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542A -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542A
KR20190087542A KR1020197018075A KR20197018075A KR20190087542A KR 20190087542 A KR20190087542 A KR 20190087542A KR 1020197018075 A KR1020197018075 A KR 1020197018075A KR 20197018075 A KR20197018075 A KR 20197018075A KR 20190087542 A KR20190087542 A KR 20190087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creen
interface content
angle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779B1 (ko
Inventor
린동 리우
Original Assignee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7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25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or a plurality of detectors forming a reference frame from which to derive the orientation of the object, e.g. by triangulation or on the basis of reference deformation in the picked up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9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the scanner comprising adaptations for scanning a record carrier that is displayed on a display-screen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G06K7/1456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determining the orientation of the optical code with respect to the reader and correcting therefo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인식 장치에 의해 방출된 빔이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빔이 도달한 것을 모바일 단말기가 검출할 때, 모바일 단말기는 검출된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다는 것을 모바일 단말기가 검출하면, 모바일 단말기는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서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인식하는 효율이 개선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본 출원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서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인식할 때, 인터페이스 콘텐츠가 인식 각도에 대한 엄격한 요건을 갖는 경우,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인식 장치의 인식 각도를 수동으로 반복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코드 스캐닝 건(code scanning gun)이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데 사용될 때, 코드 스캐닝 건은, 코드 스캐닝 건과 바코드가 서로 마주보고 있고 코드 스캐닝 건과 바코드의 회전각들이 유사할 때만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동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코드 스캐닝 건의 인식 각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인터페이스 콘텐츠 인식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고 사용자에게 안좋은 경험을 가져다준다.
본 출원은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인식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를 설명한다.
제 1 양상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제 1 빔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경사진 상태는 제 1 빔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제 1 문턱값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미리 결정된 방향은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됨 ― ; 및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을 때, 제 1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양상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제공되며, 이 모바일 단말기는, 제 1 빔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 경사진 상태는 제 1 빔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제 1 문턱값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미리 결정된 방향은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됨 ― ; 및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다고 상기 결정 유닛이 결정할 때, 제 1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는 인식 장치에 의해 방출된 빔이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빔이 도달한 것을 모바일 단말기가 검출할 때, 모바일 단말기는 검출된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다는 것을 모바일 단말기가 검출하면, 모바일 단말기는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서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인식하는 효율이 개선된다.
본 개시내용의 구현들에서의 기술적 솔루션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구현들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다음의 설명에서 첨부 도면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일부 구현들만을 도시하고, 당업자는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이들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여전히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제 1 빔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출원에 따른 제 1 빔과 인터페이스 콘텐츠 사이의 각도를 예시하는 제 1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출원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예시하는 제 1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출원에 따른 제 1 빔과 인터페이스 콘텐츠 사이의 각도를 예시하는 제 2 개략도이다.
도 4b는 본 출원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예시하는 제 2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구현들을 설명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가 인식 장치에 의해 방출된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서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하다. 모바일 단말기는 스크린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예를 들어 모바일 폰, 태블릿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일 수 있고, 스크린은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d Coupled Device)와 같은 센서를 더 가질 수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빔을 검출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의 인터페이스 콘텐츠는 바코드 이미지, 2-차원 코드 이미지 등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할 수 있다는 것에 유념할 가치가 있다. 인터페이스 콘텐츠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인식될 수 있고, 순방향 및 역방향은 180°의 차이를 갖는 두 개의 방향들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구현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10 : 모바일 단말기는 제 1 빔을 검출한다.
제 1 빔은 모바일 단말기의 센서(예를 들어, CMOS 또는 CCD)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빔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레이저 빔, 적외선 빔 또는 가시광 빔일 수 있다. 제 1 빔의 유형은 원형 빔, 바 빔(bar be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의 제 1 빔은 인식 장치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는 것에 유념할 가치가 있다. 예를 들어, 인식 장치가 코드 스캐닝 건일 때, 코드 스캐닝 건에 의해 방출된 제 1 빔이 도 2에 도시될 수 있다. 도 2에서, 제 1 빔은 적외선 빔이며, 적외선 빔의 형상은 바 빔이다. 코드 스캐닝 건에 의해 방출된 적외선 빔이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를 커버할 때,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는 적외선 빔을 감지할 수 있는데, 즉 모바일 단말기는 제 1 빔을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는 센서(예를 들어, CMOS 또는 CCD)의 기능을 갖는다.
단계 120 :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경사진 상태는 제 1 빔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제 1 문턱값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빔을 방출하는 인식 장치를 기울일 수 있다. 미리 결정된 방향은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은 미리 결정된 방향과 동일하다.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은 상향 방향, 하향 방향, 좌향 방향, 우향 방향, 좌상향 방향, 좌하향 방향, 우상향 방향 또는 우하향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방향의 기준 객체는, 모바일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이 위치되는 평면, 수평면, 수직면, 수평면의 X축 및 Y축, 수직면의 X축 및 Y축,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이 위치되는 평면의 X축 및 Y축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객체는 실제 상황에 기초하여 선택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이와 관련된 다른 부분들에 대해, 여기서의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세부사항들은 여기서 간략화를 위해 생략된다.
제 1 문턱값은 경험적 값(empirical value)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는 것에 유념할 가치가 있다. 예를 들어, 인식 장치가 코드 스캐닝 건이고 인터페이스 콘텐츠가 바코드일 때, 제 1 문턱값은, 바코드가 코드 스캐닝 건에 의해 인식될 수 있을 때 코드 스캐닝 건과 바코드 사이의 최대 각도일 수 있다.
단계(120)에서,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모바일 단말기가 결정하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제 1 빔과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 사이의 각도를 결정하고, 각도가 제 1 문턱값보다 큰지 여부를 결정하고, 각도가 제 1 문턱값보다 큰 경우, 제 1 빔은 경사진 상태에 있다고 결정한다. 미리 결정된 방향이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일 때, 각도는 경사각이란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제 1 빔이 바 빔일 때, 상기 각도가 결정되기 전에,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검출된 제 1 빔의 특성 라인(즉, 제 1 빔을 표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직선)이 먼저 결정될 수 있고, 그 후 특성 라인과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 사이의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빔과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 사이의 각도가 결정된다. 도 3a가 예로서 사용된다.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는 바코드 이미지일 수 있고, a는 바코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방향(즉, 수평 우향 방향)이다. 또한, b는 제 1 빔의 특성 라인인데, 즉, 제 1 빔은 방향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α1 및 α2는 제 1 빔과 바코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방향 사이의 각도이다. 즉 두 개의 각도들이 존재하며 두 개의 각도들은 보각(supplementary angle)들이다. α1 및 α2 둘 모두의 값 범위는 [0, 180°]라는 것이 도 3a로부터 알 수 있다. α1 및 α2 둘 모두가 제 1 문턱값보다 클 때만,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다고 결정될 수 있다는 것에 유념할 가치가 있다. 각도(α1 또는 α2) 중 어느 하나가 제 1 문턱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제 1 빔은 경사진 상태에 있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단계 130: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을 때, 제 1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한다.
인터페이스 콘텐츠는 바코드 이미지, 2-차원 코드 이미지 등을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콘텐츠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인식될 수 있고, 순방향 및 역방향은 180°의 차이를 갖는 두 개의 방향들이다.
단계(130)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 :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을 때 제 1 빔의 경사각 및 경사 방향을 획득한다.
특히, 모바일 단말기는,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다고 결정할 때 제 1 빔의 경사각 및 경사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경사 방향은 상향 경사 방향, 하향 경사 방향, 좌향 경사 방향, 우향 경사 방향, 좌상향 경사 방향, 좌하향 경사 방향, 우상향 경사 방향 또는 우하향 경사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빔을 방출하는 인식 장치를 상향, 하향, 좌향 및 우향으로 기울일 수 있어서, 제 1 빔이 상향, 하향, 좌향, 우향 경사 방향들에 있게 된다.
도 3a가 예로서 사용된다. α1 및 α2 둘 모두가 제 1 문턱값보다 클 때만,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다고 결정될 수 있다. 도 3a에서, 획득될 수 있는 2개의 경사각들은 α1 및 α2이고, α1에 대응하는 경사 방향은 하향 경사 방향이고, α2에 대응하는 경사 방향은 상향 경사 방향이다. 도 3a의 제 1 빔은 수평 우향 방향(즉, 바코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방향)의 빔이 시계방향으로 α1의 각도만큼 회전된 후 획득되거나, 또는 수평 우향 방향의 빔(즉 바코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방향)이 반시계 방향으로 α2만큼 회전된 후에 획득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단계 B: 경사각 및 대응하는 경사 방향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한다.
단계 B는, 경사 방향 및 경사각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결정하는 것; 및 결정된 회전 방향으로 결정된 회전각만큼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서, 복수의 경사각들이 결정될 때, 경사 방향 및 경사각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는, 복수의 경사각들로부터, 제 2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는 제 1 경사각을 선택하는 것; 제 1 경사각을 회전각으로서 결정하는 것; 및 제 1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 방향이 회전 방향이라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는 제 1 경사각은 제 2 문턱값 이하인 각도라는 것에 유념할 가치가 있다.
제 2 문턱값은 90°라고 가정한다. 도 3a에서, 경사각(α1)이 제 2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바코드 이미지의 회전각은 α1이고, 바코드 이미지의 회전 방향은 하향 경사 방향, 즉 α1에 대응하는 경사 방향이라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하는 프로세스는, 도 3b에 도시된 바코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획득하기 위해, α1의 각도만큼 하향 경사 방향으로 바코드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것, 즉 α1의 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바코드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도 3b에서, 제 1 빔의 방향은 바코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코드 스캐닝 건이 바코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 1 빔과 바코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방향 사이의 각도가 도 4a에 도시되고 도 4a의 두 각도들이 제 1 문턱값보다 크다고 가정하면,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다고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경사각들(α3 및 α4)이 획득될 수 있으며, α3에 대응하는 경사 방향은 하향 경사 방향이고, α4에 대응하는 경사 방향은 상향 경사 방향이다. 경사각(α4)이 제 2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바코드 이미지의 회전각은 α4이고, 바코드 이미지의 회전 방향이 상향 경사 방향, 즉 α4에 대응하는 경사 방향이라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하는 프로세스는, 도 4b에 도시된 바코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획득하기 위해, α4의 각도만큼 상향 경사 방향으로 바코드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것, 즉 α4의 각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바코드 이미지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도 4b에서, 제 1 빔의 방향은 바코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코드 스캐닝 건이 바코드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물론, 실제로, 미리 결정된 문턱값은 또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현들은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인터페이스 콘텐츠가 결정된 회전 방향으로 결정된 회전각만큼 회전되기 전에 회전 중심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중심은 미리 결정된 방향의 기준 객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객체가 모바일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이 위치되는 평면,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이 위치되는 평면의 X축 및 Y축 등일 때, 결정된 회전 중심은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중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준 객체가 수평면, 수평면의 X축 및 Y축 등일 때, 결정된 회전 중심은 수평면의 중심(즉, 수평면의 X축 및 Y축의 교차점)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준 객체가 수직면, 수직면의 X축 및 Y축 등일 때, 결정된 회전 중심은 수직면의 중심(즉, 수직면의 X축 및 Y축의 교차점)일 수 있다.
회전 중심이 추가로 결정될 때, 결정된 회전 방향으로 결정된 회전각만큼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회전시키는 단계는, 결정된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서 사용함으로써 결정된 회전 방향으로 결정된 회전각만큼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지 않을 때,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은 조정되지 않을 수 있는 것에 유념할 가치가 있다.
본 출원에서, 인식 장치에 의해 방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을 때, 모바일 단말기는 제 1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인식 각도에 관한 엄격한 요건을 갖는 인터페이스 콘텐츠가 쉽게 인식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경험을 추가로 개선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터페이스 콘텐츠가 바코드 이미지일 때, 코드 스캐닝 건은, 코드 스캐닝 건과 바코드 이미지이 서로 마주보고 있고 코드 스캐닝 건과 바코드 이미지의 회전각들이 유사한 경우에만 바코드 이미지의 값을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코드 스캐닝 건에 의해 방출된 적외선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바코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코드 스캐닝 건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야기되는 안좋은 사용자 경험의 문제들이 완화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방법에 대응하여, 본 출원의 구현은 또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는 검출 유닛(501), 결정 유닛(502), 및 조정 유닛(503)을 포함한다.
검출 유닛(501)은 제 1 빔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결정 유닛(502)은,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경사진 상태는 제 1 빔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제 1 문턱값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미리 결정된 방향은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미리 결정된 방향은 상향 방향, 하향 방향, 좌향 방향, 우향 방향, 좌상향 방향, 좌하향 방향, 우상향 방향 또는 우하향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유닛(503)은,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다고 결정 유닛(502)이 결정할 때, 제 1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조정 유닛(503)은, 제 1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제 1 빔의 경사각 및 대응하는 경사 방향을 획득하고; 경사각 및 대응하는 경사 방향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조정 유닛(503)은 추가로, 경사각 및 대응하는 경사 방향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회전각 및 대응하는 회전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회전 방향으로 회전각만큼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경사각들이 존재할 때, 조정 유닛(503)은 추가로, 복수의 경사각들로부터, 제 2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는 제 1 경사각을 선택하고; 회전각으로서 제 1 경사각을 결정하고; 그리고 제 1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 방향이 회전 방향이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현재 구현에서 장치의 기능 모듈들의 기능들은 상기 방법 구현의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제공된 장치의 특정 작업 프로세스는 여기서 생략된다.
본 출원에 제공된 모바일 단말기에 따라, 검출 유닛(501)은 제 1 빔을 검출한다. 결정 유닛(502)은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을 때, 조정 유닛(503)은 제 1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에서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인식하는 효율이 개선된다.
당업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예들에서,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된 기능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기능들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때,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서 송신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들, 기술적 솔루션들 및 이점들은 상기 특정 구현들에서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설명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특정 구현들일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솔루션들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동가의 대체, 개선 등은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Claims (10)

  1.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제 1 빔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경사진 상태는 상기 제 1 빔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제 1 문턱값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됨 ― ; 및
    상기 검출된 제 1 빔이 상기 경사진 상태에 있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상기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상기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빔의 경사각 및 대응하는 경사 방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경사각 및 상기 대응하는 경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상기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 것인,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및 상기 대응하는 경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상기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경사각 및 상기 대응하는 경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회전각 및 대응하는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회전 방향으로 상기 회전각만큼 상기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회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 것인,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경사각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경사각 및 상기 대응하는 경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회전각 및 대응하는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경사각들로부터, 제 2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는 제 1 경사각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경사각을 상기 회전각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 방향이 상기 회전 방향이라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 것인,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은 상향 방향, 하향 방향, 좌향 방향, 우향 방향, 좌상향 방향, 좌하향 방향, 우상향 방향 또는 우하향 방향을 포함한 것인,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6. 모바일 단말기로서,
    제 1 빔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제 1 빔이 경사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 상기 경사진 상태는 상기 제 1 빔이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제 1 문턱값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됨 ― ; 및
    상기 검출된 제 1 빔이 상기 경사진 상태에 있다고 상기 결정 유닛이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상기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유닛
    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제 1 빔의 경사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빔의 경사각 및 대응하는 경사 방향을 획득하고;
    상기 경사각 및 상기 대응하는 경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 상의 상기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모바일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유닛은 또한,
    상기 경사각 및 상기 대응하는 경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콘텐츠의 회전각 및 대응하는 회전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회전 방향으로 상기 회전각만큼 상기 인터페이스 콘텐츠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모바일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의 경사각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조정 유닛은 또한,
    상기 복수의 경사각들로부터, 제 2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는 제 1 경사각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경사각을 상기 회전각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제 1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 방향이 상기 회전 방향이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모바일 단말기.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은 상향 방향, 하향 방향, 좌향 방향, 우향 방향, 좌상향 방향, 좌하향 방향, 우상향 방향 또는 우하향 방향을 포함한 것인, 모바일 단말기.
KR1020197018075A 2016-11-30 2017-11-23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KR102288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1083914.4A CN107025035B (zh) 2016-11-30 2016-11-30 控制移动终端屏幕显示的方法及移动终端
PCT/CN2017/112604 WO2018099318A1 (zh) 2016-11-30 2017-11-23 控制移动终端屏幕显示的方法及移动终端
CN201611083914.4 2017-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542A true KR20190087542A (ko) 2019-07-24
KR102288779B1 KR102288779B1 (ko) 2021-08-12

Family

ID=5952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075A KR102288779B1 (ko) 2016-11-30 2017-11-23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3) US10446120B2 (ko)
EP (1) EP3550402B1 (ko)
JP (1) JP6882476B2 (ko)
KR (1) KR102288779B1 (ko)
CN (1) CN107025035B (ko)
AU (1) AU2017367947B2 (ko)
BR (1) BR112019010841A8 (ko)
CA (1) CA3045044C (ko)
ES (1) ES2841723T3 (ko)
MX (1) MX2019006073A (ko)
MY (1) MY202097A (ko)
PH (2) PH12019501203B1 (ko)
PL (1) PL3550402T3 (ko)
RU (1) RU2714099C1 (ko)
TW (1) TWI706294B (ko)
WO (1) WO2018099318A1 (ko)
ZA (1) ZA2019042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5035B (zh) * 2016-11-30 2020-02-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控制移动终端屏幕显示的方法及移动终端
CN108345812B (zh) * 2017-12-25 2021-07-27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扫描定位方法、装置、设备及***
CN109615360A (zh) 2018-09-29 2019-04-1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图形编码展示方法和装置
CN109544139A (zh) * 2018-11-26 2019-03-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支付方法、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09711226A (zh) * 2018-12-25 2019-05-0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二维码识别方法、装置、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WO2020166549A1 (ja) * 2019-02-15 2020-08-20 合同会社 Ark 動的二次元コード評価方法、動的二次元コード評価システム、及び動的二次元コード評価プログラム
CN111931890A (zh) * 2020-08-17 2020-11-13 福州智闽科技有限公司 一种防盗刷伪动态二维码的实现方法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585A (ko) * 2010-03-09 201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140005141A (ko) * 2010-08-04 2014-01-14 애플 인크. 동작의 속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상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효과
KR20150040596A (ko) * 2013-10-07 2015-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결제 아이템에 대한 결제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5178B2 (en) * 2003-12-24 2011-08-09 Citizen Holdings Co., Ltd. Liquid-crystal-display panel and barcode reading system using the same
US8286083B2 (en) * 2007-03-13 2012-10-09 Ricoh Co., Ltd. Copying documents from electronic displays
JP5413006B2 (ja) * 2009-07-13 2014-02-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849706B2 (en) * 2011-04-20 2014-09-30 Christine King Method for updating prices while shopping
US20130057571A1 (en) * 2011-09-02 2013-03-07 Nokia Siemens Networks Oy Display Orientation Control
US8556176B2 (en) * 2011-09-26 2013-10-15 Metrologic Instrument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redeeming bar-coded coupons displayed from the light emitting display surfaces of information display devices
KR20130051098A (ko) * 2011-11-09 2013-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
US9396363B2 (en) * 2012-01-13 2016-07-19 Datalogic ADC, Inc. Gesture and motion operation control for multi-mode reading devices
JP2013175546A (ja) 2012-02-24 2013-09-05 Dexerials Corp アンダーフィル材、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EP2631743B1 (en) * 2012-02-24 2018-05-02 BlackBerry Limited Handheld device with notification message viewing
US8947382B2 (en) * 2012-02-28 2015-02-03 Motorola Mobility Llc Wearabl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 for presenting output on the same
EP2836961A4 (en) 2012-04-12 2016-03-2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CONTACTLESS DIGITAL FINGERPRINT SYSTEMS COMPRISING AFOCAL OPTICAL SYSTEMS
CN104122985A (zh) * 2013-04-29 2014-10-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屏幕影像画面调整***及方法
US9658688B2 (en) * 2013-10-15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view adjustment
WO2015056038A1 (en) 2013-10-16 2015-04-23 Sony Corporation Detecting intentional rotation of a mobile device
CN104618565A (zh) * 2013-11-04 2015-05-1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防误操作电子装置及方法
CN104034309B (zh) * 2014-05-26 2017-01-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角度测量方法、装置及终端
US10068221B1 (en) * 2014-10-29 2018-09-04 Walgreen Co. Using a mobile computing device camera to trigger state-based actions
CN105988556A (zh) * 2015-01-27 2016-10-05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电子设备及应用于该电子设备的显示调节方法
US9564104B1 (en) * 2015-05-18 2017-02-07 Amazon Technologies, Inc. Adjusting front light brightness during display updates
US9892715B2 (en) * 2015-06-26 2018-02-13 Polar Electro Oy Rotating display
CN105955485A (zh) * 2016-05-12 2016-09-2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屏幕显示方法、屏幕显示装置和终端
CN106056026B (zh) * 2016-07-19 2018-09-25 广东旭龙物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激光发射管匹配单光敏接收管的多方向条码扫描装置
US10372954B2 (en) * 2016-08-16 2019-08-06 Hand Held Products, Inc. Method for reading indicia off a display of a mobile device
CN107025035B (zh) * 2016-11-30 2020-02-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控制移动终端屏幕显示的方法及移动终端
US11645644B2 (en) * 2017-03-09 2023-05-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585A (ko) * 2010-03-09 201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140005141A (ko) * 2010-08-04 2014-01-14 애플 인크. 동작의 속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상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효과
KR20150040596A (ko) * 2013-10-07 2015-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결제 아이템에 대한 결제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20550615A1 (en) 2021-05-10
PL3550402T3 (pl) 2021-06-28
JP6882476B2 (ja) 2021-06-02
CN107025035A (zh) 2017-08-08
CA3045044C (en) 2022-06-21
EP3550402B1 (en) 2020-09-30
CN107025035B (zh) 2020-02-14
KR102288779B1 (ko) 2021-08-12
MY202097A (en) 2024-04-03
PH12019501203A1 (en) 2019-12-16
PH12019501203B1 (en) 2019-12-16
EP3550402A4 (en) 2019-12-18
US11217210B2 (en) 2022-01-04
BR112019010841A2 (pt) 2019-10-01
EP3550402A1 (en) 2019-10-09
TW201821953A (zh) 2018-06-16
US11011141B2 (en) 2021-05-18
ES2841723T3 (es) 2021-07-09
WO2018099318A1 (zh) 2018-06-07
CA3045044A1 (en) 2018-06-07
BR112019010841A8 (pt) 2023-02-14
RU2714099C1 (ru) 2020-02-11
US20200111456A1 (en) 2020-04-09
AU2017367947B2 (en) 2020-09-10
ZA201904299B (en) 2020-11-25
AU2017367947A1 (en) 2019-06-13
TWI706294B (zh) 2020-10-01
MX2019006073A (es) 2019-08-12
US20190259354A1 (en) 2019-08-22
JP2020501189A (ja) 2020-01-16
US10446120B2 (en) 2019-10-15
US20210272536A1 (en)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779B1 (ko) 모바일 단말기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
US9560321B2 (en) Image capturing system, camera control device for use therein, image capturing method, camera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6626954B2 (ja) 撮像装置及びフォーカス制御方法
US83962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location of user
US9638989B2 (en) Determining motion of projection device
US9886933B2 (en) Brightness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40022351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control method, and eyeball recognition apparatus
US8928778B2 (en) Camera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11190698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514524B2 (en) Optical distortion compensation
WO2018099317A1 (zh) 控制移动终端屏幕显示的方法及移动终端
US9091904B2 (en) Camera device with rotary base
JP201319807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撮像装置
JPWO2014155623A1 (ja) 携帯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058101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terminal apparatus, image correction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TWI556651B (zh) 具攝影機自動調派功能之3d影像監控系統及其監控方法
JP2020194125A (ja)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カメラ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CN107292849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20240054730A1 (en) Phased Capture Assessment and Feedback for Mobile Dimensioning
JP2015149603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18206269A (ja) 画像処理装置
JP2016114626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