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830A -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830A
KR20190072830A KR1020170173914A KR20170173914A KR20190072830A KR 20190072830 A KR20190072830 A KR 20190072830A KR 1020170173914 A KR1020170173914 A KR 1020170173914A KR 20170173914 A KR20170173914 A KR 20170173914A KR 20190072830 A KR20190072830 A KR 20190072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ll
horizontal
vertica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8514B1 (ko
Inventor
정석원
Original Assignee
정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원 filed Critical 정석원
Priority to KR1020170173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5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9Steam nozzles, e.g. for introducing into a milk container to heat and foam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특히 본체부 내부에 유지방분을 함유하는 액체 상태의 원액을 저장하고 펌프부에 의해 공기와 물을 상기 본체부 내부에 투입하여 상기 원액에 버블을 1차 생성하고 상기 버블이 1차 생성된 원액을 노즐부를 통과하면서 버블을 2차 생성하여 미세한 크기를 가지며 그 크기 또한 일정하여 사용자에게 좋은 식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BUBBLE GENERATING DEVICE FOR FLUID WITH MILK}
본 발명은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특히 본체부 내부에 유지방분을 함유하는 액체 상태의 원액을 저장하고 펌프부에 의해 공기와 물을 상기 본체부 내부에 투입하여 상기 원액에 버블을 1차 생성하고 상기 버블이 1차 생성된 원액을 노즐부를 통과하면서 버블을 2차 생성하여 미세한 크기를 가지며 그 크기 또한 일정하여 사용자에게 좋은 식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우유 또는 우유 자체의 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우유가 함유된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세 버블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수준에 준하는 200μm 미만의 매우 작은 입자 크기를 갖도록 공기를 주입함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버블 생성 장치는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그 크기 또한 미세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좋은 식감의 유제품 함유 원액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부 내부에 유지방분을 함유하는 액체 상태의 원액을 저장하고 펌프부에 의해 공기와 물을 상기 본체부 내부에 투입하여 상기 원액에 버블을 1차 생성하고 상기 버블이 1차 생성된 원액을 노즐부를 통과하면서 버블을 2차 생성하여 미세한 크기를 가지며 그 크기 또한 일정하여 사용자에게 좋은 식감을 제공할 수 있는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지방분을 함유하는 액체 상태의 원액을 버블 상태로 생성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원액이 저장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공기와 물을 본체부(100) 내부로 투입하여 원액을 버블 상태로 1차 생성하는 펌프부(6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일 측에 형성되는 혼합 유로(B1)와, 상기 혼합 유로(B1)에 설치되고 원액을 버블 상태로 2차 생성하며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부(400)를 포함하는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타 측에 구비되는 배출로(B2)와, 상기 배출로(B2)에 연결되어 원액에 함유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기액 분리부(200)와, 상기 기액 분리부(200)와 노즐부(400)에 연결되는 순환로(B3)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는 중공 형상이고 상기 원액이 저장되는 본체부 하우징(110)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펌프부(600)에 연통되는 유입구(1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하우징(110)의 일 측에 상기 혼합 유로(B1)가 형성되어 노즐부(400)에 연통되고, 상기 본체부 하우징(110)의 타 측에 상기 배출로(B2)가 형성되어 기액 분리부(200)에 연통되며, 상기 펌프부(600)는 물과 공기를 상기 유입구(120) 측으로 이송하는 펌프(610)와 상기 펌프(610)를 구동하는 모터(62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400)는 상기 혼합유로(B1)와 순환로(B3)에 연통되는 연결부(420)와 상기 연결부(420)에 구비되고 중공 형상인 노즐 본체(430)와 상기 노즐 본체(430) 내부에 구비되는 금속망(440)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기액 분리부(200)는 중공 형상이고 상기 배출로(B2)와 순환로(B3)가 각각 구비되는 기액 분리부 본체(210)와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배출구(220)와,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게 하는 선택 배출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배출부(230)는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 내부에 일 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220)를 차단하는 차단판(231)과, 상기 차단판(231)을 승하강하는 부레부(232)를 포함하며, 상기 부레부(232)는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 내부에 저장된 원액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력부(232-1)와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 내부에 일 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부력부(232-1)에 연결되는 지지 바아(232-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본체부(100)와 기액 분리부(200) 그리고 펌프부(600)가 내부에 수용되고 노즐부(400)는 외측에 구비되는 케이스(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500)는 중공 형상으로서 상기 본체부(100)와 기액 분리부(200) 그리고 펌프부(600)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510)와 상기 케이스 본체(510)의 배면에 설치되는 판체 형상의 리어 케이스(530)와 상기 케이스 본체(510)의 양 측면과 저면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55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550)은 상기 케이스 본체(510)의 양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판체 형상의 수직부(551)와 상기 수직부(551)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510)가 그 위에 배치되는 연결판(553)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연결판(553)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51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300)는 연결판(553) 상면에 케이스 본체(510)의 전후진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340)과 상기 레일(3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510)가 고정되는 슬라이더(31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310)는 ∩형상을 가지고 레일(340)을 내부에 수용하는 슬라이더 본체(311)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311)의 양측 수직부(311-2)의 내측면에 요홈되는 부하 전주홈(312)과, 상기 양측 수직부(311-2)의 두께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귀환 전주공(313)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340)은 사각형 단면의 레일 본체(341)와 상기 레일 본체(341) 양 측에 요홈되고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동일 높이에 형성되는 레일 전주홈(342)을 포함하며,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에 볼 리테이너(330)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볼 리테이너(330)는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다수 개의 볼(BB)과, 상기 볼(BB)과 볼(BB) 사이에 설치되는 제1연결부(332) 및 제2연결부(333)와, 상기 볼(BB)의 이동 방향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볼(BB)의 양측에 부착되는 홀더(33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332)와 제2연결부(333)는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홀더(331)는 상기 제1연결부(332)와 제2연결부(333)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홀더(331)는 원판 형상이고 상기 볼(BB)에 접하는 부분은 특정 곡률로 요홈되어 상기 볼(BB)이 밀착되며, 상기 제1연결부(332)는 길이 방향 양 측단이 요홈되어 상기 볼(BB)이 접하고, 상기 제2연결부(333)는 인접하는 홀더(331)사이를 연결하고 바아 형상이되 일정 간격 분리되고, 그 사이에 코일 스프링부(334)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부(334)가 설치되는 볼(BB) 사이 공간에 제1절곡 스프링부(335)와 제2절곡 스프링부(336)가 볼(BB)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는 상기 볼(BB)을 하향 관통하는 바아 형상의 제1관통부(335-A)와 상기 제1관통부(335-A)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평부(335-1)와 상기 제1수평부(335-1)의 끝단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직부(335-2)와 상기 제1수직부(335-2)의 상단부에서 인접하는 볼(B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2수평부(335-3)와 상기 제2수평부(335-3)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수직부(335-4)와 상기 제2수직부(335-4)의 하단에서 인접하는 볼(B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3수평부(335-5)와 상기 제3수평부(335-5)의 인접하는 볼(BB) 방향 끝단에서 상방향 절곡되는 제3수직부(335-6)와 상기 제3수직부(335-6)의 상단부에서 인접하는 볼(B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4수평부(335-7)와 상기 제4수평부(335-7)의 인접하는 볼(BB) 방향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4수직부(335-8)와 상기 제4수직부(335-8)의 하단에서 인접하는 볼(B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5수평부(335-9)와, 상기 제5수평부(335-9)의 인접하는 볼(BB) 방향 끝단에서 상방향 절곡되고 인접하는 볼(B)을 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부(335-E)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는 제1절곡 스프링(335)에 대해 상하 방향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판(337)과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고정판(33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337)은 판체 형상의 제1고정판 본체(337-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7-1)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앙 슬롯(337-2)과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7-1)의 양 측면에 요홈된 제1측면 슬롯(337-3) 및 제2측면 슬롯(337-4)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337)의 중앙 슬롯(337-2)에는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제3수평부(335-5)가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슬롯(337-3)에는 상기 제1수직부(335-2)와 제1수평부(335-1)가 삽입되며, 상기 제2측면 슬롯(337-4)에는 상기 제4수직부(335-8)와 제5수평부(335-9)가 삽입되며, 상기 제2고정판(338)은 판체 형상의 제2고정판 본체(338-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338-1)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앙 슬롯(338-2)과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8-1)의 양 측면에 요홈된 제1측면 슬롯(338-3) 및 제2측면 슬롯(338-4)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338)의 중앙 슬롯(338-2)에는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제3수평부(336-5)가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슬롯(338-3)에는 제1수직부(336-2)와 제1수평부(336-1)가 삽입되며, 상기 제2측면 슬롯(337-4)에는 제4수직부(336-8)와 제5수평부(336-9)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버블의 크기가 미세함과 동시에 일정하여 사용자에게 좋은 식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버블 생성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버블 생성 장치에 케이스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 및 일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버블 생성 장치의 기액 분리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버블 생성 장치의 케이스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버블 생성 장치의 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저항 저감 장치의 슬라이더와 레일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버블 생성 장치의 볼 리테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버블 생성 장치의 볼 리테이너 중 볼과 절곡 스프링부 및 고정판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버블 생성 장치의 볼 리테이너 중 제1절곡 스프링부와 제1고정판만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버블 생성 장치의 볼 리테이너 중 제2절곡 스프링부와 제2고정판만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장치(10)는 유지방분을 함유하는 액체 상태의 원액을 버블 상태로 생성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원액이 저장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공기와 물을 본체부(100) 내부로 투입하여 원액을 버블 상태로 1차 생성하는 펌프부(6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펌프부(600)에 의해 물과 공기가 본체부(100) 내부로 투입하여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저장된 원액에 버블이 1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버블이 형성된 원액은 노즐부(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2차적으로 버블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버블이 2번에 걸쳐서 형성되어 크기가 미세하고 균일하게 생성된다. 이러한 버블에 의해 사용자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일 측에 형성되는 혼합 유로(B1)가 형성되고, 상기 혼합 유로(B1)에 노즐부(400)가 구비된다. 상기 혼합 유로(B1)를 통해 본체부(100) 내부에 1차적으로 버블이 형성된 원액이 상기 노즐부(400)로 유동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100)의 타 측에는 배출로(B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로(B2)에는 기액 분리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기액 분리부(200)에 의해 원액에 함유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한다. 즉, 본체부(100) 내부에 공기와 물을 공급하여 버블을 1차 생성하는데, 상기 공급된 공기가 과도하게 잔존하면 사용자의 식감을 해치게 되므로 상기 공기를 제거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액 분리부(200)를 구비하고, 상기 기액 분리부(200)에는 순환로(B3)가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400)에 연통된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 공기와 물을 공급하여 버블을 형성한 후 노즐부(400)를 배출하면서 버블을 2차 생성한다. 또한, 공기가 많이 잔존하는 경우 기액 분리부(200)를 통과하면서 원액에 잔존하는 공기를 제거한 후 노즐부(400)로 투입되어 버블을 2차 생성한 후 배출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원액이 저장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중공 형상이고 상기 원액이 저장되는 본체부 하우징(110)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펌프부(600)에 연통되는 유입구(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 하우징(110)의 일 측(도 1에서 도면상 좌측)에 상기 혼합 유로(B1)가 형성되어 노즐부(400)에 연통되고, 상기 본체부 하우징(110)의 타 측(도 1에서 도면상 우측)에 상기 배출로(B2)가 형성되어 기액 분리부(200)에 연통된다.
상기 펌프부(600)는 물과 공기를 상기 유입구(120)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펌프부(600)는 펌프(610)와 상기 펌프(610)를 구동하는 모터(620)를 포함하며 이러한 펌프부(600) 구성 자체는 널리 알려진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노즐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유로(B1)와 순환로(B3)에 연통되는 연결부(420)와 상기 연결부(420)에 구비되고 중공 형상인 노즐 본체(430)와 상기 노즐 본체(430) 내부에 구비되는 금속망(44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4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혼합유로(B1)와 순환로(B3)에 각각 연통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유입구(421,4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420)에는 연통부(423)가 형성되어 노즐 본체(430)와 연결되는 커넥터(450)와 연통된다. 상기 노즐 본체(430)는 중공 형상이고 그 내부에 금속망(440)이 구비된다. 상기 금속망(440)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원액이 통과할 때 버블이 생성된다. 상기 금속망(440) 자체는 널리 알려진 구성이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노즐부(400)는 후술되는 케이스(500) 외측에 구비되고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 브라켓(410)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 브라켓(410)은 ㄱ자 형상을 절곡되어 수직부는 상기 케이스(500) 외측에 고정되고 수평부에 상기 노즐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노즐부 본체(430)는 널리 알려진 고정구(460)에 의해 지지 브라켓(410)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460)는 볼트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구(460)는 널리 알려진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기액 분리부(200)는 원액에서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형상이고 상기 배출로(B2)와 순환로(B3)가 각각 구비되는 기액 분리부 본체(210)와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배출구(220)와,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게 하는 선택 배출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선택 배출부(230)는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 내부에 일 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220)를 차단하는 차단판(231)과, 상기 차단판(231)을 승하강하는 부레부(232)를 포함한다. 즉, 잔존하는 공기가 많아 원액의 수위가 낮으면 부레부(232)가 하강하고 상기 차단판(231)은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이때, 상기 차단판(231)의 일부는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 내부 상면에 형성된 힌지에 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판(231)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하강한다. 상기 차단판(231)의 하강에 의해 공기 배출구(230)가 오픈되어 공기가 외부 배출된다. 만일 잔존하는 공기가 적어 원액의 수위가 높으면 부레부(232)가 상승하고 상기 부레부(232)에 의해 차단판(231)이 상승하여 공기 배출부(220)를 닫게 되어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한다.
상기 부레부(232)는 상술된 바와 같이 원액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 내부에 저장된 원액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력부(232-1)와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 내부에 일 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부력부(232-1)에 연결되는 지지 바아(232-2)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부(232-1)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구 형태로서 비중이 낮아서 원액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한다. 상기 지지 바아(232-2)의 일측(도 3에서 도면상 우측)은 기액 분리부 본체(210) 우측 내면에 형성된 힌지에 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원액의 수위에 따라 부력부(232-1)가 승하강하고 상기 부력부(232-1)에 설치된 지지 바아(232-2)는 상기 부력부(232-1)에 연동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승하강한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와 기액 분리부(200) 그리고 펌프부(600)가 내부에 수용되고 노즐부(400)는 외측에 구비되는 케이스(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500)는 중공 형상으로서 상기 본체부(100)와 기액 분리부(200) 그리고 펌프부(600)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510)와 상기 케이스 본체(510)의 배면에 설치되는 판체 형상의 리어 케이스(530)와 상기 케이스 본체(510)의 양 측면과 저면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5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 프레임(550)은 상기 케이스 본체(510)의 양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판체 형상의 수직부(551)와 상기 수직부(551)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510)가 그 위에 배치되는 연결판(553)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20) 또는 커넥터(450)와 노즐 본체(430) 사이에 배치된 연결 호스(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553)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51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310)는 레일(340)과 암수 결합되어 정확한 직선운동이 가능하며, 이러한 슬라이더(310)는 ∩형상을 가지고 레일(340)을 내부에 수용하는 슬라이더 본체(311)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311)의 양측 수직부(311-2)의 내측면에 요홈되는 부하 전주홈(312)과, 상기 양측 수직부(311-2)의 두께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귀환 전주공(313)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 본체(311)의 양측 수직부(311-2)사이에는 수평부(311-1)가 배치된다.
상기 레일(340)은 사각형 단면의 레일 본체(341)와 상기 레일 본체(341) 양 측에 요홈되고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동일 높이에 형성되는 레일 전주홈(34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에 볼 리테이너(330)가 배치된다.
상기 볼 리테이너(330)는 상기 슬라이더 본체(311)의 양측 수직부(311-2)에 형성되는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340)의 레일 전주홈(342)으로 이루어진 빈 공간인 볼 순환공(O)에 배치되어 레일(340)과 접촉하며 상기 볼 리테이너(330)의 접촉에 의해 슬라이더(310)가 원활하게 이동한다. 상기 볼 순환공(O)에 배치된 볼 리테이너(330)는 슬라이더(310)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되며 상기 귀환 전주공(313)으로 투입되어 무한 순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슬라이더(310)와 레일(340) 그리고 볼 순환공(O)과 귀환 전주공(313)을 통해 볼 리테이너(330)가 무한 순환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등록 특허 제4619226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볼 리테이너(330)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 즉, 볼 순환공(O)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다수 개의 볼(BB)과, 상기 볼(BB)과 볼(BB) 사이에 설치되는 제1연결부(332) 및 제2연결부(333)와, 상기 볼(BB)의 이동 방향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볼(BB)의 양측에 부착되는 홀더(33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332)와 제2연결부(333)는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홀더(331)는 상기 제1연결부(332)와 제2연결부(33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홀더(331)는 원판 형상이고 상기 볼(BB)에 접하는 부분은 특정 곡률로 요홈되어 상기 볼(BB)이 밀착된다. 상기 홀더(331)의 내측면 즉, 상기 볼(BB)에 접촉하는 부분에는 원추 형상으로서 볼(BB)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자전 중심축(331-1)이 형성된다. 상기 자전 중심축(331-1)이 볼(BB)에 삽입되어 볼(BB)의 원활한 자전을 돕는다.
상기 제1연결부(332)는 길이 방향 양 측단이 요홈되어 상기 볼(BB)이 접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333)는 인접하는 홀더(331) 사이를 연결하고 바아 형상이되 일정 간격 분리된다. 상기 분리된 제2연결부(333)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부(334)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볼 리테이너(330)는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 즉, 볼 순환공(O)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을 통해 이동한다. 상기 볼 리테이너(330)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볼(BB)과 볼(BB)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볼(BB)과 볼(BB)사이 간격의 변동을 상기 코일 스프링부(334)가 흡수하여 볼 리테이너(330)의 원활한 이동을 돕는다.
상기 코일 스프링부(334)가 설치되는 볼(BB) 사이 공간에 제1절곡 스프링부(335)와 제2절곡 스프링부(336)가 볼(BB)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높이 방향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는 상기 볼(BB)을 하향 관통하는 바아 형상의 제1관통부(335-A)와 인접하는 볼(BB)을 상향 관통하는 제2관통부(335-E)를 포함한다. 상기 제1관통부(335-A)와 제2관통부(335-E)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요철된 형상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관통부(335-A)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평부(335-1)와 상기 제1수평부(335-1)의 끝단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직부(335-2)와 상기 제1수직부(335-2)의 상단부에서 인접하는 볼(B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2수평부(335-3)와 상기 제2수평부(335-3)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수직부(335-4)와 상기 제2수직부(335-4)의 하단에서 인접하는 볼(B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3수평부(335-5)와 상기 제3수평부(335-5)의 인접하는 볼(BB) 방향 끝단에서 상방향 절곡되는 제3수직부(335-6)와 상기 제3수직부(335-6)의 상단부에서 인접하는 볼(B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4수평부(335-7)와 상기 제4수평부(335-7)의 인접하는 볼(BB) 방향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4수직부(335-8)와 상기 제4수직부(335-8)의 하단에서 인접하는 볼(B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5수평부(335-9)와, 상기 제5수평부(335-9)의 인접하는 볼(BB) 방향 끝단에서 상방향 절곡되고 인접하는 볼(BB)을 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부(335-E)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관통부(335-A)와 제2관통부(335-E) 사이에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BB)이 진동할 때 그 진동을 상쇄한다.
제2절곡 스프링부(336)는 제1절곡 스프링부(335)와 동일 형상이나 상하 방향 대칭된다.
즉, 도시되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에 배치된 볼(BB)에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제1관통부(335-A)가 도면상 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제2관통부(336-E)는 상기 볼(BB)을 도면상 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면상 우측에 배치된 볼(BB)에는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제2관통부(335-E)가 상방향 관통되도록 배치되고,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제1관통부(336-A)가 하방향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제1절곡 스프링부(335)와 제2절곡 스프링부(336)에 의해 볼(BB)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쇄한다.
한편, 상기 제1절곡부(335)와 제2절곡부(336)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 요철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절곡부(335)와 제2절곡부(336)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제1고정판(337)과 제2고정판(338)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판(337)은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하측에 설치되고, 제2고정판(338)은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판(337)은 판체 형상의 제1고정판 본체(337-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7-1)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개방된 형상인 중앙 슬롯(337-2)과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7-1)의 양 측면에 요홈된 제1측면 슬롯(337-3) 및 제2측면 슬롯(337-4)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판(337)의 중앙 슬롯(337-2)에는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제3수평부(335-5)가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슬롯(337-3)에는 상기 제1수직부(335-2)와 제1수평부(335-1)가 삽입되며, 상기 제2측면 슬롯(337-4)에는 상기 제4수직부(335-8)와 제5수평부(335-9)가 삽입된다. 즉, 상기 제1고정판(337)에 상기 제3수평부(335-5)와 제1수직부(335-2) 및 제1수평부(335-1) 그리고 제4수직부(335-8)와 제5수평부(335-9)가 삽입되어 요철된 형상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2고정판(338)은 제1고정판(337)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제2고정판(338)은 판체 형상의 제2고정판 본체(338-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338-1)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방된 형상인 중앙 슬롯(338-2)과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8-1)의 양 측면에 요홈된 제1측면 슬롯(338-3) 및 제2측면 슬롯(338-4)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2고정판(338)의 중앙 슬롯(338-2)에는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제3수평부(336-5)가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슬롯(338-3)에는 제1수직부(336-2)와 제1수평부(336-1)가 삽입되며, 상기 제2측면 슬롯(337-4)에는 제4수직부(336-8)와 제5수평부(336-9)가 삽입되어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부 110 : 본체부 하우징
120 : 유입구 200 : 기액 분리부
210 : 기액 분리부 본체 220 : 공기 배출부
230 : 선택 배출부 231 : 차단판
232 : 부레부 300 : 이송부
310 : 슬라이더 311 : 슬라이더 본체
312 : 부하 전주홈 313 : 귀환 전주공
320 : 볼 스크류 330 : 볼 리테이너
331 : 홀더 332 : 제1연결부
333 : 제2연결부 334 : 코일 스프링부
335 : 제1절곡 스프링부 336 : 제2절곡 스프링부
337 : 제1고정판 338 : 제2고정판
400 : 노즐부 410 : 브라켓
420 : 연결부 430 : 노즐 본체
500 : 케이스 510 : 케이스 본체
530 : 리어 케이스 550 : 지지 프레임

Claims (8)

  1. 유지방분을 함유하는 액체 상태의 원액을 버블 상태로 생성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원액이 저장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구비되어 공기와 물을 본체부(100) 내부로 투입하여 원액을 버블 상태로 1차 생성하는 펌프부(6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일 측에 형성되는 혼합 유로(B1)와, 상기 혼합 유로(B1)에 설치되고 원액을 버블 상태로 2차 생성하며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부(400)를 포함하는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타 측에 구비되는 배출로(B2)와, 상기 배출로(B2)에 연결되어 원액에 함유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기액 분리부(200)와, 상기 기액 분리부(200)와 노즐부(400)에 연결되는 순환로(B3)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는 중공 형상이고 상기 원액이 저장되는 본체부 하우징(110)과, 상기 본체부 하우징(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펌프부(600)에 연통되는 유입구(1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하우징(110)의 일 측에 상기 혼합 유로(B1)가 형성되어 노즐부(400)에 연통되고, 상기 본체부 하우징(110)의 타 측에 상기 배출로(B2)가 형성되어 기액 분리부(200)에 연통되며,
    상기 펌프부(600)는 물과 공기를 상기 유입구(120) 측으로 이송하는 펌프(610)와 상기 펌프(610)를 구동하는 모터(62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400)는 상기 혼합유로(B1)와 순환로(B3)에 연통되는 연결부(420)와 상기 연결부(420)에 구비되고 중공 형상인 노즐 본체(430)와 상기 노즐 본체(430) 내부에 구비되는 금속망(440)을 포함하는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부(200)는 중공 형상이고 상기 배출로(B2)와 순환로(B3)가 각각 구비되는 기액 분리부 본체(210)와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출되는 공기 배출구(220)와,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게 하는 선택 배출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배출부(230)는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 내부에 일 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220)를 차단하는 차단판(231)과, 상기 차단판(231)을 승하강하는 부레부(232)를 포함하며,
    상기 부레부(232)는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 내부에 저장된 원액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력부(232-1)와 상기 기액 분리부 본체(210) 내부에 일 측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부력부(232-1)에 연결되는 지지 바아(232-2)를 포함하는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와 기액 분리부(200) 그리고 펌프부(600)가 내부에 수용되고 노즐부(400)는 외측에 구비되는 케이스(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500)는 중공 형상으로서 상기 본체부(100)와 기액 분리부(200) 그리고 펌프부(600)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510)와 상기 케이스 본체(510)의 배면에 설치되는 판체 형상의 리어 케이스(530)와 상기 케이스 본체(510)의 양 측면과 저면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55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550)은 상기 케이스 본체(510)의 양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판체 형상의 수직부(551)와 상기 수직부(551)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510)가 그 위에 배치되는 연결판(553)을 포함하는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553)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본체(51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300)는 연결판(553) 상면에 케이스 본체(510)의 전후진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340)과 상기 레일(34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510)가 고정되는 슬라이더(31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310)는 ∩형상을 가지고 레일(340)을 내부에 수용하는 슬라이더 본체(311)와, 상기 슬라이더 본체(311)의 양측 수직부(311-2)의 내측면에 요홈되는 부하 전주홈(312)과, 상기 양측 수직부(311-2)의 두께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귀환 전주공(313)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340)은 사각형 단면의 레일 본체(341)와 상기 레일 본체(341) 양 측에 요홈되고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동일 높이에 형성되는 레일 전주홈(342)을 포함하며,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에 볼 리테이너(330)가 배치되는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 리테이너(330)는 상기 부하 전주홈(312)과 레일 전주홈(342)으로 형성된 공간과 상기 귀환 전주공(313)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다수 개의 볼(BB)과, 상기 볼(BB)과 볼(BB) 사이에 설치되는 제1연결부(332) 및 제2연결부(333)와, 상기 볼(BB)의 이동 방향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볼(BB)의 양측에 부착되는 홀더(331)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332)와 제2연결부(333)는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홀더(331)는 상기 제1연결부(332)와 제2연결부(333)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홀더(331)는 원판 형상이고 상기 볼(BB)에 접하는 부분은 특정 곡률로 요홈되어 상기 볼(BB)이 밀착되며,
    상기 제1연결부(332)는 길이 방향 양 측단이 요홈되어 상기 볼(BB)이 접하고,
    상기 제2연결부(333)는 인접하는 홀더(331)사이를 연결하고 바아 형상이되 일정 간격 분리되고, 그 사이에 코일 스프링부(334)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부(334)가 설치되는 볼(BB) 사이 공간에 제1절곡 스프링부(335)와 제2절곡 스프링부(336)가 볼(BB)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는 상기 볼(BB)을 하향 관통하는 바아 형상의 제1관통부(335-A)와 상기 제1관통부(335-A)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평부(335-1)와 상기 제1수평부(335-1)의 끝단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수직부(335-2)와 상기 제1수직부(335-2)의 상단부에서 인접하는 볼(B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2수평부(335-3)와 상기 제2수평부(335-3)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수직부(335-4)와 상기 제2수직부(335-4)의 하단에서 인접하는 볼(B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3수평부(335-5)와 상기 제3수평부(335-5)의 인접하는 볼(BB) 방향 끝단에서 상방향 절곡되는 제3수직부(335-6)와 상기 제3수직부(335-6)의 상단부에서 인접하는 볼(B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4수평부(335-7)와 상기 제4수평부(335-7)의 인접하는 볼(BB) 방향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제4수직부(335-8)와 상기 제4수직부(335-8)의 하단에서 인접하는 볼(BB) 방향으로 수평 방향 절곡되는 제5수평부(335-9)와, 상기 제5수평부(335-9)의 인접하는 볼(BB) 방향 끝단에서 상방향 절곡되고 인접하는 볼(B)을 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부(335-E)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는 제1절곡 스프링(335)에 대해 상하 방향 대칭으로 형성되는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판(337)과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고정판(33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337)은 판체 형상의 제1고정판 본체(337-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7-1)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앙 슬롯(337-2)과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7-1)의 양 측면에 요홈된 제1측면 슬롯(337-3) 및 제2측면 슬롯(337-4)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337)의 중앙 슬롯(337-2)에는 상기 제1절곡 스프링부(335)의 제3수평부(335-5)가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슬롯(337-3)에는 상기 제1수직부(335-2)와 제1수평부(335-1)가 삽입되며, 상기 제2측면 슬롯(337-4)에는 상기 제4수직부(335-8)와 제5수평부(335-9)가 삽입되며,
    상기 제2고정판(338)은 판체 형상의 제2고정판 본체(338-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338-1)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앙 슬롯(338-2)과 상기 제1고정판 본체(338-1)의 양 측면에 요홈된 제1측면 슬롯(338-3) 및 제2측면 슬롯(338-4)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338)의 중앙 슬롯(338-2)에는 상기 제2절곡 스프링부(336)의 제3수평부(336-5)가 삽입되고, 상기 제1측면 슬롯(338-3)에는 제1수직부(336-2)와 제1수평부(336-1)가 삽입되며, 상기 제2측면 슬롯(337-4)에는 제4수직부(336-8)와 제5수평부(336-9)가 삽입되는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KR1020170173914A 2017-12-18 2017-12-18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KR102068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14A KR102068514B1 (ko) 2017-12-18 2017-12-18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914A KR102068514B1 (ko) 2017-12-18 2017-12-18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30A true KR20190072830A (ko) 2019-06-26
KR102068514B1 KR102068514B1 (ko) 2020-02-11

Family

ID=6710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914A KR102068514B1 (ko) 2017-12-18 2017-12-18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5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5951A2 (en) * 1998-11-06 2000-06-07 Nippon Thompson Co., Ltd. Linear motion guide unit with lubricating means
JP2007010060A (ja) * 2005-06-30 2007-01-18 Thk Co Ltd ローラ用リテーナ及びローラねじ
JP2007032730A (ja) * 2005-07-27 2007-02-08 Thk Co Ltd 転がり案内装置
KR20110133578A (ko) * 2009-03-03 2011-12-13 델리카 아게 우유 거품 제조 장치
KR20120138457A (ko) * 2011-06-15 2012-12-26 노 웅 송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JP2015117816A (ja) * 2013-12-20 2015-06-25 Thk株式会社 ローラ連結体及びこれを用いた転がり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05951A2 (en) * 1998-11-06 2000-06-07 Nippon Thompson Co., Ltd. Linear motion guide unit with lubricating means
JP2007010060A (ja) * 2005-06-30 2007-01-18 Thk Co Ltd ローラ用リテーナ及びローラねじ
JP2007032730A (ja) * 2005-07-27 2007-02-08 Thk Co Ltd 転がり案内装置
KR20110133578A (ko) * 2009-03-03 2011-12-13 델리카 아게 우유 거품 제조 장치
KR20120138457A (ko) * 2011-06-15 2012-12-26 노 웅 송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JP2015117816A (ja) * 2013-12-20 2015-06-25 Thk株式会社 ローラ連結体及びこれを用いた転がり案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514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7027B (zh) 具有悬浮颗粒的泡沫清洁剂、其制造方法以及其调配器
Dickinson et al. Fluidized bed desliming in fine particle flotation–part I
CN101541690A (zh) 微气泡发生装置和微气泡发生方法
KR102236732B1 (ko) 액체에 기체를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
US2093898A (en) Froth flotation concentration process
KR20190072830A (ko) 유지방분 함유 원액에 미세 버블을 생성하는 장치
CN215763557U (zh) 控制阀组件
CN104997414B (zh) 奶沫发生器及咖啡机
EP3434375A2 (en) System and method for foam fractionation
US7134781B2 (en) Self-mixing tank
KR102503530B1 (ko) 유음료 공급 장치
SE1950819A1 (en) Method for redistributing a flake material into at least two flake size fractions
CN106580101A (zh) 高速打奶泡机的工作方法
KR101993173B1 (ko) 샘플 용액 혼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샘플 용액 혼합 방법
CN110665633A (zh) 一种重选-浮选联用的微细粒矿物分选***及分选方法
CN206166750U (zh) 一种搅拌装置和带有搅拌装置的水杯
CN115305559A (zh) 镀液分散方法
CN104688078A (zh) 高速打奶泡机
JP2008220521A (ja) シャボン発生装置
WO2008129371A1 (en) A dissolved air flotation unit
CN211484097U (zh) 一种咖啡出口结构及咖啡机
US407468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use in generating liquid concentration gradients hydrostatically
KR102006018B1 (ko) 나노버블의 생성이 가능한 전해조 및 수소수기
US20200361799A1 (en) Hydrogen water generator
TWI357455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