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191A - Modul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Modul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191A
KR20190087191A KR1020180005679A KR20180005679A KR20190087191A KR 20190087191 A KR20190087191 A KR 20190087191A KR 1020180005679 A KR1020180005679 A KR 1020180005679A KR 20180005679 A KR20180005679 A KR 20180005679A KR 20190087191 A KR20190087191 A KR 20190087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pe
refrigerant
mai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6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9292B1 (en
Inventor
박희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벤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벤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벤투스
Priority to KR1020180005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292B1/en
Publication of KR2019008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1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2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outdoor unit. The modular out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outdoor unit modules, and is configured for at least one outdoor unit module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 modules to be selected according to a cooling capacity. Each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 modules includes: a main outflow pipe through which cooled refrigerant flows out to an indoor unit; a main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indoor unit; a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which cools the refrigerant by outside air and circulates the cooled refrigerant; a forced cooling unit compris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to forcibly cool and circulate the refrigerant; and a module circulating pipe configured for the refrigerant branched and flowed from the main inlet pipe to be cooled by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or the forced cooling unit to join the main outle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ol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모듈형 실외기 장치{MODUL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0001] MODUL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모듈형 실외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모듈들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동작되는 모듈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는 모듈형 실외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outdoor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ular outdoor unit having a plurality of modules, and capable of selecting and controlling modules to be operated as needed.

일반적인 냉방장치(Air Conditioner)는 냉매가 증발할 때 주위에서 열을 빼앗는 증발열을 이용하는 것이다.A typical air conditioner uses evaporation heat that takes heat away from the surroundings when the refrigerant evaporates.

이러한 통상적인 냉방장치는 압축기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응축기를 거치면서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고압의 액체상태의 냉매로 응축된 후에 팽창밸브 또는 모세관 등을 통해 저압의 분무상태 냉매로 변환된다.In this conventional cooling apparatus, a gaseous refrigerant compressed at a high pressure in a compressor is condensed into refrigerant in a liquid state in a high pressure state by heat exchange with the outside air while passing through a condenser, and then discharged through a expansion valve or a capillary tube to a low- .

그리고, 저압의 분무상태의 냉매는 증발기로 유입되어 내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증발된 후에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어 상술한 과정의 사이클이 순환되는데, 이 때 증발기에서 발생된 증발열로 냉각된 공기는 송풍팬에 의해 냉방하고자 하는 소정의 공간이나 대상체로 송풍된다.The low-pressure sprayed refrigerant flows into the evaporator, is evaporated by the heat exchange with the indoor air, and then flows into the compressor again. The cycle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circulated. At this time, the air cooled by the evaporation heat, The air is blown to a predetermined space or a target object to be cooled.

즉, 이러한 일반적인 냉방장치는 액화 및 증발 등과 같은 상변화가 용이한 냉매를 이용하여 냉방하고자 하는 소정의 공간이나 대상체를 냉각시킨다.That is, such a general cooling apparatus cools a predetermined space or a target object to be cooled by using a refrigerant whose phase change is easy, such as liquefaction and evaporation.

특히, 통신 기지국 또는 통신차량 등의 경우 그 내부에 다수의 유무선 통신장비들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통신장비들은 잦은 열발생에 의해 접촉불량 및 기기고장 등과 같은 각종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4계절 연중무휴로 냉방시켜야만 작동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ommunication base station or a communication vehicle, a large number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re installed therein. Such communication devices may cause various malfunctions such as contact failure and device malfunction due to frequent heat generation. The stability of operation can be ensured.

이러한 냉방장치는 설치될 때, 실내공간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대응되는 용량을 가지는 실외기 및 실내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실내공간이 설치당시에 비해 커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사고나 기상변화로 인하여 실내공간의 온도가 짧은 시간에 급격히 높아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해진 용량의 실외기로는 실내공간의 냉방에 어려움이 발생되게 된다. Such a cooling apparatus is generally provided with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having a capacity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indoor space when installed. Howev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indoor space may become larger than that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may suddenly increase due to an accident or a change in the weather. In such a case, it is difficult to cool the indoor space with the outdoor unit of the predetermined capacit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3959호(2007.10.31.)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73959 (October 31, 200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모듈형 실외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ar outdoor unit capable of overcoming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빠른 냉방이 가능해 장비 보호 및 실내냉방부하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모듈형 실외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ular outdoor unit capable of improving cooling efficienc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cooling quickly, thereby contributing to equipment protection and indoor cooling load relief.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실외기 장치는, 복수의 실외기 모듈들을 구비하고, 냉방 용량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실외기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모듈이 선택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실외기 모듈들 각각은, 냉각된 냉매가 실내기 측으로 유출되는 메인 유출배관과; 실내기 측으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메인 유입배관과; 외기에 의해 냉매를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자연공조 유닛과;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로 구성되어 냉매를 강제적으로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강제냉각유닛과; 상기 메인 유입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자연공조유닛 또는 상기 강제냉각유닛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메인 유출배관으로 합류하도록 구성된 모듈 순환배관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dular outdoor unit having a plurality of outdoor unit modules, and at least one outdoor unit among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 module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outdoor module modules includes: a main outlet pipe through which the cooled refrigerant flows out toward the indoor unit; A main inflow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indoor unit side; A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for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by outside air; A forced cooling unit composed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forcibly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And a module circulation pipe configured to cool the refrigerant branched from the main inflow pipe and to flow into the main outflow pipe by being cooled by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or the forced cooling unit.

상기 모듈 순환배관 상에는 상기 자연공조유닛의 동작시 개방되는 제1개폐밸브와 상기 강제냉각유닛의 동작시 개방되는 제2개폐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that is opened whe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operates and a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that is opened when the forced cooling unit is operated may be provided on the module circulation pipe.

상기 메인유입배관은 인접된 실외기 모듈의 메인유입배관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입배관을 구성하고, 상기 메인유출배관은 인접된 실외기 모듈의 메인유출배관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출배관을 구성하고, 상기 통합 메인유출배관 및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은 별도의 외부순환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main inflow pipe is connected to the main inflow pipe of the adjacent outdoor unit module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inflow pipe of the adjacent outdoor unit module and constitutes one integrated main inflow pipe, And the integrated main discharge pipe and the integrated main discharge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through separate external circulation pipes.

상기 통합 메인유출배관 또는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 상에는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순환펌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integrated main discharge pipe or the integrated main discharge pip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irculation pump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nt.

상기 외부순환배관 상에는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순환펌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circulation pump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n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external circulation pipe.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실외기 장치는, 기본모듈과 복수의 서브모듈들을 구비하여, 냉방 용량에 따라 상기 기본모듈을 단독동작하도록 하거나 상기 복수의 서브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모듈을 선택하여 상기 기본모듈과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기본모듈은, 냉각된 냉매가 실내기 측으로 유출되는 제1메인유출배관과; 실내기 측으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메인유입배관과; 상기 제1메인유출배관 또는 상기 제1메인유입배관 상에 구비되어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순환펌프와; 외기에 의해 냉매를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제1자연공조 유닛과;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로 구성되어 냉매를 강제적으로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제1강제냉각유닛과; 상기 제1메인유입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1자연공조유닛 또는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제1메인유출배관으로 합류하도록 구성된 제1모듈 순환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모듈들 각각은, 냉각유닛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유출되고, 상기 제1메인유출배관과 합류하는 제2메인유출배관과; 냉매가 유입되고 제1메인유입배관과 합류하는 제2메인유입배관과; 외기에 의해 냉매를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제2자연공조 유닛과;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로 구성되어 냉매를 강제적으로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제2강제냉각유닛과; 상기 제2메인유입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2자연공조유닛 또는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제2메인유출배관으로 합류하도록 구성된 제2모듈 순환배관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dular outdoor unit including a base module and a plurality of sub-modules, wherein the base module operates independently according to a cooling capacity Or at least one submodule among the plurality of submodules is selected and operated together with the basic module, wherein the basic module comprises: a first main outlet pipe through which the cooled refrigerant flows out toward the indoor unit; A first main inflow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indoor unit side; At least one circulation pump provided on the first main outlet pipe or the first main inlet pipe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nt; A first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for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by outside air; A first forced cooling unit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forcibly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And a first module circulation pipe configured to cool the refrigerant branched from the first main inflow pipe and to be joined to the first main outflow pipe by the first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or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Each of the submodules includes a second main outlet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ooled by the cooling unit flows out and merges with the first main outlet pipe; A second main inflow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joins with the first main inflow pipe; A second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for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by outside air; A second forced cooling unit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forcibly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And a second module circulating pipe configured to cool the refrigerant branched from the second main inflow pipe and to be joined to the second main outflow pipe by the second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or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상기 기본 모듈은, 상기 제1모듈 순환배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자연공조유닛의 동작시 개방되는 제1개폐밸브와, 상기 제1모듈 순환배관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강제냉각유닛의 동작시 개방되는 제2개폐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모듈들 각각은, 상기 제2모듈 순환배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자연공조유닛의 동작시 개방되는 제3개폐밸브와, 상기 제2모듈 순환배관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강제냉각유닛의 동작시 개방되는 제4개폐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The basic module includes a first on-off valve provided on the first module circulation pipe and opened whe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operates, a second on-off valve provided on the first module circulation pipe, A second on-off valve provided on the second module circulation pipe for opening the third on-off valve when the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is operated; and a third on-off valve provided on the second module circulation pipe, And a fourth open / close valve that opens when the forced cooling unit is operated.

상기 제1메인유입배관은 인접된 서브모듈의 제2메인유입배관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메인유입배관은 인접된 제2메인유입배관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입배관을 구성하고, 상기 제1메인유출배관은 인접된 서브모듈의 제2메인유출배관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메인유출배관은 인접된 제2메인유출배관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출배관을 구성하고, 상기 통합 메인유출배관 및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은 별도의 외부순환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main inflow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inflow pipe of the adjacent submodule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the second main inflow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inflow pipe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adjacent second main inflow pipe, And the first main outlet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outlet pipe of the adjacent submodule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second main outlet pipe and the second main outlet pipe is separated from the adjacent second main outlet pipe, And the integrated main discharge pipe and the integrated main discharge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through separate external circulation pipes.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모듈들을 구비하는 실외기 장치를 구비하여 특정 실내공간의 냉방시, 필요에 따라 동작되는 실외기 모듈을 선택하여 제어함에 의해,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빠른 냉방이 가능해 장비 보호 및 실내냉방부하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utdoor unit having a plurality of modules is provided to select and control an outdoor unit module that is operated as needed when cooling a specific indoor space, thereby increasing cooling efficiency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equipment and the relieving of the cooling load in the room because it is possible to cool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실외기 장치를 포함한 냉방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외기 모듈 각각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실외기 장치를 포함한 냉방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기본모듈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3의 서브모듈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oling apparatus including a modular outdoor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each of the outdoor unit modules of FIG. 1,
3 is a schematic view of a cooling apparatus including a modular outdoor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sic module of Figure 3,
Figure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submodule of Figure 3;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intending to intend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실외기 장치를 포함한 냉방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외기 모듈 각각의 개략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oling apparatus including a modular outdoor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each outdoor unit module of FIG.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실외기 장치(100)는 복수의 실외기 모듈(150)들을 구비하고, 냉방 용량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실외기 모듈(150)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모듈(150)이 선택되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1 and 2, the modular outdoor uni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outdoor unit modules 150, and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 modules 150 At least one outdoor unit module 150 is selected and operated.

상기 복수의 실외기 모듈(150)들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유출배관(142), 메인유입배관(144), 자연공조유닛(120), 강제냉각유닛(130) 및 모듈순환배관(110)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실외기 모듈(150)들 각각은 추가적으로 개폐밸브(V1,V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외기 장치(100)와 실내기(200) 사이를 순환하는 냉매는 물(water)이나 다른 냉매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Each of the plurality of outdoor module modules 150 includes a main outlet pipe 142, a main inlet pipe 144, a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 a forced cooling unit 130, and a module circulation And a pipe 110. Each of the plurality of outdoor module modules 150 may further include open / close valves V1 and V2. Here, water or other refrigerant may be used as the refrigerant circulating between the outdoor unit 100 and the indoor unit 200.

상기 메인유출배관(142)은 상기 자연공조유닛(120) 또는 상기 강제냉각유닛(130)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실내기(200) 측으로 유출되기 위해 구비되는 배관이다. The main outflow pipe 142 is a pipe provided to allow the refrigerant cooled by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 or the forced cooling unit 130 to flow out to the indoor unit 200 side.

상기 메인유출배관(142)은 인접된 실외기 모듈(150)의 메인유출배관(142)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출배관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외기 모듈(150) 중 상기 실내기(200)와 가장 가까운 실외기 모듈(150) 또는 가장 먼 실외기 모듈(150)의 메인 유출배관(142)의 일단은 상기 실내기(200) 측으로 연결되는 외부순환배관(252)과 연결되고 타단은 인접된 실외기 모듈(150)의 메인유출배관(142)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실외기 모듈(150)에 구비되는 메인 유출배관(142)의 경우에는 서로 인접된 메인 유출배관(142)과 서로 연결된다. 이외에 다양한 연결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The main outlet pipe 142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outlet pipe 142 of the adjacent outdoor module 150 to form an integrated main outlet pipe. One end of the outdoor unit module 150 closest to the indoor unit 200 or one end of the main outflow pipe 142 of the outdoor unit module 150 farthest from the indoor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indoor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ipe 252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outlet pipe 142 of the adjacent outdoor module 150. In the case of the main outflow pipe 142 provided in the remaining outdoor module 150, the main outflow pipe 142 is connected to the adjoining main outflow pipe 142. In addition, various connection methods can be used.

이런 방식으로 각각의 실외기 모듈(150)에 구비되는 메인 유출배관(142)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출배관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합 메인 유출배관은 상기 외부순환배관(252)과 연결되어 실내기(200)와 연결되게 된다. In this manner, the main outlet pipes 142 provided in the respective outdoor module 1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grated main outlet pipe. The integrated main outlet pipe is connected to the outdoor circulation pipe 252 and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200.

상기 메인 유입배관(144)은 실내기(200) 측으로부터 냉매가 유입되기 위해 구비되는 배관이다.  The main inflow pipe 144 is a pipe for introducing the refrigerant from the indoor unit 200 side.

상기 메인유입배관(144)은 인접된 실외기 모듈(150)의 메인유입배관(144)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입배관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외기 모듈(150) 중 상기 실내기(200)와 가장 가까운 실외기 모듈(150) 또는 가장 먼 실외기 모듈(150)의 메인 유입배관(144)의 일단은 상기 실내기(200) 측으로 연결되는 외부순환배관(254)과 연결되고 타단은 인접된 실외기 모듈(150)의 메인유입배관(144)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실외기 모듈(150)에 구비되는 메인 유입배관(144)의 경우에는 서로 인접된 메인 유입배관(144)과 서로 연결된다. 이외에 다른 다양한 연결방식도 가능하다. The main inflow pipe 144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inflow pipe 144 of the adjacent outdoor module 150 so as to form an integrated main inflow pipe. One end of the main inflow pipe 144 of the outdoor unit module 150 closest to the indoor unit 200 or one end of the main inflow pipe 144 of the outermost outdoor unit module 150 closest to the indoor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in inflow pipe 144 of the adjacent outdoor module 150. In the case of the main inflow pipe 144 provided in the remaining outdoor module 150, the main inflow pipe 144 and the main inflow pipe 14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various connection methods are possible.

이런 방식으로 각각의 실외기 모듈(150)에 구비되는 메인 유입배관(144)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입배관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은 상기 외부순환배관(254)과 연결되어 실내기(200)와 연결되게 된다. In this manner, the main inflow pipe 144 provided in each outdoor module 15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integrated main inflow pipe. The integrated main inflow pip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lation pipe 254 and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200.

상기 외부순환배관(252,254) 상에는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순환펌프(17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냉매 보충을 위한 냉매공급탱크(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순환배관(252,254)은 상술한 실외기 장치(100)와 실내기(200)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펌프(170)가 실외기 모듈(150)과는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At least one circulation pump 170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n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external circulation pipes 252 and 254, and a refrigerant supply tank 160 for supplementing the refrigerant may be further provided. The outdoor circulation pipes 252 and 254 are pipes for connecting the outdoor unit 100 and the indoor unit 200. The at least one circulation pump 17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utdoor unit module 150. [

이와 달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펌프(170)가 상기 통합 메인유출배관 또는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 상에 구비되어, 실외기 장치(100)에는 포함되나 실외기 모듈(150)에는 포함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at least one circulation pump 170 may be provided on the integrated main outlet pipe or the integrated main inlet pipe and may be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100 but not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module 150 have.

상기 자연공조유닛(120)은 실외 열교환기(122) 및 실외 송풍기(124)를 구비하여, 실외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등에 있어서, 외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를 순환시켜 실내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겨울철과 같이 외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 외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를 순환시켜 실내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냉매를 상기 실외열교환기(122)를 통과시켜 외기를 이용하여 냉각시키고, 냉각된 냉매를 실내기(200)로 공급하여 실내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 is provided with an outdoor heat exchanger 122 and an outdoor air blower 124 so as to cool the room by circulating the refrigerant cooled by the outside air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relatively low.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s low as in the winter season, the indoor unit is cooled by circulating the refrigerant cooled by the outside air. That is,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2 and is cooled using outside air, and the cooled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door unit 200 to cool the indoor space.

여기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22)와 실외 송풍기(124)는 상기 강제냉각유닛(130)의 동작시에도 필요할 수 있으나, 자연공조유닛(120)에는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이므로 편의상 구분을 위해 상기 자연공조유닛(12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다.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2 and the outdoor air blower 124 may be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forced cooling unit 130. However, since the natural heat exchanger unit 120 is essentially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forced cooling unit 130, (120).

상기 강제냉각유닛(130)은 압축기(132), 응축기(134), 팽창밸브(136) 및 증발기(138)로 구성되어, 냉매를 강제적으로 냉각시켜 순환시킨다. 상기 강제냉각유닛(130)은 자연공조유닛(120)을 이용해서 실내공간을 냉방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힘든 경우에 동작하게 된다. 즉 냉매를 상기 강제냉각유닛(130)을 이용해 냉각시켜 상기 실내기(200)로 공급하여 실내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상기 압축기(132), 응축기(134), 팽창밸브(136) 및 증발기(138)로 구성된 강제냉각유닛(130)의 동작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The forced cooling unit 130 includes a compressor 132, a condenser 134, an expansion valve 136, and an evaporator 138 to forcibly cool and circulate the refrigerant. The forced cooling unit 130 operates when it is impossible or difficult to cool the indoor space by using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 That is, the refrigerant is cooled using the forced cooling unit 130 and supplied to the indoor unit 200 to cool the indoor space. The operation of the forced cooling unit 130 composed of the compressor 132, the condenser 134, the expansion valve 136, and the evaporator 138 is well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further.

상기 개폐밸브(V1,V2)는 상기 모듈 순환배관(1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자연공조유닛(120) 및 상기 강제냉각유닛(130)의 동작시에 냉매의 순환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개폐밸브(V1)는 실내기(200) 측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상기 자연공조유닛(120)을 통해 냉각시켜 상기 실내기(200)측에 제공하기 위한 밸브이고, 제2개폐밸브(V2)는 실내기(200) 측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상기 강제냉각유닛(130)을 통해 냉각시켜 상기 실내기(200)측에 제공하기 위한 밸브이다.The on-off valves V1 and V2 are provided on the module circulation pipe 110 to control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in operation of the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 and the forced cooling unit 130, ≪ / RTI >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valve V1 is a valve for cooling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indoor unit 200 side through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 and providing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200 side, Is a valve for cooling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indoor unit 200 through the forced cooling unit 130 and providing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200 side.

즉 자연공조유닛(120)이 동작하는 자연공조모드에서는 제1개폐밸브(V1)는 개방되고 제2개폐밸브(V2)는 폐쇄되어, 냉매가 자연공조유닛(120)에 의해 냉각되도록 한다. 상기 강제냉각유닛(130)이 동작하는 강제공조모드에서는 제1개폐밸브(V1)는 폐쇄되고 제2개폐밸브(V2)는 개방되어, 냉매가 상기 강제냉각유닛(130)을 통해 냉각되도록 한다. 상기 자연공조유닛(120) 및 상기 강제냉각유닛(130)이 함께 동작하는 복합공조모드에서는 제1개폐밸브(V1) 및 제2개폐밸브(V2)는 개방되어, 냉매가 자연공조유닛(120) 및 상기 강제냉각유닛(130)을 통해 냉각되도록 한다.That is, i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mode in which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 operates, the first on-off valve V1 is opened and the second on-off valve V2 is closed so that the natural air cooling unit 120 cools the refrigerant. In the forced air conditioning mode in which the forced cooling unit 130 operates, the first on-off valve V1 is closed and the second on-off valve V2 is opened so that the coolant is cooled through the forced cooling unit 130. [ The first on-off valve V1 and the second on-off valve V2 are opened in the hybrid air-conditioning mode in which the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 and the forced cooling unit 130 operate together, And the forced cooling unit (130).

상기 모듈순환배관(110)은 상기 메인 유입배관(144)으로부터 분기되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자연공조유닛(120) 또는 상기 강제냉각유닛(130)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메인 유출배관(142)으로 합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듈순환배관(110) 상에는 상기 개폐밸브(V1,V2)가 구비됨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The module circulation pipe 110 is cooled by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 or the forced cooling unit 130 so that the refrigerant branched from the main inflow pipe 144 flows into the module circulation pipe 110, . The opening / closing valves (V1, V2) are provided on the module circulation pipe (110).

상술한 실외기 장치(100)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전체적인 냉방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실내기(200)에 대해서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door unit 200,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100 but constitutes the overall cooling system,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상기 실내기(200)는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은 서로 다른 실내공간에 각각 설치된다. 하나의 실내공간에 하나의 실내기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실내공간에 복수의 실내기(200)들이 설치되게 된다.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are installed in different indoor spaces.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in a manner that one indoor unit is installed in one indoor space.

상기 실내기(200)들 각각은 실내열교환기(220) 및 실내송풍기(230)를 구비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20) 및 실내송풍기(230)는 상기 실외기(100)에서 냉각되어 제공되는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켜 실내공간을 냉방하기 위한 것이다. Each of the indoor units 200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220 and an indoor air blower 230.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and the indoor air blower 230 are for cooling the indoor space by exchanging the indoor air with the refrigerant cooled by the outdoor unit 100.

상기 실내열교환기(220) 및 실내송풍기(230)의 구체적인 동작이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The oper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and the indoor air blower 230 are well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further.

상기 실내기(200)들 각각은 상기 외부 순환배관(252,254)에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외부 순환배관(252,254)에는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 및 통합 메인유출배관이 연결되어 상기 실외기 장치(100)와 서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외부 순환배관(252,254),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 및 통합 메인유출배관을 하나의 통합배관으로 보는 경우, 상기 복수의 실외기 모듈(150) 각각은 통합배관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Each of the indoor units 2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lation pipes 252 and 254 in parallel and the integrated main inlet pipe and the integrated main outlet pipe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lation pipes 252 and 254, As shown in FIG. When the external circulation pipes 252 and 254, the integrated main inlet pipe and the integrated main outlet pipe are regarded as one integrated pipe, each of the plurality of outdoor module 150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pipe in parallel.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들 각각은 냉방이 불필요한 경우에, 상기 실외기 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냉매를 바이패스 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 구성(미도시), 즉 바이패스배관 및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냉방이 필요하지 않은 실내공간의 냉방이 제한되어 냉방이 필요한 실내공간에 위치한 실내기의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냉방이 불필요한 실내기의 경우는 상기 바이밸브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실외기 장치(100)에서 공급되는 냉매가 상기 실내열교환기(220)를 거침이 없이 바로 바이패스 배관을 통해 상기 통합배관(210)으로 빠져 나가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has a bypass structure (not shown) that can bypass the refrigerant provided through the outdoor unit 100 when the cooling is unnecessary, that is, the bypass piping and the bypass valve . Accordingly, the cooling of the indoor space, which does not require cooling, is restricted, thereby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indoor uni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requiring the cool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ndoor unit requiring no cooling, the bypass valve is opened to allow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100 to bypass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through the bypass piping 210 ). ≪ / RTI >

다른 예로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들 각각은 냉방이 불필요한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300)에 의해 제어되는 별도의 차단밸브(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통합배관(252,254)을 통한 냉매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may include a separate shut-off valve (not shown)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0 when cooling is unnecessary, so that the refrigerant supply through the integrated piping 252, .

상기 실외기(100)의 복수의 실외기 모듈(150)들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는 경우, 동작하는 실외기 모듈(150)을 통해 냉각된 냉매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들 모두에 제공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선택된 실내기(200)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어느 하나의 실내기(200)에 제공되는 냉매는 상기 실외기(100)를 구성하는 모든 실외기 모듈(150)에서 제공되는 것 일수도 있고, 특정한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모듈(150)에서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작하는 실내기(200)와 동작되는 실외기 모듈(150)의 냉매순환은 별도로 구비되는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Wh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outdoor modules 150 of the outdoor unit 100 operates, the refrigerant cooled through the outdoor unit module 150 may be provided to all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ir to one selected indoor unit 200. Also, the refrigerant provided to any one of the indoor units 200 may be provided by all the outdoor modules 150 constituting the outdoor unit 100 or may be provided by the specific outdoor unit module 150 . The refrigerant circulation in the outdoor unit module 150 operated with the indoor unit 200 operating in this case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of a separately provided controller (not shown).

상기 컨트롤러는 실내공간의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들 중 냉방이 필요한 실내기(200)를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실외기 모듈(150)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모듈(150)을 선택하여 선택된 실내기에 대응시켜 동작을 제어함에 의해, 실내공간의 냉방하게 된다.The controller selects an indoor unit 200 requiring cooling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based on an indoor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and selects at least one outdoor unit module 150 among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 modules 15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door unit selected, the indoor space is cooled.

예를 들어, 특정 실내공간에 대한 냉방이 필요한 경우, 특정 실내공간의 실내기(200)를 선택하고, 상기 실외기 장치(100)에서 복수의 실외기 모듈(150) 중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모듈(150)을 선택하여 서로 매칭시켜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모듈(150)의 선택은 상기 개폐밸브(V1,V2)의 개폐를 통해 선택할 수도 있고, 별도로 각 실외기 모듈(15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방식, 별도의 밸브를 제어하는 방식 등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cooling is required for a specific indoor space, the indoor unit 200 of a specific indoor space is selected, and at least one outdoor unit module 150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 modules 150 is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100 And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matching them. The at least one outdoor module 150 may be select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 close valves V1 and V2. Alternatively, the at least one outdoor module 150 may be turned on / And the like can be made by various method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복수의 실내공간들에 대한 냉방이 필요하게 되고, 실내공간들 각각에 배치된 실내기(200) 들 중 전부 또는 일부의 동작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A plurality of indoor spaces need to be cooled and operation of all or a part of the indoor units 200 disposed in each of the indoor spaces may be required.

이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각 실내공간의 실내온도와 각 실내공간의 실내기(200)의 냉방용량을 고려하여 동작을 위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200)에 대응되도록, 상기 실외기(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모듈(150)을 선택하여 동작시키게 된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controls at least one indoor unit 200 in the outdoor unit 100 so as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indoor unit 200 selected for ope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door temperature of each indoor space and the cooling capacity of the indoor unit 200 in each indoor space. The outdoor unit module 150 of FIG.

예를 들어, 5개의 실내공간이 존재하고 각 실내공간에 하나씩 실내기(200)가 배치되어 제1 실내기 내지 제5실내기의 5개의 실내기(200)가 존재하고, 상기 실외기(100)에 제1 내지 제10의 10개의 실외기 모듈(150)이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제1실내공간에 대한 냉방이 필요하여 제1실내기가 동작하는 경우, 총 10개의 실외기 모듈(150)들 중 제1 및 제2 실외기 모듈 2개가 선택되어 동작한다면, 이후에 추가적으로 제2실내공간에 대한 냉방이 필요하여 제2실내기가 선택되어 냉방하고자 하는 경우, 제3 및 제4실외기 모듈이 추가로 선택되어 동작가능하다. For example, there are five indoor spaces and one indoor unit 200 is disposed in each indoor space, so that there are five indoor units 200 of the first indoor unit to the fifth indoor unit, and the first indoor unit 200 and the second indoor unit 200 are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100, Assume that the tenth tenth outdoor unit module 150 is configured. In this case, if the first indoor unit needs to be cooled due to the first indoor space, if the first and second outdoor modules of the ten outdoor modules 150 are selected and operated, When the second indoor unit is selected for cooling and the third indoor unit is desired to be cooled, the third and fourth outdoor units are further selected and operable.

여기서 제1실내기 또는 제2실내기가 선택되어 동작할때, 실내온도가 냉방에 의해 도달하기를 원하는 기준온도와의 차이값정도에 따라, 각각 하나의 실외기 모듈이 선택되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실내기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실외기 모듈이 선택되어 동작하는 경우에, 제2실내기가 추가로 동작하는 경우, 이미 선택되어 동작중인 제1실외기 모듈 및 제2실외기 모듈로서도 용량이 충분하다면 추가적으로 실외기 모듈이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3 실외기 모듈만 선택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3 및 제4 실외기 모듈이 동시에 함께 선택되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여기에 추가하여 제5실외기 모듈이 추가적으로 선택되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Here, when the first indoor unit or the second indoor unit is selected and operated, it is possible that each outdoor unit module is select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reference temperature desired to be reached by cooling. 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outdoor modules are selected and operat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oor unit, when the second indoor unit further operates, the first outdoor module and the second outdoor module, which are already selected and operating, The outdoor unit module may not be selected. It is also possible that only the third outdoor module is selected, and that the third outdoor module and the fourth outdoor module are simultaneously selected and operated. 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select and operate the fifth outdoor module.

즉 상기 컨트롤러는 총 냉방용량을 고려하거나 각 실내공간의 실내온도에 따라 필요한 실외기 모듈을 선택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 controller can consider the total cooling capacity or select the required outdoor module according to the indoor temperature of each indoor space and operate the controller.

이후 제3실내기 내지 제5실내기가 순차적으로 추가 선택되어 동작되는 경우, 나머지 동작하지 않던 제5 내지 제10 실외기 모듈을 냉방용량이나 추가로 선택된 실내공간의 실내온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추가 선택하여 동작시키게 된다. When the third to fifth indoor units are sequentially selected and operated, the remaining fifth to tenth outdoor modules are sequentially select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cooling capacity or the room temperature of the further selected indoor space do.

그리고, 5개의 실내기들중 1개 내지 4개의 실내기가 동작중이고, 이때 10개의 실외기 모듈 모두가 동작이라면, 추가적으로 실내기가 선택된다고 하여도 실외기 모듈의 증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대의 실외기 모듈 개수인 10개의 실외기 모듈 동작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f one of the five indoor units is in operation and all of the ten outdoor units are in operation, even if the indoor unit is further selected, it is im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outdoor units. Therefore, The outdoor unit module is maintained in an operating state.

결과적으로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실내기(200)들이 선택되어 복수의 실내공간에 대한 냉방을 수행하는 경우, 각 실내공간의 실내온도 또는/및 냉방용량을 고려하여 필요한 실외기 모듈(150)의 개수를 선택하여 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복수의 실내기들이 복수의 실내공간에 대한 냉방을 수행하는 경우, 각 실내공간의 실내온도 또는/및 냉방용량을 고려하여, 상기 실외기에서 필요한 실외기 모듈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적절한 개수의 실외기 모듈(150)만 동작되도록 하여,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when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are selected to perform cooling for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the controller selects the number of outdoor units 150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room temperature and / or cooling capacity of each indoor space . Further, when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perform cooling for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the controller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outdoor unit modules required in the outdoor unit in consideration of room temperature and / or cooling capacity of each indoor space, Only the number of the outdoor module 150 is operated,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선택된 실내기(200) 및 선택된 실외기 모듈(150)은 상기 자연공조모드, 상기 강제공조모드, 및 상기 복합공조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The indoor unit 200 and the selected outdoor module 150 selected by the controller operate in one of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mode, the forced air conditioning mode, and the hybrid air conditioning mode.

특히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실외기 모듈(150)이 상기 자연공조모드 및 상기 복합공조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실외기 장치(100) 내의 모든 실외기 모듈(150)들의 실외송풍기(124) 모두 또는 일부를 가동시켜 외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실외기 모듈(150)이 자연공조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나머지 모든 실외기 모듈(150) 또는 일부가 자연공조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외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택된 실외기 모듈(150)이 복합공조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모든 실외기 모듈(150) 또는 일부가 자연공조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외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All or a part of the outdoor fans 124 of all the outdoor modules 150 in the outdoor unit 100 are operated when any one of the selected outdoor modules 150 operates i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mode and the hybrid air conditioning mode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utilize the outside air. For example, when the selected outdoor module 150 operates i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mo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ther outdoor modules 150 or a part thereof to operate i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mode so as to sufficiently utilize the outside air. In addition, when the selected outdoor module 150 operates in the hybrid air conditioning mode, it is possible to control all of the remaining outdoor modules 150 or a part of the outdoor modules 150 that are not selected to operate i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mode to fully utilize the outside ai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실외기 장치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실외기 모듈을 복수로 구비함에 의해, 냉방용량이나 기타 냉방필요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 모듈 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실내를 냉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modular outdoor uni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outdoor unit modules having the same structure, so that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 modules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cooling capacity or other cooling needs It is possible to cool the room by selecting it, so that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실외기 장치를 포함한 냉방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기본모듈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3의 서브모듈의 개략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cooling apparatus including a modular outdoor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sic module of FIG. 3, and FIG. 5 is a schematic view of the submodule of FIG.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실외기 장치(100)는 기본모듈(150a)과 복수의 서브모듈(150b)들을 구비하여, 냉방 용량에 따라 상기 기본모듈(150a)을 단독동작하도록 하거나 상기 복수의 서브모듈(150b)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모듈(150b)을 선택하여 상기 기본모듈(150a)과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외의 구조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3 to 5, a modular outdoor unit device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ic module 150a and a plurality of sub-modules 150b, The base module 150a may operate independently 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ub modules 150b may be selected to operate together with the base module 150a. Other structures are applicable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본모듈(150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메인유출배관(142a), 제1메인유입배관(144a), 적어도 하나의 순환펌프(170), 제1자연공조유닛(120a), 제1강제냉각유닛(130a) 및 제1모듈순환배관(110a)을 구비한다. 상기 기본 모듈(150a)은 추가적으로 개폐밸브(V1,V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외기 장치(100)와 실내기(200) 사이를 순환하는 냉매는 물(water) 또는 공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냉매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4, the basic module 150a includes a first main outflow pipe 142a, a first main inflow pipe 144a, at least one circulation pump 170, a first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a, A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and a first module circulation pipe 110a. The basic module 150a may further include open / close valves V1 and V2. Here, water or air may be used as the refrigerant circulating between the outdoor unit 100 and the indoor unit 200, and other refrigerant may be used.

상기 제1메인유출배관(142a)은 상기 제1자연공조유닛(120a) 또는 상기 제1강제냉각유닛(130a)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실내기(200) 측으로 유출되기 위해 구비되는 배관이다. The first main outflow pipe 142a is a pipe provided to allow the refrigerant cooled by the first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a or the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to flow out to the indoor unit 200 side.

상기 제1메인유출배관(142a)은 인접된 서브모듈(150b)의 제2메인유출배관(142b)들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출배관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메인유출배관은 실내기(200)와 연결된 외부순환배관(252)과 연결되어 실내기(200)와 연결되게 된다. The first main outlet pipe 142a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outlet pipe 142b of the adjacent submodule 150b in a detachable manner to form an integrated main outlet pipe. The integrated main outflow pipe is connected to an indoor circulation pipe 252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200 and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200.

상기 제1메인유입배관(144a)은 실내기(200) 측으로부터 냉매가 유입되기 위해 구비되는 배관이다.  The first main inflow pipe 144a is a pipe for introducing the refrigerant from the indoor unit 200 side.

상기 제1메인유입배관(144a)은 인접된 서브 모듈(150b)의 제2메인유입배관(144b)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입배관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은 실내기(200)와 연결된 외부순환배관(254)과 연결되어 실내기(200)와 연결되게 된다. The first main inflow pipe 144a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inflow pipe 144b of the adjacent submodule 150b so that the first main inflow pipe 144a may form an integrated main inflow pipe. The integrated main inflow pipe is connected to an indoor circulation pipe 254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200 and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20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펌프(170)는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메인유출배관(142a) 또는 상기 제1메인유입배관(144a) 상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펌프(170)에 인접하여 냉매보충을 위한 냉매공급탱크(16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circulation pump 170 is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nt and is provided on the first main outlet pipe 142a or the first main inlet pipe 144a. A refrigerant supply tank 160 for supplementing the refrigerant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at least one circulation pump 170.

상기 제1자연공조유닛(120a)은 실외 열교환기(122) 및 실외 송풍기(124)를 구비하여, 실외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등에 있어서, 외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를 순환시켜 실내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겨울철과 같이 외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 외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를 순환시켜 실내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냉매를 상기 실외열교환기(122)를 통과시켜 외기를 이용하여 냉각시키고, 냉각된 냉매를 실내기(200)로 공급하여 실내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The first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a includes an outdoor heat exchanger 122 and an outdoor air blower 124 so as to cool the room by circulating the refrigerant cooled by the outside air in a case where the outdoor temperature is relatively low, will be.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s low as in the winter season, the indoor unit is cooled by circulating the refrigerant cooled by the outside air. That is,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2 and is cooled using outside air, and the cooled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door unit 200 to cool the indoor space.

여기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22)와 실외 송풍기(124)는 상기 제1강제냉각유닛(130a)의 동작시에도 필요할 수 있으나, 제1자연공조유닛(120a)에는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이므로 편의상 구분을 위해 상기 제1자연공조유닛(120a)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다.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2 and the outdoor air blower 124 may be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However, since the first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a is essentially required for the operation, Is included in the first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a).

상기 제1강제냉각유닛(130a)은 압축기(132), 응축기(134), 팽창밸브(136) 및 증발기(138)로 구성되어, 냉매를 강제적으로 냉각시켜 순환시킨다. 상기 제1강제냉각유닛(130a)은 자연공조유닛(120)을 이용해서 실내공간을 냉방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힘든 경우에 동작하게 된다. 즉 냉매를 상기 제1강제냉각유닛(130a)을 이용해 냉각시켜 상기 실내기(200)로 공급하여 실내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상기 압축기(132), 응축기(134), 팽창밸브(136) 및 증발기(138)로 구성된 제1강제냉각유닛(130a)의 동작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includes a compressor 132, a condenser 134, an expansion valve 136, and an evaporator 138, forcibly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The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operates when it is impossible or difficult to cool the indoor space by using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 [ That is, the refrigerant is cooled using the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and supplied to the indoor unit 200 to cool the indoor space. The operation of the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composed of the compressor 132, the condenser 134, the expansion valve 136 and the evaporator 138 is well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further.

상기 개폐밸브(V1,V2)는 상기 제1모듈 순환배관(110a)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연공조유닛(120a) 및 상기 제1강제냉각유닛(130a)의 동작시에 냉매의 순환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개폐밸브(V1)는 실내기(200) 측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상기 제1자연공조유닛(120a)을 통해 냉각시켜 상기 실내기(200)측에 제공하기 위한 밸브이고, 제2개폐밸브(V2)는 실내기(200) 측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상기 제1강제냉각유닛(130a)을 통해 냉각시켜 상기 실내기(200)측에 제공하기 위한 밸브이다.The on-off valves V1 and V2 are provided on the first module circulation pipe 110a so that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during operation of the first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a and the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And may be constituted by a solenoid valve. The first on-off valve V1 is a valve for cooling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indoor unit 200 side through the first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a and providing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200 side. The second on- Is a valve for cooling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indoor unit 200 through the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and providing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200 side.

즉 제1자연공조유닛(120a)이 동작하는 자연공조모드에서는 제1개폐밸브(V1)는 개방되고 제2개폐밸브(V2)는 폐쇄되어, 냉매가 자연공조유닛(120)에 의해 냉각되도록 한다. 상기 제1강제냉각유닛(130a)이 동작하는 강제공조모드에서는 제1개폐밸브(V1)는 폐쇄되고 제2개폐밸브(V2)는 개방되어, 냉매가 상기 제1강제냉각유닛(130a)을 통해 냉각되도록 한다. 상기 제1자연공조유닛(120a) 및 상기 제1강제냉각유닛(130a)이 함께 동작하는 복합공조모드에서는 제1개폐밸브(V1) 및 제2개폐밸브(V2)는 개방되어, 냉매가 제1자연공조유닛(120a) 및 상기 제1강제냉각유닛(130a)을 통해 냉각되도록 한다.That is, i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mode in which the first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a operates, the first on-off valve V1 is opened and the second on-off valve V2 is closed so that the coolant is cooled by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 . In the forced air conditioning mode in which the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operates, the first on-off valve V1 is closed and the second on-off valve V2 is opened,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Allow to cool. In the hybrid air conditioning mode in which the first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a and the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operate together, the first on-off valve V1 and the second on-off valve V2 are opened, And is cooled through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a and the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상기 제1모듈순환배관(110a)은 상기 제1메인유입배관(144a)으로부터 분기되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1자연공조유닛(120a) 또는 상기 제1강제냉각유닛(130a)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제1메인유출배관(142a)으로 합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모듈순환배관(110a) 상에는 상기 개폐밸브(V1,V2)가 구비됨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The first module circulation pipe 110a is cooled by the first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a or the first forced cooling unit 130a and the refrigerant branched from the first main inflow pipe 144a flows into the first module circulation pipe 110a, To the first main outlet pipe 142a. The opening / closing valves V1 and V2 are provided on the first module circulation pipe 110a.

상기 복수의 서브모듈(150b)들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메인유출배관(142b), 제2메인유입배관(144b), 제2자연공조유닛(120b), 제2강제냉각유닛(130b) 및 제2모듈순환배관(110b)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150)들 각각은 추가적으로 개폐밸브(V3,V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외기 장치(100)와 실내기(200) 사이를 순환하는 냉매는 물(water) 또는 공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냉매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modules 150b includes a second main outflow pipe 142b, a second main inflow pipe 144b, a second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b, Unit 130b and a second module circulation pipe 110b.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modules 150 may further include open / close valves V3 and V4. Here, water or air may be used as the refrigerant circulating between the outdoor unit 100 and the indoor unit 200, and other refrigerant may be used.

상기 제2메인유출배관(142b)은 상기 제2자연공조유닛(120b) 또는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130b)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실내기(200) 측으로 유출되기 위해 구비되는 배관이다. The second main outlet pipe 142b is a pipe provided to allow the refrigerant cooled by the second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b or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to flow out to the indoor unit 200 side.

상기 제2메인유출배관(142b)은 인접된 서브 모듈(150b)의 제2메인유출배관(142b) 또는 상기 기본모듈(150a)의 제1메인유출배관(142a)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출배관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각각의 서브 모듈(150b)에 구비되는 제2메인 유출배관(142b)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메인유출배관(142a)과 함께 하나의 통합 메인유출배관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합 메인 유출배관은 상기 외부순환배관(252)과 연결되어 실내기(200)와 연결되게 된다. The second main outlet pipe 142b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outlet pipe 142b of the adjacent submodule 150b or to the first main outlet pipe 142a of the basic module 150a One integrated main outlet pipe can be constructed. In this manner, the second main outlet pipes 142b provided in the respective sub-modules 15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integrated main outlet pipe together with the first main outlet pipe 142a. The integrated main outlet pipe is connected to the outdoor circulation pipe 252 and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200.

상기 제2메인 유입배관(144b)은 실내기(200) 측으로부터 냉매가 유입되기 위해 구비되는 배관이다.  The second main inflow pipe 144b is a pipe for introducing the refrigerant from the indoor unit 200 side.

상기 제2메인유입배관(144b)은 인접된 서브모듈(150)의 제2메인유입배관(144b) 또는 상기 기본모듈(150a)의 제1메인유입배관(144a)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입배관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각각의 서브 모듈(150b)에 구비되는 제2메인유입배관(144b)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메인유입배관(144a)과 함께 하나의 통합 메인유입배관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은 상기 외부순환배관(254)과 연결되어 실내기(200)와 연결되게 된다. The second main inflow pipe 144b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inflow pipe 144b of the adjoining submodule 150 or the first main inflow pipe 144a of the basic module 150a in a detachable structure One integrated main inflow pipe can be constructed. In this manner, the second main inflow pipe 144b provided in each sub-module 150b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integrated main inflow pipe together with the first main inflow pipe 144a. The integrated main inflow pip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lation pipe 254 and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200.

상기 서브모듈(150b)에는 상기 기본모듈(150a)과 달리 적어도 하나의 순환펌프는 구비되지 않는다.Unlike the basic module 150a, at least one circulation pump is not provided in the sub module 150b.

상기 제2자연공조유닛(120b)은 실외 열교환기(122) 및 실외 송풍기(124)를 구비하여, 실외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등에 있어서, 외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를 순환시켜 실내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겨울철과 같이 외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 외기에 의해 냉각된 냉매를 순환시켜 실내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냉매를 상기 실외열교환기(122)를 통과시켜 외기를 이용하여 냉각시키고, 냉각된 냉매를 실내기(200)로 공급하여 실내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The second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b includes an outdoor heat exchanger 122 and an outdoor air blower 124 to cool the indoor air by circulating the refrigerant cooled by the outdoor air, will be.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s low as in the winter season, the indoor unit is cooled by circulating the refrigerant cooled by the outside air. That is,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2 and is cooled using outside air, and the cooled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indoor unit 200 to cool the indoor space.

여기서 상기 실외열교환기(122)와 실외 송풍기(124)는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130b)의 동작시에도 필요할 수 있으나, 상기 제2자연공조유닛(120b)에는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이므로 편의상 구분을 위해 상기 제2자연공조유닛(120b)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다. The outdoor heat exchanger 122 and the outdoor blower 124 may be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However, since the second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b is essentially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Is included in the second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b.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130b)은 압축기(132), 응축기(134), 팽창밸브(136) 및 증발기(138)로 구성되어, 냉매를 강제적으로 냉각시켜 순환시킨다.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130b)은 상기 제2자연공조유닛(120b)을 이용해서 실내공간을 냉방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힘든 경우에 동작하게 된다. 즉 냉매를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130b)을 이용해 냉각시켜 상기 실내기(200)로 공급하여 실내공간을 냉방하게 된다. 상기 압축기(132), 응축기(134), 팽창밸브(136) 및 증발기(138)로 구성된 제2강제냉각유닛(130b)의 동작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includes a compressor 132, a condenser 134, an expansion valve 136, and an evaporator 138, forcibly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operates when it is impossible or difficult to cool the indoor space by using the second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b. That is, the coolant is cooled using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and supplied to the indoor unit 200 to cool the indoor spac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composed of the compressor 132, the condenser 134, the expansion valve 136 and the evaporator 138 is well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further.

상기 개폐밸브(V3,V4)는 상기 제2모듈 순환배관(110b)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자연공조유닛(120b) 및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130b)의 동작시에 냉매의 순환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제3개폐밸브(V3)는 실내기(200) 측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상기 제2자연공조유닛(120b)을 통해 냉각시켜 상기 실내기(200)측에 제공하기 위한 밸브이고, 제4개폐밸브(V4)는 실내기(200) 측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130b)을 통해 냉각시켜 상기 실내기(200)측에 제공하기 위한 밸브이다.The on-off valves V3 and V4 are provided on the second module circulation pipe 110b so that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i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b and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And may be constituted by a solenoid valve. The third on-off valve V3 is a valve for cooling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indoor unit 200 side through the second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b and providing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200 side. The fourth on- Is a valve for cooling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indoor unit 200 through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and providing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200 side.

즉 제2자연공조유닛(120b)이 동작하는 자연공조모드에서는 제3개폐밸브(V3)는 개방되고 제4개폐밸브(V4)는 폐쇄되어, 냉매가 제2자연공조유닛(120b)에 의해 냉각되도록 한다.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130b)이 동작하는 강제공조모드에서는 제3개폐밸브(V3)는 폐쇄되고 제4개폐밸브(V4)는 개방되어, 냉매가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130b)을 통해 냉각되도록 한다. 상기 제2자연공조유닛(120b) 및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130b)이 함께 동작하는 복합공조모드에서는 제3개폐밸브(V3) 및 제4개폐밸브(V4)는 개방되어, 냉매가 제2자연공조유닛(120b) 및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130b)을 통해 냉각되도록 한다.That is, i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mode in which the second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b operates, the third on-off valve V3 is opened and the fourth on-off valve V4 is closed so that the refrigerant is cooled by the second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b . In the forced air conditioning mode in which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operates, the third on-off valve V3 is closed and the fourth on-off valve V4 is opened, so that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Allow to cool. The third on-off valve V3 and the fourth on-off valve V4 are opened in the combined air-conditioning mode in which the second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120b and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operate together,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b and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상기 제2모듈순환배관(110b)은 상기 제2메인유입배관(144b)으로부터 분기되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2자연공조유닛(120b) 또는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130b)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제2메인유출배관(142b)으로 합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모듈순환배관(110b) 상에는 상기 개폐밸브(V3,V4)가 구비됨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The second module circulation pipe 110b is cooled by the second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120b or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130b so that the refrigerant branched from the second main inflow pipe 144b flows into the second module circulation pipe 110b, To the second main outlet pipe 142b. The opening / closing valves V3 and V4 are provided on the second module circulation pipe 110b.

상술한 실외기 장치(100)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전체적인 냉방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실내기(200)에 대해서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door unit 200,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outdoor unit 100 but constitutes the overall cooling system,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상기 실내기(200)는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은 서로 다른 실내공간에 각각 설치된다. 하나의 실내공간에 하나의 실내기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실내공간에 복수의 실내기(200)들이 설치되게 된다.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are installed in different indoor spaces. A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in a manner that one indoor unit is installed in one indoor space.

상기 실내기(200)들 각각은 실내열교환기(220) 및 실내송풍기(230)를 구비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20) 및 실내송풍기(230)는 상기 실외기(100)에서 냉각되어 제공되는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켜 실내공간을 냉방하기 위한 것이다. Each of the indoor units 200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220 and an indoor air blower 230.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and the indoor air blower 230 are for cooling the indoor space by exchanging the indoor air with the refrigerant cooled by the outdoor unit 100.

상기 실내열교환기(220) 및 실내송풍기(230)의 구체적인 동작이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The oper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and the indoor air blower 230 are well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further.

상기 실내기(200)들 각각은 상기 외부 순환배관(252,254)에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외부 순환배관(252,254)에는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 및 통합 메인유출배관이 연결되어 상기 실외기 장치(100)와 서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외부 순환배관(252,254),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 및 통합 메인유출배관을 하나의 통합배관으로 보는 경우, 상기 기본모듈(150a) 및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듈(150b)들 각각은 통합배관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Each of the indoor units 2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lation pipes 252 and 254 in parallel and the integrated main inlet pipe and the integrated main outlet pipe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circulation pipes 252 and 254, As shown in FIG. When the external circulation pipes 252 and 254, the integrated main inflow pipe and the integrated main discharge pipe are regarded as one integrated pipe, the basic module 150a and the plurality of sub modules 150b are connected to the integrated piping in parallel As shown in FIG.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들 각각은 냉방이 불필요한 경우에, 상기 실외기 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냉매를 바이패스 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 구성(미도시), 즉 바이패스배관 및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냉방이 필요하지 않은 실내공간의 냉방이 제한되어 냉방이 필요한 실내공간에 위치한 실내기의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냉방이 불필요한 실내기의 경우는 상기 바이밸브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실외기 장치(100)에서 공급되는 냉매가 상기 실내열교환기(220)를 거침이 없이 바로 바이패스 배관을 통해 상기 통합배관(210)으로 빠져 나가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has a bypass structure (not shown) that can bypass the refrigerant provided through the outdoor unit 100 when the cooling is unnecessary, that is, the bypass piping and the bypass valve . Accordingly, the cooling of the indoor space, which does not require cooling, is restricted, thereby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indoor unit located in the indoor space requiring the cool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ndoor unit requiring no cooling, the bypass valve is opened to allow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100 to bypass the indoor heat exchanger 220 through the bypass piping 210 ). ≪ / RTI >

다른 예로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들 각각은 냉방이 불필요한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300)에 의해 제어되는 별도의 차단밸브(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외부순환배관(252,254)을 통한 냉매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each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hut-off valve (not shown)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0 when the cooling is unnecessary, so that the refrigerant supply through the external circulation pipes 252, It is also possible to block the signal.

상기 실외기 장치(100)의 기본 모듈(150a)이 단독동작하거나, 기본모듈(150a)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모듈(150b)이 함께 동작하는 경우, 동작하는 기본모듈(150a)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모듈(150b)을 통해 냉각된 냉매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들 모두에 제공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선택된 실내기(200)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어느 하나의 실내기(200)에 제공되는 냉매는 상기 실외기 장치(l00)를 구성하는 모든 모듈(150a,150b)에서 제공되는 것 일수도 있고, 특정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150a,150b)에서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작하는 실내기(200)와 동작되는 모듈(150a,150b)의 냉매순환은 별도로 구비되는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basic module 150a of the outdoor unit 100 operates alone or the basic module 150a and the at least one sub module 150b operate together, the basic module 150a and the at least one sub- The refrigerant cooled through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150b may be provided to all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and may be provided to any one selected indoor unit 200. [ The refrigerant provided to any one of the indoor units 200 may be provided by all of the modules 150a and 150b constituting the outdoor unit 100 and may be provided by at least one of the modules 150a and 150b It may be. The refrigerant circulation of the modules 150a and 150b operating with the indoor unit 200 operating in this case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ontrol of a separately provided controller (not show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에 실외기 장치가 동작하게 되는 경우 상기 기본모듈(150a)은 기본적으로 동작하고, 필요에 따라 동작되는 서브모듈(150b)가 추가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utdoor unit is operated, the basic module 150a operates basically and the sub module 150b operated as needed can be added.

상기 컨트롤러는 실내공간의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들 중 냉방이 필요한 실내기(200)를 선택하고, 상기 실외기 장치(100)에서 상기 기본 모듈(150a)이 단독동작하거나, 상기 기본모듈(150a)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모듈(150b)이 함께 동작하도록 선택하여 선택된 실내기에 대응시켜 동작을 제어함에 의해, 실내공간의 냉방하게 된다.The controller selects an indoor unit 200 requiring cooling amo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200 on the basis of an indoor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and controls the outdoor unit 100 to operate the basic module 150a alone, The basic module 150a and the at least one sub module 150b are selected to operate together, and the operation is controlled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ndoor unit, thereby cooling the indoor space.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선택된 실내기(200) 및 선택된 기본모듈(150a) 또는 서브모듈(150b)은 상기 자연공조모드, 상기 강제공조모드, 및 상기 복합공조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The indoor unit 200 selected by the controller and the selected basic module 150a or sub module 150b operate in any one of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mode, the forced air conditioning mode, and the hybrid air conditioning mode.

특히 기본모듈(150a)의 단독동작하는 경우 또는 기본모듈(150a)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모듈(150b)이 함께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동작 모듈(150a,150b)이 상기 자연공조모드 및 상기 복합공조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실외기 장치(100) 내의 모든 모듈(150a,150b)들의 실외송풍기(124) 모두를 가동시켜 외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basic module 150a operates singly or when the basic module 150a and the selected at least one sub module 150b operate together, the operation modules 150a and 150b perform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mode and the compound When operating in the air conditioning mode, all of the outdoor fans 124 of all the modules 150a and 150b in the outdoor unit 100 can be operated to sufficiently utilize the outdoor air.

예를 들어, 기본 모듈(150a)이 자연공조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나머지 모든 서브 모듈(150b) 또한 자연공조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외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본 모듈(150a)이 복합공조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나머지 모든 서브 모듈(150b)이 자연공조모드로 동작하도록 하여 외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the basic module 150a operates i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mo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ther sub modules 150b to operate i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mode so that the ambient air can be fully utilized. In addition, when the basic module 150a operates in the hybrid air conditioning mo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ther sub modules 150b to operate i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mode so that the outside air can be fully utilized.

상기 기본 모듈(150a) 또는 선택된 서브모듈(150b)이 상기 강제공조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본 모듈(150a) 또는 선택된 서브모듈(150b)의 경우 실외송풍기(120)는 가동되도록 하고,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서브 모듈(150b)의 실외송풍기(120)는 가동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외기 활용을 방지하고, 실외송풍기에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도록 한다.When the basic module 150a or the selected sub module 150b operates in the forced air conditioning mode, the outdoor fan 120 is operated in the case of the basic module 150a or the selected sub module 150b, The outdoor fan 120 of the unselected sub-module 150b is not operated to prevent unnecessary use of the outside air and to save power consumed by the outdoor fa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모듈들을 구비하는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실내기들을 구비하여, 특정 실내공간의 냉방시, 필요에 따라 동작되는 모듈을 선택하여 제어함에 의해,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빠른 냉방이 가능해 장비 보호 및 실내냉방부하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n outdoor unit having a plurality of modules and indoor units arranged in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respectively, and by selecting and controlling a module to be operated as needed when cooling a specific indoor space , Cool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quick cooling can be performed, which contributes to equipment protection and indoor cooling load relief.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실외기 장치 150 : 실외기 모듈
150a : 기본모듈 150b: 서브모듈
200 : 실내기
100: outdoor unit 150: outdoor unit
150a: basic module 150b: sub module
200: indoor unit

Claims (8)

모듈형 실외기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실외기 모듈들을 구비하고, 냉방 용량에 따라 상기 복수의 실외기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 모듈이 선택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실외기 모듈들 각각은,
냉각된 냉매가 실내기 측으로 유출되는 메인 유출배관과;
실내기 측으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메인 유입배관과;
외기에 의해 냉매를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자연공조 유닛과;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로 구성되어 냉매를 강제적으로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강제냉각유닛과;
상기 메인 유입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자연공조유닛 또는 상기 강제냉각유닛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메인 유출배관으로 합류하도록 구성된 모듈 순환배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실외기 장치.
A modular outdoor unit comprising:
Wherein at least one outdoor unit module among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 modules is selected according to a cooling capacity,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includes:
A main outlet pipe through which the cooled refrigerant flows out to the indoor unit side;
A main inflow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indoor unit side;
A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for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by outside air;
A forced cooling unit composed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forcibly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And a module circulation pipe configured to cool the refrigerant branched from the main inflow pipe and to flow into the main outlet pipe by being cooled by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or the forced cool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듈 순환배관 상에는 상기 자연공조유닛의 동작시 개방되는 제1개폐밸브와 상기 강제냉각유닛의 동작시 개방되는 제2개폐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실외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dule circulation pipe is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that opens whe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operates, and a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that opens when the forced cooling unit operat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입배관은 인접된 실외기 모듈의 메인유입배관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입배관을 구성하고,
상기 메인유출배관은 인접된 실외기 모듈의 메인유출배관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출배관을 구성하고,
상기 통합 메인유출배관 및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은 별도의 외부순환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실외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inflow pipe is connected to the main inflow pipe of the adjacent outdoor unit module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form one integrated main inflow pipe,
The main outlet pipe is connected to the main outlet pipe of the adjoining outdoor unit module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form an integrated main outlet pipe,
Wherein the integrated main outlet pipe and the integrated main inlet pipe ar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through separate external circulation pip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합 메인유출배관 또는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 상에는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순환펌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실외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circulation pump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nt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tegrated main outlet pipe or the integrated main inlet pip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부순환배관 상에는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순환펌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실외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circulation pump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nt is further provided on the external circulation pipe.
모듈형 실외기 장치에 있어서:
기본모듈과 복수의 서브모듈들을 구비하여, 냉방 용량에 따라 상기 기본모듈을 단독동작하도록 하거나 상기 복수의 서브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브모듈을 선택하여 상기 기본모듈과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기본모듈은,
냉각된 냉매가 실내기 측으로 유출되는 제1메인유출배관과;
실내기 측으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메인유입배관과;
상기 제1메인유출배관 또는 상기 제1메인유입배관 상에 구비되어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순환펌프와;
외기에 의해 냉매를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제1자연공조 유닛과;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로 구성되어 냉매를 강제적으로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제1강제냉각유닛과;
상기 제1메인유입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1자연공조유닛 또는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제1메인유출배관으로 합류하도록 구성된 제1모듈 순환배관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모듈들 각각은,
냉각유닛에 의해 냉각된 냉매가 유출되고, 상기 제1메인유출배관과 합류하는 제2메인유출배관과;
냉매가 유입되고 제1메인유입배관과 합류하는 제2메인유입배관과;
외기에 의해 냉매를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제2자연공조 유닛과;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로 구성되어 냉매를 강제적으로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제2강제냉각유닛과;
상기 제2메인유입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2자연공조유닛 또는 상기 제2강제냉각유닛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제2메인유출배관으로 합류하도록 구성된 제2모듈 순환배관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실외기 장치.
A modular outdoor unit comprising:
A basic module and a plurality of submodules so as to independently operate the basic module according to the cooling capacity or to select at least one submodule among the plurality of submodules to operate together with the basic module,
The base module includes:
A first main outlet pipe through which the cooled refrigerant flows out to the indoor unit side;
A first main inflow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indoor unit side;
At least one circulation pump provided on the first main outlet pipe or the first main inlet pipe for circulating the refrigerant;
A first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for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by outside air;
A first forced cooling unit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forcibly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And a first module circulating pipe configured to cool the refrigerant branched from the first main inflow pipe and to be joined to the first main outflow pipe by the first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or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Each of the sub-
A second main outlet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ooled by the cooling unit flows out and merges with the first main outlet pipe;
A second main inflow pip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joins with the first main inflow pipe;
A second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for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by outside air;
A second forced cooling unit consisting of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an evaporator, forcibly cooling and circulating the refrigerant;
And a second module circulation pipe configured to cool the refrigerant branched from the second main inflow pipe and to be cooled by the second natural air-conditioning unit or the second forced cooling unit to join to the second main outflow pipe Wherein the outdoor unit is a module type outdoor uni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본 모듈은, 상기 제1모듈 순환배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자연공조유닛의 동작시 개방되는 제1개폐밸브와, 상기 제1모듈 순환배관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강제냉각유닛의 동작시 개방되는 제2개폐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모듈들 각각은, 상기 제2모듈 순환배관 상에 구비되어 상기 자연공조유닛의 동작시 개방되는 제3개폐밸브와, 상기 제2모듈 순환배관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강제냉각유닛의 동작시 개방되는 제4개폐밸브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실외기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basic module includes a first on-off valve provided on the first module circulation pipe and opened whe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operates, a second on-off valve provided on the first module circulation pipe, 2 open / close valve,
Wherein each of the sub modules comprises: a third on-off valve provided on the second module circulation pipe and opened when the natural air conditioning unit is operated; and a third on- off valve provided on the second module circulation pipe, And a fourth on-off valve provided on the second outdoor uni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유입배관은 인접된 서브모듈의 제2메인유입배관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메인유입배관은 인접된 제2메인유입배관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입배관을 구성하고,
상기 제1메인유출배관은 인접된 서브모듈의 제2메인유출배관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메인유출배관은 인접된 제2메인유출배관과 분리가능한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 메인유출배관을 구성하고,
상기 통합 메인유출배관 및 상기 통합 메인유입배관은 별도의 외부순환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실외기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main inflow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inflow pipe of the adjacent submodule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the second main inflow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inflow pipe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adjacent second main inflow pipe, An integrated main inflow pipe,
Wherein the first main outlet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outlet pipe of the adjacent submodule so as to be detachable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main outlet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outlet pipe adjacent to the second main outlet pipe, An integrated main outlet pipe is constructed,
Wherein the integrated main outlet pipe and the integrated main inlet pipe ar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through separate external circulation pipes.
KR1020180005679A 2018-01-16 2018-01-16 Modul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20292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679A KR102029292B1 (en) 2018-01-16 2018-01-16 Modul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679A KR102029292B1 (en) 2018-01-16 2018-01-16 Modul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191A true KR20190087191A (en) 2019-07-24
KR102029292B1 KR102029292B1 (en) 2019-11-08

Family

ID=6748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679A KR102029292B1 (en) 2018-01-16 2018-01-16 Modul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29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6422A (en) * 1991-11-07 1993-05-21 Matsushita Refrig Co Lt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KR20070052887A (en) * 2005-11-18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773959B1 (en) 2005-09-15 2007-11-07 주식회사 창조이십일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223592B2 (en) * 2014-10-21 2017-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Control system for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6422A (en) * 1991-11-07 1993-05-21 Matsushita Refrig Co Ltd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KR100773959B1 (en) 2005-09-15 2007-11-07 주식회사 창조이십일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70052887A (en) * 2005-11-18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6223592B2 (en) * 2014-10-21 2017-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Control system for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292B1 (en)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802B2 (en) Air conditioner
US9279591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EP2541169A1 (en) Air conditioner and air-conditioning hot-water-supplying system
KR20050074066A (en) Cooling and heating system
JP2006292313A (en) Geothermal unit
KR20180076397A (e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5299935A (en) Air conditioner
KR20180112681A (en) Device for distributing the coolant in an air-condition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EP2541170A1 (en) Air-conditioning hot-water-supply system
US20060156751A1 (en) Heat pump air conditioner
JP4203758B2 (en) Water-cooled heat pump type ground-heate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200390B1 (e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641774B1 (en) Air conditioner
KR102061756B1 (en) Hybrid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61757B1 (en) Module type hybrid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102770724B (en) Air conditioning device
KR100900441B1 (en) Heat pump airconditioning and heating equipement using geothermy
KR100696718B1 (en) Air Conditioner System for Heating and Dehumidificaton
TWI779590B (e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145978B1 (en) Heat pump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waste heat
KR100524719B1 (en) By-pass device with variable flow rate of multi air-conditioner system
KR102061760B1 (en) Hybrid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380169B (en) Fluid control for variable flow fluid circuit in HVACR system
KR20190087191A (en) Module type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230039083A (en) Cool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