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188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188A
KR20190078188A KR1020170179969A KR20170179969A KR20190078188A KR 20190078188 A KR20190078188 A KR 20190078188A KR 1020170179969 A KR1020170179969 A KR 1020170179969A KR 20170179969 A KR20170179969 A KR 20170179969A KR 20190078188 A KR20190078188 A KR 20190078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display panel
area
soun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5559B1 (ko
Inventor
신현수
남윤모
최영락
함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559B1/ko
Priority to US16/044,854 priority patent/US10698242B2/en
Priority to CN202110160983.5A priority patent/CN112954507B/zh
Priority to CN201810934232.2A priority patent/CN109963236B/zh
Publication of KR20190078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188A/ko
Priority to US16/870,999 priority patent/US1113187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69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 H04R1/2876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 H04R1/288Reduction of undesired resonances, i.e. standing waves within enclosure, or of undesired vibrations, i.e. of the enclosure itself by means of damping material, e.g. as cladding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94Piezoelectric elements associated with the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7Loudspeakers using bending wave resonance and pistonic motion to generate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파티션을 포함함으로써, 표시패널에 나타나는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본 명세서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의 예로는 액정표시장치, 전계방출 표시장치, 유기발광 표시장치,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양자점 발광 표시장치, 및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소 영역에 있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배열 상태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 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으므로 널리 주목받고 있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상에 화상을 표시하지만, 소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설치해야 한다. 표시장치에 스피커를 설치할 경우,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의 진행 방향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의 전면이 아닌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이 되므로, 표시패널의 전면에서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 방향으로 소리가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 발생된 소리가 표시패널의 후면 또는 표시패널의 아래쪽으로 진행하므로, 벽 또는 바닥에서 반사되는 소리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음질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TV 등과 같은 세트장치에 포함되는 스피커를 구성할 경우, 스피커가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공간 배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표시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을 시청할 시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이 될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이 향상될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여러 실험을 거쳐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소리의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음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파티션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제1 영역을 둘러싸는 제1 파티션 및 제2 영역을 둘러싸는 제2 파티션을 포함하며, 제1 파티션 및 제2 파티션의 각각은 표시패널 또는 지지부재의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에 배치되며,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포함하는 제1 파티션, 및 제1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있는 제2 파티션, 및 제2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있는 제3 파티션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소리의 진행방향이 표시패널의 전면으로 되도록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스피커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세트장치의 디자인 및 스피커의 배치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형태를 따라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의 웨이브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재파 또는 반사파에 의한 음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파티션 및 파티션의 적어도 한 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드부를 구성함으로써, 정재파에 의한 피크와 딥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두께가 얇은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의 불량인 웨이브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정재파에 의한 피크와 딥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파티션에 의하여 음향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스테레오 음향 구현이 가능하며,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1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2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절단선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2b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패널의 배면을 측정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g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진동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진동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모듈(Liquid Crystal Module; LCM), 유기발광 표시모듈(OLED Module)과 같은 협의의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완제품(complete product 또는 final product)인 노트북 컴퓨터,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자동차용 장치(automotive apparatus) 또는 차량(vehicle)의 다른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전장장치(equipment apparatus), 스마트폰 또는 전자패드 등의 모바일 전자장치(mobile electronic apparatus) 등과 같은 세트 전자 장치(set electronic apparatus) 또는 세트 장치(set device 또는 set apparatus)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표시장치는 LCM, OLED 모듈 등과 같은 협의의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 및 LCM, OLED 모듈 등을 포함하는 응용제품 또는 최종소비자용 장치인 세트 장치까지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패널과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는 LCM, OLED 모듈을 협의의 "표시장치"로 표현하고, LCM, OLED 모듈을 포함하는 완제품으로서의 전자장치를 "세트장치"로 구별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협의의 표시장치는 액정(LCD) 또는 유기발광(OLED)의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인 소스 PCB를 포함하며, 세트장치는 소스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세트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세트 제어부인 세트 PCB를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패널, 및 전계발광 표시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의 모든 형태의 표시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음향발생장치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특정한 표시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의 형태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패널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이 유기전계발광(OLED) 표시패널인 경우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형성되는 픽셀(Pixe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픽셀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어레이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OLED)층, 및 유기 발광 소자층을 덮도록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되는 봉지 기판 또는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기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소자층 등을 보호하고, 유기 발광 소자층으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은 무기발광층(in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예를 들면 나노사이즈의 물질층(nano-sized material layer), 및 양자점(quantum dot) 발광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에 부착되는 금속판(metal plate)과 같은 후면(back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은 자동차(automobile)에서의 중앙통제패널(central control panel)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user interface module)로 차량(vehicle)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표시패널은 표시패널의 진동이 차량의 내부를 향하여 전파되도록 두 개의 앞좌석들의 탑승자들(occupants) 사이에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의 오디오 경험은 차량 내부의 측면(interior sides)에서만 스피커를 갖는 것에 비하여 개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는 표시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되며, 표시패널(100)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전계 발광(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등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음향발생장치(20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표시패널(100)은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유기 화합물층을 포함하는 픽셀 어레이층의 구조에 따라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 바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 또는 듀얼 에미션(Dual Emission) 방식 등의 형태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탑 에미션 방식은 픽셀 어레이층에서 발생된 가시광을 베이스 기판의 전방으로 방출시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바텀 에미션 방식은 픽셀 어레이층에서 발생된 가시광을 베이스 기판의 후방으로 방출시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200)는 표시패널(100)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는 엑츄에이터(actuator), 엑사이터(exciter), 또는 트랜스듀서(transducer)로 표현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기기일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절단선 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음향발생장치(2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200)는 지지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지부재(300)는 예를 들면, 커버버텀(cover bottom)일 수 있다. 또는, 표시패널(100)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커버버텀과 결합되고 표시패널(1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용하여 표시패널(100)을 지지하는 미들캐비넷(middle cabin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 캐비닛은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재(300)는 커버버텀, 또는 커버버텀 및 미들캐비넷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패널(100)의 후면 또는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또는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는 판상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전체를 이격되게 덮는 것으로, 글라스 재질,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루어진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 또는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은 모따기 공정 또는 코너 라운딩 공정에 의해 사면 형태 또는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글라스 재질의 지지부재(300)는 사파이어 글라스(Sapphire Glas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의 지지부재(30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및 철과 니켈의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지지부재(300)는 금속 플레이트 및 글라스 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표시패널(100)의 후면과 마주하는 글라스 플레이트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장치의 후면은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거울면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음향발생장치(200)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통홀은 음향발생장치(200)가 삽입되기 위하여, 지지부재(3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지지부재(300)의 설정된 일부 영역에 원형 또는 다각 형태를 가지도록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지지부재(300)는 커버버텀(Cover Bottom), 플레이트 버텀(Plate Bottom), 백커버(Back Cover),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메탈 프레임(Metal Frame), 메탈 샤시(Metal Chassis), 샤시 베이스(Chassis Base), m-샤시 등 다른 표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표시장치의 후면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또는 판상 구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재(400)는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를 접착시킨다. 접착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 단면 테이프(single-sided tape), 접착제, 및 본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구조와,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제1 구조는 다이나믹 타입(dynamic type) 또는 외자형(external magnetic type) 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조는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또는 내자형(internal magnetic type)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a는 제1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제2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200)는 플레이트(210, 210'), 플레이트 상에 있는 마그네트(220), 플레이트 상에 있는 센터폴(230), 센터폴(230)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250), 및 보빈(2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210) 상에 마그네트(220)가 있으며, 마그네트(220) 상에 제2 플레이트(210')가 구비된다.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10')는 마그네트(220)를 지지하면서 음향발생장치(200)를 지지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210)는 지지부재(300)에 형성되는 지지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210)와 제2 플레이트(210') 사이에 위치한 마그네트(220)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 및 제2 플레이트(210') 중 적어도 하나는 철(Fe)과 같이 자성을 지닌 물질로 이루질 수 있다. 플레이트는 이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크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마그네트(220)는 바륨 훼라이트 등의 소결(燒結) 자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재질은 삼산화이철 (Fe2O3), 탄산바륨 (BaCO3), 네오디뮴 자석, 자력 성분이 개선된 스트론튬 훼라이트, 알루미늄(Al), 니켈(Ni), 코발트(Co) 의 합금 주조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네오디뮴 자석은 예를 들면 네오디뮴-철-붕소(Nd-Fe-B)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의 외곽에 있으면서 제2 플레이트(210') 상에는 프레임(240)이 배치된다. 제1 플레이트(210)의 중앙영역에는 센터폴(230)이 배치된다. 그리고, 센터폴(230)과 제1 플레이트(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센터폴(230)은 폴피스(pole pieces)라고 할 수도 있다. 또는, 센터폴(230) 상에는 폴피스(pole pieces)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센터폴(230)의 주위를 감싸는 보빈(250)이 배치된다. 보빈(250)의 하측부 주변에는 코일(260)이 권취되어 있으며, 이 코일(260)에 음향발생을 위한 전류가 인가된다.
보빈(250)은 종이 또는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형성되는 환상 구조물일 수 있으며, 보빈(250)의 하측의 일정 영역 주위에 코일(260)이 권취될 수 있다. 보빈(250)과 코일(260)을 합하여 보이스 코일(voice coil)로 표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될 수 있다. 댐퍼는 에지 등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2b는 마그네트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 구조의 음향발생표시장치(200')는 제1 플레이트(210) 상에 있는 마그네트(220), 마그네트(220) 상에 있는 센터폴(230), 마그네트(220)와 센터폴(230)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250), 및 보빈(2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210)는 지지부재(300)에 형성되어 있는는 지지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의 상에 마그네트(220)가 배치되며, 마그네트(220) 상에 센터폴(230)이 배치된다. 그리고, 센터폴(230)은 폴피스(pole pieces)라고 할 수도 있다. 또는, 센터폴(230) 상에는 폴피스(pole pieces)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그네트(220)와 센터폴(23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보빈(250)이 배치되며, 보빈(250) 외곽에는 코일(260)이 권취된다.
제2 플레이트(210')는 제1 플레이트(210)의 외곽 주변에 배치되며, 제2 플레이트(210') 외측에는 프레임(240)이 배치된다. 그리고, 프레임(240)과 보빈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된다.
제2 구조의 음향발생장치는 마그네트가 외측에 배치되는 제1 구조에 비하여 누설자속이 작고 전체적인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음향발생장치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음향발생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1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마그네트(220)의 하면과 연결된 센터폴(230)이 N극이 되고, 마그네트(220)의 상면과 연결된 제1 플레이트(210)가 S극이 되어, 코일(260) 사이에 외부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260)에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인가 자기장이 생성되며, 인가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보빈(250)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코일(26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으므로,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보빈(250) 전체가 센터폴(230)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일면은 표시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코일(260)의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100)을 상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시키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류 인가가 중지되거나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a에서 설명한 유사한 원리에 따라 보빈(25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표시패널(100)이 하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되어 있다. 댐퍼(270)는 주름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보빈(25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댐퍼(270)가 보빈(250)과 프레임(24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25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250)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260)로의 전류 인가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표시패널(100)이 상하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제2 구조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전류가 인가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2 플레이트(210)가 S극이 되고, 마그네트(220)의 상면과 연결된 센터폴(230)이 N극이 되어, 코일(260) 사이에 외부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 극성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형성될 경우에는 코일(260)의 권선방향을 수정하여 동일하게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음향 발생용 전류가 코일(260)에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인가 자기장이 생성되며, 인가 자기장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보빈(250)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코일(26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260)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마그네트(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이 있으므로, 플레밍의 법칙에 따라 보빈(250) 전체가 센터폴(230)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일면은 표시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코일(260)의 전류 인가 및 비인가 상태에 따라 표시패널(100)을 상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시키게 되고,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류 인가가 중지되거나 반대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a에서 설명한 유사한 원리에 따라 보빈(25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되고, 표시패널(100)이 하측(화살표로 표시)으로 진동한다.
그리고, 보빈(250)의 상측 일부와 프레임(240) 사이에는 댐퍼(270)가 배치되어 있다. 댐퍼(270)는 주름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보빈(250)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댐퍼(270)가 보빈(250)과 프레임(24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빈(250)의 상하 진동은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250)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높이 이하로 진동할 경우 댐퍼(270)의 복원력에 의해 보빈(250)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260)로의 전류 인가 방향과 크기에 따라서, 표시패널(100)이 상하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발생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II-II'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00)과, 표시패널(100)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2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2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음향발생장치가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는 음향발생장치와 표시패널과의 접촉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어려우며, 다수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의 간섭 및 딜레이 현상으로 의하여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인접하게 배치된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할 경우, 다수의 음향발생장치가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보다 음향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음파 사이의 간섭 또는 딜레이 현상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2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구조인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2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1000)가 포함된다. 고정장치(1000)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몰딩 공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몰드 구조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장치(1000)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 제2 음향발생장치(1200') 및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supporting member; 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rear surface) 또는 측면(side surface)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는 표시패널(100)의 후면 또는 전체에 걸쳐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상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에 구비된 지지홀(310)에 의해 음향발생장치(1200, 1200')가 수용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1200, 1200')를 지지홀(310)에 삽입 및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할 경우, 표시패널(100)의 후면과 지지부재(300)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1200, 1200')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음향이 발생되는 공간 또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에 고정되는 너트(330)가 더 포함되며, 고정장치(1000)는 고정장치의 장착홀에 삽입되는 나사(320)에 의하여 너트(33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너트(330)의 내면에는 나사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장치(1000)의 장착홀을 너트(330)의 나사관통홀과 정렬한 후 나사(320)를 조임으로써, 고정장치(1000)를 지지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너트(330)는 예를 들면,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일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의 하나의 형태로 팸너트(pem nut)를 예로 들 수 있다.
팸너트(pem nut)를 사용할 경우, 음향발생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팸너트에서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3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는 지지부재에 구성된 너트와 나사를 이용하여 지지부재와 음향발생장치를 고정시킴으로써, 표시패널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재(400)는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를 접착시킨다. 접착부재(400)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 단면 테이프(single-sided tape), 접착제, 본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가 인접하도록 고정 지지하는 일체형 고정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장치(1000)에 의해 고정된 제1 음향발생장치(12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200')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라고 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로 설명한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는 음향발생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 음향발생장치의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부, 및 고정장치와 지지부재와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장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120)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의 측면 일부와 후면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며, 원통형상일 수 있다. 제2 지지부(1220)는 제2 음향발생장치(1200')의 측면 일부와 후면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며, 원통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120)와 제2 지지부(1220)는 두 개 또는 네 개의 원호 형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돌출부의 일면은 각 음향발생장치(1200, 120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각 음향발생장치(1200, 1200')의 후면 일부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음향발생장치(1200, 1200')가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강성을 유지하며, 장시간 사용하여도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주변에는 복수의 리브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브부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외측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브부(1410),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리브부(1420), 및 제1 리브부(1410)와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 리브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로방향은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되는 긴 변의 방향이며, 세로방향은 가로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제1 리브부(1410)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의 외측에서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1000)의 가로방향 외곽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브부(1410)의 가운데 영역, 즉 제1 지지부(1120)와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중앙 영역은 제1 리브부(1410)의 양측 영역에 비하여 높이가 더 높거나 제1 리브부(1410)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가 장시간 진동하더라도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와 표시패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리브부(1410)의 안쪽에는 제1 지지부(1120) 및 제 2지지부(1220)와 일체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리브부(1420)가 배치된다.
도 6에서는 제2 리브부(1420)가 두 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리브부(1420)가 하나 또는 세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제2 리브부(1420) 사이 또는 두 개의 제1 리브부(1410) 사이에는 제1 리브부(1410) 및 제2 리브부(1420)와 일체로 연결되고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리브부(1430)가 형성된다.
도 6에서는 하나의 제3 리브부(1430)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3 리브부(1430)가 두 개의 제1 리브부(1410) 사이에 걸쳐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예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리브부(1430)가 두 개의 제2 리브부(1420) 사이에서 짧게 연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120) 또는 제2 지지부(1220)와, 제1 리브부(1410) 사이에는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제4 리브부(14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4 리브부(1440)는 장시간 사용에 의해 열에 의한 음향발생장치의 고정장치의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장치 및 음향발생장치의 주변에 복수의 리브부를 구성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장시간 동작에 의한 음향특성변화가 감소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이격거리는 리브부를 형성하기 위한 최소임계치보다 클 수 있으며, 제1 음향발생장치(12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의 직경인 최대임계치보다는 작을 수 있다.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이격거리가 최소임계치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음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1120) 및 제2 지지부(1220) 사이의 이격거리는 제1 음향발생장치(12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20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음질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발생장치의 크기(직경)가 D일 때, 이격거리는 최소임계치인 약 7mm보다는 크고 음향발생장치 크기 D보다는 작아야 한다. 음향발생장치의 크기(D)가 약 28mm일 경우 이보다 작은 약 0.85D(약 23.6mm)의 경우에는 음질 특성의 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고정장치(1000)와 지지부재(300)와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장착홀이 포함된다. 도 5b에 도시된 너트(330)의 내면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장치(1000)의 장착홀(1310, 1320, 1330, 1340)을 너트(330)의 홀과 정렬한 후 나사(320)를 조임으로써, 고정장치(1000)를 지지부재(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할 경우,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균일한 음압을 발생시켜 우수한 음향출력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지지부재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에 의한 음향발생장치 모두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200)의 제1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확경부(614)를 형성한다. 음향발생장치(200)의 제1 플레이트(210)는 원통형 또는 실린더 형상이 아니라 제1 플레이트(210)의 일측은 제1 플레이트(210)의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큰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직경이 커진 돌출부 영역을 확경부(614)로 표현할 수 있다. 확경부(614)는 환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확경부(614) 중 일부에는 음향발생장치(200)의 고정을 위한 연장부(612)가 형성된다.
연장부(612)에는 나사(screw; 320)와 너트(nut; 330)가 구성된다. 지지부재(300)에 고정된 너트(330)를 이용하여 음향발생장치(200)가 나사(320)에 의하여 지지부재(300)에 결합하게 된다. 너트(330)는 예를 들면,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일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의 하나의 형태로 팸너트(pem nut)를 예로 들 수 있다.
팸너트(pem nut)를 사용할 경우, 음향발생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너트(330)인 팸너트에서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3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에 구비된 지지홀(310)에 의해 음향발생장치(200)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은 접착부재(402)를 매개로 음항발생장치(200)의 보빈(250)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부재(402)는 양면 테이프(double-sided tape), 단면 테이프(single-sided tape), 접착제, 및 본드(bond)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접착부재(402)는 음향발생장치(200)가 표시패널(100)에 부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착부재(402)는 표시패널(100)의 배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402)는 표시패널(100)과 음향발생장치(200) 사이의 전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지지부재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는 제1 구조 또는 제2 구조에 의한 음향발생장치 모두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제2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음향발생장치(200)는 제1 플레이트(610) 상에 있는 마그네트(620), 마그네트(620) 상에 있는 센터폴(630), 마그네트(620)와 센터폴(630) 주위에 배치되는 보빈(650), 및 보빈(650) 외곽에 권취되어 있는 코일(6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610')는 제1 플레이트(610)의 외곽 주변에 배치되며, 제2 플레이트(610') 외측에는 프레임(640)이 배치된다. 그리고, 프레임(640)과 보빈 사이에는 댐퍼(670)가 배치된다. 음향발생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200)의 제1 플레이트(610)와 일체로 형성되는 확경부(614)가 구성된다. 음향발생장치(200)의 제1 플레이트(610)는 원통형 또는 실린더 형상이며, 제1 플레이트(610)의 일측은 제1 플레이트(610)의 나머지 부분의 직경보다 큰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직경이 커진 돌출부 영역을 확경부(614)로 표현할 수 있다. 확경부(614)는 환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확경부(614) 중 일부에는 음향발생장치(1600)의 고정을 위한 연장부(6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612)에는 나사(Screw; 320)와 너트(Nut; 330)가 구성된다. 너트(330)는 예를 들면,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일 수 있다. 셀프 클린칭 너트의 하나의 형태로 팸너트(Pem nut)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200)는 너트(330)와 나사(320)에 의하여 지지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300)와 음향발생장치(200)를 연결하기 위해서 팸너트(Pem nut)를 사용할 경우, 음향발생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팸너트에서 일부 흡수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3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팸너트 없이 지지부재(300)를 음향발생장치(200)와 직접 결합하는 경우, 음향발생장치(200)의 동작 시 발생되는 진동이 장시간 지지부재(300)에 전달되므로, 지지부재(300)가 얇게 형성되는 경우 지지부재(300)가 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가 얇은 경우, 지지부재(300)의 나사(320)에 직접 결합하게 되므로, 지지부재(300)와 음향발생장치(200)의 고정력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에 음향발생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너트를 형성할 경우, 지지부재의 휨이나 변형을 방지하고, 지지부재와 음향발생장치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지부재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된다. 지지부재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표시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표시장치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지지부재를 유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형성할 경우에는 지지부재 내에 너트를 삽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너트(330)를 지지부재(300)에 삽입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300) 상에 제2 지지부재(305)를 더 구성한다. 제2 지지부재(305)는지지부재(300)보다 표시패널(10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지지부재(305)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너트(330)를 삽입할 수 있다. 지지부재(300)에 고정된 너트(330)를 이용하여 음향발생장치(200)가 나사(320)에 의하여 지지부재(300) 및 제2 지지부재(305)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300) 및 제2 지지부재(305)에 구비된 지지홀(310)에 의해 음향발생장치(200)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300)와 제2 지지부재(305)는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는 양면테이프(Double-sided Tape), 단면테이프(Single-sided Tape), 접착제, 본드(bond)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지지부재(305)는 예를 들면, 금속재질인 알루미늄(Al)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2 지지부재(305)는 이너플레이트(inner plate)라고 할 수 있다.
지지부재(300)를 유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형성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외관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재(305)를 더 구성함으로써, 지지부재(300)의 두께만큼 음향발생장치(200)를 표시패널(100)의 전면으로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부재를 더 구성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재를 더 구성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두께가 감소되므로, 음향발생장치를 덮는 지지플레이트의 두께 또는 높이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발생장치 및 배선이 지지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외관상 심미감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과 음향발생장치(200)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부재(602)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602)는 양면테이프(Double-sided Tape), 단면테이프(Single-sided Tape), 접착제, 본드(bond)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접착부재(602)는 음향발생장치(200)가 표시패널(100)에 부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착부재(402)는 표시패널(100)의 배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402)는 표시패널(100)과 음향발생장치(200) 사이의 전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제1 영역(L), 제2 영역(R), 및 제3 영역(c)을 포함한다. 제1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좌측영역, 제2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우측영역, 제3 영역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중앙영역일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80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제1 영역(L)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음향발생장치(180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제2 영역(R)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한다.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8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800')의 사이에는 파티션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음향발생장치(1800, 1800')에 의하여 표시패널(100)이 진동할 때 음향이 발생되는 에어갭(air gap) 또는 공간(space)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에서 발생되는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에 의하여 표시패널이 진동하여 발생되는 음파는 음향발생장치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진행한다. 이 음파를 진행파(progressive wave)라고 할 수 있다. 이 진행파가 파티션의 한 변에서 만나는 경우 파티션에서 반사되어 진행파와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반사파(reflected wave)를 형성하게 된다. 이 반사파는 진행파와 중첩 및 간섭되어, 중첩된 음파가 진행하지 못하고 일정한 위치에 정체되어 있는 정재파(standing wave)를 형성하게 된다. 이 정재파에 의하여 음압이 감소되어 음향출력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반사파와 진행파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파티션에 벤트부(bent portion)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압 감소를 야기하는 정재파는 진행파와 반사파의 크기가 큰 지점에서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벤트부는 음향발생장치로부터 도달하는 음파가 가장 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파티션으로 구성하고, 파티션의 적어도 한 변에 벤트부를 더 구성한 것이다.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L)에는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우측영역인 제2 영역(R)에는 제2 음향발생장치(18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8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800')의 사이에는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700)은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배면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파티션(1700)이 지지부재(300)에 배치된 것으로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의 하나 이상의 변에는 벤트부(712)가 구성된다. 벤트부(712)는 제1 파티션(1700)의 네 개의 변 중에서 가장 강한 음파가 도착되는 하나 이상의 변에 형성하고, 음향발생장치(1800, 1800')를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트부(712)는 음향발생장치(1800, 1800')의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벤트부(712)는 두 개의 직선부로 구성되며, 두 개의 직선부가 만나는 지점에서 벤트부(712)가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1700)에 벤트부(712) 및 돌출부(713)를 구성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의 하나 이상의 변에 벤트부(712)를 구성하고, 벤트부(712)가 형성된 변과 수직하는 변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713)가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713)는 반사파를 트랩할 수 있으므로, 정재파에 의한 음압 감소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을 구성하는 기판은 유리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얇은 두께의 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유리기판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기판의 두께가 0.7mm에서 0.5mm로 얇아진 기판을 사용하여 표시장치를 보다 ?게 구현할 수 있다. 기판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파티션이 표시패널의 배면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에 구현될 경우에, 표시패널과 지지부재가 부착될 시에 파티션으로 인하여 표시패널 자체가 평평하지 않고 표시패널에서의 단차가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면, 표시패널의 화면으로 두드러지는 벤트부의 형상, 또는 벤트부가 나누어지는 부분, 예를 들면 두 개의 직선부가 만나는 부분으로 인하여 표시패널이 평평하지 않은, 울퉁불퉁하게 시인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표시패널의 울퉁불퉁한 현상 또는 웨이브(wave) 현상(이하 "웨이브 현상"이라 함)이라 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해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9b에서 설명한 벤트부(712)의 형상을 오목한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변경한 것이다. 이는 벤트부(712)의 형상을 변경하여, 표시패널의 웨이브(wave) 현상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해서 표시패널을 확인한 결과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2b는 표시패널의 배면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A 및 A'을 확인한 것이다. A 및 A'은 지지부재에 배치되며,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의 제1 파티션(1700)에 형성된 벤트부(712)이다. 그리고, 도 11a는 도 10의 A를 나타내며, 도 11b는 도 10의 A'을 나타낸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흰색으로 확인된 부분이 웨이브 현상이 나타나는 부분이다. 따라서, A'이 A보다 표시패널의 웨이브 현상이 작으나, 웨이브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2a 및 도 12b는 도 10의 B 및 B'을 확인한 것이다. B 및 B'은 지지부재에 배치되며, 제3 영역(C)의 제1 파티션(1700)에 형성된 벤트부(712)이다. 그리고, 도 12a는 도 10의 B를 나타내며, 도 12b는 도 10의 B'을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2b에서 흰색으로 확인된 부분이 웨이브 현상이 나타나는 부분이다. 따라서, B'이 B보다 표시패널의 웨이브 현상이 작으나, 웨이브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벤트부의 형상을 변경하여도 웨이브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음향발생장치의 세로방향(표시패널의 세로방향)의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제어하기 위해서 진동을 좌우로 퍼지게 할 수 있는 벤트부를 구성하였으나 웨이브 현상이 나타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이 제어될 수 있으며,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여러가지 실험을 하였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구조의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대해서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f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제1 영역(L), 제2 영역(R), 및 제3 영역(C)을 포함한다. 제1 영역(L)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좌측영역, 제2 영역(R)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우측영역, 및 제3 영역(C)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중앙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역(L), 제2 영역(R), 및 제3 영역(C)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원형 및 타원형 중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거나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고음역대의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는 표시패널의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음향발생장치(180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제1 영역(L)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음향발생장치(180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제2 영역(R)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가 지지부재(300)에 결합되어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향발생장치(180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좌측영역인 제1 영역(L)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으며, 제2 음향발생장(1800')는 표시패널(100) 배면의 우측영역인 제2 영역(R)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을 진동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 1800') 각각은 서로 다른 진동 신호를 수신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음향발생장치(1800)는 표시패널(100)의 좌측영역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2 음향발생장치(1800')는 표시패널(100)의 우측영역을 진동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설명은 도 13b 내지 도 16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a에서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한다.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1800, 1800')와 지지부재와의 결합구조는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c에서 제1 음향발생장치(19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900')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한다.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음항발생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보빈이 형상이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할 경우, 중고음역대의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1900, 1900')와 지지부재와의 결합구조는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d에서 제1 음향발생장치(13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300')는 원형의 음향발생장치로 구성한다. 원형의 음향발생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음항발생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1300, 1300')와 지지부재와의 결합구조는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에 대한 설명은 도 13a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3b 내지 도 13f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f를 참조하면, 파티션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티션은 지지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배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배면의 전체 영역일 수도 있다. 그리고,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의 외곽의 네 변의 전체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300)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6에서 제1 파티션, 제2 파티션, 및 제3 파티션이 지지부재(300)에 배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음향발생장치(1800, 1800')에 의하여 표시패널(100)이 진동할 때 음향이 발생되는 에어갭(air gap) 또는 공간(space)일 수 있다.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음향을 전달하는 에어갭 또는 공간을 파티션이라고 할 수 있다. 파티션은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각 측면을 통해 음향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음향이 표시패널(100)의 전방으로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3a 내지 도 16에서 제1 파티션(1700)이 도 1에서 설명한 접착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설명한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는 표시패널과 지지부재를 접착시키는 접착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패널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가장자리에 접착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향발생장치(1800, 1800')의 세로방향으로 발생하는 정재파에 의한 피크(peak)와 딥(dip)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파티션에 벤트부를 구성하였다. 여기서 피크는 특정주파수에서 음압이 튀는 현상이며, 딥은 특성 주파수의 발생이 억제되어 낮은 음압이 발생되는 현상이다. 피크 또는 딥에 의해 표시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벤트부에 의한 웨이브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른 형상으로 파티션을 구현하여야 함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웨이브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파티션은 벤트부 없이 표시패널(100)의 형태를 따라 배치하여야 함을 인식하였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파티션이 음향발생장치의 세로방향으로 발생하는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함을 인식하였다. 그리고, 파티션은 표시패널(100)과 지지부재와의 부착 시에 표시패널(100)의 당김에 의한 웨이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함을 인식하였다. 이에 여러 실험을 통하여,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구성한 벤트부에 의해 발생하며 기판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발생하는 웨이브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파티션의 형상을 변경하여야 함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파티션은 단순히 형상을 변경한 것이 아니며, 여러 실험을 통하여 형상을 구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의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의 제어에 용이하여야 하며, 웨이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현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된 파티션이 표시패널(100)에 부착될 시에 표시패널의 당김에 의한 웨이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또는, 표시패널(100)의 배면에 배치된 파티션이 지지부재에 부착될 시에 표시패널(100)의 당김에 의한 웨이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파티션은 표시패널(100)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배치되어야 함을 인식하였다. 파티션은 평평하지 않은 형상 또는 선형상이 아닐 수 있다.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의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가 위치하는 방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형상일 경우, 삼각형의 끝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일 경우, 끝이 둥근 형상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의 형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제어할 수 있으며, 표시패널의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난반사 등의 음향 간섭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이 평평하지 않은 형상 또는 선형상이 아닐 경우 정재파를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경우,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에 의해 정재파가 여러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이 지지부재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될 경우에도 웨이브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배면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이 크면 클수록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의 제어에 유리할 수 있다. 톱니 형상일 경우, 예를 들면 파티션의 폭은 10mm일 경우, 톱니의 크기는 5mm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티션의 폭이 10mm 미만일 경우에는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의 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의 폭은 10mm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제1 영역(L)을 둘러싸는 제1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인 제1 음향발생장치(1800)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평평하지 않은 형상 또는 선형상이 아닐 수 있다.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의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가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형상일 경우, 삼각형의 끝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일 경우, 끝이 둥근 형상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R)을 둘러싸는 제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 파티션(17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인 제2 음향발생장치(1800')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파티션(1700')은 평평하지 않은 형상 또는 선형상이 아닐 수 있다.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티션(1700')의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가 위치하는 방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형상일 경우, 삼각형의 끝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일 경우, 끝이 둥근 형상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은 제1 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고, 제2 파티션(1700')은 제1 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의 각각은 표시패널 또는 지지부재의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표시패널 또는 지지부재의 가로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표시패널 또는 지지부재의 세로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영역(C)에 있는 제3 파티션(17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3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파티션(1700")은 평평하지 않은 형상 또는 선형상이 아닐 수 있다.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의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가 위치하는 방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형상일 경우, 삼각형의 끝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일 경우, 끝이 둥근 형상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은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과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음향발생장치(1800, 1800')에 의하여 표시패널(100)이 진동할 때 음향이 발생되는 에어갭(air gap) 또는 공간(space)일 수 있다. 음향을 발생시키거나 음향을 전달하는 에어갭 또는 공간을 파티션이라고 할 수 있다. 파티션은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배플(baffle)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밀봉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밀봉되지 않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의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각 측면을 통해 음향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음향이 표시패널(100)의 전방으로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태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표시패널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표시패널이 곡선 형태 등을 포함하는 커브드(curved) 표시패널일 경우,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커브드 형태 또는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태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웨이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최대한 가깝게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100)의 화면에서 시인될 수 있는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태를 따라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100)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부착할 시,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은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에서 발생되는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으로 정해질 수 있는 공간(space) 또는 에어갭(air gap)에서의 표시패널(100)의 진동을 표시패널(100)의 중앙에서 감쇄 또는 흡수하므로, 좌측영역에서의 음향이 우측영역의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을 구성하므로, 좌우 음향을 분리할 수 있으며, 음향출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는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좌우 음향분리에 의한 스테레오 음향이 출력될 수 있으며, 2채널 형태의 음향출력특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중음역대는 200Hz~3kHz, 고음역대는 3kHz 이상일 수 있으며, 저음역대는 200Hz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좌측영역인 제1 영역(L)에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우측영역인 제2 영역(R)에 제2 음향발생장치(1800')로 구성하고, 중앙영역인 제3 영역(C)에는 음향발생장치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에서의 간섭으로 인한 음질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중고음역대의 음향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3 영역(C)의 면적이 제1 영역(L)의 면적 및 제2 영역(R)의 면적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저음역대의 음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3 영역(C)은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에서의 간섭으로 인한 음질의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중고음역대의 음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의 설명은 도 13b 내지 도 16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a 내지 도 16은 음향발생장치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L)인 좌측영역 또는 제2 영역(R)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음향발생장치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L)인 좌측영역 또는 제2 영역(R)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음향발생장치가 표시패널의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에서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가 표시패널(100)의 제1 영역(L)인 좌측영역의 중앙 또는 제2 영역(R)인 우측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좌측영역 또는 우측영역으로 치우쳐 위치할 경우, 스테레오 음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음향발생장치(18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800')의 사이에는 두 개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는 이중구조 등의 파티션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우영역에서 동일한 음향을 출력하는 모노 음향구현 시에는 표시패널의 좌우영역이 동일한 진동특성을 가지므로, 일정한 주파수 대역에서 공진현상 또는 간섭현상이 극대화되어 음압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좌측영역인 제1 영역(L)의 제1 음향발생장치 및 우측영역인 제2 영역(R)의 제2 음향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중고음의 공명진동수의 차이로 인한 음향특성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파티션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음향발생장치(18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800')의 사이에 세 개 이상의 파티션으로 구성할 경우, 좌우영역에서의 음향간섭이 심해지더라도 음압감소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불연속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에 두 개 이상의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의 좌우영역에서의 중고음의 공명진동수의 차이로 인한 음향특성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 사이에 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음향의 좌우분리가 가능해지므로 음향의 스테레오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음향발생장치에 의해서 서로 다른 중고음역대의 음향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양면테이프, 단면테이프, 접착제, 및 본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예를 들면,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13e 내지 도 13f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이 동일한 크기의 파티션으로 나누어 배치할 수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파티션을 배치할 시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화면의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 대화면에 파티션을 배치할 시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e 내지 도 13f에서 번호는 동일한 크기의 파티션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3e는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이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지지부재(300) 또는 표시패널의 가로방향으로 동일한 크기(①)로 배치되고, 지지부재(300) 또는 표시패널의 세로방향으로 동일한 크기(②)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은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과 다른 크기(③)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f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 또는 표시패널의 가로방향으로 동일한 크기(①)로 배치되고,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 또는 표시패널의 세로방향으로 동일한 크기(②) 및 다른 크기(③)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은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과 다른 크기(④)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g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 또는 표시패널의 가로방향으로 동일한 크기(①)로 배치되고,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 또는 표시패널의 세로방향으로 동일한 크기(②)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는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나누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나누어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파티션을 배치할 시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다양한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e 내지 도 13f의 설명은 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며, 한쌍의 음향발생장치 및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e 내지 도 13f의 설명은 도 14 및 도 15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의 형상을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정재파에 의한 피크와 딥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a 내지 도 13f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파티션에 대한 설명은 도 14a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4b 및 도 14c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파티션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티션은 지지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배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의 세로방향으로 발생하는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파티션은 표시패널(100)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파티션은 평평하지 않은 형상 또는 선형상이 아닐 수 있다.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의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가 위치하는 방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형상일 경우, 삼각형의 끝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일 경우, 끝이 둥근 형상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의 형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정재파에 피크나 딥 현상을 제어할 수 있으며, 표시패널의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난반사 등의 음향 간섭을 해결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의 웨이브 현상을 줄이면서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이 제어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이 평평하지 않은 형상 또는 선형상이 아닐 경우 정재파를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경우,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에 의해 정재파가 여러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이 크면 클수록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의 제어에 유리할 수 있다. 톱니 형상일 경우, 예를 들면 파티션의 폭은 10mm일 경우, 톱니의 크기는 5mm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파티션의 폭이 10mm 미만일 경우에는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의 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의 폭은 10mm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1 영역(L)을 둘러싸는 제1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인 제1 음향발생장치(1800)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은 평평하지 않은 형상 또는 선형상이 아닐 수 있다.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의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가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형상일 경우, 삼각형의 끝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일 경우, 끝이 둥근 형상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R)을 둘러싸는 제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 파티션(17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인 제2 음향발생장치(1800')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파티션(1700')은 평평하지 않은 형상 또는 선형상이 아닐 수 있다.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티션(1700')의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가 위치하는 방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형상일 경우, 삼각형의 끝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일 경우, 끝이 둥근 형상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영역(C)에 있는 제3 파티션(17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파티션(1700")은 평평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에도 음향발생장치(1800, 1800')의 세로방향으로 발생하는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제어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태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표시패널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표시패널이 곡선 형태 등을 포함하는 커브드(curved) 표시패널일 경우,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커브드 형태 또는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태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웨이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최대한 가깝게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100)의 화면에서 시인될 수 있는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태를 따라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100)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부착할 시,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양면테이프, 단면테이프, 접착제, 및 본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파티션(1700), 제2 파티션(1700'), 및 제3 파티션(1700")은, 예를 들면, 일정 정도 압축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파티션의 형상을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정재파에 의한 피크와 딥 현상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13a 내지 도 13f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발생장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15에서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로 설명하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및 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인 도 13c 내지 도 13f, 도 14b, 및 도 14c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제1 파티션(2000)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2000)은 표시패널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2000)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2000)은 지지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2000)은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2000)은 표시패널의 배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2000)은 표시패널(100)의 형태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2000)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표시패널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표시패널이 곡선 형태 등을 포함하는 커브드(curved) 표시패널일 경우, 제1 파티션은 커브드 형태 또는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파티션(2000)이 표시패널의 형태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웨이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제1 음향발생장치(1800)와 제2 음향발생장치(1800')의 사이에는 적어도 두 개의 파티션인 제2 파티션(2000') 및 제2 파티션(2000")이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L) 및 제3 영역(C) 사이에는 제2 파티션(2000')이 배치되고, 제2 영역(R) 및 제3 영역(C) 사이에는 제3 파티션(20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2000), 제2 파티션(2000'), 및 제3 파티션(2000")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2000), 제2 파티션(2000'), 및 제3 파티션(2000")은 표시패널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2000), 제2 파티션(2000'), 및 제3 파티션(2000")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2000), 제2 파티션(2000'), 및 제3 파티션(2000")은 지지부재(300)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3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2000), 제2 파티션(2000'), 및 제3 파티션(2000")은 표시패널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2000), 제2 파티션(2000'), 및 제3 파티션(2000")이 지지부재(300)에 배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제1 파티션(2000), 제2 파티션(2000'), 및 제3 파티션(2000")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최대한 가깝게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100)의 화면에서 시인될 수 있는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2000)은 표시패널(100)의 형태를 따라 구성함으로써, 표시패널(100)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부착할 시,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음향발생장치(1800, 1800')의 세로방향으로 발생하는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제1 파티션(2000)은 표시패널(100)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파티션은 평평하지 않은 형상 또는 선형상이 아닐 수 있다.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의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가 위치하는 방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형상일 경우, 삼각형의 끝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일 경우, 끝이 둥근 형상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의 형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제어할 수 있으며, 표시패널의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난반사 등의 음향 간섭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이 평평하지 않은 형상 또는 선형상이 아닐 경우 정재파를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경우,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에 의해 정재파가 여러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티션(2000')과 제3 파티션(2000') 사이의 제1 파티션(2000)은 제1 파티션(2000)과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5b를 참조하면, 제2 파티션(2000')과 제3 파티션(2000') 사이의 제1 파티션(2000)은 제1 파티션(2000)과 다른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평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와 파티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영역(L)을 둘러싸는 제1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인 제1 음향발생장치(1800)를 둘러싸는 제1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영역(R)을 둘러싸는 제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인 제2 음향발생장치(1800')를 둘러싸는 제2 파티션(170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300)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은 지지부재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상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의 배면과 지지부재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은 표시패널(100)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파티션은 평평하지 않은 형상 또는 선형상이 아닐 수 있다.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티션(1700) 및 제2 파티션(1700')의 형상은 예를 들면, 톱니가 위치하는 방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삼각형 형상일 경우, 삼각형의 끝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일 경우, 끝이 둥근 형상이 위치하는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의 형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정재파에 의한 피크나 딥 현상을 줄일수 있으며, 표시패널의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음향발생장치의 난반사 등의 음향 간섭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파티션이 평평하지 않은 형상 또는 선형상이 아닐 경우 정재파를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경우,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에 의해 정재파가 여러 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서는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로 설명하며,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 및 원형의 음향발생장치인 도 13c 내지 도 13f, 도 14b, 및 도 14c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이저 도플러 장치를 이용하여 진동특성을 측정하였다. 이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진동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레이저 도플러(laser Doppler) 장치를 이용하여 진동특성을 측정한 것이다. 레이저 도플러 장치는 표시패널(100)의 음진동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산란되는 형태를 확인하여 진동이 퍼져나가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형태는 영상으로 표시된다.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는 표시패널의 중앙에 배치하고, 표시패널의 중앙을 향하도록 하여 측정한 것이다. 그리고, 도 17은 지지부재에 파티션 및 패드부를 구성하여 측정하였으며, 표시패널의 배면에 파티션 및 패드부를 구성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하여 측정하였으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할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가 측정될 수 있다.
도 17에서 검은색으로 표시한 부분은 진동이 큰 부분을 나타내며, 흐린 부분일수록 진동이 작은 부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에서 진동이 발생하면, 진동이 주변으로 퍼져나가며 검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동심원을 이루면서 외부로 흘러간다. 그리고, 약간 흐린 부분 및 흐린 부분은, 이후에 더 크게 진동하면 검은색으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약한 흐린 부분은 시간이 지날수록 진동이 작아지는 흐린 부분으로 변하게 된다.
레이저 도플러 장치를 이용하여 진동특성을 측정한 결과,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의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에서 진동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L) 및 제2 영역(R)의 제1 음향발생장치(1800) 및 제2 음향발생장치(1800')에서 고른 진동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출력특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서, 점선은 도 9b의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이고, 실선은 도 13a의 음향발생장치의 음향출력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가로축은 주파수(Frequency, Hz)이며, 세로축은 음압(Sound Pressure Level; SPL, dB)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18은 지지부재에 파티션 및 패드부를 구성하여 측정하였으며, 표시패널의 배면에 파티션 및 패드부를 구성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하여 측정하였으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할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가 측정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점선인 도 9b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음향의 균형(balance)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평탄한 음향특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저음역대 내지 고음역대의 음향출력특성이 더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1.5kHz("C"로 표시)에서 특성 주파수에서 음압이 튀는 피크(peak)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진동특성을 측정하였으며,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진동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과 동일한 레이저 도플러(laser Doppler) 장치를 이용하여 진동특성을 측정하였으며, 1.5kHz에서 측정한 것이다. 그리고, 도 19는 지지부재에 파티션 및 패드부를 구성하여 측정하였으며, 표시패널의 배면에 파티션 및 패드부를 구성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하여 측정하였으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음향발생장치를 적용할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가 측정될 수 있다.
도 19에서 검은색으로 표시한 부분은 진동이 큰 부분을 나타내며, 흐린 부분일수록 진동이 작은 부분을 나타낸다. 검은색 부분은 정재파가 아니라 음향발생장치로부더 발생한 진동이 가장자리로 펴져나가는 파동이므로 청감상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음향발생장치로부터 발생한 진동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18의 1.5kHz에서의 피크는 문제가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불량, 예를 들면, 웨이브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정재파에 의한 피크와 딥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음향출력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는 표시장치에 배치되는 음향발생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 영상전화기,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폴더블 기기(foldable device), 롤러블 기기(rollable device), 벤더블 기기(bendable device), 플렉서블 기기(flexible device), 커브드 기기(curved device),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데스크탑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네비게이션, 차량용 네비게이션, 차량용 표시장치, 텔레비전, 월페이퍼(wallpaper) 기기, 샤이니지(signage) 기기, 게임기기, 노트북, 모니터, 카메라, 캠코더, 및 가전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음향발생장치는 유기발광 조명장치 또는 무기발광 조명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음향발생장치가 조명장치에 적용될 경우, 조명 및 스피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파티션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은 평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은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의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파티션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파티션은 표시패널 또는 지지부재의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나누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원형 및 타원형 중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거나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제1 영역을 둘러싸는 제1 파티션 및 제2 영역을 둘러싸는 제2 파티션을 포함하며, 제1 파티션 및 제2 파티션의 각각은 표시패널 또는 지지부재의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에 배치되며,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은 평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은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의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티션 및 제2 파티션은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은 표시패널의 좌측영역이고, 제2 영역은 표시패널의 우측영역이고, 제3 영역은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이며, 제3 영역에 있는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3 파티션은 제1 파티션 및 제2 파티션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티션, 제2 파티션, 및 제3 파티션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나누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은 표시패널의 좌측영역이고, 제2 영역은 표시패널의 우측영역이고, 제3 영역은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이며, 제1 영역의 면적 및 제2 영역의 면적은 제3 영역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원형 및 타원형 중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거나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표시패널과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포함하는 제1 파티션, 및 제1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있는 제2 파티션, 및 제2 영역과 제3 영역 사이에 있는 제3 파티션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파티션 및 제3 파티션은 제1 파티션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파티션 및 제3 파티션 사이의 제1 파티션은 제1 파티션과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은 평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은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의 방향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티션은 표시패널의 가장자리 또는 지지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파티션, 제2 파티션, 및 제3 파티션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패널 또는 지지부재의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나누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은 표시패널의 좌측영역이고, 제2 영역은 표시패널의 우측영역이고, 제3 영역은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이며, 제1 영역의 면적 및 제2 영역의 면적은 제3 영역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원형 및 타원형 중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거나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표시장치
100: 표시패널
200, 200', 1200, 1200', 1300, 1300', 1800, 1800', 1900, 1900': 음향발생장치
300: 지지부재
400, 402, 602: 접착부재
712: 벤트부
1700, 1700', 1700", 2000, 2000', 2000": 파티션

Claims (31)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파티션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은 평평하지 않은,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은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 중 하나인,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의 방향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은 상기 표시패널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나누어 배치되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원형 및 타원형 중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거나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 중에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제1 영역을 둘러싸는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2 영역을 둘러싸는 제2 파티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2 파티션의 각각은 상기 표시패널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은 평평하지 않은, 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은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 중 하나인,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의 방향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표시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2 파티션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표시패널의 좌측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표시패널의 우측영역이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이며, 상기 제3 영역에 있는 제3 파티션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티션은 상기 제1 파티션 및 상기 제2 파티션과 동일한 형상인, 표시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티션, 상기 제2 파티션, 및 상기 제3 파티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누어 배치되는, 표시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표시패널의 좌측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표시패널의 우측영역이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이며, 상기 제1 영역의 면적 및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3 영역의 면적보다 큰, 표시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표시장치.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표시장치.
  1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원형 및 타원형 중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거나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0. 영상을 표시하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 중에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패널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포함하는 제1 파티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있는 제2 파티션;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있는 제3 파티션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티션 및 상기 제3 파티션은 상기 제1 파티션과 동일한 형상인, 표시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티션 및 상기 제3 파티션 사이의 상기 제1 파티션은 상기 제1 파티션과 다른 형상인, 표시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은 평평하지 않은 형상인, 표시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은 톱니 형상, 삼각형 형상, 및 끝이 둥근 삼각형 형상 중 하나인, 표시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의 방향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표시장치.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티션은 상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표시장치.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티션, 상기 제2 파티션, 및 상기 제3 파티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표시패널 또는 상기 지지부재의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나누어 배치되는, 표시장치.
  28.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표시패널의 좌측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표시패널의 우측영역이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표시패널의 중앙영역이며, 상기 제1 영역의 면적 및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3 영역의 면적보다 큰, 표시장치.
  2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표시장치.
  30.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상기 표시패널을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키는, 표시장치.
  3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발생장치는 원형 및 타원형 중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거나 한쌍의 음향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70179969A 2017-12-26 2017-12-26 표시장치 KR10245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969A KR102455559B1 (ko) 2017-12-26 2017-12-26 표시장치
US16/044,854 US10698242B2 (en) 2017-12-26 2018-07-25 Display apparatus with sound generation device
CN202110160983.5A CN112954507B (zh) 2017-12-26 2018-08-16 显示装置
CN201810934232.2A CN109963236B (zh) 2017-12-26 2018-08-16 显示装置
US16/870,999 US11131873B2 (en) 2017-12-26 2020-05-10 Display apparatus with sound gener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969A KR102455559B1 (ko) 2017-12-26 2017-12-26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188A true KR20190078188A (ko) 2019-07-04
KR102455559B1 KR102455559B1 (ko) 2022-10-14

Family

ID=6695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969A KR102455559B1 (ko) 2017-12-26 2017-12-26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698242B2 (ko)
KR (1) KR102455559B1 (ko)
CN (1) CN1099632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184B1 (ko) * 2018-09-28 2023-03-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53775B1 (ko) * 2019-07-04 2024-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02008A (ko) * 2020-06-30 2022-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20019140A (ko) * 2020-08-06 2022-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914B1 (ko) * 2004-10-22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음향 출력장치과 영상/음향 출력장치
KR20140106958A (ko) * 2013-02-27 201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160000070A (ko) * 2014-06-23 2016-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280216A1 (en) * 2016-03-28 2017-09-28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59030T1 (de) 1993-12-16 1996-01-04 Toshiba Kawasaki Kk Lautsprechersystem für Fernsehgeräte.
CN2441281Y (zh) 2000-08-04 2001-08-01 宋茂洪 一种音箱电视柜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205123966U (zh) 2015-06-25 2016-03-30 吴开东 一种专业音箱
US11115740B2 (en) * 2016-12-27 2021-09-07 Sony Corporation Flat panel speaker and display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914B1 (ko) * 2004-10-22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음향 출력장치과 영상/음향 출력장치
KR20140106958A (ko) * 2013-02-27 201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160000070A (ko) * 2014-06-23 2016-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280216A1 (en) * 2016-03-28 2017-09-28 Lg Display Co., Ltd. Panel vibration type sound generat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54507A (zh) 2021-06-11
US11131873B2 (en) 2021-09-28
KR102455559B1 (ko) 2022-10-14
US20200341327A1 (en) 2020-10-29
CN109963236A (zh) 2019-07-02
CN109963236B (zh) 2021-03-05
US10698242B2 (en) 2020-06-30
US20190196247A1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6676B1 (ko) 표시장치
KR102312266B1 (ko) 표시장치
KR102455490B1 (ko) 표시 장치
KR102663292B1 (ko)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KR102633372B1 (ko) 표시장치
KR102605160B1 (ko) 표시장치
KR20190030494A (ko) 표시장치
US11131873B2 (en) Display apparatus with sound generation device
KR20230084440A (ko) 표시장치
KR102650501B1 (ko) 음향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용 장치
KR102514184B1 (ko) 표시장치
KR102422063B1 (ko) 표시장치
CN112954507B (zh) 显示装置
KR20220103682A (ko) 표시장치
KR20200050913A (ko) 표시장치
KR20210085207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