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427A - 촬상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및 화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및 화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427A
KR20190116427A KR1020197026882A KR20197026882A KR20190116427A KR 20190116427 A KR20190116427 A KR 20190116427A KR 1020197026882 A KR1020197026882 A KR 1020197026882A KR 20197026882 A KR20197026882 A KR 20197026882A KR 20190116427 A KR20190116427 A KR 20190116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mage
light
pressing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393B1 (ko
Inventor
샤오 링
준이치 모리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pressure, e.g. compression, indentation, palpation, grasping, gau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61Measuring blood flow using optical means, e.g. infrared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2Determining colour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7Locating particular structures in or on the body
    • A61B5/489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27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using photo-electric detection ; circuits for computing concen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88Skin; Derm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1Blood vessel; Artery; Vein; Vascul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피부의 표면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피부의 내부에서 반사된 투과광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피부의 표면에 밀착시켜 이용되고, 피부의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촬상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배치되는 차광부와, 촬상하는 피부의 표피를 만곡시키기 위하여, 피부의 표면을 선단으로 압압하는 압압부를 구비함으로써, 유두 구조 및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의 양쪽 모두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촬상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및 화상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및 화상 표시 방법
이 발명은, 촬상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및 화상 표시 방법에 관련하고, 특히, 비침습적으로, 유두 구조나 유두층(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의 화상을 취득하고 표시할 수 있는 촬상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및 화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 조직(피부)(S)은, 도 14의 사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층구조로 되어 있으며, 최외층으로부터 순서대로, 표피(82), 진피(84) 및 피하 조직(도시하지 않음)으로 나뉘어져 있다. 표피(82)는, 피부의 최외층으로서 외계(外界)에 접하는 각층(角層)(80), 및 진피(84)와 접하는 기저층(86)을 갖는 막으로 구성되고, 진피(84)는, 표피(82)의 기저층(86)과 접하는 유두층(88), 및 피하 조직과 접하는 망상층(90)을 갖는 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 조직(S)의 모식도인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피(82)와 진피(84)의 사이에는, 표피(82)의 기저층(86)의 표피 돌기(87)와, 진피의 유두층(88)의 유두 돌기(89)가 서로 파고 들어가는 것과 같이 존재하는 요철 파형의 유두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피하 조직에는, 피부에 대한 영양 공급, 노폐물을 반출하는 대사 및 체온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맥, 및 정맥이 존재하고 있다. 피하 조직에 있는 동맥, 및 정맥은, 진피(84)의 망상층(90) 내의 혈관(망상층 혈관)(92)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94)을 통하여, 혈관이 존재하지 않는 표피(82)에 영양, 및 산소를 공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피부 구조 S에 있어서, 가령(加齡) 등에 의하여, 유두 구조의 요철이 줄어들어, 유두 돌기(88)의 표면적이 감소하면, 그 내부에 있는 모세 혈관(94)으로부터 표피(82)에 대한 영양, 및 산소의 공급이 정체되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또, 그 결과, 피부는 신축하지 않게 되어, 서서히 처져간다고 알려져 있다. 즉, 유두 구조와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은, 피부의 영양 공급, 대사, 체온 조절, 및 피부 상태(예를 들면, 탄력, 주름, 처짐 등)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유두 구조, 및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적절히 관찰할 수 있으면, 피부 상태의 평가, 및 가령에 의한 피부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또, 그 결과, 화장품, 및 스킨 케어 제품, 스킨 케어의 효과를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품 등의 연구 또는 상품 개발에 응용할 수 있다.
피부(S)의 내부 구조를 관찰하는 방법에는, 침습적으로 관찰하는 방법과, 비침습적으로 피부를 관찰하는 방법이 있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침습적인 관찰 방법의 대부분은, 인간으로부터 채취된 피부 조직편에 화학적 처리를 실시하여 관찰하는 것이다.
비침습적인 관찰 방법에는, 최근,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피부 내부 화상을 취득하는 방법, 및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광원으로부터 피부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피부 내에 입사시키고, 피부 내부에서 반사되어, 피부를 거쳐 방출된 광을 광검출기로 수광하여, 피부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광원 및 광검출기가 결합한 보디를 더 갖고, 이 보디는, 광원으로부터 외부로 광을 조사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 광검출기에 외부로부터의 광이 수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 및 개구부를 제외하고 광원 및 광검출기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광원을 생체에 밀착시켜 피부 표면에 광을 조사하고, 검출부에 의하여 생체로부터 사출된 광을 검출하며, 검출부로부터의 출력(측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피부 내부의 화상(예를 들면, 표피 또는 진피에 초점을 맞춘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 광원이 검출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것이나, 이 장치가, 광원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이 검출부에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벽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피부에 밀착 가능한 형상의 개구단(開口端)을 갖는 중공체와, 개구단의 가장자리부 또는 그 근방에 마련되고, 중공체 내의 개구부에 면하는 검사 대상 부위의 근방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검사 대상 부위 내부로부터 중공체 내를 향하여 사출하는 광을 받아들이는 촬영부, 및 검사 대상 부위의 일부를 중공체 내에 흡인하기 위한 감압 수단을 갖는 혈관 촬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 이 장치에 의하여, 정맥의 혈관 분포를 촬영할 수 있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526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36758호 국제 공보 2008/010604호
침습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은, 유두 구조의 형태나 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에는 적합하지만, 피부를 파괴하여 채취한 조직편을 관찰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일한 관찰 위치(즉, 채취 대상 위치)에 있어서의 유두 구조, 및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의 경시 변화를 관찰하거나, 거기에 따르는 다른 부위의 변화, 및 영향을 상세하게 조사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는 방법은, 조작 수법이 지극히 번잡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이 현미경을 사용하여 비침습적으로 인간의 피부를 관찰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사정이 있다.
또,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 계제의 정점의 직경은 7.5~10μm이고 적혈구가 1열로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넓이이며, 또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흐르는 혈류는 체온 조정에 관련하여 조정되기 때문에,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에 항상 혈류가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조건(예를 들면, 기온, 습도와, 피험자의 컨디션 및 체질 등)에 의하여, 관찰할 수 있는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의 수가 크게 바뀐다. 이로 인하여, 모세 혈관에 흐르는 혈류량을 조정하지 않고 피부를 촬상하는 특허문헌 1 및 2의 장치에서는, 유두층 내의 모든 모세 혈관을 관찰하지 못하여, 많은 모세 혈관을 못 보고 놓칠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3의 장치는, 감압 펌프와 같은 감압 수단에 의하여 피부를 흡인하면, 매우 작은 내경을 갖는 모세 혈관이 파괴되어 내출혈되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또, 감압 수단에 관한 비용이나, 감압을 행하는 수고가 든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특허문헌 1~3의 장치에 의하여 촬상된 화상에서는,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과, 망상층 내의 혈관을 구별하여 관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또, 종래의 관찰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간으로부터 채취된 피부 조직편을 관찰하는 방법, 비침습적으로 피부를 관찰하는 방법, 및 각 방법에 의한 결과를 조합한 것이었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관찰 방법으로서는, 유두 구조 및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의 양쪽 모두를 동시에 관찰하지 못하여, 유두 구조, 및 모세 혈관 등의 정확한 수, 및 형태를 비침습적으로 적절히 확인하면서, 동일한 관찰 위치에 있어서, 유두 구조, 및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거나, 다른 부위의 변화, 및 영향을 적절히 조사하거나 진단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침습적 및 비침습적인 관찰 방법에서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또한 유두 구조 및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의 양쪽 모두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촬상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및 화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는, 피부의 표면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피부의 내부에서 반사된 투과광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피부의 표면에 밀착시켜 이용되고, 피부의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촬상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배치되는 차광부와, 촬상하는 투과광이 통과하는 피부의 표피를 만곡시키기 위하여, 피부의 표면을 선단으로 압압하는 압압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차광부는, 통 형상이며, 촬상부의 센서면의 법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부는,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는, 피부의 표면이 링상으로 조명되도록 조명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압부는, 차광부의 선단에 마련되고, 차광부와 일체화된 제1 차광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압부는, 차광부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통 형상이며, 또한 촬상부의 센서면의 법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것이다.
압압부는, 압압부 본체와, 압압부 본체에 장착되어, 피부의 표면을 직접 압압하는 압압 부재를 가지며, 조명부는, 조명광을 사출하는 조명부 본체와, 조명부 본체에 장착되어, 압압 부재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제2 차광 부재를 갖고, 압압부 본체, 및 조명부 본체는, 일체로서 촬상 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며, 압압 부재, 및 제2 차광 부재는, 본체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어댑터를 구성하고, 압압 부재는, 내부에 원형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원뿔형의 노즐 형상이며, 제2 차광 부재는, 압압 부재의 최대 외경보다 큰 내경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이고, 압압 부재와 제2 차광 부재는, 압압 부재의 외주면과 차광 부재의 내주면의 사이에, 조명부 본체로부터 사출되는 조명광을 피부의 표면에 도광하는 원환상의 도광 슬릿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압압부의 선단은, 조명부의 선단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촬상부의 센서면의 법선 방향에 있어서, 조명부와 피부의 표면이 밀착한 면과, 압압부와 피부의 표면이 밀착한 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0.1mm~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부의 센서면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 조명부가 조사하는 조명광의 광축과, 촬상부가 수광하는 투과광의 광축과의 사이의 거리가, 0.5mm~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는 복수의 광원을 갖고, 복수의 광원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은, LED, 백열 전구, 형광등, 또는 방전 전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는, 추가로, 압압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제2 차광 부재를 갖고, 제2 차광 부재는, 압압부의 외주 측에 배치되며, 압압부의 외주면과 제2 차광 부재의 내주면의 사이에 원환상의 도광 슬릿을 형성하는 것이고, 조명광은, 광원으로부터 도광 슬릿을 통하여 피부의 표면에 조사되는 것이어도 된다.
조명부는, 추가로, 광파이버 케이블을 갖고, 조명광은, 광원으로부터 광파이버 케이블을 통하여 피부의 표면에 조사되는 것이어도 된다.
조명부는, 피부의 표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투명의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부는, 대물 렌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본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와, 촬상부에 의하여 획득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촬상 장치의 촬상부에 의하여 획득된 화상에 근거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더 구비하고, 표시 장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하여 처리된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는, RGB 화상을 표시하고, RGB 화상은, 유두 구조 및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에 대응하는 화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GB 화상은, 망상층 혈관에 대응하는 화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GB 화상은, 루프상의 갈색 부분 및 루프상의 갈색 부분에 둘러싸인 루프상의 적색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루프상의 갈색 부분은, 피부의 내부에 포함되는 멜라닌 색소이며, 루프상의 갈색 부분에 둘러싸인 루프상의 적색 부분은,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방법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을 사용하는 화상 표시 방법이며, 촬상하는 투과광이 통과하는 피부의 표피를 만곡시키기 위하여, 피부의 표면을 압압하고, 피부의 표면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제1 조사 스텝과, 피부의 내부에서 반사된 투과광만을 촬상하여, 표피가 만곡한 피부의 제1 화상 신호를 획득하는 제1 화상 신호 획득 스텝과, 제1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표피가 만곡한 피부의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상 형성 스텝과, 표피가 만곡한 피부의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스텝을 포함하는 것이다.
피부의 표면에 조사광을 조사하는 제2 조사 스텝과, 피부 내부에서 반사된 투과광만을 촬상하여, 표피가 만곡한 피부의 화상의 촬상 위치와 동일한 영역에 있어서의 표피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피부의 제2 화상 신호를 획득하는 제2 화상 신호 획득 스텝과,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표피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피부의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상 형성 스텝과, 표피가 만곡한 피부의 화상과, 표피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피부의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화상 형성 스텝은, 제1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표피가 만곡한 피부의 제1 RGB 화상을 형성하고, 제2 화상 형성 스텝은, 제2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표피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피부의 제2 RGB 화상을 형성하며, 화상 표시 스텝은, 제1 RGB 화상과 제2 RGB 화상을 동시에 모니터에 표시하고, 제1 및 제2 RGB 화상은, 유두 구조 및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에 대응하는 화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RGB 화상 및 제2 RGB 화상은, 루프상의 갈색 부분 및 루프상의 갈색 부분에 둘러싸인 루프상의 적색 부분을 포함하고, 루프상의 갈색 부분은, 피부의 내부에 포함되는 멜라닌 색소이며, 루프상의 갈색 부분에 둘러싸인 루프상의 적색 부분은,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이고, 제2 화상 신호 획득 스텝에 있어서 획득된 루프상의 적색 부분에 관한 제2 화상 신호는, 제1 화상 신호 획득 스텝에 있어서 획득된 루프상의 적색 부분에 관한 제1 화상 신호보다 약한 것이다.
제2 화상 형성 스텝은, 제1 화상 신호 획득 스텝에 있어서 획득된 루프상의 적색 부분에 관한 제1 화상 신호보다 약한 제2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제2 RGB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게, 또한 비침습적으로, 유두 구조 및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의 양쪽 모두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피부의 내부 구조를 비침습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관찰 위치(즉, 채취 대상 위치)에 있어서의 유두 구조나 유두 돌기 내를 흐르는 모세 혈관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거나, 그에 따르는 다른 부위의 변화나 영향을 상세하게 조사할 수 있다.
또, 관찰 조건에 의하지 않고, 유두층(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파손하지 않고, 적절히 관찰할 수 있다.
또,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과, 망상층 내의 혈관을 명확하게 구별하여 관찰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촬상 장치를 이용한 화상 표시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촬상 장치를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촬상 장치의 광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a의 촬상 장치의 압압부 및 조명부의 선단에 있어서의 광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3은 도 1a의 촬상 장치의 조명 반경 R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는 유두 구조를 가시화할 수 있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a는 도 1a의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취득한 투과 화상이다.
도 5b는 도 4a의 백색 프레임 내의 투과 화상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6a는 도 1a의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취득된 RGB 화상(스케일 바 100μm)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b는 도 1a의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취득된 RGB 화상(스케일 바 100μm)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c는 도 1a의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취득된 RGB 화상(스케일 바 200μm)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d는 도 1a의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취득된 RGB 화상(스케일 바 200μm)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a는 압압부에서 피부의 표면을 압압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b는 압압부에서 피부의 표면을 압압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a는 도 1a의 촬상 장치의 조명부의 변형예 1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8b는 도 1a의 촬상 장치의 조명부의 변형예 2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8c는 도 8b의 촬상 장치를 II-II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d는 도 1a의 촬상 장치의 조명부의 변형예 3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8e는 도 8d의 촬상 장치를 III-III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촬상 장치의 어댑터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촬상 장치의 어댑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9의 어댑터가 본체에 장착되기 전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9의 어댑터가 본체에 장착되어, 피부의 표면을 압압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는 실시예 1의 G성분 화상이다.
도 12b는 비교예 1의 G성분 화상이다.
도 13a는 실시예 2의 RGB 화상이다.
도 13b는 비교예 2의 RGB 화상이다.
도 14는 염색한 피부 조직의 절편의 확대 사진이다.
도 15는 피부 조직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촬상 장치를 이용한 화상 표시 시스템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촬상 장치를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촬상 장치(1)의 광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b는, 촬상 장치(1)의 압압부(2) 및 조명부(4)의 선단에 있어서의 광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촬상 장치(1)는, 압압부(2)와, 조명부(4) 및 촬상부(6)로 구성되고, 화상 처리 장치(8) 및 표시 장치(10)에 접속되어 있다.
압압부(2)는, 원통 형상의 압압 부재로 이루어지고, 직경 내에 원형의 관찰 부위(촬상부(6)에 의하여 촬상되는 피부 표면)가 위치하도록, 선단부(수광 측의 개구부)를 피부 표면에 밀착시켜 압압함으로써, 관찰 부위의 피부 표면을 만곡시킬 수 있다. 또, 압압부(2)의 선단부는, 피부 표면을 압압하는 기능을 가짐과 함께, 후술하는 조명부(4)로부터 피부 표면에 조사되는 조사광이나, 피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경면(鏡面) 반사광이 촬상부(6)에 직접 입사하지 않도록 차광하는 차광 부재(제1 차광 부재)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즉, 압압부(2)는, 압압 부재가 차광 부재의 선단에 마련되고, 차광 부재와 압압 부재(제1 차광 부재)가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압부(2)는, 압압 및 차광의 양 기능을 담당하고 있지만, 피부의 표면을 압압하여,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에 혈액을 보낼 수 있으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부의 표면을 압압하는 압압 부재와, 피부에 밀착시켜 이용하는 차광 부재(제1 차광 부재)를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압압부(2)의 내경의 크기(구체적으로는, 시야환(視野環)의 직경)는, 관찰 대상을 탐색하기 쉬운 크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의 관찰 시(즉, 압압을 행하지 않고 관찰하는 경우)에 관찰 대상을 탐색하기 쉽다고 간주되는 내경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압 시, 시야환에 위치하는 피부(즉, 압압 부재와 밀착하는 피부)가 변형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시야환의 직경은, 1mm~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1mm 미만으로 하면, 시야가 너무 좁아져 버리기 때문에, 관찰 대상의 탐색이 어려워진다. 한편, 10mm 초과로 하면, 후술하는 도 3에 나타내는 광이 통과해 오는 거리가 길어져 감쇠되어, 시야 내가 어두워지기 때문이다.
또, 외경의 크기는, 피부 표면을 압압 가능한 강도를 구비하는 압압부(2)의 두께를 갖고, 또한 시야에 있어서의 광량을 균일 또한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피부 표면과 접촉하는 폭(즉, 압압부(2)의 외경과 내경의 차)이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무리하게 압압하지 않는 크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압압부(2)의 두께나 소재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압압부(2)의 두께가 0.5mm이며, 소재로서 고무 소재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외경의 크기는, 2mm~1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압부(2)의 재질은, 조명광, 및 피부의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촬상부(6)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선단부를 피부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부 표면을 압압했을 때, 형상이 크게 변형되지 않고(즉 피부보다는 딱딱하고), 피부 표면에 보다 딱 맞는 정도의 유연함을 갖는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도광 슬릿(14)으로부터의 조명광, 및 반사광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피부에 접촉하는 압압부(2)의 선단부는, 안전성의 면에서, 조금 둥그스름을 띤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4)는, 4개의 광원(12)과 차광 부재(제2 차광 부재)(16)로 구성된다. 차광 부재(제2 차광 부재)(16)는, 압압부(제1 차광 부재)(2)와 함께 도광 슬릿(14)을 형성한다. 이 도광 슬릿(14)을 통하여, 조명부(4)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의 표면이 링상으로 조명되도록, 광원(12)으로부터 광을 조사한다.
4개의 광원(12)은, 서로 점 대칭이 되도록 동일 원기둥 상에 배치된 4개의 LED(발광 다이오드: Light-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광원은, 도광 슬릿(14)을 통하여 피부의 표면을 링상으로 균등하게 조명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원은, LED에 한정되지 않고, LD(레이저 다이오드: Laser diode), 반도체 레이저, 제논 램프 등의 램프, 및 SLD(슈퍼루미네센트 다이오드: Superluminescent diode)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광원의 개수도, 피부의 표면을 촬상부(6)에 의한 촬영에 필요한 밝기로 균등하게 조명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광원의 개수는, 동심원상으로 조명할 수 있으면 1개여도 되지만,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원의 강도는, 관찰 부위에 관한 영역의 시야가 촬상부(6)에 의한 촬영에 필요한 밝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광원의 강도 조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의 색은, R(적색: red) 및 B(청색: blue)의 단색이 아니고, G(녹색: green)를 갖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RGB(red-green-blue)광(즉, 백색광) 및 GB(green-blue)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광원의 색은, 각 색으로 전환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의 전원은, 내부 전원(전지)이어도 되고 외부 전원이어도 된다.
차광 부재(16)는, 압압부(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원통 형상의 압압부(2)의 외주 측에 배치되며, 압압부(2)의 외주면과 차광 부재(16)의 내주면의 사이에 원환상의 도광 슬릿(14)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광 부재(16)의 선단부(광사출 측의 개구부)는, 압압부(2)의 선단부(수광 측의 개구부)의 후방 측에 약간 어긋나게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압압부(2)는, 조명부(4)의 차광 부재(16)의 선단부보다 돌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압압부(2)의 선단부(수광 측의 개구부)는, 차광 부재(16)의 선단부(광사출 측의 개구부)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량(즉, 차광 부재(16)가 피부의 표면과 밀착하는 면으로부터, 압압부(2)가 피부의 표면과 밀착하는 면의 사이의 거리 L1)은, 압압 시에 있어서의 피부의 변형량(피부를 압압했을 때에 피부에 발생하는 함몰의 깊이)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간의 피부의 얇은 부분(예를 들면, 손등 등)에 있어서의 압압 시의 변형량은 1mm 정도이기 때문에, 돌출량(L1)은, 그 이하인 0.1mm~1.0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얼굴의 눈매나 손등을 압압했을 때에 표피의 만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0.1mm 이상의 길이가 필요한 것이나, 1.0mm 이하이면, 촬상 장치(1)를 피부 표면에 재치하고 압압부(2)에서 피부 표면을 필요한 압력으로 압압했을 때에, 피부 표면을 무리하게 압압하지 않고, 차광 부재(16)의 선단부도 피부 표면에 밀착시키기 쉽기 때문이다.
촬상 장치(1)의 중량은, 촬상 장치(1)를 피부 표면에 재치했을 때, 모세 혈관을 손상시키는 무게(예를 들면 1kg)가 아니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g~6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 장치(1)의 압압부(2), 및 차광 부재(16)의 선단부를 피부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고, 망상층 내의 혈관을 압박할 수 있으며, 또한 모세 혈관을 손상시키지 않는 무게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배치 구성에 의하여,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1)를 관찰 대상의 피부 표면에 재치하면, 촬상 장치(1)의 무게로, 차광 부재(16)의 선단부와 압압부(2)의 선단부가 피부 표면에 밀착하고, 또한 피부 표면은, 압압부(2)에 의하여 필요한 압력으로 압압된다. 이와 같이, 차광 부재(16)의 선단부와 압압부(2)의 선단부를 피부 표면에 밀착시켜, 광을 피부 표면에 조사하면, 투과광의 강도 저하, 및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투과광이란, 피부 표면을 투과하고, 피부의 내부에 있어서 반사되어, 재차 피부 표면을 투과한 광이다. 촬상 화상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는, 이 투과광에 더하여, 피부 표면으로부터의 반사광도 촬상함으로써 발생한다.
차광 부재(16)의 외경은, 선단부가 피부 표면에 밀착하는 면적이 도광 슬릿(14)으로부터 조명광이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촬상 장치(1)를 피부 표면에 재치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 부재(16)의 재질도, 조명광이 확산되지 않도록 선단부를 피부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부 표면에 보다 딱 맞고, 조금 둥그스름을 띤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도광 슬릿(14)으로부터의 조명광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광 슬릿(14)은, 광원(12)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슬릿 내에서 확산하여 빠져나가는 기능을 갖는다. 광원(12)으로부터 사출된 광은 도광 슬릿(14)을 통하여 피부의 표면에 조사되므로, 광이 도광 슬릿(14)의 폭 이상으로 확산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피부의 표면을 조명할 수 있다.
도광 슬릿(14)의 폭 L2(차광 부재(16)의 내경과 압압부(2)의 외경과의 차)는, 모세 혈관 등의 관찰 대상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시야의 밝기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두 구조나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관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그들 혈관의 탐색을 하기 쉬운 1.0~5.0mm의 폭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 슬릿(14)은, 일반적인 LED나 램프 등을 광원(12)로서 이용할 수 있고, 사이즈가 제한되는 것도 거의 없다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도 8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압압부(2)의 외주면과 차광 부재(16)의 내주면의 사이의 원환상의 공간(도광 슬릿(14)에 상당)보다 큰 사이즈의 광원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충분한 광량이나 균일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 후술하는 도 8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가공이 어려운 광파이버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명부(4)의 차광 부재(제2 차광 부재)(16), 및 압압부(제1 차광 부재)(2)의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광원(12)을 이용하여 피부 표면에 조사하는 링상의 조명광을 생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광원이 장치 외부에 마련되고, 광원과 광파이버의 다발을 잇는 굵은 케이블(광파이버 케이블)을 필요로 하는 것과 달리, 본 실시형태에 관한 광원은 장치 내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고, 촬상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도광 슬릿(14)의 형상은, 원통 형상(링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통 형상이면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압부(2) 및 차광 부재(16)의 형상은 원통 형상이지만, 통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압압부(2)의 외주의 표면이나 차광 부재의 내주의 표면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촬상부(6)는, 피부의 내부에서 반사된 투과광을 취입하는 대물 렌즈(18), 대물 렌즈(18)의 포커스 조작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행하는 구동부(20) 및 카메라(22)로 구성된다.
대물 렌즈(18)는, 단초점 렌즈를 사용하고, 구동부(20)는, 대물 렌즈(18)의 포커스 기능의 조정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0)를 사용하지 않고, 대물 렌즈(18)에 줌 렌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카메라(22)는, 센서면이 관찰 부위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피부의 내부로부터 되돌아온 투과광을 압압부(2)의 개구나 대물 렌즈(18)를 통과시켜 촬상하여 피부의 화상 신호를 획득한다. 또, 획득한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촬상 장치(1)의 광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12)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도광 슬릿(14)을 통하여 피부의 표면을 링상으로 조명하여, 피부의 내부에 투과한다. 피부의 내부에 들어간 투과광은, 진피 및 표피에서 확산되거나, 반사되어 피부의 내부로부터 되돌아온다. 피부의 내부로부터 되돌아온 광은, 피부의 표면을 투과하고, 압압부(2)의 내강에 입사하여 통과하고, 대물 렌즈(18)를 통하여 카메라(22)에 의하여 촬상된다.
동일 원주 상으로 배치된 광원(12)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광의 광축(즉, 도광 슬릿(14)을 통과하는 광의 광축)과, 대물 렌즈(18)가 수광하는 투과광의 광축(즉, 압압부(2)의 내강의 중심축)과의 사이의 거리(즉, 조명 반경 R)는, 관찰 대상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시야의 밝기를 확보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mm~50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mm 미만으로 설정하면, 관찰 대상을 탐색하기 어렵다. 또, 조명 반경을 50mm 초과로 설정하면, 시야가 어두워지기 때문에 매우 강한 광원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결과, 고온의 광을 피부에 조사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조명 반경 R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관찰점 P로부터 광입사 위치가 멀수록, 피부 내부에서 광이 확산하고, 내부 확산광, 또는 내부 반사광으로서, 피부 내부로부터 되돌아오는 광의 광량은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입사 위치(1)(조명 반경 R1)보다 관찰점으로부터 먼 광입사 위치(2)(조명 반경 R2)의 쪽이, 내부 확산광, 또는 내부 반사광(도면 중, 점선)으로서 피부 내부로부터 되돌아오는 광의 광량은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또, 일반적으로, 조명 반경의 길이와, 피부 내부에 입사한 광이 도달하는 최대 심도란, 동일한 정도라고 말해지고 있다. 즉, 조명 반경이 클수록, 피부 내부의 보다 깊은 장소로부터 광이 되돌아오기 때문에, 깊은 위치에 있어서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명 반경 R1보다 조명 반경 R2가 길기 때문에, 최대 심도 D1의 조명 반경 R1의 광보다, 최대 심도 D1보다 깊은 위치인 최대 심도 D2의 조명 반경 R2의 광이, 피부 내부의 깊은 위치에 있어서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명 반경 R은, 사용하는 광원의 강도, 관찰 대상의 크기, 및 피부 내부에 있어서 관찰 대상이 존재하는 위치 등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두 구조, 및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관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피부(S)의 표면으로부터 표피(82), 및 진피(84)가 존재하는 영역까지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피부(S)의 표면으로부터 0.5mm~5mm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0μm~1000μm 정도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이론적으로는, 조명 반경이 1mm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조명 반경은, 피험자의 피부의 색에도, 관찰 부위의 표피 및 진피의 두께에도 의존하기 때문에, 그들 조건도 포함시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촬상 장치(1)를 이용하여 피부(S)의 표면을 촬상함으로써, 유두 구조를 가시화할 수 있는 원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는, 피부 내부로부터 되돌아온 투과광을 촬상한 투과 화상(RGB 화상)이며, 도 5b는, 도 5a의 백색 프레임 내의 투과 화상을 입체적으로 표현한 도이다.
도 5a의 밝은 영역 및 도 5b의 밝은 볼록 부분은 피하 심도가 얕은 부분에 대응하고, 도 5a의 어두운 영역 및 도 5b의 어두운 오목 부분은 피하 심도가 깊은 부분에 대응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피(82)에만 포함되는 멜라닌 색소(96)는, 피부 내부로부터 투과광이 진피(84) 및 표피(82)를 통하여 되돌아올 때에, 광을 차단하는 작용을 갖는다. 도 14에 나타내는 피부 조직의 사진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멜라닌 색소(96)는, 흑색이며, 표피(82)와 진피(84)와의 경계 부근에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표피(82)가 얇은 유두층(88)의 볼록부(유두 돌기(89))를 통과하는 광(도 4의 실선 화살표)은 밝고, 표피(82)가 두꺼운 유두층(88)의 오목부(및 표피 돌기(87))를 통과하는 광(도 4의 점선 화살표)은 어두워진다고 생각된다.
도 6a는, 촬상 장치(1)(대물 렌즈의 배율은, 4.5배를 사용)를 이용하여, 인간의 볼의 표면을 촬상하여 취득한 RGB 화상(스케일 바 100μm)이고, 도 6b는, 촬상 장치(1)를 이용하여, 인간의 눈매를 촬상하여 취득한 RGB 화상(스케일 바 100μm)이며, 도 6c는, 촬상 장치(1)를 이용하여, 인간의 손등의 표면을 촬상하여 취득한 RGB 화상(스케일 바 200μm)이고, 도 6d는, 촬상 장치(1)를 이용하여, 인간의 손등의 표면을 촬상하여 취득한 RGB 화상(스케일 바 200μm)이다.
도 6a~도 6d에 있어서, 갈색 부분이 멜라닌 색소에 대응하기 때문에, 루프상의 갈색 부분(97)은 유두층(88)의 오목 부분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적색 부분이 혈관에 대응하기 때문에, 루프상의 갈색 부분(97)의 내측에 존재하는 밝은 중심 부분에 확인되는 루프상의 적색 부분(94)이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유두 구조에 대응한다.
또, 화살표로 나타나는, 유두 구조(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외측에 확인되는 적색 부분은, 망상층 내의 혈관이기 때문에,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94)과 망상층 내의 혈관(망상층 혈관)(92)을 명확하게 구별하여 관찰할 수 있다.
또한, 흑백 화상에서는 판별하기 어렵지만, 실제로는(즉, RGB 화상에서는), 상술한 갈색 부분과 적색 부분과의 차이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고, 또 도 6a~도 6d에 있어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내측에 루프상의 갈색 부분으로서 유두층의 오목 부분(97)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축척이 도 6a 및 도 6b보다 큰 도 6c 및 도 6d에 있어서는, 루프상의 갈색 부분의 내측에 루프상의 적색 부분으로서,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94)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외측에는, 화살표로 나타나는 적색 부분으로서, 망상층 혈관(92)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두 구조나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적절히 관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압압부(2)에 의한 압입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는, 압압부(2)에서 피부(S)의 표면을 압압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압압부(2)에서 피부(S)의 표면을 압압한 상태를 나타낸다.
피부의 모세 혈관은, 수축, 및/또는 확장하여 혈류를 조정함으로써, 체온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2)에서 피부(S)의 표면을 압압하기 전 상태에 있어서는, 항상, 관찰 영역에 있어서의 모든 모세 혈관 중에 혈류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 결과, 관찰 화상에 있어서, 시인할 수 없는 모세 혈관이 발생하여 버린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관찰 방법에 있어서는, 관찰 영역에 있어서의 모든 모세 혈관에 혈액이 순환될 때까지 계속 관찰하지 않으면 안되어, 관찰에는 몇 분 정도의 시간이 필요했다. 또, 시간을 들여도, 모든 모세 혈관을 관찰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2)에서 관찰 영역 주변의 피부의 표면을 압압하면, 관찰 영역 주변의 혈관(망상층 혈관)(92)이 압박받아, 관찰 영역에 있어서의 모세 혈관에 혈액이 강제적으로 이송되게 된다. 즉, 압압 전에 있어서는 시인할 수 없을 정도의 약한 모세 혈관(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의 계제(94))의 화상 신호까지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그 결과, 관찰 화상에 있어서, 그들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압압부(2)를 피부에 꽉 누른 직후에, 이와 같은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10초 정도로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관찰 부위의 주변의 피부를 압압하여 주변의 혈관을 압박함으로써, 관찰 조건에 의하지 않고, 관찰 부위에 있어서, 유두 돌기 내를 흐르는 모세 혈관의 계제(94)의 정점을 검출할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8)는, PC(퍼스널 컴퓨터), CPU(중앙 처리 유닛), MPU(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 등으로 구성되고, 촬상부(6)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화상에 대하여, 관찰이나 진단에 관련하는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촬상부(6)로부터 입력된 RGB 화상에 근거하여, G성분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G성분 화상은, 혈관(헤모글로빈 성분)의 콘트라스트를 강조할 수 있기 때문에, 모세 혈관을 탐색, 및 관찰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8)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를 갖고, 생성된 처리 화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0)는, 예를 들면 LCD(액정 표시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촬상부(6)가 획득한 화상이나, 화상 처리 장치(8)로 생성된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한다.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상은, 화상 처리 장치(8)에 의하여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성분 화상으로 모세 혈관을 관찰한 후, 모세 혈관과 함께 멜라닌 색소의 분포도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 G성분 화상을 RGB 화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RGB 화상에서는, 모세 혈관은 적색으로 표시되고, 멜라닌 색소는 갈색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양자를 판별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1) 및 화상 처리 장치(8)는, 도시하지 않은 프린터 등의 출력 장치를 가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 1의 촬상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촬상 장치(1)를 피험자의 피부에 재치한 후,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2)에 의하여 피부의 표면이 압압되고, 압압부(2)와 함께 차광 부재(16)의 선단부가 피부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배치된다. 이어서, 광원(12)으로부터 피부의 표면에 광이 도광 슬릿(14)을 통하여 조사된다. 조사된 광은, 피부 내부에 투과하고, 표피에 분포하는 멜라닌이나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 등으로 흡수되는 광 이외에는, 표피나 진피에서 산란되어, 확산 반사광으로서 피부 내부로부터 되돌아온다. 피부 내부로부터 되돌아온 광은, 대물 렌즈(18)를 통하여 카메라(22)로 촬상되고, 이와 같이 촬상 장치(1)로 획득된 화상은, 표시 장치(10)의 모니터에 표시된다.
촬상 장치(1)로 획득된 화상은, 화상 처리 장치(8)에서 화상 처리가 실시된 후, 표시 장치(1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1의 촬상 장치(1)를 이용하여 취득한 화상을 취득하고, 표시 장치(10)의 모니터에 표시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관찰, 및 평가를 할 수 있다. 또, 화상 처리 장치(8)를 이용하여, 화상 처리가 실시된 화상을 표시 장치(10)의 모니터에 표시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관찰, 및 평가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간의 신체의 각 부위에 있어서의 피부의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의 화상을 적절히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부위 간의 모세 혈관의 수밀도(數密度)를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다. 또, 피험자의 연령의 차이(예를 들면 노화)에 의한 각 부위에 있어서의 모세 혈관의 수밀도의 차이를 평가할 수도 있다.
또, 비침습적으로 피부 내부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피험자 및 동일한 관찰 위치에 있어서의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의 경시 변화를 수일~수년 단위로 관찰할 수 있다.
또, 화상으로부터 혈관의 굵기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혈류의 많기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화상으로부터,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과, 망상층 내의 혈관을 명확하게 구별하여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 혈류의 차이도 평가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1)에 의하면, 정지 화면뿐만 아니라 동영상으로도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피험자가 약제 등을 복용했을 때에 발생하는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 및 망상층 내의 혈관의 변이를 경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또, 피부 표면에 압압부(2)를 압입한 상태로 취득한 화상(즉, 멜라닌 색소와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포함하는 화상)과, 압입하지 않은 상태로 취득한 화상(즉, 멜라닌 색소만 포함하는 화상, 또는 멜라닌 색소로 시인할 수 없을 정도의 약한 화상 신호에 근거하는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포함하는 화상)을 비교함으로써, 혈류의 차이를 평가할 수 있다.
또, 인간의 신체의 각 부위에 있어서의 피부의 유두 구조의 화상도 적절히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부위에 있어서의 유두 구조의 차이도 적절히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위 간의 유두 돌기의 수밀도나 평탄도(표피 돌기(87)와 유두 돌기(89)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두층의 요철 상태)의 차이를 평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피험자 및 동일한 관찰 위치에 있어서의 유두 구조의 경시 변화를 수일~수년 단위로 관찰할 수 있다.
또, 멜라닌 색소도 화상으로부터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기미 및 색소 침착에 대해서도, 동일한 피험자 및 동일한 관찰 위치에 있어서의 유두 구조의 경시 변화를 수일~수년 단위로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두 구조 및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동시에 함께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상태의 평가나 가령에 의한 피부의 변화를 적절히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장품, 및 스킨 케어 제품, 스킨 케어의 효과를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화장품들 등의 연구 또는 상품의 개발에 응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서로가 대칭이 되도록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4개의 광원(12)을 이용하고, 광원(12)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도광 슬릿(14)을 통과시켜, 피부의 표면을 조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의 크기, 수 및 배치 위치를 변경한 것, 및 도광 슬릿의 구성을 변경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a~8e에, 실시형태 1에 관한 촬상 장치(1)의 조명부(4)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
도 8a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의 조명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에 나타내는 조명부(4A)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촬상 장치(1)의 조명부(4)의 도광 슬릿(14) 대신에, 압압부(2)의 외주면과 차광 부재(16)의 내주면의 사이의 원환상의 공간(도광 슬릿(14)에 상당) 내에 광을 굴절시키는 광투과성의 수지를 충전한 원환상의 도광 부재(26)를 구비하는 것이다.
도광 슬릿 내에 충전되는 수지는, 광파이버 등의 재료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투명 또한 가공하기 쉬운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도광 부재(26)에 의하면, 광원(12)의 사이즈를 작게 해도 광의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시야에 있어서의 광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
도 8b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의 조명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c는 도 8b의 조명부를 II-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b, 및 도 8c에 나타내는 조명부(4B)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촬상 장치(1)의 조명부(4)의 4개의 광원(12) 대신에, 8개의 광원(12A)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 8개의 광원(12A)은, 그 단부가 피부의 표면과 밀착하도록, 압압부(2)의 외주면과 차광 부재(16)의 내주면의 사이의 원환상의 공간(도광 슬릿(14)에 상당)의 선단에, 서로가 대칭이 되도록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원의 개수를 늘려, 광원(12A)의 단부를 피부의 표면에 밀접시킨 조명부(4A)에 의하면, 시야에 있어서의 광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 시야의 밝기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4A)는, 광원(12A)과 피부의 표면의 사이에 투명한 커버 부재를 가질 수 있다. 투명한 커버 부재의 소재는, 플라스틱, 및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실시형태 1의 변형예 3)
도 8d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 3의 조명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e는 도 8d의 조명부를 III-I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d, 및 도 8e에 나타내는 조명부(4C)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촬상 장치(1)의 케이스의 외부에 마련된 광원(12B)에 접속되고, 압압부(2)의 외주면과 차광 부재(16)의 내주면의 사이의 원환상의 공간(도광 슬릿(14)에 상당) 내에 채워진 다수의 광파이버(24)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광파이버(24)는, 선단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LED 조명등과 비교하여 직경이 가늘기 때문에, 압압부(2)의 외주면과 차광 부재(16)의 내주면의 사이의 원환상의 공간(도광 슬릿(14)에 상당) 내에 균일 또한 다수 나열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1)의 외부에 있는 광원(12B)을 이용하기 때문에, 광의 강도나 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분리할 수 없는 일체화된 압압부(2)나 조명부(4)를 사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사광을 피부의 표면에 사출하고, 피부의 내부로부터 되돌아온 광을 수광하는 선단 부분만을 교환 가능한 어댑터로 할 수도 있다.
또, 실시형태 1에서는, 압압부(2)의 시야환의 직경이나, 조명부(4)의 도광 슬릿의 폭이 소정의 크기인 것을 사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단부만 시야환의 직경이 다른 압압부나, 선단부만 도광 슬릿의 폭이 다른 조명부로 구성된 어댑터로 할 수도 있다.
또, 실시형태 1에서는, 차광 부재(16)의 외경이 소정의 크기인 것을 사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경이 다른 차광 부재를 갖는 차광 부재로 구성된 어댑터로 할 수도 있다.
도 9는, 실시형태 2에 관한 촬상 장치의 본체(28)에 장착된 어댑터(30)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촬상 장치의 본체(28)와 이에 접합된 어댑터(30)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체(28)의 선단부(35)에 어댑터(30)를 장착시키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는, 본체(28)의 선단부(35)에 어댑터(3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28)는, 실시형태 1의 압압부(2)의 선단부(수광 측의 개구부)를 갖지 않는 원통 부재로 이루어지는 압압부 본체(31)와, 실시형태 1의 조명부(4)의 차광 부재(16)의 선단부(광사출 측의 개구부)를 갖지 않는 원통 부재로 이루어지는 조명부 본체(32)가 일체로서 구성된 것이다. 조명부 본체(32)에는, 어댑터(30)를 끼워 넣어 계합하기 위한 원환상의 감합 홈(37)이 마련되어 있다.
어댑터(30)는, 압압부 본체(31)에 장착되어, 피부의 표면을 직접 압압하는 압압 부재(33)와, 조명부 본체(32)에 장착되어, 압압 부재(33)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34)(제2 차광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각각이 본체(28)의 선단부(35)에 대하여 장착, 또한 분리 가능한 것이다. 압압 부재(33)는, 그 상부에, 어댑터(30)가 본체(28)에 장착될 때, 본체(28)의 압압부 본체(31)의 내강 표면(내주면)에 감합하는 원환상의 볼록부(38)를 갖고, 차광 부재(34)는, 그 상부에, 조명부 본체(32)의 감합 홈(37)에 감합하는 원환상의 볼록부(39)를 갖는다.
본체(28)와 어댑터(30)는, 압압부 본체(31)의 내강에 압압 부재(33)의 볼록부(38)를 감합하고, 조명부 본체(32)의 감합 홈(37)에 차광 부재(34)의 볼록부(39)를 감합함으로써, 본체(28)의 선단부(35)에 어댑터(30)를 장착할 수 있다.
일체화된 압압부 본체(31)와 압압 부재(33)는, 피부의 내부에서 투과한 반사광이 통과하는 원형의 중심 관통 구멍(40)을 갖는다. 또, 일체화된 압압부 본체(31)와 압압 부재(33)와의 외주면과, 일체화된 조명부 본체(32)와 차광 부재(34)의 내주면의 사이에, 조명부 본체(32)로부터 사출되는 조명광을 피부의 표면에 도광하는 원환상의 도광 슬릿(41)을 형성한다.
어댑터(30)의 압압 부재(33)는, 내부에 원형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원뿔형의 노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실시형태 1의 압압부(2)와 마찬가지로, 원관 내에 관찰 부위(촬상부(6)에 의하여 촬상되는 피부 표면)가 위치하도록, 선단부(수광 측의 개구부)를 피부 표면에 밀착시켜 압압함으로써, 관찰 부위의 피부 표피를 만곡시킬 수 있다. 또, 압압 부재(33)는, 조명부로부터 피부 표면에 조사되는 조사광이나, 피부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경면 반사광이 촬상부에 직접 입사하지 않도록 차광하는 차광 부재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어댑터(30)의 차광 부재(34)는, 어댑터(30)의 압압 부재(33)의 최대 외경보다 큰 내경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압압 부재(33)의 외주 측에 배치되며, 압압 부재(33)의 외주면과 차광 부재(34)의 내주면의 사이에 원환상의 도광 슬릿(36)을 형성하는 것이다. 차광 부재(34)의 선단부(광사출 측의 개구부)는, 압압 부재(33)의 선단부(수광 측의 개구부)의 후방 측으로 약간 어긋나게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압압 부재(33)는, 차광 부재(34)보다 돌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댑터(30)의 압압 부재(33)의 내경은, 본체(28)의 압압부 본체(31)의 내경과 다른 크기로 할 수 있다. 즉, 어댑터(30)의 압압 부재(33)의 시야환의 직경 L5는, 본체(28)의 압압부 본체(31)의 시야환의 직경 L3과 다른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어댑터(30)의 차광 부재(34)의 외경은, 본체(28)의 조명부 본체(32)의 외경과 다른 크기로 할 수 있다. 즉, 어댑터(30)의 차광 부재(34)의 직경 L6은, 본체(28)의 조명부 본체(32)의 직경 L4와 다른 크기로 할 수 있다.
어댑터(30)의 차광 부재(34)의 선단부(광사출 측의 개구부)는, 어댑터(30)의 압압 부재(33)의 선단부(수광 측의 개구부)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량(즉, 차광 부재(34)가 피부의 표면과 밀착하는 면으로부터, 압압 부재(33)가 피부의 표면과 밀착하는 면의 사이의 거리)은, 압압 시에 있어서의 피부의 변형량(피부를 압압했을 때에 피부에 발생하는 함몰의 깊이)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관찰 대상, 및 신체의 각 부위의 표면의 두께에 따른 어댑터를 미리 제작해두면, 관찰 대상이나 관찰 부위에 따라 어댑터를 새로 교환하는 것만으로, 적합한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찰 부위(시야)와 조명광이 조사되는 영역이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확산 투과광은 밝아지는 점에서, 촬상 화상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어댑터의 차광 부재(34)의 선단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으면, 예를 들면 눈매나 입가 등의 얼굴의 각 부위에 촬상 장치(1)를 재치할 때, 피부의 표면의 요철이나, 눈이나 코 등의 부위에 의하여 간섭되지 않고, 적절히 압압부나 차광 부재를 피부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신체의 각 부위의 표피의 두께에 따른 시야 직경이나 외경을 갖는 어댑터를 미리 제작해두면, 관찰 부위에 따른 어댑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어댑터는, 압압 부재(33)의 높이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피부 표면에 함몰이나 주름이 있는 경우, 압압 부재(33)의 높이를 0.5mm 높게 함으로써, 도광 슬릿(36)으로부터 누출되는 조사광이나, 피부 표면으로부터 반사한 직접 반사광을 확실히 차폐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시형태 1의 촬상 장치(1)(돌출량 1.0mm의 압압부(2)를 사용)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볼의 중앙 부분을 촬상하여, G 화상을 취득했다.
[비교예 1]
실시형태 1의 촬상 장치(1)의 압압부(2)가 조명부(4)의 차광 부재(16)보다 돌출되어 있지 않은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볼의 중앙 부분을 촬상하여, G 화상을 취득했다.
도 12a는, 실시예 1의 G 화상을 나타내고, 도 12b는, 비교예 1의 G 화상을 나타낸다.
도 12a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부(2)에 의하여 관찰 영역 주변이 압압된 실시예 1의 G 화상은,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찰 부위 주변이 압압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1의 G 화상에서는,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확인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압압부(2)에 의하여 피부의 표면을 압압하면, 적절히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관찰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1의 촬상 장치(1)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전완(前腕)의 내측 부분을 촬상하여 RGB 화상을 취득했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한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전완의 내측 부분을 촬상하여 RGB 화상을 취득했다.
도 13a는, 실시예 2의 RGB 화상을 나타내고, 도 13b는, 비교예 2의 RGB 화상을 나타낸다. 도 13a 및 도 13b에 있어서, 갈색 부분은 멜라닌, 루프상의 적색 부분은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나타낸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압압부(2)에 의하여 관찰 영역 주변이 압압된 실시예 2의 RGB 화상은,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관찰 영역 주변이 압압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2의 RGB 화상에서는,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확인할 수 없다.
이들 결과에 의하여, 압압부(2)에 의하여 관찰 영역 주변을 압압하면, 적절히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RGB 화상이기 때문에, 색의 차이로부터 멜라닌 색소(갈색 부분)와 유두 돌기 중의 모세 혈관(루프상의 적색 부분)을 명확하게 구별하여 관찰할 수 있었다.
[참고예 1]
실시형태 1의 촬상 장치(1)에 의하여 취득한 화상을 이용한 피부의 평가 방법을 나타낸다.
도 6a는, 촬상 장치(1)를 이용하여, 어느 피험자의 볼을 촬상하여 취득한 RGB 화상을 나타내고, 도 6b는, 눈매를 촬상하여 취득한 RGB 화상을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유두 구조에 대응한다. 도 6a 및 도 6b를 비교함으로써, 눈매보다 볼이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의 수밀도(모세 혈관 수밀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촬상 장치
2 압압부(제1 차광 부재)
4, 4A, 4B, 4C 조명부
6 촬상부
8 화상 처리 장치(PC)
10 표시 장치
12, 12A, 12B 광원
14, 41 도광 슬릿
16 차광 부재(제2 차광 부재)
18 대물 렌즈
20 구동부
22 카메라
24 광파이버 케이블
26 수지
28 본체
30 어댑터
31 압압부 본체
32 조명부 본체
33 압압 부재
34 차광 부재
35 본체의 선단부
36 어댑터의 도광 슬릿
37 감합 홈
38, 39 볼록부
40 중심 관통 구멍
80 각층
82 표피
84 진피
86 기저층
87 표피 돌기
88 유두층
89 유두 돌기
90 망상층
92 망상층 내의 혈관(망상층 혈관)
94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계제)
96 멜라닌 색소
97 유두층의 오목부
R, R1, R2 조명 반경
D1, D2 최대 심도
S 피부 조직(피부)
L1 돌출량
L2 도광 슬릿의 폭
L3 본체의 압압 부재의 내공(시야환)의 직경
L4 본체의 차광 부재의 직경
L5 어댑터의 압압 부재의 내공(시야환)의 직경
L6 어댑터의 차광 부재의 직경

Claims (26)

  1. 피부의 표면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피부의 내부에서 반사된 투과광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피부의 표면에 밀착시켜 이용되고, 상기 피부의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상기 촬상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배치되는 차광부와,
    촬상하는 투과광이 통과하는 상기 피부의 표피를 만곡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부의 표면을 선단으로 압압하는 압압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통 형상이며, 상기 촬상부의 센서면의 법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것인 촬상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원통 형상인 촬상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피부의 표면이 링상으로 조명되도록 상기 조명광을 조사하는 것인 촬상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는, 상기 차광부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차광부와 일체화된 제1 차광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는 촬상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는, 상기 차광부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통 형상이며, 또한 상기 촬상부의 센서면의 법선 방향으로 개구하는 것인 촬상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는, 압압부 본체와, 상기 압압부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피부의 표면을 직접 압압하는 압압 부재를 갖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광을 사출하는 조명부 본체와, 상기 조명부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압압 부재의 외주 측에 배치되는 제2 차광 부재를 가지며,
    상기 압압부 본체, 및 상기 조명부 본체는, 일체로서 상기 촬상 장치의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압압 부재, 및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본체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어댑터를 구성하며,
    상기 압압 부재는, 내부에 원형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는 원뿔형의 노즐 형상이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압압 부재의 최대 외경보다 큰 내경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압압 부재와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압압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차광 부재의 내주면의 사이에, 상기 조명부 본체로부터 사출되는 상기 조명광을 상기 피부의 표면에 도광하는 원환상의 도광 슬릿을 형성하는 것인 촬상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의 선단은, 상기 조명부의 선단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촬상부의 센서면의 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와 상기 피부의 표면이 밀착한 면과, 상기 압압부와 상기 피부의 표면이 밀착한 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0.1mm~1.0mm인 촬상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의 센서면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가 조사하는 상기 조명광의 광축과, 상기 촬상부가 수광하는 상기 투과광의 광축과의 사이의 거리가, 0.5mm~50mm인 촬상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복수의 광원을 갖고, 상기 복수의 광원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촬상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 백열 전구, 형광등, 또는 방전 전구인 촬상 장치.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추가로, 상기 압압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제2 차광 부재를 갖고,
    상기 제2 차광 부재는, 상기 압압부의 외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압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차광 부재의 내주면의 사이에 원환상의 도광 슬릿을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조명광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도광 슬릿을 통하여 상기 피부의 표면에 조사되는 촬상 장치.
  13.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추가로, 광파이버 케이블을 갖고,
    상기 조명광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파이버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피부의 표면에 조사되는 촬상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피부의 표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투명의 커버 부재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대물 렌즈를 갖는 촬상 장치.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촬상 장치와,
    상기 촬상부에 의하여 획득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상기 촬상부에 의하여 획득된 화상에 근거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하여 처리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18.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RGB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RGB 화상은, 유두 구조, 및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에 대응하는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RGB 화상은, 망상층 혈관에 대응하는 화상을 더 포함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20.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GB 화상은, 루프상의 갈색 부분 및 상기 루프상의 갈색 부분에 둘러싸인 루프상의 적색 부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루프상의 갈색 부분은, 상기 피부의 내부에 포함되는 멜라닌 색소이며,
    상기 루프상의 갈색 부분에 둘러싸인 루프상의 적색 부분은, 상기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인 화상 표시 시스템.
  22. 청구항 16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을 사용하는 화상 표시 방법으로서,
    촬상하는 투과광이 통과하는 피부의 표피를 만곡시키기 위하여, 상기 피부의 표면을 압압하고, 상기 피부의 표면에 조명광을 조사하는 제1 조사 스텝과,
    상기 피부의 내부에서 반사된 투과광만을 촬상하여, 상기 표피가 만곡한 피부의 제1 화상 신호를 획득하는 제1 화상 신호 획득 스텝과,
    상기 제1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표피가 만곡한 피부의 화상을 형성하는 제1 화상 형성 스텝과,
    상기 표피가 만곡한 피부의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스텝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피부의 표면에 조사광을 조사하는 제2 조사 스텝과,
    상기 피부 내부에서 반사된 투과광만을 촬상하여, 상기 표피가 만곡한 피부의 화상의 촬상 위치와 동일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표피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피부의 제2 화상 신호를 획득하는 제2 화상 신호 획득 스텝과,
    상기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표피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피부의 화상을 형성하는 제2 화상 형성 스텝과,
    상기 표피가 만곡한 피부의 화상과, 상기 표피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피부의 화상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스텝을 더 포함하는 화상 표시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형성 스텝은, 상기 제1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표피가 만곡한 피부의 제1 RGB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화상 형성 스텝은, 상기 제2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표피가 만곡하고 있지 않은 피부의 제2 RGB 화상을 형성하며,
    상기 화상 표시 스텝은, 상기 제1 RGB 화상과 상기 제2 RGB 화상을 동시에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RGB 화상은, 유두 구조 및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에 대응하는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제1 RGB 화상 및 상기 제2 RGB 화상은, 루프상의 갈색 부분 및 상기 루프상의 갈색 부분에 둘러싸인 루프상의 적색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상의 갈색 부분은, 상기 피부의 내부에 포함되는 멜라닌 색소이며,
    상기 루프상의 갈색 부분에 둘러싸인 루프상의 적색 부분은, 상기 유두 돌기 내의 모세 혈관이고,
    상기 제2 화상 신호 획득 스텝에 있어서 획득된 상기 루프상의 적색 부분에 관한 상기 제2 화상 신호는, 상기 제1 화상 신호 획득 스텝에 있어서 획득된 상기 루프상의 적색 부분에 관한 상기 제1 화상 신호보다 약한 화상 표시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형성 스텝은, 상기 제1 화상 신호 획득 스텝에 있어서 획득된 상기 루프상의 적색 부분에 관한 상기 제1 화상 신호보다 약한 상기 제2 화상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 RGB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표시 방법.
KR1020197026882A 2017-03-16 2017-11-15 촬상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및 화상 표시 방법 KR102326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51264 2017-03-16
JP2017051264 2017-03-16
PCT/JP2017/041046 WO2018168071A1 (ja) 2017-03-16 2017-11-15 撮像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427A true KR20190116427A (ko) 2019-10-14
KR102326393B1 KR102326393B1 (ko) 2021-11-12

Family

ID=63523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882A KR102326393B1 (ko) 2017-03-16 2017-11-15 촬상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및 화상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64311B2 (ko)
EP (1) EP3597099A4 (ko)
JP (1) JP6858245B2 (ko)
KR (1) KR102326393B1 (ko)
CN (1) CN110662479A (ko)
WO (1) WO20181680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144B1 (ko) 2015-08-10 2021-06-18 조준호 전자 상거래 방법
JP6814172B2 (ja) * 2017-09-22 2021-01-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肌の内部構造の推定方法、肌の内部構造の推定プログラム、および肌の内部構造の推定装置
JP7031626B2 (ja) * 2019-03-13 2022-03-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ンサヘッド
WO2021090513A1 (ja) * 2019-11-08 2021-05-14 株式会社資生堂 シミ属性判定方法、及びシミ属性判定システム
WO2022165249A1 (en) * 2021-01-30 2022-08-04 Microvascular Health Solutions, LLC A method and apparatus for microvascular vessel imaging
JP7357955B2 (ja) * 2022-01-20 2023-10-10 学校法人 関西大学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6923A (en) * 1986-12-18 1992-09-15 Dhawan Atam P Apparatus and method for skin lesion examination
WO2008010604A1 (fr) 2006-07-19 2008-01-24 School Juridical Person Kitasato Gakuen Dispositif d'imagerie des vaisseaux sanguins et système pour analyser une distribution des vaisseaux sanguins
JP2013236758A (ja) 2012-05-15 2013-11-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5085240A1 (en) * 2013-12-05 2015-06-11 Veriskin Llc Skin perfusion monitoring device
JP2015152601A (ja) 2014-02-11 2015-08-24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皮膚状態診断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皮膚状態診断方法
KR20160061978A (ko) * 2013-07-22 2016-06-01 더 락커펠러 유니버시티 피부병의 광학 검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0832A (ja) * 1983-09-13 1985-04-08 カネボウ株式会社 皮膚老化度測定方法
JP3663598B2 (ja) * 2001-06-04 2005-06-22 岩雄 岡田 血管の探知装置
JP4596241B2 (ja) * 2004-08-16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可搬型情報端末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5797921B2 (ja) * 2011-03-30 2015-10-21 花王株式会社 体表評価方法および体表評価装置
WO2012143977A1 (ja) * 2011-04-22 2012-10-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血管画像撮影装置及び生体認証装置
CN102819080A (zh) * 2011-06-09 2012-12-1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US9001326B2 (en) * 2011-12-13 2015-04-07 Welch Ally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bserving subsurfaces of a target material
JP6476610B2 (ja) * 2014-06-30 2019-03-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ダーモスコピー用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977408B2 (ja) * 2015-08-20 2016-08-24 花王株式会社 体表評価方法および体表評価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6923A (en) * 1986-12-18 1992-09-15 Dhawan Atam P Apparatus and method for skin lesion examination
WO2008010604A1 (fr) 2006-07-19 2008-01-24 School Juridical Person Kitasato Gakuen Dispositif d'imagerie des vaisseaux sanguins et système pour analyser une distribution des vaisseaux sanguins
JP2013236758A (ja) 2012-05-15 2013-11-2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60061978A (ko) * 2013-07-22 2016-06-01 더 락커펠러 유니버시티 피부병의 광학 검출
WO2015085240A1 (en) * 2013-12-05 2015-06-11 Veriskin Llc Skin perfusion monitoring device
JP2015152601A (ja) 2014-02-11 2015-08-24 ソウル バイオ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ul Viosys Co.,Ltd. 皮膚状態診断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皮膚状態診断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64311B2 (en) 2021-11-02
CN110662479A (zh) 2020-01-07
EP3597099A1 (en) 2020-01-22
WO2018168071A1 (ja) 2018-09-20
EP3597099A4 (en) 2020-02-19
JP6858245B2 (ja) 2021-04-14
KR102326393B1 (ko) 2021-11-12
JPWO2018168071A1 (ja) 2019-12-26
US20200005457A1 (en)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4311B2 (en) Imaging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JP6489652B2 (ja) 耳鏡装置
US7225005B2 (en) Optical determination of in vivo properties
Ohta et al. Implantable microimaging device for observing brain activities of rodents
KR101647022B1 (ko) 의료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JP6493921B2 (ja) 耳鏡装置
US20150351637A1 (en) Ear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of determining a condition of a subject's ear
US201000615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subcutaneous vein pattern
EP3197341B1 (en) Probe for iridocorneal angle imaging
US20120190990A1 (en) Probe, Diagnosis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Diagnosis Device
WO2013150549A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blood vessels and analysing blood
WO2009122114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 human or animal subject's bodily function
JP2019115679A (ja) 耳鏡装置の作動方法
CN102481098A (zh) 将针进入体内可视化的***及方法
JP5255932B2 (ja) 小動物用瞳孔撮像装置
JPH0420615B2 (ko)
CA284012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ing the choroid
KR101255146B1 (ko) 비가시광 형광신호의 실시간 가시화를 위한 형광영상의 획득투사장치
CN107860778A (zh) 一种胶囊内窥镜脏污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10151108A (zh) 内窥式激光散斑血流血氧成像***
KR101663376B1 (ko) 망막 혈관 매핑 방법 및 장치
JP6688164B2 (ja) 皮膚毛細血管の観察方法
GB2442339A (en) Ocular imaging apparatus for monitoring a bodily function
IT201800011113A1 (it) Dispositivo Point-of-Care per diagnosi rapida di intossicazione
CN108742529A (zh) 用于辅助检测的薄膜及静脉辨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