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840A -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 Google Patents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840A
KR20190094840A KR1020180014456A KR20180014456A KR20190094840A KR 20190094840 A KR20190094840 A KR 20190094840A KR 1020180014456 A KR1020180014456 A KR 1020180014456A KR 20180014456 A KR20180014456 A KR 20180014456A KR 20190094840 A KR20190094840 A KR 20190094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zipper
belt member
outer shell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493B1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백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백
Priority to KR102018001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4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7Stools for work at ground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1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2인이 사용 가능하게 분해하여 2인이 따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작업자가 사용 높이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며, 벨트의 신축성 저하에도 신체에 고정 장착이 용이하여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구조의 작업용 방석의자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작업용 방석의자는, 상부 외피와, 그 상부 외피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상부 지퍼와, 상기 상부 외피의 상부면에 재봉되어 허리춤 또는 허벅지에 고정하는 상부 벨트부재와, 상기 상부 외피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상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와; 하부 외피와, 그 하부 외피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하부 지퍼와, 상기 하부 외피의 상부면에 재봉되어 허리춤 또는 허벅지에 고정하는 하부 벨트부재와, 상기 하부 외피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하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하부에 상기 제2몸체부를 상하로 적층시킨 상태로 서로 연결되도록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사용되는 연결용 지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용 지퍼를 체결시 상기 하부 벨트부재는 서로 밀착하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사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A portable cushion chair for working}
본 발명은 작업자가 쪼그려 앉아 하는 작업이 많은 농업이나 어업 분야 등에서 작업자가 작업시 편하게 앉아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가 가능한 작업용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용 방석의자의 착용과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하더라도 다리를 압박하여 다리의 혈액순환을 방해하거나 다리저림 같은 통증없이 편안한 자세로 작업할 수 있게 하며, 작업자의 상황에 맞게 사용 높이의 조정이 가능하며, 특히 2인이 사용 가능하고 보관이 간편한 구조의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시간 쪼그려 앉아 작업하는 경우, 예를 들어 농어촌이나 산업현장에서 작업의 특성상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하여야 할 경우 작업자의 허리와 무릎에 큰 부담이 된다.
쪼그려 앉는 동작은 뒤쪽에서 척추를 지탱해주고 허리를 세워주는 근육인 신전근에 매우 좋지 않은 자세로 척추가 비정상적으로 앞으로 휘는 요부변성 후만증이나 디스크가 과중한 압력을 받아 뒤로 밀리면서 허리디스크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무릎을 굽혀 오랜 시간 쪼그린 자세를 유지하면 연골 내 퇴행성 변화로 나이가 들어 관절이 손상되면서 무릎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 중에 휴대하여 깔고 앉을 수 있는 작업용 방석의자가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제공되고 있는 작업용 방석의자의 경우 통상적으로 방석의자의 커버에 고리형의 결착밴드를 구성하고, 상기 결착밴드를 작업자의 양측 다리 허벅지부분에 끼워 방석의자가 엉덩이에 위치되게 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방식의 작업용 방석의자는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6-0125856호(2016. 11. 01.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출원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일정 높이를 가지는 의자 몸체(10)와, 의자 몸체(10) 상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허리에 둘러 체결하거나 풀 수 있도록 선단에 체결수단(20)이 마련된 신축 재질의 허리 벨트(30)와, 의자 몸체(10) 하측에 결속되어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의자 몸체(10)가 궁둥이에 밀착되도록 허리 벨트(30) 단부로 연결된 신축 재질의 대각 벨트(40) 및, 의자 몸체(10)에 결속된 대각 벨트(40) 단부와 허리 벨트(30) 단부에 터짐을 방지하기 위한 비신축 재질의 보강 패드(50)가 덧대지며, 의자 몸체(10)는 작업자가 앉은 자세에서 작업할 시 바닥에 깔고 앉을 수 있는 구성으로, 스티로폼 등의 쿠션재에 커버를 씌워 제작하고, 상기 커버는 내부에 수용된 스티로폼 등의 쿠션재가 파손되거나 하중에 의해 찌그러진 경우에 스티로폼 등의 쿠션재를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지퍼(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선출원 발명은 작업자가 의자 몸체(10)를 작업자의 엉덩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벨트를 사용하여 허리 및 허벅지에 고정시켜 작업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고, 벨트(30,40)가 탄성을 가진 신축재질로 되어 있으며, 의자 몸체에의 접속 부분만 비신축 재질의 보강패드(50)로 형성되어 있어 벨트(30,40)가 늘어나 탄성을 잃게 되면 탄성 벨트 부분을 교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 발명은 작업자 및 작업내용에 따라 작업자가 선호하는 높이가 다를 수 있으나, 의자 몸체의 높이가 항시 일정하다는 점에서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며, 일손이 부족한 농어촌의 경우 통상 부부가 함께 작업하는 경우가 많은데, 부부가 따로 작업용 방석의자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 및 각기 방석의자를 구비하는 경우 보관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탄성을 가진 벨트(30,40)가 탄성을 잃고 늘어지게 되면, 허벅지나 허리춤에 고정력을 상실하게 되어 벨트를 자주 뜯어 내고 새 것을 재봉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6-0125856호(2016. 11. 01.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2-0059742호(2012. 06. 11.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6-0108190호(2006. 10. 17. 공개)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83763호(2014. 4. 9. 공고)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0415호(2011. 01. 14.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들을 시정하고자 제안한 것으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2인이 사용 가능하게 분해하여 2인이 따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작업용 방석의자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사용 높이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작업용 방석의자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벨트의 신축성 저하에도 신체에 고정 장착이 용이하여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구조의 작업용 방석의자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작업용 방석의자는, 상부 외피와, 그 상부 외피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상부 지퍼와, 상기 상부 외피의 상부면에 재봉되어 허리춤 또는 허벅지에 고정하는 상부 벨트부재와, 상기 상부 외피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상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와; 하부 외피와, 그 하부 외피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하부 지퍼와, 상기 하부 외피의 상부면에 재봉되어 허리춤 또는 허벅지에 고정하는 하부 벨트부재와, 상기 하부 외피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하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하부에 상기 제2몸체부를 상하로 적층시킨 상태로 서로 연결되도록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사용되는 연결용 지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용 지퍼를 체결시 상기 하부 벨트부재는 서로 밀착하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결용 지퍼를 분리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서로 분리되며, 상기 제2 몸체부에 구비된 하부 벨트부재가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 벨트부재 또는 하부 벨트부재는 서로 대향하여 벨크로 테잎에 의해 부착되는 2쌍의 벨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서로 부착되는 일측 벨트는 비탄성 재질의 벨트로 형성되고, 타측 벨트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 벨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 벨트부재 또는 하부 벨트부재 또는 상부 외피나 하부 외피에는 야광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업용 방석의자는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2개 몸체가 분리 결합 가능한 지퍼에 의해 1개로 적층 결합하고 있어, 2인이 사용 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를 분리시켜 각기 사용할 수 있으며, 또 높은 작업 높이를 선호하는 경우 1개로 결합하여 사용하고, 낮은 높이를 원할 경우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어 작업자의 요구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된다.
한편, 2인이 사용 후 보관 시에는 제1 및 제2 몸체부를 결합시켜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보관 장소 역시 작게 차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 서로 결합되는 벨트부재의 한쪽은 비탄성재질로, 타측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탄성재질의 벨트가 다소 늘어지더라도 허리나 허벅지 춤에 조이는 데에 있어 탄성 벨트를 당겨 붙여 늘어짐을 보상할 수 있어 벨트의 잦은 교체를 방지할 수 있고, 또 교체 시 한쪽의 탄성벨트만을 교체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작업용 방석의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방석의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방석의자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방석의자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방석의자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방석의자의 제1 및 제2 몸체부를 분리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방석의자의 제1 및 제2 몸체부를 완전히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방석의자의 제1 및 제2 몸체부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쿠션재의 일실시예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방석의자를 작업자가 착용하고 작업을 실시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방석의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방석의자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방석의자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방석의자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작업용 방석의자는 전체를 부호 50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작업용 방석의자(50)는 서로 분리 가능한 2개의 몸체로서 상하로 적층 결합되는 제1 몸체부(52)와 제2 몸체부(5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몸체부(52)와 제2 몸체부(54)는 연결용 지퍼(56)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또 이 연결용 지퍼(56)에 의해 2개의 몸체부들이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몸체부(52)는 천연섬유 또는 바람직하기는 합성섬유재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상부 외피(58)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상부 외피(58)는 원주 방향을 따라 재봉된 상부 지퍼(60)에 의해 그 내부의 빈 원통 공간을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외피(58)의 지퍼(60)는 원통형의 상부 외피(58)의 전체 원주 둘레에 걸쳐 형성되지 아니하고, 세로로 덧댄 연결부(62)에 의해 양측 단부가 이격되도록 대략 300~340°만큼 걸쳐 형성되어 있어 상부 지퍼(60)를 완전 개방시에 상부 외피(58)가 상하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부(62)에 의해 상하 연결된 상태가 되어 내부 공간이 외부에 대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같은 개방 상태에서 내부 공간을 충진시킬 수 있는 크기와 부피를 가진 원통형 쿠션재(64)(도 ???? 참조)를 상부 외피(58)의 개방된 내부 공간에 수용토록 삽입한 후 상부 지퍼(60)를 닫게 되면 제1 몸체부(52)가 탄성을 가진 몸체가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쿠션재(64)로는 스펀치체, 또는 눌림 탄성이 우수한 토이론(발포우레탄)으로 형성하여, 작업자(66)가 엉덩이를 받혀 깔고 앉았을 때 하중을 분산 지지하여 엉덩이가 아프지 않게 하면서 하중의 작용점에 따라 눌려져 변형되도록 하므로써 앉기가 편하게 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의 평면도 형상에서 볼 수 있듯이, 상부 외피(58)의 상부면(68) 가장자리에는 작업자(66)의 허리춤 및/또는 허벅지에 고정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진 상부 벨트부재(70)가 재봉에 의해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 벨트부재(70)는 서로 대향하여 벨크로 테잎(72a,72b)(74a,74b)에 의해 부착되는 2쌍의 벨트(76a, 76b)(78a,78b)를 구비하고 있으며, 서로 부착하도록 대응하는 벨트(76a, 76b)(78a,78b)에 있어 일측 벨트(76b)(78b)는 비탄성 재질의 벨트로 형성되고, 타측 벨트(76a)(78a)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 벨트로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부 벨트부재(70)를 체결하는 수단으로 벨크로 테입 대신에 서로 기구적으로 체결 및 분리되는 암수 한쌍으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버클을 벨트에 단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벨트(76a)(78a)의 단부에 재봉하여 형성한 고리(80), 또는 제1 몸체부(52)의 상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링(82) 또는 연결부(62)는 선택적으로 형광물질(야광체)을 포함하도록 제작하여 야간에 작업 시 형광물질(야광체)이 빛을 발하여 작업자(66)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1 몸체부(52)의 하부에 적층되는 형태로 체결되는 제2 몸체부(54)는 양측 부재(52)(54)의 서로 맞닿는 상하부 면의 외주 원주면을 따라 360°에 걸쳐 체결하도록 연결용 지퍼(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몸체부(54)는 천연섬유 또는 바람직하기는 합성섬유재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하부 외피(8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하부 외피(84)는 원주 방향을 따라 재봉된 하부 지퍼(86)에 의해 그 내부의 빈 원통 공간을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 외피(84)의 지퍼(86)는 원통형의 하부 외피(84)의 전체 원주 둘레에 걸쳐 형성되지 아니하고, 도 3에 도시한 것 같이 세로로 덧댄 연결부(88)에 의해 양측 단부가 이격되도록 대략 300~340°만큼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 하부 지퍼(86)를 완전 개방시에 하부 외피(84)가 상하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부(88)에 의해 상하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내부 공간이 외부에 대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같은 개방 상태에서 그 내부 공간에 상응하는 크기와 체적을 가진 쿠션재(64)를 그 내부 공간에 충진한 후 하부 지퍼(86)를 닫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쿠션재(64)는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에 각기 1개씩 수용할 수 있으나, 상부 지퍼 및 하부 지퍼를 각기 기준하여 상하 2개의 몸체로 분할하여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에 각가의 지퍼를 기준하여 각기 2개씩 외피 내부에 삽입하여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를 분리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연결용 지퍼(56)를 개방시키면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몸체부(52)로부터 제2 몸체부(54)가 분리되어지게 되며, 이 때 도 1의 조립 체결된 상태에서는 감추어져 있던 하부 벨트부재(90)가 드러나게 된다.
상기 하부 벨트부재(90)는 고무 탄성재가 들어 있는 탄성있는 재질의 끈부재로 형성하고 있으나, 상부 벨트부재(70)와 동일한 형태, 즉 벨크로 테입을 이용하여 서로 접착하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이때 벨트의 일측은 비탄성부재로, 타측은 탄성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업용 방석의자(50)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작업자(66)가 높은 높이로 방석의자를 사용코자 할 때나 또는 보관 시에는 제1 몸체부(52)와 제2 몸체부(54)는 연결용 지퍼(56)를 체결하여 상하로 적층된 상태로 만들어 한 몸체가 되도록 한다. 이때 제2 몸체부(54)의 상부면(92)에 마련되어 있는 하부 벨트부재(90)는 지1 및 제2 몸체부 사이에 갇혀 연결용 지퍼(56)가 둘러싸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조립된 작업용 방석의자(50)의 벨트부재(70)를 허리춤 및/또는 허벅지에 고정시키되, 방석의자(50)가 엉덩이에 밀착하여 위치하도록 착용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주저 앉게 되면 엉덩이가 방석의자(50) 위에 얹히게 되어 마치 의자처럼 편안한 높이를 유지한 채 소정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위치를 이동 시 방석의자(50)를 별도로 챙기지 않아도 신체의 이동과 함께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작업자는 않거나 일어서는 동작만을 하면서 작업장을 이리 저리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면서 편하게 앉아 작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만일 작업자 2인이 사용코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용 방석의자(50)의 연결용 지퍼(56)를 완전히 개방시키게 되며, 이 같은 연결용 지퍼(56)의 개방에 따라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몸체부(54)가 상부의 제1 몸체부(52)로부터 분리되어지게 된다(도 7 참조).
제1 몸체부(52)와 제2 몸체부(54)가 서로 분리되어지게 되면, 감추어져 있던 제2 몸체부(54)의 벨트부재(90)가 드러나게 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작업자가 분리된 제1 몸체부(52)와 제2 몸체부(54)의 벨트부재(70),(90)를 각자의 몸에 고정시키면 2명이 작업용 방석의자로 각기 사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벨트부재가 일측만 탄성부재로 되어 있어 작업자의 허리나 허벅지 크기에 맞추어 장착할 수 있으며, 일측만 탄성벨트로 되어 있어 그 탄성벨트가 어느 정도 늘어나더라도 고정 장착하는데 지장이 없으며 너무 늘어나 탄성을 잃게 되면 한쪽의 탄성벨트만 교체(양측이 탄성부재인 경우에는 늘어나는 총 길이가 2배로 커져 조임 탄성력을 쉽게 잃게 되고 양측의 탄성벨트를 다 함께 교체하여야 한다)하면 되므로 경제적이다.
한편, 2명이 각기 사용하다가 작업이 끝나 보관시에는 분리된 제1 및 제2 몸체부를 각기 보관하여도 문제가 없으나, 그 두개의 몸체부를 상하로 적층시킨 후 연결용 지퍼(56)를 체결하면 1개의 몸체로 조립되므로 보관에 있어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 보관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본 발명은 작업용 방석의자의 전술한 및 그 밖의 단점과 결점을 극복한다.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반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균등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단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나, 이를 분리 가능한 지퍼 수단을 추가 사용하여 3단 또는 4단으로 조립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50: 작업용 방석의자 52: 제1 몸체부
54: 제2 몸체부 56: 연결용 지퍼
58: 상부 외피 60: 상부 지퍼
62, 88: 연결부 64: 쿠션재
66: 작업자 68, 92: 상부면
70, 90: 벨트부재(상부, 하부) 72a, 72b, 74a, 74b: 벨크로 테잎
76a, 76b, 78a,78b: 벨트 80: 고리(야광체)
82: 테두리링 84: 하부 외피
86: 하부 지퍼

Claims (4)

  1. 상부 외피와, 그 상부 외피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상부 지퍼와, 상기 상부 외피의 상부면에 재봉되어 허리춤 또는 허벅지에 고정하는 상부 벨트부재와, 상기 상부 외피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상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와; 하부 외피와, 그 하부 외피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하부 지퍼와, 상기 하부 외피의 상부면에 재봉되어 허리춤 또는 허벅지에 고정하는 하부 벨트부재와, 상기 하부 외피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하부 쿠션재를 포함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의 하부에 상기 제2몸체부를 상하로 적층시킨 상태로 서로 연결되도록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를 서로 분리시키도록 사용되는 연결용 지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용 지퍼를 체결시 상기 하부 벨트부재는 서로 밀착하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방석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지퍼를 분리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는 서로 분리되며, 상기 제2 몸체부에 구비된 하부 벨트부재가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방석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부재 또는 하부 벨트부재는 서로 대향하여 벨크로 테잎에 의해 부착되는 2쌍의 벨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서로 부착되는 일측 벨트는 비탄성 재질의 벨트로 형성되고, 타측 벨트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 벨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방석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벨트부재 또는 하부 벨트부재 또는 상부 외피나 하부 외피에는 야광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방석 의자.
KR1020180014456A 2018-02-06 2018-02-06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KR102148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56A KR102148493B1 (ko) 2018-02-06 2018-02-06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456A KR102148493B1 (ko) 2018-02-06 2018-02-06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840A true KR20190094840A (ko) 2019-08-14
KR102148493B1 KR102148493B1 (ko) 2020-08-27

Family

ID=6762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456A KR102148493B1 (ko) 2018-02-06 2018-02-06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766A (ko) 2020-07-31 2022-02-08 신우케미칼 주식회사 작업 의자용 쿠션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242B1 (ko) * 2021-09-07 2022-02-08 한영욱 송풍기능을 구비한 작업용 방석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190A (ko) 2005-04-12 2006-10-17 김진의 작업용 의자
JP2007098094A (ja) * 2005-10-06 2007-04-19 Reiko Hojo 万能一本足作業椅子
KR20110000415U (ko) 2009-07-08 2011-01-14 최성예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KR20120059742A (ko) 2010-12-01 2012-06-11 김상식 작업용 방석의자
KR101383763B1 (ko) 2013-08-29 2014-04-09 주식회사 에덴뷰 무릎관절 보호 및 하체 근육 피로 경감을 위한 작업보조기구
KR20160125856A (ko) 2015-04-21 2016-11-01 주식회사 에덴뷰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KR20170083746A (ko) * 2016-01-11 2017-07-19 김가희 작업의자
KR20170111790A (ko) * 2016-03-29 2017-10-12 주식회사 서하아이앤씨 다용도 쿠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190A (ko) 2005-04-12 2006-10-17 김진의 작업용 의자
JP2007098094A (ja) * 2005-10-06 2007-04-19 Reiko Hojo 万能一本足作業椅子
KR20110000415U (ko) 2009-07-08 2011-01-14 최성예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KR20120059742A (ko) 2010-12-01 2012-06-11 김상식 작업용 방석의자
KR101383763B1 (ko) 2013-08-29 2014-04-09 주식회사 에덴뷰 무릎관절 보호 및 하체 근육 피로 경감을 위한 작업보조기구
KR20160125856A (ko) 2015-04-21 2016-11-01 주식회사 에덴뷰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KR20170083746A (ko) * 2016-01-11 2017-07-19 김가희 작업의자
KR20170111790A (ko) * 2016-03-29 2017-10-12 주식회사 서하아이앤씨 다용도 쿠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766A (ko) 2020-07-31 2022-02-08 신우케미칼 주식회사 작업 의자용 쿠션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493B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7135B2 (en) Frameless furniture assembly
CA2793466C (en) Feeding pillow with removable support surface
US5632050A (en) Body and head support platform
KR101829876B1 (ko) 유아용 캐리어
CN104970626B (zh) 腰凳携带装置
US20110049951A1 (en) Portable chair cover for stackable chairs
US8783537B2 (en) Ergonomic backpack
KR20120059742A (ko) 작업용 방석의자
KR20190094840A (ko) 휴대 가능한 작업용 방석 의자
US20190083345A1 (en) Accessory Pad for Medical Examination Device
US20050225134A1 (en) Seat cushion
KR101963879B1 (ko)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JP4859394B2 (ja) 乳児用椅子
US20080061618A1 (en) Exercise Cushion And Uses Thereof
KR20180077119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KR200496638Y1 (ko) 휴대용 자세 교정백
KR101677806B1 (ko) 다용도 수유 쿠션
JP6533649B2 (ja) 姿勢回復訓練用クッション
US20160095768A1 (en) Post-Operative Assistive Device
KR200472499Y1 (ko) 이동용 방석
JP7376074B2 (ja) サポーター付きズボン
KR20170133248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작업용 쿠션방석.
US20230011210A1 (en) Abrasion Preventing Pad
KR102502281B1 (ko) 스트레칭 등받이
KR20170083746A (ko) 작업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5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028

Effective date: 20200806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