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665A -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665A
KR20190126665A KR1020180050872A KR20180050872A KR20190126665A KR 20190126665 A KR20190126665 A KR 20190126665A KR 1020180050872 A KR1020180050872 A KR 1020180050872A KR 20180050872 A KR20180050872 A KR 20180050872A KR 20190126665 A KR20190126665 A KR 20190126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nger
hard water
cuff
gripp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8848B1 (ko
Inventor
조근열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0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8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4/00Methods or devices enabl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perate an apparatus or a device not forming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 손상 예컨대, 손목 아래 부위의 움직임이 불가능한 경수(頸髓) 6번 손상 환자가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별도의 전기적인 동작없이 간소한 기구적 구조하에 손목의 굴신 작용만으로 악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물은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Grip strength generating apparatus for cervical segments of the cord patient}
본 발명은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 손상 예컨대, 손목 아래 부위의 움직임이 불가능한 경수(頸髓) 6번 손상 환자가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별도의 전기적인 동작없이 간소한 기구적 구조하에 손목의 굴신 작용만으로 악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물은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척추는 32-33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목에 해당하는 목척추(경추)가 7개, 등에 해당하는 흉추가 12개, 허리에 해당하는 요추가 5개, 엉덩이에 있는 천추가 5개, 마지막으로 꼬리뼈라 불리는 미추가 3개 또는 4개로 이루어지며, 각 척추몸통과 몸통의 뒤쪽에 위치한 양측 척추 후궁에 의해 척주관이라는 공간이 만들어지며, 이 안에는 척수 등 신경조직이 안전하게 들어 있다.
척추 손상은 척추를 구성하고 있는 뼈로 된 구조물인 척추체, 척추경, 척추후궁, 횡돌기 및 극상돌기 등의 골절과 척추를 지지하는 연부조직의 손상을 말하며, 척추 손상에 의한 신경 손상은 척수와 신경뿌리 손상으로 구분한다.
척수 손상은 크게 완전 척수 손상과 불완전 척수 손상 또는 부분 척수 손상으로 구분된다. 완전 척수 손상은 손상 받은 척수 이하 부위의 모든 척수기능을 잃어 운동 및 감각 능력이 전혀 없는 경우를 말한다.
사지마비와 하반신 마비의 구분은 손상 받은 척수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경수 손상일 경우 사지마비가 되고, 경수 아래 부위일 때 하반신 마비가 된다.
이러한 척추 손상 중 예컨대, 경수(頸髓) 손상은 5번, 6번, 7번에 많이 발생하며,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경수 5번 손상 환자는 어깨 부위까지 움직임이 가능하고, 경수 6번 손상 환자는 손목 부위까지 움직임이 가능하며, 경수 8번 손상 환자는 사물은 잡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수 손상 환자 중 손목 부위까지 움직임이 가능한 경수 6번 손상 환자의 경우, 악력을 발생시켜 사물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를 손에 착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의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6947호(이하 문헌 1이라 함)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0-240285호(이하 문헌 2이라 함)를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문헌 1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 형태의 외피; 상기 외피 상의 인체의 손가락 관절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연장된 와이어; 상기 인체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상기 외피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체의 손가락의 파지 움직임 중 개방(open) 움직임 또는 폐쇄(close)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움직임에 대한 시작 또는 종료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연장 길이를 제어하여 인체의 손가락 관절이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외골격형 글러브이다.
이러한 문헌1은 인체의 손가락의 파지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와이어의 연장 길이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파지 동작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문헌 2는 장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를 가지는 동작 보조 장갑과 상기 동작 보조 장갑의 갑옷 측에 배치되어 상기 손가락 삽입부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손가락 삽입부에 전달하도록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연재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된 선상 부재와 상기 장착자의 피부에 밀착시켜, 손가락을 동작시키기 위한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생체 신호 검출(signal detection)부와, 그 생체 신호 검출(signal detection)부에 따라 출력된 검출 신호(detecting signal)에 근거해 상기 구동부에 구동 제어 신호(control signal)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해 상기 선상 부재는 신장 동작 또는 굴곡 동작에 따라 신축하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연속하는 주름상자모양부를 가지는 통 모양의 통상체와, 그 통상체의 중공부에 삽통된 적어도 한 쌍의 와이어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손가락 삽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통상체에 횡가된 횡가부재에 따라 나누어진 상기 통상체의 상부 공간, 하부 공간에 장가 되어 상기 구동부는 상기 통상체의 상부 공간, 하부 공간에 평행으로 삽통된 상기 한 쌍의 와이어의 일단이 주방향이 다른 2점에 연결된 회 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모터를 가지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control signal)에 근거해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회 동부재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와이어 중 한편을 끄는 것으로 상기 통상체를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신장 방향 또는 굴곡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식 동작 보조 장치이다.
이러한 문헌 2는 제어부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control signal)에 근거해 선상 부재를 손가락의 관절의 동작 방향으로 신장 또는 굴곡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 1,2와 같은 종래 기술은 손가락의 굴신 작용을 유도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부피가 크고 무거워 사지 움직임이 부자유스러운 경수 환자가 사용하는데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해 전기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되므로, 장치 자체가 복잡한 것은 물론이고,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동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헌 1,2의 좀 더 상세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문헌1 :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6947호(명칭 : 골격형 글로브 ; 출원일: 2014년04월21일)
문헌2 :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0-240285호(명칭 : 장착식 동작 보조 장치 ; 출원일: 2009년04월0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척추 손상 예컨대, 손목 아래 부위의 움직임이 불가능한 경수(頸髓) 6번 손상 환자가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별도의 전기적인 동작없이 간소한 기구적 구조하에 손목의 굴신 작용만으로 악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물은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팔목에서부터 각 손가락 부분까지 착용하는 착용부(11); 일측 단은 상기 착용부(11)의 팔목 하방에 고정되고, 타측 단은 착용부(11)의 손바닥을 경유하여 각 손가락의 선단부분에 고정되어, 팔목의 상향 절곡에 의해 각 손가락을 끌어당겨 오므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와이어(12);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착용부(11)는 팔목대(11a)와 각 손가락의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원위지대(11d)로 구분 착용되는 환형 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착용부(11)는 손바닥 방향을 따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팔목대(11a)는 팔목에 대해 압박 고정 가능한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착용부(11)는 장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착용부(11)의 팔목에 인접한 손바닥 부분에 상기 와이어(12)의 당겨짐 폭을 최대로 확보하도록 돌출되는 융기부(1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12)는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고정부(13)로부터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5가닥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12)는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고정부(13)로부터 손바닥 부분으로 연장된 메인와이어(12a) 선단에서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핑거와이어(12b)가 5가닥으로 분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12)는 각 손가락의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중 절곡되는 부위의 선단 부분에 마련되는 가이드부(14)에 의해 착용부(11)에 밀착된 상태로 끌어 당겨짐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12)는 착용부(11)의 외부면에 배치되거나 내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경수 6번 손상 환자가 착용부(11)를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팔목을 상방으로 꺾었을 때 와이어(12)가 끌어당겨지면서 각 손가락 부분에 착용된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원위지대(11d)를 끌어당김으로써, 손가락 전체가 오므려지면서 악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물을 잡을 수 없는 경수 6번 손상 환자도 발생된 악력을 통해 사물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전기적 장치 또는 복잡한 구조 없이, 팔목의 굴신 작용을 통해 와이어(12)가 손가락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간소한 구조를 통해 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래 다른 기술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팔목 굴신 작용에 의해 손가락이 당겨지는 것을 간략히 도시한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팔목 굴신 작용에 의해 손가락이 당겨지는 것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10)는 첨부 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목에서부터 각 손가락 부분까지 착용하는 착용부(11); 일측 단은 상기 착용부(11)의 팔목 하방에 고정되고, 타측 단은 착용부(11)의 손바닥을 경유하여 각 손가락의 선단 부분에 고정되어, 팔목의 상향 절곡에 의해 각 손가락을 끌어당겨 오므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와이어(12);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착용부(11)는 팔목대(11a)와 각 손가락의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원위지대(11d)로 구분 착용되는 환형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각 착용부(11)인 환형 밴드는 손바닥 방향에 위치하는 일부분이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팔목대(11a)는 팔목에 대해 압박 고정 가능한 밴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부(11)는 장갑 그 자체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와이어(12)는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고정부(13)로부터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5가닥이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3)는 와이어(12)의 단부가 감겨진 상태로 팔목대(11a)에 고정되어, 회전 조작을 통해 장력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2)는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고정부(13)로부터 손바닥 부분으로 연장된 메인와이어(12a) 선단에서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핑거와이어(12b)가 5가닥으로 분기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12)는 각 손가락의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중 절곡되는 부위의 선단 부분에 마련되는 가이드부(14)에 의해 착용부(11)에 밀착된 상태로 끌어 당겨짐이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2)는 착용부(11)의 외부면에 배치되거나 내부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착용부(11)의 팔목에 인접한 손바닥 부분에 상기 와이어(12)의 당겨짐 폭을 최대로 확보하도록 돌출되는 융기부(15)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융기부(15)는 경질로 이루어진 블록체가 착용부(11)에 접착 또는 재봉을 통해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착용부(11)와 동일 재질로 성형 또는 가공을 통해 동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융기부(15)는 최고점 부분에 와이어(12)가 정위치에 지지된 상태로 유동 가능하도록 가이드경로(15a)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팔목에서부터 각 손가락 부분까지 착용하는 착용부(11); 일측 단은 상기 착용부(11)의 팔목 하방에 고정되고, 타측 단은 착용부(11)의 손바닥을 경유하여 각 손가락의 선단 부분에 고정되어, 팔목의 상향 절곡에 의해 각 손가락을 끌어당겨 오므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와이어(12); 를 포함하여서 된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10)이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착용부(11)는 팔목대(11a)와 각 손가락의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원위지대(11d)로 구분 착용되는 환형 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착용부(11)인 환형 밴드는 손바닥 방향에 위치하는 일부분이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손등 부분이 개방된 부분 장갑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장갑 형태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피부 호흡 내지 땀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팔목대(11a)는 팔목에 대해 압박 고정 가능한 밴드로서, 양단에 대응되는 벨크로파스너(매직테이프)가 마련되거나 고정클립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되면, 착용자의 팔목 굵기에 맞게 밀착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팔목 굴신 작용에 따라 느슨해질 수 있는 팔목 부분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착용부(11)는 장갑 그 자체인 것일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되면, 땀 배출이 원활하지는 않으나 손 전체에 착용력을 유지하여 와이어(12)의 끌어담김 동작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장갑 형태로 이루어진 착용부(11)는 표면에 땀 배출을 위한 타공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와이어(12)는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고정부(13)로부터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5가닥이 연장되거나,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고정부(13)로부터 손바닥 부분으로 연장된 메인와이어(12a) 선단에서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핑거와이어(12b)가 5가닥으로 분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12)가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고정부(13)로부터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5가닥이 연장될 경우, 상기 와이어(12) 각각이 각 손가락을 독립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여 길이가 각각 다른 손가락마다 장력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각 와이어(12)는 각각의 고정부(13)에 연결되어 장력 조절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와이어(12)가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고정부(13)로부터 손바닥 부분으로 연장된 메인와이어(12a) 선단에서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핑거와이어(12b)가 5가닥으로 분기 연장될 경우, 상기 와이어(12)가 손바닥 부분에 어수선하게 배열되지 않고 간결하게 배열되도록 함과 동시에, 끌어 담김 동작이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또한, 상기 와이어(12)는 각 손가락의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중 절곡되는 부위의 선단 부분 및 손바닥 부분에 마련되는 가이드부(14)에 의해 착용부(11)에 밀착된 상태로 끌어 당겨짐이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가이드부(14)가 와이어(12)를 손가락 끝 부분에 위치한 원위지대(11d) 방향으로 정확히 유도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끌어 당김이나 풀어짐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12)는 착용부(11)의 외부면에 배치되거나 내부면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12)는 착용부(11)의 외부면에 배치될 경우, 상기 와이어(12)의 움직임이 마찰력이 최소화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와이어(12)가 내부면에 배치될 경우,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킴은 물론 파지하려는 사물에 간섭을 주거나 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착용부(11)의 팔목에 인접한 손바닥 부분에 상기 와이어(12)의 당겨짐 폭을 최대로 확보하도록 돌출되는 융기부(15)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와이어(12)의 끌어당김에 대한 작용점을 손바닥으로부터 높게 위치하도록 하여, 와이어(12)의 끌어 당겨지는 정도를 증대시킨다.
이때, 상기 융기부(15)는 경질로 이루어진 블록체가 착용부(11)에 접착 또는 재봉을 통해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착용부(11)와 동일 재질로 성형 또는 가공을 통해 동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융기부(15)는 최고점 부분에 와이어(12)가 정위치에 지지된 상태로 유동 가능하도록 가이드경로(15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가이드경로(15a)가 와이어(12)의 유동 즉, 좌우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이면서 정확한 끌어당김 동작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6의 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팔목이 하방으로 굽혀진 상태가 되도록 착용한다. 즉, 팔목대(11a)에 마련된 고정부(13)를 기준으로 손바닥의 두터운 부분에 위치하는 융기부(15)와 근위지대(11b)와 중위지대(11c) 및 원위지대(11d)가 상대적으로 고정부(13) 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 6의 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목을 상향 각도 조정하여 들어올리면, 상기 팔목대(11a)에 마련된 고정부(13)를 기준으로 손바닥의 두터운 부분에 위치하는 융기부(15)와 근위지대(11b)와 중위지대(11c) 및 원위지대(11d)가 상대적으로 고정부(13) 보다 상방에 위치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고정부(13)와 융기부(15)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13)와 융기부(15)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면, 그 넓어진 길이만큼 와이어(12)가 당겨지면서 원위지대(11d)를 끌어당겨 손가락 관절이 접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악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경수 6번 손상 환자가 착용부(11)를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팔목을 상방으로 꺾었을 때 와이어(12)가 끌어 당겨지면서 각 손가락 부분에 착용된 근위지대(11b), 중위지대(11c), 원위지대(11d)를 끌어당김으로써, 손가락 전체가 오므려지면서 악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물을 잡을 수 없는 경수 6번 손상 환자도 발생된 악력을 통해 사물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적 장치 또는 복잡한 구조 없이, 팔목의 굴신 작용을 통해 와이어(12)가 손가락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간소한 구조를 통해 악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11 : 착용부
11a : 팔목대 11b : 근위지대
11c : 중위지대 11d : 원위지대
12 : 와이어 13 : 고정부
14 : 가이드부 15 : 융기부
15a : 가이드경로

Claims (10)

  1. 팔목에서부터 각 손가락 부분까지 착용하는 착용부;
    일측 단은 상기 착용부의 팔목 하방에 고정되고, 타측 단은 착용부의 손바닥을 경유하여 각 손가락의 선단부분에 고정되어, 팔목의 상향 절곡에 의해 각 손가락을 끌어당겨 오므림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와이어;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팔목대와 각 손가락의 근위지대, 중위지대, 원위지대로 구분 착용되는 환형 밴드이고, 상기 각 환형 밴드는 손바닥 방향에 위치하는 일부분이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팔목대는 팔목에 대해 압박 고정 가능한 밴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장갑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고정부로부터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5가닥이 연장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팔목 부분에 마련되는 고정부로부터 손바닥 부분으로 연장된 메인와이어 선단에서 각 손가락 끝 부분으로 핑거와이어가 5가닥으로 분기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각 손가락의 근위지대, 중위지대 중 절곡되는 부위의 선단 부분과 손바닥 부분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에 의해 착용부에 밀착된 상태로 끌어 당겨짐이 유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착용부의 외부면에 배치되거나 내부면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팔목에 인접한 손바닥 부분에 상기 와이어의 당겨짐 폭을 최대로 확보하도록 돌출되는 융기부가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최고점 부분에 와이어가 정위치에 지지된 상태로 유동 가능하도록 가이드경로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KR1020180050872A 2018-05-02 2018-05-02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KR10205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72A KR102058848B1 (ko) 2018-05-02 2018-05-02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72A KR102058848B1 (ko) 2018-05-02 2018-05-02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665A true KR20190126665A (ko) 2019-11-12
KR102058848B1 KR102058848B1 (ko) 2019-12-24

Family

ID=6857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872A KR102058848B1 (ko) 2018-05-02 2018-05-02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8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434A (ko) * 2020-05-12 2021-11-19 광주과학기술원 상지 건 고정 보조기
KR20220063402A (ko) * 2020-11-10 2022-05-17 안현찬 손가락 떨림 보정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252A (ko) * 2009-04-09 2011-11-24 고쿠리쯔 다이가쿠 호징 츠쿠바 다이가쿠 장착식 동작보조장치
CN203524947U (zh) * 2013-11-05 2014-04-09 崔建忠 自动手指康复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252A (ko) * 2009-04-09 2011-11-24 고쿠리쯔 다이가쿠 호징 츠쿠바 다이가쿠 장착식 동작보조장치
CN203524947U (zh) * 2013-11-05 2014-04-09 崔建忠 自动手指康复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434A (ko) * 2020-05-12 2021-11-19 광주과학기술원 상지 건 고정 보조기
KR20220063402A (ko) * 2020-11-10 2022-05-17 안현찬 손가락 떨림 보정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848B1 (ko) 201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7530B2 (en) External adjustment device for distraction device
US10449677B1 (en) Robotic gripping assist
US7211053B2 (en) Selectively applied wearable medical sensors
CN104188740B (zh) 穿着式动作辅助装置
KR102058848B1 (ko)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KR20190035569A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US11672721B2 (en) Motion assisting apparatus
US20190060099A1 (en) Wearable and functional hand orthotic
US11369541B2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ementing muscle strength
US20120197160A1 (en) Device for detecting and/or influencing posture
BR112014025826B1 (pt) Sistema de transecção de tecido mole dentro de um corpo
JPWO2012124546A1 (ja) 手袋型パワーアシスト装置
US20210196555A1 (en) Wearable robot for assisting upper limb movement by using artificial muscle
US10682250B1 (en) Robotic gripping assist
JP2023154104A (ja) 関節式顕微手術器具
KR102093786B1 (ko)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KR20210049525A (ko) 착용이 가능한 상지 재활 장치
KR20190124651A (ko) 시트형 근력 보조 슈트
CN108852590A (zh) 一种智能体外伪胸腰椎支撑器
KR100984026B1 (ko) 경추용 지압기
KR20220165125A (ko) 파지력 유지 장갑
CN113576832A (zh) 一种线驱模块化软体康复手套
JP6746451B2 (ja) 手の第一関節変形矯正用サポータ
EP1674054B1 (en) Functional glove for the hand of a disabled person
JP4682223B2 (ja) 鎖骨骨折治療用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