 + D18 + D17 + D14 + D11 + D10 + D7 + D6 + D5 + D4 + D3 + D + 1 라고 가정하고, L=24라 할 때, TB 데이터
Figure pat00010
에 대해, CRC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를 gCRC24A(D)로 나누어 나머지가 0이 되는 값으로,
Figure pat00013
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는 일예로 CRC 길이 L을 24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CRC 길이 L은 12, 16, 24, 32, 40, 48, 64 등 여러 가지 길이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TB에 CRC가 추가된 후, N개의 CB(4-07, 4-09, 4-11, 4-13)로 분할될 수 있다. 분할된 각각의 CB들(4-07, 4-09, 4-11, 4-13)에 CRC(4-17, 4-19, 4-21, 4-23)가 추가될 수 있다(4-15). CB에 추가되는 CRC는 TB에 추가된 CRC를 발생할 때와는 다른 길이를 가지거나 다른 cyclic generator polynomial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TB에 추가된 CRC(4-03)와 코드블록에 추가된 CRC들(4-17, 4-19, 4-21, 4-23)은 코드블록에 적용될 채널코드의 종류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보코드가 아니라 LDPC 코드가 코드블록에 적용될 경우, 코드블록마다 삽입될 CRC들(4-17, 4-19, 4-21, 4-23)은 생략될 수도 있다.
하지만, LDPC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CRC들(4-17, 4-19, 4-21, 4-23)은 그대로 코드블록에 추가될 수 있다. 또한 폴라 코드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CRC가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하고자 하는 TB는 적용되는 채널코딩의 종류에 따라 한 코드블록의 최대길이가 정해지고, 코드블록의 최대길이에 따라 TB 및 TB에 추가되는 CRC는 코드블록으로의 분할이 수행될 수 있다.
종래 LTE 시스템에서는 분할된 CB에 CB용 CRC가 추가되고, CB의 데이터 비트 및 CRC는 채널코드로 인코딩되어, 코딩된 비트들(coded bits)이 결정되며, 각각의 코딩된 비트들에 대해 미리 약속된 바와 같이 레이트 매칭되는 비트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라 아우터코드가 사용되어 전송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아우터코드가 사용된 통신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아우터 코드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도 5에서는 하나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여러 개의 코드블록으로 나뉜 후, 각 코드블록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비트 또는 심볼들(5-04)끼리 제2 채널코드로 인코딩 되어 패리티 비트 또는 심볼들(5-06)이 생성될 수 있다(5-02). 이 후에, 각 코드블록들과 제 2 채널코드 인코딩으로 생성된 패리티 코드 블록들에 각각 CRC들이 추가될 수 있다(5-08, 5-10).
CRC 는 채널코드의 종류에 따라 추가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보코드가 제1채널코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CRC(5-08, 5-10)가 추가되지만, 이후에는 제1 채널코드 인코딩으로 각각의 코드블록 및 패리티 코드 블록들이 인코딩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채널코드로는 컨볼루셔널(Convolutional) 코드, LDPC 코드, 터보(Turbo) 코드 및 폴라 코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다양한 채널코드가 제 1 채널코드로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2 채널코드로는 예를 들어 리드-솔로몬(Reed-solomon) 코드, BCH 코드, 랩터(Raptor) 코드, 패리티비트 생성 코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다양한 채널코드가 제2 채널코드로 본 개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아우터 코드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제1채널코딩 인코더(6-01)와 제1 채널코딩 디코더(6-05)만 송수신기에서 각각 사용되며, 제2 채널코딩 인코더와 제2 채널코딩 디코더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우터 코드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1채널코딩 인코더(6-01)와 제1 채널코딩 디코더(6-05)는 후술할 아우터 코드가 사용된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아우터 코드가 사용되는 경우, 송신할 데이터는 제2 채널코딩 인코더(6-09)를 통과할 수 있다. 제2 채널코딩 인코더(6-09)를 통과한 비트 또는 심볼들은 제 1 채널코딩 인코더(6-11)를 통과할 수 있다. 채널코딩된 심볼들이 채널(6-13)을 통과하여 수신기에 수신되면, 수신기 측에서는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제 1 채널코딩 디코더(6-15)와 제 2 채널코딩 디코더(6-17)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채널코딩 디코더(6-15) 및 제 2 채널코딩 디코더(6-17)는 각각 제 1 채널 코딩 인코더(6-11) 및 제 2 채널 코딩 인코더(6-09)와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트랜스포트 블록으로부터 분할된 여러 개의 코드 블록에 제2 채널코드 또는 아우터 코드를 적용하여 하나 이상의 패리티 코드 블록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트랜스포트 블록은 하나 이상의 코드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때 트랜스포트 블록 크기에 따라 코드 블록이 하나만 생성되는 경우에는 해당 코드블록에 CRC가 더해지지 않을 수 있다. 전송하고자 하는 코드블록들에 아우터코드를 적용하면, 패리티 코드블록(7-40, 7-42)이 생성될 수 있다(7-24). 아우터코드를 사용할 때 패리티 코드 블록(7-40, 7-42)은 맨 마지막 코드블록 뒤에 위치할 수 있다 (7-24). 아우터코드 이후에, CRC(7-26, 7-28, 7-30, 7-32, 7-34, 7-36)가 추가될 수 있다(7-38). 이후 각 코드블록 및 패리티 코드 블록은 CRC와 함께 채널코드로 인코딩 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TB의 크기는 하기의 단계들을 거쳐 계산될 수 있다.
단계 1: 할당 자원 안의 한 PRB에서 PDSCH 매핑에 할당된 RE 수인
Figure pat00014
를 계산한다.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에서,
Figure pat00017
는 12이며,
Figure pat00018
는 PDSCH에 할당된 OFDM 심볼 수를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9
는 같은 CDM 그룹의 DMRS가 차지하는, 한 PRB내의 RE 수이다.
Figure pat00020
는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되는 한 PRB내의 오버헤드가 차지하는 RE 수이며, 0, 6, 12, 18 중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이 후, PDSCH에 할당된 총 RE 수
Figure pat00021
가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로 계산되며,
Figure pat00024
는 단말에게 할당된 PRB 수를 나타낸다.
단계 2: 임시 정보 비트 수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에서, R은 코드레이트이며, Qm은 변조 오더 (modulation order)이며, 이 값의 정보는 제어정보에서 MCS 비트필드와 미리 약속된 표를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또한, ν는 할당된 레이어 수이다. 만약
Figure pat00027
이면, 하기의 단계 3을 통해 TBS가 계산될 수 있다. 이외에는 단계 4를 통해 TBS가 계산될 수 있다.
단계 3: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의 수식을 통해
Figure pat00030
가 계산될 수 있다. TBS는 하기 [표 2]에서
Figure pat00031
보다 작지 않은 값 중
Figure pat00032
에 가장 가까운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33
단계 4: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의 수식을 통해
Figure pat00036
가 계산될 수 있다. TBS는
Figure pat00037
값과 하기 [pseudo-code 1]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Pseudo-code 1 시작]
Figure pat00038
[Pseudo-code 1 끝]
NR 시스템에서 하나의 CB가 LDPC 인코더로 입력되면 패리티 비트들이 추가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LDCP 베이스 그래프(LDCP base graph)에 따라 패리티 비트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특정 입력에 대해 LDPC 코딩에 의해 생성되는 모든 패리티 비트들을 보내도록 하는 방법을 FBRM(full buffer rate matching)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전송 가능한 패리티 비트 수에 제한을 두는 방법을 LBRM(limited buffer rate matching)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원이 할당되면, LDPC 인코더 출력이 순환 버퍼(circular buffer)로 만들어지고, 만들어진 버퍼의 비트들은 할당된 자원만큼 반복하여 전송되며, 이 때 circular buffer의 길이를 Ncb라고 할 수 있다. LDPC 코딩에 의해 생성되는 모든 패리티 비트의 수를 N이라고 하면, FBRM 방법에서는 Ncb = N이 된다. LBRM 방법에서,
Figure pat00039
Figure pat00040
가 되며,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로 주어지며,
Figure pat00043
은 2/3으로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44
은 전술한 TBS를 구하는 방법에서, 해당 셀에서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레이어 수를 나타내고, 해당 셀에서 단말에게 설정된 최대 변조오더 또는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64QAM을 가정하고, 코드레이트는 최대 코드레이트인 948/1024를 가정하며,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로 가정하고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으로 가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49
는 하기의 [표 3]으로 주어질 수 있다.
[표 3]
Figure pat00050
NR 시스템에서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데이터율은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51
수학식 1에서 J는 주파수 집적(carrier aggregation)으로 묶인 캐리어의 수이며, Rmax = 948/1024이고,
Figure pat00052
는 최대 레이어 수,
Figure pat00053
는 최대 변조 오더,
Figure pat00054
는 스케일링 지수,
Figure pat00055
는 부반송파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Figure pat00056
는 1, 0.8, 0.75, 0.4 중 하나의 값을 단말이 보고할 수 있으며,
Figure pat00057
는 하기의 표 4로 주어질 수 있다.
[표 4]
Figure pat00058
또한,
Figure pat00059
는 평균 OFDM 심볼 길이이며,
Figure pat00060
Figure pat00061
로 계산될 수 있고,
Figure pat00062
는 BW(j)에서 최대 RB 수이다.
Figure pat00063
는 오버헤드 값으로, FR1 (6 GHz 이하 대역)의 하향링크에서는 0.14, 상향링크에서는 0.18로 주어질 수 있으며, FR2 (6 GHz 초과 대역)의 하향링크에서는 0.08, 상향링크에서는 0.10로 주어질 수 있다. [수학식 1]을 통해 30 kHz 부반송파 간격에서 100 MHz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 셀에서의 하향링크에서의 최대 데이터율은 하기의 [표 5]로 계산될 수 있다.
[표 5]
Figure pat00064
반면, 단말이 실제 데이터 전송에서 측정될 수 있는 실제 데이터율은 데이터양을 데이터 전송 시간으로 나눈 값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1 TB 전송에서는 TBS 또는 2 TB 전송에서는 TBS의 합을 TTI 길이로 나눈 값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표 5를 구한 가정과 같이 30 kHz 부반송파 간격에서 100 MHz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 셀에서의 하향링크에서의 최대 실제 데이터율은 할당된 PDSCH 심볼 수에 따라 하기의 [표 6]과 같이 정해질 수 있다.
[표 6]
Figure pat00065
[표 5]를 통해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데이터율을 확인해 볼 수 있고, [표 6]을 통해 할당된 TBS에 따르는 실제 데이터율을 확인해볼 수 있다. 이 때,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최대 데이터율보다 실제 데이터율이 더 큰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특히 New Radio (NR)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율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서로 약속될 수 있다. 이는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주파수 대역, 최대 변조오더, 최대 레이어 수 등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하지만, 계산된 데이터율은, 실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 TB)의 크기 (transport block size; TBS) 및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길이로부터 계산되는 값과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자신이 지원하는 데이터율에 해당하는 값보다 큰 TBS를 할당 받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최소화 하고, 상기 경우의 단말의 동작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최대 데이터율과 실제 데이터율이 맞지 않는 경우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gNB), eNode B(eN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이고, 상향링크는(Uplink; UL)는 단말이 기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NR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서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종래의 물리채널 (physical channel)과 신호(signal)라는 용어를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채널이지만, 본 개시에서는 PDSCH를 데이터라 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 상위 시그널링은 기지국에서 물리계층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로, 또는 단말에서 물리계층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신호 전달 방법이며, RRC signaling 또는 MAC 제어요소(CE; control element)라고 언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는 peak data rate, max data rate, 최대 데이터율 등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는 peak data rate을 초과하게 되는 스케줄링을 판단하는 방법 및 peak data rate를 초과하여 전송되었을 때,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해, 도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스케줄링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하기의 방법들로 실제 데이터율을 계산할 수 있다.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로부터 송수신해야하는 데이터의 양 또는 TBS 값을 알 수 있고, 또한 PDSCH 또는 PUSCH가 매핑되는 심볼의 수를 파악할 수 있다.
방법 1: 스케줄링 받은 PDSCH 또는 PUSCH의 TBS 또는 TBS의 합을 실제 전송시간으로 나눔으로써 실제 데이터 전송의 데이터율을 계산할 수 있다.
방법 2: 스케줄링 받은 PDSCH 또는 PUSCH의 TBS 또는 TBS의 합을 할당된 심볼 수와 평균 심볼 길이
Figure pat00066
의 곱으로 나누어 실제 데이터 전송의 데이터율을 계산할 수 있다.
방법 3: 해당 슬롯에서 송신 또는 수신해야하는 PDSCH 또는 PUSCH들에 포함된 모든 TB들의 크기의 합을 구하고, TB들의 크기의 합을 슬롯 길이로 나누어 슬롯에서의 실제 데이터율을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은 전술한 방법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결합된 방법으로 실제 데이터율을 계산할 수 있으며, 실제 데이터율을 [수학식 1]에서 제공된 peak data rate 계산 방법으로 계산된 단말이 지원하는 데이터율과 비교할 수 있다. peak data rate은 [수학식 1]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비교 결과, 실제 데이터율이 peak data rate보다 크면, 하향링크 스케줄링 및 PDSCH 전송에서 단말은 PDSCH 디코딩을 시도하지 않고 해당 PDSCH의 HARQ-ACK 피드백을 NACK으로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비교 결과에서 실제 데이터율이 peak data rate보다 크면,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PUSCH 전송에서 단말은 PUSCH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은 특정 단말에게 스케줄링하였을 때, NACK이 연속적으로 발생시 단말의 capability를 새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방법 1, 방법 2, 방법 3에서 언급된 PDSCH는 해당 단말에게만 전송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상기 PDSCH를 스케줄링하는 제어정보가 특정 단말에게 고유값으로 전달되는 C-RNTI 값으로 일부 마스킹이 PDCCH에서 전달되는 경우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시스템 정보 전달용, 페이징용, 랜덤 엑세스용으로 전달되는 PDSCH는 위 계산에서 제외될 수 있다. 또는 다른 방법으로는 용도에 관계 없이 모든 PDSCH에 포함된 데이터 비트수의 합을 이용해 적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PDSCH 디코딩 및 PUSCH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기지국과 단말은 PDSCH 디코딩 및 PUSCH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8-01).
기지국과 단말은 단말이 지원 가능한 peak data rate을 계산하고, 특정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8-02). peak data rate은 [수학식 1] 또는 변형된 방법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로부터 실제 데이터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실제 데이터율과 peak data rate을 비교할 수 있다(8-03).
만약 실제 데이터율이 peak data rate을 초과할 경우에는 해당 스케줄링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8-05). 여기에서 해당 스케줄링 정보를 무시한다는 것은, PUSCH 전송에서 단말은 스케줄링 받은 PUSCH를 전송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일반적으로는 해당 PDSCH의 HARQ-ACK 피드백을 NACK으로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전달하지만, 예외의 경우에는 HARQ-ACK 피드백을 기지국으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예외의 경우는 폴백 모드 DCI 또는 DCI 포맷 1_0으로 스케줄링 받으면서 DAI로 하나의 PDSCH만 전송되었다는 것을 단말이 지시 받은 경우이거나, 캐리어집적(carrier aggregation)이 설정되지 않고 하나의 PDSCH만 전송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예외의 경우는 하나 PDSCH에 대한 HARQ-ACK만 전송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비교(8-03) 결과, 실제 데이터율이 peak data rate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지국과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에 따르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8-04).
전술한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PDSCH 디코딩 및 PUSCH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가 종료될 수 있다(8-06).
상기에서 TBS의 합을 구함에 있어 수신된 PDSCH의 TBS들의 합을 구하는 것은 여러 개의 CC로 설정되어 CA를 수행하는 단말은 여러 CC에서 동시 혹은 같은 슬롯 혹은 같은 시점에 수신된 PDSCH들의 합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제1-1실시예]
제1-1실시예는 단말의 peak data rate을 초과하지 않도록 기지국이 스케줄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은 자신의 peak data rate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이는 단위 시간당 단말이 프로세싱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특정 단말에게 해당 단말의 peak data rate을 넘는 만큼의 데이터를 한번에 전송하지는 않을 것이다. 기지국이 단말의 스케줄링 여부 및 스케줄링 방법을 결정함에 있어서 이러한 것을 판단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특정 주파수 대역만의 채널을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설정 및 지시할 수 있다. 이는 subband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일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기지국은 단말에게 subband CQI를 기준으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해줄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보고된 subband CQI 혹은 다른 채널측정 결과를 수신한다. 기지국은 보고받은 결과 바탕으로 채널이득이 높은 순서대로 서브밴드 혹은 RB 들을 정렬한다. 채널이득이 높은 순서대로 RB들을 정렬한다는 의미는 RB index를 subband CQI가 높은 것부터 정렬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정렬된 RB index부터 혹은 subband CQI가 높은 RB들부터 해당 단말에게 스케줄링을 한다.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게 peak data rate이 넘지 않는 정도까지 RB들을 할당하고, 그 이상은 할당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해당 단말에게 peak data rate이 넘지 않는 정도까지 RB들을 할당하는 방법을 하기에서 설명한다.
기지국은 특정 단말에게 스케줄링하는 설정들을 바탕으로, MCS index (혹은 MCS index에 해당하는 coding rate)과 PRB 할당에 따른 TBS 값 혹은 이에 따르는 실제 data rate을 미리 계산해볼 수 있으며, 상기 TBS 값을 저장해놓을 수 있다.
Figure pat00067
상기 표는 MCS index 및 할당된 PRB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TBS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data rate 값을 Mbps 단위로 표시한 표이다. 상기 일례는 4개의 레이어, 그리고 256QAM, 그리고 14 심볼 할당으로 전송하는 경우일 수 있다. 만약 단말의 peak data rate 값이 866.7 Mbps라고 한다면, 상기 표에서 짙게 색칠된 곳은 단말의 peak data rate보다 큰 data rate에 해당되는 TBS로 스케줄링되는 영역이 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단말의 peak data rate보다 커지는 MCS index와 RB 수 조합은 사용하지 않고 스케줄링해주어야 한다. 이의 실행을 위해 기지국은 상기 표와 같은 값을 저장해두고, 혹은 스케줄링 불가한 조합을 저장하고, 혹은 특정 MCS에서 할당 가능한 최대 PRB 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표로 제공될 수 있다.
Figure pat00068
상기 표는 MCS index에 따라, 그리고 peak data rate에서 단말이 보고한 scaling factor인 f 값에 따라 특정 설정에서 단말에게 할당 가능한 최대 PRB 수를 기록한 표이다. 상기 특정 설정은 바뀔 수 있으므로, 관련 스케줄링 설정이 바뀔 때마다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게 할당 가능한 PRB 수를 새로이 계산할 수 있을 것이다.
[제1-2실시예]
제1-2실시예는 peak data rate을 초과하게 되는 스케줄링을 판단하는 방법 및 peak data rate를 초과하여 전송되었을 때,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의 또 다른 일례에 관한 것이다.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스케줄링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하기의 방법들로 실제 데이터율을 계산할 수 있다. 단말은 스케줄링 정보로부터 송수신해야하는 데이터의 양 또는 TBS 값을 알 수 있고, 또한 PDSCH 또는 PUSCH가 매핑되는 심볼의 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데이터 전송의 데이터율은 현재 전송되고 있는 PDSCH 혹은 PUSCH에 실제로 포함되는 코드블록의 크기의 합을 실제 전송시간으로 나눔으로써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코드블록그룹(CBG; codeblock group)단위로 재전송이 수행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일 수 있다. 즉, 하향링크의 경우, 단말이 특정 단위의 component carrier (CC)의 그룹에 포함된 CC들 중에서, 특정 시점에 전송되는 PDSCH들에 포함된 코드블록을 모두 고려하여 실제 데이터율을 계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향링크의 경우에는, 단말이 특정 단위의 CC의 그룹에 포함된 CC들 중에서, 특정 시점에 전송되는 PUSCH들에 포함된 코드블록을 모두 고려하여 실제 데이터율을 계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특정 시점에 전송되는 PDSCH들이라 함은, 특정시점을 포함하는 OFDM 심볼에 매핑되는 PDSCH를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서 실제 데이터율은 하기 수학식 1-1로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1]
Figure pat00069
-
Figure pat00070
는 j번째 PDSCH에서 전송되는 DL-SCH의 코드블록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number of code blocks for DL-SCH of the PDSCH transmission)
- j번째 PDSCH를 스케줄링하는 DCI에 CBGTI(codeblock group transmission information)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CBGTI 정보가 r번째 코드블록이 전송되지 않는다고 지시한다면
Figure pat00071
이며, 이외의 경우에는
Figure pat00072
은 j번째 PDSCH에서 전송되는 DL-SCH의 r번째 코드블록의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 (if the DCI format scheduling the PDSCH transmission includes a CBGTI field indicating that the UE shall not transmit the r-th code block,
Figure pat00073
; otherwise,
Figure pat00074
is the r-th code block size for DL-SCH of the j-th PDSCH transmission)
-
Figure pat00075
는 j번째 PDSCH가 매핑된 심볼들의 평균 심볼 길이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보통 cyclic prefix를 고려하여 계산된 값일 수 있다. (average OFDM symbol duration for numerology
Figure pat00076
of the j-th PDSCH, i.e.
Figure pat00077
. Note that normal cyclic prefix is assumed)
-
Figure pat00078
는 한 슬롯 안에서 j번째 PDSCH가 매핑된, 혹은 j번째 PDSCH 전송을 위해 할당된 OFDM 심볼 갯수 일 수 있다. (the number of symbols of the j-th PDSCH allocation within the slot)
- J는 특정 서빙셀 혹은 CC들의 묶음 단위에서 특정 시점에 전송되는 PDSCH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1에서 계산된 실제 데이터율과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된 단말의 최대 하향링크 데이터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실제 데이터율이 peak data rate보다 크면, 하향링크 스케줄링 및 PDSCH 전송에서 단말은 PDSCH 디코딩을 시도하지 않고 해당 PDSCH의 HARQ-ACK 피드백을 NACK으로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은 특정 단말에게 스케줄링하였을 때, NACK이 연속적으로 발생시 단말의 capability를 새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1에서 언급된 PDSCH는 해당 단말에게만 전송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상기 PDSCH를 스케줄링하는 제어정보가 특정 단말에게 고유값으로 전달되는 C-RNTI 값으로 일부 마스킹이 PDCCH에서 전달되는 경우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시스템 정보 전달용, 페이징용, 랜덤 엑세스용으로 전달되는 PDSCH는 위 계산에서 제외될 수 있다. 또는 다른 방법으로는 용도에 관계 없이 모든 PDSCH에 포함된 데이터 비트수의 합을 이용해 적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서 실제 데이터율은 하기 수학식 1-2로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1-2]
Figure pat00079
-
Figure pat00080
는 j번째 PUSCH에서 전송되는 UL-SCH의 코드블록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number of code blocks for UL-SCH of the PUSCH transmission)
- j번째 PUSCH를 스케줄링하는 DCI에 CBGTI(codeblock group transmission information)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CBGTI 정보가 r번째 코드블록이 전송되지 않는다고 지시한다면
Figure pat00081
이며, 이외의 경우에는
Figure pat00082
은 j번째 PUSCH에서 전송되는 UL-SCH의 r번째 코드블록의 크기로 정의될 수 있다. (if the DCI format scheduling the PUSCH transmission includes a CBGTI field indicating that the UE shall not transmit the r-th code block,
Figure pat00083
; otherwise,
Figure pat00084
is the r-th code block size for UL-SCH of the j-th PUSCH transmission)
-
Figure pat00085
는 j번째 PUSCH가 매핑된 심볼들의 평균 심볼 길이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보통 cyclic prefix를 고려하여 계산된 값일 수 있다. (average OFDM symbol duration for numerology
Figure pat00086
of the j-th PUSCH, i.e.
Figure pat00087
. Note that normal cyclic prefix is assumed)
-
Figure pat00088
는 한 슬롯 안에서 j번째 PUSCH가 매핑된, 혹은 j번째 PUSCH 전송을 위해 할당된 OFDM 심볼 갯수 일 수 있다. (the number of symbols of the j-th PUSCH allocation within the slot)
- J는 특정 서빙셀 혹은 CC들의 묶음 단위에서 특정 시점에 전송되는 PUSCH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2에서 계산된 실제 데이터율과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된 단말의 최대 상향링크 데이터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실제 데이터율이 peak data rate보다 크면,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PUSCH 전송에서 단말은 PUSCH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1-3실시예]
제1-3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서 방법 3 (해당 슬롯에서 송신 또는 수신해야하는 PDSCH 또는 PUSCH들에 포함된 모든 TB들의 크기의 합을 구하고, TB들의 크기의 합을 슬롯 길이로 나누어 슬롯에서의 실제 데이터율을 계산할 수 있다.)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스케줄링하는 TB의 크기가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전송률에 해당하는 값을 넘지 않도록 하는 방법들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상기 수학식 1-1 혹은 수학식 1-2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TB 단위 재전송시 초기전송에 사용했던 심볼 수보다 적은 수의 OFDM 심볼을 이용하여 재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 kHz 부반송파 반격과 273 PRB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에서, 최대 MCS 및 14 OFDM 심볼을 이용할 경우, 단말의 최대 전송률 (peak data rate혹은 max data rate)은 2,295 Mbps가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최대 스케줄 가능한 TBS는 1,147,488 비트가 된다. 만약 상기와 같은 TBS를 갖는 초기 전송이 실패하였을 경우, 재전송에서 만약 13심볼만 이용하여 전송한다면, PDSCH 혹은 PUSCH의 길이가 13심볼이 되므로, 해당 데이터의 전송률은 단말의 최대 전송률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경우에서 13심볼을 이용한 재전송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대신 해당 슬롯에서 전송되는 PDSCH 혹은 PUSCH들에 포함된 TBS의 합을 슬롯 길이로 나누어 단말의 최대 전송률과 비교하는 방법이 나을 수 있다.
특정 시점(기준시점, reference time)에서의 단말의 실제 평균 전송률은 해당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에서 스케줄링된 PDSCH 혹은 PUSCH에 포함된 TB 혹은 CB의 총 비트수의 합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특정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은 도1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1은 단말에게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캐리어에서 상기 특정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을 결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반송파간격에 따라 캐리어마다 슬롯의 길이가 다를 수 있으며, 표시된 슬롯이 특정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들이 된다. 특정 시점이 바뀌면서, 예를 들어 기준 시점 A에서 기준 시점 B로, 해당 특정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이, 예를 들어, 슬롯 A1, A2, A3에서 슬롯 B1, B2, B3로 바뀔 수 있다. 도 11의 일례에서 슬롯 A1과 슬롯 B1은 같은 슬롯이며, 슬롯 A2와 슬롯 B2는 같은 슬롯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준 시점 A에서의 단말의 실제 평균 전송률을 계산할 때, 상기 해당 특정 시점인 기준 시점 A를 포함하는 슬롯들(즉, 슬롯 A1, A2, A3)에 매핑되어 전송되는 PDSCH 혹은 PUSCH만 고려하여 상기 PDSCH 혹은 PUSCH에서 전송되는 코드블록들을 이용할 수 있다. 기준 시점이 D에서 기준 시점 E로 변할 때는 기준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들은 D1, D2, D3에서 E1, E2, E3로 바뀌며, 이 경우는 기준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들이 모두 바뀌게 된다. 단말은 상기와 같이 계산된 실제 전송률이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된 자신의 최대 전송률보다 작도록 스케줄링 된 경우에만 PDSCH 수신 및 PUSCH 송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만약 자신의 최대 전송률보다 계산된 실제 전송률이 더 클 경우, 해당 슬롯에서의 PDSCH 수신 및 PUSCH 송신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준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은 오버랩된 슬롯이라고 부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이 다시 실행될 수 있다.
UE는 모든 시점에서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중첩 된 PDSCH / PUSCH 전송을 처리 할 필요가 없다, 여기에서 셀 그룹 내의 주어진 캐리어에 대한 특정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에 포함 된 모든 PDSCH / PUSCH가 고려되며, 특정 시점을 포함하는 슬롯은 오버래핑된 슬롯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A UE is not required to handle overlapped PDSCH/PUSCH transmissions not fulfilling the following condition at all points in time, where all PDSCH/PUSCH contained in the slot including the certain point in time for a given carrier in a cell group is considered, where the slot including the certain point in time is named the overlapped slot:)
[수학식 1-3]
Figure pat00089
· C'j,m 는 셀 그룹에서 j번째 캐리어의 오버래핑된 슬롯 내의 m번째 PDSCH/PUSCH에서 전송 블록의 스케줄링된 코드 블록의 개수를 나타냄(C'j,m is the number of scheduled code blocks of the transport block in the m-th PDSCH/PUSCH in the overlapped slot of the j-th carrier in the cell group)
· J는 셀 그룹을 구성하는 캐리어의 수를 나타냄(J is the number of configured carriers in the cell group)
· Kj,m는 셀 그룹에서 j번째 캐리어의 오버래핑된 슬롯 내의 m번째 PDSCH/PUSCH의 코드 블록 내의 비트의 개수를 나타냄( Kj,m is the number of bits in a code block of the m-th PDSCH/PUSCH in the overlapped slot of the j-th carrier in the cell group)
· 슬롯 길이 Tslot m(j) =10-3/2m(j) 에서, m(j)는 셀 그룹 내의 j번째 캐리어의 슬롯에 대한 뉴머롤러지를 나타냄 ( Slot duration Tslot m(j) =10-3/2m(j), where m(j) is the numerology for a slot of the j-th carrier in the cell group)
· DataRate 는 CG 단위별 주파수 범위 별로 적용되는 [3GPP TS 38.306]에서의 서브클로즈 4.1.2에 의해 주어지는 대략적인 데이터레이트에 의해 계산됨 (DataRate is computed by the approximate date rate given by Subcluase 4.1.2 in [3GPP TS 38.306] based on applying per frequency range per CG only.)
즉, 상기에서 C'j,m은 특정 셀 그룹의 j번째 캐리어에서 오버랩된 슬롯에서 스케줄링된 PDSCH 혹은 PUSCH에 포함되어 스케줄된 코드블록의 숫자이며, Kj,m은 특정 셀 그룹의 j번째 캐리어에서 오버랩된 슬롯에서 스케줄링된 m번째 PDSCH 혹은 PUSCH에 포함되어 스케줄된 코드블록의 크기이며, Tslot m(j)은 슬롯 길이로서, 특정 셀 그룹의 j번째 캐리어에서 m(j)의 부반송파간격을 갖을 때의 슬롯 길이이다. m(j)가 0이면 15 kHz 부반송파 간격, m(j)가 1이면 30 kHz 부반송파 간격, m(j)가 2이면 60 kHz 부반송파 간격, m(j)가 3이면 120 kHz 부반송파 간격을 의미한다. DateRate은 상기 수학식 1에서 제공하는 방법으로 결정되거나 혹은 3GPP 표준 TS 38.306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최대 전송률을 결정하는 방법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J는 해당 셀 그룹에서 단말에게 설정된 캐리어 수이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서는 [수학식 1]을 대신하여 peak data rate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TBSmax는 한 슬롯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TBS로 정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TBS 구하는 방법에서, 해당 셀에서 단말이 지원하는 최대 레이어 수, 해당 셀에서 단말에게 설정된 최대 변조오더가 적용되며, 코드레이트는 최대 코드레이트인 948/1024를 가정하며, nPRB는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PRB 수,
Figure pat00090
또는
Figure pat00091
또는
Figure pat00092
로 정해질 수 있다.
Figure pat00093
Figure pat00094
의 배수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이 특정 셀에서 2개의 코드워드(codeword) 또는 2개의 TB 전송을 설정 받은 경우에는, 각각 TB에 대해 TBSmax,1과 TBSmax,2를 정의할 수 있다. 단말이 TBSmax,1과 TBSmax,2를 구할 때에는 각각의 TB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레이어수를 가정하고 위에서의 TBSmax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95
를 j번째 설정된 셀에서 i번째 TB의 최대 TBS라고 할 때 peak data rate은 하기 [수학식 2]를 통해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
[수학식 2]
Figure pat00096
수학식 2에서
Figure pat00097
는 부반송파 간격이 15 kHz, 30 kHz, 60 kHz, 120 kHz, 240 kHz일 때 각각 0, 1, 2, 3, 4로 주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과 기지국의 송신부, 수신부, 처리부가 각각 도 9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실제 데이터율을 계산하고,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의 수신부, 처리부, 송신부가 각각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단말은 단말기 수신부(9-00), 단말기 송신부(9-04) 및 단말기 처리부(9-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수신부(9-00)와 단말이 송신부(9-04)를 통칭하여 본 개시에서는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 처리부(9-02)로 출력하고, 단말기 처리부(9-0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 처리부(9-02)는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수신부(9-00)는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된 제어정보와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말기 처리부(9-02)는 단말의 peak data rate와 스케줄링된 데이터 양을 비교하여 디코딩 및 전송 여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 송신부(9-04)에서 전송할 필요가 있는 신호들을 기지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기지국은 기지국 수신부(10-01), 기지국 송신부(10-05) 및 기지국 처리부(10-0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수신부(10-01)와 기지국 송신부(10-05)를 통칭하여 본 개시에서는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 처리부(10-03)로 출력하고, 기지국 처리부(10-03)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 처리부(10-03)는 전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이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처리부(10-03)는 단말의 peak data rate을 계산하고, peak data rate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TBS를 결정하여 스케줄링을 하여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 송신부(10-05)에서 생성된 제어정보를 송신하고, 기지국 수신부(10-01)는 단말의 피드백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가 결합되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또는 제1실시예의 일부분과 제2실시예의 일부분이 조합되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LTE 시스템, 5G 시스템 등에 상기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지원가능한 최대 데이터율을 결정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스케줄링 정보로부터 결정된 실제 데이터율과 상기 최대 데이터율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115353A 2018-05-11 2018-09-27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88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800817.9A EP3793248A4 (en) 2018-05-11 2019-05-13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OR 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980031640.XA CN112154690B (zh) 2018-05-11 2019-05-13 用于在无线通信***中发射或接收信号的方法和装置
PCT/KR2019/005702 WO2019216725A1 (ko) 2018-05-11 2019-05-13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0563643A JP7337097B2 (ja) 2018-05-11 2019-05-13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54575 2018-05-11
KR1020180054575 2018-05-11
KR1020180099457A KR20190129662A (ko) 2018-05-11 2018-08-2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80099457 2018-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667A true KR20190129667A (ko) 2019-11-20
KR102688983B1 KR102688983B1 (ko) 2024-07-29

Family

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47948B2 (en) 2019-02-13 2024-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scheduling restriction cond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47948B2 (en) 2019-02-13 2024-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scheduling restriction cond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725A1 (ko) 2019-11-14
JP7337097B2 (ja) 2023-09-01
KR20190129662A (ko) 2019-11-20
CN112154690A (zh) 2020-12-29
EP3793248A4 (en) 2021-09-08
EP3793248A1 (en) 2021-03-17
JP2021523636A (ja) 2021-09-02
CN112154690B (zh) 202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6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ack 피드백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18210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733709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信号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CN114245971A (zh) 确定无线通信***上行控制信道和信号资源的方法和装置
KR1026488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mcs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
US115287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ti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91085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EP36769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261225A (zh) 无线通信***中用于反馈发送和接收的方法和装置
KR20230065227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매핑 방법 및 장치
KR20200099941A (ko)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90117290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방법 및 장치
EP40208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391436A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ti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3672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구분을 위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20137486A (ko)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데이터 레이트에 기반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688983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12970216A (zh) 用于在无线通信***中发送和接收数据及反馈的方法和装置
CN112119668B (zh) 在无线通信***中确定传输时间的方法和设备
KR20210123993A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1001794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및 신호 자원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21008822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비동기 데이터의 재전송 방법 및 장치
CN118413302A (zh) 无线通信***中映射上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