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037A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037A
KR20190074037A KR1020170175390A KR20170175390A KR20190074037A KR 20190074037 A KR20190074037 A KR 20190074037A KR 1020170175390 A KR1020170175390 A KR 1020170175390A KR 20170175390 A KR20170175390 A KR 20170175390A KR 20190074037 A KR20190074037 A KR 20190074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ptical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3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영남
노성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4037A/en
Publication of KR20190074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0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01L51/5275
    • H01L51/50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Abstract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an optical multilayer film and a high refractive layer are arranged on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thereby reducing color change in accordance with a viewing angle and improving a reliability of UV.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es: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comprising an anode, a cath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 optical multilayer film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 organic material layer 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and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on the organic material layer, and having a refractive index whic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multilayer film.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본 명세서는 유기발광소자 상에 광학다층막을 배치함으로써,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고, UV 신뢰성을 향상시킨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device in which an optical multilayered film is disposed 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reby reducing a color change depending on a viewing angle and improving UV reliability.

능동형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는 유기발광층, 애노드(anode), 및 캐소드(cathode)를 구비한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와, 유기발광소자에 전류를 제공하는 구동회로(예를 들면,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등)를 포함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애노드와 캐소드로부터 각각 주입된 정공(hole)과 전자(electron)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형성된 여기자의 에너지 방출에 의해 특정 파장의 광이 발생되는 현상을 이용한 표시장치이다. 따라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명암비,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 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BACKGROUND ART [0002] An active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 anode, and a cathode, a driving circuit (E.g., transistors, capacitors, etc.).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oles and electrons respectively injected from the anode and the cathode are recombin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to form an exciton, and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is generated by energy release of the excitons formed . Therefo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dvantages of high response speed, high contrast ratio, light emitting efficiency, luminance, and viewing angle by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ich emits light by itself.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효율은 내부효율(internal efficiency)과 외부효율(external efficiency)로 나뉘어진다. 내부효율은 유기발광물질의 광전변환효율(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에 의존하고, 광추출효율(light coupling efficiency)이라고도 불리는 외부효율은 유기발광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의 굴절률에 의존한다. 이 중,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추출효율은 다른 표시장치에 비해 낮은편이다. 그 이유는 유기발광층에서 방출되는 광이 임계각 이상으로 출사될 때, 예를 들어,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로 만들어진 애노드 또는 캐소드를 형성하는 전극과 같이 굴절률이 큰 층과 기판, 봉지층과 같이 굴절률이 작은 층 사이의 계면에서 전반사를 일으켜 외부로 추출되는 것이 방해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유기발광소자에서 발광된 광의 약 20% 정도의 광이 외부로 추출될 수 있다.The light efficienc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s divided into an internal efficiency and an external efficiency. The internal efficiency depends on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and the external efficiency, also referred to as light coupling efficiency, depends on the refractive index of each layer constituting the organic luminescent element. Among them,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lower than that of other display devices. This is because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emitted at a critical angle or more, for example, an anode made of indium tin oxide (ITO) or a layer having a large index of refraction such as an electrode forming a cathode, And the total reflectio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layers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like the layer is prevented from being extract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light of about 20%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extracted to the outside.

언급한 바와같이 유기발광소자에서 자체 발광된 광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통과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외부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유기발광 표시장치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들이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면에는 굴절률이 다른 계면이 존재하므로 반사, 흡수, 산란, 및 굴절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광추출효율이 낮아지므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정면 및 측면에 대한 광추출효율이 문제가 된다. As mentioned above, the self-emitted light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asses through various component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owever,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light that is trapped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not exist out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this cas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reflection, absorption, scattering, and refraction occur due to existence of an interface having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on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t becomes a problem.

이와 같은 광추출효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기발광소자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들의 두께 및 굴절률을 다르게 하거나 유기층을 추가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 내에서 스트롱 마이크로캐비티(strong microcavity) 효과를 일으켜 광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유기발광층의 두께 및 굴절률을 다르게 하거나 유기발광층에 유기층을 부가하는 경우 마이크로캐비티 효과가 강해져 시야각에 따라 발광되는 빛의 색이 변하고 발광되는 빛이 직진성을 띄어 램버시안(Lambertian) 분포를 가지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스트롱 마이크로캐비티란 메인 피크 파장의 반치폭을 좁히면서 광의 강도를 증가시켜주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스트롱 마이트로캐비티를 이용하면 정면 광 효율 및 색순도가 향상되는 반면, 시야각에서의 광 효율이 감소하고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가 크게 발생하는 트레이드오프 관계가 나타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of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the thickness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dispos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re made different, or the organic layer is ad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light by causing a strong microcavity effect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can be used. However, when the thickness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re made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when the organic layer is add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micro cavity effect becomes strong so that the color of the light emitted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changes, and the light emitted is linearly lengthened to have no Lambertian distribution do. Here, the strong microcavity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intensity of light is increased while the half width of the main peak wavelength is narrowed. Using the cavity with the stromite improves the frontal light efficiency and color purity, while the light efficiency in the viewing angle is decreased and the tradeoff relationship in which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largely occurs.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발광면에 광공진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광학다층막을 형성하여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color shift)를 줄이고, 유기발광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an optical multilayer film capable of functioning as an optical resonator can be formed on the light emitting surfac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o reduce color shif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ereby inventing a display devic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과제는 광학다층막을 형성하는 광학층들의 적층순서가 굴절률에 따라 결정됨으로써 유기발광소자 내에서 1차 간섭되어 광학다층막으로 입사된 광이 광학다층막 내에서 2차 간섭을 일으키게 하여 위크 마이크로캐비티(weak microcavity) 효과를 발생시키고, 광의 메인 피크 파장의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 위크 마이크로캐비티란 메인 피크 파장의 반치폭을 증가시켜 시야각 특성에 영향이 적게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위크 마이크로캐비티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조를 적용하여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order of stacking of the optical layers form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fractive index so that the light incident 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is firstly interfer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hich is capable of generating a weak microcavity effect and increasing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of the light's main peak wavelength. In this case, the wick microcavity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half-width of the main peak wavelength is increased, so that the influence on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is less affected. Therefore, the structure for generating the wick micro-cavity effect can be applied to reduce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그리고,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과제는 캐소드의 두께를 감소시켜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고, 이에 따라 캐소드 두께와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인 UV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광학층의 개수 및 두께를 가지는 광학다층막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solu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cathode to reduce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nd thereby to solve the UV reliability problem which is a trade off relationship with the cathode thickness And an optical multilayer film having a thickness.

본 명세서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애노드, 캐소드, 및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유기발광소자 상에 있는 광학다층막, 광학다층막 상에 있는 유기물층, 및 유기물층 상에 있으며, 광학다층막의 굴절률 이상인 고굴절층을 포함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고, UV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ing an anode, a cath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 optical multilayer film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 organic layer 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And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not less than that of the optical multilayer fil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mprove the UV reliability.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유기발광소자 상에 광학다층막을 배치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의 반치폭이 광학다층막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에서 출사된 광의 반치폭에 비하여 넓어지기 때문에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고, 유기발광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the half wid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wider than the half wid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structure not us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 The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캐소드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일 수 있다.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cathode.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광학다층막 상에 광학다층막을 구성하는 광학층의 굴절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고굴절층을 배치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UV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UV reliabilit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by disposing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relatively high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layer constitut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광학다층막을 구성하는 복수의 광학층들은 캐소드와 인접하는 층부터 순서대로 고굴절률의 광학층 및 저굴절률의 광학층을 번갈아가며 배치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를 통과한 광이 2차 간섭을 일으키게 하여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고, 유기발광소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optical layers constitut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are alternately arranged in order from the layer adjacent to the cathode to the optical layer of high refractive index and the optical layer of low refractive index, Light can cause secondary interference, thereby reducing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광학다층막을 구성하는 광학층들 중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작은 광학층들을 실리콘 산화 질화물(SiON)로 형성함으로써, 광학층 형성시 발생하는 수소(H2)의 발생을 억제하여 유기발광층의 열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generation of hydrogen (H 2 ) generated in the formation of an optical layer by forming optical layers having a relatively small refractive index from silicon oxynitride (SiON) among the optical layers constitut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prevented.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광학다층막 상에 유기물층 및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광학다층막 상에 이물이 생길 경우 이물로 인해 광학다층막이 보호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기발광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prevent the optical multilayer film from being peeled from the protective layer due to foreign matter when foreign matters are formed 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by forming the organic layer and the protective layer 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캡핑층의 두께를 5㎚ 이하로 형성함으로써,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고, 제품 신뢰성 평가 시 광학다층막이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in evaluating the product reliability by reducing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by forming the capping layer with a thickness of 5 nm or less.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광학다층막을 이루는 광학층간의 굴절률 차이가 0.01 이상 0.6 이하로 형성함으로써, 신뢰성 평가 시 광학층간의 굴절률 차이에 따른 팽창률의 차이로 인해 광학층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ptical layer from being peeled off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expansion ratio depending o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optical layers in the reliability evaluation, by forming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optical layers constitut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to be not less than 0.01 and not more than 0.6 can do.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명세서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명세서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The scope of the claims is not limit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s the contents of the description in the problems,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and the effects described above do not specify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다층막을 적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다층막을 적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비교예 및 실시예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적색 광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UV 신뢰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녹색 광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UV 신뢰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c는 청색 광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UV 신뢰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1로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중앙에서 우측 방향으로 시야각에 따른 백색 광의 색좌표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예2로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중앙에서 우측 방향으로 시야각에 따른 백색 광의 색좌표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로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중앙에서 우측 방향으로 시야각에 따른 백색 광의 색좌표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which an optical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an optical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transmittances according to wavelengths of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5A is a graph showing the UV reliabilit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 red light.
5B is a graph showing the UV reli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 green light.
5C is a graph showing the UV reli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 blue light.
6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hange of the color coordinates of white ligh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s Comparative Example 1.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olor coordinates of the white ligh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s Comparative Example 2;
8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olor coordinates of white ligh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scrip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is to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specifica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is specif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and the like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Where the terms "comprises", "having", "done", and the like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other portion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cluding the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nstituent elements, it is construed to include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top', 'under', and 'next to' Or " direct " is not used, one or more other portion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ortions.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a temporal posterior relationship is described by 'after', 'after', 'after', 'before', etc., 'May not be contiguous unless it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herein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wholly, 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that the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t is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LED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는 기판(104), 기판(104)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100), 캡핑층(110), 광학다층막(120), 유기물층(140), 및 고굴절층(150)을 포함한다.The OLED display 1000 includes a substrate 104,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disposed on the substrate 104, a capping layer 110, an optical multilayer 120, an organic layer 140, and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

기판(104) 상에는 유기발광소자(100)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구동회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회로는 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회로는 기판(104) 상에 형성된 복수의 서브화소에 대응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유기발광소자(100)의 애노드(101)와 연결된다. A driving circuit for providing current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4, and the driving circuit may include a transistor, a capacitor,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driving circuit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ub-pixels formed on the substrate 104, and is connected to the anode 101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00.

기판(104)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 아크릴(acryl),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polyether), 술폰산(sulfonic acid) 계열의 물질, 또는 실리콘 산화물(SiOx) 등으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ubstrate 104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glass or a material such as polyimide, acryl, polyacrylate, polycarbonate, polyether, a sulfonic acid series material, or a flexible film made of silicon oxide (SiOx)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기판(104)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100)는 애노드(101), 유기발광층(102), 및 캐소드(10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유기발광층(102)과 애노드(101) 사이에 정공주입층 및 정공전달층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유기발광층(102)과 캐소드(103) 사이에 전자전달층 및 전자주입층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유기발광층(102)은 적색, 청색, 녹색, 또는 이들과 유사한 색을 발광하는 발광층으로서 발광층이 하나인 단일층 구조일 수 있으며, 발광층이 두 개 이상이고 발광층과 발광층 사이에 전하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 CGL)을 포함하는 텐덤구조(tandem structure)일 수도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disposed on the substrate 104 includes an anode 101,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and a cathode 103. [ In this case, a hole injecting layer and a hole transporting layer may be included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and the anode 101, and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ng layer may be included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and the cathode 103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may be a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red, blue, green, or a similar color, and may have a single layer structur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layer is a single layer structure. The light emitting layer 102 may include two or more light emitting layers, a charge generation layer (CGL), or a tandem structure.

유기발광층(102)으로부터 발광된 광은 애노드(101)와 캐소드(103) 사이에서 1차 간섭(131)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발광소자(100)는 유기발광층(102)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 애노드(101)와 캐소드(103) 사이의 미세공진(microcavity) 거리를 고려한 구조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미세공진(microcavity)이란,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애노드(101)와 캐소드(103) 사이에서 반사 및 재반사를 반복하면서 증폭되어 보강 간섭이 일어나 발광 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유기발광층(102)은 각각의 서브화소마다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고, 서브화소별로 발광하는 색에 따라 애노드(101)와 캐소드(103) 사이의 거리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백색 광을 사용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경우 유기발광층(102)은 복수의 서브화소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may cause a primary interference 131 between the anode 101 and the cathode 103. For examp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may have a structure and a thickness considering a microcavity distance between the anode 101 and the cathode 103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Microcavity means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is amplified while being repeatedly reflected and re-reflected between the anode 101 and the cathode 103 to cause constructive interference, thereby improving the luminous efficiency. In this cas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may be formed separately for each sub-pixel,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node 101 and the cathode 103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lor emitted by each sub-pixel. In the cas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white light,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may be formed in common to a plurality of sub-pixels.

언급한 바와 같이, 애노드(101)는 각각의 서브화소마다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유기발광층(102)에 정공(hole)을 공급 또는 전달하는 전극으로, 기판(104) 상에 배치된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과 연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anode 101 may be disposed separately for each sub-pixel, and may be an electrode for supplying or transferring hole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Source or drain.

상부발광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경우, 복수의 애노드(101)는 유기발광층(102)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애노드(101)에 반사되어 원활하게 상부 방향(또는, 캐소드(103)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노드(101)는 투명층과 반사층이 적층된 2층 구조, 또는 투명층, 반사층, 및 투명층이 적층된 3층 구조일 수 있다. 투명층은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de, ITO) 또는 인듐아연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반사층은 구리(Cu), 은(Ag), 팔라듐(Pd), 알루미늄(Al), 백금(At), 금(Au), 크롬(Cr), 텅스텐(T), 몰리브데늄(Mo), 티타늄(Ti), 이리듐(Ir) 등과 같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애노드(101)는 투명층과 반사층의 특성을 갖는 물질 또는 구조로 구성된 단일층일 수도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0 of the top emission type, a plurality of the anodes 101 are arranged such that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is reflected by the anode 101 and smoothly flows upward (or the cathode 103 (I.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ight passes through). For example, the anode 101 may have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layer and a reflective layer are laminated, or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a transparent layer, a reflective layer, and a transparent layer are laminated. The transparent layer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and the reflective layer may be made of copper (Cu), silver (Ag), palladium (Pd) (Al), platinum (At), gold (Au), chromium (Cr), tungsten (T), molybdenum (Mo), titanium (Ti), iridium . Alternatively, the anode 101 may be a single layer composed of a material or a structure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a transparent layer and a reflective layer.

캐소드(103)는 복수의 서브화소에 공통으로 배치되며, 유기발광층(102)에 전자(electron)를 공급 또는 전달하는 전극이다. The cathode 103 is an electrode that is commonly disposed in a plurality of sub-pixels and supplies or transmits electrons to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02. [

상부발광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경우, 캐소드(103)는 유기발광층(102)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통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캐소드(103)는 은(Ag), 마그네슘(Mg),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은 금속 물질을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애노드(101)의 투명층과 같이 인듐주석산화물 또는 인듐아연산화물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성 산화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0 of the top emission type, the cathode 103 has a transparent characteristic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can pass therethrough. For example, the cathode 103 may be formed of a very thin metal material such as silver (Ag), magnesium (Mg), or an alloy thereof. Or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material such as indium tin oxide or indium zinc oxide as the transparent layer of the anode 101.

스트롱 마이크로캐비티 효과, 즉 1차 간섭(131)에 의해 유기발광소자(100)로부터 발광된 광은 발광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지만, 스트롱 마이크로캐비티 효과에 의해 광의 강도가 커질수록,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스트롱 마이크로캐비티 효과는 유기발광소자(100)로부터 발광된 광의 강도(intensity)가 커지면서 광의 메인 피크 파장의 반치폭이 작아지므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정면 효율은 증가하지만 시야각 특성은 저하된다. 따라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광의 강도는 유지하면서 광의 메인 피크 파장의 반치폭을 넓게하여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고 유기발광소자(100)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는 유기발광소자(100)로부터 발광된 광이 출사하는 면에 광학다층막(120)을 배치할 수 있다. 광학다층막(12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이어서 캡핑층(110)에 대해 설명한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by the strong micro cavity effect, that is, the primary interference 131,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luminous efficiency. However, as the intensity of light increases due to the strong micro cavity effect, A problem may arise in that the color change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panel 1000 is lowered. The intensity micro-cavity effect increases the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thereby reducing the half width of the main peak wavelength of light, so that the front efficiency of the OLED 1000 increases but th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decreases. Accordingly, in order to increase the half-width of the main peak wavelength of the light while maintain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1000,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The display apparatus 1000 can arrange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on the surface from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00 is emitted.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capping layer 110 will be described below.

유기발광소자(100)와 광학다층막(120) 사이에는 캡핑층(capping layer, 110)을 배치할 수 있다. 캡핑층(110)은 유기발광소자(100)를 커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산소 및 수분의 유입을 막아주고, UV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유기발광소자(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캡핑층(110)을 두껍게, 예를 들어 약 4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경우,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로부터 출사된 광의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캡핑층(110)에 의해 발생하는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없애기 위해 캡핑층(110)을 삭제하는 경우,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신뢰성 평가 시 광학다층막(120)이 유기발광소자(100)로부터 박리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A capping layer 1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and the optical multilayer 120. The capping layer 110 cover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thereby preventing oxygen and moisture from ent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and blocking UV. However, when the capping layer 110 is formed thick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for example, about 40 nm in thickness, the color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LED display 1000 The change can occur to a large extent. When the capping layer 110 is removed in order to eliminate the color change caused by the viewing angle caused by the capping layer 110, the reli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0 can be improved by using the optical multi- 100) may occur.

일반적으로 제품이 완성된 후에는 제품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신뢰성 평가를 진행하게 된다. 신뢰성 평가란 고온/고습, 예를 들어 50?/90% 또는 60?/80%, 환경의 챔버에서 수시간 내지 수십시간 방치했을 때 외관상 제품의 변형이나 구동시 화면의 이상 등을 확인하는 평가로, 신뢰성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고온/고습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는 제품을 출하할 수 있다. 신뢰성 평가를 위한 온도나 습도는 일 실시예로 기재되었을 뿐, 본 명세서의 내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Generally, after the product is completed, the reliability evaluation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The reliability evaluation is an evaluation for checking the deformation of the product or the abnormal screen on driving when the product is left in a high temperature / high humidity environment, for example, 50? / 90% or 60? / 80% , We can ship products that can withstand high temperature / high humidity environment by conducting reliability evaluati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reliability evaluation are described as an embodiment, 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캡핑층(110)이 없는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신뢰성 평가 진행 시, 유기물질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층(102)과 무기물질로 이루어진 광학다층막(120)은 고온/고습 환경에서 팽창률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유기발광층(102)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100)와 광학다층막(120) 사이에 틈이 생기면서 분리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캡핑층(110)은 유기발광소자(100)와 광학다층막(120) 사이에 배치되어 광학다층막(120)이 유기발광소자(100)에 접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캡핑층(110)은 광학적 영향이 거의 없을 정도로 얇게 형성된 기능층으로, 캡핑층(110)의 두께는 5㎚ 이하일 수 있으며, 유기물질 또는 무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층일 수 있다. 따라서, 캡핑층(110)은 광학다층막(120)이 유기발광소자(10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made of an organic material and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0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have different expansion ratios in a high temperature / high humidity environment in the progress of reliability evalu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1000 without the capping layer 110 A defect may occur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includ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and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0, and separation occurs. The capping layer 110 is disposed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and the optical multilayer 120 so that the optical multilayer 120 is bond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In this case, the capping layer 110 is a functional layer formed to be thin enough to have no optical effect. The capping layer 110 may have a thickness of 5 nm or less and may be an insulating layer made of an organic material or an inorganic material. Accordingly, the capping layer 110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0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00.

도 1의 화살표는 유기발광층(102)에서 정면으로 발광된 광의 경로를 나타낸 것으로 유기발광소자(100) 내에서 유기발광층(102)과 애노드(101) 및 캐소드(103)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광의 반사로 인해 유기발광소자(100) 내에서 발생하는 광의 간섭인 1차 간섭(131), 그리고 광학다층막(120) 및 후술할 고굴절층(150)에 의해 굴절률이 서로 다른 광학층 계면에서 발생하는 광의 반사에 의한 2차 간섭(132)을 나타낸다.1 shows a path of light emitted to the front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The arrows in FIG. 1 indicate paths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in fro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0, The first interference 131 which is the interference of light gener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due to the first optical layer 130 and the reflection of light generated at the optical layer interface where the refractive index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0 and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Lt; RTI ID = 0.0 > 132 < / RTI >

광학다층막(120)은 캐소드(103)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캐소드(103)를 통해 출사된 광은 캐소드(103)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광학다층막(120)과 캐소드(103)의 계면에서 반사(132A)되고, 광학다층막(120)과 캐소드(103)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132A)은 광학다층막(120) 내에서 2차 간섭이 일어난다. 이 경우, 광학다층막(120)과 캐소드(103) 사이에 배치된 캡핑층(110)이 캐소드(103)를 통해 출사된 광에 미치는 광학적 영향은 무시할 수 있을만큼 작다.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is formed to have a refractive index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athode 103 so that light emitted through the cathode 103 is incident 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having a refractive index larger than that of the cathode 103 and the cathode 103 And the light 132A refl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and the cathode 103 undergoes second order interference i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In this case, In this case, the optical effect of the capping layer 110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and the cathode 103 on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cathode 103 is negligibly small.

광학다층막(120)을 이용해 광의 2차 간섭(132A)을 발생시킴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광학다층막(120)은 복수의 광학층을 포함하게 함으로써 위크 마이크로캐비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By generating the second interference (132A) of light by using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0),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OLED display (1000) can be reduced. In this case,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tical layers to improve the wick micro-cavity effect.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캐소드(103)의 두께가 증가하면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추가로 개선하기 위해서 캐소드(103)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캐소드(103)의 두께를 줄이면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UV 신뢰성이 떨어지므로 제품을 양산하기 어려울 수 있다. UV 신뢰성이란 외부에서 발생한 UV 광에 대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UV 광이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에 유입되는 양이 많을수록 UV 신뢰성이 떨어지고 UV 광이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에 유입되는 양이 적을수록 UV 신뢰성이 향상된다고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ickness of the cathode 103 is increased, a color change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can be largely generated.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cathode 103 can be reduced to further improve the color change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cathode 103 is reduced, the UV reli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0 may deteriorate, so that mass production of the product may be difficult. UV reliability refers to the dur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0 with respect to UV light generated from the outside. The more the amount of UV light introduced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0, the lower the reliability of the UV light. The smaller the amount of the ink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1000, the more the UV reliability is improved.

UV 광은 캐소드(103)를 수축시켜 유기발과소자(100)로 UV 투과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캐소드(103)가 수축되면 서브화소 주변부부터 검게 변하는 서브화소의 패이드-아웃(fade-out) 현상이 발생한다. 다시 말하면, UV 광에 의해 영향을 받은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는 점등 시 서브화소가 서서히 암점으로 변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UV 광은 유기발광소자(100)를 통해 기판(104) 상에 형성된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계열의 절연층에 영향을 미치므로 수소와 같은 가스가 발생되고 가스는 유기발광층(102)과 반응하여 유기발광층(102)에 손상을 준다. 따라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가 제품화되기 위해서는 UV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The UV light can shrink the cathode 103 to increase the UV transmission through the organic foot and the device 100. When the cathode 103 is contracted, a fade-out phenomenon occurs in the sub-pixels which change from the periphery of the sub-pixel to black. In other words,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0 is affected by the UV light, the sub pixel gradually changes to a dark spot. In addition, UV light affects a polyimide or polyacrylate-based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104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so that a gas such as hydrogen is generated, And reacts wit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to damag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2. Therefore, in order for the OLED display 1000 to be commercialized, UV reliability must be secured.

이에 따라, 두께가 얇은 캐소드(103)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시야각에서 색변화를 추가로 개선하고 UV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광학다층막(120) 상에 고굴절층(150)을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두께가 얇은 캐소드(103)의 두께는 12㎚ 이상 16㎚ 이하일 수 있다. 고굴절층(150)은 추가로 광의 2차 간섭(132B)을 발생시킴으로써 시야각에서의 색변화를 개선하기 위해 광학다층막(120)보다 굴절률이 같거나 커야한다. 특히, UV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고굴절층(150)의 굴절률은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굴절층(150)의 굴절률은 1.94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고굴절층(150)의 두께는 광학다층막(120)의 두께와 유사하게 형성할 수 있다. 고굴절층(150)의 두께는 0.7㎛ 내지 1㎛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ccordingly,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is disposed 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to further improve the color change at the viewing angle of the OLED display 1000 including the cathode 103 having a small thickness and ensure UV reliability can do.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thin cathode 103 may be 12 nm or more and 16 nm or less.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should have a refractive index equal to or greater than that of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color change at the viewing angle by generating secondary interference 132B of light. In particular, in order to ensure UV reliabilit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should be sufficiently large. For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may be 1.94 or higher. The thickness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may be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The thickness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may be from 0.7 탆 to 1 탆,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고굴절층(150)은 유기발광소자(100)의 보호층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고굴절층(150)은 광학다층막(120) 상에 배치되어 유기발광소자(100)로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고, 유기발광소자(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굴절층(150)은 무기절연층으로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산화 질화물(SiON)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may serve as a protective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is disposed 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to prevent moisture and oxygen from penetrating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may be made of one or more of silicon nitride (SiNx),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oxynitride (SiON) as the inorganic insulating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고굴절층(150)은 광학다층막(120)의 굴절률 이상의 굴절률이고 광학다층막(120)과 유사한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1000)의 시야각에서 색변화를 추가로 개선하고 UV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has a refractive index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multilayer 120 and has a thickness similar to that of the optical multilayer 120 to further improve the color change at the viewing angl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0 and improve UV reliability .

광학다층막(120)과 고굴절층(150) 사이에 유기물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물층(140)은 유기절연층으로, 고분자(polymer)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물층(140)은 잉크젯 프린팅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유기물층(140)은 이물커버층(particle covering layer, PCL)이라고도 불리며, 이물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이물은 광학다층막(120)을 형성하는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로, 예를 들어 광학다층막(120)을 형성한 후 고굴절층(150)을 형성하기 위해 이동하는 과정 중에 공기 중에 있는 먼지 등이 광학다층막(12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다층막(120) 표면에 이물이 부착된 상태에서 유기물층(140) 없이 광학다층막(120) 상에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고굴절층(150)이 배치될 경우, 무기절연물질은 광학다층막(120) 표면에 부착된 이물과의 밀착력이 높지 않기 때문에 이물 주변으로 틈이 생길 수 있으며 틈 형성으로 인해 고굴절층(150)이 박리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물질로 이루어진 유기물층(140)을 광학다층막(120)과 고굴절층(15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이물 및 이물 주변을 커버하여 고굴절층(150)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물층(140)의 두께는 5㎛ 이상 20㎛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잉크젯 프린팅 방법으로 유기물층(140)을 형성할 경우, 두께는 8㎛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n organic layer 1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0 and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The organic material layer 140 is an organic insulating layer and may be formed of a polymer. The organic material layer 140 may be formed by an ink-jet printing metho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rganic material layer 140 is also referred to as a particle covering layer (PCL), and covers the foreign material. In this case, the foreign object is a foreign substance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For example, the foreign substance may be a foreign substance such as dust in the air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and then forming the high- And the like can be attached 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In this case, when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is disposed 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without the organic material layer 140 in the state that foreign matters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120 may not be high enough to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foreign object, so that gaps may be formed around the foreign object, and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may be peeled off due to the formation of gaps. Accordingly, by disposing the organic material layer 140 made of an organic material between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0 and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from being peeled off by covering the foreign object and the periphery of the foreign object.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material layer 140 may be 5 탆 or more and 20 탆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organic material layer 140 is formed by the ink-jet printing method, the thickness may be 8 탆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다층막을 적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1)는 도 1의 광학다층막(120) 이외의 구성요소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할 수 있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which an optical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1 of FIG. 2 has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0 of FIG. 1, and thus the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or simplified.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다층막(121)은 제1 광학층(121A), 제2 광학층(121B), 및 제3 광학층(121C)을 포함한다. 제1 광학층(121A)은 캐소드(103) 상에 배치된다. 제1 광학층(121A)은 캐소드(103)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캐소드(103)를 통해 출사된 광은 캐소드(103)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제1 광학층(121A)과 캐소드(103)의 계면에서 반사(132A')되고, 제1 광학층(121A)과 캐소드(103)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132A')은 광학다층막(121) 내에서 2차 간섭이 일어난다. 이 경우, 제1 광학층(121A)과 캐소드(103) 사이에 배치된 캡핑층(110)이 캐소드(103)를 통해 출사된 광에 미치는 광학적 영향은 무시할 수 있을만큼 작다.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optical layer 121A, a second optical layer 121B, and a third optical layer 121C.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is disposed on the cathode 103. [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may be formed to have a refractive index larg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athode 103 and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cathode 103 may be formed in the first optical layer The light 132A 'refl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and the cathode 103 is reflected 132A'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and the cathode 103, This happens. In this case, the optical effect of the capping layer 110 disposed between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and the cathode 103 on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cathode 103 is negligibly small.

입사각이 0°(입사면에 수직)인 광은 굴절률이 작은 물질에서 굴절률이 큰 물질로 입사될 때, 굴절률이 작은 물질과 굴절률이 큰 물질의 경계에서 반사광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에 발생된 반사광은 입사각이 0°인 광이 굴절률이 큰 물질에서 굴절률이 작은 물질로 입사할 때 발생하는 반사광의 양보다 많다. 따라서, 굴절률이 작은 물질에서 굴절률이 큰 물질로 광을 입사시킴으로써 반사광의 양을 증가시켜 반사광에 의한 2차 간섭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When light having an incident angle of 0 ° (perpendicular to the incident surface) is incident on a material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in a material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reflected light is generated at a boundary between the material having a low refractive index and the material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The reflected light generated in this case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reflected light that is generated when light having an incident angle of 0 is incident on a material having a small refractive index from a material having a large refractive index. Therefore, by introducing light from a material having a small refractive index into a material having a large refractive index, the amount of reflected light can be increased, and secondary interference due to reflected light can be efficiently generated.

이어서, 제1 광학층(121A) 상에는 제2 광학층(121B)이 배치된다. 제2 광학층(121B)은 제1 광학층(121A)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is disposed on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can be formed to have a refractive index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또한, 제2 광학층(121B) 상에는 제3 광학층(121C)이 배치된다. 제3 광학층(121C)은 제2 광학층(121B)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광학층(121B)을 통해 출사된 광은 제2 광학층(121B)의 굴절률보다 큰 굴절률을 갖는 제3 광학층(121C)과 제2 광학층(121B)의 계면에서 반사(132A'')되고, 제3 광학층(121C)과 제2 광학층(121B)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132A'')은 광학다층막(121) 내에서 2차 간섭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제1 광학층(121A)의 굴절률은 1.94, 제2 광학층(121B)의 굴절률은 1.70, 제3 광학층(121C)의 굴절률은 1.8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광학층(121A), 제2 광학층(121B), 및 제3 광학층(121C)의 두께의 합은 1㎛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제1 광학층(121A)은 0.5㎛, 제2 광학층(121B)은 0.2㎛, 제3 광학층(121C)은 0.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광학층은 0.1㎛ 미만으로 형성할 경우, 광학층의 공정 산포가 커지게 되므로 두께의 균일성이 급격히 떨어진다. 따라서, 각각의 광학층은 0.1㎛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굴절률 및 두께의 수치는 설계수치이며 공정 편차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절률의 공정 편차는 2%일 수 있고, 두께의 공정 편차는 6%일 수 있다.A third optical layer 121C is disposed on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can be formed to have a refractive index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The light emitted through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is reflected by the interface between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and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having a refractive index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And the light 132A '' refl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and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undergoes second-order interference i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1. For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may be 1.94,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may be 1.70,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may be 1.8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and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may be 1 mu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may be 0.5 mu m,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may be 0.2 mu m, and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may be 0.3 mu 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each of the optical layers is formed to be less than 0.1 占 퐉, the process dispersion of the optical layer becomes large, and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drastically drops. Thus, each optical layer can be formed with a thickness of 0.1 탆 or more. The numerical values of refractive index and thickness are design values and may include process deviations. For example, the process variation of the refractive index may be 2%, and the process variation of the thickness may be 6%.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1)는 캐소드(103)와 제1 광학층(121A)의 계면과 제2 광학층(121B)과 제3 광학층(121C)의 계면에서 반사된 광(132A', 132A'')이 광학다층막(121) 내에서 2차 간섭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광학다층막(121)을 배치하지 않은 경우 또는 단일층으로 배치한 경우와 상대적으로 위크 마이크로캐비티 효과가 향상되므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1)의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고, 유기발광소자(10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0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cathode 103 and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and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Layer interference film 122A 'and 132A' 'in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1, the wick micro-cavity effect is improved relatively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1 is not disposed,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OLED display 1001 can be reduced and the efficiency of the OLED 100 can be improved.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다층막을 적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2)는 도 1의 광학다층막(120) 이외의 구성요소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할 수 있다. 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an optical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2 of FIG. 3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0 of FIG. 1, so that the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or simplified.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다층막(122)은 도 2의 제1 광학층(121A), 제2 광학층(121B), 및 제3 광학층(121C)에 추가로 제4 광학층(121D)을 포함한다. 제1 광학층(121A), 제2 광학층(121B), 및 제3 광학층(121C)의 구성요소는 도 2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할 수 있다.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12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urth optical layer 121A in addition to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and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in FIG. 2 121D.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and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overlap with those of FIG. 2 and can be omitted.

제4 광학층(121D)은 제3 광학층(121C)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제4 광학층(121D)의 굴절률은 제3 광학층(121C)의 굴절률보다 작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제3 광학층(121C)을 통과한 빛이 제4 광학층(121D)을 통해 고굴절층(150)으로 입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4 광학층(121D)을 배치함으로써 유기물층(140)을 생략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1002)의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일 수 있다.The fourth optical layer 121D may be disposed on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ourth optical layer 121D may be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and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may pass through the fourth optical layer 121D, (150). Further, by disposing the fourth optical layer 121D, the organic layer 140 can be omitted, thereby reducing the color change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of the OLED display 1002. [

제1 광학층(121A)과 제2 광학층(121B), 제2 광학층(121B)과 제3 광학층(121C), 제3 광학층(121C)과 제4 광학층(121D)의 굴절률 차이가 큰 경우 신뢰성 평가시 굴절률 차이가 큰 광학층간의 팽창률 차이로 인해 박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광학층간의 굴절률 차이는 0.01 이상 0.6 이하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and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and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and the fourth optical layer 121D The peeling phenomenon may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expansion ratio between the optical layers having a larg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in the reliability evaluation, so that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optical layers can be formed to be not less than 0.01 and not more than 0.6.

이 경우, 제1 광학층(121A), 제2 광학층(121B), 제3 광학층(121C), 및 제4 광학층(121D)의 두께의 합은 1㎛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sum of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and the fourth optical layer 121D may be 1 탆,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광학다층막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광학다층막의 구성은 제1 광학층(121A) 및 제2 광학층(121B)의 두 개의 광학층으로 이루어진 광학다층막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광학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일 수 있다. 광학층을 여러 개 추가할수록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일 수 있지만,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정면 효율이나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정면 효율이나 휘도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의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광학층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optical multilayer fil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optical multilayer film composed of the two optical layers of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and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By further including two optical layers,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The more the optical layers are added, the more the color change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can be reduced, but the front efficiency and bright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may be deteriora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number of optical layers so as to have the eff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thout causing problems such as front efficiency and bright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세 개 또는 네 개의 광학층으로 이루어진 광학다층막(121, 122)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백색화면을 표시할 경우, 백색화면이 노란색을 띄지 않게하고, 광학다층막이 굴절률 차이에 의해 신뢰성 평가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학층을 많이 형성할수록 광학다층막의 헤이즈(haze) 발생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광학층의 개수가 작을수록 헤이즈(haze)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광학층의 개수가 작을수록 광학층 증착 챔버를 청소하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optical multilayer films 121 and 122 made of three or four optical layers can be effective in the following points. When a white screen is display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he white screen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yellow, and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eeled off in the reliability evalu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Further, as the number of optical layers is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haze of the optical multilayer film increases, which may affec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device. The smaller the number of optical layers, the lower the possibility of haze. In addition, since the time required for cleaning the optical layer deposition chamber is reduced as the number of optical layers is reduced, the processing time can be shortened.

따라서, 본 명세서는 최소한의 광학층을 사용함으로써, 광학층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반사된 광의 양을 최대한으로 발생시켜 유기발광소자(100)를 통과한 광이 2차 간섭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in this specification, by using the minimum optical layer,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the optical layer is maximized, so that the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0 can cause secondary interferenc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다층막(120, 121, 122)은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산화 질화물(SiON)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400㎚와 700㎚ 사이의 파장에서 실리콘 산화물(SiOx)과 질화 실리콘 산화물(SiON)의 굴절률은 약 1.46 이상 1.5 이하이고 실리콘 질화물(SiNx)의 굴절률은 약 1.9 이상 2.3 이하이므로, 실리콘 산화물(SiOx)과 실리콘 산화 질화물(SiON)의 굴절률이 실리콘 질화물(SiNx)의 굴절률에 비해 작은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실리콘 산화물(SiOx)과 실리콘 산화 질화물(SiON)에 포함된 산소원자는 광학층 형성시 발생하는 수소(H2)와 결합하여 수소(H2)가 유기발광소자(100)로 침투하여 유기발광소자(100)를 열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ptical multilayer films 120, 121, and 1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of silicon nitride (SiNx), silicon oxide (SiOx), and silicon oxynitride (SiON). Among them, the refractive indices of silicon oxide (SiOx) and silicon nitride oxide (SiON) are about 1.46 or more and 1.5 or less and the refractive index of silicon nitride (SiNx) is about 1.9 or more and 2.3 or less at wavelengths between 400 nm and 700 nm, (SiOx) and silicon oxynitride (SiON) have a characteristic that the refractive index of silicon nitride (SiNx) is smaller than that of silicon nitride (SiNx). The oxygen atoms contained in the silicon oxide (SiOx) and the silicon oxynitride (SiON) combine with the hydrogen (H 2 ) generated in the formation of the optical layer so that the hydrogen (H 2 ) penetrates into the organic l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0 from deteriorating.

따라서, 광학다층막(120, 121, 122)을 구성하는 광학층들 중 굴절률이 작은 광학층들을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산화 질화물(SiON)로 형성함으로써, 광학층 형성시 발생하는 수소(H2)의 발생을 억제하여 유기발광층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광학층(121A)과 인접하며 제1 광학층(121A) 보다 굴절률이 작은 제2 광학층(121B) 및 제3 광학층(121C)과 인접하며 제3 광학층(121C) 보다 굴절률이 작은 제4 광학층(121D)은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산화 질화물(SiON)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굴절층(150)은 실리콘 질화물(SiNx)을 이용함으로써, 1.94 이상의 굴절률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고굴절층(150)을 형성하기 위해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할 수 있는데, 굴절률과 막의 단차 보상(step coverage) 특성은 서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이므로 굴절률이 증가된 고굴절층(150)의 단차 보상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굴절층(150)의 두께는 0.7㎛ 내지 1㎛일 수 있다. 이 경우, 단차 보상 특성은 기판에 이물이 떨어졌을 때 그 위에 무기막이 이물을 틈새없이 잘 감싸는 정도를 나타내는 특성이다. 이물과 무기막 사이에 틈새가 생기면 그 사이로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여 흑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차 보상 특성이 높을수록 흑점 발생 확률이 줄어들므로 유기발광소자(100)의 봉지 신뢰성이 우수해진다.Thus, by form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120, 121, 122) optical layers is a small optical layer nitride of silicon oxide (SiOx) or a silicon oxynitride (SiON) refractive index of constituting the hydrogen generated upon formation of the optical layer (H 2 ) Can be suppressed and deterior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an be prevented. For example, the second optical layer 121B adjacent to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and having a refractive index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optical layer 121A, and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adjacent to the third optical layer 121C, The fourth optical layer 121D having a smaller refractive index can be formed of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oxynitride (SiON). Further,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can be formed to have a refractive index of 1.94 or more by using silicon nitride (SiNx). Chemical vapor deposition may be used to form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Since the refractive index and the step coverag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are in a trade off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The thickness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may be 0.7 탆 to 1 탆. In this case, the level difference compensation characteristic is a characteristic which indicates the extent to which the inorganic film covers the foreign matter without gaps when the foreign matter is dropped on the substrate. If a gap is formed between the foreign matter and the inorganic film, moisture or oxygen may penetrate through the space to generate a black spot. Therefore, the higher the level difference compensation characteristic is, the smaller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the black spot is, and thus the sealing reli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00 is improved.

도 4는 비교예 및 실시예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파장(wavelength, ㎚)이고 세로축은 투과율(transmittance, %)을 나타낸다. 4 is a graph showing transmittances according to wavelengths of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The horizontal axis of the graph shows the wavelength (nm) and the vertical axis shows the transmittance (%).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캐소드 상부에 있는 광학다층막, 유기물층, 및 고굴절층을 포함하여 봉지구조라고 할 때, 도 4는 봉지구조의 투과율을 의미한다. 비교예는 고굴절층의 굴절률이 1.85인 경우이고,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고굴절층(150)의 굴절률이 1.94인 경우이다. 도 4에서 복수개의 비교예와 실시예의 그래프가 여러 개인 이유는 복수의 샘플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기 때문이다.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 encapsulation structure including an optical multi-layered film, an organic layer, and a high-refraction layer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a cathode means the transmissivity of the encapsulation structure.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1.85,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150 is 1.94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the reason why there are a plurality of graphs of the plurality of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embodiments is that the plurality of samples are used for the measurement.

가시광선의 영역을 380㎚ 내지 700㎚라고 할 때, UV 파장은 380㎚ 이하의 짧은 파장에 해당한다. 도 4를 참고하면, 375㎚에서 비교예는 투과율이 70%이고, 실시예는 20%이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UV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UV 파장의 투과율이 20% 이하여야 하므로 고굴절층의 굴절률이 1.94 이상일 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When the region of the visible light is 380 nm to 700 nm, the UV wavelength corresponds to a short wavelength of 380 nm or less. Referring to FIG. 4, at 375 nm, the comparative example has a transmittance of 70% and an example of 20%. In order to ensure the UV reliabi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he transmittance of the UV wavelength should be 20% or less, so that it is effective whe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refraction layer is 1.94 or more.

도 5a, 도 5b, 및 도 5c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광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UV 신뢰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hr), 세로축은 휘도(%)를 나타낸다. FIGS. 5A, 5B, and 5C are graphs showing the UV reliabilit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red, green, and blue light, respectively. The horizontal axis of the graph represents time (hr),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luminance (%).

도 5a는 적색 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UV 광을 조사하여 시간에 따른 휘도 감소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1W(@ 420nm)의 UV 광을 210시간 조사한 결과이다. 가속 실험을 하기 위하여 적정 전류의 2배를 인가하여 실험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및 실시예에 따른 캐소드 및 봉지구조의 구성요소는 [표 1]과 같다.FIG. 5A is a graph showing reduction in luminance with time by irradiating UV light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mitting red light, which is a result of irradiating UV light of 1 W (@ 420 nm) for 210 hour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applying double the appropriate current for the acceleration experiment. The components of the cathode and encaps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and Example are shown in Table 1.

캐소드Cathode 광학다층막Optical multilayer film 유기물층Organic layer 고굴절층High-refraction layer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유/무The presence or absence OO SiNxSiNx SiONSiON OO SiNx (1.85)SiNx (1.85) 두께thickness 18㎚18 nm 0.9㎛0.9 탆 0.1㎛0.1 탆 8㎛8 탆 1㎛1 탆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유/무The presence or absence OO SiNxSiNx SiONSiON OO SiNx (1.85)SiNx (1.85) 두께thickness 14㎚14 nm 0.9㎛0.9 탆 0.1㎛0.1 탆 8㎛8 탆 1㎛1 탆 실시예Example 유/무The presence or absence OO SiNxSiNx SiONSiON SiNxSiNx OO SiNx (1.94)SiNx (1.94) 두께thickness 14㎚14 nm 0.5㎛0.5 탆 0.2㎛0.2 탆 0.3㎛0.3 탆 8㎛8 탆 1㎛1 탆

[표 1]과 같이 형성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비교예1의 경우 광학다층막이 두 개의 무기절연층으로 형성되고 굴절률이 1.85인 광학층을 포함하고, 비교예2의 경우 비교예1과 동일조건에서 캐소드의 두께만 14㎚로 변경된 구조이며, 실시예의 경우 광학다층막은 두께가 서로 다른 세 개의 광학층을 포함하고 세 개의 광학층은 캐소드 상에 굴절률이 높은 층부터 순서대로, 굴절률이 높은 층, 낮은 층, 그리고 높은 층이 배치되며 굴절률이 1.94인 고굴절층을 포함한다. [표 1]에 표시된 광학다층막, 유기물층, 및 고굴절층은 유기발광소자 상에 순서대로 적층된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med as shown in [Table 1],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optical multilayer film was formed of two inorganic insulating layers and had an optical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85. In Comparative Example 2, In the embodiment, the optical multilayer film includes three optical layer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nd the three optical layers are formed on the cathode in order from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to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the low refractive index layer, Layer, and a high-refractive-index layer with a refractive index of 1.94. The optical multilayer film, the organic layer, and the high-refraction layer shown in [Table 1]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도 5a를 참고하면, 복수개로 도시된 동일 종류의 선으로 표기된 그래프는 동일한 조건의 샘플로 실험한 결과이다. 210시간에서 비교예1의 그래프의 산포는 ①에 해당하고, 비교예2의 그래프의 산포는 ②에 해당하며, 실시예의 그래프의 산포는 ③에 해당한다. 비교예1과 실시예는 유사한 수준으로 휘도가 감소하고, 비교예2는 비교예1과 실시예보다 급격히 휘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적색 광에서 실시예의 UV 신뢰성은 비교예1과 동등 수준으로 확보되고, 비교예2보다 향상되었다. Referring to FIG. 5A, a plurality of graphs indicated by the same kind of lines are the results of experiments with samples of the same conditions. At 210 hours, the dispersion of the graph of Comparative Example 1 corresponds to?, The dispersion of the graph of Comparative Example 2 corresponds to?, And the dispersion of the graph of the example corresponds to?. It can be seen that the luminance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Example were reduced to a similar level, and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 Therefore, in the red light, the UV reliability of the example was secured at the same level as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1, and it was improved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example 2.

도 5b는 녹색 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UV 광을 조사하여 시간에 따른 휘도 감소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1W(@ 420nm)의 UV 광을 210시간 조사한 결과이다. 가속 실험을하기 위하여 적정 전류의 2배를 인가하여 실험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및 실시예에 따른 캐소드 및 봉지구조의 구성요소는 [표 1]과 같다. FIG. 5B is a graph showing reduction in luminance with time by irradiating UV light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mitting green light, which is a result of irradiating UV light of 1 W (420 nm) for 210 hour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applying double the appropriate current for the acceleration experiment. The components of the cathode and encaps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and Example are shown in Table 1.

도 5b를 참고하면, 복수개로 도시된 동일 종류의 선으로 표기된 그래프는 동일한 조건의 샘플로 실험한 결과이다. 210시간에서 비교예1의 그래프의 산포는 ①에 해당하고, 비교예2의 그래프의 산포는 ②에 해당하며, 실시예의 그래프의 산포는 ③에 해당한다. 비교예2와 실시예는 유사한 수준으로 휘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녹색 광에서 실시예의 UV 신뢰성은 비교예2와 거의 유사한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the graphs indicated by the same kind of lines shown in the plural ar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ith the samples of the same condition. At 210 hours, the dispersion of the graph of Comparative Example 1 corresponds to?, The dispersion of the graph of Comparative Example 2 corresponds to?, And the dispersion of the graph of the example corresponds to?. The luminance of Comparative Example 2 and Example is reduced to a similar level.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UV reliability of the example in the green light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Comparative Example 2. [

도 5c는 청색 광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UV 광을 조사하여 시간에 따른 휘도 감소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1W(@ 420nm)의 UV 광을 210시간 조사한 결과이다. 비교예1, 비교예2, 및 실시예에 따른 캐소드 및 봉지구조의 구성요소는 [표 1]과 같다. FIG. 5C is a graph showing a luminance decrease with time by irradiating UV light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mitting blue light, which is a result of irradiating UV light of 1 W (@ 420 nm) for 210 hours. The components of the cathode and encaps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and Example are shown in Table 1.

도 5c를 참고하면, 복수개로 도시된 동일 종류의 선으로 표기된 그래프는 동일한 조건의 샘플로 실험한 결과이다. 210시간에서 비교예1의 그래프의 산포는 ①에 해당하고, 실시예의 그래프의 산포는 ③에 해당한다. 비교예2는 210시간이 되기전에 휘도가 0%로 빠르게 감소되었다. 실시예는 비교예1과 유사한 수준으로 휘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청색 광에서 실시예의 UV 신뢰성은 비교예1와 동등 수준으로 확보되고, 비교예2보다 향상되었다.Referring to FIG. 5C, graphs indicated by a plurality of lines of the same kind are the results of experiments with samples of the same conditions. At 210 hours, the dispersion of the graph of Comparative Example 1 corresponds to?, And the dispersion of the graph of the embodiment corresponds to?.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luminance rapidly decreased to 0% before 210 hours. The brightness of the embodiment is reduced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 Therefore, in the blue light, the UV reliability of the Example was secured at the same level as that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it was improved than that of Comparative Example 2.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하면, 비교예1과 비교예2를 통해 캐소드의 두께가 18㎚에서 14㎚로 감소하면 UV 신뢰성이 매우 취약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2와 실시예를 통해 세 개의 광학다층막과 굴절률 1.94의 고굴절층을 적용함으로써 캐소드의 두께가 18㎚일 때와 동등 수준으로 UV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A to 5C,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thickness of the cathode is reduced from 18 nm to 14 nm through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UV reliability becomes very weak.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UV reliability can be secured at the same level as that when the thickness of the cathode is 18 nm by applying three optical multilayer films and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94 through the comparative example 2 and the example.

도 6은 비교예1로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중앙에서 우측 방향으로 시야각에 따른 백색 광의 색좌표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예2로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중앙에서 우측 방향으로 시야각에 따른 백색 광의 색좌표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로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중앙에서 우측 방향으로 시야각에 따른 백색 광의 색좌표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hange of the color coordinates of white ligh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s Comparative Example 1.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olor coordinates of the white ligh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s Comparative Example 2; 8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olor coordinates of white ligh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n the right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 경우,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우측, 상측, 좌측, 및 하측 방향은 각각 0°, 90°, 180°, 및 270°의 방위각(azimuth angle)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색좌표 변화량(Δu'v')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색좌표와 시야각에서의 색좌표의 차이를 말하며, 색좌표(u'v')는 국제조명위원회 CIE 15.2에 정의된 1976 UCS 도표 좌표를 말한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 측정된 시야각은 0°부터 60°까지이며, 시작 위치(X)의 시야각은 0°이다. In this case, the right side, the upper side, the left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expressed by azimuth angles of 0 °, 90 °, 180 °, and 270 °, respectively. The color coordinate (u'v ') refer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lor coordinates in the color coordinates and the viewing ang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color coordinate (u'v') refers to the 1976 UCS chart coordinates defined in the International Lighting Commission CIE 15.2. The viewing angles measured in Figs. 5A to 5D are from 0 to 60,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starting position X is 0 DEG.

도 6은 [표 1]에 나타낸 비교예1의 조건으로 실험한 결과이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중앙에서 정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우측 방향(azimuth angle 0°)으로 시야각을 형성하여 백색 광의 색좌표를 측정한 그래프로, 시야각에 따른 색좌표 변화량의 최대값(Δu'v'_R1)은 약 0.031이다.6 show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under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1 shown in [Table 1]. The maximum value (? U'v'_R1) of the amount of color coordinate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s a graph obtained by measuring the color coordinates of white light by forming a viewing angle in the right direction (azimuth angle 0 °) 0.031.

도 7은 [표 1]에 나타낸 비교예2의 조건으로 실험한 결과이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중앙에서 정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우측 방향(azimuth angle 0°)으로 시야각을 형성하여 백색 광의 색좌표를 측정한 그래프로, 시야각에 따른 색좌표 변화량의 최대값(Δu'v'_R2)은 약 0.022이다.Fig. 7 show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under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Example 2 shown in [Table 1]. The maximum value (? U'v'_R2) of the amount of color coordinate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s a graph obtained by measuring the color coordinates of white light by forming a viewing angle in a right direction (azimuth angle 0 °) 0.022.

도 8은 [표 1]에 나타낸 실시예의 조건으로 실험한 결과이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중앙에서 정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우측 방향(azimuth angle 0°)으로 시야각을 형성하여 백색 광의 색좌표를 측정한 그래프로, 시야각에 따른 색좌표 변화량의 최대값(Δu'v'_E)은 약 0.010이다. 따라서, 비교예1 및 비교예2와 비교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시야각에 따른 색좌표 변화량이 0.020 이하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0.020 이하일 경우 시야각에 따른 색이 붉게 보인다거나 푸르게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방지할 수 있어서 보다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Fig. 8 shows the results of experiments under the conditions of the embodiment shown in [Table 1]. The maximum value (? U'v'_E) of the amount of color coordinate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s a graph obtained by measuring the color coordinates of white light by forming a viewing angle in the right direction (azimuth angle 0 °) Lt; / RTI >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comparative example 2,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lor coordinate variation of 0.020 or less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0.02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a color corresponding to a viewing angle appears red or blue, thereby preventing a color change depending on a viewing angle, thereby providing a clearer image quality.

시야각을 형성하는 방향(azimuth angle 0°)에 따라 비교예1 및 비교예2와 실시예의 색좌표 변화량의 최대값을 비교했을 때, 비교예1 및 비교예2의 값보다 실시예의 값이 작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개의 광학층으로 이루어진 광학다층막을 포함하는 비교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로부터 발광되는 백색 광의 색좌표 변화량의 최대값은 세 개의 광학층을 포함하는 광학다층막 및 굴절률이 1.94인 고굴절층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로부터 발광되는 백색 광의 색좌표 변화량의 최대값보다 크다. 따라서, 실시예를 적용했을 때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고, 유기발광소자의 효율을 향상시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maximum values of the amounts of change in color coordinate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Exampl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azimuth angle 0 ° in which the viewing angle was formed, the values of Examples were smaller than those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Can be confirmed. The maximum value of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olor coordinates of the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comparative example includ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composed of the two optical layers was obtained by using the optical multilayered film including three optical layers and the organic Is larg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olor coordinate of the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refore, when the embodiment is applied,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can be reduced, and the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improved, so that the lifetim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an be improved.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애노드, 캐소드, 및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유기발광소자 상에 있는 광학다층막, 광학다층막 상에 있는 유기물층, 및 유기물층 상에 있으며, 광학다층막의 굴절률 이상인 굴절률을 가지는 고굴절층을 포함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를 줄이고, UV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ing an anode, a cath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 optical multilayer film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 organic layer 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And a high refractive index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high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multilayer film,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mprove the UV reliability.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굴절층의 굴절률은 1.94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disclosur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1.94.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굴절층은 단일층이고, 고굴절층의 두께는 0.7㎛ 이상 1㎛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igh-refraction layer may be a single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high-refraction layer may be 0.7 탆 or more and 1 탆 or less.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굴절층은 실리콘 질화물(SiNx)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igh-refraction layer may be silicon nitride (SiNx).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광학다층막은 캐소드 상에 제1 광학층, 제1 광학층 상에 제2 광학층, 및 제2 광학층 상에 제3 광학층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제2 광학층은 제1 광학층 및 제3 광학층의 굴절률보다 작을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cal multilayer film includes a first optical layer on a cathode, a second optical layer on a first optical layer, and a third optical layer on a second optical layer, The optical layer may be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first optical layer and the third optical layer.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광학다층막은 제3 광학층 상에 있고, 제3 광학층보다 굴절률이 작은 제4 광학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optical layer on the third optical layer, the fourth optical layer having a lower refractive index than the third optical layer.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광학다층막의 두께는 1㎛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multilayer film may be 1 탆 or less.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광학층 및 제3 광학층은 실리콘 질화물(SiNx)이고, 제2 광학층 및 제4 광학층은 실리콘 산화 질화물(SiON)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disclosure, the first and third optical layers may be silicon nitride (SiNx), and the second and fourth optical layers may be silicon oxynitride (SiON).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광학다층막을 구성하는 광학층들 중 인접하는 광학층의 굴절률 차이는 0.01 이상 0.6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the adjacent optical layers among the optical layers constitut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may be 0.01 or more and 0.6 or less.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캐소드 상에 캡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apping layer may further be included on the cathode.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캐소드의 두께는 12㎚ 이상 16㎚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hickness of the cathode may be 12 nm or more and 16 nm or less.

본 명세서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시야각에 따른 색좌표 변화량은 0.020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olor coordinat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be 0.020 or les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1001, 1002 : 유기발광 표시장치
100 : 유기발광소자
101 : 애노드
102 : 유기발광층
103 : 캐소드
104 : 기판
110 : 캡핑층
120, 121, 122 : 광학다층막
121A : 제1 광학층
121B : 제2 광학층
121C : 제3 광학층
121D : 제4 광학층
131 : 1차 간섭
132 : 2차 간섭
140 : 유기물층
150 : 고굴절층
1000, 1001, 1002: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1: anode
102: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03: cathode
104: substrate
110: capping layer
120, 121, 122: optical multilayer film
121A: first optical layer
121B: second optical layer
121C: Third optical layer
121D: fourth optical layer
131: Primary interference
132: Secondary interference
140: organic layer
150: High-refraction layer

Claims (12)

애노드, 캐소드, 및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있는 광학다층막;
상기 광학다층막 상에 있는 유기물층; 및
상기 유기물층 상에 있으며, 상기 광학다층막의 굴절률 이상인 굴절률을 가지는 고굴절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ing an anode, a cath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 optical multilayer film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 organic material layer o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And
And a high-refraction layer on the organic material layer, the high-refraction layer having a refractive index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ptical multilayer fil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층의 굴절률은 1.94 이상인, 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1.94 or mor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층은 단일층이고, 상기 고굴절층의 두께는 0.7㎛ 이상 1㎛ 이하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a single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0.7 m or more and 1 m or les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층은 실리콘 질화물(SiNx)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igh refractive index layer is silicon nitride (SiNx).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다층막은 상기 캐소드 상에 제1 광학층, 상기 제1 광학층 상에 제2 광학층, 및 상기 제2 광학층 상에 제3 광학층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상기 제2 광학층은 상기 제1 광학층 및 제3 광학층의 굴절률보다 작은, 유기발광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is formed by laminating a first optical layer on the cathode, a second optical layer on the first optical layer, and a third optical layer on the second optical layer in this order, And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first optical layer and the third optical layer are smaller than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first optical layer and the third optical lay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다층막은 상기 제3 광학층 상에 있고, 상기 제3 광학층보다 굴절률이 작은 제4 광학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ptical multilayer film further comprises a fourth optical layer on the third optical layer and having a refractive index lower than that of the third optical layer.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다층막의 두께는 1㎛ 이하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optical multilayer film is 1 占 퐉 or less.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층 및 상기 제3 광학층은 실리콘 질화물(SiNx)이고, 상기 제2 광학층 및 상기 제4 광학층은 실리콘 산화 질화물(SiON)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optical layer and the third optical layer are silicon nitride (SiNx), and the second optical layer and the fourth optical layer are silicon oxynitride (Si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다층막을 구성하는 광학층들 중 인접하는 광학층의 굴절률 차이는 0.01 이상 0.6 이하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an adjacent optical layer among the optical layers constituting the optical multilayer film is not less than 0.01 and not more than 0.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상에 캡핑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apping layer on the cath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의 두께는 12㎚ 이상 16㎚ 이하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ickness of the cathode is 12 nm or more and 16 nm or les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시야각에 따른 색좌표 변화량은 0.020 이하인, 전계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mount of change in the color coordinate according to a viewing angl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0.020 or less.
KR1020170175390A 2017-12-19 2017-12-1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900740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390A KR20190074037A (en) 2017-12-19 2017-12-1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390A KR20190074037A (en) 2017-12-19 2017-12-1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37A true KR20190074037A (en) 2019-06-27

Family

ID=6705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390A KR20190074037A (en) 2017-12-19 2017-12-1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4037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6580A (en) * 2019-11-29 2022-01-07 株式会社Lg化学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CN114267811A (en) * 2021-12-16 2022-04-0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445091B1 (en) * 2021-08-04 2022-09-20 주식회사 디엠엘이디 LED lighting apparatus with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fun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6580A (en) * 2019-11-29 2022-01-07 株式会社Lg化学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CN113906580B (en) * 2019-11-29 2023-12-08 株式会社Lg化学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KR102445091B1 (en) * 2021-08-04 2022-09-20 주식회사 디엠엘이디 LED lighting apparatus with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function
CN114267811A (en) * 2021-12-16 2022-04-01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87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386766B1 (en) Display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738200B (en) Display unit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US8426847B2 (en) Light emitting device
JP6282832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US7132791B2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CN104094669B (en) Display device
JP7083103B2 (en) OLED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10516130B2 (en) Light emitting apparatus with optical interference layer having a larger refractive index than a light emitting layer
KR20120136433A (en) Organic e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57922A (en) Display device
KR20190074037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12635524A (en) Self-luminous display panel
KR10260561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2020042955A (en) Display panel, inspection method of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WO2013047622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20200002673A (en) Display device
US11800769B2 (en) Display apparatus
CN105514137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2022018141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328198A1 (en) Light-emitting device
CN117063611A (en)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10320151A1 (en) Light-emitting device
KR20200081194A (en) Display device
CN117396038A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