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714A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714A
KR20190097714A KR1020180017484A KR20180017484A KR20190097714A KR 20190097714 A KR20190097714 A KR 20190097714A KR 1020180017484 A KR1020180017484 A KR 1020180017484A KR 20180017484 A KR20180017484 A KR 20180017484A KR 20190097714 A KR20190097714 A KR 20190097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insulating block
shield
coupled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390B1 (ko
Inventor
배병규
강형중
주성혁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80017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3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쉴드 컨택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컨택 단자의 오동작이나 소손을 방지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절연성 수지가 사출 성형되는 절연 블록; 상기 절연 블록 내부로 삽입되는 인서트부와 상기 절연 블록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절연 블록의 양 측부에서 상기 절연 블록에 결합되는 한 쌍의 쉴드 컨택트; 다수의 컨택 단자 어레이로 구성되어, 상기 절연 블록 하면에 결합되는 제1 컨택트; 다수의 컨택 단자 어레이로 구성되어, 상기 절연 블록 상면에 결합되는 제2 컨택트; 상기 절연 블록, 상기 쉴드 컨택트, 상기 제1 컨택트 및 상기 제2 컨택트가 결합된 어셈블리를 감싸면서 사출 성형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USB 방식의 플러그 커넥터가 접속되기 위하여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쉴드 컨택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컨택 단자의 오동작이나 소손을 방지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체결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컨택 단자(Contact terminal)들을 구비하고, 상기 컨택 단자들은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의 핀 규격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배열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쉴드 컨택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절연부재(30)를 매개로 양 면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면 배치되는 제1 컨택트(10) 및 제2 컨택트(20), 제1 컨택트 및 제2 컨택트 사이에서 상기 절연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쉴드 컨택트(40, Shield contact), 및 플러그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되는 공간(51)을 확보하면서 상기 절연부재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메탈 쉘(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컨택트(10) 및 제2 컨택트(20)는 다수의 컨택 단자들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어레이를 구성하고, 제1,2 컨택트(10,20)의 각 컨택 단자들은 신호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절연부재(30)를 매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컨택트(10) 및 제2 컨택트(20)의 컨택 단자들은 플러그 커넥터가 방향성에 무관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좌우 및 상하 방향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상기 쉴드 컨택트(40)는 인서트 사출로 상기 절연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절연부재(30)를 지지하고, 리셉터클 커넥터를 접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쉴드 컨택트(40)는 상기 절연부재(30)의 양 측부에서 제1 컨택트(10) 및 제2 컨택트(20)의 각 컨택 단자들 중 접지단자(11,21')와 전송단자(12,22')들 사이에 개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쉴드 컨택트(40)는 절연부재(30)의 중앙 영역인 전원단자(13,23')를 포함하는 다른 단자 사이에 절연을 위한 절연공(41)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공(41)은 쉴드 컨택트(40)와 전원단자(13,23') 사이에 절연 거리(D1)를 확보하고, 상기 절연 거리(D1)는 대략 0.5mm 정도로 형성되어 쉴드 컨택트(40)와 전원단자(13,23') 사이에서 쇼트가 발생될 위험을 감소시키고, 결국 쇼트로 인한 발화나 전자기기의 손상 위험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쉴드 컨택트(40)의 내측 단부가 전송단자(12,22')까지 돌출되므로, 인서트 사출 공정에서 절연부재(30) 형성을 위한 수지의 사출 압력으로 밀림이나 휨과 같은 변형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는 지지 코어(60)를 이용하여 쉴드 컨택트(40)을 고정시킨 후 인서트 사출로 절연부재(30)를 형성하고, 지지 코어(60)를 분리한 후에는 절연부재(30)에 지지 코어(60)에 의한 코어 홀(61)이 나타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습한 환경에 놓일 때 절연부재(30) 표면을 따라 미세한 수분 입자(h)가 흡착되며, 상기 수분 입자(h)는 절연부재(30) 표면과 코어 홀(61) 표면을 따라 분포되면서 전송단자(12,22')와 쉴드 컨택트(40)를 전기적으로 쇼트시키게 되고, 결국 리셉터클 커넥터의 오동작이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절연부재(30)의 중앙 영역에서 다수의 컨택 단자 사이에 절연공(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코어 홀(61)을 따라 유입되는 수분 입자는 쉴드 컨택트(40)와 절연부재(30)의 접합면(계면)을 따라 절연공(41) 내부까지 유입될 수 있고, 절연공(41)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 입자(h)는 쉴드 컨택트(40)와 전원단자(13,23')를 쉽게 쇼트시켜, 결국 쉴드 컨택트(40)와 전원단자(13,23') 사이의 절연 거리(D1)가 무의미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30186(2017.03.17.공개, 리셉터클 커넥터용 쉴드 컨택트 및 리셉터클 커넥터) 한국공개특허 10-2016-0101520(2016.08.25.공개, 리셉터클 커넥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쉴드 컨택트와 절연부재를 일체로 제조하기 위한 인서트 사출 공정에서 쉴드 컨택트의 중간 영역과 컨택트가 대응하는 영역을 최소로 하여 코어 홀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분 입자가 절연부재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분 입자에 의한 전기적 쇼트와 커넥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쉴드 컨택트와 컨택 단자들 사이의 절연 거리를 더욱 확장시켜 전기적 쇼트로부터 컨택 단자들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컨택트 및 제2 컨택트 사이에 절연 수지를 충진하여 각 컨택 단자 사이의 쇼트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절연성 수지가 사출 성형되는 절연 블록; 상기 절연 블록 내부로 삽입되는 인서트부와 상기 절연 블록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절연 블록의 양 측부에서 상기 절연 블록에 결합되는 한 쌍의 쉴드 컨택트; 다수의 컨택 단자 어레이로 구성되어, 상기 절연 블록 하면에 결합되는 제1 컨택트; 다수의 컨택 단자 어레이로 구성되어, 상기 절연 블록 상면에 결합되는 제2 컨택트; 상기 절연 블록, 상기 쉴드 컨택트, 상기 제1 컨택트 및 상기 제2 컨택트가 결합된 어셈블리를 감싸면서 사출 성형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 컨택트는 상기 인서트부가 상기 제1 컨택트 및 상기 제2 컨택트의 컨택 단자들 중 최외측 컨택 단자에만 중첩되도록 상기 절연 블록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1 컨택트 내측의 컨택 단자들과 상기 제2 컨택트 내측의 컨택 단자들 사이에는 상기 절연 블록의 수지가 충진되어, 상기 제1 컨택트와 상기 제2 컨택트를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쉴드 컨택트,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절연 블록은, 상기 쉴드 컨택트 및 상기 제1 커넥터를 인서트 물로 하여 상기 절연 블록이 사출 성형된 인서트 사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 블록은 상면에 컨택 단자가 삽입되는 다수의 조립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컨택트는 다수의 컨택 단자가 상기 조립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 홈은, 상기 절연 블록 상면에 후크 형상의 다수의 조립 돌기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조립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쉴드 컨택트는, 선단부가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쉴드 컨택트는, 상기 인서트부의 선단부 내측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인서트부와 상기 제1 컨택트의 최외측 컨택 단자의 중첩을 회피시키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쉴드 컨택트는, 상기 절연 블록의 양 측부에 결합되는 분리형으로 구성되거나, 선단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쉴드 컨택트, 절연 블록 및 컨택트를 인서트 사출하는 과정에서 절연 블록에 코어 홀이 발생되지 않고, 컨택트 사이에는 절연 수지가 충진됨으로써, 절연 블록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수분에 의한 절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쉴드 컨택트와 컨택 단자들 사이의 절연 거리를 더욱 늘어나 전기적 쇼트로부터 컨택 단자들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인 쉴드 컨택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주요부를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를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도 4의 주요부인 쉴드 컨택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과정의 주요 도면을 나타낸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컨택트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쉴드 컨택트를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제2, 전, 후, 상, 하 등과 같은 표현은 서로 상대적인 순서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발명의 구성이 반드시 그 명칭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주요부를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4의 주요부인 쉴드 컨택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한 쌍의 쉴드 컨택트(100), 상기 쉴드 컨택트(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절연 블록(200), 상기 절연 블록(200)에 결합되는 컨택트(300), 상기 쉴드 컨택트(100), 절연 블록(200) 및 컨택트(300)를 일체화시키는 하우징(400) 및 상기 하우징(400)에 결합되는 메탈 쉘(5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쉴드 컨택트(100)는 금속 소재의 전도성 플레이트로서 절연 블록(200)의 강성을 보강하고, 기판에 접지되어 플러그 커넥터와 접속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EMI 나 노이즈를 제거하여 컨택 단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절연 블록(200)에 삽입되는 폭과 컨택트(300)와 중첩되는 영역을 최소로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의 손상이나 오동작을 방지한다. 상기 쉴드 컨택트(100)는 좌우 방향(x 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전후 방향(y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절연 블록(200)의 양 측부에서 절연 블록(200)과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쉴드 컨택트(100)는 폭 방향(x 방향)에 대하여 내측의 인서트부(110)와 외측의 지지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부(110)는 인서트 사출시 절연 블록(20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120)는 절연 블록(200) 외부로 노출되어 인서트 사출시 지지 코어(600)에 고정된다.
상기 인서트부(110)는 절연 블록(200)과 함께 인서트 사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최소의 폭을 이루며, 도 6 및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서트부(110)가 컨택트(300)의 접지단자(311,321')와 대응하는 폭을 이룬다. 즉, 쉴드 컨택트(100)의 인서트부(110)는 제1 컨택트(310) 및 제2 컨택트(320)의 최외측 컨택 단자인 접지단자(311,321') 사이에만 개입되고, 두 번째 단자인 제1 전송단자(312,322') 사이에는 개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쉴드 컨택트(100)는 인서트 사출 공정에서 사출 압력의 영향을 최소로 할 수 있고, 전원단자(313,323')와의 절연 거리(D2)가 대략 1.25mm로 늘어나 전기적 쇼트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인서트부(110)에서 외측으로 돌출 또는 연장되어 형성되며, 다수의 돌기 형태로 돌출되거나 하나의 리브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쉴드 컨택트(100)는 선단부가 폭 방향 내측(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30)를 형성한다. 상기 보강부(130)는 한 쌍의 쉴드 컨택트(100)의 선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금속 소재의 보강부(130)는 인서트 사출 공정에서 하우징(400) 내부로 몰딩되며,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시 플러그 커넥터와 최초로 접촉되는 하우징(400)의 강성을 보강한다.
또한, 상기 쉴드 컨택트(100)는 인서트부(110)와 보강부(130) 사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홈부(140)를 형성한다. 상기 홈부(140)는 인서트부(110)의 선단부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 컨택트(100)의 선단부는 인서트부(110), 지지부(120) 및 보강부(130)는 'ㄷ' 형상으로 연결된다. 상기 홈부(140)는 인서트부(110)와 중첩되는 제1 컨택트(310)의 컨택단자, 즉, 접지단자(311,311')가 인서트부(110)와 중첩되지 않도록 인서트부(110)를 회피시킴으로써, 절연 블록(200)을 사출하는 공정에서 지지 코어(600)가 접지단자(311,311')를 상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연 블록(200)은 쉴드 컨택트(100)와 컨택트(300)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면서 이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절연 블록(200)은 비전도성 재질의 수지를 이용한 사출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소재의 쉴드 컨택트(100)와 제1 컨택트(310)를 인서트 물(insert object)로 하는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이들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절연 블록(200)은 양 측부에 쉴드 컨택트(100)의 인서트부(110)가 삽입되며, 하면에 제1 컨택트(310)를 구성하는 다수의 컨택 단자들이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300)는 신호 전송, 전원 공급, 접지 등의 각 기능을 갖는 다수의 컨택 단자들로서, 절연 블록(200)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1 컨택트(310)와 절연 블록(20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 컨택트(3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컨택트(310)는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절연 블록(200)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2 컨택트(320)는 조립 공정으로 절연 블록(200)에 결합된 후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절연 블록(200) 및 하우징(4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컨택트(310)와 제2 컨택트(320)는 다수의 컨택 단자들이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어레이를 구성하며, 제1 컨택트(310)의 컨택 단자 어레이와 제2 컨택트(320)의 컨택 단자 어레이는 좌우 및 상하 방향이 서로 대칭을 이룬다.
일 예로, 제1 컨택트(310)와 제2 컨택트(320)는 12 핀 구조의 컨택 단자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고, 12 핀 구조의 제1 컨택트(310)는 일 측에서부터 접지를 위한 제1 접지단자(311), 고속 신호 전송을 위한 두 개의 제1 전송단자(312), 전원 공급을 위한 제1 전원단자(313),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제1 인식단자(314),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2 데이터단자(315), 제1 보조단자(314'), 전원 공급을 위한 제2 전원단자(313'), 고속 신호 전송을 위한 두 개의 제2 전송단자(312'), 접지를 위한 제2 전원단자(311') 순으로 배열될 수 있고, 제2 컨택트(320)의 컨택 단자들은 제1 컨택트(310)를 구성하는 컨택 단자들의 역순으로 배열된다.
또한, 제1 컨택트(310)와 제2 컨택트(320)의 각 컨택 단자들은 기판에 솔더링되도록 후단부가 절연 블록(200)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하우징(400)은 쉴드 컨택트(100), 절연 블록(200), 제1 컨택트(310) 및 제2 컨택트(320)의 결합을 고정시키며,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부 몸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하우징(400)은 쉴드 컨택트(100), 절연 블록(200), 제1 컨택트(310) 및 제2 컨택트(320)가 결합된 어셈블리를 인서트 물로 하는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이들과 일체로 형성된다. 하우징(400)의 후방으로는 제1 컨택트(310) 및 제2 컨택트(320)의 솔더링부가 노출되고, 하우징(400)의 하면에는 제1 컨택트(310)의 컨택 면(310')이 노출되며, 상면에는 제2 컨택트(320)의 컨택 면(320')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00)은 전단부에 제1 컨택트(310) 및 제2 컨택트(320)의 컨택 면(310', 320')을 노출시켜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접속부(410)를 구성하고, 후단부에 메탈 쉘이 결합되는 결합부(420)를 구성한다.
상기 메탈 쉘(500)은 하우징(400)에 결합되어 충격이나 노이즈를 차단하여 쉴드 컨택트(100), 절연 블록(200), 제1 컨택트(310) 및 제2 컨택트(320)를 보호하는 구성이다. 메탈 쉘(500)은 전방이 개구되는 삽입부(510)와, 하우징(400)에 체결되는 후방의 체결부(520)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510)는 하우징(400)의 접속부(410) 사이에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공간(530)을 확보하고, 상기 체결부(520)는 하우징(400)의 결합부(420)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 돌기들을 구비한다. 상기 메탈 쉘(500)은 하우징(400)에 결합된 금속 소재의 쉴드 컨택트(100), 제1 컨택트(310) 및 제2 컨택트(320)를 플러그 삽입공간(530)에 수용하여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충격이나 전기적 노이즈로부터 이들을 보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쉴드 컨택트(100), 절연 블록(200) 및 제1 컨택트(310)를 인서트 사출하는 과정에서 코어 홀이 나타나지 않고, 제1 컨택트(310) 및 제2 컨택트(320)의 각 컨택 단자들 사이에 절연 수지가 충진됨으로써 수분 유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쉴드 컨택트(100)와 컨택트(300)의 전원단자(313,323') 사이에 절연 거리가 늘어나 이들 사이에서 안정적인 절연이 보장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조 과정의 주요 도면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먼저, 도 8a와 같이, 한 쌍의 쉴드 컨택트(100)와, 제1 컨택트(310)를 구성하는 다수의 컨택 단자를 준비하고, 이들을 인서트 물로 하는 사출 공정으로 절연 블록(200)을 성형한다. 이때, 상기 쉴드 컨택트(100)는 인서트부(110)가 제1 컨택트(310)의 최외측 컨택 단자인 접지단자(311)에만 중첩되고, 두 번째 컨택 단자인 제1 전송 단자(312)에는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쉴드 컨택트(100)는 사출 공정에서 외측의 지지부(120)가 지지 코어(도 7의 600 참고)에 지지되고, 동시에 인서트부는 최소의 폭으로 절연 블록(200)에 삽입되어 사출 압력에 따른 변형이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쉴드 컨택트(100)는 절연 블록(200)의 양 측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컨택트(310)는 절연 블록(200)의 하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절연 블록(200)의 상면에는 제2 컨택트(320)가 조립되기 위한 다수의 조립 홈(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8b와 같이, 제2 컨택트(3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컨택 단자를 절연 블록(200) 상면의 조립 홈(210)에 각각 삽입하여, 쉴드 컨택트(100), 제1 컨택트(310), 절연 블록(200) 및 제2 컨택트(320)를 일체형의 어셈블리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컨택트(310) 및 제2 컨택트(320)의 컨택 단자들은 절연 블록(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을 이룬다.
또한, 도 8c와 같이, 상기 제2 컨택트(3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우징(400)을 사출 성형한다. 하우징(400)은 상기 쉴드 컨택트(100), 제1 컨택트(310), 제2 컨택트(320) 및 절연 블록(200) 어셈블리를 인서트 물로 하는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컨택트(310)의 컨택 면(310')은 하우징(400)의 하면으로 노출되고, 제2 컨택트(320)의 컨택 면(320')은 하우징(400)의 상면으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절연 블록(200)과 하우징(400)은 2차에 걸친 인서트 사출 공정으로 형성된다. 특히, 1차 사출 과정에서 쉴드 컨택트(100)와 컨택트(300)의 각 컨택 단자들 사이에 절연 블록(200)이 충진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절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8d와 같이, 하우징(400) 사출 후 별도의 공정에서 제조된 메탈 쉘(500)을 하우징(400)에 결합하여 리셉터클 커넥터를 완성한다. 완성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메탈 쉘(500)이 기판에 실장되면서 기판과 결합되며, 동시에 컨택 단자들의 솔더링부도 기판의 컨택 패드에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컨택트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리셉터클 커넥터에서 제1 컨택트(310)는 인서트 사출로 절연 블록과 일체로 형성되지만, 제2 컨택트(320)는 별도로 제조된 후 절연 블록(200)에 조립된다. 이때, 절연 블록(200)에는 제2 컨택트(3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컨택 단자들이 쉽게 조립되고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이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블록(200)의 상면에는 한 쌍의 조립 돌기(220)가 형성되고, 조립 돌기(220) 사이에 컨택 단자가 삽입되는 조립 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 돌기(220)는 상단부가 조립 홈(210)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21)을 가지며, 상기 걸림턱(221)은 후크 형상을 이루면서 내측으로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조립 홈(210)에 삽입된 컨택 단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2 컨택트(320)는 상기 조립 돌기(220)에 의하여 조립이 고정되어, 하우징(400)을 사출하는 2차 인서트 사출 공정에서 제2 컨택트(320)의 컨택 단자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코어의 수를 최소로 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 코어가 요구되지 않아 2차 인서트 사출 공정이 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쉴드 컨택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쉴드 컨택트(100)는 선단부가 연결되는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미드 플레이(100)는 인서트부(110)가 제1,2 컨택트(310,320)의 최외측 컨택 단자인 접지단자(311,321') 사이에만 개입되면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선단부는 연결부(15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50)는 이격된 쉴드 컨택트(100)를 연결하여, 쉴드 컨택트(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50)는 쉴드 컨택트(100)의 선단부에서 이들을 연결하여 절연 블록(200)의 전방으로 노출되므로, 인서트 사출 공정에서 절연 블록(200)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지지 코어(6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고, 결국, 인서트 사출 공정에서 사출 압력으로부터 미드 프레이트(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쉴드 컨택트
110 : 인서트부 120 : 지지부
130 : 보강부 140 : 홈부
150 : 연결부
200 : 절연 블록
210 : 조립 홈 220 : 조립 돌기
300 : 컨택트
310 : 제1 컨택트 320 : 제2 컨택트
400 : 하우징
410 : 접속부 420 : 결합부
500 : 메탈 쉘
510 : 삽입부 520 : 체결부
530 : 플러그 삽입공간

Claims (8)

  1. 절연성 수지가 사출 성형되는 절연 블록;
    상기 절연 블록 내부로 삽입되는 인서트부와 상기 절연 블록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절연 블록의 양 측부에서 상기 절연 블록에 결합되는 쉴드 컨택트;
    다수의 컨택 단자 어레이로 구성되어, 상기 절연 블록 하면에 결합되는 제1 컨택트;
    다수의 컨택 단자 어레이로 구성되어, 상기 절연 블록 상면에 결합되는 제2 컨택트; 및,
    상기 절연 블록, 상기 쉴드 컨택트, 상기 제1 컨택트 및 상기 제2 컨택트가 결합된 어셈블리를 감싸면서 사출 성형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쉴드 컨택트는 상기 인서트부가 상기 제1 컨택트 및 상기 제2 컨택트의 컨택 단자들 중 최외측 컨택 단자에만 중첩되도록 상기 절연 블록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택트 내측의 컨택 단자들과 상기 제2 컨택트 내측의 컨택 단자들 사이에는 상기 절연 블록의 수지가 충진되어, 상기 제1 컨택트와 상기 제2 컨택트를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컨택트,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절연 블록은, 상기 쉴드 컨택트 및 상기 제1 커넥터를 인서트 물로 하여 상기 절연 블록이 사출 성형된 인서트 사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블록은 상면에 컨택 단자가 삽입되는 다수의 조립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컨택트는 다수의 컨택 단자가 상기 조립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홈은,
    상기 절연 블록 상면에 후크 형상의 다수의 조립 돌기가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조립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컨택트는,
    선단부가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컨택트는,
    상기 인서트부의 선단부 내측 일부가 함몰되어 상기 인서트부와 상기 제1 컨택트의 최외측 컨택 단자의 중첩을 회피시키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컨택트는,
    상기 절연 블록의 양 측부에 결합되는 분리형으로 구성되거나, 선단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80017484A 2018-02-13 2018-02-13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8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84A KR102081390B1 (ko) 2018-02-13 2018-02-13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84A KR102081390B1 (ko) 2018-02-13 2018-02-13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714A true KR20190097714A (ko) 2019-08-21
KR102081390B1 KR102081390B1 (ko) 2020-02-25

Family

ID=6780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484A KR102081390B1 (ko) 2018-02-13 2018-02-13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3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992033U (zh) * 2014-08-29 2016-01-20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KR20160101520A (ko) 2015-02-17 2016-08-25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170030186A (ko) 2015-09-09 2017-03-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용 미드플레이트 및 리셉터클 커넥터
US20170229823A1 (en) * 2016-02-04 2017-08-10 Advanced-Connectek Inc.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KR20180004507A (ko) * 2016-07-04 2018-01-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US20180040990A1 (en) * 2016-08-08 2018-02-08 Molex, Llc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992033U (zh) * 2014-08-29 2016-01-20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KR20160101520A (ko) 2015-02-17 2016-08-25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170030186A (ko) 2015-09-09 2017-03-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용 미드플레이트 및 리셉터클 커넥터
US20170229823A1 (en) * 2016-02-04 2017-08-10 Advanced-Connectek Inc.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KR20180004507A (ko) * 2016-07-04 2018-01-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US20180040990A1 (en) * 2016-08-08 2018-02-08 Molex, Llc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390B1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663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parate grounding pieces
CN100416939C (zh) 堆叠式电连接器
US9466930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CN108923156B (zh) 电连接器
US20170271823A1 (en) Electrcial connector with middle shielding plate contacting upper and lower contacts
US7008267B2 (en) Shielded board-mounted electrical connector
CN109103673B (zh) 插座连接器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KR101927931B1 (ko) 방수형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KR101980975B1 (ko) 접지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접지 단자 및 접지 피스를 함께 구비하는 신호 커넥터
TW201440347A (zh) 電連接器
US969854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internal metallic shield
US2013033768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tect function
US20150031246A1 (en) C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sulative enclosing body with an opening
TW202301746A (zh) 電連接器
US673991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ar retention mechanism of outer shell
JP5315912B2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CN108281813B (zh) 电连接器
CN108206431B (zh) 电连接器
KR101324656B1 (ko) 쉘의 구조가 개선된 인터페이스 커넥터
US8052456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KR10208139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JP2005071769A (ja) コネクタ
CN211789680U (zh) 插座连接器
KR101734834B1 (ko) 장착이 용이한 usb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