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264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264A
KR20190081264A KR1020170183668A KR20170183668A KR20190081264A KR 20190081264 A KR20190081264 A KR 20190081264A KR 1020170183668 A KR1020170183668 A KR 1020170183668A KR 20170183668 A KR20170183668 A KR 20170183668A KR 20190081264 A KR20190081264 A KR 20190081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adhesive
bending region
display devic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9830B1 (ko
Inventor
강신철
서미연
최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8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264A/ko
Priority to KR1020230004837A priority patent/KR102683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51/5246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H01L51/0097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강성 부재, 강성 부재 하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표시패널 및 강성 부재는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벤딩 가능하고, 지지 부재는 표시패널 및 강성 부재의 벤딩 시, 벤딩 영역 내 벤딩 기준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되며, 벤딩 영역에서, 강성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에는 접착 저감 부재가 위치하고, 벤딩 영역과 인접한 비 벤딩 영역에서, 강성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 부재가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장치의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TV(Television), 자동차 디스플레이,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기 위해, 구조적 변형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벤딩(bending) 가능한 표시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는 표시장치를 이루는 구성들의 휨 또는 접힘이 가능해야 한다.
상술한 휨 또는 접힘 가능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 하부에 표시패널을 지지하거나 보호하는 기구들을 결합시키는 접착층이 필요하다. 그리고, 접착층 역시 휨 또는 접힘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표시장치 벤딩 시, 외력에 의해서 접착층 내에 응력이 작용하여 접착층 표면이 울퉁불퉁 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경우, 접착층 상부에 배치된 표시패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표시패널의 표면 역시 울퉁불퉁한 접착층 표면을 따라 미세하게 울퉁불퉁해져 시야각에 따라 화면의 색상이 다르게 보이는 문제가 있다.
또한,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기구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다수의 접착층이 사용되어, 표시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된다. 표시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질 경우, 표시장치를 벤딩 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커지게 되고, 벤딩되는 구성들에도 과한 힘이 가해지게 되어 균열(crack)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기구 중 휘거나 접히기 어려운 성질을 갖는 기구는 표시장치가 벤딩 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시야각에 따라 화면 색상이 다르게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의 두께를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기구인 지지 부재가 표시장치의 벤딩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벤딩 기준 라인이 있는 벤딩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에 인접한 비 벤딩 영역을 구비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강성 부재, 강성 부재 하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표시패널 및 강성 부재는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벤딩 가능하고, 지지 부재는 표시패널 및 강성 부재의 벤딩 시, 벤딩 영역 내 벤딩 기준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되며, 벤딩 영역에서, 강성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에는 접착 저감 부재가 위치하고, 벤딩 영역과 인접한 비 벤딩 영역에서, 강성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위치한다.
이러한 표시장치에서, 접착 부재는 비 벤딩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거나, 비 벤딩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 및 접착 저감 부재는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접착 부재와 접착 저감 부재는 대응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벤딩 기준 라인이 있는 벤딩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에 인접한 비 벤딩 영역을 구비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강성 부재 및 강성 부재 하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표시패널 및 강성 부재는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벤딩 가능하고, 지지 부재는 표시패널 및 강성 부재의 벤딩 시, 벤딩 영역 내 벤딩 기준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되며, 강성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되고, 접착 부재에서,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접착력과, 비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접착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벤딩 기준 라인이 있는 벤딩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에 인접한 비 벤딩 영역을 구비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강성 부재 및 강성 부재 하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표시패널 및 강성 부재는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벤딩 가능하고, 지지 부재는 표시패널 및 강성 부재의 벤딩 시, 벤딩 영역 내 벤딩 기준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되며, 강성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되고, 접착 부재에서,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접착력과, 비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경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시야각에 따라 화면 색상이 다르게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의 두께를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기구인 지지 부재가 표시장치의 벤딩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가 일 방향으로 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벤딩 영역에 위치한 접착 저감 부재를 만들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부재와 접착 저감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부재와 접착 저감 부재를 이용할 때 영역 별 접착력의 경향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부재 및 접착 저감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를 A-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부재 및 접착 저감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C-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접착 부재의 다양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E-F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접착 부재가 벤딩 영역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BA)과 적어도 두 개의 비 벤딩 영역(NBA1, NBA2)을 포함하는 표시장치(100)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외력에 의해 구부려진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 될 수 있는 표시장치(100)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가 벤더블(bendable) 표시장치(100)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폴더블(foldable) 표시장치, 커브드(curved) 표시장치, 롤러블(rolable) 표시장치, 및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장치(100)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를 벤딩 시킨다는 것은 표시장치(100)를 휘거나 접는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개인 디지털 단말기, 자동차 네이게이션 유닛, 게임기, 휴대용 전자 기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면(IM)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평행하다. 표시면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하다. 즉, 제3 방향(DR3)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DR1, DR2)과 수직하다. 제3 방향(DR3)은 표시장치(100)의 두께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각 부재들의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표시면 상에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표시장치(100)는 해당 영역이 이미지를 표시 하는지 여부에 따라 표시영역(AA, 또는 활성 영역이라 지칭 될 수 있음) 및 비 표시영역(NA, 또는 비활성영역이라 지칭될 수 있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표시영역(AA)를 통해 이미지를 표시한다. 비 표시영역(NA)은 이미지를 표시 하지 않는다. 비 표시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및/또는 배선들이 배치 될 수 있다. 비 표시영역(NA)은 표시영역(AA)을 둘러쌀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인가된 외력에 따라 휘어지는 벤딩 영역(BA)과 인가된 외력에 따라 휘어지지 않는 제1 비 벤딩 영역(NBA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2)으로 구분 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예를 들어, 제2 방향(DR2)과 평행한 벤딩 기준 라인(BL)을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210), 표시패널(210) 하부에 배치된 강성 부재(220), 강성 부재(220) 하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24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210)과 강성 부재(220)은 벤딩 영역(BA)에서 벤딩이 가능하고, 지지 부재(240)는 표시패널 및 강성 부재(220)의 벤딩 시, 벤딩 영역(BA) 에 있는 벤딩 기준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될 수 있다. 지지 부재(24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제1 지지 부재(241)와 제2 지지 부재(242)를 포함한다.
그리고, 벤딩 영역(BA)과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 강성 부재(220)과 지지 부재(240) 사이에는 접착 저감 부재(233)와 접착 부재(230)가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벤딩 영역(BA) 영역에서는 강성 부재(220)와 지지 부재(240) 사이에 접착 저감 부재(233)가 위치하고,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는 강성 부재(220)와 지지 부재(240) 사이에 접착 부재(230)가 위치한다.
이 때, 접착 저감 부재(233)는 벤딩 기준 라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 대응하여 강성 부재(220)와 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패널(210)은 영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액정표시 패널 또는 유기발광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등일 수 있고,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강성 부재(220)은 표시패널(2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240)는 표시장치(100)가 벤딩된 상태일 때, 표시패널(210)과 강성 부재(2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표시패널(210), 강성 부재(220) 및 접착 저감 부재(233)는 모두 벤딩 기준 라인(BL)을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패널(210)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물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패널(21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강성 부재(22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패널(210)과 강성 부재(220)은 휘거나 접기 용이하도록, 두께가 얇을 수 있다.
지지 부재(24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지지 부재(240) 은 표시패널(210) 및 강성 부재(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면 충분하다.
접착 부재(230)는 벤딩 영역(BA)에 대응되는 부분의 접착력과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 대응되는 부분의 접착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딩 영역(BA)에 대응되는 접착 부재(230)의 접착력보다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 대응되는 접착 부재(230)의 접착력은 작을 수 있다.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는 지지 부재(240)가 접착 부재(230)를 통해 다른 구성과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벤딩 영역(BA)에서는 지지 부재(230)가 접착 부재(230)에 부착되지 않거나, 매우 약하게 접착력으로 붙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의 벤딩 기준 라인(BL)이 하나일 경우, 표시장치(100)가 벤딩되면 지지 부재(240)는 벤딩 기준 라인(BL)을 기준으로 2개의 지지 부재(241, 242)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가 벤딩 된 형태를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가 일 방향으로 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벤딩 영역(BA)에서 벤딩 기준 라인(BL)을 중심으로 휘거나 접힐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100)에 있어서, 제1 비 벤딩 영역(NBA1)은 벤딩 영역(BA)의 일 측에 위치하고, 제2 비 벤딩 영역(NBA2)은 벤딩 영역(BA)의 타 측에 각각 위치한다. 그리고, 벤딩 영역(BA)은 벤딩 기준 라인(BL)을 기준으로 제1 영역(BA1) 및 제2 영역(B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표시패널(210)의 표시면(IM)들이 벤딩된 상태의 표시장치(100) 내측에 위치하도록 벤딩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 표시면(IM)들이 표시장치(100)의 외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벤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가 벤딩된 상태일 때, 지지 부재(240)의 제1 지지 부재(241)는 벤딩 영역(BA)의 제1 영역(BA1)과 제1 비 벤딩 영역(NBA1)에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제2 지지 부재(242)는 벤딩 영역(BA)의 제2 영역(BA2)과 제2 비 벤딩 영역(NBA2)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1, 242)는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표시장치(100)가 벤딩된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서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1, 242)가 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210) 및 강성 부재(220)의 벤딩 시, 제1 지지 부재(241)는 벤딩 영역(BA)의 제1 영역(BA1)의 전체 또는 일부와 이격되고, 제2 지지 부재(242)는 벤딩 영역(BA)의 제2 영역(BA2)의 전체 또는 일부와 이격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1, 242)는 표시장치(100)가 벤딩된 상태일 때, 응력(stress)에 의해 표시패널(210)과 강성 부재(22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벤딩 영역(BA)에서 지지 부재(240)가 접착 부재(230)에 부착되지 않거나, 매우 약하게 접착력으로 붙어 있으므로 표시장치(100) 벤딩 시에, 지지 부재(240)는 벤딩 영역(BA) 내 벤딩 기준 라인(BL)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1, 242)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1, 242)는 표시패널(210)과 강성 부재(220) 등의 구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비교적 표시패널(210) 및 강성 부재(220)보다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표시장치(100)를 벤딩하기 위해서는 표시장치(100)에 외력을 가해야 하고 표시장치(10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휘거나 접는데 필요한 힘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표시장치(100) 벤딩 시, 지지 부재(240)까지 벤딩시킬 경우, 표시패널(210)과 강성 부재(220)만을 벤딩 시키는데 필요한 힘보다 더 큰 힘을 가해야만 한다.
그러나, 표시패널에는 다수의 소자들이 존재하고, 과도한 힘이 가해질 경우 표시패널에 포함된 소자들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지지 부재(240)는 벤딩 영역(BA)에서 접착 부재(230)에 접착되지 않거나, 매우 약한 접착력으로 접착되어 있으므로 표시장치(100) 벤딩 시에 벤딩 영역(BA)에 위치한 접착 부재(230)의 전체 또는 일부와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지지 부재(240)는 벤딩되는 구성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240)는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 구비된 접착 부재(230)를 통해 강성 부재(220)에 고정되어, 표시장치(100) 벤딩 시, 강성 부재(220)과 표시패널(210)을 지지한다.
따라서, 표시패널(210)에 구비된 소자들의 손상에 대한 염려 없이 표시장치(100)를 벤딩 시킬 수 있으며, 표시장치(100) 벤딩 시 벤딩되는 구성들(표시패널 및 강성 부재)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조를 자세히 검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210) 상에 배치되는 커버윈도우(45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210) 하부에는 강성 부재(210)이 배치되고, 강성 부재(210) 하부에는 접착제(460)와 필름층(270)이 위치한다. 필름층(270) 하부에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1, 242)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240)가 배치된다.
그리고, 벤딩 영역(BA) 및 벤딩 영역(BA)과 인접한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 강성 부재(220)과 지지 부재(240) 사이에는 접착 부재(230)가 위치한다.
커버윈도우(450)는 표시패널(210)이 외부 충격에 의해 깨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강성 부재(220)은 표시패널(210)을 지지하고 표시패널(210)로부터 전달된 열을 방열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벤딩 영역(BA)에 대응되는 부분과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 대응되는 부분은 서로 다른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성 부재(220)은 벤딩 영역(BA)에서 적어도 하나의 홈(421)을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홈(421)은 표시장치(100)를 벤딩 시킬 때, 강성 부재(220)이 벤딩 되기 쉽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름층(270)은 접착 부재(260)가 평탄한 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접착 부재(260)의 평탄도가 떨어질 경우, 영역별로 접착 부재(260)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접착 부재(260) 상에 배치된 표시패널(210) 역시 평탄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시야각에 따라 화면이 다르게 보이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접착 부재(230)는 벤딩 영역(BA)에서 표시장치(100)가 벤딩될 때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1, 242)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접착 부재(230)는 벤딩 영역(BA)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접착 부재(230)에 광을 조사하는 공정으로 만들 수 있다.
접착 부재(230)를 만드는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부재를 만들기 위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필름층(260) 하부에는 광 경화성 접착 물질(530)된다. 광 경화성 접착 물질(530) 배면에는 차광 테이프(580)가 부착된다.
차광 테이프(580)는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만 부착될 수 있다. 즉, 차광 테이프(280)는 벤딩 영역(BA)에서 광 경화성 접착 물질(530)의 배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광 테이프(580)로 인해 노출된 광 경화성 접착 물질(530)의 배면 전체 또는 일부에 광(예를 들면, 자외선)을 조사한다. 광 조사가 완료되면 광 경화성 접착 물질(530) 배면에 부착된 차광 테이프(580)을 제거한다.
이 때, 광 경화성 접착 물질(530)에 광이 조사된 영역, 즉, 벤딩 영역(BA)에 위치한 광 경화성 접착 물질(530)은 접착력이 저감되거나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광 경화성 접착 물질(530)에 광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 즉,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 위치한 광 경화성 접착 물질(530)은 높은 접착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벤딩 영역(BA)에 위치된 광 경화성 접착 물질(530)은 광 조사로 인해 접착력이 저감되거나 사라지게 되고,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 위치된 광 경화성 접착 물질(530)은 접착력이 그대로 남아있는 도 4의 접착 부재(230)가 된다.
상술한 접착 부재(230)에서 벤딩 영역(BA)에 대응되는 부분의 경도와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 대응되는 부분의 경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 부재(230)는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 대응되는 경도가 벤딩 영역(BA)에 대응되는 경도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표시장치(100) 벤딩 시에, 접착 부재(230)의 벤딩 영역(BA)과 대응되는 부분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접착 부재(230)의 벤딩 영역(BA)과 대응되는 부분과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경도가 상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접착 부재(230)의 벤딩 영역(BA)과 대응되는 부분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져도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4에 도시한 구조뿐만 아니라, 도 6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커버윈도우(450), 표시패널(210), 강성 부재(220), 접착 부재(230), 접착 저감 부재(233) 및 지지 부재(240)를 포함한다.
접착 부재(230)는 벤딩 영역(BA)과 인접한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 강성 부재(220)과 지지 부재(240) 사이에 위치한다. 접착 저감 부재(233)는 벤딩 영역(BA)에서 강성 부재(220)과 지지 부재(240)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접착 저감 부재(233)는 연질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성이 없거나 약하고 휘거나 접기 용이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 저감 부재(233)가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므로, 벤딩 영역(BA)에서는 제1 및 제2 지지 부재(240)가 접착 저감 부재(233)와 부착되어 있지 않거나, 매우 약한 접착력으로 붙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100)를 벤딩 시킬 때, 지지 부재(240)가 벤딩 영역(BA)에 있는 접착 저감 부재(233)와 분리되므로 표시장치(100) 벤딩 시 지지 부재(240)의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부재(230)와 접착 저감 부재(233)는 동일한 층에 위치한다. 따라서, 강성 부재(220)과 지지 부재(240) 사이에는 하나의 층만 배치되어, 표시장치(10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장치(100)를 벤딩 시키기 위해 표시장치(100)에 가하는 힘이 작아질 수 있으므로, 벤딩에 참여하는 구성들, 예를 들면, 표시패널(210), 강성 부재(220), 접착 저감 부재(233)에 가해지는 힘도 작아져 균열이 발생할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230)와 접착 저감 부재(233)는 대응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접착 부재(230)의 높이(T1)와 접착 저감 부재(233)의 높이(T2)는 동일할 수 있다.
접착 부재(230)의 두께(T1)와 접착 저감 부재(233)의 두께(T2)가 서로 상이할 경우, 접착 부재(230)와 접착 저감 부재(233) 상부에 배치된 표시패널(210)에 굴곡이 생길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야각에 따라 화면이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즉, 표시장치(100)의 화상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접착 부재(230)의 두께(T1)와 접착 저감 부재(233)의 두께(T2)가 서로 대응됨으로써, 시청자가 시야각 범위 내의 어떤 각도에서 화면을 보더라도 동일한 색상의 화면을 볼 수 있다.
접착 부재(230)는 접착성을 갖는 연질의 유기물질일 수 있으며 접착 저감 부재(233)는 접착성이 없는 연질의 유기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 부재(230)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적 투명 레진(Optically Clear Resin, OCR), 광학적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접착 저감 부재(233)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하는 ABS 수지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접착 저감 부재(233)는 접착성이 없는 연질의 유기 물질이면서, 외력(예를 들면, 표시장치 벤딩 시 접착 저감 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접착 저감 부재(233) 내에 생기는 응력이 발생하여도 뭉침이나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 물질이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 위치하는 접착 부재(230)가 접착성을 가짐으로써, 강성 부재(220)과 지지 부재(240)를 단단히 고정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벤딩 영역(BA)에 위치하는 접착 저감 부재(233)가 연질의 유기물질이므로 표시장치(100) 벤딩 시, 균열 없이 벤딩 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성이 없으므로, 지지 부재(240)가 접착 저감 부재(233)에 붙어 표시장치(100)가 벤딩 되는 것을 방해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부재(230)와 접착 저감 부재(233)의 배치 구성과 영역에 따른 접착력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부재와 접착 저감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부재와 접착 저감 부재를 이용할 때 영역 별 접착력의 경향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벤딩 영역(BA)에는 접착 저감 부재(233)가 위치하고, 벤딩 영역(BA)과 인접하는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는 접착 부재(230)가 위치한다.
즉, 접착 부재(230)는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전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 저감 부재(233)는 벤딩 영역(BA)의 전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접착 저감 부재(233)내에 응력이 작용하여도 뭉침이나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 물질임을 설명한 바 있다. 이러한 접착 저감 부재(233)가 벤딩 영역(BA) 전체에 위치함으로써, 표시장치(100) 벤딩 시 접착 저감 부재(233)에 응력(예를 들면, 표시장치 벤딩 시 접착 저감 부재에 외력이 가해져 접착 저감 부재 내에 작용하는 응력)이 발생하여도 두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접착 저감 부재(233)에 응력이 발생하여 뭉치거나 유동이 발생할 경우, 응력을 크게 받는 영역에서는 접착 저감 부재(233)의 물질이 다른 영역으로 밀려 두께가 얇아지고 응력을 적게 받는 영역에서는 접착 저감 부재(233)의 물질이 뭉쳐서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즉, 접착 저감 부재(233)는 영역 별로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 저감 부재(233) 상에 위치하는 표시패널(210)의 표면이 웨이비 (wavy)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상 품질이 떨어지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저감 부재(233)에 응력이 발생하여도 뭉침이나 유동이 발생하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접착 저감 부재(233)가 표시장치(100) 벤딩 시 가장 외력이 크게 작용하는 벤딩 영역(BA) 영역 전체에 위치함으로써, 표시장치(100)의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부재(230)가 위치한 제1 및 제 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는 접착 부재(230)가 위치하여 접착력이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접착 저감 부재(233)가 위치한 벤딩 영역(BA)에서는 접착력이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부재와 접착 저감 부재는 도 7에 도시된 형태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9 내지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부재 및 접착 저감 부재를 도시하였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부재 및 접착 저감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일부에 다수의 접착 부재(230)가 배치된다. 그리고, 벤딩 영역(BA)과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일부에 접착 저감 부재(233)가 배치된다. 즉, 도 9의 접착 저감 부재(233)는 강성 부재(220)과 지지 부재(240)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다수의 접착 부재(230)가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 일렬로 배치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수의 접착 부재(230)가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등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접착 부재(23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접착 부재(230)는 서로 이격되어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접착 저감 부재(233)는 접착 부재(230)를 둘러쌀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접착 부재(230)가 서로 이격됨으로써, 다수의 접착 부재(230)가 영역 별로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9를 A-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벤딩 영역(BA)과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일부에는 접착 저감 부재(233)가 배치되고, 제 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일부에 접착 부재(230)가 배치된다.
접착 부재(230)는 접착 저감 부재(233)에 구비된 다수의 홈에 삽입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 저감 부재(233)는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 다수의 홈을 구비하고, 다수의 홈에는 접착 부재(23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 저감 부재(233)를 펀칭(puching)등의 공정을 통해 다수의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수의 홈에는 접착 부재(230)를 채워 넣음으로써, 도 10의 구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표시장치(100) 벤딩 시,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벤딩 영역의 양쪽 경계 영역 근처는 제외)에도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여기서, 벤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근처라 함은 벤딩 영역(BA)과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경계 및 이러한 경계와 인접한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일부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접착 부재(230)가 접착 저감 부재(233)에 구비된 홈에 삽입되어 갇혀 있으므로 접착 부재(230) 내에 외력에 의한 응력이 발생하여도 접착 부재(230) 물질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표시장치(100) 벤딩 시에도 영역 별로 접착 부재(230)의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부재 및 접착 저감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접착 부재(230)는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접착 부재(1131)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2 접착 부재(113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접착 부재(113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제외하고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접착 부재(1131)는 제1 비 벤딩 영역(NBA1)의 세 개의 테두리와 제2 비 벤딩 영역(NBA2)의 세 개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131)가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외곽에서 강성 부재(220)과 지지 부재(240)가 단단히 고정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접착 부재(1132)가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테두리 내측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테두리 내측에서 강성 부재(220)과 지지 부재(240)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접착 저감 부재(233)는 평면 상에서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의 하나의 타입일 수 있다.
접착 부재(230)와 접착 저감 부재(233)를 강성 부재(220) 하부에 결합 시키기 전에, 접착 부재(230)와 접착 저감 부재(233) 상면에는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접착 부재(230)와 접착 저감 부재(233)를 강성 부재(220) 하부에 결합 시키기는 단계에서는 보호 필름을 제거해야 하는데, 접착 부재(230)가 평면 상에서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의 하나의 타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보호 필름이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제2 접착 부재(1132)는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제2 접착 부재(1132)는 제1 접착 부재(1131)와 이격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접착 부재(1132)는 서로 이격되어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접착 부재(1131)는 다수의 제2 접착 부재(1132)의 외곽에 위치한다. 접착 저감 부재(233)는 벤딩 영역(BA)에 위치한다. 그리고, 접착 저감 부재(233)는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도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11의 접착 저감 부재(233)는 강성 부재(220)과 지지 부재(240)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 위치하는 접착 저감 부재(233)는 제2 접착 부재(1132)와 인접한 다른 제2 접착 부재(11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접착 부재(1132)와 제1 접착 부재(1131)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접착 부재(1131, 1132)를 포함하는 접착 부재(230)는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일부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장치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접착 부재(230)의 두께 변화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도 11의 C-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벤딩 영역(BA)과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일부에는 접착 저감 부재(233)가 배치되고, 제 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일부에 제 1 및 제2 접착 부재(1131, 1132)가 배치된다.
제1 접착 부재(1131)는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테두리의 일부에 대응되도록 위치하고,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 제2 접착 부재(1132)는 제1 접착 부재(1131)의 내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 접착 저감 부재(233)는 제1 접착 부재(1131)과 제2 접착 부재(1132) 사이, 제2 접착 부재(1132)와 인접한 다른 제2 접착 부재(1132)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제1 및 제2 접착 부재(1131, 1132)는 접착 저감 부재(233)에 구비된 다수의 홈에 삽입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 저감 부재(233)는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 다수의 홈을 구비하고, 다수의 홈에는 제1 접착 부재(1131) 또는 제2 접착 부재(1132)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접착 부재(1131, 1132)가 접착 저감 부재(233)에 구비된 홈에 삽입되어 갇혀 있으므로 접착 부재(230) 내에 외력에 의한 응력이 발생하여도 접착 부재(230) 물질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표시장치(100) 벤딩 시에도 영역 별로 접착 부재(230)의 두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접착 부재(1131)의 폭(W1)은 제2 접착 부재(1132)의 폭(W2)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다수의 제2 접착 부재(1132)의 폭(W2)은 모두 동일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서는 제1 접착 부재(1131)가 벤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과 인접한 영역을 제외하고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발명의 접착 부재(230)가 제1 접착 부재(1131)를 포함할 때, 제1 접착 부재(1131)가 제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접착 부재(1131)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3 내지 도 15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접착 부재의 다양한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접착 부재(1131)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비 벤딩 영역(NBA1)의 두 개의 테두리와 제2 비 벤딩 영역(NBA2)의 두 개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접착 부재(1131)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비 벤딩 영역(NBA1)의 하나의 테두리와 제2 비 벤딩 영역(NBA2)의 하나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접착 부재(1131)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비 벤딩 영역(NBA1)의 테두리 전체와 제2 비 벤딩 영역(NBA2)의 테두리 전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접착 부재(1131)는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모든 테두리에 대응하여 다수의 제2 접착 부재(1132)를 둘러쌀 수 있다.
한편, 표시장치(100) 벤딩 시, 벤딩되는 구성들(지지 부재(240) 제외)은 벤딩 영역(BA)과 벤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 근처에서 가장 많이 늘어나게 된다. 이 때, 접착 저감 부재(233)와 벤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제1 접착 부재(1131)은 다른 영역에 위치한 구성들에 비해 외력(예를 들면, 장력(tension))을 많이 받게 된다.
즉, 접착 저감 부재(233)와 제1 접착 부재(1131)에는 벤딩 영역(BA)과 벤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 근처에서 가장 큰 외력을 받는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접착 부재(1131)가 접착 저감 부재(233)에 구비된 홈에 갇혀 있으므로 제1 접착 부재(1131) 내에 외력에 의한 응력이 발생하여도 제1 접착 부재(1131) 물질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벤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제1 접착 부재(1131)의 두께는 표시장치(100) 벤딩 시에도 다른 영역에 배치된 제1 및 제2 접착 부재(1131, 1132)두께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 부재(1131)가 벤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도 위치함으로써, 표시장치(100) 벤딩 시 가장 큰 장력을 받는 영역에서도 제1 접착 부재(1131)에 부착되는 지지 부재(240)가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E-F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벤딩 영역(BA)과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일부에는 접착 저감 부재(233)가 배치되고, 제 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일부에 제 1 및 제2 접착 부재(1131, 1132)가 배치된다.
이 때, 제1 접착 부재(1131)의 폭(W1, W3)은 제2 접착 부재(1132)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의 외측에 위치한 제1 접착 부재(1131)의 폭(W1)은 벤딩 영역(BA)의 양쪽 경계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제1 접착 부재(1131)의 폭(W3)과 상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제1 접착 부재(1131)는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폭이 달라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에서 제1 접착 부재(1131)는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면 충분하며, 테두리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지금까지는 제1 비 벤딩 영역(NBA1)과 제2 비 벤딩 영역(NBA2)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접착 부재(1131, 1132)가 벤딩 영역(BA)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접착 부재가 벤딩 영역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비 벤딩 영역(NBA1)의 테두리 전체에 대응되도록 제1 접착 부재(1131)가 배치되나, 제2 비 벤딩 영역(NBA2)에는 네 개의 테두리 중 세 개의 테두리에만 대응되도록 제1 접착 부재(1131)가 배치된다.
또한, 제1 비 벤딩 영역(NBA1)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1132)는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에서 인접한 다른 제2 접착 부재(1132)와 모두 제1 간격(D1)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비 벤딩 영역(NBA1)에 배치된 제2 접착 부재(1131)는 수평 방향에서는 인접한 다른 제2 접착 부재(1132)와 모두 제1 간격(D1)을 두고 배치되나, 수직 방향에서는 인접한 다른 제2 접착 부재(1132)와 제1 간격(D1)을 두고 배치되거나, 제1 간격(D1)과 상이한 제2 간격(D2)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접착 부재(1131, 1132)는 벤딩 영역(BA)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NBA2)에서 비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2 접착 부재(1131, 1132)의 위치는 도 16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벤딩 영역(BA)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비 벤딩 영역(NBA1, BNA2)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1131)와 제2 접착 부재(1132) 중 적어도 하나가 비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도 1 내지 도 17에서는 표시장치(100)의 벤딩 영역(BA)이 하나이고, 비 벤딩 영역(NBA)이 두 개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 18에 도시한 구조의 표시장치일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벤딩 영역(BA1)을 사이에 두고 제1 비 벤딩 영역(NBA1)과 제2 비 벤딩 영역(NBA2)이 배치되고, 제2 벤딩 영역(BA2)을 사이에 두고 제2 비 벤딩 영역(NBA2)과 제3 비 벤딩 영역(NBA3)이 배치된다.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은 같은 방향으로 벤딩 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벤딩 영역(BA1, BA2)에는 접착 저감 부재(233)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비 벤딩 영역(NBA1, NBA2, NBA3)에는 접착 부재(23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벤딩 영역(BA1, BA2)에서 강성 부재(220)과 지지 부재(240) 사이에는 접착 저감 부재(233)가 위치하고, 제1 내지 제3 비 벤딩 영역(NBA1, NBA2, NBA3)에서, 강성 부재(220)과 지지 부재(240) 사이에는 접착 부재(230)가 위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지지 부재(240)는 제1 지지 부재(241), 제2 지지 부재(242) 및 제3 지지 부재(1843)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100)가 제1 및 제2 벤딩 영역(BA1, BA2)에서 벤딩될 경우, 제1 지지 부재(241)와 제2 지지 부재(242)는 제1 벤딩 영역(BA1)에 있는 제1 벤딩 기준 라인(BL1)을 기준으로 분리되고, 제2 지지 부재(242)와 제3 지지 부재(1843)는 제2 벤딩 영역(BA2)에 있는 제2 벤딩 기준 라인(BL2)을 기준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서는 표시장치(100)가 두 개의 벤딩 영역(BA1, BA2)을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표시장치(100)가 두 개 이상의 벤딩 영역을 구비하는 구성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하나의 이상의 벤딩 영역에서 벤딩되어 사용자 마음대로 벤딩 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시야각에 따라 화면 색상이 다르게 보이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의 두께를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기구인 지지 부재가 표시장치의 벤딩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장치
210: 표시패널
220: 강성 부재
230: 접착 부재
233: 접착 저감 부재
240: 지지 부재

Claims (16)

  1. 벤딩 기준 라인이 있는 벤딩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에 인접한 비 벤딩 영역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된 강성 부재; 및
    상기 강성 부재 하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벤딩 가능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강성 부재의 벤딩 시, 상기 벤딩 기준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되며,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강성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는 접착 저감 부재가 위치하고,
    상기 비 벤딩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강성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위치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저감 부재는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저감 부재는, 상기 벤딩 기준 라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비 벤딩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강성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저감 부재는, 상기 접착 부재를 둘러 싸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비 벤딩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1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비 벤딩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접착 부재와 상기 접착 저감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2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는, 상기 비 벤딩 영역의 모든 테두리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의 제2 접착 부재를 둘러싸는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 접착 부재 각각은 평면 상에서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하나의 타입인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와 상기 접착 저감 부재는 대응되는 높이를 갖는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의 두께는 상기 지지 부재의 두께보다 얇은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에서,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비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은 서로 다른 표면을 갖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에서,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표면에는 다수의 홈이 존재하는 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강성 부재는 둘 이상의 벤딩 영역에서 벤딩 가능한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 벤딩 영역은 상기 벤딩 영역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비 벤딩 영역과 제2 비 벤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벤딩 영역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비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벤딩 영역의 제2 영역과 상기 제2 비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강성 부재의 벤딩 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벤딩 영역의 제1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벤딩 영역의 제2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와 이격되는 표시장치.
  15. 벤딩 기준 라인이 있는 벤딩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에 인접한 비 벤딩 영역을 구비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강성 부재; 및
    상기 강성 부재 하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벤딩 가능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강성 부재의 벤딩 시, 상기 벤딩 기준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되며,
    상기 강성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접착 부재에서,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접착력과, 비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접착력은 서로 다른 표시장치.
  16. 벤딩 기준 라인이 있는 벤딩 영역 및 상기 벤딩 영역에 인접한 비 벤딩 영역을 구비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강성 부재; 및
    상기 강성 부재 하부에 배치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벤딩 가능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강성 부재의 벤딩 시, 상기 벤딩 영역 내 벤딩 기준 라인을 기준으로 분리되며,
    상기 강성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접착 부재에서, 상기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경도와, 비 벤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경도는 서로 다른 표시장치.
KR1020170183668A 2017-12-29 2017-12-29 표시장치 KR10248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668A KR102489830B1 (ko) 2017-12-29 2017-12-29 표시장치
KR1020230004837A KR102683027B1 (ko) 2023-01-12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668A KR102489830B1 (ko) 2017-12-29 2017-12-29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4837A Division KR102683027B1 (ko) 2023-01-12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264A true KR20190081264A (ko) 2019-07-09
KR102489830B1 KR102489830B1 (ko) 2023-01-18

Family

ID=6726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668A KR102489830B1 (ko) 2017-12-29 2017-12-2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830B1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2850B2 (en) 2017-01-03 2020-07-14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a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0866665B2 (en) 2017-01-03 2020-12-1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N112700720A (zh) * 2019-10-22 2021-04-23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制造其的方法
US11016590B2 (en) 2017-01-03 2021-05-2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116098B2 (en) 2018-12-10 2021-09-07 Corning Incorporated Dynamically bendable automotive interior display systems
US11292343B2 (en) 2016-07-05 2022-04-05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ed glass article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US11332011B2 (en) 2017-07-18 2022-05-17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US11331886B2 (en) 2016-06-28 2022-05-17 Corning Incorporated Laminating thin strengthened glass to curved molded plastic surface for decorative and display cover application
US11384001B2 (en) 2016-10-25 2022-07-12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 glass lamination to a display
CN114927063A (zh) * 2022-05-27 2022-08-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US11459268B2 (en) 2017-09-12 2022-10-04 Corning Incorporated Tactile elements for deadfronted glas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518146B2 (en) 2018-07-16 2022-12-06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forming a vehicle interior system
US11550148B2 (en) 2017-11-30 2023-01-10 Corning Incorporated Vacuum mol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curved mirrors
US11597672B2 (en) 2016-03-09 2023-03-07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US11660963B2 (en) 2017-09-13 2023-05-30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US11675393B2 (en) 2020-01-07 2023-06-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85684B2 (en) 2017-05-15 2023-06-27 Corning Incorporated Contoured glass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685685B2 (en) 2019-07-31 2023-06-27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ld-forming glass
US11718071B2 (en) 2018-03-13 2023-08-08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rack resistant curved cover glas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745588B2 (en) 2017-10-10 2023-09-0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with improved reliability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768369B2 (en) 2017-11-21 2023-09-26 Corning Incorporated Aspheric mirror for head-up display system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767250B2 (en) 2017-11-30 2023-09-26 Corning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vacuum-forming aspheric mirrors
US11772491B2 (en) 2017-09-13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Light guide-based deadfront for display, related methods and vehicle interior systems
US11772361B2 (en) 2020-04-02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Curved glass construction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4506A (ko) * 2010-10-01 2012-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3608A (ko) * 2014-12-31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9583A (ko) * 2015-01-19 2016-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144912A (ko) * 2015-06-08 2016-1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170026021A (ko) * 2015-08-31 2017-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지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47713A (ko) * 2015-10-23 2017-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70084402A (ko) * 2016-01-11 2017-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4506A (ko) * 2010-10-01 2012-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3608A (ko) * 2014-12-31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9583A (ko) * 2015-01-19 2016-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144912A (ko) * 2015-06-08 2016-1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170026021A (ko) * 2015-08-31 2017-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지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47713A (ko) * 2015-10-23 2017-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70084402A (ko) * 2016-01-11 2017-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ited B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7672B2 (en) 2016-03-09 2023-03-07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US11331886B2 (en) 2016-06-28 2022-05-17 Corning Incorporated Laminating thin strengthened glass to curved molded plastic surface for decorative and display cover application
US11338556B2 (en) 2016-06-28 2022-05-24 Corning Incorporated Laminating thin strengthened glass to curved molded plastic surface for decorative and display cover application
US11292343B2 (en) 2016-07-05 2022-04-05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ed glass article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US11850942B2 (en) 2016-07-05 2023-12-26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ed glass article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US11607958B2 (en) 2016-07-05 2023-03-21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ed glass article and assembly process thereof
US11384001B2 (en) 2016-10-25 2022-07-12 Corning Incorporated Cold-form glass lamination to a display
US11009983B2 (en) 2017-01-03 2021-05-18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a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016590B2 (en) 2017-01-03 2021-05-2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768549B2 (en) 2017-01-03 2023-09-26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586306B2 (en) 2017-01-03 2023-02-21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0712850B2 (en) 2017-01-03 2020-07-14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a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899865B2 (en) 2017-01-03 2024-02-13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a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0866665B2 (en) 2017-01-03 2020-12-1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0732753B2 (en) 2017-01-03 2020-08-04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and a display or touch panel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685684B2 (en) 2017-05-15 2023-06-27 Corning Incorporated Contoured glass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332011B2 (en) 2017-07-18 2022-05-17 Corning Incorporated Cold forming of complexly curved glass articles
US11459268B2 (en) 2017-09-12 2022-10-04 Corning Incorporated Tactile elements for deadfronted glas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713276B2 (en) 2017-09-12 2023-08-01 Corning Incorporated Tactile elements for deadfronted glas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2012354B2 (en) 2017-09-12 2024-06-18 Corning Incorporated Deadfront for displays including a touch panel on decorative glass and related methods
US11660963B2 (en) 2017-09-13 2023-05-30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US11919396B2 (en) 2017-09-13 2024-03-05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US11772491B2 (en) 2017-09-13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Light guide-based deadfront for display, related methods and vehicle interior systems
US11745588B2 (en) 2017-10-10 2023-09-05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urved cover glass with improved reliability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768369B2 (en) 2017-11-21 2023-09-26 Corning Incorporated Aspheric mirror for head-up display system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767250B2 (en) 2017-11-30 2023-09-26 Corning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vacuum-forming aspheric mirrors
US11550148B2 (en) 2017-11-30 2023-01-10 Corning Incorporated Vacuum mold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curved mirrors
US11718071B2 (en) 2018-03-13 2023-08-08 Corning Incorporated Vehicle interior systems having a crack resistant curved cover glas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11518146B2 (en) 2018-07-16 2022-12-06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forming a vehicle interior system
US11116098B2 (en) 2018-12-10 2021-09-07 Corning Incorporated Dynamically bendable automotive interior display systems
US11685685B2 (en) 2019-07-31 2023-06-27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cold-forming glass
CN112700720A (zh) * 2019-10-22 2021-04-23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制造其的方法
US11576268B2 (en) 2019-10-22 2023-02-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812876A1 (en) * 2019-10-22 2021-04-28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having a flexible folding are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675393B2 (en) 2020-01-07 2023-06-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72361B2 (en) 2020-04-02 2023-10-03 Corning Incorporated Curved glass construction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US12011914B2 (en) 2020-04-02 2024-06-18 Corning Incorporated Curved glass constructions and methods for forming same
CN114927063A (zh) * 2022-05-27 2022-08-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094A (ko) 2023-01-25
KR102489830B1 (ko)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1264A (ko) 표시장치
CN107870467B (zh) 显示装置
US9377174B2 (en) Display device
CN107801299B (zh) 柔性印刷电路和显示装置
JP6220499B2 (ja) 可撓性表示パネル及び該可撓性表示パネルを備える表示装置
KR101935552B1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442316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ght-transmitting cover having a lens portion
KR102442849B1 (ko)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타일형 표시 장치
US1095571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47384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090033826A1 (en) Display device
US20060176417A1 (en) Flat panel display
JP2016085454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JP2009080289A (ja) 表示装置
US9959824B2 (en) Narrow bezel flat panel display
WO2015195222A1 (en) Display with column spacer structures
KR20170066761A (ko) 커브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384149A1 (en) Method of bonding integrated circuit chip to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20190072237A (ko) 폴더블 표시장치
EP3819704A1 (en) Display device
US20160231774A1 (en) Display module
US9612470B2 (en) Display with column spacer structures
KR102431202B1 (ko) 대형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8091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683027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