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5105A -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toner-supplying means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toner-supplying means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5105A
KR20190125105A KR1020180049424A KR20180049424A KR20190125105A KR 20190125105 A KR20190125105 A KR 20190125105A KR 1020180049424 A KR1020180049424 A KR 1020180049424A KR 20180049424 A KR20180049424 A KR 20180049424A KR 20190125105 A KR20190125105 A KR 20190125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polyester resin
weight
wax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4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1854B1 (en
Inventor
김성열
김동원
우승식
권영재
김용태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80049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854B1/en
Priority to PCT/US2019/027295 priority patent/WO2019209554A1/en
Publication of KR20190125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5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854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07Encapsulated toner particles specified by the shell material
    • G03G9/09314Macromolecular compounds
    • G03G9/093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19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dimensions of the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27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degree of spheric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42Binders for toner particles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9/08755Polyes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07Encapsulated toner particles specified by the shell material
    • G03G9/09314Macromolecular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5Encapsulated toner particles specified by the core material
    • G03G9/09357Macromolecular compounds
    • G03G9/0937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5Encapsulated toner particles specified by the core material
    • G03G9/09378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3Encapsulated toner particles
    • G03G9/0935Encapsulated toner particles specified by the core material
    • G03G9/09385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r for developing an electrostatic image which is a toner of a core-shell structure. The toner is that an amorphous polyester resin, a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nd a releasing agent satisfy the conditions (1), (2), (3), and (4) described in claim 1. The t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xcellent low temperature fixability, toner particle surface properties, fluidity, charge stability, high temperature storage properties, and durability against environmental changes.

Description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이를 이용한 토너 공급 수단 및 화상 형성 장치{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toner-supplying means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having the same}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toner supply mean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toner-supplying means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having the same}

전자사진 복사기, 레이저 프린터, 정전기록장치 등의 정전하상을 현상하기 위한 전자사진법(electrophotographic process) 또는 정전기록법(electrostatic image recording process)에 적합한 토너 입자의 제조 방법은 크게 분쇄법과 중합법으로 분류될 수 있다.Methods for producing toner particles suitable for an electrophotographic process or an electrostatic image recording process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such as electrophotographic copiers, laser printers, electrostatic lock devices, etc. are largely classified into a pulverization method and a polymerization method. Can be.

최근,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토너의 제조 방법으로서 토너 입경 제어가 용이하고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한 중합법이 주목받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의 내구성, 환경친화성, 및 에너지 저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저온 정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toner used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 polymerization method that is easy to control the toner particle size and has a relatively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has attracted attention. As interest in durability,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energy reduction of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ncreases, interest in low temperature fixing is increasing.

저온 정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도 중의 하나로서 미국특허 제6,617,09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코아/쉘 타입의 토너 입자가 제안되어 왔다. 이 방법은 안료 표면 노출을 억제하여 칼라 사이의 대전 편차(charging deviation)는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왁스 함유량이 높을 경우, 왁스의 저분자량 부분과 바인더 수지 사이의 부분적인 혼화성(partial miscibility)으로 인하여 가소화(plasticization) 현상이 일어나기 쉬어져 토너의 고온보관성(heat storage ability) 또는 응집(cohesiveness) 등의 측면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저온정착을 실현하는 경우 바인더 수지의 Tg가 저하하는 문제를 상대적으로 높은 Tg를 갖는 바인더 수지로 캡슐화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저온 정착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으나, 고온보관성의 측면에서는 충분하지 못하다.As one of attempts to improve low temperature fixability, core / shell type toner particles as disclosed in US Pat. No. 6,617,091 have been proposed. This method suppresses the pigment surface exposure, thereby reducing the charging deviation between the colors. However, for example, when the wax content is high, the plasticization phenomenon is likely to occur due to partial miscibility between the low molecular weight portion of the wax and the binder resin, so that the heat storage ability of the toner is high. ) Or cohesiveness may cause problems. Moreover, the method of encapsulating the problem that Tg of binder resin falls in the case of realizing low temperature fixing with binder resin which has relatively high Tg, etc. is proposed. In this case, however, the purpose of low temperature fixing can be achieved, but it is not sufficient in terms of high temperature storage.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복수의 토너 입자를 포함하는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로서,A 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comprising a plurality of toner particles,

상기 토너 입자는 제1 바인더 수지, 착색제 및 이형제를 포함하는 코어 입자; 및 상기 코어 입자를 피복하는 쉘 층으로서 제2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쉘 층을 포함하며,The toner particles may include core particles including a first binder resin, a colorant, and a release agent; And a shell layer comprising a second binder resin as a shell layer covering the core particles,

상기 코어 입자의 제1 바인더 수지가 상기 제1 바인더 수지의 총중량의 80 중량% 이상의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제1 바인더 수지의 총중량의 20 중량% 이하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인더 수지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며,The first binder resin of the core particles comprises 80% by weight or more of an amorphous polyester resin of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binder resin and 20% by weight or less of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binder resin, and The second binder resin comprises an amorphous polyester resin,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형제가 아래의 조건 (1), (2), (3), 및 (4)를 만족하는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가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 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wherein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nd the release agent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1), (2), (3), and (4):

1.0 (J/cm)1/2 ≤ SP(A) - SP(C) ≤ 2.0 (J/cm)1/2 (1),1.0 (J / cm) 1/2 ≤ SP (A)-SP (C) ≤ 2.0 (J / cm) 1/2 (1),

2.5 (J/cm)1/2 ≤ SP(A) - SP(W) (2),2.5 (J / cm) 1/2 ≤ SP (A)-SP (W) (2),

SP(C) - SP(W) ≤ 1.6 (J/cm)1/ 2 (3), 및SP (C) - SP (W ) ≤ 1.6 (J / cm) 1/2 (3), and

SP(C) - SP(W) ≤ SP(A) - SP(C) (4),SP (C)-SP (W) ≤ SP (A)-SP (C) (4),

여기에서, SP(A), SP(C) 및 SP(W)는 각각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이형제의 용해도 상수(solubility parameter)(단위: (J/cm)1/2)이다.Here, SP (A), SP (C) and SP (W) are the solubility parameters (unit: (J / cm)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nd the release agent, respectively. ) 1/2 ).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상기 토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의 중량 백분율 Wt(C), 및 융점 Tm(C)가 아래의 조건 (5) 및 (6)을 만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the weight percentage Wt (C)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ner, and the melting point Tm (C) are determined under the conditions (5) and (6). Can satisfy:

2.5 kDa/중량% ≤ Mw(C)/Wt(C)≤ 5.0 kDa/중량% (5), 및2.5 kDa / wt% ≦ Mw (C) / Wt (C) ≦ 5.0 kDa / wt% (5), and

60℃ ≤ Tm(C) ≤ 90℃ (6),60 ° C. ≦ Tm (C) ≦ 90 ° C. (6),

여기에서, Mw(C)는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테트라히드로푸란(THF) 가용성 성분에 대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GPC)을 이용하여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단위: kDa(kiloDalton))을 나타내며,Here, Mw (C) i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unit: kDa (kiloDalton))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on the tetrahydrofuran (THF) soluble componen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Indicates,

Wt(C)는 상기 토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의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백분율(단위: 중량%)을 나타내며,Wt (C) represents the weight percentage (unit: w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ner,

Tm(C)는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단위: ℃)이다.Tm (C) is melting | fusing point (unit: degreeC) of the said crystalline polyester resin.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A) 및 유리 전이 온도 Tg(A)가 아래의 조건 (7) 및 (8)을 더 만족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may further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7) and (8):

12.0 kDa ≤ Mw(A) ≤ 25.0 kDa (7), 및12.0 kDa ≦ Mw (A) ≦ 25.0 kDa (7), and

55℃ ≤ Tg(A) ≤ 70℃ (8),55 ° C. ≦ Tg (A) ≦ 70 ° C. (8),

여기에서, Mw(A)는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테트라히드로푸란(THF) 가용성 성분에 대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GPC)을 이용하여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단위: kDa)을 나타내며,Here, Mw (A) represent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unit: kDa) measured using th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with respect to the tetrahydrofuran (THF) soluble component of the said amorphous polyester resin,

Tg(C)는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이다.Tg (C)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unit: degreeC) of the said amorphous polyester resin.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가 폴리에틸렌계 왁스,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실리콘 왁스, 파라핀계 왁스, 에스테르계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및 메탈로센(metallocene)계 왁스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lease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wax, polypropylene wax, silicone wax, paraffin wax, ester wax, carnauba wax, and metallocene wax.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토너의 부피 평균 입경이 약 3㎛ 내지 약 9㎛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oner may be about 3 μm to about 9 μm.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토너의 평균 원형도가 약 0.940 내지 약 0.980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verage circularity of the toner may be about 0.940 to about 0.980.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토너의 GSDv 값 및 GSDp 값이 각각 약 1.30 이하 및 약 1.25 이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SDv and GSDp values of the toner may be about 1.30 or less and about 1.25 or less, respectively.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채용한 토너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탱크; 상기 토너 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저장된 토너를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토너 탱크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의 상부를 포함하는 상기 토너 탱크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 부분에 있는 토너를 교반할 수 있는 토너 교반 부재;를 포함하는 토너 공급 장치로서, 상기 토너가 상기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인 토너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toner supply apparatus employing the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Specifical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toner tank for storing toner; A supply unit which protrudes into the toner tank and supplies stored toner to the outside; And a toner stirring member installed to rotate inside the toner tank and capable of stirring the toner in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space of the toner tank including an upper portion of the supply unit. A toner supplying device is provided in which the toner is an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ing ton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정전하상,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 토너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서 정전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기 위해 상기 토너를 상담지체의 표면에 공급하는 토너 공급 수단; 및 상기 가시상을 상담지체 표면에서 화상 수용 부재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토너가 상기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인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Specificall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unseling delay; Image forming means for forming an electrostatic charge image, for example,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on a surface of the consultation member; Means for storing toner; Ton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toner to the surface of the consultation body to develop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on the surface of the consultation body as a visible image; And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visible image from the surface of the consultation support body to the image receiving member, wherein the toner is an electrostatic image developing ton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전하상이 형성된 상담지체 표면에 토너를 부착시켜 가시상을 형성하고, 상기 가시상을 화상 수용 부재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토너가 상기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인 화상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toner is formed by attaching a toner to a surface of a consultation support body on which an electrostatic image is formed, and transferring the visible image to an image receiving member, wherein the toner is formed by the toner. An image forming method which is a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ing to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는 샤프 멜팅(sharp melting)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저온 정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및 이형제의 용해도 상수, 열특성, 및 분자량 등을 포함하는 물성 및 함량을 제어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너는 적어도 상기 조건 (1), (2), (3) 및 (4)를 만족하도록 제어됨으로써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사이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등에 의한 상용화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토너 입자 내부에서의 이형제 도메인 크기 및 분포, 결정성 바인더 수지의 도메인 크기 및 분포, 토너의 열특성 값 변화가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토너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의 샤프 멜팅 특성 및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의 높은 Tg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토너는 정착 오프셋 범위가 매우 넓으며, 정착 광택도가 뛰어나고, 토너 입자 표면 형상이 양호하여 안정된 토너 내구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토너는 상기한 개념에 기초한 모폴로지 제어를 통하여 저온정착성, 넓은 정착 범위(wide fusing latitude) 특성, 광택도, 유동성, 및 입자 표면 특성(즉, 우수한 고온 보관성 및 내구성)이 모두 우수하다.The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ing t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solubility constant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a crystalline polyester that may exhibit sharp melting characteristics, an amorphous polyester and a release agent that may improve low temperature fixing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properties and contents including molecular weight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toner is controlled to satisfy at least the conditions (1), (2), (3) and (4), thereby minimizing commercialization by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crystalline polyester and amorphous polyester, or the like. have. In addition, the release agent domain size and distribution inside the toner particles, the domain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crystalline binder resin, and the change in the thermal characteristic value of the toner can be controlled appropriately. As a result, the to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maintain the sharp melting property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and the high Tg of the amorphous polyester. As a result, the toner has a very wide fixing offset range, excellent fixing glossiness, and good toner particle surface shape,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nsuring stable toner durability. Thus, the t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low temperature fixability, wide fusing latitude characteristics, glossiness, fluidity, and particle surface characteristics (ie, excellent high temperature storage property) through morphology control based on the above concept. And durability) are all excellent.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는 복수의 토너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토너 입자는 제1 바인더 수지, 착색제 및 이형제를 포함하는 코어 입자; 및 상기 코어 입자를 피복하는 쉘 층으로서 제2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쉘 층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다.The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ing t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lurality of toner particles. The toner particles may include core particles including a first binder resin, a colorant, and a release agent; And a shell layer comprising a second binder resin as a shell layer covering the core particles.

상기 코어 입자의 제1 바인더 수지는 상기 제1 바인더 수지의 총중량의 80 중량% 이상의 비결정성(amorphous)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제1 바인더 수지의 총중량의 20 중량% 이하의 결정성(crystalline)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인더 수지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인더 수지는 제1 바인더 수지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이상의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구체적으로는 80 중량% 내지 99 중량%, 또는 80 중량% 내지 97 중량%의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20 중량% 이하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구체적으로는 1 중량% 내지 20 중량%, 또는 3 중량% 내지 20 중량%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색 재현성에 유리하다. 코어 입자의 제1 바인더 수지가 제1 바인더 수지 총중량을 기준으로 80 중량% 이상의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20 중량% 이하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면, 토너 입자의 강도 유지, 저온 정착성, 고온 보관성 및 대전 성능을 만족시키는 데 유리하며,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부재 오염에 의한 화상 품질 저하를 억제하는데 유리하다.The first binder resin of the core particles is 80% by weight or more of amorphous polyester resin and 20% by weight or less of crystalline polyester of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binder resin. Resin, and the second binder resin may include an amorphous polyester resin. The first binder resin is at least 80% by weight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specifically 80% to 99% by weight, or 80% to 97% by weight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binder resin And 20 wt% or less of crystalline polyester resin, specifically 1 wt% to 20 wt%, or 3 wt% to 20 wt% of crystalline polyester resin. Polyester resins are advantageous for color reproducibility. When the first binder resin of the core particles includes 80% by weight or more of amorphous polyester resin and 20% by weight or less of crystalline polyester resi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binder resin, the strength of the toner particles is maintained, low temperature fixability, It is advantageous to satisfy the high temperature storage property and the charging performance, and is advantageous to suppress the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due to member contamination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DSC)에 있어서 명확한 흡열 피크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에 있어서 온도 상승 속도를 10℃/분으로 하여 측정하였을 때 흡열 피크의 반값 폭이 15℃ 이내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토너의 화상 광택도 및 저온 정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에 있어서 명확한 흡열 피크를 갖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에 있어서 온도 상승 속도를 10℃/분으로 측정하였을 때 계단상의 흡열량 변화를 나타내거나 또는 흡열 피크의 반값 폭이 15℃를 넘는 수지로 정의될 수 있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 온도(Tm)는 60℃ 내지 100℃, 예를 들면 60℃ 내지 95℃, 60℃ 내지 90℃, 62℃ 내지 90℃, 63℃ 내지 80℃, 65℃ 내지 75℃ 또는 65℃ 내지 70℃ 일 수 있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이 60℃ 내지 100℃, 예를 들면 60℃ 내지 90℃를 만족하면, 토너 입자 응집이 억제되고, 정착 화상의 보존성이 향상되고, 저온 정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50℃ 내지 75℃, 예를 들면 55℃ 내지 70℃, 55℃ 내지 70℃일 수 있다.Crystalline polyester resin refers to the polyester resin which has a clear endothermic peak in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For example, in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half width of the endothermic peak may be defined to be within 15 ° C. when measured at a temperature rising rate of 10 ° C./min.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is used to improve the image glossiness and low temperature fixability of the toner. An amorphous polyester resin means a polyester resin which does not have a clear endothermic peak in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For example, in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when the temperature rise rate is measured at 10 ° C./min, the endothermic change in steps may be represented, or the half-width of the endothermic peak may be defined as a resin having a temperature greater than 15 ° C. Melting temperature (Tm)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is 60 ℃ to 100 ℃, for example 60 ℃ to 95 ℃, 60 ℃ to 90 ℃, 62 ℃ to 90 ℃, 63 ℃ to 80 ℃, 65 ℃ to 75 ℃ Or 65 ° C. to 70 ° C. When the melting poin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satisfies 60 ° C to 100 ° C, for example, 60 ° C to 90 ° C, aggregation of the toner particles can be suppressed, the preservation of the fixed image can be improved, and the low temperature fixing property can be improve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may be 50 ° C to 75 ° C, for example, 55 ° C to 70 ° C, 55 ° C to 70 ° C.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첨가하면,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의 샤프 멜팅 특성, 즉 좁은 온도범위에서 급격히 용융하여 점도가 급격히 저감하는 효과에 의해서 용융온도 부근에서 높은 정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토너의 내구성 및 고온 보존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은 융점(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g 이상)을 갖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면 저온에서 빠른 순간에 높은 정착성을 갖는 토너를 제조하는데 유리하다. 즉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및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의 혼합 사용함으로써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의 높은 Tg를 유지하면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의 샤프 멜팅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정착온도에서 토너의 용융 점도가 급격하게 저하하기 때문에, 고온 보관 특성을 유지하면서 저온 정착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특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결정성 및 비결정성 수지 사이의 상용성의 적절한 제어가 필수적이다.When the crystalline polyester is added to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high fixability can be exhibited near the melting temperature due to the sharp melting property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that is, the rapid melting in a narrow temperature range and the rapid decrease in viscosity. . The use of crystalline polyester having a relatively low melting point (Tg or more of amorphous polyester resin) within the range that maintains the toner's durability and high temperature storage property is advantageous for producing a toner having high fixability at a low temperature and at a fast moment. . In other words, by using a mixture of crystalline polyester and amorphous polyester, the sharp melting property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can be maintained while maintaining a high Tg of the amorphous polyester. As a result, the melt viscosity of the toner is drastically lowered at the fixing temperature, thereby ensuring low temperature fixing characteristics while maintaining the high temperature storage characteristics. However, in order to effectively exhibit these properties, proper control of compatibility between crystalline and amorphous resins is essential.

일반적으로 2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가 용융 혼합되는 경우, 두 폴리에스테르의 에스테르기 사이에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두 폴리머의 혼합물에서 공중합체 형태로 변화하게 된다. 상기 공중합체는 초기에는 블록 공중합체의 형태이지만, 상용화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랜덤 공중합체 형태로 변한다. 이에 따라, 고분자쇄의 불규칙성으로 결정 형성이 어려워지고, 혼합물(혹은 공중합체)의 용융온도 및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온도 쪽으로 이동하는 가소화 효과를 보인다. 이에 의하여, 토너의 내구성 및 보존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현상은 바람직하지 않다.In general, when two or more polyesters are melt mixed, a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occurs between ester groups of the two polyesters, thereby changing to a copolymer form in a mixture of the two polymers. The copolymer is initially in the form of a block copolymer, but gradually changes to a random copolymer form as commercialization proceeds. Accordingly, crystal formation becomes difficult due to irregularities of the polymer chain, and the plasticizing effect of melting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mixture (or copolymer) is shifted toward a lower temperature. This phenomenon is undesirable because this may adversely affect the durability and the shelf life of the toner.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토너의 제조에서, 각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라텍스(에멀전)를 약 100nm ~ 약 300nm의 입자 사이즈로 제조한 후에 이 입자들을 응집 및 합일하여 입자 크기를 증가시킨다. 응집은 Tg 이하에서 진행되지만, 합일 공정은 Tg 및 용융 온도 이상에서 진행된다. 따라서 합일 공정에서 각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용융된 상태에서 약 2-3 시간 이상 유지되므로 상기 상용화가 불가피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상용화 진행으로 결정 형성이 어려워지면, 샤프 멜팅 특성이 사라지게 되어 원하는 저온 정착의 효과를 얻기 어려워진다. 그런데 상용화 현상의 진행 속도는 두 고분자 사이의 상용성에 의존하므로 토너 제조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 설계가 중요하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토너에서는 최종 제조된 토너가 고온보관성, 저온정착성, 넓은 정착 범위 및 고광택도 등을 동시에 만족스럽게 유지할 수 있도록 코어 입자 중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의 용융 온도와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g가 토너 제조 후에도 변화가 크지 않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토너 입자 구성 성분 중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 및 이형제 성분 사이의 상용성도 엄격히 제어할 필요가 있다.In the production of toner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latex (emulsion) of each polyester resin is prepared in a particle size of about 100 nm to about 300 nm, and then the particles are aggregated and united to increase the particle size. Coagulation proceeds below Tg, but the coalescing process proceeds above Tg and the melting temperature. Therefore, the commercialization proceeds inevitably because the polyester resin is maintained in the molten state for about 2-3 hours or more in the coalescence process. Therefore, when crystal formation becomes difficult as commercialization proceeds, the sharp melting characteristic disappears,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the desired low temperature fixing effect. However, since the speed of commercialization depends on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two polymers, the molecular design of the polyester resin used in toner production is important. In the t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lting temperature and amorphousness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in the core particles are maintained so that the final manufactured toner can satisfactorily maintain high temperature storage property, low temperature fixing property, wide fixing range, high glossiness, and the like. The Tg of the polyester resin is designed so that the change is not large even after the toner production. Therefore,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polyester binder resin and the releasing agent component in the toner particle constituents also needs to be strictly controlled.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의 다가 카르복시산 또는 이들의 알킬 에스테르를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통하여 다가 알콜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polyester resin can be produced by reacting an aliphatic, cycloaliphatic, or aromatic polyhydric carboxylic acid or an alkyl ester thereof with a polyhydric alcohol via direct esterification or transesterification.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구체적으로 탄소수 8개(카르복실기의 탄소를 제외함) 이상, 예를 들면 탄소수 8개 내지 12개, 구체적으로 탄소수 9개 내지 10개인 지방족 다가 카르복실산과 탄소수 8개 이상, 예를 들면 탄소수 8개 내지 12개, 구체적으로 탄소수 10개 내지 10개인 다가 알콜을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예를 들면, 1,9-노난 디올과 1,10-데칸 디카르복실산, 또는 1,9-노난 디올과 1,12-도데칸 디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수 있다. 탄소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토너에 적합한 용융 온도를 갖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되기 쉽고, 또한 지방족인 것에 의해 수지 구조의 직선성이 증가하여,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친화하기 쉬워진다.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is specifically 8 or more carbon atoms (excluding carbon of the carboxyl group), for example, aliphatic polyvalent carboxylic acid having 8 to 12 carbon atoms, specifically 9 to 10 carbon atoms and 8 or more carbon atoms, For example, it may be obtained by reacting a polyhydric alcohol having 8 to 12 carbon atoms, specifically 10 to 10 carbon atoms.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is obtained by, for example, reacting 1,9-nonane diol with 1,10-decane dicarboxylic acid or 1,9-nonane diol with 1,12-dodecane dicarboxylic acid. It may be a polyester resin. By setting the carbon number in this range, it becomes easy to become a crystalline polyester resin having a melting temperature suitable for toner, and by being aliphatic, the linearity of the resin structure is increased, and it becomes easy to be compatible with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테트라히드로푸란(THF) 가용분에 대한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한 분자량 측정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예를 들면, 8,000 내지 60,000g/mol, 구체적으로 10,000 내지 50,000g/mol, 13,000 내지 40,000g/mol, 15,000 내지 35,000g/mol, 15,000 내지 32,000g/mol, 17,000 내지 32,000g/mol, 18,000 내지 30,000g/mol, 또는 18,000 내지 28,000g/mol일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저온 정착성 및 내핫오프셋성이 개선되고, 수지 강도의 저하를 방지하여 용지에 정착한 화상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토너의 유리 전이 온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토너의 블로킹 등 보존성도 향상될 수 있다.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is a molecular weight measurement by a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method for a tetrahydrofuran (THF) soluble componen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is, for example, 8,000 to 60,000 g / mol, specifically 10,000 to 50,000 g / mol, 13,000 to 40,000 g / mol, 15,000 to 35,000 g / mol, 15,000 to 32,000 g / mol, 17,000 to 32,000 g / mol, 18,000 to 30,000 g / mol, or 18,000 to 28,000 g / mol Can be.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satisfies the above range, low temperature fixability and hot offset resistance are improved, and the lowering of the resin strength is prevented to increase the image intensity fixed on the paper. In addition, since the lowering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toner can be prevented, the shelf life such as blocking of the toner can also be improved.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는 중합 온도를 180℃ 내지 230℃로 하여 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반응 시스템 내부를 감압으로 하고, 축합시에 발생하는 물이나 알코올을 제거하면서 반응시킨다.The polyester resin can be produced at a polymerization temperature of 180 ° C. to 230 ° C., and the reaction system is reacted under reduced pressure, if necessary, while removing water and alcohol generated during condensation.

중합성 단량체가 반응 온도하에서 용해 또는 상용하지 않는 경우는, 고비점 용제를 용해 보조제로서 가하여 이를 용해하여 좋다. 중축합 반응은 용해 보조 용제를 증류 제거하면서 진행될 수 있다.When the polymerizable monomer is not dissolved or compatible under the reaction temperature, a high boiling point solvent may be added as a dissolution aid to dissolve it. The polycondensation reaction may proceed while distilling off the dissolution assisting solvent.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시에 사용가능한 촉매로서는, 나트륨, 리튬 등의 알칼리의 금속 화합물; 마그네슘, 칼슘 등의 알칼리토류의 금속 화합물; 아연, 망간, 안티몬, 티탄, 주석, 지르코늄, 게르마늄 등의 금속 화합물; 아인산 화합물; 인산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As a catalyst which can be us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said polyester resin, Alkali metal compounds, such as sodium and lithium; Alkaline earth metal compounds such as magnesium and calcium; Metal compounds such as zinc, manganese, antimony, titanium, tin, zirconium and germanium; Phosphorous acid compounds; Phosphoric acid compounds; And amine compounds.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다가 카르복실산은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테트라클로로프탈산, 클로로프탈산, 니트로프탈산、 p-카르복시페닐아세트산、 p-페닐렌디아세트산, m-페닐렌디글리콜산、 p-페닐렌디글리콜산、 o-페닐렌디글리콜산, 디페닐아세트산, 디페닐-p,p'-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1,4-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1,5-디카르복실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및/또는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카르복실산 이외의 다가 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나프탈렌 트리카르복실산, 나프탈렌 테트라카르복실산, 피렌 트리카르복실산, 피렌 테트라카르복실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카르복실산의 카르복실기를 산무수물, 산염화물, 또는, 에스테르 등으로 유도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테레프탈산이나 그의 저급 에스테르, 디페닐아세트산,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저급 에스테르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지방족 알콜의 에스테르를 의미한다.The polyhydric carboxylic acid used to obtain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is 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tetrachlorophthalic acid, chlorophthalic acid, nitrophthalic acid, p-carboxyphenylacetic acid, p-phenylenediacetic acid, m-phenylenediglycolic acid P-phenylenediglycolic acid, o-phenylenediglycolic acid, diphenylacetic acid, diphenyl-p, p'-dicarboxylic acid, naphthalene-1,4-dicarboxylic acid, naphthalene-1,5-dica Lenic acid, naphthalene-2,6-dicarboxylic acid, anthracenedicarboxylic acid, and / or cyclohexanedicarboxylic acid. In addition, polyhydric carboxylic acids other than dicarboxylic acid, for example, trimellitic acid, pyromellitic acid, naphthalene tricarboxylic acid, naphthalene tetracarboxylic acid, pyrene tricarboxylic acid, pyrene tetracarboxylic acid and the like may be used. Can be. Moreover, you may use what guide | induced the carboxyl group of these carboxylic acids with an acid anhydride, an acid chloride, or ester. Among these, terephthalic acid, its lower ester, diphenylacetic acid, 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etc. can be used. Lower esters mean esters of aliphatic alcohols having 1 to 8 carbon atoms.

또한,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의 구체적인 예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지방족 디올; 시클로헥산 디올,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등의 지환식 디올; 비스페놀 A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 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 등의 방향족 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다가 알코올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다가 알코올 중, 방향족 디올, 지환식 디올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방향족 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정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교 구조 또는 분기 구조를 얻기 위하여 디올과 함께 3가 이상의 다가 알코올(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스리톨)을 병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hydric alcohol used to obtain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include aliphatic diols such as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butanediol, hexanediol, neopentyl glycol, and glycerin; Alicyclic diols such as cyclohexane diol, cyclohexane dimethanol and hydrogenated bisphenol A; Aromatic diols, such as the ethylene oxide adduct of bisphenol A and the propylene oxide adduct of bisphenol A, can be included. One or two or more of these polyhydric alcohols may be used. Of these polyhydric alcohols, aromatic diols and alicyclic diols can be used, and specifically, aromatic diols can be used. In order to secure good fixability, trihydric or higher polyhydric alcohols (glycerine, trimethylolpropane, pentaerythritol) can be used together with diol in order to obtain a crosslinked structure or a branched structure.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다가 알코올과 다가 카르복실산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축합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가 알코올과 다가 카르복실산을, 필요에 따라 촉매와 함께, 온도계, 교반기, 유하식 콘덴서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서 배합하고, 불활성 가스(질소 가스 등)의 존재하, 150∼250℃에서 가열하여, 부생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연속적으로 반응 시스템 외부로 제거하고, 소정의 산가에 달한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시키고, 냉각하여, 목적으로 하는 반응물을 취득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Amorphous polyester resin can be manufactured by condensation reaction of the said polyhydric alcohol and polyhydric carboxylic acid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method. For example, the said polyhydric alcohol and polyhydric carboxylic acid are mix | blended with a catalyst as needed in the reaction container provided with a thermometer, a stirrer, and a type | mold condenser, 150-150 in presence of an inert gas (nitrogen gas etc.). It can manufacture by heating at 250 degreeC, removing the by-product low molecular compound continuously out of the reaction system, stopping reaction at the time point which reached predetermined | prescribed acid value, cooling, and obtaining the target reactant.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합성에 사용하는 촉매로는 안티몬계, 주석계, 티탄계, 알루미늄계의 촉매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옥시드 등의 유기 금속화합물 또는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 등의 금속 화합물 등의 에스테르화 촉매를 들 수 있다. 환경에 대한 영향이나 안전성의 관점에서, 티탄계 화합물 또는 알루미늄계 화합물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촉매의 첨가량은 원재료의 총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중량%로 조정될 수 있다.As a catalyst used for the synthesis of this polyester resin, an antimony-based, tin-based, titanium-based or aluminum-based catalyst is used. For example, esterification catalysts, such as organometallic compounds, such as dibutyltin dilaurate and dibutyltin oxide, or metal compounds, such as tetrabutyl titanate, are mentioned. From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impact or safety, a titanium compound or an aluminum compound can be selected. The addition amount of such a catalyst can be adjusted to 0.01 to 1.0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raw materials.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테트라히드로푸란(THF) 가용분에 대한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한 분자량 측정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예를 들면, 5,000 내지 60,000g/mol, 구체적으로 10,000 내지 50,000g/mol, 12,000 내지 45,000g/mol, 12,000 내지 25,000g/mol, 15,000 내지 40,000g/mol, 15,000 내지 35,000g/mol, 15,000 내지 30,000g/mol, 15,000 내지 28,000g/mol, 15,000 내지 27,000g/mol, 15,000 내지 25,000g/mol, 15,000 내지 22,000g/mol, 또는 15,000 내지 20,000g/mol일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저온 정착성 및 내핫오프셋성이 개선되고, 수지 강도의 저하를 방지하여 용지에 정착한 화상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토너의 유리 전이 온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토너의 블로킹 등 보존성도 향상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morphous polyester resin, the molecular weight is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for tetrahydrofuran (THF) soluble componen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is, for example, 5,000 to 60,000 g / mol, specifically 10,000 to 50,000 g / mol, 12,000 to 45,000 g / mol, 12,000 to 25,000 g / mol, 15,000 to 40,000 g / mol, 15,000 to 35,000 g / mol, 15,000 to 30,000 g / mol, 15,000 to 28,000 g / mol, 15,000 To 27,000 g / mol, 15,000 to 25,000 g / mol, 15,000 to 22,000 g / mol, or 15,000 to 20,000 g / mol.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satisfies the above range, low temperature fixability and hot offset resistance are improved, and the lowering of the resin strength is prevented to increase the image intensity fixed on the paper. In addition, since the lowering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toner can be prevented, the shelf life such as blocking of the toner can also be improved.

상기 제1 바인더 수지 중의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제2 바인더 수지 중의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같은 것이거나 다른 것일 수 있다.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in the first binder resin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in the second binder resin.

이형제는 토너의 저온 정착성, 우수한 최종 화상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증가시키므로 이형제의 종류 및 함량은 토너의 특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이형제는 또한 토너 입자가 정착기의 가열 롤러(heating roller)에 부착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형제는 천연 왁스 및 합성 왁스일 수 있다. 이형제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계 왁스,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실리콘 왁스, 파라핀계 왁스, 에스테르계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및 메탈로센계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형제의 용융온도는 60 내지 100℃, 예를 들면 65 내지 90℃, 65 내지 80℃, 67 내지 77℃, 또는 67 내지 75℃일 수 있다. 이형제 성분은 토너 입자와 물리적으로 밀착되지만, 토너 입자와 공유적으로 결합하지 않는다.The release agent increases the low temperature fixability, good final image durability and wear resistance of the toner, so the type and content of the release agent are important for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ner. The release agent may also serve to prevent toner particles from adhering to the heating roller of the fixing unit. Release agents can be natural waxes and synthetic waxes. The type of release agen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wax, polypropylene wax, silicone wax, paraffin wax, ester wax, carnauba wax, and metallocene wax.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release agent may be 60 to 100 ° C, for example 65 to 90 ° C, 65 to 80 ° C, 67 to 77 ° C, or 67 to 75 ° C. The release agent component is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toner particles but does not covalently bond with the toner particles.

이형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계 왁스,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실리콘계 왁스, 파라핀계 왁스, 에스테르계 왁스, 카나우바계 왁스, 메탈로센계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release agen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polyethylene wax, a polypropylene wax, a silicone wax, a paraffin wax, an ester wax, a carnauba wax, a metallocene wax, or a mixture thereof. .

코어 입자 중의 이형제의 함량은 예를 들면 토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20 중량부, 약 2 내지 약 16 중량부, 또는 약 3 내지 약 12 중량부일 수 있다. 이형제의 함량이 1 중량부 이상인 경우 저온 정착성이 양호하고 정착 온도 범위가 충분히 확보되며, 20 중량부 이하인 경우 보관성 및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release agent in the core particles may be, for example, about 1 to about 20 parts by weight, about 2 to about 16 parts by weight, or about 3 to about 1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ner. When the content of the release agent is 1 part by weight or more, low temperature fixability is good and a fixing temperature range is sufficiently secured, and when the content is 20 parts by weight or less, storage and economical efficiency may be improved.

이형제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왁스일 수 있다. 이의 구체적인 예는 (1) 에스테르계 왁스 및 비에스테르계 왁스의 혼합물; 또는 (2) 비에스테르계 왁스에 에스테르기를 함유시킨 에스테르기 함유 왁스를 포함한다. 이는 에스테르기가 토너의 라텍스 성분과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토너 입자 중에서 왁스를 균일하게 존재시킬 수 있어 왁스의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게 하고, 비에스테르계 왁스 성분은 라텍스와의 이형 작용에 의하여 에스테르계 왁스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과도한 가소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에스테르계 왁스와 비에스테르계 왁스의 혼합물은 토너의 양호한 현상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The release agent may be an ester wax including an ester group.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1) a mixture of ester waxes and nonester waxes; Or (2) an ester group-containing wax containing an ester group in a non-ester wax. Since the ester group has a high affinity with the latex component of the toner, the wax can be uniformly present in the toner particles, thereby effectively exerting the action of the wax. Excessive plasticization when the system is composed of only waxes can be suppressed. As a result, the mixture of the ester wax and the non-ester wax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good developability of the toner for a long time.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왁스의 예는 파라핀계 왁스와 에스테르계 왁스의 혼합물; 또는 에스테르기 함유 파라핀계 왁스가 있다. 이의 구체적인 예는 중경유지사의 제품명 P-212, P-280, P-318, P-319, P-419, T-289, 및 Sasol사의 NCM9385 등을 포함한다. 이형제가 파라핀계 왁스와 에스테르계 왁스의 혼합물인 경우, 에스테르계 왁스의 함량은 예를 들면 파라핀계 왁스와 에스테르계 왁스의 혼합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약 39 중량%, 약 7 내지 약 36 중량%, 약 9 내지 약 33 중량%일 수 있다. 에스테르계 왁스의 함량이 5 중량% 이상이면, 라텍스와의 상용성이 충분히 유지되고, 39 중량% 이하이면, 토너의 가소성이 적절하여 현상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Examples of ester waxes comprising ester groups include mixtures of paraffin waxes and ester waxes; Or ester group-containing paraffin wax.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the product names P-212, P-280, P-318, P-319, P-419, and T-289 of Chongqing Oil Co., Ltd., and NCM9385 from Sasol. If the release agent is a mixture of paraffin wax and ester wax, the content of ester wax is, for example, about 5 to about 39 weight percent, about 7 to about 36 weight perce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ixture of paraffin wax and ester wax Weight percent, from about 9 to about 33 weight percent. If the content of the ester wax is 5% by weight or more, the compatibility with the latex is sufficiently maintained. If the content of the ester wax is 39% by weight or less, the plasticity of the toner is appropriate and the developability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토너는 적어도 상기 조건 (1), (2), (3) 및 (4)를 만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와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사이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등에 의한 상용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토너 입자 내의 이형제 도메인 크기 및 분포, 결정성 바인더 수지의 도메인 크기 및 분포, 토너의 열특성 값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토너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의 샤프 멜팅 특성 및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의 높은 Tg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토너는 정착 오프셋 범위가 매우 넓으며, 정착 광택도가 뛰어나고, 토너 입자 표면 형상이 양호하여 안정된 토너 내구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토너는 저온정착성, 토너 입자 표면 특성, 유동성, 대전안정성, 고온 보관성 및 환경 변화에 대한 내구성을 모두 일정 수준 이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즉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토너는 고해상도(high Resolution), 내구성(durability), 광택도(glossiness) 및 낮은 정착 온도(fixing temperature) 및 넓은 정착 범위(fusing latitude)가 양립하는 우수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to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ommercialized by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crystalline polyester and amorphous polyester by controlling to satisfy at least the conditions (1), (2), (3) and (4).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the release agent domain size and distribution in the toner particles, the domain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crystalline binder resin, and the change in the thermal characteristic value of the toner can be controlled. As a result, the t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maintain the sharp melting property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and the high Tg of the amorphous polyester. As a result, the t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nsuring a stable toner durability because the fixing offset range is very wide, the fixing glossiness is excellent, and the toner particle surface shape is good. Therefore, the ton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low temperature fixability, toner particle surface properties, fluidity, charge stability, high temperature storage property, and durability against environmental changes, all of which can be satisfi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That is, the t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excellent characteristics in which high resolution, durability, glossiness and low fixing temperature and wide fusing latitude are compatible. can do.

폴리에스테르 중합 토너의 열적 및 물리적 성질은 토너 입자 내부에서의 모폴로지 구조에 의해서 영향받으며, 이는 구성 성분간의 상용성(compatibility)에 의해 크게 영향받는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와 이형제 사이의 상용성(compatibility)은 토너 입자 중에서의 각 성분의 도메인 크기와 분산성(dispersity) 및 점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상기 상용성에 관련된 인자는 계면장력(interfacial tension), 용해도 상수(SP),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 및 산가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SP가 유사한 경우 상용성이 좋은 경향을 나타내므로, 이 관계를 토너 구조 설계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와 이형제는 혼화성(immiscible) 내지 부분적 혼화성(partial miscible)을 나타내는 조합이 되도록 이들의 SP를 선택할 수 있다. 게다가, 토너 입자 단면상의 이형제 도메인의 크기 및 개수의 양적 해석(quantitative analysis) 및 저분자량 분포 등을 함께 고려하면, 가소화(plasticization)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The therm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ester polymerized toner are influenced by the morphology structure inside the toner particles, which is greatly affected by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components. Specifically,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polyester binder resin and the release agent directly affects the domain size, dispersity and viscosity of each component in the toner particles. Factors related to the compatibility include interfacial tension, solubility constant (SP), molecular weight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cid value, and the like. For example, if the SP is similar, compatibility tends to be good, and this relationship can be used for toner structure design. For example, the binder resin and the releasing agent may select their SPs so as to be a combination exhibiting immiscible to partial miscible. In addition, whe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ize and number of the release agent domains on the cross section of the toner particles, the l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the like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ossibility of plasticization can be predicted.

이러한 관점에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토너의 제조에서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형제는 아래의 조건 (1) 및 (2)를 만족하도록 토너 성분들의 상용성이 제어된다.In view of this,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nd the releasing agent in the production of the t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compatibility of toner components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1) and (2). This is controlled.

1.0 (J/cm)1/2 ≤ SP(A) - SP(C) ≤ 2.0 (J/cm)1/ 2 (1), 1.0 (J / cm) 1/2 ≤ SP (A) - SP (C) ≤ 2.0 (J / cm) 1/2 (1),

2.5 (J/cm)1/2 ≤ SP(A) - SP(W) (2),2.5 (J / cm) 1/2 ≤ SP (A)-SP (W) (2),

여기에서, SP(A), SP(C) 및 SP(W)는 각각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이형제의 용해도 상수(단위: (J/cm)1/2)이다. 조건 (1) 및 (2)를 만족하도록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해도 상수를 높게 설계하면,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형제의 도메인이 잘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이형제가 토너 입자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토너 입자의 표면 형상이 개선될 수 있으며, 이는 토너 입자 과응집 억제 및 고온보관성 즉 내구성의 개선 효과로 연결될 수 있다.Here, SP (A), SP (C) and SP (W) are the solubility constants (unit: (J / cm) 1/2 )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nd the release agent, respectively. )to be. If the solubility constant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is designed high so as to satisfy the conditions (1) and (2), the domains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nd the release agent can be formed well. As a result, the surface shape of the toner particles can be improved so that the phenomenon in which the release agent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toner particles can be improved, which can lead to the effect of suppressing toner particle over-agglomeration and improving high temperature storage, that is, durability.

조건 (1)의 수치 범위는 더 구체적으로 1.2 이상 1.8 이하, 1.3 이상 1.7 이하, 1.4 이상 1.7 이하, 1.5 이상 1.7 이하, 또는 1.51 이상 1.65 이하일 수 있다. 조건 (2)의 수치 범위는 더 구체적으로 2.6 이상, 2.7 이상, 2.8 이상, 또는 2.9 이상일 수 있다.The numerical range of condition (1) may be more specifically 1.2 or more and 1.8 or less, 1.3 or more and 1.7 or less, 1.4 or more and 1.7 or less, 1.5 or more and 1.7 or less, or 1.51 or more and 1.65 or less. The numerical range of condition (2) may be more specifically 2.6 or more, 2.7 or more, 2.8 or more, or 2.9 or more.

이때, 조건 (5) 및 (7)을 만족하도록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을 낮게 하고,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분자량을 높게 하면, 양 수지들 사이의 실질적인 용해도 상수 차이가 더 커져서 양 수지들의 상용성이 저하하여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도메인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토너는 입자 표면 형상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넓은 정착 영역을 확보할 수 있으며 광택도가 우수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is lowered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is increased to satisfy the conditions (5) and (7), the difference in the substantial solubility constants between the two resins becomes larger, The compatibility decreases and the formation of the domain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can be promoted. Thereby, the toner can secure a wide fixing area while maintaining a good particle surface shape and can be excellent in glossiness:

2.5 kDa/중량% ≤ Mw(C)/Wt(C)≤ 5.0 kDa/중량% (5), 및2.5 kDa / wt% ≦ Mw (C) / Wt (C) ≦ 5.0 kDa / wt% (5), and

12.0 kDa ≤ Mw(A) ≤ 25.0 kDa (7).12.0 kDa ≦ Mw (A) ≦ 25.0 kDa (7).

여기에서, Mw(C)는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HF 가용성 성분에 대하여 GPC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단위: kDa)을 나타내며, Wt(C)는 상기 토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의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백분율(단위: 중량%)을 나타내며, Mw(A)는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HF 가용성 성분에 대하여 GPC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단위: kDa)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Mw(C) 및 Mw(A)는 폴리스티렌 표준과 비교하여 검정(calibration)한 값이다.Here, Mw (C) represent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unit: kDa) measured using the GPC method for the THF soluble componen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Wt (C) i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ner Weight percentage (unit: w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when used, and Mw (A) i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unit) measured using the GPC method for the THF soluble component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 kDa). Where Mw (C) and Mw (A) are calibrated values compared to polystyrene standards.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토너의 제조에서 조건 (3) 및 (4)를 만족하도록 이형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사이의 용해도 상수를 제어하면 이들 사이의 상용성 차이로 인하여 이형제-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하이브리드 도메인이 형성된다. 그 결과, 이형제의 융점과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이 합쳐져(merge) 하나의 단일 값을 갖게 된다. 이 때문에 토너의 샤프 멜팅이 가능하므로 토너의 저온 정착성 및 광택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토너 입자의 표면 형상도 양호해진다:Controlling solubility constants between the release agent,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nd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so as to satisfy the conditions (3) and (4) in the production of the to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fference in compatibility therebetween Due to this, the release agent-crystalline polyester resin hybrid domain is formed. As a result, the melting point of the release agent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re merged to have one single value. This allows sharp melting of the toner, which improves low temperature fixability and glossiness of the toner and improves the surface shape of the toner particles:

SP(C) - SP(W) ≤ 1.6 (J/cm)1/2 (3), 및SP (C)-SP (W) ≤ 1.6 (J / cm) 1/2 (3), and

SP(C) - SP(W) ≤ SP(A) - SP(C) (4),SP (C)-SP (W) ≤ SP (A)-SP (C) (4),

여기에서, SP(A), SP(C) 및 SP(W)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Here, SP (A), SP (C) and SP (W) are as defined above.

조건 (3)의 수치 범위는 더 구체적으로 1.55 이하, 1.50 이하, 1.47 이하, 1.45 이하, 또는 1.40 이하일 수 있다.The numerical range of condition (3) may be more specifically 1.55 or less, 1.50 or less, 1.47 or less, 1.45 or less, or 1.40 or less.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이형제 사이의 상용성 차이 및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을 조절하면, 토너 입자 내부의 마이크로도메인의 크기 및 밀도 등이 크게 변화할 수 있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적으면, 이의 도메인의 크기 및 결정화도가 감소하여, 전반적인 정착률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반대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에는 저온 정착성 저하 및 고온보관성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토너의 제조에서는 조건 (5) 및 (6)을 만족하도록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토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의 중량 백분율 Wt(C) 및 융점 Tm(C)를 제어하면 토너의 저온정착성 및 표면 형상 따라서 고온보관성을 개선할 수 있다.By controlling the compatibility difference between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nd the release agent and the conten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the size and density of the microdomains inside the toner particles may be greatly changed. If the conten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is small, the size and crystallinity of its domains are reduced, thereby lowering the overall fixation rate. On the contrary, when the conten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is excessively high, low temperature fixability and low temperature storage property may appear. In the production of the t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the weight percentage Wt (C) and the melting poin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ner to satisfy the conditions (5) and (6) By controlling the Tm (C), the low temperature fixing property and the surface shape of the toner can be improved accordingly.

2.5 kDa/중량% ≤ Mw(C)/Wt(C)≤ 5.0 kDa/중량% (5), 및2.5 kDa / wt% ≦ Mw (C) / Wt (C) ≦ 5.0 kDa / wt% (5), and

60℃ ≤ Tm(C) ≤ 90℃ (6),60 ° C. ≦ Tm (C) ≦ 90 ° C. (6),

여기에서, Mw(C)는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HF 가용성 성분에 대하여 GPC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단위: kDa(kiloDalton))을 나타내며, Wt(C)는 토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백분율(단위: 중량%)을 나타내며, Tm(C)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단위: ℃)이다.Here, Mw (C) represent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unit: kDa (kiloDalton)) measured using the GPC method for the THF soluble componen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Wt (C) represents the total weight of the toner It represents the weight percentage (unit: weight%) of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s a reference, and Tm (C) is melting | fusing point (unit: degreeC) of crystalline polyester resin.

조건 (5)의 수치 범위는 3.0 이상 5.0 이하, 3.2 이상 5.0 이하, 3.4 이상 5.0 이하, 3.2 이상 4.8 이하(단위: kDa/중량%)일 수 있다.The numerical range of condition (5) may be 3.0 or more and 5.0 or less, 3.2 or more and 5.0 or less, 3.4 or more and 5.0 or less, 3.2 or more and 4.8 or less (unit: kDa / weight%).

조건 (6)의 수치 범위는 60℃ 이상 80℃ 이하, 62℃ 이상 70℃ 이하, 64℃ 이상 70℃ 이하, 65℃ 이상 69℃ 이하, 또는 66℃ 이상 69℃ 이하일 수 있다.The numerical range of condition (6) may be 60 degreeC or more and 80 degrees C or less, 62 degreeC or more and 70 degrees C or less, 64 degrees C or more, 70 degrees C or less, 65 degrees C or more, 69 degrees C or less, or 66 degrees C or more and 69 degrees C or less.

본 개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토너의 제조에서 조건 (7) 및 (8)을 만족하도록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유리 전이 온도를 제어하면 토너의 저온정착성 및 표면 형상 따라서 고온보관성을 개선하는 데 더 효과적이다.Controlling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to satisfy the conditions (7) and (8) in the production of the t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sults in low temperature fixability and surface shape of the toner and thus high temperature storag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ex

12.0 kDa ≤ Mw(A) ≤ 25.0 kDa (7), 및12.0 kDa ≦ Mw (A) ≦ 25.0 kDa (7), and

55℃ ≤ Tg(A) ≤ 70℃ (8),55 ° C. ≦ Tg (A) ≦ 70 ° C. (8),

여기에서, Mw(A)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HF 가용성 성분에 대하여 GPC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단위: kDa = 1,000 g/mol)을 나타내며, Tg(C)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이다.Here, Mw (A) represent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unit: kDa = 1,000 g / mol) measured using the GPC method for the THF soluble component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and Tg (C) represents the amorphous poly It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unit: degreeC) of ester resin.

조건 (7)의 수치 범위는 12.0 kDa 이상 22.0 kDa 이하, 12.0 kDa 이상 20.0 kDa 이하, 12.0 kDa 이상 18.0 kDa 이하, 12.0 kDa 이상 16.0 kDa 이하, 또는 12.0 kDa 이상 15.0 kDa 이하일 수 있다.The numerical range of condition (7) may be 12.0 kDa or more, 22.0 kDa or less, 12.0 kDa or more, 20.0 kDa or less, 12.0 kDa or more, 18.0 kDa or less, 12.0 kDa or more, 16.0 kDa or less, or 12.0 kDa or more and 15.0 kDa or less.

조건 (8)의 수치 범위는 55℃ 이상 70℃ 이하, 58℃ 이상 68℃ 이하, 60℃ 이상 68℃ 이하, 또는 62℃ 이상 68℃ 이하일 수 있다.The numerical range of condition (8) may be 55 degreeC or more and 70 degrees C or less, 58 degreeC or more and 68 degrees C or less, 60 degrees C or more, 68 degrees C or less, or 62 degrees C or more and 68 degrees C or less.

따라서, 본 개시에 따라 토너의 코어 입자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형제 사이의 용해도 상수 값 차이, 분자량 및 함량 등을 상기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토너 구성성분들 사이의 상용성을 엄격히 제어함으로써 저온 정착성, 광택도 및 고온 보관성 등을 동시에 만족하는 토너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low temperature fixability by strictly controlling the compatibility between toner components by controlling the solubility constant value difference, molecular weight and content between the polyester resin and the release agent used for the core particles of the t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s described above. Toner that satisfies the glossiness, high temperature storage property, and the like at the same time can be provided.

상기 토너는, 철(Fe), 규소(Si) 및 아연(Zn)을 포함하고, 상기 Si 및 Fe의 함량은 각각 3 내지 1000 ppm일 수 있으며, 상기 Si 및 Fe의 몰비 (Si/Fe)가 0.1 내지 5일 수 있으며, 형광 X 선 측정에 의한 규소 강도를 [Si], 아연 강도를 [Zn], 철 강도를 [Fe]라고 할 때, [Si]/[Fe] 및 [Zn]/[Fe]가 하기 조건 (9) 및 (10)을 만족할 수 있다.The toner may include iron (Fe), silicon (Si), and zinc (Zn), and the content of Si and Fe may be 3 to 1000 ppm, respectively, and the molar ratio (Si / Fe) of Si and Fe may be It may be 0.1 to 5, and when the silicon strength by fluorescence X-ray measurement [Si], the zinc strength [Zn], the iron strength is [Fe], [Si] / [Fe] and [Zn] / [ Fe] may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9) and (10).

0.0005 ≤ [Si]/[Fe] ≤ 0.05 (9), 및0.0005 ≦ [Si] / [Fe] ≦ 0.05 (9), and

0.0005 ≤ [Zn]/[Fe] ≤ 0.5 (10).0.0005 ≦ [Zn] / [Fe] ≦ 0.5 (10).

아연 강도 [Zn]은 토너의 라텍스, 즉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중합하는 공정에서 촉매로서 사용된 아연 함유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아연의 함량에 대응되는 값이다. 아연 강도 [Zn]이 너무 적으면 중합 반응의 효율이 상당히 저하되어 반응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한 너무 과다하면 반응속도가 빨라 그 제어가 어려우며 분자량이 크게 증가하여 추후 제조된 토너의 저온 정착시에 부적합할 수 있고, 또한 최종 토너의 전기적 특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적정한 범위로 조절될 필요가 있다. 철 강도 [Fe]는 토너의 제조시 라텍스, 착색제 및 이형제를 응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응집제(coagulant) 내의 철의 함량에 대응되는 값이다. 철 강도 [Fe]는 최종 토너를 제조하기 위한 전구체에 해당하는 응집 토너의 응집성, 입도 분포,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규소 강도 [Si]는 토너 제조시에 사용된 응집제 또는 토너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첨가된 실리카 외첨제로부터 유래된 규소의 함량에 대응하는 값이다. 규소 강도 [Si]는 상기의 철과 같은 효과를 갖는 이외에 토너의 유동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Zinc strength [Zn] i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zinc derived from a zinc-containing compound used as a catalyst in the process of polymerizing a latex of a toner, i.e., a polyester resin. If the zinc strength [Zn] is too small, the efficiency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considerably reduced, and the reaction time is long, and if too much, the reaction rate is fast, the control is difficult, and the molecular weight is greatly increased. And may adversely affec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toner, so it needs to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range. Iron strength [Fe] i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iron content in the coagulant used to aggregate the latex, colorant and release agent in the production of the toner. Iron strength [Fe] can affect the cohesiveness,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size of the cohesive toner corresponding to the precursor for producing the final toner. Silicon strength [Si] i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silicon derived from the coagulant used in the manufacture of the toner or the silica external additive added to ensure the fluidity of the toner. Silicon strength [Si] may affect the flowability of the toner in addition to having the same effect as the above iron.

아연 강도 [Zn] 대 철 강도 [Fe]의 비인, [Zn]/[Fe]는 예를 들면, 약 5.0 x 10 내지 약 5.0 x 10, 구체적으로 약 5.0 x 10 내지 약 5.0 x 10일 수 있다. [Zn]/[Fe]의 값이 상기 범위의 값을 가지면, 라텍스 제조시의 적절한 응집속도 및 응집도, 및 토너의 대전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Zn] / [Fe], which is the ratio of zinc strength [Zn] to iron strength [Fe], may be, for example, about 5.0 × 10 to about 5.0 × 10, specifically about 5.0 × 10 to about 5.0 × 10. . If the value of [Zn] / [Fe] has a value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appropriate aggregation rate and agglomeration degree and chargeability of the toner at the time of latex production.

규소 강도 [Si] 대 철 강도 [Fe]의 비인, [Si]/[Fe]는 예를 들면, 약 5.0 x 10 내지 약 5.0 x 10, 구체적으로는 약 8.0 x 10 내지 약 3.0 x 10 또는 약 1.0 x 10 내지 약 1.0 x 10일 수 있다. [Si]/[Fe]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토너의 유동성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청결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Si] / [Fe], which is the ratio of silicon strength [Si] to iron strength [Fe], is for example about 5.0 x 10 to about 5.0 x 10, specifically about 8.0 x 10 to about 3.0 x 10 or about 1.0 x 10 to about 1.0 x 10. If [Si] / [Fe] is in the above range, it is advantageous to maintain the fluidity of the toner and the cleanlines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규소 강도 [Si], 아연 강도 [Zn], 및 철 강도 [Fe]는 시마즈(SHIMADZU)사의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EDX-720)를 이용하여 형광 X선 측정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시 X선 관전압은 50kV이고, 샘플 성형량은 3g±0.01g으로 하였다. 형광 X선 측정으로 얻은 규소 강도 [Si], 아연 강도 [Zn], 및 철 강도 [Fe](단위: cps/uA)의 값을 각 샘플의 이온 강도비 [Zn]/[Fe] 및 [Si]/[Fe]를 계산할 수 있다.Silicon strength [Si], zinc strength [Zn], and iron strength [Fe] were measured by fluorescent X-ray spectroscopy using an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EDX-720) manufactured by Shimadzu. The X-ray tube voltage was 50 kV and the sample molding amount was 3 g ± 0.01 g at the time of measurement. The values of silicon strength [Si], zinc strength [Zn], and iron strength [Fe] (in cps / uA) obtained by fluorescence X-ray measurements were determined using the ionic strength ratios [Zn] / [Fe] and [Si] of each sample. ] / [Fe] can be calculat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입자의 코어 입자는 착색제를 포함한다. 착색제는 블랙 착색제, 시안 착색제, 마젠타 착색제, 옐로우 착색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re particle of the toner particles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colorant. Colorants can include black colorants, cyan colorants, magenta colorants, yellow colorants, or any combination thereof.

블랙 착색제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아닐린 블랙,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The black colorant can be, for example, carbon black, aniline black, or mixtures thereof.

옐로우 착색제는, 예를 들면, 축합 질소 화합물, 이소인돌리논 화합물, 안트라퀴논 화합물, 아조 금속 착제, 알릴 이미드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옐로우 착색제는, "C.I. 피그먼트 옐로우" 12, 13, 14, 17, 62, 74, 83, 93, 94, 95, 109, 110, 111, 128, 129, 147, 168 또는 180 등일 수 있다.The yellow colorant may be, for example, a condensed nitrogen compound, an isoindolinone compound, an anthraquinone compound, an azo metal complex, an allyl imide compound, or a mixture thereof. More specific non-limiting example, yellow colorant is "CI Pigment Yellow" 12, 13, 14, 17, 62, 74, 83, 93, 94, 95, 109, 110, 111, 128, 129, 147 , 168 or 180 and the like.

마젠타 착색제는, 예를 들면, 축합 질소 화합물, 안트라퀴논 화합물, 퀴나크리돈 화합물, 염기 염료 레이트 화합물, 나프톨 화합물, 벤조이미다졸 화합물, 티오인디고 화합물, 페릴렌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마젠타 착색제는, "C.I. 피그먼트 레드" 2, 3, 5, 6, 7, 23, 48:2, 48:3, 48:4, 57:1, 81:1, 122, 144, 146, 166, 169, 177, 184, 185, 202, 206, 220, 221, 또는 254 등일 수 있다.Magenta colorants can be, for example, condensed nitrogen compounds, anthraquinone compounds, quinacridone compounds, base dye rate compounds, naphthol compounds, benzoimidazole compounds, thioindigo compounds, perylene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More specific non-limiting examples include, for example, magenta colorants, "CI Pigment Red" 2, 3, 5, 6, 7, 23, 48: 2, 48: 3, 48: 4, 57: 1, 81: 1. , 122, 144, 146, 166, 169, 177, 184, 185, 202, 206, 220, 221, 254, or the like.

시안 착색제는, 예를 들면, 구리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그 유도체, 안트라퀴논 화합물, 염기성 염료 레이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시안 착색제는, "C.I. 피그먼트 블루" 1, 7, 15, 15:1, 15:2, 15:3, 15:4, 60, 62, 또는 66 등일 수 있다.The cyan colorant may be, for example, a copper phthalocyanine compound and derivatives thereof, an anthraquinone compound, a basic dye lake, or a mixture thereof.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cyan colorant may be “C.I. Pigment Blue” 1, 7, 15, 15: 1, 15: 2, 15: 3, 15: 4, 60, 62, 66, or the like.

이러한 착색제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색상, 채도, 명도, 내후성, 및 토너 입자 중에서의 분산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Such colorants may be used alone or in ad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and a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hue, saturation, lightness, weather resistance, and dispersibility in toner particles.

착색제의 함량은 토너를 착색하기에 충분한 양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토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0.5 내지 약 15 중량부, 약 1 내지 약 12 중량부, 또는 약 2 내지 약 10 중량부일 수 있다. 착색제의 함량이 토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 중량부 이상이면, 착색효과가 충분히 발현될 수 있다. 15 중량부 이하이면, 토너의 제조원가의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충분한 마찰 대전량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colorant is sufficient to be sufficient to color the toner. For example, it may be about 0.5 to about 15 parts by weight, about 1 to about 12 parts by weight, or about 2 to about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oner. When the content of the colorant is 0.5 parts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ner, the coloring effect can be sufficiently expressed. If it is 15 parts by weight or less, a sufficient amount of triboelectric charge can be provided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the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oner.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의 부피 평균 입경은 3 내지 9㎛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4 내지 약 8 ㎛, 약 4.5 내지 약 7.5㎛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토너 입자가 작을수록, 높은 해상도 및 고화질을 얻는데 유리하지만, 동시에, 전사 속도 및 세정력의 관점에서는 불리하기 때문에 적정한 입경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토너의 부피 평균 입경은 전기저항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토너 입자의 부피 평균 입경이 약 3 ㎛ 이상이면, 감광체 클리닝이 용이하고, 양산 수율이 개선되고, 비산으로 인한 문제가 방지되며, 높은 해상도 및 고질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토너 입자의 부피 평균 입경이 약 9 ㎛ 이하이면, 대전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토너의 정착성이 개선되며, 닥터 블레이드가 토너층을 규제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3 to 9 μm. For example, about 4 to about 8 μm, about 4.5 to about 7.5 μm. In general, the smaller the toner particles, the more advantageous it is to obtain high resolution and high image quality, but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to have an appropriate particle size because it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transfer speed and cleaning power.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oner can be measured by the electrical resistance method. When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oner particles is about 3 μm or more, the photoconductor is easy to clean, the yield of mass production is improved, the problem due to scattering is prevented, and high resolution and high quality images can be obtained. When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oner particles is about 9 μm or less, charging can be uniformly performed, fixing of the toner is improved, and the doctor blade can easily regulate the toner layer.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약 0.940 내지 약 0.98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값은 0.945 내지 0.975, 또는 0.950 내지 0.970일 수 있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는 아래에 설명된 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다. 원형도 값은 0 내지 1 사이의 값이고, 원형도 값이 1에 가까울수록 구형에 가까워진다. 토너 입자의 평균 원형도가 약 0.940 이상이면, 전사재 상에 현상된 화상의 높이가 적절하여 토너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고, 토너 입자들 사이의 공극이 너무 커지지 않아서 전사재 상에 현상된 화상 상의 충분한 피복률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토너의 평균 원형도가 약 0.980 이하이면, 토너가 과다하게 현상 슬리브 상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슬리브가 토너와 함께 그 위에 불균일하게 피복되어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The average circularity of the toner particles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bout 0.940 to about 0.980. For example, this value can be 0.945 to 0.975, or 0.950 to 0.970. The average circularity of the toner particles can be calculated by the method described below. The circularity value is a value between 0 and 1, and the closer the circularity value is to 1, the closer to the sphere. When the average circularity of the toner particles is about 0.940 or more, the height of the image developed on the transfer material is appropriate to reduce the toner consumption, and the gap between the toner particles is not so large that the image on the image developed on the transfer material Sufficient coverage can be obtained. If the toner has an average circularity of about 0.980 or l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ner from being excessively supplied onto the developing sleeve, thereby improving the problem of uneven coating of the sleeve with the toner, resulting in contamination.

토너 입도 분포의 지표로는 아래에 정의되는 바와 같은 체적 평균 입도 분포 지표 GSDv 또는 수평균 입도 분포 지표 GSDp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입자의 GSDv 및 GSDp 값은 각각 약 1.30 이하 및 1.25 이하일 수 있다. GSDv 값은 1.30 이하, 예를 들면, 1.15 내지 1.30일 수 있다. GSDp 값은 1.25 이하, 예를 들면, 1.20 내지 1.25일 수 있다. GSDv 값 및 GSDp 값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면, 균일한 토너의 입자경을 얻을 수 있다. GSDv 및GSDp 값은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방법에 따라 측정된 것이다. As an index of the toner particle size distribution,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dex GSDv or the number averag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dex GSDp as defined below may be used. The GSDv and GSDp values of the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ing toner particl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bout 1.30 or less and 1.25 or less, respectively. The GSDv value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1.30, for example, from 1.15 to 1.30. The GSDp value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1.25, for example, from 1.20 to 1.25. If the GSDv value and the GSDp value satisfy the above ranges, a uniform particle size of the toner can be obtained. GSDv and GSDp value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화상 현상용 토너 입자는 위에서 설명한 코어 입자상에 쉘 층이 피복되어 있다. 상기 쉘 층은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제2 바인더 수지로 이루어진다. 쉘 층은 코어 입자 중에 포함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및 이형제 등과 같이 토너 입자의 대전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결정성 물질이 표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토너 입자의 대전안정성 및 내구성을 함께 증가시킨다.In the electrostatic image developing toner particl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hell layer is coated on the core particles described above. The shell layer is made of a second binder resin containing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The shell layer prevents the surface of crystalline materials that adversely affect the chargeability of the toner particles, such as the crystalline polyester and the release agent included in the core particles, to increase the charge st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toner particles.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는 응집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응집법은, 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 분산액, 착색제 분산액 및 이형제 분산액을 혼합한 후, 이들 입자들을 응집시킨 다음, 이렇게 얻은 응집체를 융합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는 상기 결정성 및 비결정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이형제의 상용성 조절 이외에 소입경화 및 입도 분포의 정밀제어에 유리한 에멀젼 응집(emulsion aggregation: EA)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는 환경에 대한 내구성뿐만 아니라 색 발현성, 저온정착성, 대전안정성 및 고온 보관성이 우수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고화질의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코어/쉘 구조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는 에멀젼 응집(EA)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produced by a flocculation method. The agglomeration method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mixing a binder resin dispersion, a colorant dispersion and a release agent dispersion, then agglomerating these particles and then fusing the aggregate thus obtained. In particular, the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ing t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n emulsion aggregation (EA) method, which is advantageous for precise control of particle size hardening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addition to controlling compatibility of the crystalline and amorphous polyester resin and a release agent. It can be prepared using. In particular, the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ing t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excellent in color development, low temperature fixability, charge stability, and high temperature storage as well as durability to the environment, thereby stably forming a high quality image over a long period of time. Can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core / shell structure. The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ing t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llowing manner by using an emulsion aggregation (EA) method.

먼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합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상 전환 유화(phase inversion emulsification)에 의해 약 100 nm 내지 약 300 nm 크기의 폴리에스테르 라텍스를 얻는다. 폴리에스테르 라텍스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칼리 화합물, 선택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수상(aqueous phase)중에 분산시킨 후 상전환 유화법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한 라텍스 제조 공정은 크게 용해/중화(dissolution/neutralization), 유화, 용매 증발의 단계를 거친다. 용해/중화 단계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유기 용매 중에 용해하여 폴리에스테르 유기용액을 생성한다. 유기 용매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해할 수 있는 공지의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유화 단계에서는 제조된 수지 용액에 알칼리 화합물과 물을 첨가하여 상전환 유화를 실시한다. 필요한 경우, 이때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알칼리 화합물의 양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로부터 얻어지는 카르복실산기의 양에 대하여 당량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First, the polyester resin polymerized as described above is subjected to phase inversion emulsification to obtain a polyester latex having a size of about 100 nm to about 300 nm. Polyester latexes can be obtained by phase inversion emulsification after the polyester resins, alkali compounds, and optionally surfactants are dispersed in the aqueous phase. The latex manufacturing process by this method is largely subjected to the steps of dissolution / neutralization, emulsification, and solvent evaporation. In the dissolution / neutralization step, the polyester resin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to produce a polyester organic solution. As an organic solvent, the well-known solvent which can melt | dissolve polyester resin can be used. In the emulsification step, the alkali conversion compound and water are added to the prepared resin solution to perform phase change emulsification. If necessary, a surfactant may be added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alkali compound can be determined so as to be equivalent to the amount of the carboxylic acid group obtained from the acid value of the polyester resin.

이어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라텍스 입자, 안료 분산액, 이형제 및 응고제(coagulant)를 선택적으로 균질화제(homogenizer)와 함께 혼합하고 교반한다. 그 후, 전단력 유도 응집 메커니즘(shear-induced aggregation mechanism)을 이용하여 코어 입자에 해당하는 1차 응집체(primary aggregates)를 생성한다. 계속하여, 약 25℃ 내지 약 70℃(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g 이하), 더 구체적으로는 약 35℃ 내지 약 60℃에서 추가로 라텍스를 투입하여 코어 입자 위에 쉘 층을 형성 후, 약 85℃ 내지 약 100℃(Tg 보다 대략 20 ~ 50℃ 높은 온도)에서 응집 과정(coalescence process)을 진행한다. 그 결과, 약 3 내지 약 9 ㎛, 구체적으로 약 5 내지 약 7 ㎛의 코어/쉘 구조의 1차 토너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응집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응고제는, 예를 들면 수도기공(SUIDO KIKO CO., LTD.)으로부터 상품명 PSI-025, PS1-050, PSI-075, 또는 PSI-100으로 입수할 수 있는 폴리실리케이토철(polysilicato iron)을 포함한다. 이 응고제는 낮은 온도에서 소량을 사용해도 강한 응집력을 나타내며, 무엇보다도 철 및 실리카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3가 폴리알루미늄 응고제(trivalent polyaluminum coagulant)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잔류 알루미늄이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sulting polyester latex particles, pigment dispersions, mold release agents and coagulants are then optionally mixed with a homogenizer and stirred. Then, shear-induced aggregation mechanisms are used to generate primary aggregates corresponding to the core particles. Subsequently, at about 25 ° C. to about 70 ° C. (less than the Tg of the polyester resin), more specifically, at about 35 ° C. to about 60 ° C., additional latex was added to form a shell layer on the core particles, and then about 85 ° C. to about Coalescence process is performed at about 100 ° C (approximately 20 ~ 50 ° C higher than Tg). As a result, primary toner particles having a core / shell structure of about 3 to about 9 mu m, specifically about 5 to about 7 mu m, can be obtained. Coagulants which can be used in the flocculation process are, for example, polysilicato available under the tradename PSI-025, PS1-050, PSI-075, or PSI-100 from SUIDO KIKO CO., LTD. Iron (polysilicato iron). This coagulant exhibits strong coagulation even at low temperatures, and, above all, has iron and silica as its main components, and therefore the adverse effects of residual aluminum on the environment and human body compared to trivalent polyaluminum coagulant. Can be prevented.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토너 입자의 표면에는 외첨제가 부착될 수 있다. 외첨제의 주기능 중의 하나는 토너 입자들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토너 분말이 유동성(fluidity)을 유지하는 것이다. 사용될 수 있는 외첨제는 발연 실리카(fumed silica) 또는 졸겔 실리카와 같은 실리카 입자, TiO2 입자, 란타늄 스트론튬 티타네이트(LaSrTiO3) 입자를 포함한다. 토너 입자의 표면에 외첨제 입자를 부착하는 것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분말 혼합 장치(powder mixing apparatus)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인 비제한적인 분말 혼합 장치로서는, 헨쉘믹서(Henshell mixer), V형 믹서(V-shape mixer), 볼밀(ball mill) 또는 나우타 믹서(nauta mixer)가 사용될 수 있다.An external additive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ner particl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the external additive is to keep the toner powder fluid by preventing the toner particles from sticking to each other. External additives that may be used include silica particles such as fumed silica or sol gel silica, TiO 2 particles, lanthanum strontium titanate (LaSrTiO 3 ) particles. Attaching the external additive particles to the surface of the toner particles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a powder mixing apparatus. As a specific non-limiting powder mixing apparatus, a Henshell mixer, a V-shape mixer, a ball mill or a nauta mixer may be used.

이하,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토너 공급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Hereinafter, a toner supply apparatus,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further described.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토너 공급 장치는 상기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채용한 토너 공급 장치이다. 예를 들면, 상기 토너 공급 장치는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탱크; 상기 토너 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저장된 토너를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토너 탱크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의 상부를 포함하는 상기 토너 탱크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 부분에 있는 토너를 교반할 수 있는 토너 교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토너가 상기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토너인 토너 공급 장치일 수 있다.A ton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toner supply apparatus employing the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the toner supply device includes a toner tank for storing toner; A supply unit which protrudes into the toner tank and supplies stored toner to the outside; And a toner stirring member installed to rotate inside the toner tank and capable of stirring the toner in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space of the toner tank including an upper portion of the supply unit. It may be a toner supply apparatus which is a ton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예를 들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 토너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서 정전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기 위해 상기 토너를 상담지체의 표면에 공급하는 토너 공급 수단; 및 상기 가시상을 상담지체 표면에서 화상 수용 부재에 전사하는 토너 전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토너가 상기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토너인 화상 형성 장치일 수 있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above-mentioned electrostatic image developing ton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may include a counseling member; Image forming means for form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surface of said consultation member; Means for storing toner; Ton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toner to the surface of the consultation body to develop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on the surface of the consultation body as a visible image; And toner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visible image from the surface of the consultation support body to the image receiving member, wherein the toner is an ton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정전하상이 형성된 상담지체 표면, 예를 들면 전자사진 감광체 표면에 토너를 부착시켜 가시상을 형성하고, 상기 가시상을 화상 수용 부재, 예를 들면 전사재에 전사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토너가 상기한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토너인 화상 형성 방법이다. 상기 화상 형성 방법은 전자사진법일 수 있다. 전자사진 공정은 일반적으로 정전하상 담지체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을 시키기 위한 대전 단계, 대전시킨 정전하상 담지체 상에 다양한 광전도성 물질을 사용하여 정전기적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는 노광 단계, 상기 정전기적 잠상에 토너 등의 현상제를 부착시켜 가시상(예를 들면, 토너상)을 현상하는 현상 단계, 가시상을 종이와 같은 전사재 위에 이송하는 전사 단계, 전사되지 않고 남은 토너를 정전기적 잠상 담지체로부터 제거하는 클리닝 단계, 정전기적 잠상 담지체의 잔류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 단계, 및 열이나 압력에 의해 가시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토너는 이러한 전자사진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An image 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ms a visible image by adhering toner to a surface of a consultation support body on which an electrostatic image is formed, for example, a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member, and forming the visible image, and transferring the visible image to an image receiving member, such as a transfer. A process for transferring to ash, wherein said toner is a t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The image forming method may be electrophotographic. The electrophotographic process generally includes a charging step for uniformly charging th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image carrier, an exposure step of form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using various photoconductive materials on the charged electrostatic image carrier, A developing step of developing a visible image (e.g., a toner image) by attaching a developer such as toner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a transferring step of transferring the visible image onto a transfer material such as paper, and electrostatic discharge of toner remaining without transfer A cleaning step of removing from the latent latent image carrier, an antistatic step of removing residual charge of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carrier, and a fixing step of fixing the visible image by heat or pressure. At this time, the to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usefully used for such an electrophotographic method.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개시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Example

실시예 1-5 및 비교예 1-9에서 사용한 각종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 및 이형제의 물성은 아래 표 1에 종합한 바와 같다. 아래에서 특별히 언급이 없는 경우 %는 중량%를 의미한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various polyester binder resins and the release agent used in Example 1-5 and Comparative Example 1-9 are as summarized in Table 1 below. % Means weight% unless otherwise stated below.

표 1에서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형제의 유리전이온도 Tg 및 용융 온도 Tm는 아래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 값이다. Mw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THF 가용 성분에 대하여 GPC 방법에 의해 측정된 중량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In Table 1,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nd the melting temperature Tm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nd the release agent are the value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below. Mw represent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easured by GPC method with respect to THF soluble component of a polyester resin.

용해도 상수(SP) [(J/cm3)0.5]Solubility Constant (SP) [(J / cm 3 ) 0.5 ] 분자량
(kDa)
Molecular Weight
(kDa)
Tg
(℃)
Tg
(℃)
Tm
(℃)
Tm
(℃)
비고Remarks
A1A1 11.3611.36 14.414.4 63.563.5 -- 비결정성 PES* 수지
(Kao사, KUG-17/KUG-19의 혼합물)
Amorphous PES * resin
(Kao, Mixture of KUG-17 / KUG-19)
A2A2 11.4111.41 21.621.6 62.362.3 -- 비결정성 PES 수지
(Kao사, KUG-17/KUG-19의 혼합물)
Amorphous PES resin
(Kao company, mixture of KUG-17 / KUG-19)
A3A3 11.0111.01 18.618.6 68.268.2 -- 비결정성 PES 수지
(Kao사, KUG-17/KUG-19의 혼합물)
Amorphous PES resin
(Kao company, mixture of KUG-17 / KUG-19)
A4A4 10.7010.70 26.426.4 63.163.1 -- 비결정성 PES 수지
(Kao사, KUG-17/KUG-19의 혼합물)
Amorphous PES resin
(Kao company, mixture of KUG-17 / KUG-19)
A5A5 11.8411.84 21.621.6 62.362.3 -- 비결정성 PES 수지
(Kao사, KUG-17/KUG-19의 혼합물)
Amorphous PES resin
(Kao company, mixture of KUG-17 / KUG-19)
C1C1 9.64 9.64 7.27.2 -- 67.367.3 결정성 PES 수지
(SK 케미칼, CPE-105)
Crystalline PES resin
(SK Chemicals, CPE-105)
C2C2 9.75 9.75 28.028.0 -- 67.967.9 결정성 PES 수지
(SK 케미칼, CPE-106)
Crystalline PES resin
(SK Chemicals, CPE-106)
C3C3 9.79 9.79 23.123.1 -- 68.168.1 결정성 PES 수지
(SK 케미칼, CPE-106)
Crystalline PES resin
(SK Chemicals, CPE-106)
C4C4 9.83 9.83 19.219.2 -- 67.067.0 결정성 PES 수지
(SK 케미칼, CPE-106)
Crystalline PES resin
(SK Chemicals, CPE-106)
C5C5 9.86 9.86 15.515.5 -- 67.267.2 결정성 PES 수지
(SK 케미칼, CPE-106)
Crystalline PES resin
(SK Chemicals, CPE-106)
C6C6 9.67 9.67 13.513.5 -- 66.366.3 결정성 PES 수지
(SK 케미칼, CPE-106)
Crystalline PES resin
(SK Chemicals, CPE-106)
W1W1 8.37 8.37 -- -- 72.472.4 파라핀계 왁스와 에스테르계 왁스의 혼합물
(중경유지사, T-289)
Mixture of Paraffin Wax and Ester Wax
Chongqing Branch, T-289
W2W2 8.61 8.61 -- -- 69.169.1 에스테르기 함유 파라핀계 왁스
(중경유지사, P-787)
Ester group-containing paraffin wax
(Chongqing Branch, P-787)
W3W3 8.06 8.06 -- -- 73.673.6 파라핀계 왁스
(Sasol사, NCM9385)
Paraffin wax
(Sasol, NCM9385)

* PES: 폴리에스테르 * PES: Polyester

[제조예 1] [Production Example 1]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A1을 포함하는 라텍스 A1의 제조 Preparation of Latex A1 Including Amorphous Polyester Resin A1

3L 이중자켓 반응기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A1 약 500g, 메틸에틸케톤(MEK) 약 400g, 및 이소프로필알콜(IPA) 약 100g을 투입하고 약 30℃에서 앵커 타입(anchor type)의 기계적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용해하였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수지 용액을 교반하면서 암모니아 10% 수용액 약 30g을 서서히 첨가하고, 그 후 계속 교반하면서 약 1,500g의 물을 약 50g/min의 속도로 첨가하여 에멀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멀전으로부터 감압증류 방법에 의해 용제를 제거하여 고형분 농도가 약 25%인 라텍스 A1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라텍스 A1에 대하여 입도측정기(Microtrac Bluewave)를 이용하여 입도측정한 결과, 부피 평균 입경(volume average diameter) D50은 약 135nm이고, GSDv는 약 1.10이었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입경 D50은 부피 분포를 기준으로 상기 실리카 입자들의 누적 분포 곡선에서 누적 백분율이 50%에 해당하는 입경을 나타낸다.Into a 3L double jacket reactor, about 500 g of polyester resin A1, about 400 g of methyl ethyl ketone (MEK), and about 100 g of isopropyl alcohol (IPA) were added and dissolved by stirring with an anchor type mechanical stirrer at about 30 ° C. It was. About 30 g of ammonia 10% aqueous solution was slowly added while stirring the obtained polyester resin solution, and about 1,500 g of water was added at a rate of about 50 g / min while continuing stirring to prepare an emulsion. The solvent was removed from the emulsion by a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to prepare latex A1 having a solid content of about 25%.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latex A1 was measured using a particle size analyzer (Microtrac Bluewave). As a result, the volume average diameter D50 was about 135 nm, and the GSDv was about 1.1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D50 represents a particle diameter corresponding to a cumulative percentage of 50% in the cumulative distribution curve of the silica particles based on the volume distribution.

[제조예 2] [Production Example 2]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C1을 포함하는 라텍스 C1의 제조Preparation of Latex C1 Including Crystalline Polyester Resin C1

3L 이중자켓 반응기에 수지 C1 약 500g, MEK 약 400g 및 IPA 약 100g을 투입하고 약 60℃ 정도에서 앵커 타입의 기계적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용해하였다. 얻어진 수지용액을 교반하면서 암모니아 10% 수용액 약 30g을 서서히 첨가하고, 그 후 계속 교반하면서 약 1500g의 물을 약 50g/min의 속도로 첨가하여 에멀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멀전으로부터 감압증류 방법에 의해 용제를 제거하여 고형분 농도가 약 25%인 라텍스 C1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라텍스 C1에 대하여 입도측정기(Microtrac Bluewave)를 이용하여 입도측정한 결과, 부피 평균 입경 D50은 약 140nm이고, GSDv는 약 1.11이었다.About 500 g of resin C1, about 400 g of MEK, and about 100 g of IPA were added to a 3L double jacket reactor, and dissolved by stirring with an anchor type mechanical stirrer at about 60 ° C. About 30 g of ammonia 10% aqueous solution was slowly added while stirring the obtained resin solution, and about 1500 g of water was then added at a rate of about 50 g / min while continuing stirring to prepare an emulsion. The solvent was removed from the prepared emulsion by vacuum distillation to prepare latex C1 having a solid content of about 25%. The particle size of the prepared latex C1 was measured using a particle size analyzer (Microtrac Bluewave). As a result,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D50 was about 140 nm, and the GSDv was about 1.11.

[제조예 3][Manufacture example 3]

착색제 분산액의 제조Preparation of Colorant Dispersion

음이온성 반응성 유화제(HS-10; DAIICH KOGYO) 약 10g을 취하여 시안 안료(PB 15:4) 약 60g과 함께 밀링 배스에 넣고 0.8 내지 1mm 직경의 글래스 비드 약 400g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밀링하여 착색제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분산기는 초음파 분산기 또는 마이크로플루다이저(microfludizer)를 사용할 수 있다. Take about 10 g of anionic reactive emulsifier (HS-10; DAIICH KOGYO), add about 60 g of cyan pigment (PB 15: 4) to a milling bath, add about 400 g of 0.8-1 mm diameter glass beads, and mill at room temperature to disperse the colorant dispersion. Was prepared. The disperser may use an ultrasonic disperser or a microfludizer.

[이형제 분산액]Release Agent Dispersion

위 표 1에 나타낸 중경유지에서 구입한 왁스 분산액을 사용하였다.Wax dispersions purchased from heavy oils and fats shown in Table 1 were used.

[실시예 1]Example 1

응집 및 토너의 제조Agglomeration and Preparation of Toner

1L 반응기에 탈이온수 약 316g, 라텍스 A1 약 250g 및 라텍스 C2 약 57g을 넣고 약 350 rpm으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기에 제조예 3에서 얻은 시안 안료 분산액 (HS-10 100%) 약 35g 및 왁스 분산액 P-419(중경유지) 약 28g을 넣은 후, 0.3N 농도의 질산 30g(0.3mol) 및 응집제로서 12%의 PSI-100(주식회사 수도기공) 15g을 더 넣고 균질화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약 11,000rpm에서 약 6분간 교반하면서 단계적으로 약 45℃까지 가열하여 부피 평균 입경 D50이 0.5 내지 3 ㎛인 미니 토너를 제조하였다. 이후, 2시간 동안 응집 반응을 더 진행시켜서 4 내지 5 ㎛의 부피 평균 입경을 갖는 1차 응집 토너를 얻었다.In a 1 L reactor, about 316 g of deionized water, about 250 g of latex A1, and about 57 g of latex C2 were added and stirred at about 350 rpm. About 35 g of the cyan pigment dispersion (HS-10 100%)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3 and about 28 g of the wax dispersion P-419 (heavy oils and fats) were added to the reactor, followed by 30 g (0.3 mol) of nitric acid at 0.3 N concentration and 12 as a flocculant. Add 15 g of% PSI-100 (Water Works, Inc.), and gradually heat to about 45 ° C by stirring for about 6 minutes at about 11,000 rpm using a homogenizer, and have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D50 of 0.5 to 3 μm. Toner was prepared. Thereafter, the aggregation reaction was further performed for 2 hours to obtain a primary aggregation toner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4 to 5 탆.

이어서, 상기 반응기에 쉘층용으로 제조된 라텍스 A2 약 150g을 첨가하고, 부피 평균 입경이 5 내지 6 ㎛이 되면 NaOH(1mol)를 첨가하여 pH를 약 7로 조절하였다. 약 10분간 부피 평균 입경 D50의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약 95℃까지 승온(0.5℃/min)하였다. 약 95℃ 도달 후 질산(0.3mol)을 첨가하여 pH를 약 5.7로 맞춘 후, 4 내지 5 시간 융합(fusing)하여 부피 평균 입경이 5.5 내지 6.5 ㎛의 포테이토 형상의 2차 응집 토너를 얻었다. 이어서 응집 반응액을 Tg 아래로 식힌 다음 여과과정을 거쳐 토너입자를 분리하고 건조시켰다.Subsequently, about 150 g of latex A2 prepared for the shell layer was added to the reactor, and when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was 5 to 6 µm, NaOH (1 mol) was added to adjust the pH to about 7. When the value of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D50 was kept constant for about 10 minutes, it heated up to about 95 degreeC (0.5 degreeC / min). After reaching 95 DEG C, nitric acid (0.3 mol) was added to adjust the pH to about 5.7, followed by fusing for 4 to 5 hours to obtain a potato-shaped secondary coagulation toner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of 5.5 to 6.5 mu m. Subsequently, the agglomeration reaction solution was cooled to below Tg, and toner particles were separated by filtration and dried.

믹서(KM-LS2K, 대화테크)내에 건조된 토너입자 약 100g, 실리카 입자 NX-90(Nippon Aerosil) 약 0.5g, 실리카 입자 RX-200(Nippon Aerosil) 약 1.0g, 및 이산화티타늄 입자 SW-100(Titan Industry Co. LTD.) 약 0.5g를 첨가하고 약 8,000rpm에서 4 분간 교반함으로써 토너 입자에 외첨제를 첨가하였다. 이에 의하여 부피 평균 입경이 5.5 내지 6.0㎛인 토너를 얻었다. 상기 토너 입자의 PSDv 및 PSDp 값은 각각 약 1.22 및 약 1.23이었다. 또한, 상기 토너의 평균 원형도는 0.972이었다.About 100 g of toner particles dried in a mixer (KM-LS2K, Daehwa Tech), about 0.5 g of silica particles NX-90 (Nippon Aerosil), about 1.0 g of silica particles RX-200 (Nippon Aerosil), and titanium dioxide particles SW-100 (Titan Industry Co. LTD.) An external additive was added to the toner particles by adding about 0.5 g and stirring at about 8,000 rpm for 4 minutes. This obtained a toner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5 to 6.0 mu m. The PSDv and PSDp values of the toner particles were about 1.22 and about 1.23,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verage circularity of the toner was 0.972.

[실시예 2-5 및 비교예 1-9]Example 2-5 and Comparative Example 1-9

응집 및 토너의 제조Agglomeration and Preparation of Toner

코어 입자용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형제의 종류를 아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예 2-5 및 비교예 1-9의 토너 입자를 제조하였다. 이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라텍스,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라텍스 및 이형제 분산액은 제조예 1-3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Example 2-5 and Comparative Example according to the same method as Example 1 except for changing the kind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for the core particles, and the release agent as shown in Table 2 below. Toner particles 1-9 were prepared.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latex, amorphous polyester resin latex, and release agent dispersions used therein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s described in Preparation Examples 1-3.

실시예 1-5 및 비교예 1-9에서 제조된 토너의 각종 물성을 아래 표 2에 함께 종합하였다.Various physical properties of the toner prepared in Example 1-5 and Comparative Example 1-9 were combined together in Table 2 below.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비교예 9Comparative Example 9 수지1Resin 1 A1A1 A1A1 A1A1 A1A1 A1A1 A1A1 A2A2 A1A1 A3A3 A3A3 A4A4 A4A4 A5A5 A5A5 수지2Resin 2 C2C2 C3C3 C3C3 C4C4 C2C2 C4C4 C1C1 C5C5 C5C5 C5C5 C6C6 C6C6 C1C1 C1C1 이형제Release agent W1W1 W1W1 W1W1 W1W1 W1W1 W1W1 W1W1 W1W1 W1W1 W1W1 W2W2 W2W2 W3W3 W3W3 조건
(1)
Condition
(One)
1.611.61 1.571.57 1.571.57 1.531.53 1.611.61 1.531.53 1.771.77 1.501.50 1.141.14 1.141.14 1.031.03 1.031.03 2.202.20 2.202.20
조건
(2)
Condition
(2)
2.992.99 2.992.99 2.992.99 2.992.99 2.992.99 2.992.99 3.043.04 2.992.99 2.602.60 2.602.60 2.222.22 2.222.22 3.783.78 3.783.78
조건
(3)
Condition
(3)
1.381.38 1.421.42 1.421.42 1.461.46 1.381.38 1.461.46 1.271.27 1.491.49 1.491.49 1.491.49 1.301.30 1.301.30 1.581.58 1.581.58
조건
(4)
Condition
(4)
3.503.50 4.604.60 3.293.29 4.754.75 4.674.67 3.173.17 1.101.10 2.502.50 3.333.33 2.502.50 2.702.70 1.931.93 0.830.83 1.101.10
COTCOT 150150 150150 150150 155155 150150 155155 160160 155155 160160 160160 165165 160160 150150 155155 HOTHOT 190190 190190 200200 185185 200200 180180 180180 175175 190190 185185 190190 185185 190190 195195 광택도Glossiness 11.411.4 11.511.5 11.811.8 10.810.8 10.010.0 11.011.0 10.010.0 12.512.5 10.510.5 10.610.6 10.110.1 10.910.9 12.312.3 11.611.6 표면
특성
surface
characteristic
×× ×× ×× ××
고온
보광성
High temperature
Luminous
×× ×× ×× ××
유동성liquidity

실시예 1-5 및 비교예 1-9에서 제조된 토너의 각종 물성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Various physical properties of the toners prepared in Examples 1-5 and Comparative Examples 1-9 were evaluated using the methods described below.

토너의 평가 방법Evaluation method of toner

<평균 원형도 평가><Mean Roundness Evaluation>

제조된 토너의 형상을 SEM 사진으로 확인한다. 토너의 원형도는 시스멕스(SYSMEX)사의 FPIA-3000 장비를 이용하여 아래 식에 의거하여 계산된다. The shape of the prepared toner is confirmed by SEM photograph. The circularity of the toner is calculated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using a FPIA-3000 machine from Sysmex.

<계산식><Calculation Formula>

원형도 (Circularity) = 2 × (π × 면적)/둘레길이Circularity = 2 × (π × Area) / Circle Length

원형도 값은 0 내지 1 사이의 값이고, 원형도 값이 1에 가까울수록 구형에 가까워진다. 평균 원형도는 토너 입자 3,000개의 원형도 값을 평균하여 산출한다. The circularity value is a value between 0 and 1, and the closer the circularity value is to 1, the closer to the sphere. The average circularity is calculated by averaging the circularity values of 3,000 toner particles.

<입도 분포 평가><Evalu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쿨터 카운터(coulter counter)인 멀티사이저 III(베크만-쿨터사제) 측정기를 사용해서 다음의 측정조건에서 토너 입자의 입도 분포의 지표인 체적 평균 입도 분포 지표 GSDv 및 수평균 입도 분포 지표 GSDp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Using the Coulter counter Multisizer III (manufactured by Beckman-Coulter),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dex GSDv and the number average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dex GSDp which are indicators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toner particles under the following measurement conditions are as follows. Measured as:

전해액: ISOTONⅡElectrolyte: ISOTONⅡ

Aperture Tube: 100umAperture Tube: 100um

측정 입자 수: 30,000.Number of particles measured: 30,000.

측정된 토너의 입도 분포를 분할된 입도 범위(채널)에 대하여, 개개의 토너 입자의 체적 및 수에 대해서 소경(小徑)측으로부터 누적 분포를 그려, 누적 16%가 되는 입경을 체적 평균 입자경 D16v, 및 수평균 입자경 D16p라 정의하고, 누적 50%가 되는 입경을 체적 평균 입자경 D50v, 및 수평균 입자경 D50p라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누적 84%가 되는 입경을 체적 평균 입자경 D84v, 및 수평균 입자경 D84p라 정의한다. GSDv 및 GSDp는 다음 식에 의하여 산출한다.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measured toner is plotted from the small-diameter side with respect to the volume and number of individual toner particles for the divided particle size range (channel), and a particle size of 16% is obtained. And the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D16p, and the particle diameter which becomes 50% of cumulative volume are defined as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D50v and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D50p. Similarly, the particle diameter which becomes cumulative 84% is defined as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D84v and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D84p. GSDv and GSDp are computed by following Formula.

GSDv = (D84v/D16v),GSDv = (D84v / D16v),

GSDp = (D84p/D16p).GSDp = (D84p / D16p).

<유리 전이 온도 및 용융 온도 측정><Measurin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melting temperature>

Perkin Elmer DSC6 장치를 이용하여 질소 기체 분위기하에서 6~7mg의 분말 형상의 시료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열 이력(heat profile)의 조건하에서 DSC 곡선을 얻었다.DSC curves were obtained using a Perkin Elmer DSC6 apparatus under a heat profile of 6-7 mg powder in a nitrogen gas atmosphere under the following heat profile.

- 1차 가열: 상온에서 150℃까지 10℃/min의 승온속도로 가열후 150℃에서 1분간 유지,-1st heating: After heating at a temperature rising rate of 10 ℃ / min from room temperature to 150 ℃ 1 minutes at 150 ℃,

- 냉각: 150℃에서 0℃로 -10℃/min의 강온속도로 강온 후 1분간 유지,-Cooling: Hold for 1 minute after cooling down at -10 ℃ / min from 150 ℃ to 0 ℃,

- 2차 가열: 0℃에서 150℃로 10℃/min의 승온속도로 승온.Secondary heating: temperature rising from 10 ° C./min from 0 ° C. to 150 ° C.

이 곡선에서 결정 용융을 나타내는 흡열 피크의 꼭지점으로부터 결정질 폴리에스테르와 이형제의 용융 온도를 결정하였다. 또한, 이 곡선에서 유리전이 현상을 의미하는 베이스라인 시프트를 나타내는 쇼울더(shoulder)형 곡선의 half Cp 값으로부터 유리 전이 온도를 결정하였다.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and the release agent was determined from the vertex of the endothermic peak representing crystal melting in this curve. In addi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as determined from the half Cp value of the shoulder curve which shows the baseline shift which means the glass transition phenomenon in this curve.

<토너 정착성 평가><Toner Fixability Evaluation>

NIF 정착기(제조사: 삼성전자, 제품명: 삼성 디지털 복합기 SL-X7600 모델)을 이용하여 아래 조건으로 테스트 화상을 정착하였다.A test image was fix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using a NIF fixing device (manufacturer: Samsung Electronics, product name: Samsung Digital MFP SL-X7600 model).

- 테스트용 미정착 화상: 100% 패턴,Unfixed images for testing: 100% pattern,

- 테스트 온도: 100 ~ 200℃ (10℃ 간격),-Test temperature: 100 ~ 200 ℃ (10 ℃ interval),

- 테스트 용지: 60g 지 (Boise사 X-9) 및 90g 지 (Xerox사 Exclusive) Test paper: 60g paper (Boise X-9) and 90g paper (Xerox Exclusive)

- 정착 속도: 160mm/sec,Settling speed: 160mm / sec,

- 정착 시간(dwell time): 0.08sec.Dwell time: 0.08 sec.

정착된 화상의 정착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정착화상의 광학 밀도(OD)를 측정한 후, 화상 부위에 3M 810 테이프를 붙이고 500g 추를 이용하여 5회 왕복 이동한 후 테이프를 제거한다. 테이프 제거 후의 광학 밀도(OD)를 측정한다. The fixability of the fixed image was evaluated as follows: After measuring the optical density (OD) of the fixed image, a 3M 810 tape was attached to the image portion and the tape was removed after 5 reciprocating movements using a 500 g weight. Optical density (OD) after tape removal is measured.

(1) 다음 식에 의하여 정착성을 평가하였다: (1) Fixability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정착성(%) = (테이프 필링(peeling) 후의 광학 밀도/테이프 필링 전의 광학밀도) Х 100.% Fixability = (optical density after tape peeling / optical density before tape peeling) Х 100.

정착성 값이 90% 이상인 정착온도 영역을 토너의 정착영역으로 간주하였다. A fixing temperature region having a fixability value of 90% or more was regarded as the fixing region of the toner.

(2) 저온 오프셋(cold-offset) 없이 정착성 값이 90% 이상이 되는 최저 온도를 COT(Cold Offset Temperature)로 정하였다.(2) The lowest temperature at which the fixability was 90% or more without a cold-offset was determined as COT (Cold Offset Temperature).

(3) 고온 오프셋(hot-offset) 발생하는 최저 온도를 HOT(Hot Offset Temperature)로 정하였다.(3) Hot Offset The minimum temperature at which hot-offset occurs was defined as HOT (Hot Offset Temperature).

<토너의 광택도(Gloss) 평가><Gloss Evaluation of Toner>

광택도 측정기인 글로스미터(Glossmeter)(제조사: BYK Gardner, 제품명: micro-TRI-gloss)를 이용하여 상기 정착기 온도 167℃에서 광택도(%)를 측정하였다.Glossiness (%) was measured at the fixing unit temperature of 167 ° C using a glossmeter (Glossmeter) (manufacturer: BYK Gardner, product name: micro-TRI-gloss).

- 측정 각도 : 60o Measuring angle: 60 o

- 측정 패턴 : 100% 패턴.Measurement pattern: 100% pattern.

<토너 표면 상태 평가><Toner Surface Condition Evaluation>

건조 토너 수 mg을 취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토너 표면 상태를 관찰한 후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After taking several mg of dry toner, the surface condition of the toner wa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n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평가 기준- Evaluation standard

◎: 표면형상 우수, 이형제 돌출부 및 표면 공극이 관찰되지 않음◎: Excellent surface shape, no release agent protrusions and surface voids

○: 표면형상 양호, 극소수의 표면 공극이 관찰됨○: Good surface shape, very few surface voids observed

△: 표면형상 다소 거칠음, 극소수의 이형제 돌출부 및 표면 공극이 관찰됨(Triangle | delta): Surface roughness a little, very few release agent protrusions and surface voids are observed.

X: 표면형상 매우 불량, 다수의 이형제 돌출부 및 표면 공극이 관찰됨. 토너입자 표면이 훼손된 것이 관찰됨.X: Surface shape very poor, many release agent protrusions and surface voids are observed.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toner particles was observed.

<고온 보관성 평가><High Temperature Storage Evaluation>

외첨된 토너 100g을 현상기(제조사: 삼성전자, 삼성 디지털 복합기 SL-X7600 모델의 현상기)에 투입하여 포장상태로 항온 항습 오븐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서 보관하였다.100 g of the toner was added to a developer (manufacturer: Samsung Electronics, a developer of Samsung Digital MFP SL-X7600) and store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oven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 23℃, 55% RH(Relative Humidity) 2시간 => 23 ℃, 55% RH (Relative Humidity) 2 hours

=> 40℃, 90% RH 48시간 => 40 ℃, 90% RH 48 hours

=> 50℃, 80% RH 48 시간 => 50 ℃, 80% RH 48 hours

=> 40℃, 90% RH 48 시간 => 40 ℃, 90% RH 48 hours

=> 23℃, 55% RH 6 시간. => 23 ° C., 55% RH 6 hours.

상기 조건하에서 보관한 후, 현상기 내 토너 입자들의 케이킹 여부를 육안으로 파악하고 100% 화상을 출력하여 화상 결점(defect)를 평가하였다. After storage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toner particles in the developer were visually checked for caking and the image defects were output to evaluate the image defects.

- 평가 기준- Evaluation standard

◎ : 화상 양호, 흐름성 우수◎: Good image, excellent flow

○ : 화상 양호, 케이킹 없음(No Caking)○: Good image, no caking

△ : 화상 불량, 케이킹 없음 △: bad image, no caking

X : 케이킹 발생.X: Caking occurred.

<토너 유동성 평가><Toner Liquidity Evaluation>

토너의 유동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응집도(cohesiveness)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Cohesiveness was measured as follows to evaluate the fluidity of the toner.

장비: Hosokawa micron powder tester PT-SEquipment: Hosokawa micron powder tester PT-S

시료량: 2gSample volume: 2 g

진폭(Amplitude): 1mm 다이얼 3~3.5Amplitude: 1mm dial 3 ~ 3.5

시브(Sieve): 53㎛, 45㎛, 38㎛ Sieve: 53 μm, 45 μm, 38 μm

진동 시간: 120±0.1초Vibration time: 120 ± 0.1 seconds

토너를 상온(20±2℃) 및 상대습도 55±5%의 조건에서 2 시간 보관한 후, 상기 조건하에서 각 시브로 체거름한 후, 체거름 전후의 토너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토너의 응집도를 계산하였다.After the toner was stored for 2 hours at room temperature (20 ± 2 ° C.) and relative humidity of 55 ± 5%, it was sieved with each sieve under the above conditions, and then the change in the amount of toner before and after sieving was measured. Similarly, the degree of cohesion of the toner was calculated.

1) [53 ㎛ 시브 상에 잔존하는 분말의 질량 / 2g ] ×1001) [mass of powder remaining on the 53 μm sieve / 2 g] × 100

2) [45 ㎛ 시브 상에 잔존하는 분말의 질량 / 2g ] ×100 ×(3/5)2) [mass of powder remaining on the 45 μm sieve / 2 g] × 100 × (3/5)

3) [38 ㎛ 시브 상에 잔존하는 분말의 질량 / 2g ] ×100 ×(1/5)3) [mass of powder remaining on the 38 μm sieve / 2 g] × 100 × (1/5)

응집도 (Carr's cohesion) = (1) + (2) + (3).Carr's cohesion = (1) + (2) + (3).

위와 같이 하여 측정된 응집도로부터 토너의 유동성을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From the cohesion measured as described above, the fluidity of the toner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 응집도 10 이하로 유동성이 매우 양호한 상태(Double-circle): The state with very favorable fluidity with a cohesion degree of 10 or less.

○ : 응집도 10 초과 15 이하로 유동성이 양호한 상태(Circle): The fluidity | liquidity state which is good more than cohesion degree 10 or less 15

△ : 응집도 15 초과 20 이하로 유동성이 조금 나쁜 상태(Triangle | delta): The fluidity | liquidity is a state in which the fluidity | liquidity is slightly more than 15 more than 20 or less

× : 응집도 20 초과로 유동성이 매우 나쁜 상태.X: The fluidity | liquidity is very bad in more than 20 aggregation degree.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5의 토너는 조건 (1), (2), (3) 및 (4)를 만족하도록 제어됨으로써, 비교예 1-9의 토너에 비하여, COT가 낮아서 저온 정착성이 우수하며, COT와 HOT의 차이로 정의할 수 있는 정착 범위가 넓고, 토너 광택도가 대체로 좋으며, 토너 표면 상태, 고온보관성 및 유동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5의 토너는 비교예 1-9의 토너에 비하여 저온정착성, 정착 범위, 토너 표면 상태, 고온보관성 및 유동성이 모두 우수하다.Referring to Table 2, the toner of Example 1-5 was controlled to satisfy the conditions (1), (2), (3) and (4), so that the toner of Example 1-5 had a lower COT and lower temperature than the toner of Comparative Example 1-9. It can be seen that the fixing property is excellent, the fixing range which can be def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COT and HOT is wide, the toner gloss is generally good, and the toner surface state, high temperature storage property and fluidity are all excellent. In particular, the toner of Example 1-5 is superior to the toner of Comparative Example 1-9 in terms of low temperature fixing property, fixing range, toner surface state, high temperature storage property and fluidity.

이러한 결과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들 및 이형제 간의 용해도 상수 값 차이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들의 분자량과 분자량 분포, 및 함량의 조절을 통해 토너 재료 간의 상용성을 엄격히 제어함으로써 토너 입자 내부에서의 이형제 도메인 크기 및 분포, 결정성 바인더 수지의 도메인 크기 및 분포, 및 토너의 열특성 값 변화가 잘 제어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평가된다.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release agent domains inside the toner particles by strictly controlling the compatibility between toner materials by controlling the difference in solubility constant values between the polyester resins and the release agent and the molecular weight,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content of the polyester resins. , The domain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crystalline binder resin, and the change in the thermal characteristic value of the toner are well controlled.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되었으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재료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described above on the basis of a limited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 / 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materials,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 component or equivalent.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Claims (11)

복수의 토너 입자를 포함하는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로서,
상기 토너 입자는 제1 바인더 수지, 착색제 및 이형제를 포함하는 코어 입자; 및 상기 코어 입자를 피복하는 쉘 층으로서 제2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 입자의 제1 바인더 수지가 상기 제1 바인더 수지의 총중량의 80 중량% 이상의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제1 바인더 수지의 총중량의 20 중량% 이하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인더 수지는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형제가 아래의 조건 (1), (2), (3), 및 (4)를 만족하는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1.0 (J/cm)1/2 ≤ SP(A) - SP(C) ≤ 2.0 (J/cm)1/ 2 (1),
2.5 (J/cm)1/2 ≤ SP(A) - SP(W) (2),
SP(C) - SP(W) ≤ 1.6 (J/cm)1/ 2 (3), 및
SP(C) - SP(W) ≤ SP(A) - SP(C) (4),
여기에서, SP(A), SP(C) 및 SP(W)는 각각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이형제의 용해도 상수(solubility parameter)(단위: (J/cm)1/ 2)이다.
A 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comprising a plurality of toner particles,
The toner particles may include core particles including a first binder resin, a colorant, and a release agent; And a shell layer comprising a second binder resin as a shell layer covering the core particles,
The first binder resin of the core particles comprises 80% by weight or more of an amorphous polyester resin of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binder resin and 20% by weight or less of the total weight of the first binder resin, and The second binder resin comprises an amorphous polyester resin,
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wherein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nd the release agent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1), (2), (3), and (4):
1.0 (J / cm) 1/2 ≤ SP (A) - SP (C) ≤ 2.0 (J / cm) 1/2 (1),
2.5 (J / cm) 1/2 ≤ SP (A)-SP (W) (2),
SP (C) - SP (W ) ≤ 1.6 (J / cm) 1/2 (3), and
SP (C)-SP (W) ≤ SP (A)-SP (C) (4),
Here, SP (A), SP (C) and SP (W) are the solubility parameters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nd the release agent, respectively (unit: (J / cm ) it is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상기 토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의 중량 백분율 Wt(C) 및 융점 Tm(C)가 아래의 조건 (5) 및 (6)을 만족하는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2.5 kDa/중량% ≤ Mw(C)/Wt(C)≤ 5.0 kDa/중량% (5), 및
60℃ ≤ Tm(C) ≤ 90℃ (6),
여기에서, Mw(C)는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테트라히드로푸란(THF) 가용성 성분에 대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GPC)을 이용하여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단위: kDa(kiloDalton))을 나타내며,
Wt(C)는 상기 토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의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백분율(단위: 중량%)을 나타내며,
Tm(C)는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단위: ℃)이다.
2.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the weight percentage Wt (C) and the melting point Tm (C)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ner are the following conditions (5) and (6): 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that satisfies:
2.5 kDa / wt% ≦ Mw (C) / Wt (C) ≦ 5.0 kDa / wt% (5), and
60 ° C. ≦ Tm (C) ≦ 90 ° C. (6),
Here, Mw (C) i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unit: kDa (kiloDalton)) measured using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on the tetrahydrofuran (THF) soluble componen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Indicates,
Wt (C) represents the weight percentage (unit: wt%) of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ner,
Tm (C) is melting | fusing point (unit: degreeC) of the said crystalline polyester resi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A) 및 유리 전이 온도 Tg(A)가 아래의 조건 (7) 및 (8)을 더 만족하는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
12.0 kDa ≤ Mw(A) ≤ 25.0 kDa (7), 및
55℃ ≤ Tg(A) ≤ 70℃ (8),
여기에서, Mw(A)는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테트라히드로푸란(THF) 가용성 성분에 대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GPC)을 이용하여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단위: kDa)을 나타내며,
Tg(C)는 상기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이다.
The 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 of the amorphous polyester resin further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7) and (8):
12.0 kDa ≦ Mw (A) ≦ 25.0 kDa (7), and
55 ° C. ≦ Tg (A) ≦ 70 ° C. (8),
Here, Mw (A) represent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unit: kDa) measured using the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with respect to the tetrahydrofuran (THF) soluble component of the said amorphous polyester resin,
Tg (C)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unit: degreeC) of the said amorphous polyester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가 폴리에틸렌계 왁스,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실리콘 왁스, 파라핀계 왁스, 에스테르계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및 메탈로센(metallocene)계 왁스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The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lease ag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polyethylene wax, polypropylene wax, silicone wax, paraffin wax, ester wax, carnauba wax, and metallocene wax. For to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의 부피 평균 입경이 3㎛ 내지 9㎛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The 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toner is 3 µm to 9 µ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의 평균 원형도가 0.940 내지 0.980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The 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verage circularity of the toner is 0.940 to 0.98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의 GSDv 값 및 GSDp 값이 각각 1.30 이하 및 1.25 이하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The 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SDv value and the GSDp value of the toner are 1.30 or less and 1.25 or less,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채용한 토너 공급 장치.A toner supply apparatus employing the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공급 장치는,
토너를 저장하는 토너 탱크; 상기 토너 탱크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저장된 토너를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토너 탱크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의 상부를 포함하는 상기 토너 탱크의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 부분에 있는 토너를 교반할 수 있는 토너 교반 부재;를 포함하는 토너 공급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oner supply device,
A toner tank for storing toner; A supply unit which protrudes into the toner tank and supplies stored toner to the outside; And a toner stirring member installed to rotate inside the toner tank and capable of stirring the toner in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space of the toner tank including an upper portion of the supply unit.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전하상 현상용 토너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A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담지체;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 토너를 저장하는 수단;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에서 정전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기 위해 상기 토너를 상담지체의 표면에 공급하는 토너 공급 수단; 및 상기 가시상을 상담지체 표면에서 화상 수용 부재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claim 7,
Counseling delay; Image forming means for form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surface of said consultation member; Means for storing toner; Ton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toner to the surface of the consultation body to develop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on the surface of the consultation body as a visible image; And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visible image from the surface of the counseling member to the image receiving member.
KR1020180049424A 2018-04-27 2018-04-27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toner-supplying means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having the same KR1023918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424A KR102391854B1 (en) 2018-04-27 2018-04-27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toner-supplying means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having the same
PCT/US2019/027295 WO2019209554A1 (en) 2018-04-27 2019-04-12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toner-supplying means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424A KR102391854B1 (en) 2018-04-27 2018-04-27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toner-supplying means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5105A true KR20190125105A (en) 2019-11-06
KR102391854B1 KR102391854B1 (en) 2022-04-29

Family

ID=6829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424A KR102391854B1 (en) 2018-04-27 2018-04-27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toner-supplying means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1854B1 (en)
WO (1) WO201920955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681A (en) * 2020-01-20 2021-07-2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9647A (en) * 2006-12-04 2008-06-19 Fuji Xerox Co Ltd 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lectrostatic image developer, toner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16028A (en) * 2007-11-06 2009-05-28 Ricoh Co Ltd Method of preparing toner and the toner, and developer and image forming method
KR20110048253A (en) * 2009-11-02 2011-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120088259A (en) * 2011-01-31 2012-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means for supplying the same, image-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nd image-forming method employing the same
KR20130026180A (en) * 2011-09-05 2013-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16161780A (en) * 2015-03-02 2016-09-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Toner for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9647A (en) * 2006-12-04 2008-06-19 Fuji Xerox Co Ltd 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lectrostatic image developer, toner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16028A (en) * 2007-11-06 2009-05-28 Ricoh Co Ltd Method of preparing toner and the toner, and developer and image forming method
KR20110048253A (en) * 2009-11-02 2011-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120088259A (en) * 2011-01-31 2012-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means for supplying the same, image-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nd image-forming method employing the same
KR20130026180A (en) * 2011-09-05 2013-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16161780A (en) * 2015-03-02 2016-09-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Toner for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854B1 (en) 2022-04-29
WO2019209554A1 (en)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03721B2 (en) Electrostatic image developing toner, develop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electrostatic image developing toner
JP4535106B2 (en)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evelop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US7575841B2 (en) Toner for electrophotography, manufacturing method of toner for electrophotography, developer for electrophotography, and image forming method
US8642239B2 (en)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charge imag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device for supplying the sam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image using the same
KR20110086359A (en)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4742936B2 (en)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080025754A1 (en)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10070200A (en)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8785098B2 (en) Transparent toner for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men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er, toner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389187B2 (en) Transparent toner for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er, toner cartridge,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10164909A (en) Transparent toner for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ment,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er, toner cartridge,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6106986A (en) Color toner
JP2007033694A (en) Electrostatic charge developing toner, electrostatic charge developing developer, and method for forming image
JP3638227B2 (en) Color 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JP4033098B2 (en) Image forming method
JP4389665B2 (en)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033096B2 (en) Toner for electrostatic image development
JP4458003B2 (en)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ing toner,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er,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8112074A (en) Toner for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veloper for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men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199300A (en)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ing to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703224B2 (en) Liquid developer
JP2012022087A (en) Electrophotographic toner
JP2002148866A (en) Electrostatic charge image developing t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91854B1 (en)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nd toner-supplying means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having the same
JP4506600B2 (en)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image forming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char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