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220A - 실내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팩토리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팩토리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220A
KR20190129220A KR1020180053521A KR20180053521A KR20190129220A KR 20190129220 A KR20190129220 A KR 20190129220A KR 1020180053521 A KR1020180053521 A KR 1020180053521A KR 20180053521 A KR20180053521 A KR 20180053521A KR 20190129220 A KR20190129220 A KR 20190129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building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진
하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유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유이
Priority to KR102018005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9220A/ko
Publication of KR20190129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측위 기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팩토리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위 기반 제어 시스템은 특정 건물의 실내에서 실내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다수의 스마트폰과; 및 상기 다수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공되는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된 스마트폰들이 승인된 장소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스마트폰이 위치하는 영역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팩토리 제어 시스템{Smart factory control System based on Indoor positioning services}
본 발명은 스마트 팩토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팩토리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회사나 공장에 비치된 에어컨, TV, 형광등, 불필요한 장비 등은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품들은 수동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속적인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체감지센서가 부착된 제품들을 구매하여, 사람이 있을 때에만 동작하도록 하지만, 모든 제품을 인체감지가 가능한 제품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람이 있을 때뿐만 아니라, 없을 때에도 상시로 전원이 필요한 경우, 이와는 별도로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로 인해, 스마트 공장의 구현이라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대부분 제한된 구역, 즉, 보안이 필요한 공간에 단순히 제한구역이라는 표시나 비밀번호를 가지는 도어락을 설치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정도가 현실이다.
또한, 최근 화두로 떠오르는 생체 인식 기기가 비치된 곳이 간혹 있기도 하지만, 기기를 모든 제한 구역에 배치하기에는 관리와 비용이 너무 많이 소모되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제한된 구역에 언제, 어떻게, 누가 다녀갔는지 알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고, 비밀번호나 열쇠 등을 도용하여 허가되지 않는 사람들의 출입이 빈번히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한 구역에 CCTV로 출입 상황을 녹화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나, 녹화된 자료의 보관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으며, CCTV는 단순 촬영용일 뿐, 기존의 도어락 시스템과 연동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재와 같은, 뜻하지 않은 재난 상황에서 모든 인원을 안전하게 피신시키고 대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회사에서 채택한 RFID 카드는 단순히 출퇴근시, 출입용도와 근무태도를 반영하는데 불과하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공장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공장의 전원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원 제어와 함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원 제어와 함께 보안을 강화할 수 있으며, 화재와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 작동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특정 건물의 실내에서 실내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다수의 스마트폰과; 및
상기 다수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공되는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된 스마트폰들이 승인된 장소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스마트폰이 위치하는 영역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실내 측위 기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특정 건물의 실내에서 다수의 스마트폰이 실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실내 위치 정보와 스마트폰의 식별정보를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다수의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스마트폰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들이 허가된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허가된 영역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측위 기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제어 전원'이라는 용어는 실내 특정 위치에 식별된 스마트폰의 존부에 따라, 전원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는 전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상시 전원'이라는 용어는 실내 특정 위치에 식별된 스마트폰의 존부에 관계 없이 지속적으로 전원 공급이 필요한 전원을 의미한다. 일 예로, 24시간 가동이 필요한 공장의 기계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물은 사용자에 따라서 출입 가능 구역이 구별된 건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입자의 보안 레벨에 따라서 출입 가능 영역이 구분되는 공장, 연구소, 또는 회사 사무실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물에는 스마트폰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실내측위용 장치가 구비된 건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실내 측위 장치는 스마트폰과 통신 가능한 통신 신호를 송출하는 송출장치, 일 예로 WiFi, Bluetooth, Beacon,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의 실내 위치 확인 시스템은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 다수의 송출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의 강도를 분석하여 스마트폰의 위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신호 범위별로 3대 이상의 비콘으로부터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고, 그 위치를 측위 알고리즘, 예를 들어, AOA, ROA, Finger Print, TDOA, TOA 등과 같은 측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는 실시간 위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관리 서버에 접속 가능하게 허여된 스마트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서버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일 수 있다. 상기 앱은 구글 플레이나 아이튠스와 같은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에는 상기 건물에 출입 가능한 스마트폰의 식별번호, 스마트폰 사용자 정보, 스마트폰 사용자의 출입가능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데이터 베이스부와, 상기 건물의 지도정보와 건물의 상시 전원 및 제어 전원에 대한 전원 정보 및 출입 제어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데이터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다수의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스마트폰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들이 허가된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스마트폰의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스마트폰 데이터 베이스부에 포함된 출입 가능 위치와 대비하여, 스마트폰들이 허가된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스마트폰이 건물 내부에서 허가된 영역에 위치할 경우, 스마트폰이 위치하는 영역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원은 식별된 스마트폰 사용자의 업무에 필요한 전원, 예를 들어, 컴퓨터, 천정등, 에어컨과 같은 장비들에 공급되는 전원일 수 있다. 따라서, 식별된 스마트폰 사용자는 허가된 구역에 있을 경우, 업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특정 구역에 식별된 스마트폰이 없을 경우, 제어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여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원은 식별된 스마트폰 사용자의 특정 영역의 출입에 필요한 전원, 예를 들어, 허가된 구역에 설치된 출입 통제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원일 수 있다. 따라서, 식별된 스마트폰 사용자는 허가된 구역으로 접근하고자 할 경우, 출입 통제 장치, 예를 들어 도어의 출입 통제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고 출입 통제 장치가 활성화되어 허가된 영역에 출입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식별된 스마트폰 사용자가 허가되지 않은 구역에 접근할 경우, 도어의 출입 통제 장치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출입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설령, 식별된 스마트폰 사용자가 허가되지 않은 구역에 설치된 출입 통제 장치를 통과할 수 있는 출입카드를 비정상적인 방식, 예를 들어, 복제 또는 도용하는 방식으로 소유하고 있다 하더라도, 출입 통제 장치에 대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출입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실내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하여, 어떤 위치에 사람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실내에서 송신부와 수신부를 통해 삼각법으로 수신부를 갖추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이용하여 사람이 위치하고 있는 곳에 설정된 범위만큼의 제어 전원만 인가하도록 하고, 사람이 반드시 있을때만 전원인가가 필요한 에어컨, 실내조명, 불필요한 장비 등이 해당되며,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애초에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인다.실내에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관리자가 실내 전원 인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감독하며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사람이 실내에 없을 경우에 발생하는 화재와 같은 2차피해를 방지한다. 또한, 에너지 절약을 위해 인체감지센서가 포함된 모든 물체를 대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 구역의 단계별 설정을 통해, 사용자의 보안 레벨에 따라 출입 시스템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보안구역의 5m이내에 접근할 시에만 출입 시스템 인증 버튼이 활성화 된다. 출입 시스템은 홍채, 지문, 얼굴 인식 등 생체 인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안레벨 혹은 설정에 따라 비밀번호로 대체될 수 있다. 이는 다른 곳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보안구역을 대신 인증해주는 것과, 보안 레벨이 올라갈 수록 반드시 허가된 사용자만 출입이 가능해야 하는 조건을 충족시킨다. 또한, 대부분 한 건물안에 여러 보안구역에서 출입문마다 배치되어 있는 생체인증기기와 같은 보안 기기를 실내 위치기반서비스가 가능한 단말기로 모두 대체가 가능하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의 관리자는 모든 구역의 전원 인가 상태와 보안구역의 출입 및 현재 모든 단말기 사용자들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조작할 수 있다. 보안 문제가 생겼을 시, 보안구역의 출입 로그(출입자, 시간 등의 정보)를 파악 가능하다. 화재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도 모든 구역의 전원을 차단하며 2차피해를 막고, 사용자들을 위치기반으로 빠르게 대피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측위 기반 관리 시스템은 직원이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천정등이나 복도등에 인체 감지 센서를 장착하거나, 출입문에 보안 인증 기기와 같은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원 제어 및 출입 통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보안 구역의 출입을 이용자의 레벨에 맞게 차등을 둘 수 있으며, 출입시 모든 로그를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모든 이용자의 출퇴근과 현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편리하고 신속한 근태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요하지 않은 장비나 영역에 전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재와 같은 재난 상황 시, 스마트폰의 식별을 통해서 사용자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10)을 구성하는 건물(20) 내부에 위치하는 스마트폰(100)과 관리서버(200)의 관계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2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라서, 건물에 다수의 스마트폰이 있고, 관리서버가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스마트폰 데이터베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시스템 관리자가 스마트폰에서 설치된 관리 앱을 이용해서 건물의 전원을 관리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관리 앱이 건물 특정 영역의 출입 가능 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10)은 다수의 방들을 가지는 건물(20)의 실내에서 실내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다수의 스마트폰(100)과; 및
상기 다수의 스마트폰(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된 스마트폰들이 승인된 장소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스마트폰이 위치하는 영역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관리서버(200)로 이루어진다.
건물(20)에는 스마트폰(100)이 자기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에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실내측위용 신호 송출 장치(110)들이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된다. 상기 통신 신호는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는 WiFi, Bluetooth, Beacon과 같은 통신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WiFi, Bluetooth, Beacon은 표준 통신 규약이므로, 스마트폰과 이들과 통신하는 방법은 생략한다.
건물(20)에는 상시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시 전원(30)과 제어에 의해서 전원 공급 여부가 결정되는 제어 전원(40)이 공급된다. 상기 제어 전원(40)에는 사람이 있을 때만 사용하는 환풍기, 에어콘, 전등, 컴퓨터와 같은 장치들과, 출입 제어 장치가 연결된다.
스마트폰(100)에는 실내 측위용 비콘 신호 송출 장치(110)와 통신하여 얻어지는 신호들을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서 자기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자기 위치 결정 기능은 신호 범위별로 3대 이상의 비콘으로부터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고, 그 위치를 측위 알고리즘, 예를 들어, AOA, ROA, Finger Print, TDOA, TOA 등과 같은 측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는 실시간 위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100)에는 관리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는 관리앱(120)이 설치된다. 상기 관리앱(120)은 관리자에 의해서 구글 플레이와 같은 공개된 앱스토어에 업로드된 앱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200)에 직접 접속하여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관리앱(120)을 이용해서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원번호, 이름, 나이, 성별, 부서, 직위, 전화번호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가입한다.
상기 관리앱(120)을 활성화시키면, 건물 내부에 설치된 신호송출장치(110)들에 접속하여 각 접속 단자로부터 신호 강도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기 위치를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위치정보(210)를 얻는다. 동시에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습득된 위치정보(210)와 식별정보(220)을 관리 서버(200)에 제공한다.
관리 서버(200)에는 스마트폰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스마트폰 데이터 베이스(230)과 상기 건물(20)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건물 데이터 베이스(240)와,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스마트폰 위치 정보(210)와 식별 정보(220)와 스마트폰 데이터 베이스(210)과 건물 데이터 베이스(220)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이 허가된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결정부(250)와, 상시 전원(30)과 제어 전원(40)에 대한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260)을 포함한다.
관리 서버(200)에 포함된 스마트폰 데이터 베이스(230)에는 사원 번호, 이름, 나이, 성별, 부서, 직위, 전화번호, 관리등급, 출입가능영역을 포함하는 정보들이 저장된다.
관리 서버(200)에 포함된 건물 데이터 베이스(240)에는 건물 내부의 격벽과 사무실 및 통로와 같은 건물 내부의 지도정보와 건물에 설치된 상시 전원의 배치 정보와 건물에 설치된 제어 전원에 대한 배치정보 및 사무실 별 출입 제어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200)에 포함된 결정부(250)는 먼저 관리 서버(200)에 접속한 스마트폰(100)의 정보를 내장되어 있는 스마트폰 데이터 베이스(230)과 대비한다. 스마트폰 데이터 베이스(230)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접속 가능한 스마트폰(100)으로 결정한다. 스마트폰 데이터 베이스(230)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접속을 거부한다. 접속 가능한 스마트폰(100)으로 결정되면, 스마트폰(100)이 제공하는 건물 내부 위치 정보(210)를 스마트폰 데이터 베이스부(230)에 포함된 출입 가능 위치와 대비하여, 스마트폰(100)이 허가된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관리 서버(200)에 포함된 제어부(260)는 관리 서버(200)에 포함된 결정부(250)로부터 접속된 스마트폰(100)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접속된 스마트폰(100)이 허가된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접속된 스마트폰(100)이 위치한 허가된 영역의 제어 전원(40)에 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 신호(261)를 송출한다. 관리 서버(200)에 포함된 제어부(260)는 관리 서버(200)에 포함된 건물 데이터 베이스(240)으로부터 상시 전원의 배치 영역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시 전원(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 신호(262)를 송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20)은 내부 칸막이(25)들에 의해서 복도(26)와 다수의 방들이 있는 부서 실내로 구분된다. 이들 방은 관계자 이외의 출입이 제한되는 출입 통제실(21)과 부서원이면 제한 없이 출입 가능한 비통제실(22, 23, 24)로 구분된다. 출입 통제실(21)은 예를 들어, 영업 비밀이 보관된 방이다.
복도(26)에서 실내로 들어오기 위해서는 복도 출입문(26')을 통과해야 하며, 복도 출입문(26')을 통해서 부서 내부로 들어온 후에도, 각 방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방 출입문(21', 22', 23', 24')을 통과해야 한다.
복도 출입문(26')과 출입 통제실(21)의 출입문(21')과, 비통제실(22, 23, 24)과 그 출입문(22', 23', 24')에는 전원에 의해서 개폐되는 출입 허가 장치에 의해서 작동하는 자동식 개폐문이 설치되며, 각 방에는 컴퓨터와 천정등의 사용을 위한 제어 전원(30)이 공급된다.
출입 허가 장치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비생체정보를 이용한 허가 장치, 예를 들어, 비밀번호의 입력을 이용한 출입 허가 장치나 사원증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한 출입 허가 장치를 사용한다. '비생체정보'는 생체정보가 아닌 정보로 이해되며, '생체정보'는 지문이나 망막과 같은 생체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보안성 향상을 위해서 생체정보를 이용한 허가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1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사원들의 명부는 사원들이 사용하는 개인용 스마트폰(100)들의 식별정보와 함께 사원용 데이터 베이스(230)에 저장된다. 사원용 데이터 베이스(230)의 일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된다. 사원들은 보안 영역에 출입이 허가되지 않은 보안 레벨 2등급의 사원(31)과 보안 영역에 출입이 허가된 보안 레벨 1등급 사원(33)으로 구분된다.
사원들은 자신의 회사에 출근시 스마트폰(100)에 설치된 관리앱(110)을 실행하고 출근한다. 이에 따라, 사원들의 스마트폰(100)들은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위치정보(210)와 식별정보(220)를 전송한다.
스마트폰(100)들의 위치 정보(210)가 복도용 출입문(26')에 접근하면, 복도용 출입문(26')에 전원을 공급하여 RFID 출입 제어 장치를 활성화시킨다. 사원들은 사원증에 부착된 태그를 이용해서 복도용 출입문(26')을 통과하여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사원들의 근무 시간에는 관리서버(200)의 제어부(260)가 복도용 출입문(26')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관리서버(200)는 사원들의 위치정보(220)를 파악하고, 건물(10) 내부에서 사원들이 있는 영역에는 제어 전원(30)을 공급하고, 사원들이 없는 영역, 예를 들어, 도 3의 출입통제실(21)과 그 출입문(21')과 사람이 없는 비통제실(22)과 그 출입문(22')에 연결된 제어 전원(30)의 공급을 중단한다.
관리서버(200)는 관리 등급 제한이 없는 비통제실(22)의 출입문(22')에 사원의 스마트폰이 접근하면, 사원의 등급에 관계 없이 출입문(22')과 비통제실(22)에 제어 전원(30)을 공급한다. 사원은 활성화된 출입문(22')에 사원증을 태그하고 내부로 들어가서, 업무를 보게된다. 비통제실(22)에서 업무를 마치고 사원이 나가게 되면, 관리 서버(200)은 비통제실(22)에서 사원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 제어 전원(30)의 공급을 중지한다.
관리서버(200)는 관리 등급 제한이 있는 출입통제실(21)의 출입문(21')에 사원의 스마트폰이 접근하면, 스마트폰(100)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사원의 관리 등급을 확인한다. 관리등급이 '1'인 사원(33)으로 확인되면, 출입통제실(21)에 제어전원(30)을 공급하여 출입문(21')을 활성화시킨다. 사원(33)은 활성화된 출입문(21')에 사원증을 태그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출입통제실(21)로 들어가서 업무를 보게된다. 방(21)에서 업무를 마치고 사원(33)이 나가게 되면, 관리 서버(200)는 출입통제실(21)에서 사원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 제어 전원(30)의 공급을 중지한다.
또한, 관리서버(200)는 관리 등급 제한이 있는 출입통제실(21)의 출입문(21')에 사원의 스마트폰이 접근하면, 스마트폰(100)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사원의 관리 등급을 확인한다. 관리등급이 '2'인 사원(31)으로 확인되면, 출입통제실(21)에 제어전원(30)의 공급을 차단하여 출입문(21')을 불활성화 상태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사원(31)은 불활성화된 출입문(21')에 사원증을 태그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더라도, 출입통제실(21)로 들어가서 업무를 볼 수 없게 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사원들이 퇴근하여, 스마트폰(100)의 위치 정보(110) 및/또는 식별 정보(120)이 확인되지 않으면, 건물(20)에 제어 전원(30)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시 전원(40)만 공급하여, 전력 낭비를 방지하고, 화재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10: 관리 시스템
20: 건물
100: 스마트폰

Claims (11)

  1. 특정 건물의 실내에서 실내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다수의 스마트폰과; 및
    상기 다수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제공되는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된 스마트폰들이 승인된 장소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스마트폰이 위치하는 영역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실내 측위 기반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은 출입자의 레벨에 따라서 출입 가능 영역이 구분되는 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측위 기반 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에는 스마트폰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실내측위용 장치가 구비된 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측위 기반 관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 다수의 송출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이의 강도를 분석하여 스마트폰의 위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측위 기반 관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은 관리서버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측위 기반 관리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에는 상기 건물에 출입 가능한 스마트폰의 식별번호, 스마트폰 사용자 정보, 스마트폰 사용자의 출입가능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데이터 베이스부와, 및
    상기 건물의 지도정보와 건물의 상시 전원 및 제어 전원에 대한 전원 정보 및 출입 제어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데이터 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측위 기반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다수의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스마트폰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들이 허가된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측위 기반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스마트폰이 건물 내부에서 허가된 영역에 위치할 경우, 스마트폰이 위치하는 영역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측위 기반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원은 식별된 스마트폰 사용자의 업무에 필요한 컴퓨터, 천정등, 에어컨을 포함하는 장비들에 공급되는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측위 기반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원은 출입 통제 장치들에 공급되는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측위 기반 시스템.
  11. 특정 건물의 실내에서 다수의 스마트폰이 실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실내 위치 정보와 스마트폰의 식별정보를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다수의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스마트폰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들이 허가된 영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허가된 영역에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측위 기반 관리 방법.
KR1020180053521A 2018-05-10 2018-05-10 실내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팩토리 제어 시스템 KR20190129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21A KR20190129220A (ko) 2018-05-10 2018-05-10 실내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팩토리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521A KR20190129220A (ko) 2018-05-10 2018-05-10 실내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팩토리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220A true KR20190129220A (ko) 2019-11-20

Family

ID=6872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521A KR20190129220A (ko) 2018-05-10 2018-05-10 실내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팩토리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92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025B1 (ko) 2020-04-07 2021-01-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마커리스 기반의 ar 구현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025B1 (ko) 2020-04-07 2021-01-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마커리스 기반의 ar 구현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03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US11798399B2 (en) Property scene adjustments
US1046788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egrating sensor output of a mobile device with a security system
US967270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rusion detection
US11749043B2 (en) Passive multi-factor access control with biometric and wireless capability
KR20230078611A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7209488B (zh) 用于将可穿戴物品整合于建筑物管理***的操作中的方法和***
US20110160881A1 (en) RFID occupancy sensor
US20160371904A1 (en) Security device with offline credential analysis
US103881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 room
US10593139B2 (en) Method of granting access on a route based upon route taken
KR101912349B1 (ko) 출입구 종합 통제시스템
KR100922609B1 (ko) Rf 인증 모듈이 구비된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객실 관리 시스템
KR101547489B1 (ko)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20190129220A (ko) 실내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팩토리 제어 시스템
CN111383375B (zh) 酒店客房的电力控制方法及电力控制***、酒店管理***
KR101920672B1 (ko) 단계적 보안구역 설정을 통한 에너지 절감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080099894A (ko) 키홀더 카드를 이용한 통합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101974596B1 (ko) 건물의 절전제어시스템
US103323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saving on access control products
KR20090035834A (ko) Rfid 자동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296708B2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64325A (ko) 이동형비콘을 이용한 스마트기기 보안시스템
JP5457250B2 (ja) 出入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