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581A -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 - Google Patents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581A
KR20190121581A KR1020180045070A KR20180045070A KR20190121581A KR 20190121581 A KR20190121581 A KR 20190121581A KR 1020180045070 A KR1020180045070 A KR 1020180045070A KR 20180045070 A KR20180045070 A KR 20180045070A KR 20190121581 A KR20190121581 A KR 20190121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magnet
spice
honeycomb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선
Original Assignee
문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희선 filed Critical 문희선
Priority to KR1020180045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1581A/ko
Publication of KR20190121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5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joined together by bonding, adhesiv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복수의 양념 보관함을 자석을 이용하여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게 함으로써,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덮개에 묻는 양념을 최소화하여, 덮개의 양념으로 인해 주방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양념 보관함이 바닥자석에 의해 피고정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6각면을 가지는 덮개와 덮개가 서로 연접하여, 덮개자석으로 상호 고정되는 허니콤 구조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방에서 양념 보관함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해주어, 비좁은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 {Magnet spice holder interlocked with honeycomb structure}
본 발명은 양념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양념 보관함을 자석을 이용하여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게 함으로써, 벽면에 수직 고정이 가능하여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할 뿐만 아니라, 덮개에 묻는 양념을 최소화하여 덮개의 양념으로 인해 주방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덮개와 용기 사이에 양념의 인입이 최소화되는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념은 음식의 맛을 돋우기 위하여 쓰이는 재료로 기름, 깨소금, 파, 마늘, 간장, 된장, 소금, 설탕 및 각종 향신료를 포함한다. 향신료는 고추, 후추, 파, 마늘, 생강, 겨자, 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양념에는 멸치가루, 표고가루, 새우가루 등의 천연조미료와 L-글루타민산 나트륨, 5-이노신산나트률, 5-구아닐산나트륨, 호박산이나트륨 등도 포함된다.
이러한 양념은 요리를 할 때나 음식을 먹을 때 빠져서는 안되는 필수 요소로써, 보관함에 담겨 주방에 비치한 후 필요할 때마다 사용하고 있다. 이때 양념은 고유의 향과 맛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보관함에 담기게 된다. 양념의 형태에 따라서 밀폐 용기를 사용하거나, 일반 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아울러 양념이 담긴 보관함을 사용상의 편리성을 위해 한 곳에 종류별로 군집을 이루도록 하여 주방에서 여러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양념 보관함은 각기 다른 보관함에 담겨서 주방에 비치되기 때문에 주방을 비좁게 하는 대표적인 요인 중 하나이다. 즉 양념을 담는 보관함은 사용상의 편의와 내용물 확인을 위해 뚜껑을 한 번에 열 수 있도록 펼쳐서 보관하기 때문에 주방에서 많은 자리를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요리를 할 때도 사용되는 양념 보관함을 꺼내 놓고 진행하기 때문에 요리를 진행하기 위한 주방 공간이 좁아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양념 보관함의 형태가 원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군집을 이뤄 보관할 때에 양념 보관함 사이 사이 빈 공간이 생기게 되어 주방 공간 활용을 비효적으로 만든다는 문제가 있다.
KR 20-2013-0006158 U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양념 보관함을 허니콤 구조로 연접하여 상호 고정하여 보관하도록 하여 양념 보관함이 차지하는 주방 공간을 줄여주어 비좁은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양념이 보관된 양념 보관한 중 필요한 것만 피고정물에서 간편하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념 보관함을 수직으로 세워져 보관하였다가 이를 다시 눕혀 사용할 때, 용기 내벽과 덮개에 묻은 양념이 쉽게 저장 공간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분리된 덮개에 묻어 있는 양념을 최소화하고, 덮개에 묻은 양념으로 인해 주방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덮개와 용기 사이에 양념의 인입이 최소화되는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석이 내부에 구비되어 양념 보관함을 수직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어, 주방의 벽면 등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덮개를 통하여 양념보관함 내부의 양념 종류와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를 제공하는 것이다.
내부에 각종 양념을 저장하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200)를 포함하는 양념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100)는, 육각으로 이루어진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의 각 변에서 위를 향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6개의 용기측벽(120)이 내측에 양념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부(130)를 형성하여 하나의 몸체를 이루되, 상기 용기(100)의 내측 상부 전체 둘레에는 상단 중심을 향하여 만곡된 제1굴곡(150)과, 상기 제1굴곡(150)에서 상부 방향을 향하는 계단식으로 연장되면서 만곡된 제2굴곡(160)이 차례대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100)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양념이 상기 저장부(130)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입구(140)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110)의 하부에는 내측에 바닥자석(180)이 내장되는 바닥자석수용부(170)가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200)는, 육각으로 이루어진 상판(210)과, 상기 상판(210)의 각 변에서 아래를 향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6개의 덮개측벽(220)이 상기 용기(100)의 상기 인입구(140)를 개폐하도록 덮어주는 뚜껑을 이루되, 상기 덮개(200)의 내측 상부 전체 둘레에는 상기 상판(210)의 각 변을 기준으로 구획된 6개의 덮개자석수용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자석수용부(230)에는 덮개자석(240)이 내장되어, 상기 덮개(200)가 상기 용기(100)를 덮어준 상태에서 한 쌍을 이뤄 상기 바닥자석(180)에 의해 피고정물(20)에 고정되고, 복수의 덮개(200)와 용기(100)의 쌍이 상기 덮개측벽(220)에 서로 연접하여 상기 덮개자석(240)의 자력으로 허니콤 구조를 이루면서 상호 고정되는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상판(210)의 중앙에는 상기 저장부(130)에 보관된 양념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재질의 투명판(250)이 설치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상판(210)의 하면에는 상기 투명판(250)을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복수의 돌출구(260)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돌출구(260)는 단면이 뒤집어진 산봉우리 형상을 이루되, 한쪽 면은 경사가 완만한 완사부(262)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면은 경사가 급격한 급사부(26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양념 보관함(1)(1')이 바닥자석(180)에 의해 피고정물(20)에 고정된 상태에서 6각면을 가지는 덮개(200)와 덮개(200)가 서로 연접하여, 덮개자석(240)으로 상호 고정되는 허니콤 구조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방에서 양념 보관함(1,1')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해주어, 비좁은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용기(100)의 내측 상부에 상단 중심을 향하여 만곡된 제1굴곡(150)과, 제1굴곡(150)에서 상부 방향을 향하는 연장되도록 만곡된 제2굴곡(160)이 계단식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제1굴곡(150)과 제2굴곡(160)에 양념(10)이 묻더라도 쉽게 저장부(130)로 낙하되어 용기(100)를 수직으로 세워 보관하였다가, 사용하기 위해 다시 눕히더라도 용기(100)의 내측 상부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덮개(200)의 하부에 투명판(250)을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뒤집어진 산봉우리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구(260)가 형성되되, 돌출구(260)의 한쪽 면은 경사가 완만하도록 완사부(262)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면은 완사부(262)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사가 급격하도록 급사부(264)가 형성되어, 용기(100)를 수직으로 보관하였다가, 눕혀서 사용하더라도 덮개(200)의 하부에 묻은 양념이 쉽게 저장부(130)로 내려갈 수 있어서, 덮개(200)에 묻는 양념을 최소화하고, 덮개(200)의 상판(210)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덮개(200)에 묻은 양념(10)에 의해 주방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기와 덮개 사이에 양념의 인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자석이 내부에 구비되어 양념 보관함을 수직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어, 주방의 벽면 등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덮개를 통하여 양념보관함 내부의 양념 종류와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을 수직으로 세워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를 허니콤 구조로 배치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가 용기(100)를 덮어주어 하나의 양념 보관함을 이루게 된다. 덮개(200)의 상판(210)의 중앙에 설치된 투명판(250)에 의해 용기(100)의 내부에 위치한 양념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덮개(200)와 용기(100)의 재질은 전체적으로 얇은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진다. 덮개(200)의 색상을 달리하여 용기(100) 내부의 양념의 종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을 위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중앙을 횡으로 절개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용기(100)는 전체적으로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념(10)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용기(100)는 육각형의 바닥판(110)과, 바닥판(110)의 각 변에서 상부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세워진 6개의 용기측벽(120)이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바닥판(110)과 용기측벽(120)의 내측에는 양념(10)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부(130)가 만들어진다.
이때 용기측벽(120)의 상부는 중심을 향하여 모이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용기측벽(120)의 상부 전체 둘레는 중심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122)가 형성된다. 아울러 용기측벽(120)의 상단은 절곡부(122)의 상부 끝단에서 중심을 향하여 단턱부(124)가 형성된다. 나아가 용기(100)의 상단 중앙에는 원형으로 절개되어 양념(10)이 인입될 수 있는 인입구(140)가 형성된다. 인입구(140)를 통해서 양념(10)이 저장부(130)에 보관되거나, 보관된 양념을 인입구(14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보관되는 양념(10)은 기름, 깨소금, 파, 마늘, 간장, 된장, 소금, 설탕 및 고추, 후추, 파, 마늘, 생강, 겨자, 깨 등의 향신료, 멸치가루, 표고가루, 새우가루 등의 천연조미료와 L-글루타민산 나트륨, 5-이노신산나트률, 5-구아닐산나트륨, 호박산이나트륨 등의 인공조미료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여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양념도 저장부(130)에 보관될 수 있다.
한편, 용기(100)의 내측 상부 전체 둘레에는 단턱부(124)의 상면을 향하여 절곡된 제1굴곡(150)이 형성된다. 이때 제1굴곡(150)은 절곡부(122)의 형상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거나, 다른 곡률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제1굴곡(150)과 연결되어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제2굴곡(160)도 형성된다. 이때 제1굴곡(150)과 제2굴곡(160)은 단턱부(124)의 상면을 향하여 계단식으로 연장된다. 제2굴곡(160)은 제1굴곡(150)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거나, 다른 곡률로 절곡된 형상을 이룬다.
제1굴곡(150)과 제2굴곡(160)은 용기(100)의 바닥판(11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본 발명의 양념 보관함이 사용될 때 저장부(130)에 수용된 양념이 후술할 덮개(200)의 상부 둘레에 묻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1굴곡(150)과 제2굴곡(160)은 가루 형상의 양념(10)이 덮개(200)의 상부 둘레에 묻는 경우, 묻은 양념(10)이 잘 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척의 어려움도 있기 때문에 이를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제1굴곡(150)과 제2굴곡(160)이 계단식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제1굴곡(150)과 제2굴곡(160)의 표면에 양념(10)이 묻더라도 쉽게 이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굴곡(150)과 제2굴곡(160)의 표면에 양념(10)이 묻은 경우 용기(100) 전체를 위에서 아래로 치면서 약간의 충격을 가해주기만해도 쉽게 떨어지게 된다.
한편, 용기(100)의 바닥판(110)의 하단 내측에는 바닥자석(180)이 내장된다. 이를 위해 바닥판(110)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중공형의 바닥자석수용부(170)가 형성된다. 바닥자석수용부(170)에 바닥자석(180)이 내장된다.
이때 바닥자석수용부(170)는 내장되는 바닥자석(180)의 형상에 따라 그 크기와 넓이가 달라지게 된다. 바닥자석(180)은 자력으로 용기(100)가 피고정물(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해준다. 바닥자석(180)은 자성이 강력한 네오디움 자석이 사용된다.
여기서 피고정물(20)은 얇은 판 형상의 자석 보드나 자석이 붙을 수 있는 금속 재질의 보드가 될 수 있다. 피고정물(20)은 걸이식으로 주방의 벽면에 걸어 놓거나, 후면에 흡착판이 구비되어 주방의 벽면이나 싱크대 상판 등에 붙여서 고정한 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바닥판(110)의 하단 전체 둘레에는 용기측벽(120)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바닥단턱(190)이 형성된다. 바닥단턱(190)은 후술할 덮개(200)의 덮개측벽(220)의 두께 만큼 외측으로 돌출된다. 바닥단턱(190)도 육각 형상을 이루게 된다. 바닥단턱(190)은 사용자가 용기(100)로부터 덮개(200)를 개폐할 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바닥단턱(190)의 외측을 파지한 채, 덮개(200)를 용기(1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바닥단턱(190)의 외측을 파지한 채, 안정적으로 덮개(200)로 용기(100)를 닫을 수 있다.
덮개(200)도 용기(100)와 동일하게 전체적으로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기(100)를 개폐해주는 뚜껑 역할을 한다. 덮개(200)는 육각형의 상판(210)과, 상판(210)의 각 벽에서 하부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세워진 6개의 덮개측벽(220)이 하나의 몸체로 뚜껑 형상으로 형성된다. 덮개(200)는 상판(210)과 덮개측벽(220)이 전체적으로 뒤집어진 'U'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덮개측벽(220)이 이루는 6각형의 크기는 용기측벽(120)이 이루는 6각형의 크기보다 넓이가 크게 형성된다. 이때 넓이의 차이는 덮개(200)가 용기(100)에 억지끼움될 수 있는 정도의 공차를 가진다.
덮개(200)는 용기(100)의 단턱부(124) 및 인입구(140)와 용기측벽(120)을 전체적으로 덮어주는 뚜껑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덮개(200)를 필요에 따라 개폐하여 용기(100)의 인입구(140)를 통해 양념(10)을 보관하거나 꺼낼 수 있다. 상판(210)의 중앙에는 후술할 투명판(250)이 설치될 수 있는 원형의 투명판홀(212)이 관통 형성된다.
덮개측벽(220)의 내측 상부 전체 둘레에는 덮개자석(240)이 내장될 수 있는 덮개자석수용부(230)가 형성된다. 덮개자석수용부(230)는 덮개(200)가 용기(100)에 덮어졌을 때 절곡부(122)와 단턱부(124)의 외측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즉 덮개자석수용부(230)의 단면을 보면 하부는 뾰족하게 절곡된 형상이며, 상부는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덮개자석수용부(230)는 덮개측벽(220)의 내측 둘레 상단에 형성된 구획판(222)에 의해 6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구획판(222)은 덮개측벽(220)의 각 변 양단에 한 쌍이 존재하여 덮개자석수용부(230)를 6개의 공간으로 구획해준다.
각 덮개자석수용부(230)에는 덮개자석(240)이 내장된다. 덮개자석(240)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덮개자석수용부(230)에서 회전이 가능한 크기로 내장된다. 즉 덮개자석(240)의 가로, 세로 길이 및 두께는 덮개자석수용부(230)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덮개자석(240)은 자력이 강한 네오디움 자석이 사용된다.
덮개자석(240)은 용기(100)와 덮개(200)가 결합된 여러 개의 양념 보관함이 덮개(200)가 연접된 상태로 배치될 때, 각각의 덮개자석수용부(230)에 위치한 덮개자석(240)이 극성에 맞게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서로 끌어당기게 되어 여러 개의 양념 보관함이 상호 고정되게 된다.
이때 덮개측벽(220)이 6각면을 이루기 때문에, 각 변에 복수의 양념 보관함이 연접하여 상호 고정되어 허니콤 구조로 고정될 수 있다. 허니콤 구조로 복수의 양념 보관함이 상호 고정됨으로써 주방의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기존 양념 보관함의 경우 원형을 이루게 되는데, 원형 보관함을 서로 밀착시켜 배치하더라고 원형과 원형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여 좁은 주방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늘어나게 된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허니콤 구조로 덮개측벽(220)의 6각면에 각각 형성된 덮개자석수용부(230)에 내장된 덮개자석(240)을 통해 빈틈없이 상호고정되기 때문에, 주방의 비좁은 공간을 낭비없이 효율적으로 쓸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양념 보관함과 보관함이 덮개(200)에 구비된 덮개자석수용부(230)의 덮개자석(240)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용기측벽(120)에 자석수용부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용기자석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용기측벽은 자석이 수용될 수 있도록 측벽의 두께를 조정되며,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한편, 투명판홀(212)에는 투명한 재질의 투명판(250)이 설치된다. 투명판(250)은 원형판 형상으로 투명판홀(212)에 접착식으로 고정된다. 투명판(250)은 투명 재질의 유리 또는 아크릴 또는 합성수지가 사용된다. 투명판(250)을 통해 사용자는 용기(100)의 저장부(130)에 보관된 양념의 종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판(210)의 하면에는 투명판(250)을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복수의 돌출구(260)가 돌출 형성된다. 돌출구(260)는 링형상으로 외측을 향할 수록 면적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돌출구(260)는 단면이 뒤집어진 산봉우리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된다. 돌출구(260)의 한쪽 면은 경사가 완만하도록 완사부(262)가 형성되도, 다른 한쪽면은 완사부(262)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사가 급격하도록 급사부(264)가 형성된다.
도 5는 도 3을 수직으로 세워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용기(100)의 바닥판(110)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저장부(130)에 보관된 양념(10)이 돌출구(260)에 묻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용기(100)의 바닥판(110)을 수평으로 눕히는 경우 돌출구(260)에 묻어 있던 양념(10)이 저장부(130)의 바닥을 향해 떨어지게 된다. 양념(10)이 액체인 경우 돌출구(260)에서 저장부(130)를 향해 흘러내리고, 가루인 경우에는 돌출구(260)에서 이탈되어 저장부(130)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돌출구(260)가 한쪽 면이 완만한 경사의 완사부(262)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면은 경사가 급격한 급사부(264)가 형성됨으로서, 돌출구(260)에 묻었던 양념이 쉽게 저장부(130)로 내려가도록 해준다. 즉 돌출구(260)는 덮개(200)의 상판(210) 하부에 묻어 있는 양념이 저장부(130)로 쉽게 내려가도록 해주어 덮개(200)를 용기(100)에서 분리할 때 덮개(200)의 상판(210)에 묻어 있는 양념을 최소화해준다. 아울러 그에 따라 덮개(200)의 상판(210)에 묻어 있는 양념으로 인해 주방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본 발명에서 용기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보관되기 때문에 용기 내부의 양념 저장의 최대 높이는 투명판까지로 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를 허니콤 구조로 배치한 평면도이다.
도 6에서는 덮개(200)의 상판(210)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양념 보관함(1)(1')의 바닥판(110, 도3 참조)을 피고정물(20, 도3 참조)에 고정하면서, 덮개(200)의 6개의 면으로 형성된 덮개측벽(220)과 서로 밀착시킨다. 그러면 덮개자석수용부(230)에 내장된 덮개자석(240)이 극성에 따라 방향이 바뀌면서 서로 끌어당기게 된다. 그러면 덮개측벽(220)이 서로 고정되게 된다.
복수의 양념 보관함(1)(1')을 허니콤 구조로 배치함으로써, 빈틈없이 양념 보관함(1)(1')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비좁은 주방에서의 공간활용성이 높아지게 된다.
1, 1' : 양념 보관함
10 : 양념 20 : 피고정물
100 : 용기
110 : 바닥판
120 : 용기측벽
122 : 절곡부 124 : 단턱부
130 : 저장부 140 : 인입구 150 : 제1굴곡 160 : 제2굴곡
170 : 바닥자석수용부 180 : 바닥자석 190 : 바닥단턱
200 : 덮개
210 : 상판
212 : 투명판홀
220 : 덮개측벽 222 : 구획판
230 : 덮개자석수용부 240 : 덮개자석 250 : 투명판
260 : 돌출구
262 : 완사부 264 : 급사부

Claims (4)

  1. 내부에 각종 양념을 저장하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200)를 포함하는 양념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100)는,
    육각으로 이루어진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의 각 변에서 위를 향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6개의 용기측벽(120)이 내측에 양념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부(130)를 형성하여 하나의 몸체를 이루되,
    상기 용기(100)의 내측 상부 전체 둘레에는 상단 중심을 향하여 만곡된 제1굴곡(150)과, 상기 제1굴곡(150)에서 상부 방향을 향하는 계단식으로 연장되면서 만곡된 제2굴곡(160)이 차례대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100)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양념이 상기 저장부(130)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인입구(140)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110)의 하부에는 내측에 바닥자석(180)이 내장되는 바닥자석수용부(170)가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덮개(200)는,
    육각으로 이루어진 상판(210)과, 상기 상판(210)의 각 변에서 아래를 향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6개의 덮개측벽(220)이 상기 용기(100)의 상기 인입구(140)를 개폐하도록 덮어주는 뚜껑을 이루되,
    상기 덮개(200)의 내측 상부 전체 둘레에는 상기 상판(210)의 각 변을 기준으로 구획된 6개의 덮개자석수용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자석수용부(230)에는 덮개자석(240)이 내장되어,
    상기 덮개(200)가 상기 용기(100)를 덮어준 상태에서 한 쌍을 이뤄 상기 바닥자석(180)에 의해 피고정물(20)에 고정되고, 복수의 덮개(200)와 용기(100)의 쌍이 상기 덮개측벽(220)에 서로 연접하여 상기 덮개자석(240)의 자력으로 허니콤 구조를 이루면서 상호 고정되는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10)의 중앙에는 상기 저장부(130)에 보관된 양념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 재질의 투명판(250)이 설치되는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10)의 하면에는 상기 투명판(250)을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복수의 돌출구(260)가 형성되는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구(260)는 단면이 뒤집어진 산봉우리 형상을 이루되, 한쪽 면은 경사가 완만한 완사부(262)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면은 경사가 급격한 급사부(264)가 형성되는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
KR1020180045070A 2018-04-18 2018-04-18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 KR20190121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070A KR20190121581A (ko) 2018-04-18 2018-04-18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070A KR20190121581A (ko) 2018-04-18 2018-04-18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581A true KR20190121581A (ko) 2019-10-28

Family

ID=6842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070A KR20190121581A (ko) 2018-04-18 2018-04-18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15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2139A (zh) * 2020-07-16 2020-10-16 宁波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榨菜的腌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158U (ko) 2012-04-16 2013-10-24 서장석 양념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158U (ko) 2012-04-16 2013-10-24 서장석 양념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2139A (zh) * 2020-07-16 2020-10-16 宁波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榨菜的腌渍装置
CN111772139B (zh) * 2020-07-16 2023-01-24 宁波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榨菜的腌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775B2 (en) Container assembly
US7428864B2 (en) Food server
US8919355B2 (en) Cosmetics storage device
AU751406B2 (en) Dispenser for liquid applicator
CN109068898A (zh) 容器组件
KR20190121581A (ko) 허니콤 구조로 상호 고정되는 자석 양념 보관함
US20060029695A1 (en) Multi-section food holding item exhibiting measurement indicia
US8993022B1 (en) Carry out bowl having convertible base
KR101594768B1 (ko) 즉석 김치용 보관용기
US20160297566A1 (en) Multi Jar
US6550629B1 (en) Tackle bucket
KR101584591B1 (ko) 한손 열림기능을 갖는 양념통과 거치대를 갖는 조리 기구
US9907437B2 (en) Ramekin dispenser
KR200445486Y1 (ko) 자석을 이용한 분리 가능한 양념통
JPH0426378Y2 (ko)
US20090236348A1 (en) One meal deal
US2812114A (en) Salt and pepper shaker
KR200285946Y1 (ko) 도시락 용기
KR101224898B1 (ko) 양파모양의 조미료통
US20230284806A1 (en) Multiple Chamber Dispenser Assembly
KR0130829Y1 (ko) 분리조립식 직립수저통
KR20180127813A (ko) 숟젓가락
JP3214720U (ja) 包装用容器及び蓋付き包装用容器
KR200485807Y1 (ko) 만두 포장용기
KR20170004325U (ko) [대나무 양념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