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737A - Launcher for mobile device based on usage pattern of user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Launcher for mobile device based on usage pattern of user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737A
KR20190118737A KR1020180041966A KR20180041966A KR20190118737A KR 20190118737 A KR20190118737 A KR 20190118737A KR 1020180041966 A KR1020180041966 A KR 1020180041966A KR 20180041966 A KR20180041966 A KR 20180041966A KR 20190118737 A KR20190118737 A KR 20190118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mobile device
apps
priority
laun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9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장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샤우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샤우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샤우터
Priority to KR1020180041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8737A/en
Publication of KR20190118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7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H04M1/7258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re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based on a usage pattern of a use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The launcher comprises: a pattern detection module for acquir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who uses a mobile device; a priority control module for adjusting the preset prior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usage pattern; and a screen configuration module for setting a position where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arranged on the hom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iority. Therefore, the optimal usage environment can be always provided to a user, and an application which the user needs can be quickly executed.

Description

사용자의 이용패턴 기반 모바일 기기용 런처 및 이의 동작 방법{LAUNCHER FOR MOBILE DEVICE BASED ON USAGE PATTERN OF USER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LAUNCHER FOR MOBILE DEVICE BASED ON USAGE PATTERN OF USER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용 런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이용패턴 기반 모바일 기기용 런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based on a user usage patter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바일 기기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Recently, a mobile device that detects a user's touch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operation, such as a smart phone, has been utilized in various ways.

이러한 모바일 기기에서 런처(launcher)는 다양한 앱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런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이하 OS), 모바일 기기의 제조사 또는 서드파티 업체 등에서 제공하고 있다. 런처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기본 기능인 앱 리스트 표시, 폴더 생성 및 검색 등과 같은 기능은 공통적으로 제공되고 있다.In such a mobile device, a launcher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executing various apps. Generally, the launcher is provided by an operating system (OS), a mobile device manufacturer, or a third party company. The launcher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but functions such as app list display, folder creation and search, which are basic functions, are generally provided in common.

특히 런처의 앱 리스트 표시 기능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모든 앱의 아이콘을 설치 시간 또는 이름 등과 같은 지정된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는 앱 모음 기능과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갖는 런처 홈 화면에 사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앱의 아이콘 배치하여 이용하는 팔레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pp list display function of the launcher is mainly used by the user on the launcher home screen having at least one page as well as an app collection function that displays icons of all app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ed sorting order such as installation time or name. The palette function can be provided by arranging icons of the used app.

한편, 최근 모바일 기기의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 통상 200여개 수준의 다수의 앱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고 있다. 또한 신규 앱의 설치나 이용패턴 변화 등으로 인해 모바일 기기에서 특정 앱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는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Meanwhile, as the usability of mobile devices has increased recently, a large number of apps of about 200 levels have been installed in mobile devices. In addition, a user's preference for a specific app on a mobile device may change over time due to the installation of a new app or a change in a usage pattern.

따라서 사용자가 다수의 앱 중에서 필요로 하는 앱을 선택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의 최적의 사용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아이콘의 배치 위치를 조절해야만 한다. 그러나 아이콘 배치 변경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적으로 수행되므로, 모바일 기기 인터페이스의 사용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아이콘의 배치 위치를 제대로 선택하지 못하여 최적의 사용환경을 구축하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a user to select an app that is needed from among a plurality of apps is increasing, and the user must continuously adjust the placement of icons to maintain an optimal use environment of the mobile device. However, since the icon arrangement is manually changed by a user's ope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ontinuous management of the user is required in order to maintain an optimal use environment of the mobile device interface. In addition, users who are unfamiliar with mobile devices often fail to properly select an icon placement position and thus fail to establish an optimal use environment.

한국 공개 특허 제 10-2016-0098865호 (2016.08.19 공개)Korean Unexamined Patent No. 10-2016-0098865 (published Aug. 19, 2016)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이용패턴을 분석하여 앱 아이콘의 배치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이용패턴 기반 모바일 기기용 런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to provide a launcher for a user use pattern based mobile devi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placement of an app icon by analyzing a user's mobile device use pattern.

본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항상 최적의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is to provide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can always provide an optimal use environment to a user.

본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앱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아이콘을 자동으로 재배치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to provide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automatically rearrange icons so that a user can quickly execute an app requir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용패턴을 획득하는 패턴 검출모듈, 상기 이용패턴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다수의 앱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우선순위 제어모듈 및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홈 화면에 상기 다수의 앱에 대응하는 다수의 아이콘이 배치되는 위치를 설정하는 화면구성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pattern detection module for acquir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who uses a mobile device, a priority control module for adjusting a preset prior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app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and the The mobile device may include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including a screen configuration module configured to set a location where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pps are arranged on a hom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priority.

여기서 패턴 검출모듈은 상기 다수의 앱 중 적어도 하나의 앱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한 사용 시간 및 사용 순서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실행패턴 검출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판별하고, 상기 다수의 앱 중 상기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앱을 판별하는 상황정보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ttern detection module may be included in an even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event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pps, an execution pattern detection unit for analyzing and storing a use time and a use ord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pps, and the mobile device. And a situation information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at least one sensor, and for determining an app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apps.

또한 우선순위 제어모듈은 상기 다수의 앱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와 상기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값을 포함하는 앱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앱 데이터베이스, 상기 패턴 검출모듈로부터 상기 이용패턴 및 선택된 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앱 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값을 변경하는 상황 판별부 및 변경된 우선순위값에 따라 상기 다수의 앱을 재정렬하여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앱 정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ority control module is an app database for obtaining and storing app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each of the plurality of apps and a priority value indicating the priority, the usage pattern and the selected app information from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And a status determination unit for changing a priority value included in the received app information, and an app alignment unit for reordering the plurality of apps according to the changed priority value.

화면구성모듈은 상기 홈 화면에 다수의 아이콘이 배치될 위치 및 배치될 순서를 판별하고, 판별된 위치 및 순서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제어모듈에서 재정렬된 다수의 앱을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할 수 있다.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determines the location and order in which the plurality of icons are to be arranged on the home screen, and sequentially arranges the plurality of apps rearranged in the priority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ocation and order, and thereby the mobile device. Can be output via the display.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런처는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홈 화면에 다수의 아이콘이 배치될 위치 및 배치될 순서를 설정하고, 설정된 위치 및 순서를 상기 화면구성모듈로 출력하는 런처 설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ets a position and order in which a plurality of icons are to be arranged on the home screen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and outputs the set position and order to 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용패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용패턴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다수의 앱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홈 화면에 상기 다수의 앱에 대응하는 다수의 아이콘이 배치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detect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who uses a mobile device, adjusting a predetermined prior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app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and according to the priority. A method of operating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changing a location where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pps are arranged on a home screen of a mobile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이용패턴을 분석하여 앱 아이콘의 배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사용자 이용패턴 기반 모바일 기기용 런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based on the user usage patter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which automatically adjusts the placement of the app icon by analyzing the usage pattern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항상 최적의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hat can always provide an optimal use environment to a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앱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아이콘을 자동으로 재배치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hich automatically rearrange icons so as to quickly execute an app required by a user.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런처 홈 화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런처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낸다.
도3 내지 도7 은 런처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이용패턴 별로 홈 화면에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8 은 런처가 가상의 시나리오에 따라 홈 화면에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런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
1 illustrates a launcher home screen structur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schematic structure of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7 illustrate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launche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icon on the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mobile device usage pattern of the user.
8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launcher changes the position of an icon on a home screen according to a virtual scenario.
9 illustrates a method of operating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block",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ean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런처 홈 화면 구조를 나타낸다.1 illustrates a launcher home screen structure displayed through a display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런처 홈 화면은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 각각에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앱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Icon)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아이콘(Icon)은 홈 화면에 미리 지정된 크기 및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아이콘(Icon) 각각의 크기 및 배치 위치는 런처의 설정값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auncher home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page displayed to the user. At least one icon corresponding to an app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may be disposed on each of the at least one page. A plurality of icons Icon may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ize and position on the home screen. The size and arrangement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cons may vary according to a setting value of the launcher.

여기서 다수의 아이콘(Icon)은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가 대응하는 앱을 인식하여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시자로서, 서로 다른 디자인 및 명칭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icons are indicators for allowing a user to recognize and execute a corresponding app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an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der different designs and names.

도1 에서는 일예로 2개의 페이지(Page1, Page2)를 포함하는 홈 화면을 도시하였으며, 가로 방향으로 최대 5개의 아이콘(Icon)이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홈 화면에 표시되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아이콘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지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아이콘의 개수가 현재 화면(예를 들면 도2 의 제1 페이지(Page1))에 한번에 표시될 수 있는 개수(예를 들면, 2개)를 초과하게 되면, 홈 화면은 세로 방향으로 스크롤 되도록 구현되거나, 도1 에서와 같이, 다수의 페이지로 구분되어 다른 페이지에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1 illustrates a home screen including two pages Page1 and Page2 as an example, and illustrates a case in which up to five icons Icon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though the number of icon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is not limited, the number of icon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displayed on the current screen (for example, the first page Page1 of FIG. 2) at one time. If more than two (eg, two), the home screen may be implemented to scroll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as shown in FIG. 1,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cons on different page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ges.

한편 홈 화면에는 아이콘(Icon)뿐만 아니라, 위젯(widget)(wgt) 등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홈 화면의 하나의 페이지에서 아이콘의 배치될 수 있는 위치는 제약될 수 있다. 일예로 도2 에서는 시간 및 날씨를 표시하는 위젯(wgt)이 배치된 제1 페이지(Page1)에는 10개의 아이콘(Icon)이 배치될 수 있는 반면, 위젯이 배치되지 않은 제2 페이지(Page2)에는 25개의 아이콘(Icon)이 배치될 수 있다.The home screen may further include not only an icon, but also a widget (wgt). In this case, the position where the icon may be placed on one page of the home screen may be restricted. For example, in FIG. 2, ten icons Icon may be disposed on a first page Page1 on which a widget wgt displaying time and weather is arranged, while on a second page Page2 on which a widget is not disposed. 25 icons can be arranged.

도1 에서는 각 페이지(Page1, Page2)의 모든 배치 가능한 위치에 아이콘(Icon)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아이콘(Icon)은 배치 가능 위치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Icon)은 사용자가 임의로 배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배치 가능 위치에 아이콘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FIG. 1, the icons Icon are disposed at all the dispositionable positions of the pages Page1 and Page2, but the icons Icon may be freely disposed at the dispositionable positions. The icon Icon corresponding to each app may be arbitrarily adjusted by the user, and the icon may not be disposed at the deployable position.

한편 본 발명에서 홈 화면에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앱에 대응하는 다수의 아이콘(Icon)이 기설정된 순서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apps may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order on the home screen.

도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런처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낸다.2 shows a schematic structure of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을 참조하여 도2 의 모바일 기기용 런처의 구조를 설명하면, 런처는 패턴 검출모듈(100), 우선순위 제어모듈(200), 화면구성모듈(300) 및 런처 설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tructure of the launcher for the mobile device of FIG. 2 will be described. The launcher includes a pattern detection module 100, a priority control module 200, a screen configuration module 300, and a launcher setting unit 400. can do.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기기용 런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등의 저장장치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패턴 검출모듈(100), 우선순위 제어모듈(200), 화면구성모듈(300) 및 런처 설정부(400) 등은 각각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may include a storage device such as a processor and a memory, a computer program capable of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and the like.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100,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and the screen may be used. The configuration module 300 and the launcher setting unit 400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modules capable of perform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화면구성모듈(300)은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 화면을 구성하여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이때 화면구성모듈(300)은 우선순위 제어모듈(200)에 의해 다수의 앱 각각에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다수의 아이콘(Icon)을 홈 화면의 기지정된 아이콘 배치 순서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300 configures a home screen as shown in FIG. 1 and outputs it through a display of a mobile device to display to a user. At this time, 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300 may sequentially arrange a plurality of icons (Icon) from the predetermined icon arrangement order of the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priority se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pps by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본 실시예에서 우선순위 제어모듈(200)은 홈 화면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앱 각각에 대해 앱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A1 ~ A35)와 우선순위를 판별하기 위한 우선순위값을 포함하는 앱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앱 정보의 우선순위값을 변경함으로써, 각 앱의 우선순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화면구성모듈(300)은 홈 화면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우선순위값을 비교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앱에 대응하는 아이콘부터 순차적으로 배치한다. 즉 홈 화면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앱(A1 ~ 35)의 우선순위값이 변경되면, 홈 화면에 배치되는 아이콘의 배치 위치가 조절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includes app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er (A1 to A35) for identifying an app and a priority value for determining priority for each of at least one app to be displayed on a home screen. By storing and changing the priority value of the stored app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riority of each app. 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300 compares at least one priority value to be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and sequentially arranges the icons corresponding to the high priority apps. That is, when the priority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apps A1 to 35 to be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is change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icon arranged on the home screen is adjusted.

도1 에서는 일예로 앱의 식별자(A1 ~ A35)와 해당 앱의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며, 이에 다수의 아이콘은 좌측 상단부터 우측 하단 방향 순서로 배치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앱의 식별자(A1 ~ A35)와 앱의 우선순위는 서로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앱의 배치 순서 및 배치 위치가 변경된다.In FIG. 1, for example, the identifiers A1 to A35 of the app and the priority of the corresponding app are the same, and thus, a plurality of icons are arranged in the order from the upper left to the lower right.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ers A1 to A35 of the app and the priority of the app may be adjust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order and placement position of each app are changed.

우선순위 제어모듈(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홈 화면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앱 각각에 대해 앱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와 우선순위를 판별하기 위한 우선순위값을 포함하는 앱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앱 정보의 우선순위값을 패턴 검출모듈(100)에서 전송되는 이용패턴정보에 따라 변경함으로써, 각 앱의 우선순위를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stores app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an app and a priority value for determining a priority for each of at least one app to be displayed on a home screen. By changing the priority value of the stored app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100, the priority of each app can be adjusted.

구체적으로,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다수의 앱 각각에 대한 식별자(A1 ~ A35)와 우선순위값을 포함하는 앱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한다. 일예로 홈 화면에 표시될 n개의 앱에 대해 앱 정보는 (A1, P1) … (An, Pn)와 같이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A1 ~ An은 각 앱에 대한 식별자이고, P1 ~ Pn은 각 앱에 대한 우선순위값이다.In detail,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sets and stores app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ers A1 to A35 and priority values for each of a plurality of app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For example, for n apps to be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the app information is (A1, P1)... It may be set and stored as (An, Pn). Here, A1 to An are identifiers for each app, and P1 to Pn are priority values for each app.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는 모바일 기기에 각 앱이 설치된 설치 순서 또는 앱 명칭에 따라 식별자를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우선순위값(P1 ~ Pn)은 대응하는 앱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될 때, 기지정된 순서로 초기값이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우선순위제어모듈(200)는 우선순위값(P1 ~ Pn)이 앱의 설치 순서에 대응하는 값을 갖도록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우선순위값(P1 ~ Pn)은 연속되는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나, 이산된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선순위값(P1 ~ Pn)은 설치 순서에 따라 n, n-1, n-2, …, 3, 2, 1과 같은 연속된 값을 가질수도 있으나, 10*n, 10*(n-1), …, 30, 20, 10과 같은 이산값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우선순위 제어모듈(200)가 각 앱의 우선순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우선순위값이 클수록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may set an identifier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order or an app name in which each app i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priority values P1 to Pn may be set to initial values in a predetermined order when the corresponding app i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For example,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may set an initial value such that the priority values P1 to Pn hav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order of the app. The priority values P1 to Pn may be set to continuous values, but may be set to have discrete values. For example, the priority values P1 to Pn are n, n-1, n-2,...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rder. It may have consecutive values such as, 3, 2, 1, but 10 * n, 10 * (n-1),... It may have a discrete value, such as 30, 20, 10. This is for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to easily change the priority of each app. It is also assumed that the higher the priority value, the higher the priority.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는 앱 데이터베이스(이하 앱DB)(210), 상황 판별부(220) 및 앱 정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may include an app datab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 DB) 210, a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20, and an app alignment unit 230.

우선 앱 DB(210)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다수의 앱에 대한 앱 정보와 아이콘을 저장한다. 또한 앱 DB(210)는 각 앱에서 발생된 이벤트 정보나 앱의 실행 시간, 실행 조건 등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앱 DB(210)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모든 앱에 대한 앱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홈 화면에 표시될 앱에 대한 앱 정보만을 저장할 수도 있다.First, the app DB 210 stores app information and icons for a plurality of app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In addition, the app DB 210 may store the event information or execution time of the app, execution conditions, and the like, generated in each app. Here, the app DB 210 may store app information about all the app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but in some cases, only the app information about the app to be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may be stored.

상황 판별부(220)는 패턴 검출모듈(100)는 패턴 검출모듈(100)에서 전송되는 이용패턴에 따라 앱 DB(210)에 저장된 앱 정보에서 우선순위값(P1 ~ Pn)을 조절한다. 상황 판별부(220)는 이용패턴을 분석하여, 현재 모바일 기기의 상태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태에 따라 대응하는 앱의 우선순위값(P1 ~ Pn)을 변경함으로써, 앱의 우선순위를 조절한다.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20 adjusts the priority values P1 to Pn in the app information stored in the app DB 210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transmitted from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100.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20 analyzes the usage pattern, deter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device, and adjusts the priority of the app by changing the priority values P1 to Pn of the corresponding app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te. .

이때, 상황 판별부(220)는 각 앱의 우선순위값이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값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황 판단부(220)는 우선순위값(P1 ~ Pn)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조절해야 하는 앱의 우선순위값이 가장 큰 우선순위값을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20 may adjust the priority value of each app to have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priority. For example,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20 may adjust the priority value of the app to be adjusted to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priority values P1 to Pn to have the highest priority value.

즉 n 개의 앱에 대한 앱 정보가 우선순위 값에 따라 (A1, P1), …, (An, Pn)와 같이 정렬된 상태라면, 1번째 정렬된 앱(A1)의 우선순위값(P1)은 n개의 우선 순위값 중 최대값을 가지며, 2번째 정렬된 앱(A2)부터 n번째 정렬된 앱(An)까지 순차적으로 작은 우선순위값(P2 ~ Pn)을 갖는다. 만일 10번째 앱(A10)의 우선순위를 2번째 앱(A2)보다 낮고 3번째 앱(A3)보다 높게 설정하고자 한다면, 상황 판별부(220)는 우선순위값(P10)을 2번째 앱(A2)의 우선순위값(P2)보다 작고, 3번째 앱(A3)의 우선순위값(P3)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That is, the app information for n app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iority value (A1, P1),... , (An, Pn), if the state is sorted, the priority value (P1) of the first sorted app (A1) has the maximum value of n priority values, the second sorted app (A2) to n The first ordered app An has sequentially smaller priority values P2 to Pn. If you want to set the priority of the tenth app (A10) lower than the second app (A2) and higher than the third app (A3),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20 sets the priority value (P10) to the second app (A2). ) Is smaller than the priority value P2 and larger than the priority value P3 of the third app A3.

그리고 상황 판별부(220)는 10번째 앱(A10)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현재 n개의 앱(A1 ~ An)에 대한 우선순위값(P1 ~ Pn) 중 우선순위값(P10)이 가장 큰 값(예들 들면 n+1)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10th app A10 to have the highest priority,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20 currently has a priority value P10 among the priority values P1 to Pn of the n apps A1 to An. It can be set to have the largest value (eg n + 1).

앱 정렬부(230)는 홈 화면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앱에 대한 앱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앱 정보를 우선순위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한다. 우선순위값이 클수록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므로, 앱 정렬부(230)는 우선순위값이 큰 앱 정보부터 우선순위값이 작은 앱 정보 순서로 정렬한다. 그리고 정렬된 앱 정보를 화면 구성모듈(300)로 전송한다.The app arranging unit 230 obtains app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app to be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and sequentially arranges the obtained app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iority value. Since it is assumed that the higher the priority value is, the higher the priority value is, the app sorter 230 sorts the app information having the high priority value from the app information having the low priority value. In addition, the sorted app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300.

상기에서 상황 판별부(220)가 우선순위값에 따라 A1, A2, A3, …, A9, A10, A11, …, An 순서로 정렬된 n 개의 앱에 대한 앱 정보에서 10번째 앱(A10)에 대한 우선순위값(P10)을 우선순위값(P2)와 우선순위값(P3)의 사이값으로 조절하였으므로, 앱 정렬부(230)는 조절된 우선순위값에 따라 n개의 앱을 A1, A2, A10, A3, …, A9, A11, …, An 순서로 재정렬할 수 있다.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20 according to the priority value A1, A2, A3,. , A9, A10, A11,... Since the priority value P10 for the 10th app A10 is adjusted to a value between the priority value P2 and the priority value P3 in the app information about n apps arranged in the order An, The sorter 230 selects n apps A1, A2, A10, A3,... According to the adjusted priority value. , A9, A11,... You can rearrange them in An order.

다만, 우선순위값(P1 ~ Pn)이 연속되는 값으로 설정된 경우, 우선순위값(P10)이 우선순위값(P2)와 우선순위값(P3)의 사이값으로 조절되기 위해서는 우선순위값(P3 ~ P9, P11 ~ Pn)이 모두 조절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상황 판별부(220)는 하나의 앱(A10)에 대한 우선 순위를 조절하기 위해, 하나의 우선순위값(P10)만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우선순위값(P3 ~ P9, P11 ~ Pn)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우선순위값(P1 ~ Pn)의 초기값을 10*n, 10*(n-1), …, 30, 20, 10과 같은 이산값으로 설정하고, 상황 판별부(220)는 조절되는 우선순위값(P10)이 이산된 우선순위값(P2, P3)의 사이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황 판별부(220)는 우선순위값(P10)을 10*(n-1)과 10*(n-2) 사이의 값으로 조절함으로써, 다른 앱에 대한 우선순위값(P3 ~ P9, P11 ~ Pn)을 변경하지 않고, 용이하게 우선순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상황 판별부(220)는 추가적인 우선순위 변동을 고려하여, 조절되는 우선순위값(P10)이 이산된 우선순위값(P2, P3)의 중간값(25)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priority values P1 to Pn are set to continuous values, in order to adjust the priority value P10 to a value between the priority value P2 and the priority value P3, the priority value P3 ~ P9, P11 ~ Pn) all need to be adjusted. That is,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20 does not adjust only one priority value P10 in order to adjust the priority for one app A10, but a plurality of priority values P3 to P9 and P11 to Pn. You need to adjust To prevent this problem, the initial values of the priority values P1 to Pn are set to 10 * n, 10 * (n-1),... , 30, 20, 10, and the like, and the situation discriminator 220 may set the adjusted priority value P10 to a value between the discrete priority values P2 and P3. That is,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20 adjusts the priority value P10 to a value between 10 * (n-1) and 10 * (n-2), so that the priority values P3 to P9 and P11 for other apps are adjusted. Priority can be easily adjusted without changing ~ Pn). In this case,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20 may adjust the priority value P10 to be adjusted to have an intermediate value 25 of the discrete priority values P2 and P3 in consideration of the additional priority change.

한편 앱 정렬부(230)는 상황 판별부(220)에 의해 변경된 우선순위값을 노멀라이징(normalizing)할 수 있다. 상황 판별부(220)에 의해 최우선 우선순위의 앱이 누적되어 갱신되면, 우선순위값(P1 ~ Pn)의 최대값이 점차로 증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우선순위값이 이산된 경우라도, 우선순위의 변경이 누적되면, 조절하고자 하는 우선순위값을 사이값으로 조절할 수 없게 되어, 다른 우선순위값을 함께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Meanwhile, the app aligner 230 may normalize the priority value changed by the situation determiner 220. When the app of the highest priority is accumulated and updated by the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20, the maximum value of the priority values P1 to Pn may gradually increase. In addition, even when the priority value is discrete, when the change of the priority is accumulated, the priority value to be adjusted cannot be adjusted to the inter-value, and thus, the priority value must be changed together.

이에 앱 정렬부(230)는 앱 재정렬 이후 또는 주기적으로 전체 앱(A1 ~ An)에 대한 우선순위값(P1 ~ Pn)을 현재 정렬된 앱의 순서에 따라 노멀라이징하여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초기설정되는 우선순위값의 규칙에 따라 재정렬된 앱의 우선순위값(P1 ~ Pn)을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pp arranging unit 230 may normalize and reset the priority values P1 to Pn for the entire apps A1 to An after the rearrangement of the app or periodically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currently sorted apps. That is, the priority values P1 to Pn of the rearranged app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ule of the priority value which is initially set.

패턴 검출모듈(100)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앱 실행 상태나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각종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패턴을 검출하여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로 출력한다.The pattern detection module 100 detects a user's usage pattern for the mobile device by using an app execution state on the mobile device or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various sensors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and outputs the detected pattern to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do.

패턴 검출모듈(100)은 이벤트 검출부(110), 실행패턴 검출부(120) 및 상황정보 검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ttern detection module 100 may include an event detector 110, an execution pattern detector 120, and a situation information detector 130.

이벤트 검출부(110)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다수의 앱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벤트 중 사용자의 응신이 필요한 앱을 판별한다.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실행중인 앱들은 다양한 이벤트들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벤트들 중 일부는 사용자에게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응신을 요구한다.The event detector 110 detects an event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app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and determines an app that requires a response from the user among the detected events. Apps installed and running on a mobile device can generate various events, some of which require the user to respond to the event.

예를 들면, 메시지, 메신저, SNS와 같은 앱은 푸쉬 알림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으며, 푸쉬 알림 이벤트의 대부분은 해당 앱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확인을 요구한다. 또한 배터리 관리 앱, 메모리 관리 앱과 같은 하드웨어 관리 앱의 경우, 하드웨어 상태 경고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상태 경고 이벤트의 대부분은 사용자의 확인 및 대응을 요구한다. 그리고 앱의 업데이트 이벤트 또한 사용자의 확인을 요구할 수 있다.For example, an app such as a message, a messenger, or an SNS may generate a push notification event, and most of the push notification events require the user's confirmation by executing the app.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hardware management app such as a battery management app or a memory management app, a hardware status warning event may be generated, and most of the hardware status warning events require user confirmation and response. The app's update event may also require user confirmation.

즉 다수의 앱 중 일부 앱은 사용자가 발생된 이벤트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명령이나 동작을 모바일 기기에서 수행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사용자 응신을 요구하는 앱은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사용자의 확인 및 추가 작업을 위해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받을 필요가 있다.That is, some of the plurality of apps require the user to check the generated event and perform a corresponding command or action on the mobile device. Therefore, an app that requires user response needs to be given high priority for user confirmation and additional work when an event occurs.

이에 이벤트 검출부(110)는 사용자의 확인 또는 대응이 요구되는 이벤트가 발생된 앱을 식별하여, 앱 정보와 이벤트 정보를 이용패턴으로서,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로 출력한다.Accordingly, the event detector 110 identifies an app in which an event for which a user needs to confirm or respond is generated, and outputs the app information and the event information to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as a usage pattern.

한편 실행패턴 검출부(120)는 다수의 앱에 대한 사용자의 앱 실행 패턴을 검출한다. 모바일 기기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앱이 설치되지만, 일부 앱의 경우, 특정 패턴을 갖고 실행될 수 있다. 이에 실행패턴 검출부(120)는 앱 DB(210)에 저장된 다수의 앱의 실행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실행패턴을 이용패턴으로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로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ecution pattern detection unit 120 detects the user's app execution pattern for a plurality of apps. Although many apps are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ome apps may be executed with a specific pattern. The execution pattern detection unit 120 may analyze the execution patterns of a plurality of apps stored in the app DB 210 and output the analyzed execution patterns to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as the usage patterns.

예를 들어, 날씨앱, 교통 정보앱, 뉴스앱 등은 출퇴근 시간대에 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알람 앱 등은 기상시간에 규칙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실행될 앱이 판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앱은 해당 시간에 우선순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행패턴 검출부(120)는 특정 시간에 실행될 가능성이 높은 앱을 판별하여, 앱 정보와 시간 정보를 이용패턴으로서,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eather app, traffic information app, news app, etc. may be mainly used during the commute time, the alarm app, etc. may be used regularly during the weather time. That is, an app to be executed periodicall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time, and such an app is preferably increased in priority at a corresponding time. Therefore, the execution pattern detector 120 may determine an app that is likely to be executed at a specific time, and output the app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to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as a usage pattern.

또한 다수의 앱 중에서는 실행 순서상 연관성이 높은 앱도 존재한다. 즉 다수의 앱(A1 ~ An) 중 하나의 앱(예를 들면 A1)이 실행된 이후, 특정 앱(예를 들면 A30)이 실행되는 빈도가 높다면, 이후에도 사용자는 두 개의 앱(A1, A30)을 연속하여 실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실행패턴 검출부(120)는 연관성 높은 앱들을 검출하고, 해당 앱들을 그룹화하여 특정 앱이 실행되면, 해당 앱에 관한 앱 정보와 그룹 정보를 이용패턴으로서,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many apps, there are apps that are highly related in order of execution. That is, if one of the plurality of apps (A1 to An) (for example, A1) is executed, and then a specific app (for example, A30) is frequently executed, the user may still have two apps (A1, A30). ) Can be judged to be highly likely to be executed continuously. Accordingly, the execution pattern detection unit 120 detects highly related apps, groups the corresponding apps, and when a specific app is executed, outputs the app information and the group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app as a usage pattern to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Can be.

상황정보 검출부(130)는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다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이용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상황정보 검출부(130)는 센싱정보로부터 위치 정보, 이동 속도,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황정보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아져야 하는 앱을 판별할 수 있다.The context information detector 130 may detect a user's usage pattern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The contextual information detector 130 may obtain contextual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movement speed, time information, and the like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and may determine an app that needs to be prioritized according to the contextual information.

예를 들어, 상황정보 검출부(130)는 위치 정보 및 이동 속도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 중인 것을 판별할 수 있으며, 교통정보 관련 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자전거를 이용하여 이동 중인 것으로 판별되면, 트래킹 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집이나 회사, 식당, 영화관 등 특정 장소를 판별하고, 해당 장소에서 이용될 수 있는 앱을 판별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ituation information detector 130 may analyz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oving speed to determine that the user is moving by using a vehicle, select an app related to traffic information, and move by using a bicycle. Once determined, the tracking app can be selected. In addition, a user may determine a specific place such as a house, a company, a restaurant, a movie theater, and determine and select an app that may be used at the corresponding place.

또한 해외와 같이, 사용자가 통상적인 활동 범위 이외의 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새로운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앱을 판별할 수 도 있다. 상황정보 검출부(130)는 상황별 이용패턴을 이전 사용자의 조건별 앱 이용패턴을 누적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필요한 앱을 판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moved to a location other than the normal activity range, such as overseas, it may be possible to determine an app that can be used when moving to a new location. The contextual information detection unit 130 may accumulate the contextual usage pattern of the previous user's app usage pattern for each condition, or may determine the required app by receiving it from the outside.

상황정보 검출부(130)는 선택된 앱에 대한 앱 정보와 함께 판별된 상황정보를 이용패턴으로서,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로 출력할 수 있다.The context information detector 130 may output the context information determined together with the app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app as the usage pattern to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한편 런처 설정모듈(400)은 홈 화면에 아이콘이 배치될 위치 및 배치될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도1 에서는 홈 화면의 각 페이지(Page1, Pag2)에서 다수의 아이콘(Icon)이 좌측 상단부터 우측 하단 순서로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사용자가 선호하는 아이콘의 배치 위치는 사용자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일예로 주로 오른손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를 조작하는 사용자와 왼손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를 조작하는 사용자 또는 양손으로 조작하는 사용자가 가 홈 화면에서 선호하는 아이콘의 위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서는 다수의 아이콘이 밀집되어 배치되는 것보다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uncher setting module 400 may set the position and the order in which the icons are arranged on the home screen. In FIG. 1, it is described that a plurality of icons Icon are arranged in order from the upper left to the lower right on each page Page1 and Pag2 of the home screen. However,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icon preferred by the user may be different for each user. For example, the position of an icon that a user who manipulates a mobile device using a right hand mainly and a user who operates a mobile device using a left hand or a user operating with both hand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user, a plurality of icons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n to be arranged in a dense manner.

따라서 화면구성모듈(300)이 우선순위 제어모듈(200)에 의해 재정렬된 다수의 앱에 대한 아이콘을 한가지 패턴으로 순차 배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런처 설정모듈(400)는 홈 화면에 아이콘이 배치될 위치 및 배치될 순서를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300 sequentially arranges icons for a plurality of apps rearranged by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in one pattern,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a user. The launcher setting module 400 may further change the location of the icon on the home screen and the order in which the icons are arranged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thereby further increasing user convenienc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런처는 패턴 검출모듈(100)에서 검출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이용 패턴에 따라 모바일 기기의 다수의 앱 중 현재 실행할 가능성이 높은 앱을 선택하고, 앱 정보와 함께 앱을 선택하기 위해 이용된 정보를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로 출력한다. 그리고 우선순위 제어모듈(200)은 패턴 검출모듈(100)에서 선택된 앱의 우선순위값을 변경하고, 변경된 우선순위값에 따라 홈 화면에 배치될 다수의 앱을 재정렬하여 화면구성모듈(300)로 출력한다. 이에 화면구성모듈(300)는 재정렬된 다수의 앱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홈 화면에 재정렬된 순서에 따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우선순위가 높은 앱의 아이콘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런처 설정모듈(400)을 이용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아이콘이 배치될 위치 및 순서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기기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launc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n app which is most likely to be executed currently among a plurality of apps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mobile device usage pattern detected by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100, and together with the app information. The information used to select the app is output to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changes the priority value of the app selected by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100 and rearranges a plurality of apps to be placed on the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changed priority value to 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300. Output Accordingly, 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300 arranges ic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earranged apps in the rearranged order of the hom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the icons of the high-priority apps. In addition, by using the launcher setting module 400, the user can freely set the position and the order in which the icon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priority, thereby further improving user convenience for the mobile device.

도3 내지 도7 은 런처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이용패턴 별로 홈 화면에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의 일예를 나타낸다.3 to 7 illustrate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launcher changes the position of an icon on a home screen according to a user's mobile device usage pattern.

도3 에서도 (a)는 다수의 앱이 재정렬되기 이전 홈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고, (b)는 우선순위 변경에 따라 다수의 앱이 재정렬된 이후의 홈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3 에서도 홈 화면은 도1 에서와 같이, 2개의 페이지(Page1, Page2)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In FIG. 3, (a) shows an example of a home screen before a plurality of apps are rearranged, and (b) shows an example of a home screen after a plurality of apps are rearranged according to a priority change. In FIG. 3, the home screen is assumed to include two pages Page1 and Page2 as in FIG. 1.

도3 의 (a)에서 홈 화면은 35개의 앱(A1 ~ A35)이 2개의 페이지(Page1, Page2)에 걸쳐 기지정된 배치 순서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우선순위 제어모듈(200)이 패턴 검출모듈(100)에서 검출한 이용패턴에 따라 제19 앱(A19)의 우선순위를 제7 앱(A7)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우선순위 제어모듈(200)은 제19 앱(A19)의 우선 순위값(P19)를 제6 앱(A6)의 우선순위값(P6)와 제7 앱(A7)의 우선순위값(P7)의 사이값으로 조절하고, 조절된 우선순위값에 따라 다수의 앱을 재정렬한다. 그리고 화면구성모듈(300)는 재정렬된 다수의 앱(A1 ~ An)에 대응하는 아이콘(Icon)을 순차적으로 홈 화면에 기설정된 배치 순서로 배치한다.In (a) of FIG. 3, the home screen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rder in which 35 apps A1 to A35 are spread over two pages Page1 and Page2.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may set the priority of the nineteenth app A19 higher than the seventh app A7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detected by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100. That is,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sets the priority value P19 of the nineteenth app A19 to the priority value P6 of the sixth app A6 and the priority value P7 of the seventh app A7. Adjust the value between and reorder multiple apps according to the adjusted priority value. 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300 sequentially arranges icons Icon corresponding to the rearranged plurality of apps A1 to An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rder on the home screen.

이에 (a)에서 제2 페이지(Page2)의 2번째 행에 배치된 제19 앱(A19)의 아이콘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페이지(Page1)의 2번째 행에 배치되고, 다른 앱(A6 ~ A18)의 배치 위치가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배치된다.Accordingly, the icon of the nineteenth app A19 disposed in the second row of the second page Page2 in (a) is disposed in the second row of the first page Page1, as shown in (b), The placement positions of the other apps A6 to A18 are sequentially moved and arranged.

즉 사용자는 홈 화면의 제1 페이지(Page1)에서 용이하게 제19 앱(A19)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That is, the user may easily select and execute an icon of the nineteenth app A19 on the first page Page1 of the home screen.

도4 는 푸쉬 알림 이벤트에 따라 홈 화면에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며, 일예로 SNS 앱(SNS)에서 푸쉬 알림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를 나타낸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position of an icon on a home screen according to a push notification event, and as an example, illustrates a case where a push notification event occurs in an SNS app (SNS).

도4 의 (a)에서 SNS 앱(SNS)은 제2 페이지(Page2)의 좌측 상단 (1 X 1)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SNS 앱(SNS)의 푸쉬 알림 이벤트는 대부분 해당 앱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신속한 확인을 요구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응신을 요구한다. 따라서 최우선 우선순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는 SNS 앱(SNS)의 우선순위값(P11)을 현재 설정된 우선순위값(P1 ~ Pn) 중 최고값(P1)보다 크게 변경(P11 > P1)하고, 변경된 우선순위값에 따라 다수의 앱을 재정렬한다. 이에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NS 앱(SNS)의 아이콘이 홈 화면에서 가장 먼저 배치되고, 나머지 모든 앱의 아이콘은 순차적으로 이동되어 배치된다.In FIG. 4A, the SNS app SNS is disposed at the upper left (1 × 1) position of the second page Page2. As described above, the push notification event of the SNS app (SNS) mostly executes the app and requires prompt confirmation of the user, and in some cases, the user's respons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have the highest priority.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changes the priority value P11 of the SNS app SNS to be greater than the maximum value P1 among the currently set priority values P1 to Pn (P11> P1), and the changed priority. Reorder multiple apps according to the rank value. As shown in (b), the icon of the SNS app (SNS) is placed first on the home screen, and the icons of all the other apps are moved and arranged sequentially.

도5 는 앱 실행패턴에 따라 홈 화면에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며, 특히 실행 순서상 연관성에 따라 그룹화된 앱이 실행됨에 따라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의 일예를 나타낸다.5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changing an icon's position on a home screen according to an app execution pattern, and in particular,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changing an icon's position as an app grouped according to an association in execution order is executed.

도5 에서는 사용자의 이전 앱 실행 패턴에 따라 제12 앱(A12)과 제33 앱(A33)이 그룹화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제12 앱(A12)은 카메라 앱이고, 제33 앱(A33)은 이미지 편집 앱이다. 즉 사용자는 이전 모바일 기기 사용시에 제12 앱(A12)인 카메라 앱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제33 앱(A33)인 이미지 편집 앱을 이용하여 편집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다. 그러므로 이후에도 카메라 앱(A12)를 실행한 이후, 이미지 편집 앱(A33)을 실행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FIG. 5, it is assumed that the twelfth app A12 and the thirty-third app A33 are grouped according to a user's previous app execution pattern. The twelfth app A12 is a camera app, and the thirty-third app A33 is an image editing app. That is, the user repeatedly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app, the twelfth app A12, and edits the generated image using the image editing app, the thirty-third app A33, when the user previously used the mobile device. Therefore, after executing the camera app A12,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ossibility of running the image editing app A33 is high.

도5 의 (a)에서는 카메라 앱(A12)과 이미지 편집 앱(A33)이 모두 제2 페이지(Page2)에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다.In Fig. 5A, both the camera app A12 and the image editing app A33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on the second page Page2.

이에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는 카메라 앱(A12)이 실행되면, 카메라 앱(A12)과 함께 그룹화된 이미지 편집 앱(A33)을 선택하여, 선택된 두개의 앱(A12, A33)의 우선순위를 조절한다. 이때,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는 두개의 앱(A12, A33)의 우선순위가 연속되도록 우선순위값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amera app A12 is executed,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selects an image editing app A33 grouped together with the camera app A12, and prioritizes the selected two apps A12 and A33. Adjust In this case,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may change the priority value so that the priorities of the two apps A12 and A33 are continuous.

이에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앱(A12)과 이미지 편집 앱(A33)의 우선순위가 3번째 및 4번째로 연속되도록 우선 순위값을 변경할 수 있다. 만일 변경되기 전 2번째 및 3번째 우선순위의 앱(A2, A3)에 대한 우선순위값이 340 및 330인 경우,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는 카메라 앱(A12)과 이미지 편집 앱(A33)의 우선순위값을 각각 345, 344로 변경함으로써, 다른 앱에 대한 우선순위값을 변경하지 않고 카메라 앱(A12)과 이미지 편집 앱(A33)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As shown in (b),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may change the priority value so that the priority of the camera app A12 and the image editing app A33 is consecutive to the third and fourth. If the priority values of the second and third priorities of the apps A2 and A3 are 340 and 330 before being changed,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may include a camera app A12 and an image editing app A33. By changing the priority values of 345 and 344, respectively, the priorities of the camera app A12 and the image editing app A33 can be changed without changing the priority values of the other apps.

도6 은 앱 실행패턴에 따라 홈 화면에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며, 특히 시간에 따라 규칙적으로 실행되는 앱에 대해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의 일예를 나타낸다.6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position of an icon on a home screen according to an app execution pattern, and in particular,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changing the position of an icon for an app that is regularly executed according to time.

패턴 검출모듈(100)에서 사용자가 요일별, 시간 별로 특정 앱을 실행하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는 해당 시간에 대응하는 앱의 아이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특정 요일의 특정 시간에 대리운전 앱(A12) 및 교통정보 앱(A15)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우선 순위제어모듈(200)는 해당 시간에 대리운전 앱(A12) 및 교통정보 앱(A15)의 우선순위를 변경하여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앱의 아이콘이 홈 화면에 우선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6 의 아이콘 위치 변경은 도5 의 아이콘 위치 변경과 유사하지만, 도5 에서는 그룹화된 다수의 앱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되면 해당 그룹의 모든 앱이 일괄적으로 이동하는 반면, 도6 에서는 지정된 시간에 실행되는 앱의 아이콘이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100 detects that the user executes a specific app for each day of the week and time,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may change the icon position of the app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mainly uses the surrogate driving app (A12) and the traffic information app (A15) at a specific time of the day,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is the surrogate driving app (A12) and traffic information app at the corresponding time. As shown in (b), the priority of (A15) may be changed so that an icon of the corresponding app may be preferentially placed on the home screen. The icon position change of FIG. 6 is similar to the icon position change of FIG. 5, but in FIG. 5, whe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grouped apps is executed, all the apps of the group move in a batch, whereas in FIG. Icons of the executed apps may be moved individually.

도7 은 상황정보에 따라 홈 화면에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7 에서는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활동하는 장소가 아닌 새로운 장소로 이동한 경우,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하는 예를 나타낸다.7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changing a position of an icon on a home screen according to situation information. 7 shows an example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icon when the user moves to a new place instead of the place where the user normally operates.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는 기존에 사용자가 해외와 같이 새로운 장소로 이동한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 앱들의 목록 및 순서를 판단하여, 우선순위를 조절함으로써, 도7 과 같이 아이콘을 배치할 수 있다. 도7 에서는 일예로 지도 앱을 최우선 앱으로 하여 메신저 앱, SNS 앱, 검색 앱 및 뱅킹 앱이 순차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배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Priority control module 200 may determine the list and order of apps that are mainly used when the user moves to a new place, such as overseas, by adjusting the priority, it is possible to place the icon as shown in FIG. . In FIG. 7, for example, a map app is a top priority app,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a messenger app, an SNS app, a search app, and a banking app are sequentially arranged with high priorities.

도8 은 런처가 가상의 시나리오에 따라 홈 화면에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의 일예를 나타낸다.8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launcher changes the position of an icon on a home screen according to a virtual scenario.

가상 시나리오는 아래에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며, 각 아이콘에 할당된 숫자는 변경된 우선순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된 아이콘의 순서를 나타낸다.The hypothetical scenario is assumed to be as follows, with the number assigned to each icon representing the order of the icons whose positions have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priorities.

1) 아내와 전화를 한다.1) Call your wife.

2) 통화중 대전 어머님께 송금을 요청받아, 계좌정보와 입금액 등을 메모하고2) Receive a remittance request from the mother during the call, and write down the account information and deposit amount.

3) 주거래 은행인 국민은행앱으로 이체를 한다. 3) Transfer to Kookmin Bank App, the main bank.

4) 점심시간에 강남역 부근에서 식사를 한다. 4) Have lunch near Gangnam station at lunch time.

5) 식사 후 사무실로 돌아오는 길에, 대전 어머님으로부터 고맙다는 전화를 받는다. 5) On the way back to the office after a meal, I receive a thank you call from my mother.

6) 아내로부터도 고맙다고 메시지를 받는다.6) I am thankful from my wife.

7) 테크크런치에서 특허 관련 페이지를 북마크한다.7) Bookmark the patent page on TechCrunch.

8) 연말정산을 위해 관심사로 추가한다. 8) Add as a concern for year-end settlement.

9) 문득, 창밖 풍경이 마음에 들어 사진을 찍는다.9) Suddenly, I like the scenery outside the window and take a picture.

이하 아이콘의 위치 변경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상기한 가상 시나리오에 따르면, Hereinafter, the position change operation of the ic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According to the above hypothetical scenario,

1) 아내에게 전화를 하므로, 통화 종료 후 아내의 연락처 아이콘이 최우선순위로 먼저 배치된다. 1) Since she calls her, her contact icon is placed first in the phone after the call.

2) 메모 앱이 실행되어 메모 아이콘이 최우선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아내의 연락처 아이콘은 다음 우선순위 위치로 이동한다. 2) The memo app is executed and the memo icon is placed at the top position. The wife's contact icon then moves to the next priority position.

3) 메모 앱의 내용에 따라 패턴 검출모듈(100)가 뱅킹 앱을 선택하여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로 출력하고, 이에 뱅킹 앱이 최우선 위치로 이동한다. 3)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100 selects the banking app and outputs it to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memo app, and the banking app moves to the highest position.

4) 위치 정보에 따라 최근 방문 장소 아이콘의 위치를 최우선 위치로 이동시킨다.4) Move the position of the recent visit place icon to the highest priority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5) 통화 종료 후, 대전 어머님 연락처를 최우선 위치로 이동시킨다.5) After the call, move the mother contact to the highest priority position.

6) 메시지 수신에 따라 메시지 앱을 최우선 위치로 이동시킨다.6) Move the message app to the top position according to the message reception.

7) 북마크 저장 후, 북마크 아이콘을 최우선 위치로 이동시킨다.7) After saving the bookmark, move the bookmark icon to the highest position.

8) 관심사 저장 후, 관심사 아이콘을 최우선 위치로 이동시킨다.8) After saving the interest, move the interest icon to the highest priority position.

9) 사진 촬영 후, 사진 아이콘 또는 갤러이 아이콘을 최우선 위치로 이동시킨다.9) After taking the picture, move the picture icon or gallery icon to the highest position.

도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런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다.9 illustrates a method of operating a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8 을 참조하여, 도9 의 모바일 기기용 런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우선순위 제어모듈(200)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다수의 앱에 대한 앱 정보를 획득한다(S10). 여기서 앱 정보는 각각의 앱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A1 ~ An)와 우선순위를 판별하기 위한 우선순위값(P1 ~ P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앱에서 발생된 이벤트 정보나 앱의 실행 시간, 실행 조건 등을 함께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이용패턴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8, whe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mobile device launcher of FIG. 9 is described,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obtains app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app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S10). Here, the app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ers A1 to An for distinguishing each app and priority values P1 to Pn for determining the priority. In addition, it can acquire and store event information generated in each app, execution time of the app, execution conditions, and the like. That is, the usage pattern can be stored together.

그리고 패턴 검출모듈(100)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의 이용 상태에 따른 이용패턴을 검출한다(S20). 여기서 이용패턴에는 각 앱의 실행 상태나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각종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특히 패턴 검출 모듈은 각 앱에서 발생된 이벤트, 앱 실행 시간 및 실행 순서의 규칙성, 장소, 이동 속도 등과 같은 주변 상황에 따른 상황 정보로부터 이용패턴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앱을 선택하고, 선택된 앱 정보와 이용패턴을 우선순위 제어모듈(200)로 출력할 수 있다.The pattern detection module 100 detects a usage pattern according to the use state of the user's mobile device (S20). Here, the usage pattern may detect the usage pattern of the user for the mobile device by using the execution state of each app or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various sensors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In particular,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detects a usage pattern from context information according to surrounding conditions such as events generated in each app, regularity of app execution time and execution order, location, and moving speed, and selects a corresponding app, and selects the selected app information. And the usage pattern may be output to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우선순위 제어모듈(200)은 패턴 검출모듈(100)에서 전송되는 앱 정보와 이용패턴에 따라 홈 화면에 표시될 다수의 앱의 우선순위값을 변경한다(S30). 그리고 변경된 우선순위값에 따라 다수의 앱을 재정렬하여 화면구성모듈(300)로 출력한다(S40).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changes the priority values of the plurality of apps to be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app information and the usage pattern transmitted from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100 (S30). Then, the plurality of apps ar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changed priority value and output to 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300 (S40).

화면구성모듈(300)은 우선순위 제어모듈(200)에서 재정렬된 다수의 앱에 대한 아이콘을 기설정된 배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홈화면을 구성한다(S50). 이때 화면구성모듈(300)은 런처 설정모듈(400)의 설정에 따라 미리 지정된 배치 위치 및 배치 순서에 따라 재정렬된 다수의 앱을 배치할 수 있다.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300 configures the home screen by sequentially placing icons for the plurality of apps rearranged in the priority control module 2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rangement order (S50). In this case, 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300 may arrange a plurality of rearranged app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rangement position and arrangement order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launcher setting module 400.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런처 이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이용패턴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와 현재 상황 정보 또는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다수의 앱에 대한 아이콘의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홈 화면에서 사용자가 실행할 가능성이 높은 앱을 용이하게 찾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에게 항상 최적의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 user's mobile device usage pattern, and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and the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or motion information, the order of icons for a plurality of app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is determined. This makes it easy to find and launch apps that the user is likely to run on the home screen. In other words, the user can always be provided with the optimal environment.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시키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또한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하며, ROM(판독 전용 메모리),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CD(컴팩트 디스크)-ROM,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for execution in a computer. The computer readable media herein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can also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and includes ROM (readable) Dedicated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CD (compact disk) -ROM, DVD (digital video disk) -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패턴 검출모듈
200: 우선순위 제어모듈
300: 화면구성모듈
400: 런처 설정모듈
100: pattern detection module
200: priority control module
300: screen configuration module
400: launcher setting module

Claims (11)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용패턴을 획득하는 패턴 검출모듈;
상기 이용패턴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다수의 앱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우선순위 제어모듈; 및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홈 화면에 상기 다수의 앱에 대응하는 다수의 아이콘이 배치되는 위치를 설정하는 화면구성모듈; 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
A pattern detection module for acquir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who uses a mobile device;
A priority control module for adjusting a preset prior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app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And
A screen configuration module for setting a location where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pps are arranged on a hom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ity; Launcher for mobile devices, includ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검출모듈은
상기 다수의 앱 중 적어도 하나의 앱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한 사용 시간 및 사용 순서를 분석하여 저장하는 실행패턴 검출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판별하고, 상기 다수의 앱 중 상기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앱을 판별하는 상황정보 검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An event detector detecting an event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pps;
An execution pattern detector configured to analyze and store a use time and a use ord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pps; And
A situation information detector to determine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sens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at least one sensor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and to determine an app corresponding to the context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apps; Launcher for mobile devices, comprising a.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검출부는
상기 다수의 앱 중 메신저, 메시지 등의 푸쉬 알림 서비스 이벤트가 발생된 앱 또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하드웨어 상태 경고 이벤트가 발생된 앱을 검출하고,
상기 실행패턴 검출부는
상기 다수의 앱 각각의 실행 주기성 및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사용되는 앱들의 실행 순서 및 연속 사용 횟수를 판별하고, 현재 시간 및 현재 실행된 앱에 대응하는 앱을 선택하며,
상기 상황정보 검출부는
상기 센싱 정보로부터 위치 정보, 이동 속도,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황정보에 대응하는 앱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vent detector
Detect an app in which a push notification service event such as a messenger or a message is generated or an app in which a hardware status warning event of the mobile device is generated among the plurality of apps,
The execution pattern detector
Determine the execution ord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pps and the order of execution of consecutively used apps within a preset reference time, and the number of consecutive uses, and select an app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and the currently executed app,
The situation information detection unit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btain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moving speed, time information from the sensing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situation informatio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제어모듈은
상기 다수의 앱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와 상기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값을 포함하는 앱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앱 데이터베이스;
상기 패턴 검출모듈로부터 상기 이용패턴 및 선택된 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앱 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값을 변경하는 상황 판별부; 및
변경된 우선순위값에 따라 상기 다수의 앱을 재정렬하여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앱 정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iority control module
An app database for acquiring and storing app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each of the plurality of apps and a priority value representing the priority;
A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which receives the usage pattern and selected app information from the pattern detection module and changes a priority value included in the received app information; And
An app aligning unit for reordering the plurality of apps according to a changed priority value to adjust a priority; Launcher for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정렬부는
재정렬 상기 다수의 앱에 대한 우선순위값을 정렬된 앱의 순서에 따라 기지정된 값을 갖도록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pp aligning unit
Reorder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setting the priority value for the plurality of apps to have a predetermined value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sorted app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성모듈은
상기 홈 화면에 다수의 아이콘이 배치될 위치 및 배치될 순서를 판별하고, 판별된 위치 및 순서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제어모듈에서 재정렬된 다수의 앱을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The location of the plurality of icons are arranged on the home screen and the order in which the icons are arranged, and the plurality of apps rearranged in the priority control module are sequentially arrang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ocation and order, and th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of the mobile device. Launcher for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용 런처는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홈 화면에 다수의 아이콘이 배치될 위치 및 배치될 순서를 설정하고, 설정된 위치 및 순서를 상기 화면구성모듈로 출력하는 런처 설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
The launcher of claim 6, wherein the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the mobile device further comprises a launcher setting module for setting the position and the order in which the plurality of icons are arranged on the home screen, and outputs the set position and order to the screen configuration module Dragon Launcher.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이용패턴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용패턴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다수의 앱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의 홈 화면에 상기 다수의 앱에 대응하는 다수의 아이콘이 배치되는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의 동작 방법.
Detect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who uses the mobile device;
Adjusting a predetermined prior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app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And
Changing a location where a plurality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pps are arranged on a hom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ity; Operation method of the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패턴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앱 중 적어도 하나의 앱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앱 각각에 대한 사용 시간 및 사용 순서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현재 시간 및 현재 실행된 앱에 대응하는 앱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상황 정보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황정보에 대응하는 앱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etecting of the usage pattern comprises:
Detecting an event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pps;
Analyzing a use time and a use ord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pps, and selecting an app corresponding to a current time and a currently executed app according to an analysis result; And
Determining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sensing information acquired from at least one sensor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and selecting an app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ituation information; Operation method of the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앱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와 상기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값을 포함하는 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앱 중 상기 이용패턴 및 선택된 앱에 대응하는 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앱 정보에 포함된 우선순위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선택된 앱에 설정된 우선순위값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값에 따라 상기 다수의 앱을 재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의 동작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djusting the priority is
Obtaining app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each of the plurality of apps and a priority value indicating the priority;
Receiving ap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age pattern and the selected app among the plurality of apps, and changing a priority value included in the received app information; And
Adjusting a priority value set for the selected app; And
Reordering the plurality of apps according to the priority values; Operation method of the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홈 화면에 다수의 아이콘이 배치될 위치 및 배치될 순서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된 위치 및 순서에 따라 상기 우선순위 제어모듈에서 재정렬된 다수의 앱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런처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changing the position
Determining a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icons are to be arranged on the home screen and an order in which the icons are to be arranged; And
Sequentially placing a plurality of rearranged apps in the priority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osition and order; Operation method of the launcher for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KR1020180041966A 2018-04-11 2018-04-11 Launcher for mobile device based on usage pattern of user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901187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966A KR20190118737A (en) 2018-04-11 2018-04-11 Launcher for mobile device based on usage pattern of user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966A KR20190118737A (en) 2018-04-11 2018-04-11 Launcher for mobile device based on usage pattern of user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737A true KR20190118737A (en) 2019-10-21

Family

ID=6846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966A KR20190118737A (en) 2018-04-11 2018-04-11 Launcher for mobile device based on usage pattern of user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873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865A (en) 2015-02-11 2016-08-1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and utiliting web page based on behavior pattern of custom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865A (en) 2015-02-11 2016-08-1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and utiliting web page based on behavior pattern of custom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73772B (en) Page return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1747303B1 (en) Method for recommendation of application, mobile terminal thereof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US91527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voc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RU2564448C2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mobile terminal information
CN105528392B (en) Classification label ordering method and device
CN110244949B (en) Pag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US201401817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elevant applications
EP263468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 shortcut menu
CN108762611B (en) Application ico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300414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enu screen of user device
EP2690567B1 (en) Method for managing data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3226435A (en) Scrol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erminal
US11397597B2 (en) Appl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10824445B2 (en) Dynamic presentation of function portals
CN108762844B (en) Application program preload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CN116088716B (en) Window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CN109460312A (en) Request the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of failure
KR20190118737A (en) Launcher for mobile device based on usage pattern of user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20210026913A1 (en) Web browser control feature
CN111399724A (en) Display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of system setting items
CN111355848B (en) Position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A300300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image searching with voice recognition commands
KR101871412B1 (en) Mobile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N112287064A (en) Rendering method and device for map engine anchor point
CN107621903B (en) Double-touch-screen equipment and response control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