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970A - A beverage container compirsing a riding addition part and a cup holder with a foldable handle - Google Patents

A beverage container compirsing a riding addition part and a cup holder with a foldable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970A
KR20190097970A KR1020180018056A KR20180018056A KR20190097970A KR 20190097970 A KR20190097970 A KR 20190097970A KR 1020180018056 A KR1020180018056 A KR 1020180018056A KR 20180018056 A KR20180018056 A KR 20180018056A KR 20190097970 A KR20190097970 A KR 20190097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handle
addition
holder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0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3886B1 (en
Inventor
김문숙
김진형
최창근
Original Assignee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8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886B1/en
Publication of KR2019009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9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8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4Plates with detachable waste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which has an addition part and a folding handle inside or outside the beverage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stationary addition part and a folding handle, comprising a first addition main body part provided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first holding part provided at an upper en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 addition main body part. The first holding part comprises: a first holding type addition part prepared to be held along an upper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 holder main body part provided such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therein; and a handle part formed on the holder main body part. The handle part comprises: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such that a folding line formed along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a cut line formed along an outer shape of the handle part except for the folding line are provided; and a coupling part connecting the first holding type addition part with the holder having the folding hand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manufacture a beverage according to a specific order of a customer.

Description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A BEVERAGE CONTAINER COMPIRSING A RIDING ADDITION PART AND A CUP HOLDER WITH A FOLDABLE HANDLE}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holder with a stationary addition and a folding handle {A BEVERAGE CONTAINER COMPIRSING A RIDING ADDITION PART AND A CUP HOLDER WITH A FOLDABLE HANDLE}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 내부 또는 외부에 첨가부와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n additional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inside or outside the beverage container.

최근에는 커피 등의 음료를 주문할 때, 고객이 본인의 기호에 맞는 음료를 주문하는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에는 점원이 고객의 기호에 맞는 음료를 정확하게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구두를 통해 제조과정 및 제조비율을 주문하여야 하므로 점원이 음료를 제조하는 데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비효율이 발생한다.In recent years, when ordering drinks, such as coffee, the service which a customer orders the drink which suits one's taste is increasing. However, this service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clerk accurately manufactures a beverage to customer's preference. In addition,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production rate must be ordered through shoes, the inefficiency that the clerk spends a lot of time in preparing the beverage occurs.

한편 카페 등에서 판매하는 주문음료는 내용물의 온도에 따라 음료용기가 매우 뜨거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의 둘레에 골판지 등 재질의 종이 컵 홀더를 끼우는 방식이 통용되고 있으나, 골판지 재질의 컵 홀더는 내용물의 온도를 완전히 차단할 수 없다. 따라서 고객이 뜨거운 음료가 담긴 일회용 음료용기를 이용하면서 미끄러뜨리는 등의 실수로 인한 화상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ordered drinks sold in cafes may be very hot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In general, a method of inserting a paper cup holder made of cardboard or the like around the beverage container is commonly used, but the cup holder made of cardboard cannot completely block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such as a burn caused by a customer slipping while using a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containing a hot drink.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5-0117242호는 단열성이 향상된 컵 홀더를 제안하고 있다. 선행기술은 컵 내용물의 열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으나, 여전히 미끄러짐 등의 안정성 문제가 남아 있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된다.In order to make up for this drawback, Korean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117242 proposes a cup holder with improved thermal insulation. The prior art has a technical effect of effectively blocking the heat transfer of the cup contents, but there is still a stability problem such as slipping, so a solution for this is required.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5-0117242 호Republic of Korea Republic No. 10-2015-0117242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용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거치가 가능한 첨가부를 음료용기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게 만들어, 수요자가 본인 기호에 맞는 커피 기타 음료를 스스로 제조하도록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make it possible to detach the addition portion that can be mounted o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from the beverage container, the beverage container for the consumer to manufacture coffee or other beverages to suit their own preferences To provid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홀더를 통해 음료 용기 내에 고온의 내용물이 있더라도 접이식 손잡이를 제공하여 고온의 열전달을 차단함과 동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해 안정성 있는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that can be used stably by preventing the sliding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folding handle to prevent high temperature heat transfer even if there is a high temperature content in the beverage container through the holder. It i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음료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제1첨가 본체부; 상기 제1첨가 본체부의 외측면 상단에 마련되는 제1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 둘레를 따라 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provided to be locat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first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end of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wherein the first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to be moun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Provided is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 본체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측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음료용기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1외측면부; 및 상기 제1외측면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외측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이격된 양단이 상기 제1외측면부의 양단에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1내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dition main body portion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side shap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first inner side surface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portion or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portion so that both ends spaced apart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outer surface portion. It can be characteriz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면부와 상기 제1외측면부의 연결선을 따라 마련된 제1접지선; 상기 제1내측면부 양면에 상기 제1접지선과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마련된 제2접지선; 및 상기 제1내측면부 양면에 상기 제1접지선과 대향되도록 하며 상기 제2접지선과 이격되어 마련된 제3접지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내측면부는 상기 제1접지선, 상기 제2접지선 및 상기 제3접지선에 따라 상기 제1첨가 본체부의 내부로 접혀 상기 제1외측면부와 밀착되게 포개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ground line provided along a connection line of the first inner surface portion and the first outer surface portion; A second ground lin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ound line; And a third ground lin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portion to face the first ground line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ound line, wherein the first inner surface portion is the first ground line, the second ground line, and the third ground lin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outer surface portion folded into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ground li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첨가 본체부의 상기 제1내측면부 또는 상기 제1외측면부의 내부에 유체의 잔량을 표시하는 눈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ale for displaying a residual amount of fluid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portion or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portion of the addition body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 본체부의 상기 제1내측면부의 일면에 마련된 음용물 배출문부; 및 상기 음용물 배출문부가 개방됨으로써 형성되는 음용물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음용물 배출문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됨으로써 상기 음용물 배출구의 개폐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portion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And a drinking water discharge port formed by opening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part, and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part is slid in a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 본체부의 반대 방향에는 손잡이용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may b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음료용기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제2첨가 본체부; 및 상기 제2첨가 본체부의 내측면 상단에 마련되는 제2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 둘레를 따라 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second addition body portion provided to b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addition body portion, wherei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has a mountable add-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which are provided to be moun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t provides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holder to.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외측면부와 상기 제2내측면부의 연결선을 따라 마련된 제4접지선; 상기 제2외측면부 양면에 상기 제4접지선과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마련된 제5접지선; 및 상기 제2외측면부 양면에 상기 제4접지선과 대향되도록 하며 상기 제5접지선과 이격되어 마련된 제6 접지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2외측면부는 상기 제4접지선, 상기 제5접지선 및 상기 제6접지선에 따라 상기 제2첨가 본체부의 내부 방향으로 접혀 상기 제2내측면부와 밀착되게 포개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urth ground line provided along a connection line of the second outer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portion; A fifth ground lin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outer surface por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ground line to correspond to the fourth ground line; And a sixth ground lin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econd outer surface portion to face the fourth ground lin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fth ground line, wherein the second outer surface portion is the fourth ground line, the fifth ground line, and the sixth ground lin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portion fold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econd addition body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ground li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음료용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홀더 본체부; 및 상기 홀더 본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호 대향되는 면을 따라 형성된 폴딩선과 상기 폴딩선을 제외한 상기 손잡이부 외형을 따라 형성된 절취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lder body portion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therein; And a handle portion formed on the holder body portion,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olding line formed along opposite surfaces and a cut line formed along the outline of the handle portion except for the folding line. Provided is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hand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부는, 사용시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본체부로부터 일부분이 분리되고 상기 폴딩선을 따라 접혀 세워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that a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along the perforation line and folded along the folding lin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음료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제1첨가 본체부와 상기 제1첨가 본체부의 외측면 상단에 마련되는 제1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 둘레를 따라 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거치식 첨가부; 내부에 상기 음료용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홀더 본체부와 상기 홀더 본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호 대향되는 면을 따라 형성된 폴딩선과 상기 폴딩선을 제외한 상기 손잡이부 외형을 따라 형성된 절취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및 상기 제1거치식 첨가부와 상기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와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rst addition body portion provided to be locat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first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the first The first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moun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 holder body portion provided to insert the beverage container therein and a handle portion formed on the holder body portion, wherein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handle portion except for the folding line and the folding line formed along mutually opposite surfaces.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ar line is provided; And it provides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ermentation additi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holder having the folding handle and the first mounting ty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 본체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측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음료용기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1외측면부; 및 상기 제1외측면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외측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이격된 양단이 상기 제1외측면부의 양단에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1내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dition main body portion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side shap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first inner side surface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portion or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portion so that both ends spaced apart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outer surface portion. It can be characteriz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 본체부의 상기 제1내측면부의 일면에 마련된 음용물 배출문부; 및 상기 음용물 배출문부가 개방됨으로써 형성되는 음용물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음용물 배출문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됨으로써 상기 음용물 배출구의 개폐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portion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And a drinking water discharge port formed by opening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part, and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part is slid in a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1거치식 첨가부의 연결지점을 따라 형성되는 접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ld line formed along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first batch type addition por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음료용기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제2첨가 본체부와 상기 제2첨가 본체부의 내측면 상단에 마련되는 제2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 둘레를 따라 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거치식 첨가부; 내부에 상기 음료용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홀더 본체부와 상기 홀더 본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호 대향되는 면을 따라 형성된 폴딩선과 상기 폴딩선을 제외한 상기 손잡이부 외형을 따라 형성된 절취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및 상기 제2거치식 첨가부와 상기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와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econd addition body portion provided to b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rein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addition body portion, A second mounting type adding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ounting part is provided to be moun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 holder body provided to insert the beverage container therein and a handle portion formed on the holder body portion, wherein the handle portion has a folding line formed along a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a tear line formed along the outline of the handle portion except for the folding line.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nd it provides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ermentation additi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holder having the second mounting type and the folding hand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2거치식 첨가부의 연결지점을 따라 형성되는 접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ld line formed along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mounting type addition portion.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소비자가 커피 기타 음료를 자신의 기호에 맞는 정량적 비율에 따라 스스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점원이 고객의 구체적 주문에 맞추어 음료를 제조하여야 하는 시간 및 노력을 단축하게 되므로 경제적이다.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sumer can manufacture the coffee or other beverages themselves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ratio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In addition, it is economical because the clerk shortens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manufacture the beverage to the customer's specific order.

그리고 음료용기로부터 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성이 높아서 다양한 곳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매장에서 포개서 보관이 가능하므로 공간활용에 적합하다. And it can be used in various places because it is easy to use and portable because it can be detach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In addition, it can be stored at the store and can be used for space utiliz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에 다른 본 발명의 효과는 고온의 음료를 마실 때 신체를 보호하면서 미끄러짐 등을 막아 사고의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심미적으로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여 고객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risk of an accident by preventing slippage while protecting the body when drinking hot drinks. In addition, aesthetically diverse designs are possible, which can induce customer interes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he effects deduc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거치식 첨가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거치식 첨가부의 상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따른 제1거치식 첨가부의 정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내측면부가 접지선에 따라 접혀 제1외측면부에 밀착되게 포개지는 사용상태 상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첨가부 본체부의 내부에 유체 잔량 표시 눈금이 마련된 제1거치식 첨가부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거치식 첨가부의 음용물 배출문부가 상하로 이동하며 음용물 배출구를 형성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거치부의 첨가 본체부의 반대 방향 끝단에 형성된 손잡이용 고리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외측 상단에 마련되는 제2거치식 첨가부의 정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외측 상단에 마련된 제2거치식 첨가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외측면부가 접지선에 따라 접혀 제2내측면부에 밀착되게 포개지는 사용상태 상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의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거치식 첨가부가 음료용기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선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4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거치식 첨가부가 음료용기의 외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선의 확대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first batch type addi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batch type addi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batch type addi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of use in which the first inner surface portion is folded according to the ground line and overlapped with the first outer surfac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lacement type addition part provided with a fluid remaining indication scale in the first addition part bod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of the first batch-type addition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up and down to form a drinking water discharge port.
Figure 7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handle ring formed on the opposite end of the addition body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mounting type addition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upper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second mounting type addition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upper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of use in which the second outer surfac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along the ground line and overlapped with the second inner surface portion.
Figure 11 is a front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holder having a fold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with a folding handle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fold lin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ront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holder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fold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es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및 도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거치식 첨가부(100)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정면도와 상시도이다.1 and 2 are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first batch type addit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일실시예에 따른 제1거치식 첨가부(100)는 제1첨가 본체부(110) 및 제1거치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첨가 본체부(110)은 음료용기(10)의 내향을 바라보는 제1내측면부(111)와 상기 음료용기(10)의 외향을 바라보는 제1외측면부(1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첨가 본체부(110)의 내부는 음용물이 첨가되는 공간으로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placement type adding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addition body part 110 and a first mounting part 120, and the first addition body part 110. The beverage container 10 may be composed of a first inner side portion 111 facing inward of the beverage container 10 and a first outer side portion 112 facing outward of the beverage container 10. The interior of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110 is configured as a space to which the drink is added.

상기 제1첨가 본체부(110)는 상기 음료용기(10)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측면이 좁아지는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단면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음료용기(10)의 종류 및 형태마다 모든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110 has a cross-sectional side that narr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long the beverage container 10. However, the cross section is not limited and may have all cross sections for each type and shap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

상기 제1첨가 본체부(110)의 상부를 통해 내용 음료를 투입하므로 상부면은 빈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면만이 바닥이 구성되어 있다.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넓이가 같거나 다른 부채꼴 모양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으나 단면을 한정하지는 아니한다.Since the content beverage is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110, the upper surface is composed of an empty space, and only the lower surface is composed of the bottom.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may each have a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width or different sector shapes, but the cross sec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첨가 본체부(110)는 음료용기(10)의 측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음료용기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상기 제1외측면부(112)와 상기 제1외측면부(1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외측면부(112)의 일측에 이격되어 상기 제1내측면부(211)가 마련되며, 상기 제1내측면부(111)의 양단이 상기 제1 외측면부(111)의 양단에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첨가 본체부(110)를 형성할 경우, 제조자 스스로 시시각각 음료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내용물 첨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음료 제조가 가능해진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additive main body 110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correspond to the side shap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 and the first outer surface part 112.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part 211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part 112 and provided at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112, and both ends of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part 111 are formed in the first outer side. It may be extended to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ide portion (111). As such, when the first additive main body 110 is formed, the manufactur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beverage on his own and can add the contents while making the beverage.

도 4 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내측면부(111)와 상기 제1외측면부(112)가 연결되는 지점을 따라 제1접지선(1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내측면부(111) 양면에는 상기 제1접지선(131)과 대응되도록 이격되어 제2접지선(13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접지선(132)과 이격되어 상기 제1접지선(131)과 대향되도록 제3접지선(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거치식 첨가부(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제1내측면부(111)가 상기 제2접지선(132)를 따라 상기 제1첨가 본체부(110)의 내부 방향으로 접혀 들어감으로써, 상기 제1내측면부(111)가 상기 제1외측면부(112)와 밀착되게 포개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 first ground line 131 is formed along a point where the first inner surface portion 111 and the first outer surface portion 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both surfaces of the first inner surface portion 111 are formed. A second ground line 132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to correspond to the first ground line 131, and a third ground line 133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ound line 132 to face the first ground line 131. Can be. When the first mounting type addition part 100 is not used, the first inner side part 111 is folded into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addition body part 110 along the second ground line 132,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111 may be stack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outer side portion 112.

상기 제1거치식 첨가부(100)는 식품용지로서 일반적으로 백색지, 갈지 등을 PLA, LDPE, PP 등의 재질로 단면 또는 양면 코팅되어 제작될 것인바, 상기 접지선(130)을 형성하여 제작에 과도한 시간이나 비용이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접지선(13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거치식 첨가부(100)의 부피를 크게 줄여 공간활용에 유리하다. 사용 매장에서 포개서 보관이 가능하므로 보관 시 매우 용이하며 휴대성이 좋아 외부활동에 있어도 활용이 가능하다. The first batch-type addition portion 100 is a food paper, generally white paper, brown paper, such as PLA, LDPE, PP or the like will be produced by coating one or both sides of the bar, forming the ground wire 130 in the production No excessive time or money is required. By forming the ground line 130, the volume of the first placement type addition unit 100 is greatly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for space utilization. It can be stored at the store, so it can be easily stored and can be used for outdoor activities.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첨가 본체부(110)의 상기 제1외측면부(112) 또는 상기 제1내측면부(111)의 내부에 유체 잔량 표시 눈금(140)이 마련될 수 있다. 음료를 제조하면서 사용자가 정량적 비율에 의해 원하는 음료를 정확히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5, the fluid remaining indicator scale 1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outer side portion 112 or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111 of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110. While preparing the beverage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precisely prepare the desired beverage by quantitative ratio.

도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내측면부(111)의 어느 하나의 면이 미닫이 문과 같은 형태로 상하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하여 음용물 배출문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음용물 배출문부(150)를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음융물 배출문부(150)의 하단에 음용물 배출구(151)가 형성되며, 상기 음용물 배출문부(150)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음용물 배출구(151)의 개폐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음용물 배출구(150)을 통해 상기 제1거치식 첨가부(100)를 반드시 직접 들지 않고도 음용물을 상기 음료용기(10) 내부로 배출함으로써 음료 제조가 가능하여 사용이 용이하다.As illustrated in FIG. 6, any one surface of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111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by sliding up and down in the form of a sliding door to form a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150. Drinking water outlet 15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150 by moving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150, the drinking water by adjusting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150 up and down. Opening and closing of the outlet 151 can be freely adjusted. The beverage is manufactured by discharging the drinking water into the beverage container 10 without necessarily directly lifting the first batch-type addition unit 100 through the drinking water outlet 150, thereby making it easy to use.

따라서 비교적 사용이 편리하고, 배출된 음용물의 양을 확인하면서 음료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거치식 첨가부(100)를 직접 들어서 음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음용물을 흘리는 등의 간단한 사고들이 예방될 수 있다.Therefore, relatively easy to us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beverage while checking the amount of the discharged drinking water. In addition, simple accidents such as spilling drinking water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 beverage by directly lifting the first batch type adding unit 100 may be prevented.

도 7 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거치부(120)의 상기 제1첨가 본체부(110)의 반대 방향의 끝단에 손잡이용 고리(121)이 형성되어 상기 제1거치부(120)의 상기 제1첨가 본체부(110)로부터의 탈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첨가 본체부(110)의 직접 기울여 음용물을 음료용기(10) 내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에 용이하다.As shown in FIG. 7, a handle ring 121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120 opposite to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110 so that the first mounting portion 120 may have the handle 121. Desorption from the 1st main body part 110 can be made convenient. In addition, it is easy to use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drinking water into the beverage container 10 by inclining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110 directly.

도 8 과 도9 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첨가 본체부(200)가 상기 음료용기(10)의 외측 상단을 따라 마련된 상기 제2거치식 첨가부(200)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정면도와 사용상태도이다.8 and 9 is a front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the second mounting body portion 200 is provided along the outer top of the second container main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state of use.

도9에 도시된 것처럼,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거치식 첨가부(200)는 제2첨가 본체부(210) 및 상기 제2거치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첨가 본체부(210)는 음료용기(10)의 내향을 바라보는 제2내측면부(221)와 상기 음료용기(10)의 외향을 바라보는 제2외측면부(2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첨가 본체부(110)의 내부는 음용물이 첨가되는 공간으로 구성한다.As shown in FIG. 9, the second mounting type adding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econd adding main body part 210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220, and the second adding main body part ( 210 may be composed of a second inner surface portion 221 facing the inward of the beverage container 10 and a second outer surface portion 222 facing the outward of the beverage container 10. The interior of the second addition body portion 110 is configured as a space to which the drink is added.

상기 제2첨가 본체부(210)는 상부를 통해 내용 음료를 투입하므로 상부면은 빈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면만이 바닥이 구성되어 있다.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각 넓이가 같거나 다른 부채꼴 모양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으나, 단면을 한정하지는 아니한다.Since the second additive main body 210 puts the content beverage through the upper portion, the upper surface is composed of an empty space, and only the lower surface is configured with a bott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may each have a cross section having the same or different sector shape, but the cross sec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2첨가 본체부(200)의 제2거치부(220)는 제2첨가 본체부(210)의 제2내측면부(211) 상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2첨가 본체부(210)가 상기 음료용기(10)의 외측 상단에 마련될 경우 상기 음료용기(10)의 내측 상단에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음료용기(10) 내부에 음료 수용량이 증가하게 된다.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0 of the second addition body portion 200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ner surface portion 211 of the second addition body portion 210. When the second addition body portion 210 is provided on the outer upper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10, the amount of drink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10 is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case provid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10. Done.

도 10 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내측면부(211)와 상기 제2외측면부(212)가 연결되는 지점을 따라 제4접지선(23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외측면부(212) 양면에는 상기 제4접지선(231)과 대응되도록 이격되어 제5접지선(232)가 형성되고, 상기 제5접지선(232)과 이격되어 상기 제4접지선과 대향되도록 제6접지선(2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거치식 첨가부(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제2외측면부(212)는 상기 제5접지선(232)를 따라 상기 제2 외측면부(212)가 상기 제2첨가 본체부(210)의 내부 방향으로 접혀 들어감으로써, 상기 제2외측면부(212)가 상기 제2내측면부(211)와 밀착되게 포개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 fourth ground line 231 is formed along a point where the second inner side surface portion 211 and the second outer side surface portion 212 are connected, and both sides of the second outer surface portion 212 are formed. A fifth ground line 232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ground line 231, and a sixth ground line 233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fth ground line 232 to face the fourth ground line 232. . When the second mounting type addition part 200 is not used, the second outer surface part 212 may have the second outer surface part 212 along the fifth ground line 232 with the second addition body part 210. By fol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the second outer surface portion 212 can be stack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ner surface portion 211.

상기 상기 제2거치식 첨가부(200)는 식품용지로서 일반적으로 백색지, 갈지 등을 PLA, LDPE, PP 등의 재질로 단면 또는 양면 코팅되어 제작될 것인바, 상기 접지선(230)을 형성하여 제작에 과도한 시간이나 비용이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접지선(23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거치식 첨가부(200)의 부피를 크게 줄여 공간활용에 유리하다. 사용 매장에서 포개서 보관이 가능하므로 보관 시 매우 용이하며 휴대성이 좋아 외부활동에 있어도 활용이 가능하다. The second batch-type addition part 200 is generally made of food, such as white paper, brown paper, such as PLA, LDPE, PP will be produced by coating one or both sides of the bar, to form the ground wire 230 No excessive time or expense is required. By forming the ground line 230, the volume of the second mounting type adding part 200 is greatly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for space utilization. It can be stored at the store, so it can be easily stored and can be used for outdoor activities.

도 11은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홀더(300)의 사용상태 정면도이다.11 is a front view of a state of use of the holder 300 is provided with a folding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상기 음료용기(10)이 삽입되도록 마련된 홀더 본체부(310), 상기 홀더 본체부(310)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320)에는 상호 대향되는 면을 따라 형성된 폴딩선(330)과 상기 폴딩선(330)을 제외한 상기 손잡이부(320) 외형을 따라 형성된 절취선(240)이 마련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illustrated in FIG. 11, the holder body part 310 provided to insert the beverage container 10 therein includes a handle part 320 formed on the holder body part 310, and the handle part 320. ) Is provided with a cutting line 240 form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handle 320 except for the folding line 330 and the folding line 330 formed along the mutually opposite surfaces.

상기 손잡이부(320)는, 사용시 상기 절취선(340)을 따라 상기 본체부(310)로부터 일부분이 분리되고 상기 폴딩선(330)을 따라 접혀 세워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andle portion 320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310 along the cutting line 340 in use and provided to be folded along the folding line 330.

도 12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료용기(10)의 내측 상단에 마련된 상기 제1거치식 첨가부(100); 상기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300); 및 결합부(400)를 포함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거치식 첨가부(200)와 상기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300)를 결합부(400)를 통해 연결하고 있다.12 is the first mounting type addition portion 100 provid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der 300 having the folding handle; And it is a front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dockable additi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40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placement type adding part 200 and the holder 300 having the folding hand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upling part 40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거치부(120)와 상기 결합부(400)가 연결되는 지점에 대응하여 접이선(410)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거치식 첨가부(100)를 상기 음료용기(10)의 외측 둘레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보관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3, a fold line 410 is formed corresponding to a point where the first mounting part 120 and the coupling part 400 are connected. If necessary, the first mounting type addition part 100 can be freely mov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

도 14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료용기(10)의 외측 상단에 마련된 상기 제2거치식 첨가부(200); 상기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300); 및 결합부(400)를 포함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거치식 첨가부(200)와 상기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300)를 결합부(400)를 통해 연결하고 있다. Figure 14 is the second mounting type addition portion 200 provided on the outer upper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der 300 having the folding handle; And it is a front view of the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dockable additi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40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mounting type adding part 200 and the holder 300 having the folding handle are connected through the coupling part 400.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거치부(220)와 상기 결합부(400)가 연결되는 지점에 대응하여 접이선(410)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2거치식 첨가부(200)를 상기 음료용기(10)의 내측으로 자유롭게 이동시켜 보관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5, a fold line 410 is formed corresponding to a point where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0 and the coupling portion 400 are connected. If necessary, the second mounting type adding part 200 may be free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10 for storage.

상기 제1거치식 첨가부(100) 또는 상기 제2거치식 첨가부(200)과 상기 접이식 첨가부를 구비한 홀더(300)를 상기 결합부(400)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정량적으로 음료를 자가 제조하면서 동시에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By connecting the holder 300 having the first batch type adding part 100 or the second batch type adding part 200 and the foldable adding part through the coupling part 400, a user quantitatively prepares a drink. At the same time, stability can be achiev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음료용기
100: 제1거치식 첨가부
110: 제1첨가 본체부 111: 제1내측면부
112: 제1외측면부
120: 제1거치부 121: 손잡이용 고리부
130: 접지선 131: 제1접지선
132: 제2접지선 133: 제3접지선
140: 유체 잔량 표시 눈금
150: 음용물 배물문부 151: 음용물 배출구
200: 제2거치식 첨가부
210: 제2첨가 본체부 211: 제2내측면부
212: 제2외측면부
220: 제2거치부
230: 접지선 231: 제4접지선
232: 제5접지선 233: 제6접지선
300: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
310: 홀더 본체부 320: 손잡이부
330: 폴딩선 340: 절취선
400: 결합부 410: 접이선
10: Beverage Container
100: first batch type addition portion
110: first addition body portion 111: first inner surface portion
112: first outer surface part
120: first mounting portion 121: handle hook portion
130: ground wire 131: first ground wire
132: second ground line 133: third ground line
140: fluid level indication scale
150: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151: drinking water discharge port
200: second mounting type addition portion
210: second addition body portion 211: second inner surface portion
212: second outer surface portion
220: second placement unit
230: ground wire 231: fourth ground wire
232: ground line 5 233: ground line 6
300: holder with folding handle
310: holder body portion 320: handle portion
330: folding line 340: cutting line
400: coupling portion 410: fold line

Claims (16)

음료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제1첨가 본체부; 및
상기 제1첨가 본체부의 외측면 상단에 마련되는 제1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 둘레를 따라 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A first addition body part provided to be locat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It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The first container is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fermentable additi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moun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 본체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측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음료용기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1외측면부; 및
상기 제1외측면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외측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이격된 양단이 상기 제1외측면부의 양단에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1내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A first outer surface portion extending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correspond to a side shap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first inner surface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outer surface portion or provided to be spaced apar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surface portion and having both en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outer surface portion;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holder having a fixed additi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면부와 상기 제1외측면부의 연결선을 따라 마련된 제1접지선;
상기 제1내측면부 양면에 상기 제1접지선과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마련된 제2접지선; 및
상기 제1내측면부 양면에 상기 제1접지선과 대향되도록 하며 상기 제2접지선과 이격되어 마련된 제3접지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1내측면부는 상기 제1접지선, 상기 제2접지선 및 상기 제3접지선에 따라 상기 제1첨가 본체부의 내부로 접혀 상기 제1외측면부와 밀착되게 포개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ground line provided along a connection line of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and the first outer side portion;
A second ground lin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por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ound line; And
A third ground line is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first inner surface portion to face the first ground line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round line.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is a stationary addition portion that can be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outer side surface portion folded into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ground line, the second ground line and the third ground line. And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folding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 본체부의 상기 제1내측면부의 일면에 마련된 음용물 배출문부; 및,
상기 음용물 배출문부가 개방됨으로써 형성되는 음용물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음용물 배출문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됨으로써 상기 음용물 배출구의 개폐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1,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portion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And,
Drinking water discharge port is formed by opening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The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fermentation adder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is moved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drinking water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 본체부의 상기 제1내측면부 또는 상기 제1외측면부의 내부에 유체의 잔량을 표시하는 눈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1,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holder having a stationary addition part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a scale for indicating a residual amount of fluid is provided in the first inner side portion or the first outer side portion of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부에는 상기 제1첨가 본체부의 반대 방향의 끝단에 손잡이용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mounting portion is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hook-type additi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ring is formed at the en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음료용기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제2첨가 본체부; 및
상기 제2첨가 본체부의 내측면 상단에 마련되는 제2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 둘레를 따라 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A second addition body part provided to be located out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It includes a second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addition body portion,
The second container is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fermentable additi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moun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상기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측면부와 상기 제2내측면부의 연결선을 따라 마련된 제4접지선;
상기 제2외측면부 양면에 상기 제4접지선과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마련된 제5접지선; 및
상기 제2외측면부 양면에 상기 제4접지선과 대향되도록 하며 상기 제5접지선과 이격되어 마련된 제6 접지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2외측면부는 상기 제4접지선, 상기 제5접지선 및 상기 제6접지선에 따라 상기 첨가 본체부의 내부 방향으로 접혀 상기 제2내측면부와 밀착되게 포개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According to claim 7,
A fourth ground line provided along a connection line of the second outer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portion;
A fifth ground lin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outer surface por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ground line to correspond to the fourth ground line; And
Sixth ground lines ar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second outer surface portion to face the fourth ground line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fifth ground line.
The second outer surface portion can be fold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addition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fourth ground line, the fifth ground line and the sixth ground line can be fol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ner surface portion and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folding handle.
내부에 음료용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홀더 본체부; 및
상기 홀더 본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호 대향되는 면을 따라 형성된 폴딩선과 상기 폴딩선을 제외한 상기 손잡이부 외형을 따라 형성된 절취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Holder body portion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therein; And
A handle part formed on the holder body part,
The handle portion is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folding additi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line formed along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the cut line form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handle except for the folding line is provid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시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본체부로부터 일부분이 분리되고 상기 폴딩선을 따라 접혀 세워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handle portion is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retractable additi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is provided to stand apart from the body portion along the perforation line and folded along the folding line when in use.
음료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제1첨가 본체부와 상기 제1첨가 본체부의 외측면 상단에 마련되는 제1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 둘레를 따라 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거치식 첨가부;
내부에 음료용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홀더 본체부와 상기 홀더 본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호 대향되는 면을 따라 형성된 폴딩선과 상기 폴딩선을 제외한 상기 손잡이부 외형을 따라 형성된 절취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및
상기 제1거치식 첨가부와 상기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와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음료용기.
A first addition body portion provided to be located in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first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 first placement type ad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nd a holder formed in the beverage container to be inserted therein and the handle portion formed in the holder body portion, wherein the handle portion has a folding line formed along a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a tear line form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handle except for the folding line.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nd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ermentable additi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holder having the first handle and the folding handle.
상기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 본체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측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상기 음료용기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제1외측면부; 및
상기 제1외측면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외측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이격된 양단이 상기 제1외측면부의 양단에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1내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A first outer surface portion extending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as to correspond to a side shap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first inner surface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outer surface portion or provided to be spaced apar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surface portion and having both end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outer surface portion;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holder having a fixed additi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상기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 본체부의 상기 제1내측면부의 일면에 마련된 음용물 배출문부; 및
상기 음용물 배출문부가 개방됨으로써 형성되는 음용물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음용물 배출문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됨으로써 상기 음용물 배출구의 개폐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11,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portion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inner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addition body portion; And
Drinking water discharge port is formed by opening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The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fermentation adder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door is moved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drinking water outlet.
상기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1거치식 첨가부의 연결지점을 따라 형성되는 형성되는 접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11,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holder having a folding handle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lding line formed along a connection point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first placement type.
음료용기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제2첨가 본체부와 상기 제2첨가 본체부의 내측면 상단에 마련되는 제2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 둘레를 따라 거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거치식 첨가부;
내부에 음료용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홀더 본체부와 상기 홀더 본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호 대향되는 면을 따라 형성된 폴딩선과 상기 폴딩선을 제외한 상기 손잡이부 외형을 따라 형성된 절취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 및
상기 제2거치식 첨가부와 상기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홀더를 연결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와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음료용기.
A second addition body portion provided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addition body porti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 second mounting type ad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he holder body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formed to the holder body portion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therein, the handle portion has a folding line formed along the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the cut line formed along the outer shape of the handle portion except the folding line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nd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a fermentable addition portion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holder with the second mounting type portion and the folding handle.
상기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2거치식 첨가부의 연결지점을 따라 형성되는 접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식 첨가부 및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holder having a folding handle and a foldin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old line formed along the connection point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mounting type.
KR1020180018056A 2018-02-13 2018-02-13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riding addition part KR1020238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56A KR102023886B1 (en) 2018-02-13 2018-02-13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riding addition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56A KR102023886B1 (en) 2018-02-13 2018-02-13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riding addition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970A true KR20190097970A (en) 2019-08-21
KR102023886B1 KR102023886B1 (en) 2019-09-23

Family

ID=6780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056A KR102023886B1 (en) 2018-02-13 2018-02-13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riding addition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88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880Y1 (en) * 2002-03-12 2002-06-14 박상규 Contaner having a many partitions
KR200349790Y1 (en) * 2004-02-12 2004-05-12 광일 주 A scale mark papercup
KR200402439Y1 (en) * 2005-09-05 2005-11-30 김현호 Support vessel
KR20120001792U (en) * 2010-09-01 2012-03-09 한지성 A Cup Holder Having Grips
JP3179082U (en) * 2012-02-29 2012-10-18 三代治 高松 Holding band with lid for cup
KR20140001588A (en) * 2012-06-28 2014-01-07 박정주 A foiding cup
KR20150117242A (en) 2015-09-30 2015-10-19 김상도 Cup Holder with Improved Ins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082B2 (en) * 1989-11-14 2001-06-25 松下精工株式会社 Heat exchange ventilat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880Y1 (en) * 2002-03-12 2002-06-14 박상규 Contaner having a many partitions
KR200349790Y1 (en) * 2004-02-12 2004-05-12 광일 주 A scale mark papercup
KR200402439Y1 (en) * 2005-09-05 2005-11-30 김현호 Support vessel
KR20120001792U (en) * 2010-09-01 2012-03-09 한지성 A Cup Holder Having Grips
JP3179082U (en) * 2012-02-29 2012-10-18 三代治 高松 Holding band with lid for cup
KR20140001588A (en) * 2012-06-28 2014-01-07 박정주 A foiding cup
KR20150117242A (en) 2015-09-30 2015-10-19 김상도 Cup Holder with Improved Ins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886B1 (en)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4542B2 (en) Reusable sleeve cover
US20110266294A1 (en) Disposable beverage lid
KR20000057208A (en) Infuser unit for making beverages
CN205345617U (en) Food container with drink support
US20090114661A1 (en) Holder
US20090261095A1 (en) Duo twin-containers drinking disposable cup system
US20140251152A1 (en) Beverage container suitable for making cold or hot beverage
CA2976648A1 (en) Beverage lid that attaches to food container
US20140251151A1 (en) Beverage Brewing Platform
WO2005102121A2 (en) Combination cup sleeve and plug assembly
KR102023886B1 (en) A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riding addition part
JP2015058950A (en) Drinking container having cup provided with lid body and the lid body
US20130200087A1 (en) Cup sleeve clip
CN102917974A (en) A vessel for dispensing a fluid contained therein
KR20140095987A (en) Contents partition-type container for beverage
CN110304326A (en) A kind of anti-overflow environment-protecting paper cup
KR200480558Y1 (en) Beverage container splitting the spaces
WO2016032061A1 (en) Instant food vessel of overlay structure having water injection hole
CN208228747U (en) Snacks beverage container
KR200474750Y1 (en) The container having different beverages in it located on the top of a cup
CA2941219A1 (en) Cup sleeve with pocket
ITFI20130017U1 (en) MILK DISPENSER
KR200486146Y1 (en) Double container
GB2381185A (en) Beverage or food container with temperature indicator
KR20190001581U (en) Take-out A disposable recepta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