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804A - Dashboard cover fixing pad - Google Patents

Dashboard cover fixing pad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804A
KR20190115804A KR1020180038953A KR20180038953A KR20190115804A KR 20190115804 A KR20190115804 A KR 20190115804A KR 1020180038953 A KR1020180038953 A KR 1020180038953A KR 20180038953 A KR20180038953 A KR 20180038953A KR 20190115804 A KR20190115804 A KR 20190115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shboard
hook
coupling surface
loop
dashboar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9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74173B1 (en
Inventor
고동완
한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본투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본투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본투로드
Priority to KR1020180038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173B1/en
Publication of KR20190115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8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17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56Dashboar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18Roof or head liners supported by adhesion with the roof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comprises: a bonding surface coupled to a dashboard by an adhesive; and a first coupling surface provid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bonding surface to be coupled to a second coupling surface of a dashboard cover. The first coupling surface has a plurality of hooks, and is provided o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loops protruding towards the first coupling surfa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is coupled to the dashboard through the bonding surface, and is coupled to the loops provided o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of the dashboard cover through the hooks included in the first coupling force. Therefore, the dashboard cover can be stably secured.

Description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DASHBOARD COVER FIXING PAD}Dashboard cover fixing pad {DASHBOARD COVER FIXING PA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쉬보드커버를 고정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고정부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for suggesting a method for fixing the dashboard cover and for enhancing the bonding force of the fixing portion.

대쉬보드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정면에 있는 것으로서 운전에 필요한 각종 계기들이 달린 부분을 의미하고 탑승자 보호를 위해 우레탄 등의 부드러운 재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만든다.The dashboard is locat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front passenger's seat and means the part with various instruments necessary for driving and is made of soft material such as urethane to protect the occupants.

대쉬보드커버는 자외선에 의한 대쉬보드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대쉬보드의 변형, 변색 및 차량 내부 온도 상승을 막고 햇빛의 반사광에 의한 운전 방해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용품이다.The dashboard cover is an automobile article for preventing the dashboard temperature rise due to ultraviolet rays to prevent the deformation, discoloration and internal temperature rise of the dashboard and to prevent driving disturbance by reflected light of sunlight.

도 1은 종래의 대쉬보드 및 대쉬보드커버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ashboard and the dashboard cover by way of example.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대쉬보드(110)는 대쉬보드커버(120)로 덮혀 보호되며 대쉬보드커버(120)는 심미감을 위해 대쉬보드(110)에 전면이 밀착되도록 제작된다.Referring to FIG. 1, the dashboard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tected by being covered with a dashboard cover 120 and the dashboard cover 120 is manufact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ashboard 110 for aesthetics.

대쉬보드커버(120)는 대쉬보드 및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대쉬보드(110)에 고정될 필요가 있으며 이 때에 사용되는 종래기술로서 대표적인 것이 벨크로 화스너이다. 벨크로 화스너에 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dashboard cover 120 needs to be fixed to the dashboard 110 in order to protect the dashboard and the driver. Velcro fasteners are representative of the prior art used at this time. Looking at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Velcro fasteners are as follows.

한국등록특허 제10-0928394호는 걸룸훅을 형성하기 위해 테이프본체에 형성되는 하나의 링몸체에 두 개의 걸림훅이 형성되도록 하여 단위 면적당 걸림훅의 형성수량이 증가되도록 한 벨크로 화스너에 관한 것으로, 테이프본체에 다수의 걸림훅이 형성된 제1 테이프본체에 다수의 걸림고리가 형성된 제2 테이프부재를 포함하는 벨크로 화스너에 있어서, 상기 걸림훅은 내측으로 요입되는 꼭지점을 갖도록 형성한 폐곡선 형태의 단일 훅몸체에 상기 꼭지점 부분이 절개되어 그 양쪽으로 제1 훅부와 제2 훅부를 구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Korean Patent No. 10-0928394 relates to a Velcro fastener in which two hooks are formed in one ring body formed in the tape body to form a hookroom hook,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hook hooks formed per unit area. A Velcro fastener comprising a second tap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hooks formed on a first tape body having a plurality of hooks formed on a tape body, wherein the hooks have a closed hook-shaped hook formed to have vertices recessed inwardly. Disclosed is a technique in which the vertex portion is cut into a body so as to have a first hook portion and a second hook portion at both sides thereof.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착제에 의하여 대쉬보드와 결합하는 접착면 및 대쉬보드커버의 루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훅을 포함하는 제1결합면을 포함하는 패드를 통해 대쉬보드커버를 고정시키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by a dash through a pad including a bonding surface coupled to the dashboard by an adhesive and a first coupling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hooks coupled to a loop of the dashboard cov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d for fixing a dashboard cover to fix a board cov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결합면 상에서 루프와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훅팔을 포함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including a hook arm configured to face in a direction that is not parallel to the loop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루프를 통해 훅축에 가해지는 인장력과 제1결합면 상에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훅팔을 포함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including a hook arm configured to 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an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hook shaft through the loop.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패드가 접착되는 대쉬보드의 위치에 따라서 인장력의 방향을 미리 정하여 훅을 구성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constituting a hook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dashboard to which the pad is bon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착제에 의하여 대쉬보드와 결합하는 접착면 및 대쉬보드커버의 루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훅을 포함하는 제1결합면을 포함하는 패드로서 훅에 포함된 훅팔의 방향이 고정된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훅팔이 제1결합면 상에서 루프와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거나, 훅팔이 훅과 결합된 루프를 통해 훅축에 가해지는 인장력과 제1결합면 상에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켜서 대쉬보드에 접착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의 접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ad including a first coupling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hooks that are coupled to the adhesive surface and the dashboard cover loop coupled to the dashboard by the adhesive direction of the hook arm included in the hook Rotate the fixed dashboard cover fixing pad so that the hook arm faces in the direction not parallel to the loop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or the hook arm is opposed to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hook shaft through the loop coupled with the hook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adhering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that is rotated to face in a direction and bonded to a dashboar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착제에 의하여 대쉬보드와 결합하는 접착면; 상기 접착면과 반대되는 면에 구비되어 대쉬보드커버의 제2결합면에 결합되는 제1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면은 복수 개의 훅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면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루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dhesive surface coupled to the dashboard by an adhesive; It is provid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adhesive surface and comprises a first coupling surfac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surface of the dashboard cover, the first coupling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hooks, is provided o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It provides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plurality of loops protruding toward the first coupling surf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훅은 훅축과 훅팔을 포함하고, 상기 훅팔은 상기 제1결합면 상에서 상기 루프와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ok includes a hook shaft and a hook arm, the hook arm may be configured to face in a direction not parallel to the loop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훅은 훅축과 훅팔을 포함하고, 상기 훅팔은 상기 훅과 결합된 상기 루프를 통해 상기 훅축에 가해지는 인장력과 상기 제1결합면 상에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ok includes a hook shaft and a hook arm, the hook arm may be configured to 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an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hook shaft through the loop coupled to the hook.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장력은 차량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대쉬보드의 앞부분에 접착되거나, 상기 인장력은 차량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대쉬보드의 뒷부분에 접착되거나, 상기 인장력은 차량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대쉬보드의 좌측에 접착되거나, 상기 인장력은 차량 우측면에서 좌측면을 향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대쉬보드의 우측에 접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nsion force is bond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vehicle, or the tension force is bond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to the front, or the tension force is The vehicle may be bonded from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to the right side and bonded to the left side of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or the tensile force may be bond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to the left side and bonded to the right side of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접착제에 의하여 대쉬보드와 결합하는 접착면, 상기 접착면과 반대되는 면에 구비되어 대쉬보드커버의 제2결합면에 결합되는 제1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면은 복수 개의 훅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면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루프에 결합되며고, 상기 훅은 훅축과 훅팔을 포함하며, 상기 훅팔의 방향이 고정된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상기 훅팔이 상기 제1결합면 상에서 상기 루프와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거나, 상기 훅팔이 상기 훅과 결합된 상기 루프를 통해 상기 훅축에 가해지는 인장력과 상기 제1결합면 상에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켜서 상기 대쉬보드에 접착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의 접착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nding surface coupled to the dashboard by an adhesive, the first surface is provid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adhesive surface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surface of the dashboard cover And a coupling surface, wherein the first coupling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hooks and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loops provided o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and protruding toward the first coupling surface, and the hook is hook hook and hook arm. It includes, the hook arm is fixed to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is fixed to the direction that the hook arm is not parallel to the loop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or the hook arm is coupled to the hook Provided is a method for adhering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which is bonded to the dashboard by rotating the tension force applied to the hook shaft through a loop to face the first coupling sur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착제에 의하여 대쉬보드와 결합하는 접착면 및 대쉬보드커버의 루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훅을 포함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패드를 통해 대쉬보드커버를 고정함으로써, 대쉬보드커버를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ixing the dashboard cover through a pad including a bonding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hooks coupled to the loop of the dashboard cover and the adhesive surface to the dashboard by the adhesive, It is effective to fix the dashboard cov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결합면 상에서 루프와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향하도록 훅팔을 구성함으로써, 대쉬보드커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tably fixing the dashboard cover by configuring the hook arm to face in a direction that is not parallel to the loop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루프를 통해 훅축에 가해지는 인장력과 제1결합면 상에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훅팔을 구성함으로써, 대쉬보드커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tably fixing the dashboard cover by configuring the hook arm to face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an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hook shaft through the loop.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패드가 접착되는 대쉬보드의 위치에 따라서 인장력의 방향을 미리 정하여 훅을 구성함으로써, 대쉬보드커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tably fixing the dashboard cover by configuring the hook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dashboard to which the pad is bon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착제에 의하여 대쉬보드와 결합하는 접착면 및 대쉬보드커버의 루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훅을 포함하는 제1결합면을 포함하는 패드로서 훅에 포함된 훅팔의 방향이 고정된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훅팔이 제1결합면 상에서 루프와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키거나, 훅팔이 훅과 결합된 루프를 통해 훅축에 가해지는 인장력과 제1결합면 상에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시켜서 대쉬보드에 접착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의 접착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대쉬보드커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ad including a first coupling surface including a plurality of hooks that are coupled to the adhesive surface and the dashboard cover loop coupled to the dashboard by the adhesive direction of the hook arm included in the hook Rotate the fixed dashboard cover fixing pad so that the hook arm faces in the direction not parallel to the loop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or the hook arm is opposed to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hook shaft through the loop coupled with the hook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By providing a method of adhering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which is rotated to face the dashboard to adhere to the dashboard,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fixing the dashboard cover.

이상의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대쉬보드 및 대쉬보드커버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사용하는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면 및 제2결합면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가 대쉬보드커버와 결합된 상태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ashboard and the dashboard cover by way of example.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rst coupling surface and the second coupling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the dashboard cover.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present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an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objects or effect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disclo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사용하는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210)는 접착면(212), 제1결합면(214) 및 제1결합면(214)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훅(216 및 218)을 포함할 수 있다. 대쉬보드커버(230)는 제2결합면(232) 및 제2결합면(232)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루프(234)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hooks 216 included in an adhesive surface 212, a first coupling surface 214, and a first coupling surface 214. And 218). The dashboard cover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ops 234 provided o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232 and the second coupling surface 232.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310)는 도 2와 마찬가지로 접착면(312), 제1결합면(314) 및 제1결합면(314)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훅(316 및 318)을 포함할 수 있고 대쉬보드커버(330)는 제2결합면(332) 및 제2결합면(332)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루프(33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와 달리 제2결합면(332) 및 제2결합면(332)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루프(334)는 원래는 제 2패드(340)에 포함되었던 것으로서 제 2패드가 대쉬보드커버(330)에 결합되면서 대쉬보드커버(330)에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pads included in the adhesive surface 312, the first coupling surface 314, and the first coupling surface 314 as in FIG. 2. Hooks 316 and 318 may be included, and the dashboard cover 3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ops 334 provided o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332 and the second coupling surface 332. However, unlike FIG. 2, the plurality of loops 334 provided o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332 and the second coupling surface 332 were originally included in the second pad 340, and the second pad is the dashboard cover. It may be coupled to 330 and provided to the dashboard cover 330.

이와 같이,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310)는 도 2 및 도 3의 어느 경우에서든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중심으로 살펴본다.As such,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310 may be used in any of FIGS. 2 and 3.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2.

접착면(212)은 접착제에 의하여 대쉬보드(220)와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면(212)은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210)를 대쉬보드(22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adhesive surface 212 may be coupled to the dashboard 220 by an adhesive. More specifically, the adhesive surface 212 serves to fix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210 to the dashboard 220.

제1결합면(214)은 접착면(212)과 반대되는 면으로서 복수 개의 훅(216 및 218)을 포함하고 이러한 복수 개의 훅(216 및 218)을 통해 대쉬보드커버(230)의 제2결합면(232)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surface 214 includes a plurality of hooks 216 and 218 as surfaces opposite to the adhesive surface 212, and the second coupling of the dashboard cover 230 through the plurality of hooks 216 and 218. May be coupled to face 232.

여기에서, 제2결합면(232)은 제1결합면(214)과 결합하는 대쉬보드커버(230)의 한 쪽 면의 일부일 수 있고 제1결합면(214)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루프(234)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coupling surface 232 may be a part of one side of the dashboard cover 230 that engages with the first coupling surface 214 and the plurality of loops protruding toward the first coupling surface 214 ( 234 may be provided.

제1결합면(214)의 면적이 커질수록 훅(216 및 218)을 많이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제2결합면(232)과의 결합력이 증가하여 대쉬보드커버(2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지만 제1결합면(214)의 면적만큼 대쉬보드커버(230)가 돌출되는 면적도 커지므로 심미감이 저해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력은 훅(216 및 218)에서 살펴본다.As the area of the first coupling surface 214 is larger, the hooks 216 and 218 may be included, so that the coupling force with the second coupling surface 232 is increased to stably fix the dashboard cover 230. As the area of the dashboard cover 230 protrudes as much as the area of the first coupling surface 214, the aesthetics may be impaired. Here, the coupling force is discussed in the hooks 216 and 218.

훅(216 및 218)은 제1결합면(214)에 포함되고 제2결합면(232)에 구비되어 제1결합면(214)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루프(234)에 결합될 수 있다.The hooks 216 and 218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coupling surface 214 and provided i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232 to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loops 234 protruding toward the first coupling surface 214.

보다 구체적으로, 훅(216 및 218)은 루프(234)와 분리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대쉬보드커버(230)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접착면(212)을 통해 대쉬보드(220)에 접착된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210)를 향해서 제2결합면(232)이 마주보도록 대쉬보드커버(230)를 누르면 훅(216 및 218) 및 루프(234)는 가까워져서 루프(234)와 훅(216 및 218)이 겹쳐지게 되고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중단하면 겹쳐졌던 루프(234)가 훅(216 및 218)에 걸려 훅(216 및 218)은 루프(234)에 결합된다.More specifically, the hooks 216 and 218 are separated from the loop 234 and the dashboard cover adhered to the dashboard 220 through the adhesive surface 212 to fix the dashboard cover 230 by the user. When the dashboard cover 230 is pressed so that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232 faces the fixing pad 210, the hooks 216 and 218 and the loop 234 are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loop 234 and the hooks 216 and 218 are close to each other. ) Overlaps and the user stops pressing force, the overlapping loop 234 is hooked to the hooks 216 and 218 and the hooks 216 and 218 are coupled to the loop 234.

여기에서, 루프(234)는 제2결합면(232)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대쉬보드커버(230)를 잡아당겨도 훅(216 및 218)에 걸린 루프(234)가 결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루프(234)의 양쪽 끝이 개방되지 않아야 하므로 루프(234)는 제2결합면(232)과 두 지점에서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loop 234 is provided o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232 to pull the dashboard cover 230 so that the loop 234 caught on the hooks 216 and 218 maintains the coupling. Since both ends of the 234 should not be opened, the loop 234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surface 232 at two points.

훅(216 및 218)은 루프(234)와 결합하기 위해 한쪽 끝이 개방되어 있어야 하므로 제1결합면(214)과 한 지점에서 결합될 수 있다. 훅(216 및 218)은 제1결합면(214)에 결합된 지점과 가까운 부분으로서 훅(216 및 218)을 지지하는 훅축(216)과 제1결합면(214)에 결합된 지점과 먼 부분으로서 루프(234)와 결합하기 위해 휘어진 훅팔(218)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개의 훅축(216)은 여러 개의 훅팔(218)을 가질 수도 있다.The hooks 216 and 218 may be coupled at one point with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14 because one end must be open to engage the loop 234. Hooks 216 and 218 are portions close to the point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214 and are far from the points coupled to the hook shaft 216 supporting the hooks 216 and 218 and the first engagement surfaces 214. And hook hooks 218 to engage with loop 234. One hook shaft 216 may have several hook arms 218.

훅(216 및 218)은 루프(234)와의 결합을 통해 대쉬보드커버(23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에, 얼마나 강한 결합을 할 수 있는지와 관련된 결합력에 대해 살펴본다.Hooks 216 and 218 serve to secure the dashboard cover 230 through engagement with the loop 234. At this time, look at the bonding force associated with how strong the bond can be.

훅(216 및 218)과 루프(234)의 결합력은 훅(216 및 218)의 개수와 한 개의 훅(216 및 218) 당 결합된 루프(234)의 평균 개수의 곱에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면적당 훅(216 및 218)의 개수 또는 루프(234)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결합력이 커질 수 있다.The coupling force of the hooks 216 and 218 and the loop 234 may be proportional to the product of the number of hooks 216 and 218 and the average number of loops 234 coupled per one hook 216 and 218. Therefore, the coupling force may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hooks 216 and 218 or the number of loops 234 per unit area.

또한, 대쉬보드커버(230)를 눌러서 루프(234)와 훅(216 및 218)이 겹쳐지게 되었을 때에 훅(216 및 218)에 루프(234)가 잘 걸리도록 훅(216 및 218) 및 루프(234)가 서로 평행이 되지 않고 비스듬하게 배치한다면 한 개의 훅(216 및 218) 당 결합되는 루프(234)의 개수를 증가시켜서 결합력이 커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에서 살펴본다.In addition, the hooks 216 and 218 and the loops 270 are secured so that the loops 234 are well caught by the hooks 216 and 218 when the dashboard cover 230 is pressed to overlap the loops 234 and the hooks 216 and 218. If the 234 are arranged at an angle without being parallel to each other, the coupling force may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loops 234 engaged per one hook 216 and 218. In this regard, it looks at FIG.

또한, 훅축(216)은 훅팔(218)보다 제1결합면(214)과의 결합 지점에 더 가까워서 탄성계수가 더 클 수 있으므로 루프(234)가 훅팔(218)에 걸려있을 때보다 훅축(216)에 걸려있을 때 루프(234)에 주어지는 동일한 외력에 대해 훅축(216)의 변형이 더 작아서 루프(234)가 훅축(216)을 벗어나기 더 어렵기 때문에 루프(234)가 훅축(216)에 걸려있을 때 결합력이 커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에서 살펴본다.In addition, since the hook shaft 216 is closer to the coupling point with the first coupling surface 214 than the hook arm 218, the elastic modulus may be greater, so that the hook shaft 216 is more than when the loop 234 is hooked to the hook arm 218. Loop 234 is hooked to hook shaft 216 because the deformation of hook shaft 216 is smaller for the same external force given to loop 234 when loop 234 is smaller, making loop 234 more difficult to escape hook hook 216. Cohesion can be large when there is. In this regard, it looks at FIG.

또한, 루프(234)가 훅(216 및 218)을 벗어나기 위한 활강 거리가 길어지면 훅(216 및 218)과 루프(234)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루프(234)가 훅(216 및 218)을 벗어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루프(234)의 활강거리가 길어질수록 결합력이 커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에서 살펴본다.In addition, when the sliding distance for the loop 234 to leave the hooks 216 and 218 is increased, the loop 234 leaves the hooks 216 and 218 due to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hooks 216 and 218 and the loop 234. Because of the difficulty, the longer the sliding distance of the loop 234, the greater the coupling force. In this regard, it looks at FIG.

이와 같이,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210)를 사용하여 대쉬보드커버(230)를 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As such, the dashboard cover 230 may be easily fixed using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210.

도 2와 달리, 한 개의 훅(216 및 218)이 여러 개의 훅팔(218)을 포함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Unlike FIG. 2,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even if one hook 216 and 218 includes several hook arms 218.

한편, 같은 원리로, 도 2과 달리 제1결합면(214)은 복수 개의 루프를 포함하고 제2결합면(232)은 복수 개의 훅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ame principle, unlike in FIG. 2, the first coupling surface 214 includes a plurality of loops and the second coupling surface 232 may have the same effect even when the plurality of hook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면 및 제2결합면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irst coupling surface and the second coupling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면(410)은 복수 개의 루프(412)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면(420)은 복수 개의 훅팔(422)을 포함하는 훅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coupling surface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ops 412, and the first coupling surface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ok arms 422. It may include an included hook.

도 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결합면(232)에 포함된 루프(234)는 제2결합면(232)과 두 지점에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도 4에서, 루프(412)는 제2결합면(410) 상에서 제2결합면(410)과 결합된 두 지점을 연결하는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 루프(412)는 제2결합면 상에서 정남방향 또는 정북방향(이하, 남북방향)을 가지며 제1결합면(420)은 제2결합면(410)과 평행하게 결합하므로 제1결합면(420) 상에서도 남북방향을 가진다.As mentioned in FIG. 2, the loop 234 included i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232 may be coupled at two points with the second coupling surface 232, so that in FIG. 4, the loop 412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surface 232. The surface 410 may have a direction connecting two point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surface 410. In FIG. 4, the loop 412 has a south-south direction or a north-north direction (hereinafter, north-south direction) o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and the first coupling surface 420 couples in parallel with the second coupling surface 410, thereby providing a first coupling. It also has a north-south direction on the surface 420.

여기에서, 제2결합면(410) 상 또는 제1결합면(420) 상이란 제2결합면(410) 또는 제1결합면(420)과 평행한 성분만 고려한다는 의미이다.Here, the second coupling surface 410 or the first coupling surface 420 phase means that only the components parallel to the second coupling surface 410 or the first coupling surface 420 is considered.

또한 도 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훅(216 및 218)은 루프(234)와 결합하기 위해 휘어진 훅팔(218)을 포함할 수 있고 도 4에서, 훅팔(422)은 제1결합면(420) 상에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 훅팔(422)은 남북방향(422a)과 북서방향 또는 남동방향(이하, 사선방향)(422b)을 갖는다.As also mentioned in FIG. 2, the hooks 216 and 218 may include a hook arm 218 that is bent to engage the loop 234 and in FIG. 4, the hook arm 422 may include a first engagement surface 420. May have a phase in the phase. In FIG. 4, the hook arm 422 has a north-south direction 422a and a northwest or southeast direction (hereinafter, oblique direction) 422b.

여기에서, 훅팔(422)의 방향은 제1결합면(420) 상에서 훅축(미도시됨)을 기준으로 훅팔(422)이 뻗은 방향을 의미한다.Here,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422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ok arm 422 extends with respect to the hook shaft (not shown)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420.

이하, 방향은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제1결합면(420) 상에서의 방향을 의미하고 제1결합면(420) 상에서의 방향이란 제1결합면(420)과 평행한 성분의 방향을 의미한다.Hereinafter, unless otherwise indicated, a direction means a direction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420, and a direction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420 means a direction of a component parallel to the first coupling surface 420.

루프(412)가 남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에 훅팔(422a)을 남북방향으로 배치한다면, 제2결합면(410)과 제1결합면(420a)이 서로 마주하도록 대쉬보드커버를 눌러서 루프(412)와 훅팔(422a)을 포함하는 훅이 겹쳐지도록 한 후에 누르는 힘을 중단하면 훅팔(422a)에 루프(412)가 잘 걸리지 않을 수 있다.If the hook arm 422a is disposed in the north-south direction when the loop 412 is disposed in the north-south direction, the loop 412 is pushed by pressing the dashboard cover so that the second coupling surface 410 and the first coupling surface 420a face each other. ) And the hook arm including the hook arm 422a is overlapped, the stopping of the pressing force may prevent the hook 422a from catching the loop 412.

반면에, 루프(412)가 남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에 훅팔(422b)을 사선방향으로 배치한다면, 제2결합면(410)과 제1결합면(420b)이 서로 마주하도록 대쉬보드커버를 눌러서 루프(412)와 훅팔(422b)을 포함하는 훅이 겹쳐지도록 한 후에 누르는 힘을 중단하면 훅팔(422b)에 루프(412)가 잘 걸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hook arm 422b is disposed diagonally when the loop 412 is disposed in the north-south direction, the dashboard cover is pressed so that the second coupling surface 410 and the first coupling surface 420b face each other. When the hook including the loop 412 and the hook arm 422b is overlapped, stopping the pressing force may cause the loop 412 to be caught well in the hook arm 422b.

이와 같이, 제1결합면(420) 상에서, 훅팔(422)의 방향을 루프(412)의 방향과 평행하지 않도록 배치하면 훅팔(422)에 루프(412)가 잘 걸릴 수 있으므로 한 개의 훅 당 결합되는 루프(412)의 개수를 증가시켜서 결합력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대쉬보드커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As such, when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422 is not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loop 412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420, the loop 412 may be easily caught by the hook arm 422, so that the hooks are connected per hook. Since the coupling force may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loops 412, the dashboard cover may be stably fixed.

여기에서, 배치란 제조 또는 조립을 의미할 수도 있고 회전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훅팔(422)의 방향을 루프(412)의 방향과 평행하지 않도록 훅을 제조 또는 조립할 수도 있고 방향이 이미 고정된 상태로 제조된 훅팔(422)을 포함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훅팔(422)과 루프(412)의 방향이 평행하지 않도록 회전시켜서 대쉬보드에 접착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Here, the arrangement may mean manufacturing or assembling or may mean rotating and fixing. That is, the hook arm 422 may be manufactured or assembl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422 is not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loop 412, and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including the hook arm 422 manufactured in a fixed state is hook arm. It may also mean that the direction of the 422 and the loop 412 are rotated so that they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nd bonded to the dashboard.

만약, 도 4와 달리, 한 개의 훅이 여러 개의 훅팔(422)을 포함한다면 여러 개의 훅팔(4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훅팔(422)의 방향을 루프(412)의 방향과 평행하지 않도록 배치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4, if one hook includes a plurality of hook arms 422, the direction of at least one hook arm 422 of the plurality of hook arms 422 may not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loop 412.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한편, 같은 원리로, 도 4와 달리 제2결합면(410)은 복수 개의 훅팔을 포함하는 훅을 포함하고 제1결합면(420)은 복수 개의 루프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루프의 방향을 훅팔의 방향과 평행하지 않도록 배치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in Figure 4, unlike the second coupling surface 410 includes a hook including a plurality of hook arms and the first coupling surface 420 even if a plurality of loops in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by arranging them not parallel to the direc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가 대쉬보드커버와 결합된 상태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the dashboard cover.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면(510)은 복수 개의 훅(512 및 514)을 포함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면(520)은 복수 개의 루프(5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루프(522)는 훅팔(514)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oks 512 and 514, and the second coupling surface 5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ops 522. And loop 522 may be coupled to hook arm 514.

제2결합면(520)을 포함하는 대쉬보드커버에 여러가지 방향으로 외력이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쉬보드커버를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로부터 분리하려는 경우에는 대쉬보드커버에 제2결합면(520)에 수직으로 위쪽 방향의 성분을 갖는 힘이 주어질 것이다. 그리고 대쉬보드커버를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통해 대쉬보드에 고정시킨 차량이 가속 또는 감속을 하면 관성력에 의해 대쉬보드커버에 제2결합면(520)에 수평으로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이 주어질 것이다.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dashboard cover including the second coupling surface 520 in various directions. For example, if the dashboard cover is to be detached from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the dashboard cover will be given a force having an upward direction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second engagement surface 520.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which secures the dashboard cover to the dashboard through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accelerates or decelerates, the vehicle is horizontally opposite to th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irection of the vehicle horizontally o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520 by the inertia force. The force of direction will be given.

대쉬보드커버에 주어지는 외력은 제2결합면(520)에 포함된 루프(522)에 전달되어 루프(522)에 결합된 훅팔(514) 및 훅팔(514)과 연결된 훅축(512)에 인장력을 발생시킨다.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ashboard cover is transmitted to the loop 522 included i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520 to generate a tensile force on the hook arm 514 and the hook shaft 512 connected to the hook arm 514. Let's do it.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훅팔(514)의 방향이 오른쪽을 향하는 경우에 대쉬보드커버에 주어지는 외력에 의해 루프(522)가 왼쪽 방향으로 힘을 받아서 루프(522)가 훅축(512)에 걸리게 되면 훅축(512)에 인장력이 왼쪽 방향으로 발생하고 대쉬보드커버에 주어지는 외력에 의해 루프(522)가 오른쪽 방향으로 힘을 받아서 루프(522)가 훅팔(514)에 걸리게 되면 훅팔(514) 및 훅축(512)에 인장력이 오른쪽 방향으로 발생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hook arm 514 is directed to the right, the loop 522 is forced to the left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ashboard cover, and the loop 522 is applied to the hook shaft 512. When the hook shaft 512 is pulled out in the left direction an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ashboard cover, the loop 522 is applied to the right direction when the loop 522 is caught by the hook arm 514 hook arm 514 and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the hook shaft 512 in the right direction.

대쉬보드커버에 주어지는 외력에 의해 루프(522)가 제1결합면(510)과 평행한 힘에 해당하는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의 힘을 받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1결합면(510)과 수직으로 위 또는 아래 방향의 힘을 함께 받는 경우에도 외력 중에서 제1결합면(510)과 평행한 성분에 대해서는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When the loop 522 receives a force in a left or right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force parallel to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dashboard cover, as well as vertically up or down with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The same principle applies to the component parallel to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of the external force even when the force in the downward direction.

따라서, 제1결합면(510) 상에서, 훅팔(514)의 방향과 인장력의 방향이 반대방향이 되면 루프(522)는 훅축(512)에 걸리게 된다.Therefore, the loop 522 is caught by the hook shaft 512 when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514 and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force become opposite directions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510.

여기에서, 제1결합면(510) 상이란 제1결합면(510)과 평행한 성분만 고려한다는 의미이고 훅팔(514)의 방향은 제1결합면(510) 상에서 훅축(512)을 기준으로 훅팔(514)이 뻗은 방향을 의미한다.Here,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means that only the components parallel to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is considered, and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514 is based on the hook shaft 512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It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ok arm 514 extends.

이하, 방향은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제1결합면(510) 상에서의 방향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direction means a direction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unless otherwise specified.

한편, 훅(512 및 514)은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훅축(512)은 훅팔(514)보다 제1결합면(510)과의 결합 지점에 더 가까워서 탄성계수가 더 클 수 있다.Meanwhile, the hooks 512 and 514 may have elasticity, and the hook shaft 512 may have a larger elastic modulus because the hook shaft 512 is closer to the coupling point with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than the hook arm 514.

여기에서, 탄성이란 외부 힘에 의해 변형을 일으킨 물체가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이고 탄성계수란 재료의 강성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응력과 변형의 비율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단면적의 동일한 탄성물질로 구성된 물체는 밀도가 동일한 경우에 길이가 짧아질수록 탄성계수가 증가하며 탄성계수가 증가하면 동일한 힘에 대해 변형이 작아진다.Here, the elasticity is a property of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external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shape when the force is removed, the elastic modulus is a value representing the stiffness of the material is defined as the ratio of the stress and deformation. In general, an object made of the same elastic material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has an elastic modulus as the length becomes shorter at the same density, and the deformation becomes smaller for the same force as the elastic modulus increases.

따라서, 루프(522)가 훅축(512)에 걸려있을 때와 훅팔(514)에 걸려있을 때를 비교해 보면 루프(522)에 의해 발생한 동일한 인장력에 대해 훅축(512)은 훅팔(514)보다 제1결합면(510)과의 결합 지점에 더 가까워서 훅팔(514)보다 훅축(512)의 탄성계수가 더 크므로 훅축(512)의 변형이 더 작게되고 루프(522)가 훅축(512)을 벗어나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에 루프(522)가 훅축(512)에 걸려있을 때 결합력이 더 클 수 있다.Thus, when the loop 522 is hooked to the hook shaft 512 and the hook arm 514 is compared, the hook shaft 512 has a first position than the hook arm 514 for the same tensile force generated by the loop 522. Since the elastic modulus of the hook shaft 512 is larger than that of the hook arm 514 because it is closer to the coupling surface 510, the deformation of the hook shaft 512 is smaller and the loop 522 is out of the hook shaft 512. As it is more difficult, the engagement force can be greater when loop 522 is hooked to hookshaft 512.

언급한 두 가지 결론을 정리하면, 제1결합면(510) 상에서 훅팔(514)의 방향과 인장력의 방향이 반대가 되면 루프(522)가 훅축(512)에 걸리게 되고 루프(522)가 훅축(512)에 걸려있을 때 탄성계수가 더 커서 결합력이 더 클 수 있으므로, 제1결합면(510) 상에서 훅팔(514)의 방향을 인장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성하면 결합력이 더 커질 수 있다.Summarizing the two conclusions mentioned above, when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514 and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on the first engaging surface 510 is reversed, the loop 522 is caught by the hook shaft 512 and the loop 522 is hook hook ( Since the elastic modulus may be greater when hanging on 512, the coupling force may be greater. Therefore, when the hook arm 514 is configured to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the coupling force may be greater.

제1결합면(510) 상에서 훅팔(514)의 방향과 인장력의 방향이 반대방향이 되었을 때 마찰력에 의한 결합력 증가에 대해 살펴본다.When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514 and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is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looks at the coupling force increase by the friction force.

제1결합면(510) 상에서 훅팔(514)의 방향과 인장력의 방향이 반대방향이 되면 루프(522)가 훅축(512)에 걸리게 되고 루프(522)가 훅(512 및 514)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훅축(512) 및 훅팔(514)을 모두 활강해야 하기 때문에 활강 거리가 길어진다.When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514 and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is the opposite direction, the loop 522 is caught by the hook shaft 512 and the hook shaft in order to escape the hooks 512 and 514 Since both the 512 and the hook arm 514 have to slide, the sliding distance becomes long.

반면에, 제1결합면(510) 상에서 훅팔(514)의 방향과 인장력의 방향이 같은 방향이 되면 루프(522)가 훅팔(514)에 걸리게 되고 루프(522)가 훅(512 및 514)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훅팔(514)만 활강하면 되므로 활강 거리가 짧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514 and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on the first engaging surface 510 is the same direction, the loop 522 is caught by the hook arm 514 and the loop 522 is hooked to the hooks 512 and 514 In order to escape, only the hook arm 514 needs to slide, so the sliding distance is short.

활강 거리가 길어지면 훅(512 및 514)과 루프(522)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활강 거리가 짧을 때보다 루프(522)가 훅(512 및 514)을 벗어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루프(234)의 활강거리가 길어질수록 결합력이 커진다.The longer sliding distance makes the sliding distance of the loop 234 more difficult because the friction between the hooks 512 and 514 and the loop 522 makes it more difficult for the loop 522 to leave the hooks 512 and 514 than when the sliding distance is shorter. The longer is, the greater the bonding force.

정리하면, 제1결합면(510) 상에서 훅팔(514)의 방향과 인장력의 방향이 반대방향이 되면 루프(522)가 훅축(512)에 걸리게 되고 루프(522)가 훅축(512)에 걸리면 활강거리가 길어져서 마찰력에 의해 결합력이 더 커질 수 있으므로, 제1결합면(510) 상에서 훅팔(514)의 방향을 인장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성하면 결합력이 더 커질 수 있다.In summary, when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514 and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is the opposite direction, the loop 522 is caught on the hook shaft 512, and when the loop 522 is caught on the hook shaft 512, it slides. Since the coupling force may be increased by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longer distance, the coupling force may be increased by configuring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514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to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이와 같이, 제1결합면(510) 상에서 훅팔(514)의 방향을 인장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성하면 루프(522)가 훅축(512)에 걸려서 탄성계수 및 마찰력에 의해 결합력이 커질 수 있으므로 대쉬보드커버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As such, when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514 is configured to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the loop 522 may be caught by the hook shaft 512, and thus the coupling force may be increased by elastic modulus and frictional force. The dashboard cover can be fixed stably.

여기에서, 반대방향이란 제1결합면(510) 상에서 훅팔(514)의 방향이 인장력의 방향과 정반대 방향이 되는 것을 의미는 것은 아니고 제1결합면(510) 상의 인장력이 작용했을 때 루프(522)가 훅팔(514)이 아니라 훅축(512)에 걸리게 될 수 있는 정도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Here, the opposite direction does not mean that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514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become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but the loop 522 when the tensile force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is applied. )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extent that the hook arm 514 can be caught by the hook shaft 512.

한편, 방향이 이미 고정된 상태로 제조된 훅팔(514)을 포함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훅팔(514)과 인장력의 방향이 반대방향이 되도록 회전시켜서 대쉬보드에 접착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Meanwhile,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even if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including the hook arm 514 manufactured in the fixed direction is rotat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514 and the tensile force is opposite to the dashboard. have.

만약, 도 5와 달리, 한 개의 훅이 여러 개의 훅팔(514)을 포함한다면 여러 개의 훅팔(514) 중 어느 하나의 훅팔(514)의 방향과 인장력의 방향이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성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f, unlike FIG. 5, if one hook includes a plurality of hook arms 514, the same effect may be achieved by configuring the hook arm 514 of any one of the hook hooks 514 and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You can get it.

한편, 같은 원리로, 도 5와 달리 제1결합면(510)은 복수 개의 루프를 포함하고 제2결합면(520)은 복수 개의 훅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훅팔의 방향을 인장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성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FIG. 5, even when the first coupling surface 510 includes a plurality of loops and the second coupling surface 520 includes a plurality of hooks,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If configured so that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일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600)은 대쉬보드의 앞부분(610), 뒷부분(620), 좌측(630) 및 우측(640)에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부착할 수 있다. 이하, 대쉬보드의 앞부분(610), 뒷부분(620), 좌측(630) 및 우측(640)은 대쉬보드커버의 동일한 위치의 대응된다.Referring to FIG. 6, the vehicle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attach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to a front portion 610, a rear portion 620, a left side 630, and a right side 640 of the dashboard. . Hereinafter, the front portion 610, the rear portion 620, the left side 630 and the right side 640 of the dashboard correspond to the same position of the dashboard cover.

차량에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통해 고정된 대쉬보드커버는 차량의 가속, 감속, 좌회전 및 우회전에 의한 가속도 변화에 따라 힘을 받게된다.The dashboard cover fixed to the vehicle through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receives the force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change due to the acceleration, deceleration, left turn and right turn of the vehicle.

차량이 정방향으로 가속을 하면 가속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관성력이 작용하여 대쉬보드커버는 차량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대쉬보드커버의 무게 중심이 대쉬보드커버의 중앙 지점이라고 한다면 차량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대쉬보드커버의 부위는 앞부분(610)이 될 수 있다.When the vehicle acceler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inertia force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cceleration direction, and the dashboard cover is forced in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vehicle. I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ashboard cover is the center point of the dashboard cover, the portion of the dashboard cover that receives the most force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vehicle may be the front portion 610.

같은 원리로, 차량이 정방향으로 감속을 하면 관성력에 의해 대쉬보드커버는 차량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대쉬보드커버의 부위는 뒷부분(620)이 될 수 있다.In the same principle, when the vehicle deceler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dashboard cover receives force in the direction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to the front by the inertia force, and the portion of the dashboard cover receiving the most force from the rear to the front is the rear part 620. This can be

또한, 차량이 정방향으로 좌회전을 하면 관성력에 의해 대쉬보드커버는 차량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대쉬보드커버의 무게 중심이 대쉬보드커버의 중앙 지점이라고 한다면 차량의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는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대쉬보드커버의 부위는 좌측(630)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turns left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dashboard cover receives the force from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toward the right side by the inertia force, and i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ashboard cover is the center point of the dashboard cover,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is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The portion of the dashboard cover that receives the most force toward may be left 630.

같은 원리로, 차량이 정방향으로 우회전을 하면 관성력에 의해 대쉬보드커버는 차량 우측면에서 좌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우측면에서 좌측면을 향하는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대쉬보드커버의 부위는 우측(640)이 될 수 있다.In the same principle, when the vehicle makes a right tur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dashboard cover receives the force from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toward the left side by the inertia force, and the part of the dashboard cover that receives the most force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is the right side ( 640).

따라서, 대쉬보드커버의 네 곳(610, 620, 630 및 640)에 작용하는 주요한 힘의 방향이 모두 다르고 네 곳(610, 620, 630 및 640)에서 작용하는 주요한 힘이 도 5에서 살펴본 인장력에 해당하므로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쉬보드의 네 곳(610, 620, 630 및 640)에서 각각의 인장력의 반대방향으로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의 훅팔의 방향을 서로 다르게 구성해야 한다.Accordingly, the main forces acting on the four places 610, 620, 630, and 640 of the dashboard cover are all different, and the main forces acting on the four places 610, 620, 630, and 640 are applied to the tensile force shown in FIG. Therefore, as shown in FIG. 5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of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the four places (610, 620, 630, and 640) of the dashboard cover pads for fixing the dashboard cover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each tension force. The hook arm must be configured differently.

여기에서, 방향이란 제1결합면 상에서의 방향을 의미하며 제1결합면 상이란 제1결합면과 평행한 성분만 고려한다는 의미이다.Here, the direction means the direction on the first bonding surface and the first bonding surface on the meaning that only the components parallel to the first bonding surface is considered.

이하, 방향은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제1결합면 상에서의 방향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direction means the direction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unless otherwise specified.

즉, 대쉬보드커버의 앞부분(610)은 차량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힘을 주요하게 받으므로 대쉬보드의 앞부분(610)에 부착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의 훅팔은 제1결합면 상에서 반대 방향인 차량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ront part 610 of the dashboard cover receives the main force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to the rear, the hook arm of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attached to the front part 610 of the dashboard is opposite to the first coupling surface. It may be configured to face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to the front.

또한, 대쉬보드커버의 뒷부분(620)은 차량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는 힘을 주요하게 받으므로 대쉬보드의 뒷부분(620)에 부착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의 훅팔은 제1결합면 상에서 반대 방향인 차량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ar portion 620 of the dashboard cover mainly receives the force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to the front, the hook arm of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620 of the dashboard is opposite to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It may be configured to face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또한, 대쉬보드커버의 좌측(630)은 차량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는 힘을 주요하게 받으므로 대쉬보드의 좌측(630)에 부착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의 훅팔은 제1결합면 상에서 반대 방향인 차량 우측면에서 좌측면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ft side 630 of the dashboard cover receives the main force from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to the right side, the hook arm of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attached to the left side 630 of the dashboard is opposite to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Can be configured to face from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to the left side.

또한, 대쉬보드커버의 우측(640)에서는 차량 우측면에서 좌측면을 향하는 힘을 주요하게 받으므로 대쉬보드의 우측(640)에 부착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의 훅팔은 제1결합면 상에서 반대 방향인 차량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ight side 640 of the dashboard cover receives the main force from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to the left side, the hook arm of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attached to the right side 640 of the dashboard is opposite to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The vehicle may be configured to face from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to the right side.

여기에서, 반대방향이란 제1결합면 상에서 훅팔의 방향이 인장력의 방향과 정반대 방향이 되는 것을 의미는 것은 아니고 제1결합면 상의 인장력이 작용했을 때 루프가 훅팔이 아니라 훅축에 걸리게 될 수 있는 정도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Here, the opposite direction does not mean that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is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tensile force, but the degree to which the loop can be caught by the hook shaft, not the hook arm when the tension force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is applied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이와 같이,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의 부착위치에 따라 제1결합면 상에서 훅팔의 방향을 달리하여 구성함으로써 대쉬보드커버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ashboard cover can be strongly fixed by configuring the hook arm on the first engagement surface according to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pad for fixing the dashboard cover.

한편, 방향이 이미 고정된 상태로 제조된 훅팔을 포함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를 훅팔과 미리 정해진 인장력의 방향이 반대방향이 되도록 회전시켜서 대쉬보드에 접착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even if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including the hook arm manufactured in a fixed state is rotat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hook arm and the predetermined tensile force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만약, 한 개의 훅이 여러 개의 훅팔을 포함한다면 여러 개의 훅팔 중 어느 하나의 훅팔의 방향과 대쉬보드의 네 곳(610, 620, 630 및 640)의 각 주요한 인장력의 방향이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성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f one hook includes several hook arms, the hook direction of any one of the hook hooks and the direction of each major tensile force of four places (610, 620, 630 and 640) of the dashboard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한편, 같은 원리로, 제1결합면은 복수 개의 루프를 포함하고 제2결합면은 복수 개의 훅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대쉬보드커버의 네 곳(610, 620, 630 및 640)의 각 훅팔의 방향을 대쉬보드의 네 곳(610, 620, 630 및 640)의 각 주요한 인장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도록 구성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ame principle, even if the first engaging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loops and the second engaging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hooks, the direction of each hook arm of four places 610, 620, 630 and 640 of the dashboard cover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by configuring the opposite directions of the four major tensile forces of the four places 610, 620, 630 and 640 of the dashboard.

이상에서와 같이,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 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210 :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
212 : 접착면 214 : 제1결합면
216 : 훅축 218 : 훅팔
220 : 대쉬보드
230 : 대쉬보드커버
232 : 제2결합면 234 : 루프
210: dashboard cover fixing pad
212: bonding surface 214: first bonding surface
216: hook shaft 218: hook arm
220: dashboard
230: dashboard cover
232: second coupling surface 234: loop

Claims (4)

접착제에 의하여 대쉬보드와 결합하는 접착면;
상기 접착면과 반대되는 면에 구비되어 대쉬보드커버의 제2결합면에 결합되는 제1결합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면은 복수 개의 훅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면을 향해 돌출된 복수 개의 루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
An adhesive surface bonded to the dashboard by an adhesive;
A first coupling surface provid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adhesive surface and coupled to a second coupling surface of the dashboard cover;
The first coupling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hooks, the dashboard cover fixing pad,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plurality of loops provided on the second coupling surface protruding toward the first coupling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은 훅축과 훅팔을 포함하고,
상기 훅팔은 상기 제1결합면 상에서 상기 루프와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k includes a hook shaft and a hook arm,
The hook arm is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ace in a direction not parallel to the loop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은 훅축과 훅팔을 포함하고,
상기 훅팔은 상기 훅과 결합된 상기 루프를 통해 상기 훅축에 가해지는 인장력과 상기 제1결합면 상에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ok includes a hook shaft and a hook arm,
The hook arm is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a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n the first coupling surface and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hook shaft through the loop coupled to the hoo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은 차량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대쉬보드의 앞부분에 접착되거나,
상기 인장력은 차량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대쉬보드의 뒷부분에 접착되거나,
상기 인장력은 차량 좌측면에서 우측면을 향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대쉬보드의 좌측에 접착되거나,
상기 인장력은 차량 우측면에서 좌측면을 향하고 상기 차량의 상기 대쉬보드의 우측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쉬보드커버 고정용 패드.
The method of claim 3,
The tensile force is directed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to the rear and bond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The tensile force is directed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to the front and bond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The tensile force is directed from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to the right side and bonded to the left side of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The tensile force is a dashboard cover fixing pad, characterized in that bonded to the right side of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from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to the left side.
KR1020180038953A 2018-04-04 2018-04-04 Dashboard cover fixing pad KR1020741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953A KR102074173B1 (en) 2018-04-04 2018-04-04 Dashboard cover fixing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953A KR102074173B1 (en) 2018-04-04 2018-04-04 Dashboard cover fixing pa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046A Division KR20200000399A (en) 2019-12-18 2019-12-18 Dashboard cover fixing 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804A true KR20190115804A (en) 2019-10-14
KR102074173B1 KR102074173B1 (en) 2020-02-06

Family

ID=6817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953A KR102074173B1 (en) 2018-04-04 2018-04-04 Dashboard cover fixing 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17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394B1 (en) * 2007-11-01 2009-11-23 전병옥 Velcro fastener
KR101503273B1 (en) * 2014-02-05 2015-03-17 주식회사 루젠 Dash board cover for c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394B1 (en) * 2007-11-01 2009-11-23 전병옥 Velcro fastener
KR101503273B1 (en) * 2014-02-05 2015-03-17 주식회사 루젠 Dash board cover for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173B1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6437B2 (en) Ultrasonic sensor module mounting structure
US5429335A (en) Article-holding strap assembly for automobile sun visor
JP2010518270A (en) Visor overlay assembly
KR102074173B1 (en) Dashboard cover fixing pad
KR20200000399A (en) Dashboard cover fixing pad
JP2016215680A (en) Vehicle structure
WO2007084255A2 (en) Goggle having flexible headband attachment arms fixedly attached to a goggle frame
EP2821284A1 (en) Rear view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KR101281077B1 (en) Car Dashboard Cover
CN206734206U (en) Car trim, door handle and automobile rearview mirror
JP6196096B2 (en) Clip mounting seat for interior parts or exterior parts
WO2022185768A1 (en) Display device
US10766432B2 (en) Door trim
JP6330159B1 (en) Anti-stain sheet for head-mounted display
CA2635831A1 (en) Rear vision helmet visor structure
JP2020199802A (en) On-vehicle device and mounting structure of on-vehicle device
JP6748985B2 (en) Retroreflective sheeting
JP2006523574A (en) Light shielding film assembly for automobiles
WO2021114643A1 (en) Wind deflector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CN211592248U (en) Anti-dazzling and low-abnormal-sound instrument cover
US10408978B2 (en) Infant observation device
JP3226317U (en) Handle cover
US9221416B2 (en) Trim assembly for covering airbag
JP3163257U (en) School bag handle
JP2014184885A (en) Resin exterior panel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