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2480A -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 Google Patents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2480A
KR20190082480A KR1020180000131A KR20180000131A KR20190082480A KR 20190082480 A KR20190082480 A KR 20190082480A KR 1020180000131 A KR1020180000131 A KR 1020180000131A KR 20180000131 A KR20180000131 A KR 20180000131A KR 20190082480 A KR20190082480 A KR 20190082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piston rod
bumper
spr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9905B1 (ko
Inventor
김성술
장병구
최무근
박두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to KR102018000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9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2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60G15/065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combination o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35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링(S)과, 상기 스프링(S)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쇼크 업소버(10)의 실린더(A2) 일측에 장착된 로어패드(20)와, 상기 실린더(A2)의 상단에 결합된 스트라이커 캡(30)이 구비된 자동차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피스톤 로드(A1) 상부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스프링(S)과 쇼크 업소버(10) 사이로 연장 형성되어 충격전달을 감소시키는 범퍼 부츠(100)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A spring pad formed integrally with the bumper and the boot}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퍼패드와 충격흡수부와 충격방지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쇽업소버 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의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운전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불규칙한 노면 주행 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구동 시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하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현가장치가 개발되어 실차에 적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 관계하는 일반적인 현가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휠(H)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N)은 그 하단이 로워 컨트롤 암(AM)을 개재시켜 차체와 연결된다.
그리고 이 너클(N)의 상단은 너클 마운팅 유닛(MU)을 통하여 스프링(S)과 t쇼크 업소버(10)가 일체로 형성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50)의 하단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50)의 상단부는 미도시한 차체에 인슐레이터(IS)를 개재시켜 현가 지지되며, 어셈블리(50)의 중간부 내측에는 스태빌라이저(ST)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 및 충격이 스트러트 어셈블리(50)에 의해 감소되어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스트러트 어셈블리(5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10)의 일측에 로어패드(20)가 고정되고, 쇽업소버(10)의 상단에는 스트라이커 캡(30)이 장착되며, 쇽업소버(10)의 피스톤 로드(A1)에는 자우스 범퍼(60)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상단에는 어퍼패드(21)와 상기한 인슐레이터(IS)가 장착되며, 상기 어퍼 및 로어패드(20,21) 사이에는 스프링(S)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로드(A1)와 자운스 범퍼(60) 내의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하여 스프링(S)과 피스톤 로드(A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자운스 범퍼(60)를 둘러싸도록 더스트 부츠(미도시)가 구비된다.
즉, 상기 피스톤 로드(A1)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스프링(S) 외에 더스트 부츠, 자운스 범퍼(60) 및 스프링 패드(20,21)가 장착되며, 상기와 같은 각각의 별도의 부품들을 정밀한 치수로 사출 성형하는 공정은 매우 까다로울 뿐 아니라 성형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A1)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부품들 각각이 접촉되는 접촉면에서 변형이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더스트 부츠, 자운스 범퍼(60) 및 스프링 패드(20,21)를 각각 관리해야하는 어려움도 있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 로드(A1)의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에 따른 힘-변위 특성을 개선시키면서 성형비용을 줄이고, 흡수되는 에너지를 증가시키도록 범퍼의 설계를 개선시킬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기술에서 각각의 부품으로 형성된 더스트 부츠, 자운스 범퍼 및 어퍼패드의 기능들을 실행함과 동시에 부츠형상으로 일체화시켜 하나의 부품으로 구비되는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링(S)과, 상기 스프링(S)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쇼크 업소버(10)의 실린더(A2) 일측에 장착된 로어패드(20)와, 상기 실린더(A2)의 상단에 결합된 스트라이커 캡(30)이 구비된 자동차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피스톤 로드(A1) 상부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스프링(S)과 쇼크 업소버(10) 사이로 연장 형성되어 충격전달을 감소시키는 범퍼 부츠(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범퍼 부츠(100)는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피스톤 로드(A1) 축 방향으로 연장된 충격흡수부(110)와, 상기 충격흡수부(110)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S)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어퍼 패드부(120)와, 상기 충격흡수부(110) 하부측에서 상기 스트라이커 캡(30)과 대응되며,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완전 압착을 방지하는 충격방지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110)는 벨로우즈 형상의 벽(111)을 갖으면서 탄성 압축이 가능하되 상기 범퍼 부츠(100)는 상기 어퍼 패드부(120)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G1)의 테두리에서 하부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상기 충격흡수부(110)의 상부 엣지(113) 자유단(114)과 연결되는 연결부(14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충격방지부(130)는 상기 충격흡수부(110)의 하부 엣지(116)와 결합된 혼합부(M)와, 상기 혼합부(M)로부터 연장 형성된 돌출부(E)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어퍼 패드부(120)와 충격흡수부(110) 및 충격방지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E)는 상기 쇼크 업소버(10) 압축 시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 캡(30)과 대응 접촉되는 원형 돌출부(131)와, 상기 원형 돌출부(131)가 상기 스트라이커 캡(30)과 대응 접촉되어 상기 충격흡수부(110) 내측으로 밀려들어 감에 따라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소정 이동 거리에서 상기 실린더(A2) 외벽측으로 말려 상기 실린더(A2) 외벽을 그립(grip)함으로써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이동을 억제 하는 그립퍼부(13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원형 돌출부(131)는 상기 충격흡수부(110)의 하부 엣지(116) 자유단(117)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축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중심부에 상기 피스톤 로드(A1)가 관통되는 관통공(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퍼부(132)는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소정 이동 거리에서 상기 실린더(A2) 외벽에 접촉되도록 상기 원형 돌출부(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개별 리브 형태(132a)와, 상기 개별 리브 형태(132a) 사이에는 내입부(132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 돌출부(131)는 상기 하부 엣지 자유단(117) 외벽(117a)에서 하부측으로 돌출 연장된 외주면부(131a)와, 상기 외주면부(131a) 하단과 상기 관통공(134)의 내주면 하단(134a)을 잇고 상기 스트라이커 캡(30)과 대응 접촉되는 대응부(131b)와, 상기 하부 엣지 자유단(117) 내벽(117b)에서 상기 관통공(134)의 내주면 상단(134b)을 잇는 내저부(131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별 리브 형태(132a)는 상기 하부 엣지(116)의 외벽(116a) 소정위치에서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대응부(131b)와 평행한 면(E)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개별 리브 형태(132a)는 'T' 형상으로 형성될 때, 상기 원형 돌출부(131)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리브(132a-1)와, 상기 리브(132a-1)의 연장선상에서 일정폭을 갖는 스토퍼(132a-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 돌출부(131)는 상기 내저부(131c) 외측에 환형으로 내입된 내입홈(131d)과, 상기 내입홈(131d)에 의해 상기 대응부(131b)와 내저부(131c) 사이의 두께보다 얇은 굽힘부(131e)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에서 각각의 부품으로 형성된 더스트 부츠, 자운스 범퍼 및 어퍼패드의 기능들을 실행함과 동시에 부츠형상으로 일체화시켜 하나의 부품으로 구비시킬 수 있어 단일 부품으로 관리가 편하며,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현가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A-A"부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부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압축 시 범퍼 부츠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8은 도 6의 "C"부의 상세도,
도 9는 도 7의 "D"부의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A-A"부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부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쇼크 업소버의 압축 시 범퍼 부츠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8은 도 6의 "C"부의 상세도, 도 9는 도 7의 "D"부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인 범퍼 부츠(100)는 쇼크 업소버(10)의 피스톤 로드(A1) 주위에 장착되고 차량의 구조 요소에 고정된 탄성체를 포함하며, 압축하에 있는 쇼크 업소버 및 코일 스프링에 탄성 쿠션을 제공한다.
또한, 일체형 범퍼 부츠(100)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고, 이는 무거운 하중, 움푹 팬 곳, 연석(curb), 또는 도로의 물체에 의해 야기되는 충격 시 관절식 서스펜션 요소가 완전히 압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 진동을 완화시키고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도 2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범퍼 부츠(100)는 쇼크 업소버(10)의 피스톤 로드(A1) 상부측에 결합되면서 스프링(S)과 쇼크 업소버(10) 사이로 연장 형성되어 충격전달을 감소시킨다.
즉, 상기 범퍼 부츠(100)는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피스톤 로드(A1) 축 방향으로 연장된 충격흡수부(110)와, 상기 충격흡수부(110)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S)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어퍼 패드부(120)와, 상기 충격흡수부(110) 하부측에서 상기 스트라이커 캡(30)과 대응되며,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완전 압착을 방지하는 충격방지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110)는 벨로우즈 형상의 벽(111)을 갖으면서 탄성 압축이 가능하되 상기 범퍼 부츠(100)는 상기 어퍼 패드부(120)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G1)의 테두리에서 하부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상기 충격흡수부(110)의 상부 엣지(113) 자유단(114)과 연결되는 연결부(14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충격방지부(130)는 상기 충격흡수부(110)의 하부 엣지(116)와 결합된 혼합부(M)와, 상기 혼합부(M)로부터 연장 형성된 돌출부(E)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어퍼 패드부(120)와 충격흡수부(110) 및 충격방지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E)는 상기 쇼크 업소버(10) 압축 시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 캡(30)과 대응 접촉되는 원형 돌출부(131)와, 상기 원형 돌출부(131)가 상기 스트라이커 캡(30)과 대응 접촉되어 상기 충격흡수부(110) 내측으로 밀려들어 감에 따라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소정 이동 거리에서 상기 실린더(A2) 외벽측으로 말려 상기 실린더(A2) 외벽을 그립(grip)함으로써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이동을 억제 하는 그립퍼부(13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원형 돌출부(131)는 상기 충격흡수부(110)의 하부 엣지(116) 자유단(117)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축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중심부에 상기 피스톤 로드(A1)가 관통되는 관통공(1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퍼부(132)는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소정 이동 거리에서 상기 실린더(A2) 외벽에 접촉되도록 상기 원형 돌출부(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개별 리브 형태(132a)와, 상기 개별 리브 형태(132a) 사이에는 내입부(132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 돌출부(131)는 상기 하부 엣지 자유단(117) 외벽(117a)에서 하부측으로 돌출 연장된 외주면부(131a)와, 상기 외주면부(131a) 하단과 상기 관통공(134)의 내주면 하단(134a)을 잇고 상기 스트라이커 캡(30)과 대응 접촉되는 대응부(131b)와, 상기 하부 엣지 자유단(117) 내벽(117b)에서 상기 관통공(134)의 내주면 상단(134b)을 잇는 내저부(131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별 리브 형태(132a)는 상기 하부 엣지(116)의 외벽(116a) 소정위치에서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대응부(131b)와 평행한 면(E)을 갖는다.
또한, 상기 개별 리브 형태(132a)는 'T' 형상으로 형성될 때, 상기 원형 돌출부(131)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리브(132a-1)와, 상기 리브(132a-1)의 연장선상에서 일정폭을 갖는 스토퍼(132a-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리브(132a-1) 폭(W1)은 상기 스토퍼(132a-2) 폭(W2)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원형 돌출부(131)에 대하여 스토퍼(132a-2)는 반경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실린더 로드(A1)의 이동을 저지하며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상기 원형 돌출부(131)는 상기 내저부(131c) 외측에 환형으로 내입된 내입홈(131d)과, 상기 내입홈(131d)에 의해 상기 대응부(131b)와 내저부(131c) 사이의 두께보다 얇은 굽힘부(131e)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형 돌출부(131)가 충격흡수부(110) 내측으로 밀려들어감에 따라 상기 굽힘부(131e)가 굽어진다.
그리고 상기 굽힘부(131a)가 굽어져 상기 리브(132a-1)와 스토퍼(132a-2)가 실린더(A2) 외벽에 접촉되어 잡아주기 때문에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완전 압축을 방지하며 충격을 흡수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쇼크 업소버 20 : 로어패드
30 : 스트라이커 캡 100 : 범퍼 부츠
110 : 충격흡수부 111 : 벽
113 : 상부 엣지(edge) 114 : 상부 엣지(edge) 자유단
116 : 하부 엣지(edge) 117 : 하부 엣지(edge) 자유단
120 : 어퍼 패드부 130 : 충격방지부
131 : 원형 돌출부 131a : 외주면부
131b : 대응부 131c : 내저부
131d : 내입홈 131e : 굽힘부
132 : 그립퍼부 132a : 개별 리브 형태
132a-1 : 리브 132a-2 : 스토퍼
132b : 내입부 134 : 관통공
140 : 연결부
S : 스프링 A1 : 피스톤 로드
A2 : 실린더 E : 돌출부
M : 혼합부

Claims (6)

  1.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링(S)과, 상기 스프링(S)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쇼크 업소버(10)의 실린더(A2) 일측에 장착된 로어패드(20)와, 상기 실린더(A2)의 상단에 결합된 스트라이커 캡(30)이 구비된 자동차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피스톤 로드(A1) 상부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스프링(S)과 쇼크 업소버(10) 사이로 연장 형성되어 충격전달을 감소시키는 범퍼 부츠(100)가 구비되되,
    상기 범퍼 부츠(100)는,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피스톤 로드(A1) 축 방향으로 연장된 충격흡수부(110)와,
    상기 충격흡수부(110)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S)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어퍼 패드부(120)와,
    상기 충격흡수부(110) 하부측에서 상기 스트라이커 캡(30)과 대응되며 상기 쇼크 업소버(10)의 완전 압착을 방지하는 충격방지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110)는 벨로우즈 형상의 벽(111)을 갖으면서 탄성 압축이 가능하되, 상기 범퍼 부츠(100)는,
    상기 어퍼 패드부(120)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G1)의 테두리에서 하부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상기 충격흡수부(110)의 상부 엣지(113) 자유단(114)과 연결되는 연결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방지부(130)는,
    상기 충격흡수부(110)의 하부 엣지(116)와 결합된 혼합부(M)와,
    상기 혼합부(M)로부터 연장 형성된 돌출부(E)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어퍼 패드부(120)와 충격흡수부(110) 및 충격방지부(13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E)는,
    상기 쇼크 업소버(10) 압축 시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 캡(30)과 대응 접촉되는 원형 돌출부(131)와,
    상기 원형 돌출부(131)가 상기 스트라이커 캡(30)과 대응 접촉되어 상기 충격흡수부(110) 내측으로 밀려들어 감에 따라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소정 이동 거리에서 상기 실린더(A2) 외벽측으로 말려 상기 실린더(A2) 외벽을 그립(grip)함으로써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이동을 억제 하는 그립퍼부(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돌출부(131)는,
    상기 충격흡수부(110)의 하부 엣지(116) 자유단(117)에서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축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중심부에 상기 피스톤 로드(A1)가 관통되는 관통공(1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부(132)는,
    상기 피스톤 로드(A1)의 소정 이동 거리에서 상기 실린더(A2) 외벽에 접촉되도록 상기 원형 돌출부(13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개별 리브 형태(132a)와, 상기 개별 리브 형태(132a) 사이에는 내입부(13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KR1020180000131A 2018-01-02 2018-01-02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KR102019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31A KR102019905B1 (ko) 2018-01-02 2018-01-02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31A KR102019905B1 (ko) 2018-01-02 2018-01-02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480A true KR20190082480A (ko) 2019-07-10
KR102019905B1 KR102019905B1 (ko) 2019-09-11

Family

ID=6725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131A KR102019905B1 (ko) 2018-01-02 2018-01-02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3256A (zh) * 2019-11-06 2020-02-11 浙江长兴振明高科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耐火材料用多级粉碎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204A (ja) * 1995-03-15 1996-09-24 Showa:Kk 緩衝器用バンプストッパ
JP2014185657A (ja) * 2013-03-22 2014-10-02 Tokai Rubber Ind Ltd ダストカバー組立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204A (ja) * 1995-03-15 1996-09-24 Showa:Kk 緩衝器用バンプストッパ
JP2014185657A (ja) * 2013-03-22 2014-10-02 Tokai Rubber Ind Ltd ダストカバー組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3256A (zh) * 2019-11-06 2020-02-11 浙江长兴振明高科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耐火材料用多级粉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905B1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4980B2 (ja) 車両懸架装置用ストラット組立体のリバウンドストッパー
US20020171222A1 (en) Strut mount
KR20110013023A (ko)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로어 암 장착유닛
CN111038195B (zh) 车辆的空气动力罩
KR20190082480A (ko)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KR20120015196A (ko) 서스펜션용 부시
KR102617707B1 (ko) 차량용 코일스프링 고정장치
KR102227851B1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KR101766067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JP5965274B2 (ja) 車体側パネルへのストラットロッドの取付構造
KR101371733B1 (ko)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KR100986085B1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유닛
KR102546369B1 (ko) 로어암 어셈블리
KR20100088808A (ko) 스트럿 지지 구조
KR20200008405A (ko) 캠버 특성이 개선된 맥퍼슨 서스펜션
KR102440604B1 (ko) 멀티 링크식 후륜 현가장치용 어퍼 암
KR101744994B1 (ko) 마찰저감형 쇽업소바
KR20100007181A (ko) 스트럿 어셈블리용 스프링 어퍼시트
KR102418628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JP2003021194A (ja) 防振装置
KR100522512B1 (ko)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장치
KR20060102209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트럿 마운트
KR19980067943U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구조
KR102263724B1 (ko) 차량의 서스펜션
KR101858978B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용 브래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