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506A - 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using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with load short detec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using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with load short detec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506A
KR20190104506A KR1020190109184A KR20190109184A KR20190104506A KR 20190104506 A KR20190104506 A KR 20190104506A KR 1020190109184 A KR1020190109184 A KR 1020190109184A KR 20190109184 A KR20190109184 A KR 20190109184A KR 20190104506 A KR20190104506 A KR 20190104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power
circuit unit
constant voltage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훈
Original Assignee
박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훈 filed Critical 박기훈
Priority to KR102019010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4506A/en
Publication of KR2019010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5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46Measuring arrangements for current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of G01R15/14, e.g. using current dividers, shunts, or measuring a voltage dro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31/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J2009/06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In a 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which uses an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installed in a unit household distribution board of a complex building such as apartment houses and the like, disclosed are an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having a load short monitoring function, which detects whether a load before transfer is short and prevents damage to an earth leakage breaker in a used load and a household distribution board, and an automatic power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The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uses a short check circuit unit to check a short at each step and sequentially perform transfer.

Description

부하 쇼트 감시 기능을 가진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방법{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USING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WITH LOAD SHORT DETECTION FUNCTION}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USING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WITH LOAD SHORT DET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자동 절체 제어 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등의 집합건물의 단위세대 분전반에 설치되는 자동 전원 절체 제어 장치로서, 절체 전 부하가 쇼트되어 있는지를 감지하여 사용 부하 및 세대 분전반 내의 누전차단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부하 쇼트 감시 기능을 가진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power transfer method using an automatic transfer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installed in a unit generation distribution panel of an assembly building such as a multi-unit house, and detecting whether a load before switching is sho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power switching method using an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having a load short monitoring function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damage to an earth leakage breaker in a used load and a generation distribution panel.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집합건물 단위세대의 분전반 또는 통신 분전반은 건물에서 단위 세대별로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각 전기 부하로 전원을 공급하고, 누전 또는 과부하 발생 시에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In general, the distribution panel or communication distribution panel of a unit household of an apartment building is installed for each unit in a building, and is supplied with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supply electric power to each electric load, and in case of a short circuit or an overload Shut off the supply.

이때 건물에서 상용전원이 정전 등에 의해 차단될 때 각 세대로 비상전원을 공급하여 비상등을 점등하여 최소한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필수 전기기재의 동작을 유지하거나 안전하게 종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용전원은 송전선로로부터 건물 내로 인입되어 각 세대로 공급되는 전원을 나타내며, 비상전원은 상용전원이 정전이나 송전선로 절단에 의해 차단될 때 공급되는 전원으로 자가발전이나 축전지 설비 혹은 비상수전 전원설비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을 나타낸다.At this time, when commercial power is cut off in a building, emergency power is supplied to each household to turn on emergency lights to ensure minimum visibility, or to maintain the operation of essential electrical equipment or safely shut down. Here, the commercial power refers to the power supplied to each generation by entering the building from the power transmission line, and the emergency power is the power supplied when the commercial power is cut off by a power failure or the cutting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 It represents the power supplied by.

여기서 상기 수배전반에서 사용되는 차단기인 MCCB는 과부하 과전류 보호를 위한 차단기로 이용되고, ELCB는 누전 및 과부하 과전류 보호를 위한 차단기로 이용된다. 이러한 기존의 세대분전반의 MCCB와 ELCB에 의한 비상부하와 상용시와 비상용에 겸용으로 전기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난해하며, 세대간 비상등 병렬접속으로 인하여 회로의 차단없이 전 회로의 전원이 쇼트되어 비상전력의 공급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ere, MCCB, which is a circuit breaker used in the switchgear, is used as a circuit breaker for overload overcurrent protection, and ELCB is used as a circuit breaker for short circuit and overload overcurrent protection. It is difficult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circuit for emergency load by MCCB and ELCB of the existing generation distribution panel and for both commercial and emergency use, and the power of all circuits is shorted without interrupting the circuit due to the parallel connection between generations of emergency ligh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ly of emergency power is impossibl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수배전반 등에서는 별개의 전원 절체 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전원 절체 장치는 주전원에서 예비전원, 또는 예비전원에서 주전원으로 절환(切換)하는 장치로서, 여기서 전원의 절체란 전기 설비에 공급되는 전원 소스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자면 주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다가 주 전원이 상실되면, 예비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전원 공급원을 절환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general, a separate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is used in a switchgear. The power switching device is a device for switching from the main power supply to the preliminary power supply, or from the preliminary power supply to the main power supply, wherein the switching of the power supply means changing a power source supplied to the electrical installation. For example, if the main power is lost while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is switched to receive a reserve power supply.

이때의 예비전원으로는 송전선로를 별개로 구성하여 상시 대기하고 있는 예비전원을 사용하는 방식 또는 별도의 발전설비를 가동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serve power may be a method of using a separate power transmission line to use the standby power is always waiting or a method of operating a separate power generation facility.

그리고 상기 전원 절체 장치는 일반적으로 수동식 전원 절체 장치와 자동식 전원 절체 시스템이 있는데, 수동식 전원절체장치는 주 전원의 상실이 감지되면, 릴레이 또는 기계식 절체기를 수동으로 작동시켜 예비전원으로 전환하는 것이고, 자동식 전원절체시스템은 주 전원의 상실시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예비전원으로 전환시키는 작동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ower switching device generally includes a manual power switching device and an automatic power switching system. When the loss of the main power is detected, the manual power switching device is a manual switching of a relay or a mechanical switching device to switch to a reserve power supply, and is automatic. The power switching system automatically detects the loss of the main power and automatically converts the power into the standby power.

이러한 전원절체 시스템의 구성은 주 전원선과 연결된 주전원 공급단자와, 예비전원선과 연결된 예비전원 공급단자, 평상시에는 주 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주 전원이 상실될 경우 예비전원 공급단자와 연결되어 부하 측으로 예비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The configuration of such a power switching system is connected to a main power supply terminal connected to the main power line, a preliminary power supply terminal connected to the reserve power line, and usually connected to the main power supply, and when the main power is lost, the reserve power supply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load side. It includes a switching means for supplying.

이러한 전원 절체 제어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시 또는 정전 등의 비상시에 전원의 절체를 실시하여 비상시 또는 정전 시 연결된 세대에 연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일반적인 수동 또는 자동 전원 절체 제어 장치는 외부의 서지 혹은 노이즈에 영향을 받게 되어 안정적으로 동작하지 못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으며, 또한 절체 시간이 고정되어 있다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is intended to continuously supply power to connected households in case of emergency or power failure by switching power in an emergency such as always or power failure, and a general manual or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not operate stably because it is affected by external surge or noise, and also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ransfer time is fixed.

특히, 종래의 자동식 전원 절체 제어 장치는 전원의 부하 쇼트를 별도로 감시하는 구성 또는 장치를 가지지 않고 있는데, 이는 특히 아파트 등의 집합건물용 수배전반 전원에서 크게 문제가 될 수 있다. 상기 집합건물용의 수배전반 전원은 공급되는 전원을 각 세대로 분배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상기 수배전반의 전원이 고장난다면 연결된 각 세대 모두의 전원이 사용 불능이 될 수 있고, 쇼트로 인한 과전류가 각 세대 모두에게 전달시 연결된 전자기기들이 고장 나거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까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배전반의 쇼트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does not have a configuration or a device for separately monitoring the load short of the power source, which can be a major problem, especially in the power distribution panel power supply for the assembly building. The power distribution panel power for the assembly building serves to distribute the power supplied to each household, and if the power supply of the distribution panel is broken, the power of each connected generation may become unusable, and the overcurrent caused by the short circuit is generated by each generation.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 switchboard from shorting, because the connected electronic devices may break down or cause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ire.

그런데 상기와 같은, 집합건물들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수배전반은 설치 시 쇼트가 날 가능성이 다른 수배전반에 비해 높고, 또 쇼트를 감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발전시설 등의 전자설비에 설치하는 수배전반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설치되므로 쇼트가 발생하는 부분이 있는지, 회로에 이상이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또 발생하였더라도 분해 및 수리 후 조립하기 쉽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gear of the building including the aggregated building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short is higher than the other switchgear is likely to short when installed. The switchgear installed in electronic facilities such as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s easily installed and disassembled, so it is easy to check whether there is a short circuit or abnormality in the circuit and even if it occurs, it is easy to assemble after disassembly and repair.

이에 비해, 건축물의 경우 수배전반 및 기타 배선의 정밀한 설치가 그 특성상 어렵고, 한번 건축한 뒤에는 폐쇄된 수배전반 및 배선들의 확인이 어려우며 또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건물 외벽을 일부 해체하고 고장 난 부분을 수리해야 하므로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 게다가 기술자가 항상 상주하지 않으므로 기기들의 고장 시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며 안전사고라도 발생하게 되면 인명손실의 위험까지 발생하게 된다.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buildings,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install switchgear and other wirings, and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closed switchgear and wirings once built, and if a problem occurs, part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must be dismantled and repaired Is not easy. In addition, since technicians are not always present, there is a great deal of damage in the event of a device failure, and even a safety accident can result in the loss of life.

이에 따라 쇼트의 발생 가능성을 미리 감지하고, 만약 쇼트가 발생 가능할 경우 미리 전원을 차단하여 연결된 기타 장치들이 파손되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tect a possibility of a short in advance, and if a short is possible, cut off the power in advance to prevent the connected other devices from being damaged and a safety accident.

KR등록특허 10-0535857호KR Patent Registration 10-0535857 KR등록특허 10-1400693호KR Patent Registration 10-1400693 KR등록실용신안 20-0448796호KR Utility Model 20-044879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절체 전 부하가 쇼트되어 있는지를 감지하여 사용 부하 및 세대 분전반 내의 누전차단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부하 쇼트를 감시하면서 자동으로 전원을 절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절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n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control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etecting whether the load before switching is short and preventing the leakage circuit breaker in the used load and generation distribution panel from being damaged. The objective is to provide an automatic switching method that allows the power to be switched automatically while monitoring the load sho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하면, 절체 전 부하가 쇼트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면서 절체 작업을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시행하므로, 사용 부하 및 세대 분전반 내의 누전차단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종래의 자동 절체 제어방법과는 달리 쇼트 발생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witching operation is sequentially performed at a time interval while detecting whether the load before switching is short, the conventional automatic switching control method as well as preventing damage to the earth leakage breaker in the used load and the generation distribution panel. Unlike th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a fire caused by a short.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의 블록 구조도.
도 2 ~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내 각 구성들의 회로도.
도 8 ~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사용한 자동 전원 절체방법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7 are circuit diagram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is a flow chart of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method using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provided to assist in the practice an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not for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전원 절체 제어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10)의 블록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10 for implementing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ler 10 for realiz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설명에 앞서, 도 1에서 굵은 실선은 주 전력(Main Power)의 이송경로를 표현한 선이고, 가는 실선은 본 발명의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10)의 동작을 위한 전력의 이동경로를 표현한 것이며, 가는 점선은 본 발명의 제어 및 감시 신호 방향을 표현한 것이다. 이와는 별개로 도 1에서 실선 내지는 점선으로 연결되지 않다고 하여 상호 회로 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은 아니다. 이는 차후에 각 구성원들의 회로에 대하여 설명할 때 각 구성원들의 연결 관계에 대하여 정확하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Prior to the description, in FIG. 1, the thick solid line represents the transfer path of the main power, and the thin solid line represents the movement path of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n dashed line represents the control and monitoring signal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ly, the fact that they are not connected by a solid line or a dotted line in FIG. 1 does not mean that they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will be explained precisely abou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each member when the circuit of each member is described lat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10)는 상시전원(N) 및 비상전원(E)을 입력 받는 전원부(100)와, 상기 전원부(100)에서 인입하는 전력을 일부 입력 받아 상시 출력 정전압 또는 비상 출력 정전압을 출력하는 SMPS회로부(200), 상기 SMPS회로부(200)로부터 입력받는 상시 내지 비상 출력 정전압을 12V의 정전압으로 출력하며, 12V 정전압 출력회로부(410), 상기 12V 정전압 출력회로부(410)에서 출력하는 12V의 정전압을 5V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5V 정전압 출력회로부(420)를 포함하는 정전압 출력회로부(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00 which receives the continuous power N and the emergency power E, and a power in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SMPS circuit unit 200 that receives a partial input and outputs the constant output constant voltage or emergency output constant voltage, outputs the constant to emergency output constant voltage received from the SMPS circuit unit 200 at a constant voltage of 12V, 12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410, the The 12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410 includes a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400 including a 5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420 for converting the constant voltage of 12V output to 5V constant voltage.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10)는, 상기 SMPS회로부(200)와 연결되어 상시전원의 활선상태를 감시하는 상시 활선감시 회로부(300), 상기 5V 정전압 출력회로부(420)로부터 5V의 정전압을 입력 받아 구동하고, 또한 상기 상시 활선감시 회로부(3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시간지연기능 프로그램(510)을 내장하고 있는, 중앙처리장치 및 하나 이상의 기억장치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중앙처리부(50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contro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MPS circuit unit 200, the constant live monitoring circuit unit 300 for monitoring the live state of the constant power supply, the 5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420 of 5V A central processing unit 500 which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set of one or more storage devices, which are driven by receiving a constant voltage and connected to the always-on live monitoring circuit unit 300, and which includes a time delay function program 510. ).

상기와 같이 12V의 정전압을 별도로 5V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부(500)를 구동시키는 이유는, 상기 중앙처리부(500)에서 중앙처리장치로 사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중 현재 출시되는 대부분이 5V 이하의 전압에서 구동되고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10)용 중앙처리부(500)의 중앙처리장치는 5V로 구동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것을 일예시로서 설명하기로 한다.The reason for driv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0 by converting the constant voltage of 12V into a constant voltage of 5V as described above is that most of the microprocessors that can be used a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0 are 5V. This is because it is designed to be driven and recognized at the following voltage. Hereinafter,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0 for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using a microprocessor driven at 5V.

그리고 본 발명의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10)는 상기 전원부(100)에서 출력되는 상시전원(110) 및 비상전원(120)을 입력 받아 3선식 부하(P1, P2, P3)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릴레이 출력회로부(900)와,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에 연결되고 12V 정전압 출력회로부(420)에서 출력되는 12V 정전압을 입력 받아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의 쇼트를 감시하는 쇼트체크 회로부(60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constant power 110 and the emergency power 120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to convert the three-wire load (P1, P2, P3) and outputs it. The short check circuit unit 600 connected to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and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and receiving the 12V constant voltage output from the 12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420 to monitor the short of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500) 및 릴레이 출력회로부(900)와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부(5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를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회로부(700)와, 상기 중앙처리부(500)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부(500)의 신호에 따라 가시적으로 점등할 수 있는 LED 표시부(80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lay control circuit unit 70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0 and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to control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0,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t is connected to the 500 includes a LED display unit 800 that can be visually lit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0).

상기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상기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10)에 대하여, 이하에서는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1 및 이하에서 개시할 각 구성요소들의 회로들의 개별적인 도면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10)의 개별 회로 구성원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With respect to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10 including the above components,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below. Therefore,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individual circuit members of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individual drawings of circuit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도 2는 상기 SMPS회로부(200)의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상기 SMPS회로부(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2 is a circuit diagram of the SMPS circuit unit 200.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MPS circuit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설명에 앞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MPS회로부(200)는 상시전원(NL, NN)을 입력받아 상전 정전압(N_12V)을 출력하는 상시전원 SMPS회로부와, 비상전원(EL, EN)을 입력받아 비상 정전압(E_12V)을 출력하는 비상전원 SMPS회로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두 SMPS 회로간 회로의 구성이 동일하여, 이하에서는 상시전원 SMPS회로의 구성을 일예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as shown in FIG. 1, the SMPS circuit unit 200 receives a constant power source NL and NN and outputs a constant power source SMPS circuit unit to output a constant constant voltage N_12V, and emergency power sources EL and EN. An emergency power supply SMPS circui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and outputting an emergency constant voltage (E_12V),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between the two SMPS circuits are the same,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stant power supply SMPS circuit.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SMPS회로부(200)는 상기 전원부(100)로부터 상시전원(NL, NN)이 입력되면 상기 상시전원 SMPS회로부의 동작에 따라 상전 정전압(N_12V)이 출력되고, 비상전원(EL, EN)이 입력된다면 상기 비상전원 SMPS회로부의 동작에 따라 비상 정전압(N_12V)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전원부(100)에서 상시전원과 비상전원이 한꺼번에 인입되어, 상기 상시전원 SMPS 회로부와 비상전원 SMPS 회로부가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는 오작동 내지 고장 등의 경우를 제외한 정상 상황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데, 이러한 이상상황 발생 시의 대책에 대해서는 차후에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MPS circuit unit 200 receives the constant power NL and NN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the SMPS circuit unit 200 outputs a phase constant constant voltage N_12V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stant power SMPS circuit unit, and the emergency power source ( If EL and EN are inputted, the emergency constant voltage N_12V is out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power SMPS circuit portion. At this time, the regular power and the emergency power are introduced at the same time in the power supply unit 100, and the normal power SMPS circuit part and the emergency power SMPS circuit part operate at the same time does not occur in the normal situation except in the case of malfunction or failure. The countermeasures in the event of a situ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우선 도 2를 통해 상기 SMPS회로부(200) 중 상시전원 SMPS회로부의 회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상기 인입되는 상시전원단(NN, NL)에 대하여, 서지보호를 위한 서지보호 바리스터(201), 정류다이오드(202), 평활콘덴서(203), 바이패스 캐패시터(204), 일정한 출력 전압을 위한 피드백저항(205), 출력 전압 충전을 위한 출력충전 캐패시터(206), 프리휠링 다이오드(207) 및 피드백 다이오드(209), EMI필터링을 위한 EMI필터링 인덕터(208), 인덕터 출력 전류 평활 및 출력리플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평활 캐패시터(210)를 포함한다. 상기의 전자회로 부품 구성요소들의 동작들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능들에 따라 동작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First,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SMPS circuit unit of the SMPS circuit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rst, the surge protection varistor 201 for surge protection for the continuous power source terminals NN and NL to be introduced, Rectifier diode 202, smoothing capacitor 203, bypass capacitor 204, feedback resistor 205 for constant output voltage, output charging capacitor 206 for output voltage charging, freewheeling diode 207 and feedback Diode 209, EMI filtering inductor 208 for EMI filtering, smoothing capacitor 210 to limit inductor output current smoothing and output ripple voltage. Since the operations of the electronic circuit component elements operate according to generally known function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SMPS회로부(200)는 12V 정전압IC(220)을 포함한다. 상기 12V 정전압IC(220)는 실질적으로 SMPS회로부(200)에서 인입되는 전원(NN, NL)을 정전압(N_12V)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정전압 IC칩(Regulator IC)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PS circuit unit 200 includes a 12V constant voltage IC 220. The 12V constant voltage IC 220 is a device that substantially converts the power (NN, NL) drawn from the SMPS circuit unit 200 into a constant voltage (N_12V), and generally uses a commercially available constant voltage IC chip (Regulator IC) Can be implemented.

상기와 같이 SMPS회로부(200)를 통하여 인입하는 상시 또는 비상전원을 일정 전압의 정전압으로 변경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을 동작하는 데 있어서 과온도, 저전압, 전류제한, 출력과부하, 출력단락 등이 구성요소 간에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동작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통하여 출력되는 정전압은 이하에서 설명하겠지만 지속적으로 사용된다.The reason for changing the constant or emergency power supply drawn through the SMPS circuit unit 200 to a constant voltage as described above is that in operat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 temperature, under voltage, current limit, output overload, output short circuit This is to prevent the back from operating between the components and to operate smoothly. The constant voltage output through this will be used continuously a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a는 상기 12V 정전압 출력회로부(410)의 회로도이며, 도 3b는 상기 5V 정전압 출력회로부(420)의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3a, 3b를 통하여 상기 정전압 출력회로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3A is a circuit diagram of the 12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410, and FIG. 3B is a circuit diagram of the 5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420. Hereinafter, the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A and 3B.

우선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2V 정전압 출력회로부(410)는 역전압방지 다이오드(411)를 포함한다. 상기 역전압방지 다이오드(411)는 상기 SMPS회로부(200)에서 인입되는 상시 정전압(N_12V) 또는 비상 정전압(E_12V)을 인입받아 12V 출력 정전압(12V_EXT)을 출력하는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시전원과 비상전원이 한꺼번에 인입하여 상기 상시전원 SMPS회로부 및 비상전원 SMPS회로부가 동시에 동작, 상기 상시 정전압(N_12V)과 비상 정전압(E_12V)이 동시에 발생하여 상기 SMPS회로부(2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역전압방지 다이오드(411)의 기능으로 인하여, 양 정전압(N_12V, E_12V)이 충돌하지 않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상기 12V 출력 정전압(12V_EXT)을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as shown in FIG. 3A, the 12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410 includes a reverse voltage prevention diode 411. The reverse voltage prevention diode 411 receives the constant constant voltage N_12V or the emergency constant voltage E_12V introduced from the SMPS circuit 200 and outputs a 12V output constant voltage 12V_EXT, 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power and the emergency power are introduced at once, and the normal power SMPS circuit part and the emergency power SMPS circuit part operate simultaneously, and the constant constant voltage N_12V and the emergency constant voltage E_12V are simultaneously generated and output through the SMPS circuit part 200. At this time, due to the function of the reverse voltage prevention diode 411, it is possible to stably output the 12V output constant voltage (12V_EXT) under any circumstances without both constant voltages (N_12V, E_12V) does not collide.

그리고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5V 정전압 출력회로부(420)는 5V 정전압IC(421)과, 상기 5V 정전압IC(421)을 통해 변환되는 5V 정전압에 대한 평활을 위한 평활 콘덴서(42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B, the 5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420 uses a 5V constant voltage IC 421 and a smoothing capacitor 422 for smoothing the 5V constant voltage converted through the 5V constant voltage IC 421. Include.

이때 상기 5V 정전압IC(421)은 상기 12V 정전압IC(220)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정전압 IC칩(Regulator IC)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는데, 상기 정전압IC들(220, 421)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할 수도 있거나 또는 별개의 2개 칩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5V constant voltage IC 421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constant voltage IC chip (Regulator IC), similar to the 12V constant voltage IC 220, the constant voltage ICs 220, 421 is on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hip or as two separate chips.

도 4는 상기 상시 활선감시 회로부(300)의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하여 상기 상시 활선감시 회로부(3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4 is a circuit diagram of the always-on live monitoring circuit unit 300.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continuous live wire monitoring circuit uni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시 활선감시 회로부(300)는 상기 SMPS회로부(200) 중 상시전원 SMPS회로부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한 쌍의 저항을 포함하는 분배저항부(3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배저항부(301)의 한 쌍의 저항은 직렬로 연결되며, 저항과 저항 사이에 상기 중앙처리부(500)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상기 중앙처리부(500)가 상전 정전압(N_12V)이 입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always-on live wire monitoring circui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only to the regular power SMPS circuit unit of the SMPS circuit unit 200 and includes a distribution resistor unit 301 including a pair of resistors. . The pair of resistors of the distribution resistor unit 301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0 is connected between the resistors and the resistors. 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0 may determine whether the phase constant voltage N_12V is input.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전 정전압(N_12V)은 12V 언저리의 정전압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5V 이하의 전압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전 정전압(N_12V)을 인식할 수 없으며 인입 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분배저항부(301)가 상기 상전 정전압(N_12V)을 5V 이하이며 그 값이 상기 중앙처리부(500)에 이미 입력되어 있는 활선신호전압(V_out)으로 변환하고, 이와 같이 변환된 상기 활선신호전압(V_out)의 인입상태 및 변동을 통하여 상기 상전 전원의 인입 상태에 대하여 상기 중앙처리부(500)가 인지하고 절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phase constant voltage N_12V is a constant voltage of 12 V, and as described above, only the voltage of 5 V or less can be recognized, and thus, the phase constant voltage N_12V cannot be recognized, and It may cause a malfunction. Accordingly, the distribution resistor unit 301 converts the phase change constant voltage N_12V to 5 V or less and the value is input to the live signal voltage V_out already inpu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0, and the live wire thus convert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0 may recognize the transfer state of the phase power supply through the incoming state and the variation of the signal voltage V_out, and determine whether to transfer.

예를 들어, 상기 분배저항부(301) 내 양 저항(R1, R2)을 10kΩ, 6.2kΩ의 표준 저항으로 구성하였다면 상기 활선신호전압(V_out)의 값은 Vin(N_12V)*{R2/(R1+R2)}에 따라 구해지므로, 상기 중앙처리부(5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식할 수 있는 전압 값인 12*{6.2k/(10k+6.2k)}=4.5V 가 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부(500)는 4.5V의 활선신호전압(V_out) 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인입되는 4.5V의 활선신호전압(V_out)의 인입 상태에 따라 상기 상전 전원의 인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활선신호전압(V_out)이 인입되지 않거나 아니면 설정된 4.5V 전압 값의 변동 범위를 넘어선 이상 전압값이 인입된다면 상기 상전 전원이 동작하지 않거나 이상 상태인 것이므로, 상기 중앙처리부(500)는 비상 전원으로의 절체를 실시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both resistors R1 and R2 in the distribution resistor unit 301 are configured with standard resistors of 10 kΩ and 6.2 kΩ, the live signal voltage V_out is set to Vin (N_12V) * {R2 / (R1). + R2)}, 12 * {6.2k / (10k + 6.2k)} = 4.5V, which is a voltage valu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microprocessor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0. In this case,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0 may determine whether the phase power supply is drawn in accordance with the incoming state of the live signal voltage V_out of 4.5 V, since the live signal voltage V_out of 4.5 V is preset. If the live signal voltage V_out is not drawn or an abnormal voltage value exceeding the set variation range of the 4.5 V voltage value is drawn, the phase power supply does not operate or is in an abnormal state. Transition to emergency power supply is performed.

도 5는 본 발명의 쇼트체크 회로부(600)의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5를 통하여 상기 쇼트체크 회로부(6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5 is a circuit diagram of the short check circuit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hort check circuit unit 6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5.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쇼트체크 회로부(600)는 쇼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포토커플러(601)와 역전압방지 다이오드(602), 포토커플러 전류드라이빙 저항(603), 그리고 연결된 중앙처리부(500) 입력 포트값의 플로팅 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풀다운 저항(604)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5, the short check circuit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coupler 601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short, a reverse voltage prevention diode 602, a photocoupler current driving resistor 603, and a connecti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500 includes a pull-down resistor 604 to prevent the floating state of the input port value.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쇼트체크 회로부(600)는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와 연결되어, 변환되는 3선식 부하(P1, P2, P3) 중 두 부하(P1, P2)에 연결되어 이들의 쇼트 여부를 감시하는데, 평상시에는 쇼트 감시 대상이 되는 두 연결선(Short_Check_1, Short_Check_2)이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호간에 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포토커플러(601)가 항상 닫혀 있게 되어 상기 5V 정전압 출력회로부(420)로부터 출력되어 인입되는 5V 정전압이 상기 포토커플러(601)를 통과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상기 중앙제어부(5V)의 정해진 단락에 5V 정전압이 입력되지 않음으로서, 현재 쇼트가 발생하지 않는 정상 상태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The short check circuit unit 600 including the above components is connected to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and is connected to two loads P1 and P2 of the three-wire loads P1, P2, and P3 to be converted. In general, since the two connection wires (Short_Check_1 and Short_Check_2) to be short-monitored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no current is generated between them, so that the photocoupler 601 is always closed so that the 5V Since the 5V constant voltage outputted from the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420 and drawn in does not pass through the photocoupler 601, the 5V constant voltage is not input to the predetermined short circuit of the central control unit 5V. It can be recognized that this is a normal state.

그런데 만약 상기 두 부하(P1, P2)에 쇼트가 발생하게 된다면 상기 포토커플러 전류드라이빙 저항(603)에 의하여 전류가 발생, 상기 포토커플러(601)가 열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5V 정전압 출력회로부(420)로부터 출력되는 5V 정전압이 상기 포토커플러(601)를 통과하여 상기 중앙제어부(500)에 입력됨으로서 상기 중앙제어부(500)가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에서의 쇼트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if a short occurs in the two loads P1 and P2, a current is generated by the photocoupler current driving resistor 603, and the photocoupler 601 is opened, and thus the 5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420. The 5V constant voltage outputted from the PSA is inpu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500 through the photocoupler 601 so that the central control unit 500 can detect whether the short circuit is detected in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또한, 이때 상기 역전압방지 다이오드(602)로 인하여 쇼트로 인하여 발생한 전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short circuit from flowing backward due to the reverse voltage preventing diode 602.

도 6은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의 회로도이며, 도 7은 상기 릴레이 제어회로부(700) 및 LED표시부(800)의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통하여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 및 릴레이 제어회로부(7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6 is a circuit diagram of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and FIG. 7 is a circuit diagram of the relay control circuit unit 700 and the LED display unit 800.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and the relay control circuit unit 7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우선 도 7을 통하여 상기 릴레이 제어회로부(700) 및 LED표시부(8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 제어회로부(700)는 상기 중앙제어부(50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에 대한 절체 여부를 결정하고 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회로로서, 릴레이 구동을 위한 스위치로서 실제로 절체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702_RLY1~702_RLY3)를 포함하는 릴레이구동 트랜지스터부(702)와, 상기 릴레이구동 트랜지스터부(702)를 구동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 전류드라이빙 저항부(701)을 포함한다.First, the relay control circuit 700 and the LED display 8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s described above, the relay control circuit unit 700 is a circu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switch over to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500 and visually display the switch. A relay driving transistor unit 702 including at least two or more transistors 702_RLY1 to 702_RLY3, and a transistor current driving resistor unit 701 for driving the relay driving transistor unit 702. It includes.

여기서 상기 릴레이구동 트랜지스터부(702) 내 트랜지스터는 출력되는 전원단과 일대 일로 대응되도록 하여 전원단의 숫자와 같은 수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1에서는 출력 전원단이 3선식으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이에 일대 일로 대응되는 상기 릴레이구동 트랜지스터부(702) 내 트랜지스터 또한 3개(702_RLY1, 702_RLY2, 702_RLY3)로 구현되는 것이 일예시로 표현되어 있다. Here, the transistor in the relay driving transistor unit 702 is preferably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output power stage, and implemented as the same number of power stages. In FIG. 1, since the output power stage is represented by a 3-wire type, One example is that the transistors in the relay driving transistor unit 702 are also implemented as three (702_RLY1, 702_RLY2, 702_RLY3).

상기와 같이 구현되어 있는 릴레이구동 트랜지스터부(702)에 대하여, 상기 중앙제어부(500)는 쇼트 체크를 먼저 한 후 제어 명령을 내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릴레이구동 트랜지스터부(702)의 각 트랜지스터(702_RLY1, 702_RLY2, 702_RLY3)들이 열고 닫혀짐으로서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에 대한 절체 제어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With respect to the relay driving transistor unit 702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control unit 500 issues a short check and then gives a control command. Accordingly, each transistor 702_RLY1 of the relay driving transistor unit 702 is provided. , 702_RLY2 and 702_RLY3 are opened and closed, so that switching control on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LED표시부(800)는 현재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가 상시전원을 구동중인지, 비상전원을 구동중인지 또는 쇼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 등을 관리자에게 가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부분으로, 상기의 내용들을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구분하여 표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소자를 포함하는 전원확인LED부(801)과, 상기 전원확인LED부(801)를 구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부 전류드라이빙 저항부(802)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ED display unit 800 is a part that can visually express to the administrator whether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is driving the constant power, the emergency power or whether a short has occurred. A power check LED unit 801 including at least one LED element that can be visually distinguished from the user and at least one LED driving current driving resistor unit 802 for driving the power check LED unit 801 It includes.

이하에서는 도 6을 통하여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는 상기 릴레이 제어회로부(700)에서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실제로 절체를 실시하는 부분이다.Hereinafter,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s described above,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is a part which actually switches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control circuit unit 700.

우선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는 인입되는 상전라인(901) 및 비상라인(902)을 3선식 출력부하(920)으로 변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릴레이를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전 및 비상라인(901, 902) 중 N라인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N라인 릴레이(903)과, 상기 상전 및 비상라인(901, 902) 중 L라인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L라인 릴레이(904), 그리고 서브릴레이로서 부하 쇼트체크를 위한 쇼트체크 릴레이(905)를 포함한다.First,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includes one or more relays for converting the incoming phase switch line 901 and the emergency line 902 into a three-wire output load 920. Preferably, the phase change and emergency line ( N-line relay 903 for receiving power from N-line among 901 and 902, L-line relay 904 for receiving power from L-line among phase and emergency lines 901 and 902, and sub relay As a short check relay 905 for a load short check.

상기와 같은 각각의 릴레이(903, 904, 905)들은 각각 실제로 물리적인 절체를 실시하는 접점(p)과, 이러한 상기 접점(p)을 전자기력으로 구동시키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릴레이 코일(c)로 구성되어, 상기 릴레이 코일(c)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접점(p)의 물리적인 절체를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회로도에서 표현되어 있듯이, 상기 각각의 릴레이 코일(c)들은 도 7의 릴레이 제어회로부(700) 내 상기 릴레이구동 트랜지스터부(702)의 각각의 트랜지스터들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릴레이 제어회로부(700)의 신호에 따른 상기 릴레이구동 트랜지스터부(702)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각각의 릴레이 코일(c)들이 동작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접점(p)의 동작 여부가 결정됨으로서 상기 릴레이 제어회로부(700)가 상기 각각의 릴레이(903, 904, 905)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Each of the relays 903, 904, and 905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contact point p, which actually performs physical switching, and a relay coil c, which serves as a switch for driving the contact point p by an electromagnetic force. Therefore, physical switching of the contact point p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lay coil c. As shown in the circuit diagram of FIG. 6, the respective relay coils c are connected to respective transistors of the relay driving transistor unit 702 in the relay control circuit unit 700 of FIG. 7. The relay coils c oper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lay driving transistor unit 702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ircuit unit 700, and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contact point p is determined. 7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relays 903, 904, and 905.

그리고 상기 N라인 릴레이(903)의 출력단자에는 제2쇼트체크단(906)이, 상기 쇼트체크 릴레이(905)의 접점(p) 일측은 제1쇼트체크단(907)이 연장 연결되어 상기 쇼트체크 회로부(600)에 연결됨으로서, 상기 쇼트체크 회로부(600)의 쇼트 감시 대상이 된다.In addition, a second short check end 906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N-line relay 903, and a first short check end 907 is extended to one side of a contact p of the short check relay 905 so that the short is connec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heck circuit unit 600, the short check circuit unit 600 is a short monitoring target.

또한 각각의 릴레이(903, 904, 905)들의 릴레이 코일(c)에는 환류다이오드(908, 909, 9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상기 환류다이오드(908, 909, 910)는 상기 각각의 릴레이 코일(c)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역기전력을 억제하여 서지 혹은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reflux diodes 908, 909, and 910 are installed in the relay coil c of each of the relays 903, 904, and 905, and the reflux diodes 908, 909, and 910 are each relays. It is to prevent the surge or noise by suppressing back EMF that may occur in the coils (c).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 제어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 제어동작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8 to 10 are flow charts showing the sequence of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operation using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rocedure of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operation using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우선 도 8은 본 발명의 전원 절체 제어장치가 최초 가동할 때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전원 절체 제어장치가 최초 가동할 때의 동작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when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operates. 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dure when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operat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설명에 앞서, 상시전원 또는 비상전원이 'ON' 상태에 있다고 하는 것은 외부의 전력공급처로부터 상시전원 또는 비상전원이 정상적으로 인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하고, 상시전원 또는 비상전원이 'OFF' 상태에 있다고 하는 것은 외부의 전력공급처로부터 상시전원 또는 비상전원이 인입되고 있지 않거나 또는 불량 내지는 고장 등으로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when the constant power or the emergency power is in the 'ON' state, it is used as an expression representing the state in which the constant power or the emergency power is normally input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and the constant power or the emergency power is 'OFF'. The state is used as an expression indicating that the constant power source or the emergency power source is not drawn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source or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not be used due to defective or malfunctioning.

본 발명의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동작하고자 할 때의 초기 상태는, 상시전원과 비상전원이 모두 ON 상태일 것이다. 본 발명의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가동하게 되면, 먼저 상기 상시 활선감시 회로부(300)가 상시전원의 인입을 확인하는 활선체크단계(S01)를 실시한다.The initial state when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both the constant power and the emergency power will be in the ON state. When operating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live wire monitoring circuit 300 performs a live check step (S01) to check the introduction of the constant power.

이때 만약 상기 전력공급처로부터 상시전원이 OFF 상태라면, 비상전원으로 절체하는 일련의 단계들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는 차후에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if the constant power is turned off from the power supply, a series of steps for switching to the emergency power is perform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활선체크단계(S01)에서 상시전원이 ON 상태임을 확인하였다면, 다음으로는 상기 쇼트체크 회로부(600)가 현재 릴레이 출력회로부(900)에 쇼트 상태인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는 쇼트체크단계(S02)를 실시한다.If it is confirmed in the live-check step (S01) that the constant power is ON, next, the short check step (S02) to check whether the short check circuit unit 600 is in the short state in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Is carried out.

상기 쇼트체크단계(S02)에서, 쇼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한다면, 상기 중앙제어부(500)는 즉각 모든 부하를 차단하고 상기 LED표시부(800)를 통하여 현재 상기 전원 절체 제어장치가 쇼트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전달하는 부하차단단계(S03)를 실시하고 절차를 종료, 사용자가 상기 전원 절체 제어장치의 쇼트된 부분을 수리할 때까지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전체 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short check step (S02), if it detects that a short has occurred, the central control unit 500 immediately cuts off all loads and is visible to the user that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is currently in a short state through the LED display unit 800 The load interruption step (S03) to be delivered to the end of the procedure to terminate the process, so that the user does not operate until the repaired short part of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to protect the entire circuit.

그리고 상기 쇼트체크단계(S02)에서 쇼트가 감지되지 않았다면, 상시전원을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쇼트체크릴레이(905)를 상전 부하로 절체시키는 상전절체단계(S04)를 실시, 상전부하를 사용(S10)할 수 있도록 한 뒤 현재의 설정을 유지하여 절차를 종료하도록 한다.And if the short is not detected in the short check step (S02), in order to use the constant power supply phase transfer step (S04) for switching the short check relay 905 to the phase load, using the phase change load (S10) You can do so, and keep the current settings to exit the procedure.

도 9는 상시전원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S10)에서, ON 상태인 상시전원이 모종의 이유로 OFF 상태로 변환되었을 때 본 발명의 전원 절체 제어장치가 절치를 실시하는 것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전원 절체 제어장치가 상전 부하에서 비상 부하로 절체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Fig. 9 is a flowchart showing that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procedure when the constant power in the ON state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in the state of using the constant power (S10). Hereinafter, the procedure of switching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phase load to the emergency loa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전부하를 사용(S10)하고 있는 상태에서, 초기조건이 상시전원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변환되었고, 비상부하는 ON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9, in the state where the phase change load is used (S10), the initial condition is changed from the constant power ON state to the OFF state, and the emergency load maintains the ON state.

우선, 상기 상시 활선상태 감시회로부(300)는 상시전원의 상태가 ON인지 OFF인지를 체크하는 활선체크단계(S01)를 실시하는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시전원이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바뀌었으므로, 상기 상시 활선상태 감시회로부(300)는 상시전원의 변환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활선체크단계(S01)에서, 상시전원의 상태가 ON상태로 유지되고 있다면, 이전과 같이 상전부하를 계속 사용(S10)하면 될 것이다.First, the always live state monitoring circuit unit 300 performs a live check step (S01) to check whether the state of the always-on power is ON,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is changed from the ON state to the OFF state. Therefore, the always-on live monitoring circuit unit 300 may detect the converted state of the regular power. If in the live-check step (S01), if the state of the constant power is maintained in the ON state, it will continue to use the phase change load as before (S10).

상기 활선체크단계(S01)에서 상시전원이 OFF 상태임이 감지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전원 절체 제어장치는 비상부하로의 절체를 실시한다. 우선 상기 쇼트체크릴레이(905)를 차단하는 쇼트체크릴레이 차단단계(S11)를 실시한다.Since it is detected that the constant power is OFF in the live check step (S01),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transfer to the emergency load. First, the short check relay blocking step S11 for blocking the short check relay 905 is performed.

그리고 상기 부하쇼트 체크회로부(600)를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의 쇼트 여부를 체크하는 쇼트체크단계(S02)를 실시한다. 이는 쇼트가 발생한 상태로 부하 절체를 실시하게 되면 전체 회로의 고장 및 화재 등의 안전사고등의 발생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인지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상기 쇼트체크단계(S02)에서 쇼트 발생이 감지되었다면, 상기 부하차단단계(S03)를 실시하고 모든 동작을 멈추게 되어 종료한다.Then, a short check step S02 of checking whether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is short by using the load short check circuit unit 600 is performed. This is because if there is a risk of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such as a failure of the entire circuit and a fire when the load switching is performed while a short has occurred, it is for recognizing this in advance and removing the risk factor of the safety accident in advance. If a short occurrence is detected in the short check step (S02), the load blocking step (S03) is performed and all the operations are stopped to end.

그리고 상기 쇼트체크단계(S02)에서 쇼트가 갑지되지 않았다면, 안전하게 절체를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절체를 위한 일련의 동작을 실시한다. 우선 a초간 대기하는 1차대기단계(S12)를 실시하고, 먼저 N라인 릴레이(903)만 절체하는 N라인 절체단계(S13)를 실시한다. 이후 b초간 대기하는 2차대기단계(S14) 실시 후에 상기 L라인 릴레이(904)를 절체하는 L라인 절체단계(S15)를 실시하고, 다시 c초간 대기하는 3차대기단계(S16)를 실시한 다음 상기 쇼트체크릴레이(905)를 비상 부하로 절체하는 비상절체단계(S17)를 실시함으로서 상전 부하에서 비상 부하로의 절체를 완료하여, 비상 부하를 사용(S20)하게 됨으로서 절체를 완료하게 된다.And if the short is not sudden in the short check step (S02), si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afe transfer, a series of operations for the transfer is performed. First, a first standby step S12 of waiting for a second is performed, and first, an N-line switching step S13 of switching only the N-line relay 903 is performed. After performing the second standby step (S14) of waiting for b seconds, the L-line switching step (S15) of switching the L-line relay 904 is performed, and then performs the third standby step (S16) of waiting for c second again. By performing the emergency switching step (S17) of switching the short check relay 905 to the emergency load, the transfer from the phase load to the emergency load is completed, and the emergency load is used (S20) to complete the transfer.

이때 상기와 같이 a초, b초 c초간 대기하는 각각의 단계(S12, S14, S16)를 실시하여 각각의 릴레이들(903, 904, 905)을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절체하는 이유는, 이들이 동시에 절체하거나 또는 짧은 시간내에 모두 절체를 하게 되면, 아직 회로 내에 남아 있는 상시 전원의 전력과, 인입되는 비상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이 상호 충돌하여 회로에 과부하가 걸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시전원이 OFF 상태가 되더라도 회로 내의 콘덴서 등의 부품들에는 아직 일정 수준의 전력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자연스럽게 소진시켜줄 수 있는 시간을 설정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곧바로 비상전원을 인입하게 되면 전력이 축적되어 있는 부품들이 고장 나거나 심지어는 타버려서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steps (S12, S14, S16) to wait for a second, b seconds c seconds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for sequentially switching over each of the relays (903, 904, 905) over time, they are simultaneously This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problems such as overloading of the circuit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power of the continuous power still remaining in the circuit and the power from the incoming emergency power when the transfer is performed in a short time. . In particular,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a certain level of power is still stored in the parts such as capacitors in the circu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a time for exhausting the power naturally. This i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such as fire due to broken parts or even burned out parts.

여기서 상기 a초, b초, c초를 각각 어느 정도 설정해야 하는지는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재량으로 할 수 있지만, 합하였을 때(a+b+c) 적어도 5초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합하였을 때(a+b+c)의 시간이 5초 미만이라면 절체의 시간 지연으로 인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전술한 부품 내의 전력 소진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고장 등의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5초 이상으로 한다.The amount of a, b, and c seconds to be set here may be determined by the administrator as necessary.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 b, and c seconds be set to be at least 5 seconds when combined (a + b + c). If the combined time (a + b + c) is less than 5 seconds, the effect of the time delay of switching is not seen and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above-described parts is not completely achieved, resulting in the possibility of failure. 5 seconds or more.

또한 상기 a초, b초, c초는 상기 시간지연기능 프로그램(510)에 의해 입력 및 동작하여, 사용자는 상기 시간지연기능 프로그램(510)에 미리 상기 a초, b초, c초를 입력하고 상기 시간지연기능 프로그램(510)은 상기 단계(S12, S14, S16)에서 미리 입력된 시간에 따라 절체 지연을 실시한다.In addition, the a, b, and c seconds are input and operated by the time delay function program 510, so that the user inputs the a, b and c seconds into the time delay function program 510 in advance. The time delay function program 510 performs a switching delay according to the time input in advance in the steps S12, S14, and S16.

도 10은 비상 부하를 사용하는 상태(S20)에서, OFF 상태이던 상시전원이 다시 ON 상태로 변환됨으로서 이를 감지하고 비상 부하를 상시 부하로 절체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전원 절체 제어장치가 비상 부하에서 상전 부하로 절체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detecting an emergency load and transferring the emergency load to the normal load by turning the normal power in the OFF state back to the ON state in the state of using the emergency load (S20). Hereinafter, the procedure of switching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emergency load to the phase load through FIG. 10 will be described.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 부하를 사용(S20)하고 있는 상태에서, 초기조건이 상시전원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환되었고, 비상부하는 ON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0, in the state where the emergency load is used (S20), the initial condition is changed from the constant power OFF state to the ON state, and the emergency load maintains the ON state.

우선, 상기 상시 활선상태 감시회로부(300)는 상시전원의 상태가 ON인지 OFF인지를 체크하는 활선체크단계(S01)를 실시하는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시전원이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바뀌었으므로, 상기 상시 활선상태 감시회로부(300)는 상시전원의 변환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활선체크단계(S01)에서, 상시전원의 상태가 OFF상태로 유지되고 있다면, 이전과 같이 비상부하를 계속 사용(S20)하면 될 것이다.First, the always live state monitoring circuit unit 300 performs a live check step (S01) to check whether the state of the power is always ON,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is chang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always-on live monitoring circuit unit 300 may detect the converted state of the regular power. If in the live-check step (S01), if the state of the constant power is maintained in the OFF state, the emergency load will continue to use (S20) as before.

상기 활선체크단계(S01)에서 상시전원이 ON 상태임이 감지되었으므로, 본 발명의 전원 절체 제어장치는 상전부하로의 절체를 실시한다. 우선 상기 쇼트체크릴레이(905)를 차단하는 쇼트체크릴레이 차단단계(S21)를 실시한다.Since it is detected that the constant power is in the ON state in the live check step (S01), the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transfer to the phase forward load. First, the short check relay blocking step (S21) of blocking the short check relay 905 is performed.

그리고 상기 부하쇼트 체크회로부(600)를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900)의 쇼트 여부를 체크하는 쇼트체크단계(S02)를 실시한다. 상기 쇼트체크단계(S02)에서의 분기별 처리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Then, a short check step S02 of checking whether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900 is short by using the load short check circuit unit 600 is performed. Since the quarterly processing in the short check step S02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is omitted.

그리고 상기 쇼트체크단계(S02)에서 쇼트가 감지되지 않았다면, 안전하게 절체를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절체를 위한 일련의 동작을 실시하는데, 이는 상시전원을 비상전원으로 절체하는 단계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우선 d초간 대기하는 1차대기단계(S22)를 실시하고, 먼저 N라인 릴레이(903)만 절체하는 N라인 절체단계(S23)를 실시한다. 이후 e초간 대기하는 2차대기단계(S24) 실시 후에 상기 L라인 릴레이(904)를 절체하는 L라인 절체단계(S25)를 실시하고, 다시 f초간 대기하는 3차대기단계(S26)를 실시한 다음 상기 쇼트체크릴레이(905)를 상전 부하로 절체하는 상전절체단계(S27)를 실시함으로서 비상 부하에서 상전 부하로의 절체를 완료하여, 상전 부하를 사용(S10)하게 됨으로서 절체를 완료하게 된다.And if the short is not detected in the short check step (S02),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afe transfer, so a series of operations for switching is performed, which is the same as the step of switching the regular power to the emergency power. First, the first standby step (S22) of waiting for d seconds is performed, and first, the N-line switching step (S23) of switching only the N-line relay 903 is performed. After performing the second standby step (S24) to wait for e seconds to perform the L line transfer step (S25) for switching the L line relay 904, and then performs the third standby step (S26) to wait for f seconds again By performing the phase transfer step (S27) of switching the short check relay 905 to the phase load, the transfer from the emergency load to the phase load is completed, and the transfer is completed by using the phase load (S10).

이때 상기와 같이 d초, e초 f초간 대기하는 각각의 단계(S22, S24, S26)를 실시하여 각각의 릴레이들(903, 904, 905)을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절체하는 이유는, 전술한 상시에서 비상 부하로의 절체 때 a, b, c초를 대기하는 이유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d초, e초, f초를 각각 어느 정도 설정해야 하는지는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재량으로 할 수 있지만, 합하였을 때(d+e+f) 적어도 5초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steps S22, S24, and S26 that wait for f seconds and e seconds are performed to sequentially switch the relays 903, 904, and 905 over time as described above. This is the same as the reason for waiting for a, b, and c seconds when switching from the emergency load to the emergency load. Similarly, how much d seconds, e seconds, and f seconds should be set may be determined by the administrator as necessary.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m should be at least 5 seconds when combined (d + e + f). The reason is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d초, e초, f초는 상기 시간지연기능 프로그램(510)에 의해 입력 및 동작하여, 사용자는 상기 시간지연기능 프로그램(510)에 미치 상기 d초, e초, f초를 입력하고 상기 시간지연기능 프로그램(510)은 상기 단계(S22, S24, S26)에서 미리 입력된 시간에 따라 절체 지연을 실시한다.In addition, the d seconds, e seconds, f seconds is input and operated by the time delay function program 510, the user inputs the d seconds, e seconds, f seconds to the time delay function program 510 The time delay function program 510 performs a switching delay according to the time input in advance in the steps S22, S24 and S26.

100 : 전원부. 110 : 상시전원.
120 : 비상전원. 200 : SMPS회로부.
300 : 상시 활선감시 회로부. 400 : 정전압 출력회로부.
410 : DC12V 정전압 출력회로부. 420 : DC5V 정전압 출력회로부.
500 : 중앙제어부. 510 : 시간지연기능 프로그램.
600 : 쇼트체크 회로부. 700 : 릴레이 제어회로부.
800 : LED표시부. 900 : 릴레이 출력회로부.
100: power supply. 110: Constant power.
120: emergency power. 200: SMPS circuit part.
300: Always live monitoring circuit unit. 400: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section.
410: DC12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420: DC5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section.
500: central control unit. 510: time delay function program.
600: Short check circuit part. 700: relay control circuit.
800: LED display. 900: relay output circuit.

Claims (3)

상시전원(N) 및 비상전원(E)을 입력 받는 전원부; 상시 출력 정전압 또는 비상 출력 정전압을 출력하는 SMPS회로부; 상기 SMPS회로부로부터 인입되는 상시 출력 정전압 또는 비상 출력 정전압을 12V의 정전압으로 출력하며, 역전압방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12V 정전압 출력회로부와, 상기 12V 정전압 출력회로부를 5V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하여 5V 정전압IC와 평활 콘덴서를 포함하는 5V 정전압 출력회로부를 포함하는 정전압 출력회로부; 상시전원의 활선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직렬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직렬연결된 저항의 저항과 저항 사이에 중앙처리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시전원의 활선상태를 감시하는 분배저항부를 포함하는 상시 활선감시 회로부; 하나 이상의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릴레이들은 각각 물리적 절체를 실시하는 접점과 릴레이 코일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릴레이 내 각각의 릴레이 코일에는 환류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상시전원 및 비상전원을 입력 받아 3선식 부하(P1, P2, P3)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릴레이 출력회로부;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의 쇼트를 감시하는 쇼트체크 회로부;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를 제어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릴레이구동 트렌지스터부와, 적어도 둘 이상의 저항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전류드라이빙 저항부를 포함하는 릴레이 제어회로부; 가시적으로 점등할 수 있는 LED표시부; 그리고 시간지연기능 프로그램을 내부에 내장하고, 상기 상시 활선감시 회로부, 쇼트체크 회로부, 릴레이 제어회로부, LED표시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신호를 받고 이들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릴레이는 N라인 릴레이; L라인 릴레이; 그리고 쇼트체크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N라인 릴레이의 출력단자에는 제2쇼크체크단이, 상기 쇼트체크릴레이의 접점에는 제1쇼트체크단이 연장 연결되어 상기 쇼트체크 회로부에 연결되어 있는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통해 상시전원(N) 또는 비상전원(E)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상시전원(N)이 ON 상태이고, 상기 비상전원(E)이 ON 상태일 때, 상기 활선감시 회로부가 상시전원의 인입을 확인하는 활선체크단계(S01);
상기 단계(S01)에서 상시전원의 상태가 ON 상태임이 확인되었다면, 상기 쇼트체크 회로부가 회로의 쇼트 여부를 확인하는 쇼트체크단계(S02);
상기 단계(S02)에서 쇼트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의 쇼트체크릴레이를 상전부하로 절체시키는 상전절체단계(S04)를 실시하여 상전부하를 사용(S10)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방법.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the regular power N and the emergency power E; SMPS circuit unit for outputting the constant output constant voltage or emergency output constant voltage; Outputs a constant output constant voltage or emergency output constant voltage drawn from the SMPS circuit portion at a constant voltage of 12V, a 12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portion including a reverse voltage prevention diode, and a 5V constant voltage to convert the 12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portion into a 5V constant voltage and output the same. A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including a 5 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including an IC and a smoothing capacitor; In order to monitor the live state of the constant power, a pair of resistor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resistor and the resistance of the series connected resistor to include a distribution resistor unit for monitoring the live state of the constant power Always live monitoring circuit unit; One or more relays, each of the one or more relays includes a relay coil and a contact for performing physical switching, and each relay coil in the one or more relays is provided with a reflux diode, and the constant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a relay output circuit unit for receiving the emergency power and converting the three-wire load (P1, P2, P3) into output. A short check circuit unit for monitoring a short of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A relay control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the relay driving transistor unit including at least two transistors, and a transistor current driving resistor unit including at least two resistors; LED display unit which can be visually lit;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having a time delay function program embedded there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being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always-on live monitoring circuit unit, the short check circuit unit, the relay control circuit unit, and the LED display unit to receive signals and control them. The relay is an N-line relay; L line relay; And a short check relay, wherein a second shock check terminal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N-line relay, and a first short check terminal is extended to a contact of the short check relay to be connected to the short check circuit unit. As a method of using the constant power (N) or emergency power (E) through the control device,
A live check step (S01) in which the live wire monitoring circuit unit checks the introduction of the constant power when the continuous power (N) is in the ON state and the emergency power (E) is in the ON state;
A short check step (S02) of checking whether or not the short check circuit unit has a short circuit, when it is confirmed in the step (S01) that the state of the constant power source is ON;
If the short has not occurred in step S02, the phase changeover step S04 for switching the short check relay of the relay output circuit portion to the phase change load is performed to use the phase change load (S10). Automatic power transfer method using transfer control device.
상시전원(N) 및 비상전원(E)을 입력 받는 전원부; 상시 출력 정전압 또는 비상 출력 정전압을 출력하는 SMPS회로부; 상기 SMPS회로부로부터 인입되는 상시 출력 정전압 또는 비상 출력 정전압을 12V의 정전압으로 출력하며, 역전압방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12V 정전압 출력회로부와, 상기 12V 정전압 출력회로부를 5V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하여 5V 정전압IC와 평활 콘덴서를 포함하는 5V 정전압 출력회로부를 포함하는 정전압 출력회로부; 상시전원의 활선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직렬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직렬연결된 저항의 저항과 저항 사이에 중앙처리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시전원의 활선상태를 감시하는 분배저항부를 포함하는 상시 활선감시 회로부; 하나 이상의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릴레이들은 각각 물리적 절체를 실시하는 접점과 릴레이 코일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릴레이 내 각각의 릴레이 코일에는 환류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상시전원 및 비상전원을 입력 받아 3선식 부하(P1, P2, P3)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릴레이 출력회로부;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의 쇼트를 감시하는 쇼트체크 회로부;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를 제어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릴레이구동 트렌지스터부와, 적어도 둘 이상의 저항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전류드라이빙 저항부를 포함하는 릴레이 제어회로부; 가시적으로 점등할 수 있는 LED표시부; 그리고 시간지연기능 프로그램을 내부에 내장하고, 상기 상시 활선감시 회로부, 쇼트체크 회로부, 릴레이 제어회로부, LED표시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신호를 받고 이들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릴레이는 N라인 릴레이; L라인 릴레이; 그리고 쇼트체크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N라인 릴레이의 출력단자에는 제2쇼크체크단이, 상기 쇼트체크릴레이의 접점에는 제1쇼트체크단이 연장 연결되어 상기 쇼트체크 회로부에 연결되어 있는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통해 상시전원(N) 또는 비상전원(E)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상시전원(N)이 OFF 상태이고, 상기 비상전원(E)이 ON 상태일 때, 상기 활선감시 회로부가 상시전원의 인입을 확인하는 활선체크단계(S01);
상기 단계(S01)에서 상시전원의 상태가 OFF 상태임이 확인되었다면, 상기 쇼트체크릴레이(905)를 차단하는 쇼트체크릴레이 차단단계(S11);
상기 단계(S11) 이후, 상기 쇼트체크 회로부가 회로의 쇼트 여부를 확인하는 쇼트체크단계(S02);
상기 단계(S02)에서 쇼트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a초간 대기하는 1차대기단계(S12);
상기 단계(S12) 이후, N라인 릴레이를 절체하는 N라인 절체단계(S13);
상기 단계(S13) 이후, b초간 대기하는 2차대기단계(S14);
상기 단계(S14) 이후, L라인 릴레이를 절체하는 L라인 절체단계(S15);
상기 단계(S15) 이후, c초간 대기하는 3차대기단계(S16);
그리고 상기 단계(S16) 이후, 쇼트체크릴레이를 비상 부하로 절체하는 비상절체단계(S17)를 실시함으로서 상전 부하에서 비상 부하로의 절체를 완료하여, 비상 부하를 사용(S20)하고,
여기서 상기 a초, b초 c초는 그 합계(a+b+c)가 5 이상이 되도록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방법.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the regular power N and the emergency power E; SMPS circuit unit for outputting the constant output constant voltage or emergency output constant voltage; Outputs a constant output constant voltage or emergency output constant voltage drawn from the SMPS circuit portion at a constant voltage of 12V, a 12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portion including a reverse voltage prevention diode, and a 5V constant voltage to convert the 12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portion into a 5V constant voltage and output the same. A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including a 5 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including an IC and a smoothing capacitor; In order to monitor the live state of the constant power, a pair of resistor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resistor and the resistance of the series connected resistor to include a distribution resistor unit for monitoring the live state of the constant power Always live monitoring circuit unit; One or more relays, each of the one or more relays includes a relay coil and a contact for performing physical switching, and each relay coil in the one or more relays is provided with a reflux diode, and the constant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a relay output circuit unit for receiving the emergency power and converting the three-wire load (P1, P2, P3) into output. A short check circuit unit for monitoring a short of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A relay control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the relay driving transistor unit including at least two transistors, and a transistor current driving resistor unit including at least two resistors; LED display unit which can be visually lit;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having a time delay function program embedded there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being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always-on live monitoring circuit unit, the short check circuit unit, the relay control circuit unit, and the LED display unit to receive signals and control them. The relay is an N-line relay; L line relay; And a short check relay, wherein a second shock check terminal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N-line relay, and a first short check terminal is extended to a contact of the short check relay to be connected to the short check circuit unit. As a method of using the continuous power (N) or emergency power (E) through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using a control device,
A live check step (S01) in which the live wire monitoring circuit unit checks the introduction of the constant power when the continuous power (N) is in an OFF state and the emergency power (E) is in an ON state;
A short check relay blocking step (S11) of blocking the short check relay 905, when it is confirmed in the step S01 that the state of the constant power is OFF;
A short check step (S02) of checking whether the short check circuit part is short after the step (S11);
If the short has not occurred in the step S02, the first standby step (S12) of waiting for a second;
After the step (S12), N line switching step (S13) for switching the N line relay;
After the step (S13), the second standby step of waiting for b seconds (S14);
After the step (S14), L line switching step (S15) for switching the L line relay;
After the step (S15), the third standby step of waiting for c seconds (S16);
And after the step (S16), by performing the emergency transfer step (S17) for switching the short check relay to the emergency load, the transfer from the phase load to the emergency load is completed, using the emergency load (S20),
Wherein the a, b, and c seconds are distributed such that the sum (a + b + c) is equal to or greater than 5, automatic power switching method using an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상시전원(N) 및 비상전원(E)을 입력 받는 전원부; 상시 출력 정전압 또는 비상 출력 정전압을 출력하는 SMPS회로부; 상기 SMPS회로부로부터 인입되는 상시 출력 정전압 또는 비상 출력 정전압을 12V의 정전압으로 출력하며, 역전압방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12V 정전압 출력회로부와, 상기 12V 정전압 출력회로부를 5V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하여 5V 정전압IC와 평활 콘덴서를 포함하는 5V 정전압 출력회로부를 포함하는 정전압 출력회로부; 상시전원의 활선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직렬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직렬연결된 저항의 저항과 저항 사이에 중앙처리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상시전원의 활선상태를 감시하는 분배저항부를 포함하는 상시 활선감시 회로부; 하나 이상의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릴레이들은 각각 물리적 절체를 실시하는 접점과 릴레이 코일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릴레이 내 각각의 릴레이 코일에는 환류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상시전원 및 비상전원을 입력 받아 3선식 부하(P1, P2, P3)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릴레이 출력회로부;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의 쇼트를 감시하는 쇼트체크 회로부; 상기 릴레이 출력회로부를 제어하며, 적어도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릴레이구동 트렌지스터부와, 적어도 둘 이상의 저항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전류드라이빙 저항부를 포함하는 릴레이 제어회로부; 가시적으로 점등할 수 있는 LED표시부; 그리고 시간지연기능 프로그램을 내부에 내장하고, 상기 상시 활선감시 회로부, 쇼트체크 회로부, 릴레이 제어회로부, LED표시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신호를 받고 이들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릴레이는 N라인 릴레이; L라인 릴레이; 그리고 쇼트체크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N라인 릴레이의 출력단자에는 제2쇼크체크단이, 상기 쇼트체크릴레이의 접점에는 제1쇼트체크단이 연장 연결되어 상기 쇼트체크 회로부에 연결되어 있는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통해 상시전원(N) 또는 비상전원(E)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비상전원(E)이 사용되고 있을 때 상기 상시전원(N)이 ON 상태로 변환되었을 때, 상기 활선감시 회로부가 상시전원의 인입을 확인하는 활선체크단계(S01);
상기 단계(S01)에서 상시전원의 상태가 ON 상태임이 확인되었다면, 상기 쇼트체크릴레이(905)를 차단하는 쇼트체크릴레이 차단단계(S21);
상기 단계(S11) 이후, 상기 쇼트체크 회로부가 회로의 쇼트 여부를 확인하는 쇼트체크단계(S02);
상기 단계(S02)에서 쇼트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d초간 대기하는 1차대기단계(S22);
상기 단계(S22) 이후, N라인 릴레이를 절체하는 N라인 절체단계(S23);
상기 단계(S23) 이후, e초간 대기하는 2차대기단계(S24);
상기 단계(S24) 이후, L라인 릴레이를 절체하는 L라인 절체단계(S25);
상기 단계(S25) 이후, f초간 대기하는 3차대기단계(S26);
그리고 상기 단계(S26) 이후, 쇼트체크릴레이를 상전 부하로 절체하는 상전절체단계(S27)를 실시함으로서 비상 부하에서 상전 부하로의 절체를 완료하여, 상전 부하를 사용(S10)하고,
여기서 상기 d초, e초 f초는 그 합계(d+e+f)가 5 이상이 되도록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원 절체 제어장치를 이용한 자동 전원 절체방법.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the regular power N and the emergency power E; SMPS circuit unit for outputting the constant output constant voltage or emergency output constant voltage; Outputs a constant output constant voltage or emergency output constant voltage drawn from the SMPS circuit portion at a constant voltage of 12V, a 12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portion including a reverse voltage prevention diode, and a 5V constant voltage to convert the 12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portion into a 5V constant voltage and output the same. A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including a 5 V constant voltage output circuit unit including an IC and a smoothing capacitor; In order to monitor the live state of the constant power, a pair of resistor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resistor and the resistance of the series connected resistor to include a distribution resistor unit for monitoring the live state of the constant power Always live monitoring circuit unit; One or more relays, each of the one or more relays includes a relay coil and a contact for performing physical switching, and each relay coil in the one or more relays is provided with a reflux diode, and the constant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a relay output circuit unit for receiving the emergency power and converting the three-wire load (P1, P2, P3) into output. A short check circuit unit for monitoring a short of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A relay control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the relay output circuit unit, the relay driving transistor unit including at least two transistors, and a transistor current driving resistor unit including at least two resistors; LED display unit which can be visually lit;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having a time delay function program embedded there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being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always-on live monitoring circuit unit, the short check circuit unit, the relay control circuit unit, and the LED display unit to receive signals and control them. The relay is an N-line relay; L line relay; And a short check relay, wherein a second shock check terminal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N-line relay, and a first short check terminal is extended to a contact of the short check relay to be connected to the short check circuit unit. As a method of using the continuous power (N) or emergency power (E) through the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using a control device,
A live check step (S01) in which the live wire monitoring circuit unit checks the introduction of the constant power when the regular power (N) is switched to the ON state when the emergency power (E) is used;
A short check relay blocking step (S21) of blocking the short check relay (905) if it is confirmed in the step (S01) that the state of the constant power source is ON;
A short check step (S02) of checking whether the short check circuit part is short after the step (S11);
A first standby step (S22) of waiting for d seconds if a short has not occurred in the step (S02);
After the step (S22), N line switching step (S23) for switching the N line relay;
After the step (S23), the second standby step (S24) to wait for e seconds;
After the step (S24), the L line switching step of switching the L line relay (S25);
After the step S25, a third standby step S26 of waiting for f seconds;
And after the step (S26), by performing the phase changeover step (S27) for switching the short check relay to the phase change load to complete the transfer from the emergency load to the phase load, use the phase change load (S10),
Wherein the d seconds, e seconds f seconds is divided so that the sum (d + e + f) is 5 or more, automatic power switching method using an automatic power switching control device.
KR1020190109184A 2019-09-03 2019-09-03 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using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with load short detection function KR201901045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184A KR20190104506A (en) 2019-09-03 2019-09-03 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using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with load short detec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184A KR20190104506A (en) 2019-09-03 2019-09-03 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using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with load short detection fun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140A Division KR20190047835A (en) 2017-10-30 2017-10-30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with load short detection function, and its method of power transfer control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506A true KR20190104506A (en) 2019-09-10

Family

ID=6795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184A KR20190104506A (en) 2019-09-03 2019-09-03 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using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with load short detec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450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9005A (en) * 2019-12-05 2020-04-21 河南平高电气股份有限公司 Prevent condensation mechanism c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857B1 (en) 2003-12-05 2005-12-23 주식회사 유코스텍 Automatic power switching device
KR200448796Y1 (en) 2008-01-23 2010-05-24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Automatic Supplying Normal and Emergency Power Supply of Separate Household
KR101400693B1 (en) 2012-10-15 2014-05-29 이재진 Direct current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857B1 (en) 2003-12-05 2005-12-23 주식회사 유코스텍 Automatic power switching device
KR200448796Y1 (en) 2008-01-23 2010-05-24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Automatic Supplying Normal and Emergency Power Supply of Separate Household
KR101400693B1 (en) 2012-10-15 2014-05-29 이재진 Direct current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49005A (en) * 2019-12-05 2020-04-21 河南平高电气股份有限公司 Prevent condensation mechanism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3177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electrical backfeed
EP3996239B1 (en) Troubleshoo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upply device
US20040024545A1 (en) Device for monitoring a neutral and earth break and electrical switchgear apparatus comprising such a device
US20150015089A1 (en) Safety Switching Apparatus With Switching Element In The Auxiliary Contact Current Path
WO2017121653A1 (en) Emergency lighting unit with ac power charging
CN107785864B (en)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comprising such a unit
KR20190104506A (en) Power transfer control method using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with load short detection function
KR20090007588U (en) / Automatic Supplying Normal and Emergency Power Supply of Separate Household
EP2244353B1 (en) Energy saving device
US9537316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for a multi-phase power supply
JP2008220136A (en) Protection relay system of distribution system
KR20190047835A (en) Automatic power transfer control device with load short detection function, and its method of power transfer control thereof
KR101030193B1 (en) Distrtibuting board cabinet panel with neutral line replacement and method thereof
WO2010112083A1 (en) Electric breaker circuit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ic breaker circuit
CN201407161Y (en) Spare automatic switching control system with multi-circuit power supply and multiple water pumps
JP7176611B2 (en) Solar power system
KR100907298B1 (en) Automatic power switching unit for performing switching operation in load disconnected status
KR20180075348A (en) Current monitoring bo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952782A (en) Current limiting protection method and current limiting protection device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13140971A (en) Anti-vibration high tension switchgear circuit breaker anti-jumping system
KR20000015748A (en) Digital motor control center unit using contact-pointless device
KR100442326B1 (en) Safety Relay
KR20090054708A (en) Power noise reduction circuit
KR100960495B1 (en) Digital Protective Relay
CN110556787A (en) motor protection circuit and protec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