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594A - 크레인용 후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후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594A
KR20190121594A KR1020180045099A KR20180045099A KR20190121594A KR 20190121594 A KR20190121594 A KR 20190121594A KR 1020180045099 A KR1020180045099 A KR 1020180045099A KR 20180045099 A KR20180045099 A KR 20180045099A KR 20190121594 A KR20190121594 A KR 20190121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atch
crane
clo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영
하보현
진홍민
이화춘
김중배
배상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45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1594A/ko
Publication of KR20190121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38Crane hooks adapted for automatic disengagement from loads on release of cable t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용 후크 장치는, 후크, 래치, 래치 개폐부 및 부이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는 상기 후크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와 대향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후크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한다. 상기 래치 개폐부는 상기 제2 힌지부와 힌지 결합된다. 상기 부이는 부력을 가져 상기 후크와 상기 래치 개폐부와 연결된다.

Description

크레인용 후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HOOK APPARATUS FOR CRAN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크레인용 후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이 후크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래치가 설치된 크레인용 후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는 무거운 자재를 들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하여 크레인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크레인의 말단에는 후크(hook)가 구비되고, 무거운 자재가 후크에 매달아진 상태에서 크레인에 의해 이동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후크에는 래치(latch)가 설치되는 데, 래치는 후크에 매달아진 자재가 후크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크레인이 후크를 이용하여 자재를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동안에는 래치가 닫혀 있고, 자재의 이동이 완료된 이후에 작업자가 래치를 열어 후크로부터 자재를 탈락시킨다.
한편, 해저케이블 건설과 같은 특수한 산업현장에서도 무거운 자재를 이동시키는 용도로 크레인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해저면에 무거운 자재를 안착 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크레인의 후크가 해저에 맞닿은 후 잠수부가 해상으로 투입되어 수작업으로 래치를 여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작업시간 및 작업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잠수부의 안전을 고려하여 수심의 깊이에 따라 작업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가 결정되는 여러가지 제약 사항들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개방 작업이 용이한 래치를 갖는 크레인 후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레인 후크의 래치를 용이하게 개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크레인용 후크 장치는, 후크, 래치, 래치 개폐부 및 부이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는 상기 후크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와 대향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후크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한다. 상기 래치 개폐부는 상기 제2 힌지부와 힌지 결합된다. 상기 부이는 부력을 가져 상기 후크와 상기 래치 개폐부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크는 수중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후크 장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부이에 결속되어 상기 부이를 상기 후크 및 상기 래치 개폐부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후크 장치는 상기 후크에 고정되는 제1 고리부, 및 상기 래치 개폐부에 고정되는 제2 고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고리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고리부의 내부를 통과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리부는 상기 후크의 개구된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래치 개폐부는, 상기 제2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양 단부들, 및 벤딩된 형상을 가져 상기 양 단부들을 연결하는 벤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후크의 일 부분을 둘러싼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고리부는 상기 벤딩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용 후크 장치는 가이드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후크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래치 개폐부와 맞닿아 상기 래치 개폐부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후크, 상기 후크와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와 대향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후크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래치, 상기 제2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래치 개폐부, 및 부력을 가져 상기 후크와 상기 래치 개폐부와 연결된 부이를 포함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후크에 중량물을 매달고 상기 래치를 닫는다. 그 이후에, 크레인을 동작시켜 상기 후크 및 상기 후크에 매달린 중량물이 해저에 안착되어 상기 후크에 상기 중량부의 하중이 해제된다. 그 이후에, 상기 부이의 부력에 의해 상기 래치 개폐부가 리프팅되어 상기 래치가 열리고, 상기 래치가 열린 후크로부터 상기 중량물이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이의 부력에 의해 상기 래치 개폐부가 리프팅되어 상기 래치가 열리는 단계에서, 상기 제2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래치 및 상기 래치 개폐부간의 사이각이 벌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이에 결속된 연결부재는 상기 후크 및 상기 래치 개폐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부이의 부력이 상기 후크 및 상기 래치 개폐부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후크에 제1 고리부가 고정되고, 상기 래치 개폐부에 제2 고리부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고리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고리부의 내부를 통과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리부는 상기 후크의 개구된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이의 부력에 의해 상기 래치 개폐부가 리프팅되어 상기 래치가 열리는 단계에서, 상기 제1 고리부가 상기 후크의 개구된 부분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가 회전 부상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가 해저에 맞닿으면 후크에 매달린 중량물의 하중이 해제되므로, 부이의 부력에 의해 후크의 무게 중심 부분이 회전 부상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래치가 부이의 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열려 후크로부터 중량물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가 수중에 침지된 상태에서 래치를 열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하지 않으므로, 작업시간 및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수중에 침지된 후크의 래치를 열기 위하여 잠수부가 투입되는 것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서는 잠수부의 인력을 동원하지 않고 기구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후크의 래치를 열 수 있으므로 크레인의 수중 작업이 훨씬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후크 장치가 설치되어 해상에 위치한 크레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후크 장치를 이용하여 해저에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후크 장치를 이용하여 해저에 중량물을 안착 시킨 후에 래치가 자동적으로 개방 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후크 장치(500)가 설치되어 해상에 위치한 크레인(20)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장치(5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박(10)에 설치된 크레인(20)을 이용하여 선박(10) 위에 적재된 중량물(15)을 해수(28)를 통해 해저(5)로 운반하는 작업들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레인(20)은 해저(5)에 케이블 건설을 위한 케이블과 같은 다양한 자재들을 해저(5) 측으로 운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크레인(20)에는 중량물(15)을 매달기 위한 목적으로 후크 장치(500)가 설치되고, 이 실시예에서는 후크 장치(500)는 수중에 사용되도록 설계된 수중용일 수 있다. 또한, 크레인(20)의 와이어(25)는 후크 장치(500)에 체결되어, 크레인(20)의 리프팅 이동 또는 수평 이동시 와이어(25)에 의해 후크 장치(500)에 매달린 중량물(15)이 리프팅 이동되거나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 장치(5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실시예에서는, 후크 장치(500)는 후크(100), 래치(200), 래치 개폐부(300), 제1 고리부(110), 제2 고리부(310), 가이드부(120), 다수의 부이(400, 410) 및 연결부재(350)를 포함한다.
후크(100)는 크레인(20)의 말단에 설치된다. 후크(100)는 일 측이 개구된 갈고리와 같은 형상을 갖고, 후크(100)의 상측에는 크레인(20)의 와이어들(25)과 연결되는 연결 고리(130)가 구비된다.
래치(200)는 후크(100)에 결합되어 후크(100)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 각각에서는 래치(200)에 의해 후크(100)의 개구된 부분이 폐쇄된 상태가 도시되고, 도 4에서는 래치(200)가 개방되어 후크(100)의 개구된 부분이 개방된 상태가 도시된다.
따라서, 래치(200)에 의해 후크(100)의 개구된 부분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래치(200)에 의해 후크(100)에 매달아진 중량물(15)이 후크(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크레인(20)에 의해 중량물(15)의 운반이 완료된 이후에는, 래치(200)가 개방되어 후크(100)로부터 중량물(15)이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래치(200)의 동작에 의해, 크레인(20)이 중량물(15)을 운반하는 동안에, 래치(20)는 후크(100)로부터 중량물(15)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래치(200)는 제1 힌지부(210) 및 제2 힌지부(220)를 포함한다. 제1 힌지부(210)는 후크(100)의 개구된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후크(100)와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래치(200)를 기준으로 할 때, 대략적으로 래치(200)에 좌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제1 힌지부(210)의 힌지 동작에 따라 래치(200)가 열려 후크(100)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래치(200)가 열린 상태에서 대략적으로 래치(200)에 우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제1 힌지부(210)의 힌지 동작에 따라 래치(200)가 닫혀 후크(100)가 폐쇄된다.
래치 개폐부(300)는 래치(200)의 제2 힌지부(220)와 힌지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래치 개폐부(300)는 'U'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래치 개폐부(300)는 벤딩된 형상을 갖는 벤딩부(301), 벤딩부(301)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단부(302) 및 벤딩부(301)의 타 측으로부터 연장된 제2 단부(303)을 포함한다.
연결부(301)는 벤딩된 형상을 가져 후크(100)의 일 부분을 둘러싸고, 제1 단부(302) 및 제2 단부(303)는 후크(100)의 제2 힌지부(220)에 힌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단부(302) 및 제2 단부(303) 각각에 제1 관통홀(305)이 형성되고, 래치(205)의 제1 힌지부(210)에 대향하는 부분에 제2 관통홀(205)이 형성되고, 제2 힌지부(220)가 제1 관통홀(305) 및 제2 관통홀(205)에 체결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200)가 닫힌 상태에서, 다수의 부이(400,410)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이 래치 개폐부(300)에 전달되면, 제2 힌지부(220)의 힌지 동작에 의해 래치(200) 및 래치 결합부(300) 간의 사이각이 벌어지면서 래치 개폐부(300)가 래치(2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제1 고리부(110)는 후크(100)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고리부(110)는 후크(100)의 개방된 부분과 대향하는 후크(100)의 일 부분의 외측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리부(110)는 대략적으로 후크(100)의 무게 중심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리부(110)는 환형의 형상을 가져 연결부재(350)가 제1 고리부(110) 내측으로 삽입되되, 연결부재(350)는 제1 고리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부이(400, 410)로부터 발생된 부력은 연결부재(350)를 통해 후크(1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고리부(110)는 후크(100)에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리부(310)는 환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 고리부(310)는 래치 개폐부(300)에 고정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2 고리부(310)는 래치 개폐부(300)의 벤딩부(301)에 고정된다.
제2 고리부(310)가 환형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 연결부재(350)는 제2 고리부(310)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50)는 제2 고리부(310)를 경유하여 다수의 부이(400, 410)를 후크(100)에 연결하는 것으로, 제2 고리부(310)는 다수의 부이들(400,410)과 제1 고리부(110) 사이에서 연결부재(35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고리부(310)는 래치 개폐부(300)의 겉면에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후크(100)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부(120)는 래치 개폐부(300)와 맞닿아 래치 개폐부(30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00)에 중량물(15)이 매달아진 상태에서는, 래치 개폐부(300)는 가이드부(120)와 맞닿아 래치 개폐부(300)에 고정된 제2 고리부(310)가 가이드부(120)보다 더 아래로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수의 부이(400, 410)는 부표와 같이 부력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부이(400,410)는 연결부재(350)와 결합되고, 연결부재(350)는 제2 고리부(310)를 경유하여 제1 고리부(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00)에 매달아진 중량물(15)이 해저(5)에 안착되어 후크(100)에 가해지는 중량물(15)의 하중이 해제된 경우에, 다수의 부이(400, 410)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은 연결부재(350)에 의해 후크(100)에 전달되어 후크(100)가 회전 부상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다수의 부이(400, 410)이 도시되었으나, 후크(100)로부터 중량물(15)의 하중이 해제된 이후에, 후크(100)가 다수의 부이(400,410)의 부력에 의해 회전 부상할 수 있도록 부이의 개수가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수 있다.
연결부재(350)는 제1 고리부(110)에 고정되며, 연결부재(350)는 제2 고리부(310)를 경유하여 다수의 부이(400, 4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350)는 로프 및 체인일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구조를 갖는 후크 장치(500)를 이용하여 해저에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후크 장치(500)를 이용하여 해저(5)에 중량물(15)를 운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크레인(20)의 연결 고리(130)에 크레인(20)의 와이어(25)가 체결되고, 체인(18)을 통해 중량물(15)이 후크 장치(500)에 매달리고, 래치(200)가 닫혀 후크(100)가 폐쇄된다. 그 이후에, 크레인(20)이 동작하여 후크 장치(500) 및 중량물(15)이 해수(15)에 침지되어 해저(5) 측으로 이동된다.
해수(25) 위에서는 다수의 부이(400, 410)로부터 부력이 발생되지 않아 래치(200)가 리프팅되지 않으므로, 후크(100) 및 래치(200) 간의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후크 장치(500)가 해수(25)에 침지된 상태에서 중량물(15)이 해저(5)에 맞닿기 이전에는, 다수의 부이(400, 410)로부터 발생되는 부력의 크기가 후크(100) 및 중량물(15)의 하중보다 작으므로, 후크(100)에 상방보다 하방으로 가해지는 힘이 우세하다. 따라서, 래치(200)에 래치(200)를 리프팅시키는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후크(100) 및 래치(200) 간의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후크(100)에 중량물(15)이 매달아져 중량물(15)의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는, 래치 개폐부(300)는 가이드부(120)에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120)에 의해 래치 개폐부(300)에 고정된 제2 고리부(310)가 가이드부(120)보다 더 아래로 쳐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후크 장치(500)를 이용하여 해저(5)에 중량물(15)를 안착 시킨 후에 래치(200)가 자동적으로 개방 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것에 이어서 크레인(20)이 동작하여 후크 장치(500)가 해저(5)를 향해 하방으로 더 이동한다. 그 결과, 후크(100) 및 중량물(15)이 해저(5)에 맞닿는다.
후크 장치(500)가 해수(25)에 침지된 상태에서 중량물(15)이 해저(5)에 맞닿은 이후에는, 후크(100)에 가해지는 중량물(15)의 하중이 해제된다. 따라서, 다수의 부이(400, 410)로부터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후크(100)에 하방보다 상방으로 가해지는 힘이 우세해진다.
다수의 부이(400, 410)로부터 발생되는 부력에 의해 후크(100)의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부력이 래치 개폐부(300)에 전달되어 래치 개폐부(300)가 상부 방향으로 리프팅된다. 따라서, 래치 개폐부(300)가 제2 힌지부(220)에서 힌지 동작하면서 래치 개폐부(300) 및 래치(200) 간의 사이각이 벌어지게 되어 래치(200)가 열리게 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래치(도 3의 200) 및 래치 개폐부(도 3의 300) 간의 사이각보다 도 4에 도시된 래치(200) 및 래치 개폐부(300) 간의 사이각이 크다.
또한, 다수의 부이(400, 410)의 부력에 의해 래치 개폐부(300)가 리프팅되는 동시에, 후크(100)의 대략적인 무게 중심에 해당되는 제1 고리부(110)가 후크(100)의 개구된 부분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후크(100)가 회전 부상한다. 그 결과, 해저(5) 상에서 후크(100)의 무게 중심 부분에 대향하는 후크(100)의 개구된 부분이 대략적으로 해저(5)를 향하게 되고, 이에 따라 후크(10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중량물(15)에 결속된 체인(18)이 후크(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그 이후에, 크레인(20)의 와이어(150)를 되감아 해저(5)에 맞닿은 후크 장치(100)를 회수한다. 후크(100)가 해저(5)로부터 리프팅되는 경우에, 다수의 부이(400,410)의 부력보다 후크(100)의 하중이 더 크므로 후크(100)에 상방보다 하방으로 가해지는 힘이 우세해진다. 따라서, 후크(100)가 해저(5)와 이격된 상태에서는 래치(200)가 다시 닫히며, 후크(100)의 제1 고리부(110)가 후크(100)의 개구된 부분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후크(100)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후크(100)로부터 중량물(15)에 결속된 체인(18)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크레인(20)을 운전하는 작업자는 후크(100)가 해저(5)에 맞닿아 후크(100)에 중량물(15)의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해제되는 것을 확인하면, 다수의 부이(400, 410)에 의해 자동적으로 래치(200)가 열려 후크(100)로부터 중량물(15)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래치(200)를 열기 위한 별도의 수중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후크(100)를 해저(5) 상에 안착시킨 이후에 와이어(150)를 되감아 후크(100)를 회수함으로서 해저(5)에 중량물(5)을 운반하는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5: 해저 10: 선박
20: 크레인 25: 와이어
28: 해수 15: 중량물
100: 후크 110: 제1 고리부
120: 가이드부 200: 래치
210: 제1 힌지부 220: 제2 힌지부
300: 래치 개폐부 310: 제2 고리부
350: 연결부재 400: 부이

Claims (15)

  1. 후크(hook);
    상기 후크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와 대향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후크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래치(latch);
    상기 제2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래치 개폐부; 및
    부력을 가져 상기 후크와 상기 래치 개폐부와 연결된 부이(buoy)를 포함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수중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에 결속되어 상기 부이를 상기 후크 및 상기 래치 개폐부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에 고정되는 제1 고리부; 및
    상기 래치 개폐부에 고정되는 제2 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고리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고리부의 내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리부는 상기 후크의 개구된 부분과 대향하는 상기 후크의 일 부분의 외측 둘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개폐부는,
    상기 제2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양 단부들; 및
    벤딩된 형상을 가져 상기 양 단부들을 연결하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후크의 일 부분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리부는 상기 벤딩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고, 상기 래치 개폐부와 맞닿아 상기 래치 개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
  10. 후크, 상기 후크와 힌지 결합되는 제1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와 대향하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후크의 개구된 부분을 개폐하는 래치, 상기 제2 힌지부와 힌지 결합되는 래치 개폐부, 및 부력을 가져 상기 후크와 상기 래치 개폐부와 연결된 부이를 포함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후크에 중량물을 매달고 상기 래치를 닫는 단계;
    상기 후크 및 상기 후크에 매달린 중량물이 해저에 안착되어 상기 후크에 상기 중량부의 하중이 해제되는 단계;
    상기 부이의 부력에 의해 상기 래치 개폐부가 리프팅되어 상기 래치가 열리는 단계; 및
    상기 래치가 열린 후크로부터 상기 중량물이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의 부력에 의해 상기 래치 개폐부가 리프팅되어 상기 래치가 열리는 단계에서, 상기 제2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래치 및 상기 래치 개폐부간의 사이각이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에 결속된 연결부재는 상기 후크 및 상기 래치 개폐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부이의 부력이 상기 후크 및 상기 래치 개폐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에 제1 고리부가 고정되고, 상기 래치 개폐부에 제2 고리부가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고리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고리부의 내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리부는 상기 후크의 개구된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의 부력에 의해 상기 래치 개폐부가 리프팅되어 상기 래치가 열리는 단계에서, 상기 제1 고리부가 상기 후크의 개구된 부분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크가 회전 부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KR1020180045099A 2018-04-18 2018-04-18 크레인용 후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90121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099A KR20190121594A (ko) 2018-04-18 2018-04-18 크레인용 후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099A KR20190121594A (ko) 2018-04-18 2018-04-18 크레인용 후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594A true KR20190121594A (ko) 2019-10-28

Family

ID=6842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099A KR20190121594A (ko) 2018-04-18 2018-04-18 크레인용 후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15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583A (ko) 2020-03-19 2021-09-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후크
KR20230170208A (ko) 2022-06-10 2023-1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후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583A (ko) 2020-03-19 2021-09-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후크
KR20230170208A (ko) 2022-06-10 2023-12-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팅 후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0261B2 (en) Anchor line tensioning method
AU2010205618B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load
GB2150903A (en) Method and assembly for launching or retrieving a lifeboat
BR0311168B1 (pt) Método para posicionar um conjunto operacional submarino em um local desejado fora da costa em águas profundas
EP3251942B1 (en) Mooring pulley tensioning system
KR20190121594A (ko) 크레인용 후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5151235A (zh) 引航员从引航船安全转驳到工作艇的方法
JP2017529282A (ja) 海洋機械又は海中機械及びそれに関する繋着方法
US11198488B2 (en) Mooring apparatus
KR102411876B1 (ko) 가압된 페어리드 클럼프 웨이트
EP4053008A1 (en) Mooring apparatus
US2986750A (en) Connecting means for launching and recovery of water-borne craft from and to ships
KR100978065B1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장착 방법
US1948934A (en) Submarine airlock
US4372597A (en) Submersible equipment handling system
KR101808290B1 (ko) 인양장치를 구비한 선박 및 그의 인양방법
NO20170862A1 (en) A mooring system
KR101625381B1 (ko) 해상 구조물 계류 장치
JP2014117980A (ja) 浮標の設置方法
GB1604358A (en) Offshore structure and method
US1582130A (en) Apparatus for placing hoisting cables beneath ships
KR101741439B1 (ko) 컨테이너 이탈 안내 장치
JPH10280854A (ja) 掘削用ライザー管のハングオフ装置
JPS63121593A (ja) 有索式無人潜水機装置
KR101338917B1 (ko) 선박용 스러스터의 육상 장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