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494A -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494A
KR20190115494A KR1020180029422A KR20180029422A KR20190115494A KR 20190115494 A KR20190115494 A KR 20190115494A KR 1020180029422 A KR1020180029422 A KR 1020180029422A KR 20180029422 A KR20180029422 A KR 20180029422A KR 20190115494 A KR20190115494 A KR 20190115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unit
pipe
io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932B1 (ko
Inventor
조휘만
조현태
오정익
장재희
조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조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조성훈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180029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9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9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세대 내에 설치되고,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관으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에 연결되고, 사용자 입력 또는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전원 공급 여부에 대응되는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IoT 스마트 전원부, 상기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하수 또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경로를 선택하는 배관 선택부, 상기 배관 선택부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분리하고, 분리된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 및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배관 선택부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SYSTEM AND MANAGEMENT SERVER FOR FOOD WASTE DISPOSA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해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 상태를 인식하여 배관 선택부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를 제어함으로써 음식물 처리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아파트나 주택에서 매일 발생하므로 주기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러 나가야 하고 음식물 쓰레기에서 냄새도 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하수관으로 바로 배출하는 주방오물분쇄기(디스포저)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방오물분쇄기는 고형물의 일부(예: 20%)만 배관으로 배출할 수 있고 나머지는 별도로 버려야 하므로 여전히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러 나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불법으로 개조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배관으로 배출하는 양을 늘리게 되면 배관이 막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주방에서 주방오물처리기로 물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배관으로 버리면 음식물 쓰레기를 지하에서 저장한 후 고액 분리기를 이용하여 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도 부피가 큰 공동주택 저장조, 고액 분리기, 발효소멸장치 및 운전반 등을 설치하는 데 공사비 및 유지 관리를 위한 인건비가 과도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저장조 및 고액 분리기, 발효소멸장치 등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에 의한 냄새가 발생하며, 고액 분리기의 대형 모터를 사용해야 하고 하수관보다 아래에 설치되는 저장조에서 물을 퍼올리기 위해 펌프를 사용해야 하므로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해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 상태를 인식하여 배관 선택부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를 제어함으로써 음식물 처리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세대 내에 설치되고,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관으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에 연결되고, 사용자 입력 또는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전원 공급 여부에 대응되는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IoT 스마트 전원부, 상기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하수 또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경로를 선택하는 배관 선택부, 상기 배관 선택부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분리하고, 분리된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 및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배관 선택부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세대 내에 설치되고,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관으로 배출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쇄 동작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 상기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하수 또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경로를 선택하는 배관 선택부, 상기 배관 선택부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분리하고, 분리된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 및 상기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배관 선택부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서버는,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동작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는, 상기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분리하는 복수 개의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선택부는, 상기 복수 개의 분리기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배관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배관밸브 및 상기 복수 개의 분리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감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상태 감지부,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상태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상기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식물 쓰레기 상태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은, 서버 통신부가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 배관 선택 제어부가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배관 선택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가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상기 배관 선택부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는,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전송받고,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배관 선택부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로 각각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배관 선택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배관 선택부로 전송하는 배관 선택 제어부, 및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로 전송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는,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동작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는, 각 세대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분리하는 복수 개의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선택부는, 상기 복수 개의 분리기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배관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선택 제어부는,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판단된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배관밸브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는,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판단된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분리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 선택 제어부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전송한 세대의 위치 및 각 세대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배관 선택부 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에 도달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 통신부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전송받고, 상기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은, 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해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 상태를 인식하여 배관 선택부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를 제어함으로써 음식물 처리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은,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및 저장부 등을 소형으로 구현 가능하므로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및 저장부 등을 도시 하수관보다 높은 곳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하수를 하수관으로 즉시 배수할 수 있어 별도의 펌프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은, 대형 저장조, 고액 분리기, 발효소멸장치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사비가 적게 소요되고, 음식물 부패에 따른 냄새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배관 선택부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0)은 건물(100)의 각 세대(100_1, 100_2, 100_3)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 및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지하에 설치되는 배관 선택부(200),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0)은 유무선 통신망(600)을 이용하여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 등과 통신하는 관리서버(500) 및 관리자 단말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물(100)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뿐만 아니라, 집단건물, 오피스텔, 호텔 등 다양한 건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에는 건물(100)에 3개의 세대(100_1, 100_2, 100_3)가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건물(100)에 포함되는 세대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각 세대(100_1, 100_2, 100_3)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 및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를 구비하거나,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배관(P)은 각 세대(100_1, 100_2, 100_3)에 연결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아파트와 같은 건물에서는 라인별로 배관(P)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는, 세대(100_2, 100_3) 내에 설치되고,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관(P)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는 내부의 임펠러가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에 구비되는 전원 플러그를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에 연결함으로써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에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또는 외부 신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는 기존의 전원 콘센트에 결합할 수 있는 플러그 및 다른 전자기기의 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는 콘센트를 구비할 수 있다.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는 외부에 존재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능을 내장하여,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외부 신호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물인터넷이란 사물에 센서가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로의 전원 공급 여부에 대응되는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즉,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유무선 통신망(600)을 통해 관리서버(500)나 관리자 단말기(700)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는, 기존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에 사물인터넷 기능이 추가로 내장된 구성일 수 있다.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도 세대(100_1)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관(P)으로 배출할 수 있다.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동작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상태 신호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가 현재 음식물 쓰레기 분쇄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유무선 통신망(600)을 통해 관리서버(500)나 관리자 단말기(700)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동작 상태 신호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가 수행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동작의 빈도 및 강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의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에서 처리되어 배관(P)으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관 선택부(200)에 도달할 수 있다.
배관 선택부(200)는, 배관(P)에 연결될 수 있고, 배관(P)을 통해 공급되는 하수 또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배관 선택부(200)는 관리 서버(500) 또는 관리자 단말기(700)의 제어에 따라, 배관(P)을 통해 건물(100)에서 내려오는 하수 및 음식물 쓰레기 등을 하수관으로 바로 배출할 것인지 아니면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를 통과시킬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배관 선택부(200)는 배관(P) 내부를 흐르는 오물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
각 세대(100_1, 100_2, 100_3)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가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배관(P)을 통해 하수와 같은 물만 내려오는 상태이므로 배관 선택부(200)는 물이 바로 하수관으로 배출되도록 배출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각 세대(100_1, 100_2, 100_3)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가 동작 중일 때에는 배관(P)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내려올 것이므로 배관 선택부(200)는 음식물 쓰레기가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로 투입될 수 있도록 배관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는, 배관 선택부(200)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분리하고, 분리된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는 수분을 분리한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로 배출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는, 관리서버(500)나 관리자 단말기(700)에 의해 전원의 온/오프 여부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 동작 수행 여부 등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도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와 같은 구성이 연결될 수 있고, IoT 기능이 내장되어 유무선 통신망(600)을 통해 관리서버(50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는, 녹즙기와 같은 형태의 고액분리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는 하수 및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많아져도 저장하지 않고 즉시 처리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는 소형의 저장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파트의 경우 각 라인별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를 동시에 사용하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를 소형의 저장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는, 음식물 쓰레기 상태 감지부(410) 및 음식물 쓰레기 상태 전송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상태 감지부(410)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상태 감지부(410)는 적외선 센서나 무게 감지 센서 등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상태 전송부(420)는 음식물 쓰레기 상태 감지부(410)에서 감지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관리서버(500) 또는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상태 전송부(420)는 사물인터넷 기능이 내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는 냄새방지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냄새방지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에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를 저감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현재 냄새 상태 정보를 음식물 쓰레기 상태 전송부(420)를 통해 관리서버(500) 또는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할 수 있다.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500)는,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배관 선택부(200)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500)는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각 세대(100_1, 100_2, 100_3)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에 의해 처리되어 배관(P)으로 배출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각 세대(100_1, 100_2, 100_3)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가 모두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배관(P)을 통해 하수와 같은 물만 내려올 때이므로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500)는 배관 선택부(200)의 배출 경로가 바로 하수관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각 세대(100_1, 100_2, 100_3)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가 동작 중일 때에는 배관(P)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분쇄물이 내려올 때이므로, 배관 선택부(200)의 배출 경로가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를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500)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도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배관 선택부(200)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물과 분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리서버(500)는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의 개수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의 동작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500)는 하나의 세대에서만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가 저속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여러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의 동작 속도를 더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500)는 클라우드(Cloud) 기반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접속 가능할 수 있다. 관리서버(500)의 구성 및 동작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유무선 통신망(600)은, 사물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Communication Network)으로서 통신 양태를 특별하게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무선 통신망(600)은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무선 통신망(600)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관리자 단말기(700)는, 사용자 컴퓨터(PC),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 또는 전자 장비일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70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의 상태를 알 수 있으며,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현황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0)은, 각 세대(100_1, 100_2, 100_3) 내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가 동작하지 않고 싱크대에서 물만 버리는 경우에는 배관 선택부(200)가 배관 경로를 바이패스시켜 도시 하수관으로 물을 바로 배출할 수 있고, 각 세대(100_1, 100_2, 100_3) 내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는 시간에만 관리서버(500)가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0)은, 모든 하수를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고 IoT 기능에 의해 알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의 동작시간에만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가 동작하면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 및 저장부(400) 등을 모두 소형으로 구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0)은,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 및 저장부(400) 등을 소형으로 구현 가능하므로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 및 저장부(400) 등을 도시 하수관보다 높은 곳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펌프 없이도 하수를 하수관으로 즉시 배수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1000)은, 각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를 구동한 시간을 알 수 있으므로 구동 시간에 따라 각 세대별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 비용을 다르게 분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에는 배관 선택부(200),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가 지하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500)는, 서버 통신부(510) 및 서버 제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510)는, 유무선 통신망(600)을 통하여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배관 선택부(200),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 음식물 쓰레기 상태 전송부(42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510)는,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전송받거나,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로부터 동작 상태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서버 통신부(510)는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배관 선택부(200)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5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5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배관 선택 제어부(531),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 음식물 쓰레기 저장 관리부(535)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 선택 제어부(531)는,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배관 선택부(2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는 서버 통신부(510)를 통해 배관 선택부(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는,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는 서버 통신부(51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로 전송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는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 세대(100_1, 100_2, 100_3)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533)의 동작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배관 선택 제어부(531)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가 동작 중인 세대의 위치 및 높이, 세대로부터 배관 선택부(200) 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까지의 거리 등을 반영하여 배관 선택부(200)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배관 선택 제어부(531)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는 상기 전원 공급 상태 신호 또는 동작 상태 신호를 전송한 세대의 위치 및 각 세대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관 선택부(200) 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에 도달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 및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는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와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로 식별될 수 있으므로, 배관 선택 제어부(531)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는 전원 공급 상태 신호 또는 동작 상태 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어느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가 동작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될지를 알 수 있다. 일례로서, 1층 세대(100_1)의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가 동작하여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관 선택부(200)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3층 세대(100_3)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30)가 동작하여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관 선택부(200)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 길 것이므로, 배관 선택 제어부(531)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이 이루어지는 세대의 위치 및 높이 등에 따라 배관 선택부(200)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의 가동 시작 시점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500)는 배관 선택부(200)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의 동작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특히 고층 건물에서 추가적인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배관 선택 제어부(531)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는 여러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각 세대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도달하는 시간 중 가장 짧은 시간을 기준으로 배관 선택부(200)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러 세대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모두 배관 선택부(200) 또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의 동작 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서버 통신부(510)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전송받을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 저장 관리부(535)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신호는 서버 통신부(510)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서, 아파트의 경우 각각의 라인별 일일 음식물 쓰레기 양이 많지 않으므로, 관리자는 기본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의 음식물 쓰레기를 1일 1회 수거할 수 있다. 그러나 평소보다 음식물 쓰레기가 갑자기 늘어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신호를 통해 관리자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가 필요한 시점인지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건조 장치나 음식물 감량화 장치 등으로 이송되어 최종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는 음식물 저장부(400)로부터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 상태를 전송받는 경우, 냄새 상태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자 단말기(7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배관 선택부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관 선택부(200)는 복수 개의 배관밸브(210, 220, 230, 240)를 포함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는 복수 개의 분리기(310, 32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관밸브(210, 220, 230)는 복수 개의 분리기(310, 320, 330)에 각각 대응될 수 있으며, 물을 하수관으로 바이패스하기 위하여 제4 배관밸브(240)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분리기(310, 320, 330)는, 각 세대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관(P)에 각각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분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분리기(310, 320, 330)는 각각의 배관밸브(210)를 통과하여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분리하고, 분리된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분리기(310, 320, 330)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배관 선택 제어부(531)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는,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배관 선택 제어부(531)는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배관밸브(210, 220, 230, 24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는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분리기(310, 320, 33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P)에 연결된 세대들이 모두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배관밸브(210), 제2 배관밸브(220), 제3 배관밸브(230)는 모두 닫을 수 있고 제4 배관밸브(240)만 열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P)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하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만약, 1개의 세대에서만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제1 배관밸브(210)만 열고 나머지 배관밸브(220, 230, 240)는 닫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분리기(310)만 동작시킬 수 있고 제1 분리기(31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분리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될 수 있다. 2개의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제1 배관밸브(210) 및 제2 배관밸브(220)를 열 수 있고, 제1 분리기(310) 및 제2 분리기(320)만 동작시킬 수 있다. 같은 원리로 3개의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 배관밸브(210, 220, 230)를 열 수 있고, 제1 내지 제3 분리기(310, 320, 3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배관밸브(210, 220, 230, 240) 및 복수 개의 분리기(310, 320, 330)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동시 사용량에 따라 순차적, 가변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여러 세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동시에 배출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분리기(310, 320, 330)를 모두 가동할 수 있으므로 배관(P)이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상황에 따라 복수 개의 분리기(310, 320, 330)의 동작 시간을 서로 균등하게 배분하여 어느 하나의 분리기가 과도하게 동작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복수 개의 배관밸브(210, 220, 230, 240) 및 복수 개의 분리기(310, 320, 330)를 구비하므로, 어느 하나가 고장이 나더라도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에 맞게 복수 개의 분리기(310, 320, 3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배관 선택부(200)에 포함되는 배관밸브의 개수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에 포함되는 분리기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2000)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5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2000)은, 서버 통신부(510)가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20, 130)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나타내는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주기적으로 서버 통신부(51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전원 공급 여부에 변화가 생기는 시점에 서버 통신부(5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2000)은, 배관 선택 제어부(531)가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배관 선택부(2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배관 선택 제어부(531)는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의 개수에 따라 배관 선택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2000)은,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가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533)는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 120, 130)의 개수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2000)은, 서버 통신부(510)가 상기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배관 선택부(200)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S24)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관 선택부(200)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300)는 전송받은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2000)은, IoT 스마트 전원부(125, 135)로부터 전원 공급 상태 신호 이외에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110)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500)의 다른 동작들도 도 4에 도시된 단계들에 추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상실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순서가 다양하게 변경되거나 조합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특정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건물 100_1, 100_2, 100_3: 세대
110: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 120, 130: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
125, 135: IoT 스마트 전원부 200: 배관 선택부
210, 220, 230, 240: 배관밸브 300: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310, 320, 330: 분리기 400: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
410: 음식물 쓰레기 상태 감지부 420: 음식물 쓰레기 상태 전송부
500: 관리서버 510: 서버 통신부
530: 서버 제어부 531: 배관 선택 제어부
533: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 535: 음식물 쓰레기 저장 관리부
600: 유무선 통신망 7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12)

  1. 세대 내에 설치되고,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관으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에 연결되고, 사용자 입력 또는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전원 공급 여부에 대응되는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IoT 스마트 전원부;
    상기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하수 또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경로를 선택하는 배관 선택부;
    상기 배관 선택부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분리하고, 분리된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 및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배관 선택부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2. 세대 내에 설치되고,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관으로 배출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쇄 동작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동작 상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
    상기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하수 또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경로를 선택하는 배관 선택부;
    상기 배관 선택부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분리하고, 분리된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 및
    상기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배관 선택부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는,
    상기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분리하는 복수 개의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선택부는,
    상기 복수 개의 분리기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배관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 또는 IoT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로부터 전송받은 동작 상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배관밸브 및 상기 복수 개의 분리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감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상태 감지부;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상태 감지부에서 감지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상기 관리서버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식물 쓰레기 상태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6. 서버 통신부가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
    배관 선택 제어부가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배관 선택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가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통신부가 상기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상기 배관 선택부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
  7. 제6항에 기재된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의 동작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전송받고,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배관 선택부 및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로 각각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배관 선택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배관 선택부로 전송하는 배관 선택 제어부; 및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로 전송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는,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에 따라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는,
    각 세대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분리하는 복수 개의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선택부는,
    상기 복수 개의 분리기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배관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 선택 제어부는,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판단된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배관밸브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는,
    상기 IoT 스마트 전원부로부터 전송받은 전원 공급 상태 신호에 따라 판단된 각 세대에서 동작 중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분리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선택 제어부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 상태 신호를 전송한 세대의 위치 및 각 세대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배관 선택부 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에 도달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상기 배관 선택부 제어신호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리부 제어신호를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통신부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전송받고,
    상기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부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양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관리서버.
KR1020180029422A 2018-03-13 2018-03-13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 KR10206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422A KR102064932B1 (ko) 2018-03-13 2018-03-13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422A KR102064932B1 (ko) 2018-03-13 2018-03-13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494A true KR20190115494A (ko) 2019-10-14
KR102064932B1 KR102064932B1 (ko) 2020-02-11

Family

ID=6817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422A KR102064932B1 (ko) 2018-03-13 2018-03-13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517B1 (ko) * 2020-02-24 2020-05-13 준토탈서비스(주) 페트병 분쇄장치 및 페트병 분쇄장치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655A (ja) * 2000-03-28 2001-10-02 Toto Ltd 厨芥処理システム
KR20150062197A (ko) * 2013-11-28 2015-06-08 (주)지프로젝트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처리장치
KR101726140B1 (ko) * 2016-10-27 2017-04-11 서창옥 옥내용 음식물쓰레기 중량계량형 관리장치
KR20170098669A (ko) * 2016-02-22 2017-08-30 장수용 음식물쓰레기 집단처리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655A (ja) * 2000-03-28 2001-10-02 Toto Ltd 厨芥処理システム
KR20150062197A (ko) * 2013-11-28 2015-06-08 (주)지프로젝트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처리장치
KR20170098669A (ko) * 2016-02-22 2017-08-30 장수용 음식물쓰레기 집단처리시설
KR101726140B1 (ko) * 2016-10-27 2017-04-11 서창옥 옥내용 음식물쓰레기 중량계량형 관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517B1 (ko) * 2020-02-24 2020-05-13 준토탈서비스(주) 페트병 분쇄장치 및 페트병 분쇄장치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932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095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ation of connected water devices
US11022124B2 (en) Whole home water appliance system
Saravanakumar et al. Auto-Theft prevention system for underwater sensor using lab view
US20210298557A1 (en) Residential device feedback system and method
US20210300804A1 (en) Water characteristic selection system and method
EP3428126A1 (en) Water treatment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domestic water treatment device
NZ537319A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d distributing gray water
WO2011071779A1 (en) Flushing water control for a food waste disposer based on visual detection of food waste
CN104271471A (zh) 控制气力输送***操作的方法
KR102064932B1 (ko) IoT 기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동작방법
CN105782629A (zh) 水管智能报警器
CN201581454U (zh) 水盆溢水报警截水器
CN102591303A (zh) 基于敲击感应式卧床居家无障碍控制***
CN201915443U (zh) 一种雨水管理***
CN202807596U (zh) 一种高效家用餐厨垃圾收集设备
CN205224157U (zh) 一种室内多水源动态切换设备
CN109544401B (zh) 一种供水加压能耗综合分析管理***
CN109811831B (zh) 一种用于二次供水的智能多级浓水净化利用***
CN201097210Y (zh) 一种地埋式泵站一体化智能控制装置
KR101200550B1 (ko) 집단주거지역의 마이크로 발전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발전방법
CN220377411U (zh) 用于操作水***的控制器及水***
CN204676651U (zh) 一种智能下水分流装置
CN113309173B (zh) 一种给水***优化方法及小区给水***用调整方法
CN214890531U (zh) 一种新型智能防冻***
CN212896713U (zh) 一种基于市政道路分流制管网的排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