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986A -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 Google Patents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986A
KR20190109986A KR1020180031752A KR20180031752A KR20190109986A KR 20190109986 A KR20190109986 A KR 20190109986A KR 1020180031752 A KR1020180031752 A KR 1020180031752A KR 20180031752 A KR20180031752 A KR 20180031752A KR 20190109986 A KR20190109986 A KR 20190109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uilt
cabinet
coupled
seale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867B1 (ko
Inventor
유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스
Priority to KR102018003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8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200) 및 서라운딩(300)의 외주면에 고무가스킷 형태를 갖는 밀폐부(210)가 결합되어, 도어(200) 폐쇄시 수납부(100) 내부의 기밀성과 서라운딩(300)의 후방측의 수납부(100) 외부와 벽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납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수납부(100) 내부, 수납부(100) 후면에 형성된 공간부(20), 후면관통구(102)를 통해 수납부(100) 내부를 유동하되,
방 내부의 공기가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될 때, 하부공기필터부(311) 및 습기제거수단(500) 등을 통해 정화되어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는, 수납부(100)의 내부의 습기, 냄새, 먼지 등을 유동시켜 상부관통구(103) 및 상부공기필터부(321)를 통해 방 내부로 다시 배출될 때, 상부공기필터부(321)에 의해 정화됨으로써, 공기의 연속 순환이 가능한,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가 방 내부로만 배출되지 않고, 방 외부로도 배출될 수 있도록 방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벽에 관통구를 형성하고, 관통구에 환풍기(600)를 구비하여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를 방 내부로 배출할 때는 환풍기(600)가 구비된 관통구를 차단하고,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를 방 외부로 배출할 때는 환풍기(600)가 구비된 관통구를 개방하도록 차단막을 구비한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be sealed structure Built-in wardrobe}
본 발명은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200) 및 서라운딩(300)의 외주면에 고무가스킷 형태를 갖는 밀폐부(210)가 결합되어, 도어(200) 폐쇄시 수납부(100) 내부의 기밀성과 서라운딩(300)의 후방측의 수납부(100) 외부와 벽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납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수납부(100) 내부, 수납부(100) 후면에 형성된 공간부(20), 후면관통구(102)를 통해 수납부(100) 내부를 유동하되,
방 내부의 공기가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될 때, 하부공기필터부(311) 및 습기제거수단(500) 등을 통해 정화되어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는, 수납부(100)의 내부의 습기, 냄새, 먼지 등을 유동시켜 상부관통구(103) 및 상부공기필터부(321)를 통해 방 내부로 다시 배출될 때, 상부공기필터부(321)에 의해 정화됨으로써, 공기의 연속 순환이 가능한,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가 방 내부로만 배출되지 않고, 방 외부로도 배출될 수 있도록 방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벽에 관통구를 형성하고, 관통구에 환풍기(600)를 구비하여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를 방 내부로 배출할 때는 환풍기(600)가 구비된 관통구를 차단하고,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를 방 외부로 배출할 때는 환풍기(600)가 구비된 관통구를 개방하도록 슬라이드 차단막(700)을 구비한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붙박이장은 벽에 붙이거나 벽의 안쪽에 만들어 옮길 수 없게 된 장롱으로써, 내부에 의류 또는 침구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붙박이장의 내부 수납공간에는 습기로 인해 해충이나 곰팡이가 생겨서 의류와 침구류가 손상되거나 악취로 사용시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고, 의류와 침구류 등에 번식한 세균 등에 의해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리고 붙박이장은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다습한 환경 놓일 가능성이 높아 목재로 된 붙이장의 구조물이 휘거나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내부가 다습함에 따라 곰팡이나 기타 곤충(바퀴벌레 등)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되기 쉽다. 이때, 붙박이장의 뒷면은 얇은 합판(목재)으로 구성됨에 따라 변형과 함께 섞어서 냄새가 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붙박이장의 내부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물먹는 하마, 숯, 활성탄 등과 같은 제습제를 넣어두거나, 좀벌레 등을 없애기 위해 나프탈렌 등의 화학적 물질을 수납하여 붙박이장 내부의 습기와 벌레 등을 없애도록 노력하고 있지만, 각각의 수납공간으로 구획된 각각의 수납공간마다 설치된 습기제거제 및 방충제를 주기적으로 교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군다나, 붙박이장의 기존 제습구조는 붙박이장의 내부에 수납되는 물품에만 한정적으로 제습하는 기능만 수행될 뿐 붙박이장의 뒷면 및 양측면을 이루는 합판 등이 수분으로 인해 휘어지거나 곰팡이 발생, 해충의 서식 등을 방지하는데,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붙박이장은 벽에 붙여 설치하는 장롱으로서 공간 활용성 측면에서는 이점을 갖고 있지만, 붙박이장을 설치한 후에는 분리 및 이동이 쉽지 않아서 붙박이장과 벽체 사이 공간에 쌓이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붙박이장과 벽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이 공간은 벽체와 붙박이장의 후면 사이의 온도 차이로 인해 결로가 발생하고, 결로로 인해 곰팡이가 서식하게 되며, 곰팡이로 인해 방 안의 공기가 뿐만 아니라, 붙박이장 내부에 수납되는 의류 및 침구류에도 악영향을 끼치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붙박이장의 정면부에 도어가 설치되어 방 내부에 있는 먼지, 이물질 및 냄새 등이 붙박이장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도어 사이의 소정의 틈을 통해 먼지와 냄새 등이 붙박이장 배부로 유입되어 세탁된어 수납된 의류 및 침구류 등에 먼지와 냄새가 베어 사용자가 이를 사용할 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수납부(100)와 도어(200) 및 서라운딩(300)의 외주면에 고무가스킷 형태를 갖는 밀폐부(210)가 결합되어, 수납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수납부(10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공기필터부(311), 수납부(100) 후면에 형성된 공간부(20) 및 후면관통구(102)를 통해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고,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어부, 상부관통구(103) 및 상부공기필터부(321)를 통해 방 내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되, 공기 속에 포함된 습기, 냄새 및 먼지 등이 정화된 후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고, 방 내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붙박이장의 내부 및 붙박이장과 벽체 사이에 곰팡와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고, 붙박이장의 내부에 수납된 의류 및 침구류 등에 먼지, 냄새 및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붙박이장 내부의 수납부에 보관된 의류 및 침구류 등이 항상 쾌적한 생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을 발명하게 되었다.
한편, 붙박이장 내부의 공기순환과 관련된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808991호의 붙박이장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붙박이장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의 설치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붙박이틀 및 상기 붙박이틀 내에 수직하게 세워 설치됨에 의해 다수의 수납부를 구획 형성하게 되는 격벽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각 수납부 상에 수평 배치되는 선반과,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붙박이장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격벽 또는 격벽과 붙박이틀에 양단부가 지지되어 각 수납부 상에 수평 배치되고, 각수납부 내 공기 유통 및 환기를 담당하는 덕트로서 기능하면서 행거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내부중공형 파이프; 상기 붙박이틀이나 격벽 또는 이들 모두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내부중공형 파이프의 일측단부에 위치하여 팬 가동시 파이프를 통해 각 수납부에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중공형 파이프는 격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에 따르면, 붙박이장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구조물을 이용함과 더불어 간단한 구조 개선으로 서로 구획되는 붙박이장의 각 수납부 내에 공기를 원활하게 흘려보낼 수 있고 붙박이장의 각 수납부를 비롯한 전체 면적에 걸쳐 공기의 흐름 및 공급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효율화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은 붙박이장과 벽체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결로와 곰팡이가 발생되는 문제점은 해결할 수 없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와는 상이하다.
한편, 붙박이장과 벽체 사이 공간에 결로 방지와 관련된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7509호의 붙박이장 결로 방지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붙박이장 결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붙박이장 시스템이 설치되는 공간에 있어서 붙박이장과 벽체 사이 공간의 이송 기류를 발생하여 결로를 방지함으로써 곰팡이의 성장 조건을 방지하는 붙박이장 결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 벽체(12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붙박이장(200)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벽체(120)와 상기 붙박이장(200) 사이에 형성된 사이 공간(310)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510)와; 상기 센서(510)로부터 측정된 상기 사이 공간(310)의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상기 사이 공간(310)과 상기 붙박이장(200)의 외부를 기체 소통시키는 기류 형성 유닛(400)을 포함하는 붙박이장 결로 방지 장치를 제공하여, 붙박이장과 방안 사이공간에 발생될 수 있는 결로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곰팡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 및 옷감보관 환경을 선사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붙박이장 내부와 붙박이장과 벽체 사이 공간의 공기를 소통하여 제습 및 곰팡이 증식을 억제하는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126393호의 붙박이장의 설치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습기를 포함하는 내부 공기의 소통과 배출을 용이하게 하여 높은 제습 및 곰팡이의 증식억제효과를 거둘 수 있을 뿐 아니라 붙박이장의 칸막이를 대폭 개량하여 보다 적은 원가로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한 새로운 붙박이장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기술은 건축물 실내의 일측 벽면에 일정깊이의 붙받이장을 둘출 없이 내입 설치될 수 있는 붙박이장 설치용 음폐홈(100)을 형성한 다음, 그 붙받이장 설치용 음폐홈(100)의 내부 벽면(110)에는 일정한 그림이나 무늬를 갖는 벽지(111)를 부착한 것과; 상기 벽지(111)가 부착된 상기 붙받이장 설치용 음폐홈(100)에는, 각종 물품(옷감 등)의 수납 및 보관을 위한 붙박이장(200)을 내입 설치한 것과; 상기 붙받이 전측의 사방둘레에는 상기 붙받이장 설치용 음폐홈(100)의 입구를 막는 테두리판(290)을 추가로 더 설치한 것과; 상기 테두리판(290)에는 하나 이상의 통풍구(300)를 추가로 더 설치한 것과; 상기 통풍구(300) 중 어느 하나이상과 다른 하나이상에는 공기 강제 배기팬(310)과 공기 인입팬(320)을 각각 설치하거나, 또는 제습수단(330)과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 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은 붙박이장의 정면부에 결합된 도어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방 안의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냄새 등이 붙박이장 내부로 유입되어 붙박이장의 수납공간에 보관된 의류 및 침구류 등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있다.
즉, 상기 기술은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본 발명과 전혀 상이하다 할 수 있다.
특허등록공보 제10-1808991호(2017.12.14.)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7509호(2017.08.31.) 등록특허공보 제10-1126393호(2012.03.16.)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부(100)와 도어(200) 및 서라운딩(300)의 외주면에 고무가스킷 형태를 갖는 밀폐부(210)가 구비되어,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수납부(100)의 하부공기필터부(311)를 통해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고,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는 상부공기필터부(321)를 통해 방안으로 배출되거나 환풍기(600)를 통해 방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붙박이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습기, 냄새 등은 수납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습기제거수단, 건조수단, 탈취수단 등에 의해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붙박이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수납부(100)에서 방안으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와 먼지 등도 상부공기필터부(321)에 의해 정화되도록 하는 붙박이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수납부(100)가 도어(200) 및 서라운딩(300)의 외주면에 고무가스킷 형태를 갖는 밀폐부(210)에 의해 밀폐됨으로 인해 수납부(100)의 하부 및 수납의 도어(200) 등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차단되도록 하는 붙박이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 있어서, 상기 붙박이장(10)은 방 내부와 인접한 일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의류 및 침구류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00)는 개방된 일면중, 어느 한 측면에 여닫이 형태를 갖는 도어(200);가 결합되고, 상기 수납부(100)의 상,하,좌,우면에는 벽면(30) 방향으로 돌출된 서라운딩(300);이 결합되고, 상기 붙박이장(10)의 상,하,좌,우 및 후면과 벽(30) 사이에는 공간부(20)가 형성된다.
또는, 상기 수납부(100)의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하부관통구(101)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00)의 후면에는 복수 개의 후면관통구(102)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00)의 상측면에는 각각의 수납부(100)에 각 1개씩의 상부관통구(103)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상부면에는 정면부가 개방된 센서함(110)이 구비된다.
또는, 상기 센서함(110)의 저면에는 'ㅁ' 형태로 관통된 지지대(120)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함(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관통구(103)와 연통되는 센서함관통구(150)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함(110)의 센서지지대(120) 하부에는 센서함(110)의 높이보다 낮은 필터함(130)이 결합되고,
상기 센서함(110)에는 센서함(110)의 개방된 정면으로부터 센서함(110)의 내부 방향으로 센서부(400)가 결합된다.
또는, 상기 필터함(130)의 내부에는 필터부(140)가 결합되되,
상기 필터부(140)는 필터함(130)과 맞닿지 않는 외측면에는 'ㄷ' 형태를 갖는 손잡이부(141)가 형성된다.
또는, 상기 도어(200)는 각 도어(200)가 서로 맞닿아 여닫는 일측면을 제외한 상, 하, 측면에는 돌출부(201)가 형성된다.
또는, 상기 돌출부(201)는 도어(200)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201)의 후면에는 도어(200)의 내측방향으로 단 형상의 절곡부(202)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202)와 인접한 도어(200)의 후면에는 굴절홈(203)이 형성된다.
또는, 상기 도어(200)에는 도어(200)와 도어(200)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손잡이부를 결합하되, 일측 도어(200)에는 제1 손잡이부(220)가 결합되고, 타측 도어(200)에는 제2 손잡이부(230)가 결합된다.
또는, 상기 도어(200)에는 도어(200)와 도어(200)가 서로 맞닿는 측면을 제외한 테두리에 밀폐부(210)가 결합된다.
또는, 상기 밀폐부(210)는 도어(200)의 돌출부(201), 절곡부(202) 및 굴절홈(203)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는, 상기 제1 손잡이부(220)는 일측 도어(200)의 후면에서 타측 도어(200) 방향으로 돌출된 판 형태의 제1 돌출지지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도어(200)의 정면에는 상기 제1 돌출지지부(221) 보다 돌출되지 않는 제1 고정부(2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지지부(221)와 제1 고정부(222)를 연결하는 제1 고정면(223)이 형성된다.
또는, 상기 제1 고정면(223)은 일측 도어(200)의 측면과 맞닿도록 구성된다.
또는, 상기 제1 손잡이부(220)는 제1 고정부(222)와 제1 돌출지지부(221)를 연결하는 제1 굴곡부(224)를 포함하되, 제1 굴곡부(224)는 일측 도어(200)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굴곡부(224)의 단부과 연결된 제1 돌출지지부(221)에는 제1 돌출지지부(221)가 돌출된 방향에서 방의 내부 방향으로 수직 돌출된 제1 지지부(225)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225)의 단부에는 일측의 도어(200) 측면 방향으로 다시 수직 돌출된 제1 굴절고정부(226)가 형성된다.
또는, 상기 제1 손잡이부(220)에 의해 타측 도어(200)와 서로 맞닿는 일측 도어(200)의 측면을 감싸는 제1 밀폐부(227)가 형성된다.
또는, 상기 제2 손잡이부(230)는 타측 도어(200)의 정면에는 일측 도어(200)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지지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도어(200)의 후면에는 상기 제2 돌출지지부(231) 보다 돌출되지 않는 제2 고정부(23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지지부(231)와 제2 고정부(232)를 연결하는 제1 고정면(233)이 형성된다.
또는, 상기 제2 손잡이부(230)는 상기 제2 고정면(233)은 타측 도어(200)의 측면과 맞닿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돌출지지부(231)의 일측과 제2 고정부(232)의 일측이 연결되는 제2 돌출부(234)가 형성되되, 상기 제2 돌출부(234)는 제2 고정면(233)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진 형태를 갖는다.
또는, 상기 제2 손잡이부(230)는 제1 굴절고정부(226)와 맞닿는 제2 돌출부(234)의 일면에는 제2 홈(23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손잡이부(230)에 의해 일측 도어(200)와 서로 맞닿는 타측 도어(200)의 측면을 감싸는 제2 밀폐부(236)가 형성된다.
또는, 상기 서라운딩(300)은 수납부(100)의 하측면에 지면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서라운딩(310)이 결합되고, 상기 수납부(100)의 상측면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서라운딩(320)이 결합되고, 상기 수납부(100)의 양측면에는 양측 벽(30) 방향으로 돌출된 측면서라운딩(330)이 결합된다.
또는, 상기 하부서라운딩(310)은 수납부(100)와 수납부(100)가 결합되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서라운딩(31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하부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에는 하부공기필터부(311)가 결합된다.
또는, 상기 상부서라운딩(320)은 수납부(100)와 수납부(100)가 결합되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서라운딩(320)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상부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관통구에는 상부공기필터부(321)가 결합된다.
또는, 상기 측면 서라운딩(330)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스위치(331)가 결합된다.
또는,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함(110)의 내부 중 지지대(120)의 일측에 결합된다.
또는, 상기 제어부(400)는 붙박이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10),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420), 수납부(10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444), 수납부(100)의 내부 공기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질측정센서(440) 및 도어(200)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센서(450)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벽(30)에는 벽면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는 환풍기(600)가 결합되며,
상기 환풍기(600)가 설치된 벽(30)의 일측면에는 환풍기(60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구동되어 환풍기(600)가 설치된 관통구를 차단하는 슬라이드 차단막(700)이 설치된다.
또는, 상기 슬라이드 차단막(700) 주변에, 슬라이드 차단막(70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800)이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800)은 이의 측면에 위치한 프레임은 막대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지만, 이의 상면과 하면에 위치한 프레임은 환풍기(600)의 반대방향 단부가 높게 구성되도록 단턱(810)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810)의 환풍기(600) 방향으로는, 단턱(810)과 일정간격 이격된 밀음판(820)이 위치되며, 상기 단턱(810)과 밀음판(820) 사이에는 복수 개의 밀음스프링(830)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측면 가이드프레임의 슬라이드 차단막(700)이 맞닿는 일측에 제1 기밀부재(84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기밀부재(840)와 맞닿는 슬라이드 차단막(700)의 일측에 제2 기밀부재(710)가 형성된다.
또는,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저면에는 습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습기제거수단(500)이 구비된다.
또는,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저면에는 수납부(100) 내부에 수납되는 의류를 건조시키는 발열수단(510)이 구비되되,
상기 발열수단(510)은 열 또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램프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저면에는 수납부(100)에 수납되는 의류의 냄새를 흡입하여 탈취하는 탈취수단(520)이 구비된다.
또는, 상기 수납부(100) 내부 후면에는 정전기 방지제 및 방향제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수단(530)이 각각의 수납부(100)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분사수단(530)은 센서부 및 제어부에 의해 정전기 방지제 또는 방향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 의하면,
수납부(100)와 결합되는 도어(200) 외주면에 고무 가스킷 형태를 갖는 밀폐부(210)로 인해 방 내부의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먼지 및 냄새 등이 수납부(100)와 도어(200) 사이의 틈을 통해 수납부(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수납부(10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공기필터부(311), 수납부(100) 후면에 형성된 공간부(20) 및 후면관통구(102)를 통해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고,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어부, 상부관통구(103) 및 상부공기필터부(321)를 통해 방 내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공기 속에 포함된 습기, 냄새 및 먼지 등이 정화된 후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므로 인해 방 내부, 수납부(100) 내부 및 공간부(20)의 공기를 청결하게 순환시키는 효과 뿐만 아니라, 수납부(200)와 벽(30) 사이의 공간 및 수납부(100) 내부에서 습기로 인해 결로현상 및 곰팡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를 방의 외부로도 배출될 수 있도록 방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벽(30)에 관통구를 형성하고, 관통구에 환풍기(600)를 구비하여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를 방 내부로 배출할 때는 환풍기(600)가 구비된 관통구를 차단하고,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를 방 외부로 배출할 때는 환풍기(600)가 구비된 관통구를 개방하도록 슬라이드 차단막(700)을 구비함으로 인해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방 내부 또는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환풍기(600)에 구비된 차단막에 의해 벽(3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를 완전히 차단함으로 인해 방 외부의 공기가 방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서, 붙박이장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서, 도어의 테두리에 밀폐부가 결합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서, 서로 마주하는 도어의 측면에 손잡이부가 결합되는 상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서, 필터부를 필터함에 결합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서, 제어부와 제어장치의 블럭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서, 붙박이장 내부 및 붙박이장과 벽의 사이로 이동하는 공기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서, 수납부의 내부 저면에 습기제거를 위한 습기제거부가 결합되는 붙박이장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서, 수납부의 내부 저면에 발열수단가 결합되는 붙박이장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서, 수납부의 내부 저면에 탈취수단가 결합되는 붙박이장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서, 수납부의 측면에 분사수단가 결합되는 붙박이장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서, 붙박이장의 측면과 인접한 벽면에 환풍기 및 슬라이드 차단막이 결합되는 측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서, 슬라이드 차단막 및 가이드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200) 및 서라운딩(300)의 외주면에 고무가스킷 형태를 갖는 밀폐부(210)가 결합되어, 도어(200) 폐쇄시 수납부(100) 내부의 기밀성과 서라운딩(300)의 후방측의 수납부(100) 외부와 벽 사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납부(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수납부(100) 내부, 수납부(100) 후면에 형성된 공간부(20), 후면관통구(102)를 통해 수납부(100) 내부를 유동하되,
방 내부의 공기가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될 때, 하부공기필터부(311) 및 습기제거수단(500) 등을 통해 정화되어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는, 수납부(100)의 내부의 습기, 냄새, 먼지 등을 유동시켜 상부관통구(103) 및 상부공기필터부(321)를 통해 방 내부로 다시 배출될 때, 상부공기필터부(321)에 의해 정화됨으로써, 공기의 연속 순환이 가능한,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가 방 내부로만 배출되지 않고, 방 외부로도 배출될 수 있도록 방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는 벽에 관통구를 형성하고, 관통구에 환풍기(600)를 구비하여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를 방 내부로 배출할 때는 환풍기(600)가 구비된 관통구를 차단하고,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를 방 외부로 배출할 때는 환풍기(600)가 구비된 관통구를 개방하도록 슬라이드 차단막을 구비한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실시예 1. 센서를 이용한 붙박이장의 내부 순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10)은 수납부(100), 도어(200), 서라운딩(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붙박이장은 주택이나 사무실 등의 벽면에 통상의 붙박이장(10)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벽(30)면에 붙박이장(10)을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붙박이장(10)은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수납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부(100)는, 측면으로 복수 개의 수납부(100)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100)의 정면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고, 수납부(100)의 개방된 부분에는 도어(200)가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된 수납부(100)의 내부에는 의류 및 침구류 등이 보관된다.
상기 수납부(100)의 하부면에는 하부관통구(101)가 형성되고, 수납부(100)의 후면에는 후면관통구(102)가 형성되며, 수납부(100)의 상측면에는 제어부(400) 및 상면관통구(103)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관통구(101)와 후면관통구(102)는 붙박이장(1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로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수납부(100) 상측면에는 제어부(400)의 관통구와 연통된 상부관통구(103)가 형성된다.
상기 붙박이장(10)의 상부, 하부 및 측면은 상기 붙박이장(10)이 설치될 전체공간보다 작게 구성되고, 붙박이장(10)의 상부, 하부 및 측면으로는 서라운딩(300)이 구성되어, 붙박이장(10)과 벽(30) 사이에는 공기의 유로 역할을 하는 공간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100)의 정면에는 여닫이 형태를 갖는 도어(200)가 결합되어진다. 상기 수납부(100)의 내측 일면과 도어(200)의 일면에 댐퍼가 경첩됨에 따라, 도어(200)가 여닫이 형태로 수납부(100)의 개방된 정면을 개방과 폐쇄할 수 있는 판으로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도어(2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서술하도록 하면,
상기 도어(200)는 수납부(100)의 외부방향의 직경이 내부방향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2단 구조의 단턱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단면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도어(200)는, 돌출부(201)와 절곡부(202)로 구분된다.
이러한 도어(200)는 수납부(100)의 내부 방향의 일면 중 일측에 오목한 굴절홈(20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굴절홈(203)은 도어(200)의 일면에서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도어(200)의 외곽을 따라서는 밀폐부(210)가 결합되는데, 상기 밀폐부(210)는 도어(200)를 감싸 결합됨으로써, 도어(200)와 수납부(100)가 닫힘 상태가 되면 방 내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이물질 등이 도어(200)와 수납부(100) 사이를 통해 유입되지 않고 수납부(100) 내부에 쾌적한 상태를 갖는 의류 및 침구류 등이 쾌적한 상태로 보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어(200)와 수납부(100)를 여닫을 경우, 밀폐굴절부(211) 부분이 수납부(100)와 맞닿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쉽게 여닫을 수 있다.
상기 밀폐부(210)는, 돌출부(201)와 절곡부(202)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고, 특히 굴절홈(203)의 형태에 대응되는 밀폐돌출부(212)가 형성되어 고정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손잡이부(220)와 제2 손잡이부(230)를 서술하도록 하면, 도어(200)와 도어(200) 사이에 각 제1 손잡이부(220)와 제2 손잡이부(230)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1 손잡이부(220)는, '
Figure pat00001
'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손잡이부(230)는, '
Figure pat00002
' 형태로 구성되어진다.
먼저, 상기 제1 손잡이부(220)는 제1 돌출지지부(221), 제1 고정부(222), 제1 고정면(223), 제1 굴곡부(224), 제1 지지부(225), 제1 굴절고정부(226) 및 제1 밀폐부(22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손잡이부(220)는, 도어(200)의 측면에 제1 고정면(223)과 맞닿으며, 도어(200)의 후면에는 제1 돌출지지부(221)가 결합되고, 도어(200)의 정면에는 제1 고정부(222)가 형성된다.
제1 돌출지지부(221)는, 도어(200)의 후면에 맞닿으며 도어(20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도어(200) 방향으로 돌출된 반대 일측은 반대 도어(200) 방향으로도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1 고정부(222)는, 도어(200)의 정면과 맞닿으며 도어(20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1 고정부(222)는 제1 돌출지지부(221)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돌출지지부(221)와 제1 고정부(222) 및 제1 고정면(223)에 의해 도어(200)와 제1 손잡이부(220)가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지지부(221)는 도어(200)에 닿지 않는 반대 일측이 일직선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1 고정부(222)의 도어(200)에 닿지 않는 반대 일측에는 상기 제1 돌출지지부(221)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굴곡부(224)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1 굴곡부(224)와 제1 돌출지지부(221)의 연장된 단부에는 제1 고정편(223)과 수평된 방향을 갖도록 연장된 제1 지지부(225)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지지부(225)의 다른 단부에는 이의 수직방향으로 제1 굴절고정부(226)가 구성된다.
이러한 상술된 제1 손잡이부(220)의 외곽을 따라서 제1 밀폐부(227)가 플렉시블한 재질의 커버로 구성되어 제1 손잡이부(220)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 제1 밀폐부(227)는 도어(200)의 외주면과 맞닿는 제1 돌출지지부(221)와 제1 고정부(222) 및 제1 고정면(223)의 일면에는 제1 밀폐부(227)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손잡이부(230)는, 제1 손잡이부(220)와 반대로, 제2 돌출지지부(231)가 제2 고정부(23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손잡이부(230)는 제2 돌출지지부(231), 제2 고정부(232), 제2 고정면(233), 제2 굴곡부(234), 제2 홈(235) 및 제2 밀폐부(236)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손잡이부(230)는, 도어(200)의 정면에 제2 돌출지지부(231)가 맞닿으며, 도어(200)의 후면에는 제2 고정부(232)가 맞닿고, 도어(200)의 측면에는 제2 고정면(233)과 맞닿아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 돌출지지부(231)와 제2 고정부(232)및 제2 고정면(233)에 의해 제1 손잡이부(230)가 도어(200)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출지지부(231)는, 도어(200)와 결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단부에는 제1 손잡이부(220) 방향으로 다수 절곡되면서, 상기 제1 손잡이부(220)의 제1 밀폐부(227)에 의해 감싸진 제1 굴정고정부(226)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돌출부(23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2 돌출부(234)가 다수 절곡되면서, 일측에 홈(2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홈(235)에는 상기 제1 굴절고정부(226)의 상부면과 맞닿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손잡이부(230) 역시 제2 밀폐부(236)가 결합되어, 제1 손잡이부(220)와 제2 손잡이부(230)가 닿을 때 충격이 흡수되고 소음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손잡이부(230)에 있어서,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도어(200)와 맞닿는 제2 돌출지지부(231)와 제1 고정부(222) 및 제2 고정면(233)의 일면에는 고무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한편, 도어(200)와 인접한 수납부(100)의 외주면에 서라운딩(300)이 결합되어진다.
상기 서라운딩(300)은 하부서라운딩(310), 상부서라운딩(320) 및 측면서라운딩(33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서라운딩(310)은 복수 개의 수납부(100)가 결합되는 길이 방향으로 판 형태를 가지며, 수납부(10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진다. 이러한 하부서라운딩(310)은 정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하부공기필터부(31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공기필터부(311)는, 필터망 형태를 가지며 하부서라운딩(310)의 길이 방향으로 필터를 갖게된다. 이에 따라, 방 내부에 있는 공기가 하부공기필터부(311)를 통해 수납부(100) 및 공간부(20)로 유입하게 되는데 이때, 방 내부에 있는 이물질 및 먼지 등을 걸러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서라운딩(320)은 복수 개의 수납부(100)가 결합되는 길이 방향으로 판 형태를 가지며, 수납부(10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진다. 이러한 상부서라운딩(320)은 수납부(100) 내부에 있는 제어부(400)를 통해 수납부(100)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걸러 방 내부로 배출하는 필터 망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00)의 양측면 중 양측 벽면과 인접한 수납부(100)의 양측면에 측면서라운딩(330)이 각각 결합되어진다.
상기 측면서라운딩(330)은, 수납부(100)의 수직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측면서라운딩(330)의 정면 중심 부분에 스위치(331)가 결합되는데, 상기 스위치(331)는 후술될 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스위치(331)를 누르게 되면 후술될 환기팬(421)이 작동이 멈추게 된다.
한편, 스위치(331)가 형성되는 것은, 도어(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밀폐부(210)와 수납부(100) 내부에 흡입하는 압력에 의해 사용자가 도어(200)를 개방하고자 하여도 상기 제어부(400)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도어가 열리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400)가 작동하여도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가동을 중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후, 사용자가 필요시에 따라 스위치(331)를 가동시도록 하여 수납부(100) 내부에 있는 의류 및 침구류 등의 냄새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센서함의 제어부(400)와 제어장치(450)를 서술하도록 하면,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따른 상기 제어부(400)는 센서가 구비되는 센서함(110)과 필터부(140)가 구비되는 필터함(130)이 2층 구조로 결합되어진다.
즉, 센서함(110)의 하측면에 필터함(130)이 결합되되, 상기 센서함(110)과 필터함(130)은 일방향이 개방되고 다른 방향이 폐쇄됨으로써 내부에 홈이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센서함(110)과 필터함(130)은 지지대(120)에 의해 구분되는데, 이때, 지지대(120)는 필터함(130)에서 센서함(110)이 연통되도록 하는 'ㅁ'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필터함(130)의 저면에서 'ㅁ' 형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수납부(100)의 옷이나 이불 등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이 필터함(130)과 연통되도록 한다.
이때, 필터함(130)에는 필터부(140)가 삽입된다.
상기 필터부(140)는, 필터함(130)의 내부 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필터함(130)의 내부 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필터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필터부(140)의 정면에는 사용자가 필터함(130)에 결합된 필터부(140)를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손잡이(14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필터부(140)에 먼지 등 오염물질이 많이 묻어있거나 필터의 성능이 저하되면 상기 필터부(140)를 필터함(130)으로부터 인출하여 세척 후, 다시 필터함(130) 내부로 인입시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함(110)의 상측면에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센서함관통구(1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센서함관통구(150)에는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환기팬(421)이 구성되는데, 환기팬(421)은 후술되는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센서함관통구(150)는 수납부(100)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관통구(103)에 동일한 위치에 구성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5에 의하면,
제어부(400)는, 센서함(110)의 내부 중 지지대(120)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제어장치(410), 온도센서(420), 습도센서(430), 공기질측정센서(440) 및 도어 개폐 감지센서(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410)는, 후술되는 차단막들의 동작, 센싱동작, 팬 구동동작 등 붙박이장의 모든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온도센서(420)는 수납부(100) 내부의 온도를, 습도센서(430)는 수납부(100) 내부의 습도를, 공기질측정센서(440)는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 오염도 등의 질을, 도어 개폐 감지센서(450)는 도어(20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420), 습도센서(430) 및 공기질측정센서(440)는 종래 센서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도어 개폐 감지센서(450)는 도어의 개폐를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접촉식 센서 또는 비접촉식 센서(적외선, 마이크로웨이브 등을 이용한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410)는 센서값을 수신하여 도어 개폐를 판단하여 후술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한 PCB 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당업자에게 회로기판을 구성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수납부(100) 내부의 습도나 온도에 따라 환기팬(421)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환기팬(421)은 제어장치(410)의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스위치(331)를 조작하여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331)는 상술하였으므로 서술하지 않도록 하고, 스위치(331)의 제어신호를 제어장치(410)가 수신하여 환기팬(421)을 구동시키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술된 제어장치(410)에 의한 자동 구동의 경우는, 일정 기준치를 설정해 놓으면, 이를 기반으로 온도, 습도, 공기 오염정도가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의 경우에는 접촉식 센서의 경우, 도어(200)가 붙박이장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비접촉식 센서의 경우 도어(200)가 개방됨으로써 센서에서 출력된 광(적외선, 마이크로웨이브 등)이 도어(200)로부터 반사되어 수신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방 내부에 있는 공기를 하부공기필터부(311)를 통해 공간부(20)와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하여 상부공기필터부(321)를 통해 방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00) 하부에 결합된 하부공기필터부(31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수납부(100)와 벽(30) 사이 공간부(20)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수납부(100) 하부와 후면에 형성되는 하부관통구(101)와 후면관통구(102)를 통해 수납부(1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술된 바와 같이 상부공기필터부(321)는 이물질 및 먼지 등을 거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수납부 내부 상부면에 형성된 제어부(4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의류, 이불등에서 나오는 먼지 및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부(140)를 거치게 된다.
이렇게 거친 공기는 상기 수납부(100)의 상측면에 형성된 상부관통구(10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 내부와 인접한 상기 상부공기필터부(321)에 의해 이물질 및 먼지 등이 걸러지고 공기가 방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공간부(20)에는 제어장치(41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차단막이 복수 구간에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어장치(410)의 제어신호에 기반으로 정해진 설정각도만큼만 동작되는 양방향 구동 모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공간부(20) 내부에 위치한 붙박이장의 외측면 중 일측에 상기 모터를 구성하고, 다른 일측에 힌지 삽입구를 구성한 뒤,
상기 모터의 회전축 단부에 제1 기어를 구성하며,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려 동작되는 제2 기어가 형성된 힌지를 상기 힌지삽입구에 삽입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힌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너비를 갖는 차단막이 힌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힌지도 같이 회전하여 차단막이 힌지를 축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차단막의 동작에 의해 공간부(20)의 일측을 폐쇄하였다가 개방할 수 있다.
특히, 첨부된 도면의 도 6 등의 도면을 참조하면, 붙박이장의 외측 일측으로 복수 개의 차단막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선택적으로 차단막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공간부(2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차단의 개폐제어는 사용자가 상술된 스위치(331)를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위치(331)는 단순 온(On)/오프(Off) 기능 외의 상술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차단막의 개폐 상태를 보여주는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차단막의 설명은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수납부(100)의 내부에 각각 다른 구조가 결합되는 것을 서술하도록 하면,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구조는 습기제거, 건조, 탈취, 정전기 방지 및 방향제가 결합되는 수납부(100) 내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수납부(100)의 내부 구조는 사용자가 원하는 구성에 따라 복수 개의 수납부(100)의 형태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수납부(100) 내부에 습기제거 기능을 갖는 습기제거수단(500)이 결합되면, 상기 습기제거수단(500)에 의해 하부공기필터부(3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가 상기 하부관통구(101)를 통해 유입되게 되면 상기 습기제거수단(500)을 통해 습기가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습기제거수단(500)은 활성탄 등과 같이 습기를 흡수하는 물질이면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00) 내부 건조를 위해 발열수단(510)이 수납부(100) 저면에 결합되어진다. 상기 발열수단(510)은 자외선 램프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발열수단(510)은, 하부공기필터부(311)로 유입된 공기와 공간부(20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건조시키고 수납부(100) 내부에 있는 의류 및 침구류 등을 건조할 수 있도록 자외선 램프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100) 내부에 저면에 탈취수단(520)이 결합되어진다.
이러한 탈취수단(520)은, 도시에 수납부(100) 내부 저면에 1개가 형성되어 있지만 실시 형태에 따라 수납부(100) 내부 중, 각 칸의 저면과 수납부(100) 내부 후면에 탈취수단(5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탈취 방식으로는 활성탄 다공성 물질이 결합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수납부(100) 내부 후면에 분사수단(530)이 결합되어진다.
상기 분사수단(530)은, 각 수납부(100)의 칸마다 결합되어지는데 이러한 분사수단(530)은 액체 상태의 전정기 방지 분사기, 또는 방향제 형태의 분사기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수단(530)은, 상기 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수납부(100) 내부 미세먼지, 수납부(100) 내부가 건조한 상태 및 사용자가 도어(200)를 열고 닫을 경우에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즉, 분사수단(530)은 제어부(400)의 가동이 종료 되거나 또는 스위치(331)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부(400)의 가동을 종료하게 되면 분사수단(530)은 분사를 멈추게 된다. 그리고 분사수단(530)은, 사용자가 도어(200)를 열고 닫는 과정에 수납부(100) 내부에 의류 등을 보관하게 되면 의류의 오염정도를 공기질측정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분사수단(530)에서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2. 환풍기와 슬라이드 차단막을 이용하여 붙박이장의 내부 순환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환풍기(600) 및 슬라이드 차단막(700)에 서술하면,
붙박이장(10)의 측면과 인접한 벽(30)면에 환풍기(600) 및 슬라이드 차단막(700)이 설치된다. 이러한 환풍기(600)의 가동과 슬라이드 차단막(700)의 구동은 제어부(400) 및 스위치(331)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상기 환풍기(600)는, 벽(30)면에 형성된 방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환풍기(600)는 방의 외부에 설치된 덕트(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환풍기(600)는 팬 형태로 수납부(100)와 공간부(20) 및 방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방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환풍기(600)의 주변에는 상기 환풍기(600)를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드 차단막(700)이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차단막(700) 주변으로는 슬라이드 차단막(70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800)이 구성된다.
가이드프레임(800)을 먼저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프레임(800)은, 이의 측면에 위치한 프레임은 막대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지만, 이의 상면과 하면에 위치한 프레임은 환풍기(600)의 반대방향 단부가 높게 구성되도록 단턱(810)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810)의 환풍기(600) 방향으로는, 단턱(810)과 일정간격 이격된 밀음판(820)이 위치되며, 상기 단턱(810)과 밀음판(820) 사이에는 밀음스프링(830)이 복수 개가 일정 간격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차단막(700)은, 밀음판(820)과 환풍기(6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밀음판(820)이 밀음스프링의 미는 힘에 의하여 환풍기(600)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고, 슬라이드 차단막(700)이 환풍기를 폐쇄하고 있어도 외부의 이물질이 공간부(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드 차단막(700)이 폐쇄되었을 때 슬라이드 차단막(700)이 맞닿는 측면 가이드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는 제1 기밀부재(8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슬라이드 차단막(700)의 상기 제1 기밀부재(840)에 맞닿는 일면으로도 제2 기밀부재(710)가 형성되어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드 차단막(700)의 슬라이드 구동은 래크와 피니언을 슬라이드 차단막(700) 또는 환풍기(600)가 구성된 벽면 등에 설치 또는 매설함으로써, 가능할 수도 있고,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가능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의 전문지식을 기반으로 한 개폐 구동이 가능한 구성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동작 관계를 서술하기 위한 환풍기(600)의 구동과 멈춤에 따른 수납부(100) 내부의 공기 순환 및 배출을 서술하면, 상기 수납부(100)와 결합된 도어(200)가 닫히게 되면 제어부(400)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환풍기(600)는 가동되게 된다.
이때, 환풍기(600)가 가동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 차단막(700)이 환풍기(600)를 개방하게 된다.
이렇게 환풍기(600)가 가동하게 되면, 상기 수납부(100) 하부에 결합된 하부공기필터부(311)를 통해 방안의 공기가 수납부(100) 하부의 공간부(2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수납부(100) 하부의 공간부(20)로 유입된 공기는 하부관통구(101)와 수납부(100)의 저면과 인접한 후면관통구(102)를 통해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수납부(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관통구(102) 중, 수납부(100)의 저면과 인접한 후면관통구(102)로 많은 공기가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관통구(101)와 수납부(100)의 상면과 인접한 후면관통구(102)를 통해 수납부(100) 상부의 공간부(20)로 배출되고, 수납부(100) 공간부(20)로 배출된 공기는 상부공기필터부(321)를 거쳐 방안으로 유입되거나, 환풍기(600)를 통해 방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수납부(100)는 도어(200)에 구비된 밀폐부에 밀폐된 상태이므로 방안의 공기는 수납부(100) 하부에 결합된 하부공기필터부(311)를 통해서만 수납부(100) 내부로 유입됨으로 인해 방안의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 습기, 냄새 등이 수납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 : 붙박이장
20 : 공간부
30 : 벽
100 : 수납부
101 : 하부관통구
102 : 후면관통구
103 : 상부관통구
110 : 센서함
120 : 센서지지대
130 : 필터함
140 : 필터부
141 : 손잡이부
150 : 센서함관통구
200 : 도어
201 : 돌출부
202 : 절곡부
203 : 굴절홈
210 : 밀폐부
211 : 밀폐굴절부
212 : 밀폐돌출부
220 : 제1 손잡이부
221 : 제1 돌출지지부
222 : 제1 고정부
223 : 제1 고정면
224 : 제1 굴곡부
225 : 제1 지지부
226 : 제1 굴절고정부
227 : 제1 밀폐부
230 : 제2 손잡이부
231 : 제2 돌출지지부
232 : 제2 고정부
233 : 제2 고정면
234 : 제2 굴곡부
235 : 제2 홈
236 : 제2 밀폐부
300 : 서라운딩
310 : 하부서라운딩
311 : 하부공기필터부
320 : 상부서라운딩
321 : 상부공기필터부
330 : 측면서라운딩
331 : 스위치
400 : 제어부
410 : 제어장치
420 : 온도센서
430 : 습도센서
440 : 공기질측정센서
450 : 개폐 감지센서
500 : 습기제거수단
510 : 발열수단
520 : 탈취수단
530 : 분사수단
600 : 환풍기
610 : 돌기홈
700 : 슬라이드 차단막
710 : 지지판
800 : 가이드프레임
810 : 단턱
820 : 밀음판
830 : 밀음스프링
840 : 제1 기밀부재

Claims (28)

  1.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에 있어서,
    상기 붙박이장(10)은 방 내부와 인접한 일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의류 및 침구류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100);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00)는 개방된 일면중, 어느 한 측면에 여닫이 형태를 갖는 도어(200);가 결합되고, 상기 수납부(100)의 상,하,좌,우면에는 벽면(30) 방향으로 돌출된 서라운딩(300);이 결합되고, 상기 붙박이장(10)의 상,하,좌,우 및 후면과 벽(30) 사이에는 공간부(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의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하부관통구(101)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00)의 후면에는 복수 개의 후면관통구(102)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00)의 상측면에는 각각의 수납부(100)에 각 1개씩의 상부관통구(103)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상부에는 정면부가 개방된 센서함(1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함(110)의 저면에는 'ㅁ' 형태로 관통된 지지대(120)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함(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관통구(103)와 연통되는 센서함관통구(150)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함(110)의 센서지지대(120) 하부에는 센서함(11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필터함(130)이 결합되고,
    상기 센서함(110)의 내부에는 센서부(4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터함(130)의 내부에는, 일측에 'ㄷ' 형태를 갖는 손잡이부(141)가 형성된 필터부(140)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는,
    각 도어(200)가 서로 맞닿아 여닫는 일측면을 제외한 상, 하, 측면에는 돌출부(2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01)는 도어(200)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201)의 후면에는 도어(200)의 내측방향으로 단 형상의 절곡부(202)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202)와 인접한 도어(200)의 후면에는 굴절홈(20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에는,
    도어(200)와 도어(200)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손잡이부를 결합하되,
    일측 도어(200)에는 제1 손잡이부(220)가 결합되고,
    타측 도어(200)에는 제2 손잡이부(23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에는,
    도어(200)와 도어(200)가 서로 맞닿는 측면을 제외한 테두리에 밀폐부(21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9. 청구항 8에 있어서,
    밀폐부(210)는,
    도어(200)의 돌출부(201), 절곡부(202) 및 굴절홈(203)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220)는,
    일측 도어(200)의 후면에서 타측 도어(200) 방향으로 돌출된 판 형태의 제1 돌출지지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도어(200)의 정면에는 상기 제1 돌출지지부(221) 보다 돌출되지 않는 제1 고정부(2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지지부(221)와 제1 고정부(222)를 연결하는 제1 고정면(2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면(223)은,
    일측 도어(200)의 측면과 맞닿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220)는,
    제1 고정부(222)와 제1 돌출지지부(221)를 연결하는 제1 굴곡부(224)를 포함하되, 제1 굴곡부(224)는 일측 도어(200)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굴곡부(224)의 단부와 연결된 제1 돌출지지부(221)에는 제1 돌출지지부(221)가 돌출된 방향에서 방의 내부 방향으로 수직 돌출된 제1 지지부(225)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225)의 단부에는 일측의 도어(200) 측면 방향으로 다시 수직 돌출된 제1 굴절고정부(2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부(220)에 의해 타측 도어(200)와 서로 맞닿는 일측 도어(200)의 측면을 감싸는 제1 밀폐부(2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부(230)는,
    타측 도어(200)의 정면에는 일측 도어(200)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지지부(231)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도어(200)의 후면에는 상기 제2 돌출지지부(231) 보다 돌출되지 않는 제2 고정부(23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지지부(231)와 제2 고정부(232)를 연결하는 제1 고정면(2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부(230)는,
    상기 제2 고정면(233)은 타측 도어(200)의 측면과 맞닿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돌출지지부(231)의 일측과 제2 고정부(232)의 일측이 연결되는 제2 돌출부(234)가 형성되되, 상기 제2 돌출부(234)는 제2 고정면(233) 방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부(230)는,
    제1 굴절고정부(226)와 맞닿는 제2 돌출부(234)의 일면에는 제2 홈(235)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손잡이부(230)에 의해 일측 도어(200)와 서로 맞닿는 타측 도어(200)의 측면을 감싸는 제2 밀폐부(236)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라운딩(300)은,
    수납부(100)의 하측면에 지면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서라운딩(310)이 결합되고, 상기 수납부(100)의 상측면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서라운딩(320)이 결합되고, 상기 수납부(100)의 양측면에는 양측 벽(30) 방향으로 돌출된 측면서라운딩(33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부서라운딩(310)은,
    수납부(100)와 수납부(100)가 결합되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서라운딩(31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하부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관통구에는 하부공기필터부(31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상부서라운딩(320)은,
    수납부(100)와 수납부(100)가 결합되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서라운딩(320)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상부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관통구에는 상부공기필터부(32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측면 서라운딩(330)은,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스위치(33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2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함(110)의 내부 중 지지대(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붙박이장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10),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420), 수납부의 내부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430), 수납부(100)의 내부 공기오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질측정센서(440) 및 도어(200)의 열림 및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센서(4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30)에는 벽면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는 환풍기(600)가 결합되며,
    상기 환풍기(600)가 설치된 벽(30)의 일측면에는 환풍기(60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구동되어 환풍기(600)가 설치된 관통구를 차단하는 슬라이드 차단막(7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차단막(700) 주변에, 슬라이드 차단막(70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800)이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800)은,
    이의 측면에 위치한 프레임은 막대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지만, 이의 상면과 하면에 위치한 프레임은 환풍기(600)의 반대방향 단부가 높게 구성되도록 단턱(810)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810)의 환풍기(600) 방향으로는, 단턱(810)과 일정간격 이격된 밀음판(820)이 위치되며, 상기 단턱(810)과 밀음판(820) 사이에는 복수 개의 밀음스프링(830)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측면 가이드프레임의 슬라이드 차단막(700)이 맞닿는 일측에 제1 기밀부재(84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기밀부재(840)와 맞닿는 슬라이드 차단막(700)의 일측에 제2 기밀부재(7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저면에는,
    습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습기제거수단(5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저면에는,
    수납부(100) 내부에 수납되는 의류를 건조시키는 발열수단(510)이 구비되되,
    상기 발열수단(510)은 열 또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2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의 내부 저면에는,
    수납부(100)에 수납되는 의류의 냄새를 흡입하여 탈취하는 탈취수단(5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 내부 후면에는,
    정전기 방지제 및 방향제를 분사할 수 있는 분사수단(530)이 각각의 수납부(100)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분사수단(530)은,
    센서부 및 제어부에 의해 정전기 방지제 또는 방향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KR1020180031752A 2018-03-19 2018-03-19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KR10209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52A KR102090867B1 (ko) 2018-03-19 2018-03-19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52A KR102090867B1 (ko) 2018-03-19 2018-03-19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986A true KR20190109986A (ko) 2019-09-27
KR102090867B1 KR102090867B1 (ko) 2020-03-18

Family

ID=6809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752A KR102090867B1 (ko) 2018-03-19 2018-03-19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8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286B1 (ko) * 2019-12-03 2020-09-23 강호진 붙박이 가구용 환기장치
KR102546545B1 (ko) * 2022-11-21 2023-06-22 이승진 붙박이용 가구의 환기구조
KR20240103575A (ko) * 2022-12-27 2024-07-04 (주)다보스티엔지 여닫이 가구 도어용 밀폐형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551B1 (ko) * 2021-01-13 2021-04-28 주식회사 에스퍼니처 독립식 환기구조를 갖는 인출식 붙박이장 및 그 인출식 붙박이장 제조방법
KR20240084450A (ko) 2022-12-06 2024-06-13 장정원 가변형 붙박이장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057Y1 (ko) * 2004-08-14 2004-11-17 박균옥 고정마감뚜껑을 구비한 샷시형 연장손잡이조립체
KR20050035411A (ko) * 2003-10-13 2005-04-18 권장욱 통기구가 구비된 가구
KR20100100335A (ko) * 2009-03-06 2010-09-15 박성수 문짝 결합부를 개별격벽의 텐션부로 형성한 가구용 손잡이
KR101126393B1 (ko) 2011-10-17 2012-03-16 주식회사 성광목재산업 붙박이장의 설치구조
KR20120102428A (ko) * 2011-03-08 2012-09-18 하이포스(주) 건조기능을 갖는 옷장
KR20130036087A (ko) * 2011-10-01 2013-04-10 윤병규 외부 유입물 차단 기능을 갖는 환풍기
KR20130004731U (ko) * 2012-01-27 2013-08-06 송대규 붙박이장
KR20170057509A (ko) 2015-11-16 2017-05-2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붙박이장 결로 방지 장치
KR20170093410A (ko) * 2016-02-05 2017-08-1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류 탈취 장치 및 탈취 방법
KR101808991B1 (ko) 2017-08-14 2017-12-14 정한신 붙박이장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411A (ko) * 2003-10-13 2005-04-18 권장욱 통기구가 구비된 가구
KR200368057Y1 (ko) * 2004-08-14 2004-11-17 박균옥 고정마감뚜껑을 구비한 샷시형 연장손잡이조립체
KR20100100335A (ko) * 2009-03-06 2010-09-15 박성수 문짝 결합부를 개별격벽의 텐션부로 형성한 가구용 손잡이
KR20120102428A (ko) * 2011-03-08 2012-09-18 하이포스(주) 건조기능을 갖는 옷장
KR20130036087A (ko) * 2011-10-01 2013-04-10 윤병규 외부 유입물 차단 기능을 갖는 환풍기
KR101126393B1 (ko) 2011-10-17 2012-03-16 주식회사 성광목재산업 붙박이장의 설치구조
KR20130004731U (ko) * 2012-01-27 2013-08-06 송대규 붙박이장
KR20170057509A (ko) 2015-11-16 2017-05-2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붙박이장 결로 방지 장치
KR20170093410A (ko) * 2016-02-05 2017-08-1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류 탈취 장치 및 탈취 방법
KR101808991B1 (ko) 2017-08-14 2017-12-14 정한신 붙박이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286B1 (ko) * 2019-12-03 2020-09-23 강호진 붙박이 가구용 환기장치
KR102546545B1 (ko) * 2022-11-21 2023-06-22 이승진 붙박이용 가구의 환기구조
KR20240103575A (ko) * 2022-12-27 2024-07-04 (주)다보스티엔지 여닫이 가구 도어용 밀폐형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867B1 (ko)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9986A (ko) 밀폐 구조를 갖는 붙박이장
JP4191565B2 (ja) 動物飼育ラック
KR101381039B1 (ko) 통풍기능 손잡이를 구비한 로커
CN105962649A (zh) 一种智能抽湿衣柜
JP3973376B2 (ja) 空気浄化機能付収納体
JP2009142356A (ja) 空気清浄機
CN105901956A (zh) 杀菌防潮更衣柜
JP2017223403A (ja) 除湿機および乾燥システム
KR101150513B1 (ko) 제습 및 결로방지용 급속환기장치
JP4019198B2 (ja) 手乾燥装置
JP4268265B2 (ja) 衣類等の収納室
KR200385424Y1 (ko) 환기식 시약장
KR200462696Y1 (ko) 쓰레기 수거 장치
KR20200004169A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041948B1 (ko) 애완동물 드라이 장치용 도어의 구조
KR102546545B1 (ko) 붙박이용 가구의 환기구조
KR20210052165A (ko) 공동주택 에어샤워 시스템
KR102686454B1 (ko) 빌트인 의류케어기기
CN214258492U (zh) 一种具有杀菌除尘防潮功能的文学用档案柜
CN215023039U (zh) 一种用于诊疗检查室的消毒装置
CN216166091U (zh) 一种可净化室内空气的衣柜
KR200347450Y1 (ko) 송풍수단이 마련된 옷장
KR20080001055U (ko) 가구 일체형 전자제습장치
JP2585418B2 (ja) 生物管理装置
KR20050071920A (ko) 송풍수단이 마련된 옷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