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3007A -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3007A
KR20190123007A KR1020180046642A KR20180046642A KR20190123007A KR 20190123007 A KR20190123007 A KR 20190123007A KR 1020180046642 A KR1020180046642 A KR 1020180046642A KR 20180046642 A KR20180046642 A KR 20180046642A KR 20190123007 A KR20190123007 A KR 20190123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ne dust
nanofiber web
perfluoro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380B1 (ko
Inventor
나정효
신성호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38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35Electr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상에 불소계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는 필터 제조 단계 및 상기 필터에 전기장을 가하여 쌍극자를 강화시키는 쌍극자 강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전기 배향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의 제조 방법, 필터 및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제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FINE DUST FILTER}
본 발명은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에 전기장을 가해 쌍극자의 크기를 강화시켜 포집효율이 향상된 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는 입자 크기가 50 ㎛ 이하의 총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s)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로 구분되며, 이중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 10 ㎛이하(PM 10)의 미세먼지와 지름 2.5 ㎛ 이하(PM 2.5)의 초미세먼지로 구분된다.
또한, 미세먼지는 공장의 매연 및 자동차 배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가 연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주로 황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및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로 구성된다. 이는 코로 호흡 시 콧속에서 큰 먼지들은 털을 통해 걸러지거나 코와 목 안에 있는 점액에 의해 걸러지기도 하나, 초미세먼지는 걸러지지 않고 몸 속으로 침투하여 각종 호흡기계 및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킨다.
이에 따라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장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필터 장치의 여과 기능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필터 장치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 중, 나노섬유는 산업 전반에 걸쳐 고성능을 발현하는 소재로서, 필터의 소재로 사용된다.
미세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나노 섬유에 쓰이는 전기방사(electrospinning) 기술은 고분자 용액이나 용융물에 고전압을 가해 마이너스(-) 극이나 접지(earth)로 대전된 표면에 고분자 용액이 스프레이 된다. 이 과정에서 용매가 휘발되면서 집전판(collector)에 나노섬유상 물질이 웹(Web)이나 부직포(non-woven) 상태로 적층되어 나노섬유가 제조된다. 이러한 나노섬유는 웹 또는 부직포상으로 섬유의 직경과 두께에 따라 기공도와 기공크기가 조절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나노섬유 웹은 내부를 구성하는 고분자의 쌍극자 배향이 달라 서로 간에 상쇄가 되고, 따라서 나노섬유 전체의 쌍극자의 크기가 감소하여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집된 먼지를 필터에서 제거하기 어려워 필터 소비량을 증가시키고 재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나노섬유 내부 쌍극자의 크기를 현저히 증가시켜 미세먼지 포집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및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낮에 충분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가 쌓임에도, 장기사용 시 통기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어, 필터로 사용 시 환기성이 우수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기재 상에 불소계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는 필터 제조 단계 및
상기 필터에 전기장을 가하여 쌍극자를 강화시키는 쌍극자 강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전기 배향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쌍극자 강화단계는 전기장이 50 내지 300 kV/cm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 상기 필터 제조 단계 후, 상기 기재 상에 도포된 나노섬유 웹을 압착하는 라미네이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불소계 고분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비닐 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이소부틸렌, 퍼플루오로 부틸에틸렌, 퍼플루오로 메틸 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 에틸 비닐 에테르 및 퍼플루오로 프로필 비닐 에테르에서 선택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일 중합체 또는 이의 공중합체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전기방사는 TCD(Tip to collector distance)가 10 내지 30 cm, 주사속도가 5 내지 30mL/hr 및 방사 시간이 50 내지 600 초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TCD는 노즐 팁(tip)으로부터 기재까지의 방사 거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전기 배향된 불소계 고분자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는 표면 전압이 3kV 내지 4.5kV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나노 섬유 웹은 두께가 1 내지 50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나노 섬유 웹은 TCD가 11cm, 주사속도가 20mL/hr 및 방사시간이 120초인 조건에서 전기방사 시, 600 nm에서 측정된 필터의 광투과도가 75%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있어, 상기 필터는 ASHRAE STANDARD 52.1의 중량법에 따른 미세먼지 포집효율이 8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있어, 상기 나노 섬유는 직경이 10 내지 500 nm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어느 하나의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키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적층체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있어, 상기 필터의 양 말단 층에 전극을 형성하고, 추가적인 전기장을 가하여 표면전압이 상승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나노섬유 내부 쌍극자의 크기를 현저히 증가시켜 미세먼지 포집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및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는 낮에 충분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가 쌓임에도, 장기사용 시 통기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어, 필터로 사용 시 환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집된 미세먼지를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재사용성이 높아 장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나노 섬유 웹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의 표면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포함한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평량(Basis Weight of Grammage)은 단위 면적 당 질량, 즉 바람직한 단위로서 제곱미터 당 그램 (g/m2)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장기사용 시 환기성이 우수하고, 가시성이 확보되며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제조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는 포집된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재사용성이 높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의 제조 방법, 이를 통해 제조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및 키트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의 제조 방법은
기재 상에 불소계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는 필터 제조 단계 및 상기 필터에 전기장을 가하여 쌍극자를 강화시키는 쌍극자 강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기재 상에 불소계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을 형성한다. 불소계 고분자는 용액으로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고 전기장을 가하는 경우에 우수한 내화학성, 고내구성 및 강한 쌍극자를 형성할 수 있어 먼지 포집에 현저히 유리한 장점이 있다.
기재는 전기방사 시 컬렉터 상에 지지체 또는 장착시트로 이용된다. 또한, 나노섬유 웹의 물리적 특성을 보완하고,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는 상부에 나노 섬유 웹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다공성 기재 또는 매쉬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의 형태는 미세다공 필름, 부직포 및 직편물에서 선택될 수 있고, 다공성 기재의 소재는 폴리에스터 계열, 나일론 계열, 폴리올레핀 계열 및 셀룰로오스 계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쉬는 폴리올레핀계 매쉬, 폴리에스터 매쉬, 유리섬유 매쉬, 나일론 매쉬, 스틸 매쉬 및 알루미늄 매쉬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재의 평량은 5 내지 100g/m2일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만족 시 필터 지지체의 물성을 만족하며, 강성도가 좋아 가공성이 좋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g/m2 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g/m2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 웹의 평량은 0.5 내지 10 g/m2 일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만족 시 적은 양의 고분자로 나노섬유 웹 및 필터를 제조할 수 있으며,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고 통기성이 좋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g/m2 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g/m2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불소계 고분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비닐 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이소부틸렌, 퍼플루오로 부틸에틸렌, 퍼플루오로 메틸 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 에틸 비닐 에테르 및 퍼플루오로 프로필 비닐 에테르에서 선택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일 중합체 또는 이의 공중합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불소계 고분자는 전기방사를 위해 유기용매에 용해될 수 있고, 유기용매의 예로 아세톤,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및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용액은 전기방사 공정(electrospinning process)에 의해 방사된다. 전기방사 공정은 전기적으로 하전된 고분자 용액 및 용융물의 젯(jet)을 통해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공정을 의미한다. 상기 전기방사를 이용한 제조방법은 양극과, 상기 양극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에 결합되는 전원공급장치로 이루어진 전기장 형성부 및 상기 전기장 형성부에 의하여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 형성공간 내에 고분자 용액을 방사시키는 노즐( nozzle)을 포함하는 제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나노 섬유 웹은 상기 전기장에 의해 젯(jet)이 형성 및 연신되어 얻을 수 있다. 상기 나노 섬유 웹은 균일하고, 직경이 작을수록 입경이 작은 파티클을 잘 포집할 수 있어 필터로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노즐 팁(tip)으로부터 기재까지의 방사 거리를 의미하는 TCD(Tip to collector distance)는 10 내지 30 cm일 수 있고, 방사 시간은 50 내지 600 초일 수 있다. 상기 TCD 및 방사시간을 만족할 경우, 균일하고 통기도가 좋은 나노섬유 웹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TCD는 10 내지 25 cm, 방사 시간은 70 내지 500 초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TCD는 10 내지 15 cm, 방사 시간은 90 내지 500 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기방사 수행 시, 상기 방사용액의 주사속도는 5 내지 30 mL/hr일 수 있다. 주사속도가 상기와 같을 경우, 방사용액이 연속적으로 토출되고, 균일한 크기의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방사용액이 컬렉터에 잘 수집되어 나노섬유 웹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mL/hr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3mL/h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방사 온도는 균일한 나노 섬유 웹 제조 측면에서 5 내지 45 ℃일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만족 시 용매가 휘발되어 나노섬유가 형성되며, 따라서 제조된 나노섬유 웹의 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용액의 불소계 고분자의 함량은 파티클 및 비드 형성을 막는 측면에서 용매 2.5mL당 불소계 고분자는 0.1 내지 0.5 g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 g, 더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35g일 수 있다.
상기 전기방사 수행 시, 인가전압은 5 내지 40 kV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 시, 방사용액의 방사가 원활하며, 나노섬유의 균일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kV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3 k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필터에 전기장을 가하여 쌍극자를 강화시키는 쌍극자 강화 단계를 포함한다. 불소계 고분자 용액을 전기 방사 하였을 경우 불소계 고분자 간의 쌍극자의 상쇄가 일어나 나노 섬유 웹 전체의 쌍극자가 감소하거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에 외부 전기장을 통과시켜, 나노 섬유 웹의 내부에 쌍극자가 한 방향으로 형성되면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쌍극자 강화 단계는 기재 및 나노섬유 웹에 전기장을 통과시켜,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나노섬유가 전기장을 따라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쌍극자 강화단계에서 전기장은 50 내지 300 kV/cm 일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나노섬유의 균일한 배열 및 나노 섬유 웹 전체의 쌍극자 크기의 향상으로 인하여 표면전압이 상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kV/cm,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kV/cm일 수 있다. 그러나, 쌍극자를 유도할 수 있는 한에는 전기장의 세기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필터 제조 단계 후, 상기 기재 상에 도포된 나
노섬유 웹을 압착하는 라미네이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션 단계를 수행 시, 상기 나노섬유 웹을 상기 기재에 압착하여, 기재로부터 나노섬유 웹의 착탈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라미네이션 단계의 온도는 기재 또는 나노 섬유 웹의 표면의 연화점 이상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비제한적인 일 예로 폴리에스터 기재일 경우, 200℃에서 필터를 라미네이션 시 나노섬유의 훼손 없이 고정이 잘 되어 좋다.
상기 라미네이션의 방법으로는 롤투롤(Roll to Roll)방식, 직접코팅방식(Direct coating), 인쇄방식(Printing) 및 스크린방식(Scree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롤투롤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전기 배향된 불소계 고분자 나노 섬유 웹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로서, 상기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의 표면 전압은 3kV 내지 4.5kV 일 수 있으나 전기 배향이 가능한 범위에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전기 배향된 경우, 미세먼지와 나노 섬유 웹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이 상승하여 입자 제거 효율이 크게 향상되고 공기저항으로 인한 차압이 증가하지 않아 좋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나노 섬유 웹의 두께는 1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나노섬유 웹의 두께는 ASTM D1777-64에 의해 결정되며, 단위는 ‘㎛’로 표시된다. 상기 범위를 만족 시, 통기성 및 가시성이 증가하여 좋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나노 섬유 웹은 TCD가 11cm, 주사속도가 20mL/hr 및 방사시간이 120초인 조건에서 전기방사 시, 600 nm에서 측정된 광투과도가 75%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창에 적용 시 실외 시야가 최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8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8 내지 8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필터는 ASHRAE STANDARD 52.1의 중량법에 따른 미세먼지 포집효율이 8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나노 섬유 웹이 큰 비표면적 및 작은 포어(pore) 사이즈를 갖기 때문에,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초미세먼지도 높은 효율로 포집할 수 있어 필터로 적용하기 적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0%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나노 섬유는 직경이 10 내지 500 nm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높은 비표면적을 가지고 미세공극의 치밀한 형성이 가능하여, 미세먼지 포집에 효과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nm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nm일 수 있다.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에 있어, 상기 기재 및 불소계 고분자는 앞서 제조방법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키트로서, 상기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필터를 적층하여 형성 하였을 시, 대형 필터를 제조할 수 있어 미세먼지의 포집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키트에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적층체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격되어 형성 시 압력손실이 감소할 수 있어 좋다. 상기 이격 거리는 미세먼지 포집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수치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10 내지 20 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필터키트는 양 말단층에 전극을 형성하고, 추가적인 전기장을 가하여 표면전압이 상승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면전압을 상승시키는 단계는 필터키트의 양 측면에 축방향으로 다수의 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표면전압이 상승될 수 있다. 표면전압이 3kV 내지 4.5kV 인 필터를 적층 시 필터키트의 표면전압은 5kV 내지 10kV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kV 내지 8kV, 더 바람직하게는 5kV 내지 7kV일 수 있다. 상기 필터키트의 표면전압을 상승시킴으로써 미세먼지 포집 성능이 우수할 수 있고, 역전압을 인가 시 포집된 미세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재사용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필터 및 필터키트의 적용은 제한되지 않으나, 창, 마스크, 헬멧, 자동차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 및 산업용 배기 여과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창 및 마스크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성 측정 방법]
1) 광투과도 측정
ASTM E 424-71(2007, METHOD A 6. 5. 2 SELECTED ORDINATES METHOD)에 따라,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600 nm에서의 광투과도를 측정하였다.
2) 미세먼지 포집 효율 측정
1 중량%의 염화칼륨을 증류수에 용해하고 입자발생기를 가동시켜, 평균입경 2.5 ㎛의 파티클을 제조하였다. 상기 파티클을 나노 섬유에 주입하여 시험풍속 1.0m/s, 말기압력손실 76 mmAq에서 ASHRAE STANDARD 52.1의 중량법에 따라 염화칼륨의 포집 효율을 측정하였다.
3) 필터의 표면전압 측정
표면 전압은 정전기 측정 표면전위계 모델 344(TREK Inc, Electrostatie voltmeter model 34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1.5mL의 DMF(dimethylformamide)와 1mL의 아세톤 용액이 담긴 용기에 0.341g의 PVDF-TrFE(poly(vinylidene fluoride-trifluoroethylene)) (Poly K사 제조) 분말을 넣고, 50℃에서 3시간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후 고분자 방사용액을 노즐블록으로 이동시킨 후 25℃에서 TCD (Tip to collector distance)가 11cm이고, 주사속도는 20mL/hr, 인가전압 12 kV로, 기재로 사용된 폴리에스터 매쉬 (16 Mesh, 평량 : 27.36 g/m2, 밀도: 25×25본/inch) 상에 120초 간 전기방사하였다.
이어서, 제조된 기재 및 나노섬유 웹을 100 kV/cm의 전기장에 통과시켜, 롤투롤 기법으로 200℃에서 라미네이션하여 기재에 나노섬유 웹을 압착시켰다.
[실시예 2]
240초 간 전기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480초 간 전기방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나노섬유 웹에 전기장을 통과시키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나노섬유 웹에 전기장을 통과시키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나노섬유 웹에 전기장을 통과시키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1에서는 120초 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 및 필터를 제조한 결과, 600nm에서 80%의 광투과도를 나타내었고, 높은 표면전압으로 인해 90.5%의 미세먼지 포집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240초 간 전기방사하여 나노 섬유 웹 및 필터를 제조하였고, 600nm에서 60%의 광투과도 및 95.6%의 미세먼지 포집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480초 간 전기방사하여 나노 섬유 웹 및 필터를 제조하였고, 600nm에서 40%의 광투과도를 나타내었으며, 97.1%의 미세먼지 포집효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전기방사 시간이 증가할수록 나노 섬유 웹의 작은 포어 사이즈로 인해 미세먼지 포집효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모두 전기장을 인가함에 따라 표면전압이 4 이상으로 높았고, 따라서 미세먼지 포집효율이 높았다. 또한, 미세먼지가 쌓임에도 장기사용 시 통기도가 우수하고 가시성이 충분히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는 나노 섬유 웹에 전기장을 통과시키지 않아 낮은 표면전압이 형성되었고, 낮은 미세먼지 포집효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기장을 가하였을 때 향상된 미세먼지 포집효율, 장기사용 시 높은 통기도 및 가시성을 확보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기재 상에 불소계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을 형성하는 필터 제조 단계 및
    상기 필터에 전기장을 가하여 쌍극자를 강화시키는 쌍극자 강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전기 배향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쌍극자 강화단계는 전기장이 50 내지 300 kV/cm인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제조 단계 후, 상기 기재 상에 도포된 나노섬유 웹을 압착하는 라미네이션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조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고분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비닐 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이소부틸렌, 퍼플루오로 부틸에틸렌, 퍼플루오로 메틸 비닐 에테르 및 퍼플루오로 에틸 비닐 에테르 및 퍼플루오로 프로필 비닐 에테르에서 선택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일 중합체 또는 이의 공중합체인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는 TCD가 10 내지 30cm, 주사속도가 5 내지 30mL/hr 및 방사 시간이 50 내지 600 초인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의 제조 방법.
  6.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형성된 전기 배향된 불소계 고분자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는 표면 전압이 3kV 내지 4.5kV 인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 웹은 두께가 1 내지 50 ㎛인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 웹은 TCD가 11cm, 주사속도가 20mL/hr 및 방사시간이 120초인 조건에서 전기방사 시, 600 nm에서 측정된 필터의 광투과도가 75% 이상인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ASHRAE STANDARD 52.1의 중량법에 따른 미세먼지 포집효율이 80% 이상인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계 고분자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비닐 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이소부틸렌, 퍼플루오로 부틸에틸렌, 퍼플루오로 메틸 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 에틸 비닐 에테르 및 퍼플루오로 프로필 비닐 에테르에서 선택되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일 중합체 또는 이의 공중합체인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는 직경이 10 내지 500 nm인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13. 제 6항 내지 제 12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키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키트.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양 말단 층에 전극을 형성하고, 추가적인 전기장을 가하여 표면전압이 상승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키트.
KR1020180046642A 2018-04-23 2018-04-23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제조 방법 KR102153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642A KR102153380B1 (ko) 2018-04-23 2018-04-23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642A KR102153380B1 (ko) 2018-04-23 2018-04-23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007A true KR20190123007A (ko) 2019-10-31
KR102153380B1 KR102153380B1 (ko) 2020-09-08

Family

ID=6842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642A KR102153380B1 (ko) 2018-04-23 2018-04-23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258B1 (ko) * 2020-09-03 2022-02-1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전기 기반의 미세먼지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418A (ko) * 2006-11-13 2009-07-30 리써치 트라이앵글 인스티튜트 나노섬유를 포함한 입자 필터 시스템
KR20160126893A (ko) * 2015-04-22 2016-11-02 동화 바이텍스 주식회사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내열성 나노 멤브레인 카트리지 백 필터용 부직포 제조방법
KR20180012879A (ko) * 2016-06-24 2018-02-07 (주)에프티이앤이 난연성이 우수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418A (ko) * 2006-11-13 2009-07-30 리써치 트라이앵글 인스티튜트 나노섬유를 포함한 입자 필터 시스템
KR20160126893A (ko) * 2015-04-22 2016-11-02 동화 바이텍스 주식회사 전기방사법을 이용한 내열성 나노 멤브레인 카트리지 백 필터용 부직포 제조방법
KR20180012879A (ko) * 2016-06-24 2018-02-07 (주)에프티이앤이 난연성이 우수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258B1 (ko) * 2020-09-03 2022-02-1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전기 기반의 미세먼지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50571A1 (ko) * 2020-09-03 2022-03-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전기 기반의 미세먼지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380B1 (ko)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7034B2 (ja) フィルタ濾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ならびにフィルタユニット
EP1878482B1 (en) Filter mediu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method of use thereof, and filter unit
CN106999953B (zh) 用于高效率pm2.5捕获的空气过滤器
EP2198944A1 (en) Filter medium for air filter and air filter
WO2009140385A1 (en) Particle filter system incorporating electret nanofibers
KR20200033669A (ko) 나노 섬유 시트를 포함하는 정전 필터용 여과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5563B1 (ko) 부직포 적층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에어 필터
JP2014124578A (ja) フィルター用ろ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70152B1 (ko) 나노섬유를 이용한 세척가능한 미세먼지필터 모듈
Buivydiene et al. Composite micro/nano fibrous air filter by simultaneous melt and solution electrospinning
KR102116377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제조 방법
JP2009275310A (ja) 複合繊維体、その製造方法、フィルタ及び流体濾過方法
CN100509108C (zh) 一种复合驻极体纤维过滤材料
WO2020164396A1 (zh) 纳米纤维过滤器及其制造方法
CN110301699A (zh) 一种电除尘口罩
WO2010055668A1 (ja) 細径繊維のシート状集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10274144A (ja) フィルタ濾材
JP2006069141A (ja) 複合繊維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53380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제조 방법
KR102092199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제조 방법
KR20170074334A (ko) 유전체무기물을 함유한 정전필터소재의 제조방법
JPH10211409A (ja) エアフィルタ用濾材並びにエアフィルタ
KR102157444B1 (ko) 고성능 공기정화필터용 다중층 구조 필터여재
JP2017077516A (ja) 気体フィルタ用濾材
KR101879440B1 (ko) 정전필터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