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520A - 장식 부재 - Google Patents

장식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520A
KR20190118520A KR1020190040237A KR20190040237A KR20190118520A KR 20190118520 A KR20190118520 A KR 20190118520A KR 1020190040237 A KR1020190040237 A KR 1020190040237A KR 20190040237 A KR20190040237 A KR 20190040237A KR 20190118520 A KR20190118520 A KR 20190118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quation
substrate
axis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772B1 (ko
Inventor
송진숙
김정두
한상철
장성호
김기환
조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980020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867822B/zh
Priority to JP2020544041A priority patent/JP7424565B2/ja
Priority to EP19818943.3A priority patent/EP3808555A4/en
Priority to US16/981,110 priority patent/US11932001B2/en
Priority to PCT/KR2019/007281 priority patent/WO2019240561A1/ko
Publication of KR2019011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1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장식층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로서,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콘트라스트 파라미터(Cn)가 0.1 이상인 시야각(θ 및 φ)의 조합이 1개 이상 존재하는 것인 장식 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 부재{DECORATION ELEMENT}
본 출원은 2018년 4월 10일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8-0041562호 및 2018년 10월 4일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8-0118369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는 장식 부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는 모바일 기기나 전자제품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장식 부재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다양한 모바일기기, 가전제품들은 제품의 기능 외 제품의 디자인, 예컨대 색상, 형태, 패턴 등이 고객에게 제품의 가치 부여에 큰 역할을 한다. 디자인에 따라 제품의 선호도 및 가격 또한 좌우되고 있다.
일 예로서, 휴대폰의 경우, 다양한 색상과 색감을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하여 제품에 적용하고 있다. 휴대폰 케이스 소재 자체에 색을 부여하는 방식과 색과 모양을 구현한 데코 필름을 케이스 소재에 부착하여 디자인을 부여하는 방식이 있다.
기존 데코 필름에 있어서 색상의 발현은 인쇄, 증착 등의 방법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였다. 인쇄나, 증착 방법을 통하여, 문자나 이미지를 배경색과 다른 색상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종의 색상을 단일면에 표현하는 경우는 2회 이상 인쇄를 하여야 하며, 입체 패턴에 색을 다양하게 입히고자 할 때는 구현이 현실적으로 어렵다. 또한, 기존 데코필름은 보는 각도가 달라지더라도 색상이 고정되어 있고, 다소 변화가 있다고 할지라도 색감의 차이 정도에 한정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5837호
본 명세서는 색과 밝기가 변화하는 영역의 개수가 많고, 인접한 영역의 색과 밝기의 콘트라스트가 큼으로써 장식적 효과가 우수한 장식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장식층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로서,
380nm≤λ≤780nm 파장의 D65의 표준 광원 조건 하에서 상기 장식층의 표면의 중심점을 원점으로 하는 공간 좌표계의 (r, θ, φ) 위치에 위치한 탐지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장식층 표면 상의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에 대하여 CIE L*ab 색좌표 상의 명도값 L*을 측정하고,
상기 공간 좌표계는 상기 장식층의 표면 상의 어느 일 방향으로의 x축, 상기 x축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장식층의 표면 상의 다른 방향으로의 y축 및 상기 장식층의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의 z축을 포함하고,
상기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과 상기 임의의 원의 중심(A0)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도(
Figure pat00001
)를 가로축으로 하고, 측정된 명도값 L*을 세로축으로 하는 그래프를 그래프 G1이라고 할 때,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002
가 0° 내지 360°인 범위에서, 하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의 개수(n)가 2 이상이고,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콘트라스트 파라미터(Cn)가 0.1 이상인 θ 및 φ의 조합이 1개 이상 존재하는 것인 장식 부재를 제공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수학식 A]
Figure pat00004
[수학식 B]
Figure pat00005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006
는 상기 그래프 G1의 가로축의
Figure pat00007
가 증가할 때 나타나는,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i번째 구간(Si)의
Figure pat00008
의 평균값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학식 B로 표시되고,
상기 n이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n이 2인 경우
Figure pat00009
이 0이고,
상기 n이 3 이상인 경우,
Figure pat00010
이 1이고,
상기 수학식 A 및 수학식 B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011
는 상기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과 상기 임의의 원의 중심(A0)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도(
Figure pat00012
)에 따른 CIE L*ab 색좌표 상의 명도값 L*이고,
Figure pat00013
는 상기 각도
Figure pat00014
에 대한 명도값
Figure pat00015
의 기울기의 절대값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pat00016
는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i번째 구간(Si)의 가장 큰
Figure pat00017
값이고, 상기
Figure pat00018
은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i번째 구간(Si)의 가장 작은
Figure pat00019
값이고,
상기 공간 좌표계의 r은 상기 탐지 수단과 상기 공간 좌표계의 원점 사이의 거리로서, 200mm이고,
상기 공간 좌표계의 θ는 상기 탐지 수단과 상기 공간 좌표계의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양의 방향의 z축과 이루는 각도로서, 0° 내지 360°인 범위이고,
상기 공간 좌표계의 φ는 상기 탐지 수단과 상기 공간 좌표계의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양의 방향의 x축과 이루는 각도로서, 0° 내지 360°인 범위이고,
상기 임의의 원의 지름은 상기 장식층의 표면의 단축 길이의 0.8배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들에 따르면, 색과 밝기가 변화하는 영역의 개수가 많고, 인접한 영역의 색과 밝기의 콘트라스트가 큼으로써 장식적 효과가 우수한 장식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상기 장식 부재의 장식층을 1층 또는 2층 이상의 광반사층 및/또는 1층 또는 2층 이상의 광흡수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외부광이 입사시 입사경로와 반사시 반사경로 각각에서 광반사 및/또는 광흡수가 이루어지며, 각 표면에서 발생하는 반사광 사이에 보강간섭 및 상쇄간섭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입사경로와 반사경로에서의 광흡수와 보강간섭 및 상쇄간섭의 현상을 통하여 특정 색상이 발현될 수 있다. 또한, 발현되는 색상은 두께 의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물질 구성을 갖는 경우에도 두께에 따라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면에 광반사층 및/또는 광흡수층이 두께가 상이한 2 이상의 지점 또는 영역을 갖도록 하는 경우, 복수의 색상 발현이 가능하며, 입체 패턴에 색발현층을 형성함으로써 입체 패턴에 다양한 색상 구현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장식 부재의 적층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4는 공간 좌표계의 (r, θ, φ)를 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임의의 원의 지름과 장식층의 표면의 단축 길이를 서로 비교한 것이다.
도 5는 구조체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6은 패턴층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도 18은 반사광이 보강 또는 상쇄 간섭을 하는 작용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3은 광흡수층의 형태를 설명한 것이다.
도 24 및 도 25는 칼라필름을 더 포함하는 장식 부재의 적층 구조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도 26 및 도 27은 실시예 1의 볼록형 구조체의 배열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 및 도 29는 실시예 5의 볼록형 구조체의 배열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0 내지 도 32는 평가예 1에 따른 CIE L*ab 색좌표 상의 명도값 L*과 관련된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는 평가예 2에 따른 CIE L*ab 색좌표 상의 명도값 L*과 관련된 도면이다.
도 35 및 도 37은 평가예 1에 따른 장식 부재의 표면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6은 평가예 2에 따른 장식 부재의 표면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8은 볼록형 구조체의 표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 또는 "지점"이란 면적을 갖지 않는 하나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관찰자에 의하여 관찰되는 특정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또는 광반사층 또는 광흡수층의 두께가 서로 상이한 지점이 2 이상 존재한다는 점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표현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영역"이란 일정 면적을 갖는 부분을 표현한다. 예컨대,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에 놓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장식 부재의 상면 상에서 폐쇄 구간을 구획하였을 때, 구획된 폐쇄 구간의 상기 장식 부재의 상면의 면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면" 또는 "영역"은 평면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부 또는 일부가 곡면일 수 있다. 예컨대, 수직단면의 형태가 원이나 타원의 호의 일부, 물결 구조, 지그재그 등의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층의 "두께"란 해당 층의 하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최단거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또는" 이란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나열된 것들을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포함하는 경우, 즉 "및/또는"의 의미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층"이란 해당 층이 존재하는 면적을 70% 이상 덮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덮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는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장식층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로서,
380nm≤λ≤780nm 파장의 D65의 표준 광원 조건 하에서 상기 장식층의 표면의 중심점을 원점으로 하는 공간 좌표계의 (r, θ, φ) 위치에 위치한 탐지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장식층 표면 상의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에 대하여 CIE L*ab 색좌표 상의 명도값 L*을 측정하고,
상기 공간 좌표계는 상기 장식층의 표면 상의 어느 일 방향으로의 x축, 상기 x축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장식층의 표면 상의 다른 방향으로의 y축 및 상기 장식층의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의 z축을 포함하고,
상기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과 상기 임의의 원의 중심(A0)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도(
Figure pat00020
)를 가로축으로 하고, 측정된 명도값 L*을 세로축으로 하는 그래프를 그래프 G1이라고 할 때,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021
가 0° 내지 360°인 범위에서, 하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의 개수(n)가 2 이상이고,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콘트라스트 파라미터(Cn)가 0.1 이상인 θ 및 φ의 조합이 1개 이상 존재하는 것인 장식 부재를 제공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22
[수학식 A]
Figure pat00023
[수학식 B]
Figure pat00024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025
는 상기 그래프 G1의 가로축의
Figure pat00026
가 증가할 때 나타나는,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i번째 구간(Si)의
Figure pat00027
의 평균값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학식 B로 표시되고,
상기 n이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n이 2인 경우
Figure pat00028
이 0이고,
상기 n이 3 이상인 경우,
Figure pat00029
이 1이고,
상기 수학식 A 및 수학식 B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030
는 상기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과 상기 임의의 원의 중심(A0)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도(
Figure pat00031
)에 따른 CIE L*ab 색좌표 상의 명도값 L*이고,
Figure pat00032
는 상기 각도
Figure pat00033
에 대한 명도값
Figure pat00034
의 기울기의 절대값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pat00035
는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i번째 구간(Si)의 가장 큰
Figure pat00036
값이고, 상기
Figure pat00037
은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i번째 구간(Si)의 가장 작은
Figure pat00038
값이고,
상기 공간 좌표계의 r은 상기 탐지 수단과 상기 공간 좌표계의 원점 사이의 거리로서, 200mm이고,
상기 공간 좌표계의 θ는 상기 탐지 수단과 상기 공간 좌표계의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양의 방향의 z축과 이루는 각도로서, 0° 내지 360°인 범위이고,
상기 공간 좌표계의 φ는 상기 탐지 수단과 상기 공간 좌표계의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양의 방향의 x축과 이루는 각도로서, 0° 내지 360°인 범위이고,
상기 임의의 원의 지름은 상기 장식층의 표면의 단축 길이의 0.8배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콘트라스트 파라미터(C)가 0.1 이상,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한다는 것은, 관찰자의 눈에 장식 부재의 색이 변화하는 구간의 개수가 많거나 장식 부재로부터 관찰되는 색 변화가 크게 느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039
가 0° 내지 360°인 범위에서,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의 개수(n)가 2이고, 상기 수학식 1은 하기 수학식 1-2로 표시될 수 있다.
[수학식 1-2]
Figure pat00040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041
가 0° 내지 360°인 범위에서,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의 개수(n)가 3 이상이고, 상기 수학식 1은 하기 수학식 1-3으로 표시될 수 있다.
[수학식 1-3]
Figure pat00042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043
가 0° 내지 360°인 범위에서,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의 개수(n)가 3이고, 상기 수학식 1은 하기 수학식 1-4로 표시될 수 있다.
[수학식 1-4]
Figure pat00044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045
가 0° 내지 360°인 범위에서,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의 개수(n)가 4이고, 상기 수학식 1은 하기 수학식 1-5로 표시될 수 있다.
[수학식 1-5]
Figure pat00046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의 의미는, 상기 구간 내의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범위의 모든
Figure pat00047
가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Cn은 수학식 A를 만족하는 2 이상의 구간 Si 간의 L(
Figure pat00048
)의 차이값을 모두 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공간 좌표계는 상기 장식층의 표면 상의 어느 일 방향으로의 x축, 상기 x축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장식층의 표면 상의 다른 방향으로의 y축 및 상기 장식층의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의 z축을 포함한다. 상기 공간 좌표계는 장식층을 관찰하는 탐지 수단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탐지 수단은 상기 장식층의 표면의 중심점을 원점으로 하는 공간 좌표계의 (r, θ, φ) 위치에 위치한다. 공간 좌표계의 (r, θ, φ)를 정하는 방법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공간 좌표계의 r은 상기 탐지 수단의 상기 공간 좌표계의 원점과의 거리로서, 200mm이고, 상기 공간 좌표계의 θ는 상기 탐지 수단과 상기 공간 좌표계의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양의 방향의 z축과 이루는 각도이고, 상기 공간 좌표계의 φ는 상기 탐지 수단과 상기 공간 좌표계의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양의 방향의 x축과 이루는 각도이다.
탐지 수단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법은 (x, y, z)의 직교좌표계 또는 (r, θ, φ)의 구면좌표계로 표현될 수 있다. 직교좌표계와 구면좌표계는 각각의 변화 공식에 의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변환될 수 있다.
직교좌표계에서 구면좌표계로 변환 시 구면좌표계에서 직교좌표계로 변환 시
Figure pat00049
Figure pat00050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탐지 수단(detector)은 사람의 눈일 수도 있고, 카메라와 같은 기계적 탐지 수단일 수있다. 탐지 수단이 사람의 양 눈과 같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상기 탐지 수단은 둘 이상의 탐지 수단의 중심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의 단축 길이"는 장식층의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의 양 단부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장식층의 x-y축 평면과 평행한 방향의 장식층의 모양이 직사각형 형상일 때, 직사각형의 짧은 변 측의 폭을 상기 단축 길이로 정의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단축 길이는 상기 공간 좌표계의 원점을 지나는 y축 상의 직선 중 가장 짧은 직선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원의 지름은 상기 장식층의 표면의 단축 길이의 0.8배이다. 도 3에 상기 임의의 원의 지름이 장식층의 표면의 단축 길이의 0.8배인 것을 도시하였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탐지 수단이란, 상기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에 대한 CIE L*ab 색좌표 상의 명도값 L*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분광 광도계(코니카미놀타 사의 CM-2600d 또는 TOPCON 사의 SR-UL2 또는 BM-7)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명도값 L*은 입사광 D65 광원의 380 nm≤λ≤ 780 nm의 파장에서 5mm 이하의 간격으로 반사 측정하거나 광학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반사 측정은 SolidSpec-3700(Shimadzu사) 또는 7800 series (X-rite사) 등을 이용하거나, halogen lamp, monochromator 또는 goni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시뮬레이션은 입사광이 D65 표준 광원일 때 장식 부재에서 반사되는 각도별(φ) 반사광을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도별(φ) 반사광은 0° 내지 360°의 범위에서 5° 이하의 간격으로 조절하여 가며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과 상기 임의의 원의 중심(A0)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도(
Figure pat00051
)를 가로축으로 하고, 측정된 명도값 L*을 세로축으로 하는 그래프를 그래프 G1이라고 한다. 상기 각도(
Figure pat00052
)가 0도일 때의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지점의 L*값을 측정하고, 상기 각도(
Figure pat00053
)를 1도 또는 5도씩 증가시켜가며 L*값을 측정하여 그래프 G1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054
가 0° 내지 360°인 범위에서, 하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구간은
Figure pat00055
의 변화에 따라 L*값의 변화량이 크지 않은 구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관찰자의 눈에 일정한 밝기의 빛이 나오는 구간으로 인지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수학식 A]
Figure pat00056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는 11° 이상, 15° 이상, 또는 20°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이 2개, 3개, 또는 4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057
는 상기 그래프 G1의 가로축의
Figure pat00058
가 증가할 때 나타나는,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i번째 구간(Si)의
Figure pat00059
의 평균값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하기 수학식 B로 표시된다.
[수학식 B]
Figure pat00060
상기 수학식 A 및 수학식 B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061
는 상기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과 상기 임의의 원의 중심(A0)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도(
Figure pat00062
)에 따른 CIE L*ab 색좌표 상의 명도값 L*이고,
Figure pat00063
는 각
Figure pat00064
에 대한 명도값
Figure pat00065
의 기울기의 절대값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pat00066
는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i번째 구간(Si)의 가장 큰
Figure pat00067
값이고, 상기
Figure pat00068
은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i번째 구간(Si)의 가장 작은
Figure pat00069
값이다.
상기 수학식 B는 해당 구간(
Figure pat00070
내지
Figure pat00071
)에서의 명도
Figure pat00072
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상기 '연속된 구간'이란, 상기 각도 범위에서 상술한 조건의 범위를 항상 만족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는 하기 수학식 2, 수학식 2-1 및 수학식 2-2를 만족하는 m1 및 m2의 조합이 1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73
[수학식 2-1]
Figure pat00074
[수학식 2-2]
Figure pat00075
상기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2-2에 있어서,
상기 m1 및 m2는 상기 L(
Figure pat00076
)의
Figure pat00077
에 해당하는 값으로 서로 상이하고,
상기
Figure pat00078
Figure pat00079
가 0° 내지 360°의 범위에서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080
의 최소값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2-2는 하기 수학식 2-2-1 또는 수학식 2-2-2로 표시될 수 있다.
[수학식 2-2-1]
Figure pat00081
[수학식 2-2-2]
Figure pat00082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는 하기 수학식 3, 수학식 3-1 및 수학식 3-2를 만족하는 n1 및 n2의 조합이 1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83
[수학식 3-1]
Figure pat00084
[수학식 3-2]
Figure pat00085
상기 수학식 3 내지 수학식 3-2에 있어서,
상기 n1 및 n2는 상기 L(
Figure pat00086
)의
Figure pat00087
에 해당하는 값으로 서로 상이하고,
상기
Figure pat00088
Figure pat00089
가 0° 내지 360°의 범위에서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090
의 최대값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3-2는 하기 수학식 3-2-1 또는 수학식 3-2-2로 표시될 수 있다.
[수학식 3-2]
Figure pat00091
[수학식 3-2]
Figure pat00092
도 30에 상기 m1, m2, n1 및 n2을 정하는 방법을 예시하였다. Lmin의 값은 26.0이므로, 1.05*Lmin에 해당하는 값은 27.3이고, Lmax의 값은 44.2이므로 0.975*Lmax에 해당하는 값은 43.1이다. 이때, L*=1.05*Lmin 직선과 만나는 지점(노란색 선분, Ly)은 109° 및 162°이므로, m1은 109°이고, m2는 162°이다. 이때, m2-m1=53°이다.
또한, L*=0.975*Lmax 직선과 만나는 지점(빨간색 선분, Lr)은 286° 및 345°이므로, n1은 286°이고, n2는 345°이다. 이때, n2-n1=59°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는 하기 수학식 4 및 수학식 5를 만족하는
Figure pat00093
가 1개 이상 존재한다.
[수학식 4]
Figure pat00094
[수학식 5]
Figure pat00095
상기 수학식 4 및 수학식 5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096
Figure pat00097
가 0° 내지 360°의 범위에서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098
의 최소값이고,
상기
Figure pat00099
Figure pat00100
가 0° 내지 360°의 범위에서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101
의 최대값이고,
Figure pat00102
의 정의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공간 좌표계의 θ가 0° 이상 15°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의 표면을 2.5 mm x 2.5 mm 크기의 기준 면적으로 나눴을 때 각 기준 면적에서 방출되는 380nm ≤λ≤780 nm 파장의 빛의 각휘도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각휘도가 동일하다는 것은 상기 장식층의 표면 위치(x, y)값에 관계 없이 각 기준 면적에서 방출되는 파장 λ인 빛의 각휘도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각휘도는 입사광 D65 광원의 파장 380nm ≤λ≤780 nm 파장에서 5nm 간격 혹은 그 이하로 반사 측정 또는 광학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계산될 수 있다. 반사 측정은 Shimadzu 사 SolidSpec-3700, Konica Minolta CM-2600d, CM-M6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halogen lamp, monochromator 및 Goni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광학 시뮬레이션은 입사광이 D65 표준 광원일 때 패턴에서 반사되는 각도별(φ) 반사광을 380nm ≤λ≤780 nm 파장에서 5 nm 간격 혹은 그 이하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각도별 반사광은 0°≤φ≤ 360° 범위에서 5° 간격 혹은 그 이하로 계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1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1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또는 오목형 구조체로는 프리즘과 렌티큘러 패턴과 같이 한 방향(1차원)으로 반복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패턴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1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1차원 방향으로의 피치는 0 mm 초과 1 mm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과 시계 방향으로 0도 초과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축 방향으로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lens array)와 같이 두 방향(2차원)으로 반복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패턴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2차원 방향으로의 각각의 피치는 1 mm 이하이다.
상기 장식 부재는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재를 구비함으로써, 장식 부재의 이색성이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각 구조체가 배열되는 방향을 특정 각도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이색성이 나타나는 방향을 원하는 범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재"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가 구비된 기재 영역을 패턴층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구조체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었다는 것은, 구조체가 나열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한 2가지 방향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임의의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최저점(C0)과 상기 임의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와 인접한 다른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최저점(C1)을 이은 선분을 제1 축이라고 하고, 상기 임의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와 인접하고, 상기 제1 축 상에 존재하지 않는 다른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최저점(C2)를 이은 선분을 제2 축이라고 할 때, 상기 제1 축 방향 및 제2 축 방향의 2가지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볼록형 구조체"란, 주변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볼록한 형태를 갖는 구조체를 의미하고,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오목형 구조체"란, 주변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오목한 형태를 갖는 구조체를 의미하고,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기재에 포함되는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에 의하여, 상기 장식 부재는 이색성을 발현할 수 있다. 이색성이란,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색상이 관측되는 것을 의미한다. 색의 표현은 CIE L*a*b* 로 표현이 가능하며, 색차는 L*a*b* 공간에서의 거리(△E*ab)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차는
Figure pat00103
이며, 0<△E*ab<1의 범위 내에서는 관찰자가 색 차이를 인식할 수 없다[참고문헌: Machine Graphics and Vision 20(4):383-411].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색성을 △E*ab>1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구조체는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과 시계 방향으로 1도 이상 175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는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과 시계 방향으로 30도 이상 15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방향"은 상기 제1 축이 이루는 직선의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제2 축 방향"은 상기 제2 축이 이루는 직선의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제 1축 방향" 및 "제 2축 방향"은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단면 중 2 이상의 동일한 단면이 나타나는 어느 일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통해서 설명하면, 도 5의 장식 부재의 기재의 볼록형 구조체 중, 임의의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C0)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C1)을 이은 직선을 제1 축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임의의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C0)의 또 다른 인접한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C2)을 이은 선분을 제2 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이란, 볼록형 구조체의 가장 볼록한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무기물층 또는 기재와 가장 가까운 볼록형 구조체의 어느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볼록형 구조체의 가장 볼록한 부분이 뾰족한 경우, 이 지점을 최고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 지점이 2개 이상인 경우, 구체적으로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가장 높은 부분이 평면인 경우, 평면의 중심점을 최고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형 구조체가 원뿔의 잘린 형태일 때,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은 평면 형태의 원을 이루는데, 상기 원의 중심점을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방향과 제2 축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 축과 제2 축이 이루는 가상의 평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축과 제2 축이 시계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개수는 기재 표면의 면적 대비 1개/mm2 내지 1,000,000개/mm2, 바람직하게는 1개/㎛2 내지 500,000개/mm2, 더욱 바람직하게는 1개/㎛2 내지 250,000개/mm2 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기재에 포함된 볼록형 및 오목형 구조체의 개수가 조절되어, 이색성이 더욱 크게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분모의 mm2 또는 2는 상기 기재 표면의 단위 면적인 1mm2 또는 1㎛2를 의미한다.
상기 기재 표면의 면적은 상기 구조체를 포함하는 기재의 전체 면적일 수 있으며, 상기 구조체의 개수는 해당 면적 내의 구조체의 개수를 의미한다. 구조체의 개수는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최저점의 개수를 세어서 산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면"이란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상기 오목형 구조체를 어느 한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면을 의미한다. 예컨대, 단면이란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 상에 놓았을 때,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 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절단했을 때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대칭 구조의 단면"이란, 단면의 테두리로 구성된 도형이 선대칭성 또는 점대칭성을 갖지 않는 구조임을 의미한다. 선대칭성이란 어떤 도형을 한 직선을 중심으로 대칭시켰을 때 겹쳐지는 성질을 갖는 것을 말한다. 점대칭성은 어떤 도형을 한 점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했을 때, 본래의 도형에 완전히 겹치는 대칭 성질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비대칭 구조의 단면의 테두리는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볼록형 구조체 및 오목형 구조체의 형상은 구조체의 단면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은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단면이 나타내는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은 상술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형상"은 "볼록부 단위체 형상"을 1개 이상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 형상"은 "오목부 단위체 형상"을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 단위체 형상 또는 오목부 단위체 형상은, 두 개의 경사변(제1 경사변 및 제2 경사변)을 포함하는 형상을 의미하며, 3개 이상의 경사변을 포함하는 형상은 아니다. 도 38을 참고하면, 원 C1의 볼록부 형상(P1)은 제1 경사변 및 제2 경사변을 포함하는 1개의 볼록부 단위체 형상이다. 그러나, 원 C2에 포함되는 볼록부 형상은 볼록부 단위체 형상을 2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경사변은 각각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의 왼쪽 경사변으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2 경사변은 각각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의 오른쪽 경사변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볼록부 형상"은 "볼록부 단위체 형상"을 의미하고, "오목부 형상"은 "오목부 단위체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비대칭 구조의 단면"이란,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상기 오목형 구조체의 단면이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을 갖고, 상기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에 포함되는 볼록부 단위체 형상 또는 오목부 단위체 형상이 비대칭 구조의 단면 형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볼록형 구조체의 단면이 비대칭 구조의 단면을 포함한다는 것의 의미는, 볼록형 구조체의 단면이 2개 이상의 볼록부 단위체 형상을 포함하는 볼록부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볼록부 단위체 형상이 비대칭 구조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비대칭 구조의 단면을 갖는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은, 상기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이 비대칭 구조의 단면을 갖는 볼록부 단위체 형상 또는 오목부 단위체 형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볼록부"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볼록한 영역을 갖는 부분을 의미하고, "오목부"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오목한 형상을 갖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볼록부 사이에는 오목한 가상의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 가상의 영역을 오목부로 명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Z1); 및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Z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비대칭 구조의 단면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로서, 상기 제1 평면은 제1 축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2 평면은 제2 축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기재의 일면의 법선 중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또는 상기 오목형 구조체의 최저점을 지나는 직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나타나는 단면이 비대칭 구조의 단면을 포함하므로, 장식 부재가 특정한 방향에서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Z1)이 비대칭 구조의 단면인 경우, 제1 축 방향에서 장식부재가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Z2)이 비대칭 구조의 단면인 경우 제2 축 방향에서 장식 부재가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축 방향과 제2 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장식 부재가 나타내는 이색성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은 각각에 대한 상술한 설명을 만족하는 가상의 평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Z1); 및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Z2)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비대칭 구조의 단면을 갖는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Z1); 및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Z2)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부등변 삼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부등변 삼각형이란, 세 변의 길이가 각각 다른 삼각형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Z1); 및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Z2)이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Z1)이 양 경사각이 각각 20도 및 70도인 삼각형 형상을 포함하고,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Z2)은 양 경사각이 10도 및 80도인 삼각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 사이에 평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는 볼록형 구조체 및 오목형 구조체가 구비되지 않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오목형 구조체는 상술한 볼록형 구조체가 반전된 형상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볼록형 구조체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구조의 단면을 갖는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단면이 경사각이 상이하거나, 굴곡도가 상이하거나, 변의 형태가 상이한 2 이상의 변을 포함한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단면을 구성하는 변들 중 2개의 변이 서로 경사각이 상이하거나, 굴곡도가 상이하거나, 변의 형태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이 비대칭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변"은 직선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부 또는 일부가 곡선일 수 있다. 예컨대, 변은 원이나 타원의 호의 일부, 물결 구조, 지그재그 등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이 원이나 타원의 호의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 그 원이나 타원은 곡률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률반지름은 곡선의 극히 짧은 구간을 원호로 환산할 때, 원호의 반지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경사변"은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에 두었을 때, 지면에 대하여 변이 이루는 각도가 0도 초과 90도 이하인 변을 의미한다. 이 때, 변이 직선인 경우에는 직선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변에 곡선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에 두었을 때, 상기 변 중 지면과 가장 가까운 지점과 상기 면 중 지면과 가장 먼 지점을 최단 거리로 연결한 직선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경사면"은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에 두었을 때, 지면에 대하여 면이 이루는 각도가 0도 초과 90도 이하인 면을 의미한다. 이 때, 면이 평면인 경우에는 평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면에 곡면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에 두었을 때, 상기 면 중 지면과 가장 가까운 지점과 상기 면 중 지면과 가장 먼 지점을 최단 거리로 연결한 직선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경사각이란,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에 두었을 때, 상기 기재를 구성하는 면 또는 변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로서, 0도 초과 90도 이하이다. 또는, 기재를 구성하는 면 또는 변이 지면에 접하는 지점(a')과 기재를 구성하는 면 또는 변이 지면과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b')을 서로 연결하였을 때 생기는 선분(a'-b')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굴곡도란 변 또는 면의 연속된 지점들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의 변화 정도를 의미한다. 변 또는 면의 연속된 지점들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의 변화가 클수록, 굴곡도는 크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구조의 단면은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제1 경사변 및 제2 경사변을 포함하는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구조의 단면의 테두리는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변 및 상기 제2 경사변은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도 6은 제1 경사변 및 제2 경사변의 형태가 직선 형태인 것을 나타낸다. 각 볼록부 형상은 제1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1 영역(D1) 및 제2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2 영역(D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경사변 및 제2 경사변은 직선 형태이다.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이 이루는 각도(c3)는 75도 내지 105도일 수 있다. 제1 경사변과 지면(기재)이 이루는 각도(c1)와 제2 경사변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c2)는 상이하다. 예를 들면, c1 및 c2의 조합은 20도/80도, 10도/70도 또는 30도/70도일 수 있다.
도 7은 제1 경사변 또는 제2 경사변의 형태가 곡선 형태인 것을 나타낸다. 각 볼록부 형상은 제1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1 영역(E1) 및 제2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2 영역(E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 모두 곡선 형태일 수 있고, 제1 경사변은 직선 형태이고, 제2 경사변은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제1 경사변은 직선 형태이고, 제2 경사변은 곡선 형태인 경우, 각도 c1은 각도 c2보다 클 수 있다. 도 7은 제1 경사변이 직선 형태이고, 제2 경사변이 곡선 형태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곡선 형태를 갖는 경사변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경사변과 지면이 맞닿는 지점으로부터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이 접하는 지점까지 임의의 직선을 그었을 때, 그 직선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곡선 형태의 제2 경사변은 기재의 높이에 따라 굴곡도가 상이할 수 있고, 곡선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곡률반경은 볼록부 형상의 폭(E1+E2)의 10배 이하일 수 있다. 도 7의 (a)는 곡선의 곡률 반경이 볼록부 형상의 폭의 2배인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b)는 곡선의 곡률 반경이 볼록부 형상의 폭의 1배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볼록부의 폭(E1+E2)에 대한 곡률이 있는 부분(E2)의 비율은 90% 이하일 수 있다. 도 7의 (a) 및 (b)는 상기 볼록부의 폭(E1+E2)에 대한 곡률이 있는 부분(E2)의 비율이 60%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구조의 단면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P1)는 삼각형이거나 또는 삼각형의 첨단부(뾰족한 부분 또는 꼭지점 부분)에 작은 오목부(P3)를 더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상기 오목부(P3)를 포함하는 볼록부 형상(P1)이 배열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볼록부의 첨단부(뾰족한 부분)에 상기 볼록부에 비해 높이가 작은 오목부(P3)를 더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장식 부재는 이미지 색이 보는 각도에 따라 은은하게 달라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9는 상기 볼록부 형상이 사각형 형태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 사각형 형태는 일반적인 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며, 각 경사변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하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각형 형태는 삼각형을 일부 자르고 남은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대변이 평행한 사각형인 사다리꼴, 또는 서로 평행한 대변의 쌍이 존재하지 않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볼록부 형상은 제1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1 영역(F1), 제2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2 영역(F2) 및 제3 경사변을 포함하는 제3 영역(F3)를 포함한다. 제3 경사변은 지면에 평행할 수도 있고,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각형 형태가 사다리꼴인 경우 제3 경사변은 지면에 평행하다. 제1 경사변 내지 제3 경사변 중 어느 하나 이상은 곡선 형태일 수 있으며, 곡선 형태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F1+F2+F3를 모두 합한 길이는 볼록부 형상의 폭로 정의될 수 있으며, 폭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0은 볼록부 형상을 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볼록부 형상은 ABO1삼각형 형상의 특정 영역을 제거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거되는 특정 영역을 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경사각 c1 및 c2에 대한 내용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다.
1) AO1 선분을 L1':L2' 비율로 나누는 AO1 선분 상의 임의의 점 P1을 설정한다.
2) BO1 선분을 m1':m2' 비율로 나누는 BO1 선분 상의 임의의 점 P2를 설정한다.
3) AB 선분을 n1': n2' 비율로 나누는 AB 선분 상의 임의의 점 O2를 설정한다.
4) O1O2 선분을 o1':o2' 비율로 나누는 o1'o2' 선분 상의 임의의 점 P3를 설정한다.
이때, L1':L2', m1':m2', n1':n2' 및 o1':o2' 비율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1:1000 내지 1000:1일 수 있다.
5) P1O1P2P3 다각형이 이루는 영역을 제거한다.
6) ABP2P3P1 다각형이 이루는 형상을 볼록부의 단면으로 한다.
상기 볼록부 형상은 L1':L2', m1':m2', n1':n2' 및 o1':o2'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L1' 및 m1'이 커지는 경우 볼록부 형상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고, 상기 o1'이 커지는 경우 볼록부 상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높이가 작아질 수 있으며, n1'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볼록부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가장 낮은 지점의 위치를 볼록부의 경사변 중 어느 한쪽에 가깝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L1':L2', m1':m2', 및 c1':o2' 비율이 모두 동일한 경우,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인 형태일 수 있다(도 11). 사다리꼴의 높이(ha, hb)는 상기 L1':L2'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는 상기 L1':L2'의 비율이 1:1이고, 도 11(b)는 상기 L1':L2'의 비율이 2:1일 때 제조되는 볼록부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m1':m2'의 비율이 1:1이고, o1':o2'의 비율이 1:8로 동일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이 이루는 각도는 80도 내지 100도 범위 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80도 이상, 83도 이상, 86도 이상 또는 89도 이상일 수 있고, 100도 이하, 97도 이하, 94도 이하 또는 91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각도는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으로 이루어지는 꼭지점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이 서로 꼭지점을 이루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을 가상으로 연장하여 꼭지점을 이루도록 한 상태의 꼭지점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의 경사각의 차이는 30도 내지 70도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변의 경사각(a2)과 제2 경사변의 경사각(a3)의 차이는 예를 들어, 30도 이상, 35 도 이상, 40 도 이상 또는 45 도 이상일 수 있고, 70 도 이하, 65 도 이하, 60 도 이하 또는 55도 이하일 수 있다. 제1 경사변과 제2 경사변의 경사각의 차이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방향에 따른 색 표현의 구현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이 이루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Z3)이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축과 제2 축이 이루는 각도가 90도이고,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사이의 간격(d1) 및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사이의 간격(d2)이 동일한 경우,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상기 제1 축 및 제2 축이 이루는 평면으로 자른 단면(Z3)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높이가 서로 상이한 2 이상의 볼록형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 또는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을 각각 나열한 형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록부(P1) 사이에 상기 볼록부(P1)에 비해 높이가 작은 제2 볼록부(P2)가 배열된 것이 나타난다. 이하, 제2 볼록부 이전에 성명된 볼록부를 제1 볼록부로 호칭하고, 제2 볼록부 형상 이전에 성명된 볼록부를 제1 볼록부 형상으로 호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볼록부 형상(P2)의 높이(H2)는 상기 제1 볼록부 형상(P1)의 높이(H1)의 1/5 내지 1/4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볼록부 형상과 제2 볼록부 형상의 높이의 차이(H1-H2)는 10㎛ 내지 30㎛ 일 수 있다. 제2 볼록부 형상의 폭(W2)은 1㎛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제2 볼록부 형상의 폭(W2)은 구체적으로 1 ㎛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상 또는 4.5㎛ 이상일 수 있고,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또는 5.5㎛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볼록부 형상은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2개의 경사면(S3, S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볼록부 형상의 상기 2개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a4)는 20도 내지 100도일 수 있다. 상기 각도(a4)는 구체적으로 20도 이상, 30도 이상, 40도 이상, 50도 이상, 60도 이상, 70도 이상, 80도 이상 또는 85도 이상일 수 있고, 100도 이하 또는 9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볼록부의 양 경사면의 경사각의 차이(a6-a5)는 0도 내지 60도 일 수 있다. 상기 경사각의 차이(a6-a5)는 0도 이상, 10도 이상, 20도 이상, 30도 이상, 40도 이상 또는 45도 이상일 수 있고, 60도 이하 또는 5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볼록부 형상의 치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경사면 각도가 큰 측면에서 빛의 유입을 증가시켜 밝은 색상을 형성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볼록부 형상(P1)의 경사각(a2, a3)은 볼록부 형상(P1)의 경사면(S1', S2')과 기재의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 상에서 제1 경사면은 볼록부 형상의 왼쪽 경사면으로 정의할 수 있고, 제2 경사면은 볼록부 형상의 오른쪽 경사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형상(P1)은 단면이 다각형이고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P3)의 높이(H3)는 3㎛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P3)의 높이(H3)는 구체적으로 3㎛ 이상일 수 있고, 15㎛ 이하, 10㎛ 이하,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는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2개의 경사면(S5, S6)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상기 2개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a7)는 20도 내지 100도일 수 있다. 상기 각도(a7)는 구체적으로 20도 이상, 30도 이상, 40도 이상, 50도 이상, 60도 이상, 70도 이상, 80도 이상 또는 85도 이상일 수 있고, 100도 이하 또는 9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양 경사면의 경사각의 차이(a9-a8)는 0도 내지 60 일 수 있다. 상기 경사각의 차이(a9-a8)는 0도 이상, 10도 이상, 20도 이상, 30도 이상, 40도 이상 또는 45도 이상일 수 있고, 60도 이하 또는 55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치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경면에서 색감 추가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가 상기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역상의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3은 이와 같은 배열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볼록형 구조체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180도의 역상의 구조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역상의 구조로 배열된 것은,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단면인 볼록부 형상이 제1 경사면에 비해 제2 경사면의 경사각이 큰 제1 영역(C1) 및 제1 경사면에 비해 제2 경사면의 경사각이 작은 제2 영역(C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에 포함되는 볼록부는 제1 볼록부 형상(P1)으로 호칭할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되는 볼록부는 제4 볼록부 형상(P4)으로 호칭할 수 있다. 상기 제1 볼록부 형상(P1) 및 제4 볼록부 형상(P4)의 높이, 폭, 경사각 및 제1 및 제2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볼록부 형상(P1)의 항목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은 이미지 또는 로고에 대응하고, 다른 하나의 영역은 바탕 부분에 대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장식 부재는 이미지 또는 로고 색이 보는 각도에 따라 은은하게 달라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또는 로고 부분과 바탕 부분이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색이 서로 바뀌어 보이는 장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볼록부 형상 내지 제4 볼록부 형상의 높이는 5㎛ 내지 30㎛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높이는 5㎛ 내지 30㎛ 일 수 있다. 볼록형 구조체의 높이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생산 공정적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볼록형 구조체의 높이는 상기 기재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볼록부의 가장 높은 부분과 가장 낮은 부분의 최단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볼록부의 높이와 관련된 설명은 전술한 오목부의 깊이에도 동일한 수치 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형상(P1)의 폭(W1)은 10㎛ 내지 90㎛ 일 수 있다. 볼록부 형상의 폭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패턴을 가공 및 형성하는데 공정적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 형상(P1)의 폭(W1)은 예를 들어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또는 25㎛ 이상일 수 있고, 90㎛ 이하, 80㎛이하, 70㎛이하, 60㎛이하, 50㎛이하, 40㎛이하 또는 35㎛이하일 수 있다. 이 폭과 관련된 설명은 볼록부 뿐만 아니라, 전술한 오목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 사이에 평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 사이에 평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의 너비는 0㎛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평탄부는 어느 하나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와 인접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이는, 어느 하나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가 끝나는 지점과 다른 하나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가 시작하는 지점의 최단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의 너비가 적절히 유지되는 경우, 장식 부재를 볼록부의 경사각이 더 큰 경사면 쪽에서 바라볼 때 상대적으로 밝은 색을 나타내야 하는데 반사 영역이 쉐이딩으로 어두워 보이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는 상기 기재의 표면 외측으로 돌출된 콘(cone) 형태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상기 기재의 표면 내측으로 함몰된 콘(cone) 형태의 오목형 구조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콘 형태는 원뿔, 타원뿔, 또는 다각뿔의 형태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각뿔의 바닥면의 형태는 삼각형, 사각형, 돌출점이 5개 이상인 별모양 등이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장식 부재를 지면에 놓았을 때, 상기 기재의 표면이 콘 형태의 볼록부 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볼록부 형상의 상기 지면에 대한 수직 단면 중 적어도 하나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장식 부재를 지면에 놓았을 때, 상기 기재의 표면이 콘 형태의 오목부 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오목부 형상의 상기 지면에 대한 수직 단면 중 적어도 하나는 역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콘 형태의 볼록부 또는 콘 형태의 오목형 구조체가 비대칭 구조의 단면을 적어도 하나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콘 형태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 형상의 표면 측에서 관찰하였을 때, 콘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시 동일한 형태가 2개 이하 존재하는 경우, 이색성이 발현되는 대 유리하다. 도 14는 콘 형태의 볼록부 형상을, 상기 볼록부 형상의 표면 측에서 관찰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a)는 모두 대칭 구조의 콘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비대칭 구조의 콘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장식 부재를 지면에 놓았을 때, 대칭 구조의 콘 형태는 지면에 수평인 방향으로의 단면(이하, 수평 단면이라 함)이 원이거나 각변의 길이가 같은 정다각형이고, 콘의 꼭지점이, 지면에 대한 수평 단면의 무게중심점의 상기 단면에 대하여 수직인 선상에 존재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비대칭 구조의 단면을 갖는 콘 형태는, 콘 형태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형상의 표면 측에서 관찰하였을 때, 콘의 꼭지점의 위치가 콘의 수평 단면의 무게중심점이 아닌 점의 수직선상에 존재하는 구조이거나, 콘의 수평 단면이 비대칭 구조의 다각형 또는 타원인 구조이다. 콘의 수평 단면이 비대칭 구조의 다각형인 경우는, 다각형의 변들 또는 각들 중 적어도 하나를 나머지와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와 같이, 콘의 꼭지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첫번째 그림과 같이, 콘 형태의 볼록형 구조체의 표면 측에서 관찰시 콘의 꼭지점을 콘의 지면에 대한 수평 단면의 무게중심점(01)의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계하는 경우, 콘의 꼭지점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시 4개의 동일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4 fold symmetry). 그러나, 콘의 꼭지점을, 지면에 대한 수평 단면의 무게중심점(01)이 아닌 위치(02)에 설계함으로써 대칭 구조가 깨진다. 지면에 대한 수평 단면의 한변의 길이를 x, 콘의 꼭지점의 이동 거리를 a 및 b, 콘의 꼭지점(01 또는 02)로부터 지면에 대한 수평 단면까지 수직으로 연결한 선의 길이인 콘 형태의 높이를 h, 수평 단면과 콘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를 θn 이라고 하면, 도 15의 면 1, 면2, 면3 및 면 4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코싸인 값이 얻어질 수 있다.
Figure pat00104
이 때, θ1과 θ2는 같으므로 이색성이 없다. 그러나, θ3과 θ4는 상이하고, │θ3 - θ4│는 두 색간의 색차(△E*ab)를 의미하므로,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θ3 - θ4│ > 0이다. 이와 같이, 콘의 지면에 대한 수평 단면과 측면이 이루는 각도를 이용하여, 대칭 구조가 얼마나 깨졌는지, 즉 비대칭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와 같은 비대칭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는 이색성의 색차와 비례한다.
상기에서 예시한 구조 외에도 도 16과 같은 다양한 볼록부 형상 또는 오목부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대칭 구조의 패턴을 추가로 포함한다. 대칭 구조로는 프리즘 구조, 렌티클라 렌즈 구조 등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평탄부를 갖는다. 상기 기재로 플라스틱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으로는, TAC(triacetyl cellulose); 노르보르넨 유도체 등의 COP(cyclo olefin copolymer);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VA(polyvinyl alcohol); DAC(diacetyl cellulose); Pac(Polyacrylate); PES(poly ether sulfone); PEEK(polyetheretherketon); PPS(polyphenylsulfone), PEI(polyetherimide); PEN(polyethylenemaphthatla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I(polyimide); PSF(polysulfone); PAR(polyarylate) 또는 비정질 불소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내부 또는 적어도 일면에 유색 염료(color dy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색 염료로는 안트라퀴논(anthraquinone)계 염료,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계 염료, 티오인디고(thioindigo)계 염료, 페리논(perinone)계 염료, 이속신디고(isoxindigo)계 염료, 메탄(methane)계 염료, 모노아조(monoazo)계 염료 및 1:2 금속착물(1:2 metal complex)계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내부에 유색 염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경화성 수지에 염료를 첨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하부에 유색 염료를 더 포함하는 경우, 염료가 포함된 층을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색 염료의 함량은 예를 들어 0 내지 50 wt% 일 수 있다. 상기 유색 염료의 함량은 기재 내지 장식 부재의 투과도 및 헤이즈 범위를 정할 수 있으며, 투과도는 예를 들어 20% 내지 90% 일 수 있고, 헤이즈는 예를 들어 1% 내지 4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은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무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물층은 인듐(In), 티탄(Ti), 주석(Sn),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바나듐(V), 텅스텐(W), 탄탈(Ta), 몰리브덴(Mo), 네오디뮴(Nb), 철(Fe), 크롬(Cr), 코발트(Co), 금(Au)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 이의 산화물; 이의 질화물; 이의 산질화물; 탄소; 및 탄소 복합체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전술한 기재의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표면과 동일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전술한 기재의 표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전술한 기재의 표면과 동일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무기물층은 전술한 기재의 표면과 동일한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400nm 파장의 광에 대한 굴절률이 0 내지 8일 수 있다. 상기 무기물층의 굴절률이 상기 범위를 벗어 나는 경우 반사되는 빛이 줄어 어두워지므로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무기물층의 굴절률은 구체적으로 0 이상, 1 이상, 2 이상, 3 이상, 4 이상 또는 4.5 이상일 수 있고, 8 이하, 7 이하, 6 이하 또는 6.5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nm 내지 1㎛일 수 있다. 무기물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이색성을 가지며 상기 이색성의 시인성이 개선된 장식 부재를 제공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nm 이상, 50nm 이상 또는 100nm 이상일 수 있고, 1㎛ 이하, 800nm 이하, 600nm 이하, 400nm 이하 또는 30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장식 부재는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색을 나타내는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장식 부재는 기재의 표면 형상을 변형함으로써 상기 이색성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장식 부재를 바라볼 때 색의 금속 질감과 깊이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층은 상기 장식 부재의 이미지가 보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기재를 통과하여 무기물층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파장이 입사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상기 기재 상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광흡수층 및 광반사층을 포함하거나, 상기 기재 상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광반사층 및 광흡수층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은 그 기능에 따라 명명된 것이다. 특정한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하여, 광을 상대적으로 많이 반사하는 층을 광반사층으로 표현할 수 있고, 광을 상대적으로 적게 반사하는 층을 광흡수층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7을 통해,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의 장식 부재에는 각 층(layer)이 빛이 들어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Li-1층, Li층 및 Li+1층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Li-1층과 Li층 사이에 계면(interface) Ii이 위치하고, Li층과 Li+1층 사이에 계면 Ii+1이 위치한다. 박막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 층에 수직한 방향으로 특정한 파장을 갖는 빛을 조사하였을 때, 계면 Ii에서의 반사율을 하기 수학식 1A으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A]
Figure pat00105
상기 수학식 1A에 있어서, ni(λ)는 i번째 층의 파장(λ)에 따른 굴절율을 의미하고, ki(λ)는 i번째 층의 파장(λ)에 따른 소멸 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의미한다. 소멸 계수는 특정 파장에서 대상 물질이 빛을 얼마나 강하게 흡수하는 지를 정의할 수 있는 척도로서, 정의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수학식 1A을 적용하여, 각 파장에서 계산된 계면 Ii에서의 파장별 반사율의 합을 Ri라고 할 때, Ri는 아래 수학식 2A와 같다.
[수학식 2A]
Figure pat00106
이때, 적층체의 계면 중 Ii의 Ri가 가장 크다고 할 때, 계면 Ii와 접하고, 계면 Ii와 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대향하여 위치한 층을 광반사층, 나머지 층을 광흡수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한 적층체에서, 계면 Ii+1의 파장별 반사율의 합이 가장 큰 경우, Ii+1과 접하고, 계면 Ii+1과 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대향하여 위치한 층 Li+1층을 광반사층, 나머지 층 Li-1층 및 Li층을 광흡수층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에서는 광의 입사경로 및 반사경로에서 광흡수가 이루어지고, 또한 광은 광흡수층의 표면과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의 계면에서 각각 반사하여 2개의 반사광이 보강 또는 상쇄 간섭을 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흡수층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은 표면 반사광,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은 계면 반사광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8에 이와 같은 작용원리의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도 18에는 기재(101), 광반사층(201) 및 광흡수층(301)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광반사층의 하부에 기재가 위치하고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광흡수층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광은 표면 반사광,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의 계면에서 반사되는 광은 계면 반사광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400 nm의 파장에서 굴절율(n)이 0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며, 0 내지 7일 수 있고, 0.01 내지 3일 수 있고, 2 내지 2.5일 수 있다. 굴절율(n)은 sin θ1'/sin θ2' (θ1'은 광흡수층의 표면에서 입사되는 빛의 각이고, θ2'는 광흡수층의 내부에서 빛의 굴절각이다)으로 계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400 nm의 파장에서 소멸계수(k)가 0 초과 4 이하이고, 0.01 내지 4인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3.5일 수 있고, 0.01 내지 3일 수 있으며, 0.1 내지 1일 수 있다. 소멸계수(k)는 -λ/4πI(dI/dx) (여기서, 광흡수층 내에서 경로 단위길이(dx), 예컨대 1m 당 빛의 강도의 감소분율 dI/I에 λ/4π를 곱한 값이고, 여기서 λ는 빛의 파장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380 내지 780 nm의 파장에서 소멸계수(k)가 0 초과 4 이하이고, 0.01 내지 4인 것이 바람직하며, 0.01 내지 3.5일 수 있고, 0.01 내지 3일 수 있으며, 0.1 내지 1일 수 있다. 400 nm, 바람직하게는 380 내지 780 nm의 가시광선 전체 파장 영역에서 소멸계수(k)가 상기 범위이므로, 가시광선 범위 내에서 광흡수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동일한 굴절율(n) 값을 가진다고 하더라도, 380 내지 780 nm에서 소멸계수(k) 값이 0인 경우와 소멸계수(k) 값이 0.01인 경우는
Figure pat00107
>1 인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유리/알루미늄/알루미늄산화물/공기층의 적층구조에, 광원으로서 D65(태양광 스펙트럼)을 조사한 경우를 시뮬레이션하였을 때, 상기 알루미늄산화물의 k값이 0일 때와 0.01일 때의 △E*ab은 하기 표 2과 같이 얻어졌다. 이 때, 알루미늄층의 두께(h1)은 120 nm이었고, 알루미늄산화물층의 두께(h2)는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k값은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임의로 0과 0.01로 설정하였으며, n값은 알루미늄의 값을 이용하였다.
h2 [nm] k = 0 k = 0.01
Figure pat00108
L* a* b* L* a* b*
40 6.63 1.75 -1.25 85.18 2.09 0.03 1.96
60 9.83 -4.02 -8.30 87.86 -4.06 -9.01 2.10
80 5.60 -1.87 -2.58 94.44 -2.05 -2.86 1.20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단일층일 수도 있고, 2층 이상의 다층일 수도 있다. 상기 광흡수층은 380 내지 780 nm에서 소멸계수(k)를 갖는 재료, 즉 소멸계수가 0 초과 4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광흡수층은 금속, 준금속, 및 금속이나 준금속의 산화물, 질화물, 산질화물 및 탄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또는 준금속의 산화물, 질화물, 산질화물 또는 탄화물은 당업자가 설정한 증착 조건 등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광흡수층은 광반사층과 동일한 금속, 준금속, 2종이상의 합금 또는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인듐(In), 티탄(Ti), 주석(Sn),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바나듐(V), 텅스텐(W), 탄탈(Ta), 몰리브덴(Mo), 네오디뮴(Nb), 철(Fe), 크롬(Cr), 코발트(Co), 금(Au)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 이의 산화물; 이의 질화물; 이의 산질화물; 탄소 및 탄소 복합체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층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실리콘(Si) 또는 게르마늄(Ge)을 포함한다. 실리콘(Si) 또는 게르마늄(Ge)으로 이루어진 광흡수층은 400 nm에서 굴절율(n)이 0 내지 8이며, 0 내지 7일 수 있고, 소멸계수(k)가 0 초과 4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이며, 0.01 내지 3 또는 0.01 내지 1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400 nm, 바람직하게는 380nm 내지 780nm에서 소멸계수(k)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광흡수층/광반사층은 CuO/Cu, CuON/Cu, CuON/Al, AlON/Al, AlN/Al/ AlON/Cu, AlN/Cu 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은 광을 반사할 수 있는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반사율은 재료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50% 이상에서 색상구현이 용이하다. 광반사율은 ellips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은 금속층, 금속산질화물층 또는 무기물층일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은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2층 이상의 다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광반사층은 인듐(In), 티탄(Ti), 주석(Sn),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바나듐(V), 텅스텐(W), 탄탈(Ta), 몰리브덴(Mo), 네오디뮴(Nb), 철(Fe), 크롬(Cr), 코발트(Co), 금(Au)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재료, 이의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 탄소 및 탄소 복합체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반사층은 상기 재료 중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합금, 이의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반사층은 상기 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광반사층은 몰리브덴,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상기 광반사층은 탄소 또는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잉크를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고저항의 반사층을 구현할 수 있다. 탄소 또는 탄소 복합체로는 카본블랙, CNT 등이 있다. 상기 탄소 또는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잉크는 전술한 재료 또는 이의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인듐(In), 티탄(Ti), 주석(Sn),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바나듐(V), 텅스텐(W), 탄탈(Ta), 몰리브덴(Mo), 네오디뮴(Nb), 철(Fe), 크롬(Cr), 코발트(Co), 금(Au)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산화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소 또는 탄소 복합체를 포함하는 잉크를 인쇄한 후 경화 공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은 2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2종 이상의 재료를 하나의 공정, 예컨대 증착 또는 인쇄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나, 1종 이상의 재료로 먼저 층을 형성한 후, 추가로 1종 이상의 재료로 그 위에 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인듐이나 주석을 증착하여 층을 형성한 후, 탄소를 포함하는 잉크를 인쇄한 후 경화시켜 광반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잉크는 티타늄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산화물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는 5 내지 500㎚, 예컨대 30 내지 500 nm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반사층의 두께는 최종 구조에서 원하는 색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1 nm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예컨대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광흡수층 형성시 증착 조건 등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두께가 상이한 2 이상의 지점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두께가 상이한 2 이상의 영역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상태에 따른 광흡수층의 구조의 예시를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었다. 도 19 및 도 20은 광반사층(201) 및 광흡수층(301)이 적층된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기재 생략). 도 19 및 도 20에 따르면, 상기 광흡수층(301)은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2 이상의 지점을 갖는다. 도 20에 따르면, A 지점과 B 지점에서의 광흡수층(301)의 두께가 상이하다. 도 21에 따르면, C 영역과 D 영역에서의 광흡수층(301)의 두께가 상이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상면이 경사각도가 0도 초과 90도 이하인 경사면을 갖는 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광흡수층은 어느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 영역에서의 두께와 상이한 두께를 갖는 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이란, 광흡수층의 상면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직선과 광반사층과 평행한 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상기 경사면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의 광흡수층의 상면의 경사각도는 약 20도일 수 있다.
상기 광반사층의 상면의 경사도와 같은 표면 특성은 상기 광흡수층의 상면과 같을 수 있다. 예컨대, 광흡수층의 형성시 증착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광흡수층의 상면은 광반사층의 상면과 같은 경사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19의 광흡수층의 상면의 경사도는 광반사층의 상면의 경사도와는 차이가 있다.
도 21에 상면이 경사면을 갖는 광흡수층을 갖는 장식 부재의 구조를 예시하였다. 기재(101), 광반사층(201) 및 광흡수층(301)이 적층된 구조로서, 광흡수층(301)의 E 영역에서의 두께 t1과 F 영역에서의 두께 t2는 상이하다.
도 22는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 즉 단면이 삼각형인 구조를 갖는 광흡수층에 관한 것이다. 도 22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경사면을 갖는 패턴의 구조에서는 동일한 조건에서 증착을 진행하더라도 삼각형 구조의 2개의 면에서 광흡수층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번의 공정만으로서 두께가 상이한 2 이상의 영역을 갖는 광흡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광흡수층의 두께에 따라 발현 색상이 상이하게 된다. 이 때 광반사층의 두께는 일정 이상이면 색상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22는 기재(101)가 광반사층(201)측에 구비된 구조가 예시되었으나, 이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기재(101)의 위치는 전술한 설명과 같이 이들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1의 기재(101)는 광반사층(201)과 접하는 면이 평탄면이나, 기재(101)의 광반사층(201)과 접하는 면은 광반사층(201)의 상면과 같은 기울기를 갖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를 도 22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 기재의 패턴의 기울기 차이 때문에 광흡수층의 두께도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증착방법을 이용하여 기재와 광흡수층이 다른 기울기를 가지게 만든다 하더라도, 패턴 양쪽으로 광흡수층의 두께가 다르게 하여 이색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두께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도 23에 광흡수층(301)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구조를 예시하였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상면이 경사각도가 0도 초과 90도 이하인 경사면을 갖는 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을 갖는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광흡수층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3에 상면이 경사면을 갖는 영역을 포함하는 광흡수층의 구조를 예시하였다. 도 23의 G 영역과 H 영역 모두 광흡수층의 상면이 경사면을 갖고, 광흡수층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가 변하는 구조란,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 방향으로의 단면이, 광흡수층의 두께가 가장 작은 지점 및 광흡수층의 두께가 가장 큰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가 가장 작은 지점의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가 가장 큰 지점에 대한 방향에 따라 광흡수층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광흡수층의 두께가 가장 작은 지점 및 광흡수층의 두께가 가장 큰 지점은 광흡수층의 광반사층과의 계면 상의 어느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경사각도가 1도 내지 90도 범위 내인 제1 경사면을 갖는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면이 상기 제1 경사면과 경사방향이 상이하거나, 경사 각도가 상이한 경사면을 갖거나, 상면이 수평인 2개 이상의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2개 이상의 영역들에서의 광흡수층의 두께는 모두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무기물층 사이; 상기 기재의 상기 무기물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 또는 상기 무기물층의 상기 기재에 대항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칼라필름을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무기물층 사이; 상기 광흡수층과 상기 광반사층 사이; 상기 기재의 상기 무기물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 또는 상기 무기물층의 상기 기재에 대항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칼라필름을 더 포함한다.
상기 칼라필름은 상기 칼라필름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상기 칼라필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색발현층의 색좌표 CIE L*a*b* 상에서의 L*a*b*의 공간에서의 거리인 색차 △E*ab가 1을 초과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색의 표현은 CIE L*a*b* 로 표현이 가능하며, 색차는 L*a*b* 공간에서의 거리(△E*ab)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Figure pat00109
이며, 0<△E*ab<1의 범위 내에서는 관찰자가 색 차이를 인지할 수 없다[참고문헌: Machine Graphics and Vision 20(4):383-411].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칼라필름의 추가에 따른 색차를 △E*ab>1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칼라필름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광반사층과 광흡수층과 같은 무기물층의 재료 및 두께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구현할 수 있는 색상의 폭을 더욱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칼라필름의 추가에 따른 색상변화 폭은 칼라필름의 적용 전후의 L*a*b* 의 차이인 색차 (△E*ab) 로 정의할 수 있다.
도 24에 칼라필름의 배치 위치를 예시하였다. (단, 기재(101)의 표면상의 볼록형 구조체 및 오목형 구조체, 보호층 미도시)
도 24의 (a)에는 칼라필름(401)이 광흡수층(301)의 광반사층(201)측의 반대면에 구비된 구조, 도 24의 (b)에는 칼라필름(401)이 광흡수층(301)과 광반사층(201) 사이에 구비된 구조, 도 24의 (c)에는 칼라필름(401)이 광반사층(201)과 기재(101) 사이에 구비된 구조, 도 24의 (d)에는 칼라필름(401)이 기재(101)의 광반사층(201) 측의 반대면에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의 (e)에는 칼라필름(401a, 401b, 401c, 401d)이 각각 광흡수층(301)의 광반사층(201)측의 반대면, 광흡수층(301)과 광반사층(201) 사이, 광반사층(201)과 기재(101) 사이, 및 기재(101)의 광반사층(201) 측의 반대면에 구비된 구조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칼라필름(401a, 401b, 401c, 401d)들 중 1 내지 3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기재(101) 상에 광반사층(301) 및 광흡수층(201)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구조에서 칼라필름의 배치 위치를 도 25에 예시하였다(기재(101)의 표면상의 볼록형 구조체 생략).
도 25의 (a)에는 칼라필름(401)이 기재(101)의 광흡수층(301) 측의 반대면에 구비된 구조, 도 25의 (b)에는 칼라필름(401)이 기재(101)과 광흡수층(301) 사이에 구비된 구조, 도 25의 (c)에는 칼라필름(401)이 광흡수층(301)과 광반사층(201) 사이에 구비된 구조, 도 25의 (d)에는 칼라필름(401)이 광반사층(201)의 광흡수층(301)측의 반대면에 구비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의 (e)에는 칼라필름(401a, 401b, 401c, 401d)이 각각 기재(101)의 광흡수층(301) 측의 반대면, 기재(101)와 광흡수층(301)과 사이, 광흡수층(301)과 광반사층(201) 사이, 및 광반사층(201)의 광흡수층(301)측의 반대면에 구비된 구조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칼라필름(401a, 401b, 401c, 401d)들 중 1 내지 3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4 (b)와 도 25 (c)와 같은 구조는 칼라필름의 가시광 투과율이 0% 초과라면 광반사층에서 칼라필름을 통과하여 입사한 광을 반사할 수 있으므로, 광흡수층과 광반사층의 적층에 따른 색상 구현이 가능하다.
도 24 (c), 도 24 (d) 및 도 25 (d)와 같은 구조에서는, 칼라필름의 추가에 따른 색차 변화를 인식할 수 있도록, 광반사층(201)의 칼라필름으로부터 발현되는 색상의 광투과율이 1%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가시광선투과율 범위에서 투과된 빛이 칼라필름에 의한 색상과 혼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칼라필름은 1장 또는 동종 또는 이종이 2장 이상이 적층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칼라필름은 전술한 광반사층 및 광흡수층의 적층 구조로부터 발현되는 색상과 함께 조합되어 원하는 색상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안료 및 염료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매트릭스 수지 내에 분산되어 색상을 나타내는 칼라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칼라필름은 칼라필름이 구비될 수 있는 위치에 직접 칼라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기재에 칼라필름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거나, 캐스팅, 압출 등의 공지의 성형방법을 이용하여 칼라필름을 제조한 후, 칼라필름이 구비될 수 있는 위치에 칼라필름을 배치 또는 부착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코팅 방법은 습식 코팅 또는 건식 코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칼라필름에 포함될 수 있는 안료 및 염료로는 최종 장식 부재로부터 원하는 색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적색 계열, 황색 계열, 보라색 계열, 청색 계열, 핑크색 계열 등의 안료 및 염료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페리논(perinone)계 적색 염료, 안트라퀴논계 적색 염료, 메틴계 황색 염료, 안트라퀴논계 황색 염료, 안트라퀴논계 보라색 염료, 프탈로시아닌계 청색 염료, 티오인디고(thioindigo)계 핑크색 염료, 이소크인디고(isoxindigo)계 핑크색 염료 등의 염료가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카본 블랙, 구리 프탈로시아닌(C.I. Pigment Blue 15:3), C.I. Pigment Red 112, Pigment blue, Isoindoline yellow 등의 안료가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염료 또는 안료는 시판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Ciba ORACET사, 조광페인트㈜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료 또는 안료들의 종류 및 이들의 색상은 예시들일 뿐이며, 공지된 염료 또는 안료들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더욱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칼라필름에 포함되는 매트릭스 수지는 투명 필름, 프라이머층, 접착층, 코팅층 등의 재료로 공지된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그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선형 올레핀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계 수지 등 다양한 재료가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된 재료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칼라필름이 상기 광반사층 또는 상기 광흡수층 보다 장식 부재를 관찰하는 위치에 더 가깝게 배치된 경우, 예컨대 도 24의 (a), (b), 도 25의 (a), (b), (c)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칼라필름이 광반사층, 광흡수층 또는 광반사층과 광흡수층의 적층구조로부터 발현되는 색상의 광투과율이 1%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칼라필름으로부터 발현되는 색상과 광반사층, 광흡수층 또는 이들의 적층구조로부터 발현되는 색상이 함께 조합되어 원하는 색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칼라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원하는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면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두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칼라필름의 두께는 500 nm 내지 1 mm 일 수 있다.
예시적인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은 장식 부재의 적용이 필요한 공지의 대상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 전자제품, 화장품 용기, 가구, 건축재 등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는 △E*ab>1의 이색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는 상기 기재의 상기 장식층에 대향하는 면; 또는 상기 장식층의 상기 기재에 대향하는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색발현층, 산란층, 보호층, 점착층 및 접착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층 이상을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색발현층은 유기 염료, 무기 염료 및 안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색발현층은 380nm 내지 780nm의 파장 범위에서 광흡수 혹은 형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색발현층은 380nm 내지 780nm의 파장 범위에서 투과율이 50%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색발현층은 10㎛ 이상 500㎛ 이하, 50㎛ 이상 300㎛ 이하, 또는 100㎛ 이상 200㎛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 재질의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에 포함되는 입자는 구형 또는 비정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에 포함되는 입자의 최대 직경은 1nm 이상 9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nm 이상 10㎛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은 입사한 빛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방으로 균일하게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광학용 투명 접착 테이프(OCA tape; optically clear adhesive tape) 또는 접착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OCA tape 또는 접착 수지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OCA tape 또는 접착 수지를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점착층의 보호를 위한 박리 층(release liner)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는 데코 필름; 또는 모바일 기기 또는 전자 제품의 케이스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또는 오목형 구조체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패턴을 형성하고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함으로써 제조하거나, 레이저로 가공하는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볼록형 또는 오목형 구조체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경사면 또는 입체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 상에는 추가로 보호층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광반사층 및 광흡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예시로서 스퍼터링 방식과 같은 증착을 언급했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들에 따른 구성 및 특성을 가질 수 있다면 박막을 제작하는 다양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증발증착법,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코팅(wet coatin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필름#1)>
PET 기재 위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여 2차원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를 형성하였다. 각 패턴은 2차원으로 배열되었으며, 배열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90°이었다.
각 패턴의 측면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경사각이 각각 20도/70도인 삼각형 모양의 볼록부 형상이 반복되어 배열된 것을 관찰되었다.
이후, 상기 볼록형 구조체 상에 반응성 스퍼터링법(reactive sputtering)을 이용하여, 광흡수층 및 광반사층을 포함하는 무기물층을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CuO 광흡수층을 상기 패턴층 위에 형성하였고, 형성된 광흡수층 위에 70㎚ 두께의 In을 스퍼터링 방식으로 증착하여 광반사층을 형성하여 최종 장식 부재를 제조하였다. 또한, 볼록형 구조체가 배열된 형태의 모식도를 도 26에 나타내었으며, 볼록형 구조체의 입체적인 모습을 도 2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필름#2)>
무기물층이 TiO2(두께 50nm), SiO2(두께 100nm), TiO2(두께 100nm), 인듐(두께 30nm) 및 TiO2(두께 20nm)의 5층 박막 무기물층인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장식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필름#3)>
각 패턴의 측면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경사각이 각각 20도/60도인 삼각형 단면이 관찰되는 것과, 볼록형 구조체 상에 반응성 스퍼터링법(reactive sputtering)을 이용하여 구리산질화물(CuON)로 이루어진 무기물층을 증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장식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필름#4)>
패턴의 형태가 20도/70도인 삼각형 단면을 갖는 프리즘 형태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장식 부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필름#5)>
PET 기재 위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여 2차원으로 배열된 패턴층을 형성하였다. 각 패턴은 2차원으로 배열되었으며, 배열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는 45°이었다.
각 패턴의 측면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경사각이 각각 20도/70도인 삼각형 단면이 관찰되었다.
패턴층 상에 반응성 스퍼터링법(reactive sputtering)을 이용하여, 구리산질화물로 이루어진 무기물층을 증착하여 최종 장식층을 형성하여 장식 부재를 제조하였다.
또한, 볼록형 구조체가 배열된 형태의 모식도를 도 28에 나타내었으며, 볼록형 구조체의 입체적인 모습을 도 2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필름#6)>
PET 기재 위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여 2차원으로 배열된 패턴층을 형성하였다. 각 패턴은 2차원으로 배열되었으며, 배열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이 시계 방향으로 이루는 각도는 135°이었다.
각 패턴의 측면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경사각이 각각 20도/70도인 삼각형 단면이 관찰되었다.
패턴층 상에 반응성 스퍼터링법(reactive sputtering)을 이용하여, 구리산질화물로 이루어진 무기물층을 증착하여 최종 장식층을 형성하여 장식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필름#7)>
패턴층 상에 실시예 1의 무기물층이 아닌 알루미늄 금속을 열증착하여 거울 형태의 장식층을 형성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장식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필름#8)>
평평한 형태의 패턴이 없는 PET 기재 상에 반응성 스퍼터링법(reactive sputtering)을 이용하여, 알루미늄산질화물로 이루어진 무기물층을 증착하여 최종 장식층을 형성하여 장식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필름#9)>
피치 100㎛, fill factor 50%, 높이 50㎛인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콜로이드 흡수층 1차원 패턴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때, fill factor란 전체 피치 100㎛ 중 콜로이드 흡수층으로 채워져 있는 면적의 비율이다.
<비교예 4 (필름#10)>
피치 100㎛, fill factor 25%, 높이 50㎛인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콜로이드 흡수층 2차원 패턴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때, fill factor란 전체 피치 100㎛ 중 콜로이드 흡수층으로 채워져 있는 면적의 비율이다.
<비교예 5 (필름#11)>
PET 기재 위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여 2차원으로 배열된 패턴층을 형성하였다. 각 패턴은 2차원으로 배열되었으며, 배열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90°이었다.
각 패턴의 측면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경사각이 각각 20도/70도인 삼각형 단면이 관찰되었다.
패턴층 상에 반응성 스퍼터링법(reactive sputtering)을 이용하여, TiO2(두께 50nm), SiO2(두께 100nm) 및 TiO2(두께 100nm)의 3층 박막 무기물층을 증착하여 최종 장식층을 형성하여 장식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필름#12)>
PET 기재 위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여 2차원으로 배열된 패턴층을 형성하였다. 각 패턴은 2차원으로 배열되었으며, 배열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90°이었다.
각 패턴의 측면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관찰하였을 때 경사각이 각각 45도/45도인 대칭 구조의 삼각형 단면이 관찰되었다.
패턴층 상에 반응성 스퍼터링법(reactive sputtering)을 이용하여, 구리산화물 무기물층을 증착하여 최종 장식층을 형성하여 장식 부재를 제조하였다.
<평가예 1(실시예 1의 장식 부재)>
실시예 1의 장식 부재에 대한 탐지수단의 위치는 (r, θ, φ)이었으며, 탐지 수단이 장식층의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80mm의 지름을 갖는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에 대하여, 상기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과 상기 임의의 원의 중심(A0)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장식층의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도 0도 내지 360° 범위에서 380nm≤λ≤780nm 파장의 D65의 표준 광원 조건 하에서 CIE L*ab 색좌표 상의 명도값 L*을 측정하여 도 31에 기재하였다.
또한, 각 탐지수단의 위치에 따른 장식 부재의 색 발현 모습을 도 35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구간을 찾기 위하여, 각
Figure pat00110
에 따른
Figure pat00111
를 계산하여 도 32에 나타내었다.
계산 결과, 31°내지 47°의 연속된 16° 구간에서 수학식 A를 만족하는 첫번째 구간(구간 1)이 나타났으며, 구간 1의 수학식 B를 통해 계산한
Figure pat00112
은 36.9이었다.
124° 내지 145°의 연속된 21° 구간에서 수학식 A를 만족하는 두번째 구간(구간 2)이 나타났으며, 구간 2의 수학식 B를 통해 계산한
Figure pat00113
은 26.3이었다.
209° 내지 239°의 연속된 20° 구간에서 수학식 A를 만족하는 세번째 구간(구간 3)이 나타났으며, 구간 3의 수학식 B를 통해 계산한
Figure pat00114
은 36.6이었다.
294°내지 333°의 연속된 39° 구간에서 수학식 A를 만족하는 네번째 구간(구간 4)이 나타났으며, 구간 4의 수학식 B를 통해 계산한
Figure pat00115
은 44.0이었다.
또한, 탐지수단의 위치가 (r=200mm, θ=0°, φ=270°)일 때의 장식 부재의 색 발현 모습을 도 37에 나타내었으며, 밝기가 일정한 4개의 구간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때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 콘트라스트 파라미터는 0.28이다.
수학식 2 및 수학식 2-2를 만족하는 m1 및 m2는 각각 109° 및 162°이었으며, m2-m1은 53° 이었다.
또한, 수학식 3 및 수학식 3-2를 만족하는 n1 및 n2는 각각 286° 및 345°이었으며, n2-n1은 59° 이었다. 이 계산 과정을 도 30에 나타내었다.
<평가예 2(실시예 4의 장식 부재)>
실시예 4의 장식 부재에 대한 탐지수단의 위치는 (r=200mm, θ=0°, φ=270°)이었으며, 탐지 수단이 장식층의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80mm의 지름을 갖는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에 대하여, 상기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과 상기 임의의 원의 중심(A0)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장식층의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도 0도 내지 360° 범위에서 380nm≤λ≤780nm 파장의 D65의 표준 광원 조건 하에서 CIE L*ab 색좌표 상의 명도값 L*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도 34에 기재하였다.
또한, 각 탐지수단의 위치에 따른 장식 부재의 색 발현 모습을 도 36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구간을 찾기 위하여, 각
Figure pat00116
에 따른
Figure pat00117
를 계산하여 도 33에 나타내었다.
계산 결과, 77°내지 181°의 연속된 104° 구간에서 수학식 A를 만족하는 첫번째 구간(구간 1)이 나타났으며, 구간 1의 수학식 B를 통해 계산한
Figure pat00118
은 27.6이었다.
263°내지 352°의 연속된 89° 구간에서 수학식 A를 만족하는 두번째 구간(구간 2)이 나타났으며, 구간 2의 수학식 B를 통해 계산한
Figure pat00119
은 44.2이었다.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 콘트라스트 파라미터는 0.22이다.
수학식 2 및 수학식 2-2를 만족하는 m1 및 m2는 각각 64° 및 197°이었으며, m2-m1은 134° 이었다. 또한, 수학식 3 및 수학식 3-2를 만족하는 n1 및 n2는 각각 261° 및 360°이었으며, n2-n1은 99° 이었다. 이 과정을 도 34에 나타내었다.
평가예 1 및 평가예 2의 결과를 정리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구간 1 구간 2 구간 3 구간 4 콘트라스트 파라미터
(수학식 1)
Figure pat00120
구간 길이
Figure pat00121
구간 길이
Figure pat00122
구간 길이
Figure pat00123
구간 길이
평가예 1 36.9 16° 26.3 21° 36.6 20° 44 39° 0.28
평가예 2 27.6 104° 44.2 89° 미존재 미존재 0.22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4에 대해서 시야각(θ, φ)을 변경하여 추가로 콘트라스트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나머지 필름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시야각(θ, φ)에서의 콘트라스트 파라미터(Cn)을 측정하여 아래 표 4에 나타내었으며, 각 시야각(θ, φ)에서의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의 개수를 계산하여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필름 종류 좌표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콘트라스트 파라미터(Cn)
θ 0 15 15 15 15 15 15 15 15
φ 270 0 45 90 135 180 225 270 315
실시예 1 0.28 0.13 0.14 0.03 0.01 0.03 0.13 0.13 0.03
실시예 2 0.36 0.22 0.21 0.03 0.01 0.03 0.21 0.22 0.11
실시예 3 0.2 0.09 0.1 0.03 0 0.02 0.1 0.09 0.04
실시예 4 0.22 0.02 0.11 0.22 0.06 0 0.06 0.22 0.11
실시예 5 0.17 0.03 0.01 0.02 0.02 0.01 0.03 0.23 0.22
실시예 6 0.23 0.19 0.05 0.01 0.01 0.2 0.19 0 0
비교예 1 0 0 0 0 0 0 0 0 0
비교예 2 0 0 0 0 0 0 0 0 0
비교예 3 0 0 0 0.02 0 0 0 0 0.01
비교예 4 0 0 0 0 0 0 0 0 0
비교예 5 0.03 0.01 0 0 0 0.01 0 0.01 0.01
비교예 6 0 0 0 0 0 0 0 0 0
필름 종류 좌표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의 개수
θ 0 15 15 15 15 15 15 15 15
φ 270 0 45 90 135 180 225 270 315
실시예 1 4 2 3 2 2 2 3 2 2
실시예 2 2 2 4 2 2 2 3 2 2
실시예 3 4 2 3 2 2 2 3 2 2
실시예 4 2 2 2 2 2 2 2 2 2
실시예 5 4 2 2 3 3 2 2 3 3
실시예 6 2 2 2 2 2 3 2 2 2
비교예 1 0 0 0 0 0 0 0 0 0
비교예 2 0 0 0 0 0 0 0 0 0
비교예 3 2 2 2 3 2 2 2 2 3
비교예 4 2 2 2 2 2 2 2 2 2
비교예 5 4 2 2 2 2 2 2 2 2
비교예 6 0 0 0 0 0 0 0 0 0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장식 부재는 상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0.1 이상인 시야각(θ, φ) 조합이 1개 이상 존재하였으나, 비교예의 장식 부재는 상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0.1 이상인 시야각(θ, φ) 조합이 1개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의 장식 부재는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의 개수가 적어도 2개 이상 또는 4개도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장식 부재는 도 35 및 도 36에서와 같이 광도(L*)가 일정하게 나타나는 인접한 구간을 가짐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보는 각도에 따라 장식 부재가 나타내는 빛의 밝기가 크게 변화하는 부분이 존재하는 장식 효과를 느끼게 느끼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의 장식 부재는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이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콘트라스트 파라미터 Cn이 0.1 미만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식 부재는 광도(L*)가 보는 각도에 따라 너무 크게 변함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실시예와 같은 장식 효과를 느끼게 할 수 없다.

Claims (17)

  1.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장식층을 포함하는 장식 부재로서,
    380nm≤λ≤780nm 파장의 D65의 표준 광원 조건 하에서 상기 장식층의 표면의 중심점을 원점으로 하는 공간 좌표계의 (r, θ, φ) 위치에 위치한 탐지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장식층 표면 상의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에 대하여 CIE L*ab 색좌표 상의 명도값 L*을 측정하고,
    상기 공간 좌표계는 상기 장식층의 표면 상의 어느 일 방향으로의 x축, 상기 x축과 수직을 이루는 상기 장식층의 표면 상의 다른 방향으로의 y축 및 상기 장식층의 표면의 법선 방향으로의 z축을 포함하고,
    상기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과 상기 임의의 원의 중심(A0)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도(
    Figure pat00124
    )를 가로축으로 하고, 측정된 명도값 L*을 세로축으로 하는 그래프를 그래프 G1이라고 할 때,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125
    가 0°내지 360°인 범위에서, 하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구간의 개수(n)가 2 이상이고,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콘트라스트 파라미터(Cn)가 0.1 이상인 θ 및 φ의 조합이 1개 이상 존재하는 것인 장식 부재:
    [수학식 1]
    Figure pat00126

    [수학식 A]
    Figure pat00127

    [수학식 B]
    Figure pat00128

    상기 수학식 1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129
    는 상기 그래프 G1의 가로축의
    Figure pat00130
    가 증가할 때 나타나는,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i번째 구간(Si)의
    Figure pat00131
    의 평균값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학식 B로 표시되고,
    상기 n이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n이 2인 경우
    Figure pat00132
    이 0이고,
    상기 n이 3 이상인 경우,
    Figure pat00133
    이 1이고,
    상기 수학식 A 및 수학식 B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134
    는 상기 임의의 원의 원주 상의 일 지점(A1)과 상기 임의의 원의 중심(A0)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x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도(
    Figure pat00135
    )에 따른 CIE L*ab 색좌표 상의 명도값 L*이고,
    Figure pat00136
    는 상기 각도
    Figure pat00137
    에 대한 명도값
    Figure pat00138
    의 기울기의 절대값을 의미하고,
    상기
    Figure pat00139
    는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i번째 구간(Si)의 가장 큰
    Figure pat00140
    값이고, 상기
    Figure pat00141
    은 상기 수학식 A를 만족하는 가로축의 길이가 10° 이상인 연속된 i번째 구간(Si)의 가장 작은
    Figure pat00142
    값이고,
    상기 공간 좌표계의 r은 상기 탐지 수단과 상기 공간 좌표계의 원점 사이의 거리로서, 200mm이고,
    상기 공간 좌표계의 θ는 상기 탐지 수단과 상기 공간 좌표계의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양의 방향의 z축과 이루는 각도로서, 0° 내지 360°인 범위이고,
    상기 공간 좌표계의 φ는 상기 탐지 수단과 상기 공간 좌표계의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양의 방향의 x축과 이루는 각도로서, 0° 내지 360°인 범위이고,
    상기 임의의 원의 지름은 상기 장식층의 표면의 단축 길이의 0.8배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2, 수학식 2-1 및 수학식 2-2를 만족하는 m1 및 m2의 조합이 1개 이상 존재하는 장식 부재:
    [수학식 2]
    Figure pat00143

    [수학식 2-1]
    Figure pat00144

    [수학식 2-2]
    Figure pat00145

    상기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2-2에 있어서,
    상기 m1 및 m2는 상기 L(
    Figure pat00146
    )의
    Figure pat00147
    에 해당하는 값으로 서로 상이하고,
    상기
    Figure pat00148
    Figure pat00149
    가 0° 내지 360°의 범위에서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150
    의 최소값이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3, 수학식 3-1 및 수학식 3-2를 만족하는 n1 및 n2의 조합이 1개 이상 존재하는 장식 부재:
    [수학식 3]
    Figure pat00151

    [수학식 3-1]
    Figure pat00152

    [수학식 3-2]
    Figure pat00153

    상기 수학식 3 내지 수학식 3-2에 있어서,
    상기 n1 및 n2는 상기 L(
    Figure pat00154
    )의
    Figure pat00155
    에 해당하는 값으로 서로 상이하고,
    상기
    Figure pat00156
    Figure pat00157
    가 0° 내지 360°의 범위에서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158
    의 최대값이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4 및 수학식 5를 만족하는
    Figure pat00159
    가 1개 이상 존재하는 것인 장식 부재:
    [수학식 4]
    Figure pat00160

    [수학식 5]
    Figure pat00161

    상기 수학식 4 및 수학식 5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162
    Figure pat00163
    가 0° 내지 360°의 범위에서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164
    의 최소값이고,
    상기
    Figure pat00165
    Figure pat00166
    가 0° 내지 360°의 범위에서 상기 그래프 G1의
    Figure pat00167
    의 최대값이고,
    Figure pat00168
    의 정의는 청구항 1과 같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 좌표계의 θ가 0° 이상 15° 이하인 것인 장식 부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의 표면을 2.5 mm x 2.5 mm 크기의 기준 면적으로 나눴을 때 각 기준 면적에서 방출되는 380nm ≤λ≤780 nm파장의 빛의 각휘도가 동일한 것인 장식 부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1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인 장식 부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과 시계 방향으로 0도 초과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축 방향으로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인 장식 부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2차원적으로 배열된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는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1 축과 시계 방향으로 30도 이상 15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제2 축 방향으로 배열된 것인 장식 부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볼록형 구조체 또는 오목형 구조체를 제1 평면으로 자른 단면(Z1); 및 제2 평면으로 자른 단면(Z2)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비대칭 구조인 장식 부재로서,
    상기 제1 평면은 제1 축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2 평면은 제2 축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기재의 일면의 법선 중 상기 볼록형 구조체의 최고점 또는 상기 오목형 구조체의 최저점을 지나는 직선을 포함하는 것인 장식 부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은 상기 기재 상에 구비된 무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물층은 인듐(In), 티탄(Ti), 주석(Sn), 실리콘(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바나듐(V), 텅스텐(W), 탄탈(Ta), 몰리브덴(Mo), 네오디뮴(Nb), 철(Fe), 크롬(Cr), 코발트(Co), 금(Au) 및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 이의 산화물; 이의 질화물; 이의 산질화물; 탄소; 및 탄소 복합체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단일층 또는 다층인 장식 부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층은 상기 기재 상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광흡수층 및 광반사층을 포함하거나, 상기 기재 상에 순차적으로 구비된 광반사층 및 광흡수층을 포함하는 것인 장식 부재.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무기물층 사이; 상기 기재의 상기 무기물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 또는 상기 무기물층의 상기 기재에 대항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칼라필름을 더 포함하는 장식 부재.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무기물층 사이; 상기 광흡수층과 상기 광반사층 사이; 상기 기재의 상기 무기물층에 대향하는 면의 반대면; 또는 상기 무기물층의 상기 기재에 대항하는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칼라필름을 더 포함하는 장식 부재.
  15. 청구항 1에 있어서, △E*ab>1의 이색성을 갖는 장식 부재.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상기 장식층에 대향하는 면; 또는 상기 장식층의 상기 기재에 대향하는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색발현층, 산란층, 보호층, 점착층 및 접착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층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장식 부재.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 부재는 데코 필름; 또는 모바일 기기 또는 전자 제품의 케이스인 것인 장식 부재.
KR1020190040237A 2018-04-10 2019-04-05 장식 부재 KR102164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20138.9A CN111867822B (zh) 2018-06-15 2019-06-17 装饰构件
JP2020544041A JP7424565B2 (ja) 2018-06-15 2019-06-17 装飾部材
EP19818943.3A EP3808555A4 (en) 2018-06-15 2019-06-17 DECORATIVE ELEMENT
US16/981,110 US11932001B2 (en) 2018-06-15 2019-06-17 Decoration member
PCT/KR2019/007281 WO2019240561A1 (ko) 2018-06-15 2019-06-17 장식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1562 2018-04-10
KR1020180041562 2018-04-10
KR20180118369 2018-10-04
KR1020180118369 2018-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520A true KR20190118520A (ko) 2019-10-18
KR102164772B1 KR102164772B1 (ko) 2020-10-14

Family

ID=6846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237A KR102164772B1 (ko) 2018-04-10 2019-04-05 장식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7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085A (ko) * 1998-01-13 2001-04-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색상 변환 필름
JP2003237006A (ja) * 2002-02-20 2003-08-26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509806A (ja) * 2005-09-30 2009-03-12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KR20100135837A (ko) 2008-04-24 2010-12-2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저반사 유리 및 디스플레이용 보호판
KR20150113950A (ko) * 2013-01-09 2015-10-0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4085A (ko) * 1998-01-13 2001-04-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색상 변환 필름
JP2003237006A (ja) * 2002-02-20 2003-08-26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509806A (ja) * 2005-09-30 2009-03-12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KR20100135837A (ko) 2008-04-24 2010-12-2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저반사 유리 및 디스플레이용 보호판
KR20150113950A (ko) * 2013-01-09 2015-10-0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772B1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571B1 (ko) 장식 부재
KR102489783B1 (ko) 장식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11906760B2 (en) Decoration member
KR20190015431A (ko)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KR101930858B1 (ko)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의 제조 방법
JP7424565B2 (ja) 装飾部材
KR102164772B1 (ko) 장식 부재
KR20190138542A (ko) 장식 부재 및 장식 부재의 제조방법
KR102306984B1 (ko) 장식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