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369A - System for measuring air quality of interior - Google Patents

System for measuring air quality of interi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369A
KR20190108369A KR1020180029801A KR20180029801A KR20190108369A KR 20190108369 A KR20190108369 A KR 20190108369A KR 1020180029801 A KR1020180029801 A KR 1020180029801A KR 20180029801 A KR20180029801 A KR 20180029801A KR 20190108369 A KR20190108369 A KR 20190108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ir
space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Priority to KR102018002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8369A/en
Priority to CN201810349076.3A priority patent/CN110274988A/en
Publication of KR2019010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3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1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comprising two or more sensors, e.g. a sensor ar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73Control unit therefor
    • G01N33/0075Control unit therefor for multiple spatially distributed sensors, e.g.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easuring indoor air qualit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ystem for measuring indoor air quality comprising an apparatus for measuring indoor air quality, which is equipped with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s capable of measuring concentrations of different types of air pollutants in order to measure different air pollutants for each space according to the use of a plurality of spaces partitioned indoors.

Description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SYSTEM FOR MEASURING AIR QUALITY OF INTERIOR}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SYSTEM FOR MEASURING AIR QUALITY OF INTERIOR}

본 발명은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실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실내의 공기질은 현대인들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For modern people who spend a lot of time indoors, indoor air quality is closely related to the health of modern people.

이처럼 현대인들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기 위해 실내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가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In order to manage indoor air quali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health of modern people,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s capable of measuring indoor air quality have been developed and sold.

여기서, 종래의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는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들과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들을 제어하는 메인 모듈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Here, in the conventional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it is common that the main module for controlling the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s and the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s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plurality of air pollutants are integrally manufactured.

한편, 소정 면적을 갖는 실내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은 용도에 따라 관리해야 하는 공기 오염 물질이 상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spaces partitioned in a room having a predetermined area may be different from the air pollutant to be managed according to the use.

예를 들어, 주택 실내의 주방 공간에서는 조리시에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일산화탄소의 농도만을 중점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옷방 공간에서는 의류에 악영향을 끼치는 습도만을 중점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kitchen space of the house can be managed only th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which can occur a lot during cooking, and in the closet space can be managed only the humidity that adversely affects clothing.

종래의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사용자가 실내에 구획된 공간별로 공기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를 실내에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모두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량의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를 구매하기 위해 과다한 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 device using a conventional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In order to manage air quality for each space partitioned by a user, a conventional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must be installed in each space partitioned inside a room. There was a problem of spending too much money to buy.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의 용도에 따라 공간별로 각각 상이한 공기 오염 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들을 구비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를 포함한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this contex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ifferent kinds of air pollutants in order to measure different air pollutants for each space according to the use of a plurality of spaces partitioned indoo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a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having module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소정 면적을 갖는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에 설치된 각각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들로부터 각각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메인 모듈, 소정 면적을 갖는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내벽을 통해 구획된 제 1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공간에 존재하는 제 1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인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 및 상기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내벽을 통해 상기 제 1 공간과 중복되지 않게 구획된 제 2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존재하는 제 2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인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 및 상기 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 및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및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room having a predetermined area,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from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s installed in the room The main module for receiving the noise, is installed in a first space partitioned through at least one inner wall in a room having a predetermined area,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first air pollutant which is the concentration of the first air pollutant present in the first space A first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that generates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transmits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overlaps with the first space through at least one interior wall in the room Th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air pollutant, which is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not partitioned and is present in the second space.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by measuring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and generating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transmitting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stalled in the room Receive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from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and receive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from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Receiving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from the second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And

상기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 및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공간에 부여된 명칭인 제 1 공간 명칭과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 2 공간에 부여된 명칭인 제 2 공간 명칭과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서버Receiving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e first space name and the first space name is a name given to the first space;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erver for matching and storing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matching and storing a second space name, which is a name given to the second space, and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comprising a.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가 실내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의 용도에 따라 공간별로 각각 상이한 공기 오염 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들을 구비하기 때문에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와 메인 모듈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종래의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를 각 공간별로 설치하는 것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각 공간의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can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different kinds of air pollutants in order to measure different air pollutants for each space according to the use of a plurality of spaces partitioned in the room. With the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ir quality in each space at a lower cost than installing the conventional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in which each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and the main module are integrated in each space.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가 설치된 실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실내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이 제공한 실내 공기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표시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briefly th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rief configuration of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is an indoor plan view showing an indoor in which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indoor air quality information provided by a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ile som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brief configuration of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100)은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110), 인터넷 통신망(120),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서버(130) 및 사용자 단말기(140)를 포함한다.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pparatus 110,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120,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erver 130, and a user terminal 140.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110)는 소정 면적을 갖는 실내(예를 들어, 사무실 실내, 주택 실내 등)에 설치되어 실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한다.The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110 is installed in a room having a predetermined area (eg, an office room, a house room, etc.)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a plurality of air pollutants present in the room.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110)는 실내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의 용도에 따라 장치 사용자가 공간별로 상이하게 관리하는 공기 오염 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들을 구비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pparatus 110 is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order to measure air pollutants managed differently for each space according to the use of a plurality of spaces partitioned in a room, and different kinds. It may be provided with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s that can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110)는 각각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0)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0)로부터 각각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메인 모듈(210)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In other word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s 220 for measuring different kinds of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and a plurality of air pollutant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include a main module 210 for receiving different kinds of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from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220 (see FIG. 2).

여기서, 메인 모듈(210)은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0)로부터 수신한 농도 데이터들을 인터넷 통신망(120)을 통해 연결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main module 210 may transmit concentration data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s 220 to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erver 130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120.

그리고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0)은 소정 면적을 갖는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내벽을 통해 구획된 제 1 공간 내에 설치되고, 제 1 공간에 존재하는 제 1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인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메인 모듈(21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메인 모듈(210)로 전송하는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2),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내벽을 통해 제 1 공간과 중복되지 않게 구획된 제 2 공간 내에 설치되고, 제 2 공간에 존재하는 제 2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인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메인 모듈(21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메인 모듈(210)로 전송하는 제 2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4) 및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내벽을 통해 제 1 공간 내지 제 N-1 공간과 중복되지 않게 구획된 제 N 공간 내에 설치되고, 제 N 공간에 존재하는 제 N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인 제 N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제 N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메인 모듈(21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제 N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메인 모듈(210)로 전송하는 제 N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6)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s 220 are installed in a first space partitioned through at least one inner wall in a room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first air is a concentration of the first air pollutant present in the first space.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ing the pollutant concentration to generate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transmits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to the main module 210 through a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main module 210.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222 is installed in a second space that is partition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first space through one or more inner walls in the room, and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is a concentration of the second air pollutant present in the second space. To generat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transmit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to the main module 21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module 210. The second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224 to be installed in the Nth space partition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first to Nth spaces through at least one inner wall in the room, and the Nth space present in the Nth space. The N-th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is generated by measuring the N-th air pollutant concentration, which is the concentration of the air pollutant, and the N-th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module 210. The N-th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226 may be transmitted to).

또한,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110)는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내벽을 통해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과 중복되지 않게 구획된 제 3 공간 내에 설치되되, 제 2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4)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제 3 공간에 존재하는 제 3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인 제 3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제 3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메인 모듈(21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제 2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4)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한 후에 제 2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4)의 중계를 통해 제 3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메인 모듈(210)로 전송하는 제 3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110 is installed in a third space partition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through one or more inner walls in the room, and with the second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224. A thir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is generated by installing a thir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which is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possible and is a concentration of a third air pollutant present in the third space, and the main module 210 I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cond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224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the thir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through the relay of the second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224 after connect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not shown) for transmitting data to the main module 21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2)은 측정 주기 도래시에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또는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여러 차례 측정하여 다수의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메인 모듈(21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다수의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메인 모듈(210)에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222 measures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or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several times at the arrival of the measurement cycle, thereby providing a plurality of first air pollutants. The concentration data may be generated, and the plurality of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may b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main module 210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module 210.

여기서,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2)이 정상 상태인 경우에는 기설정된 측정 횟수만큼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기설정된 측정 횟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인 모듈(210)에 전송할 수 있다.Here, when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222 is in a normal state,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may be measur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 number of first air pollutants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f measurement. The concentration data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in module 210.

하지만,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2)이 비정상 상태, 즉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2)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기설정된 측정 횟수보다 적게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개수의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인 모듈(210)에 전송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222 is in an abnormal state, that is, when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222 has a failure,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may be measured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measurement times. In addition, a corresponding number of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in module 2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모듈(210)은 위와 같은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2)의 고장 상태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module 210 may determine the failure state of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222 as described above.

우선, 메인 모듈(210)은 다수의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2)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한다.First, the main module 210 sequentially receives a plurality of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from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222.

그리고 다수의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의 개수가 기설정된 고장 판단 기준보다 크거나 같으면, 메인 모듈(210)은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2)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다수의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의 개수가 고장 판단 기준보다 작으면,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2)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장 판단 기준은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2)에 기설정된 측정 횟수에 대응하는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의 개수일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ailure determination criterion, the main module 210 determines that the state of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222 is normal, If the number of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is smaller than the failure determination criteria,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222 is abnormal. Here, the failure determination criterion may be the number of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measurements preset in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222.

예를 들어,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2)에 기설정된 측정 횟수가 10회인 경우, 고장 판단 기준은 기설정된 측정 횟수에 대응하는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의 개수인 10개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f measurement in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222 is 10, the failure determination criterion may be 10, which is the number of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f measurement. .

위와 같은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2)의 고장 상태 설명과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2)에 대한 메인 모듈(210)의 고장 판단 방법은 나머지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failure state description of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222 and the failur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main module 210 with respect to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222 may be performed on the remaining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s. Can be applied.

이하에서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110)의 구성에 대해 예시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pparatus 110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가 설치된 실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실내 평면도이다.3 and 4 are indoor plan views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n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내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의 용도에 따라 장치 사용자가 관리하고자 하는 공기 오염 물질의 종류가 공간별로 상이할 수 있고,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0)은 각 공간에 대한 장치 사용자의 공기 오염 물질 관리 항목에 따라 각각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air pollutants to be managed by a device user may be different for each space according to the use of a plurality of spaces partitioned indoors, and the plurality of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s 220 may be used in each space. Each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may be configured according to a device user's air pollutant management item.

이러한,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0)은 다수의 공간에 대한 장치 사용자의 공기 오염 물질 관리 항목에 따라 각각 다른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Such a plurality of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220 may be installed in different spaces according to the air pollutant management items of the device user for a plurality of spaces.

예를 들어, 소정 면적을 갖는 실내가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거실 공간, 침실 공간, 주방 공간 및 옷방 공간 등의 공간으로 구획된 주택의 실내이고, 장치 사용자가 거실 공간의 먼지 농도, 주방의 일산화탄소 농도, 침실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옷방 공간의 습도를 관리하고자 할 경우, 공기질 측정 장치(110)에 포함된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0)은 먼지 측정 센서 모듈, CO2 측정 센서 모듈, CO 측정 센서 모듈 및 습도 측정 센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 room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s a room of a house partitioned into a space such as a living space, a bedroom space, a kitchen space, and a dressing space, as shown in FIG. In order to manage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bedroom space and the humidity of the room space, the plurality of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220 included i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110 is a dust measurement sensor module, CO 2 measurement sensor module It may be composed of a CO measurement sensor module and a humidity measurement sensor module.

이러한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0) 중 먼지 측정 센서 모듈은 거실 공간에 설치되고, CO2 측정 센서 모듈은 침실 공간에 설치되며, CO 측정 센서 모듈은 주방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습도 측정 센서 모듈은 옷방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220, the dust measurement sensor module is installed in the living space, the CO 2 measurement sensor module is installed in the bedroom space, the CO measurement sensor module may be installed in the kitchen space, humidity The measuring sensor module can be installed in the closet space.

이를 통해, 먼지 측정 센서 모듈은 거실 공간의 먼지 농도를 측정 및 이에 대한 먼지 농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CO2 측정 센서 모듈은 침실 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 및 이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CO 측정 센서 모듈은 주방 공간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 및 이에 대한 일산화탄소 농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dust measurement sensor module can measure the dust concentration in the living space and generate dust concentration data for it, and the CO 2 measurement sensor module can measure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bedroom space and generat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ata for it. In addition, the CO measurement sensor module may measure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n the kitchen space and generat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data thereof.

또한, 습도 측정 센서 모듈은 옷방 공간의 습도를 측정 및 이에 대한 습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umidity measurement sensor module may measure the humidity of the room space and generate humidity data thereto.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0)로부터 각각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메인 모듈(210)이 도 3과 같이 거실 공간에 설치되되,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0) 각각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경우, 메인 모듈(210)은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220) 각각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각 공간별로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module 210 for receiving different types of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220 is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space as shown in FIG. Whe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possible with each of the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s 220, the main module 210 may perform different types of air in each space throug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s 220.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may be receiv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4와 같이 옷방 공간에 설치된 습도 측정 센서 모듈과 거실 공간에 설치된 메인 모듈 간의 거리가 멀어서 습도 측정 센서 모듈을 제외한 먼지 측정 센서 모듈, CO2 측정 센서 모듈, CO 측정 센서 모듈과 메인 모듈(210)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만 가능하고, 습도 측정 센서 모듈은 옷방 공간에 인접한 침실 공간에 설치된 CO2 측정 센서 모듈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경우, 습도 측정 센서 모듈은 CO2 측정 센서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distance between the humidity sensor module installed in the clothes room space and the main module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space is far, dust measurement sensor module, CO 2 measurement sensor module, CO measurement except the humidity measurement sensor module If only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sensor module and the main module 210 is possible, and the humidity measurement sensor module is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 2 measurement sensor module installed in the bedroom space adjacent to the closet space, the humidity measurement sensor module may be CO 2 can be connected to the sensor module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이후, 습도 측정 센서 모듈은 CO2 측정 센서 모듈의 중계를 통해 옷방 공간의 습도 데이터를 메인 모듈(210)로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the humidity measurement sensor module may transmit humidity data of the room space to the main module 210 through the relay of the CO 2 measurement sensor module.

인터넷 통신망(120)은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110)의 메인 모듈(210)과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서버(130) 간의 데이터 송수신과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서버(130)와 사용자 단말기(14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수단으로서, 유선랜망, 무선랜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LTE-A(LTE Advanced)망, 5세대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12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etween the main module 210 of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apparatus 110 and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erver 130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erver 130 and the user terminal 140. As a means, wired LAN network, wireless LAN network,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network,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network,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LTE Advanced (LTE-A) network,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서버(130)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110)의 메인 모듈(210)로부터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들을 수신한다.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erver 130 receives different kinds of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from the main module 210 of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110.

그리고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서버(130)는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들을 후술할 사용자 단말기(140)에서 다수의 공간에 각각 부여한 다수의 공간 명칭 정보 및 공간 명칭별 공기 오염 물질 매칭 정보에 따라 도 5와 같이 공간 명칭별로 매칭하여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40)에 제공한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erver 130 is configured according to a plurality of space name information and air pollutant matching information for each space name, which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a plurality of spaces in the user terminal 140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3, the space is matched and stored for each space name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40.

이러한,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서버(130)는 단일 서버 또는 두 개 이상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erver 13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server or two or more servers.

사용자 단말기(140)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110)를 사용하는 장치 사용자의 단말기로써,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테블릿 PC,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등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40 is a terminal of a device user who uses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110 and may be a smartphone, a tablet PC, a desktop computer, a laptop, or the like, capable of internet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40)는 장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실내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 각각에 공간 명칭을 부여하고, 장치 사용자가 각 공간별로 설치한 공기 오염 물질 센서 모듈들과 다수의 공간 명칭 간을 매칭 설정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40 assigns a space name to each of a plurality of spaces partitioned inside the room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vice user, and the air pollutant sensor modules installed in each space by the device user and the plurality of spaces. Match between space names.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40)는 다수의 공간 명칭 및 다수의 공간 명칭과 매칭된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들을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서버(130)로부터 제공받아서 도 5와 같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40 may receive a plurality of space names a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matched with the plurality of space names from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erver 130 and display them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110)가 실내에 구획된 다수의 공간의 용도에 따라 공간별로 각각 상이한 공기 오염 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들을 구비하기 때문에 다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와 메인 모듈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종래의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를 각 공간별로 설치하는 것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각 공간의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110 measures concentrations of different types of air pollutants in order to measure different air pollutants for each space according to the use of a plurality of spaces partitioned indoors. With the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ir quality of each space at a lower cost than installing the conventional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in which each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and the main module are integrated. Can be measur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all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소정 면적을 갖는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에 설치된 각각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들로부터 각각 상이한 종류의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메인 모듈, 소정 면적을 갖는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내벽을 통해 구획된 제 1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공간에 존재하는 제 1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인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 및 상기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내벽을 통해 상기 제 1 공간과 중복되지 않게 구획된 제 2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공간에 존재하는 제 2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인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 및 상기 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 및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 및
상기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 및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공간에 부여된 명칭인 제 1 공간 명칭과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 2 공간에 부여된 명칭인 제 2 공간 명칭과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서버
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
A main module installed in a room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receiving different kinds of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from each of different kinds of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s installed in the room; It is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partitioned through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which is the concentration of the first air pollutant present in the first space is measured to generate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first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for transmitting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a second space partition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first space through at least one inner wall in the room, The second air pollutant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which is th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air pollutant present. A second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for generating quality concentration data and transmitting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hort-range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installed in the room. Receiving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from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through a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via a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An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apparatus for receiving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from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transmitting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And
Receiving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transmitted by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e first space name and the first space name is a name given to the first space; An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erver for matching and storing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matching and storing a second space name, which is a name given to the second space, and the secon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질 측정 장치는
상기 실내에서 하나 이상의 내벽을 통해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과 중복되지 않게 구획된 제 3 공간 내에 설치되되, 제 2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 3 공간에 존재하는 제 3 공기 오염 물질의 농도인 제 3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측정하여 제 3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 모듈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한 후에 상기 제 2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의 중계를 통해 상기 제 3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상기 메인 모듈로 전송하는 제 3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oo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Is installed in a third space partition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at least one inner wall in the room, and is installed at a position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second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The thir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which is the concentration of the third air pollutant present in the third space, is measured to generate thir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whe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main module is impossible, A third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the third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to the main module through a relay of the second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after connecting the second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wit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은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를 여러 차례 측정하여 다수의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메인 모듈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다수의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상기 메인 모듈에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measures the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several times to generate a plurality of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and the first plurality of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modul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equentially transmitting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to the main modu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은 상기 다수의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를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하되, 상기 다수의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의 개수가 기설정된 고장 판단 기준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의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다수의 제 1 공기 오염 물질 농도 데이터의 개수가 상기 고장 판단 기준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공기 오염 물질 측정 센서 모듈의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in module sequentially receives the plurality of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from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ement sensor module, wherein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failure determination criterion. Or equal to,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is normal, a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first air pollutant concentration data is smaller than the failure determination criteria, the first air pollutant measuring sensor module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 of abnormal.
KR1020180029801A 2018-03-14 2018-03-14 System for measuring air quality of interior KR2019010836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801A KR20190108369A (en) 2018-03-14 2018-03-14 System for measuring air quality of interior
CN201810349076.3A CN110274988A (en) 2018-03-14 2018-04-18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it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801A KR20190108369A (en) 2018-03-14 2018-03-14 System for measuring air quality of interi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369A true KR20190108369A (en) 2019-09-24

Family

ID=6806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801A KR20190108369A (en) 2018-03-14 2018-03-14 System for measuring air quality of interi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836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503B1 (en) 2022-06-11 2022-08-19 주식회사 와이티케이코퍼레이션 Interior air collec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503B1 (en) 2022-06-11 2022-08-19 주식회사 와이티케이코퍼레이션 Interior air collec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7027B2 (en) Demand/response mechanism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US20130095868A1 (en) Pairing wireless devices of a network using relative gain arrays
US9092967B2 (en) Presenting information regarding conditions of an environment with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environment
JP6425854B1 (en) Monitoring exposure to air pollution
US11047843B2 (en) Atmospheric environment monitoring apparatus detecting failure of atmospheric environment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atmospheric environment sensor
JP2018190419A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device connected thereto
KR101625133B1 (en) Monitoring system of Indoor air quality
US20100195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Location of a Mobile Network Unit
CN101147192A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lligibility measurement of audio announcement systems
CN101472200B (en) Inherent information setting system and apparatus
US9500532B2 (en) Temperature monitoring with simulated thermal buffer
KR20190108369A (en) System for measuring air quality of interior
KR20190108363A (en) Apparatus for measuring air quality of interior
Toschke et al. Distributed LoRa based CO2 monitoring network–A standalone open source system for contagion prevention by controlled ventilation
Kalaivanan et al.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smart homes using IOT and low power wireless technology
WO2018158939A1 (en) Communication test device, communication test method, and program
US20160162985A1 (en) Occupancy monitoring for a remote short term housing rental
US10091674B2 (en)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sensor apparatus placements in building
US20170169694A1 (en) Home-Based Intelligent Analysis And Sugges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20158837A1 (en) Present number of people measuring system, portable device, and program
US20080247328A1 (en) Communication checker, communication-stat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communication state
AU2017101581A4 (en) Monitoring System and Device
CN109286947A (en) Detection method, device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of radio reception device
US9946247B2 (en) System for managing real-time work information of a motor fitting
Zarza Roa Design of an IoT system to collect data about the weather conditions inside of a building using Ruuvi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