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160A -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 Google Patents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160A
KR20190112160A KR1020197027062A KR20197027062A KR20190112160A KR 20190112160 A KR20190112160 A KR 20190112160A KR 1020197027062 A KR1020197027062 A KR 1020197027062A KR 20197027062 A KR20197027062 A KR 20197027062A KR 20190112160 A KR20190112160 A KR 20190112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gesture
operation mode
touch pane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0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이스케 기사라
유이치 사사키
도시유키 하기와라
다쿠야 마에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2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1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는, 유저 조작 모드를, 표시 부품을 조작하는 제 1 조작 모드 또는 화면의 전체를 터치 제스처 조작의 접수 영역으로 하는 제 2 조작 모드로 전환하는 조작 모드 전환부(13)와, 제 1 조작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제 1 처리를 행하고, 제 2 조작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제 2 처리를 행하는 조작 판정부(14)를 구비하고, 조작 판정부(14)는, 유저 조작 모드가, 제 1 조작 모드로부터 제 2 조작 모드로 전환된 후에, 터치 패널의 화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진 위치에,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와 손잡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바를 표시시키고, 상기 손잡이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손잡이의 제 1 방향의 이동량에 따라 선택치를 변경한다.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10 switches the user operation mode to the first operation mode for operating the display component or the second operation mode for setting the entire screen as a reception area for touch gesture operation. And a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14 that performs first processing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when the first operation mode is set, and performs second processing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when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set, and operates The determination unit 14 determines that the first touch gesture is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after the user operation mode is switched from the first operation mode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A second touch gesture operation for displaying the slide bar including the bar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handle at the position where the operation is performed and moving the handle in the first direction is performed. To ground, and changes the valu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direction, the movement amount of the handle.

Description

터치 입력 판정 장치, 터치 입력 판정 방법, 및 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를 이용하여 선택치를 변경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터치 입력 판정 방법, 및 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a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for changing a selection value using a slide bar displayed on a touch panel.

터치 패널에 표시된 스크롤 바(슬라이드 바)를 유저가 손가락으로 조작함으로써, 표시 영역을 스크롤(슬라이드)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scrolling (sliding) a display area by a user operating a scroll bar (slide bar) displayed on a touch panel has been proposed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또한, 터치 패널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에 있어서, 긴 바 상에 배치된 손잡이("노브"라고도 한다)를 바를 따라 이동(슬라이드)시킴으로써, 이동량에 따른 값을 출력하는 전자 기기도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In addition, in a slide bar displayed on a touch panel, an electronic device that outputs a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has also been proposed (for example, a patent) by moving (sliding) a handle (also called a "knob") disposed on a long bar along a bar (for example, a patent See Document 2.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14-20320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4-203202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16-126715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6-126715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장치 및 기기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바의 조작은, 유저가 터치 패널의 화면을 보면서 행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유저는, 터치 패널의 화면을 볼 수가 없을 때(예컨대, 유저가 다른 작업을 행하고 있을 때 또는 시각장애를 갖고 있을 때)에, 슬라이드 바에 대한 터치 제스처 조작을 적절히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However, the operation of the slide bar in the above conventional apparatus and apparatus is performed by the user while viewing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For this reason,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appropriately perform touch gesture operation with respect to a slide bar when the user cannot see the screen of a touch panel (for example, when a user is carrying out other work or has a visual impairment). There is.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터치 패널의 화면을 보고 있지 않더라도, 슬라이드 바에 대한 터치 제스처 조작을 적절히 행할 수 있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터치 입력 판정 방법, 및 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a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capable of appropriately performing a touch gesture operation on a slide bar even whe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is not viewed. It aims to do it.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는, 터치 제스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로부터, 상기 조작 정보를 받고, 상기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선택치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유저 조작 모드를,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에 표시된 표시 부품을 조작하는 제 1 조작 모드 또는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의 전체를 상기 터치 제스처 조작의 접수 영역으로 하는 제 2 조작 모드로 전환하는 조작 모드 전환부와, 상기 제 1 조작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제 1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 2 조작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제 2 처리를 행하는 조작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판정부는, 상기 유저 조작 모드를, 상기 제 1 조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조작 모드로 전환한 후에,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상기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진 위치에, 바와 손잡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바를 표시시키고, 상기 바를 따라 상기 손잡이를 이동시키는 제 2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상기 손잡이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선택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a touch panel that outputs ope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touch gesture operation, and generates a selection valu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Switching the user operation mode in the panel to the first operation mode for operating the display compon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or the second operation mode for setting the entire screen of the touch panel as the reception area of the touch gesture operation. An operation mode switching unit and a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performs a first process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when the first operation mode is set, and performs a second process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when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set. And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sets the user operation mode from the first operation mode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After switching, if a predetermined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a slide bar including a bar and a handle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bar When the second touch gesture operation for moving the handle is performed, the selection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of the handle.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방법은, 터치 제스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로부터, 상기 조작 정보를 받고, 상기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선택치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유저 조작 모드를,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에 표시된 표시 부품을 조작하는 제 1 조작 모드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의 전체를 상기 터치 제스처 조작의 접수 영역으로 하는 제 2 조작 모드로 전환한 후에,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상기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진 위치에, 바와 손잡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바를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손잡이를 이동시키는 제 2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상기 손잡이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선택치를 변경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receiv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a touch panel that outputs ope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touch gesture operation, and generating a selection valu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The user operation mode in the panel is switched from the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display compon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is operated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entire screen of the touch panel is a reception area of the touch gesture operation. Afterwards, if a predetermined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displaying a slide bar including a bar and a handle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When a second touch gesture operation for moving the is performed, the line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of the handle It characterized by having the step of changing values.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진 위치에 슬라이드 바가 표시되고,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을 행한 위치로부터 제 2 터치 제스처 조작을 행함으로써 선택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터치 패널의 화면을 보고 있지 않더라도, 슬라이드 바에 대한 터치 제스처 조작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ide bar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selection value can be changed by performing the second touch gesture operation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is not viewed. Even if it is not, the effect that touch gesture operation with respect to a slide bar can be performed suitably can be acqui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 내지 3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 내지 3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도 3의 스텝 S1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의 화면의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스텝 S3에 있어서의 터치 제스처 조작(2점 터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스텝 S4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의 화면의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스텝 S5에 있어서의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핀치 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스텝 S6~S8에 있어서의 제 2 터치 제스처 조작(상하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스텝 S9에 있어서의 제 3 터치 제스처 조작(핀치 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스텝 S11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의 화면의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스텝 S9, S12~S13에 있어서의 제 4 터치 제스처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3의 스텝 S16~S18에 있어서의 터치 제스처 조작(1점 터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의 형태 2 및 3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에 있어서의 좌우 조작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터치 제스처 조작(좌우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에 있어서의 좌우 조작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터치 제스처 조작(좌우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 of a screen of a touch panel in step S1 of FIG. 3.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gesture operation (two-point touch) in step S3 of FIG. 3.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 of a screen of a touch panel in step S4 of FIG. 3.
FIG. 7: is a figure which shows 1st touch gesture operation (pinch in) in step S5 of FIG.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touch gesture operation (up and down operation) in steps S6 to S8 of FIG. 3.
It is a figure which shows 3rd touch gesture operation (pinch out) in step S9 of FIG.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 of a screen of a touch panel in step S11 of FIG. 3.
It is a figure which shows 4th touch gesture operation in step S9, S12-S13 of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ouch gesture operation (1 point touch) in step S16-S18 of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14 is a flowchart showing left and right operation processing in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touch gesture operations (left and right operations) in FIG. 14.
FIG. 16 is a flowchart showing left and right operation processing in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t is a figure which shows touch gesture operation (left-right operation) in FIG.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터치 입력 판정 방법, 및 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의 형태는, 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apparatus,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which concern 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re demonstrated,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The following embodiment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는, 터치 제스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로부터, 조작 정보를 받고, 이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선택치(출력 정보)를 생성하고, 선택치를 나타내는 선택치 신호를 출력한다.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터치 패널 입력 장치는, 설비 또는 기기에 탑재되고, 선택치를 변경 및 결정하고, 결정된 선택치를 설비 또는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from a touch panel that outputs ope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ouch gesture operation, generates a selection value (output information)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selects the selection value. Outputs the selected value signal indicated. The touch panel input device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can be mounted in a facility or an apparatus, change and determine a selection value, and can provide the determined selection value to a facility or apparatus.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정지 층(목적 층)의 등록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적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음향 기기 및 공장 설비 등과 같은 다른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 the case where a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is applied to the registration device of the stop floor (target floor) in an elevator system is demonstrated, bu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pplication of an elevator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other systems such as acoustic equipment and factory equipment.

《1》 실시의 형태 1.<< 1 >> Embodiment 1.

《1-1》 구성《1-1》 Com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컴퓨터)이더라도 좋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10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10 is a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10 may be a device (computer) capable of executing a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는, 터치 패널(20)에 접속되어 있다. 터치 패널(20)은, 유저 조작에 사용되는 표시 부품(예컨대, 버튼 표시) 등의 조작 화상을 제공하는 표시 패널부(표시 장치)(22)와, 유저에 의한 터치 제스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패널부(입력 장치)(21)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부(22)와 조작 패널부(21)는, 겹쳐 배치됨으로써, 터치 패널(20)의 터치 제스처 조작용의 화면을 구성한다. 단, 터치 패널(20)은,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의 일부이더라도 좋다.As shown in FIG. 1, the touch input determining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touch panel 20. The touch panel 20 includes a display panel unit (display device) 22 that provides an operation image such as a display component (for example, button display) used for user operation, and an operation panel that accepts a touch gesture operation by a user. A unit (input device) 21 is included. The display panel part 22 and the operation panel part 21 arrange | position overlap, and comprise the screen for touch gesture operation of the touch panel 20. FIG. However, the touch panel 20 may be part of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10.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는, 조작 패널부(21)로부터 제공된 조작 정보를 접수하는 조작 정보 입력부(11)와,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와, 정보를 기억하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부(17)와, 소리 출력 장치(예컨대, 스피커)에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부로서의 통지부(18)와, 표시 패널부(22)의 표시 내용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19)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ouch input determining device 10 includes an ope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 that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peration panel unit 21, a control unit 12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ntire apparatus; Display contents of a storage unit 17 such as a semiconductor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a notification unit 18 as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to a sound output device (for example, a speaker), and a display panel unit 22. It is provided with the display control part 19 which controls.

제어부(12)는, 터치 패널(20)에 있어서의 유저 조작 모드를 전환하는 조작 모드 전환부(13)와, 터치 패널(20)로부터 조작 정보 입력부(11)를 통해서 받은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처리를 행하는 조작 판정부(14)를 갖고 있다. 조작 판정부(14)는, 터치 패널(20)에 있어서 조작된 제 1 조작 모드로서의 통상 조작 모드 때(표시 부품이 표시되고 있다)의 터치 제스처 조작을 판정하는 제 1 터치 제스처 판정부(15)와, 터치 패널(20)에 있어서 조작된 제 2 조작 모드로서의 보지 않는 조작 모드 때(터치 패널(20)의 화면 전체를 조작 영역으로 하고 있을 때)의 터치 제스처 조작을 판정하는 제 2 터치 제스처 판정부(16)를 갖고 있다. 여기서, 보지 않는 조작 모드란, 터치 패널(20)을 보지 않더라도 터치 제스처 조작이 가능한 모드를 의미하고, 유저가 터치 패널(20)의 화면을 실제로 보고 있는지 보고 있지 않은지는 관계가 없다.The control unit 12 processes the operation based on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unit 13 for switching the user operation mode in the touch panel 20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ouch panel 20 through the ope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 It has the operation determination part 14 which performs the following. The operation determination part 14 is the 1st touch gesture determination part 15 which determines the touch gesture operation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display component is displayed) as a 1st operation mode operated by the touch panel 20. FIG. And a second touch gesture plate for determining the touch gesture operation in the invisible operation mode (when the entir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is the operation area) as the second operation mode operated in the touch panel 20. Has a government (16). Here, the invisible operation mode means a mode in which a touch gesture operation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touch panel 20 is not viewed,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actually sees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or not.

조작 정보 입력부(11)는, 터치 패널(20)의 조작 패널부(21)로부터 출력된 조작 정보를 받고, 이것을 제어부(12)에 제공한다.The ope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 receives oper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operation panel unit 21 of the touch panel 20 and provides this to the control unit 12.

조작 모드 전환부(13)는, 터치 패널(20)에 있어서의 유저 조작 모드를, 터치 패널(20)의 화면에 표시된 표시 부품을 조작하는 제 1 조작 모드 또는 터치 패널(20)의 화면의 전체를 터치 제스처 조작의 접수 영역으로 하는 제 2 조작 모드로 전환한다. 전환은, 예컨대, 터치 패널(20)에 있어서의 유저 조작을 계기로 행하여진다. 예컨대, 조작 모드 전환부(13)는, 터치 패널(20)로부터 받은 조작 정보인 터치 좌표 정보가, 2개의 손가락을 터치 패널(20)의 화면에 접촉시키는 2점 터치(후술하는 도 5에 나타내어진다)일 때에, 유저 조작 모드를, 제 1 조작 모드로부터 제 2 조작 모드로 전환한다. 제 2 조작 모드에 있어서, 2개의 손가락의 간격을 좁게 하는 조작인 핀치 인(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터치 패널(20)의 화면에는, 핀치 인이 행하여진 위치에 슬라이드 바(후술하는 도 7에 나타내어진다)가 표시된다.The operation mode switching unit 13 controls the user operation mode in the touch panel 20 in the fir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display compon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is operated or the entir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Is switched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re the reception area of the touch gesture operation is set. Switching is performed by the user operation in the touch panel 20, for example. For example,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unit 13 is a two-point touch (in FIG. 5 to be described later) in which touch coordinate information that is ope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ouch panel 20 contacts two fingers with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Is changed, the user operation mode is switched from the first operation mode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pinch in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which is an operation of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two fingers, is performed, a slide bar (described lat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at the position where pinch in is performed. Is shown in Fig. 7).

조작 판정부(14)의 제 1 터치 제스처 판정부(15)는, 조작 모드 전환부(13)에 의해 제 1 조작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터치 패널(20)로부터 제공되는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제 1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 1 터치 제스처 판정부(15)는, 터치 패널(20)로부터 제공된 터치 제스처 조작에 근거하는 조작 정보로부터, 제 1 조작 모드(통상 조작 모드) 때의 터치 제스처 조작인 버튼 터치 제스처 조작(표시 부품으로서의 버튼에 대한 터치 제스처 조작이고, 후술하는 도 12에 나타내어진다)의 내용을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The first touch gesture determination unit 15 of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14 is configur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ouch panel 20 when the first operation mode is set by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unit 13. 1 processing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first touch gesture determination unit 15 uses a button touch gesture that is a touch gesture operation in the first operation mode (normal operation mode) from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touch gesture operation provided from the touch panel 20. The content of the operation (which is a touch gesture operation on a button as a display component and shown in FIG. 12 described later) is determined, and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s output.

조작 판정부(14)의 제 2 터치 제스처 판정부(16)는, 조작 모드 전환부(13)에 의해 제 2 조작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터치 패널(20)로부터 제공되는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제 2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 2 터치 제스처 판정부(16)는, 유저 조작 모드가, 제 1 조작 모드로부터 제 2 조작 모드로 전환된 후에, 터치 패널(20)의 화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예컨대, 핀치 인)이 행하여지면,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진 위치에 슬라이드 바를 표시시킨다. 제 2 터치 제스처 판정부(16)는, 슬라이드 바의 손잡이를 이동(슬라이드)시키는 제 2 터치 제스처 조작("슬라이드 바 제스처 조작"이라고도 하고, 후술하는 도 8에 나타내어진다)이 행하여지면, 손잡이의 이동량에 따라 선택치(조작 결과 정보)를 변경한다.The second touch gesture determination unit 16 of the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14 is configur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ouch panel 20 when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set by the operation mode switching unit 13. 2 The process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second touch gesture determination unit 16 includes a first predetermined predetermined position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after the user operation mode is switched from the first operation mode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When a touch gesture operation (for example, pinch in) is performed, the slide bar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second touch gesture determination unit 16 performs a second touch gesture operation (also referred to as " slide bar gesture operation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8) to move (slide) the handle of the slide bar, the second touch gesture determination unit 16 The selection value (operation result information)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amount.

이와 같이,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는,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예컨대, 핀치 인)이 행하여진 위치에 바와 손잡이(노브)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바가 표시되고,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을 행한 위치(후술하는 도 7에 나타내어진다)로부터 제 2 터치 제스처 조작(손잡이를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조작이고, 후술하는 도 8에 나타내어진다)을 행함으로써 선택치(예컨대, 엘리베이터의 정지 층)를 변경(설정)할 수 있으므로, 유저는 터치 패널(20)의 화면을 보고 있지 않더라도, 슬라이드 바에 대한 터치 제스처 조작을 용이하고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slide bar including a bar and a knob is displayed at a position where a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for example, pinch in) is performed, and the first Selected value (for example, by performing a second touch gesture operation (an up / down operation for moving the handle up or down and shown in FIG. 8 to be described later) from the position where the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shown in FIG. 7 to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stop floor of the elevator can be changed (set), the user can easily and appropriately perform touch gesture operation on the slide bar even without viewing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도 2는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는, 소프트웨어로서의 프로그램(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장치로서의 메모리(42)와, 메모리(4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인 프로세서로서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41)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메모리(42)는, 도 1에 있어서의 기억부(17)에 대응한다. 또한,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는, 터치 패널(20)의 조작 패널부(21)와 CPU(41)의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터치 인터페이스(43)(도 1의 조작 정보 입력부(11)에 대응한다)와, 터치 패널(20)의 표시 패널부(22)와 CPU(41)의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표시 인터페이스(44)(도 1의 표시 제어부(19)에 대응한다)와, 스피커 등의 소리 출력 장치와 CPU(41)의 사이의 통신을 중개하는 소리 출력 인터페이스(45)(도 1에 있어서의 통지부(18)에 대응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의 CPU(41)는, 메모리(42)에 저장되어 있는 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부(12)의 각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2,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10 executes a memory 42 a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program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as software and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42.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41 as a processor, which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The memory 42 shown in FIG. 2 corresponds to the storage unit 17 in FIG. 1. In addition,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10 includes a touch interface 43 (ope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1 in FIG. 1) that mediates communication between the operation panel unit 21 and the CPU 41 of the touch panel 20. And a display interface 44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control unit 19 in FIG. 1) for media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play panel unit 22 and the CPU 41 of the touch panel 20, A sound output interface 45 (corresponding to the notification unit 18 in FIG. 1) is provided to medi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nd output device such as a speaker and the CPU 41. The CPU 41 in FIG. 2 can implement each structure of the control part 12 by executing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42.

《1-2》 동작《1-2》 Operation

도 3은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12는 터치 패널(20)의 화면 및 유저가 행하는 터치 제스처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to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and touch gesture operations performed by the user.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는,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20)에 접속되고, 엘리베이터의 정지 층(선택치)을 선택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탑재된다.As shown in FIG. 4,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apparatus 10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is connected to the touch panel 20, and is mounted i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for selecting the stop floor (selected value) of an elevator. do.

도 3의 스텝 S1에 있어서,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가 탑재된 시스템의 기동 때에는, 제어부(12)는, 표시 부품을 조작 대상으로 하는 제 1 조작 모드(통상 조작 모드)이고,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20)의 화면에는, 표시 부품으로서의 버튼이 표시된다. 도 4의 예에서는, 1층으로부터 30층까지를 나타내는 수치(선택치의 후보)가 할당된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7층과 15층이 정지 층(즉, 정지 예정의 층)으로서 이미 선택되어, 강조 표시(예컨대, 휘도의 강조 표시 또는 색의 변경 표시)되어 있다.In step S1 of FIG. 3, when the system in which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apparatus 10 is mounted is started, the control part 12 is a 1st operation mode (normal operation mode) which makes a display component an operation object, and is shown in FIG. As shown, a button as a display compon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In the example of FIG. 4, the button to which the numerical value (a candidate of a selection value) which shows from 1st floor to 30th floor is assigned is displayed. In addition, in the example of FIG. 4, the seventh and fifteenth layers are already selected as the stop layer (i.e., the layer to be stopped), and are highlighted (for example, highlighted or changed in color).

다음의 스텝 S2에 있어서, 제어부(12)는, 터치 패널(20)에 있어서의 터치 제스처 조작의 입력 대기 상태가 되고,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처리는 스텝 S3으로 진행된다.In following step S2, the control part 12 will be in the input waiting state of the touch gesture operation in the touch panel 20, and if a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a process will progress to step S3.

다음의 스텝 S3에 있어서, 제어부(12)는, 터치 패널(20)로부터 취득한 터치 위치 좌표에 근거하여, 조작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터치 제스처 조작인 2점 터치(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손(51)의 2개의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조작)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2점 터치에 사용하는 손가락은, 어느 손가락이더라도 좋다. 또한, 터치 위치(61, 62)도, 도 5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조작은, 조작 모드 전환을 위한 터치 제스처 조작으로서 식별 가능한 것이면, 3점 터치 또는 회전 조작 등과 같은 다른 터치 제스처 조작이더라도 좋다.In following step S3, the control part 12 is a two-point touch (as shown in FIG. 5) which is a touch gesture operation for switching an operation mode based on the touch position coordinate acquired from the touch panel 20. As shown in FIG. The operation of touching with two fingers of (51). The finger used for the two-point touch may be any finger. In addition, the touch positions 61 and 62 are also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FIG. This operation may be another touch gesture operation such as a three-point touch or a rotation operation as long as it can be identified as a touch gesture operation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2점 터치 있음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3에 있어서 예),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4로 진행시키고, 터치 패널(20)의 화면의 버튼을 비표시로 하고,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의 바(71)를 표시한다. 도 6의 예에서는, 바(71)는, 터치 패널(20)의 화면의 미리 결정된 방향인 제 1 방향, 즉, 세로 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바(71)가 표시되는 타이밍은, 스텝 S4보다 늦은 타이밍(예컨대, 스텝 S6)이더라도 좋다. 또한, 바(71)의 연장 방향은, 가로 방향(수평 방향) 등과 같은 다른 방향으로 설정되더라도 좋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two-point touch (YES in step S3), the control unit 12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4, sets the button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to be non-displayed, and is shown in FIG. As shown, the bar 71 of the slide bar is displayed. In the example of FIG. 6, the bar 71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a vertical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which is a predetermined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The timing at which the bar 71 is displayed may be a timing later than step S4 (for example, step S6). In additio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ar 71 may be set to another direction, such as a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다음의 스텝 S5에 있어서, 제어부(12)는, 터치 패널(20)의 화면에 있어서의 임의 위치에서,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2개의 손가락으로,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으로서의 핀치 인이 행하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은, 터치 패널(20)의 화면에 있어서의 위치를 지정 가능한 조작(예컨대, 1개의 손가락에 의한 더블 탭 또는 1개의 손가락에 의한 길게 누르기 등)이면, 다른 터치 제스처 조작이더라도 좋다.In following step S5, the control part 12 performs pinch-in as 1st touch gesture operation with two fingers as shown in FIG. 7 in arbitrary positions on the screen of the touchscreen 20, Determine whether or not you lose. Moreover, if the 1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operation which can designate the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for example, double tap by one finger or long press by one finger etc.), another touch gesture operation will be carried out. It may be.

핀치 인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스텝 S5에 있어서 아니오)에는,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4로 되돌리고, 터치 패널(20)의 화면에,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바(71)를 표시시켜, 핀치 인이 행하여지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When pinch-in is not performed (NO in step S5), the control part 12 returns a process to step S4, and the bar 71 of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is shown in FIG. Is displayed, and the standby state is waiting for pinch-in to be performed.

핀치 인이 행하여진 경우(스텝 S5에 있어서 예)에는,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6으로 진행시키고, 터치 패널(20)의 화면에,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바(71)와 손잡이(72)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바를 표시시킨다. 또한,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현재의 층의 표시(도 7에서는 "1층") 등을 표시하더라도 좋다.When pinch-in is performed (YES in step S5), the control part 12 advances a process to step S6, and the bar 71 is shown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as shown in FIG. And a slide bar including the handle 72.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display of the current layer ("first floor" in FIG. 7) or the like may be displayed.

다음의 스텝 S7에 있어서, 제어부(12)는, 손잡이(72)를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터치 제스처 조작으로서의, 손잡이(72)의 상하 조작, 즉, 손잡이(72)를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조작이 행하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following step S7, the control part 12 moves up and down of the handle 72, ie, the handle 72 up or down as a 2nd touch gesture operation which moves the handle 72 to a 1st direc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ag operation to move has been performed.

손잡이(72)의 상하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스텝 S7에 있어서 아니오)에는,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6으로 되돌리고, 터치 패널(20)의 화면에,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바(71)와 손잡이(72)를 표시시켜, 상하 조작이 행하여지는 것을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When the up-down operation of the handle 72 is not performed (NO in step S7), the control unit 12 returns the processing to step S6, as shown in FIG. 7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The bar 71 and the handle 72 are displayed, and the standby state waits for the up / down operation to be performed.

손잡이(72)를 손가락으로 사이에 두도록 하여 손가락을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스텝 S7에 있어서 예)에는,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8로 진행시키고, 손잡이(72)의 이동량에 따른 변화량을 이용하여, 현재의 선택치(정지 층)를 변경하기 위한 계산을 행한다.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는, 핀치 인을 행한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하여, 이 기준 위치로부터 노브(72)를 위로 이동시키면, 선택치는 이동량에 따른 값만큼 증가하고, 기준 위치로부터 노브(72)를 아래로 이동시키면, 선택치는 이동량에 따른 값만큼 감소한다.When the up-and-down operation of moving the finger up or down with the handle 72 between the fingers is performed (YES in step S7), the control unit 12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8, and the handle Using the chan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amount of 72, a calculation for changing the current selection value (stop layer)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8, in Embodiment 1, when the position which pinched in was made into the reference position, and moving the knob 72 up from this reference position, a selection value will increase by the value according to a movement amount, and a reference | standard When the knob 72 is moved downward from the position, the selection value decreases by a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다음의 스텝 S9에 있어서, 제어부(12)는, 손잡이(72)의 이동 완료 때의 위치에서,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3 터치 제스처 조작으로서의 핀치 아웃이 행하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 제 3 터치 제스처 조작은, 터치 패널(20)의 화면에 있어서의 손잡이(72)의 이동 완료를 지정 가능한 조작(예컨대, 1개의 손가락에 의한 더블 탭 또는 1개의 손가락에 의한 길게 누르기 등)이면, 다른 터치 제스처 조작이더라도 좋다.In following step S9, the control part 12 determines whether pinch-out as a 3rd touch gesture operation was performed, as shown in FIG. 9, in the position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handle 72.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3rd touch gesture operation is operation which can designate the completion | movement of the movement of the handle 72 i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for example, double tap by one finger or long press by one finger etc.). In this case, other touch gesture operations may be used.

핀치 아웃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스텝 S9에 있어서 아니오)에는,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12로 진행시키고, 터치 패널(20)의 화면으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조작인 터치 릴리스가 행하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 릴리스가 행하여진 경우(스텝 S12에 있어서 예)에는,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13으로 진행시키고,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변경된 선택치(정지 층)를 캔슬하여, 선택치를 변경 전의 값으로 되돌린다. 터치 릴리스가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스텝 S12에 있어서 아니오)에는,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9로 되돌린다.If pinch-out is not performed (NO in step S9), the control unit 12 advances the process to step S12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uch release, which is an operation of removing a finger from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has been performed. To judge. When touch release is performed (YES in step S12), the control part 12 advances a process to step S13, and cancels the changed selection value (stop layer) as shown in FIG. Returns the value before the change. When touch release is not performed (NO in step S12), the control part 12 returns a process to step S9.

핀치 아웃이 행하여진 경우(스텝 S9에 있어서 예)에는,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10으로 진행시키고, 터치 릴리스가 행하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 릴리스가 행하여진 경우(스텝 S10에 있어서 예)에는,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11로 진행시키고, 변경된 선택치(정지 층)를 새로운 선택치로 결정한다. 터치 릴리스가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스텝 S10에 있어서 아니오)에는,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5로 되돌린다. 또, 제어부(12)는, 새로운 선택치(정지 층)가 결정된 것을, 통지부(18)를 통해서 음성으로 출력시키더라도 좋다.When pinch out is performed (YES in step S9), the control part 12 advances a process to step S10, and determines whether touch release was performed. When touch release is performed (YES in step S10), the control part 12 advances a process to step S11, and determines the changed selection value (stop layer) as a new selection value. When touch release is not performed (NO in step S10), the control part 12 returns a process to step S5.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 may output the voice of the new selection value (stop layer) determined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18.

또한, 스텝 S3에 있어서, 제어부(12)는, 2점 터치가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처리를 스텝 S16으로 진행시키고, 도 12에 터치 위치(63)로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1점 터치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addition, in step S3, when determining that there is no two-point touch, the control part 12 advances a process to step S16, and as shown as the touch position 63 in FIG. 12, was there one-point touch? Determine whether or not.

1점 터치가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스텝 S16에 있어서 아니오)에는,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2로 되돌리고, 터치 제스처 조작의 접수를 기다리는 대기 상태가 된다.If one-point touch is not performed (NO in step S16), the control unit 12 returns the processing to step S2 and enters a waiting state waiting for reception of the touch gesture operation.

1점 터치가 행하여진 경우(스텝 S16에 있어서 예)에는, 제어부(12)는, 스텝 S17에 있어서, 터치 릴리스가 행하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 릴리스가 행하여진 경우(스텝 S17에 있어서 예)에는,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18로 진행시키고, 변경된 선택치(정지 층)를 새로운 선택치로 결정한다. 터치 릴리스가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스텝 S10에 있어서 아니오)에는, 제어부(12)는, 처리를 스텝 S2로 되돌린다.When 1-point touch is performed (YES in step S16), the control part 12 determines whether touch release was performed in step S17. When touch release is performed (YES in step S17), the control part 12 advances a process to step S18, and determines the changed selection value (stop layer) as a new selection value. When touch release is not performed (NO in step S10), the control part 12 returns a process to step S2.

《1-3》 효과《1-3》 effect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10), 터치 입력 판정 방법, 및 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에 의하면, 터치 패널(20)의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서, 도 3의 스텝 S5 및 도 7에 나타내어지는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으로서의 핀치 인을 행하면, 바(71)와 손잡이(72)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바가 표시되고, 손잡이(7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고 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손잡이(72)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에 따라, 선택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터치 패널(20)의 화면을 보고 있지 않더라도, 터치 패널(20)의 화면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에 대한 터치 제스처 조작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10,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isplay panel of FIG. 3 is located at any position of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When pinch-in is performed as the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shown in Step S5 and FIG. 7, a slide bar including the bar 71 and the handle 72 is displayed to move the handle 72 upward and downward. Thereby, the selection value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moving amount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handle 72. For this reason, even if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is not seen, the effect that a touch gesture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slide bar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can be performed suitably can be acquired.

또한, 터치 패널(20)에 있어서의 선택 개시로부터 선택 종료까지의 터치 제스처 조작(스텝 S5~S9)이, 손잡이의 이동에 의한 조작이기 때문에, 유저가 명시적으로 조작을 나타낼 수 있고, 선택 오류를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ouch gesture operations (steps S5 to S9) from the start of selection to the end of selection in the touch panel 20 are operations by movement of the handle, the user can express the operation explicitly, and selection error Can be reduced.

《2》 실시의 형태 2.<< 2 >> Embodiment 2.

《2-1》 구성<< 2-1 >> composition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바는, 상하 방향(제 1 방향)으로 연장된 1개의 바(71)를 포함하고, 손잡이(72)는, 1개의 바(71) 상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조작 판정부(14)는, 손잡이(72)의 상하 방향의 이동의 이동량에 따른 변화량을 이용하여, 현재의 선택치를 변경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slide bar includes one bar 7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irst direction), and the handle 72 moves one bar 71 on the vertical direction. Then, the operation determination part 14 changed the present selection value using the change amount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of the movement of the handle 72 in the up-down direction.

그러나, 선택치가 큰 값이고, 선택치의 자릿수가 복수 자리인 경우에는, 1개의 바(71) 상에 있어서의 손잡이(72)의 이동만으로는, 선택치를 변경하는 조작에 요하는 시간이 길다.However, when the selection value is a large value and the number of digits of the selection value is plural, the time required for the operation for changing the selection value is long only by the movement of the handle 72 on one bar 71.

그래서,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터치 입력 판정 방법, 및 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바는, 상하 방향(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바를 갖고, 복수 개의 바는, 선택치의 자리마다의 수(예컨대, 1의 자리의 수, 10의 자리의 수, 100의 자리의 수)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저는, 손잡이를, 제 1 방향에 교차(예컨대,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복수 개의 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손잡이의 제 1 방향의 이동에 따라, 복수 개의 바 중 선택된 바에 대응하는 자리의 수를 변경한다.Therefore, in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lide bar has a plurality of bar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irst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bars Is used to change the number of digits per selection value (e.g., the number of 1 digits, the number of 10 digits, the number of 100 digits).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bars by moving the handle in a second direction crossing (eg,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corresponds to the selected bar among the plurality of bar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direction of the handle. Change the number of seats.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의 구성은, 제어부(12)의 제어 내용을 제외하고, 실시의 형태 1의 것과 같다. 이 때문에, 실시의 형태 2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1을 참조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control contents of the control unit 12. For this reason, in description of Embodiment 2, reference is made to FIG.

《2-2》 동작《2-2》 Operation

도 13은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 도 3(실시의 형태 1)의 처리 스텝과 동일한 내용의 처리 스텝에는, 도 3의 스텝 번호와 동일한 스텝 번호가 부여된다.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실시의 형태 2의 동작은, 스텝 S14 및 S15의 손잡이 좌우 조작 및 좌우 조작 처리가 추가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어지는 실시의 형태 1의 동작과 상위하다. 이 상위점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동작은, 도 3의 것과 마찬가지이다.13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FIG. 13, the same step number as the step number of FIG. 3 is attached to the process step of the same content as the process step of FIG. 3 (Embodiment 1). The operation of Embodiment 2 shown in FIG. 13 differs from the operation of Embodiment 1 shown in FIG. 3 in that the handle left and right operation and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processing of Steps S14 and S15 are added. About points other than this difference, the operation | movement shown in FIG. 13 is the same as that of FIG.

도 14는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에 있어서의 좌우 조작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도 14의 스텝 S151에 있어서의 터치 제스처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4 is a flowchart showing left and right operation processing in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touch gesture operation in step S151 of FIG. 14.

도 1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바의 바(81)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내지 제 n 바 부분을 포함한다.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이다. 도 15에는, n=3의 경우, 즉, 제 1 방향의 서로 평행한 3개의 바 부분이 나타내어지고 있다.As shown in FIG. 15, in Embodiment 2, the bar 81 of the slide bar includes the 1st-nth bar part extended in a 1st direction. Here, n is a positive integer. In Fig. 15, three bar portion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case of n = 3,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are shown.

선택치는, 1번째의 자리의 수로부터 n번째의 자리의 수까지에 의해 구성되는 n자리의 수치이다. n=3의 경우에는, 선택치는, 1의 자리의 수(1번째의 자리의 수), 10의 자리의 수(2번째의 자리의 수), 100의 자리의 수(3번째의 자리의 수)로 표현된다.The selection value is an n-digit numerical value comprised from the number of 1st digits to the number of nth digits. In the case of n = 3, the selection value is the number of one digit (the first digit), the number of the ten digits (the number of the second digit), the number of the hundred digits (the number of the third digit )

제 1 내지 제 n 바 부분은, 1번째의 자리의 수로부터 n번째의 자리의 수까지의 변경에 각각 사용된다. 즉, 도 15의 예에서는, 가장 좌측의 바 부분(n=1)은, 선택치의 1의 자리의 수의 증감에 사용되고, 중앙의 바 부분(n=2)은, 선택치의 10의 자리의 수의 증감에 사용되고, 가장 우측의 바 부분(n=3)은, 선택치의 100의 자리의 수의 증감에 사용된다.The first to nth bar portions are used for changing from the number of the first digit to the number of the n th digit, respectively. That is, in the example of FIG. 15, the leftmost bar portion (n = 1) is used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1 digits of the selection value, and the center bar portion (n = 2) is the number of 10 digits of the selection value. The rightmost bar portion (n = 3) is us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100 digits of the selection value.

도 13의 스텝 S14에 있어서, 제어부(12)의 조작 판정부(14)는, 손잡이(82)의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이동에 따라, 제 1 내지 제 n 바 부분 중 제 k 바 부분을 선택하고(k는, 1 이상 n 이하의 임의의 정수), 도 13의 스텝 S15(도 14의 스텝 S151)에 있어서, 손잡이(82)의 제 1 방향의 이동량에 따라, 선택된 제 k 바 부분에 대응하는 k번째의 자리의 수를 변경한다. 도 15에서는, 제 2 방향은,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지만, 제 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이면, 직교하고 있지 않더라도 좋다.In step S14 of FIG. 13, the operation determination part 14 of the control part 12 is kth from 1st thru | or nth bar par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2nd direction which cross | intersects the 1st direction of the knob 82. FIG. The bar portion is selected (k is an arbitrary integer of 1 or more and n or less), and in step S15 (step S151 in FIG. 14) in FIG. 13, the k-th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amount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handle 82 is selected. Changes the number of kth digits corresponding to the bar portion. In FIG. 15, although the 2nd direction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a 1st direction, if it is a direction different from a 1st direction, it may not be orthogonal.

《2-3》 효과《2-3》 effect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터치 입력 판정 방법, 및 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에 의하면, 터치 패널(20)의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서, 바(81)와 손잡이(82)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바가 표시된 후에, 손잡이(82)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조작을 행함으로써, 선택치의 몇 번째의 자리의 수를 변경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100의 자리의 값(0으로부터 9까지의 정수)을 직접 지정하고, 10의 자리의 값(0으로부터 9까지의 정수)을 직접 지정하고, 1의 자리의 값(0으로부터 9까지의 정수)을 직접 지정함으로써, 선택치를 변경할 수 있고, 터치 패널(20)의 화면을 보고 있지 않더라도, 터치 패널(20)의 화면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에 대한 터치 제스처 조작을 적절히 행할 수 있고, 신속히 선택치를 변경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determining apparatus, the touch input determining method, and the touch input determining progr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bar 81 and the handle at arbitrary positions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After the slide bar including the 82 is displayed, the number of seats of the selected value can be selected by changing the left and right operations of moving the knob 8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this reason, for example, the value of the hundredth digit (an integer from 0 to 9) is directly specified, the value of the tenth digit (an integer from 0 to 9) is directly specified, and the value of the one digit (0 to 9) is specified. By directly assigning a constant up to), the selection value can be changed, and even if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is not viewed, the touch gesture operation on the slide bar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and the selection can be made quickly. Value can be changed.

또, 상기 이외의 점에 대하여, 실시의 형태 2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In addition, about the point of that excepting the above, Embodiment 2 is the same as Embodiment 1.

《3》 실시의 형태 3.<< 3 >> Embodiment 3.

《3-1》 구성<< 3-1 >> composition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는, 선택치가 큰 값인 경우에는, 선택치를 변경하는 조작에 요하는 시간이 길다. 그래서,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터치 입력 판정 방법, 및 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바는, 상하 방향(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바를 갖고, 복수 개의 바는, 손잡이의 제 1 방향의 이동량에 대한 선택치의 변화량의 비율인 변화율(분해능)로서, 서로 상이한 값이 설정되어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selection value is a large value, the time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selection value is long. Therefore, in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apparatus,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slide bar has a plurality of bar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irst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ba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the rate of change (resolution) which is the ratio of the amount of change of the selection value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handle in the first direction.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의 구성은, 제어부(12)의 제어 내용을 제외하고, 실시의 형태 1 및 2의 것과 동일하다. 이 때문에, 실시의 형태 3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13을 참조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except for the control contents of the control unit 12. For this reason, in description of Embodiment 3, reference is made to FIG. 1 and FIG.

《3-2》 동작《3-2》 Operation

도 16은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에 있어서의 좌우 조작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도 16의 스텝 S152에 있어서의 터치 제스처 조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6 is a flowchart showing left and right operation processing in the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gesture operation in step S152 of FIG. 16.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바의 바(91)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내지 제 n 바 부분을 포함한다. 도 17에는, n=3의 경우, 즉, 제 1 방향의 서로 평행한 3개의 바 부분이 나타내어지고 있다.As shown in FIG. 17, in the third embodiment, the bar 91 of the slide bar includes first to nth bar portion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In Fig. 17, three bar portion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case of n = 3,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are shown.

제 1 내지 제 n 바 부분은, 손잡이(92)의 제 1 방향의 이동량에 대한 선택치의 변화량의 비율인 변화율(분해능)로서, 서로 상이한 제 1 내지 제 n 변화율(분해능)이 할당되어 있다. 도 17의 예에서는, 가장 좌측(n=1)의 바 부분에서는, 단위 이동량당 증가량이 +1이고, 단위 이동량당 감소량이 -1이고, 중앙의 바 부분(n=2)에서는, 단위 이동량당 증가량이 +5이고, 단위 이동량당 감소량이 -5이고, 가장 우측의 바 부분(n=3)에서는, 단위 이동량당 증가량이 +10이고, 단위 이동량당 감소량이 -10이다.The first to nth bar parts are assigned to the first to nth change rates (resolutions)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change rate (resolution) which is a ratio of the change amount of the selection value to the movement amount of the handle 92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example of FIG. 17, the increase amount per unit movement amount is +1, the decrease amount per unit movement amount is -1 in the leftmost part (n = 1), and per unit movement amount in the center bar part (n = 2). The increase amount is +5, the decrease amount per unit movement amount is -5, and in the rightmost bar portion (n = 3), the increase amount per unit movement amount is +10, and the decrease amount per unit movement amount is -10.

도 13의 스텝 S14에 있어서, 제어부(12)의 조작 판정부(14)는, 손잡이(92)의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이동에 따라, 제 1 내지 제 n 바 부분 중 제 k 바 부분을 선택하고(k는, 1 이상 n 이하의 임의의 정수), 도 13의 스텝 S15(도 16의 스텝 S152)에 있어서, 손잡이(92)의 제 1 방향의 이동량과, 선택된 제 k 바 부분에 대응하는 변화율(분해능)을 이용하여 선택치를 변경한다.In step S14 of FIG. 13, the operation determination part 14 of the control part 12 is kth from 1st thru | or nth bar par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2nd direction which cross | intersects the 1st direction of the handle 92. FIG. The bar portion is selected (k is an arbitrary integer of 1 or more and n or less), and in step S15 (step S152 of FIG. 16) in FIG. 13, the movement amount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handle 92 and the selected k-th bar The selection value is changed using the rate of change (resolution) corresponding to the part.

《3-3》 효과《3-3》 effect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터치 입력 판정 방법, 및 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에 의하면, 터치 패널(20)의 화면의 임의의 위치에서, 바(91)와 손잡이(92)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바가 표시된 후에, 손잡이(92)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조작을 행함으로써, 선택치의 변경에 사용하는 바 부분을 선택한다. 이 때문에, 예컨대, 선택치를 조금 변경하는 경우에는, 가장 좌측의 바 부분에서 상하 조작을 행하고, 선택치를 중간 정도의 분해능으로 증감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중앙의 바 부분에서 상하 조작을 행하고, 선택치를 크게 변경한 경우에는, 가장 우의 바 부분에서 상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터치 패널(20)의 화면을 보고 있지 않더라도, 터치 패널(20)의 화면에 표시된 슬라이드 바에 대한 터치 제스처 조작을 적절히 행할 수 있고, 신속히 선택치를 변경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determining apparatus, the touch input determining method, and the touch input determining progra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bar 91 and the handle at arbitrary positions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After the slide bar containing 92 is displayed, the bar part used for changing a selection value is selected by performing left-right operation which moves the handle 92 to a horizontal direction. For this reason, for example, when the selection value is slightly changed, the up and dow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leftmost bar portion, and when the selection value is to be increased or decreased with a medium resolution, the up and dow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central bar portion to increase the selection value. In the case of a change, the vertical operation can be performed at the rightmost bar portion. By such an operation, even if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is not viewed, the touch gesture operation on the slide bar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20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and the selection value can be changed quickly.

또, 상기 이외의 점에 대하여, 실시의 형태 3은, 실시의 형태 1 또는 2와 동일하다.In addition, about the point of that excepting the above, Embodiment 3 is the same as Embodiment 1 or 2.

10 : 터치 입력 판정 장치
11 : 조작 정보 입력부
12 : 제어부
13 : 조작 모드 전환부
14 : 조작 판정부
15 : 제 1 터치 제스처 판정부
16 : 제 2 터치 제스처 판정부
17 : 기억부
18 : 통지부
19 : 표시 제어부
20 : 터치 패널
21 : 조작 패널부
22 : 표시 패널부
41 : CPU
42 : 메모리
10: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11: opera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 control unit
13: operation mode switching unit
14: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15: first touch gesture determination unit
16: second touch gesture determination unit
17: memory
18: notification unit
19: display control unit
20: touch panel
21: operation panel
22: display panel portion
41: CPU
42: memory

Claims (9)

터치 제스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로부터, 상기 조작 정보를 받고, 상기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선택치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로서,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유저 조작 모드를,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에 표시된 표시 부품을 조작하는 제 1 조작 모드 또는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의 전체를 상기 터치 제스처 조작의 접수 영역으로 하는 제 2 조작 모드로 전환하는 조작 모드 전환부와,
상기 제 1 조작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제 1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 2 조작 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상기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제 2 처리를 행하는 조작 판정부
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판정부는, 상기 유저 조작 모드가, 상기 제 1 조작 모드로부터 상기 제 2 조작 모드로 전환된 후에,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상기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진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와 손잡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바를 표시시키고, 상기 손잡이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 1 방향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선택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A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that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a touch panel that outputs ope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touch gesture operation, and generates a selection valu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The user operation mode in the touch panel is a first operation mode for operating a display component displayed on a screen of the touch panel or a second operation mode in which the entire screen of the touch panel is a reception area of the touch gesture operation. Operation mode change over part to change,
An operation determination unit that performs a first process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when the first operation mode is set, and performs a second process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when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set.
And
The said operation determination part, when a predetermined 1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arbitrary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said touch panel after the said user operation mode is switched from the said 1st operation mode to the said 2nd operation mode, the said 1st When the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a slide bar including a bar extending in the first predetermined direction is displayed and a second touch gesture operation for moving the handle in the first direction is performed. Changing the selection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amount in the first direction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판정부는, 상기 제 2 터치 제스처 조작 후에, 미리 결정된 제 3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변경된 상기 선택치를 새로운 선택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changed selection value as a new selection value when a predetermined third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second touch gesture oper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판정부는, 상기 제 2 터치 제스처 조작 후에, 미리 결정된 제 4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변경된 상기 선택치를 캔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cancels the changed selection value when a predetermined fourth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second touch gesture operation.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은, 상기 화면 상에서 간격을 좁히도록 2개의 손가락을 움직이게 하는 핀치 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r 3,
And the first touch gesture manipulation comprises pinch-in for moving two fingers to narrow the gap on the screen.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터치 제스처 조작은, 상기 화면 상에서 간격을 넓히도록 2개의 손가락을 움직이게 하는 핀치 아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the third touch gesture operation comprises a pinch-out for moving two fingers to widen the interval on the screen.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내지 제 n 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치는, 1번째의 자리의 수로부터 n번째의 자리의 수까지에 의해 구성되는 n자리의 수치이고,
n은, 양의 정수이고,
k는, 1 이상 n 이하의 임의의 정수이고,
상기 제 1 내지 제 n 바 부분은, 상기 1번째의 자리의 수로부터 상기 n번째의 자리의 수까지의 변경에 각각 사용되고,
상기 조작 판정부는,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n 바 부분 중 제 k 바 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 1 방향의 이동량에 따라, 선택된 상기 제 k 바 부분에 대응하는 k번째의 자리의 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bar includes first to n th bar portion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he said selection value is the n-digit numerical value comprised from the number of 1st digit to the number of nth digit,
n is a positive integer,
k is an arbitrary integer of 1 or more and n or less,
The first to nth bar portions are used for changing from the number of the first digit to the number of the n th digit, respectively.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selects a k-th bar portion among the first to n-th bar portion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of the handle, and determines the movement amount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handle. Accordingly, the number of kth digi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th bar portion is changed.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내지 제 n 바 부분을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고,
k는, 1 이상 n 이하의 임의의 정수이고,
상기 제 1 내지 제 n 바 부분은,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 1 방향의 이동량에 대한 상기 선택치의 변화량의 비율인 변화율로서, 서로 상이한 제 1 내지 제 n 변화율이 할당되고,
상기 조작 판정부는,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 1 방향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n 바 부분 중 제 k 바 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 1 방향의 이동량에 따라, 선택된 상기 제 k 바 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제 k 변화율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판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bar includes first to n th bar portion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n is a positive integer,
k is an arbitrary integer of 1 or more and n or less,
The first to n-th bar portions are change rates that are ratios of change amounts of the selection value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amount of the hand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different first to nth change rates are assigned to each other.
The operation determining unit selects a k-th bar portion among the first to n-th bar portion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of the handle, and determines the movement amount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handle. Accordingly, the selection value is changed by using the k th rate of chan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 th bar portion.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터치 제스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로부터, 상기 조작 정보를 받고, 상기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선택치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 판정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유저 조작 모드를,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에 표시된 표시 부품을 조작하는 제 1 조작 모드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의 전체를 상기 터치 제스처 조작의 접수 영역으로 하는 제 2 조작 모드로 전환한 후에,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상기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진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와 손잡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바를 표시시키는 스텝과,
상기 손잡이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 1 방향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선택치를 변경하는 스텝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판정 방법.
A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for receiv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a touch panel that outputs ope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touch gesture operation, and generating a selection valu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2nd operation mode which makes the whole screen of the said touch panel into the reception area of the said touch gesture operation from the 1st operation mode which operates the display compon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aid touch panel as a user operation mode in the said touch panel. After switching to, when a predetermined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a bar and a handle extending in the predetermined first direction are included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A step of displaying a slide bar
Changing the selection value according to a movement amount of the first direction of the handle when a second touch gesture operation of moving the handle in the first direction is performed;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comprising the.
컴퓨터에, 터치 제스처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정보를 출력하는 터치 패널로부터, 상기 조작 정보를 받고, 상기 조작 정보에 근거하는 선택치를 생성하는 터치 입력 판정 방법을 실행시키는 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에,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유저 조작 모드를,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에 표시된 표시 부품을 조작하는 제 1 조작 모드로부터,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의 전체를 상기 터치 제스처 조작의 접수 영역으로 하는 제 2 조작 모드로 전환한 후에,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상기 제 1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진 위치에, 미리 결정된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와 손잡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바를 표시시키는 처리와,
상기 손잡이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터치 제스처 조작이 행하여지면,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 1 방향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선택치를 변경하는 처리
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판정 프로그램.
A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for executing a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for receiving, from a touch panel that outputs ope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touch gesture operation, to a computer, and generating a selection value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computer,
2nd operation mode which makes the whole screen of the said touch panel into the reception area of the said touch gesture operation from the 1st operation mode which operates the display componen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said touch panel as a user operation mode in the said touch panel. After switching to, when a predetermined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touch panel, a bar and a handle extending in the predetermined first direction are included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ouch gesture operation is performed. To display a slide bar
A process of changing the selection value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handle in the first direction when a second touch gesture operation to move the handle in the first direction is performed
And a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characterized in that for executing.
KR1020197027062A 2017-03-23 2017-03-23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KR2019011216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1615 WO2018173180A1 (en) 2017-03-23 2017-03-23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160A true KR20190112160A (en) 2019-10-02

Family

ID=5999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062A KR20190112160A (en) 2017-03-23 2017-03-23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07804B1 (en)
KR (1) KR20190112160A (en)
CN (1) CN110431525A (en)
DE (1) DE112017007110T5 (en)
WO (1) WO201817318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0014B (en) * 2021-07-16 2023-09-26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Elevator call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gesture action and computer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3202A (en) 2013-04-03 2014-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6126715A (en) 2015-01-08 2016-07-11 オンキヨー株式会社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program for electron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034A (en) * 1996-06-28 1998-01-23 Shimadzu Corp Numerical input device
JPH11212726A (en) * 1998-01-29 1999-08-06 Omron Corp Input device
US20100064261A1 (en) * 2008-09-09 2010-03-11 Microsoft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lative gesture recognition mode
JP2012509393A (en) * 2008-11-19 2012-04-19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Silicon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476088B1 (en) * 2008-12-18 2014-12-23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Slide bar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slide bar display control method
KR101085702B1 (en) * 2009-11-04 201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mediu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for touch screen
JP5772773B2 (en) * 2012-09-19 2015-09-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apparatus, operation standardization method, and operation standardization program
US9582184B2 (en) * 2013-11-04 2017-02-28 Keysight Technologies, Inc. Touch screen control for adjusting a numerical value
CN103853495A (en) * 2014-02-13 2014-06-11 喻应芝 Vehicle-mounted device touch control device and method
EP2930049B1 (en) * 2014-04-08 2017-12-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adapting a view on a display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3202A (en) 2013-04-03 2014-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6126715A (en) 2015-01-08 2016-07-11 オンキヨー株式会社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program for electronic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7007110T5 (en) 2019-11-21
CN110431525A (en) 2019-11-08
WO2018173180A1 (en) 2018-09-27
JPWO2018173180A1 (en) 2019-03-28
JP6207804B1 (en) 201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7990B2 (en) Map information display device, map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map information display program
US8217906B2 (en) User interface,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viewing of content on a screen
US10929013B2 (en) Method for adjusting input virtual keyboard and input apparatus
KR101892630B1 (en) Touch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US20160202887A1 (en)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 icon and terminal
KR10188513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by touch in user equipment
CN105474158A (en) Swipe toolbar to switch tabs
KR101459447B1 (en) Method for selecting items using a touch screen and system thereof
KR20190112160A (en) Touch input determination device, touch input determination method, and touch input determination program
EP28970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program
CN106919335A (en) A kind of target switching method and device
US1010832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 interval via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00233570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201403175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12103844A (en) Plant monitoring apparatus
US20160085347A1 (en) Respons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H09128194A (en) Display monitor device
US7106314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adapting a sensor signal to actuate multiple dimensions
JP2015200977A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15123835A1 (en) Cursor placement
US10895978B2 (en) Numerical controller
US7453448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adapting a sensor signal to actuate multiple dimensions
WO2015151154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JP5489218B2 (en) Financial transaction processing apparatus, screen switching method, and program
WO2019230188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