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119A - System for providing life habit analysis information for person concerned diabetes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life habit analysis information for person concerned diabe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119A
KR20190073119A KR1020170174454A KR20170174454A KR20190073119A KR 20190073119 A KR20190073119 A KR 20190073119A KR 1020170174454 A KR1020170174454 A KR 1020170174454A KR 20170174454 A KR20170174454 A KR 20170174454A KR 20190073119 A KR20190073119 A KR 20190073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diabetes
lifestyle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4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민경필
박정운
최인수
Original Assignee
(주)휴레이포지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레이포지티브 filed Critical (주)휴레이포지티브
Priority to KR1020170174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3119A/en
Publication of KR2019007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1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providing life habit analysis information for a person with diabetes comprises: a user terminal collecting and transmitting diabetes information of a user; and a life habit analysis server generating life habit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diabetes management of the user based on the diabetes information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ife habit analysi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life habit analysis server generates the life habit analysis information from a blood glucose pattern variance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diabetes information of the user.

Description

당뇨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life habit analysis information for person concerned diabetes}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life-style analysis of diabetic subjects is provided.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당뇨와 관련한 대사 증후군에 해당하는 당뇨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viding healthcare ser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improving lifestyle for diabetic subjects corresponding to diabetic-related metabolic syndrome.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 관리에 관한 서비스가 다양한 매체(예컨대, 스마트 폰)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With increased interest in healthcare, services for healthcare are being provided through a variety of media (e.g., smartphones).

그러나, 현대인들은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은 반면, 바쁜 일상 속에서 건강 관리를 위한 행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기존의 건강 관리에 관한 서비스는 대부분 개인별 건강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인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개인별 건강 상태를 고려하더라도, 개인의 건강관리 유형(또는, 성향)을 고려하지 않은 건강 관리 정보를 제공 함에 따라, 개인은 건강 관리를 위한 행동을 실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However, while modern people are concerned about health care, it is not easy to continue to practice health care management in busy daily life. In particular, existing health care services generally provide general health care information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health conditions, and even when considering individual health conditions, health services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health care type (or inclination) By providing management information, it is not easy for individuals to practice behaviors for health care.

특히, 당뇨와 관련한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잠재적인 당뇨 환자로의 전환이 예상되는 질병군의 경우에 식사, 운동, 수면, 스트레스 등의 생활 습관을 교정해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isease group that has diabetes-related diseases or is expected to be converted to a potential diabetic patient, lifestyle such as diet, exercise, sleep, and stress should be corrected to maintain health.

그러나, 당뇨 대상자에 유익한 건강 관리 정보가 제공되더라도, 각자의 건강 관리를 위한 행동을 실천하지 않으면, 건강 관리 정보는 무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당뇨 대상자의 생활습관과 관련한 차별화되는 정보의 제공이 요구된다. However, even if beneficial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subject of diabetes, the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becomes meaningless unless actions for individual health management are implement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ovide differentia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festyle of diabetic subjects.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당뇨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된 혈당패턴 분산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당뇨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diabetic subject who can generate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of a user from a blood glucose pattern dispersion value calculated based on diabetes information of a user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user.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당뇨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은, 사용자 당뇨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당뇨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당뇨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당뇨 관리와 관련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생활습관 분석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습관 분석서버는, 상기 사용자 당뇨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된 혈당패턴 분산값으로부터 상기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providing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on a diabetic subject comprising: a user terminal for collecting user diabetic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collected user diabetic information; And a lifestyle habit analysis server for generating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diabetes management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 And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server generates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blood glucose pattern variance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당뇨정보를 수집하는 당뇨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사용자 당뇨정보를 상기 생활습관 분석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생활습관 분석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수신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당뇨정보 수집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및 상기 수집된 사용자 당뇨정보, 상기 수신된 생활습관 분석정보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for the user;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the collected user diabetes information to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server and receiving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server; An input / output interface for outputting the receiv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A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And a memory for storing the collected user diabetes information, the receiv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and program information for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상기 당뇨정보 수집부는, 연속혈당 측정기(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상기 사용자 당뇨정보는, 혈당정보, 식사정보, 인슐린정보, 복약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blood sugar information, meal information, insulin information, and medication information.

상기 생활습관 분석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당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수신된 사용자 당뇨정보에 대해 요일별 또는 시간대별 혈당패턴 분산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혈당패턴 분산값으로부터 상기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생활습관 분석부; 및 사용자 등록정보, 상기 사용자 당뇨정보, 상기 생활습관 분석정보, 상기 생활습관 분석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compris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 lifestyle habit analysis unit for calculating a blood glucose pattern variance value for each day of the week or a time period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user diabetes information and generating the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calculated blood glucose pattern variance value; And a database for storing user registration information,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the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and program information for operation of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unit.

상기 생활습관 분석부는, 상기 생성된 생활습관 분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festyle analyzing unit generates a notification message for lifestyle improvement of the user based on the generat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notific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당뇨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된 혈당패턴 분산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당뇨 대상자에게 자기의 생활습관을 개선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당뇨 대상자에 대한 건강 관련정보를 유효하게 수집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life habit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from the blood glucose pattern dispersion valu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diabetic information of the user and is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the diabetic subject can be guided to improve his / her lifestyle , And the health-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 of diabetes can be effectively colle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당뇨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생활습관 분석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diabetic su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user terminal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ifestyle analysis server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 comprise "and / or" comprising "when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as specifying the presence of stated shap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or group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regions and / or region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se elemen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Do. These terms do not imply any particular order, top, bottom, or top row,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member, region, or region from another member, region, or region. Thus, the first member, region or reg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region or reg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chematically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s, for example, variations in the shape shown may be expect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any particular shape of the regions illustrated herein, including, for example, variations in shape resulting from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당뇨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diabetic su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당뇨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100, 이하 시스템이라 한다)은, 사용자 단말기(10) 및 생활습관 분석서버(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통신망(2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stem) for a diabetic subject includes a user terminal 10 and a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These components are connected by a network 20.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당뇨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당뇨정보를 생활습관 분석서버(30)로 전송하고, 생활습관 분석서버(30)로부터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망(20)을 통해 생활습관 분석서버(30)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당뇨정보는, 사용자 혈당정보, 사용자 식사정보, 사용자 인슐린정보, 사용자 복약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 collects user diabetes information for the user, transmits the collected user diabetes information to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receives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and outputs the information .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10 is connected to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via a communication network 20 including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Here,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user blood sugar information, user meal information, user insulin information, and user medication information.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 이동 전화기 ,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넷북 컴퓨터, PDA, PMP, 휴대용 의료기기, 또는 웨어러블 장치(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는 데스크탑 PC, 랩탑 PC, 워크스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user terminal 10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mobile phone, a videophone, an electronic book reader, a netbook computer, a PDA, a PMP, a portable medical device or a wearable device ), An electronic garment, an electronic bracelet, an electronic necklace, an electronic apparel set, a smart mirror, or a smart watch). The user terminal 10 may also include a desktop PC, a laptop PC, a workstation, and the like. The details of the user terminal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통신망(20)은 사용자 단말기(10)와 서버(3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와 서버(30)는 통신망(20)을 이용하여 사용자 당뇨정보 또는 생활습관 분석정보에 대해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server 30. The user terminal 10 and the server 30 can transmit or receive user diabetes information or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

통신망(20)은 무선 통신망로서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 또는 WiMax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 또는 CDMA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 또는 HSUPA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20)은 블루투스, 지그비, RFID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망일 수 있다. 또한, 통신망(20)는 유선 인터넷망, 전력선 통신망, 유선 전화망 등 음성, 문자,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유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wireless Internet such as WiFi, a portable Internet such as WiBro or WiMax, a 2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GSM or CDMA, a 3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CDMA or CDMA2000, a 3.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HSDPA or HSUPA,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TE network or LTE-Advanced network, and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lso,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may be a network support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ZigBee, or RFI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at enables exchange of voice, text, and multimedia data such as a wired Internet network, a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red telephone network.

생활습관 분석서버(3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당뇨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당뇨 관리와 관련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한다. 이때, 생활습관 분석서버(30)는 사용자 당뇨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된 혈당패턴 분산값으로부터 상기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생활습관 분석서버(3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망(2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와 연결되어 있다. 생활습관 분석서버(3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generates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abetes management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transmits the generat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 Lt; / RTI > At this time,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can generate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blood glucose pattern variance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To this end,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20 including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The details of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user terminal 10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 당뇨정보 수집부(110), 메모리(120), 단말 통신부(130) 및 단말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user terminal 10 may include an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a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a memory 120,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and a terminal control unit 140.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 또는 명령을 당뇨정보 수집부(110) 또는 단말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는 단말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른 정보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당뇨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는 생활습관 분석서버(30)로부터 제공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또한, 생활습관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receives information or commands from a user and transmits the inputted information or commands to 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or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Also,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output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a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may receive user diabetes information from a user. Also,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can output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and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a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는 예를 들면, 키 보드, 패널, 스캐닝 펜, 또는 초음파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출력을 위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는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발광 다이오드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 (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을 위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는 예를 들면,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In order to receive information,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may include, for example, a keyboard, a panel, a scanning pen, or an ultrasonic input device.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or a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And may include an electronic paper display. Also, for audio output,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can process audio information input or output through, for example, a speaker, a receiver, an earphone, or a microphone.

당뇨정보 수집부(110)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당뇨정보를 수집한다. 당뇨정보 수집부(110)는 예를 들어, 연속혈당 측정기(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연속혈당 측정기는 사용자의 혈액 내 포함된 혈당을 측정하는 역할로, 측정된 혈당에 관한 정보 즉, 혈당 및 혈당이 측정된 날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속혈당 측정기는 혈당치와 혈당추세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포도당 센서, 모니터, 수신기/모니터로 구성되어 있어 일정 시간(예를 들어, 5분마다)마다 혈당을 측정하여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당뇨정보는, 사용자 혈당정보, 사용자 식사정보, 사용자 인슐린정보, 사용자 복약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collects user diabetes information about the user. 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serves to measure the blood glucose contained in the blood of the user, 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measured blood glucose, that is, information on the blood glucose and the date when the blood glucose was measured.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is composed of a glucose sensor, a monitor, and a receiver / monitor in order to provide a blood glucose level and a blood glucose trend in real time, and the blood glucose can be measured and record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every 5 minutes). Here,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user blood sugar information, user meal information, user insulin information, and user medication information.

당뇨정보 수집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일체화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10)에 독립적인 구조를 가지며, 연결 수단을 통해 결합된 당뇨 정보 수집을 위한 기기일 수도 있다. 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may be integrated with the user terminal 10 or may be a device independent of the user terminal 10 and may be a device for collecting diabetes information combined through connection means.

또한, 당뇨정보 수집부(1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당뇨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하는 혈당 정보, 식사 정보, 인슐린 정보, 복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혈당 정보는 사용자의 혈당 측정값을 포함하며, 측정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혈당 측정값은 사용자가 별도의 혈당 측정 기기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한 후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may collect user diabetes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Here,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may include blood glucose information, meal information, insulin information, medication information, etc., which the user directly makes. The blood glucose information includes a blood glucose measurement value of the user and may include measurement state information.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value may be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after measuring the blood glucose using a separate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메모리(1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 또는 당뇨정보 수집부(1109)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 당뇨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120)는 단말 제어부(14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생활습관 분석서버(30)로부터 제공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20)는 단말 제어부(140)의 액세스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단말 제어부(140)에 제공하거나, 단말 제어부(140)의 저장 요청에 따라, 해당 저장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memory 120 stores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or 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9. In addition, the memory 120 stores program information for operation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In addition, the memory 120 may store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The memory 120 provides the previously stored data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the access request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or stores the data in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storage request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

단말 통신부(130)는 단말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생활습관 분석서버(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단말 통신부(130)는 당뇨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사용자 당뇨정보를 생활습관 분석서버(30)로 송신하고, 생활습관 분석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생활습관 분석정보 또는 생활습관 분석정보에 근거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단말 통신부(130)는 통신망(2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유선 통신모듈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server 30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to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and transmits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or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As shown in FIG. For this,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through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and supports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단말 제어부(14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 당뇨정보 수집부(110), 메모리(120), 단말 통신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14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입력되거나 당뇨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당뇨정보를 메모리(1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단말 제어부(140)는 수집된 사용자 당뇨정보를 단말 통신부(130)를 통해 생활습관 분석서버(30)로 전송하도록 단말 통신부(13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단말 통신부(130)는 사용자 당뇨정보를 생활습관 분석서버(30)로 전송한다.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controls operations of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the memory 120, and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memory 120 to store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or collected through 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 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to transmit the collected user diabetes information to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server 30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Accordingly,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transmits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to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server 30.

또한, 단말 제어부(140)는 생활습관 분석서버(30)로부터 전송된 생활습관 분석정보가 단말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는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Also, when the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is received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outputs the receiv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 Accordingly,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outputs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a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또한, 단말 제어부(140)는 생활습관 분석서버(30)로부터 생활습관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알림 메시지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부(100)는 생활습관 분석정보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로 출력한다. When receiving the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the terminal control unit 140 outputs the received notification message a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throug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 Accordingly,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00 outputs a notifica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as a video signal or a voice signal.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생활습관 분석서버(3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3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describing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server 30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생활습관 분석서버(30)는 서버 통신부(200), 데이터베이스(210) 및 서버 제어부(2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200, a database 210, and a server control unit 220.

서버 통신부(20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당뇨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200)는 서버 제어부(220)에서 생성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서버 통신부(200)는 통신망(2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유선 통신모듈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통신부(200)는 무선 통신망로서 무선인터넷, 휴대인터넷, 2G 이동통신망, 3G 이동통신망, 3.5G 이동통신망,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200)는 블루투스, 지그비, RFID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200)는 유선 인터넷을 지원하는 유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00) receives user diabetes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00 transmits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rver control unit 220 to the user terminal 10. To this e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00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through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and supports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supports a wireless Internet, a portable Internet, a 2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3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3.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In additio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00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ZigBee, and RFID. In additio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00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the wired Internet.

데이터베이스(210)는 사용자에 관한 개인 신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등록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당뇨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10)는 서버 제어부(220)에서 생성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10)는 서버 제어부(2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210)는 서버 제어부(220)의 액세스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서버 제어부(220)에 제공하거나, 서버 제어부(220)의 저장 요청에 따라, 해당 저장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database 210 stores use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bout a user and stores user diabet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 In addition, the database 210 stores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rver control unit 220. In addition, the database 210 stores program information for operation of the server control unit 220. The database 210 provides the previously stored data to the server control unit 220 according to the access request of the server control unit 220 or stores the data in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storage request of the server control unit 220 .

서버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당뇨정보에 대해 요일별 또는 시간대별 혈당패턴 분산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혈당패턴 분산값으로부터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한다.The server control unit 220 calculates the blood glucose pattern dispersion value for each day of the week or the time period for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 and generates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calculated blood glucose pattern dispersion value.

서버 제어부(220)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정보를 구동하여 사용자 당뇨정보에 대해 요일별 또는 시간대별 혈당 패턴 분산값을 산출한다. 혈당 패턴의 경우, 자가혈당의 측정은 측정시점과 측정방법 등의 미숙함으로 단기간의 데이터로는 데이터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에 따라, 연속혈당측정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집된 사용자 당뇨정보를 활용하여, 서버 제어부(220)는 환자의 7~14일 간의 혈당패턴을 근거로 요일변 또는 시간대별 분산값을 산출할 수 있다. The server control unit 220 drives the program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210 to calculate the blood glucose pattern dispersion value for each day of the week or the time period for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blood glucose pattern, the measurement of the autoglycemia is inaccurate at the time of measurement and the method of measurement, so that the accuracy of the data is degraded by short-term data. Accordingly, the server control unit 220 can calculate the variance value by day or day based on the blood glucose pattern of the patient for 7 to 14 days using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have.

서버 제어부(220)는 산출된 혈당 패턴 분산값으로부터 이상 패턴이 발생한 시점의 전/후에 대한 사용자의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erver control unit 220 can generate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on the user before and after the time when the abnormal pattern occurs from the calculated blood glucose pattern dispersion value.

서버 제어부(220)는 산출된 혈당 패턴 분산값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당뇨병 설정 정보 및 당뇨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서버 제어부(220)는 혈당 패턴 분산값에 상응하여 목표 혈당 범위인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목표 혈당 범위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2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he server control unit 220 generates diabetes setting information and diabetes analysis information for each user based on the calculated blood glucose pattern dispersion value. For example, the server control unit 220 can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blood glucose range is in accordance with the blood glucose pattern variance value, and generate the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lood sugar pattern variance value. For this purpose, information on the target blood glucose range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210 in advance.

서버 제어부(220)는 혈당 패턴 분산값에 기초하여 혈당 목표치 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분석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혈당 측정값이 경계 수준인지 위험 수준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20)는 혈당 목표치 범위를벗어나는 경우에 알림 메시지 또는 이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The server control unit 220 may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on whether the blood glucose level is within the blood glucose target value range based on the blood glucose pattern dispersion value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value of the user is a boundary level or a risk level according to the analysis information. The server control unit 220 may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or a corresponding message when the blood glucose target value is out of the range.

또한, 사용자 당뇨정보가 식사 정보인 경우에는, 서버 제어부(220)는 수신된 식사 정보에 기초하여, 식사 종류를 비교하여, 단순당 위주/탄수화물 위주/어육류/간식, 야식/음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식사 시간을 비교하여 이른 식사/제시간/늦은 식사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식사량을 비교하여, 식사 거름/조금/적당히/과식 등인지를 판단하고, 이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에 상응하는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서버 통신부(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If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is the meal information, the server control unit 220 compares the type of the meal based on the received meal information, and judges whether or not it is simple per side / carbohydrate / fish / snack, night / And compares the m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n early meal / time / late mea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pare dietary amounts to determine whether dietary fiber / little / moderate / overeating, etc., and to collectively examine them to generate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m and transmit them to the user terminal 1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00 have.

또한, 서버 제어부(220)는 생성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자가 혈당 측정 빈도 또는 측정 시점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우 높은 혈당값이 발생한 사용자에 대해 자가관리 후에 사용자 단말기(10)의 연속혈당측정기(CGMS) 또는 당뇨정보 수집부(110)에 대한 사용 시기를 위한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다음 일요일에 연속혈당측정기(CGMS)의 사용을 권장합니다)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control unit 220 can extract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or measurement time point of the user's own blood glucose measurement from the generat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For example, after the self-management of a user having a very high blood sugar value, a notification message (for example, the following) for the use time of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CGMS) or 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0 of the user terminal 10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CGMS) on Sunday).

또한, 서버 제어부(220)는 생성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생활패턴 개선 또는 생활패턴 기록유도를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식사 메시지, 운동 메시지, 수면 메시지, 혈당 측정 메시지(예를 들어, 월요일 오전 8시 전후에 공복혈당을 측정하세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20)는 생성된 생활습관 분석정보에 근거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서버 통신부(200)는 서버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는 생활습관 분석서버(30)로부터 제공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control unit 220 may generate a notification message for improving the user's life pattern or guiding the recording of the life pattern from the generat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The alert message may include a meal message, a workout message, a sleep message, a blood glucose measurement message (e.g., measure fasting blood glucose at around 8 am on Monday). The server control unit 220 controls the user terminal 10 to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based on the generat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00 transmit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0 under the control of the server control unit 220.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0 can output a notification message provided from the lifestyle analysis server 30.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소정 기록매체에 기록해 둠으로써 다양한 재생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다양한 재생장치는 PC, 노트북, 휴대용 단말 등일 수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각 재생장치의 내장형으로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RAM, ROM 등이거나, 외장형으로 CD-R, CD-RW와 같은 광디스크, 콤팩트 플래시 카드,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layback apparatuses by being implemented in a software program and recorded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The various playback devices may be a PC, a notebook, a portable terminal,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hard disk, a flash memory, a RAM, a ROM, or the like embedded in each reproduction apparatus, or an external optical disk such as a CD-R or a CD-RW, a compact flash card, a smart media,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사용자 단말기
20: 통신망
30: 생활습관 분석서버
100: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110: 당뇨정보 수집부
120: 메모리
130: 단말 통신부
140: 단말 제어부
200: 서버 통신부
210: 데이터베이스
220: 서버 제어부
10: User terminal
20: Network
30: Lifestyle analysis server
100: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110: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Memory
130:
140:
200: server communication section
210: Database
220:

Claims (6)

사용자 당뇨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사용자 당뇨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당뇨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당뇨 관리와 관련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생활습관 분석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습관 분석서버는,
상기 사용자 당뇨정보에 근거하여 산출된 혈당패턴 분산값으로부터 상기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
A user terminal for collecting user diabete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user diabetes information; And
And a lifestyle analysis server for generating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related to diabetes management of a user based on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server comprises:
And the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from the blood glucose pattern dispersion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당뇨정보를 수집하는 당뇨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사용자 당뇨정보를 상기 생활습관 분석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생활습관 분석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상기 수신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당뇨정보 수집부, 상기 단말 통신부, 및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및
상기 수집된 사용자 당뇨정보, 상기 수신된 생활습관 분석정보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the collected user diabetes information to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server and receiving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server;
An input / output interface for outputting the receiv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A termi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and the input / output interface unit; And
And a memory for storing the collected user diabetes information, the receiv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and program information for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당뇨정보 수집부는,
연속혈당 측정기(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diabete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And a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2. The system of claim 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당뇨정보는,
혈당정보, 식사정보, 인슐린정보 및 복약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may include:
Wherein th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blood sugar information, meal information, insulin information, and medication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활습관 분석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당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수신된 사용자 당뇨정보에 대해 요일별 또는 시간대별 혈당패턴 분산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혈당패턴 분산값으로부터 상기 생활습관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서버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항 고유등록정보, 상기 사용자 당뇨정보, 상기 생활습관 분석정보, 상기 생활습관 분석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server compris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 server controller for calculating a blood glucose pattern variance value for each day of the week or for each time period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user diabetes information and generating the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from the calculated blood glucose pattern variance value; And
And a database for storing the related item unique registration information, the user diabetes information, the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and program information for operation of the lifestyle habit analysis unit. syste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생활습관 분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활습관 개선을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대상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정보 제공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server control unit,
And generating a notification message for improving the lifestyle of the user based on the generated lifestyle analysi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notification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
KR1020170174454A 2017-12-18 2017-12-18 System for providing life habit analysis information for person concerned diabetes KR201900731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454A KR20190073119A (en) 2017-12-18 2017-12-18 System for providing life habit analysis information for person concerned diabe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454A KR20190073119A (en) 2017-12-18 2017-12-18 System for providing life habit analysis information for person concerned diabe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119A true KR20190073119A (en) 2019-06-26

Family

ID=6710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454A KR20190073119A (en) 2017-12-18 2017-12-18 System for providing life habit analysis information for person concerned diabe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311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274A (en) * 2019-07-12 2021-09-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monitoring health condition of user and analysis method thereof
KR102418338B1 (en)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Apparatus for measuring fasting blood glucose using continuous blood glucose data and method thereof
KR102418339B1 (en)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Apparatus for extracting blood sugar lever using continuous blood glucose data and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274A (en) * 2019-07-12 2021-09-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monitoring health condition of user and analysis method thereof
KR102418338B1 (en)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Apparatus for measuring fasting blood glucose using continuous blood glucose data and method thereof
KR102418339B1 (en)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Apparatus for extracting blood sugar lever using continuous blood glucose data and method thereof
WO2023017920A1 (en) * 2021-08-13 2023-02-16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Apparatus for extracting blood sugar level, using continuous blood glucose data, and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6483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sonal medical record keeping
Chiarini et al. mHealth technologies for chronic diseases and elders: a systematic review
US10586020B2 (en) Telemedicine components, devices, applications and uses thereof
US201801139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health conditions via a mobile health monitor and application thereof
US8170609B2 (en) Personal virtual assistant providing advice to a user regarding physiological information received about the user
US20190350535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sonal and group vital signs curves
US201801139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health conditions via wearable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US20200196962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sonal and group vital signs curves
JP7355826B2 (en) Platform-independent real-time medical data display system
US201201170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individual health monitoring
JP2012249797A (en) System, program and method for stress analysis
EP3567594B1 (en) Diabetes management system with dynamic selection of prediction logic
US11020009B2 (en) User terminal
KR101811769B1 (en) Health examination reservation and health car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73120A (en) Method and server providing customized service by user for health care
KR20190073119A (en) System for providing life habit analysis information for person concerned diabetes
EP4128276A1 (en) Apparatus for health monitoring
CN114449945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811770B1 (en) Health examination reservation and health car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252317A1 (en) Portable health monitor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2201654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assisting pregnant women
KR20190118774A (en) System for supporting health care
CN112712876A (en) Image recording system,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program
US20240047025A1 (en) Decentralized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storage system with inter-dataset correlation
US20240074661A1 (en) Wearable monitor and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