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355A -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355A
KR20190124355A KR1020180048045A KR20180048045A KR20190124355A KR 20190124355 A KR20190124355 A KR 20190124355A KR 1020180048045 A KR1020180048045 A KR 1020180048045A KR 20180048045 A KR20180048045 A KR 20180048045A KR 20190124355 A KR20190124355 A KR 20190124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joint head
hole
bent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188B1 (ko
Inventor
김의준
이일환
윤홍원
이광훈
김중희
정해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멘티스로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멘티스로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멘티스로지텍
Priority to KR1020180048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188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5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2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44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also having plates, staples or washers bearing on the vertebr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05Heads, i.e. proximal ends projecting from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스크류 몸체와 헤드부를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척추 스크류 몸체가 헤드부로부터 꺾어질 수 있는 각도를 최대한으로 형성함으로써 요추 또는 경추와 같이 로도시스(Lordosis)가 크게 형성되는 척추시술에서 척추 스크류 몸체가 서로 다른 방향과 서로 다른 각도로 척추뼈에 시술되더라도 헤드부의 방향 및 각도를 서로 일렬로 나란히 정렬하고 그 위에 로드를 장착함으로써, 요추뿐만 아니라 경추에서도 척추 나사못의 시술이 용이하게 하는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PEDICLE SCREW ASSEMBLY CAPABLE OF LARGELY FORMING AN ANGLE AT WHICH A PEDICLE SCREW IS BENT}
본 발명은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 스크류를 척추뼈에 시술 후 척추 스크류 상부의 헤드가 꺾어지도록 하여 로드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척추뼈와 이웃한 척추뼈 사이에는 디스크가 있으며, 이러한 디스크의 바깥쪽은 인대로 보호되며, 디스크의 안쪽에는 수핵이 들어있다.
여기서, 디스크는 관절의 기능을 하며 척추의 움직임에 따라 수핵의 위치와 모양이 바뀌면서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수핵의 대부분은 수분(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수분량이 줄어들어 디스크는 완충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섬유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면 통증이 발생하고, 여기서 더 진행되면 섬유가 심하게 늘어나거나 파열되면서 뒤쪽에 위치한 신경근을 눌러서 골반, 다리 등에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척추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거나 척추뼈가 내려앉으면서 척추변형이 일어나는 등 각종 부작용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심하게 찌그러지거나 상한 디스크를 제거하는 수술을 하는 경우 척추간격을 유지하고 척추가 변형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척추 시술시 시술자는 척추뼈의 손상된 부분이 눌리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손상된 부위의 디스크를 제거하고, 중공형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인공 보조물(케이지)에 뼈 조각을 채워 디스크를 제거한 부위에 삽입한다.
이후, 손상된 디스크 상하부위의 척추뼈에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 고정한 후, 척추경 나사못에 로드를 연결하여 척추뼈 사이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골 융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 시술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994184호(척추경 나사못 모듈)는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몸체 일단에는 공구홈이 형성된 헤드부와, 몸체 타단에는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척추경 나사못과; 몸체 상부에 로드를 수납하기 위한 소정 깊이의 U자 형상의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홈의 내주면을 따라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하부에는 상기 수납홈과 연결되어 몸체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를 삽입하여 상기 척추경 나사못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구가 형성된 로드 고정부와; 상기 수납홈을 통해 상기 로드 고정부의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는 탄성와셔; 및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몸체 외경을 따라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 중심부에는 렌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 와셔는 상기 수납홈에 로드를 안착하고 상기 볼트를 조여주면, 상기 로드와 밀착되며 상기 로드와 상기 척추경 나사못 및 상기 로드 고정부를 서로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로드 및 상기 척추경 나사못 모듈에 고정된 척추 뼈마디가 소정 범위의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994184호는 종래기술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 모듈이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와 로드가 장착되는 헤드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탄성이 없는 일자형 의료용 티타늄 재질로 형성된 로드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척추질환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0994184호는 척추경에 삽입되는 나사부와 로드가 장착되는 헤드부를 분리형으로 구성하였다고 하더라도 기존의 일체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척추질환을 해결하기 위해 나사부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유연하게 움직일 수는 있으나, 경추와 같이 로도시스(Lordosis)가 크게 형성되어 척추 나사못에 체결되어 있는 헤드부를 크게 꺾어주어야 로드의 장착이 용이한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994184호(척추경 나사못 모듈)
종래의 척추 나사못은 경추 또는 요추와 같이 로도시스(Lordosis)가 크게 형성되는 척추 시술에서 나사못 몸체와 헤드부가 꺾어지는 각도가 너무나 제한적이어서 헤드부에 로드를 장착하기가 쉽지 않고, 장착을 하더라도 시술자에게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주지 못하여 부작용을 유발하기가 쉽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척추 스크류 몸체와 헤드부를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척추 스크류 몸체가 헤드부로부터 꺾어질 수 있는 각도를 최대한으로 형성함으로써 요추 또는 경추와 같이 로도시스(Lordosis)가 크게 형성되는 척추시술에서 척추 스크류 몸체가 서로 다른 방향과 서로 다른 각도로 척추뼈에 시술되더라도 헤드부의 방향 및 각도를 서로 일렬로 나란히 정렬하고 그 위에 로드를 장착함으로써, 요추뿐만 아니라 경추에서도 척추 나사못의 시술이 용이하게 하는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헤드부에 결합된 척추 스크류 본체가 헤드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큰 각도로 꺾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척추뼈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구비되는 조인트 헤드를 포함하는 스크류 본체;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조인트 헤드 및 로드가 안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서 조인트 헤드의 하부면 둘레를 받침 지지하고, 조인트 헤드의 하부에 연결된 몸체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좌, 우 양측으로 꺾어질 수 있도록 중앙에 좌, 우 양측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조인트 헤드 받침부; 및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서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의 외주면 일부를 받침 지지하는 와셔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조인트 헤드가 우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의 하부를 좌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이고,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조인트 헤드가 좌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의 하부를 우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위, 아래로 관통 형성되고, 저면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는 조인트 헤드를 수용하는 헤드 수용부와, 헤드 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가 헤드부의 위에서 아래로 끼워지고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하부는 헤드부의 아래로 일정 부분 노출되며, 돌출부가 걸림턱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와셔는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돌출부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가 좌, 우 양측으로 꺾어질 때 몸체 상부의 조인트 헤드가 회동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는, 조인트 헤드를 수용하며 조인트 헤드의 구면에 대응하도록 내측 둘레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조인트 헤드의 상면이 노출되는 상부는 좌, 우측으로 긴 타원형으로 관통 형성되고, 몸체가 관통하는 조인트 헤드의 하부는 상부에 형성된 타원의 관통공보다 크기가 작으면서 좌, 우측으로 긴 타원형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인트 헤드의 상면이 노출되는 상부에 형성된 타원의 관통공의 좌, 우측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폭은 조인트 헤드의 직경에 대응한다.
여기서,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는, 조인트 헤드를 수용하며 상기 헤드부의 아래로 노출되는 헤드 수용부; 헤드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관통하는 좌, 우 양측으로 긴 타원형의 하부 관통공; 헤드 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헤드부의 저면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중앙에서 상기 하부 관통공 보다 길이와 폭이 일정 부분 더 크게 좌, 우 양측으로 형성되는 상부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관통공과 상부 관통공을 연결하는 면은 조인트 헤드의 구면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조인트 헤드는 좌, 우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범위에서 좌, 우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는, 조인트 헤드를 수용하며 상기 헤드부의 아래로 노출되는 헤드 수용부; 헤드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관통하는 좌, 우 양측으로 긴 타원형의 하부 관통공; 헤드 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헤드부의 저면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중앙에서 상기 하부 관통공과 좌, 우 양측으로 형성되는 길이는 같으나, 폭이 일정 부분 더 크게 형성되는 상부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관통공과 상부 관통공을 연결하는 면은 조인트 헤드의 구면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조인트 헤드는 좌, 우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범위에서 좌, 우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헤드 수용부의 좌, 우 양측면은 좌, 우 양측으로 긴 타원형의 하부 관통공의 폭에 대응하는 만큼 절개하여 상기 조인트 헤드가 우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를 좌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이고, 상기 조인트 헤드가 좌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를 우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일 수 있는 추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척추 스크류의 조인트 헤드가 회전 및 좌, 우측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여유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류 본체가 헤드부에서 크게 꺾어지도록 할 수가 있어 요추 또는 경추와 같이 로도시스(Lordosis)가 크게 형성되는 척추에서 나사못을 고정 시술할 때 각각의 나사못이 척추에 박힌 상태와는 별개로 헤드부를 가지런히 정렬시킬 수가 있고, 로드를 손쉽게 장착 및 고정시킬 수가 있다.
결국, 시술자에게는 시술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환자는 시술 후의 부작용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인트 헤드가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척추 스크류 몸체의 하부를 좌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이고, 조인트 헤드가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척추 스크류 몸체의 하부를 우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추뿐만 아니라 경추와 같이 로도시스가 크게 형성되는 척추에 나사못을 시술 후 로드를 장착하여 고정시킬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의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의 몸체가 꺾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의 몸체가 꺾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의 스크류 본체가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의 스크류 본체가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어느 한쪽으로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의 몸체가 일측으로 꺾인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의 몸체가 일측으로 꺾인 상태는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는 스크류 본체(100), 헤드부(200),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 및 와셔(400)를 포함한다.
스크류 본체(100)는 척추뼈에 고정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단부에 구비되는 조인트 헤드(120)를 포함한다.
헤드부(200)는 상면이 개방되고, 조인트 헤드(120) 및 로드(미도시)가 안착되는 수용 공간(201)을 구비한다.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는 헤드부(200)의 내측에서 조인트 헤드(120)의 하부면 둘레를 받침 지지하고, 조인트 헤드(120)의 하부에 연결된 몸체(110)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좌, 우 양측으로 꺾어질 수 있도록 중앙에 좌, 우 양측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의 관통공(315, 325)을 구비한다.
타원형의 관통공(315, 325)은 하부 관통공(315)과 상부 관통공(325)으로 구성되는데, 하기에서 도 8 및 도 10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몸체(110)는 하부 관통공(315)을 관통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먼저 헤드부(200)의 내측으로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가 삽입되고,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를 관통하여 스크류 본체(100)가 결합한다. 그리고 그 위에 와셔(400)가 끼워진다.
와셔(400)는 헤드부(200)의 내측에서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의 상부에 위치하며 로드의 외주면 일부를 받침 지지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와셔(400)를 제일 마지막에 결합한 다음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헤드부(200) 좌, 우 양측의 누름부(210)를 강하게 눌러주면 안쪽으로 눌리고, 안쪽으로 눌린 부분이 와셔(400) 좌, 우 양측의 홈(410)에 박히게 되어 와셔(400)가 빠지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될 수가 있다.
도 6(c) 및 도 7(c)를 참고하면,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의 가상의 중심축(VL)을 기준으로 조인트 헤드(120)가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 내에서 우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110)의 하부를 좌측으로 꺾을 때 제1 각도(θ1)인 최대 각도로 꺾인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마찬가지로 가상의 중심축(VL)을 기준으로 조인트 헤드(120)가 좌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110)의 하부를 우측으로 꺾을 때 제1 각도(θ1)인 최대 각도로 꺾인다.
이 점이 종래의 기술과 차별화되는 중요한 내용인데, 종래의 척추 나사못은 헤드부와 나사못 몸체가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더라도 나사못 몸체의 조인트 헤드가 좌,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고 단지 그 자리에서 회동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나사못 몸체가 큰 각도로 꺾일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조인트 헤드(120)가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 내에서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밀착되고, 그런 다음 몸체(1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꺾으면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의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의 관통공(315, 325) 길이만큼 큰 각도로 꺾일 수가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조인트 헤드(120)가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의 내에서 중앙에 위치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도 5와는 다르게 조인트 헤드(120) 및 몸체(110)가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의 가상의 중심축(VL)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 밀착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고하면, 몸체(110)가 좌측으로 제1 각도(θ1)만큼 꺾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몸체(110)가 좌측으로 제1 각도(θ1)만큼 크게 꺾어지기 위해서는 몸체(110)가 관통하는 하부 관통공(315)과 조인트 헤드(120)가 노출되는 상부 관통공(325)이 좌, 우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타원형이어야 한다.
도 9(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이 경우 제1 각도(θ1)보다 더 큰 각도인 제2 각도(θ2)로 꺾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헤드부(200)는 위, 아래로 관통 형성되고, 저면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220)을 구비한다.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는 조인트 헤드(120)를 수용하는 사발 형태의 헤드 수용부(310)와, 헤드 수용부(3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320)를 구비한다.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가 헤드부(200)의 위에서 아래로 끼워지고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의 하부는 헤드부(200)의 아래로 일정 부분 노출되며, 돌출부(320)가 걸림턱(220)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와셔(400)는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의 돌출부(320) 위쪽에 위치하고 몸체(110)가 좌, 우 양측으로 꺾어질 때 몸체(110) 상부의 조인트 헤드(12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와셔(40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공간이 없다면 몸체(110)의 상부에 구비된 조인트 헤드(120)가 와셔(400)에 부딪혀서 몸체(110)가 좌, 우측으로 꺾어질 수가 없을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는 조인트 헤드(120)를 수용하며 조인트 헤드(120)의 구면에 대응하도록 내측 둘레가 곡면(330)으로 형성된다. 내측 둘레가 곡면(330)으로 형성되어야 조인트 헤드(120)가 회동할 때 곡면(330)을 따라 자연스럽게 회동할 수가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조인트 헤드(120)의 상면이 노출되는 상부는 좌, 우측으로 긴 타원형으로 상부 관통공(325)이 형성되고, 몸체(110)가 관통하는 조인트 헤드(120)의 하부는 상부에 형성된 타원의 관통공(325)보다 크기가 작으면서 좌, 우측으로 긴 타원형으로 하부 관통공(315)이 형성된다.
상부 관통공(325)의 좌, 우측 길이는 제1 타원 길이(L1)를 형성하고, 하부 관통공(315)의 좌, 우측 길이는 제2 타원 길이(L2)를 형성한다. L1 > L2의 관계이다.
하부 관통공(315)이 상부 관통공(325)보다 작아야 조인트 헤드(120)가 걸려서 아래로 빠지지 않을 것이다.
상부 관통공(325)의 길이 방향(L1)과 직교하는 너비는 제1 폭(W1)를 형성하고, 하부 관통공(315)의 길이 방향(L2)과 직교하는 너비는 제2 폭(W2)을 형성한다. W1 > W2의 관계이다.
그리고, 하부 관통공(315)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제2 폭(W2)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313)가 형성된다. 몸체(110)는 길이 방향으로 회동하여 꺾이지만, 회전시킬 때 너무 뻑뻑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제2 폭(W2)이 형성되는 양측에 오목부(313)를 형성하여 약간의 여유 공간을 만들어 놓는 것이 필요하다.
조인트 헤드(120)의 상면이 노출되는 상부에 형성된 타원의 상부 관통공(325)의 좌, 우측 길이(L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폭(W1)은 조인트 헤드(120)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조인트 헤드(120)의 직경과 폭(W1)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는 조인트 헤드(120)를 수용하며 헤드부(200)의 아래로 노출되는 헤드 수용부(310)와, 헤드 수용부(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몸체(110)가 관통하는 좌, 우 양측으로 긴 타원형의 하부 관통공(315)과, 헤드 수용부(3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헤드부(200)의 저면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22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돌출부(320) 및 돌출부(320)의 중앙에서 하부 관통공(315) 보다 길이와 폭이 일정 부분 더 크게 좌, 우 양측으로 형성되는 상부 관통공(325)을 구비한다.
하부 관통공(315)과 상부 관통공(325)을 연결하는 면은 조인트 헤드(120)의 구면에 대응하도록 곡면(330)으로 형성되고, 조인트 헤드(120)는 좌, 우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범위에서 좌, 우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조인트 헤드 받침부(300)는 조인트 헤드(120)를 수용하며 헤드부(200)의 아래로 노출되는 헤드 수용부(310)와, 헤드 수용부(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몸체(110)가 관통하는 좌, 우 양측으로 긴 타원형의 하부 관통공(315)과, 헤드 수용부(3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헤드부(200)의 저면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220)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돌출부(320) 및 돌출부(320)의 중앙에서 하부 관통공(315)과 좌, 우 양측으로 형성되는 길이(L1)는 같으나, 폭이 일정 부분 더 크게 형성되는 상부 관통공(325)을 구비한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부 관통공(325)과 하부 관통공(315)의 길이가 L1으로 같다. 하부 관통공(315)도 상부 관통공(325)와 같은 길이(L1)로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110)가 그만큼 더 좌, 우 양측으로 꺾어질 수가 있는 것이다.
결국, 도 9(c)에서 제2 각도(θ2) > 도 7(c)에서 제1 각도(θ1)의 관계가 된다.
그러나 상부 관통공(325)의 길이 방향(L1)과 직교하는 너비는 제1 폭(W1)를 형성하고, 하부 관통공(315)의 길이 방향(L1)과 직교하는 너비는 제2 폭(W2)을 형성한다. W1 > W2의 관계이다. 조인트 헤드(120)가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서 너비는 당연히 달라야 한다.
하부 관통공(315)과 상부 관통공(325)을 연결하는 면은 조인트 헤드(120)의 구면에 대응하도록 곡면(330)으로 형성되고, 조인트 헤드(120)는 좌, 우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범위에서 좌, 우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10을 참고하면, 헤드 수용부(310)의 좌, 우 양측면은 좌, 우 양측으로 긴 타원형의 하부 관통공(315)의 폭에 대응하는 만큼 절개하여 조인트 헤드(120)가 우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를 좌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이고, 조인트 헤드(120)가 좌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를 우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일 수 있는 추가 공간(340)을 형성한다.
정리하면, 헤드 수용부(310)의 좌, 우 양측면을 절개하여 추가공간(340)을 형성하지 않아도 상부 관통공(325)과 하부 관통공(315)의 길이가 L1으로 같기 때문에 도 7 및 도 8의 실시예보다 몸체(110)가 꺾어지는 각도가 조금 더 크게 형성된다.
여기에 헤드 수용부(310)의 좌, 우 양측면을 절개하여 사각 형상의 추가 공간(340)을 형성하면, 몸체(110)가 좌, 우 양측 방향으로 꺾어질 때 추가 공간(340) 부분까지 꺾어질 수가 있어 최대 각도로 꺾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조인트 헤드가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척추 스크류 몸체의 하부를 좌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이고, 조인트 헤드가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척추 스크류 몸체의 하부를 우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요추뿐만 아니라 경추와 같이 로도시스가 크게 형성되는 척추에 나사못을 시술 후 로드를 장착하여 고정시킬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스크류 본체
110...몸체
120...조인트 헤드
200...헤드부
201...수용공간
210...누름부
220...걸림턱
300...조인트 헤드 받침부
310...헤드 수용부
313...오목부
315...하부 관통공
320...돌출부
325...상부 관통공
330...곡면
340...추가공간
400...와셔
410...홈
VL...가상의 중심축
θ1...제1 각도
θ2...제2 각도
W1...제1 폭
W2...제2 폭
L1...제1 타원 길이
L2...제2 타원 길이

Claims (7)

  1. 척추뼈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구비되는 조인트 헤드를 포함하는 스크류 본체;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조인트 헤드 및 로드가 안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한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서 조인트 헤드의 하부면 둘레를 받침 지지하고, 조인트 헤드의 하부에 연결된 몸체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좌, 우 양측으로 꺾어질 수 있도록 중앙에 좌, 우 양측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조인트 헤드 받침부; 및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서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의 외주면 일부를 받침 지지하는 와셔를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조인트 헤드가 우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의 하부를 좌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이고,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조인트 헤드가 좌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의 하부를 우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위, 아래로 관통 형성되고, 저면에는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는 조인트 헤드를 수용하는 헤드 수용부와, 헤드 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가 헤드부의 위에서 아래로 끼워지고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하부는 헤드부의 아래로 일정 부분 노출되며, 돌출부가 걸림턱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와셔는 조인트 헤드 받침부의 돌출부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가 좌, 우 양측으로 꺾어질 때 몸체 상부의 조인트 헤드가 회동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는,
    조인트 헤드를 수용하며 조인트 헤드의 구면에 대응하도록 내측 둘레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조인트 헤드의 상면이 노출되는 상부는 좌, 우측으로 긴 타원형으로 관통 형성되고, 몸체가 관통하는 조인트 헤드의 하부는 상부에 형성된 타원의 관통공보다 크기가 작으면서 좌, 우측으로 긴 타원형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헤드의 상면이 노출되는 상부에 형성된 타원의 관통공의 좌, 우측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해당하는 폭은 조인트 헤드의 직경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는,
    조인트 헤드를 수용하며 상기 헤드부의 아래로 노출되는 헤드 수용부;
    헤드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관통하는 좌, 우 양측으로 긴 타원형의 하부 관통공;
    헤드 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헤드부의 저면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중앙에서 상기 하부 관통공 보다 길이와 폭이 일정 부분 더 크게 좌, 우 양측으로 형성되는 상부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관통공과 상부 관통공을 연결하는 면은 조인트 헤드의 구면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조인트 헤드는 좌, 우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범위에서 좌, 우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헤드 받침부는,
    조인트 헤드를 수용하며 상기 헤드부의 아래로 노출되는 헤드 수용부;
    헤드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관통하는 좌, 우 양측으로 긴 타원형의 하부 관통공;
    헤드 수용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헤드부의 저면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턱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돌출부; 및
    돌출부의 중앙에서 상기 하부 관통공과 좌, 우 양측으로 형성되는 길이는 같으나, 폭이 일정 부분 더 크게 형성되는 상부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관통공과 상부 관통공을 연결하는 면은 조인트 헤드의 구면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조인트 헤드는 좌, 우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범위에서 좌, 우 양측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헤드 수용부의 좌, 우 양측면은 좌, 우 양측으로 긴 타원형의 하부 관통공의 폭에 대응하는 만큼 절개하여 상기 조인트 헤드가 우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를 좌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이고, 상기 조인트 헤드가 좌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를 우측으로 꺾을 때 최대 각도로 꺾일 수 있는 추가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KR1020180048045A 2018-04-25 2018-04-25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KR102132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045A KR102132188B1 (ko) 2018-04-25 2018-04-25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045A KR102132188B1 (ko) 2018-04-25 2018-04-25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355A true KR20190124355A (ko) 2019-11-05
KR102132188B1 KR102132188B1 (ko) 2020-07-09

Family

ID=6857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045A KR102132188B1 (ko) 2018-04-25 2018-04-25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1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8522B2 (en) * 2003-09-26 2010-01-19 Stryker Spine Bone fixation assembly and method
JP2010515552A (ja) * 2007-01-12 2010-05-13 ラン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骨固定具組立体
KR100994184B1 (ko) 2008-02-05 2010-11-15 주식회사 네온메디칼 척추경 나사못 모듈
KR20130088083A (ko) * 2012-01-30 2013-08-07 비이더만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 코. 카게 뼈 고정 장치
JP2018506383A (ja) * 2015-02-26 2018-03-08 メダルティス・ホールディング・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Medartis Holding Ag 骨断片を固定するための骨プレートおよび外科キ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8522B2 (en) * 2003-09-26 2010-01-19 Stryker Spine Bone fixation assembly and method
JP2010515552A (ja) * 2007-01-12 2010-05-13 ラン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骨固定具組立体
KR100994184B1 (ko) 2008-02-05 2010-11-15 주식회사 네온메디칼 척추경 나사못 모듈
KR20130088083A (ko) * 2012-01-30 2013-08-07 비이더만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 코. 카게 뼈 고정 장치
JP2018506383A (ja) * 2015-02-26 2018-03-08 メダルティス・ホールディング・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Medartis Holding Ag 骨断片を固定するための骨プレートおよび外科キ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188B1 (ko)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0819A (en) Polyaxial pedicle screw having a compression locking rod gripping mechanism
US9827021B2 (en) Transverse connector
JP4594509B2 (ja) 茎用ねじアセンブリ
JP3738243B2 (ja) 骨固定組立体
JP5651472B2 (ja) テーパーロックを有する後方椎弓根スクリュー
KR100551677B1 (ko) 척추경 나사 조립체
US9649134B2 (en) Uniplanar screw assembly and methods of use
JP4309890B2 (ja) プレート式固定システム
CA2516791C (en) Adjustable rod and connector device and method of use
US7862591B2 (en) Intervertebral prosthetic device for spinal stabilization and method of implanting same
CA2443215C (en) Spinal osteosynthesis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US6017344A (en) Polyaxial pedicle screw having a through bar clamp locking mechanism
JP2018531084A (ja) 脊椎固定システム
JP2018531084A6 (ja) 脊椎固定システム
US9138264B2 (en) Laminoplasty rod system
JP2009504198A (ja) 脊椎インスツルメンテーションにおいて構成要素を相互接続するための装置
MX2012012337A (es) Dispositivo de union pedicular multiaxial para osteosintesis vertebral.
JP2012504477A (ja) 細長い部材を骨に取り付ける外科用接続具
WO2011006155A1 (en) Transverse connector
US10105162B2 (en) Spinal fixing device
KR102106023B1 (ko) 척추용 케이지
US11026724B2 (en) Fixing rod connecting device
KR20190124355A (ko) 척추 스크류가 꺾어지는 각도를 크게 형성할 수 있는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KR101850215B1 (ko) 척추 스크류 어셈블리
KR20210020748A (ko) 척추용 케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