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222A -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222A
KR20190080222A KR1020170182551A KR20170182551A KR20190080222A KR 20190080222 A KR20190080222 A KR 20190080222A KR 1020170182551 A KR1020170182551 A KR 1020170182551A KR 20170182551 A KR20170182551 A KR 20170182551A KR 20190080222 A KR20190080222 A KR 20190080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water
water supply
supply pipe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3143B1 (ko
Inventor
조형래
Original Assignee
조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래 filed Critical 조형래
Priority to KR1020170182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1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증가되도록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을 늘려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은,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 장치에 사용되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물을 안내하는 길다란 형상의 관 부재; 및 상기 관 부재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타단으로 안내된 물을 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반사시킴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시키는 물 반사 분출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Water supplying pipe for coffee brew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추출 장치는 로스팅(roasting) 한 커피 원두를 그라인딩(grinding) 하여 물을 가해 커피로부터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내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커피 추출은, 로스팅 된 원두의 특징, 그라인딩 된 원두의 입자,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 거름장치 등의 도구에 따라 커피 성분을 뽑아내는 것을 말한다. 뜨거운 물이 그라인딩 된 커피 입자에 스며 들어 가용성 성분이 용해되면 커피 입자 밖으로 용해된 성분이 용출된다. 커피 입자에 남은 가용성 성분과 뜨거운 물의 가용성 성분의 농도가 같아지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커피 추출은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의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추출용기 안에 물과 커피가루를 넣어 짧은 시간 동안 끊인 후 커피가루가 가라앉는 후 음용하도록 하는 달임 방식(decoction)(예를 들어, 터키식 커피)과, 추출용기 안에 물과 커피가루를 넣고 커피 성분이 용해되기를 기다린 후 커피가루를 가라앉히고 음용하도록 하는 우려내기 방식(infusion)(예를 들어, 프렌치 프레스)과, 추출용기 안에 커피가루를 넣고 그 위에 뜨거운 물을 부어 밑의 용기에 떨어진 커피를 음용하도록 하는 여과 방식(brewing)(예를 들어, 커피메이커, 핸드드립, 워터드립)과, 분쇄된 커피가루에 뜨거운 물을 압력을 가해 통과시켜 음용하도록 하는 가압추출법(pressed extraction)(예를 들어, 모카포트, 에스프레소)이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여과 방식을 이용한 커피 추출 장치가 가정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여과 방식의 커피 추출 장치는, 뜨거운 물이 추출용기 안에 있는 커피가루에 오래 머물지 못하고 바로 밑의 포트 용기로 떨어져 버려서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증가되도록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을 늘려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을 조절하여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은,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 장치에 사용되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물을 안내하는 길다란 형상의 관 부재; 및 상기 관 부재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타단으로 안내된 물을 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반사시킴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시키는 물 반사 분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반사 분출 부재는, 상기 속이 빈 역 삼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반사 분출 부재는, 상기 관 부재와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길다란 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일단은 상기 물 반사 분출 부재의 내면에 용접될 수 있고, 그 타단은 상기 관 부재의 타단에 용접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물 반사 분출 부재는, 상기 관 부재와 착탈부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물 반사 분출 부재의 내면에 구비되는 암나사; 및 상기 관 부재의 타단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면 상기 암나사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 부재의 타단부에는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하부 받침대와 수직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물이 채워지며 상단에 상부 개방부와 하단에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물 공급 용기; 상기 각각의 개구에 일단이 구비되고 타단이 아래를 향하며 길다란 관 형상을 하는 각각의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상기 상부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 공급관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각각의 물 조절봉;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물 공급관의 아래에 구비되고 커피가루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원액 추출부; 및 상기 하부 받침대에 올려지며 상기 추출된 커피 원액을 받는 원액 저장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이 뾰족하도록 그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피 원액 추출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며 통과공을 가지는 중간 받침대; 상기 중간 받침대에 지지되고 상단에 상단 개방부와 하단에 하단 개방부를 가지며 아래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는 관통된 형상의 여과컵; 상기 상단 개방부를 통해 상기 여과컵의 내주면에 안착되고 상기 커피가루를 수용하며 상기 각각의 물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여과지; 및 상기 여과컵의 상기 하단 개방부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된 커피 원액을 상기 원액 저장 용기로 산발적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추출 유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유도 부재는, 복수의 블레이드가 허브를 기준으로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물 공급 용기의 외주면을 착탈 가능하게 감싸는 용기 파지 부재; 및 상기 용기 파지 부재를 상기 수직 지지대에 대해 상하 이동시키는 제1 상하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하 이송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다랗게 구비되는 제1 레일; 및 상기 용기 파지 부재에 구비되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상기 각각의 물 조절봉의 상단이 고정되어 연결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를 상기 물 공급 용기에 대해 상하 이동시키는 제2 상하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하 이송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는 길다란 막대 형상의 제2 슬라이더: 상기 물 공급 용기의 상기 상부 개방부를 가로 질러 놓이는 가로 지지 부재; 및 상기 가로 지지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고리 형상의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및 이를 사용하는 커피 추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 장치에 사용되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으로, 길다란 형상의 관 부재와 물 반사 분출 부재를 포함하고, 물 반사 분출 부재는 관 부재의 타단에 구비되며 타단으로 안내된 물을 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반사시킴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시키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이 커피가루에 파묻혀 사용될 경우 커피가루의 표면에까지 물이 반사되어 분출됨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되면서 물과 그라인딩 된 커피와의 접촉시간을 늘릴 수 있어,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의 증가로 사용자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와, 물 공급 용기와, 복수의 물 공급관과, 각각의 물 조절봉과, 그리고 커피 원액 추출부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치의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복수의 물 공급관을 통해 넓은 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물이 공급되므로 커피 원액 추출부에 수용된 커피가루를 균일하게 우릴 수 있고, 이와 함께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각각의 물 조절봉을 통해 물과 커피가루와의 접촉시간을 조절하여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피 추출 장치 중 커피 원액 추출부의 추출 유도 부재가 여과컵의 하단 개방부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커피 추출 장치를 통해 커피 원액이 추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130)은, 물(도 3의 10)을 이용하여 커피가루(도 3의 20)로부터 커피 원액(도 5의 30)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 장치(도 3의 100)에 사용되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부재(131)와 물 반사 분출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관 부재(131)는, 그 일단에서 그 타단으로 물 공급 용기(도 3의 120)의 물(도 3의 10)을 안내하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 반사 분출 부재(132)는, 관 부재(131)의 타단으로 안내된 물을 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반사시킴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부재(131)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반사 분출 부재(1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부재(131)의 타단으로 안내된 물이 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반사됨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되도록 속이 빈 역 삼각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물 반사 분출 부재(132)는 관 부재(131)와 연결 부재(13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13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일단은 물 반사 분출 부재(132)의 내면에 용접될 수 있고, 그 타단은 관 부재(131)의 타단에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제공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130)이 커피가루(20)에 파묻혀 사용될 경우 커피가루(20)의 표면에까지 물(10)이 반사되어 분출됨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되면서 물(10)과 그라인딩 된 커피가루(20)와의 접촉시간을 늘릴 수 있어, 커피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의 증가로 사용자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2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부(233)가 연결 부재(도 1의 133)를 대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착탈부(233)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착탈부(233)는, 물 반사 분출 부재(132)와 관 부재(131)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탈부(2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반사 분출 부재(132)의 내면에 구비되는 암나사(233a)와, 관 부재(131)의 타단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면 암나사(233a)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233b)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관 부재(131)의 타단부에는 물(도 3의 10)이 배출되는 배출공(23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착탈부(233)를 통해 물 반사 분출 부재(132)가 관 부재(131)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이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커피 추출 장치 중 커피 원액 추출부의 추출 유도 부재가 여과컵의 하단 개방부에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3의 커피 추출 장치를 통해 커피 원액이 추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는, 지지부(110)와, 물 공급 용기(120)와, 복수의 물 공급관(130)과, 각각의 물 조절봉(140)과, 커피 원액 추출부(150)와, 그리고 원액 저장 용기(160)를 포함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부(110)는, 물 공급 용기(120)와 커피 원액 추출부(150)와 원액 저장 용기(16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11)와 수직 지지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11)는 수직 지지대(112)를 바닥에 대해 지지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원액 저장 용기(160)를 받치는 형태로 지지할 수 있고, 수직 지지대(112)는 물 공급 용기(120)와 커피 원액 추출부(150)를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지지할 수 있다.
물 공급 용기(120)는, 물을 커피 원액 추출부(150)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물 공급 용기(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물(10)이 채워질 수 있으며, 그리고 그 상단에 상부 개방부(121)와 그 하단에 복수의 개구(122)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물 공급관(130)은,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수용된 커피가루(20)의 넓은 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물(10)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각각의 물 공급관(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 용기(120)의 각각의 개구(122)에 그 일단이 용접 또는 실링 부재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그 타단이 아래를 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전체적으로 길다란 관 형상을 할 수 있다.
복수의 물 조절봉(140)은,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수용된 커피가루(20)의 가용성 성분의 용해 시간이 달라지도록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각각의 물 조절봉(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공급 용기(120)의 상부 개방부(121)를 통해서 각각의 물 공급관(130)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조절봉(140)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그 부피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물 조절봉(140)의 말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말단(141)이 뾰족하도록 그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물 조절봉의 말단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말단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같이, 물 조절봉(140)이 상향 이동되면 물 조절봉(140)의 외주면과 물 공급관(13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점점 커지면서 물 공급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점점 커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물 조절봉(140)이 하향 이동되면 물 조절봉(140)의 외주면과 물 공급관(13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점점 작아지면서 물 공급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점점 작아질 수 있다. 궁극적으로, 각각의 물 조절봉(140)을 통해 물(10)과 커피가루(20)와의 접촉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각기 취향에 맞는 맛과 향 성분을 추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커피 원액 추출부(150)는, 상술한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물(10)을 공급받아 이에 수용된 커피가루(20)를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커피 원액(도 5의 30)을 추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커피 원액 추출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12)에 구비되되 복수의 물 공급관(130)의 아래에 구비될 수 있고, 커피가루(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20)로부터 커피 원액(30)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피 원액 추출부(1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받침대(151), 여과컵(152), 여과지(153), 그리고 추출 유도 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받침대(151)는 수직 지지대(11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원액 저장 용기(160)를 향해 떨어지는 커피 원액(30)의 자유 낙하를 방해지 않도록 통과공을 가질 수 있다.
여과컵은, 중간 받침대(151)에 의해 파지되어 지지될 수 있고, 그 상단에 상단 개방부(152a)와 그 하단에 하단 개방부(152b)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아래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내경을 가지는 관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과지(153)는, 여과컵(152)의 상단 개방부(152a)를 통해 여과컵(152)의 내주면에 안착될 수 있고 커피가루(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물 공급관(13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10)을 이용하여 커피가루(20)로부터 커피 원액(30)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유도 부재(154)는, 여과컵(152)의 하단 개방부(152b)에 고정될 수 있으며 추출된 커피 원액(30)을 원액 저장 용기(160)로 산발적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산발적인 떨어짐으로 인해 커피 원액(30)의 풍미가 더욱 풍성해지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추출 유도 부재(15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154b)가 허브(154a)를 기준으로 그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추출 유도 부재(154)는 팬 형상(fan shape)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추출 유도 부재(154)는 회전되지 않고 여과컵(152)의 하단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로 놓일 수 있다.
원액 저장 용기(160)는, 상술한 커피 원액 추출부(150)로부터 추출된 커피 원액(30)을 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11)에 올려져 놓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파지 부재(171)와 제1 상하 이송부(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 파지 부재(171)는 물 공급 용기(120)의 외주면을 착탈 가능하게 감쌀 수 있고, 제1 상하 이송부(172)는 용기 파지 부재(171)를 수직 지지대(112)에 대해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1 상하 이송부(17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112)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다랗게 구비되는 제1 레일(172a)과, 용기 파지 부재(171)에 구비되며 제1 레일(172a)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슬라이더(172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하 이송부(172)를 이용하여 물 공급 용기(120)를 아래로 이동시켜 각각의 물 공급관(130)의 말단이 커피 원액 추출부(150)에 담긴 커피가루(20)에 어느 정도 묻힌 상태로 놓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이러한 묻힌 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추출되는 커피 원액(30)의 맛과 향을 다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81)와 제2 상하 이송부(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81)는 각각의 물 조절봉(140)의 상단을 함께 고정하여 연결할 수 있고, 제2 상하 이송부(182)는 연결 부재(181)를 물 공급 용기(120)에 대해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2 상하 이송부(18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81)의 상단에 구비되는 길다란 막대 형상의 제2 슬라이더(182a)와, 물 공급 용기(120)의 상부 개방부(121)를 가로 질러 놓이는 가로 지지 부재(182b)와, 가로 지지 부재(182b)에 구비되며 제2 슬라이더(182a)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고리 형상의 안내 부재(18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하 이송부(182)를 이용하여 각각의 물 조절봉(140)을 아래로 이동시켜 각각의 물 공급관(130)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이러한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추출되는 커피 원액(30)의 맛과 향을 다르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물 20: 커피가루
30: 커피 원액 100: 커피 추출 장치
110: 지지부 111: 하부 받침대
112: 수직 지지대 120: 물 공급 용기
121: 물 공급 용기의 상부 개방부 122: 복수의 개구
130, 230: 복수의 물 공급관 131: 관 부재
132: 물 반사 분출 부재 133: 연결 부재
233: 착탈부 233a: 암나사
233b: 수나사 140: 복수의 물 조절봉
141: 물 조절봉의 말단 150: 커피 원액 추출부
151: 중간 받침대 151a: 통과공
152: 여과컵 152a: 여과컵의 상단 개방부
152b: 여과컵의 하단 개방부 153: 여과지
154: 추출 유도 부재 154a: 허브
154b: 복수의 블레이드 171: 용기 파지 부재
172: 제1 상하 이송부 172a: 제1 레일
172b: 제1 슬라이더 181: 연결 부재
182: 제2 상하 이송부 182a: 제2 슬라이더
182b: 가로 지지 부재 182c: 안내 부재

Claims (3)

  1. 물을 이용하여 커피가루로부터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추출 장치에 사용되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물을 안내하는 길다란 형상의 관 부재; 및
    상기 관 부재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타단으로 안내된 물을 그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반사시킴과 동시에 사방으로 분출시키는 물 반사 분출 부재;
    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2. 제1항에서,
    상기 물 반사 분출 부재는,
    상기 속이 빈 역 삼각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관 부재와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3. 제1항에서,
    상기 물 반사 분출 부재는,
    상기 속이 빈 역 삼각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관 부재와 착탈부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KR1020170182551A 2017-12-28 2017-12-28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KR102123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51A KR102123143B1 (ko) 2017-12-28 2017-12-28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551A KR102123143B1 (ko) 2017-12-28 2017-12-28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222A true KR20190080222A (ko) 2019-07-08
KR102123143B1 KR102123143B1 (ko) 2020-06-26

Family

ID=67256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551A KR102123143B1 (ko) 2017-12-28 2017-12-28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1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033Y1 (ko) * 1996-10-23 1999-03-20 윤광렬 사이펀식 차추출기
US20040065209A1 (en) * 2002-10-08 2004-04-08 Pietro Piazza Coffee, tea, and herbal tea maker
JP2009219847A (ja) * 2008-03-17 2009-10-01 Masashi Otake 上昇管を有するコーヒーメーカー
JP2010505583A (ja) * 2006-10-11 2010-02-25 オットー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人自動炊飯装置
KR101597969B1 (ko) * 2014-10-07 2016-03-07 임혜영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70099359A (ko) * 2017-01-09 2017-08-31 박준영 착탈 가능한 블록형 물공급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033Y1 (ko) * 1996-10-23 1999-03-20 윤광렬 사이펀식 차추출기
US20040065209A1 (en) * 2002-10-08 2004-04-08 Pietro Piazza Coffee, tea, and herbal tea maker
JP2010505583A (ja) * 2006-10-11 2010-02-25 オットー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無人自動炊飯装置
JP2009219847A (ja) * 2008-03-17 2009-10-01 Masashi Otake 上昇管を有するコーヒーメーカー
KR101597969B1 (ko) * 2014-10-07 2016-03-07 임혜영 더치커피 추출장치
KR20170099359A (ko) * 2017-01-09 2017-08-31 박준영 착탈 가능한 블록형 물공급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143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5433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JP2013512700A5 (ko)
CN106470580B (zh) 清洁装置和方法
KR20120078180A (ko) 더치커피기구의 수압 안정장치
WO2021226608A2 (en) Modular systems configurable to enable multiple methods for producing edible extractions
KR20190080222A (ko) 커피 추출 장치용 물 공급관
NL1031389C2 (nl) Drank-inrichting.
KR102027657B1 (ko) 커피 추출 장치
US7581490B2 (en) Coffeemaker with water feed velocity decreaser
US20190387916A1 (en) Coffee Press with Lipids Separation Chamber
KR101661489B1 (ko) 더치커피 추출 기구
KR102017395B1 (ko) 커피 자동 추출 장치
US20210267405A1 (en) Drip filter head and method
US10154752B2 (en) Capsule housing
CN112074213B (zh) 饮料制备设备、装置和方法
KR101852000B1 (ko) 다중 분배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장치
KR102575613B1 (ko) 커피 드리퍼의 물 조절 장치
KR101464987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KR20130024284A (ko) 드립 커피용 물 공급기
EP3310220B1 (en)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KR20220013274A (ko) 향의 휘발을 방지해주는 더치커피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